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429B1 -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1429B1 KR101391429B1 KR1020120081183A KR20120081183A KR101391429B1 KR 101391429 B1 KR101391429 B1 KR 101391429B1 KR 1020120081183 A KR1020120081183 A KR 1020120081183A KR 20120081183 A KR20120081183 A KR 20120081183A KR 101391429 B1 KR101391429 B1 KR 1013914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midity
- food
- stirring
- food waste
- blow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NUJOXMJBOLGQSY-UHFFFAOYSA-N Manganese dioxide Chemical compound O=[Mn]=O NUJOXMJBOLGQS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51 Copper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4 Metall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7 cataly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91 charge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PLDLSVMHZLSFG-UHFFFAOYSA-N copper oxide Chemical compound [Cu]=O QPLDLSVMHZLS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31 coppe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TUJKJAMUKRIRHC-UHFFFAOYSA-N hydroxyl radical Chemical compound [OH] TUJKJAMUKRIRH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11 meth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39 photo-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48 rad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교반하는 몸체의 내부 환경을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해로운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악취 및 유해한 물질의 생성을 줄이고, 빠르고 완전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된 몸체와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날개가 형성된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교반모터와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메인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 드럼히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ing food garb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ing food garbage,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generation of harmful substances and quickly and completely decomposing food garbage.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including a body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food waste, a stirring shaft having a stirring blade for stirring the food waste, a stirring motor for rotating the stirring shaft, and a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each portion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ard, wherein a drum heate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교반하는 몸체의 내부 환경을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해로운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악취 및 유해한 물질의 생성을 줄이고, 빠르고 완전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ing food garb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ing food garbage,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generation of harmful substances and quickly and completely decomposing food garbage.
음식물 쓰레기의 주요 발생원은 음식점과 집단 급식소 및 가정으로 전체 발생량의 약 90% 이상을 차지하며, 성상별로는 채소류가 약 53%로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버려지는 전체 쓰레기의 약 1/3을 차지할 정도로 많은 양일 뿐 아니라 이를 처리하는 데에도 엄청난 비용이 소요된다.The major sources of food waste are food, food, and households, accounting for more than 90% of the total production. About 53% of the food waste is dominated by vegetables and about 1/3 of the total waste Not only that, but it also takes a tremendous amount of money to process it.
이렇게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약 90%가 매립방식으로 처리되고 있으며, 전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의 약 2% 정도가 가죽사료 및 퇴비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Approximately 90% of the discharged food waste is disposed of by landfill, and about 2% of the total food waste is recycled as leather feed and compost.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주요 문제점으로는 그 특성상 수분 함량이 약 80% 이상으로 비교적 무거운데다 쉽게 부패되므로 자체 냄새와 부패에 따른 심한 악취와 오수까지 발생하므로 장시간 보관할 수 없고,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버리거나 처리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 아니라, 악취 등에 의해 벌레들이 모여들어 비위생적이다.The major problem of such food waste is that its moisture content is about 80% or more, which is comparatively heavy and easily corroded. Therefore, it can not be stored for a long time due to its bad odor and sewage due to its own odor and decay, and food waste is collected and disposed The process is very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and the insects are gathered by the bad smell and are unsanitary.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는 매립이나 소각, 분쇄, 퇴비 및 사료화, 메탄화 등의 방법이 있으며, 매립으로 처리하는 경우 부지확보의 어려움과 악취 및 유해가스가 발생되고 침출수가 흘러나와 지하수가 오염되는 등 2차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며 침출수를 처리하는 데에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소각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폐기물 소각로에서 소각하여 감량된 잔재물을 매립장에 매립하는 방식으로 발열량이 낮고 수분이 많아 소각온도가 저하되므로 보조연류를 추가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Methods for disposing food waste include landfill, incineration, crushing, composting, feed conversion, and methanization. When landfill is carried out, difficulty in site acquisition, odor and toxic gases are generated, leachate flows o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uses a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pollution of the leachate, and also it takes a lot of cost to process the leachate. In case of disposal by incineration, incineration is carried out in a waste incinerator, And the incineration temperature is decreased due to the high water content.
