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696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696B1
KR101383696B1 KR1020097002209A KR20097002209A KR101383696B1 KR 101383696 B1 KR101383696 B1 KR 101383696B1 KR 1020097002209 A KR1020097002209 A KR 1020097002209A KR 20097002209 A KR20097002209 A KR 20097002209A KR 101383696 B1 KR101383696 B1 KR 101383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leakage
sheet
leakage preventing
absorbent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4960A (ko
Inventor
히로유키 요코마츠
히로노리 가와사키
신스케 나가하라
야스히로 야마모토
마유미 키무라
하루오 사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3902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305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77210A external-priority patent/JP50842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772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9312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04265A external-priority patent/JP50362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12935A external-priority patent/JP50305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1690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3055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located outside the perimeter of the absorbent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Abstract

생리용 냅킨(1)은 액유지성의 흡수층(11) 및 액불투과성의 샘방지층(12)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10)를 구비하며, 한 쌍의 옆샘방지부(5, 5)에 의해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 양측부가 덮혀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옆샘방지부(5, 5) 각각은,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에 의해 흡수성 본체(10)의 폭방향의 안쪽에 접힌 단부(51)를 가지도록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가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꺾여 접혀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의 폭방향의 바깥쪽부에는 다수의 엠보싱부(52, 5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옆샘방지부(5, 5) 각각에 있어서의 접힌 단부(51) 근방에 있어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끼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영역(5A)을 가지고 있다.
흡수성 물품, 옆샘방지부, 엠보싱, 접힌 단부, 날개부, 플랩부, 포장재, 열풍 처리, 접합, 절곡, 히트 시일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대하 시트),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 상세하게는, 날개형상 플랩부가 부착된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는 한 쌍의 옆샘방지부를 마련한 것이 있다. 이런 종류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층 및 샘방지층을 가지는 흡수성 본체의 양측부로부터의 옆샘을 방지하기 위해서, 한 쌍의 옆샘방지부가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피부접촉면측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액의 확산을 억제하는 영역이 형성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입체적인 벽이 형성되어, 액이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 2001-245927호 공보)에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백 시트와, 표면 시트와 백 시트 사이에 끼워져 있는 흡수 코어를 가지고 있으며, 생리용 냅킨의 표면에는 흡수 코어와 표면 시트로 이루어지는 전체 흡수영역의 폭방향의 중앙에 주(主) 흡수영역이, 이 주 흡수영역보다도 폭방향의 외 측에는 흡수 코어와 표면 시트가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홈부가, 홈부보다도 폭방향의 더 외측에는 생리용 냅킨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옆샘방지부가 형성되며, 주 흡수영역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의 섬유밀도와, 홈부에서의 표면 시트의 섬유밀도와, 옆샘방지부의 섬유밀도와의 관계가, 홈부>옆샘방지부>주 흡수영역의 순인 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이 생리용 냅킨의 옆샘방지부는 1매의 부직포가 꺾여 접혀 형성되어 있어, 꺾여 접혀 있는 부직포의 상대향하는 내면 사이가 이간된 중공의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특허문헌 2(일본공개특허 2001-252306호 공보)에는, 흡수층 및 샘방지층을 가지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며, 실질적으로 세로로 길며, 한 쌍의 옆샘방지부가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옆샘방지부는, 열가소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또는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와, 세로방향으로 탄성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가지며, 옆샘방지부를 구성하는 부직포에는, 주름의 꼭대기부와 바닥부가 기단(base edge)으로부터 자유단을 향해 연장하면서 또한 주름이 세로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요철주름이 형성된 강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옆샘방지부의 기단과 자유단의 중간영역에는, 요철주름이 불연속해지는 강성 경계부가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일본공표특허 평7-502438호 공보)에는, 흡수층 및 샘방지층을 가지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며, 실질적으로 세로로 길며, 한 쌍의 옆샘방지부가 흡수성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옆샘방지부는 루프 형상을 가지고 있 고, 상기 루프 형상의 내부에 샘방지층이 연장되어 있는 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는,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본체의 양측부 각각에서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형성한 것이 있다. 이러한 날개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본체를 팬티의 가랑이(crotch)부(이하, 가랑이 하부라고도 한다)의 상면(내면)에 배치하고, 날개부를 가랑이부의 하면(외면)측으로 꺾어 접어, 날개부를 거기에 형성된 부착제에 의해 가랑이부에 고정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의 양측부로부터의 옆샘 방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흡수성 본체의 피부접촉면측의 양측부 각각을 피복하는 한 쌍의 옆샘방지부를 형성한 것이 있다. 이러한 옆샘방지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날개부를 같이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옆샘방지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시트를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시키고, 사이드 시트의 연장영역으로 날개부를 형성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특허문헌 4(일본공개특허 2002-272786호 공보)참조]. 또, 옆샘방지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시트 및 흡수성 본체의 이면 시트를 각각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시키고, 양 시트의 연장영역의 적층체로 날개부를 형성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시트 및 이면 시트의 연장영역의 적층체로 형성된 날개부는, 예를 들면 강성이 높고,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떨어지며, 또 이면 시트의 존재에 의해 촉감(부드러움)이 떨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날개부를 사이드 시트의 연장영역의 단층(單層)으로 형성한 흡수성 물품(생리용 냅킨)이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 4(일본공개특허 2002-272786호 공보)참조].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날개부의 신체에 대한 피트성, 날개부의 촉감(부드러움) 등이 떨어진다는 상기 결점은 해소된다.
또, 종래 날개형상 플랩부를 구비한 생리용 냅킨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생리용 냅킨은, 흡수성 본체와 그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종류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형상 플랩부는, 그 한쪽면에 플랩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냅킨 사용시에 팬티 등의 속옷(이하, 간단히 팬티라고도 한다)에 있어서의 가랑이 하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절곡되어, 상기 플랩 점착부를 통해서 상기 속옷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1매의 부직포로 옆샘방지부와 날개형상 플랩부가 형성되어 있는 생리용 냅킨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4(일본공개특허 2002-272786호 공보) 참조].
특허문헌 4에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되는 동시에, 양측부에 각각 속옷에 대한 고정을 위해서 측쪽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날개형상 플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불투액성 이면 시트는 흡수성 물품의 양측부에 있어서 흡수체 측가장자리를 약간 넘은 위치를 시트단으로 하고, 흡수성 물품의 표면측 양측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서, 또한 흡수성 물품의 거의 전 길이에 걸쳐서 사이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동시에, 사이드 부직포의 일부를 측쪽으로 연장시킴으로써 날개형상 플랩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날개형상 플랩부의 비피부접촉면측에는 플랩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날개형상 플랩부의 존재에 의해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는 동시에, 촉감이나 통기성이 향상하게 된다. 사이드 부직포를 신축성 부직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날개형상 플랩부에 의해 속옷에 고정되어도 신체의 움직임에 충분히 추종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특허문헌 5(일본공개실용신안 평5-65319호 공보)에는, 투액성 표면 시트, 불투액성 이면 시트 및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액성 흡수체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날개형상 플랩부의 비피부접촉면측에 플랩 점착부를 가지고 있으며, 날개형상 플랩부는, 흡수성 본체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이면 시트와 상면 시트,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보강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생리용 냅킨에 의하면, 날개형상 플랩부의 강성이 낮음에 기인하는 날개형상 플랩부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플랩 점착부끼리가 접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1-24592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1-25230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공표특허 평7-502438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공개특허 2002-272786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공개실용신안 평5-6531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는, 그 중공의 입체적인 형상이 개별 포장에 의해 또는 냅킨 착용시에 눌려 뭉개져 액샘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 옆샘방지부의 형상으로는 유연성, 신체 추종성 및 장착감을 높이는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는, 냅킨 착용시에 주로 중간영역에서 절곡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여러 가지 움직임이나 자세의 변화에 다 추종할 수 없으므로, 신체 추종성 및 장착감이 떨어진다고 생각된다.
한편,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체의 폭방향 바깥쪽 위치에 있어서, 이면 시트와 사이드 시트가 길이방향을 따르는 선 형상의 히트 시일(heat seal)선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히트 시일선에 의한 손상에 의해 날개부가 파단되기 쉽다. 또, 선 형상의 히트 시일선은 접기 유도선이 되기 쉽기 때문에, 날개부의 접힘 위치가 제한되어, 날개부를 팬티 가랑이부에 자유롭게 감싸 넣기 어려워진다. 또한, 히트 시일선의 강성에 의해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의 강성이 늘어나, 장착시에 흡수성 본체가 신체를 따르기 어려워진다.
또,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날개부가 사이드 시트의 단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날개부가 늘어나기 쉽고, 개별 포장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포장재에서 꺼낼 때에 날개부에 형성된 부착제를 피복하는 피복 시트로부터 날개부를 떼어내기 어렵다. 또, 날개부의 강성(힘;stiffness)이 낮으므로, 팬티에의 장착시에 있어서 날개부의 접힘 조작성이 낮다. 또한, 사용후, 흡수성 물품을 팬티로부터 떼어내어 폐기할 때에, 날개부의 접힘부 근방의 강도가 낮으므로 날개부가 그 기단부(基端部) 근방에 있어서 파단하여 날개부의 일부가 팬티에 부착된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또,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날개형상 플랩부가 1매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랩 점착부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는 팬티 등의 속옷으로부터 날개형상 플랩부를 탈착할 때에 날개형상 플랩부가 찢어질 우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생리용 냅킨은, 날개형상 플랩부의 비피부접촉면측의 면이 불투액성 이면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면 시트가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장착감 및 조작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제1발명)은, 유연성 및 신체 추종성이 우수하며, 장착감 및 샘방지성이 높은 옆샘방지부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제1발명)은, 상술한 흡수성 물품에 적합한 흡수성 물품의 포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제2발명)은, 신체 추종성 및 장착감이 우수하고, 샘방지성이 높은 옆샘방지부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제3발명)은, 장착감 및 샘방지성이 우수한 옆샘방지부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제4발명)의 목적은, 흡수성 본체, 날개부 및 옆샘방지부를 가지며, 날개부가 옆샘방지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시트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날개부가 파단되기 어렵고, 날개부를 팬티 가랑이부에 자유롭게 감싸 넣기 쉽고, 장착시에 흡수성 본체가 신체를 따르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제5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 또한 장착감 및 조작성이 우수한 날개형상 플랩부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제6발명)의 목적은, 날개부 및 옆샘방지부를 가지며, 날개부가 옆샘방지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시트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날개부의 신체에 대한 피트성 및 촉감이 우수함과 함께, 부착제를 피복하는 피복 시트로부터 날개부를 떼어내기 쉽고, 날개부의 접힘 조작성이 높고, 날개부가 그 기단부 근방에 있어서 파단되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층 및 샘방지층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며, 한 쌍의 옆샘방지부에 의해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 양측부가 덮혀 있다. 한 쌍의 상기 옆샘방지부 각각은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적어도 한쪽에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접힌 단부를 가지도록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가 상기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꺾여 접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폭방향의 바깥쪽부에는 다수의 상기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상기 옆샘방지부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접힌 단부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끼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을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포장 구조는, 상술한 제1발명의 흡수성 물품과, 이것을 개별 포장하는 내면이 박리 처리된 포장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접촉면측에 본체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점착부가 상기 포장재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포장재에 박리 자유롭게 점착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의 한쪽의 단가장자리측으로부터 피부접촉면측을 내측으로 해서 2회 이상 순차적으로 절곡되어 겹쳐져 있으며, 그 절곡에 의해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복수의 접힘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배설부 대향영역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2개의 상기 접힘선간에 있어서의 상기 비접합 영역의 폭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후단부 각각과, 상기 전후단부 각각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기 접힘선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비접합 영역의 폭보다도 크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포장 구조는, 상술한 제1발명의 흡수성 물품과, 이것을 개별 포장하는 내면이 박리 처리된 포장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접촉면측에 본체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점착부가 상기 포장재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포장재에 박리 자유롭게 점착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흡수층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배설부 대향영역의 전후단부 사이에 걸치는 중고부(中高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의 한쪽의 단가장자리측으로부터 피부접촉면측을 내측으로 해서 1회 또는 2회 이상 순차적으로 절곡되어 겹쳐져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포장 구조는, 상기 절곡에 의해 형성된 접힘선이 상기 중고부를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단부를 가지도록 복수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가 중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부에 있어서,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각각의 시트단부끼리가 적어도 비접합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옆샘방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폭방향의 바깥쪽부에는 다수의 상기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제2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으로서, 하기 공정을 구비한다.
복수의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장척(長尺)형상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원단 각각으로부터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를 풀어내는 풀어내기 공정.
풀어내어진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 각각에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처리 공정.
상기 열풍 처리된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 각각을, 그 길이방향의 한쪽의 측가장자리를 실질적으로 일치시켜서 중첩시키고, 중첩된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측가장자리측에 다수의 엠보싱부를 형성해서 옆샘방지부 연속부재를 제작하는 엠보싱 공정.
한 쌍의 상기 옆샘방지부 연속부재를, 별도로 제작한 흡수성 본체 연속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상기 측가장자리를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위치시키도록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제작하는 접합 공정.
상기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개개의 흡수성 물품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제2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으로서, 하기 공정을 구비한다.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장척형상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원단으로부터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를 풀어내는 풀어내기 공정.
풀어내어진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에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처리 공정.
상기 열풍 처리된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한쪽의 측부를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꺾어 접어 둘로 접는 접기 공정.
꺾여 접힌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에 둘로 접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접힌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측에 있어서 다수의 엠보싱부를 형성해서 옆샘방지부 연속부재를 제작하는 엠보싱 공정.
상기 옆샘방지부 연속부재의 상기 접힌 단부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속 또는 불연속으로 절단하는 제1 절단 공정.
절단된 한 쌍의 상기 옆샘방지부 연속부재를, 별도로 제작한 흡수성 본체 연속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상기 접힌 단부를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위치시키도록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제작하는 접합 공정.
상기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개개의 흡수성 물품으로 절단하는 제2 절단 공정.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제2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으로서, 하기 공정을 구비한다.
복수의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장척형상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원단 각각으로부터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를 풀어내는 풀어내기 공정.
풀어내어진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 각각을 그 길이방향의 한쪽의 측가장자리를 실질적으로 일치시켜서 중첩시키고, 중첩된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측가장자리측에 다수의 엠보싱부를 형성해서 옆샘방지부 연속부재를 제작하는 엠보싱 공정.
상기 옆샘방지부 연속부재에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처리 공정.
상기 열풍 처리된 한 쌍의 상기 옆샘방지부 연속부재를, 별도로 제작한 흡수성 본체 연속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상기 측가장자리를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위치시키도록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제작하는 접합 공정.
상기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개개의 흡수성 물품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제2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으로서, 하기 공정을 구비한다.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장척형상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원단으로부터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를 풀어내는 풀어내기 공정.
풀어내어진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한쪽의 측부를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꺾어 접어 둘로 접는 접기 공정.
꺾여 접힌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에 둘로 접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접힌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측에 있어서 다수의 엠보싱부를 형성해서 옆샘방지부 연속부재를 제작하는 엠보싱 공정.
상기 옆샘방지부 연속부재의 상기 접힌 단부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속 또는 불연속으로 절단하는 제1 절단 공정.
절단된 상기 옆샘방지부 연속부재에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처리 공정.
상기 열풍 처리된 한 쌍의 상기 옆샘방지부 연속부재를, 별도로 제작한 흡수성 본체 연속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상기 접힌 단부를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위치시키도록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제작하는 접합 공정.
상기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개개의 흡수성 물품으로 절단하는 제2 절단 공정.
또, 본 발명의 제3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접힌 단부를 가지도록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가 상기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꺾여 접혀 형성되어 있다. 꺾여 접힌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사이에 중간층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층은, 적어도, 상기 옆샘방지부의 피부접촉면측을 형성하는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상층 또는 비피부접촉면측을 형성하는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하층과 접합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측부 각각에서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접촉면측의 양측부 각각을 피복하는 한 쌍의 옆샘방지부를 가진다. 상기 흡수성 본체는 길이방향으로, 양측부에 상기 날개부를 가지는 배설부 대향부와, 상기 배설부 대향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부와, 상기 배설부 대향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부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옆샘방지부는 발수성의 사이드 시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드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측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날개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사이드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보다도 폭방향 바깥쪽의 영역에 있어서 히트 시일선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상기 히트 시일선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단부측으로부터 상기 날개부 앞측의 날갯죽지(base of the wing) 근방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후단부측으로부터 상기 날개부 뒤측의 날갯죽지 근방에 걸쳐 연장되어 있지만, 양 날갯죽지 근방 사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길이방향으로 비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제5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층 및 샘방지층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부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를 가진다. 한 쌍의 상기 날개형상 플랩부 각각은, 부직포로 두께방향으로 층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기부(基部)보다도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바깥쪽의 위치에 상기 기부보다도 부직포의 층 수가 많은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부분과, 비피부접촉면측에 형성된 플랩 점착부가 겹쳐져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제5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으로서, 하기 공정을 구비한다.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장척형상의 부직포의 원단으로부터 상기 부직포 연속체를 풀어내는 풀어내기 공정.
풀어내어진 상기 부직포 연속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부 각각을 상기 양측부끼리가 겹치도록 그 폭방향으로 꺾어 접어 셋으로 접는 공정.
꺾여 접힌 상기 부직포 연속체를, 상기 양측부가 겹쳐 있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또한 꺾여 접힌 상기 부직포 연속체의 양측부를 제외한 부분에 소정의 폭으로 다수의 엠보싱부를 형성하여, 장척형상 부재를 제작하는 엠보싱 공정.
상기 장척형상 부재의 한쪽의 면에 있어서의, 상기 양측부가 겹쳐 있는 상기 부분에 점착제를 연속체적으로 도포하는 도포 공정.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상기 장척형상 부재를, 그 폭방향으로 동시에 상기 엠보싱부가 형성된 상기 소정의 폭 내에서 요동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부가 간헐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를 제작하는 제1 절단 공정.
한 쌍의 상기 옆샘방지부 연속부재를, 별도로 제작한 흡수성 본체 연속체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상기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부가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의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하도록 또한 도포된 상기 점착제가 비피부접촉면측을 향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에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제작하는 접합 공정.
상기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개개의 흡수성 물품으로 절단하는 제2 절단 공정.
또, 본 발명의 제6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측부 각각에서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접촉면측의 양측부 각각을 피복하는 한 쌍의 옆샘방지부를 가진다. 상기 날개부는 날개 상층 및 날개 하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옆샘방지부는 발수성의 사이드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측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날개 상층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이면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측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날개 하층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날개부는 그 기단부인 날개 기단부가 상기 날개 상층과 상기 날개 하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 기단부 이외의 부분인 날개 선단부가 상기 날개 상층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제1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생리용 냅킨의 제1실시형태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의 비접합 영역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의 접합 영역의 일부(P)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제1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생리용 냅킨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5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5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일부 파단 Y-Y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생리용 냅킨의 옆샘방지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의 접합 영역의 일부(Q)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제1발명)의 생리용 냅킨의 포장 구조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Z-Z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생리용 냅킨을 포장재에 맞닿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도(포장 구조의 전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제1발명)의 생리용 냅킨의 포장 구조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2에 상당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제2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생리용 냅킨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X1-X1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있어서의 X2-X2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제2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생리용 냅킨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6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3-X3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X4-X4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제2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생리용 냅킨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6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21a는 본 발명(제2발명)의 바람직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제1실시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21b는 본 발명(제2발명)의 바람직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제1실시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21c는 본 발명(제2발명)의 바람직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제1실시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21c에 나타내는 열풍 처리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3a는 본 발명(제2발명)의 바람직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제2실시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23b는 본 발명(제2발명)의 바람직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제2실시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23c는 본 발명(제2발명)의 바람직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제2실시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제3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생리용 냅킨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배설부 대향부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 및 날개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제3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5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제4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나타내는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8에 나타내는 IV-IV선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8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28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속옷 생략)이다.
도 34는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날개부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도 32 대응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제4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2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도 32 대응도)이다.
도 36a는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날개부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도 32 대응도)이다.
도 36b는 도 36a에 나타내는 B-B선 단면도(도 30 대응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제4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3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도 32 대응도)이다.
도 38은 제3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제1변형예에 있어서의 날개부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도 32 대응도)이다.
도 39는 제3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제2변형예에 있어서의 날개부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도 32 대응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제4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4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도 32 대응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제5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생리용 냅킨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2는 도 41에 있어서의 X-X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1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옆샘방지부에 있어서의 접합선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제5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생리용 냅킨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5는 도 44에 있어서의 Y-Y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6a는 본 발명(제5발명)의 바람직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제1실시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46b는 본 발명(제5발명)의 바람직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제1실시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46c는 본 발명(제5발명)의 바람직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제1실시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46d는 본 발명(제5발명)의 바람직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제1실시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47a는 도 46의 본 발명(제5발명)의 바람직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을 더욱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7b는 도 46의 본 발명(제5발명)의 바람직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을 더욱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8은 본 발명(제6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9는 도 48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0은 도 48에 나타내는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51은 도 48에 나타내는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2는 도 48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53은 도 48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속옷 생략)이다.
