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969B1 -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 및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 및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969B1
KR101395969B1 KR1020080055785A KR20080055785A KR101395969B1 KR 101395969 B1 KR101395969 B1 KR 101395969B1 KR 1020080055785 A KR1020080055785 A KR 1020080055785A KR 20080055785 A KR20080055785 A KR 20080055785A KR 101395969 B1 KR101395969 B1 KR 101395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ounting
cup
conductive
ad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721A (ko
Inventor
가즈나리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시부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부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부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0055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96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9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41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ans for bonding, e.g. connectors
    • H01L2224/742Apparatus for manufacturing bump connectors

Landscapes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 컵이나 볼 흡착체의 이동에 의해 이들과 배열 마스크 사이에 도전성 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통구멍이 형성된 배열 마스크에 의해 도전성 볼을 피탑재물에 탑재하는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에 다음 수단을 채용한다.
첫 번째로, 배열 마스크의 위쪽에 설치되고 진공원과 접속되어 하면에 도전성 볼을 흡착시킬 수 있는 볼 흡착체를 구비한다.
두 번째로, 진공원에 의한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를 ON 및 OFF 사이에서 전환하는 진공 전환 수단을 구비한다.
세 번째로, 진공 전환 수단에 의해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를 ON으로 하여 볼 흡착체 아래쪽에 존재하는 도전성 볼을 볼 흡착체에 흡착시킨 후,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를 OFF로 하여 볼 흡착체에 흡착되어 있던 도전성 볼을 낙하시킴으로써, 도전성 볼을 피탑재물 상에 탑재한다.

Description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 및 탑재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CONDUCTIVE BALLS}
본 발명은, 피탑재물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탑재 지점에 맞추어 관통구멍이 형성된 배열 마스크를 이용하여 도전성 볼을 피탑재물의 탑재 지점에 탑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탑재물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탑재 지점에 맞추어 관통구멍이 형성된 배열 마스크를 이용하여 도전성 볼을 피탑재물의 탑재 지점에 탑재하는 장치나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도전성 볼을 수용하는 볼 저장부가 배열 지그 상을 이동함으로써, 도전성 볼을 배열하는 장치나 방법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 및 탑재 장치에서 채용되는 볼 컵의 이동에 의한 낙하 방식에서는, 어떻게 해도 볼 컵과 배열 마스크 사이에 도전성 볼이 끼이게 되었다. 또한, 도전성 볼의 직경이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볼 컵과 배열 마스크 사이의 간극, 배열 마스크의 평탄도, 볼 컵의 수평 이동 등에 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며, 정밀도가 나쁘면 볼 컵과 배열 마스크 사이에서 도전성 볼이 빠져나와 낙하할 수 없게 될 위험도 있었다.
그래서, 도전성 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볼 컵(특허 문헌 2에서는 통 부재)의 수평 이동 중에 공기의 흐름에 의해 볼 컵 내의 볼 집합체가 볼 컵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도전성 볼의 집합체가 볼 컵에 접촉하지 않도록 볼 컵을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볼 컵의 이동 속도를 너무 고속으로는 할 수 없고, 이 때문에 탑재 공정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열 마스크와 볼 컵 사이로부터 유입되는 기류를 고속도로 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유입 기류의 속도를 높이면 도전성 볼이 배열 마스크 상에 집합되지 않고, 볼 컵 내에서 날아 오르게 되어 탑재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1899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6-73999호 공보
본 발명은, 도전성 볼을 배열 마스크의 관통구멍으로 낙하시켜 피탑재물 상에 탑재하는 데 있어서, 도전성 볼을 배열 마스크 위쪽에 존재하는 볼 흡착체에 흡착시킴으로써, 볼 컵이나 볼 흡착체의 이동에 의해 이들과 배열 마스크 사이에 도전성 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도전성 볼을 공급하는 볼 컵의 이동 속도를 높여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피탑재물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탑재 지점에 맞추어 관통구멍이 형성된 배열 마스크를 이용하여 도전성 볼을 피탑재물의 탑재 지점에 탑재하는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 및 탑재 장치에 다음 수단을 채용한다.
