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334B1 -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334B1
KR101399334B1 KR1020120106096A KR20120106096A KR101399334B1 KR 101399334 B1 KR101399334 B1 KR 101399334B1 KR 1020120106096 A KR1020120106096 A KR 1020120106096A KR 20120106096 A KR20120106096 A KR 20120106096A KR 101399334 B1 KR101399334 B1 KR 101399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bumper beam
connecting member
crash boxes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0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9664A (en
Inventor
이문용
허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2010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334B1/en
Publication of KR20140039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6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3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8Reinforcing the connection otherwise than by deforming, e.g.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Abstract

차량용 범퍼빔 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범퍼빔 유닛은 ⅰ)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로 벤딩 성형되어 사각의 곡선관 형상으로 구성되는 범퍼빔과, ⅱ)범퍼빔의 양 측방 후측에 각각 체결되는 양측 크래쉬 박스와, ⅲ)범퍼빔의 양단부 후측에 양측 크래쉬 박스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보조 크래쉬 박스와, ⅳ)양측 크래쉬 박스 및 보조 크래쉬 박스의 후단에 용접 설치되는 제1 장착 플레이트와, ⅴ)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사이드 멤버의 전단에 용접 설치되고, 제1 장착 플레이트와 체결되는 제2 장착 플레이트와, ⅵ)제2 장착 플레이트 및 사이드 멤버에 연결되게 장착되며, 양측 크래쉬 박스 및 보조 크래쉬 박스에 전달된 충격 에너지를 사이드 멤버로 분산하는 충격 분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comprises: a bumper beam formed by i) bend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quare curved tube; ii) a both side crash box fastened to both lateral rear sides of the bumper beam; and iii) A first mounting plate welded to the rear ends of both the crash boxes and the auxiliary crash boxes, and v) a second mounting plate welded to the rear side of the side crash boxes, A second mounting plate weld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crash plate and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vi) a second mounting plate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side member, As shown in Fig.

Description

차량용 범퍼빔 유닛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0001]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00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옵셋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that can improve offset collision performance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범퍼는 자동차가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차체 전,후방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완충장치이다.Generally, a bumper in a vehicl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front and rear of a vehicle body so as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while assuring the safety of passengers by absorbing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another automobile or a fixed body .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범퍼는 차량의 전,후방에서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빔(101)의 후방 양측에 크래쉬 박스(103)가 장착되고, 그 크래쉬 박스(103)가 차체 측의 사이드 멤버(111)에 연결되는 범퍼빔 유닛(200)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bove-described bumper is constructed such that a crash box 103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bumper beam 101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nd a bumper beam unit 200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111 of the bumper beam unit 200.

여기서, 상기 범퍼빔(101)의 전방에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에너지 업소버" 라고도 한다)가 구성되며, 범퍼빔(101)과 충격 흡수재는 범퍼커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커버된다.Here, a shock absorber (not shown in the drawings) (also referred to as an " energy absorber " in the related art) for absorbing an impact force is formed in front of the bumper beam 101, and the bumper beam 101 and the shock absorber Is covered by a bumper cover (not shown in the figure).

그리고, 상기 크래쉬 박스(103)의 후단에는 사이드 멤버(111)에 조립되는 제1 장착 플레이트(121)가 장착되는 바, 이러한 제1 장착 플레이트(121)는 사이드 멤버(111)의 선단에 장착된 제2 장착 플레이트(131)와 체결될 수 있다. A first mounting plate 121 assembled to the side member 111 is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crash box 103. The first mounting plate 121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side member 111 And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131.