도 54는 본 발명(제6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2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도 52 대응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제6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3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도 52 대응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제6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4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도 52 대응도)이다.
이하, 본 발명(제1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생리용 냅킨으로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유지성의 흡수층(11) 및 액불투과성의 샘방지층(12)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10)를 구비하며, 한 쌍의 옆샘방지부(5, 5)에 의해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 양측부가 덮혀 있다. 냅킨(1)에 있어서의 흡수층(11)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2) 및 액유지성의 흡수체(4)로 이루어지고, 샘방지층(12)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을 가지는 이면 시트(3)로 이루어진다.
또,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한 쌍의 옆샘방지부(5, 5) 각각은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양쪽에 엠보싱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는,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접힌 단부(51)를 가지도록,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가 흡수성 본체(10)의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꺾여 접혀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의 폭방향의 바깥쪽부에는 다수의 엠보싱부(52, 5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옆샘방지부(5, 5) 각각에 있어서의 접힌 단부(51)의 근방에 있어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끼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5A)을 가지고 있다.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이하, 간단히 냅킨이라고도 한다)에 대해서 더 상세히 서술한다. 냅킨(1)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흡수성 본체(10)의 길 이방향(이하, 본체 길이방향이라고도 한다)과 일치하고 있다.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각각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흡수체(4)는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으며,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표면 시트(2)의 폭은 흡수체(4)의 폭과 대략 같으며, 이면 시트(3)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2)는 흡수체(4)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면 전역을 덮고 있다.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는, 각각 흡수체(4)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연장되어, 그 연장부분에 있어서 서로 히트 시일,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공지의 접합방법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냅킨(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전방부(A), 상기 길이방향 중앙영역인 배설부 대향부(B)(착용자의 주로 액배설부에 대향 배치되는 배설부 대향영역을 폭방향 중앙에 가지는 부분) 및 후방부(C)(착용자의 주로 엉덩이부에 대향 배치되는 부분)로 구분된다. 상기 배설부 대향영역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은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전방부(A)는 냅킨 착용시에 착용자의 가장 앞측에 위치하는 부위이며, 후방부(C)는 착용자의 가장 뒤측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의 한 쌍의 옆샘방지부(5, 5)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한 쌍의 옆샘방지부(5, 5) 각각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5, 5) 각각은 대략 같은 폭을 가지며, 본체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옆샘방지부(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시일부(8)에 의해 이면 시트(3)와 접합되어 있다. 옆샘방지부(5)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가 흡수성 본체(10)의 측가장자리부에서 흡수성 본체(10)의 폭방향(이하, 간단히 본체 폭방향이라고도 한다)의 안쪽을 향해 연장되어, 접힌 단부(51)로서의 내측가장자리부가 형성되도록 흡수층(11)을 향해서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꺾여 접힌 후,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꺾여 접힌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선단부는 다시 시일부(8)에 있어서 이면 시트(3)와 접합되어 있다. 시일부(8)는 히트 시일,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를 형성하는 부직포에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엠보싱에 의한 다수의 오목부(52a, 52a…)가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에 있어서, 오목부(52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위 갈지자형상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개개의 오목부(52a)는 각각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형상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2a)는 부직포 섬유가 압밀화되어 있어서 밀도가 커져 있다.
오목부(52a)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옆샘방지부(5)의 외 면(50c)측에서 내면(50a, 50b) 측을 향해 연장되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2a)는 옆샘방지부(5)의 외면(50c)에 개구를 가지고 있다. 각 오목부(52a)는 동일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옆샘방지부(5)의 외면(50c)은 옆샘방지부(5)의 피부접촉면측의 면이며, 옆샘방지부(5)의 내면(50a, 50b)은 꺾여 접혀 있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상대향하는 면이다. 또한, 옆샘방지부(5)의 외면(50c)은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가 꺾여 접혀 있음으로써 그 일부분이 표면 시트(2)와 대향하고 있다.
오목부(52a)의 태양(態樣)으로서는, 예를 들면 원통형상이나, 오목부(52a)의 지름이 외면(50c)측에서 내면(50a, 50b)측을 향해 점차 증가해 가는 뿔대형상의 형상을 들 수 있지만,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52a)의 지름이 외면(50c)측에서 내면(50a, 50b)측을 향해서 점차 감소해 가는 역뿔대형상의 형상이 오목부(52a)의 입체적 형상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목부(52a)는 역(逆)원뿔대형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오목부(52a)는 바닥면부(56a)와 상기 바닥면부(56a)의 주위에 이어져 형성된 벽부(57)로 이루어진다. 바닥면부(56a)의 외면은 옆샘방지부(5)의 내면(50a, 50b)의 일부분이다.
오목부(52a)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5)의 외면(50c)에 있어서의 개구 지름은 1~8mm, 특히 1.5~6mm인 것이, 옆샘방지부(5)가 양호한 촉감 및 쿠션성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오목부(52a)의 바닥면부(56a)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필름화되어 있다. 바닥면부(56a)가 필름화되어 있는 부분은 바닥면부(56a)를 평면에서 봤을 때의 면적에 대해 20~90%, 특히 30~80%인 것이, 옆샘방지부(5)의 입체적 형상의 안정성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닥면부(56a)는 모두 필름화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필름화는, 부직포의 구성 섬유의 구성 수지 중 적어도 가장 융점이 낮은 수지가 연화(바람직하게는 용융 고화)하여, 구성 섬유가 필름형상으로 밀착한 상태로서, 그 필름화된 부분은 섬유형상이 거의 상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화되어 있는 바닥면부(56a)는 오목부(52a)의 필름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보다 더 두께가 얇고 밀도가 높아져 있으며, 또한 그 표면은 평활해져 있다.
한편, 옆샘방지부(5)의 비엠보싱부 및 비오목부의 부직포는 엠보싱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고, 필름화도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부드러운 감촉을 가지며, 요철에 의한 단차감이 경감되는 점이 좋다. 냅킨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옆샘방지부(5)의 외면은 부직포의 엠보싱 가공이 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촉감이 양호하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5, 5) 각각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힌 단부(51)의 근방에 있어서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상대향하는 내면(50a, 50b)끼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5A)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비접합 영역(5A)보다도 본체 폭방향의 상기 바깥쪽부에 있어서는, 상대향하는 내면(50a, 50b)끼리가 접합되어 있는 접합 영역(5B)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옆샘방지부(5)의 비접합 영역(5A)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비접합 영역(5A)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은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비접합 영역(5A)은 소정의 폭을 가지며 옆샘방지부(5)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 배설부 대향부(B)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은, 전방부(A) 및 후방부(C)에 있어서의 폭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전방부(A) 및 후방부(C)에 있어서의 폭은 대략 같다. 비접합 영역(5A)의 폭은 비접합 영역(5A)의 본체 폭방향의 길이이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 비접합 영역(5A)에 있어서의 폭이 넓은 부분의 본체 길이방향의 위치는 배설부 대향부(B)와 일치해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폭이 넓은 부분은, 배설부 대향부(B)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되며, 배설부 대향부(B)로부터 전방부(A)를 향해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배설부 대향부(B)로부터 후방부(C)를 향해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배설부 대향부(B)로부터 전방부(A) 및 후방부(C) 각각을 향해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비접합 영역(5A)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상대향하는 내면(50a, 50b)끼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간하고 있어 옆샘방지부(5)는 중공부를 가져, 냅킨 착용시에 양호한 쿠션성을 보인다.
또, 비접합 영역(5A)에 있어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에는 엠보싱에 의한 이간된 다수의 오목부(52a, 52a…)가 형성되어 있으며, 꺾여 접혀 있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상대향하는 내면(50a, 50b)측에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일부가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바닥면부(56a)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꺾여 접혀 있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상대향하는 내면(50a, 50b)측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바닥면부(56a) 및 벽부(57)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를 평면형상으로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 이간한 다수의 오목부(52a, 52a…) 각각은 접힌 단부(51)에 대하여 선대칭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내면(50a, 50b)끼리를 접근시켜 갔을 경우, 오목부(52a)의 바닥면부(56a)끼리가 부분적으로 접하도록 오목부(52a, 52a…)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접합 영역(5A)에는 오목부(52a)가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냅킨 착용시에 옆샘방지부(5)가 착용자의 피부에 눌려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내면(50a, 50b)끼리가 근접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52a)의 바닥면부(56a)끼리가 접한 상태가 형성된다. 바닥면부(56a)의 외면은 평면형상이며, 바닥면부(56a)끼리는 면과 면이 접하고 있기 때문에, 바닥면부(56a)끼리는 비교적 큰 접촉 면적을 가지고 있다.
오목부(52a)의 바닥면부(56a)끼리는 대략 전체가 서로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한 쌍의 역원뿔대형상이 바닥면(지름이 작은 쪽의 바닥면)끼리 접해 있는 형상이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옆샘방지부(5)의 비접합 영역(5A)은, 냅킨 착용시에 있어서도, 부피가 커서 쿠션성을 가져 장착감이 우수함과 함께, 입체적 형상의 안 정성이 우수하다.
특히, 배설부 대향부(B)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은 전방부(A) 및 후방부(C)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옆샘방지부(5)에 중공의 공간이 보다 폭넓게 형성되므로, 쿠션성 및 샘방지성이 높아져 있다.
또, 제조 공정의 가공 정밀도에 따라서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가 꺾여 접혀 옆샘방지부(5)가 형성될 때에, 본래의 접힘 위치에서 벗어나 접히는 경우가 있지만, 제1실시형태의 옆샘방지부(5)에서는, 실제 접힘 위치의 본체 폭방향에 있어서의 어긋남이 본래의 접힘 위치에 대하여 바닥면부(56a)의 지름의 반 이하이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닥면부(56a)끼리가 접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바닥면부(56a)의 지름은 제조 공정의 가공 정밀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닥면부(56a)끼리가 접한 상태를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오목부(52a)의 바닥면부(56a)의 지름은 0.5~7mm, 특히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서로 겹쳐 있는 바닥면부(56a)의 비율은 바닥면부(56a)를 평면에서 봤을 때의 면적에 대해 10~90%, 특히 20~80%인 것이, 옆샘방지부(5)의 입체적 형상의 안정성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최근접거리에 있는 오목부(52a)끼리간의 간격(예를 들면 중심간의 간격)은, 본체 길이방향으로 1~10mm, 특히 2~7mm, 본체 폭방향으로 1~10mm, 특히 2~7mm인 것이 같은 이유로 바람직하다. 또한, 엠보싱의 배치에 따라서는 중심간의 간격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안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본체 길이방향 및 본체 폭방향은, 엠보싱끼리를 잇는 길이방향 선, 폭방향 선을 가상적으로 설정하고, 이 가상 선과 최근접거리에 있는 오목부(52a)의 중심과의 간격에 의해 구하는 경우도 있다.
비접합 영역(5A)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한쪽의 단부가 내측가장자리부로서의 접힌 단부(51)이다. 접힌 단부(51)는, 적어도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의 상기 배설부 대향영역의 양측에 있어서, 즉 배설부 대향부(B)에 있어서, 접은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가 꺾여 접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은 자국'은, 접힌 단부(51)에 있어서, 2개의 면이 교차하는 직선 형상의 접은 자국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며, 도 2에 나타내는 단면도에 있어서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둘로 접혀 접힌 단부(5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말한다.
상술한 접힌 단부(5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둥그스름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냅킨 착용자의 피부에 부드럽게 접하기 때문에, 옆샘방지부(5)는 피트성이 우수하다.
다음으로 옆샘방지부(5)의 접합 영역(5B)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접합 영역(5B)은 옆샘방지부(5)의 상기 바깥쪽부이다. 접합 영역(5B)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은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접합 영역(5B)은 소정의 폭을 가지며, 옆샘방지부(5)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접 합 영역(5B)은 옆샘방지부(5)의 비접합 영역(5A)을 제외한 부분이며, 도 1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나 있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 배설부 대향부(B)에 있어서의 접합 영역(5B)의 폭은 전방부(A) 및 후방부(C)에 있어서의 폭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전방부(A) 및 후방부(C)에 있어서의 폭은 대략 같다. 접합 영역(5B)의 폭은 접합 영역(5B)의 본체 폭방향의 길이이다.
옆샘방지부(5)의 상기 바깥쪽부인 접합 영역(5B)에 있어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엠보싱부(52, 52…)가 형성되어 있으며, 꺾여 접혀 있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상대향하는 내면(50a, 50b)끼리는 엠보싱부(52, 52…) 각각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엠보싱부(52, 52…) 각각은 접합 영역(5B)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오목부(52a) 및 비오목부의 부분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내면(50a, 50b)끼리가 접합 영역(5B)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어긋남에 의한 중공상태의 상실이나 내단부로 접히기 쉬운 영역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어, 상술한 비접합 영역(5A)에 있어서의 중공 상태 및 접힌 단부(51)의 둥그스름한 형상이 안정되게 유지된다.
접합 영역(5B)에 있어서의 엠보싱부(5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위 갈지자형상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개개의 엠보싱부(52)는 각각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형상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부(52)의 지름은 오목부(52a)의 지름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 체적으로는 0.1~5mm, 특히 0.3~3mm인 것이, 옆샘방지부(5)의 촉감, 유연성 및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최근접거리에 있는 엠보싱부(52)끼리간의 간격(예를 들면 중심간의 간격)은, 본체 길이방향으로 1~5mm, 특히 2~4mm, 본체 폭방향으로 1~5mm, 특히 2~4mm인 것이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옆샘방지부(5)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옆샘방지부(5)는 시일부(8)보다도 본체 폭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측의 부분이 표면 시트(2)와는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체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는, 접힌 단부(51)와 시일부(8) 사이의 부분이, 본체 폭방향에 걸쳐 또는 접힌 단부(51) 근방에서 표면 시트(2)와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옆샘방지부(5)를 흡수성 본체(10)에 접합할 때에, 옆샘방지부(5)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각각에 본체 길이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장력을 가하면서, 옆샘방지부(5)를 흡수성 본체(10)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냅킨(1)의 자연상태에 있어서, 옆샘방지부(5)의 접힌 단부(51)가 표면 시트(2)로부터 이간된 상태가 얻어져, 옆샘방지부(5)의 샘방지성이 높아진다.
또, 옆샘방지부(5)의 접힌 단부(51)는 표면 시트(2)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간하고 있는 것이 옆샘방지부(5)가 입체적인 장벽을 형성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가장자리부는, 후술하는 홈(7)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표면 시트(2)가 홈(7) 주위에서 가라앉기 때문에, 표면 시트(2)에 대한 옆샘방지부(5)의 입체도가 증가되어 있어, 본체 폭방향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표면 시트(2) 상을 흘러 온 체액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술한 한 쌍의 옆샘방지부(5, 5) 각각의 폭은 이하와 같은 치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양호한 샘방지성 및 장착감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체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날개부(6, 6)(후술한다)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그 날개부(6)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에서, 시일부(8)와 본체 폭방향의 안쪽측의 단가장자리와의 사이를 본체 폭방향으로 옆샘방지부(5)의 표면을 따라서 측정한 길이는 10~30mm, 특히 15~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설부 대향부(B)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은 3~15mm, 특히 5~10mm인 것이, 옆샘방지부(5)의 우수한 유연성, 찌부러지기 어려움 및 신체 추종성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전방부(A) 및 후방부(C)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은 실질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지만, 전방부(A) 및 후방부(C)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은 2~7mm, 특히 3~5mm인 것이, 옆샘방지부(5)의 우수한 유연성 및 찌부러지기 어려움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부(A) 및 후방부(C)보다 배설부 대향부(B)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후술하는 개별 포장 형태에 있어서, 배설부 대향부(B)의 비접합 영역(5A)의 상면에는, (접음에 의해) 바깥쪽측으로 이동하는 것 같은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접힌 단부(51)는 개별 포장 형태에서는 그 위치가 이동하여, 접힘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1)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6, 6)를 가지고 있으며, 한 쌍의 상기 날개부(6, 6) 각각은 흡수성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날개부(6, 6)는 배설부 대향부(B)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날개부(6, 6) 각각과 본체 길이방향의 같은 측의 옆샘방지부(5)는 1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1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는 시일부(8)를 경계로 해서 옆샘방지부(5)와 날개부(6)로 나뉘어져 있다. 시일부(8)의 형상은, 이어져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6)가 팬티 가랑이 하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팬티 가랑이 하부의 가장자리부와 피트하기 쉽도록,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본체 폭방향 안쪽으로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비접합 영역(5A)은, 배설부 대향부(B)에 있어서, 그 본체 폭방향 안쪽측의 단가장자리가 시일부(8)의 형상을 따라서 본체 폭방향 안쪽으로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배설부 대향부(B)에 있어서, 날개부(6)와 이어져 형성되어 있는 접합 영역(5B)의 부분은 시일부(8)의 형상을 따라서 본체 폭방향 안쪽으로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날개부(6, 6) 각각을 구성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한쪽면에는, 팬티 가랑이 하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절곡된 날개부(6)를 상기 팬티의 외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날개 점착부(6a)(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 냅킨(1)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접촉면측에는 도 1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홈(7)이 형성되어 있다. 홈(7)은 본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엠보싱 홈, 및 상기 엠보싱 홈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본체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엠보싱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7)은 배설부 대향부(B) 전후단부 사이에 걸쳐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상기 엠보싱 홈 각각은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을 향해서 볼록하게 만곡하는 부분이 본체 길이방향으로 3개 이어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본체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엠보싱 홈은 본체 길이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홈(7)에 의해 표면 시트(2) 및 흡수체(4)가 접합되어 있다. 옆샘방지부(5)의 접힌 단부(5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7)의 바로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홈(7)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4) 부분의 평량은 홈(7)의 외측 부분보다도 크며, 흡수성 본체(10)의 흡수층(11)에는 배설부 대향부(B)의 전후단부 사이에 걸치는 중고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중고부(13)의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은 홈(7)과 같은 모양이다.