또한, 분쇄처리방식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한 크기로 파쇄시켜 하수도를 통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하수처리 시설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사료화 처리방식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사료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건조시킬 때, 악취가 발생하고 수거 및 운반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며 이물질의 혼입 문제와 부패방지의 곤란 등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case of the pulverizing treatment method, food wastes are crushed to a finer size and processed through sew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sewage treatment facility is necessary. In the case of the feed treatment method, food waste is dried and dried using feed There is a problem that odor is generated, and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collecting and transport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economical efficiency is deteriorated due to a problem of mixing of foreign matter and difficulty in preventing corrup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기성 미생물을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91924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2)를 개폐 가능하도록 뚜껑(30)이 결합되고, 일측면 하부에 상수도관(6)이 연결되며, 타측면 하부에 하수도관(7)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투입구(2)와 연결되며 내부에 설치되고, 하부가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원형의 하부에는 미세한 토출공(11)이 다수개 형성된 교반통(10)과 상기 교반통(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토출공(11)으로 토출된 물을 받으며, 하수도관(7)과 연결되는 배출관(14)이 구비된 물받이통(12)과 상기 교반통(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미생물이 포함된 왕겨 및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고, 교반통(10)의 외측에 결합된 종동스프로킷(41)과 연결되는 교반부재(40)와 상기 교반부재(40)에 회전력을 공급하고, 구동스프로킷(51)과 직접 연결되어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50)와 상기 모터(50)의 구동스프로킷(51)과 교반부재(40)의 종동스프로킷(41)을 연결하며 설치되는 체인)과 상기 교반통(10) 내부에 투입된 미생물이 포함된 왕겨 및 음식물 쓰레기에 상수도관(6)으로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수분을 공급함과 아울러, 물받이통(12)에 떨어진 물을 하수도관(7)으로 보내기 위해 물받이통(12)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20)과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부(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describ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091924 for treating food waste using aerobic microorganisms has been developed, as shown in Figs. 1 and 2, A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91924호에 기재된 기술은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 분해하여 액상으로 소멸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드는 비용을 저감시키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여전히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더욱이, 미생물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호기성 미생물이 잘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그러한 구성이 없어, 호기성 미생물뿐만 아니라 유해한 미생물에 의해 분해과정에서 심한 악취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물질을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091924 discloses a method of completely decomposing food wastes using aerobic microorganisms and destroying them as a liquid phas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food wastes treatment and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odor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reating food waste using microorganisms. Further, in order to treat food waste through microorganisms, it is necessary to stably maintain an environment in which aerobic microorganisms can act well.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aerobic microorganisms but also harmful microorganisms cause not only bad odors in the decomposition process but also substances which are harmful to human body and environment are generat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어 교반되는 몸체의 하부에 드럼히터를 구비하고, 몸체의 내부에 제1온도센서를 구비하여,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유해한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형성하여, 악취 및 유해한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고, 빠르고 안정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um heater in a lower part of a body in which food waste is accommodated and stirred and a first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body, By keeping the temperature constan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harmful microorganisms, to form an environment in which aerobic microorganisms can actively act, to inhibit generation of malodorous and harmful substances, and to rapidly and stably decompose food waste And to provide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어 교반되는 몸체의 내부에 습도센서를 구비하여,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블로워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을 경우(70% 이상)에는 블로워의 회전을 빠르게 함으로써, 내부의 공기를 빠르게 배출하도록 하여, 습도를 내려주고, 습도가 낮을 경우에는 블로워의 회전을 느리게 하여, 습도를 높여줌으로써,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빠르고 안정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umidity sensor inside a body in which food waste is housed and stirred to sense the humidity inside and thereby control a blow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70% or more), the speed of rotation of the blower is increased, the air inside is rapidly discharged, and the humidity is lowered. When the humidity is low, the rotation of the blower is slowed and the humidity is raised. Which is capable of rapidly and stably disassembling the food garbage so as to maintain the constant humidity of the food garbag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상부에 상부 본체를 구비하고, 상부 본체에 도어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내측 도어와 상부 본체 사이에 열림감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내측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는 본체의 측부에 구비된 교반모터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외측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는 여전히 작동하도록 하여, 동작의 멈춤이 없이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upper body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main body, a door is formed in the upper body in a double shape, and an open senso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door and the upper body. The operation of the stirring motor provided at the side of the main body is stopped to prevent the food waste contained therein from splashing out and still operate when the outer door is opened so that the decomposition degree of the food waste And to provide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identifying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된 몸체와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날개가 형성된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교반모터와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메인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 드럼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히터에는 제1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ain board having a stirring shaft for stirring the food wastes, a stirring motor for rotating the stirring shaf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parts, the food wast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drum heater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a first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in the drum heater.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한 온도에 의해 드럼히터를 제어하여 수용부의 온도를 45~65℃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um hea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receiving part at 45 to 65 ° C.
