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086B1 - 소음저감형 텅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음저감형 텅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086B1
KR101399086B1 KR1020120126979A KR20120126979A KR101399086B1 KR 101399086 B1 KR101399086 B1 KR 101399086B1 KR 1020120126979 A KR1020120126979 A KR 1020120126979A KR 20120126979 A KR20120126979 A KR 20120126979A KR 101399086 B1 KR101399086 B1 KR 101399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mold part
buckle
tpe
tongu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189A (ko
Inventor
이수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6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0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53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2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벨트의 소음저감형 텅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웨빙을 버클에 고정시키기 위한 텅에 있어서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상기 텅을 고정시키는 텅 플레이트부, 상기 텅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웨빙이 관통되는 제1 텅 몰드부 및 상기 제1 텅 몰드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키는 제2 텅 몰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종래 단일 소재로 구성된 텅 몰드부와는 달리, 상기 텅 몰드부의 외측을 부드러운 소재로 교체하여, 상기 소재가 센터 필라의 트림과 텅의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함으로써 마모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소음저감형 텅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저감형 텅 및 이의 제조방법 {Noise reduction tongu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벨트에 사용되는 텅(Tongue)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단단한 단일 소재로 구성된 텅 몰드부의 일부를 부드러운 소재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텅이 센터 필라(Center pillar)의 트림과 충돌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저감형 텅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되는 시트벨트는 차량 추돌, 충돌, 전복사고 또는 급정차 시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상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인데, 일반적으로 웨빙(Webbing), 버클(Buckle), 텅(Tongue) 및 리트렉터(Retrector) 등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웨빙은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로 제조되어 띠 형상을 가지는데, 탑승자가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텅은 상기 웨빙을 버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고, 상기 버클은 시트에 고정되어 상기 텅과 결합되며, 상기 리트렉터는 센터 필라(Center pillar)에 장착되어 버클과 텅이 분리 될 때 상기 웨빙을 자동적으로 감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터 필라는 자동차 측면의 중앙 기둥을 의미하는데, 자동차 정면 유리와 측면 유리 사이에 위치하는 프런트 필라(Front pillar), 자동차 측면 유리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 필라(Center pillar), 측면 유리와 후면 유리 사이에 위치하는 리어 필라(Rear pillar)와 함께 자동차의 기둥 역할을 한다.
근래에 차량의 고급화 및 기술 발전으로 차량의 외부 소음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감소됨에 따라, 차량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대적으로 크게 들리는 경향이 있다. 특히, 버클에서 텅이 분리될 때 상기 텅은 리트렉터에 의해 센터 필라의 트림이 있는 본래의 위치로 돌아가는데, 상기 텅이 센터 필라의 트림과 충돌하게 되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트벨트가 해제된 상태로 운행할 때 자동차의 진동 및 회전 시 관성력에 의하여 텅은 센터 필라의 트림과 지속적으로 충돌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은 안전운전에 방해요소가 될 수 있다.
상기 소음 문제뿐만 아니라, 텅과 센터 팔라의 지속적인 충돌은 부품 자체의 기계적인 마모 및 이에 따른 균열 등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센터 필라의 트림과 충돌하는 종래 시트벨트 텅 몰드부의 외측을 부드러운 소재로 교체하여 텅 몰드부와 센터 필라 트림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감소시켜 쾌적한 운전환경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소음저감형 텅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웨빙을 버클에 고정시키기 위한 텅에 있어서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상기 텅을 고정시키는 텅 플레이트부, 상기 텅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웨빙이 관통되는 제1 텅 몰드부 및 상기 제1 텅 몰드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키는 제2 텅 몰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텅 몰드부의 소재는 TPV(Thermoplastic vulcanizates), TPE(Thermoplastic elastomer), TPO(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및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s)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텅 몰드부 및 제2 텅 몰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부의 크기가 0.4 내지 0.6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텅 몰드부의 소재는 TPE가 3 내지 6 중량% 및 잔부의 TPU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텅 몰드부 및 제2 텅 몰드부의 결합면이 계단형인 것을 포함한다.
