KR101411476B1 - Environment for improving water quality channel - Google Patents
Environment for improving water quality chan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1476B1 KR101411476B1 KR1020130149716A KR20130149716A KR101411476B1 KR 101411476 B1 KR101411476 B1 KR 101411476B1 KR 1020130149716 A KR1020130149716 A KR 1020130149716A KR 20130149716 A KR20130149716 A KR 20130149716A KR 101411476 B1 KR101411476 B1 KR 1014114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pipe
- rainwater
- water
- vegetation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화된 구조로 철재 덮개 등의 부가시설이 필요없어 경제적인 구조이며, 자갈, 쇄석, 식생토 등이 내재된 식생부를 통하여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낙엽, 토사, 각종 슬러지를 1차 여과시키고 여과필터를 통해 빗물을 2차 여과시켜 수질이 한층 개선된 빗물을 배수시키므로 준설을 위한 유지관리비용이 획기적으로 저감되며, 우기시 수로의 내부에 적재되는 퇴적물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수로관으로서의 기능충족이 극대화 되도록하는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은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양단에 수직하게 형성된 측벽부(120)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으로 배수로(130)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로(130)의 상부이며 양 측벽부(120)의 사이에 빗물의 1차 여과기능을 하는 자갈, 쇄석, 식생토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수용되는 식생부(150)가 일정높이로 형성되도록 수평격벽(14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격벽(140)에 식생부(150)에서 여과된 빗물이 배수로(130)로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유공부(142)가 형성된 “ㅂ”자 형상의 수로관 몸체(10)와,
상기 유공부(142)에 삽입되어 식생부(150)에서 1차 여과된 빗물이 배수로(130)로 유입되기 전 2차로 여과될 수 있도록 구비된 여과필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로관 몸체(10)의 측벽부(120) 전,후에는 관연결넛트(121)가 내장되어 관연결평철(122)을 설치하고 볼팅하여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수로관 몸체(10)간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economical structure in which an additional structure such as a steel cover is not requir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and the fallen leaves, soil, and various kinds of sludge which are introduced together with rainwater through a vegetated portion in which gravel, crushed stone, By filtering secondary rainwater through filtration filter, the maintenance cost for dredging is drastically reduced by draining rainwater with improved water quality, and the sediment load on the inside of the waterway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 waterwa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to be maximized.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ttom part 110 and a side wall part 120 vertic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part 110 to form a drain path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orizontal partition 14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wall portions 120 so that the vegetation portion 150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gravel, crushed stone, Shaped water channel body 10 having a plurality of water holes 142 formed i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40 so that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vegetation part 150 flows into the drainage channel 130,
And a filtration filter 20 inserted into the oil chamber 142 and capable of being secondarily filtered before the rainwater primarily filtered at the vegetation part 150 flows into the drainage channel 130,
The pipe connecting nuts 121 are built before and after the side wall part 120 of the water pipe body 10 so that the pipe connecting bolts 122 are installed and the bol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water pipe body 10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connected .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체화된 구조로 철재 덮개 등의 부가시설이 필요없어 경제적인 구조이며, 자갈, 쇄석, 식생토 등이 내재된 식생부를 통하여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낙엽, 토사, 각종 슬러지를 1차 여과시키고 여과필터를 통해 빗물을 2차 여과시켜 수질이 한층 개선된 빗물을 배수시키므로 준설을 위한 유지관리비용이 획기적으로 저감되며, 우기시 수로의 내부에 적재되는 퇴적물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수로관으로서의 기능충족이 극대화 되도록 하는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economical structure in which an additional structure such as a steel cover is not requir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and the fallen leaves, soil, and various kinds of sludge which are introduced together with rainwater through a vegetated portion in which gravel, crushed stone, By filtering secondary rainwater through filtration filter, the maintenance cost for dredging is drastically reduced by discharging the rainwater with improved water quality. Significantly reduced sediment buried in the waterway during the rainy seas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 waterwa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to be maximized.
최근 이상기후에 의한 예상치 못한 국지성 소나기로 인하여 도로의 침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Recently flood damage has been frequently caused by unexpected local showers due to abnormal weather.
