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443B1 - Multipurpos precast concrete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ultipurpos precast concrete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443B1
KR101410443B1 KR1020130042332A KR20130042332A KR101410443B1 KR 101410443 B1 KR101410443 B1 KR 101410443B1 KR 1020130042332 A KR1020130042332 A KR 1020130042332A KR 20130042332 A KR20130042332 A KR 20130042332A KR 101410443 B1 KR101410443 B1 KR 10141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improve
precast
upper plate
precast concr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응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우 (Inwoo.Co.Ltd)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우 (Inwoo.Co.Ltd)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우 (Inwoo.Co.Ltd)
Priority to KR1020130042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4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44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공정이 단순화되면서도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는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구조를 가지는 에 관한 것으로, 전후면에서 토압 또는 수압을 지지하며 정면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벽체부, 상기 벽체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평면상 평판 형상을 구비하는 상판부 및 상기 벽체부 및 상기 상판부의 저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지반 또는 기초에 하측이 삽입되는 파일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을 제공한다. 따라서, 시공과정이 간편하면서도 견고성이 향상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capable of improving the robustness while simplifying a construction process, and a wall structure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 structure having a front wal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comprising an upper plate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ide of a wall portion and having a planar plate shape, and a pile portion penetrating the wall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Therefore, the construction process is simple and robustness is improved.

Description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MULTIPURPOS PRECAST CONCRETE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and a wall structure using the multi-

본 발명은 건축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공공정이 단순화되면서도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는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구조를 가지는 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capable of improving robustness while simplifying a construction process and having a structure of a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유수가 지속적으로 유동하는 해안이나 하천에 구조물이 시공되는 경우는 지속적인 침식의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에 소정의 구조물이 배치될 필요성이 존재한다.There is a need for a given structure to be placed because there is a concern of continuous erosion when the structure is applied to a coast or a stream where the running water continuously flows.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안벽과 같은 다양한 구조물이 적용된다. 이러한 벽체구조물은 콘크리트나 목재를 현장에서 시공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특히 해안이나 하천의 소정의 벽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유수로 인하여 시공이 극히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다.For this purpos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quay wall are generally applied. Such a wall structure is formed by installing concrete or wood on the site. In particular, when a predetermined wall surface of a coast or a river is 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construction is extremely difficult due to runoff.

또한, 유수에 인접한 벽체는 일반적인 교량과 같은 구조물에 비하여 횡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충격이 더욱 크기 때문에 상하방향의 하중은 물론 횡하중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와 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In addition, the wall adjacent to the water flow should be designed and constructed so as to have high resistance against lateral load as well as vertical load, since the impact caused by lateral load is larger than that of general bridge.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프리캐스트 블럭을 적용한 시공방식이 적용되기도 하는데, 소정의 분할된 구조물들을 생산공정에서 미리 만든 이후에 현장에서 추가적인 타설과 같은 공정을 통하여 시공이 이루어진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recast block is applied recently. However, after the predetermined divided structures are made in advance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construction is carried out through a process such as additional casting in the field.

그런데, 프리캐스트 블럭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블럭들 간에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블럭들 사이의 간극이 발생하게 되어 그 사이로 유수가 침투되거나 토사가 붕괴되어 지반을 약화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even in the case of applying the precast block,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irmly bond the blocks togeth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clear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blocks, and the flowing water is infiltrated or the soil is collapsed to weaken the ground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벽체의 시공 과정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내구성과 시공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시공의 기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capable of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construction, And to provide a wall structure using such a wall structure.