상기한 종래의 범퍼빔 유닛(200)은 범퍼빔(101)의 후방 양측에 크래쉬 박스(103)가 체결된 상태로, 그 크래쉬 박스(103)가 차체 측의 사이드 멤버(111)에 조립되는데, 범퍼빔(101)은 최근 차량의 경량화 추세에 맞추어 스틸보다 경량 소재인 알루미늄 압출재를 적용하여 제작되고, 상기한 크래쉬 박스(103) 역시 알루미늄 압출재로 제작되는 추세이다.In the conventional bumper beam unit 200 described above, the crash box 103 is assembled to the side member 111 on the vehicle body side in a state where the crash box 103 i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bumper beam 101, The bumper beam 101 is manufactured by applying an aluminum extruded material, which is a lightweight material, to steel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trend of lightening the vehicle, and the crash box 103 is also made of aluminum extruded material.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범퍼빔 유닛(200)은 범퍼빔(101)과 크래쉬 박스(103)의 조립부 강성이 취약하여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옵셋 충돌" 또는 "스몰 오버랩 충돌" 이라고도 한다) 시, 사이드 멤버(111)와 크래쉬 박스(103) 및 범퍼빔(101) 간의 충격 에너지 분산이 미흡하여 승객실의 변형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승객의 상해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bumper beam unit 20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weak in rigidity of the assembling portion of the bumper beam 101 and the crash box 103, the lateral collision of the vehicle (in the related art, Impact energy distribution between the side member 111, the crash box 103 and the bumper beam 101 is insufficient to cause deformation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thereby increasing the injury of the passenger have.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범퍼빔 유닛(200)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도면에서의 화살표), 범퍼빔(101)이 붕괴되면서 그 범퍼빔(101)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 중 크래쉬 박스(103)에 회전모멘트로 전달되는 힘의 성분을 감당하지 못함으로 범퍼빔(101)과 크래쉬 박스(103)의 각 조립부가 쉽게 변형되어 충격에너지의 분산 및 흡수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That is, the bumper beam unit 2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llides with the crash box 103 of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from the bumper beam 101 while the bumper beam 101 collapses (arrow in the drawing) The components of the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bumper beam 101 and the crash box 103 are easily deformed, so that the impact energy dispersing and absorbing performance is deteriorat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범퍼빔의 양 측부 강성을 보강하고, 충격 에너지의 안정적인 흡수 및 분산을 유도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범퍼빔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that reinforces both side stiffness of a bumper beam and induces stable absorption and dispersion of impact energy to improve lateral impact performance of a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은, ⅰ)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로 벤딩 성형되어 사각의 곡선관 형상으로 구성되는 범퍼빔과, ⅱ)상기 범퍼빔의 양 측방 후측에 각각 체결되는 양측 크래쉬 박스와, ⅲ)상기 범퍼빔의 양단부 후측에 상기 양측 크래쉬 박스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보조 크래쉬 박스와, ⅳ)상기 양측 크래쉬 박스 및 보조 크래쉬 박스의 후단에 용접 설치되는 제1 장착 플레이트와, ⅴ)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의 전단에 용접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와 체결되는 제2 장착 플레이트와, ⅵ)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 및 사이드 멤버에 연결되게 장착되며, 상기 양측 크래쉬 박스 및 보조 크래쉬 박스에 전달된 충격 에너지를 사이드 멤버로 분산하는 충격 분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 a bumper beam bent in a curv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quare curved tube shape; and ii) A first mounting plate welded to a rear end of the both side crash boxes and the auxiliary crash box, and a second mounting plate welded to the rear side of the side crash boxes and the auxiliary crash boxes; V) a second mounting plate welded to the front end of the sid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fastened to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vi) a second mounting plate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side member, And an impact dispersing unit for dispersing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to the both side crash boxes and the auxiliary crash boxes to the side membe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범퍼빔의 양 측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in the automotiv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lates may be formed by extending a certain length on both sides of the bumper bea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조 크래쉬 박스는 이의 후단이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의 연장 부위에 용접 설치될 수 있다.Further, in the automotiv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crash box may be welded to the extended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충격 분산유닛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와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장착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hicular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dispersion uni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side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측단에서 사이드 멤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Further, in the automotiv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nking member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from the side end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to the side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연장 부위에 용접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사이드 멤버에 용접될 수 있다.Further, in the automotiv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may be welded to the extended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other end may be welded to the side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장착면 및 사이드 멤버의 장착면으로 각각 절곡된 제1 절곡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in the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bending flange bent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ide memb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Further, in the automotiv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inking member may be inclin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linking member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앙 부분에 용접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용접될 수 있다.Further, in the automotiv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weld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other end is weld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장착면 및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장착면으로 각각 절곡된 제2 절곡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in the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bending flange bent at the mounting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멤버의 외측으로 함몰된 제1 요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in the automotiv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recessed portion which is recessed outwardly of the side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멤버의 후방 측으로 함몰된 제2 요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in the automotiv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recessed portion recess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side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은, ⅰ)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로 벤딩 성형되어 사각의 곡선관 형상으로 구성되는 범퍼빔과, ⅱ)상기 범퍼빔의 