한편, 웨빙을 버클에 고정시키기 위한 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상기 텅을 고정시키는 텅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제1 텅 몰드부를 결합시키는 1차 사출 단계, 상기 제1 텅 몰드부의 외측에 제2 텅 몰드부를 결합시키는 2차 사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사용된 각각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센터 필라의 트림과 충돌하는 종래 텅 몰드부의 외측을 부드러운 소재로 교체하여, 상기 소재가 센터 필라의 트림과 텅의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쾌적한 운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트림과 충돌하는 텅 몰드부의 외측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대체함에 따라, 상기 텅과 센터 필라 트림의 지속적인 충격으로 인한 균열 및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텅 몰드부의 외측을 부드러운 소재로 사용함에 따라, 손으로 파지시 촉감을 향상시켜 텅의 상품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텅의 접촉부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종래 시트벨트의 텅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형 텅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의한 텅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텅몰드부의 소재로 TPV가 사용된 사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텅몰드부의 소재로 TPV가 사용된 사진.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텅몰드부의 소재로 TPV가 사용된 사진.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텅몰드부의 소재로 TPV가 사용된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텅 몰드부 및 제2 텅 몰드부의 접합면을 확대한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시험을 끝낸 소음저감형 텅을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형 텅의 이격부를 나타낸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로 상기 결합면이 계단형인 텅의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시트벨트는 승객을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시트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추돌이나 충격시 시트에 착석해 있는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자동차 내부와 충돌하는 2 차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시트벨트는 지지하는 점의 수에 따라 2점식 내지 6점식으로 분류되는데, 현재 일반 승용차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3점식 시트벨트다.
최근 들어 소비자의 차량 선택에 있어 차량 소음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는데, 특히 자동차 실내의 경우, 버클에서 텅이 분리될 때 또는 시트벨트가 해제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할 시 텅이 센터 필라의 트림과 충돌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및 이에 따른 기계적인 마모가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텅 몰드부의 외측을 부드러운 소재로 교체함으로써 텅과 센터 필라의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 및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소음저감형 텅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텅의 접촉부를 나타낸 사진인데, 상기 접촉부(500)는 텅 파지시 손과 접촉되는 부위이면서, 상기 텅이 센터 필라와 충돌하는 부위로, 본 발명은 상기 접촉부(500)를 부드러운 소재로 교체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충격 흡수 및 이에 따른 소음, 마모 감소뿐만 아니라 촉감을 향상시키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 2는 종래 시트벨트의 텅 사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텅은 텅 플레이트부(100) 및 텅 몰드부(20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텅 플레이트부(100)는 상기 텅을 버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텅 몰드부(200)에 웨빙이 관통되며 상기 텅을 웨빙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재 측면에서, 상기 텅 플레이트부(100)는 강철(steel)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텅 몰드부(200)는 폴리 아마이드(PA66, Polyamide66)의 단일 소재로 구성되는데, 상기 텅의 접촉부(500)가 단단한 소재인 폴리 아마이드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텅이 센터 필라의 트림과 충돌하게 되면 소음 및 마모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음 저감형 텅을 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형 텅을 나타낸 사진인데, 상기 사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텅 플레이트부(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종래 단일 소재의 텅 몰드부(200)를 이종 소재 사용을 위해 제1 텅 몰드부(210) 및 제2 텅 몰드부(220)로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텅 몰드부(210)는 상기 텅 플레이트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웨빙이 관통됨에 따라 상기 텅을 상기 웨빙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텅 몰드부(220)는 상기 제1 텅 몰드부(210)의 외측에 결합되며 텅이 센터 필라의 트림과 충돌하거나 파지시 손과 접촉되는 접촉부(500)인데, 본 발명에서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소음 및 기계적인 마모 등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텅은 상기 제1 텅 몰드부(210)에 의해 종래 텅의 성능 및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2 텅 몰드부(220)에 의해 소음 등이 저감되는 기능성을 가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텅 몰드부(220)의 소재 역시 중요한데, 종래 텅 몰드부(200)의 소재와 대비하여 충격 흡수능이 우수한 소재가 사용될 필요가 있는바, TPV(Thermoplastic vulcanizates, 열가소성 가황체), TPE(Thermoplastic elastomer, 열가소성 탄성체), TPO(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또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s,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일실시예로 본 발명에 의한 텅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텅은 일반적인 열가소성 고분자 제조방법인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는데, 종래 텅이 폴리 아마이드(PA66)를 이용하여 버클과 결합되어 텅을 고정시키는 텅 플레이트부(100)의 일측에 텅 몰드부를 사출 성형하는 1차 사출로 제조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 의한 텅은 폴리 아마이드(PA66)를 이용하여 텅 플레이트부(100)의 일측에 웨빙이 관통되는 제1 텅 몰드부(210)를 1차 사출 성형한 다음, 상기 충격 흡수능이 우수한 소재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1 텅 몰드부(210)의 외측에 제2 텅 몰드부(220)를 2차 사출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구체적인 제조공정은 원소재를 보관하는 1단계, 상기 원소재를 사출대기 장소에 보관하는 2단계, 상기 사출대기 장소에 보관된 수지를 건조하는 3단계, 이중소재의 텅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을 세팅하는 4단계, 상기 금형으로 1차 사출을 하는 5단계, 상기 1차 사출품을 바탕으로 2차 사출하는 6단계를 포함하며, 1차 사출 단계 및 2 차 사출 단계에서의 세부적인 사출 조건은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낸다.
