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237B1 -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237B1
KR101390237B1 KR20130086178A KR20130086178A KR101390237B1 KR 101390237 B1 KR101390237 B1 KR 101390237B1 KR 20130086178 A KR20130086178 A KR 20130086178A KR 20130086178 A KR20130086178 A KR 20130086178A KR 101390237 B1 KR101390237 B1 KR 101390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al impact
building
materials
main material
environ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6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우
태성호
노승준
김낙현
김태형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86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237B1/ko
Priority to PCT/KR2014/005797 priority patent/WO20150124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ometr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은 건축물의 환경영향 평가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가 설정치를 상회하는 자재, 및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원단위가 높은 시멘트를 포함하는 주요 자재 목록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주요 자재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에 투입되는 전체 물량 중 환경영향 평가와 연관된 물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산출된 물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환경영향 범주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METHOD FOR BUILD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SING MAIN MATERIAL INVENTOR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2년 리우 유엔환경개발회를 시작으로 모든 산업에서 지속가능한 발전(ESSD, Environmental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의 중요성이 점차적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범인류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환경오염의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이에 건축산업에서는 캐나다, 호주, 독일, 영국 등 환경선진국을 중심으로 건축물의 환경영향을 저감하고자 건축물의 전과정 평가기술 개발과 함께 건축자재의 목록분석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책 및 제도적인 관점에서 이를 지속적으로 보완 및 발전 해 나가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국제적인 움직임에 발맞춰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으나 평가기술의 대부분이 산업연관분석법에 기초한 CO2 배출량만을 평가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어 자원고갈, 산성화, 부영양화, 오존층 파괴 등 다양한 환경영향범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건축물의 전과정 평가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용이한 건축물의 전과정 평가를 위해서는 KS I ISO 14040 등에서 제시한 제외기준(Cutoff Criteria)에 따라 환경영향도가 높은 건축물의 주요 건축자재를 도출하고 다양한 환경영향범주별로 제조단계의 특성화 환경영향을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되지만 이에 대한 기술은 부재한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3-39806호(발명의 명칭: 산업연관표 기반의 건축물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 시스템, 공개일자: 2013년 4월 23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축물의 설계 또는 시공단계에서 건축공사에 투입되는 주요자재의 물량만을 입력하여 건축물의 종합적인 환경영향(지구온난화지수, 부영향화지수, 자원고갈지수, 오존층파괴지수, 광화학적산화물지수 등)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는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은 건축물의 환경영향 평가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가 설정치를 상회하는 자재, 및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원단위가 높은 시멘트를 포함하는 주요 자재 목록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주요 자재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에 투입되는 전체 물량 중 환경영향 평가와 연관된 물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산출된 물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환경영향 범주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주요 자재 목록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건축물의 물량 산출 내역서를 분석하여 건축물 시공 시 투입되는 건축자재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6대 온실가스 배출량(CO2, CH4, N2O, HFCS, PFCS, SF6)을 평가하는 단계; 환경영향물질 국가표준 데이터베이스(LCI DB: Life Cycle Inventory Datbase)에 기초하여, 상기 6대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건축자재별 온실가스 원단위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건축자재별 온실가스 원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의 전체 온실가스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온실가스의 평가에 따라 상기 설정치를 상회하는 자재를 상기 시멘트와 함께 상기 주요 자재 목록으로서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치는 상기 건축물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CI DB는 국가 LCI DB(탄소배출계수 포함) 및 건축자재 환경성정보 국가 D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환경영향 범주는 지구온난화, 오존층 감소, 산성화, 부영양화, 자원고갈 및 광화학적산화물의 6가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요 자재 목록은 상기 건축물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95%를 상회하는 자재로서, 레미콘, 철근, 철골, 페인트, 유리, 콘크리트제품 및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은 벽식구조 공동주택을 케이스(Case) 1의 기준건축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 1을 바탕으로 구조적인 차이에 따라 무량판 혼합구조의 케이스 2 및 무량판 기둥식구조의 케이스 3을 설정하는 단계;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통해 각 케이스별 구조재료 및 마감재료의 물량을 산출하고 일위대가를 적용하여 중량 기준으로 환산하는 단계; 환경성적표지 인증제도에서 제시한 환경영향 범주별 기준물질 및 영향지수에 따라 분류화를 진행하는 단계; 및 하기 수식을 통해 상기 분류화 내역에 대한 특성화를 수행하여 상기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식]
Figure 112013065957730-pat00001
