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034B1 - 궤도식 차량 - Google Patents

궤도식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034B1
KR101391034B1 KR1020137003004A KR20137003004A KR101391034B1 KR 101391034 B1 KR101391034 B1 KR 101391034B1 KR 1020137003004 A KR1020137003004 A KR 1020137003004A KR 20137003004 A KR20137003004 A KR 20137003004A KR 101391034 B1 KR101391034 B1 KR 101391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guide
equalizing
equalizing link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113A (ko
Inventor
도루 가네모리
히로미치 야마모토
고우스케 가타히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9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0Power and free systems
    • B61B10/04Power and free systems with vehicles rolling trackless on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38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 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e.g. sliding axles, swinging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Abstract

차체의 플로어면에 대해 수직인 선회축 (23)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 (22) 과, 중앙 안내 궤조 (90) 를 끼울 수 있도록 차폭 방향으로 늘어서서 끼움 쌍을 이룸과 함께,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늘어서 있는 안내륜 (30) 과,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있는 2 개의 안내륜 (30) 을 각각 선회축(23) 과 평행한 전동축 (31) 주위에서 전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2 개의 안내륜 (30) 을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고, 선회축 (23) 과 평행한 링크축 (4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 프레임 (22) 에 장착되어 있는 이퀄라이징 링크 (40) 와, 가이드 프레임 (22) 의 선회축 주위의 선회에 연동하여, 주행 타이어 (3) 의 조타각을 바꾸는 조타 링크 기구 (25) 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궤도식 차량{RAIL-TYPE VEHICLE}
본 발명은 중앙 안내 궤조를 따라 주행하는 궤도식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0년 12월 2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0-283192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버스나 철도 이외의 새로운 교통 수단으로서, 신교통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신교통 시스템의 일종으로서는, 고무 타이어로 이루어지는 주행 차륜을 갖는 차량을 중앙 안내 궤도를 따라 주행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차량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차량의 주행 장치는, 중앙 안내 궤조를 끼울 수 있도록 차폭 방향으로 늘어서서 쌍을 이루는 복수의 안내륜과, 차체의 플로어면에 대해 수직인 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선회축 주위의 선회에 연동하여 주행륜의 조타각을 바꾸는 조타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각 안내륜은 선회축과 평행한 전동축 주위로 전동 가능하게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다. 이 주행 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는 끼움 쌍을 2 개 가지고 있다. 즉, 이 주행 장치는 합계 4 개의 안내륜을 가지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47426호 (도 5)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차량에서는, 안내륜에 걸리는 국부적인 부하를 경감하여 안내륜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안내륜을 크게 하고 있다. 그러나, 안내륜을 크게 했기 때문에, 이 안내륜을 포함하는 주행 장치의 높이가 높아진다. 주행 장치의 높이는, 구부러져 있는 주행로를 주행할 때의 차체의 안정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 될 수 있는 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안내륜을 작게 하는 한편으로 안내륜의 수량을 많이 함으로써, 하나의 안내륜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그러나, 단순히, 작은 안내륜을 다수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중앙 안내 궤조의 이음매 등의 단차가 있으면, 안내륜이 작기 때문에, 이 단차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주행 타이어의 조타각이 조금씩 변화하여, 승차감이 악화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에 주목하여, 안내륜을 작게 하면서도, 승차감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궤도식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에 관련된 궤도식 차량은, 중앙 안내 궤조를 따라 주행하는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차체의 플로어면에 대해 수직인 선회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중앙 안내 궤조를 끼울 수 있도록 차폭 방향으로 늘어서서 끼움 쌍을 이룸과 함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늘어서 있는 안내륜과, 복수의 상기 안내륜 중 하나의 안내륜과, 그 하나의 안내륜에 대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측 또는 후측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안내륜을, 각각 상기 선회축과 평행한 전동축 주위에서 전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그 하나의 안내륜과 그 다른 안내륜을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고, 상기 선회축과 평행한 링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선회축 주위의 선회에 연동하여, 주행륜의 조타각을 바꾸는 조타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당해 차량에서는, 1 개의 안내륜이 중앙 안내 궤조의 단차부에 이르고, 이 단차부로부터 급격하게 또한 조금씩 횡하중을 받아도, 단차부에 이르지 않은 나머지의 안내륜은, 그 때, 중앙 안내 궤조로부터 비교적으로 안정된 횡하중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2 개의 안내륜과 이퀄라이징 링크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은, 이 이퀄라이징 링크에 의해, 2 개의 안내륜이 각각 받은 횡하중을 균등화한 횡하중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당해 차량에서는, 안내륜이 중앙 안내 궤조의 이음매 등의 단차 부분에 이르러도 주행 타이어의 조타각이 급격하게 또한 조금씩 변화하지 않아, 안내륜을 작게 해도 승차감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연결 쌍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서 복수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당해 차량에서는 안내륜의 수량이 증가하므로, 안내륜을 작게 해도 안내륜 1 개당의 부하가 커지지 않아, 안내륜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는, 상기 중앙 안내 궤조를 기준으로 하여 차폭 방향의 일방측에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상기 안내륜을 상기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는 링크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을 연결하는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의 상기 링크축과, 그 2 개의 안내륜 중에서 상기 선회축에서 먼 안내륜의 상기 전동축의 간격은, 그 링크축과 그 선회축에서 가까운 안내륜의 상기 전동축과의 간격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차량에서는, 최초로 중앙 안내 궤조의 단차 부분에 접하는, 선회축에서 먼 안내륜이 단차에 의해 크게 변위해도, 링크축에서의 변위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차량에서는, 중앙 안내 궤조의 단차 부분의 주행 중에 있어서의 승차감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선회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체의 외측에, 3 개 이상의 상기 끼움 쌍을 이루는 복수의 상기 안내륜이 배치되고,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체의 상기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안내륜 중, 가장 그 외측에 있고 그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상기 안내륜을 상기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는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로서의 W 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차체의 상기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안내륜 중, 상기 W 이퀄라이징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2 개의 안내륜보다, 그 전후 방향에 있어서 그 차체의 상기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안내륜을, 그 안내륜의 상기 전동축 주위에서 전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W 이퀄라이징 링크의 상기 링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그 W 이퀄라이징 링크를 지지하여, 그 안내륜과 그 W 이퀄라이징 링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선회축과 평행한 LW 링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LW 이퀄라이징 링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선회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체의 중앙측에, 2 개 이상의 상기 끼움 쌍을 이루는 복수의 상기 안내륜이 배치되고, 상기 차체의 상기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안내륜은 각각 상기 연결 쌍의 일방을 이루고, 상호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당해 차량에서는, 예를 들면, 차량이 전진할 때, 중앙 안내 궤조의 이음매 등의 단차 부분이 있어도, 최초로 이 단차 부분에 접하는 안내륜은 W 이퀄라이징 링크로 다른 안내륜과 연결되고, 또한, 이 W 이퀄라이징 링크가 LW 이퀄라이징 링크로 또 다른 안내륜과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최초로 단차 부분에 접한 안내륜이 이 단차 부분으로부터 받은 횡하중은 W 이퀄라이징 링크로 균등화되고, 또한 LW 이퀄라이징 링크로 균등화된다. 따라서, 당해 차량에서는, 중앙 안내 궤조의 단차 부분의 주행 중에 있어서의 승차감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을 연결하는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로서의 제 1 W 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제 1 W 이퀄라이징 링크에 대해, 상기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을 연결하는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로서의 제 2 W 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제 1 W 이퀄라이징 링크의 상기 링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그 제 1 W 이퀄라이징 링크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제 2 W 이퀄라이징 링크의 상기 링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그 제 2 W 이퀄라이징 링크를 지지하여, 그 제 1 W 이퀄라이징 링크와 그 제 2 W 이퀄라이징 링크를 연결하고, 상기 선회축과 평행한 LL 링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LL 이퀄라이징 링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차량에서는, 중앙 안내 궤조의 이음매 등의 단차 부분이 있어도, 이 단차 부분에 접하는 안내륜은 제 1 W 이퀄라이징 링크로 다른 안내륜과 연결되고, 또한 이 제 1 W 이퀄라이징 링크가 LL 이퀄라이징 링크로 제 2 W 이퀄라이징 링크와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안내륜이 이 단차 부분으로부터 받은 횡하중은 W 이퀄라이징 링크로 균등화되고, 또한 LL 이퀄라이징 링크로 균등화된다. 따라서, 당해 차량에서도, 중앙 안내 궤조의 단차 부분의 주행 중에 있어서의 승차감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로서 하나의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중, 상기 중앙 안내 궤조를 기준으로 하여 차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륜과, 그 하나의 끼움 쌍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중 그 차폭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륜을, 상기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는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하나의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중,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륜과, 상기 다른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중 그 차폭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륜을, 상기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는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를 가지고, 상기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의 각각에 핀 결합되고, 상기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상기 안내륜의 간격을 확보하는 간격 확보 로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차량에서는, 1 개의 안내륜이 중앙 안내 궤조의 단차부에 이르고, 이 단차부로부터 급격하게 또한 조금씩 횡하중을 받아도 단차부에 이르지 않은 나머지의 안내륜은, 그 때, 중앙 안내 궤조로부터 비교적으로 안정된 횡하중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2 개의 안내륜과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은, 이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에 의해, 2 개의 안내륜이 각각 받은 횡하중을 균등화한 횡하중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당해 차량에서는 안내륜이 중앙 안내 궤조의 이음매 등의 단차 부분에 이르러도 주행 타이어의 조타각이 급격하게 또한 조금씩 변화하지 않아, 안내륜을 작게 해도 승차감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간격 확보 로드는 자신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구를 가져도 된다.