첫 번째로, 배열 마스크의 위쪽에 설치되고 진공원과 접속되어 하면에 도전성 볼을 흡착시킬 수 있는 볼 흡착체를 구비한다.
두 번째로, 진공원에 의한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를 ON 및 OFF 사이에서 전환하는 진공 전환 수단을 구비한다.
세 번째로, 진공 전환 수단에 의해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를 ON으로 하여 볼 흡착체 아래쪽에 존재하는 도전성 볼을 볼 흡착체에 흡착시킨 후,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를 OFF로 하여 볼 흡착체에 흡착되었던 도전성 볼을 낙하시킴으로써, 도전성 볼을 피탑재물 상에 탑재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이하의 관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서는, 피탑재물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탑재 지점에 맞추어 관통구멍이 형성된 배열 마스크를 이용하여 도전성 볼을 피탑재물의 탑재 지점에 탑재하는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에 있어서, 도전성 볼을 유지할 수 있는 볼 유지체를 구비하고, 도전성 볼을 흡인하는 볼 흡인 유닛을 배열 마스크의 위쪽에 설치하는 공정과, 볼 흡인 유닛 아래쪽에 존재하는 도전성 볼을 흡인하는 공정과, 도전성 볼을 흡인하면서 볼 유지체의 하면에 유지하는 공정과, 도전성 볼을 유지하는 공정 후, 볼 유지체에 유지된 도전성 볼을 피탑재물로 낙하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서는, 볼 흡인 유닛은, 볼 흡인 유닛에 의한 도전성 볼의 흡인의 ON 및 OFF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에 접속되어 있고, 전환 수단이 ON으로 전환되었을 때, 도전성 볼을 흡인 및 유지하는 공정이 행해지며, 전환 수단이 OFF로 전환되었을 때, 도전성 볼을 낙하시키는 공정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서는, 전환 수단을 ON으로 하여 볼 흡인 유닛과 배열 마스크 사이에 기체 유통로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기체 유통로로부터 기체를 유입시킴으로써 도전성 볼을 흡인 및 유지하는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서는, 도전성 볼을 흡인하는 공정 내지 도전성 볼을 낙하시키는 공정을 복수 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서는, 도전성 볼을 낙하시키는 공정에 의해 피탑재물 상으로의 탑재 동작이 종료된 후, 도전성 볼을 흡인 및 유지하는 공정을 행하여 배열 마스크 상의 도전성 볼을 회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서는, 도전성 볼의 탑재 장치로서,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탑재 지점을 구비하는 피탑재물과, 피탑재물 상에 설치되고, 탑재 지점에 맞추어 관통구멍이 형성된 배열 마스크와, 배열 마스크의 위쪽에 설치되고, 도전성 볼을 흡인하는 볼 흡인 유닛과, 볼 흡인 유닛에 포함되고, 하면에 도전성 볼을 유지할 수 있는 볼 유지체와, 볼 흡인 유닛에 접속되어 볼 흡인 유닛에 도전성 볼을 흡인시키는 진공원과, 볼 흡인 유닛에 의한 도전성 볼의 흡인의 ON 및 OFF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전환 수단은 도전성 볼의 흡인을 ON으로 하여 볼 흡인 유닛 아래쪽에 존재하는 도전성 볼을 흡인하여 볼 유지체에 유지시키고, 도전성 볼의 흡인을 OFF로 하여 볼 유지체에 유지되어 있던 도전성 볼을 피탑재물 상에 낙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볼의 탑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서는, 볼 흡인 유닛은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볼 유지체는 케이싱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서는, 볼 흡인 유닛은, 내부 공간을 갖고 하단면이 개구부가 되는 볼 컵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서는, 볼 컵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관점에서는, 전환 수단은 도전성 볼의 흡인의 ON/OFF를 복수 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 관점에서는, 볼 흡인 유닛은 도전성 볼의 흡인을 ON으로 한 상태에서 배열 마스크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 관점에서는, 볼 흡인 유닛을 진동시키는 진동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 관점에서는, 볼 유지체는, 기체를 통과시킬 수 있고, 도전성 볼을 통과시킬 