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352B1 - 단열매트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단열매트 권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7352B1 KR101407352B1 KR1020130066503A KR20130066503A KR101407352B1 KR 101407352 B1 KR101407352 B1 KR 101407352B1 KR 1020130066503 A KR1020130066503 A KR 1020130066503A KR 20130066503 A KR20130066503 A KR 20130066503A KR 101407352 B1 KR101407352 B1 KR 1014073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winding
- belt
- heat insulating
- insulating m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4—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 roll, e.g. to effect continuous advancement of web
- B65H18/22—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 roll, e.g. to effect continuous advancement of web by friction ba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30—Chain dr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8—Form of handled article or web
- B65H2701/184—Wound packages
- B65H2701/1842—Wound packages of webs
- B65H2701/18422—Coreless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매트의 권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열매트의 권취가 권취부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 생산성 향상은 물론, 롤상태로 권취된 단열매트의 랩핑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단열매트 권취장치를 구성하되, 이송컨베이어 성단부에 권취롤러와 경사조절가능케 구성된 권취벨트를 구성하고, 권취벨트 직상부에는 절곡가이드롤러와 가압벨트를 설치하여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온 단열매트 선단부가 권취벨트 및 절곡가이드롤러에 의해 상향절곡되고, 동시에 가압벨트에 의해 다시 하향절곡되면서 단열매트 상면과 접촉되어 롤상태로 자동권취되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단열매트 권취장치를 구성하되, 이송컨베이어 성단부에 권취롤러와 경사조절가능케 구성된 권취벨트를 구성하고, 권취벨트 직상부에는 절곡가이드롤러와 가압벨트를 설치하여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온 단열매트 선단부가 권취벨트 및 절곡가이드롤러에 의해 상향절곡되고, 동시에 가압벨트에 의해 다시 하향절곡되면서 단열매트 상면과 접촉되어 롤상태로 자동권취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로나 용광로 등과 같은 고온열기구의 외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단열매트의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단열매트가 권취부쪽으로 이송되어 오면 권취벨트와 절곡가이드롤러 및 가압벨트에 의해 단열매트의 선단부가 절곡되면서 롤상태로 자동권취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나 용광로 등과 같은 고온열기구의 외면에는 세라믹올과 같은 단열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된 단열매트를 설치하여 단열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단열매트의 경우 운송과 보관 및 취급의 용이성을 위하여 주로 롤상태로 권취하게 된다.
종래 단열매트의 권취수단은 도 12에서와 같이 구성된다.
즉 컨베이어벨트(120) 선단부에 권취부(100)를 구성하되, 상기 권취부(100)는 하단에 권취롤러(111)를 구성하고, 권취롤러(111) 양측부에는 권취봉 지지간(112)을 직립설치하고, 권취봉 지지간(112)에는 단열매트(110)를 감을 수 있는 권취봉(113)을 끼워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권취장치를 이용한 단열매트(110)의 권취과정을 설명하면 일정길이로 절단된 단열매트(110)가 컨베이어벨트(120)를 따라 권취부(100)쪽으로 이송되어 오면 작업자가 단열매트(110) 단부를 말아 권취봉(113)에 권취되게 한 다음 권취봉(113)을 다시 권취봉 지지간(112)에 끼우고, 롤상태로 감긴 단열매트(110)를 가압하면서 권취롤러(111)에 의해 단열매트(110)가 권취되게 한 것이다.
상기 권취장치를 이용한 단열매트(110)의 권취수단은 작업자가 컨베이어벨트(120)를 따라 이송되어 온 단열매트(110) 단부를 잡고 권취봉(113)에 초기권취를 하고, 상기 권취봉(113)을 다시 권취봉 지지간(112)에 끼운 다음 단열매트(110)의 권취가 마무리될때까지 롤상태로 권취되는 단열매트(110) 표면을 손으로 가압하여야 함으로 권취초기부터 마무리단계까지 항상 작업자가 대기하면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롤상태로 권취된 단열매트를 보관 및 운송을 위하여서는 외면에 별도의 랩핑을 하여야 하나, 상기 랩핑 및 포장과정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함으로 노동강도가 높은 반면 생산성은 떨어지게 되는 것이었다.