양 측방 후측에 각각 체결되는 양측 크래쉬 박스와, ⅲ)상기 범퍼빔의 양단부 후측에 상기 양측 크래쉬 박스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보조 크래쉬 박스와, ⅳ)상기 양측 크래쉬 박스 및 보조 크래쉬 박스의 후단에 용접 설치되는 제1 장착 플레이트와, ⅴ)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의 전단에 용접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와 체결되는 제2 장착 플레이트와, ⅵ)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 및 사이드 멤버에 연결되게 장착되며, 상기 양측 크래쉬 박스 및 보조 크래쉬 박스에 전달된 충격 에너지를 사이드 멤버로 분산하는 충격 분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 분산유닛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2점으로 연결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에 1점으로 연결되는 와이(Y)자 형상의 보강 브라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i) a bumper beam bent in a predetermined curva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have a rectangular curved tube shape; and ii) A first mounting plate welded to a rear end of the both side crash boxes and the auxiliary crash box, and a second mounting plate welded to a rear end of the both side crash boxes and the auxiliary crash box, And v) a second mounting plate welded to the front end of the sid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fastened to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vi) a second mounting plate mounte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side member And an impact dispersing unit for dispersing the impact energy delivered to the both side crash boxes and the auxiliary crash boxes into side members, The dispersion unit may be composed of a reinforcing bracket of a Y-shape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at two points and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at one poi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충격 분산유닛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와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장착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hicular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dispersion uni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side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연장 부위와 사이드 멤버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Further, in the automotiv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nking member may connect the extending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with the side member in an obliqu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앙 부분과 제2 장착 플레이트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Further, in the automotiv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inking member may connec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linking member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in a diagon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양측 크래쉬 박스와 별개로 범퍼빔의 양단부 후측에 보조 크래쉬 박스를 부가하고, 제2 장착 플레이트 및 사이드 멤버에 충격 분산유닛을 추가하여 범퍼빔의 양 측부 강성을 보강하고, 차량의 측면 충돌(옵셋 충돌 또는 스몰오버랩 충돌) 시, 충격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흡수 유도하여 측면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uxiliary crash box is added to the rear side of both ends of the bumper beam separately from the both side crash boxes and an impact dispersing unit is add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side member to reinforce the both side rigidity of the bumper beam, Side collision (offset collision or small overlap collision), the impact energy can be stably absorbed and the side impact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적용되는 충격 분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These drawing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act dispersion unit applied to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names of components are categorized into the first, second, and so on in order to distinguish them from each other in the same relationship,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erms such as " ... unit ", "unit of means "," part of item ", "absence of member ", and the like denote a unit of a comprehensive constitution hav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it mean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100)은 차량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고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범퍼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bumper beam uni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bumper for absorbing shocks in a vehicle collision and minimizing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100)은 범퍼빔(10)의 양 측부 강성을 보강하고, 충격 에너지의 안정적인 흡수 및 분산을 유도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옵셋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bumper beam uni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both side rigidity of the bumper beam 10 and induces stable absorption and dispersion of impact energy to improve side collision (offset collision) performance of the vehicle .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 흡수하여 차체의 사이드 멤버(1)로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차량 탑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100)을 제공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energy generated in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is effectively dispersed and absorbed, thereby minimizing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to the side member 1 of the vehicle body,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vehicle occupant. (100).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빔 유닛(100)은 기본적으로, 범퍼빔(10), 양측 크래쉬 박스(30), 2장의 장착 플레이트(51, 52), 보조 크래쉬 박스(70) 및 충격 분산유닛(90)을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o this end, the vehicle bumper beam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bumper beam 10, a two-side crash box 30, two mounting plates 51 and 52, an auxiliary crash box 70, And an impact dispersing unit 9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에서와 같은 범퍼빔(10), 양측 크래쉬 박스(30), 장착 플레이트(51, 52), 보조 크래쉬 박스(70) 및 충격 분산유닛(90)은 알루미늄 소재로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bumper beam 10, the two side crash boxes 30, the mounting plates 51 and 52, the auxiliary crash box 70 and the impact dispersing unit 90 as described above are made of aluminum extruded material And can be manufactured by cutting each length to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에서 범퍼빔(10)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로 벤딩 성형되어 사각의 곡선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양측 크래쉬 박스(30)는 범퍼빔(10)의 양 측방 후측에 각각 조립된다.The bumper beam 10 is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o have a rectangular curved tube shape. The both side crash boxes 30 are assembled to the rear side of both sides of the bumper beam 1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양측 크래쉬 박스(30)는 선단부 상측과 하측에 각각 장착단을 연장 형성하고, 상측 및 하측 장착단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범퍼빔(10)의 양 측방 후측에 끼워진 상태로, 그 상측 및 하측 장착단과 범퍼빔(10)의 상면 및 하면 사이에 볼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체결되어 조립된다.Here, the two side crash boxes 30 exten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end portion, respectively, and are fitted to the rear side of both sides of the bumper beam 10 by using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unting ends, And a bolt (not shown) between the lower mounting end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mper beam 10 to be assembled.