흡수체(4)의 두께는 홈(7)의 내측 부분 및 외측 부분 각각에서 대략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홈(7)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4) 부분의 두께는,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4) 부분의 두께에 대해 1~10mm, 특히 2~8mm 장착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이,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지만, 냅킨의 포장 구조에 있어서, 냅킨(1)의 옆샘방지부(5)에 포장에 의한 접은 자국이 형성되기 어려워지는 관점, 및 액흡수 유지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홈(7)의 내측에 대해서는 폭방향 중앙을, 홈(7)의 외측에 대해서는 홈(7)에서 10mm 정도 이간된, 홈(7)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부위를 계측 기준으로 한다. 계측에는 카토테크 제품 'KES-G5'를 사용하고, T0값(0.5g/㎠)을 두께로 한다. (측정 조건: 'SENS' 2, 'SPEED RANGE' 0.1, 'DEF 감도' 5)
다음으로 제1실시형태의 냅킨(1)을 형성하는 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를 형성하는 부직포로서는 종래 공지의 부직포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법에 의해 제조된 열융착 섬유 웹을 열풍 처리해서 얻어지는 에어 스루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및 니들 펀치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들에 있어서의 섬유의 결합 수단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바인더에 의한 결합이나 열융착에 의한 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섬유의 결합 대신에,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과 같이 섬유의 기계적 얽힘(mechanically entangle)을 이용해도 된다. 옆샘방지부(5)에 매끄러운 촉감이나 부드러움을 현저하게 실현하기 위해서는, 부직포로서, 카드법에 의해 얻어진 열융착 섬유 웹을 열풍 처리하고, 강고한 압축을 주지 않고 부직포화한 에어 스루 부직포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10~100g/㎡, 특히 15~50g/㎡, 나아가서는 20~50g/㎡인 것이, 옆샘방지부(5)의 입체성이 높아져 샘방지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옆샘방지부(5)의 양호한 장착감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평량 측정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된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를 10mm×1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mm×30mm 이상의 크기로 재단하고, 하나의 냅킨에서 합계 면적이 250㎟ 이상의 측정편을 채취하고, 이 측정편의 중량을 최소 표시 1mg의 전자저울을 사용해서 측정하여 평량으로 환산함으로써 구한다. 평량의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복수의 냅킨에서 측정편을 채취하고, 5점 이상의 계측값의 평균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표면 시트(2), 이면 시트(3) 또는 흡수체(4)의 형성 재료로서는,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 재료를 특별히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는, 예를 들면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에어 스루 부직포를,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서로 맞물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금속제의 1세트의 롤 사이로 삽입 통과시켜서 스틸 매치(steel-match)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오목형상이 부여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를 얻는다. 이때, 오목부(52a)의 바닥면부(56a)를 필름화하기 위해서, 1세트의 롤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부분적으로 상기 부직포의 두께보다도 충분히 작게 해 두고, 또한 상기 롤의 한쪽 또는 양쪽을,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수지 중 융점이 최저인 수지의 연화점 혹은 융점 이상으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제1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을 도 5~9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서술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또, 도 5~9에 있어서, 도 1~4와 동일 부재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발명(제1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의 냅킨(1)은, 도 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접합 영역(5A)에 있어서, 꺾여 접혀 있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상대향하는 내면(50a, 50b)측에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일부가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에는, 꺾여 접혀 있는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상대향하는 내면(50a, 50b)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다수의 리지부(ridge; 58, 5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지부(58, 58…)로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의 냅킨(1)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옆샘방지부(5)를 형성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에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부를 가지지 않도록 다수의 리지부(58, 58…)와 홈부(59, 59…)가 번갈아 배열되어 있다. 리지부(58)는 볼록형상으로 만곡하며 또한 홈부(9)는 오목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리지부(58) 및 홈부(59) 각각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지부(58)와 홈부(59)는 번갈아 배열되어 있으며, 홈부(59)는 리지부(58)로부터의 연속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웃하는 리지부(58) 사이의 간격은 0.5~5mm, 특히 1~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웃하는 홈부(59) 사이의 간격도 마찬가지로 0.5~5mm, 특히 1~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형태의 옆샘방지부(5)는 상술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지부(58) 및 홈부(59)가 배열되어 있는 방향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가상선(L)을 따라서, 접은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옆샘방지부 형성 시 트(50)가 꺾여 접혀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5)의 접힌 단부(51)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지부(58) 및 홈부(59) 각각이 본체 길이방향과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비접합 영역(5A)에는 꺾여 접혀 있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상대향하는 내면(50a, 50b)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다수의 리지부(58, 5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냅킨 착용시에 옆샘방지부(5)가 착용자의 피부에 눌려서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내면(50a, 50b)끼리가 가까워지면, 리지부(58)끼리가 부분적으로 접한 상태가 형성되기 때문에, 비접합 영역(5A)이 눌려 뭉개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가 겹쳐져 쿠션성을 저하시킬 일이 없고, 접힌 단부(51)에는 리지 홈 구조에 의한 줄무늬형상(streaky)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힘선이 형성되기 어렵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옆샘방지부(5)의 비접합 영역(5A)은, 냅킨 착용시에 있어서도, 부피가 커서 쿠션성을 가지며 장착감이 우수함과 함께 입체적 형상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 옆샘방지부(5)의 피부접촉면측에도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다수의 리지부(58, 58…)와 홈부(59, 59…)에 대응하는 다수의 홈부와 리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촉감이 우수하다. 리지부(58)는 옆샘방지부(5)의 피부접촉면측에 있어서 피부접촉면측을 향해 오목형상으로 만곡하고 있으며, 홈부(59)는 피부접촉면측을 향해 볼록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또, 접합 영역(5B)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옆샘방지부 형 성 시트(50)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엠보싱부(52, 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상대향하는 내면(50a, 50b)끼리는 엠보싱부(52, 52…) 각각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엠보싱부(52)는 리지부(58) 및 홈부(59)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제2실시형태의 냅킨(1)에 의하면, 제1실시형태의 냅킨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제1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포장 구조를, 상술한 본 발명(제1발명)의 냅킨을 사용해서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의 포장 구조(20)는 도 10~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냅킨(1)과, 이것을 개별 포장하는 내면이 박리 처리된 포장재(21)로 이루어지며, 흡수성 본체(10)의 비피부접촉면측에 본체 점착부(10a)(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점착부(10a)가 포장재(21)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포장재(21)에 박리 자유롭게 점착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의 포장 구조(20)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냅킨(1)은 상술한 본 발명(제1발명)의 제1실시형태 또는 제2실시형태의 냅킨이다.
흡수성 본체(10)의 비피부접촉면측에는 본체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한 쌍의 본체 점착부(10a, 10a)(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본체 점착부(10a, 10a) 각각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본체 점착부(10a)는 냅킨 착용시에 팬티의 내측에 점착하여 흡수성 본체(10)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소위 어긋남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또, 한 쌍의 날개부(6, 6) 각각의 비피부접촉면측에는 상술한 날개부 점착부(6a)(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날개부(6, 6)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 점착부(6a, 6a)를 윗쪽으로 향하게 하여 흡수성 본체(10) 위에 접혀 있으며, 날개부 점착부(6a, 6a) 위에는 1매의 박리지(도시하지 않음)가, 그 박리 처리면을 날개부 점착부(6a, 6a) 측으로 향하게 하여 박리 자유롭게 점착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한 쌍의 날개부(6, 6)는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 냅킨(1)에는 오목부(52a), 또는 리지부(58) 및 홈부(59)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포장재(21)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포장재(21)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전개 평면이 세로로 긴 직사각형이다. 포장재(21)는 그 내면 전면 혹은 냅킨(1)과 접촉한 부분 및 그 주변이 박리 처리되어 있어, 박리성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제1발명)에 있어서는, 내면 전면을 박리 처리할 필요는 없고, 그 일부, 예를 들면, 내면의 둘레가장자리부 이외의 부분만 박리 처리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냅킨(1)이 가지는 점착부와 맞닿는 포장재(21)의 내면의 부분에만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면 된다.
또, 포장재(21) 전단부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탭 테이프(22)가 형성되어 있다.
냅킨(1)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재(21)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냅킨(1)의 길이방향과 포장재(21)의 길이방향을 대강 일치시켜서, 본체 점착부(10a, 10a)가 포장재(21)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포장재(21)에 박리 자유롭게 점착되어 있다.
포장재(21)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 및 폭은 냅킨(1)의 길이 및 폭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냅킨(1)과 포장재(21)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냅킨(1)의 길이방향의 한쪽의 단가장자리인 후단가장자리측으로부터 피부접촉면측을 내측으로 해서 2회 순차적으로 절곡되어 겹쳐져 있으며, 상기 절곡에 의해 냅킨(1)에는 2개의 접힘선(S1, S2)이 형성되어 있으며,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의 상기 배설부 대향영역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2개의 접힘선(S1, S2) 사이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이, 흡수성 본체(10)의 전후단부 각각과, 상기 전후단부 각각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접힘선(S1, S2)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보다도 크다. 도 12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의 상기 배설부 대향영역의 길이방향의 중앙이 중앙선(CL)에 의해 나타나 있다.
또, 제1실시형태의 냅킨의 포장 구조(20)에 있어서, 냅킨(1)과 포장재(21)는 흡수성 본체(10)의 상기 배설부 대향영역에서 절곡되지 않도록 꺾여 구부려져 있다.
접힘선(S1)은 전방부(A)와 배설부 대향부(B)의 경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접힘선(S2)은 배설부 대향부(B)와 후방부(C)의 경계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접힘 선(S1, S2)은 냅킨(1)의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의 상기 배설부 대향영역의 길이방향의 중앙의 전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2개의 접힘선(S1, S2) 중 어느 한쪽이 상기 배설부 대향영역의 길이방향의 중앙과 일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과 일치하고 있는 접힘선이 상기 중앙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접힘선 중 하나가 된다.
냅킨(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설부 대향부(B)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이 전방부(A) 및 후방부(C)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접힘선(S1, S2) 사이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은 흡수성 본체(10)의 전단부와 접힘선(S1)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보다도 크다. 마찬가지로, 2개의 접힘선(S1, S2) 사이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은 흡수성 본체(10)의 후단부와 접힘선(S2)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의 폭보다도 크다.
또, 접힘선(S1, S2)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고부(13)를 본체 폭방향으로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냅킨(1)은 접힘선(S1, S2)에 있어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고부(13)의 두께에 의해 절곡되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옆샘방지부(5)는 포장에 의한 접은 자국이 형성되기 어렵게 되어 있어, 포장에 의한 접은 자국이 형성된 경우에도, 그 정도는 약한 것이 된다. 특히 접힌 단부(51) 근방은 중고부(13)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비접합 영역(5A)에 있어서 포장에 의한 접은 자국이 형성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포장재(2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좌우 양측가장자리부 및 전단가장자리에 있어서 봉해져 있다. 좌우 양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는 히트 시일에 의해 봉해져 있고, 전단가장자리에 있어서는 탭 테이프(22)에 의해 봉해져 있다. 또, 상기의 좌우 양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는 히트 시일되어 있지만, 개봉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 히트 시일된 부분을 따라서 점선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의 포장 구조(20)에 의하면, 포장 구조(20)에서 꺼내어진 냅킨(1)의 배설부 대향부(B)에는 접힘선에 의한 접은 자국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배설부 대향부(B)의 옆샘방지부(5)에 있어서의 비접합 영역(5A)에서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상대향하는 내면(50a, 50b)끼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간하여 옆샘방지부(5)는 중공부를 가지며, 또한 접힌 단부(51)는 둥그스름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포장 구조(20)에서 꺼내어진 냅킨(1)의 배설부 대향부(B)의 전후에 형성된 접힘선(S1, S2)에 의한 접은 자국은 그 정도가 약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실시형태의 포장 구조(20)에서 꺼내어진 냅킨(1)의 옆샘방지부(5)는 장착감 및 샘방지성이 높다.
다음에 제2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포장 구조(20)를 도 13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서술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또, 도 13에 있어서 도 10~12와 동일 부재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발명(제1발명)의 바람직한 냅킨의 포장 구조의 제2실시형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흡수층(11)에는 흡수성 본체(10)의 상기 배설부 대향영역의 전후단부 사이에 걸치는 중고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냅킨(1)과 포장재(21)는 상기 냅킨(1)의 길이방향의 한쪽의 단가장자리인 후단가장자리측으로부터 피부접촉면측을 내측으로 해서 1회 절곡되어 겹쳐져 있으며, 상기 절곡에 의해 형성된 접힘선(S3)이 중고부(13)를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의 포장 구조(20)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접힘선(S3)은 흡수성 본체(10)의 상기 배설부 대향영역의 길이방향의 중앙선(CL)과 대략 일치해서 형성되어 있다. 접힘선(S3)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고부(13)를 본체 폭방향으로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냅킨(1)은 접힘선(S3)에 있어서 중고부(13)의 두께에 의해 절곡되기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옆샘방지부(5)에는 포장에 의한 접은 자국이 형성되기 어렵게 되어 있어, 포장에 의한 접은 자국이 형성되었다 해도 그 정도는 약한 것이 된다. 특히 접힌 단부(51) 근방은 중고부(13)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비접합 영역(5A)에 있어서 포장에 의한 접은 자국이 형성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의 포장 구조(20)에 의하면,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제1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한 쌍의 옆샘방지부(5, 5)는 흡수성 본체(10)의 전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배설부 대향부(B) 전후단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의 생 리용 냅킨(1)에 있어서, 꺾여 접힌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선단부는,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부에서 시일부(8)에 의해 이면 시트(3)와 접합되어 있었지만, 꺾여 접힌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선단부는 상기 측가장자리부보다도 본체 폭방향의 안쪽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선단부는, 표면 시트(2) 또는 상대향하고 있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의 부분과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오목부(52a)의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은 원형형상이었지만, 원형형상 외,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제1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포장 구조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냅킨(1)은 2회 절곡되어 있었지만, 3회 이상 절곡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2실시형태의 포장 구조(20)에 있어서 냅킨(1)은 1회 절곡되어 있었지만, 2회 이상 순차적으로 절곡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접힘선(S3)은 중앙선(CL)과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제1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이어도 되지만,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등이어도 된다.
상술한 하나의 실시형태만이 가지는 부분은 모두 적절히 서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제2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200)은 생리용 냅킨이며, 도 14~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유지성의 흡수층(211) 및 액불투과성의 샘방지층(212)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210)를 구비하며, 한 쌍의 옆샘방지부(205, 205)에 의해 흡수성 본체(210)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 양측부가 덮혀 있다. 냅킨(200)에 있어서의 흡수층(211)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202) 및 액유지성의 흡수체(204)로 이루어지며, 샘방지층(212)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을 가지는 이면 시트(203)로 이루어진다.
또,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200)에 있어서, 한 쌍의 옆샘방지부(205, 205) 각각은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의 양쪽에 엠보싱부(252)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는 흡수성 본체(210)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단부(251)를 가지도록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가 중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251)에 있어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 각각의 시트단부(251A, 251B)끼리가 적어도 비접합부를 가지고 있으며, 옆샘방지부(205)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210)의 폭방향의 바깥쪽부에는 다수의 엠보싱부(252, 252…)가 형성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200)(이하, 간단히 냅킨이라고도 한다)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냅킨(200)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흡수성 본체(210)의 길이방향(이하, 본체 길이방향이라고도 한다)과 일치하고 있다. 표면 시트(202) 및 이면 시트(203) 각각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흡수체(204)는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고, 표면 시트(202) 및 이면 시트(203)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표면 시트(202)의 폭은 흡수체(204)의 폭과 대략 같으며, 이면 시트(203)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202)는 흡수체(204)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면 전역을 덮고 있다. 표면 시트(202) 및 이면 시트(203)는 각각 흡수체(204)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연장되어, 그 연장부분에 있어서 서로 히트 시일,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공지의 접합방법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200)에 있어서의 한 쌍의 옆샘방지부(205, 205)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한 쌍의 옆샘방지부(205, 205) 각각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205, 205) 각각은 대략 같은 폭을 가지며, 본체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205, 205) 각각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접촉면측에 위치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와 비피부접촉면측에 위치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B)가 본체 폭방향의 안쪽측의 시트단부(251A, 251B)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서로 겹쳐져 형성되어 있다.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 각각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B)를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은 옆샘방지부(205)와 같은 모양이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가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B)와 중첩되어 있는 부분을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은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B)와 같은 모양이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200)에 있어서,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 각각은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205)의 단부(251)에 있어서, 상기 비접합부는 흡수성 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실시태양에 있어서, 시트단부(251A, 251B)끼리는 옆샘방지부(205)의 길이방향의 대략 양단부 사이에 걸쳐 접합되어 있지 않다.
시트단부(251A, 251B) 각각은 본체 길이방향으로 직선 형상이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직포가 절단된 절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205)에 있어서, 본체 폭방향의 안쪽측의 단부(251)로서의 내측가장자리부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단부(251A)와 시트단부(251B)가 상하로 겹쳐 형성되어 있다. 단부(251)는 본체 길이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 각각은 흡수성 본체(210)의 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시일부(208)에 의해 이면 시트(203)와 접합되어 있다.
제1실시태양의 냅킨(200)에 있어서, 시트단부(251A, 251B)끼리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10)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시트단부(251A, 251B)가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는 것은, 시트단부(251A)와 시트단부(251B)가 본체 폭방향에서 다소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경우와, 시트단부(251A) 및 시트단부(251B) 각각의 본체 폭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어 어긋나 있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시트단부(251A)와 시트단부(251B)가 본체 폭방향에서 다소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어긋나 있는 길이는 0~5mm, 특히 0~3mm인 것이, 옆샘방지부(205)의 샘방지성 및 쿠션성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옆샘방지부(205)가 3매 이상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가 중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에 있어서의 시트단부끼리가 어긋나 있는 길이가 상기 범위내인 것이 같은 이유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긋남은 최상층의 시트가 폭방향 내단인 것이 감촉과 쿠션감을 양호하게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205, 205) 각각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251)의 근방에 있어서는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205A)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비접합 영역(205A)보다도 본체 폭방향의 상기 바깥쪽부에 있어서는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가 접합되어 있는 접합 영역(205B)을 가지고 있다. 접합 영역(205B)에서는,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가 엠보싱부(252, 252…) 각각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비접합 영역(205A)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은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비접합 영역(205A)은 소정의 폭을 가지며, 옆샘방지부(205)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 영역(205B)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은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접합 영역(205B)은 옆샘방지부(205)의 비접합 영역(205A)을 제외한 부분이다. 접합 영역(205B)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옆샘방지부(205)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옆샘방지부(205)의 비접합 영역(205A)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비접합 영역(205A)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옆샘방지부(205)의 단부(251)를 포함하며, 옆샘방지부(205)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내측의 영역이다.
단부(251)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단부(251A, 251B) 각각은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의 두께방향으로 넓어져 있으며, 부풀어 있다. 그 때문에, 비접합 영역(205A)에 있어서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는 부분적으로 이간하고 있으며, 옆샘방지부(205)는 냅킨 착용시에 양호한 쿠션성을 나타낸다.
상세히 서술하면, 넓어져 있는 시트단부(251A, 251B) 각각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폭방향의 안쪽을 향해서 나팔형상으로 부풀어 있다. 옆샘방지부(205)의 단부(251)에 있어서, 나팔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시트단부(251A, 251B)의 내측끼리가 접하고 있으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와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B)의 사이에 부분적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단부(251A, 251B) 각각이 넓어져 있는 이유를 이하에 서술한다.
이유의 하나로서는, 비접합 영역(205A)이 다수의 엠보싱부(252, 252…)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접합 영역(205B)과 비교하여,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두께가 크기 때문이다. 부직포는 접합 영역(205B)에 있어서 엠보싱부(252)에 의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압밀화되어 있어, 엠보싱부(252)를 포함하는 근방은 그 두께가 작아져 있다. 한편, 부직포는 비접합 영역(205A)에 있어서는 엠보싱부(252)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섬유의 자유도가 높은 상태에 있어, 시트단부(251A, 251B) 각각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두께는 접합 영역(205B)에 엠보싱부(252)가 형성되기 전의 두께이거나 또는 거기에 가까운 두께 상태에 있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원단이 감긴 상태로 보존되어 있으면, 부직포의 두께가 감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지만, 냅킨(20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부직포에 대하여 열풍 처리를 행하여, 부직포의 두께를 회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이유로서는, 접합 영역(205B)에 있어서 다수의 엠보싱부(252, 252…)를 형성함으로써, 시트단부의 피부접촉면측의 면 및 비피부접촉면측의 면 각각이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잡아 당겨지기 때문에, 시트단부(251A, 251B) 각각이 넓어져, 상기 시트단부(251A, 251B) 각각의 두께가 접합 영역(205B)에 엠보싱부(252)가 형성되기 전의 부직포의 두께보다도 커지기 때문이다. 시트단부(251A, 251B) 각각의 두께는 상기 열풍 처리를 행함으로써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옆샘방지부(205)의 단부(251)를 형성하는 시트단부(251A, 251B)는 부피가 크고 유연하고 쿠션성이 우수함과 함께 샘방지성이 높다.
또, 비접합 영역(205A)의 폭은 상술한 관점에서 옆샘방지부(205)의 폭에 대해 5~70%, 특히 20~50%인 것이, 접합 영역(205B)과 함께 바람직한 폭을 가지게 되어 바람직하다. 비접합 영역(205A)의 폭은 2~10mm, 특히 3~7mm인 것이 옆샘방지부(205)의 샘방지성 및 쿠션성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옆샘방지부(205)의 접합 영역(205B)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접합 영역(205B)에 있어서 옆샘방지부(205)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엠보싱부(252, 252…)가 형성되어 있으며,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가 엠보싱부(252, 252…) 각각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접합 영역(205B)에 있어서의 엠보싱부(252)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위 갈지자형상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개개의 엠보싱부(252)는 각각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형상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205)는 접합 영역(205B)에 다수의 엠보싱부(252, 25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냅킨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촉감이 좋다.
또, 옆샘방지부(205)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엠보싱부(252) 및 비엠보싱 부분이 번갈아 나열되는 열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는 다수의 상기 열을 따라서 만곡 또는 절곡되기 쉽게 되어 있으므로, 옆샘방지부(205)는 신체 추종성이 우수하다.
엠보싱부(252)의 지름은 0.5~5mm, 특히 1~3mm인 것이, 옆샘방지부(205)의 촉감, 유연성 및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최근접거리에 있는 엠보싱부(252)끼리간의 간격(예를 들면 중심간의 간격)은, 본체 길이방향으로 1~5mm, 특히 2~3mm, 본체 폭방향으로 1~8mm, 특히 2~5mm인 것이,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엠보싱의 배치에 따라서는 중심간의 간격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안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본체 길이방향 및 본체 폭방향은 엠보싱끼리를 잇는 길이방향 선, 폭방향 선을 가상적으로 설정하여, 이 가상선과 최근접거리에 있는 엠보싱부(252)의 중심과의 간격에 의해 구하는 경우도 있다.
