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351B1 -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 - Google Patents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7351B1 KR101407351B1 KR1020130150836A KR20130150836A KR101407351B1 KR 101407351 B1 KR101407351 B1 KR 101407351B1 KR 1020130150836 A KR1020130150836 A KR 1020130150836A KR 20130150836 A KR20130150836 A KR 20130150836A KR 101407351 B1 KR101407351 B1 KR 1014073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ckerel
- weight
- parts
- sauce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40000007119 Malus pumil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04310 Cinnamomum zeylanic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7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5000011430 Malus pumi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5000015103 Malus silvest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0000006116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08089 Syzygium polyanth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40000000278 Syzygium polyanth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19674 grap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YBHQCJILTOVLHD-YVMONPNESA-N (5Z)-2-amino-5-[(4-hydroxyphenyl)methylidene]-1,3-thiazol-4-one Chemical compound S1C(N)=NC(=O)\C1=C\C1=CC=C(O)C=C1 YBHQCJILTOVLHD-YVMONPNE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2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35917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9754 grap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2333 grap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40082568 Selenium Drugs 0.000 description 5
- 229940091258 Selenium supplements Drug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BUGBHKTXTAQXES-UHFFFAOYSA-N selenium Chemical compound [Se] BUGBHKTXTAQX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669 sele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11 sel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3917 Bambusa tuld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5069 Calcium Drug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3284 Iron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3
- 241000219095 Vit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WEEGYLXZBRQIMU-UHFFFAOYSA-N 1,8-cineole Chemical compound C1CC2CCC1(C)OC2(C)C WEEGYLXZBRQIM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61 Chitosa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SBJKKFFYIZUCET-JLAZNSOCSA-N Dehydro-L-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SBJKKFFYIZUCET-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BJHIKXHVCXFQLS-UYFOZJQFSA-N Fructose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O)CO BJHIKXHVCXFQLS-UYFOZJQF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422 Laurus nobi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4280 Li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UKBXSAWLPMMSZ-OWOJBTEDSA-N Resveratrol Natural products C1=CC(O)=CC=C1\C=C\C1=CC(O)=CC(O)=C1 LUKBXSAWLPMMSZ-OWOJBTED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789 Rosa xanth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20222 Ros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25 brain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748 cardiovascular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69 docosahex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3 eicosapent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VBPIULPVIDEAO-LBPRGKRZSA-N folic acid Chemical compound C=1N=C2NC(N)=NC(=O)C2=NC=1CNC1=CC=C(C(=O)N[C@@H](CCC(O)=O)C(O)=O)C=C1 OVBPIULPVIDEAO-LBPRGKRZ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235 hear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238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9673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56 organ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38 sa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30 Armoracia rust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291 Armoracia rusti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310 Beta vulgaris subsp.