이것은 빗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로관이 설치는 되어 있으나, 토사, 낙엽, 쓰레기 등이 배수로관에 유입되어 퇴적됨으로서 배수관의 유출단면이 협소해지고 극단적으로는 배수기능을 완전히 상실하여 도로로 빗물이 다시 월류되므로 도시의 침수 피해를 유발시키고 있다.This is because drainage pipes for drainage of rainwater are installed, but sediment, leaves, and garbage are flowed into and drained from the drainage pipes, resulting in a narrow drainage section of the drainage pipes and extremely draining the drainage function. Causing flood damage in the city.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사람과 장비를 투여하여 배수관내부의 퇴적물을 처리하여야 하는 비용의 발생 문제도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damages, there is a problem of incurring the cost of periodically dispensing people and equipment to treat sediments inside the drain pipe.
그리고 종래에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7169호의 “측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외부면을 이루며, 내부에는 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수로(11)가 형성된 콘크리트블록(10); 상기 콘크리트블록(10)의 우측면(12)에는, 상기 수로(11)의 원형면 둘레를 따라 경사면을 이루면서 안쪽으로 들어간 연결단부 밀착면(1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부 밀착면(13)의 아래쪽에서 돌출턱(14)을 가지며, 상기 콘크리트블록(10)의 좌측면(15)에는, 상기 수로(11)의 원형면 둘레에서 상기 연결단부 밀착면(13)과 대응되게 경사면을 이루면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연결단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부(16)의 아래쪽에서 상기 돌출턱(14)과 대응되게 안쪽으로 들어간 돌출턱 결속부(17)로 이루어져, 한쪽 수로관(10a)의 돌출턱(14)에 다른 쪽 수로관(10b)의 돌출턱 결속부(17)를 올려놓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과 같이 수로관의 상부에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철재로 된 스틸그레이팅을 설치하나 설치 후 도난 등의 사고가 발생되고 있어 추가설치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다.Conventionally,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로관의 상부에 철재구조물인 뚜껑이 필요없고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각종 슬러지 및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쇄석, 자갈, 식생토 등을 수용하여 빗물을 1차 여과시키고, 1차 여과된 빗물을 여과필터를 통해 2차적으로 여과시켜 배수구로 유입시키므로 수질이 한층 더 좋아진 빗물을 하천으로 방류시킬 수 있는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udge treatment system for a sewage sludge treatment system, comprising: a sludge tank for receiving a sludge, gravel, vegetation soil and the like to prevent inflow of various kinds of sludge and contaminants,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al condui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which is capable of discharging rainwater, which is further improved in water quality, to the river by primary filtration, primary filtration of rainwater through secondary filtration through a filtration filter,
또한 수로관 몸체의 상부에 섬유매트, 모래, 쇄석 또는 자갈, 식생토 등을 차례로 적층하여 빗물의 여과뿐만 아니라 식생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식생부를 형성하여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vironmental conduit for improving water quality by forming a vegetation part capable of planting vegetation plants as well as filtration of rainwater by sequentially laminating a fiber mat, sand, crushed stone or gravel or vegetation soil on the upper part of a body of a water pipe.
본 발명은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양단에 수직하게 형성된 측벽부(120)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으로 배수로(130)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로(130)의 상부이며 양 측벽부(120)의 사이에 빗물의 1차 여과기능을 하는 자갈, 쇄석, 식생토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수용되는 식생부(150)가 일정높이로 형성되도록 수평격벽(14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격벽(140)에 식생부(150)에서 여과된 빗물이 배수로(130)로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유공부(142)가 형성된 “ㅂ”자 형상의 수로관 몸체(10)와,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유공부(142)에 삽입되어 식생부(150)에서 1차 여과된 빗물이 배수로(130)로 유입되기 전 2차로 여과될 수 있도록 구비된 여과필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nd a
상기 수로관 몸체(10)의 측벽부(120) 전,후에는 관연결넛트(121)가 내장되어 관연결평철(122)을 설치하고 볼팅하여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수로관 몸체(10)간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The
본 발명은 쇄석, 자갈, 식생토 등이 수용된 식생부를 통과하고 여과필터를 통해 단계적으로 빗물이 여과되어 수질의 탁도 등 기타 수질평가 면에서 우수한 수질의 빗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생태하천 조성에 많은 영향을 주며, 수로관 내부에 쌓이는 침전물이 획기적으로 저감되어 준설을 위한 유지관리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rainwater is filtered step by step through a vegetation section containing crushed stone, gravel, vegetation soil, etc., and water quality rainwater having a good quality in terms of water quality turbidity is introduced into the river, And the deposits accumulated in the inside of the channel are drastically reduced, thereby reducing maintenance costs for dredging.