상기한 구성 이외에도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175352호 "미러재 결합방지용 부직포 권취장치"(특허문헌 1)와, 실용신안등록 제20-336088호 "부직포 권취장치"(특허문헌 2) 등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게재된 권취장치의 경우 두께가 비교적 얇은 부직포의 경우에는 적용에 어려움이 없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단열매트의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적용할 수가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단열매트의 권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열매트의 권취가 권취부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 생산성 향상은 물론, 롤상태로 권취된 단열매트의 랩핑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단열매트 권취장치를 구성하되, 이송컨베이어 선단부에 권취롤러와 경사조절가능케 구성된 권취벨트를 구성하고, 권취벨트 직상부에는 절곡가이드롤러와 가압벨트를 설치하여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온 단열매트 선단부가 권취벨트 및 절곡가이드롤러에 의해 상향절곡되고, 동시에 가압벨트에 의해 다시 하향절곡되면서 단열매트 상면과 접촉되어 롤상태로 자동권취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매트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오면 권취벨트 및 절곡가이드롤러에 의해 상향절곡되고, 동시에 가압벨트에 의해 다시 하향절곡되면서 단열매트 상면과 접촉되어 롤상태로 자동권취되게 함으로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열매트 권취작업이 신속용이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단열매트 선단부가 권취벨트에 도달한 상태도
도 2 : 본 발명 장치의 요부확대구성도
도 3 : 도 1의 상태에서 단열매트 선단부가 1차절곡된 상태도
도 4 : 도 3의 상태에서 단열매트 선단부가 2차절곡된 상태도
도 5 : 도 4의 상태에서 단열매트 선단부가 3차절곡된 상태도
도 6 : 도 5의 상태에서 단열매트가 롤상태로 권취되는 상태도
도 7 : 도 6의 상태에서 단열매트가 롤상태로 권취완료된 상태도
도 8 : 도 7의 상태에서 단열매트 외면에 랩핑이 된 다음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도
도 9 : 도 8의 상태에서 단열매트가 분리되고, 또다른 권취작업이 준비된 상태도
도 10 : 본 발명 장치에서 승강간 부분의 동력전달의 개략구성도
도 11 : 도 10의 평면구성도
도 12 : 종래 권취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2 : 본 발명 장치의 요부확대구성도
도 3 : 도 1의 상태에서 단열매트 선단부가 1차절곡된 상태도
도 4 : 도 3의 상태에서 단열매트 선단부가 2차절곡된 상태도
도 5 : 도 4의 상태에서 단열매트 선단부가 3차절곡된 상태도
도 6 : 도 5의 상태에서 단열매트가 롤상태로 권취되는 상태도
도 7 : 도 6의 상태에서 단열매트가 롤상태로 권취완료된 상태도
도 8 : 도 7의 상태에서 단열매트 외면에 랩핑이 된 다음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도
도 9 : 도 8의 상태에서 단열매트가 분리되고, 또다른 권취작업이 준비된 상태도
도 10 : 본 발명 장치에서 승강간 부분의 동력전달의 개략구성도
도 11 : 도 10의 평면구성도
도 12 : 종래 권취장치의 개략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단열매트 권취장치의 구성도 및 권취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단열매트(M)를 권취부(10)쪽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20)를 구성하되, 이송컨베이어(20) 선단부에 권취부(10)가 구성된다.
상기 권취부(10)는 이송컨베이어(20) 선단부에 제1연결간(30)을 설치한 다음 상기 제1연결간(30)에 권취롤러(31)와 인출롤러(32)를 설치하고, 제1연결간(30) 하단에는 본체(11) 일측에 설치된 인출실린더(33)의 축봉(34)을 연결하여 인출실린더(33)를 작동시키면 권취롤러(31)를 축으로 인출롤러(32)가 승강되게 구성한다.
상기 권취롤러(31)는 별도의 구동수단(도시안됨)에 의해 회전되게 한다.