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47 Betacarot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548 Camellia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0038 Chlo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499 Cinnamomum aroma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89 Cinnamomum aroma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802 Coagul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464 Coelacanth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311 Commiphora myrrh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965 Commiphora myrrh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08928 Copper Drug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094255 Elytr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9501 Eucalyp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04 Fo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16 Gi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454 Hyperhid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195 Lau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58 Laurus nobi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9220 Limulus polyphem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225 Ma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0551 Meat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65 Myrrhis odor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0113 Oed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6618 Perc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880 Poly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343 Primula ve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311 Primul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122 Primul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85 Querce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REFJWTPEDVJJIY-UHFFFAOYSA-N Quercetin Chemical compound C=1C(O)=CC(O)=C(C(C=2O)=O)C=1OC=2C1=CC=C(O)C(O)=C1 REFJWTPEDVJJ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742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111 Saccharum officin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01 Saccharum officin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851 Sarda sar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VXMKYRQZQXVKGB-CWWHNZPOSA-N Tannin Chemical compound O([C@H]1[C@H]([C@@H]2OC(=O)C3=CC(O)=C(O)C(O)=C3C3=C(O)C(O)=C(O)C=C3C(=O)O[C@H]([C@H]2O)O1)O)C(=O)C1=CC(O)=C(O)C(O)=C1 VXMKYRQZQXVKGB-CWWHNZPO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12 Terminalia toment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94 V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392 Vit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96 anti-anti-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VYAWBVGESA-N beta-Carotene Natural products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VYAWBVGE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4 beta-carot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48 beta-caro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8 carbonyl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68 chlor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233 cineol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02 clot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97 common camel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25 den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25 denatu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16 die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28 di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2 fish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2 fo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4 fo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55 fungicid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7 fung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1 grap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132 hemopoi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0 