본 발명의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은, 전후면에서 토압 또는 수압을 지지하며 정면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벽체부, 상기 벽체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평면상 평판 형상을 구비하는 상판부 및 상기 벽체부 및 상기 상판부의 저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지반 또는 기초에 하측이 삽입되는 파일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을 제공한다. 따라서, 시공과정이 간편하면서도 견고성이 향상된다.The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comprising: a wall portion having a flat plate shape on the front surface and supporting earth pressure or water pressure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 upper plat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ll portion, And a pile portion which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bottom portion of the foundation or the bottom of the foundation or foundation. Therefore, the construction process is simple and robustness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은, 상기 상판부가 상기 벽체부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에 도로나 구조물의 안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portion may be formed so as to project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wall portion. Therefore, a seating space for a road or a structure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은, 상기 상판부가 평면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파일부의 상단측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벽체부와의 견고성이 향상된다.Further, the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portion in which the upper plate portion has a flat plate shape in a plan view, and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pile portion is inserted have. Therefore, the rigidity with the wall portion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은, 상기 벽체부가 전면에서 수압을 지지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구에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파일부가 삽입되는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벽체부와 상판부의 결합력과 토사 및 수류의 지지력이 향상된다.The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l portion has a front portion for supporting a water pressure in the front portion thereof and a through hole projecting toward the rear side of the front portion, And may include a penetrating portion to be inserted. Therefor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wall portion and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oil and the water flow ar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은, 상기 파일부가 PHC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in the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e portion may be a PHC file.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은, 상기 벽체부가 현장타설시 결합력을 향상하도록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벽체들 상호간의 결합력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when the wall portion is laid in the field. Thu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walls is improved.

한편, 상기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하는 벽체 구조물로서,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이 상호간에 양측으로 밀착되도록 배열되고, 각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의 횡방향으로 긴장력을 제공하는 긴장부재가 복수의 벽체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벽체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복수의 프리캐스트 블럭들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벽체로서의 견고성이 향상된다.
A wall structure using the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wherein a plurality of precast concrete blocks are arranged so as to be clos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and a tension member, which provides a tension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each precast concrete block, The wall structure being formed by penetrating the 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us, the plurality of precast blocks are firmly coupled to improve the rigidity as a wall.

본 발명의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은 벽체부와 상판부 및 파일부를 포함하고, 각각이 프리캐스트되는 방식으로 미리 제작되고 이송되어 현장에서 시공되는 방식으로 벽체구조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 및 이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can be formed in a manner such that the wall structure,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pile portion are pre-fabricated and transported in a pre- And mobility can be improved.

특히, 벽체가 복수의 벽체부의 배열로 이루어지고, 상측의 도로가 벽체부의 상단측에 형성되는 상판부의 배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트럭과 같은 이송수단으로의 이송시 높이의 제한에 의한 운송의 불편함과, 이송 간의 적재 및 과하중에 의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Particularly, since the wall is composed of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and the upper road is formed by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plate portion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the in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height at the time of transportation to the conveying mean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loading and overloading between transports.

또한, 파일부가 상판부와 벽체부들 각각을 견고하게 결합하면서 배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최소한의 체결 및 타설의 시공이 이루어지며, 긴장부재에 의하여 프리캐스트 블럭들 상호간에 결합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벽체의 견고성이 더욱 향상되면서도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 등의 경화물질의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le portion can be firmly coupled with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wall portions, the arrangement shape can be maintained, the minimum tightening and pouring work can be performed in the field, and the tightening members can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recast blocks. So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the curing material such as concrete to be laid in the field, and thus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remarkably shorte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블럭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블럭을 상측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프리캐스트 블럭의 상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프리캐스트 블럭에서 벽체부와 파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블럭을 후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벽체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side view of a precas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cas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plate portion of the precast block of Fig. 1;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 part and a pile part in the precast block of Fig. 1;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cast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ar sid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 structure using the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and a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프리캐스트 블럭(1000)은, 후술될 바와 같이 일면에서 토사 등을 지지하고, 타면측에 유수가 흐르거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현장의 시공 전에 미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연결 공정을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물을 형성한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ecast block 1000 supports the gravel and the like on one side and forms a structure capable of flowing water on the other side or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The precast block 1000 is pre-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redetermined connection process to form an overall structure.

