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958B1 - Celling louver - Google Patents
Celling lou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9958B1 KR101389958B1 KR1020120081624A KR20120081624A KR101389958B1 KR 101389958 B1 KR101389958 B1 KR 101389958B1 KR 1020120081624 A KR1020120081624 A KR 1020120081624A KR 20120081624 A KR20120081624 A KR 20120081624A KR 101389958 B1 KR101389958 B1 KR 1013899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p
- louver
- louver panel
- ceiling
- clip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4—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 E04B9/36—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consisting of parallel slats
-
- E04B1/388—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루버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 슬래브 구조물에 고정되는 지지파이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과, 상기 클립에 이동가능하게 걸림되어 결합되는 루버패널을 포함하는 천장 루버에 있어서, 상기 루버패널은 그 상단부가 클립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되는 한편 개구된 상단부의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클립에 걸림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내측지지부를 포함하는 천장 루버를 제공한다.A ceiling louver comprising a clip movably coupled to a support pipe fixed to a ceiling slab structure, and a louver panel movably coupled to the clip, the louver panel comprising: The upper end of which is open to receive the clip, and the inner supporting surface of the opened upper end portion includes an inner supporting portion projecting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lip.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 루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루버패널을 전후좌우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천장 루버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천장 루버("천장 스크린 루버" 라고도 하나, 이하에서는 "천장 루버" 라 한다)는 천장 슬래브(slab)에 일정한 격자 간격으로 다수의 행거볼트를 정착시키고, 그 다수의 행거볼트에 의지하여 천장 슬래브와 일정 거리를 둔 높이에서 하나 이상의 지지파이프를 가설한 다음, 복수의 루버패널을 지지파이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하여 선택된 교점에서 지지파이프와 볼트로서 직접 체결하여 시공한다.In general, a ceiling louver (also referred to as a " ceiling screen louver ", hereinafter referred to as "ceiling louver") fixes a plurality of hanger bolts at a constant lattice spacing on a ceiling slab, At least one support pipe is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iling slab, and then a plurality of louver panel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upport pipe and are directly fixed as a support pipe and a bolt at a selected intersection.
이와 같은 천장 루버의 시공에 있어서 긴 루버패널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그 긴 루버패널을 지지파이프에 직접 볼트로 체결하는 것은 인력과 작업 시간이 많이 들어 비경제적이다.Since the long louver panel is not easily handled in the construction of such a ceiling louver, it is uneconomical to fasten the long louver panel directly to the support pipe with a bolt because of a large manpower and work time.
따라서, [문헌 1]에는 이러한 천장 루버의 시공 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루버패널을 지지파이프에 직접 체결하지 않고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construction of the ceiling louver, a method of tightening the louver panel by using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without directly fastening the supporting pipe to the supporting pipe has been proposed.
즉, [문헌 1]에는 폭 방향으로 이중벽을 가지고 있고 그 상면이 개구되는 "ㅂ"자 단면 모양의 구조를 가진 루버패널과, 이 루버패널의 개구된 상면으로 삽입되어 루버패널을 지지파이프에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재가 제안되어 있다.That is, [Document 1] discloses a louver panel having a double wall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louver panel inserted into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louver panel to connect the louver panel to the support pipe A connecting member is proposed.
즉, 천장 슬래브 구조물에 행거로서 고정되게 설치된 지지파이프의 각 부위 즉 루버패널이 교차되는 부위에 연결부재를 볼트로서 체결 고정시키고, 루버패널은 연결부재의 밑에서 위로 밀어 올려 끼움으로써 루버패널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때, 루버패널의 내측면과 접하는 연결부재의 양측면에는 그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고정부의 단부가 루버패널의 양 내측면에 각각 탄력적으로 접함으로써 루버패널이 연결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된다.