여기서, CIi는 환경영향의 크기, Loadj=jth는 목록항목 환경부하량, eqvi ,j는 i의 영향범주에 속한 jth 목록항목의 영향지수 값을 나타낸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설계 또는 시공단계에서 건축공사에 투입되는 주요자재의 물량만을 입력하여 건축물의 종합적인 환경영향(지구온난화지수, 부영향화지수, 자원고갈지수, 오존층파괴지수, 광화학적산화물지수 등)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요자재의 물량만을 이용하여 환경영향 평가를 수행하기 때문에 시간, 노동력, 비용 등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 설계안에 대한 친환경성 판단 혹은 친환경건축물인증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을 수행하는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자재 도출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환경영향 평가부에 적용되는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생성과 관련된 환경영향 DB 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요 자재 목록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Case 1(벽식구조)의 개요에 관한 표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건축물 구조 분류 기준에 관한 표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공동주택 구조별 주요자재 물량내역에 관한 표 3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환경영향범주별 기준물질 및 영향지수에 따른 주요자재별 분류화 내역 사례에 관한 표 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환경영향평가 결과에 관한 표 5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차트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을 수행하는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주요자재 도출부(110), 물량 산출부(120), 환경영향 평가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요자재 도출부(110)는 건축물의 환경영향 평가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가 설정치를 상회하는 자재, 및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원단위가 높은 시멘트를 포함하는 주요 자재 목록을 도출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치는 상기 건축물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주요자재 도출부(110)는 상기 건축물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95%를 상회하는 자재로서, 레미콘, 철근, 철골, 페인트, 유리, 콘크리트제품 및 단열재 등을 상기 시멘트와 함께 상기 주요 자재 목록으로서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물량 산출부(120)는 상기 도출된 주요 자재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에 투입되는 전체 물량 중 환경영향 평가와 연관된 물량을 산출한다.
즉, 상기 물량 산출부(120)는 물량 산출 내역서에 근거하여 상기 건축물에 투입되는 전체 물량 중에서, 상기 주요 자재 목록에 포함된 자재에 대한 물량만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환경영향 평가부(130)는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상기 산출된 물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환경영향 범주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환경영향 범주는 지구온난화, 오존층 감소, 산성화, 부영양화, 자원고갈 및 광화학적산화물의 6가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환경영향 범주에 포함되는 6가지 항목 각각에 대한 건축자재별 영향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환경영향 평가부(130)는 상기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건축자재별 영향지수를 참고하여, 상기 산출된 물량에 따른 환경영향 평가를 각각의 환경영향 범주별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 즉 상기 주요자재 도출부(110), 상기 물량 산출부(120), 상기 환경영향 평가부(13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주요자재 도출부(11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요자재 도출부(110)는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부(210), 온실가스 원단위 도출부(220), 건축물 온실가스 평가부(230), 및 주요자재 목록 도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부(210)는 상기 건축물의 물량 산출 내역서를 분석하여 건축물 시공 시 투입되는 건축자재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6대 온실가스 배출량(CO2, CH4, N2O, HFCS, PFCS, SF6)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원단위 도출부(220)는 환경영향물질 국가표준 데이터베이스(LCI DB: Life Cycle Inventory Database)에 기초하여, 상기 6대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건축자재별 온실가스 원단위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I DB는 국가 LCI DB(탄소배출계수 포함) 및 건축자재 환경성정보 국가 D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온실가스 평가부(230)는 상기 건축자재별 온실가스 원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의 전체 온실가스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주요자재 목록 도출부(240)는 상기 전체 온실가스의 평가에 따라 상기 설정치(즉, 상기 건축물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95%)를 상회하는 자재를 상기 시멘트와 함께 상기 주요 자재 목록으로서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95%를 상회하는 자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미콘, 철근, 철골, 페인트, 유리, 콘크리트제품, 단열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환경영향 평가부(130)에 적용되는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생성과 관련된 환경영향 DB 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환경영향 DB 생성부(300)는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에 더 포함되는 구성요소로서, 케이스 설정부(310), 물량 환산부(320), 분류부(330), 및 DB 생성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설정부(310)는 벽식구조 공동주택을 케이스(Case) 1의 기준건축물로 선정하고, 상기 케이스 1을 바탕으로 구조적인 차이에 따라 무량판 혼합구조의 케이스 2 및 무량판 기둥식구조의 케이스 3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물량 환산부(320)는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통해 각 케이스별 구조재료 및 마감재료의 물량을 산출하고, 일위대가를 적용하여 중량 기준으로 환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조해석 프로그램은 MIDAS, BIM 등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부(330)는 환경성적표지 인증제도에서 제시한 환경영향 범주별 기준물질 및 영향지수에 따라 분류화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DB 생성부(340)는 하기 수식 1을 통해 상기 분류화 내역에 대한 특성화를 수행하여 상기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식 1]
Figure 112013065957730-pat00002
여기서, CIi는 환경영향의 크기, Loadj=jth는 목록항목 환경부하량, eqvi ,j는 i의 영향범주에 속한 jth 목록항목의 영향지수 값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주요 자재 목록을 도출한다. 여기서, 상기 주요 자재 목록은 건축물의 환경영향 평가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가 설정치를 상회하는 자재, 및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원단위가 높은 시멘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치는 상기 건축물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단계(42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상기 도출된 주요 자재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에 투입되는 전체 물량 중 환경영향 평가와 연관된 물량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단계(43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산출된 물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환경영향 범주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요 자재 목록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상기 건축물의 물량 산출 내역서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단계(52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상기 물량 산출 내역서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건축물 시공 시 투입되는 건축자재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6대 온실가스 배출량(CO2, CH4, N2O, HFCS, PFCS, SF6)을 평가한다.