marina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0 nutr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3 phys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10 pick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75 querce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344 quercet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83 resverat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667 resverat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83 shōchū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EAYESYHFKHZAL-UHFFFAOYSA-N sodium Chemical compound [Na] KEAYESYHFKHZ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12 virologic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6 vitamin 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0 vitamin 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JLTXGRSLSA-N β-Carot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JLTXGRSLSA-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β-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Abstract
본 발명은 양념이 고등어의 살속에 충분히 배어서 비린내가 없고 달콤하면서 담백한 맛을 낼 수 있으며,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은, 정제수, 양파, 사과, 계피, 월계수잎 및 가쯔오부시를 이용하여 다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다시물에 간장, 포도액, 흰된장, 미림 및 설탕을 혼합하여 고등어 양념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등어 양념소스를 고등어에 발라주는 양념 고등어 제조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은, 정제수, 양파, 사과, 계피, 월계수잎 및 가쯔오부시를 이용하여 다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다시물에 간장, 포도액, 흰된장, 미림 및 설탕을 혼합하여 고등어 양념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등어 양념소스를 고등어에 발라주는 양념 고등어 제조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념이 고등어의 살속에 충분히 배어서 비린내가 없고 달콤하면서 담백한 맛을 낼 수 있으며,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핵가족화, 고령화 등으로 가족 중심의 식생활에서 개인적인 식생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외식 비중이 높아지면서 시간을 단축시키고, 품질, 영양, 맛에서도 만족을 주기 위한 다양한 즉석 요리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식생활의 다양화로 어류의 소비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어류 조리용 양념 소스 및 통조림 등의 즉석 식품이 개발 시판되고 있으며, 이들의 시장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편, 고등어(Mackerels)는 고도어(古刀魚)라고도 하며, 경골어강(硬骨魚綱 Osteichthyes) 농어목(Perciformes) 고등어과(Scombridae)에 속하는 해산어류이다. 이러한 고등어는 어류 중에서도 갈치, 조기 등과 함께 소비자에게 가장 많이 소비되는 등푸른 생선 중 하나로, 다른 등푸른 생선에 비해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심장순환기 계통의 각종 질환을 예방하고, 뇌기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에 잘 대처할수 있도록 해주는 EPA, DHA 등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간장 질환, 심장병, 암 등을 예방하는 셀레늄도 풍부히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고등어는 이러한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함으로써 산화·산패가 되기 쉽다. 따라서, 가공 제품으로의 가공 중 유지산화변색, 저급 카르보닐 화합물의 생성으로 인한 산패취의 발생, 유리지방산의 생성으로 인한 육단백질의 변성 촉진 및 영양성분의 저하 등 품질저하를 쉽게 일으키는 단점이 있는 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가공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다수의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10-0496676호는 "간고등어의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으로 "고등어의 배를 갈라 내장을 적출해 내고 등뼈를 중심으로 절개한 다음 손질된 고등어를 해수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고등어를 해수에 3~4시간 동안 침수시켜 염장하는 단계; 상기 고등어를 담수로 세척한 다음 키토산용액에 침수시킨 후 물기를 빼는 단계; 상기 물기를 뺀 고등어의 표면과 절개면에 소정량의 구운 소금과 상기 키토산용액을 뿌려 염장하는 단계; 상기 염장된 고등어의 물기를 빼고 숙성시킨 다음 진공 포장한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간 고등어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공개 2002-31151호의 "죽염을 이용한 간고등어 제조방법 및 동방법에 의해 생산된 간고등어"는 "고등어의 등을 갈라 내장을 적출해 내고 머리와 등뼈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다듬어진 고등어를 해수에 세척하는 단계; 표면 건조를 위한 자연 탈수 단계; 항균죽염을 녹인 물에 일정시간 고등어를 침지시켜 염장하는 단계; 상기 염장 고등어를 건져 물기를 빼 해풍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죽염 간고등어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간고등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 제시된 방법들 고등어를 염장하는 것으로, 이런 경우에는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소금을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염도가 증가하여 고등어를 섭취할 경우 권장량 이상의 염분을 섭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냉장 및 냉동 보관되어 신선도를 유지하고 있는 고등어를 바로 조리하여 먹는 것이 고등어 고유의 