수 없도록 구성된 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 관점에서는, 볼 유지체는 볼 흡인 유닛의 내부를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5 관점에서는, 볼 흡인 유닛의 하부 공간에 접속되고, 도전성 볼을 공급하는 볼 공급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6 관점에서는, 볼 흡인 유닛의 상부 공간과 진공원을 접속하는 흡인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공 전환 수단에 의해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를 ON으로 하여 볼 흡착체 아래쪽에 존재하는 도전성 볼을 볼 흡착체에 흡착시킨 후,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를 OFF로 하여 볼 흡착체에 흡착되어 있던 도전성 볼을 낙하시킴으로써, 도전성 볼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볼 흡착체나 그것에 부속되는 볼 컵 등과 배열 마스크 사이에 도전성 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볼 흡착체나 볼 컵 등의 이동 속도를 높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 도면에 따라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전성 볼의 피탑재물로서는, 반도체 웨이퍼(이후, 단순히 웨이퍼라 표기함)나, 전자(電子) 회로 기판이나 세라믹 기판 등이 있고, 이들의 도전성 볼의 탑재 지점으로서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도전성 볼은 솔더볼(1)로 하고, 피탑재물은 웨이퍼(2)로 하는 솔더볼 마운터(solder ball mount)를 이용한다.
솔더볼 마운터는 일반적으로 반입용의 웨이퍼 수용부, 플럭스 인쇄부, 볼 탑재부, 반출용의 웨이퍼 전달부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 및 탑재 장치는 볼 탑재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볼 탑재부(100)의 일례를 도 1에 도시한다. 볼 탑재부(100)에는 솔더볼 공급 장치(4)와, 웨이퍼(2) 상의 전극의 패턴에 맞추어 배열된 관통구멍(31)이 형성된 볼 배열 마스크(3)와, 솔더볼(1)을 관통구멍(31)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볼 저장부(50)와, 볼 저장부(50)의 구동 기구가 존재한다. 볼 저장부(50)는 볼 흡인 유닛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볼 배열 마스크(3)의 두께는 공급되는 솔더볼(1)의 직경과 대략 동등하며, 관통구멍(31)의 직경은 솔더볼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단, 관통구멍(31)은, 볼 배열 마스크(3)에, 웨이퍼(2)에 인쇄된 플럭스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부의 개구 직경을 상부의 개구 직경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이러한 개구 직경의 확대 대신에, 볼 배열 마스크(3)와 웨이퍼(2)의 사이에 플럭스 부착 방지 간극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볼 배열 마스크(3)는 형틀(33) 상으로 확장되어 프레임 등의 고정부에 유지되어 있다.
(제1 실시예)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컵(5)은 내부 공간을 갖고, 하단면이 개구부(51)가 되며, 내부 공간은 볼 유지체로서의 볼 흡착체(52)에 의해 상부 공간(53)과 하부 공간(54)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볼 흡착체(52)의 부착 위치보다 위쪽인 볼 컵(5)의 상부가 볼 흡착체(52)의 케이싱(66)으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볼 흡착체(52)는 케이싱(66)의 하면에 설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볼 컵(5), 볼 흡착체(52), 케이싱(66)에 의해 볼 흡인 유닛으로서의 볼 저장부(50)가 구성된다. 볼 흡착체(52)는 솔더볼(1)을 통과시키지 않고, 기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스테인레스 메쉬 등의 철망으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볼 컵(5)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1개의 직사각형의 것이지만, 그 수나 형상 및 크기는 피탑재물인 웨이퍼(2)의 형상이나 탑재 효율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예컨대, 하단의 개구부(51)를 원형으로 할 수도 있고, 볼 흡착체(52)를 구비한 볼 컵(5)을 복수 설치할 수도 있다.