옆샘방지부(205)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옆샘방지부(205)는 시일부(208)보다도 본체 폭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측의 부분이 표면 시트(202)와는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체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는,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가 본체 폭방향에 걸쳐 또는 단부(251) 근방에서 표면 시트(202)와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옆샘방지부(205)의 단부(251)는 표면 시트(202)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간하고 있는 것이, 옆샘방지부(205)가 입체적인 장벽을 형성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단부(251)는, 후술하는 홈(207)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표면 시트(202)가 홈(207) 주위에서 가라앉아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202)에 대한 옆샘방지부(205)의 입체도가 증가되어 있어, 본체 폭방향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표면 시트(202) 위를 흘러 온 체액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술한 한 쌍의 옆샘방지부(205, 205) 각각의 폭은 이하와 같은 치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양호한 샘방지성 및 장착감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체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날개부(206, 206)(후술한다)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그 날개부(206)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에서 시일부(208)와 본체 폭방향의 안쪽측의 단가장자리와의 사이를 본체 폭방향으로 옆샘방지부(205)의 표면을 따라서 측정한 길이는 10~30mm, 특히 15~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200)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1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206, 206)를 가지고 있으며, 한 쌍의 상기 날개부(206, 206) 각각은 흡수성 본체(210)로부터 연장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날개부(206, 206)는 흡수성 본체(210)에 있어서의 배설부 대향영역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날개부(206, 206) 각각과 본체 길이방향의 동일 측의 옆샘방지부(205)는 1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1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는 시일부(208)를 경계로 해서 옆샘방지부(205)와 날개부(206)로 나뉘어 있다. 시일부(208)의 형상은, 이어져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206)가 팬티 가랑이 하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팬티 가랑이 하부의 가장자리부와 피트하기 쉽도록,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본체 폭방향 안쪽으로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날개부(206)와 이어져 형성되어 있는 접합 영역(205B)의 부분은 시일부(208)의 형상을 따라서 본체 폭방향 안쪽으로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날개부(206, 206) 각각을 구성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의 한쪽면에는, 팬티 가랑이 하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절곡된 날개부(206)를 상기 팬티의 외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날개 점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 냅킨(200)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210)의 피부접촉면측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207)이 형성되어 있다. 홈(207)은 본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엠보싱 홈, 및 상기 엠보싱 홈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본체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엠보싱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207)은 배설부 대향부(B) 전후단부 사이에 걸쳐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상기 엠보싱 홈 각각은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하는 부분이 본체 길이방향으로 3개 이어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본체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엠보싱 홈은 본체 길이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홈(207)에 의해 표면 시트(202) 및 흡수체(204)가 접합되어 있다. 옆샘방지부(205)의 단부(251)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207)의 바로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1실시형태의 냅킨(200)을 형성하는 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를 형성하는 부직포로서는, 종래 공지의 부직포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법에 의해 제조된 열융착 섬유 웹을 열풍 처리해서 얻어지는 에어 스루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및 니들 펀치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들에 있어서의 섬유의 결합 수단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바인더에 의한 결합이나 열융착에 의한 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섬유의 결합 대신에,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과 같이 섬유의 기계적 얽힘을 이용해도 된다. 옆샘방지부(205)에 매끄러운 촉감이나 부드러움을 현저하게 실현하기 위해서는, 부직포로서, 카드법에 의해 얻어진 열융착 섬유 웹을 열풍 처리하고, 강고한 압축을 주지 않고 부직포화한 에어 스루 부직포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8~30g/㎡, 특히 10~25g/㎡인 것이, 옆샘방지부(205)의 입체성이 높아져 샘방지성이 향상함과 함께 옆샘방지부(205)의 양호한 장착감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표면 시트(202), 이면 시트(203) 또는 흡수체(204)의 형성 재료로서는,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 재료를 특별히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제2발명)의 제2 및 제3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을 도 17~20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2 및 제3실시형태에 대해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서술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또, 도 17~20에 있어서 도 14~16과 동일한 부재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발명(제2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의 냅킨(200)은, 도 17~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 각각의 시트단부(251A, 251B)끼리는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시트단부(251A, 251B)끼리가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옆샘방지부(205)의 단부(251)에는 상기 비접합부로서의 파선 형상의 절개선(251a)이 흡수성 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의 냅킨(200)의 옆샘방지부(205)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옆샘방지부(205)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에 의해 본체 폭방향의 안쪽에 접힌 단부로서의 단부(251)를 가지도록,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가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꺾여 접혀 형성되어 있다.
꺾여 접혀 있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의 피부접촉면측의 부분이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에 대응하고, 상기 시트(50)의 비피부접촉면측의 부분이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B)에 대응하고 있다.
비접합 영역(205A)에 있어서, 시트단부(251A, 251B)끼리가 접합되어 있는 부분의 본체 폭방향 안쪽에 있어서, 꺾여 접혀 있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의 내면측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중공 상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옆샘방지부(205)의 쿠션성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단부(251)에 있어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를 형성하는 부직포는 부풀어 올라 있어, 둥그스름한 단부(251)가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는 도 17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251)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있다. 절단에 의한 파선 형상의 절개선(251a)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길며, 단부(251)를 따라서 본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트단부(251A, 251B)끼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상기 비접합부)에 있어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 각각의 시트단부(251A, 251B)끼리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시트단부(251A, 251B) 각각은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의 두께방향으로 넓어져 있으며, 부풀어 있다.
파선 형상의 절개선(251a)은 소정 길이의 절개부(251a')가 등간격으로 본체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251a')는 개구 상태로 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의 냅킨(200)은, 옆샘방지부(205)의 단부(251)에 있어서, 상기 비접합부를 가지고 있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의 절단면에서 생기는 섬유 탈락 또는 섬유 보풀 발생이 저감되어 있어, 감촉이 우수하다.
파선 형상의 절개선(251a)을 구성하는 절개부(251a')의 길이는 2~10mm, 특히 3~5mm인 것이, 상술한 관점 및 옆샘방지부(205)의 쿠션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파선 형상의 절개선(251a)을 구성하는 절개부(251a')끼리의 본체 길이방향의 간격은 1~10mm, 특히 2~7mm인 것이,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사용중에 절개부로부터 사이드 시트가 풀리는 등에 의해 보풀이 발생하여 감촉이 저하하는 것을 막고, 촉감이나 쿠션감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절개부의 길이방향 간격은 같은 길이가 아니라 상기 간격내에서 복수의 길이가 혼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실시형태의 냅킨(200)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 시트(250C)를 구비하고 있으며, 옆샘방지부(205)의 단부(251)가 피복 시트(250C)에 의해 덮혀 있다.
피복 시트(250C)는 옆샘방지부(205)의 단부(251)를 피복하고,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에 있어서는 적어도 접합 영역(205B)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까지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형태의 냅킨(200)에 있어서는, 옆샘방지부(205)의 피부접촉면측 및 비피부접촉면측에 있어서 본체 폭방향의 전체가 피복 시트(250C)에 의해 덮혀 있다.
피복 시트(250C)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10)의 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시일부(208)에 의해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와 함께 이면 시트(203)와 접합되어 있다. 피복 시트(250C)는 흡수성 본체(210)의 측가장자리부에서 본체 폭방향의 안쪽을 향해서 옆샘방지부(205)의 피부접촉면측을 덮도록 연장하고, 접힌 단부가 형성되도록 흡수층(211)을 향해서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꺾여 접힌 후, 옆샘방지부(205)의 비피부접촉면측을 덮도록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접힌 피복 시트(250C)의 선단부는 다시 시일부(208)에 있어서 이면 시트(203)와 접합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의 냅킨(200)에 있어서 피복 시트(250C)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피복 시트(250C)를 형성하는 부직포로서는 상술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피복 시트(250C)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8~30g/㎡, 특히 10~25g/㎡인 것이, 옆샘방지부(205)의 감촉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제2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형태의 냅킨(200)에 있어서 옆샘방지부(205)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와 상기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D)가 중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205)는 3매의 시트가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 각각의 시트단부(251A, 251B)끼리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또, 시트단부(251A, 251B)끼리는 상기 양 시트 사이에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D)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간되어 있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D)의 시트단부(251D)는 시트단부(251A, 251B)보다도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3실시형태의 옆샘방지부(205)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D)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평량은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보다도 큰 것이 옆샘방지부(205)의 쿠션성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동등하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D)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에 대해 20~100%, 특히 30~80% 큰 것이 사이드 시트의 안쪽 말단부의 확장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D)는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D)의 본체 길이방향의 길이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B)와 같으며, 본체 폭방향의 길이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B)보다도 작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D)의 시트단부(251D)는 본체 길이방향으로 직선 형상이며, 부직포가 절단된 절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D)는 흡수성 본체(210)의 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시일부(208)에 의해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와 함께 이면 시트(203)와 접합되어 있다.
또, 접합 영역(205B)에 있어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D)는 다수의 엠보싱부(252, 252…)에 의해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와 접합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다.
본 발명(제2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한 쌍의 옆샘방지부(205, 205)는 흡수성 본체(210)의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배설부 대향영역 전후단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옆샘방지부(205)의 단부(251)에는 파선 형상의 절개선(25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선(251a)은 복수의 세로로 긴 절개부(251a')가 등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었지만, 등간격으로 나란히 나열되지 않아도 되며, 또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의 단부(251)가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있으면 되고, 절개부(251a')의 형상은 원형, 직사각형, 다각형상이어도 되며, 상술한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꺾여 접혀 있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의 사이에 1매 또는 복수매의 다른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D)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2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평량보다도 컸지만, 동등해도 된다. 또,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의 사이에 1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를 가지고 있었지만, 2매 이상의 다른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제2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이어도 되지만,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등이어도 된다.
상술한 하나의 실시형태만이 가지는 부분은 모두 적절히 서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제2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을 상술한 생리용 냅킨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의 실시태양에 기초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제2발명)의 냅킨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제1실시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냅킨(200)의 제조방법의 제1실시태양은, 도 21a~도 2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장척형상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원단(100A, 100B) 각각으로부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를 풀어내는 풀어내기 공정과, 풀어내어진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 각각에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처리 공정과, 상기 열풍 처리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 각각을 그 길이방향의 한쪽의 측가장자리(50Aaa, 50Baa)를 실질적으로 일치시켜서 중첩시키고, 중첩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측가장자리측에 다수의 엠보싱부(252, 252)를 형성해서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를 제작하는 엠보싱 공정과,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 5a)를, 별도로 제작한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측가장자리(50Aaa, 50Baa)를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위치시키도록 접합해서 흡수성 물품 연속체(1a)(도시하지 않음)를 제작하는 접합 공정과, 흡수성 물품 연속체(1a)를 개개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냅킨(200)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을 구비한다.
또, 제1실시태양에 있어서, 장척형상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는 통기성을 가지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풍 처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에 열풍을 에어 스루 방식으로 분사시켜서 상기 부직포의 부피(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감긴 부직포의 부피를 회복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2004-137655호 공보의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이 있다.
우선, 상기 열풍 처리 공정에서 사용되는 열처리장치(101A, 101B)에 대해서, 도 21a 및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열처리장치(101A, 101B)는 같은 장치이므로, 열처리장치(101A)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열처리 장치(101A)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메쉬(wire mesh)의 컨베이어 벨트(1012), 가열 존(H) 및 냉각 존(F)을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벨트(1012)는 무단(endless)인 것으로, 한 쌍의 지지 축(1013, 1013)에 지지되어 소정 방향으로 주회(周回)하도록 되어 있다. 컨베이어 벨트(1012)의 주회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류측에는 가열 존(H)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하류측에는 냉각 존(F)이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 벨트(1012)는 금속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가열 존(H) 및 냉각 존(F)에 있어서의 방열 효율의 점에서는, 컨베이어 벨트(1012)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 벨트(1012)의 상측에는 컨베이어 벨트(1012)에 대향해서 제1블로워(blower; 1014)가 설치되어 있다. 제1블로워(1014)로부터는 소정 온도로 가열된 열풍이 컨베이어 벨트(1012)를 향해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컨베이어 벨트(1012)를 사이에 두고 제1블로워(1014)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1블로워(1014)로부터 분출된 열풍을 흡인하는 제1흡입 박스(suction box; 10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블로워(1014)와 제1흡입 박스(1015)에 의해 가열 존(H)이 구성되어 있다. 제1흡입 박스(1015)에 의해 흡인된 열풍은, 덕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제1블로워(1014)로 보내진다. 즉 열풍은 제1블로워(1014)와 제1흡입 박스(1015)의 사이를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컨베이어 벨트(1012)의 주회 방향에 대하여, 제1블로워(1014)의 바로 하류측에는 컨베이어 벨트(1012)에 대향해서 제2블로워(1016)가 설치되어 있다. 제2블로워(1016)로부터는 소정 온도의 냉풍이 컨베이어 벨트(1012)를 향해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컨베이어 벨트(1012)를 사이에 두고 제2블로워(1016)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2블로워(1016)로부터 분출된 냉풍을 흡인하는 제2흡입 박스(10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블로워(1016)와 제2흡입 박스(1017)에 의해 냉각 존(F)이 구성되어 있다. 제2흡입 박스(1017)에 의해 흡인된 냉풍은 덕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장치 바깥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1실시태양에 대해서 이하에 더 설명한다.
먼저, 상기 풀어내기 공정에 있어서는,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단(100A, 100B) 각각으로부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를 풀어낸다. 롤형상으로 감긴 상태에 있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는 감긴 압력에 의해 그 부피가 줄어들어 있다. 이 상태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를 장치(101A, 101B)에 통과시킴으로써 그 부피를 회복시킨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의 폭은 냅킨(200)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날개부(206)를 포함한다)를 형성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Ba)의 폭은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의 폭보다도 좁고, 냅킨(200)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B)를 형성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어내어진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 각각을 상기 열풍 처 리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 열풍 처리 공정에 있어서는, 풀어내어진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 각각에 열풍을 분사하여 부피를 회복시킨다. 이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의 열풍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Ba)의 열풍 처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원단(100A)으로부터 풀어내어진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를 컨베이어 벨트(1012)와 함께 반송한다. 반송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는 가열 존(H)으로 보내진다. 가열 존(H)에 있어서는, 제1블로워(1014)로부터 컨베이어 벨트(1012)를 향해 소정 온도로 가열된 열풍이 분출하고 있다. 가열 존(H)에 있어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에는 에어 스루 방식으로 열풍이 분사된다. 즉,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에는 열풍이 분사되고, 분사된 열풍은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를 관통한다. 이 열풍 분사 조작에 의해, 부피가 줄어든 상태에 있는 부직포인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의 부피가 증가하여, 감기 전의 부피와 같은 정도로까지 회복한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부피회복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각 열처리 조건은 아래와 같다.
컨베이어 벨트(1012)의 반송 속도는 부직포의 재질, 부피가 줄어드는 정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부직포가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40~350cm/초, 특히 80~250cm/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의 온도는 부직포의 재질, 부피가 줄어드는 정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부직포가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90~120℃, 특히 100~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에 열융착성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열풍의 온도는 상기 열융착성 섬유의 융점보다도 5~30℃, 특히 10~20℃ 낮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 분사 시간은 단시간으로 충분하며, 구체적으로는 0.05~3초, 바람직하게는 0.05~1초, 더 바람직하게는 0.05~0.5초 정도라는 매우 단시간의 열풍 분사에 의해 부직포의 부피가 회복한다. 이것은 생산 효율의 향상 및 장치의 소형화에 크게 기여한다. 분사 시간이 단시간으로 끝나는 이유로서는, 에어 스루 방식의 기여가 크다고 생각된다.
열풍 분사에 의해 부피가 회복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를 형성하는 부직포를 즉시 가공 공정으로 반송해서 상기 부직포에 제반 가공(예를 들면 닙 롤에 의한 협압(挾壓) 가공)을 실시하면, 애써 회복된 부직포의 부피가 다시 줄어들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열풍 분사에 의한 부직포의 부피 회복후 즉시 상기 부직포에 냉풍을 에어 스루 방식으로 분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냉풍의 분사에 의해 부피가 큰 상태의 부직포가 냉각되어 그 부피 크기가 유지되어서, 그 후에 닙 롤에 의한 협압 가공 등을 실시해도 부피가 줄어드는 것이 방지된다. 그래서, 도 22에 나타내는 장치(101A)에 있어서는, 부직포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가열 존(H)의 바로 하류측에 상기 가열 존(H)에 인접해서 냉각 존(F)이 설치되어 있다.
냉각 존(F)에 있어서는, 제2블로워(1016)로부터 컨베이어 벨트(1012)를 향해서 소정 온도의 냉풍이 분출되고 있다. 냉각 존(F)에 있어서 부직포에는 에어 스루 방식으로 냉풍이 분사된다. 즉, 냉각 존(F)에 있어서는 부직포에 냉풍이 분사되고, 분사된 냉풍은 상기 부직포를 관통한다.
냉풍 온도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50℃ 이하, 특히 30℃ 이하이면 충분한 냉각 효과가 얻어진다. 냉풍 온도의 하한값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에너지 비용이나 장치(101A)의 간소화의 점에서는, 20~25℃ 정도의 실온인 것이 적절하다.
열풍이 분사되어 고온으로 되어 있는 부직포를 충분히 냉각시키는 관점에서, 냉풍의 풍속은 1~10m/초, 특히 1~5m/초, 특별히 1~3m/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풍속이면 충분한 냉각 효과가 발현된다. 또 풍속이 높아지는 것에 기인해서 부직포의 안정된 반송이 방해받을 우려가 저감한다.
열풍 분사 시간과 마찬가지로 냉풍의 분사 시간도 단시간으로 충분하다. 구체적으로는 0.01초 이상, 특히 0.02~1초, 특별히 0.05~0.5초 정도라는 매우 단시간의 냉풍의 분사에 의해 부직포가 충분히 냉각된다. 분사 시간이 단시간으로 끝나는 이유로서는, 에어 스루 방식의 기여가 크다고 생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 처리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 각각을 상기 엠보싱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 엠보싱 공정에 있어서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 각각을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의 한쪽의 측가장자리(50Aaa, 50Baa)를 실질적으로 일치시켜 중첩한 적층체 연속체를 제작하고, 상기 적층체 연 속체를 엠보싱 장치(102)로 보낸다.
엠보싱 장치(102)는 둘레면에 엠보싱용 볼록부가 규칙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엠보싱 롤을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엠보싱 롤에 있어서의 엠보싱용 볼록부는, 다른쪽의 엠보싱 롤에 있어서의 엠보싱용 볼록부와 대향하도록 각 엠보싱 롤 둘레면에 소정의 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엠보싱 롤간의 클리어런스는 엠보싱용 볼록부가 배치되어 있는 소정의 폭에 있어서는, 중첩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의 두께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엠보싱용 볼록부가 배치되어 있는 소정의 폭에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한 쌍의 엠보싱 롤간의 클리어런스가 중첩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의 두께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적층체 연속체를, 측가장자리(50Aaa, 50Baa)로부터 상기 적층체 연속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으로 이간된 부분이, 엠보싱 롤 둘레면의 엠보싱용 볼록부가 규칙적으로 배치된 부분에서 엠보싱 가공되도록, 엠보싱 장치(102)에 보내어 중첩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에 다수의 엠보싱부(252, 252…)를 형성하고, 중첩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끼리를 접합하여, 상기 적층체 연속체를 로터리 커터(103)로 보낸다. 상세히 서술하면, 상기 적층체 연속체는, 측가장자리(50Aaa, 50Baa)로부터 상기 적층체 연속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으로 이간된 부분으로부터 반대측의 측가장자리에 걸쳐 다수의 엠보싱부(252, 25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리 커터(103)에 있어서는, 도 2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적층체 연속체로부터, 옆샘방지부 형성부(5a5)에 있어서는 연속하고 날개부 형성부(5a6)에 있어서는 비연속이도록, 상기 적층체 연속체를 그 폭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절단하여, 옆샘방지부 형성부(5a5)와 날개부 형성부(5a6)를 각각 다수 가지는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를 제작한다. 옆샘방지부 형성부(5a5)는 옆샘방지부(5)를 형성하는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의 부분이며, 날개부 형성부(5a6)는 날개부(6)를 형성하는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의 부분이다. 절단에 이용하는 장치로서는, 로터리 커터 이외의 종래부터 흡수성 물품의 절단에 이용되고 있는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한편, 도 21c에 있어서 엠보싱부(252)는 기재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또 하나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를 제작하여,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 5a)를 상기 접합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 접합 공정에 있어서는,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 5a)를, 별도로 제작한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Ba)측을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에 대향시키고 또한 측가장자리(50Aaa, 50Baa)를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위치시키도록 접합하는 동시에, 냅킨(200)의 길이에 대응하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하면을 폭방향에 걸쳐 접합해서 시일부를 형성하여, 흡수성 물품 연속체(1a)를 제작한다.
상세히 서술하면,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를, 옆샘방지부 형성부(5a5)와 날개부 형성부(5a6)의 경계를 따라서, 옆샘방지부 형성부(5a5)가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측부를 덮도록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에 접합한 다. 또, 상기 시일부에 의해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 5a)와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접합된다.