이러한 프리캐스트 블럭(1000)은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크리트와 철근의 구조물은 현장에서 타설 공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육상에서 미리 소정의 거푸집을 통하여 타설 및 양생의 공정이 완료된 것으로 현장의 시공 과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미리 형성된 프리캐스트 블럭(1000)을 상호 간에 연결하고 소정의 부재들을 결합함으로써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precast block 1000 may be made of concrete and reinforcing ste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ructure of concrete and reinforcing bar is completed before the pour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ield, and the pouring and curing process is completed in advance through the predetermined pouring form on the groun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ite, the precast blocks 1000, And the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by combining predetermined members.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블럭(1000)은 기본적으로 일면에서 토사를 지지하도록 정면상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벽체부(1200)와, 상기 벽체부(1200)의 상측에 결합하며 상면에 도로 또는 구조물의 기초면을 형성하는 상판부(1100)와, 상기 벽체부(1200) 및 상기 상판부(1100)의 저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지반 또는 기초에 하측이 삽입되는 파일부(1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cast block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wall part 1200 which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on the front surface so as to support the gravel on one side and a wall part 1200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ll part 1200, And a pile portion 1300 disposed through the bottom portion of the wall portion 1200 and the top plate portion 1100 and having a lower side inserted into the ground or foundation.

상기 벽체부(1200), 상판부(1100) 및 파일부(1300)는 미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되어 현장에서 상호 조립되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wall part 1200, the upper plate part 1100, and the pile part 1300 may be formed in a precast manner and assembled in situ.

여기서, 상기 벽체부(1200)가 배열되는 방향을 폭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상판부(1100)가 돌출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전면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ll part 1200 is arranged is defined as a width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p plate part 1100 protrudes is defined as a forward direction or a front direction.

상기 벽체부(1200)는, 전면이 대략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측에서 상판부(1100)를 지지하게 된다. 벽체부(1200)의 후면은 토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요철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wall part 1200 is formed in a block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flat front surface, and supports the top plate part 1100 on the upper side as described above.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part 1200 may include irregularities to support the grave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벽체부(12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판부(1100)는 상면에 도로나 구조물의 배치를 위한 기초를 형성하도록 상면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판부(1100)는 전체적인 구조물의 형성시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프리캐스트 블럭(1000)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방측으로 선택적 또는 추가적으로 돌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upper plate 11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part 1200 preferably has a flat upper surface so as to form a foundation for laying roads and structures on the upper surface. The upper plate 1100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entire precast block 1000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in forming the entire structur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lectively or additionally protruded to the rear side Of course it is.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벽체부(1200)가 후방측에서 토사 등을 지지하면서 전방측에서 유수에 대하여 내구성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견고성이 요청된다. 따라서, 각각의 벽체부(1200)의 직립상태는 물론 상판부(1100)로부터 전달되는 종하중 및 편하중에 의한 모멘트(moment)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portion 1200 is required to have durability because the dirt is to be secured to the flowing water on the front side while supporting the soil and the like on the rear sid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each wall portion 1200 in an upright state as well as supporting a moment due to the longitudinal load and the offset load transmitted from the top plate portion 1100.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상판부(1100)와 벽체부(1200)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파일부(1300)가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cept, the pile portion 1300 can be disposed in such a manner as to penetrate the upper plate portion 1100 and the wall portion 1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파일부(1300)는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철근콘크리트 구조나 금속 재질의 기둥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부(1300)는 PHC(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HC파일이란 고강도의 프르스트레스 파일로써 미리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벤딩에 대한 적응력을 향상하는 파일을 의미하고,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file unit 13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depending on the selection, and may be made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r a metal column. Preferably, the file unit 1300 may be made of a PHC (Pretensioned Spin High-strength Concrete) file. The PHC file refers to a file which is a high-strength prestress file and which is prestressed in advance to improve the adaptability to bending, and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블럭에서 상판부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plate portion in more detail in the precast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상판부(1100)는 벽체부(1200)의 상측에 배치되되, 지지력의 향상을 위하여 벽체부(1200)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파일부(1300)의 상측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late 11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part 1200, and the upper part of the pile part 1300 arranged to penetrate through the wall part 1200 can be inserted have.