볼 컵(5)의 상부 공간(53)은, 전환 수단(진공 전환 수단)으로서의 전자(電磁) 개폐 밸브(57)와 기체의 압력이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레귤레이터(58)를 통해 흡인 통로(55)에 의해 진공원(59)에 접속되어 있고, 볼 배열 마스크(3)와의 사이에서 도 2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은 기체 유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진공원에 의한 볼 컵(5) 내의 흡인 상태의 ON 및 OFF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으로서의 전자 개폐 밸브(57)를 개방함으로써 볼 컵(5) 내의 흡인 상태를 ON으로 하여 볼 컵(5) 아래쪽에 존재하는 솔더볼(1)을 볼 흡착체(52)에 흡착시킨 후, 전자 개폐 밸브(57)를 폐쇄함으로써 볼 컵(5) 내의 흡인 상태를 OFF로 하여 볼 흡착체(52)에 흡착되어 있던 솔더볼(1)을 낙하시킴으로써, 솔더볼(1)을 웨이퍼(2)에 탑재한다. 환언하면, 전자 개폐 밸브(57)는 솔더볼(1)의 흡인의 ON 및 OFF를 전환할 수 있고, 솔더볼(1)의 흡인을 ON으로 하여 볼 컵(5) 아래쪽에 존재하는 솔더볼(1)을 흡인하면서 볼 흡착체(52)의 하면에 유지시키며, 그 후, 솔더볼(1)의 흡인을 OFF로 하여 볼 흡착체(52)에 유지되어 있던 솔더볼(1)을 웨이퍼로 낙하시킴으로써, 솔더볼(1)을 웨이퍼(2)에 탑재한다.
또한, 볼 컵(5) 및 볼 흡착체(52)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스(60; earth)에 의해 접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전기를 띤 솔더볼(1)이 볼 컵(5)의 내면이나 볼 흡착체(5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볼 컵(5)의 외측에는 미소한 진동을 볼 컵(5)에 부여하는 바이브레이터(61)가 부착되어 있고, 적어도 볼 컵(5) 내의 흡인 상태가 OFF일 때에 진동하며, 볼 컵(5)에 부착되어 있는 볼 흡착체(52)에 진동을 전달하여 솔더볼(1)의 낙하를 촉진하도록 되어 있다.
솔더볼 공급 장치(4)는 볼 공급로(56)를 통해 다수의 솔더볼(1)을 저장한 볼 호퍼로부터 볼 컵(5)으로 공급한다. 볼 공급로(56)는 볼 컵(5)의 하부 공간(54)으로 연결되고, 볼 흡착체(52)의 아래쪽으로 솔더볼(1)을 공급한다. 또한, 볼 호퍼는 솔더볼(1)의 사이즈와 재료에 따라 교환된다.
볼 컵(5)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웨이퍼(2)의 전면을 커버한다. 이 볼 컵(5)의 수평면에서의 이동 수단이 되는 이동 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구동 기구 및 Y축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이동 유닛은 X축의 구동 모터(13)로 회전하는 볼 나사(14)에 의해 X축 가이드(11)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Y축의 구동 모터(15)로 회전하는 볼 나사(16)에 의해 Y축 가이드(12)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볼 컵(5)의 승강 장치(18)는, 이동 유닛(10)에 장비된 Z축의 구동 모터(17)에 의해 회전하는 볼 나사에, 볼 컵(5)이 장착된 승강 베이스를, 너트 부재를 통해 부착하고, 이 승강 베이스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볼 컵(5)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볼 컵(5)의 하단과 볼 배열 마스크(3)의 상면 사이의 간극은 볼 흡착 동작시에 소정의 기체류가 얻어지는 간극이라면 솔더볼(1)의 직경보다 커도 좋다. 또한, 솔더볼 공급 장치(4)는 볼 컵(5)과 일체로 이동하며, 볼 컵(5) 내에 솔더볼(1)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지만, 볼 컵(5)과는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고, 또한, 볼 컵(5)의 외측의 볼 배열 마스크(3) 상에 솔더볼(1)을 일단 공급하여, 그 솔더볼(1)을 볼 흡착체(52)로 흡착시키면서 볼 컵(5)을 이동시킴으로써 솔더볼(1)을 탑재 위치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제1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웨이퍼(2)가 볼 탑재부로 이송되기 전 공정으로서, 플럭스 인쇄부에서 웨이퍼(2) 상의 볼 탑재 지점에는 미리 플럭스가 도포되어 있다.