그런 후, 흡수성 물품 연속체(1a)를 상기 절단 공정으로 보내고, 상기 절단 공정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 연속체(1a)를, 길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된 피절단부로서의 상기 시일부에 있어서 폭방향에 걸쳐 절단하여, 개개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본 발명의 냅킨(200)을 얻는다. 상기 절단에 있어서의 장치로서는, 종래부터 흡수성 물품의 절단에 이용되고 있는 각종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커터 롤과 받이 롤(anvil roll)의 조합이나 커터 롤이 가열되어 있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태양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를 포함해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냅킨(200)의 부위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상술한 제1실시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제2발명)의 냅킨(200)이 얻어진다. 또, 상기 엠보싱 공정 앞에 상기 열풍 처리 공정을 마련함으로써,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 250B) 각각의 부피를 감기 전의 상태까지 회복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시트단부(251A, 251B)는 부풀어 넓어져 있어, 옆샘방지부(205)의 유연성 및 쿠션성이 우수한 냅킨(200)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제2발명)의 냅킨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서 제2실시태양을 설명한다. 제2실시태양에 대해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실시태양에 관해서 상세히 서술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본 발명(제2발명)의 냅킨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제2실시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냅킨(200)의 제조방법의 제2실시태양은, 도 23a~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장척형상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원단(100A)으로부터,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를 풀어내는 풀어내기 공정과, 풀어내어진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한쪽의 측부를,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꺾어 접어 둘로 접는 접기 공정과, 꺾여 접힌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에, 둘로 접음으로써 형성된 접힌 단부(251)와는 반대측의 단부측에 있어서, 다수의 엠보싱부(252, 252…)를 형성하여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를 제작하는 엠보싱 공정과,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의 접힌 단부(251)를,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으로 절단하는 제1 절단 공정과, 절단된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에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처리 공정과, 상기 열풍 처리된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 5a)를, 별도로 제작한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접힌 단부(251)를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위치시키도록 접합해서 흡수성 물품 연속체(1a)를 제작하는 접합 공정과, 흡수성 물품 연속체(1a)를 개개의 흡수성 물품으로 절단하는 제2 절단 공정을 구비한다.
제2실시태양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실시태양과는 달리 하나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원단을 사용하고 있으며, 또, 상기 열처리 공정은 상기 엠보싱 공정 뒤에 위치하고 있다.
이하, 제2실시태양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우선, 상기 풀어내기 공정에 있어서는, 하나의 원단(100A)으로부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를 풀어낸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의 폭은, 냅킨(200)에 있어서의 폭방향으로 나란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A)(날개부(206)를 포함한다) 및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B)를 형성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어내어진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를 상기 접기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 접기 공정에 있어서는, 도 23a 및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한쪽의 측부를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꺾어 접어 둘로 접는다. 상기 측부를 접을 때에는, 접힌 단부(251)에 접은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의 한쪽의 측부를 꺾어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힌 부분은 장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B)가 되므로, 상기 접힌 부분의 폭은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250B)와 동일 길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에는 둘로 접는 것에 의해 접힌 단부(251)가 형성된다.
꺾여 접힌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를 상기 엠보싱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 엠보싱 공정에 있어서는,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꺾여 접힌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를, 접힌 단부(251)로부터 안쪽으로 이간된 부분이 엠보싱 롤 둘레면의 엠보싱용 볼록부가 규칙적으로 배치된 부분에서 엠보싱 가공되도록 엠보싱 장치(102)로 보내어, 꺾여 접힌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에 다수의 엠보싱부(252, 252…)를 형성하고,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의 내면끼리를 접합해서 로터리 커터(103)로 보낸다. 상세히 서술하면,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는, 접힌 단부(251)로부터 안쪽으로 이간된 부분으로부터 반대측의 단부에 걸쳐 다수의 엠보싱부(252, 25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리 커터(103)에 있어서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로부터, 옆샘방지부 형성부(5a5)에 있어서는 연속하고 날개부 형성부(5a6)에 있어서는 비연속이도록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를 그 폭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절단하여, 옆샘방지부 형성부(5a5)와 날개부 형성부(5a6)를 각각 다수 가지는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를 제작한다.
상세히 서술하면, 옆샘방지부 형성부(5a5)는 옆샘방지부(205)를 형성하는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에 있어서의 꺾여 접혀 있는 부분이며, 날개부 형성부(5a6)는 날개부(206)를 형성하는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가 접혀 있지 않은 부분이다.
다음에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를 상기 제1 절단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 제1 절단 공정에 있어서는,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의 접힌 단부(51)를 절단장치(104)에 의해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또한 연속으로 절단한다. 절단장치(104)로서는, 종래부터 흡수성 물품의 절단에 이용되고 있는 각종 장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커터 롤과 받이 롤의 조합이나 커터 롤이 가열되어 있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접힌 단부(251)가 절단된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를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는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열처리 장치(101A)를 구비하고 있으며,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를 상기 열처리 장치(101A)로 보내어, 상기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에 열풍을 분사함으로써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를 형성하고 있는 부직포의 부피를 회복시킨다.
마찬가지로, 또하나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를 제작하여, 부피가 회복된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 5a)를 상기 접합 공정에 보낸다.
상기 접합 공정에 있어서는,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a, 5a)를, 별도로 제작한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Ba)가 되는 측을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에 대향시키고 또한 접힌 단부(251)를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10a)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위치시키도록 접합하는 동시에, 냅킨(200) 길이에 대응하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하면을 폭방향에 걸쳐서 접합해서 시일부를 형성하여, 흡수성 물품 연속체(1a)를 제작한다.
그런 후, 흡수성 물품 연속체(1a)를 상기 제2 절단 공정으로 보내고, 상기 제2 절단 공정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 연속체(1a)를, 길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된 피절단부로서의 상기 시일부에 있어서 폭방향에 걸쳐서 절단하여, 개개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본 발명(제2발명)의 냅킨(200)을 얻는다.
상술한 제2실시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제2발명)의 냅킨(200)이 얻어진다. 또, 상기 엠보싱 공정 뒤에 상기 열풍 처리 공정을 마련함으로써, 제조시의 핸들링성이 향상하고, 제조 안정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면, 각 상기 연속체의 위치를 맞추기 쉬워진다. 또, 상기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는, 부직포의 두께를 컨트롤하기 쉬워진다. 또,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원단이 하나로서 제조 비용의 저감이 도모된다.
본 발명(제2발명)은 상술한 실시태양에 제한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제1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열풍 처리 공정 뒤에 상기 엠보싱 공정이 마련되어 있었지만, 상기 엠보싱 공정 뒤에 상기 열풍 처리 공정을 마련하고 있어도 된다. 또, 제1실시태양에 있어서, 2개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를 사용해서 냅킨(200)을 제조하고 있었지만, 3개 이상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를 사용해서 냅킨(200)을 제조해도 된다. 또, 제1실시태양에 있어서, 2개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50Ba)를 2대의 열풍 처리 장치(101A, 101B)를 이용해서 상기 열풍 처리를 행하고 있었지만, 1대의 열풍 처리 장치를 이용해서 상기 열풍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 제2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열풍 처리 공정 뒤에 상기 접기 공정, 상기 엠보싱 공정 및 제1 절단 공정이 마련되어 있었지만, 상기 접기 공정, 상기 엠보싱 공정 및 제1 절단 공정 뒤에 상기 열풍 처리 공정을 마련해도 된다. 또, 제2실시태양의 상기 제1 절단 공정에 있어서, 접힌 단부(251)를 연속으로 절단하고 있었지만, 접힌 단부(251)를 불연속으로 절단해도 된다. 또, 제2실시태양에 있어서, 꺾여 접혀 있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50Aa) 중에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연속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하나의 실시태양만이 가지는 부분은 모두 적절히 서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제3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300)은 생리용 냅킨이며, 도 24~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유지성의 흡수층(311) 및 액불투과성의 샘방지층(312)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310)를 구비하며, 한 쌍의 옆샘방지부(305, 305)에 의해, 흡수성 본체(310)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 양측부가 덮혀 있다. 냅킨(300)에 있어서의 흡수층(311)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302) 및 액유지성의 흡수체(304)로 이루어지고, 샘방지층(312)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을 가지는 이면 시트(303)로 이루어진다.
또,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300)에 있어서, 한 쌍의 옆샘방지부(305, 305) 각각은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의 적어도 한쪽에 엠보싱부(352)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는, 흡수성 본체(310)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접힌 단부(351)를 가지도록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가 흡수성 본체(310)의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꺾여 접혀 형성되어 있다. 꺾여 접힌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 사이에 중간층(350C)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층(350C)은 옆샘방지부(305)의 비피부접촉면측을 형성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하층(350B)과 접합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300)(이하, 간단히 냅킨이라고도 한다)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냅킨(300)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흡수성 본체(310)의 길이방향(이하, 본체 길이방향이라고도 한다)과 일치하고 있다. 표면 시트(302) 및 이면 시트(303) 각각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흡수체(304)는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으며, 표면 시트(302) 및 이면 시트(303)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표면 시트(302)의 폭은 흡수체(304)의 폭과 대략 같으며, 이면 시트(303)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302)는 흡수체(304)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면 전역을 덮고 있다. 표면 시트(302) 및 이면 시트(303)는 각각 흡수체(304)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연장되어, 그 연장부분에 있어서 서로 히트 시일,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공지의 접합방법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냅킨(300)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전방부(300A), 상기 길이방향 중앙영역인 배설부 대향부(300B)(착용자의 주로 액배설부에 대향 배치되는 배설부 대향영역을 폭방향 중앙에 가지는 부분) 및 후방부(300C)(착용자의 주로 엉덩이부에 대향 배치되는 부분)로 구분된다. 전방부(300A)는 냅킨 착용시에 착용자의 가장 앞측에 위치하는 부위이며, 후방부(300C)는 착용자의 가장 뒤측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흡수성 본체(310)의 상기 배설부 대향영역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은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300)에 있어서의 한 쌍의 옆샘방지부(305, 305)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한 쌍의 옆샘방지부(305, 305) 각각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305, 305) 각각은 대략 같은 폭을 가지며, 본체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옆샘방지부(305)를 형성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310)의 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시일부(308)에 의해 이면 시트(303)와 접합되어 있다. 옆샘방지부(305)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가 흡수성 본체(310)의 측가장자리부에서 흡수성 본체(310)의 폭방향(이하, 간단히 본체 폭방향이라고도 한다)의 안쪽을 향해 연장하고, 접힌 단부(351)로서의 내측가장자리부가 형성되도록 흡수층(311)을 향해서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꺾여 접힌 후,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꺾여 접힌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의 선단부는 다시 시일부(308)에 있어서 이면 시트(303)와 접합되어 있다. 시일부(308)는 히트 시일,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시일부(308)는 옆샘방지부(305)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300)에 있어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305)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폭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측의 안쪽부(305A)와 바깥쪽측의 바깥쪽부(305B)로 구분된다. 중간층(350C)은 옆샘방지부(305)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310)의 폭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부(305A) 및 바깥쪽부(305B)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중간층(350C)은 상층(350A)과 하층(350B)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300)에 있어서, 중간층(350C)은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층(350C)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310)의 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시일부(308)에 의해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와 함께 이면 시트(303)와 접합되어 있다. 중간층(350C)은 흡수성 본체(310)의 측가장자리부에서 본체 폭방향의 안쪽을 향해서 연장되어, 접힘부(351)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중간층(350C)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중간층(350C)을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은 옆샘방지부(305)와 대략 같은 모양이다.
옆샘방지부(305)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부(305B)에 있어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층(350C)과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가 다수의 엠보싱부(352, 352…)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며, 옆샘방지부(305)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안쪽부(305A)에 있어서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에는 엠보싱부(352)가 형성되지 않고, 중간층(350C)과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와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상층(350A)과 중간층(350C)은 옆샘방지부(305)에 있어서 접합되지 않고, 상층(350A)과 중간층(350C)의 사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간하고 있는 것이 옆샘방지부(305)의 쿠션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옆샘방지부(305)의 안쪽부(305A)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안쪽부(305A)는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은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안쪽부(305A)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옆샘방지부(305)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 있다.
안쪽부(305A)에는, 엠보싱부(352)가 형성되지 않고, 다수의 엠보싱부(352, 352…)가 형성되어 있는 바깥쪽부(305B)와 비교해서 강성이 낮아져 있다.
안쪽부(305A)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한쪽의 단부가 접힌 단부(351)이다. 접힌 단부(351)는 접은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가 꺾여 접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힌 단부(351)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둥그스름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냅킨 착용자의 피부에 부드럽게 접하기 때문에, 옆샘방지부(305)는 피트성이 우수하다.
안쪽부(305A)는 3층의 부직포(상층(350A), 하층(350B) 및 중간층(350C))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가지며, 부피가 크며, 쿠션성이 높아져 있다. 또, 안쪽부(305A)는 그 부피가 크므로, 표면 시트(302)에 대한 입체도가 높고, 옆샘방지부(305)의 샘방지성이 높아져 있다.
또, 안쪽부(305A)에 있어서, 엠보싱부(352)가 형성되지 않고, 상대향하는 상층(350A)과 하층(350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간하고 있기 때문에, 옆샘방지부(305)는 유연성, 신체 추종성 및 쿠션성이 우수하다.
다음으로 옆샘방지부(305)의 바깥쪽부(305B)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바깥쪽부(305B)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은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바깥쪽부(305B)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옆샘방지부(305)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 있다. 바깥쪽부(305B)는 옆샘방지부(305)의 안쪽부(305A)를 제외한 부분이다.
바깥쪽부(305B)에 있어서, 중간층(350C)과 하층(350B)은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엠보싱부(352, 352…)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 옆샘방지부(305)의 강성이 높아져 있다. 냅킨 착용시에 안쪽부(305A)가 젖혀지거나 한 경우에도, 강성이 높은 바깥쪽부(305B)는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옆샘방지부(305)가 본체 폭방향의 전체에 걸쳐 젖혀지는 것이 방지된다.
바깥쪽부(305B)에 있어서의 엠보싱부(352)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위 갈지자형상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개개의 엠보싱부(352)는 각각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형상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부(352)의 지름은 0.5~10mm, 특히 1~5mm인 것이 옆샘방지부(305)의 촉감, 유연성 및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최근접거리에 있는 엠보싱부(352)끼리간의 간격(예를 들면 중심간의 간격)은 본체 길이방향으로 1~10mm, 특히 2~5mm, 본체 폭방향으로 1~10mm, 특히 2~5mm인 것이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엠보싱의 배치에 따라서는 중심간의 간격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안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본체 길이방향 및 본체 폭방향은 엠보싱끼리를 잇는 길이방향 선, 폭방향 선을 가상적으로 설정하고, 이 가상 선과 최근접거리에 있는 엠보싱부(352)의 중심과의 간격에 의해 구하는 경우도 있다.
옆샘방지부(305)에 있어서의 안쪽부(305A)의 폭은 2~20mm, 특히 5~10mm인 것이, 바깥쪽부(305B)와 함께 바람직한 폭을 가지게 되어, 옆샘방지부(305)의 우수한 유연성 및 신체 추종성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옆샘방지부(305)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옆샘방지부(305)는 시일부(308)보다도 본체 폭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측의 부분이 표면 시트(302)와는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체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는, 접힌 단부(351)와 시일부(308)와의 사이의 부분이 본체 폭방향에 걸쳐 또는 접힌 단부(351) 근방에서 표면 시트(302)와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옆샘방지부(305)의 접힌 단부(351)는 표면 시트(302)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간하고 있는 것이 옆샘방지부(305)가 입체적인 장벽을 형성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내측가장자리부로서의 접힌 단부(351)는, 후술하는 홈(307)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표면 시트(302)가 홈(307) 주위에서 가라앉기 때문에, 표면 시트(302)에 대한 옆샘방지부(305)의 입체도가 증가되어 있어, 본체 폭방향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표면 시트(302) 상을 흘러 온 체액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술한 한 쌍의 옆샘방지부(305, 305) 각각의 폭은 이하와 같은 치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양호한 샘방지성 및 장착감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체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날개부(306, 306)(후술한다)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그 날개부(306)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에서, 시일부(308)와 본체 폭방향의 안쪽측의 단가장자리와의 사이를 본체 폭방향으로 옆샘방지부(305)의 표면을 따라서 측정한 길이는 10~30mm, 특히 15~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300)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31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306, 306)를 가지고 있으며, 한 쌍의 상기 날개부(306, 306) 각각은 흡수성 본체(310)로부터 연장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날개부(306, 306)는 배설부 대향부(300B)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날개부(306, 306) 각각과 본체 길이방향의 동일 측의 옆샘방지부(305)는, 1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1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는 시일부(308)를 경계로 해서 옆샘방지부(305)와 날개부(306)로 나뉘어져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상층(350A)이 흡수성 본체(310)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한 쌍의 날개부(306, 306) 각각은 상층(350A)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일부(308)의 형상은, 이어져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306)가 팬티 가랑이 하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팬티 가랑이 하부의 가장자리부와 피트하기 쉽도록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본체 폭방향 안쪽으로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배설부 대향부(300B)에 있어서, 날개부(306)와 이어져 형성되어 있는 바깥쪽부(305B)의 부분은 시일부(308)의 형상을 따라서 본체 폭방향 안쪽으로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날개부(306, 306) 각각을 구성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의 한쪽면에는, 팬티 가랑이 하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절곡한 날개부(306)를 상기 팬티의 외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날개 점착부(306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중간층(350C)이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31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한 쌍의 날개부(306, 306) 각각과 중간층(350C)은 엠보싱 가공에 의한 다수의 접합부(359, 359…)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날개부(306)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안쪽부에 있어서 중간층(350C)이 날개부(306)의 비피부접촉면측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간층(350C)이, 흡수성 본체(310)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걸쳐서, 시일부(308)를 걸치고 연장하여 날개부(306)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으로 인해, 날개부(306)에 있어서의 기부 근방의 강도가 높아져 있어, 냅킨 착용시에 날개부(306)가 잡아 당겨졌을 때에, 날개부(306)의 기부 근방이 찢어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한편, 중간층(350C)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306)의 비피부접촉면에 형성된 날개 점착부(306a)보다도 흡수성 본체(310)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바깥쪽으로는 연장되어 있지 않다. 날개 점착부(306a)는 중간층(350C)의 비피부접촉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날개 점착부(306a) 및 중간층(350C) 각각의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측의 단가장자리가 일치하고 있다.
날개부(306)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부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만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성이 높고, 날개부(306)의 조작성이 우수하다.
날개부(306)에 있어서의 접합부(359)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위 갈지자형상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개개의 접합부(359)는 각각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형상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359)의 지름은 엠보싱부(352)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15mm, 특히 1.5~10mm인 것이 날개부(306)의 강도 및 촉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최근접거리에 있는 접합부(359)끼리간의 간격(예를 들면 중심간의 간격)은 본체 길이방향으로 1~10mm, 특히 2~5mm, 본체 폭방향으로 1~10mm, 특히 2~5mm인 것이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배설부 대향부(300B)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305)의 엠보싱부(352)의 엠보싱 면적률은 날개부(306)에 있어서의 접합부(359)의 엠보싱 면적률보다도 작은 것이 유연한 촉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날개부의 점착제의 정착성의 관점에서 날개부의 엠보싱 면적률이 큰, 구체적으로는 10~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엠보싱 면적률은 엠보싱의 바닥부 면적을 의미하고, NEXUS제 화상해석시스템(Ver.4.2)을 사용해서 계측한다.
구체적으로는, 배설부 대향부(300B)에 있어서, 옆샘방지부(305)의 엠보싱 면적률은 날개부(306)의 엠보싱 면적률에 대해 5~50%, 특히 10~30% 적은 것이 상술한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300)에 있어서, 옆샘방지부(305)의 엠보싱부(352)와 날개부(306)에 있어서의 접합부(359)는, 최근접거리에 있는 엠보싱부(352) 또는 접합부(359)끼리간의 간격(예를 들면 중심간의 간격)이 본체 폭방향 및 본체 길이방향에 있어서 동등하고 또한 엠보싱부(352)의 지름이 접합부(359)의 지름보다도 작으므로, 배설부 대향부(300B)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305)의 엠보싱 면적률은 날개부(306)에 있어서의 엠보싱 면적률보다도 작다.
또, 냅킨(300)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310)의 피부접촉면측에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307)이 형성되어 있다. 홈(307)은 본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엠보싱 홈, 및 상기 엠보싱 홈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본체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엠보싱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307)은 배설부 대향부(300B) 전후단부 사이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상기 엠보싱 홈 각각은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을 향해서 볼록하게 만곡하는 부분이 본체 길이방향으로 3개 이어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본체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엠보싱 홈은 본체 길이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홈(307)에 의해 표면 시트(302) 및 흡수체(304)가 접합되어 있다. 옆샘방지부(305)의 접힌 단부(351)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307)의 바로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1실시형태의 냅킨(300)을 형성하는 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를 형성하는 부직포로서는, 종래 공지의 부직포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법에 의해 제조된 열융착 섬유 웹을 열풍 처리해서 얻어지는 에어 스루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및 니들 펀치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들에 있어서의 섬유의 결합 수단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바인더에 의한 결합이나 열융착에 의한 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섬유의 결합 대신에,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과 같이 섬유의 기계적 얽힘을 이용해도 된다. 옆샘방지부(305)에 매끄러운 촉감이나 부드러움을 현저하게 실현하기 위해서는, 부직포로서, 카드법에 의해 얻어진 열융착 섬유 웹을 열풍 처리하고, 강고한 압축을 주지 않고 부직포화한 에어 스루 부직포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20~100g/㎡, 특히 25~50g/㎡인 것이, 옆샘방지부(305)의 입체성이 높아져 샘방지성이 향상함과 함께 옆샘방지부(305)의 양호한 장착감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평량 측정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된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를 10mm×1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mm×30mm 이상의 크기로 재단하고, 하나의 냅킨으로부터 합계 면적이 250㎟ 이상인 측정편을 채취하고, 이 측정편의 중량을 최소표시 1mg의 전자저울을 사용해서 측정하여 평량으로 환산함으로써 구한다. 평량의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복수의 냅킨에서 측정편을 채취하고, 5점 이상의 계측값의 평균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350C)을 형성하는 부직포로서는 상술한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와 같이 중간층(350C)이 날개 점착부(306a)가 점착되는 부위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중간층(350C)을 형성하는 부직포로서, 날개 점착부(306a)와의 점착성이 높은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날개부(306)를 팬티 등으로부터 떼어냈을 때에 날개 점착부(306a)의 일부가 팬티측에 남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부직포로서 스펀 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또, 중간층(350C)의 형성 재료로서, 카드법에 의해 제조된 열융착 섬유 웹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302), 이면 시트(303) 또는 흡수체(304)의 형성 재료로서는,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 재료를 특별히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를 도 27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변형예에 대해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서술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또, 도 27에 있어서, 도 24~26과 같은 부재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27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생리용 냅킨(300)에 있어서, 중간층(350C)은 옆샘방지부(305)에 있어서의 접힘부(351)의 근방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중간층(350C)의 본체 폭방향의 길이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중간층보다도 짧다.