다음으로, 단계(53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상기 LCI DB(환경영향물질 국가표준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6대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건축자재별 온실가스 원단위를 도출한다.
다음으로, 단계(54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상기 건축자재별 온실가스 원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의 전체 온실가스를 평가한다.
다음으로, 단계(55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상기 전체 온실가스의 평가에 따라 상기 설정치를 상회하는 자재를 상기 시멘트와 함께 상기 주요 자재 목록으로서 도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1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벽식구조 공동주택을 Case 1의 기준건축물로 선정한다.
다음으로, 단계(62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상기 Case 1을 바탕으로 구조적인 차이에 따라 무량판 혼합구조의 Case 2 및 무량판 기둥식구조의 Case 3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계(63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통해 각 케이스별 구조재료 및 마감재료의 물량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단계(64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상기 물량 산출의 결과에 일위대가를 적용하여 중량 기준으로 환산한다.
다음으로, 단계(65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환경성적표지 인증제도에서 제시한 환경영향 범주별 기준물질 및 영향지수에 따라 분류화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단계(660)에서 상기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장치(100)는 상기 수식 1을 통해 상기 분류화 내역에 대한 특성화를 수행하여 상기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DB를 생성한다.
실시예 (건축물 구조별 건설단계의 환경영향평가 사례)
1. 개요
국내에서 주로 건설되는 공동주택 모델을 설정하고 구조에 따라 주요자재를 이용한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때, 환경영향평가의 범위를 분류화 및 특성화로 한정하였다. 주요자재는 레미콘, 철근, 페인트, 유리, 콘크리트제품, 단열재를 대상(RC구조의 특성 상 본 실시예에서는 철골은 제외하고 분석함)으로 하였으며, 지구온난화, 오존층 감소, 산성화, 부영양화, 자원고갈, 광화학적산화물의 6가지 환경영향범주를 평가하였다.
2. 평가 대상 및 방법
도 7은 Case 1(벽식구조)의 개요에 관한 표 1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건축물 구조 분류 기준에 관한 표 2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공동주택 구조별 주요자재 물량내역에 관한 표 3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환경영향범주별 기준물질 및 영향지수에 따른 주요자재별 분류화 내역 사례에 관한 표 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표 1과 같이,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건설되는 판상형 4호조합의 콘크리트 벽식구조 공동주택을 Case 1(벽식구조, 기준건축물)로 선정하고, Case 1을 바탕으로 구조적인 차이에 따라 도 8의 표 2와 같이 Case2(무량판 혼합구조), Case3(무량판 기둥식구조)을 설정하였다.
또한, MIDAS와 BIM을 통해 Case별 구조재료(콘크리트, 철근)와 마감재료(페인트, 유리, 콘크리트제품, 단열재)의 물량을 산출하고 일위대가(一位代價)를 적용하여 도 9의 표 3과 같이 중량 기준으로 환산하였다.
LCI 데이터베이스로 국가 LCI DB 및 건축자재 환경성정보 국가 DB를 적용하였으며, 도 10의 표 4와 같이 환경성적표지인증제도에서 제시한 환경영향범주별 기준물질 및 영향지수에 따라 분류화를 진행하고, 상기 수식 1의 산출식을 통해 특성화를 수행하였다.