그리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된 상부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는 도어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body is provided with an upper body having an inlet, and the door is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1열림감지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제1열림감지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제2열림감지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first opening sensing magnet is provided on one side edge of the upper body, and a second opening sensing magne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sensing magnet is provided on the door.
한편, 상기 상부몸체의 투입구에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악취배출 방지판넬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body may further include a malodor preventing panel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또한, 상기 몸체의 후면에는 악취제거장치가 구비되되, 악취제거장치의 상단은 상기 상부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하단에는 블로워가 설치되어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판넬의 제2배출구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end of the malodor remov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body and the blower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to remove the malodor removing device. And is connected to be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outlet of the panel.
이때, 상기 수용부에는 습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습도센서에서 감지한 습도에 의해 상기 블로워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수용부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humidity sensor is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er by the humidity sensed by the humidity sensor, thereby maintaining the humidity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constant.
그리고, 수용부의 습도가 너무 높아 제습운전을 수행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는 수용부 내부의 온도를 45~70℃로 유지하도록 하고, 블로워의 회전속도를 최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dehumidifying operation is performed because the humidity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too high,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maintained at 45 to 70 캜,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is maximized.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습도센서에서 감지한 습도가 40% 미만일 경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교반모터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humidity detected by the humidity sensor is less than 40%,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isposal of the food waste has been completed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stirring motor.
한편, 상기 교반모터에는 토크감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토크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토크가 교반모터의 최대 토크보다 클 경우 정,역방향으로 각 2~5회 회전시킨 후 정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torque sensed by the torque sensing unit is greater than the maximum torque of the stirring motor,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motor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wo to five times, and then stops the torque sensing unit .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어 교반되는 몸체의 하부에 드럼히터를 구비하고, 몸체의 내부에 제1온도센서를 구비하여,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유해한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형성하여, 악취 및 유해한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고, 빠르고 안정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drum heater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where the food waste is accommodated and stirred,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an environment in which aerobic microorganisms can actively be formed, there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malodorous and harmful substances, and capable of rapidly and stably decomposing food waste.
그리고,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어 교반되는 몸체의 내부에 습도센서를 구비하여,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블로워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블로워의 회전을 빠르게 함으로써, 내부의 공기를 빠르게 배출하도록 하여, 습도를 내려주고, 습도가 낮을 경우에는 블로워의 회전을 느리게 하여, 습도를 높여줌으로써,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빠르고 안정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umidity sensor inside a body in which food waste is accommodated and agitated to detect humidity inside, thereby controlling a blow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when the humidity is high, The humidity is lowered. In the case where the humidity is low, the rotation of the blower is slowed down and the humidity is raised. Thus, the humidity is maintained so that the aerobic microorganisms can actively ac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arbage can be decomposed stably.