That is, by fastening the connecting member as a bolt to each portion of the support pipe fixedly installed as a hanger on the ceiling slab structure,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louver panel intersects, and pushing the louver panel up from below the connecting member, Is completed. At this time,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ng member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uver panel, fixing portions formed by bending outwardly are formed at ends thereof. The end portions of the fixing portions elastically contact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louver panel, As shown in FIG.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4311(명칭 : 천장 스크린 루버), 공개일 : 2012.02.17. 4∼5쪽, 도면 2 내지 도면 3
[Patent Document 1] 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14311 (name: Ceiling screen louver), publication date: Feb. 17, 4 to 5, and Figures 2 to 3
하지만, 이와 같이 제안된 종래의 천장 루버는 지지파이프에 볼트로서 체결 고정된 연결부재에 삽입되어 연결부재의 양 고정부에 의해 가압 지지되어 결합된 루버패널은 이동이 원활치 못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지 못하고, 연결부재와 결합된 루버패널의 분리 역시도 용이치 못해 천장 루버의 시공 시 설계변경이나 구조변경에 대해 용이하게 대처할 수 없어 시공이 번거롭게 어려워지게 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eiling louver proposed in this manner is inserted into a connecting member fastened and fixed to the supporting pipe as a bolt, and the louver panel, which is press-supported by the fixing portions of the connecting member, is not smoothly moved, The louver panel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can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eiling louver. Therefore, the ceiling louver can not easily be changed or changed when the ceiling louver is installed, which makes construction difficult.
따라서, 본원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장 슬래브 구조물에 고정된 지지파이프에 루버패널을 연결한 상태에서도 루버패널을 전후좌우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천장 루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eiling slab structure in which a louver panel is connected to a support pipe fixed to a ceiling slab structur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eiling louver.
상술한 목적은, 천장 슬래브 구조물에 고정되는 지지파이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과, 상기 클립에 이동가능하게 걸림되어 결합되는 루버패널을 포함하는 천장 루버에 있어서, 상기 루버패널은 그 상단부가 클립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되는 한편 개구된 상단부의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클립에 걸림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내측지지부를 포함하는 천장 루버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 is achieved by a ceiling louver comprising a clip movably coupled to a support pipe fixed to a ceiling slab structure and a louver panel movably engaged with the clip, And an inner suppor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pened upper end por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lip.
그리고, 상기 내측지지부는 루버패널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후 상방향으로 절곡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부의 상단부는 루버패널의 개구된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내측지지부의 상단부는 루버패널의 개구된 상단부보다 0.1∼0.5㎜ 낮게 형성된다.The inner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in an "? &Quot; shape bent upwardly after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uver panel,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lower than the opened upper end of the louver panel. More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0.1 to 0.5 mm lower than the open top end of the louver panel.
또, 상기 클립은, 양측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평판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 1 클립부재; 양측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평판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 1 수평부와, 상기 제 1 수평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제 1 수평부와 마주하는 제 2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 2 클립부재; 및 상기 제 1 클립부재의 바디부와 제 2 클립부재의 수직부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다.The clip may include a first clip member including a flat plate body having coupling groov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horizontal portion bent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 first horizontal portion bent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 vertical portion bent at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vertical portion bent at the vertical portion, A second clip member including a second horizontal portion facing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bolt and a nut fastened to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clip member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second clip member.
그리고, 상기 지지파이프는 원형파이프 이외에도 각진 파이프를 모두 포함한다.
The support pipe includes all the angular pipes in addition to the circular pipe.