맛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건강상에 있어서도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국특허공개 2005-0055375호의 고등어 불고기 제조방법 및 고등어 불고기는 염장 상태로 가공되지 않은 냉장 또는 냉동 상태의 고등어를 조미액과 양념소스를 사용하여 가공함으로써, 비린내를 제거하는 동시에 육질을 부드럽게하고 새로운 고등어 고기 맛을 제공할 수 있는 고등어 불고기를 제공하기 위해, "고등어 불고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등어의 내장, 머리 및 등뼈를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세척된 고등어를 마늘, 생강, 양파, 물, 우유, 소금, 후추를 혼합하여 20~24시간동안 숙성시켜 제조한 조미액에 침지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침지된 고등어를 조미액에서 꺼내어 밀가루를 묻힌 후, 식용유에 튀겨내는 제 3 과정과, 상기 튀겨진 고등어에 물엿, 고추 가루, 생강, 마늘, 후추, 소주, 간장, 다시마, 파, 미원, 양파, 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양념소스를 바른 후, 구워내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등어 불고기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주로 고등어에 양념을 가하여 보다 맛있게 고등어를 섭취하기 위한 것으로, 고등어 자체의 맛을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은 아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2003-0008558에서는 즉석생선조림과 양념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림국물을 만들기 위하여 무와 고추가루, 간장, 간마늘, 간생강을 넣고 3시간 정도 은근히 끓여 그 액을 추출한 국물과 다대기 형태의 양념장을 만들기 위하여 고춧가루, 고추장, 된장 및 기타 양념을 반죽기에서 믹서하여 얻은 양념장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소스를 사용한 어류 제품은 소스가 육질에 골고루 흡수되기가 어렵고, 육질 변화가 과도하게 진행되어 육질이 푸석푸석하여지고, 저장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조리 과정 중에 특유의 비린내가 잔존하여 육질의 관능적 품질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양념이 고등어의 살속에 충분히 배어서 비린내가 없고 달콤하면서 담백한 맛을 낼 수 있으며,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스가 육질에 골고루 흡수되고, 오랜 시간 후에도 육질 변화가 없으며, 저장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리 과정 중에 특유의 비린내가 없어 고등어 육질의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포장용 양념 고등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어 외식 비중이 높아지는 바쁜 현대인의 식사준비 시간을 단축시키고, 소비자에게 품질, 영양, 맛에서도 충분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은, 정제수, 양파, 사과, 계피, 월계수잎 및 가쯔오부시를 이용하여 다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다시물에 간장, 포도액, 흰된장, 미림 및 설탕을 혼합하여 고등어 양념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등어 양념소스를 고등어에 발라주는 양념 고등어 제조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제수, 양파, 사과, 계피, 월계수잎 및 가쯔오부시를 이용하여 다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정제수를 900 내지 1100 중량부, 상기 양파를 250 내지 350 중량부, 상기 사과를 250 내지 350 중량부, 상기 계피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월계수잎을 1 내지 3 중량부, 상기 가쯔오부시를 20 내지 40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를 900 내지 1100 중량부, 상기 양파를 250 내지 350 중량부, 상기 사과를 250 내지 350 중량부, 상기 계피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월계수잎을 1 내지 3 중량부 포함되도록 혼합한 후 15분 내지 25분 동안 9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가쯔오부시를 20 내지 40 중량부 더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가쯔오부시를 20 내지 40 중량부 첨가한 후, 3분 내지 7분 동안 더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다시물에 간장, 포도액, 흰된장, 미림 및 설탕을 혼합하여 고등어 양념소스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흰된장은 150 내지 250 중량부, 상기 포도액은 650 내지 750 중량부, 상기 미림은 450 내지 550 중량부, 상기 설탕은 1100 내지 1300 중량부 및 상기 간장은 1900 내지 2100 중량부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다시물에 흰된장을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망으로 걸러낸 다시물에 상기 포도액은 650 내지 750 중량부, 상기 미림은 450 내지 550 중량부, 상기 설탕은 1100 내지 1300 중량부, 상기 간장은 1900 내지 2100 중량부를 사용하여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등어 양념소스를 고등어에 발라주는 양념 고등어 제조 단계는, 고등어의 배를 갈라 내장을 적출해 내고 등뼈를 중심으로 절개한 다음, 상기 고등어 양념소스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양념소스를 상기 절개된 고등어 내측의 살 부부에만 넣고 숙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양념소스를 상기 절개된 고등어 내측의 살 부분에만 넣고 숙성시키는 것은 10분 내지 15분 동안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10분 내지 15분 동안 고등어를 숙성시킨 후, 25분 내지 35분 간격으로 상기 양념 소스를 상기 고등어의 절개된 내측의 살 부분에 4회 내지 6회 반복하여 발라줌으로써 양념 고등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를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는 양념이 고등어의 살속에 충분히 배어서 비린내가 없고 달콤하면서 담백한 맛을 낼 수 있으며,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는 소스가 육질에 골고루 흡수되고, 오랜 시간 후에도 육질 변화가 없으며, 저장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리 과정 중에 특유의 비린내가 없어 고등어 