권취롤러(31) 전방에는 제2연결간(40)을 설치한 다음 구동롤러(41)와 피동롤러(42)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롤러(41)와 피동롤러(42) 사이에는 권취벨트(43)를 연결설치하고, 상기 제2연결간(40) 하단에는 작동실린더(44)의 축봉(45)을 연결설치하여, 작동실린더(44)에 의해 권취벨트(43)가 구동롤러(41)를 축으로 승강하면서 경사각이 조정되게 한다.
상기 구동롤러(41)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함으로서 피동롤러(42)와 연결된 권취벨트(43)가 회전되게 한다.
권취롤러(31) 및 권취벨트(43) 직상부에는 승강간(50)을 구성하되, 상기 승강간(50)은 브라켓(51)에 끼워진 축봉(52)에 설치되게 하고, 상기 축봉(52)에는 구동스프로켓(58)을 굴대설치하고, 승강간(50) 단부에는 가압롤러(56)에 구성된 축봉(53)을 설치하고, 상기 축봉(53)에 연결스프로켓(54)을 설치하여 구동스프로켓(58)과 체인(55)으로 연결한다.
상기 가압롤러(56)의 축봉(53)에는 제3연결간(60)과 제4연결간(60')을 끼운 다음 볼트(61)로 체결고정함으로서, 제3,4연결간(60)(60')이 축봉(53)을 축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게 하고, 제3연결간(60) 단부에는 절곡가이드롤러(62)를 설치하고, 상기 절곡가이드롤러(62)의 축봉(63)에는 피동스프로켓(64)을 설치한 다음 체인(65)으로 연결스프로켓(54')과 연결한다.
제4연결간(60') 단부에는 피동롤러(66)를 설치한 다음 가압롤러(56)와 가압벨트(59)로 연결하고, 제3연결간(60) 일측에는 가압레버(67)를 설치하고, 상기 가압레버(67)는 가압실린더(68)의 축봉(69)과 연결되게 함으로서 가압실린더(68)를 작동시키면 제3,4연결간(60)(60')이 축봉(53)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승강간(50) 상단부에는 승강체인(70)을 연결한 다음 서보모터(71)의 작동스프로켓(72)과 연결하고, 상기 작동스프로켓(72)을 지난 승강체인(70) 단부에는 중량추(73)를 설치한다.
권취벨트(43) 전방에는 받침대(80)를 축봉(81)으로 회전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80)는 가동실린더(82)의 축봉(83)과 연결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권취장치를 이용한 단열매트의 권취는 다음과 같이 된다.
두께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 단열매트(M)를 이송컨베이어(20) 상에 안치한 다음 권취장치를 작동시키면 단열매트(M)가 이송컨베이어(20)를 따라 권취부(10)로 이송되면서 권취롤러(31)를 경유, 작동실린더(44)에 의해 경사설치된 권취벨트(43)와 접하게 된다.
상기 권취벨트(43)는 제2연결간(40) 양측에 설치된 구동롤러(41)와 피동롤러(42)를 연결하면서 구동롤러(41)에 의해 시계회전반대방향, 즉 단열매트(M) 이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단열매트(M) 선단부(M1)가 권취벨트(43)와 접하게 되면 선단부(M1)가 권취벨트(43)를 따라 상향이동하면서 도 3에서와 같이 1차절곡되고, 1차절곡된 선단부(M1)는 다시 상부에 위치하면서 시계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절곡가이드롤러(62)와 접하면서 도 4에서와 같이 2차절곡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단열매트(M)가 계속 권취부(10)쪽으로 이송되어 오면 절곡가이드롤러(62)에 의해 2차절단된 단열매트(M) 선단부(M1)가 가압롤러(56)와 피동롤러(66)를 연결하면서 가압롤러(56)에 의해 시계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압벨트(59)와 접촉하면서 도 5에서와 같이 3차절곡되어 단열매트(M)의 선단부(M1)가 단열매트(M)의 상면(M2)과 접촉하게 된다.