그리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51, 52)는 양측 크래쉬 박스(30)의 후단 및 사이드 멤버(1)의 전단에 각각 용접 설치되는 것으로, 그 양측 크래쉬 박스(30)를 차체의 사이드 멤버(1)에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 The mounting plates 51 and 52 are welded to the rear end of the both side crash boxes 30 and the front end of the side members 1 so that the two side crash boxes 30 are welded to the side members 1 of the vehicle body For assembly.

이하에서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51, 52) 중에서 양측 크래쉬 박스(30)의 후단에 용접 설치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제1 장착 플레이트(51)" 라고 하며, 사이드 멤버(1)의 전단에 용접 설치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제2 장착 플레이트(52)" 라고 한다.Hereinafter, the mounting plate welded to the rear end of the both side crash boxes 30 among the mounting plates 51 and 52 will be referred to as "first mounting plate 51 ", and the mounting plate welded to the front end of the side member 1 The plate is referred to as "second mounting plate 52 ".

이 경우,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52)는 제1 장착 플레이트(51)에 대응하여 사이드 멤버(1)의 전단에 용접 설치되고, 제1 장착 플레이트(51)와 상호 접촉되며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is welded to the front end of the side member 1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unting plate 5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mounting plate 51,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51, 52)는 종래 기술과 달리, 범퍼빔(10)의 양 측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Unlike the prior art,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lates 51 and 52 may be formed by extending the bumper beam 10 to both sides of the bumper beam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크래쉬 박스(70)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양측 크래쉬 박스(30)와 함께 충격 에너지를 1차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crash box 70 is for primarily absorbing the impact energy together with the both side crash boxes 30 in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상기 보조 크래쉬 박스(70)는 범퍼빔(10)의 양단부 후측에 설치되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범퍼빔(10)의 양 측방 벤딩 부위에 양측 크래쉬 박스(30)와 이격되게 장착된다.The auxiliary crash box 70 is installed in a box shape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both ends of the bumper beam 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h side crash boxes 30 at both lateral bending portions of the bumper beam 10.

여기서, 상기 보조 크래쉬 박스(70)의 전단은 범퍼빔(10)의 양 측방 벤딩 부위 후측에 조립되며, 그 후단은 제1 장착 플레이트(51)의 연장 부위에 용접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crash box 70 is assembled to the rear side of the bending parts on both sides of the bumper beam 10, and the rear end thereof may be welded to the extended part of the first mounting plate 5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분산유닛(90)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양측 크래쉬 박스(30) 및 보조 크래쉬 박스(70)에 전달된 충격 에너지를 사이드 멤버(1)로 분산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dispersing unit 90 is for dispersing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to the both side crash boxes 30 and the auxiliary crash boxes 70 to the side members 1 at the time of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

즉, 상기 충격 분산유닛(90)은 범퍼빔(10)의 양 측부 강성을 보강하는 측면 충돌 보강 브라켓으로서, 차량의 측면 충돌에 따른 충격 에너지의 안정적인 흡수 및 분산을 유도하고, 충격 에너지에 따른 균일한 변형을 유도하여 완충 효과를 증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impact dispersing unit 90 is a side impact reinforcing bracket for reinforcing the both side rigidity of the bumper beam 10, inducing stable absorption and dispersion of impact energy due to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buffering effect by inducing a deformation.