또한 고가인 철재 스틸그레이팅을 사용하지 않아 도난의 우려가 없으며, 저렴한 소재의 사용으로 건설비용이 획기적으로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Also, there is no fear of stolen because expensive steel steel grating is not used, and construction cost is remarkably reduced by using cheap material.
또한 수로관의 상부를 쇄석, 자갈, 식생토, 식생식물 등, 목재덮개 등으로 마감하여 보행자의 편리성 제공과 도시미관과의 조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pipe can be finished with crushed stones, gravel, vegetation soil, vegetation plants, and wooden cover to maximize the harmony between the convenience of the pedestrian and the beauty of the city.
도1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로관
도2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사시도
도3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연결 사시도
도4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측면도
도5 본 발명의 실시 예4 및 5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사시도
도6 본 발명의 실시 예6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정면도
도7 본 발명의 실시 예7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정면도
도8 본 발명의 실시 예8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정면도
도9 본 발명의 실시 예9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측면도
도10 본 발명의 실시 예10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정면도1,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ipe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Examples 4 and 5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은 전체형상을 “ㅂ”자 형상으로 하여 일반 수로관의 상부에 덮개나 스틸그레이팅이 안치되는 받침부를 근본적으로 제거하고, 수로관 몸체(10)의 상부에 수평격벽(140)을 형성하여 사람 또는 차량의 하중에도 수로관의 파손과 변형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수평격벽(140)의 의해 형성된 식생부(150)에는 쇄석, 자갈, 식생토 등의 수용으로 1차적인 빗물의 여과가 가능하며, 수평격벽(140)에는 빗물의 투과성능이 충족되기 위한 일정크기인 복수개의 유공부(142)를 구성하고 유공부(142)에는 여과필터(20)를 삽입하여 빗물을 2차여과시킨 후 배수로(130)로 유입시켜 수질개선 효과에 탁월하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eneral shape of " B " shape and fundamentally removes a lid or a support part on which a steel grating is placed, Th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로서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ㅂ”자 형상의 수로관 몸체(10)와 수로관 몸체(10)에 구비되는 여과필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과필터(20)가 구비된 수로관 몸체(10)는 관연결평철(122)로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수로관 몸체(10)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양단에 수직하게 측벽부(120)가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는 배수로(130)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130)의 상부이며 양 측벽부(120)의 사이에는 일정높이의 식생부(150)가 형성되도록 수평격벽(140)이 형성된다.The
상기 식생부(150)에는 자갈, 쇄석, 식생토등이 수용되어 유입되는 빗물에 섞인 낙엽, 토사, 각종 슬러지와 오염물질들이 자갈, 쇄석, 식생토등에 의해 유입이 차단되어 수로관 몸체(10)의 상부인 식생부(150)로 유입된 빗물을 1차로 여과시켜주므로 각종 슬러지와 오염물질이 수로관의 내부에 쌓이면서 부패되어 발생하는 각종 악취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상기 수로관 몸체(10)에 형성된 수평격벽(140)은 식생부(150)의 1차 여과기능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로관 몸체(10)의 내구성을 높여 수로관 몸체(10)의 상부에 전달되는 상재 하중인 사람 또는 차량의 하중에도 수로관 몸체(10)의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해준다.The
그리고 상기 수평격벽(140)에는 식생부(150)에서 자갈, 쇄석, 식생토등에 의해 1차 여과된 빗물이 배수로(130)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유공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유공부(142)는 상부측이 확장되면서 유공부걸림턱(143) 형성되어 후술되는 여과필터(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A plurality of
그래서 상기 유공부(142)에는 식생부(150)에서 1차 여과된 빗물이 배수로(130)로 배출되기 전에 한번 더 여과되어 한층 더 수질이 개선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여과필터(20)가 삽입되어 구성된다.Therefore, the
이때, 상기 여과필터(20)는 상기 유공부(142)에 삽입되되, 여과필터(20)의 상부측에는 유공부(142)의 유공부걸림턱(143)과 대응되게 확장된 여과필터걸림턱(203)이 형성되어 여과필터걸림턱(203)이 유공부걸림턱(143)에 걸리는 구조이므로 여과필터(20)과 유공부(142)에 고정되게 삽입되는 구성이며, 여과필터(20)는 일정한 크기의 방목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또는 철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공부(142)에 여과필터(20)가 삽입된 수로관 몸체(10)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다른 수로관 몸체(10)가 연결되는데, 이때 수로관 몸체(10)의 측벽부(120)에는 전,후로 관연결넛트(121)가 내장되게 구비되어, 수로관 몸체(10)의 측벽부(120)와 인접하는 다른 수로관 몸체(10)의 측벽부(120) 측면 사이에 관연결평철(122)을 설치하고 관연결넛트(121)에 볼트 결합을 통하여 수로관 몸체(10)간의 연결성이 증대되도록 구성된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수로관 몸체(10)의 전, 후면에는 전, 후로 인접하는 다른 수로관 몸체(10)간의 결속력을 높이도록 끼움돌부(160)와 끼움홈부(161)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되는 수로관 몸체(10)간의 결속력 뿐만 아니라 고정력을 높여주며 설치 또한 용이하게 해주고, 이때, 인접되어 연결되는 수로관 몸체(10)들의 끼움돌부(160)와 끼움홈부(161) 사이에는 지수제(163)가 삽입되어 수로관 몸체(10)간의 수밀성을 증대시켜 주도록 구성된다.