3. 평가 결과
도 11은 환경영향평가 결과에 관한 표 5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차트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표 5 및 도 12에 의하면, 각 환경영향범주별 평가결과는 Case 1에서 Case 3으로 갈수록 비교적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공동주택이 벽식구조에서 기둥식구조로 변화함에 따라 철근의 투입량은 다소 증가하지만 상대적으로 환경부하량이 높은 콘크리트와 콘크리트제품 등의 물량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부영양화지수는 Case 1에서 Case 3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부영양화에 민감한 철근의 물량이 증가함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건축물의 설계 또는 시공단계에서 건축공사에 투입되는 주요자재의 물량만을 입력하여 건축물의 종합적인 환경영향(지구온난화지수, 부영향화지수, 자원고갈지수, 오존층파괴지수, 광화학적산화물지수 등)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주된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건축물의 단편적인 관점에서의 환경영향평가(CO2 배출량)"에서 탈피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평가에 많은 시간, 노동력, 비용 등이 소모되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건축공사 주요자재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방법으로 해결함에 따라 실무에서의 건축물 설계안에 대한 친환경성 판단 혹은 친환경건축물인증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주요자재 도출부
120: 물량 산출부
130: 환경영향 평가부
140: 제어부
210: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부
220: 온실가스 원단위 도출부
230: 건축물 온실가스 평가부
240: 주요자재 목록 도출부
310: 케이스 설정부
320: 물량 환산부
330: 분류부
340: DB 생성부

Claims (7)

  1. 건축물의 환경영향 평가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가 설정치를 상회하는 자재, 및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원단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은 시멘트를 포함하는 주요 자재 목록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주요 자재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에 투입되는 전체 물량 중 환경영향 평가와 연관된 물량을 산출하는 단계;
    벽식구조 공동주택을 케이스(Case) 1의 기준건축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 1을 바탕으로 구조적인 차이에 따라 무량판 혼합구조의 케이스 2 및 무량판 기둥식구조의 케이스 3을 설정하는 단계;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통해 각 케이스별 구조재료 및 마감재료의 물량을 산출하고 일위대가를 적용하여 중량 기준으로 환산하는 단계;
    환경성적표지 인증제도에서 제시한 환경영향 범주별 기준물질 및 영향지수에 따라 분류화를 진행하는 단계;
    하기 수식을 통해 상기 분류화 내역에 대한 특성화를 수행하여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축자재별 특성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산출된 물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환경영향 범주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
    [수식]
    Figure 112014019549579-pat00016

    여기서, CIi는 환경영향의 크기, Loadj=jth는 목록항목 환경부하량, eqvi,j는 i의 영향범주에 속한 jth 목록항목의 영향지수 값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자재 목록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건축물의 물량 산출 내역서를 분석하여 건축물 시공 시 투입되는 건축자재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6대 온실가스 배출량(CO2, CH4, N2O, HFCS, PFCS, SF6)을 평가하는 단계;
    환경영향물질 국가표준 데이터베이스(LCI DB: Life Cycle Inventory Datbase)에 기초하여, 상기 6대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건축자재별 온실가스 원단위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건축자재별 온실가스 원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의 전체 온실가스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온실가스의 평가에 따라 상기 설정치를 상회하는 자재를 상기 시멘트와 함께 상기 주요 자재 목록으로서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치는
    상기 건축물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환경영향 범주는
    지구온난화, 오존층 감소, 산성화, 부영양화, 자원고갈 및 광화학적산화물의 6가지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
  6. 삭제
  7. 삭제
KR20130086178A 2013-07-22 2013-07-22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 KR101390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6178A KR101390237B1 (ko) 2013-07-22 2013-07-22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
PCT/KR2014/005797 WO2015012499A1 (ko) 2013-07-22 2014-06-30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6178A KR101390237B1 (ko) 2013-07-22 2013-07-22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237B1 true KR101390237B1 (ko) 2014-04-30

Family

ID=5065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6178A KR101390237B1 (ko) 2013-07-22 2013-07-22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0237B1 (ko)
WO (1) WO2015012499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104B1 (ko) * 2017-01-02 2018-02-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지수를 이용한 건축물 전과정 지속가능성 평가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WO2018124362A1 (ko) * 2017-01-02 2018-07-0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확률론적 분석 방법을 이용한 건축물 전과정 지속가능성 평가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80079765A (ko) 2017-01-02 2018-07-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90061929A (ko) 2017-11-28 2019-06-0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건설폐기물 발생 예측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200068357A (ko) 2018-12-05 2020-06-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박스교의 환경부하량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9133B1 (ko) 2019-11-19 2020-07-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166964B1 (ko) * 2020-02-07 2020-11-02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평가 방법 및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평가 장치