당해 차량에서는, 간격 확보 로드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의 상호 간격을 바꿀 수 있다. 이 때문에, 안내륜이 마모되어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상기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중 적어도 일방의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에는, 상기 간격 확보 로드가 핀 결합되는 구멍이 미리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당해 차량에서는, 간격 확보 로드가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에 핀 결합되는 위치를 바꿀 수 있으므로,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의 상호 간격을 바꿀 수 있다. 이 때문에, 안내륜이 마모되어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상기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간격 확보 로드는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를 가져도 된다.
당해 차량에서는, 안내륜이 급격한 횡하중을 받은 경우, 간격 확보 로드의 길이가 바뀌어 이 충격적인 횡하중을 흡수할 수 있어, 승차감을 좋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상기 안내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정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차량에서는,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의 상호 간격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안내륜이 마모되어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상기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는, 상기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상기 안내륜이 늘어서 있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를 가져도 된다.
당해 차량에서는, 안내륜이 급격한 횡하중을 받은 경우, 이 안내륜을 지지하는 이퀄라이징 링크가 탄성 변형한다. 이 때문에, 급격한 횡하중을 흡수할 수 있어, 승차감을 좋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의 상기 링크축 주위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 억제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차량에서는, 안내륜이 급격한 횡하중을 받은 경우, 이 안내륜을 지지하는 이퀄라이징 링크의 회전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급격한 주행륜의 조타가 억제되어, 결과적으로 승차감을 좋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안내륜은, 상기 전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면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 전동축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그 본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링크축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그 링크축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과 이퀄라이징 링크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은, 이 이퀄라이징 링크에 의해, 2 개의 안내륜이 각각 받은 횡하중을 균등화한 횡하중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륜이 중앙 안내 궤조의 이음매 등의 단차 부분에 이르러도 주행륜의 조타각이 급격하게 또한 조금씩 변화하지 않아, 안내륜을 작게 해도 승차감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궤도식 차량의 주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에 있어서의 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궤도식 차량의 주행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궤도식 차량의 모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륜 및 간격 조정기의 정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궤도식 차량의 주행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궤도식 차량의 주행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궤도식 차량의 모식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궤도식 차량의 주행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간격 확보 로드의 제 1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간격 확보 로드의 제 2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륜의 정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륜 및 링크 지지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륜 및 다른 링크 지지 기구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궤도식 차량의 각종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궤도식 차량은 모두 중앙 안내 궤조식의 신교통 시스템의 차량이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궤도식 차량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 도 6 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1) 와, 이 차체 (1) 의 하부의 전측에 배치되어 있는 전측 주행 장치 (10f) 와, 이 차체 (1) 의 하부의 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후측 주행 장치 (10b) 를 구비하고 있다.
각 주행 장치 (10 (10f, 10b)) 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1 쌍의 주행 타이어 (3) 와, 이 1 쌍의 주행 타이어 (3) 를 연결하는 차축 (5) 과, 차축 (5) 및 1 쌍의 주행 타이어 (3) 를 지지하는 좌우 1 쌍의 현가 장치 (11) 와, 중앙 안내 궤조 (90) 를 따른 방향으로 주행 타이어 (3) 를 향하게 하는 조타 안내 장치 (20)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측 주행 장치 (10f) 와 후측 주행 장치 (10b) 는 전후 방향이 역으로 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특별히 지장이 없는 한, 전측 주행 장치 (10f) 에 대하여 설명한다.
현가 장치 (11) 는, 차축 (5) 을 지지하는 차축 지지체 (12) 와, 차축 지지체 (12) 와 차체 (1) 의 대틀 (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좌우 1 쌍의 공기 스프링 (19) 과, 차축 지지체 (12) 를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링크 (14) 및 현가틀 (15) 을 구비하고 있다.
현가틀 (15) 은, 차축 지지체 (12) 의 후측에 위치하도록 차체 (1) 의 대틀 (2)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측 주행 장치 (10b) 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측 주행 장치 (10f) 와 전후 방향이 역이기 때문에, 현가틀 (15) 은 차축 지지체 (12) 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현가틀 (15) 과 차축 지지체 (12) 는, 전후로 늘어서서 서로 평행한 2 개의 링크 (14)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들 링크 (14) 의 일방의 단부는 현가틀 (15) 과 핀 결합되고, 이들 링크 (14) 의 타방의 단부는 차축 지지체 (12) 와 핀 결합되어 있다. 현가틀 (15) 과 차축 지지체 (12) 와 2 개의 링크 (14) 는 평행 4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축 지지체 (12) 는 현가틀 (15) 에 대한 방향을 바꾸지 않고 상하동할 수 있다. 또, 2 개의 링크 (14) 는 주행 타이어 (3) 의 구동력이나 감속력을 차체 (1) 에 전달하기 위한 견인 로드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공기 스프링 (19) 은, 그 상단부가 차체 (1) 의 대틀 (2) 에 장착되고, 그 하단부가 차축 지지체 (12) 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 이 공기 스프링 (19) 에 의해, 차체 (1) 에 대한 주행 타이어 (3) 및 차축 (5) 의 상대적인 상하 진동이 완화된다.
조타 안내 장치 (20) 는, 주행 타이어 (3) 의 조타축이 되는 킹 핀 (21) 과, 차축 지지체 (12) 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 (22) 과, 가이드 프레임 (22) 을 차체 (1) 의 플로어면에 수직인 선회축 (23)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 베어링 (24) 과, 가이드 프레임 (22) 의 선회축 (23) 주위의 선회에 연동하여, 주행 타이어 (3) 의 조타각을 바꾸는 조타 링크 기구 (25) 와, 중앙 안내 궤조 (90) 를 끼울 수 있도록 차폭 방향으로 늘어서서 끼움 쌍을 이룸과 함께,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늘어서 있는 안내륜 (30) 과, 2 개의 안내륜 (30) 을 연결하는 이퀄라이징 링크 (40)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 에서는, 이들 도면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조타 링크 기구 (25) 를 생략하고 있다.
가이드 프레임 (22) 은 직사각형 틀을 이루고, 1 쌍의 단변이 마주 보고 있는 방향이 이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후 방향으로 되어 있다.
선회 베어링 (24) 의 선회축 (23) 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체 (1) 의 플로어면에 수직인 축으로서, 차축 (5) 의 길이 방향의 중심, 즉, 좌우 1 쌍의 주행 타이어 (3) 의 중간 위치를 통과하는 축이다.
선회 베어링 (24) 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1 쌍의 차축 지지체 (12) 와 가이드 프레임 (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선회 베어링 (24) 은 내륜과 외륜을 가지고, 내륜과 외륜 중 일방이 1 쌍의 차축 지지체 (12) 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방이 가이드 프레임 (22) 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 프레임 (22) 은 그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중심이 선회축 (23) 상에 위치하고 있다.