따라서, 상기 상판부(1100)는 상측에 도로나 기초를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상면부(1110)를 구비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공간활용성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상판부(1100)는 벽체부(1200)가 배치되는 평면상 위치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1100)의 상면부(1110)에 대향되는 면은 저면부(1120)로 정의하도록 한다.The top plate 1100 includes a top plate portion 1110 which forms a road or foundation on the top side of the top plate portion 1100.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And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protrude forward in a planar posi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re arranged.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1100 facing the top surface 1110 is defined as a bottom surface 1120.

상기 저면부(1120)에서는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삽입부(1140)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삽입부(1140)는 저부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되는 삽입구(1141)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구(1141)에는 파일부(1300)의 상단측이 삽입될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1120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1140 protruding downwardly. The insertion portion 1140 includes an insertion opening 1141 formed upward from a bottom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140, The upper end of the portion 1300 can be inserted.

상기 삽입구(1141)는 경우에 따라 상기 상판부(1100)의 상측까지 관통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삽입구(1141)의 높이는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sertion port 1141 may be formed to penetrate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1100. The height of the insertion port 1141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상기 상판부(1100)는 상측에서 사람 또는 자전거가 이동하거나 소정의 구조물이 상면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종하중에 따른 모멘트가 상기 삽입부(1140)에 집중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이러한 모멘트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부(1100)의 저면부(1120)에서는 상기 삽입부(1140)으로 하향경사진 사면부(1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Since a person or a bicycle can be mov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1100 or a predetermined structure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a moment due to the vertical load can be concentrated on the insertion portion 1140, The bottom surface 1120 of the top plate 1100 may further include a slope 1130 inclined downwardly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portion 1140.

상기 사면부는 상기 삽입부(1140)의 상단측에서 전방 및/또는 양측방 및/또는 후방측으로 경사면을 확산하여 나가면서 저면부(1120)와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형상을 갖춤에 따라 상면부(1110)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The slope portion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lop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1120 while diffusing the inclined surface to the front and / or the both sides and / or the rear side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140,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0 can be appropriately dispersed.

도 4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블럭에서 벽체부와 파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프리캐스트 블럭을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 part and a pile part in the precast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cast block of FIG. 4 viewed from the rear side.

벽체부(1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현장에서 파일부(1300)와 상판부(1100)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벽체부(1200) 상호간에 양측으로 밀착되어 배치됨으로써 소정의 벽체구조물을 이룰 수 있다.The wall part 1200 is formed in a precast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wall part 1200 is coupled in a manner that the pile part 1300 and the upper plate part 1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field, To form a predetermined wall structure.

상기 벽체부(1200)는 폭방향의 대략 중심측에 파일부(1300)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하천이나 해안에의 배치를 고려하여 전면부(1210)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제성의 향상을 위하여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관통부(12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wall portion 1200 forms a structure in which the pile portion 1300 can be inserted in a substantially cen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portion 1210 is formed in a planar shap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penetrating part 1230 protruding toward the rear side for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상기 관통부(1230)는 내부에 파일부(130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1231)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1231)은 파일부(1300)의 외주면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통홀(12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일부(1300)가 관통되어 파일부(1300)의 상단측이 상판부(1100)의 삽입부(11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부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The penetrating portion 1230 has a through hole 1231 through which the pile portion 1300 can be inserted and the through hole 1231 has a shape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e portion 1300 . The through hole 1231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ile portion 1300 pass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ile portion 1300 can be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1140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00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홀(1231)의 공간을 보장할 수 있도록 관통부(1230)가 벽체부(1200)의 후면부(1220)측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상기 벽체부(1200)의 전후방의 폭이 충분히 큰 경우는 벽체부의 중심측을 관통하는 홀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hrough hole 1230 may protrude toward the rear wall 1220 of the wall unit 1200 so as to secure the space of the through hole 1231. However, When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wall portion 1200 is sufficiently larg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all portion 1200, it may be formed in a hole type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wall portion.