단열매트(M) 선단부(M1)가 3차절곡되어 단열매트(M) 상면(M2)과 접촉한 상태에서 이송컨베이어(20)를 따라 단열매트(M)가 계속하여 이송되어 오고, 동시에 권취롤러(31)와, 권취벨트(43), 절곡가이드롤러(62) 및 고무벨트(59)가 시계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단열매트(M) 상면(M2)과 접촉하고 있던 선단부(M1)를 기준으로 도 6에서와 같이 롤형태로 순차적으로 권취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단열매트(M)가 롤상태로 권취되면서 롤의 권취직경이 점차 증가하게 되면, 작동실린더(44)로 권취벨트(43)를 지지하고 있는 제2연결간(40)의 일측 단부를 아래로 당겨내려 구동롤러(41)를 축으로 피동롤러(42)가 서서히 하강하면서 권취벨트(43)의 경사각을 점차 줄이게 된다.
동시에 롤상태로 권취되는 단열매트(M) 상면에 위치하는 승강간(50)은 서브모터(71)의 작동에 의해 축봉(52)을 축으로 단열매트(M)의 권취층이 두꺼워지는만큼 승강체인(70)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때 승강체인(70) 단부에는 중량추(73)가 연결되어 있어 승강간(50)의 승하강시 서브모터(71)의 부하를 줄여 동력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승강간(50) 단부에 연결된 제3연결간(60) 및 제4연결간(60')은 가압실린더(68)의 작동에 의해 축봉(53)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벨트(59)가 단열매트(M)와 접촉하면서 단열매트(M)를 롤상태로 계속 권취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단열매트(M)의 권취층이 점차 증가하게 되더라도 권취롤러(31)와 점차 경사각을 줄이는 권취벨트(43)와 승강간(50)을 따라 상승하는 가압벨트(59)의 구동에 의해 단열매트(M)가 자동으로 권취된다.
상기한 방법으로 단열매트(M)의 권취가 완료되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권취부(10) 일측에 설치되는 랩핑장치를 통하여 롤상태로 권취된 단열매트(M) 외면을 랩핑하여 권취된 단열매트의 풀림을 방지케 한다.
랩핑이 완료되면 승강간(50)이 상승하여 단열매트(M)로부터 가압벨트(59)가 분리되고, 동시에 작동실린더(44)에 의해 권취벨트(42)가 수평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인출실린더(33)가 작동하여 제1연결간(30) 단부에 구성된 인출롤러(32)를 상승시켜 랩핑된 롤상태의 단열매트(M)를 전방으로 인출, 도 8에서와 같이 받침대(80) 상으로 이동시킨 다음, 작업자가 비닐포장지를 씌우고, 별도 분리보관하게 된다.
롤상태로 권취된 단열매트(M)가 별도분리되면 다음 권취작업을 위하여 도 9에서와 같이 권취벨트(43)는 경사설치되고, 승강간(50)은 하강하고, 동시에 승강간(50)에 설치된 절곡가이드롤러(62) 및 가압벨트(59)가 가압실린더(68)에 의해 원복하면서 절곡가이드롤러(62)가 권취벨트(43) 직상부에 위치하면서 다음 권취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매트 권취장치는 단열매트가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권취부쪽으로 이동하면서 권취부에 구성된 권취벨트와 절곡가이드롤러 및 가압벨트에 의해 롤상태로 자동권취되는 작업이 반복된다.