웨이퍼(2)가 볼 탑재부로 이송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 퍼를 올려놓는 스테이지(6)에 웨이퍼(2)가 놓여지고, 이 웨이퍼(2) 상에 볼 배열 마스크(3)가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볼 배열 마스크(3)의 관통구멍(31)의 형상에 의해 플럭스가 볼 배열 마스크(3)에 부착되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볼 배열 마스크(3)와 웨이퍼(2)는 접촉하고 있지만, 상하간의 간극에 의해 플럭스의 부착 방지를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양자가 접촉되지 않는다.
다음에 전환 수단으로서의 전자 개폐 밸브(57)를 개방하여 볼 컵(5) 내의 흡인 상태를 ON으로 하여, 이동 유닛(10)에 의해 볼 컵(5)을 최초의 탑재 위치로 이동시킨다. 볼 컵(5) 내의 흡인 상태를 ON으로 함으로써 볼 컵(5)과 볼 배열 마스크(3) 사이에는 도 2의 화살표로 도시되는 기체 유통로가 형성된다. 이 흡인력에 의해 볼 컵(5) 아래쪽에 존재하는 솔더볼(1)은 부상하여 볼 흡착체(52)에 흡착된다. 이 상태가 볼 컵(5)의 이동 가능 상태이다. 흡인 상태가 OFF인 상태에서는, 볼 컵(5)을 이동시키지 않는다.
볼 컵(5)이 최초의 탑재 위치로 이동한 후, 전자 개폐 밸브(57)를 폐쇄하여 볼 컵(5) 내의 흡인 상태를 OFF로 하고, 바이브레이터(61)를 진동시킨다. 흡인이 정지되면, 볼 컵(5)은 대기에 개방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흡착체(52)에 부착되어 있던 솔더볼(1)이 낙하하여 볼 배열 마스크(3)의 관통구멍(31)으로 들어가 웨이퍼(2)에 탑재된다. 솔더볼(1)의 관통구멍(31)으로의 낙하, 즉 웨이퍼(2)로의 탑재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흡인 상태 ON(흡인)과 OFF(정지)를 복수회 반복[환언하면, 솔더볼(1)의 흡인의 ON/OFF를 복수 회 반복]하고, 바이브레이터(61)는 전자 개폐 밸브(57)의 개폐에 맞추어 진동의 정지와 발생을 반복한다.
또한, 볼 흡착체(52)는 볼 배열 마스크(3)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착된 솔더볼(1)은 위치 에너지를 갖게 되고, 솔더볼(1)이 플럭스 상에 낙하했을때에 전극과 밀착하게 된다.
탑재 완료 후, 전환 수단에 의해 볼 컵(5) 내의 흡인 상태를 ON으로 하여, 재차 흡인을 행한다. 웨이퍼(2)에 탑재된 솔더볼(1)은 플럭스와 접촉하여 점착력이 생겨서 상승하지 않고, 플럭스에 접촉하지 않은 솔더볼(1)은 전부 빨아 올려져 부상하여, 볼 흡착체(52)에 흡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볼 컵(5)은 다음 탑재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다음 탑재 위치로의 이동은 볼 컵(5)의 흡인 상태를 ON으로 하는 것과 동시에 시작하여도 좋다.
최후의 탑재 위치에서의 탑재 동작을 완료하면, 볼 컵(5)으로부터 빠져나와 볼 배열 마스크(3) 위에 산란(散亂)되어 있는 솔더볼(1)을 회수한다. 구체적으로는, 흡인 상태의 볼 컵(5)을 볼 배열 마스크(3) 상면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솔더볼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지만, 전용 흡인 회수 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볼 흡착체(52)의 흡인 상태의 OFF에 따라 대기에 개방되고, 솔더볼(1)이 바이브레이터(61)의 진동을 받아 낙하하고 있지만, 흡인 상태를 OFF로 한 후, 흡인 통로(55)를 통해 가압하여 강제적으로 솔더볼(1)을 낙하시켜도 좋다.