FIG. 4 is a side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4 및 5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부(150)이며 수평격벽(140)의 전,후면과 중앙부에는 식생부(150)에 수용된 쇄석, 자갈, 식생토등이 장마시 빗물의 빠른 유속과 많은 유량에 의하여 유실되지 않도록 수로관 몸체(10)의 상부면 높이로 수직격벽(151)이 구성되며, 수직격벽(151)에 의해 수로관 몸체(10)의 내구성이 높아져 상기 수직격벽(151)은 쇄석, 자갈 식생토등의 유실방지 뿐만 아니라 수로관 몸체(10)에 가해지는 사람 또는 차량의 하중에 안전하여 수로관 몸체(10)의 변형 또는 파손등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way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그리고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수로관 몸체(10)의 측벽부(120)에는 측면에 관통된 복수개의 지하수 유.출입구(124)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지중에 흐르는 지하수가 지하수 유.출입구(124)를 통해 수로관 몸체(10)의 배수로(1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5, the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6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생부(150)에는 투과성능이 내재된 식생매트(A), 모래(B), 쇄석 또는 자갈(C), 식생토(D)를 차례로 적층시켜 식생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며, 유입되는 빗물은 여과시켜 배수로(130)로 집수되도록 하고, 비우천시에는 화단등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way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vegetation mat A, sand B, It is possible to plant vegetation plants by stacking crushed stone or gravel (C) and vegetation soil (D) in order, and to collect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drainage duct (130) and to use it as a flower bed .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7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부(150)에는 쇄석, 자갈, 식생토등이 수용되고, 상기 쇄석, 자갈, 식생토등이 장마시 빗물의 빠른 유속과 많은 유량에 의하여 유실되는것을 방지하도록 식생부(150)의 상부를 덮고 투과성능이 있는 목재덮개(170)를 식생부(150)에 삽입하여 마감하도록 구성하여, 쇄석, 자갈, 식생토등의 유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안전과 수로관의 미려성을 향상시키며 종래의 수로관에 설치되는 철재 덮개의 도난으로 인한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7 is a front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way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8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수로관 몸체(10)의 측벽부(120) 상부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덮개연결넛트(126)가 내장되어 볼팅에 의해 투과성능이 있는 목재덮개(170)가 수로관 몸체(10)의 상부면에 설치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8 is a front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lid-connect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래서 식생부(150)에 수용된 쇄석, 자갈, 식생토등의 유실을 방지하며 보행자의 안전과 수로관의 미려성을 향상시키고, 종래의 수로관에 설치되는 철재 덮개의 도난으로 인한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crushed stones, gravel, vegetation soil, etc. contained in the
이때, 덮개연결넛트(126)에는 볼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결수단을 선택하여 목재덮개(17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fix the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9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로관 몸체(10)의 수평격벽(140)이며 복수개의 유공부(142) 사이에 준설구(144)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준설구(144)의 하부이며 바닥부(110)의 상부면에 일정높이의 홈이 형성된 퇴적물집수구(114)가 형성된 보조수로관 몸체(11)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연결되는 수로관 몸체(10)의 일정 구간에 배치되게 구성한다.9 is a side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way pip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이때, 준설구(144)의 상부에는 스크린망(미도시)이 설치되어 식생부(150)에 수용된 자갈, 쇄석, 식생토등이 준설구(144)를 통해 배수로(130)로 유실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식생부(150)와 유공부(142)에 삽입된 여과필터(20)를 통해 각종 슬러지 및 오염물질이 1차 및 2차 여과된 빗물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하고 유입된 미세한 입도의 슬러지는 퇴적물수집구(114)에 퇴적되어 준설구(144)를 통해 제거되므로 한층 더 수질이 높은 양질의 빗물이 하천으로 방류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At this time, a screen net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10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수로관 몸체(10)의 양 측벽부(120) 중 일측 측벽부(120)에는 측벽부(120)의 상부 일측으로 경계석(190)등이 안치될 수 있는 경계석받침턱(125)이 형성되어 경계석(190)등의 지지와 설치를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10 is a side view of an environmental water pip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on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자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limited number of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o be described.