상기 벽체부(1200)의 측벽은 인접되는 벽체부(1200)와 인접 또는 밀착되어 배치되는데, 이러한 벽체부(1200) 간의 연결은 현장타설을 통하여 이루어지거나 후술할 바와 같이 긴장부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side wall of the wall part 1200 is disposed adjacent to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adjoining wall part 1200. The connection between the wall parts 1200 may be accomplished through field installation or through a tension memb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

여기서,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도록 상기 벽체부(1200)의 측벽은 종방향을 따라 긴 홈인 요홈부(1240)가 형성될 수 있고, 인접되는 벽체부와의 체결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재(1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250)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일부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프리캐스트 공정에서 양생시에 내외부를 연장하는 철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workability in the field, the sidewall of the wall part 1200 may be formed with a long groove 1240, which is a long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urther improve the fastening force with the adjoining wall part And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1250 projecting to both sides. The reinforcing member 1250 may be formed as a part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may be made of a reinforcing bar extending inside and outside at the time of curing in the pre-casting process.

상기 파일부(1300)는 하중의 지지 및 분산을 위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ile portion 1300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supporting and dispersing a loa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파일부(1300)는 금속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다양한 재질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일부(1300)가 벽체부(1200)와 상판부(1100)의 하중을 지지하여야하기 때문에 더욱 강성이 높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파일부(1300)는 PHC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e portion 1300 supports the load of the wall portion 1200 and the upper plate portion 1100. In other words, the pile portion 13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or concret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ucture is made of a more rigid structure. Accordingly, the file portion 1300 can be made of a PHC file.

상기 파일부(130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파일몸체(1310)와, 상기 파일몸체(1310)의 중심측에 종방향으로 삽입되는 빔(1320)과, 빔(1320)의 상단부측에 결합되어 상판부(1100)와의 체결력을 향상하는 삽입부재(1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le unit 1300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filament body 1310, a beam 1320 inserted longitudinally at the center of the filing body 1310, and a beam 132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eam 1320 And an insertion member 1330 for improving the fastening force with the upper plate 1100.

상기 파일몸체(1310)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중심부에 결합되는 빔(1320)은 금속 재질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H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le body 1310 may be made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beam 1320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ile body 13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ore preferably, it may be an H-beam.

또한, 상기 빔(1320)의 상하측을 통하여 파일부(1300)의 프리캐스트 공정에서 소정의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1330)는 긴장력을 제공하는 부재 또는 두부보강의 부재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concept, the insertion member 1330 may be provided with a member for providing a tensile force or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head portion As shown in Fig.

도 6은 상기된 프리캐스트 블럭에 의한 벽체구조물이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ll structure is formed by the precast block.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리캐스트 블럭(1000)은 파일부(1300)가 지중에 하단부가 삽입되되 외주측에 벽체부(1200)가 배치되고, 벽체부(1200)의 상단측에 상판부(1100)가 하측의 파일부(1300)의 상단부측을 삽입부(1140)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지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precast block 1000 has a top portion 1100 on the top of the wall portion 1200, and a wall portion 1200 on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ile portion 13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1140, so that the coupling can be performed.

각각의 프리캐스트 블럭(1000)은 양측이 인접되어 상호간에 배열되어 소정의 벽체구조물 및 상면의 도로구조물을 이룰 수 있는데, 이러한 프리캐스트 블럭(1000) 사이의 결합력의 향상을 위한 구조가 요청된다.Each precast block 1000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wall structure and a road structure on the upper surface. A structure for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recast blocks 1000 is required.