CN113918787A (zh) * 2021-12-14 2022-01-11 江苏佳信环保咨询有限公司 一种环境影响评价文件管理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5830A (zh) * 2019-05-08 2019-09-17 深圳中大环保科技创新工程中心有限公司 海域资源资产负债表的生成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0222932A (zh) * 2019-05-08 2019-09-10 深圳中大环保科技创新工程中心有限公司 基于湿地资源质量-价格模型的价值评估方法及装置
CN110223099A (zh) * 2019-05-08 2019-09-10 深圳中大环保科技创新工程中心有限公司 湿地资源资产核算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488554A (zh) * 2020-12-08 2021-03-12 湖北工业大学 挡土墙生命周期环境影响评价方法
CN113112119A (zh) * 2021-03-15 2021-07-13 广州大学 建设项目环境影响评估方法、系统和存储介质
CN116976698B (zh) * 2023-07-26 2024-01-19 北京工业大学 沥青基材料VOCs排放的生态环境负荷估算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6941A (ja) 2009-06-10 2010-12-24 Taisei Corp 環境性能評価システムおよび環境性能指標演算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1264B1 (ja) * 2011-03-31 2012-05-16 ニチハ株式会社 住宅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6941A (ja) 2009-06-10 2010-12-24 Taisei Corp 環境性能評価システムおよび環境性能指標演算プログラム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104B1 (ko) * 2017-01-02 2018-02-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지수를 이용한 건축물 전과정 지속가능성 평가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WO2018124362A1 (ko) * 2017-01-02 2018-07-0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확률론적 분석 방법을 이용한 건축물 전과정 지속가능성 평가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80079765A (ko) 2017-01-02 2018-07-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981143B1 (ko) 2017-01-02 2019-05-2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US11531793B2 (en) 2017-01-02 2022-12-2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Device and method for building life cycle sustainability assessment using probabilistic analysi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method
KR20190061929A (ko) 2017-11-28 2019-06-0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건설폐기물 발생 예측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200068357A (ko) 2018-12-05 2020-06-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박스교의 환경부하량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9133B1 (ko) 2019-11-19 2020-07-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166964B1 (ko) * 2020-02-07 2020-11-02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평가 방법 및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평가 장치
CN113918787A (zh) * 2021-12-14 2022-01-11 江苏佳信环保咨询有限公司 一种环境影响评价文件管理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2499A1 (ko)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237B1 (ko)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
Singh et al. Review of life-cycle assessment applications in building construction
Tarantini et al. A life cycle approach to Green Public Procurement of building materials and elements: A case study on windows
Kang et al. Statistical analysis of embodied carbon emission for building construction
Rai et al. Assessment of CO2 emissions reduction in a distribution warehouse
Chen et al. Sustainable performance criteria for construction method selection in concrete buildings
Kamari et al. A BIM-based LCA tool for sustainable building design during the early design stage
Janjua et al.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a residential building using a life cycle assessment approach
Nilsen et al. Evaluation of BIM based LCA in early design phase (low LOD) of buildings
Geng et al. Assessing the greenhouse gas mitigation potential of harvested wood products substitution in China
KR20150022587A (ko) 철도 궤도 시스템의 경제성 및 환경성 통합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1113B1 (ko)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bim 기반 모델링 구축 시스템
Castro et al. How to design buildings with Life Cycle Assessment by accounting for the material flows in refurbishment
Shirazi et al. Embodied life cycle assessment comparison of single family residential houses considering the 1970s transition in construction industry: Atlanta case study
Jusselme et al. Towards a pre-design method for low carbon architectural strategies
Ajayi et al.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embodied and operational impacts of buildings: an evaluation of sustainable design appraisal tools
Bitsiou et al. Parameters related to building components’ life-cycle analysis in methods for buildings’ environmental performance assessment
Orabi et al. Minimizing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construction activities and processes
Bates et al. Quantifying the embodied environmental impact of building materials during design
Mohebbi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hole life carbon of three construction methods of a UK-based supermarket
Gong et al. Life cycle assessment applied to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n South Korea
Toniolo et al. Life cycle assessment: Methods, limitations, and illustrations
KR101896773B1 (ko) 친환경 가치 평가 시스템
Caruso et al. Critical overview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approaches for seismic loss estima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Yarramsetty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life cycle assessment and service life prediction: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