조타 링크 기구 (25) (도 1) 는, 주행 타이어 (3) 의 킹 핀 (21) 을 기준으로 하여 주행 타이어 (3) 와 일체적으로 요동하는 스티어링 아암 (26) 과, 이 스티어링 아암 (26) 과 가이드 프레임 (22) 을 연결하는 스티어링 로드 (27) 를 가지고 있다. 스티어링 로드 (27) 의 일방의 단부는 스티어링 아암 (26) 의 단부와 핀 결합되고, 타방의 단부는 가이드 프레임 (22) 과 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프레임 (22) 이 선회축 (23) 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하면, 이 선회에 수반하여 스티어링 로드 (27) 가 변위하고, 이 변위로부터, 스티어링 아암 (26) 및 주행 타이어 (3) 가 킹 핀 (21)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즉, 주행 타이어 (3) 가 조타된다.
중앙 안내 궤조 (90) 를 끼우는 2 개의 안내륜 (30) 으로 구성되는 끼움 쌍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장치 1 대에 대해 4 개이며, 이것들은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1 대의 주행 장치 (10) 에는 합계 8 (=4×2) 개의 안내륜 (30) 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중앙 안내 궤조 (90)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와, 바닥부와, 헤드부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복부를 갖는 철도 레일이다. 안내륜 (30) 은 이 철도 레일의 복부에 접하고, 이 복부에 접하는 부분이 예를 들면,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퀄라이징 링크 (4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안내 궤조 (90) 를 기준으로 하여 차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있는 2 개의 안내륜 (30) 을 연결 쌍으로서 연결하는 링크이다. 따라서, 합계 8 개의 안내륜 (30) 을 가지고 있는 본 실시형태의 주행 장치 (10) 는, 차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에 각각 2 개씩, 합계 4 개의 이퀄라이징 링크 (40) 를 가지고 있다.
이퀄라이징 링크 (40) 는, 그 양단부에서,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을 선회축 (23) 에 평행한 전동축 (31) 주위로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이 이퀄라이징 링크 (40) 는, 그 거의 중앙 부분에서, 선회축 (23) 에 평행한 링크축 (4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측 빔 (22f) 또는 후측 빔 (22b) 에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측 빔 (22f) 에 장착되어 있는 이퀄라이징 링크 (40) 의 링크축 (41) 과 선회축 (23) 의 전후 방향의 거리 (L) 는, 가이드 프레임 (22) 의 후측 빔 (22b) 에 장착되어 있는 이퀄라이징 링크 (40) 의 링크축 (41) 과 선회축 (23) 의 전후 방향의 거리 (L) 와 동등하다. 또, 이퀄라이징 링크 (40) 의 링크축 (41) 과, 이 이퀄라이징 링크 (40) 가 연결하는 2 개의 안내륜 (30) 중에서 선회축 (23) 에서 먼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사이의 전후 방향의 간격 (La) 은, 선회축 (23) 에서 가까운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과의 사이의 전후 방향의 간격 (Lb) 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간격 (La) 과 간격 (Lb) 의 비는, 예를 들면 간격 (La) : 간격 (Lb) = 5:3 이다.
다음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주행 장치 (10)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앙 안내 궤조 (90) 에서 구부러져 있는 부분에 차량이 도달하면, 중앙 안내 궤조 (90) 를 기준으로 하여 곡선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안내륜 (30) 이 구르면서 중앙 안내 궤조 (90) 와 접하고, 이 중앙 안내 궤조 (90) 로부터 차폭 방향의 횡하중을 받는다. 이 횡하중은 이퀄라이징 링크 (40) 를 통해서 가이드 프레임 (22) 에 전달되고, 이 가이드 프레임 (22) 을 선회축 (23) 주위로 선회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 (22) 이 선회축 (23) 주위로 선회하면, 이 선회에 수반하여 조타 링크 기구 (25) 의 스티어링 로드 (27) 가 변위한다. 이 변위로부터, 스티어링 아암 (26) 및 주행 타이어 (3) 가 킹 핀 (21)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즉, 주행 타이어 (3) 가 조타된다.
여기서,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이 가이드 프레임 (22) 에 설치되고, 가이드 프레임 (22) 에 대해 전동축 (31) 이 상대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고찰한다.
이러한 경우, 안내륜 (30) 이 중앙 안내 궤조 (90) 의 이음매 등의 단차 부분에 이르면, 안내륜 (30) 이 받는 횡하중은 급격하게 또한 조금씩 변화한다. 특히, 안내륜 (30) 의 외경이 작은 경우에는 이 경향이 현저하다. 이 때문에, 주행 타이어 (3) 의 조타각도 급격하게 또한 조금씩 변화하여, 승차감이 악화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중 1 개의 안내륜 (30) 이 중앙 안내 궤조 (90) 의 단차부에 이르고, 이 안내륜 (30) 이 급격하게 또한 조금씩 이동하려고 해도, 이 안내륜 (30) 과 이퀄라이징 링크 (40) 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나머지의 안내륜 (30) 은 중앙 안내 궤조 (90) 의 단차부에 이르지 않기 때문에, 단차부에 이른 안내륜 (30) 의 이동을 억제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1 개의 안내륜 (30) 이 중앙 안내 궤조 (90) 의 단차부에 이르고, 이 단차부로부터 급격하게 또한 조금씩 횡하중을 받아도, 단차부에 이르지 않은 나머지의 안내륜 (30) 은 그 때 중앙 안내 궤조 (90) 로부터 비교적으로 안정된 횡하중을 받고 있기 때문에, 2 개의 안내륜 (30) 과 이퀄라이징 링크 (40) 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 (22) 은, 이 이퀄라이징 링크 (40) 에 의해 2 개의 안내륜 (30) 이 각각 받은 횡하중을 균등화한 횡하중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륜 (30) 이 중앙 안내 궤조 (90) 의 이음매 등의 단차 부분에 이르러도, 주행 타이어 (3) 의 조타각이 급격하게 또한 조금씩 변화하지 않아, 승차감을 좋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측 이퀄라이징 링크 (40) 에 관하여, 선회축 (23) 에서 먼 전측의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과 링크축 (41) 사이의 간격 (La) 이, 선회축 (23) 에서 가까운 후측의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과 링크축 (41) 사이의 거리 (Lb) 보다 크다. 이 때문에, 차량이 전방으로 진행하고 있을 때에, 최초로 중앙 안내 궤조 (90) 의 단차 부분에 접하는 전측의 안내륜 (30) 이 단차에 의해 크게 변위해도, 링크축 (41) 에서의 변위량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프레임 (22) 의 후측 이퀄라이징 링크 (40) 에 관하여, 선회축 (23) 에서 먼 후측의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과 링크축 (41) 사이의 간격 (La) 이, 선회축 (23) 에서 가까운 전측의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과 링크축 (41) 사이의 거리 (Lb) 보다 크다. 이 때문에, 차량이 후방으로 진행하고 있을 때에, 최초로 중앙 안내 궤조 (90) 의 단차 부분에 접하는 후측의 안내륜 (30) 이 단차에 의해 크게 변위해도, 링크축 (41) 에서의 변위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이, 이퀄라이징 링크 (40) 의 각 축 (41, 31) 의 축 간격을 적절히 설정하고 있으므로, 중앙 안내 궤조 (90) 의 단차 부분의 주행 중에 있어서의 승차감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륜 (30) 의 외주를 탄성체인 우레탄 고무로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량의 주행거리가 길어지면, 우레탄 고무의 마모에 의해 안내륜 (30) 의 외경이 작아지고,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의 각 외주면에서의 간격이 넓어져, 중앙 안내 궤조 (90) 와의 접촉성이 변화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정기 (43) 를 설치하고 있다. 이 간격 조정기 (43) 는, 이퀄라이징 링크 (40) 의 회전 중심인 원주상의 링크축 (41) 과, 가이드 프레임 (22)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주상의 간격 조정축 (42) 을 가지고 있다. 간격 조정축 (42)은 링크축 (41) 에 대해 평행이지만, 링크축 (41) 에 대해 편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간격 조정기 (43) 를 가이드 프레임 (22) 에 대해 간격 조정축 (42) 주위로 회전시키면, 링크축 (41) 은 차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의 간격을 바꿀 수 있다.