중간층(350C)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안쪽측의 단부(351C)는 옆샘방지부(305)를 본체 폭방향으로 이분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바깥쪽측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중간층(350C)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측의 단부는 날개부(306)의 기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어, 날개 점착부(306a)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안쪽측의 단부에 인접하고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날개 점착부(306a)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350)의 비피부접촉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중간층(350C)의 본체 폭방향의 길이가 짧지만,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날개부(306)에 있어서의 기부 근방의 강도가 높아져 있다.
본 발명(제3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한 쌍의 옆샘방지부(305, 305)는 흡수성 본체(310)의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배설부 대향영역의 전후단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옆샘방지부(305)에 있어서의 중간층(350C)은 하층(350B)과 접합되어 있었지만, 상층(350A)과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날개부(306, 306) 각각은 상층(350A)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중간층(350C)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상층(350A) 및 중간층(350C)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제3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이어도 되지만,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등이어도 된다.
상술한 하나의 실시형태만이 가지는 부분은 모두 적절히 서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제4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그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제1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제4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400)이며, 도 28~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402), 이면 시트(403) 및 양 시트(402, 403)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된 흡수체(404)를 구비한 흡수성 본체(410)와, 흡수성 본체(410)의 양측부 각각에서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405, 405) 및 한 쌍의 후부 플랩(407, 407)과, 흡수성 본체(410)의 피부접촉면측의 양측부 각각을 피복하는 한 쌍의 옆샘방지부(406, 406)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접촉면측'이란, 흡수성 본체 등의 각 부재의 표리 양측(면) 중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는 측(면)이다. 또, '비피부접촉면측'이란,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측(면)이다.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길이방향'이란,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며, '폭방향'이란,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또, 흡수성 본체(410)에 있어서 배설부 대향부(400A)란,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배설부와 대향하는 영역이며, 본 발명(제4발명)과 같이 날개부(405)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양측부에 날개부(405)를 가지는 부분이다. 배설부 대향부(400A)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영역을 전방부(400B)라 하고, 배설부 대향부(400A)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영역을 후방부(400C)라 한다.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400)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흡수성 본체(410)는, 도 28~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402), 액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이면 시트(403) 및 양 시트(402, 403)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된 액유지성의 흡수체(404)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404)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전후 가장자리부가 둥그스름한 대략 장방형상을 가지고 있다.
표면 시트(402)는 도 28,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404)의 상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표면 시트(402)의 전후 가장자리부는 둥그스름하며, 흡수체(404)의 전후 가장자리부 각각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표면 시트(402)의 양측가장자리부는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르는 직선 형상이며, 흡수체(404)의 양측가장자리부 각각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약간 연장되어 있지만, 이면 시트(403)로부터는 이간되어 있다.
이면 시트(403)는 도 29~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404)의 하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이면 시트(403)의 전후 가장자리부는 둥그스름하며, 흡수체(404)의 전후 가장자리부 각각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면 시트(403)의 양측가장자리부는 흡수체(404)의 양측가장자리부 각각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9~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410)의 비피부접촉면측에는, 상세하게는 이면 시트(403)의 비피부접촉면측에는 흡수성 본체(410)와 팬티 가랑이부의 상면(내면)을 고정하기 위한 부착제(411)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제(411)는 점착제 등으로 형성된다(후술하는 부착제(455, 475)도 같음).
표면 시트(402), 이면 시트(403) 및 흡수체(404)로서는,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 재료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시트(402)로서는 액투과성을 가지는 부직포나 개공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403)로서는 액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404)로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펄프 섬유나 단섬유 또는 장섬유의 웹 등의 섬유집합체를 주체로 하는 흡수성 코어를, 피복 시트로 피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면 시트(403)는 흡수성 본체(410)의 답답함(stuffiness)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투습성(통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성의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에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의 필러를 첨가한 것을, T 다이나 서큘러 다이로부터 용융 압출해서 필름을 형성하고, 뒤이어, 상기 필름을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해서 얻어지는 수지 시트, 스펀 본드 부직포(S)와 멜트 블로운 부직포(M)가 복합화된 복합 부직포(예를 들면 SM, SMS, SMMS 등), 에어 스루 부직포나 상기 SMS 등의 복합 부직포와 상기 수지 시트와의 복합 시트를 들 수 있다.
이면 시트(403)로서 상기 수지 시트를 사용하면 이면 시트(403)의 비피부접촉면측에 형성된 부착제(411)의 고정성이 좋은 점에서 바람직하고, 또, 상기 복합 부직포를 사용하면 투습성 및 유연성이 좋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흡수체(404)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흡수체(441) 및 하부흡수체(442)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부흡수체(441)는 평면에서 봤을 때, 하부흡수체(442)보다도 길이 및 폭이 짧게 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중앙 제1시일선(412)보다도 작은 형상을 가지고 있고, 하부흡수체(442)에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또, 상부흡수체(441)는 하부흡수체(442)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중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나아가서는, 흡수성 본체(41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중앙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흡수체(441)는 흡수성 본체(410)에 있어서의 소위 중고영역을 형성한다.
표면 시트(402)에는, 도 28,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402)와 하부흡수체(442)가 일체적으로 압밀화되어서 형성된 중앙 제1시일선(412) 및 중앙 제2시일선(413)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제1시일선(412)은 평면에서 봤을 때 상부흡수체(441)를 포위하도록, 표면 시트(402)의 상면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406)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후 한 쌍의 중앙 제2시일선(413, 413)은 대략 반원호 형상이며, 중앙 제1시일선(412)의 전부 및 후부보다도 각각 전방측 및 후방측에 중앙 제1시일선(412)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 제1시일선(412) 및 중앙 제2시일선(413)은 표면 시트(402)와 하부흡수체(442)를 접합하고 있지만, 표면 시트(402)와 상부흡수체(441)는 접합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부흡수체(441)는 표면 시트(402)와 하부흡수체(442)로 이루어지는 폐쇄 공간에 봉입(封入)되어 있다.
날개부(405)는 도 28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설부 대향부(400A)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410)의 양측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날개부(405)는 팬티 등의 속옷의 가랑이부의 하면(외면)측으로 접혀 사용되는 것이다. 날개부(405)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아랫바닥(윗바닥보다도 긴 변)이 흡수성 본체(410)의 측부측에 위치하는 대략 사다리꼴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405)의 비피부접촉면측에는 부착제(455)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제(455)에 의해 사용시에 팬티 가랑이부의 하면(외면)측에 접힌 날개부(405)를 가랑이부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후부 플랩(407)은 도 28 및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부(400C)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410)의 양측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후부 플랩(407)은 흡수성 본체(410)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꺾여 접혀지는 일 없이, 팬티 등의 속옷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단, 후부 플랩(407)은 개별 포장 형태 등에 있어서 콤팩트하게 하기 위해서 흡수성 본체(410)의 피부접촉면측 또는 비피부접촉면측으로 꺾어 접어도 된다. 후부 플랩(407)은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폭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29 및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부 플랩(407)의 비피부접촉면측에는 부착제(475)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제(475)에 의해 사용시에 후부 플랩(407)을 팬티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제4발명)에 있어서는, 날개부(405)의 양 날갯죽지를 잇는 직선이 흡수성 본체(410)와 날개부(405)의 경계선이 된다. 흡수성 본체(410)와 후부 플랩(407)의 경계선은, 흡수성 본체(410)와 날개부(405)의 경계선의 가장 후방부(400C) 쪽의 위치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서 흡수성 본체(410)의 후단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직선이다.
옆샘방지부(406)는 도 28,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410)의 피부접촉면측의 양측부 각각을 피복하는 구성 부위로, 흡수성 본체(410)의 피부접촉면측에 있어서의 양측부 각각에 흡수성 본체(4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그 대략 전 길이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406)는 발수성의 사이드 시트(461)로 이루어진다. 사이드 시트(461)는 폭방향으로 둘로 접혀져, 옆샘방지부(406)의 내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접힘부를 형성하여 2층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옆샘방지부(406)의 평면에서 봤을 때 면적의 80% 이상이 2층 영역으로 되어 있다. 옆샘방지부(406)의 내측가장자리부는 흡수성 본체(410)의 길이방향을 따른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장착시에, 옆샘방지부(406)에 있어서의 내측가장자리부측이 흡수성 본체(410)의 폭방향 안쪽측으로 포켓으로서 개구되기 쉽다.
발수성의 사이드 시트(461)로서는,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발수성의 각종 재료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투습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461)는 액불투과성이어도 된다. 사이드 시트(46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스펀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S)와 멜트 블로운 부직포(M)가 복합화된 시트(예를 들면 SM, SMS, SMMS 등), 히트 롤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등의 발수성(소수성) 부직포를 들 수 있다. SM, SMS, SMMS 등의 복합화된 시트를 사용하면, 상기 시트의 표면의 평활성에 의한 매끄러운 감촉 및 상기 시트의 물성(강도 등)이 양호하기 때문에, 날개부(405)에 있어서의 내인렬성(耐引裂性)이나 부착제(455)의 전착성(轉着性)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에어 스루법에 의해 만들어진 부직포를 사용하면, 저평량으로도 두께가 얻어지기 쉬워, 감촉(쿠션감)이나 촉감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461)로서는, 대략 원형, 타원형, 모서리가 둥그스름한 직사각형 등의 모서리가 없는 엠보싱 오목부를 부직포에 산점적(散点的)으로 다수 형성한 엠보싱 시트가 바람직하다. 엠보싱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저감할 수 있고, 또 부직포 특유의 보풀 문제에 대하여, 모서리가 없는 엠보싱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주로 섬유 파괴에 의한) 보풀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촉감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사이드 시트(461)는 흡수성 본체(410)의 양측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날개부(405) 및 후부 플랩(407)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날개부(405)와 후부 플랩(407)은 그 형성되어 있는 위치(배설부 대향부(400A)/후방부(400C)), 그 사용 방법(접어 사용/접지 않고 사용) 등이 다르지만, 기본적인 구성(특히 두께방향의 구성) 자체는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 또는 후술하는 날개부(405)에 관한 설명은 후부 플랩(407)에도 적당히 적용된다.
옆샘방지부(406)는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400B)에 있어서, 그 전단부측 및 외측가장자리부측이 전방부 시일선(484)에 의해 흡수성 본체(410)의 표면 시트(402) 또는 이면 시트(403)에 접합되어 있다. 전방부 시일선(484)은 히트 시일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각 시일선(481 및 483)도 마찬가지로 히트 시일에 의해 형성된다.
또, 옆샘방지부(406)는 도 28~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405) 앞측의 날갯죽지 근방과 날개부(405) 뒤측의 날갯죽지 근방의 사이에 있어서, 그 외측가장자리부측이 길이방향으로 비연속적으로 형성된 히트 시일선에 의해 흡수성 본체(410)의 이면 시트(403)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히트 시일선은,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이 길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복수개 설치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405)의 날갯죽지 근방'은 날개부(405)의 날갯죽지에서 반경 6mm 이내의 영역을 의미하며, 따라서, 날개부(405)의 날갯죽지를 기준으로 흡수성 본체(410)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되며, 날개부(405)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복수개의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은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405)측의 외단부가 흡수성 본체(410)의 폭방향 안쪽으로 볼록한 만곡선(도 32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은 연속선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파선 형상(점선 형상을 포함한다)이어도 된다. 또,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은, 폭방향 안쪽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폭방향 길이가 같은 정도여도 좋지만,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 길이가 전방쪽 및 후방쪽에서 길고, 중앙쪽에서 짧게 형성되어 있으면, 전방쪽 및 후방쪽에 있어서(면적/강도적으로) 접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시일선(481)이 딱딱해지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옆샘방지부(406)는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부(400C)에 있어서 그 외측가장자리부측 및 후단부측이 후방부 시일선(483)에 의해 흡수성 본체(410)의 이면 시트(403) 또는 표면 시트(402)에 접합되어 있다. 후방부 시일선(483)은 후방부(400C)에 위치하는 옆샘방지부(406)에 있어서의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에 길이방향으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461)와 이면 시트(403)를 접합하는 히트 시일선에 대해 다른 관점에서 설명한다. 사이드 시트(461)와 이면 시트(403)는, 흡수체(404)보다도 폭방향 바깥쪽의 영역에 있어서 히트 시일선(전방부 시일선(484), 후방부 시일선(483),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히트 시일선은 흡수성 본체(410) 전단부측으로부터 날개부(405) 앞측의 날갯죽지 근방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전방부 시일선(484)) 동시에, 흡수성 본체(410)의 후단부측으로부터 날개부(405) 뒤측의 날갯죽지 근방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데(후방부 시일선(483)), 양 날갯죽지 근방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비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
또한, '흡수성 본체(410)의 전단부측으로부터' 및 '흡수성 본체(410)의 후단부측으로부터'란, 히트 시일선(전방부 시일선(484) 및 후방부 시일선(483))의 시작점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히트 시일선의 시작점이 '흡수성 본체(410) 전단부' 및 '흡수성 본체(410)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제4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410)의 후단부측으로부터 날개부(405) 뒤측의 날갯죽지 근방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후방부 시일선(483)과 같이, 그 시작점이 '흡수성 본체(410)의 후단부'에 위치하지 않는 형태의 히트 시일선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표면 시트(402)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옆샘방지부(406)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는, 옆샘방지부(406)에 형성된 각 시일선(484, 481 및 483)에 의해 옆샘방지부(406)를 통해서 흡수성 본체(410)의 이면 시트(403)에 접합되어 있다. 또, 표면 시트(402)는 평면에서 봤을 때 옆샘방지부(406)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도, 전방부 시일선(484) 및 후방부 시일선(483)에 의해 흡수성 본체(410)의 이면 시트(403)에 접합되어 있다. 전방부 시일선(484)은 흡수성 본체(410)의 전방부(400B)의 좌측가장자리부로부터 전단가장자리부를 경유해서 우측가장자리부에 걸쳐서, 대략 반원호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방부 시일선(483)은 흡수성 본체(410)의 후방부(400C)의 후단가장자리부에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부 플랩(407)은 옆샘방지부(406)에 있어서의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후방부 시일선(483)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후방부 시일선(483)은 플랩 기단부(473)의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에 길이방향으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406) 각각에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옆샘방지부 제1시일선(463) 및 옆샘방지부 제2시일선(464)으로 이루어지는 옆샘방지부 시일선(462)이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 제1시일선(463)은 배설부 대향부(400A)에 형성되어 있으며, 폭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옆샘방지부 제1시일선(463)의 길이는, 흡수성 본체(4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날개(405)의 기단부의 길이와 대략 같다. 옆샘방지부 제2시일선(464)은 전방부(400B) 및 후방부(400C) 각각에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옆샘방지부 제1시일선(463)은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의 폭방향 안쪽측에 근접하여 옆샘방지부(406)를 표면 시트(402)에 접합하고 있다.
옆샘방지부 제1시일선(463) 및 옆샘방지부 제2시일선(464)은 옆샘방지부 제2시일선(464), 옆샘방지부 제1시일선(463) 및 옆샘방지부 제2시일선(464)의 순으로, 전방부(400B)로부터 배설부 대향부(400A)를 경유해서 후방부(400C)에 걸쳐 연속하고 있다. 옆샘방지부 시일선(462)에 의해, 옆샘방지부(406)는 흡수성 본체(410)의 표면 시트(402)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옆샘방지부 시일선(462)은 옆샘방지부(406)를 표면 시트(402)와 함께 흡수체(404)에 고정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또, 표면 시트(402)를 개재시키지 않고, 옆샘방지부(406)를 흡수체(404)에 직접 고정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옆샘방지부(406)의 내측가장자리부와 옆샘방지부 시일선(462)의 사이의 영역은 표면 시트(402)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표면 시트(402)와의 사이에서 포켓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포켓은 착용시에 개구하며, 그 개구한 포켓에 폭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 체액을 포착(catch)할 수 있기 때문에, 샘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시각적으로도 폭방향의 샘방지성이 높은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에게 안심감을 주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옆샘방지부 시일선(462)은 상기 포켓으로 포착된 체액이 스무스하게 흡수체(404)에 흡수되어 샘방지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점에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평면에서 봤을 때에 흡수체(404)와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켓으로 포착된 체액은, 상기 포켓 앞쪽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흡수체(404)에 흡수되거나, 또는 상기 포켓의 안쪽에 도달한 후, 흡수체(404)측으로 되돌아와 흡수된다.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400)의 각 구성 부재는, 상술한 각 시일선(481, 483, 484 및 462) 이외에도,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각종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더욱 접합되어 있다. 접착제는 주로 상기 각 시일선(481, 483, 484 및 462)에 의한 접합을 보강하는 목적으로, 부차적으로, 흡수체(404)에서 유지되고 있는 액이 착용자의 움직임 등에 의한 압력에 의해 스며나오는 것에 기인하는 샘을 방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접착제는, 예를 들면, 흡수체(404)와 이면 시트(403)의 사이, 옆샘방지부(406)와 표면 시트(402)의 사이에 형성된다. 접착제는, 특히, 날개부(405)의 양 날갯죽지 사이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461)와 이면 시트(403)의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는, 연속적으로(면 형상으로) 도공되어 있어도 되지만(소위 베타 칠(solid application)), 도공된 영역의 통기성을 고려하면, 간헐적으로 도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헐적인 도공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스파이럴 형상,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 Ω 형상, 도트 형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은 히트 시일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그 이외에도, 예를 들면 초음파 시일, 고주파 시일, 접착제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흡수성 본체(410)의 두께는 배설부 대향부(400A)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5mm 이하이다. 또, 흡수성 본체(410)의 두께는 전방부(400B) 및 후방부(400C)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mm 이하이다. 흡수성 본체(410)의 두께가 이러한 범위에 설정되어 있으면, 장착시에 위화감이 생기기 어렵고, 신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더욱 피트되고, 장착시에 상기 포켓이 개구하기 쉽고, 옆샘방지성이 한층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흡수성 본체(410)의 두께는 이하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두께 측정방법]
제품(흡수성 물품 전체)을 평평한 장소에 주름이나 절곡이 없도록 가만히 두고, 흡수성 본체의 배설부 대향부 또는 전방부 혹은 후방부에 있어서의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상면에, 5cN/㎠의 하중을 가해, 그 상태하에서의 두께를 측정한다. 제품장착시의 장착압력은 신체 부위, 개인차, 상태(앉아 있음/움직이고 있음) 등에 따라 다르지만, 배설부 대향부의 중앙영역(배설 포인트 부근)에서는, 팬티 등의 의류를 착용하는 이외에 외압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무하중~5cN/㎠의 하중이 되므로, 이 하중(5cN/㎠)에서의 측정을 행하였다. 두께 측정에는 두께계 PEACOCK DIAL UPRIGHT GAUGES R5-C(OZAKI MFG. CO. LTD.제)를 사용하였다. 이 때, 두께계의 선단부와 제품과의 사이의 측정 부분에 플레이트(두께 5mm 정도의 아크릴판)를 배치하고, 하중이 5cN/㎠가 되도록 플레이트의 크기를 조정한다. 플레이트의 형상은 원형 또는 정방형으로 한다.
또, 날개부(405)의 날갯죽지에 있어서의 인렬 강도는 500~1000cN인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후에 날개부(405)의 부착제(455)를 팬티 가랑이부에서 떼어내도 날개부(405)의 날갯죽지를 기점으로 하는 인렬이 생기기 어려운 것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650cN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날개부(405)의 인렬 강도는 이하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인렬 강도 측정방법]
JIS K7128(플라스틱-필름 및 시트의 인렬 강도 시험 방법)에 규정된 A법(트라우저 인렬법; Trouser tear method)을 참고로, 텐실론 인장 시험기(A&D CO. LTD.제, RTC-1210A)를 사용하여, 상하 척간 거리를 5mm(시험편을 삽입가능한 정도의 간격)로 조정한 척의 상측에 제품의 흡수성 본체, 하측에 날개부를 끼우고, 상측의 척에 끼운 제품의 흡수성 본체를 일정 속도 500mm/min으로 상승시키고, 시험편을 제품 길이방향을 따라 잡아 찢었을 때의 최고값(cN)을 읽어낸다. 측정은 5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여 인렬 강도로 하였다.