(10)--권취부 (11)--본체
(20)--이송컨베이어 (30)--제1연결간
(31)--권취롤러 (32)--인출롤러
(33)--인출실린더 (34)--축봉
(40)--제2연결간 (41)--구동롤러
(42)--피동롤러 (43)--권취벨트
(44)--작동실린더 (45)--축봉
(50)--승강간 (51)--브라켓
(52)--축봉 (54)--연결스프로켓
(56)--가압벨트 (58)--구동스프로켓
(59)--고무벨트 (60)--제3연결간
(60')--제4연결간 (61)--볼트
(62)--절곡가이드롤러 (63)--축봉
(64)--피동스프로켓 (65)--체인
(66)--피동롤러 (67)--가압레버
(68)--가압실린더 (69)--축봉
(70)--승강체인 (71)--서브모터
(73)--중량추 (80)--받침대
(81)--축봉 (82)--가동실린더
(83)--축봉
(20)--이송컨베이어 (30)--제1연결간
(31)--권취롤러 (32)--인출롤러
(33)--인출실린더 (34)--축봉
(40)--제2연결간 (41)--구동롤러
(42)--피동롤러 (43)--권취벨트
(44)--작동실린더 (45)--축봉
(50)--승강간 (51)--브라켓
(52)--축봉 (54)--연결스프로켓
(56)--가압벨트 (58)--구동스프로켓
(59)--고무벨트 (60)--제3연결간
(60')--제4연결간 (61)--볼트
(62)--절곡가이드롤러 (63)--축봉
(64)--피동스프로켓 (65)--체인
(66)--피동롤러 (67)--가압레버
(68)--가압실린더 (69)--축봉
(70)--승강체인 (71)--서브모터
(73)--중량추 (80)--받침대
(81)--축봉 (82)--가동실린더
(83)--축봉
Claims (3)
- 두께에 따라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단열매트가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권취부쪽으로 이송권취되게 한 단열매트 권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권취장치를 구성하는 권취부(10)는 이송컨베이어(20) 전방에 권취롤러(31)와 인출롤러(32)가 설치된 제1연결간(30)을 구성하고, 상기 제1연결간(30)에 인출실린더(33)를 설치하여, 권취롤러(31)를 축으로 인출롤러(32)가 승강되게 하고, 권취롤러(31) 전방에는 구동롤러(41)와 피동롤러(42)가 설치된 제2연결간(40)을 설치하되, 상기 구동롤러(41)와 피동롤러(42) 사이를 권취벨트(43)로 연결하고, 상기 제2연결간(40)은 작동실린더(44)에 의해 구동롤러(41)를 축으로 승강되게 하여 권취벨트(43)의 경사각이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하고, 권취벨트(43) 직상부에는 축봉(52)을 축으로 승강하는 승강간(50)을 설치하되, 승강간(50) 선단부에는 가압롤러(56)를 설치하고, 가압롤러(56)의 축봉(53)에 연결스프로켓(54)을 설치하여 축봉(52)에 끼워진 구동스프로켓(58)과 체인(55)으로 연결하고, 가압롤러(56)의 축봉(53)에는 제3연결간(60)과 제4연결간(60')를 끼운 다음 볼트(61)를 통하여 이들이 결합되게 하고, 제3연결간(60) 단부에는 절곡가이드롤러(62)를 설치하고, 상기 절곡가이드롤러(62)의 축봉(63)에는 피동스프로켓(64)을 끼워 축봉(53)에 끼워진 연결스프로켓(54')과 체인(65)으로 연결하고, 제4연결간(60') 단부에는 피동롤러(66)를 설치한 다음 가압롤러(56)와 가압벨트(59)로 연결되게 함으로서, 이송컨베이어(20)를 따라 이송되어 온 단열매트(M) 선단부(M1)가 시계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취벨트(43)와 접하면서 1차절곡되고, 동시에 직상부에 위치하는 절곡가이드롤러(62)와 가압벨트(59)에 의해 단열매트(M) 선단부(M1)가 2차, 3차 절곡되어 롤상태로 권취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매트 권취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승강간(50)의 승강수단은, 승강간(50) 상단부에 승강체인(70)을 설치한 다음 서브모터(71)의 작동스프로켓(72)과 연결하고, 상기 승강체인(70) 단부에는 중량추(73)를 설치하여, 서브모터(71)의 작동에 의해 승강간(50)이 축봉(52)을 축으로 승강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매트 권취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권취부(10) 전방에 축봉(81)을 축으로 회전하는 받침대(80)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80)는 가동실린더(82)와 연결하고, 상기 가동실린더(80)의 작동에 의해 받침대(80)가 축봉(81)을 축으로 승강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매트 권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503A KR101407352B1 (ko) | 2013-06-11 | 2013-06-11 | 단열매트 권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503A KR101407352B1 (ko) | 2013-06-11 | 2013-06-11 | 단열매트 권취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7352B1 true KR101407352B1 (ko) | 2014-06-17 |