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에 상부 본체를 구비하고, 상부 본체에 도어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내측 도어와 상부 본체 사이에 열림감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내측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는 본체의 측부에 구비된 교반모터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외측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는 여전히 작동하도록 하여, 동작의 멈춤이 없이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upper body is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a main body, a door is double formed on the upper body, and an open senso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door and the upper body. It is possi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provided stirring motor so as to prevent the food waste contained therein from splashing out and still operate when the outer door is opened so that the degree of decomposition of the food waste can be checked without stopping the operation .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몸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상부몸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1 is a right side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body of the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upper body of the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malodor removing apparatus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몸체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상부몸체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 제거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upper body of the apparatus for treating garb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부(102)가 구비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를 양측으로 관통하는 교반축(130)과 상기 교반축(130)을 회전시키는 교반모터(120)와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 메인기판(180)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as shown in FIGS. 3 to 8, the apparatus includes a
여기서, 상기 몸체(100)의 양측에는 각각 측면프레임(154)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154)의 내측에는 내부측판(152)이 구비되는데, 상기 교반축(130)은 상기 내부측판(152) 및 측면프레임(154)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A
그리고, 상기 교반축(130)은 수용부(102)에 위치하는 부분에 일정간격으로 교반날개(132)가 형성되는데, 상기 교반날개(132)는 교반축(130)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130)의 일측 단부에는 종동 스프라켓(134)이 설치된다.The
이때, 상기 종동 스프라켓(134)이 위치하는 측면 프레임(154)에는 몸체(100) 방향으로 교반모터(120)가 설치되고, 교반모터(120)의 회전축(부호 미도시)이 측면 프레임(154)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단부에 구동 스프라켓(122)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122)과 종동 스프라켓(134)은 체인(124)으로 연결되어, 교반모터(120)의 회전력을 교반축(130)으로 전달하게 된다.A
그리고, 상기 측면 프레임(154)의 외측에는 고정브라켓(136)이 구비되어, 상기 교반축(13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게 된다.A
한편,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드럼히터(110)에는 제1온도센서(112)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온도센서(112)에서 감지된 온도는 메인기판(180)에 설치된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어, 상기 제어부에서는 드럼히터(110)를 제어하여, 수용부(102)의 온도를 호기성 미생물이 잘 활동할 수 있고, 다른 유해성 미생물이 살 수 없는 45~65℃로 유지하게 한다.The
그래서,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온도( 45~65℃)를 만들어 줌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빠른 시간에 분해할 수 있으며, 다른 유해성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여, 불쾌한 악취나 유해한 물질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us, by making the temperature (45 ~ 65 ° C) at which the aerobic microorganisms can actively act, it is possible to decompose the food waste accommodated in the inside more quickly and to suppress the activity of other harmful microorganisms, From being generated.
그리고, 상기 드럼히터(110)의 외측에는 단열부재(114)를 구비하여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높여주게 된다.A heat insulating member (114)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drum heater (110) to prevent hea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reby increasing thermal efficiency.
또한, 상기 제어부는 교반모터(120)를 제어하여 교반축(130)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동작할 때에는 정방향으로 1분30초 ~ 5분 회전시키고, 5초 ~ 30초 후, 역방향으로 1분30초 ~ 5분 회전시킨 후, 7분 ~ 30분을 휴지한 후, 다시 전술한 순서대로 교반축(130)을 회전시키게 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irring
여기서, 상기 교반모터(120)에는 토크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되어, 교반모터(120)에 걸리는 부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어, 상기 교반축(130)을 회전시킬 때, 토크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토크가 교반모터(120)의 최대 토크보다 클 경우에는 정,역방향으로 각 2~5회 회전시킨 후 정지하도록 하여, 교반모터(120)가 과부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Here, the stirring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는 상부몸체(2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몸체(200)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21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200)의 상부에는 힌지축(202)과 토션스프링(204)을 사용하여 도어(230)가 힌지결합된다.An