육질의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는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어 외식 비중이 높아지는 바쁜 현대인의 식사준비 시간을 단축시키고, 소비자에게 품질, 영양, 맛에서도 충분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염 고등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은 다시물 제조 단계(S100), 고등어 양념소스 제조 단계(S200) 및 양념 고등어 제조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다시물 제조 단계(S100)는 정제수, 양파, 사과, 계피, 월계수잎 및 가쯔오부시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상수(수돗물)를 화학적, 물리적인 방법으로 여과하여 만든 보다 순수한 물(purified water)로, 각종 무기물이나 유기물이 제거된 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에서는 바람직하게 정제수를 이용하여 다시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 상수(수돗물)를 사용하여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다시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상기 정제수는 900 내지 110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파는 백합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는 2년생초 또는 그 식용 비늘줄기로, 훌륭한 해독 채소로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모든 신체 기관을 깨끗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양파는 칼로리가 낮으며 맛내기용으로 다이어트 식단을 다양하게 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비타민 B1, 비타민 C, 베타카로틴, 엽산, 칼슘, 염소, 구리, 철, 셀레늄 등이 풍부하다. 상기 양파는 암세포가 형성되는 것을 막아 주는 항산화제인 케르세틴(quercetin)이 풍부하고, 항생제인 동시에 살균제로서 역할을 하며, 혈액이 응고 되거나 콜레스테롤이 상승하는 것을 막아 혈액을 건강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상기 양파는 250 내지 35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과는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며 25종(種)으로 이루어진 사과나무속(─屬 Malus) 식물의 열매로, 상기 사과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이고 단백질과 지방이 비교적 적으며, 비타민 C와 무기염류가 풍부하다. 또한, 상기 사과는 다른 과일에 비해 당분이 많고 신맛이 적으며 타닌이 적게 들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상기 사과는 250 내지 35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피는 계수나무의 껍질을 말린 한약재의 하나로, 생약으로서 건위(健胃), 발한, 해열, 진통 등에 약재로 쓰이며 조미료나 향신료, 생약 등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상기 계피는 10 내지 3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월계수잎은 녹나무과(―科 Lauraceae)의 상록수인 월계수(L. nobilis)의 잎으로, 쓴맛이 있지만 은은한 향기가 난다. 상기 월계수잎은 피클이나 매리네이드를 만드는 데 흔히 쓰이는 향신료이며 스튜, 쇠고기나 생선 요리의 맛을 내는 데도 쓰인다. 약 2%의 정유(精油)가 들어 있는데, 주요성분은 시네올(cineole)이다. 부드럽고 광택이 나는 말린 잎은 보통 통째로 쓰고 난 뒤, 요리가 끝나면 빼버리기도 하지만 때로는 가루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상기 월계수잎은 1 내지 3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쯔오부시(かつおぶし)는 가다랑어의 살을 찌고, 건조시키고, 발효시켜 만드는 일본의 가공식품으로, 주로 육수를 내는 데 사용하며, 해물로 만든 음식 위에 뿌리는 고명으로도 사용한다. 상기 가쓰오부시는 표면적이 넓을수록 공기나 물과 닿는 면적이 넓고, 변화가 쉽게 일어난다는 법칙을 따르는 대표적인 음식으로, 따뜻한 물이나 국에 잠깐만 담가 두어도 특유의 향과 맛이 느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상기 가쯔오부시는 20 내지 4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등어 양념소스 제조 단계(S200)는 상기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제조한 다시물에 간장, 포도액, 흰된장, 미림 및 설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간장은 메주를 소금물에 담가 우러난 윗물을 떠내어 달인 검붉고 짠맛이 나는 액체로, 음식의 간을 맞추는 양념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 양념소스 제조 단계에서 상기 간장은 1900 내지 210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포도액은 포도에서 추출된 액체로, 상기 포도는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포도과의 낙엽성 덩굴식물인 포도나무(Vitis spp.)의 열매로서, 당분(포도당·과당)이 많이 들어 있어 피로회복에 좋고 비타민 A, B, B2, C, D 등이 풍부해서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며, 칼슘, 인, 철,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도 들어 있다.상기 포도액은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이뇨작용을 하여 부종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며, 생혈 및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에 좋고 바이러스 활동을 억제하여 충치를 예방하며, 레스베라트롤이라는 항암 성분이 있어서 암의 억제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도액은 650 내지 75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흰된장은 150 내지 25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 양념소스 제조 단계에서 된장으로는 흰된장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된장은 장의 한 가지로 간장을 담아서 장물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를 의미한다. 상기 된장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미료로 음식의 간을 맞추고 맛을 내는 기본 식품이다. 상기 된장은 영양이 풍부하여 100g 당 열량은 128㎉이고, 단백질 12g, 지방 4.1g, 탄수화물 14.5g, 회분·칼슘·인·철분·비타민(B1 ,B2)도 함유되어 있다. 또한, 상기 된장은 나물을 무치는 조미료나 토장국을 끓일 때, 또 비린내를 없애기 위해 생선과 고기요리에 섞어 약으로도 사용한다.