여기서, 상기 충격 분산유닛(90)은 제2 장착 플레이트(52)에 2점으로 연결되며 사이드 멤버(1)에 1점으로 연결되는 와이(Y)자 형상의 보강 브라켓으로 구비되고, 제2 장착 플레이트(52) 및 사이드 멤버(1)에 연결되게 장착된다.Here, the impact dispersing unit 90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racket of a Y-shape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at two points and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1 at one point, The plate 52 and the side member 1, respectively.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적용되는 충격 분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act dispersion unit applied to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충격 분산유닛(90)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2 장착 플레이트(52)와 사이드 멤버(1)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91)와, 제1 연결부재(91)와 제2 장착 플레이트(52)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92)를 포함하고 있다.2 and 3, the impact dispersing unit 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and the side member 1 91 and a second linking member 92 connecting the first linking member 91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to each other.

상기에서 제1 연결부재(91)는 제2 장착 플레이트(52)의 측단에서 사이드 멤버(1)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바, 제1 연결부재(91)의 일측 단부는 제2 장착 플레이트(52)의 연장 부위에 용접되고, 다른 일측 단부는 사이드 멤버(1)에 용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연결부재(91)는 제2 장착 플레이트(52)의 연장 부위와 사이드 멤버(1)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is disposed at an angle from the side end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to the side member 1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Welded to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other end can be welded to the side member 1.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can connect the extending member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and the side member 1 in an oblique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재(91)의 양단부에는 제2 장착 플레이트(52)의 장착면 및 사이드 멤버(1)의 장착면으로 각각 절곡된 제1 절곡 플랜지(93)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A first bending flange 93 may be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linking member 91 and bent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and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ide member 1, respectively.

이러한 제1 절곡 플랜지(93)는 제1 연결부재(91)의 양단부를 제2 장착 플레이트(52)의 장착면 및 사이드 멤버(1)의 장착면에 용이하게 용접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bending flange 93 is for easily welding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and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ide member 1. [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재(9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멤버(1)의 외측으로 함몰된 제1 요홈부(95)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연결부재(91)에 제1 요홈부(95)를 형성한 이유는 충격 에너지를 사이드 멤버(1)로 용이하게 분산시키기 위함이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is provided with a first yaw groove 95 which is recessed outwardly of the side member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ason why the first yaw groove 95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as described above is to disperse impact energy into the side member 1 easily.

상기에서 제2 연결부재(92)는 제1 연결부재(91)의 중앙 부분에서 제2 장착 플레이트(52)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바, 제2 연결부재(92)의 일측 단부는 제1 연결부재(91)의 중앙 부분에 용접되고, 다른 일측 단부는 제2 장착 플레이트(52)에 용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연결부재(92)는 제1 연결부재(91)의 중앙 부분과 제2 장착 플레이트(52)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member 92 is inclin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9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and the other end can be weld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In this case, the second linking member 92 may connec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linking member 91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in a diagon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2 연결부재(92)의 양단부에는 제1 연결부재(91)의 장착면 및 제2 장착 플레이트(52)의 장착면으로 각각 절곡된 제2 절곡 플랜지(97)가 구비될 수 있다.A second bending flange 97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linking member 92 and bent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and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