이때, 상기 도어(230)는 도어하판(231)과 도어상판(239)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부몸체(200)의 일측 가장자리 상면에는 제1열림감지 마그네트(214)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하판(231)에는 상기 제1열림감지 마그네트(214)에 대응되는 제2열림감지 마그네트(236)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230)의 열림을 감지하게 된다.The
그래서, 상기 제1열림감지 마그네트(214)와 제2열림감지 마그네트(236)의 접촉 및 비접촉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도어(230)의 열림을 감지하게 되므로, 도어(230)가 열리게 되면 교반모터(120)의 동작을 멈추게 하여, 사용자가 완전히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때 부상을 입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information on the contact and non-contact of the first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200)의 투입구(210)에는 사각판 형상의 악취배출 방지판넬(220)이 구비되는데, 상기 악취배출 방지판넬(220)의 가장자리에는 제2패킹(222)이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관통공(224)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도어(230)를 개방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때, 상기 악취배출 방지판넬(22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
또한, 상기 도어(230)의 하부에는 밀폐돌부(232)가 돌출 형성되어, 도어(230)를 닫을 때, 상기 밀폐돌부(232)가 관통공(224)를 밀폐하게 되는데, 상기 밀폐돌부(232)의 가장자리에는 제1패킹(234)이 구비되어, 관통공(224)과의 밀폐력을 높이게 된다.A sealing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는 전면커버(170)가 구비되고, 몸체의 후면에는 후면커버(160)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에는 측면프레임(154)의 외측에 측면커버(150)가 설치되게 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A
한편, 상기 몸체(100)의 후면, 후면커버(160)의 내측에는 악취제거장치(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악취제거장치(300)는 내부에 UV램프(312)가 구비되는 1차챔버(310)와 내부에 알카리 촉매가 구비되는 2차챔버(320)와 내부에 촉매가 구비되는 3차챔버(330)로 이루어지고, 상기 3차챔버(330)의 단부에는 블로워(340)가 연결 설치된다.The
여기서, 상기 1차챔버(310)의 상단에는 "ㄱ"자 형상의 제1연결관(311)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몸체(200)에 형성된 투입구(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212)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1차챔버(310)의 하단에는 "U"자 형상의 제2연결관(321)이 구비되어 2차챔버(320)와 연결되며, 상기 2차챔버(320)의 상단에는 "U"자 형상의 제3연결관(331)이 구비되어 3차챔버(330)와 연결되고, 3차챔버(330)의 하단에는 "L"자 형상의 제4연결관(341)이 구비되어 상기 블로워(340)와 연결되고, 상기 블로워(340)는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제2배출구(142)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The
그래서, 상기 블로워(340)에 의해 수용부(102)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악취 및 해로운 물질을 악취 제거 장치(300)를 통하여 깨끗하게 정화한 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Therefore, the odor and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composing the food waste in the receiving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40)의 하면 모서리에는 각각 지지대(146)가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1차챔버(310)에는 제1고정밴드(318)가 구비되어, 몸체(100)의 후면에 부착설치되고, 제3연결관(331)에는 제2고정밴드(미도시)가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40)에 고정되어, 악취제거장치(3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이때, 상기 1,2,3차챔버(310,320,330)의 양단부에는 각각 밀폐부(부호 미도시)가 형성되어 내부를 밀폐하게 되는데, 상기 1차챔버(310)의 내부에는 금속섬유(316)를 매쉬 형상으로 충전하고, 내부에는 램프커버(314)를 구비하여, 상기 램프커버(314)의 내부로 UV램프(312)를 삽입 설치하게 된다.At this time, a sealing portion (not show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econd and
그래서, 상기 금속섬유(316)는 내부로 유입되는 악취 및 해로운 물질을 어느 정도 걸러주게 되고, 상기 UV램프(312)는 자외선을 방출하고, 특유의 파장에 의해 오존을 생성하게 되어,오존에 의한 오존산화,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 및 OH 라디칼 반응을 통하여 악취를 산화 분해하게 된다.Therefore, the
또한, UV램프(312)의 주위에 금속섬유(316)를 매쉬 형태로 충전시켜 UV램프(312)의 열을 잘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의 산란을 촉진시켜 내부의 악취를 보다 용이하게 분해 제거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UV램프(312)는 일반적인 UV b 램프가 아니라,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UV c 램프를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2차챔버(320)에서는 1차챔버(310)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산성가스를 내부에 구비되는 은나노, 산화구리 등이 첨가된 알카리촉매에 의해 촉매산화 및 중화 분해하게 되며, 상기 3차챔버(330)에서는 내부에 이산화 망간 등으로 구성된 촉매를 통하여 2차챔버(320)에서 미처 제거하지 못한, 잔여 악취와 잔여 오존을 처리하여 완벽하게 악취를 정화시켜, 외부로 신선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In the
이때, 상기 2차챔버(320) 내부에는 카트리지히터(322)가 구비되어, 알카리 촉매로 미처 제거하지 못한, 수증기를 증발시키고, 알카리촉매에 생성되는 촉매독을 제거하게 된다.At this time, a