(제2 실시예)
도 4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에서의 볼 컵(5)의 개구부(51)의 하단면은 볼 배열 마스크(3)와 평행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볼 흡착 동작시에 볼 컵(5)의 하단면과 볼 배열 마스크(3)의 상면의 사이에 소정의 기체류를 얻을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는 위치에 볼 컵(5)을 배치하고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는, 볼 컵(5)의 개구부(51)의 하단면에 기체류를 얻을 수 있는 슬릿(62)을 형성한 것이다. 이 슬릿(62)은 개구부(51)에 방사형으로 형성되거나 한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릿(62)을 형성함으로써, 볼 컵(5)과 볼 배열 마스크(3)의 사이의 간극에서의 기체류의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어, 볼 배열 마스크(3)의 부상(浮上)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슬릿(62)의 크기에 따라 볼 컵(5)의 개구부(51)를 볼 배열 마스크(3)에 접촉시킬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도 5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볼 흡착체(52)로부터 볼 배열 마스크(3)로 낙하하는 솔더볼(1)의 낙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서, 볼 컵(5)의 볼 흡착체(52)의 아래쪽에, 상부가 넓게 개구되고, 아래쪽이 탑재 범위에 맞추어 좁게 개구된 볼 가이드(63)를 설치하고 있다.
(제4 실시예)
도 6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볼 컵(5) 내의 형상을 변경하여 볼 흡착체(52)를 탑재 범위에 맞추어 소형으로 하고 있다.
(제5 실시예)
도 7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5 실시예에서는, 볼 컵(5)을 덮는 기체 공급컵(64)을 기체 공급로(65)와 접속시켜 설치하고, 기체 공급로(65)로부 터, 공기나 질소 등의 기체를 공급한다. 예컨대, 질소를 공급하면, 솔더볼(1)의 산화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체 공급로(65)로부터의 기체 공급은, 볼 흡착체(52)의 흡인 상태가 ON일 때 공급이 ON으로 되고, 볼 흡착체(52)의 흡인 상태가 OFF일 때, 공급이 OFF로 되도록 컨트롤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볼 컵(5) 및 기체 공급컵(64)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파이프가 솔더볼(1)의 볼 공급로(56)이다.
(제6 실시예)
도 8에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내지 제5 실시예는 볼 컵(5)을 구비한 것이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컵(5)의 볼 흡착체(52)의 부착 위치보다 아래쪽 부분을 없애도 좋다. 즉 볼 컵(5) 대신에 케이싱(66)의 하단에 볼 흡착체(52)를 설치하여 케이싱(66)에 흡인 통로(55)가 접속되고, 볼 흡착체(52)에 의해 솔더볼(1)의 흡착을 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6 실시예에서는, 볼 흡인 유닛으로서의 볼 저장부(50)는 케이싱(66)과 볼 흡착체(5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볼 흡착체(52)를 관통하여 볼 공급로(56)가 접속되며, 볼 흡착체(52) 아래쪽의 볼 배열 마스크(3) 상에 솔더볼(1)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볼 컵(5)을 갖지 않는 제6 실시예에서는, 볼 흡착체(52)의 위치가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배열 마스크(7)에 가까운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제7 실시예)
도 9에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7 실시예도 제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볼 컵(5)의 볼 흡착체(52)의 부착 위치보다 아래쪽 부분을 없앤 것이다. 제7 실시예에서는, 볼 흡착체(52)를 덮고 볼 공급로(56)와 접속되어 있는 볼 공급 컵(67)이 장비되어 있다. 이 볼 공급컵(67)은 솔더볼(1)의 공급 기능과 함께 산란 방지의 기능도 갖고 있다. 또한, 도 9 중 도면 부호 68은 볼 흡착체(52)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장치로서, 제7 실시예에서는 에어실린더가 이용되고 있다. 볼 흡착체(52)는 볼의 흡착시에는 볼 배열 마스크(3)에 가까운 아래쪽에 위치되고, 볼의 낙하시에는 솔더볼(1)에 위치 에너지를 부여하기 위하여 볼 배열 마스크(3)의 위쪽으로 상승시켜 위치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볼 탑재부 전체를 도시한 평면도 설명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서의 도전성 볼을 흡착시킨 상태의 볼 컵의 설명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서의 도전성 볼의 낙하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볼 컵의 설명도.