또한, 안내륜 (30) 의 간격을 조정할 때에만, 간격 조정기 (43) 가 가이드 프레임 (22) 에 대해 회전하면 되고, 차량의 주행 중 등일 때에는, 간격 조정기 (43) 가 가이드 프레임 (22) 에 대해 회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간격 조정기 (43) 의 간격 조정축 (42) 에 복수의 키 홈을 형성하고, 차량의 주행 중 등일 때에는, 복수의 키 홈 중 어느 것에 핀을 삽입하는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간격 조정기 (43) 를 회전 불가능하게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1 대의 주행 장치 (10) 에 대해 합계 8 개의 안내륜 (30) 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안내륜 1 개당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내륜 (30) 의 폭 (전동축 방향의 치수) 및 외경을 작게 하여, 중앙 안내 궤조 (90) 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해도, 1 개의 안내륜 (30) 에 걸리는 국부적인 부하는 증가하지 않아, 안내륜 (30) 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륜 (30) 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안내륜 (30) 의 폭 및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내륜 (30) 의 폭을 30 ㎜, 안내륜 (30) 의 외경을 185 ㎜ 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륜 (30) 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이 안내륜 (30) 을 포함하는 주행 장치 (10) 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장치 (10) 상에 배치되어 있는 차체 (1) 의 중심 위치를 낮게 할 수 있어, 구부러져 있는 주행로를 주행할 때의 차체 (1) 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륜 (30) 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중앙 안내 궤조 (90) 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입수 용이한 철도 레일을 채용할 수 있어, 궤도 공사의 단축화나 궤도 공사의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중앙 안내 궤조 (90) 가 철도 레일일 필요는 없고, 중앙 안내 궤조는 예를 들면 I 형 철강이나 H 형 철강 등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이 안내륜 (30) 을 소형화하고 있기는 하나, 안내륜 (30) 이 중앙 안내 궤조 (90) 의 이음매 등의 단차 부분에 이르러도,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이 각각 받은 횡하중을 이퀄라이징 링크 (40) 에 의해 균등화하고 있으므로, 주행 타이어 (3) 의 조타각이 급격하게 또한 조금씩 변화하지 않아, 승차감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궤도식 차량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7 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의 조타 안내 장치 (20a) 도, 제 1 실시형태의 조타 안내 장치 (20) 와 마찬가지로, 킹 핀 (21), 가이드 프레임 (22), 선회 베어링 (24), 안내륜 (30), 이퀄라이징 링크 (40, 44), 조타 링크 기구 (25) 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안내 궤조 (90) 를 끼우는 2 개의 안내륜 (30) 으로 구성되는 끼움 쌍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장치 1 대에 대해 8 개이고, 이것들은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1 대의 주행 장치 (10) 에는 합계 16 (=8×2) 개의 안내륜 (30) 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퀄라이징 링크 (40, 44) 로서,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있는 2 개의 안내륜 (30) 을 연결 쌍으로서 연결하는 이퀄라이징 링크 (40) (이하,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라 한다) 와,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있는 2 개의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를 연결하는 이퀄라이징 링크 (44) (이하, LL 이퀄라이징 링크 (44) 라 한다) 가 있다.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는, 그 양단부에서,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을 선회축 (23) 에 평행한 전동축 (31) 주위로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합계 16 개의 안내륜 (30) 을 가지고 있는 본 실시형태의 주행 장치 (10) 는, 차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에 각각 4 개씩, 합계 8 개의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를 가지고 있다.
LL 이퀄라이징 링크 (44) 는, 그 양단부에서,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있는 2 개의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를 선회축 (23) 에 평행한 W 링크축 (4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이 LL 이퀄라이징 링크 (44) 는, 그 거의 중앙 부분에서, 선회축 (23) 에 평행한 LL 링크축 (45)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측 빔 (22f) 또는 후측 빔 (22b) 에 장착되어 있다.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의 W 링크축 (41) 과, 이 W 이퀄라이징 링크 (40) 가 연결하는 2 개의 안내륜 (30) 중에서 선회축 (23) 에서 먼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사이의 전후 방향의 간격 (La) 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선회축 (23) 에서 가까운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과의 사이의 전후 방향의 간격 (Lb) 보다 크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1 대의 주행 장치 (10) 에 설치하는 안내륜 (30) 의 수량을 제 1 실시형태의 배인 16 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안내륜 (30) 의 1 개당의 부하를 보다 경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륜 (30) 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안내륜 (30) 의 폭 및 외경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륜 (30) 이 중앙 안내 궤조 (90) 의 이음매 등의 단차 부분에 이르러도,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이 각각 받은 횡하중을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에 의해 균등화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고 있는 2 개의 W 이퀄라이징 링크 (40) 가 받은 횡하중을 LL 이퀄라이징 링크 (44) 로 더욱 균등화하고 있으므로, 보다 승차감을 좋게 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궤도식 차량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8 및 도 9 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의 조타 안내 장치 (20b) 도,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조타 안내 장치 (20) 와 마찬가지로, 킹 핀 (21), 가이드 프레임 (22), 선회 베어링 (24), 안내륜 (30), 이퀄라이징 링크 (40, 46), 조타 링크 기구 (25) 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안내 궤조 (90) 를 끼우는 2 개의 안내륜 (30) 으로 구성되는 끼움 쌍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장치 1 대에 대해 5 개이며, 전측 주행 장치 (10f) 의 경우, 선회축 (23) 보다 전측에 3 개의 끼움 쌍이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고, 선회축 (23) 보다 후측에 2 개의 끼움 쌍이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1 대의 주행 장치 (10) 에는 합계 10 (=5×2) 개의 안내륜 (30) 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퀄라이징 링크 (40, 46) 로서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있는 2 개의 안내륜 (30) 을 연결 쌍으로서 연결하는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와,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 있는 안내륜 (30) 과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를 연결하는 이퀄라이징 링크 (46) (이하,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라 한다) 가 있다.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그 양단부에서,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을 선회축 (23) 에 평행한 전동축 (31) 주위로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는, 그 일방의 단부에서,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를 선회축 (23) 에 평행한 W 링크축 (4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타방의 단부에서, 이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와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 있는 안내륜 (30) 을 그 전동축 (31) 주위에서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이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는, 그 거의 중앙 부분에서, 선회축 (23) 에 평행한 LW 링크축 (47)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측 빔 (22f) 에 장착되어 있다.
전측 주행 장치 (10f) 에 있어서, 선회축 (23) 보다 전측의 3 개의 끼움 쌍 중 가장 전측의 끼움 쌍과 다음으로 전측인 끼움 쌍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있는 2 개의 안내륜 (30) 은 연결 쌍으로서 전술한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전측 주행 장치 (10f) 에 있어서, 선회축 (23) 보다 전측이고, 가장 후측, 즉 가장 선회축 (23) 에 가까운 안내륜 (30) 은, 상기의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에 의해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와 연결되어 있다.
또, 전측 주행 장치 (10f) 에 있어서, 선회축 (23) 보다 후측의 2 개의 끼움 쌍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안내륜 (30) 은,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고 있는 2 개의 안내륜 (30) 을 연결 쌍으로 하여,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즉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퀄라이징 링크 (40) 로 연결되어 있다. 이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는, 그 링크축 (4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 프레임 (22) 의 후측 빔 (22b) 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합계 10 개의 안내륜 (30) 을 가지고 있는 본 실시형태의 주행 장치 (10) 는, 차폭 방향의 양측에 각각 2 개씩, 합계 4 개의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를 가지고, 차폭 방향의 양측에 1 개씩, 합계 2 개의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이상의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의 W 링크축 (41) 과, 이 W 이퀄라이징 링크 (40) 가 연결하는 2 개의 안내륜 (30) 중에서 선회축 (23) 에서 먼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사이의 전후 방향의 간격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선회축 (23) 에서 가까운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과의 사이의 전후 방향의 간격보다 크다. 또,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의 LW 링크축 (47) 과, 이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가 연결하는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의 W 링크축 (41) 사이의 전후 방향의 간격 (Lc) 은, 이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가 연결하는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과의 사이의 전후 방향의 간격 (Ld) 보다 크다.