Family
ID=5113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6503A KR101407352B1 (ko) | 2013-06-11 | 2013-06-11 | 단열매트 권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735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51300A (zh) * | 2021-11-12 | 2022-01-21 | 南京市扬子粮油食品机械有限公司 | 一种智能打卷机 |
WO2023014074A1 (ko) * | 2021-08-04 | 2023-02-09 | 주식회사 비에스텍 | 교차승하강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5352Y1 (ko) * | 1999-10-26 | 2000-03-15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 압연라인 디프렉트롤의 미러재 결함 방지용 부직포 권취장치 |
JP2000509696A (ja) * | 1997-03-07 | 2000-08-02 | イソベール・サン―ゴバン | 繊維製のマット用の巻き取り装置 |
KR200336088Y1 (ko) * | 2003-09-25 | 2003-12-18 | 우민테크주식회사 | 부직포 권취장치 |
-
2013
- 2013-06-11 KR KR1020130066503A patent/KR1014073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509696A (ja) * | 1997-03-07 | 2000-08-02 | イソベール・サン―ゴバン | 繊維製のマット用の巻き取り装置 |
KR200175352Y1 (ko) * | 1999-10-26 | 2000-03-15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 압연라인 디프렉트롤의 미러재 결함 방지용 부직포 권취장치 |
KR200336088Y1 (ko) * | 2003-09-25 | 2003-12-18 | 우민테크주식회사 | 부직포 권취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14074A1 (ko) * | 2021-08-04 | 2023-02-09 | 주식회사 비에스텍 | 교차승하강장치 |
CN113951300A (zh) * | 2021-11-12 | 2022-01-21 | 南京市扬子粮油食品机械有限公司 | 一种智能打卷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93326B2 (ja) | 生地片延展方法、生地片延展装置及び生地片延展装置を備えた巻き上げ生地整形装置 | |
EP1471004B1 (en) | Wrapping machine and method for wrapping a plastic foil web around an object | |
CN105667860B (zh) | 一种自动裹膜机 | |
KR101687476B1 (ko) | 낚시바늘 제조장치용 와이어 공급장치 | |
CN103612863B (zh) | 一种编织袋包裹折边机构 | |
JP2011020761A (ja) | コイル搬送装置及びこれを利用するコイルステーション | |
KR101407352B1 (ko) | 단열매트 권취장치 | |
WO2009119240A1 (ja) | 長尺素材繰出し装置、コイル巻線装置および素材用ボビン設置方法 | |
CN115817889A (zh) | 一种在线缠绕包装机自动贴膜断膜装置 | |
KR101868451B1 (ko) |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 | |
JP6096619B2 (ja) | 包み込み食品の折り畳み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 |
CN107055144A (zh) | 具有卷料提升功能的自动复合机 | |
CN219688870U (zh) | 自动卷板送料装置 | |
CN103057758A (zh) | 一种热缩膜布卷包装机的热吹风装置 | |
KR101261972B1 (ko) | 단열파이프 제조용 롤링장치 | |
CN209832602U (zh) | 铝板高速覆膜生产线 | |
CN203111589U (zh) | 一种热缩膜布卷包装机的热吹风装置 | |
KR101362269B1 (ko) | 단열 패드 절단장치 | |
JP2011240678A (ja) | ゴムシート貼付装置及びゴムシート貼付方法 | |
KR100871859B1 (ko) | 에어 블로우잉을 이용한 테이프 척킹기능을 갖는 자동테이핑 장치 | |
CN207175024U (zh) | 一种卷料板材的自动上料装置 | |
CN219708620U (zh) | 板材卷收装置 | |
KR102221307B1 (ko) | 칼라 판재 제조장치 | |
CN105692223B (zh) | 单板彩涂线自动换垛小车及其换垛方法 | |
CN219708579U (zh) | 自动卷板送料调节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