또한, 시험편은 제품형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날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75mm(계 150mm: 날개부의 날갯죽지부분이 확실하게 남는 길이)가 되도록 제품형태의 흡수성 물품을 폭방향으로 재단해서 샘플로 이루고, 또한, 날개부의 날갯죽지부분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15mm의 길이로 길이방향으로 절입(切入, notch)을 넣고, 이것을 시험편으로 하였다.
텐실론 인장 시험기의 상측의 척에, 얻어진 시험편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의 부분을 끼우고(날개부는 끼우지 않는다), 하측의 척에 절입을 넣어서 아래쪽으로 꺾어 접은 날개부의 접힘부를 끼우고, 측정을 행하였다.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400)은, 흡수성 본체(410)를 팬티 가랑이부(도시하지 않음)의 상면(내면)에 배치하고, 부착제(411)에 의해 가랑이부에 고정한다. 또, 후부 플랩(407)을 팬티의 상면(내면)에 배치하고, 부착제(475)에 의해 팬티에 고정한다. 그리고,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405)를 가랑이부의 하면(외면)측으로 꺾어 접어, 부착제(455)에 의해 날개부(405)를 가랑이부의 외면에 고정함으로써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면서 장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400)에 있어서는, 사이드 시트(461)와 이면 시트(403)는, 흡수체(404)보다도 폭방향 바깥쪽의 영역에 있어서 히트 시일선(전방부 시일선(484), 후방부 시일선(483),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히트 시일선은 흡수성 본체(410) 전단부측으로부터 날개부(405) 앞측의 날갯죽지 근방에 걸쳐 연장되어 있음과(전방부 시일선(484)) 함께 흡수성 본체(410)의 후단부측으로부터 날개부(405) 뒤측의 날갯죽지 근방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데(후방부 시일선(483)), 양 날갯죽지 근방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비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 그 때문에, 상기 히트 시일선에 의한 손상에 의해 날개부(405)가 파단되기 어렵다. 또, 날개부(405)의 접힘 위치가 제한받지 않아, 날개부(405)를 팬티 가랑이부에 자유롭게 감싸 넣기 쉽다. 또한, 히트 시일선의 강성에 기인하는 흡수성 본체(410)의 길이방향의 강성의 증가가 적어, 흡수성 본체(410)가 신체를 따르기 쉬워, 장착성이 우수하다.
양 날갯죽지 근방 사이에 비연속적으로 형성된 상기 히트 시일선은,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이 길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날개부(405)의 파단 방지 효과 및 흡수성 본체(410)의 강성의 증가 방지 효과의 양립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복수개의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은, 날개부(405)측의 외단부가 흡수성 본체(410)의 폭방향 안쪽으로 볼록한 만곡선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날개부(405)를 흡수성 본체(410)의 이면 시트(403)측으로 꺾어 접었을 때에, 날개부(405)의 접힘선이 상기 만곡선을 따라 만곡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날개부(405)가, 팬티 가랑이부의 측가장자리부 형상(통상, 폭방향 안쪽을 향해서 오목해져 있다)을 따라 꺾여 접히게 되므로, 팬티로의 생리용 냅킨(400)의 장착 안정성이 높다.
또한, 옆샘방지부(406)에는,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의 폭방향 안쪽측에 근접해서, 옆샘방지부(406)를 표면 시트(402)에 접합하는 옆샘방지부 시일선(462)(옆샘방지부 제1시일선(463))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의 폭방향 내측 영역의 강성이 높아져, 접힘선이 명확히 형성되고, 그 결과 날개부(405)의 접힘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은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410)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열할 수도 있지만,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405)측의 외단부가 흡수성 본체(410)의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경사지도록 배열할 수도 있다. 도 34에 나타내는 배열 형태에서는,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에 의한 접합이 견고한 점, 시일선(481)이 단단한 점, 및 날개부(405)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시일선(481)이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힘이 균등하게 분산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 중 흡수성 본체(410) 전단부측의 것은, 날개부(405)측의 외단부가 흡수성 본체(410) 전단부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그 중에서도 흡수성 본체(410) 전단부에 보다 가까운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 쪽이 경사 각도가 크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 중 흡수성 본체(410)의 후단부측의 것은, 날개부(405)측의 외단부가 흡수성 본체(410)의 후단부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날개부(405)를 흡수성 본체(410)의 이면 시트(403)측으로 꺾어 접었을 때(접힘선은, 폭방향 안쪽으로 볼록한 만곡선이 된다)에,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이 팬티 가랑이부의 측가장자리부 형상(통상, 폭방향 안쪽을 향해서 오목해져 있다)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게 되므로, 날개부(405)의 파단 방지 효과가 매우 높아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제4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같은 점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도 35는 본 발명(제4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405)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400A)를 나타내고 있다.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400)은,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400)에 비해,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 및 전방부 시일선(484)의 후단부 및 후방부 시일선(483)의 전단부가 흡수성 물품(400)의 폭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만곡하여 날개부(405)에 위치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400)에 있어서는, 흡수체(404)보다도 폭방향 바깥쪽의 영역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461)와 이면 시트(403)를 접합하는 상기 히트 시일선은, 날개부(405) 앞측의 날갯죽지 근방과 날개부(405) 뒤측의 날갯죽지 근방의 사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400)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또, 전방부 시일선(484)의 후단부 및 후방부 시일선(483)의 전단부가 흡수성 물품(400)의 폭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만곡하여 날개부(405)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특히, 날개부(405)의 파단 방지 효과가 높은 동시에, 장착시에 날개부(405)를 흡수성 본체(410)의 이면 시트(403)측으로 꺾어 접었을 때에, 옆샘방지부(406)에 있어서의 내측가장자리부측이 흡수성 본체(410)의 폭방향 안쪽측으로 포켓으로서 개구하기 쉬워, 옆샘 방지 효과가 높다.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날개부(405)는 도 36a 및 도 3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 상층(451) 및 날개 하층(452)의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날개 상층(451)은, 흡수성 본체(410)의 양측부에서 연장된 사이드 시트(461)로 형성되어 있으며, 날개 하층(452)은 흡수성 본체(410)의 양측부에서 연장된 이면 시트(403)로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405)는 그 기단부인 날개 기단부(453)가 날개 상층(451)과 날개 하층(452)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날개 기단부(453) 이외의 부분인 날개 선단부(454)가 날개 상층(451)만으로 이루어진다. 날개 상층(451)과 날개 하층(452)은 접착제에 의해서도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7은 본 발명(제4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3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405)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400A)를 나타내고 있다. 제3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400)은,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400)에 비해, 전방부 시일선(484)의 후단부 및 후방부 시일선(483)의 전단부의 만곡 방향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부 시일선(484)의 후단부 및 후방부 시일선(483)의 전단부는 흡수성 물품(400)의 폭방향 안쪽을 향해서 만곡하여, 흡수성 본체(410)의 배설부 대향부(400A)에 위치하고 있다.
제3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400)에 있어서는, 흡수체(404)보다도 폭방향 바깥쪽의 영역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461)와 이면 시트(403)를 접합하는 상기 히트 시일선은, 날개부(405) 앞측의 날갯죽지 근방과 날개부(405) 뒤측의 날갯죽지 근방의 사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400)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또, 전방부 시일선(484)의 후단부 및 후방부 시일선(483)의 전단부가 흡수성 물품(400)의 폭방향 안쪽을 향해서 만곡하여, 흡수성 본체(410)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날개부(405)의 접힘선이 폭방향 안쪽으로 볼록한 만곡선으로 되기 쉽고, 날개부(405)가 팬티 가랑이부의 측가장자리부 형상(통상, 폭방향 안쪽을 향해서 오목해져 있다)을 따라서 꺾여 접히게 되므로, 팬티에의 생리용 냅킨(400)의 장착 안정성이 높다. 또, 특히, 히트 시일선의 강성에 기인하는 흡수성 본체(410)의 길이방향의 강성의 증가가 적어, 흡수성 본체(410)가 신체를 따르기 쉬워 장착성이 우수하다.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 시일선(484)의 후단부는 흡수성 물품(400)의 폭방향 안쪽을 향해서 만곡하고, 또한 흡수성 본체(410)의 후단부를 향해서 만곡하고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후방부 시일선(483)의 전단부는 흡수성 물품(400)의 폭방향 안쪽을 향해서 만곡하고, 또한 흡수성 본체(410) 전단부를 향해서 만곡하고 있어도 된다. 전방부 시일선(484)의 후단부 및 후방부 시일선(483)의 전단부가 이러한 만곡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날개부(405)의 접힘선이 팬티 가랑이부의 측가장자리부 형상에 한층 가까운 형상으로 되기 쉽다.
또,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 시일선(484)의 후단부 및 후방부 시일선(483)의 전단부는 그 폭방향으로 이간해서 2열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전방부 시일선(484)의 후단부 및 후방부 시일선(483)의 전단부가 이와 같이 2열로 배열되어 있으면, 착용자의 체형이나 팬티 가랑이부의 폭에 대응하여, 거기에 알맞은 날개부(405)의 만곡한 접힘선이 형성되기 쉽다.
도 40은 본 발명(제4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4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405)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400A)를 나타내고 있다. 제4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은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에 비해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이 다르다. 또, 제2 및 제3실시형태와 같이, 전방부 시일선(484)의 후단부 및 후방부 시일선(483)의 전단부는 폭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을 향해서 만곡하고 있지는 않다.
제4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에 의하면, 제1실시형태와 같은 효과가 발휘되는 것 외, 날개부(405)의 접힘 위치가 거의 제한되지 않으므로, 날개부(405)를 팬티 가랑이부에 자유롭게 감싸 넣기 쉬운 효과가 한층 높아진다.
본 발명(제4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후방부 시일선(483)은 흡수성 본체(410)의 후단부로부터 날개부(405) 뒤측의 날갯죽지 근방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461)는 날개부(405) 및 후부 플랩(407)의 전부를 형성하고 있어도 되며, 일부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날개부(405) 및 후부 플랩(407)의 일부는 이면 시트(403)로 형성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와 같이,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이 길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에 의해, 날개부(405)의 양 날갯죽지 근방 사이에 비연속적으로 형성된 상기 히트 시일선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481)을, 그 날개부(405)측의 외단부가 흡수성 물품(4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선을 형성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옆샘방지부(406)의 2층 영역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1매의 사이드 시트(461)를 폭방향으로 꺾어 접어 형성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2매의 시트를 적층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옆샘방지부(406)는 2층 영역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옆샘방지부(406)는 접혀 있지 않은 1매의 사이드 시트(461)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은 다른 실시형태에 적당히 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제4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에 제한되지 않고, 팬티라이너(대하 시트), 실금 패드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장착되는 속옷은 팬티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제5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500)은 생리용 냅킨(이하, 간단히 냅킨이라고도 한다)이며, 도 41~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유지성의 흡수층(511) 및 액불투과성의 샘방지층(512)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510)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51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부(510a)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506, 506)를 가지고 있다. 냅킨(500)의 흡수층(511)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502) 및 액유지성의 흡수체(504)로 이루어지고, 샘방지층(512)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을 가지는 이면 시트(503)로 이루어진다.
또, 제1실시형태의 냅킨(500)에 있어서,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506, 506) 각각은 부직포로 두께방향으로 층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기부(562)보다도 흡수성 본체(510)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바깥쪽의 위치에, 상기 기부(562)보다도 부직포의 층 수가 많은 부분으로서의 중앙부(M)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중앙부(M)와 비피부접촉면측에 형성된 플랩 점착부(561)가 겹쳐 있다(중앙부(M)의 비피부접촉면측에 플랩 점착부(561)가 형성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500)에 대해서 이하에 더 설명한다.
냅킨(500)은, 그 길이방향이 전방부(500A), 길이방향 중앙영역인 배설부 대향부(500B)(착용자의 액배설부에 대향 배치되는 배설부 대향영역을 폭방향 중앙에 가지는 부분) 및 후방부(500C)로 구분된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500)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흡수성 본체(510)의 길이방향(이하, 본체 길이방향이라고도 한다)과 일치하고 있다. 표면 시트(502) 및 이면 시트(503) 각각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흡수체(504)는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으며, 표면 시트(502) 및 이면 시트(503)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표면 시트(502)의 폭은 흡수체(504)의 폭과 대략 같으며, 이면 시트(503)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502)는 흡수체(504)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면 전역을 덮고 있다. 표면 시트(502) 및 이면 시트(503) 각각은 흡수체(504)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연장되고, 그 연장부분에 있어서 서로 히트 시일,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공지의 접합방법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접촉면은 평면형상으로 펼쳐진 흡수성 물품의 양면 중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향해지는 면이며, 비피부접촉면은 평면형상으로 펼쳐진 흡수성 물품의 양면 중 착용시에 팬티 등의 속옷측(착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면이다. 피부접촉면에는 흡수성 본체(510)의 표면 시트(502)측의 면이나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표면 시트(502)측의 면이 포함되고, 비피부접촉면에는 흡수성 본체(510)의 이면 시트(503)측의 면이나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이면 시트(503)측의 면(플랩 점착부(561)의 형성면)이 포함된다.
또, 냅킨(500)은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를 가지고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옆샘방지부(505, 505)에 의해 흡수성 본체(510)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 양측부가 덮혀 있고,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 각각과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506, 506) 각각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506, 506)에 대해서 이하에 더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의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506, 506)는 냅킨(500)의 배설부 대향부(500B)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506, 506) 각각은 세로로 길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506, 506) 각각은 그 흡수성 본체(510)에 있어서의 폭방향(이하, 본체 폭방향이라고도 한다)의 중앙부(M)가 3층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부(M)보다 상기 본체 폭방향의 안쪽에 위치하는 안쪽부(I)가 2층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중앙부(M)보다 상기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바깥쪽부(O)가 2층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날개형상 플랩부(506)는 본체 폭방향의 위치에 따라 날개형상 플랩부(506)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층 수가 다른 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안쪽부(I)는 상기 날개형상 플랩부(506)에 있어서의 기부(562)이다. 또,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중앙부(M)는 문자 그대로 상기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폭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한 소정폭의 영역이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날개형상 플랩부(506)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2매의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 506B)로 형성되어 있다.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는, 날개형상 플랩부(506)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의 단가장자리로부터, 본체 폭방향의 안쪽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비피부접촉면측의 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는 흡수성 본체(510)의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부(510a)로부터, 흡수성 본체(510)의 피부접촉면측을 덮도록, 본체 폭방향의 안쪽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의 측부에서, 흡수성 본체(510)의 폭방향의 안쪽에 접힌 단부(551)를 가지도록, 피부접촉면측에 또한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꺾여 접힌 후,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는, 흡수성 본체(510)의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부(510a)로부터 연장되어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중앙부(M)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날개형상 플랩부(506)에 있어서의 안쪽부(I) 및 중앙부(M)의 피부접촉면측의 면을 형성하고 있다.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B)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형상 플랩부(506)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의 단가장자리로부터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중앙부(M)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시트(506B)의 비피부접촉면측의 면과 피부접촉면측의 면의 일부가 꺾여 접혀 있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에 의해 덮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의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506, 506) 각각은 그 두께방향으로 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안쪽부(I)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가 상대향하는 부직포의 2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M)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가 상대향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2층과, 상기 2층에 개재되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B)로 이루어지는 1층의 3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쪽부(O)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로 이루어지는 1층과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B)로 이루어지는 1층이 적층된 2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506, 506) 각각에는 다수의 엠보싱부(563, 5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부(I)에서는 상대향하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끼리가 접합되어 있다. 또, 중앙부(M)에서는 상대향하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끼리와 상기 시트 사이에 개재된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B)가, 바깥쪽부(O)에서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와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B)가, 각각 접합되어 있다.
또,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506, 506) 각각의 비피부접촉면측의 면에는, 팬티 가랑이 하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절곡된 날개형상 플랩부(506)를 상기 팬티의 외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플랩 점착부(561)가 형성되어 있다. 플랩 점착부(561)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중앙부(M)에 형성되어 있다. 플랩 점착부(561)는 점착제가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비피부접촉면측의 면에 도포되어 형성되어 있다. 냅킨(500) 사용전 플랩 점착부(561)에는 보호 시트가 박리 자유롭게 점착되어 있다.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치수는 냅킨(500)의 치수 및 용도에 맞추어 적당히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으로 생리용 냅킨의 날개형상 플랩부의 치수로서는 본체 길이방향의 길이가 30~100mm이며, 본체 폭방향의 길이가 20~4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중앙부(M)의 본체 폭방향의 길이는 2~3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20mm인 것이 중앙부(M)가 강성을 가져, 플랩 점착부(561)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는 팬티 등의 속옷으로부터 날개형상 플랩부(506)를 탈착할 때에, 날개형상 플랩부(506)가 찢어지지 않을 정도의 소정의 강도를 중앙부(M)가 가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안쪽부(I)의 본체 폭방향의 길이는 5~3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20mm인 것이 날개형상 플랩부(506)를 기부(562)에서 절곡하여 팬티 등에 고정할 때의 조작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날개형상 플랩부(506) 및 그 각 부위의 본체 폭방향의 길이는 흡수성 본체(510)의 배설부 대향부(500B)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길이가 가장 큰 값을 말한다.
날개형상 플랩부(506)를 형성하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 506B)의 형성 재료의 부직포로서는 종래 공지의 부직포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법에 의해 제조된 열융착 섬유 웹을 열풍 처리해서 얻어지는 에어 스루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및 니들 펀치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들에 있어서의 섬유의 결합 수단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바인더에 의한 결합이나 열융착에 의한 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섬유의 결합 대신에,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과 같이 섬유의 기계적 얽힘을 이용해도 된다. 날개형상 플랩부(506) 및 옆샘방지부(505)에 매끄러운 촉감이나 부드러움을 현저하게 실현하기 위해서는, 부직포로서, 카드법에 의해 얻어진 열융착 섬유 웹을 열풍 처리하고, 강고한 압축을 주지 않고 부직포화한 에어 스루 부직포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 506B)는 날개형상 플랩부(506)와 함께 옆샘방지부(505)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발수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10~80g/㎡, 특히 20~50g/㎡인 것이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기부(562)가 유연성을 가지며,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조작성이 양호해지는 동시에, 날개형상 플랩부(506) 및 옆샘방지부(505)에 소정의 강도 및 양호한 장착감을 주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B)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10~80g/㎡, 특히 20~50g/㎡인 것이 날개형상 플랩부(506)에 소정의 강도 및 양호한 장착감을 주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기부(562) 근방의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중앙부(M)에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을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B)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에 대해서 이하에 더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500)의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 각각은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방향이 본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 각각은 대략 같은 폭을 가지며, 본체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옆샘방지부(505)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510)의 측가장자리부(510a)에 있어서 시일부(508)에 의해 이면 시트(503)와 접합되어 있다. 옆샘방지부(505)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가 흡수성 본체(510)의 측가장자리부(510a)로부터 흡수성 본체(510)의 폭방향의 안쪽을 향해서 연장되고, 접힌 단부(551)를 가지도록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가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꺾여 접힌 후, 그대로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을 향해서 연장되어, 다시 시일부(508)에 있어서 이면 시트(503)와 접합되어 있다. 시일부(508)는 히트 시일,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배설부 대향부(500B)에 있어서, 이면 시트(503)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부 각각은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부(508)보다도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약간 연장되어 있다. 이 이면 시트(503)가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날개형상 플랩부(506)와는 접합되어 있지 않는 것이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유연성 및 조작성을 양호하게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 각각과 본체 길이방향의 동일 측의 날개형상 플랩부(506)는 함께, 1매의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는 시일부(508)를 경계로 해서 옆샘방지부(505)와 날개형상 플랩부(506)로 나뉘어져 있다. 시일부(508)의 형상은, 이어져 형성되어 있는 날개형상 플랩부(506)가 팬티 가랑이 하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팬티 가랑이 하부의 가장자리부와 피트하기 쉽도록,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본체 폭방향 안쪽으로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 각각은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형상 플랩부(506)를 형성하는 부직포인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A)가 상술한 범위의 평량을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 접힌 단부(551)의 내면끼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옆샘방지부(505)는 양호한 쿠션성을 가지고 있다.