상기 미림은 술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을 짜내서 만든 액체로 조미료로 사용된다. 상기 미림은 소주나 찐 찹쌀과 쌀누룩을 섞어 빚어서 재강(술찌끼)을 짜내서 만드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 양념소스 제조 단계에서 상기 미림은 450 내지 550 중량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탕은 단맛을 지닌 수용성 무색결정으로 사탕수수나 사탕무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 양념소스 제조 단계에서 상기 설탕은 1100 내지 1300 중량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념 고등어 제조 단계(S300)는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양념을 이용하여 고등어를 가공함으로써, 고등어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는 동시에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새로운 고등어의 고기 맛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등어는 배를 갈라 내장을 적출해 내고 등뼈를 중심으로 절개한 다음 손질된 고등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등어는 어류 중에서도 갈치, 조기 등과 함께 소비자에게 가장 많이 소비되는 등푸른 생선 중 하나로, 다른 등푸른 생선에 비해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심장순환기 계통의 각종 질환을 예방하고, 뇌기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에 잘 대처할수 있도록 해주는 EPA, DHA 등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간장 질환, 심장병, 암 등을 예방하는 셀레늄도 풍부히 함유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은 다시물을 제조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시물의 제조 단계는 정제수, 양파, 사과, 계피, 월계수잎 및 가쯔오부시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다시물의 제조 단계는 상기 정제수를 900 내지 1100 중량부, 상기 양파를 250 내지 350 중량부, 상기 사과를 250 내지 350 중량부, 상기 계피를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월계수잎을 1 내지 3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혼합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분 내지 25분 동안 9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수, 사과, 계피 및 월계수잎이 포함된 끓는 물에 가쯔오부시를 20 내지 40 중량부 첨가한 후, 3분 내지 7분 동안 더 가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끓는 물을 고운 망으로 걸러내어 물과 고형물을 분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시물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은 고등어 양념소스 제조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등어 양념소스 제조 단계는 상기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다시물에 간장, 포도액, 흰된장, 미림 및 설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고등어 양념소스 제조의 제조 단계(S200)는 상기 다시물을 제조하는 단계(S100)에서 제조된 다시물에 도 6과 같은 흰된장을 150 내지 250 중량부를 준비하고, 도 7과 같이 고운 망으로 걸러냄으로써, 상기 다시물에 고운 입자의 흰된장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흰된장이 포함된 다시물에 간장, 포도액, 미립 및 설탕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 양념소스의 제조 단계에서 상기 포도액은 650 내지 750 중량부, 상기 미림은 450 내지 550 중량부, 상기 설탕은 1100 내지 1300 중량부, 상기 간장은 1900 내지 2100 중량부를 사용하여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등어 양념소스가 완성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은 양념 고등어 제조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념 고등어 제조 단계(S300)에서는 상기 고등어 양념 소스 제조 단계(S200)에서 제조된 고등어 양념 소스를 고등어의 표면에 반복하여 바르는 과정에 의해 완성된다.
먼저, 도 9와 같이 잘 손질된 고등어를 준비하고, 도 10과 같이 고등어의 배를 갈라 내장을 적출해 내고 등뼈를 중심으로 절개한 손질된 고등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고등어는 등으로 포를 뜨고 등뼈가 통채로 드러나게 한 다음, 흐르는 깨끗한 물에 세척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고등어 양념 소스 제조 단계(S200)에서 제조된 고등어 양념 소스가 고등어의 표면에 용이하게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1과 같은 사각의 볼에 상기 고등어 양념 소스를 옮겨 담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등어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상기 고등어 양념소스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양념 소스를 상기 절개된 고등어 내측의 살 부분에만 넣고 10분 내지 15분 동안 숙성시킨다. 이때, 상기 양념 소스가 상기 고등어의 외측 껍질 부분에 묻으면 조리시 빨리 타거나 조리하는데 불편하므로, 상기 고등어의 절개된 내측의 살 부분에만 양념 소스를 바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10분 내지 15분 동안 고등어를 숙성시킨 후,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5분 내지 35분 간격으로 상기 양념 소스를 상기 고등어의 절개된 내측의 살 부분에 4회 내지 6회 반복하여 발라줌으로써, 도 15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를 완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먼저, 다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정제수 1000g, 양파 300g, 사과 300g, 계피 20g, 월계수잎 2g을 혼합하여 20분간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가열한 후 가쯔오부시 30g을 더 첨가하였다. 