여기서, 상기 2차챔버(320)에는 제2온도센서(324)가 구비되어,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며, 상기 카트리지히터(322)는 항상 작동하는 것이 아니고, 메인기판(180)에 구비된 제어부에서 설정한 데이터에 의해 3시간 ~ 6시간 주기로 가동되며, 한번 가동될 때에는 10분 ~ 15분 동안 100℃ ~ 600 ℃의 온도로 가동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2차챔버(320)와 3차챔버(33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매쉬필터(326,332)가 구비되어, 내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걸러주게 된다.Mesh filters 326 and 332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한편, 상기 제1배출구(212)에는 내부필터(216)가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유해물질을 일차적으로 걸러주게 되며, 상기 내부필터(216)는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수명이 다하게 되면, 용이하게 교체할 수있게 된다.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 수용부(102)에는 습도센서(104)가 구비되어, 내부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는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습도(40~60%)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블로워(340)에 설치된 블로워모터(342)를 제어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The
즉, 수용부(102)의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블로워모터(342)의 회전속도를 높여, 내부의 수분을 빨리 배출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추게 되고, 내부의 습도가 낮을 경우에는 블로워모터(342)의 회전속도를 줄여주어 수분을 천천히 배출하도록 하여, 내부의 습도를 높여주게 된다.That is, when the humidity of the
그리고, 상기 메인기판(180)에는 컨트롤기판(18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컨트롤기판(182)에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버튼(미도시), 내부의 습도가 높을 경우 제습운전을 하는 제습버튼(미도시), 악취가 많이 발생될 경우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버튼(미도시)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각 버튼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A
이때, 상기 컨트롤기판(182)이 설치되는 전면커버(170)에는 컨트롤부(172)가 형성되어, 상기 각 버튼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a
또한, 상기 컨트롤기판(182)에는 상태표시등(미도시)이 구비되어, 현재 어떠한 동작을 하고 있으며, 내부에 이상이 없는 지를 보여주며, 이상이 발생시에는 상태표시등이 깜박이면서, 내부에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즉, 음식물 쓰레기를 많이 투여하여, 내부의 습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70% 이상)에는 제어부의 판단 또는 사용자가 메인기판(180)에 연결된 컨트롤기판(182)의 제습버튼을 조작하여 제습운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드럼히터(110)를 제어하여 내부의 습기가 빨리 증발하도록 내부의 온도를 45 ~70℃로 유지하도록 하고, 블로워모터(342)의 회전속도를 최대로 하여 내부의 습기를 최대한 빨리 제거하게 하고, 교반모터(120)의 교반주기를 빠르게 하여 습기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게 하여,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신속하게 만들어 주게 된다.That is, when the humidity is excessively high (70% or more), the control unit judges, or the user operates the dehumidifying button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사용되는 호기성 미생물은 일반적인 미생물보다 활동하는 온도(45~65℃)가 높아, 일반적인 미생물이 살 수 없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따른 악취 역시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erobic microorganisms used in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high in temperature (45 to 65 ° C.) that is more active than general microorganisms, and thus general microorganisms can not be consumed and the food waste is prevented from being decayed, .
그리고, 상기 호기성 미생물을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때, 최적의 습도는 40%~60%인데, 상기 습도센서(104)에서 감지된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감지되는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투여된 것으로 판단하고, 습도가 40%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에는 음식물의 분해가 끝나 미생물의 활동량이 줄어드는 것이므로, 분해가 끝난 것으로 판단하여, 교반모터(120)의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1일 1회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전력의 낭비를 줄이며, 악취제거장치(300)는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When the food waste is decomposed using the aerobic microorganisms, the optimum humidity is 40% to 60%. When the humidity sensed by the
또한, 사용중에 악취가 외부로 배출될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기판(182)에 구비된 탈취버튼을 작동시켜, 탈취운전을 시행하게 되면,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기존 3 ~ 6시간 간격으로 10 ~ 15분 동안 동작하던 카트리지히터(322)를 1시간 간격에 15분 동안 동작하도록 하고, 블로워(340)의 가동속도를 높여 보다 빠르게 악취를 제거하도록 한다.When the odo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use, when the deodorization button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deodorization button provided on the
여기서, 상기 블로워모터(342)에는 회전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블로워(342)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에서 블로워모터(342)의 회전속도를 상황에 따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rotation speed of the
이때, 상기 블로워모터(342)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풍량과 풍속은 수용부(102)에 수용할 수 있는 용량에 따라 변화되므로, 이는 상기 메인기판(180)에 구비된 제어부에서 적절하게 설정하여 제어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air volume and the wind speed controlled by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교반하는 몸체의 내부 환경을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해로운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악취 및 유해한 물질의 생성을 줄이고, 빠르고 완전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ing food garb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ing food garbage,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generation of harmful substances and quickly and completely decomposing food garbage.