10 : 수로관 몸체
11 : 보조수로관 몸체
20 : 여과필터
110 : 바닥부
114: 퇴적물집수구
120 : 측벽부
121 : 관연결넛트
122 : 관연결평철
124 : 지하수 유.출입구
125 : 경계석받침턱
126 : 덮개연결넛트
130 : 배수로
140 : 수평격벽
142 : 유공부
143 : 유공부걸림턱
144 : 준설구
150 : 식생부
151 : 수직격벽
160 : 끼움돌부
161 : 끼움홈부
170 : 목재덮개
190 : 경계석
203 : 여과필터걸림턱10:
11: Secondary channel body
20: Filtration filter
110:
114: Sediment collector
120:
121: pipe connection nut
122:
124: Groundwater drainage
125:
126: Cover connection nut
130: drainage
140: Horizontal bulkhead
142: Milking
143: Milking jaws
144: Dredge
150: Vegetation Department
151: Vertical partition
160:
161: fit groove
170: Wood cover
190:
203: Filter filter jaw chin
Claims (11)
상기 유공부(142)에 삽입되어 식생부(150)에서 1차 여과된 빗물이 배수로(130)로 유입되기 전 2차로 여과될 수 있도록 구비된 여과필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로관 몸체(10)의 측벽부(120) 전,후에는 관연결넛트(121)가 내장되어 관연결평철(122)을 설치하고 볼팅하여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수로관 몸체(10)간의 연결이 가능하고,
상기 수로관 몸체(10)의 전,후면에는 인접하는 수로관 몸체(10)간에 결속력을 높이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돌부(160)와 끼움홈부(161)가 형성되며, 인접되어 연결되는 수로관 몸체(10)의 끼움돌부(160)와 끼움홈부(161) 사이에는 지수제(163)가 삽입되어 수밀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 수로관.And a side wall part 120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part 110 and the bottom part 110 so as to form a drainage path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part of the drainage path 130, A horizontal partition wall 14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accommodat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gravel, crushed stone, and vegetated soil having a primary filtration function of rainwater, Shaped water channel body 10 having a plurality of oil chambers 142 formed therein to allow the rainwater filtered at the vegetation section 150 to flow into the drainage channel 130,
And a filtration filter 20 inserted into the oil chamber 142 and capable of being secondarily filtered before the rainwater primarily filtered at the vegetation part 150 flows into the drainage channel 130,
The pipe connecting nuts 121 are built before and after the side wall part 120 of the water pipe body 10 so that the pipe connecting bolts 122 are installed and the bol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water pipe body 10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connected and,
I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water pipe body 10, a fitting projection 160 and a fitting groove portion 16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adjacent water pipe body 10, Wherein an indexing agent (163) is inserted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 (160) and the fitting groove (161) of the water tank (10) to increase water tightness.