본 발명의 천장 루버에 따르면, 천장 슬래브의 구조물에 고정된 지지파이프에 클립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고, 이 클립에는 루버패널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됨으로써 루버패널은 클립에 걸림된 상태에서 지지파이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지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클립에 의해서 루버패널은 지지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루버패널의 시공성이 향상되고, 설계변경이나 구조변경에 대해서도 루버패널을 간편하게 이동시켜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eiling lou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ip is movably coupled to a support pipe fixed to a structure of a ceiling slab, and a louver panel is movably coupled to the clip so that the louver panel is engaged with the clip The louver panel is free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ipe by the clips which ar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ipe so that the workability of the louver panel is improv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uver panel can be easily moved and constructed.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루버패널은 개구된 상단부로 클립의 확장부가 삽입되어 루버패널의 내측지지부 하면에 걸림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루버패널과 클립 간의 안정적인 결합구조로 인해 루버패널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uver panel is inserted into the opened upper end portion of the clip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xtended portion of the clips in a state where the louver panel is engag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upporting portion of the louver panel, The stability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루버의 분리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루버의 일부 결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루버의 설치 상태도이다.1 is a sectional view of a ceiling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assembled view of a ceiling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installation of a ceiling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루버를 도시한 도면이다.1 to 3 are views showing a ceiling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천장 루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슬래브 구조물(미도시)에 시공된 지지파이프(2)에 지지파이프(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립(1)과, 상기 클립(1)에 지지파이프(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루버패널(10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eiling lou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지지파이프(2)는 천장 슬래브 구조물에 일정 거리를 둔 상태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즉, 천장 슬래브 구조물에는 통상의 앵커볼트에 의해 행거(미도시)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이와 같이 설치된 행거에 의해 지지파이프(2)는 천장 슬래브 구조물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된다.The
이러한 지지파이프(2)는 후술될 클립(1)에 의해서 원형파이프 이외에도 각진 파이프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사각파이프로 형성된 지지파이프(2)를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The
그리고, 상기 클립(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제 1 클립부재(10)와 제 2 클립부재(20)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클립부재(10)와 제 2 클립부재(20)는 볼트(30)와 너트(40)에 의해서 결합된다.1, the
상기 제 1 클립부재(10)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바디부(11)의 양단부에는 후술될 루버패널(100)의 내.외측지지부(110)(120)가 삽입되는 결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11)의 상측에는 볼트(30)가 관통되는 체결공(11b)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11)의 상단부에는 수평부(12)가 일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다.The
상기 제 2 클립부재(20)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바디부(21)의 양단부에는 제 1 클립부재(10)의 결합홈(11a)과 대응되는 결합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21)의 상단부에는 제 1 수평부(22)가 제 1 클립부재(10)의 수평부(12)와는 반대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 1 수평부(22)의 단부에는 수직부(23)가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23)의 단부에는 제 2 수평부(24)가 제 1 수평부(22)와는 반대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 1 수평부(22)와 제 2 수평부(24)는 높이차(h1)를 두고 마주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23)에는 제 1 클립부재(10)의 체결공(11b)과 대응되는 체결공(21b)이 형성된다.The
따라서, 상기 제 1 클립부재(10)와 제 2 클립부재(20)는 각각의 체결공(11b)(21b)을 관통하는 볼트(30)에 너트(40)를 체결함으로써 결합된다.The
그리고, 상기 수직부(240)의 높이(h1)는 볼트(300)의 헤드(310)의 직경(d)과 같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 1,2 클립부재(10)(20)의 체결공(11b)(21b)을 관통한 볼트(300)에 너트(400)를 체결할 때, 볼트(300)의 헤드(310)가 각각 제 1,2 수평부(22)(24)의 상,하면에 걸려 볼트(300)가 너트(310)와 함께 회전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한 손으로 볼트(300)의 헤드(310)를 잡지 않아도 된다.The height h1 of the vertical part 240 is designed to be equal to the diameter d of the head 310 of the bolt 300. [ Therefore, when the nut 400 is fastened to the bolt 300 passing through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클립부재(20)의 바디부(21)와 제 1 수평부(22) 사이는 완만하게 만곡된 만곡부로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ap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루버패널(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부 즉 상면이 개구된 "ㅂ"자 단면의 형상을 갖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루버패널(100)은 개구된 상단부의 구조를 제외한 하부구조 즉 "ㅁ"자 단면의 형상은 얼마든지 다양한 구조나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상기 루버패널(100)의 개구된 상면에는 클립(1)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루버패널(100)의 개구부 양측면에는 지지파이프(2)의 하면을 받쳐 지지하는 외측지지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지지부(110)의 내측면에는 클립(1)의 결합홈(11a)(21a)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걸림되는 내측지지부(120)가 돌출 형성된다.The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내측지지부(120)는 외측지지부(110)의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후, 그 단부가 다시 개구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ㄴ"자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부(120)는 클립(1)의 결합홈(11a)(21a)에 안착되어 지지된다.The inner supporting
그리고, 이와 같은 "ㄴ"자 형상의 내측지지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외측지지부(110)의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외측지지부(110)에 대해 낮은 높이(h2)로 형성되는 내측지지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을 조일 때 클립(1)에 의해 위로 당겨져 올라가면서 그 상단부가 지지파이프(2)의 하면에 접하여 지지하게 되고, 이때 내측지지부(120)의 상단부는 외측지지부(110)의 상단부와 수평을 이루게 된다.1,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외측지지부(110)보다 낮은 높이(h2)로 형성되는 내측지지부(120)는 그 상단부가 외측지지부(110)의 상단부보다 0.1∼0.5㎜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측지지부(120)의 상단부가 외측지지부(110)의 상단부보다 0.3㎜ 낮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내.외측지지부(110)(120)의 상단부의 높이 차이가 0.1㎜ 미만이면(h2<0.1㎜) 높이차가 너무 미비하여 클립(1)을 조일 때 내측지지부(120)의 변형이 미비하고, 0.5㎜를 초과하면(h2>0.5㎜) 큰 높이 차이로 인해 클립(1)을 조일 때 내측지지부(120)의 변형량이 너무 크므로 인해 소성변형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지 못하게 된다.