100 : 몸체 102 : 수용부
104 : 습도센서 110 : 드럼히터
112 : 제1온도센서 114 : 단열부재
120 : 교반모터 130 : 교반축
140 : 베이스프레임 150 : 측면커버
160 : 후면커버 170 : 전면커버
180 : 메인기판 182 : 컨트롤기판
200 : 상부몸체 210 : 투입구
212 : 제1배출구 214 : 제1열림감지 마그네트
220 : 악취배출 방지판넬 230 : 도어
236 : 제2열림감지 마그네트
300 : 악취제거장치 310 : 1차챔버
312 : UV램프 314 : 램프커버
316 : 금속섬유 320 : 2차챔버
322 : 카트리지히터 324 : 제2온도센서
326, 332 : 매쉬필터
330 : 3차챔버 340 : 블로워
342 : 블로워모터100: Body 102:
104: Humidity sensor 110: Drum heater
112: first temperature sensor 114:
120: stirring motor 130: stirring shaft
140: base frame 150: side cover
160: Rear cover 170: Front cover
180: main substrate 182: control substrate
200: upper body 210: inlet
212: first outlet 214: first open sensing magnet
220: odor emission prevention panel 230: door
236: Second open detection magnet
300: odor removing device 310: primary chamber
312: UV lamp 314: Lamp cover
316: metal fiber 320: secondary chamber
322: Cartridge Heater 324: Second Temperature Sensor
326, 332: mesh filter
330: tertiary chamber 340: blower
342: Blower motor
Claims (10)
상기 몸체의 하부에 드럼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히터에는 제1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한 온도에 의해 드럼히터를 제어하여 수용부의 온도를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45~65℃로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된 상부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는 도어하판과 도어상판으로 이루어지는 도어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후면에는 악취제거장치가 구비되되, 악취제거장치의 상단은 상기 상부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하단에는 블로워가 설치되어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판넬의 제2배출구과 연통되며,
상기 악취제거장치는 내부에 UV램프가 구비되는 1차챔버와 내부에 알카리 촉매가 구비되는 2차챔버와 내부에 촉매가 구비되는 3차챔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3차챔버의 단부에는 블로워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nd a main board having a stirring shaft for stirring the food wastes, a stirring motor for rotating the stirring shaf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parts, the food wast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In this case,
A drum heate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The drum heater is provided with a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um hea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receiving part at 45 to 65 ° C, at which the aerobic microorganisms can actively act In addition,
A door comprising a lower door plate and a door upper plate is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The upper end of the odor elimina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body and the blower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panel, A secon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outlet,
The malodor removing apparatus comprises a primary chamber having a UV lamp therein, a secondary chamber having an alkali catalyst therein, and a tertiary chamber having a catalyst therein, and a blower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tertiary chamber Wherein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s installed.
상기 상부몸체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1열림감지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하판에는 상기 제1열림감지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제2열림감지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opening sensing magnet is provided at one side edge of the upper body,
And a second open sensing magne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 sensing magnet is provided on the lower door plate.
상기 상부몸체의 투입구에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악취배출 방지판넬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alodor discharge prevention panel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harging port of the upper body.
상기 수용부에는 습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습도센서에서 감지한 습도에 의해 상기 블로워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수용부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umidity sensor is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er by the humidity sensed by the humidity sensor to maintain the humidity of the storage unit at a constant level.
수용부의 습도가 너무 높아 제습운전을 수행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는 수용부 내부의 온도를 45~70℃로 유지하도록 하고, 블로워의 회전속도를 최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dehumidifying operation is performed because the humidity of the receiving portion is too high,
Wherein the control unit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unit at 45 to 70 DEG C and maximizes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er.
상기 제어부는 습도센서에서 감지한 습도가 40% 미만일경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교반모터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ecomposition of the food waste is completed when the humidity detected by the humidity sensor is less than 40%,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stirring motor.