따라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럭(1000)의 벽체부(1200) 측벽 사이에는 상기 요홈부(1240)측을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상호 간에 더욱 강한 체결력이 요청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즉, 프리캐스트 블럭(1000) 상호 간의 체결력이 강할수록 수류에의 저항성이 증가되고 토사의 지지에 있어서 힘을 더욱 분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구조가 요청된다.Therefore, concrete may be poured between the sidewalls of the wall portion 1200 of the precast block 1000 along the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240. However, there is a need to require a stronger coupling force between each other. That is, as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precast blocks 1000 becomes stronger, resistance to water currents increases and a structure capable of further distributing the forces in support of the soil is requir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블럭에 의한 벽체구조물의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wall structure by a precast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리캐스트 블럭(1000)들이 각각 지반 또는 수중에 대해 고정되면서 상호 간에 인접되어 배열되되 폭방향으로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cast blocks 1000 are arranged adjacently to each other while being fixed with respect to ground or water, and a structure capable of further improving the coupling force in the width direction is provided.

따라서, 각각의 프리캐스트 블럭(1000)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긴장부재(1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긴장부재(1400) 단순히 강봉으로 이루어져 상호간에 배열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지만, 더욱 견고한 결합과 인접부위에서의 기밀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양단측에서 긴장력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us, the tension members 1400 can be disposed through the respective precast blocks 1000 in the width direction. Although the tension member 1400 may simply consist of a steel bar and may function to maintain alignment with one another, it is desirable that tensions are provided at both ends to improve tightness and airtightness in adjacent areas.

이러한 긴장부재(1400)는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프리캐스트 블럭(1000)의 배열이 완료되면 소정의 배열의 양단측에서 긴장장치(1410)에 의하여 긴장력이 제공될 수 있다.Such a tension member 1400 may be made of a steel wire and tensioning can be provided by the tension device 1410 at both ends of the predetermined arrangement when the arrangement of the precast blocks 1000 is completed.

또한, 상기 긴장부재(1400)는 반드시 횡방향으로의 배치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상판부(1100)와 벽체부(1200)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긴장력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tension member 14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lateral arrangement, and may be longitudinally arranged between the top plate 1100 and the wall unit 1200 to provide a tension force .

상기 긴장부재(1400)에 의한 긴장력은 프리캐스트 블럭(1000)의 배열이 완료되고 단독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체결력 향상을 위하여 현장타설과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nsions due to the tension member 1400 may be accomplished by the arrangement of the precast blocks 1000 and may be performed singly, but may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field installation to improve the fastening force.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벽체구조물(2000)은 상측에서 상판부(1100)가 폭방향으로 소정의 긴 면을 형성하게 되고 도로 또는 소정의 구조물의 안착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천변에서의 자전거용 도로로써 활용될 수도 있다.In the wall structure 2000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late 1100 forms a predetermined long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can function as a seating surface of a road or a predetermined structure. Preferably as a road for cycling at a riverside.

상기된 본 발명의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은 벽체부와 상판부 및 파일부를 포함하고, 각각이 프리캐스트되는 방식으로 미리 제작되고 이송되어 현장에서 시공되는 방식으로 벽체구조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 및 이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above-described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and the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 a manner that the wall structure,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pile portion are manufactured and transported in a precasted manner, Therefore, the workability and mobility are improved.

특히, 벽체가 복수의 벽체부의 배열로 이루어지고, 상측의 도로가 벽체부의 상단측에 형성되는 상판부의 배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트럭과 같은 이송수단으로의 이송시 높이의 제한에 의한 운송의 불편함과, 이송 간의 적재 및 과하중에 의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Particularly, since the wall is composed of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and the upper road is formed by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plate portion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the in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height at the time of transportation to the conveying mean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loading and overloading between transports.