다음, 상기 가쯔오부시를 첨가한 후 5분간 가열한 후 고운 망으로 걸러냄으로써 다시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고등어 양념소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다시물에 흰된장 200g을 혼합하고 채로 걸러낸 후, 상기 걸러진 다시물에 포도액 700g, 미림 500g, 설탕 1200g 및 간장 2000g을 혼합하여 교반함으로써 고등어 양념소스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고등어의 등으로 포를 뜨고 등뼈가 통채로 드러나게 한 후, 흐르는 깨끗한 물에 세척하였다. 그 후, 고등어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일정한 용량의 볼에 간포장 양념을 넣고 고등어 내측의 살 부분을 재웠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는 가로 35cm, 세로 30cm, 높이 5cm의 사각 볼에 상기 간포장 양념 200g을 넣은 후, 고등어를 넣어 20분간 재운다. 그 다음, 13분이 지난 후 고등어를 꺼내어 30분 간격으로 상기 고등어 내측의 살 부분에 양념소스를 발라주었다. 이와 같이 양념소스를 발라주는 과정을 5회 동일하게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고,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양념 고등어는 양념이 고등어의 살속에 충분히 배어서 비린내가 없고 달콤하면서 담백한 맛을 낼 수 있으며,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어 외식 비중이 높아지는 바쁜 현대인의 식사준비 시간을 단축시키고, 소비자에게 품질, 영양, 맛에서도 충분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 정제수, 양파, 사과, 계피, 월계수잎 및 가쯔오부시를 이용하여 다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다시물에 간장, 포도액, 흰된장, 미림 및 설탕을 혼합하여 고등어 양념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등어 양념소스를 고등어에 발라주는 양념 고등어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양파, 사과, 계피, 월계수잎 및 가쯔오부시를 이용하여 다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정제수를 900 내지 1100 중량부, 상기 양파를 250 내지 350 중량부, 상기 사과를 250 내지 350 중량부, 상기 계피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월계수잎을 1 내지 3 중량부, 상기 가쯔오부시를 20 내지 40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를 900 내지 1100 중량부, 상기 양파를 250 내지 350 중량부, 상기 사과를 250 내지 350 중량부, 상기 계피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월계수잎을 1 내지 3 중량부 포함되도록 혼합한 후 15분 내지 25분 동안 9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가쯔오부시를 20 내지 40 중량부 더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쯔오부시를 20 내지 40 중량부 첨가한 후, 3분 내지 7분 동안 더 가열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시물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다시물에 간장, 포도액, 흰된장, 미림 및 설탕을 혼합하여 고등어 양념소스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흰된장은 150 내지 250 중량부, 상기 포도액은 650 내지 750 중량부, 상기 미림은 450 내지 550 중량부, 상기 설탕은 1100 내지 1300 중량부 및 상기 간장은 1900 내지 2100 중량부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시물에 흰된장을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망으로 걸러낸 다시물에 상기 포도액은 650 내지 750 중량부, 상기 미림은 450 내지 550 중량부, 상기 설탕은 1100 내지 1300 중량부, 상기 간장은 1900 내지 2100 중량부를 사용하여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등어 양념소스를 고등어에 발라주는 양념 고등어 제조 단계는,
고등어의 배를 갈라 내장을 적출해 내고 등뼈를 중심으로 절개한 다음, 상기 고등어 양념소스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양념소스를 상기 절개된 고등어 내측의 살 부부에만 넣고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소스를 상기 절개된 고등어 내측의 살 부부에만 넣고 숙성시키는 것은 10분 내지 15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10분 내지 15분 동안 고등어를 숙성시킨 후, 25분 내지 35분 간격으로 상기 양념 소스를 상기 고등어의 절개된 내측의 살 부분에 4회 내지 6회 반복하여 발라줌으로써 양념 고등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양념 고등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0836A KR101407351B1 (ko) | 2013-12-05 | 2013-12-05 |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0836A KR101407351B1 (ko) | 2013-12-05 | 2013-12-05 |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7351B1 true KR101407351B1 (ko) | 2014-06-17 |
Family
ID=5113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0836A KR101407351B1 (ko) | 2013-12-05 | 2013-12-05 |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7351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6113B1 (ko) | 2015-07-29 | 2016-03-24 | 김송기 | 육류용 포도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1790730B1 (ko) * | 2015-05-07 | 2017-11-02 | 하상희 | 염지건조 생선의 제조방법 |