상기 수로관 몸체(10)의 일측 측벽부(120)에는 상기 측벽부(120) 상부 일측으로 경계석(190)이 안치될 수 있도록 경계석받침턱(1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undary stake holder (125) is formed on one side wall part (120) of the water pipe body (10) so that a boundary stone (190) can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part (120)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9716A KR101411476B1 (en) | 2013-12-04 | 2013-12-04 | Environment for improving water quality chan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9716A KR101411476B1 (en) | 2013-12-04 | 2013-12-04 | Environment for improving water quality chann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1476B1 true KR101411476B1 (en) | 2014-06-24 |
Family
ID=5113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9716A Active KR101411476B1 (en) | 2013-12-04 | 2013-12-04 | Environment for improving water quality chann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147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8586B1 (en) | 2016-03-03 | 2017-09-14 | 한경수 | a color boudary stone of sidewalk and street passing rainwater and package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lor boudary stone |
KR102375173B1 (en) * | 2020-10-20 | 2022-03-16 | 에스비비 주식회사 | Porous Drain Paving Module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KR102732173B1 (en) * | 2023-12-27 | 2024-11-19 | 재단법인 한솔문화재단 | Pond management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92390A (en) * | 2003-12-26 | 2004-03-25 | Kawada Construction Co Ltd | Road surface drainage purification device and greening device using purified drainage |
JP2004270181A (en) * | 2003-03-05 | 2004-09-30 | Nippon Concrete Kogyo Kk | Block for channel and channel using the same |
KR101178417B1 (en) * | 2011-12-30 | 2012-08-30 | 주식회사 아세아산업 | Drain for urban environment |
-
2013
- 2013-12-04 KR KR1020130149716A patent/KR1014114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70181A (en) * | 2003-03-05 | 2004-09-30 | Nippon Concrete Kogyo Kk | Block for channel and channel using the same |
JP2004092390A (en) * | 2003-12-26 | 2004-03-25 | Kawada Construction Co Ltd | Road surface drainage purification device and greening device using purified drainage |
KR101178417B1 (en) * | 2011-12-30 | 2012-08-30 | 주식회사 아세아산업 | Drain for urban environmen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8586B1 (en) | 2016-03-03 | 2017-09-14 | 한경수 | a color boudary stone of sidewalk and street passing rainwater and package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lor boudary stone |
KR102375173B1 (en) * | 2020-10-20 | 2022-03-16 | 에스비비 주식회사 | Porous Drain Paving Module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KR102732173B1 (en) * | 2023-12-27 | 2024-11-19 | 재단법인 한솔문화재단 | Pond management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9656B1 (en) | Eco-friendly Filtration Grit Chamber AND Rain Water Recirculation System Using Thereof | |
KR101323288B1 (en) | Penetration type rain water treatment and reusing apparatus | |
CN103570149B (en) | Device for removing pollutants from rainwater runoff | |
KR100924075B1 (en) | Vertical Initial Rainwater Purifier | |
US20090279954A1 (en) |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 |
KR101023537B1 (en) | Rainwater Quality Improvement Treatment System | |
JP6621653B2 (en) | Storage and purification system | |
KR101239389B1 (en) | Natural type and ditch infiltration type non 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for water reclamation | |
KR100976853B1 (en) | Drain box | |
KR101411476B1 (en) | Environment for improving water quality channel | |
JP4445168B2 (en) |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 |
KR100601908B1 (en) | Non point pollutant purification using rainwater reservoir and utilization of hydrophilic facility and device | |
KR101437956B1 (en) | Environment for improving water quality manhole | |
CN105174635A (en) | Multi-stage rainwater biological treatment device | |
KR101331596B1 (en) | Permeate piping the initial rain purification | |
JP4511077B2 (en) | Rainwater drainage treatment system | |
KR101111185B1 (en) | Boundary Initial Rainfall Purification Block | |
KR200407745Y1 (en) | Rainwater treatment system | |
CN209585256U (en) | A sewage filter tank under the sidewalk | |
CN108204029A (en) | A kind of municipal rainwater storage system | |
KR102530965B1 (en) | Side Gutter Type Rain Collecting Well AND Eco-friendly Road Structure With Drainage System Using The Rain Collecting Wells | |
KR101588201B1 (en) |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 |
CN107939126B (en) | Disaster prevention purification water storage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 |
CN116971456A (en) | Road rainwater filtering and collecting system convenient to clear | |
JP2005179919A (en) | Facility for storage and percolation of rainwater and the lik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