전측 주행 장치 (10f) 에서는, 이상과 같이, 선회축 (23) 을 기준으로 하여, 전측에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와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가 설치되고, 후측에 이퀄라이징 링크 (40) 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후측 주행 장치 (10b) 에서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축 (23) 을 기준으로 하여, 후측에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와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가 설치되고, 전측에 W 이퀄라이징 링크 (40) 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후측 주행 장치 (10b) 에서는, 선회축 (23) 보다 후측에 3 개의 끼움 쌍이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고, 선회축 (23) 보다 전측에 2 개의 끼움 쌍이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그리고, 선회축 (23) 보다 뒤의 3 개의 끼움 쌍 중 가장 후측의 끼움 쌍과 다음으로 후측인 끼움 쌍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있는 2 개의 안내륜 (30) 은 연결 쌍으로서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후측 주행 장치 (10b) 에 있어서, 선회축 (23) 보다 후측이고, 가장 전측, 즉 가장 선회축 (23) 에 가까운 안내륜 (30) 은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에 의해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측 주행 장치 (10b) 에 있어서, 선회축 (23) 보다 전측의 2 개의 끼움 쌍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안내륜 (30) 은,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고 있는 2 개의 안내륜 (30) 을 연결 쌍으로서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전측 주행 장치 (10f) 와 후측 주행 장치 (10b) 는 안내륜 (30) 및 각종 링크 (40, 46) 가 전후 역의 위치에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주행 장치 (10f) 에서도, 후측 주행 장치 (10b) 에서도, 가이드 프레임 (22) 의 선회축 (23) 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차체 (1) 의 외측에 3 개의 끼움 쌍이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그리고, 이 3 개의 끼움 쌍을 이루는 복수의 안내륜 (30) 중,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차체 (1) 의 가장 외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안내륜 (30) 이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로 연결되고, 이 W 이퀄라이징 링크 (40) 와 남아 있는 안내륜 (30) 이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로 연결되어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1 대의 주행 장치 (10) 에 설치하는 안내륜 (30) 의 수량을 제 1 실시형태보다 많은 10 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안내륜 1 개당의 부하를 보다 경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륜 (30) 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안내륜 (30) 의 폭 및 외경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안내륜 (30) 이 중앙 안내 궤조 (90) 의 이음매 등의 단차 부분에 이르렀을 때,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이 각각 받은 횡하중을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로 균등화하고 있으므로, 승차감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이 전방으로 진행하고 있을 때에, 중앙 안내 궤조 (90) 의 이음매 등의 단차 부분이 있어도, 최초로 이 단차 부분에 접하는 전측 주행 장치 (10f) 의 안내륜 (30) 은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로 다른 안내륜 (30) 과 연결된다. 또한, 이 W 이퀄라이징 링크 (40) 가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로 또 다른 안내륜 (30) 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최초로 단차 부분에 접한 안내륜 (30) 이 이 단차 부분으로부터 받은 횡하중은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로 균등화되고, 또한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로 균등화된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이 후방에 진행하고 있을 때에, 중앙 안내 궤조 (90) 의 이음매 등의 단차 부분이 있어도, 최초로 이 단차 부분에 접하는 후측 주행 장치 (10b) 의 안내륜 (30) 은,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로 다른 안내륜 (30) 과 연결되고, 또한 이 W 이퀄라이징 링크 (40) 가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로 또 다른 안내륜 (30) 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최초로 단차 부분에 접한 안내륜 (30) 이 이 단차 부분으로부터 받은 횡하중은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로 균등화되고, 또한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로 균등화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보다 승차감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프레임 (22) 의 선회축 (23) 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차체 (1) 의 외측에만,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및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를 설치하고 있지만, 가이드 프레임 (22) 의 선회축 (23) 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차체 (1) 의 중앙측에도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및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를 설치해도 된다.
또, 앞서 설명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프레임 (22) 의 선회축 (23) 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차체 (1) 의 외측 및 중앙측의 양방에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및 LL 이퀄라이징 링크 (44) 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가이드 프레임 (22) 의 선회축 (23) 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차체 (1) 의 외측에만 W 이퀄라이징 링크 (40) 및 LL 이퀄라이징 링크 (44) 를 설치해도 된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궤도식 차량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0 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의 조타 안내 장치 (20c) 도, 이상의 각 실시형태의 조타 안내 장치 (20) 와 마찬가지로, 킹 핀 (21), 가이드 프레임 (22), 선회 베어링 (24), 안내륜 (30), 이퀄라이징 링크 (48), 조타 링크 기구 (25)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조타 안내 장치 (20c) 는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의 간격을 확보하는 간격 확보 로드 (50) 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안내 궤조 (90) 를 끼우는 2 개의 안내륜 (30) 으로 구성되는 끼움 쌍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주행 장치 1 대에 대해 4 개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1 대의 주행 장치 (10) 에는 합계 8 (=4×2) 개의 안내륜 (30) 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퀄라이징 링크 (48) 로서 하나의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중, 중앙 안내 궤조 (90) 를 기준으로 하여 차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륜 (30) 과, 이 하나의 끼움 쌍과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중 차폭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륜 (30) 을,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는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a) 가 있다. 또한 이퀄라이징 링크 (48) 로서, 전술한 하나의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중 차폭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륜 (30) 과, 전술한 다른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중 차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륜 (30) 을,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는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b) 가 있다.
따라서, 합계 8 개의 안내륜 (30) 을 가지고 있는 본 실시형태의 주행 장치 (10) 는,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a) 및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b) 를 각각 2 개씩, 합계 4 개의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를 가지고 있다.
각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는, 그 양단부에서,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을 선회축 (23) 에 평행한 전동축 (31) 주위로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각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는, 그 중앙 부분에서, 선회축 (23) 에 평행한 크로스 링크축 (49)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 프레임 (22) 의 전측 빔 (22f) 또는 후측 빔 (22b) 에 장착되어 있다. 단,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a) 의 크로스 링크축 (49) 과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b) 의 크로스 링크축 (49) 은 동일한 축이고, 각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a, 48b) 는 그 크로스 링크축 (49) 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
각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의 크로스 링크축 (49) 으로부터, 이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가 연결하는 일방의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까지의 간격 (La) 과, 타방의 안내륜 (30) 의 전동축 (31) 까지의 간격 (La) 은 동일하다.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a) 중에서 중앙 안내 궤조 (90) 를 기준으로 하여 차폭 방향의 일방측 부분과,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b) 중에서 중앙 안내 궤조 (90) 를 기준으로 하여 차폭 방향의 일방측 부분은, 전술한 간격 확보 로드 (50) 로 연결되어,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의 간격이 확보되어 있다.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a) 및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b) 에는, 각각, 간격 확보 로드 (50) 와 연결되는 부분에 관통공 (50a)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및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는, 이 관통공 (50a) 에 삽입 통과되는 핀에 의해 간격 확보 로드 (50) 와 핀 결합되어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1 대의 주행 장치 (10) 에 설치하는 안내륜 (30) 의 수량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8 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안내륜 1 개당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안내륜 (30) 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안내륜 (30) 의 폭 및 외경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도, 안내륜 (30) 이 중앙 안내 궤조 (90) 의 이음매 등의 단차 부분에 이르렀을 때,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이 각각 받은 횡하중을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로 균등화하고 있으므로, 승차감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격 확보 로드 (50) 를 떼어냄으로써,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에 지지되고 있는 안내륜 (30) 을 중앙 안내 궤조 (90) 로부터 간단하게 떼어 놓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안내륜 (30) 의 점검이나 교환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같이, 중앙 안내 궤조 (90) 를 기준으로 하여 차폭 방향의 일방측에 있는 2 개의 안내륜 (30) 을 연결 쌍으로 하는 경우, 도 6 을 이용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내륜 (30) 의 외주의 마모에 대응하기 위해, 이퀄라이징 링크 (40) 의 회전 중심인 링크축 (41) 을 차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간격 조정기 (43) 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중앙 안내 궤조 (90) 를 기준으로 하여 차폭 방향의 일방측에 있는 1 개의 안내륜 (30) 과 타방측에 있는 1 개의 안내륜 (30) 을 연결 쌍으로 하는 경우, 이 연결 쌍을 연결하는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의 크로스 링크축 (49) 을 차폭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중, 일방의 안내륜 (30) 이 중앙 안내 궤조 (90) 에 가까워져도, 타방의 안내륜 (30) 이 중앙 안내 궤조 (90) 로부터 멀어져 버린다. 이 때문에,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의 크로스 링크축 (49) 의 이동으로는 안내륜 (30) 의 마모에 대응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륜 (30) 의 마모에 대응하기 위해, 간격 확보 로드 (50) 가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a) 및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b) 와 핀 결합되는 관통공으로서, 초기 설정시 관통공 (50a) 외에, 마모시 관통공 (50b) 이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a) 및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b) 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a) 에 형성되어 있는 마모시 관통공 (50b) 으로부터, 크로스 링크축 (49) 을 경유하여,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b) 에 형성되어 있는 마모시 관통공 (50b) 까지의 거리 (S2) 는,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a) 에 형성되어 있는 초기 설정시 관통공 (50a) 으로부터, 크로스 링크축 (49) 을 경유하여,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b) 에 형성되어 있는 초기 설정시 관통공 (50a) 까지의 거리 (S1) 보다 짧다. 이 때문에, 안내륜 (30) 이 마모되면, 마모시 관통공 (50b) 에 핀을 삽입하고, 이 핀에 의해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a) 및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b) 를 간격 확보 로드 (50) 와 핀 결합함으로써,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안내륜 (30) 의 마모에 대응하기 위해, 간격 확보 로드 (50) 가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a) 및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b) 와 핀 결합되는 위치를 바꾸고 있지만, 간격 확보 로드 (50) 의 길이를 바꾸는 것으로도,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의 간격을 바꿀 수 있다. 그래서, 안내륜 (30) 의 마모시용으로서 길이가 당초의 간격 확보 로드 (50) 의 길이보다 긴 간격 확보 로드 (50) 를 별도 준비해 두고, 안내륜 (30) 의 마모시에는, 이 마모시용의 간격 확보 로드 (50) 를 사용해도 된다. 또, 길이를 바꿀 수 있는 간격 확보 로드를 이용하여, 안내륜 (30) 의 마모시에는 그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대응하도록 해도 된다.