이러한 제2 절곡 플랜지(97)는 제2 연결부재(92)의 양단부를 제1 연결부재(91)의 장착면 및 제2 장착 플레이트(52)의 장착면에 용이하게 용접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The second bending flange 97 is for easily welding both ends of the second linking member 92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and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재(9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멤버(1)의 후방 측으로 함몰된 제2 요홈부(99)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제2 연결부재(92)에 제2 요홈부(99)를 형성한 이유는 충격 에너지를 사이드 멤버(1)로 용이하게 분산시키기 위함이다.The second connection member 92 is provided with a second recessed groove 99 recess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side member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ason why the second yaw groove 99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92 as described above is to disperse impact energy into the side member 1 easily.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100)에 의하면, 양측 크래쉬 박스(30)와 별개로 범퍼빔(10)의 양단부 후측에 보조 크래쉬 박스(70)를 부가하고, 제2 장착 플레이트(52) 및 사이드 멤버(1)에 충격 분산유닛(90)을 추가하여 범퍼빔(10)의 양 측부 강성을 보강하고,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옵셋 충돌 또는 스몰오버랩 충돌) 시, 충격 에너지를 도면의 화살표와 같이 안정적으로 흡수 유도하여 측면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bumper beam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auxiliary crash box 70 attached to the rear sides of both ends of the bumper beam 10 separately from the both side crash boxes 30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52 and the side member 1 are added to the impact dispersing unit 90 so as to reinforce the both side rigidity of the bumper beam 10. In particular, Collision), the impact energy can be absorbed and stably absorbed as shown by the arrows in the drawing, thereby improving the side collision performanc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양측 크래쉬 박스(30)와 함께 보조 크래쉬 박스(70)가 충격 에너지를 1차적으로 흡수하고, 그 양측 크래쉬 박스(30) 및 보조 크래쉬 박스(70)에 전달된 충격 에너지를 사이드 멤버(1)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auxiliary crash box 70 together with the both side crash boxes 30 absorbs the impact energy, and the two side crash boxes 30 and the auxiliary crash boxes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to the side member 1 can be dispersed to the side member 1.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보조 크래쉬 박스(70) 및 충격 분산유닛(90)을 통해 충격 에너지의 안정적인 흡수 및 분산을 유도하여 측면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stable absorption and dispersion of the impact energy through the auxiliary crash box 70 and the impact dispersing unit 90 at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the side collision performanc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범퍼빔(10)이 붕괴되면서 그 범퍼빔(1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 중에서 양측 크래쉬 박스(30)에 회전모멘트로 전달되는 힘의 성분을 보조 크래쉬 박스(70) 및 충격 분산유닛(90)이 감당케 함으로써 충격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bumper beam 10 is collapsed and the components of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from the bumper beam 10 to the both side crash boxes 30 The auxiliary crash box 70 and the impact dispersing unit 90 can effectively absorb and disperse the impact energy.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ther embodiments may easily be suggested by adding, changing, deleting, adding, or the like of elements, bu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사이드 멤버 10... 범퍼빔
30... 양측 크래쉬 박스 51... 제1 장착 플레이트
52... 제2 장착 플레이트 70... 보조 크래쉬 박스
90... 충격 분산유닛 91... 제1 연결부재
92... 제2 연결부재 93... 제1 절곡 플랜지
95... 제1 요홈부 97... 제2 절곡 플랜지
99... 제2 요홈부
1 ... side member 10 ... bumper beam
30 ... both side crash boxes 51 ... first mounting plate
52 ... second mounting plate 70 ... secondary crash box
90 ... shock dispersing unit 91 ... first connecting member
92 ... second connecting member 93 ... first bending flange
95 ... first recessed portion 97 ... second bent flange
99 ... second yaw groove

Claims (12)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로 벤딩 성형되어 사각의 곡선관 형상으로 구성되는 범퍼빔;
상기 범퍼빔의 양 측방 후측에 각각 체결되는 양측 크래쉬 박스;
상기 범퍼빔의 양단부 후측에 상기 양측 크래쉬 박스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보조 크래쉬 박스;
상기 양측 크래쉬 박스 및 보조 크래쉬 박스의 후단에 용접 설치되는 제1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사이드 멤버의 전단에 용접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와 체결되는 제2 장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 및 사이드 멤버에 연결되게 장착되며, 상기 양측 크래쉬 박스 및 보조 크래쉬 박스에 전달된 충격 에너지를 사이드 멤버로 분산하는 충격 분산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 분산유닛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와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장착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In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 bumper beam formed by bend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curved tube shape;
Both side crash boxes being fastened to both side rear sides of the bumper beam;
An auxiliary crash box installed on both sides of both ends of the bumper beam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h side crash boxes;
A first mounting plate welded to the rear ends of the both side crash boxes and the auxiliary crash boxes;
A second mounting plate welded to a front end of the sid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fastened to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An impact dispersing unit mount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side members to disperse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to the both side crash boxes and the auxiliary crash boxes into side members,
/ RTI >
Wherein the impact dispersing unit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side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범퍼빔의 양 측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lates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of the bumper bea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크래쉬 박스는 이의 후단이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의 연장 부위에 용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crash box is welded to the extended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pla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측단에서 사이드 멤버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연장 부위에 용접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사이드 멤버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omprises:
Wherein the first mounting plate is inclined from the side end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to the side member and one end is welded to the extended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other end is welded to the side memb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장착면 및 사이드 멤버의 장착면으로 각각 절곡된 제1 절곡 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first bending flange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linking member and is bent to a mounting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a mounting surface of the side memb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앙 부분에 용접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disposed at an inclined position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one end is weld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other end is weld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Vehicle bumper beam uni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장착면 및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장착면으로 각각 절곡된 제2 절곡 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second bending flange bent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멤버의 외측으로 함몰된 제1 요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멤버의 후방 측으로 함몰된 제2 요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recessed portion recessed outwardly of the side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econd recessed portion recess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side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로 벤딩 성형되어 사각의 곡선관 형상으로 구성되는 범퍼빔;
상기 범퍼빔의 양 측방 후측에 각각 체결되는 양측 크래쉬 박스;
상기 범퍼빔의 양단부 후측에 상기 양측 크래쉬 박스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보조 크래쉬 박스;
상기 양측 크래쉬 박스 및 보조 크래쉬 박스의 후단에 용접 설치되는 제1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의 전단에 용접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와 체결되는 제2 장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 및 사이드 멤버에 연결되게 장착되며, 상기 양측 크래쉬 박스 및 보조 크래쉬 박스에 전달된 충격 에너지를 사이드 멤버로 분산하는 충격 분산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 분산유닛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2점으로 연결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에 1점으로 연결되는 와이(Y)자 형상의 보강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In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 bumper beam formed by bend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curved tube shape;
Both side crash boxes being fastened to both side rear sides of the bumper beam;
An auxiliary crash box installed on both sides of both ends of the bumper beam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h side crash boxes;
A first mounting plate welded to the rear ends of the both side crash boxes and the auxiliary crash boxes;
A second mounting plate welded to the front end of the sid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fastened to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An impact dispersing unit mount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side members to disperse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to the both side crash boxes and the auxiliary crash boxes into side members,
/ RTI >
Wherein the impact dispersing unit is composed of a reinforcing bracket of a Y-shape connected at two points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at one point.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분산유닛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와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장착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hock-
A first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side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범퍼빔의 양 측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연장 부위와 사이드 멤버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앙 부분과 제2 장착 플레이트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lates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of the bumper bea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onnects the extended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side member in an oblique dir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in a diagonal direction.