또한, 파일부가 상판부와 벽체부들 각각을 견고하게 결합하면서 배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최소한의 체결 및 타설의 시공이 이루어지며, 긴장부재에 의하여 프리캐스트 블럭들 상호간에 결합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벽체의 견고성이 더욱 향상되면서도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 등의 경화물질의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e portion can be firmly coupled with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wall portions, the arrangement shape can be maintained, the minimum tightening and pouring work can be performed in the field, and the tightening members can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recast block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the curing material such as concrete to be laid in the field, and thus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remarkably shorten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ims.

1000...프리캐스트 블럭 1100...상판부
1110...상면부 1120...저면부
1130...사면부 1140...삽입부
1141...삽입구 1200...벽체부
1210...전면부 1220...후면부
1230...관통부 1231...관통홀
1240...요홈부 1250...보강부재
1300...파일부 1310...파일몸체
1320...빔 1330...삽입부재
1400...긴장부재 1410...긴장장치
2000...벽체구조물
1000 ... precast block 1100 ... upper plate
1110 ... upper surface portion 1120 ... bottom surface portion
1130 ... inclined portion 1140 ... insertion portion
1141 ... insertion port 1200 ... wall portion
1210 ... front portion 1220 ... rear portion
1230 ... through part 1231 ... through hole
1240 ... recessed portion 1250 ... reinforcing member
1300 ... file portion 1310 ... file body
1320 ... beam 1330 ... insertion member
1400 ... tension member 1410 ... tension device
2000 ... wall structure

Claims (7)

전면에서 수압을 지지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면이 토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요철형상을 이루는 벽체부;
상기 벽체부의 상측에 결합되고, 평판 형상의 상면부 및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와 종하중에 따른 모멘트에 대해 저항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저면부에서 삽입부로 경사진 사면부를 구비하는 상판부;
상기 벽체부 및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지반 또는 기초에 하측이 삽입되고, 중공의 기둥 형상의 파일몸체와 상기 파일몸체의 중심측에 종방향으로 삽입되는 H빔과, 상기 H빔의 상단부측에 결합되어 상판부에 삽입되고 두부보강의 부재로서 기능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파일부; 및
상기 벽체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고 인접되는 벽체부의 배열이 완료되면 긴장력을 제공하여 기밀성을 향상하는 긴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는, 공간활용성을 향상하도록 벽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측으로 도로나 기초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부는, 인접되는 벽체부와의 결합력을 향상하도록 측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부와 체결력을 향상하도록 내외부를 연장하도록 돌출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파일부가 삽입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
A wall portion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for supporting the water pressure on the front surface and protruding rearward so as to support the gravel;
And an inclined surface portion inclined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to the insertion portion to improve the resistance against the moment along the longitudinal load, and an inclined surface portion inclined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to the insertion portion, Top plate;
An H beam which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wall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a ground or a foundation at a lower side and which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side of the pillar body and a hollow columnar pillar body; A pile portion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portion and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and including an insertion member functioning as a member of the head reinforcement; And
And a tension member passing through the wall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providing a tension force to improve airtightness when the adjoining wall is arranged,
The upper plate portion protrudes forward of the wall portion so as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and forms a road or foundation on the upper side,
The wall portion includes a recessed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so as to improve a coupling force with the adjoining wall portion, a reinforcing member protruding to extend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to improve the fastening force, and a penetration portion into which the pile portion is inserted Multipurpose precast concrete bloc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는, PHC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e portion is a PHC fi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42332A 2013-04-17 2013-04-17 Multipurpos precast concrete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Active KR101410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332A KR101410443B1 (en) 2013-04-17 2013-04-17 Multipurpos precast concrete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332A KR101410443B1 (en) 2013-04-17 2013-04-17 Multipurpos precast concrete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443B1 true KR101410443B1 (en) 2014-06-20