구분 조건 구분 조건 구분 조건
사출 1차 속도 36% 사출 1차 압력 36bar 노즐 255℃
사출 2차 속도 52% 사출 2차 압력 52bar 실린더 1 248℃
사출 3차 속도 38% 사출 3차 압력 38bar 실린더 2 246℃
보압 38bar 사출시간 7sec 실린더 3 245℃
계량 속도 45% 냉각시간 15sec - -
상기 표 1은 제1 텅 몰드부(210)의 생산을 위한 1차 사출 조건의 실시예를 나타낸 표이다.
구분 조건 구분 조건 구분 조건
사출 1차 속도 18% 사출 1차 압력 42.8bar 노즐 180℃
사출 2차 속도 18% 사출 2차 압력 42.8bar 실린더 1 178℃
사출 3차 속도 45% 사출 3차 압력 42.8bar 실린더 2 172℃
보압 60bar 사출시간 10sec 실린더 3 170℃
계량 속도 62% 냉각시간 8sec - -
상기 표 2는 제2 텅 몰드부의 생산(220)을 위한 2차 사출 조건의 실시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제2 텅 몰드부(220)를 각각 TPV, TPE, TPO 및 TPU 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한 텅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제1 텅 몰드부(210) 및 제2 텅 몰드부(220)의 접합면을 확대한 사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각 소재의 접합면에서 약간의 들뜸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종 소재의 사용에 따른 들뜸 현상을 최소화하여 접착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출 조건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는데 하기 표 3에서 상세히 알아본다.
구분 PA66 TPV TPE TPO TPU
노즐온도 290℃ 290℃ 220℃ 220℃ 220℃
온수온도 - 50℃ 50℃ 50℃ 50℃
금형온도 - 48℃ 48℃ 48℃ 48℃
접착성 - 우수 우수 미흡 우수
경도 - 낮음 높음 높음 높음
충격시 오염정도 보통 불량 보통 양호
제2 텅 몰드부
강제 이탈시험
- 일부분이
이탈됨
일부분이
이탈됨
전체가
이탈됨
일부분이
이탈됨
상기 표 3은 일실시예로 본 발명에 의한 텅의 제조방법인 사출 성형의 세부 조건 및 시험 결과를 제2 텅 몰드부의 소재에 따라 비교한 표인데, 상기 표에서 나타나는 사출 성형 시의 노즐온도, 온수온도 및 금형온도 수치들은 들뜸 현상을 최소화하여 접착성을 개선하기 위해 다수의 시험(50회)을 통해 얻어진 최적 사출 조건을 나타낸다.
상기 최적 사출 조건에 의해 제조된 텅에 있어서, 제2 텅 몰드부의 접착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제2 텅 몰드부 이탈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2 텅 몰드부(220)의 소재가 TPO인 경우 상기 제2 텅 몰드부(220) 전체가 상기 제1 텅 몰드부(210)에서 이탈되었지만, 제2 텅 몰드부(220)의 소재가 TPV, TPE 및 TPU 인 경우 상기 TPO와는 달리 상기 제2 텅 몰드부(220)의 일부가 이탈되는 결과를 얻었는데, 이를 통해 폴리아마이드 소재에 대한 접착성 측면에서 TPV, TPE 및 TPU 가 TPO 보다 다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각각의 소재별로 접착성 및 경도 등 물성 측면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상기 소재 모두 ES88800-08에 따른 내열성 시험을 통과하여 본 발명에 의한 텅을 사용하는데 있어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시험 방법으로는 온도 70 내지 90℃ 및 상대습도 90 내지 100℃의 조건으로 공기 중에 24시간 동안 방치 후 온도 70 내지 9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시험을 끝낸 소음저감형 텅을 나타낸 사진이다.