길이를 바꿀 수 있는 간격 확보 로드로서는, 예를 들면,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간격 확보 로드 (52) 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간격 확보 로드 (52) 는,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에 핀 결합되는 2 개의 오프부 (53) 와, 2 개의 오프부 (53) 간에 설치되어 있는 길이 조정구 (간격 조정기) (55) 를 가지고 있다. 이 길이 조정구 (55) 는, 각 오프부 (53) 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수나사 (56) 와, 각 수나사 (56) 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몸통부 (57) 를 가지고 있다. 각 수나사 (56) 는 그 길이 방향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몸통부 (57) 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몸통부 (57) 의 일방의 암나사가 우나사이고, 타방의 암나사가 좌나사이다. 이 때문에, 몸통부 (57) 를 각 수나사 (56) 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면, 일방의 수나사 (56) 와 타방의 수나사 (56) 의 상대 간격이 변화하고, 이 간격 확보 로드 (52) 의 전체 길이가 변화한다.
또, 간격 확보 로드 (50)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 (58) 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체 (58) 로서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안내륜 (30) 이 중앙 안내 궤조 (90) 의 단차 부분에 이르렀을 때에, 이 탄성체 (58) 가 탄성 변형하여,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의 상호 간격을 바꾸어, 안내륜 (30) 이 받는 충격적인 횡하중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내륜 (30) 이 받는 충격적인 횡하중을 흡수하는 방법으로는, 탄성체 (58) 를 갖는 간격 확보 로드 (50) 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이 늘어서 있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를 갖는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를 이용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의 적어도 일부를, 예를 들면 판 스프링재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크로스 링크축 (49) 주위에서의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의 회전을 억제하는 탄성체 (회전 억제기) 를 설치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체의 일단을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에 장착하고, 타단을 가이드 프레임 (22) 에 장착하게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퀄라이징 링크 (40), W 이퀄라이징 링크 (40), LL 이퀄라이징 링크 (44),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에 관해서도, 안내륜 (30) 이 받는 충격적인 횡하중을 흡수하기 위해서,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와 마찬가지로, 그 적어도 일부를, 예를 들면 판 스프링재로 형성하고,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30) 이 늘어서 있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퀄라이징 링크 (40), W 이퀄라이징 링크 (40), LL 이퀄라이징 링크 (44),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에 관해서, 이것들의 링크축 주위에서의 회전을 억제하는 탄성체 (회전 억제기) 를 설치해도 된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궤도식 차량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3 ∼ 도 15 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의 조타 안내 장치 (20d) 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륜으로서 플랜지가 부착된 안내륜 (32) 을 채용한 것이다.
이 플랜지가 부착된 안내륜 (32) 은, 그 전동축 (31) 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상의 본체 (33) 와, 이 본체 (33) 를 기준으로 하여 전동축 (31) 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본체 (33) 의 외경보다 큰 외경의 플랜지 (34) 를 가지고 있다. 본체 (33) 는 적어도, 그 외주면을 포함하는 부분이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중앙 안내 궤조 (90) 도, 이상의 실시형태의 중앙 안내 궤조 (90) 와 마찬가지로 철도 레일이다. 플랜지가 부착된 안내륜 (32) 의 2 개의 플랜지 (34) 의 상호 간격은, 철도 레일 (90) 의 헤드부 (91) 의 상하 방향의 높이에 거의 동일하고, 상측의 플랜지 (34) 의 하면은 헤드부 (91) 의 상면을 마주 보고, 하측의 플랜지 (34) 의 상면은 헤드부 (91) 의 하면을 마주 본다. 또, 2 개의 플랜지 (34) 간의 본체 (33) 의 측면은 헤드부 (91) 의 측면을 마주 본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플랜지 (34) 로, 철도 레일 (90) 의 헤드부 (91) 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우게 되기 때문에, 이 플랜지가 부착된 안내륜 (32) 은 철도 레일 (90) 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의 상하동할 수 없다. 한편, 이 플랜지가 부착된 안내륜 (32) 이 장착되는 가이드 프레임 (22) 은, 차체 (1) (도 1) 에 대해 상하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차축 지지체 (12) 에 선회 베어링 (24) 을 통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철도 레일 (90) 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동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프레임 (22) 에 대해 플랜지가 부착된 안내륜 (32) 을 상대적으로 상하동할 수 있는 링크 지지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이 링크 지지 기구 (60) 는, 예를 들면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퀄라이징 링크 (40) 의 링크축 (41) 과 가이드 프레임 (22) 을 연결하는 서로 평행한 2 개의 링크 (61) 를 가지고 있다. 2 개의 링크 (61) 는 모두, 일방의 단부가 링크축 (41) 과 핀 결합되고, 타방의 단부가 가이드 프레임 (22) 과 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로 평행한 2 개의 링크 (61) 로, 이퀄라이징 링크 (40) 의 링크축 (41) 과 가이드 프레임 (22) 을 연결함으로써, 링크축 (41) 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이퀄라이징 링크 (40), 및 이 이퀄라이징 링크 (40) 에 지지되어 있는 플랜지가 부착된 안내륜 (32) 을, 가이드 프레임 (22) 에 대해 상하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링크 지지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구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링크 지지 기구 (65) 는, 이퀄라이징 링크 (40) 의 링크축 (41) 과 동축인 장착축 (66) 과, 장착축 (66) 주위에 배치되는 스프링 (67) 을 가지고 있다. 장착축 (66) 은 링크축 (41) 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축 (66) 의 축방향의 양단에는 날밑부 (66a) 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축 (66) 은, 가이드 프레임 (22) 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 (22c) 의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장착축 (66) 의 일방의 날밑부 (66a) 와 브래킷 (22c) 사이, 및 장착축 (66) 의 타방의 날밑부 (66a) 와 브래킷 (22c) 사이에는, 각각 전술한 스프링 (67) 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링크축 (41) 과 장착축 (66) 은 기본적으로 일체 성형물이다.