KR101812904B1 (ko) | 2016-12-20 | 2017-12-27 |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 고등어 수비드 튀김 제조방법 |
KR101812852B1 (ko) | 2015-12-16 | 2017-12-27 |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수비드용 고등어의 제조방법 |
KR20210081961A (ko) | 2019-12-24 | 2021-07-0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Rtc 생선 구이용 된장 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rtc 생선 구이 방법 |
KR20210081987A (ko) | 2019-12-24 | 2021-07-0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Rtc 생선 구이용 고추장 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rtc 생선 구이 방법 |
KR20210081973A (ko) | 2019-12-24 | 2021-07-0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Rtc 생선 구이용 간장 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rtc 생선 구이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9398B1 (ko) | 2004-02-23 | 2005-10-07 | 고창덕 | 생선 자반 제조방법 |
KR100672900B1 (ko) | 2005-08-29 | 2007-01-22 | 주식회사 청정세상 | 조미훈제고등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조미훈제고등어 |
-
2013
- 2013-12-05 KR KR1020130150836A patent/KR1014073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9398B1 (ko) | 2004-02-23 | 2005-10-07 | 고창덕 | 생선 자반 제조방법 |
KR100672900B1 (ko) | 2005-08-29 | 2007-01-22 | 주식회사 청정세상 | 조미훈제고등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조미훈제고등어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0730B1 (ko) * | 2015-05-07 | 2017-11-02 | 하상희 | 염지건조 생선의 제조방법 |
KR101606113B1 (ko) | 2015-07-29 | 2016-03-24 | 김송기 | 육류용 포도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1812852B1 (ko) | 2015-12-16 | 2017-12-27 |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수비드용 고등어의 제조방법 |
KR101812904B1 (ko) | 2016-12-20 | 2017-12-27 |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 고등어 수비드 튀김 제조방법 |
KR20210081961A (ko) | 2019-12-24 | 2021-07-0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Rtc 생선 구이용 된장 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rtc 생선 구이 방법 |
KR20210081987A (ko) | 2019-12-24 | 2021-07-0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Rtc 생선 구이용 고추장 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rtc 생선 구이 방법 |
KR20210081973A (ko) | 2019-12-24 | 2021-07-0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Rtc 생선 구이용 간장 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rtc 생선 구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7351B1 (ko) |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 | |
CN103054079B (zh) | 一种鲐鱼鱼松的生产方法 | |
KR100888232B1 (ko) | 새우장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03393061B (zh) | 一种鸭肉调理品去腥味工艺 | |
CN103099243A (zh) | 一种即食海参制作方法 | |
CN103704776A (zh) | 一种照烧三文鱼腹的制作方法 | |
KR101858627B1 (ko) | 명태순살강정의 제조방법 | |
CN103549492B (zh) | 一种粘粉秋刀鱼片的制作方法 | |
KR101802181B1 (ko) | 미꾸라지 튀김이 들어있는 쌈의 제조방법 | |
KR100851913B1 (ko) | 해물 및 생선용 양념장 | |
KR100557026B1 (ko) | 사과를 함유하는 고기 숙성용 양념조성물 및 이 고기숙성용 양념 조성물로 숙성된 고기 | |
KR102062523B1 (ko) | 고추다대기 제조방법 | |
KR20170055592A (ko) | 양념 닭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닭발 | |
KR101700439B1 (ko) | 삼채 농축액을 이용한 고등어의 가공방법 | |
KR101170803B1 (ko) | 삼돈고기, 삼돈고기를 이용한 해물찜탕 및 해물찜탕의 제조방법 | |
KR101607838B1 (ko) | 홍삼 수육 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홍삼 수육 조림 | |
CN101524157B (zh) | 榴莲炖鸡的制作方法 | |
KR102296656B1 (ko) | 소고기 우둔살과 바비큐소스를 사용한 순대 제조방법 | |
KR101301813B1 (ko) | 초절임 샐러드 제조방법 | |
KR101728693B1 (ko) | 초계탕 육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초계탕의 제조방법 | |
KR20110131874A (ko) | 돼지 등갈비 숙성용 소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소스 | |
KR100917682B1 (ko) | 조미 훈제 새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한 조미 훈제 새우 | |
CN101390606A (zh) | 一种健胃黑椒酱 | |
KR101716762B1 (ko) | 산천어 영양김치 제조방법 | |
KR101695303B1 (ko) | 숙성된 굴 및 새우를 이용한 매콤한 크림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