도 4는 제2 실시예에서의 볼 컵을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제3 실시예에서의 볼 컵을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제4 실시예에서의 볼 컵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제5 실시예에서의 볼 컵과 기체 공급컵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제6 실시예에서의 볼 흡착체의 설명도.
도 9는 제7 실시예에서의 볼 공급컵이 부착된 볼 흡착체의 설명도.
〈부호의 설명〉
1 : 솔더볼
2 : 웨이퍼
3 : 볼 배열 마스크
4 : 솔더볼 공급 장치
5 : 볼 컵
6 : 웨이퍼를 올려놓는 스테이지
10 : 이동 유닛
11 : X축 가이드
12 : Y축 가이드
13, 15, 17 : 구동 모터
14, 16 : 볼 나사
18 : 승강 장치
31 : 관통구멍
33 : 형틀
50 : 볼 저장부
51 : 개구부
52 : 볼 흡착체
53 : 상부 공간
54 : 하부 공간
55 : 흡인 통로
56 : 볼 공급로
57 : 전자 개폐 밸브
58 : 레귤레이터
59 : 진공원
60 : 어스
61 : 바이브레이터
62 : 슬릿
63 : 볼 가이드
64 : 기체 공급컵
65 : 기체 공급로
66 : 케이싱
67 : 볼 공급컵
68 : 승강 장치
100 : 볼 탑재부

Claims (16)

  1. 피탑재물 상에 정해진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탑재 지점에 맞추어 관통구멍이 형성된 배열 마스크를 이용하여 도전성 볼을 피탑재물의 탑재 지점에 탑재하는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열 마스크를 상기 피탑재물 상에 유지하는 마스크 유지 수단과,
    내부 공간을 갖고 하단면이 개구부가 되는 볼 컵과,
    볼 컵 내에 설치되며, 배열 마스크의 위쪽에 설치되고 진공원과 접속되어 하면에 도전성 볼을 흡착시킬 수 있는 볼 흡착체와,
    진공원에 의한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의 ON 및 OFF를 전환하는 진공 전환 수단과,
    볼 컵을 배열 마스크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유닛을 구비하고,
    진공 전환 수단에 의해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를 ON으로 하여 볼 컵과 배열 마스크 사이에 형성되는 기체 유통로로부터 기체를 유입시킴으로써 볼 흡착체 아래쪽에 존재하는 도전성 볼을 볼 흡착체에 흡착시키는 흡착 공정과, 상기 볼 컵을 정해진 탑재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 공정과, 상기 정해진 탑재 위치에서,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를 OFF로 하여 볼 흡착체에 흡착되었던 도전성 볼을 낙하시킴으로써, 도전성 볼을 피탑재물 상에 탑재하는 탑재 공정을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상기 피탑재물 상에 형성되는 탑재 지점에 도전성 볼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 공정에 있어서,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의 ON 및 OFF를 복수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
  3. 피탑재물 상에 정해진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탑재 지점에 맞추어 관통구멍이 형성된 배열 마스크를 이용하여 도전성 볼을 피탑재물의 탑재 지점에 탑재하는 도전성 볼의 탑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열 마스크를 상기 피탑재물 상에 유지하는 마스크 유지 수단과,
    내부 공간을 갖고 하단면이 개구부가 되는 볼 컵과,
    볼 컵 내에 설치되며, 배열 마스크의 위쪽에 설치되고 진공원과 접속되어 하면에 도전성 볼을 흡착시킬 수 있는 볼 흡착체와,
    진공원에 의한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의 ON 및 OFF를 전환하는 진공 전환 수단과,
    볼 컵을 배열 마스크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유닛을 구비하고,
    진공 전환 수단에 의해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를 ON으로 하여 볼 컵과 배열 마스크 사이에 형성되는 기체 유통로로부터 기체를 유입시킴으로써 볼 흡착체 아래쪽에 존재하는 도전성 볼을 볼 흡착체에 흡착시키는 흡착 동작과, 상기 볼 컵을 정해진 탑재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 동작과, 상기 정해진 탑재 위치에서,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를 OFF로 하여 볼 흡착체에 흡착되었던 도전성 볼을 낙하시킴으로써, 도전성 볼을 피탑재물 상에 탑재하는 탑재 동작을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상기 피탑재물 상에 형성되는 탑재 지점에 도전성 