The inner supporting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루버의 시공 시는, 천장 슬래브 구조물에 행거를 통해 미리 설치된 사각의 지지파이프(2) 양측면에서 제 1 클립부재(10)의 바디부(11)와 제 2 클립부재(20)의 바디부(21)를 각각 지지파이프(2)의 양측면에 맞대어 구비하고, 이 상태에서는 제 1 클립부재(10)의 바디부(11)와 더불어 제 2 클립부재(20)의 바디부(21)와 제 1 수평부(22)가 지지파이프(2)를 감싸게 되며, 제 1 클립부재(10)의 수평부(12)와 제 2 클립부재(20)의 제 2 수평부(24)는 포개어진다. 이 상태에서 동일선상으로 위치된 제 1,2 클립부재(10)(20)의 체결공(11b)(21b)에 볼트(30)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너트(40)를 체결함으로써, 클립(1)은 지지파이프(2) 상에 이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In the construction of the ceiling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특히, 이와 같은 클립(1)은 지지파이프(2)의 형상이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파이프에 이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지지파이프(2)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Particularly, such a
이후, 지지파이프(2)에 설치된 클립(1)의 결합홈(11a)(21a)에 루버패널(100)의 내측지지부(120)를 슬라이딩 삽입시켜 루버패널(100)을 결합하고, 루버패널(100)의 내측지지부(120)는 클립(1)의 결합홈(11a)(21a)에 안착된 상태가 되어 시공이 완료된다.The
따라서, 이와 같이 결합된 루버패널(100)은 클립(1)의 결합홈(11a)(21a)에 안착된 상태에서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이프(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될 뿐만 아니라 클립(1)을 통해서 지지파이프(2)의 길이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파이프(2)에 결합된 루버패널(100)이 전후좌우로 이동됨으로써 루버패널(100)의 시공성은 향상된다.Therefore,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천장 루버의 시공방법은 작업환경이나 여러 작업 조건에 따라서 시공순서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시공순서와는 달리 클립(1)과 루버패널(100)을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클립(1)을 지지파이프(2)에 결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eiling louver as described above can be changed in any order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various working conditions. That is, the
1 : 클립 2 : 지지파이프
10 : 제 1 클립부재 20 : 제 2 클립부재
100 : 루버패널 110 : 외측지지부
120 : 내측지지부1: Clip 2: Support pipe
10: first clip member 20: second clip member
100: louver panel 110: outer support
120: Inner support
Claims (6)
상기 클립은, 양측단부에 U자형상으로 절개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평판의 바디부를 포함하는 제 1 클립부재; 및
양측단부에 U자형상으로 절개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평판의 바디부를 포함하는 제 2 클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루버패널은 그 상단부가 클립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되는 한편 개구부 양측면에는 지지파이프의 하면을 받쳐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 및, 상기 U자형상으로 절개된 결합홈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후 상방향으로 절곡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지지부를 포함하는 천장 루버.