다만, 상기 표에서 시험한 소음저감형 텅은 제1 텅 몰드부(210) 및 제2 텅 몰드부(220) 사이에 간격이 없기 때문에 제조 시에 버(Burr)가 발생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버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버(Burr)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미관을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텅 몰드부(210)의 외측에 이격부를 형성하면서 제2 텅 몰드부(220)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형 텅의 이격부를 나타낸 사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텅 몰드부(210) 및 제2 텅 몰드부(220) 사이에 위치한 이격부(400)에 의해 상기 효과가 달성된다.
이 때, 상기 이격부(400)의 크기는 0.4 내지 0.6mm 인 것이 바람직한데, 0.4mm 미만이면 앞서 언급한 이격부(400) 형성 효과가 미미하고, 0.6mm 초과하면 제1 텅 몰드부(210)와 제2 텅 몰드부(220)의 결합력이 크게 감소하여 텅 몰드부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만, 이격부가 추가된 텅은 추가 전 텅과 비교하여 제1 텅 몰드부 및 제2 텅 몰드부의 접착력이 감소되므로, 상기 제2 텅 몰드부의 소재나 사출 조건을 최적화하여 텅의 내구성을 보강할 필요가 있는바, 하기 표 4에서 상세히 살펴 본다.
구분 PA66 TPU(100%) TPU+TPE(3%미만) TPU+TPE(3~6%) TPU+TPE(6%초과)
노즐온도 290℃ 220℃ 220℃ 220℃ 220℃
온수온도 - 50℃ 50℃ 50℃ 50℃
금형온도 - 48℃ 48℃ 48℃ 48℃
접착성 - 불량 불량 우수 우수
경도 - 높음 높음 높음 낮음
충격시 오염정도 -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제2 텅 몰드부
강제 이탈시험
- 전체가
이탈됨
전체가
이탈됨
일부분이
이탈됨
일부분이
이탈됨
상기 표 4는 이격부가 형성된 텅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제2 텅 몰드부(220)의 2차 사출 조건과 시험 결과를 조성에 따라 비교한 표인데, 상기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격부의 추가에 따른 제2 텅 몰드부의 접착성을 시험하기 위해 제2 텅 몰드부 이탈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제2 텅 몰드부(220)의 소재가 TPU인 경우에는 상기 제2 텅 몰드부(220) 전체가 상기 제1 텅 몰드부(210)에서 이탈되어 접착성이 다소 부족한 문제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상기 TPU에 TPE를 적절히 첨가하여 최적의 조성을 찾기 위한 시험 과정을 거쳤는데, TPE가 상기 제2 텅 몰드부(220) 전체 중량 대비 3 중량% 미만이고 잔부가 TPU 일 때에는 상기 제2 텅 몰드부(220) 전체가 이탈되어 접착성이 다소 떨어지며, TPE가 6 중량% 초과이고 잔부가 TPE 일 때에는 상기 제2 텅 몰드부(220)의 일부가 이탈되어 접착성은 우수하지만 충격 시 오염 측면에서 문제가 있는바, 접착성 및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2 텅 몰드부(220)의 조성이 TPE 가 3 내지 6 중량 % 및 잔부가 TPU 일 때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텅 몰드부 및 제2 텅 몰드부의 결합성을 개선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조성의 변경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텅 몰드부 및 제2 텅 몰드부의 결합면의 면적과 결합성이 대체적으로 비례하는 관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 상기 결합면이 계단형인 텅의 단면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텅 몰드부 및 제2 텅 몰드부의 결합면이 계단형이 되도록 제조함에 따라 결합면의 면적을 용이하게 증대시켜 이종 재질의 사용에 따른 결합성 저하를 보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단일 소재의 텅 몰드부를 제1 텅 몰드부 및 제2 텅 몰드부의 이종 소재로 제조하고, 상기 제2 텅 텅 몰드부의 조성 및 결합 관계의 변경을 통해 소음이 저감되고, 내구성이 우수한 소음저감형 텅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 텅 플레이트부
200 : 텅 몰드부
210 : 제1 텅 몰드부
220 : 제2 텅 몰드부
300 : 결합면
400 : 이격부
500 : 접촉부

Claims (12)

  1. 웨빙을 버클에 고정시키기 위한 텅에 있어서,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상기 텅을 고정시키는 텅 플레이트부(100);
    상기 텅 플레이트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웨빙이 관통되는 제1 텅 몰드부(210); 및
    상기 제1 텅 몰드부(210)의 외측에 결합되며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키며, TPV(Thermoplastic vulcanizates), TPE(Thermoplastic elastomer), TPO(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및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s)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제2 텅 몰드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텅.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텅 몰드부(210)의 외면과 제2 텅 몰드부(220)의 외면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격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텅.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400)의 간격이 0.4 내지 0.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텅.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텅 몰드부(220)의 소재는 TPE가 3 내지 6 중량% 및 잔부의 TPU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텅.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텅 몰드부(210) 및 제2 텅 몰드부(220)의 결합면(300)이 계단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텅.