볼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볼의 탑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볼 컵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접지되어 있는 것인 도전성 볼의 탑재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 동작에 있어서, 진공 전환 수단은 볼 흡착체의 흡인 상태의 ON/OFF를 복수회 반복하는 것인 도전성 볼의 탑재 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볼 흡착체를 진동시키는 진동 수단을 설치한 것인 도전성 볼의 탑재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80055785A 2008-06-13 2008-06-13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 및 탑재 장치 KR101395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785A KR101395969B1 (ko) 2008-06-13 2008-06-13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 및 탑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785A KR101395969B1 (ko) 2008-06-13 2008-06-13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 및 탑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721A KR20090129721A (ko) 2009-12-17
KR101395969B1 true KR101395969B1 (ko) 2014-05-16

Family

ID=4168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785A KR101395969B1 (ko) 2008-06-13 2008-06-13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 및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9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630A (ja) * 1997-07-02 1999-01-29 Shinko Electric Ind Co Ltd 外部接続端子形成用の球状体の装着方法及びその装着装置
JP2000277899A (ja) * 1999-03-26 2000-10-06 Nec Corp はんだボール搭載装置及び搭載方法、並びに粒状物搭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630A (ja) * 1997-07-02 1999-01-29 Shinko Electric Ind Co Ltd 外部接続端子形成用の球状体の装着方法及びその装着装置
JP2000277899A (ja) * 1999-03-26 2000-10-06 Nec Corp はんだボール搭載装置及び搭載方法、並びに粒状物搭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721A (ko)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9013B (zh) 導電球之安裝方法及安裝裝置
KR101735835B1 (ko) 도전성 볼의 탑재 장치
US9516763B2 (en) Conductive ball mounting method
JP2011045946A (ja) 基板搬送アーム
KR101395969B1 (ko) 도전성 볼의 탑재 방법 및 탑재 장치
JP5141952B2 (ja)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
JP2010027765A (ja) ボール搭載装置
JPH08264930A (ja) ハンダボール供給方法
JP5553234B2 (ja)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
KR20220044410A (ko) 유지 기구
CN101604641B (zh) 导电性球的搭载方法及搭载装置
JP2006203081A (ja) 部品搬送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表面実装機
JP2007242997A (ja) ボール搭載方法およびボール搭載装置
JP5181390B2 (ja) ボール搭載装置
JP4975280B2 (ja) ボール搭載装置およびボール搭載方法
JP4754887B2 (ja) ボール搭載装置およびボール搭載方法
JP4987350B2 (ja) 微小ボールの除去方法及び除去装置
JP2004031585A (ja)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
JP5242357B2 (ja) 吸着ヘッド、球状体搭載装置および球状体吸着方法
JP3449193B2 (ja) 導電性ボールの移載装置および移載方法
JP2007019050A (ja) ボール搭載装置およびボール搭載方法
JP2004031584A (ja) 導電性ボールの配列搭載方法および装置
JP2006286936A (ja) 電子回路基板製造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部品装着装置
JPH11163017A (ja) 微細ボール搭載装置
JP2009141174A (ja) ボール搭載方法およびボール搭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