CLAIMS 1. A ceiling louver comprising a clip movably coupled to a support pipe secured to a ceiling slab structure and a louver panel movably coupled to the clip,
Wherein the clip comprises: a first clip member including a plate body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U-shape at both ends thereof; And
And a second clip member including a body portion of a flat plate in which engaging grooves formed in U-shape at both end portions are formed,
Wherein the louver panel has an outer supporting portion which is open to receive a clip at an upper end thereof and supports a lower surface of a support pipe at both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and an inner supporting portion that supports the inner supporting portion of the outer support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U- And an inner supporting portion formed in an "" -shaped shape bent upwardly after being projected from the side surface.
상기 내측지지부는 그 상단부가 루버패널의 개구된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천장 루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support portion has an upper end formed lower than an open top end of the louver panel.
상기 내측지지부는 그 상단부가 루버패널의 개구된 상단부보다 0.1∼0.5㎜ 낮게 형성되는 천장 루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ner supporting portion has an upper end formed to be 0.1 to 0.5 mm lower than an open upper end of the louver panel.
상기 제 1 클립부재는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수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클립부재는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 1 수평부와, 상기 제 1 수평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제 1 수평부와 마주하는 제 2 수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클립부재의 바디부와 제 2 클립부재의 수직부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를 더 포함하는 천장 루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lip member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bent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The second clip member includes a first horizontal portion bent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 vertical portion bent at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bent at the vertical portion and facing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Further,
And a bolt and a nut fastened to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clip member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second clip member.
상기 지지파이프는 원형파이프 이외에도 각진 파이프를 모두 포함하는 천장 루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ing pipe includes all the angular pipes in addition to the circular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1624A KR101389958B1 (en) | 2012-07-26 | 2012-07-26 | Celling lou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1624A KR101389958B1 (en) | 2012-07-26 | 2012-07-26 | Celling louv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4758A KR20140014758A (en) | 2014-02-06 |
KR101389958B1 true KR101389958B1 (en) | 2014-04-30 |
Family
ID=5026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1624A KR101389958B1 (en) | 2012-07-26 | 2012-07-26 | Celling louv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995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0228B1 (en) * | 2016-04-22 | 2019-07-15 | 주식회사 조은데코 | Ceiling finish panel assembly |
KR102040480B1 (en) | 2016-11-29 | 2019-11-05 | 정재준 | Multi functional louver assembly installed on ceiling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5174B1 (en) * | 2005-11-28 | 2007-02-26 | 표근섭 | Clip for channel |
-
2012
- 2012-07-26 KR KR1020120081624A patent/KR10138995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5174B1 (en) * | 2005-11-28 | 2007-02-26 | 표근섭 | Clip for chann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4758A (en) | 2014-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46197B2 (en) | Para-seismic support for pipes | |
JP4871069B2 (en) | Suspended ceiling foundation structure and joint metal fittings | |
KR101187167B1 (en) | The pipe fixing block assembly | |
JP6253948B2 (en) | Suspended ceiling foundation structure | |
JP6412664B2 (en) | Ceiling foundation structure | |
KR101638239B1 (en) | Fasten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deck panel in city park and nature-type's ecological river | |
KR101566325B1 (en) | The aluminum insulation frame for architecture to easy assembling and thereof installation method | |
KR101389958B1 (en) | Celling louver | |
KR100883391B1 (en) | A pipe fasten apparatus | |
JP5782747B2 (en) | Field mounting bracket | |
JP2017190646A (en) | Ceiling reinforc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11196391A (en) | Support for body to be disposed | |
JP2011052485A (en) | Reinforcing beam receiving metal fittings | |
JP6415873B2 (en) | Long body cov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06233458A (en) | Vertically stacking construction method and its structure of extrusion molding cement plate | |
JP2011256677A (en) | Ceiling-mounted fire extinction system | |
JP6302699B2 (en) | Ceiling foundation structure | |
JP5376580B2 (en) | Ceiling foundation structure | |
JP2009079620A (en) | Joint | |
JP2015212503A (en) | Installing metal fitting for diagonal reinforcement member | |
JP6302245B2 (en) | Plane structure and building structure | |
JP2016008479A (en) | Attachment device for ceiling board material, ceiling structure using the attachment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ceiling board material | |
JP6302689B2 (en) | Ceiling foundation structure | |
JP2013068066A (en) | Ceiling underlayer structure | |
JP5713754B2 (en) | Ceiling foundat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