  7. 웨빙을 버클에 고정시키기 위한 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상기 텅을 고정시키는 텅 플레이트부(100)의 일측에 제1 텅 몰드부(210)를 결합시키는 1차 사출 단계; 및
    상기 제1 텅 몰드부(210)의 외측에 TPV, TPE, TPO 및 TPU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제2 텅 몰드부(220)를 결합시키는 2차 사출 단계;를
    포함하는 소음저감형 텅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사출 단계는 상기 제1 텅 몰드부(210)의 외면과 제2 텅 몰드부(220)의 외면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이격부(400)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텅 몰드부(210)에 제2 텅 몰드부(220)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텅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400)의 간격이 0.4 내지 0.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텅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텅 몰드부(220)의 소재는 TPE가 3 내지 6 중량% 및 잔부의 TPU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텅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사출 단계는 상기 제1 텅 몰드부(210) 및 제2 텅 몰드부(220)의 결합면(300)이 계단형이 되도록 제2 텅 몰드부(220)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텅의 제조방법.







KR1020120126979A 2012-11-09 2012-11-09 소음저감형 텅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9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979A KR101399086B1 (ko) 2012-11-09 2012-11-09 소음저감형 텅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979A KR101399086B1 (ko) 2012-11-09 2012-11-09 소음저감형 텅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189A KR20140060189A (ko) 2014-05-19
KR101399086B1 true KR101399086B1 (ko) 2014-05-27

Family

ID=5088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979A KR101399086B1 (ko) 2012-11-09 2012-11-09 소음저감형 텅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0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2310B2 (en) 2018-02-05 2019-12-24 Autoliv Asp, Inc. Noise dampening tongues for use in a seat belt restraining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906U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차량 안전 벨트의 텅 플레이트 보호구
JP2007076641A (ja) 2005-09-08 2007-03-29 Tk Holdings Inc アンチラトルタングプレートアセンブリ
JP2007229350A (ja) * 2006-03-03 2007-09-13 Takata Corp タン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9113532A (ja) 2007-11-02 2009-05-28 Takata Corp タング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906U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차량 안전 벨트의 텅 플레이트 보호구
JP2007076641A (ja) 2005-09-08 2007-03-29 Tk Holdings Inc アンチラトルタングプレートアセンブリ
JP2007229350A (ja) * 2006-03-03 2007-09-13 Takata Corp タン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9113532A (ja) 2007-11-02 2009-05-28 Takata Corp タング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189A (ko)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8507B2 (en) Energy absorbing external component for vehicle
EP3199402B1 (en) Seat-back frame
US9744931B2 (en) Crash pad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93663B1 (ko) 플라스틱 리어 시트팬 제조 방법
US4252341A (en) Crash pad for vehicle seats
US10315602B2 (en) Integrated knee bolster device for vehicle
KR20130132439A (ko) 비대칭 에너지 흡수체 및 그것의 제조 및 이용방법
KR101399086B1 (ko) 소음저감형 텅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7995B1 (ko) 범퍼 백빔 성형 방법 및 이에 의한 범퍼 백빔
US9248798B2 (en) Passive knee bolster
KR101780567B1 (ko) 자동차용 범퍼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9989B1 (ko) 자동차용 필라트림
CN106008875A (zh) 一种用于汽车仪表板真空夹层的聚氨酯
US9517742B2 (en) Shock absorber member for vehicle, vehicle door panel assembly including shock absorber member and vehicle including door panel assembly
KR102100672B1 (ko) 통합형 니볼스터 패널 구조물
JPH0885342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KR102687390B1 (ko) 자동차용 도어 임팩트 빔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116375A1 (en) Energy absorbing material for a vehicle
KR102251342B1 (ko) 차량용 사이드멤버 구조
KR20080000379A (ko) 차량 리어시트의 시트프레임
KR101417055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146468Y1 (ko) 자동차용 니볼스터구조
KR20220136318A (ko) 자동차용 도어 임팩트 빔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124026A (ja) 車両用ニーボルスタ
KR20020008423A (ko) 자동차의 완충용 패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