이상, 이 링크 지지 기구 (65) 로도, 이퀄라이징 링크 (40), 및 이 이퀄라이징 링크 (40) 에 지지되고 있는 플랜지가 부착된 안내륜 (32) 을, 가이드 프레임 (22) 에 대해 상하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이지만, 제 2 ∼ 제 4 실시형태도 마찬가지로 변형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때, 제 2 실시형태에서는, LL 이퀄라이징 링크 (44) 에 대해 링크 지지 기구를 설치하고, 제 3 실시형태에서는, LW 이퀄라이징 링크 (46) 에 대해 링크 지지 기구를 설치하고,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8) 에 대해 링크 지지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차체
2 : 대틀
3 : 주행 타이어
5 : 차축
10, 10f, 10b : 주행 장치
11 : 현가 장치
12 : 차축 지지체
19 : 공기 스프링
20, 20a, 20b, 20c, 20d : 조타 안내 장치
21 : 킹 핀
22 : 가이드 프레임
23 : 선회축
24 : 선회 베어링
25 : 조타 링크 기구
30 : 안내륜
31 : 전동축
32 : 플랜지가 부착된 안내륜
40 : 이퀄라이징 링크 (W 이퀄라이징 링크)
41 : 링크축
43 : 간격 조정기
44 : LL 이퀄라이징 링크
45 : LL 링크축
46 : LW 이퀄라이징 링크
47 : LW 링크축
48, 48a, 48b :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49 : 크로스 링크축
50, 52 : 간격 확보 로드
55 : 길이 조정구
60, 65 : 링크 지지 기구
90 : 중앙 안내 궤조 (철도 레일)

Claims (19)

  1. 중앙 안내 궤조를 따라 주행하는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차체의 플로어면에 대해 수직인 선회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중앙 안내 궤조를 끼울 수 있도록 차폭 방향으로 늘어서서 끼움 쌍을 이룸과 함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늘어서 있는 안내륜과,
    복수의 상기 안내륜 중 하나의 안내륜과, 그 하나의 안내륜에 대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측 또는 후측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안내륜을, 각각 상기 선회축과 평행한 전동축 주위에서 전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그 하나의 안내륜과 그 다른 안내륜을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고, 상기 선회축과 평행한 링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선회축 주위의 선회에 연동하여 주행륜의 조타각을 바꾸는 조타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는, 상기 중앙 안내 궤조를 기준으로 하여 차폭 방향의 일방측에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상기 안내륜을 상기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는 링크이고,
    상기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을 연결하는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의 상기 링크축과, 그 2 개의 안내륜 중에서 상기 선회축에서 먼 안내륜의 상기 전동축의 간격은, 그 링크축과 그 선회축에서 가까운 안내륜의 상기 전동축과의 간격보다 큰 궤도식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선회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체의 외측에, 3 개 이상의 상기 끼움 쌍을 이루는 복수의 상기 안내륜이 배치되고,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체의 상기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안내륜 중, 가장 그 외측에 있고 그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상기 안내륜을 상기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는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로서의 W 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차체의 상기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안내륜 중, 상기 W 이퀄라이징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2 개의 안내륜보다, 그 전후 방향에 있어서 그 차체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안내륜을, 그 안내륜의 상기 전동축 주위에서 전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W 이퀄라이징 링크의 상기 링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그 W 이퀄라이징 링크를 지지하여, 그 안내륜과 그 W 이퀄라이징 링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선회축과 평행한 LW 링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LW 이퀄라이징 링크를 구비하고 있는 궤도식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선회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체의 중앙측에, 2 개 이상의 상기 끼움 쌍을 이루는 복수의 상기 안내륜이 배치되고,
    상기 차체의 상기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안내륜은 각각 상기 연결 쌍의 일방을 이루고, 상호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궤도식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을 연결하는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로서의 제 1 W 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제 1 W 이퀄라이징 링크에 대해, 상기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연결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을 연결하는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로서의 제 2 W 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제 1 W 이퀄라이징 링크의 상기 링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그 제 1 W 이퀄라이징 링크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제 2 W 이퀄라이징 링크의 상기 링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그 제 2 W 이퀄라이징 링크를 지지하여, 그 제 1 W 이퀄라이징 링크와 그 제 2 W 이퀄라이징 링크를 연결하고, 상기 선회축과 평행한 LL 링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LL 이퀄라이징 링크를 구비하고 있는 궤도식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상기 안내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정기를 구비하고 있는 궤도식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쌍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서 복수 배치되어 있는 궤도식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는 상기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상기 안내륜이 늘어서 있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를 갖는 궤도식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의 상기 링크축 주위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 억제기를 구비하고 있는 궤도식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륜은, 상기 전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면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 전동축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그 본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궤도식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축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그 링크축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궤도식 차량.
  11. 중앙 안내 궤조를 따라 주행하는 궤도식 차량에 있어서,
    차체의 플로어면에 대해 수직인 선회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중앙 안내 궤조를 끼울 수 있도록 차폭 방향으로 늘어서서 끼움 쌍을 이룸과 함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늘어서 있는 안내륜과,
    복수의 상기 안내륜 중 하나의 안내륜과, 그 하나의 안내륜에 대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측 또는 후측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안내륜을, 각각 상기 선회축과 평행한 전동축 주위에서 전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그 하나의 안내륜과 그 다른 안내륜을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고, 상기 선회축과 평행한 링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선회축 주위의 선회에 연동하여 주행륜의 조타각을 바꾸는 조타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로서,
    하나의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중, 상기 중앙 안내 궤조를 기준으로 하여 차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륜과, 그 하나의 끼움 쌍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중 그 차폭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륜을, 상기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는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하나의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중,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륜과, 상기 다른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안내륜 중 그 차폭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륜을, 상기 연결 쌍으로서 서로 연결하는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를 가지고,
    상기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의 각각에 핀 결합되고, 상기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상기 안내륜의 간격을 확보하는 간격 확보 로드를 구비하고 있는 궤도식 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확보 로드는 자신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구를 갖는 궤도식 차량.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와 상기 제 2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 중, 적어도 일방의 크로스·이퀄라이징 링크에는 상기 간격 확보 로드가 핀 결합되는 구멍이 미리 복수 형성되어 있는 궤도식 차량.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확보 로드는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를 갖는 궤도식 차량.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쌍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서 복수 배치되어 있는 궤도식 차량.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는 상기 끼움 쌍을 이루는 2 개의 상기 안내륜이 늘어서 있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를 갖는 궤도식 차량.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징 링크의 상기 링크축 주위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 억제기를 구비하고 있는 궤도식 차량.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륜은, 상기 전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면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 전동축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그 본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궤도식 차량.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축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그 링크축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궤도식 차량.