상기 교반모터에는 토크감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토크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토크가 교반모터의 최대 토크보다 클 경우 정,역방향으로 각 2~5회 회전시킨 후 정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irring motor further includes a torque sens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motor for 2 to 5 times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hen the torque sensed by the torque sensing unit is larger than the maximum torque of the agitation motor, and stops the moto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1183A KR101391429B1 (en) | 2012-07-25 | 2012-07-25 |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
CN201310312599.8A CN103567211A (en) | 2012-07-25 | 2013-07-24 |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1183A KR101391429B1 (en) | 2012-07-25 | 2012-07-25 |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3579A KR20140013579A (en) | 2014-02-05 |
KR101391429B1 true KR101391429B1 (en) | 2014-05-28 |
Family
ID=5004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1183A KR101391429B1 (en) | 2012-07-25 | 2012-07-25 |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1429B1 (en) |
CN (1) | CN103567211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920692A (en) * | 2014-03-31 | 2014-07-16 | 中节能国豪生物环保有限公司 | Intelligent kitchen organic waste processor |
WO2016088939A1 (en) * | 2014-12-05 | 2016-06-09 | 주식회사 멈스전자 |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KR101855489B1 (en) * | 2017-11-30 | 2018-05-08 | 주식회사 다토로 | Apparatus for disposal of garbage |
KR102204490B1 (en) * | 2018-12-31 | 2021-01-18 | 김관배 |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
KR102466335B1 (en) * | 2022-02-21 | 2022-11-16 | 주식회사 리드바이오랩 | Treating apparatus for food wast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49305A (en) * | 1997-03-11 | 1998-09-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Garbage treating device |
KR20030012795A (en) * | 2001-08-03 | 2003-02-12 | 서영대 | garbage disposal device for dishpan |
KR100651263B1 (en) * | 2005-07-12 | 2006-11-30 | 임용빈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by using moisture sensor |
KR20070082336A (en) * | 2006-02-16 | 2007-08-21 | 김갑태 | Food waste dispose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22602B2 (en) * | 1997-02-25 | 2002-09-09 | 松下電工株式会社 | Garbage disposal equipment |
CN2484129Y (en) * | 2001-04-23 | 2002-04-03 | 聪展钢铁有限公司 | Kitchen rubbish processing machine |
JP2006257692A (en) * | 2005-03-16 | 2006-09-28 | San-Ei Faucet Mfg Co Ltd | Lid |
KR100865831B1 (en) * | 2007-05-04 | 2008-10-28 | 동양매직 주식회사 | Food garbage disposer |
US20110099956A1 (en) * | 2009-10-30 | 2011-05-05 | Munchkin, Inc. | System and method for disposing waste packages such as diapers |
EP2338842A3 (en) * | 2009-12-28 | 2011-10-26 | Woongjin Coway Co., Ltd. | Deodorization module |
CN202137175U (en) * | 2011-06-01 | 2012-02-08 | 李文庆 | Kitchen waste processor |
CN202224437U (en) * | 2011-09-15 | 2012-05-23 | 邓联宏 | Kitchen garbage disposer |
-
2012
- 2012-07-25 KR KR1020120081183A patent/KR101391429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7-24 CN CN201310312599.8A patent/CN103567211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49305A (en) * | 1997-03-11 | 1998-09-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Garbage treating device |
KR20030012795A (en) * | 2001-08-03 | 2003-02-12 | 서영대 | garbage disposal device for dishpan |
KR100651263B1 (en) * | 2005-07-12 | 2006-11-30 | 임용빈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by using moisture sensor |
KR20070082336A (en) * | 2006-02-16 | 2007-08-21 | 김갑태 | Food waste dispos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567211A (en) | 2014-02-12 |
KR20140013579A (en) | 2014-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1608B1 (en) | deodorazing device for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 |
KR101391429B1 (en) |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 |
KR101679021B1 (en) | Food Garbage Disposer having Crusher | |
KR100794202B1 (en) | Drum type high efficiency uv rays-food waste disinfection and reduction device | |
KR100701480B1 (en) | Disposal apparatus for food waste | |
KR100675570B1 (en) |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 |
KR100626880B1 (en) | Drying treatment apparatus of food wastes | |
CN210332232U (en) | Waste gas treatment system of household kitchen waste treatment equipment and household kitchen waste treatment equipment | |
KR20070002404A (en) | A food-rest treatment apparatus | |
KR101768887B1 (en) | Food garbage annihilation control system | |
KR20180015909A (en) | Food waste destruction unit | |
KR100735033B1 (en) | Ceramic-ball For Garbage Disposer | |
KR20070098274A (en) |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 |
KR20100106813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waste foods | |
KR200158821Y1 (en) | Disposer for refuse | |
CN213316775U (en) | Kitchen waste processor with deodorization function | |
CN211141843U (en) | Automatic kitchen garbage treatment machine | |
KR10230397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waste containing food waste | |
KR20210152099A (en) | Food waste disposal equipment | |
KR102537371B1 (en) | deodorization apparatus in garbage disposal | |
JP3229702B2 (en) | Garbage processing equipment | |
JP3489018B2 (en) | Garbage processing equipment | |
KR20090030394A (en) |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for restaurants | |
KR200246471Y1 (en) | Analysis Device For Treating The Food Wastes | |
JPH0910748A (en) | Garbage treatment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