KR1020120106096A 2012-09-24 2012-09-24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KR1013993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096A KR101399334B1 (en) 2012-09-24 2012-09-24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096A KR101399334B1 (en) 2012-09-24 2012-09-24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664A KR20140039664A (en) 2014-04-02
KR101399334B1 true KR101399334B1 (en) 2014-06-27

Family

ID=5065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096A KR101399334B1 (en) 2012-09-24 2012-09-24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3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2904A (en) * 2014-12-10 2016-06-23 豊田鉄工株式会社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6465009B2 (en) * 2015-12-09 2019-0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Body front structure
WO2019042554A1 (en) * 2017-08-31 2019-03-07 Volvo Truck Corporation A front underrun protection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409A (en) 2001-02-09 2002-08-20 Fuji Heavy Ind Ltd Bumper mounting structure
KR20070055144A (en) * 2005-11-25 2007-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ront end part structure of vehicle
JP2009262674A (en) 2008-04-23 2009-11-12 Hino Motors Ltd Buffering structure of large-sized vehicle
KR101316876B1 (en) * 2012-07-03 2013-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Bumper assembly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409A (en) 2001-02-09 2002-08-20 Fuji Heavy Ind Ltd Bumper mounting structure
KR20070055144A (en) * 2005-11-25 2007-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ront end part structure of vehicle
JP2009262674A (en) 2008-04-23 2009-11-12 Hino Motors Ltd Buffering structure of large-sized vehicle
KR101316876B1 (en) * 2012-07-03 2013-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Bumper assembly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664A (en)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8318B2 (en) Body front structure
JP5907126B2 (en) Auto body front structure
JP5858006B2 (en) Auto body front structure
US20090256389A1 (en) Structure of Vehicle End Section
KR100974748B1 (en) Back beam structure of automobile bumper
US20020017794A1 (en) Floating bumper beam system
CN210000408U (en) Front engine room assembly for electric automobile, automobile body assembly and electric automobile
KR101399334B1 (en)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US20220048570A1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body
EP3718830B1 (en) One piece load distribution device
CN110962936B (en) Cross member structure and vehicle frame
US20150042124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CN111038425A (en) Energy-saving deflector of vehicle body structure for small overlap collision
KR101251751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vehicle front body
KR20130070358A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KR101328396B1 (en)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CN111497945A (en) Wheel casing assembly, automobile body and vehicle
KR100979649B1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JP6024808B2 (en) Auto body front structure
CN217994047U (en) Shock attenuation tower and vehicle
JP2005170269A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0256541B1 (en) Bumper stay
KR102423091B1 (en) Front body for vehicle
CN218257616U (en) Preceding shock attenuation tower assembly and vehicle
KR20130070357A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