Family

ID=5113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332A Active KR101410443B1 (en) 2013-04-17 2013-04-17 Multipurpos precast concrete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44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2448A (en) * 2015-01-10 2015-05-27 华东交通大学 Unbalanced foundation pit support design method
KR101772939B1 (en) * 2015-01-19 2017-08-30 최승희 Non-abutment bridge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and pi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102142024B1 (en) 2019-08-19 2020-08-06 부산항만공사 Port blocks and constrution method for port blocks
WO2020226510A1 (en) * 2019-05-09 2020-11-12 Junction7 Limited Modular slab, slab system, pi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040Y1 (en) * 2001-11-03 2002-02-27 주식회사 토암산업 Precast Concrete Base Structure for Soundproof Wall
KR20090009903U (en) * 2008-03-27 2009-10-01 주식회사 케이씨산업개발 Precast Concrete Base Structure for Soundproof Wall
KR101090147B1 (en) * 2009-09-14 2011-12-06 한국해양연구원 Curtain breakwater construction method
KR101216511B1 (en) * 2011-01-06 2012-12-31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Method for constructing a abutment of integral abutment brid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040Y1 (en) * 2001-11-03 2002-02-27 주식회사 토암산업 Precast Concrete Base Structure for Soundproof Wall
KR20090009903U (en) * 2008-03-27 2009-10-01 주식회사 케이씨산업개발 Precast Concrete Base Structure for Soundproof Wall
KR101090147B1 (en) * 2009-09-14 2011-12-06 한국해양연구원 Curtain breakwater construction method
KR101216511B1 (en) * 2011-01-06 2012-12-31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Method for constructing a abutment of integral abutment brid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2448A (en) * 2015-01-10 2015-05-27 华东交通大学 Unbalanced foundation pit support design method
KR101772939B1 (en) * 2015-01-19 2017-08-30 최승희 Non-abutment bridge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and pi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WO2020226510A1 (en) * 2019-05-09 2020-11-12 Junction7 Limited Modular slab, slab system, pi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891802B2 (en) 2019-05-09 2024-02-06 Junction7 Limited Modular slab, slab system, pi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142024B1 (en) 2019-08-19 2020-08-06 부산항만공사 Port blocks and constrution method for port blo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07081A1 (en) Fit-together type of precast concrete lining and bridging structural body
KR101036755B1 (en) Precast bridge top plate, bottom plate, column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410443B1 (en) Multipurpos precast concrete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CN110670433B (en) A construction structure for building roads on soft soil foundations
KR101027162B1 (en) Prefabricated bicycle bridge for river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099885B1 (en) Arch structure using concrete block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of arch structure using same
KR101405088B1 (en) Assembled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278687B1 (en) Box-type thrust tube structure, and method of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box-type thrust tube structure
KR101315290B1 (en) Precast block of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2069419B1 (en) Composite pile internally reinforced by steel tube
KR101457620B1 (en) Rahmen structure production method using pile
KR20200044740A (en) Connecting and Reinforcing Apparatus, Structure and Method for PHC Pile
KR101255027B1 (en) Precast rahmen type box culvert
CN110042770A (en) A method of using the original bridge of external prestressing steel Shu Tuokuan in length and breadth
KR20090119037A (en) Composite pile for wall and centrifugal wall using it
KR101124255B1 (en) Extension structure in width direction of road
KR100799848B1 (en) Site-pouring top pile with reinforced coupling structure
KR100870861B1 (en) Concrete filling head reinforcement device of steel pipe pile
KR101167495B1 (en) Rahmen typ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s
JP2015121030A (en) Ce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cell structure
KR20130047096A (en) A multipurpose molding assembly for a construction
JP2003129403A (en) Block type traffic route, divided bridge type traffic route and bridge traffic route
KR100556531B1 (en) Unit steel pipes for the construction of railway tracks and underground roadway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railway tracks and underground roads using them
KR100973236B1 (en) Elevator feet support structure
KR100650411B1 (en) Lower cavity concrete sl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