KR1020137003004A 2010-12-20 2011-07-25 궤도식 차량 KR101391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3192 2010-12-20
JP2010283192A JP5325199B2 (ja) 2010-12-20 2010-12-20 軌道式車両
PCT/JP2011/066834 WO2012086251A1 (ja) 2010-12-20 2011-07-25 軌道式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113A KR20130029113A (ko) 2013-03-21
KR101391034B1 true KR101391034B1 (ko) 2014-05-28

Family

ID=4631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004A KR101391034B1 (ko) 2010-12-20 2011-07-25 궤도식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61690B2 (ko)
JP (1) JP5325199B2 (ko)
KR (1) KR101391034B1 (ko)
CN (1) CN103068660B (ko)
HK (1) HK1182063A1 (ko)
SG (1) SG190762A1 (ko)
WO (1) WO2012086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8165B2 (ja) * 2011-12-19 2015-06-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交通システム
JP6274115B2 (ja) * 2013-01-29 2018-02-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WO2015075995A1 (ja) * 2013-11-22 2015-05-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走行台車、及び車両
CN103738349B (zh) * 2014-01-22 2016-05-11 深圳市远望淦拓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轨道车导向架装置
CN104555308B (zh) * 2014-12-03 2017-02-01 南京航空航天大学 有轨输送车、轨道及控制方法
CN104760604B (zh) * 2015-03-13 2017-03-15 南京航空航天大学 可沿空间轨道运动的物流车底盘及运动方法
RU182916U1 (ru) * 2017-11-08 2018-09-0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зве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CN109263677B (zh) * 2018-08-16 2020-03-24 同济大学 一种自动对中列车转向架
CN109398400B (zh) * 2018-09-26 2020-08-25 同济大学 一种面向新轮轨列车的自动对中双轴转向架系统
CN109178016B (zh) * 2018-10-11 2024-02-06 同济大学 一种面向新轮轨列车的新型转向架系统
GB2579190A (en) * 2018-11-22 2020-06-17 Bombardier Transp Gmbh Running gear with a single pair of independent left and right wheels and lateral stop means, and associated low floor rail vehicle
CN109795523B (zh) * 2019-02-21 2023-12-22 路仁电子科技河北有限公司 一种带有轨道多元数据一体化检测机构的轨道车
CN110077422B (zh) * 2019-04-29 2024-01-30 江苏飞梭智行设备有限公司 个人快速运输系统
KR102049037B1 (ko) * 2019-07-29 2019-11-27 비앤에스(주) 주행 및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레일턴모듈 및 이를 이용한 팰릿이송시스템
CN113335327B (zh) * 2020-03-03 2023-06-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转向架以及具有其的轨道车辆、轨道交通系统
US10807617B1 (en) * 2020-04-28 2020-10-20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Anti-seismic retaining system for a mass transit vehicle
CN113830125B (zh) * 2020-06-24 2022-11-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导向轮安装座及具有其的导向装置和轨道车辆
CN114074504B (zh) * 2020-08-14 2023-07-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转向架、轨道车辆及轨道交通系统
CN114379603B (zh) * 2020-10-22 2023-10-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转向架及轨道车辆
WO2022140834A1 (en) 2020-12-29 2022-07-07 Riino Inc. Track structure with hollow center rail usable as ventilation duct
CN114475686B (zh) * 2021-10-28 2023-07-28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钢板运输车及钢板运输系统
CN115416712A (zh) * 2022-10-09 2022-12-02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导向轮装置和使用导向轮的轨道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54608A (ko) * 1971-11-10 1973-08-01
JPS5241313A (en) * 1975-09-29 1977-03-30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Guide wheels for three rail track type vehicles
JP2004268700A (ja) 2003-03-07 2004-09-30 Nippon Steel Corp ループカーの横ぶれ防止装置および横ぶれ防止方法
JP2010195310A (ja) 2009-02-26 2010-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軌道系車両用台車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14718A (fr) * 1920-04-29 1921-03-17 Louis Georges Edouard Lefranc Dispositif destiné à assurer automatiquement la direction des véhicules automobiles ou remorqués et système de voie pour son application
DE1004216B (de) * 1955-10-03 1957-03-14 Heiner Kuch Radsatz fuer Fahrzeuge, insbesondere Schnellbahnfahrzeuge, die laengs einer mittleren Leitschiene durch Drehgestelle gefuehrt sind
US3077165A (en) * 1959-04-11 1963-02-12 Pirelli Vehicle guide means
JPS5247206B2 (ko) * 1971-10-30 1977-12-01
JPS49109312U (ko) * 1973-01-17 1974-09-18
JPS49109312A (ko) 1973-03-02 1974-10-17
US3921532A (en) * 1974-05-16 1975-11-25 Ltv Aerospace Corp Transportation system and vehicle thereof
JPS5811341B2 (ja) * 1976-05-21 1983-03-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案内軌道車輛
JPS52143607A (en) * 1976-05-25 1977-11-30 Tokyu Car Corp Steering mechanism for track vehicle
FR2449017A2 (fr) * 1978-10-13 1980-09-12 Daimler Benz Ag Vehicule routier pouvant etre guide mecaniquement sur une voie
JPS5929559A (ja) * 1982-08-10 1984-02-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案内軌道車の走行装置
JPS59139456A (ja) 1983-01-29 1984-08-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実時間タイマ割込み制御方式
JPS59139456U (ja) * 1983-03-09 1984-09-18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中央案内軌条走行車両の操向装置
JPH04185577A (ja) * 1990-11-20 1992-07-02 East Japan Railway Co 車両案内用の磁石付鉄輪
JP3357167B2 (ja) 1993-05-26 2002-12-16 松下電工株式会社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
JP2582980Y2 (ja) * 1993-12-27 1998-10-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デュアルモード車両等の案内装置における案内輪支持装置
CN2328557Y (zh) * 1998-01-20 1999-07-14 马春东 单轨高速列车动力台车
FR2781823B1 (fr) 1998-07-29 2005-08-26 Lohr Ind Rail de guidage a encoches d'engagement-degagement pour un ensemble de guidage a galets notamment inclines
KR100373309B1 (ko) * 1998-10-02 2003-02-25 다임러크라이슬러 아게 가이드 휠 조립체
ES2298132T3 (es) * 1999-03-12 2008-05-16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dirigir un vehiculo por una guia.
JP3181896B2 (ja) * 1999-08-10 2001-07-0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案内軌道式車両用台車及びそれに用いる案内車輪の配置設定方法
JP3188939B2 (ja) * 1999-08-11 2001-07-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案内軌道式車両用台車
JP2002019603A (ja) 2000-07-10 2002-01-23 Toyota Motor Corp 自動走行車両の走行ガイド装置
JP4125508B2 (ja) * 2001-11-13 2008-07-30 新潟トランシス株式会社 案内軌条式車両用台車の案内輪支持装置
WO2008053572A1 (fr) * 2006-11-01 2008-05-0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Système de circulation de type rails
JP4370285B2 (ja) 2005-06-17 2009-11-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の操舵案内装置
JP5249509B2 (ja) * 2006-11-10 2013-07-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分岐装置
FR2909061B1 (fr) 2006-11-29 2009-01-09 Lohr Ind Dispositif de detection du risque de deraillement et d'evacuation de debris ou d'objets sur la voie de guidage par rail d'un vehicule.
JP4486696B1 (ja) * 2009-02-20 2010-06-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イドレール式車両用台車
JP2010202164A (ja) * 2009-03-06 2010-09-16 Mitsubishi Heavy Ind Ltd 軌道系車両の案内装置
JP5291503B2 (ja) * 2009-03-17 2013-09-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JP5291507B2 (ja) * 2009-03-25 2013-09-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54608A (ko) * 1971-11-10 1973-08-01
JPS5241313A (en) * 1975-09-29 1977-03-30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Guide wheels for three rail track type vehicles
JP2004268700A (ja) 2003-03-07 2004-09-30 Nippon Steel Corp ループカーの横ぶれ防止装置および横ぶれ防止方法
JP2010195310A (ja) 2009-02-26 2010-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軌道系車両用台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86251A1 (ja) 2012-06-28
JP5325199B2 (ja) 2013-10-23
CN103068660B (zh) 2015-08-26
HK1182063A1 (en) 2013-11-22
JP2012131266A (ja) 2012-07-12
KR20130029113A (ko) 2013-03-21
SG190762A1 (en) 2013-07-31
US20130133546A1 (en) 2013-05-30
US9061690B2 (en) 2015-06-23
CN103068660A (zh)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034B1 (ko) 궤도식 차량
JP6077135B2 (ja) 走行台車、及び車両
JP4486696B1 (ja) ガイドレール式車両用台車
JP4486695B1 (ja) ガイドレール式車両用台車
KR101297938B1 (ko) 궤도계 차량용 대차
JP5291503B2 (ja) 軌道系車両用台車
KR101127002B1 (ko) 궤도계 차량의 대차 구조
JP5669914B1 (ja) 走行台車、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車両
EP2938530B1 (en) Steering intermediate arm
JP4317836B2 (ja) 軌道系車両の台車構造
CN110116585B (zh) 轨道车辆的非驱动桥、轨道车辆和轨道交通系统
JP2014144710A (ja) 軌道式車両
CN112298265B (zh) 牵引机构、转向架及轨道车辆
JP2003237571A (ja) 鉄道車両用一軸台車
CN111483489B (zh) 一种转向系统与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
JP2012172463A (ja) 案内軌条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CA2402741E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KR20000016545U (ko) 자동차용 차축 현가 장치
KR20000043162A (ko) 철도 차량 대차의 관절부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