또, 제1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 각각은 도 41 및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510)의 폭방향 안쪽측을 향해서 오목형상을 이루는 제1접합선(552), 및 상기 제1접합선(552)의 흡수성 본체(510)의 길이방향 전후에 위치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제2접합선(553)으로 상기 흡수성 본체(510)와 접합되어 있으며,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 각각에 있어서의 제1접합선(552)과 접힌 단부(551)의 사이에 착용시에 개구하는 포켓(55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접합선(553)은, 접힌 단부(551)에 가까운 부분(553a)과 상기 접힌 단부(551)에서 먼 부분(553b)을 번갈아 가지고 있으며, 이웃하는 접힌 단부(551)에 가까운 부분(553a)끼리 사이의 거리(L2)가 제1접합선(552)의 길이방향의 길이(L1)보다도 짧다.
옆샘방지부(505)의 제1접합선(552)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제1접합선(552)은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냅킨(500)의 배설부 대향부(500B)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는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제1접합선(552)으로 상기 흡수성 본체(510)에 접합되어 있다. 제1접합선(552)은 흡수성 본체(5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제1접합선(552)은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치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접힌 단부(551)에 가까운 부분(552a, 552a)과 접힌 단부(551)에서 먼 부분(552b)을 가지고 있다. 제1접합선(552)의 길이방향의 길이(L1)(도 43 참조), 제1접합선(552)의 접힌 단부(551)에 가까운 부분(552a)과 접힌 단부(551)에서 먼 부분(552b)과의 이간 거리(W1)(도 43 참조. 이하, 요동폭이라고도 한다)가 L1>W1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L1은 냅킨(500)의 본체 길이방향의 길이에 대해 10~50%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W1은 냅킨(500)의 본체 폭방향의 길이에 대해 3~30%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냅킨(500)의 본체 폭방향의 길이란, 흡수성 본체(510)의 배설부 대향부(500B)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의 길이가 가장 큰 값을 말한다. 또, 여기서 말하는 '가깝다' 및 '멀다'는, 먼 부분에 비해 가깝고, 가까운 부분에 비해 멀다고 하는 상대적인 의미이다.
또, 제1 및 제2접합선은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하나의 접합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접합선과 제2접합선은 각각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접합선이며, 동시에 제1접합선과 제2접합선의 사이도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연속한다는 것은, 제1실시형태와 같은 연속하는 접합선 이외에, 복수의 접합부를,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과 평행한 임의의 직선을 상정했을 경우에 상기 직선과 겹치지 않는 부분이 없도록 연속적으로 배치한 것이나, 미시적으로 보면 비연속의 다수의 접합부로 이루어지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선 형상의 접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 취지이며, 접합부의 서로의 일부를 중복시키도록 하여, 냅킨(5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접합 라인도 포함한다.
배설부 대향부(500B)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접합선(552)의 길이(L1)(도 43 참조)는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기부(562) 길이와 대략 같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접합선(552)은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트 엠보싱 가공에 의해 옆샘방지부(505)의 본체 폭방향의 중앙쪽에 위치하는 부분의 일부를 표면 시트(502)와 접합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1접합선(552)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옆샘방지부(505)가 표면 시트(502)와만 접합되어 형성된 것, 또는 옆샘방지부(505)가 표면 시트(502)와 함께 흡수체(504)에도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흡수체(504)의 상기 제1접합선 상당 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일 경우, 흡수성 물품이 한층 부드러워져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1접합선(552)은 옆샘방지부(505)를 표면 시트(502) 및 흡수체(504)와 함께 일체적으로 압착해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1접합선(552) 부분에 생긴 홈에 의해, 액의 번짐이나 확산이 억제되는 이점이 있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 각각에 있어서의 접힌 단부(551)와 제1접합선(552)과의 사이의 부분(552d)(도 43 참조)은 표면 시트(502)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부분(552d)과 표면 시트(502)의 사이에 포켓(552c)(도 42 참조, 이하 큰 포켓이라고도 한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552c)은 적어도 착용시에 개구하며, 그 개구된 포켓(552c)에 냅킨(500)의 본체 폭방향으로 이동한 체액이 포착되기 때문에 샘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겉보기에도 본체 폭방향의 샘방지성이 높은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에게 안심감을 주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접합선(552)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에서 봤을 때에 흡수체(504)와 겹쳐 있는 것이, 포켓(552c)에 포착된 액이 스무스하게 흡수체에 흡수되어, 샘방지성이 한층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포켓(552c)에 포착된 액은, 포켓(552c)의 앞쪽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흡수체(504)에 흡수되거나, 혹은, 포켓(552c) 안쪽에 도착한 후 흡수체(504)에 흡수된다.
평면에서 봤을 때에 흡수체(504)와 겹쳐 있다란, 제1접합선(552)의 전체 또는 일부가, 흡수체(504)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접합선(552)은 요동폭(W1)의 일부가 흡수체(504)와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요동폭(W1)의 전체가 흡수체(504)와 겹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접합선(552)은 그 전 길이에 걸쳐 상기 요동폭(W1)의 전체가 흡수체(504)와 겹쳐 있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500)에 있어서, 제1접합선(552)의 전후에는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제2접합선(553)이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제2접합선(553)은 전방부(500A) 및 후방부(500C)의 옆샘방지부(505)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제2접합선(553)으로 상기 흡수성 본체(510)에 접합되어 있다. 제2접합선(553)은 흡수성 본체(5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제2접합선(553)은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힌 단부(551)에 가까운 부분(553a)과 상기 접힌 단부(551)에서 먼 부분(553b)을 번갈아 가지도록 구불구불 구부려져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접힌 단부(551)에 가까운 부분(553a)과 상기 접힌 단부(551)에서 먼 부분(553b)과의 사이는, 제2접합선(553)을 형성하고 있는 접합선이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이어져 있다.
더 설명하면, 제2접합선(553)은, 본체 폭방향 중앙측을 향해서 볼록한 원호형상 부분과, 본체 폭방향 중앙측을 향해서 오목한 원호형상 부분이 번갈아 이어진 형상이며, 본체 길이방향과 평행한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다.
제2접합선(553)에 있어서, 이웃하는 접힌 단부(551)에 가까운 부분끼리간의 거리(L2)가,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접합선(552)의 길이방향의 길이(L1)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상기 거리(L2)는 이웃하는 접힌 단부(551)에 가까운 부분(553a)끼리에 있어서, 각각의 접힌 단부(551)에 가장 가까운 점끼리간의 거리를 본체 길이방향을 따라서 잰 길이이다.
또, 제2접합선(553)의 접힌 단부(551)에 가까운 부분(553a)과 접힌 단부(551)에서 먼 부분(553b)과의 이간 거리(W3)(도 43 참조. 이하, 요동폭이라고도 한다)는, 히트 엠보싱 가공에 의한 제1접합선(552)의 시일 폭(W2)(도 43 참조)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합선(552)은 소정의 폭을 가지고 있으며, 제1접합선(552)의 양측가장자리는 미시적으로는 평행한 2개의 직선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시일 폭(W2)은 평행한 상기 두개의 직선간의 거리를 말한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 각각에 있어서의 제2접합선(553)과 접힌 단부(551)와의 사이의 부분(553d)(도 43 참조)은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부분(553d)과 표면 시트(502)의 사이에는 포켓(553c)(이하, 작은 포켓이라고도 한다)이 형성되어 있다. 포켓(553c)이 개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접합선(553)은 제1접합선(552)과 마찬가지로 히트 엠보싱 가공에 의해 옆샘방지부(505)의 본체 폭방향 중앙쪽에 위치하는 부분의 일부를 표면 시트(502)와 접합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 외, 제2접합선(553)과 흡수성 본체(510)와의 접합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접합선(552)에 있어서의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또한, 제2접합선(553)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에서 봤을 때에 흡수체(504)와 겹쳐 있는 것이, 포켓(553c)에 포착된 액이 스무스하게 흡수체에 흡수되어, 샘방지성이 한층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접합선(553)은 그 전 길이에 걸쳐 요동폭(W3) 전체가 흡수체(504)와 겹쳐 있다. 그 외, 제2접합선(553)과 흡수성 본체(510)와의 겹침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접합선(552)에 있어서의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505, 505) 각각에 있어서 제2접합선(553)으로 형성되는 작은 포켓(553c)은 큰 포켓(552c)의 전후에 각각 1개 형성되어 있으면 되며,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접합선에 의해 형성되는 작은 포켓(553c)의 영역은 제1접합선의 길이(L1)에 대해 전후에 각각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켓(553c)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L1에 대하여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500)에 있어서의 제1접합선(552)의 본체 길이방향의 길이(L1)는 40~1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접합선(553)의 본체 길이방향의 길이(사행(蛇行)이 반복되는 영역)는 4~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L1 쪽이 긴 쪽이 바람직하다.
또, 제2접합선(553)에 있어서의 상기 거리(L2)는 4~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L2/L1는 4~7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접합선(552)의 요동폭(W1)은 2~1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접합선(553)의 요동폭(W3)은 2~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W1은 W3과 같거나, W3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500)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냅킨(500)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510)의 피부접촉면측에는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507)이 형성되어 있다. 홈(507)은 본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엠보싱 홈, 및 상기 엠보싱 홈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본체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호형상의 2겹의 엠보싱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상기 엠보싱 홈은 각각 내측으로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홈(507)에 의해 표면 시트(502) 및 흡수체(504)가 접합되어 있다.
옆샘방지부(505)의 접힌 단부(551)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507)의 바로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1실시형태의 냅킨(500)은 표면 시트(502)와 흡수체(504)의 사이에 개재되어 폴리머 시트(541)가 배치되어 있다. 폴리머 시트(541)로서는, 플랩 펄프, 및 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해서 시트형상으로 형성한 시트 등이 이용되며,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해서 시트형상으로 형성한 시트로서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층형상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 삼차원형상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의 냅킨(500)을 구성하는 다른 형성 재료에 대해서 설명하면, 표면 시트(502), 이면 시트(503), 점착제, 흡수체(504) 또는 폴리머 시트(541)의 형성 재료로서는,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 재료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500)에 의하면,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기부(562) 근방은 유연해서 조작성이 우수하며, 또한 플랩 점착부(561)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M)는 강성을 가짐과 함께 소정의 강도를 가지고 있어, 플랩 점착부(561)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는 팬티 등의 속옷으로부터 날개형상 플랩부(506)를 탈착할 때에, 날개형상 플랩부(506)가 찢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 착용시에 비틀림이 생기기 쉬운 배설부 대향부(500B)에, 큰 포켓(552c)을 형성하고 있는 제1접합선(552)을 가짐과 함께, 그 전후에 제2접합선(553, 553)을 가지기 때문에, 냅킨(500)에 비틀림이 생겨도, 제2접합선(553)이 형성하는 작은 포켓(553c)이 변형하여 냅킨(500)의 비틀림이 흡수된다. 그 때문에, 배설부 대향부(500B)에 있어서의 큰 포켓(552c)은 비틀림에 의해 찌그러지는 일이 없고, 폭방향으로 이동한 체액을 포착할 수 있다. 또한, 냅킨(500)은 착용시에는 엉덩이부에도 비틀림이 생기기 쉽지만, 상기 후방부(500C)에도 제2접합선(553)을 가지고 있으므로, 샘방지성이 한층 높아져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제5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을 도 44 및 도 45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서술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또, 도 44 및 도 45에 있어서, 도 41~도 43과 동일한 부재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발명(제5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500)은 도 44 및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형상 플랩부(506)가 옆샘방지부(505)와는 다른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날개형상 플랩부(506)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2매의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C, 506D)로 형성되어 있다.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C)는,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중앙부(M)로부터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어, 중앙부(M) 및 바깥쪽부(I)의 피부접촉면측의 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본체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꺾어 접어 단가장자리부를 형성하도록, 비피부접촉면측을 향해서 또한 본체 폭방향의 안쪽을 향해서 꺾여 접힌 후, 본체 폭방향의 안쪽을 향해서 연장되어,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비피부접촉면측의 면을 형성하고, 흡수성 본체(510)의 측가장자리부(510a)에 있어서 시일부(508)에 의해 이면 시트(503)와 접합되어 있다.
또,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D)는,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중앙부(M)로부터 본체 폭방향의 안쪽을 향해서 연장되어, 안쪽부(I)의 피부접촉면측의 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흡수성 본체(510)의 측가장자리부(510a)에 있어서 시일부(508)에 의해 이면 시트(503) 및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C)와 접합되어 있다.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D)는 중앙부(M)에 있어서, 상대향하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C)에 의해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중앙부(M)의 비피부접촉면측에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랩 점착부(56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날개형상 플랩부(506)는 본체 폭방향의 위치에 따라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두께방향을 형성하는 부직포의 매수가 다른 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부(506, 506) 각각은 흡수성 본체(510)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부(I)가 2층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폭방향의 중앙부(M)는 3층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폭방향의 바깥쪽부(O)는 2층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실시형태에서는 옆샘방지부(505)가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5A)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5A)는 흡수성 본체(510)의 측가장자리부(510a)에 있어서 시일부(508)에 의해 2매의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 시트(506C, 506D)와 함께 이면 시트(503)와 접합되어 있다. 옆샘방지부(505)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5A)가 흡수성 본체(510)의 측가장자리부(510a)로부터 흡수성 본체(510)의 폭방향의 안쪽을 향해서 연장되어 흡수성 본체(510)의 피부접촉면측의 측부를 덮고 있다.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505A)의 길이방향의 한쪽의 단부는 시일부(508)로 이면 시트(503) 등에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쪽 단부는 흡수성 본체(510)의 측부에서 자유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제2실시형태의 냅킨(500)에 의하면,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제5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랩 점착부(561)가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중앙부(M)에만 형성되어 있었지만, 플랩 점착부(561)는 중앙부(M)로부터 안쪽부(I) 또는 바깥쪽부(O)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제5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이어도 되지만,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등이어도 된다.
상술한 하나의 실시형태만이 가지는 부분은 모두 적절히 서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제5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을, 상술한 생리용 냅킨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의 실시태양에 기초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냅킨(500)의 제조방법의 실시태양은, 도 46 및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장척형상의 부직포의 원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상기 부직포 연속체(560)를 풀어내는 풀어내기 공정과, 풀어내어진 부직포 연속체(56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부(560a, 560a) 각각을 상기 양측부끼리가 겹치도록 그 폭방향으로 꺾어 접어 셋으로 접는 접기 공정과, 접힌 부직포 연속체(560')를 양측부(560a, 560a)가 겹쳐 있는 부분(P)을 포함하도록 또한 접힌 상기 부직포 연속체(560')의 양측부(560a', 560a')를 제외한 부분에 소정의 폭으로 다수의 엠보싱부(563, 563…)를 형성하여 장척형상 부재(564)를 제작하는 엠보싱 공정과, 장척형상 부재(564)의 한쪽의 면에 있어서의, 양측부가 겹쳐 있는 부분(P)에 점착제를 연속체적으로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장척형상 부재(564)를 그 폭방향으로 또한 엠보싱부(563, 563…)가 형성된 상기 소정의 폭 내에서 요동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부(565)가 간헐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50, 550)를 제작하는 제1 절단 공정과,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50, 550)를, 별도로 제작한 흡수성 본체 연속체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부(565)가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의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하도록 또한 도포된 상기 점착제가 비피부접촉면측을 향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에 접합해서 흡수성 물품 연속체(501A)를 제작하는 접합 공정과, 흡수성 물품 연속체(501A)를 개개의 흡수성 물품으로 절단하는 제2 절단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태양은, 부직포 연속체(560)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풀어내기 공정 뒤에, 부직포 연속체(560)에 열풍을 에어 스루 방식으로 분사하여 상기 부직포 연속체(560)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열풍 처리 공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더욱 설명하면, 본 실시태양은, 상기 접합 공정에 있어서,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50, 550)에 있어서의 엠보싱부(56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흡수성 본체 연속체의 폭방향 안쪽측을 향해서 오목형상을 이루는 제1접합선(552), 및 상기 제1접합선(552)의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의 길이방향 전후에 위치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제2접합선(553)으로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와 접합한다.
본 실시태양에 대해서,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서술한다.
우선, 상기 풀어내기 공정에 있어서는,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장척형상의 부직포의 원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부직포 연속체(560)를 풀어낸다.
부직포 연속체(560)는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 부직포 연속체(560)의 폭은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지만, 상기 폭방향으로 셋으로 접힌 상태로, 냅킨(500)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505) 및 날개형상 플랩부(506)를 형성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형상으로 감겨진 상태에 있는 부직포 연속체(560)는 감김 압력에 의해 그 부피(두께)가 줄어들어 있다. 이 상태의 부직포 연속체(560)를 상기 열풍 처리 공정에 의해 그 부피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풀어내어진 부직포 연속체(560)를 상기 열풍 처리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 열풍 처리 공정에 있어서는, 풀어내어진 부직포 연속체(560)에 열풍을 분사하여 부피를 회복시킨다. 감겨진 부직포의 부피를 회복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2004-137655호 공보의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이 있다.
상기 열풍 처리 공정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부직포 연속체(560)에는 에어 스루 방식으로 열풍이 분사된다. 즉, 부직포 연속체(560)에는 열풍이 분사되고, 분사된 열풍은 부직포 연속체(560)를 관통한다. 이 열풍 분사 조작에 의해, 부피가 줄어든 상태에 있는 부직포 연속체(560)의 부피가 증가하여, 감기 전의 부피와 같은 정도로까지 회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 처리된 부직포 연속체(560)를 상기 접기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 접기 공정에 있어서는, 도 4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직포 연속체(56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부(560a, 560a)를 상기 양측부끼리가 겹치도록 그 폭방향으로 꺾어 접어 셋으로 접는다. 양측부(560a, 560a)를 접을 때에는, 접힌 단부(551)에 접은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양측부(560a, 560a)를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측부(560a, 560a)가 겹쳐 있는 부분(P)의 폭은 부직포 연속체(560)의 폭에 대해 1~20%, 특히 3~13%인 것이, 옆샘방지부(505) 및 날개형상 플랩부(506) 각각의 치수를 확보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부직포 연속체(560)의 양측부(560a, 560a)를 접는 장치로서는, 종래부터 흡수성 물품의 부재의 접기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장치를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흡수체의 말아 올림(curling) 가공이나 개더 부직포 등의 접기 가공을 행하는 접기 가이드(folding guide)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힌 부직포 연속체(560')를 상기 엠보싱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 엠보싱 공정에 있어서는, 접힌 부직포 연속체(560')를, 도 4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부(560a, 560a)가 겹쳐 있는 부분(P)을 포함하도록 또한 접힌 상기 부직포 연속체(560')의 양측부(560a', 560a')를 제외한 부분에, 즉, 접힌 부직포 연속체(560')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소정의 폭으로 다수의 엠보싱부(563, 563…)를 형성하여, 장척형상 부재(564)를 제작한다. 접힌 부직포 연속체(560')에는 엠보싱부(563)가 띠형상으로 형성된다. 엠보싱부(563)를 형성하는 폭은 접힌 부직포 연속체(560')의 폭에 대해 20~60%, 특히 3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양측부(560a', 560a') 각각의 폭은 대략 같게 한다.
엠보싱부(563)의 형성은, 예를 들면 둘레면에 엠보싱용 볼록부가 규칙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엠보싱 롤을 사용해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장척형상 부재(564)를 상기 도포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 도포 공정에 있어서는, 양측부가 겹쳐 있는 부분(P)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점착제를 연속체적으로 도포한다. 도포하는 면은, 장척형상 부재(564)의 어느 측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태양에서는, 부직포 연속체(56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측부(560a, 560a)의 접힘단이 없는 측에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이 접착제를 도포한 면은 날개형상 플랩부(506)의 비피부접촉면측을 형성하는 면이며, 점착제가 도포된 부분은 플랩 점착부(561)가 된다. 점착제를 도포하는 장치로서는, 종래부터 흡수성 물품의 점착제의 도포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장치를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박리지 등에 도공한 후에 플랩부에 전착시키는 슬롯 코트 방식이나, 직접 플랩부에 도공하는 슬롯 스프레이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 점착제가 도포된 부분에는, 한쪽의 면이 박리 처리된 장척형상의 보호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그 박리 처리된 면을 점착제와 맞닿도록 박리 자유롭게 점착한다.
그리고, 점착제가 도포된 장척형상 부재(564)를 상기 제1 절단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 제1 절단 공정에 있어서는, 점착제가 도포된 장척형상 부재(564)를, 도 4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폭방향으로 또한 엠보싱부(563)가 형성된 상기 소정의 폭 내에서 요동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부(565)가 간헐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50, 550)를 제작한다. 상기 절단에 있어서의 장치로서는, 종래부터 흡수성 물품의 부재의 절단에 이용되고 있는 각종 장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로터리 커터 등이 바람직하다.
절단은 엠보싱부(563)가 형성되어 있는 띠형상 부분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 사이를 요동하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를 보호하고 있는 상기 보호 시트도 동시에 절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장척형상 부재(564)로부터, 도 4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옆샘방지부 형성부(554)에 있어서는 연속하고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부(565)에 있어서는 비연속이며, 옆샘방지부 형성부(554)와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부(565)를 각각 다수 가지는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50)를 제작한다. 옆샘방지부 형성부(554)는 옆샘방지부(505)를 형성하는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50)의 부분이며,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부(565)는 날개형상 플랩부(506)를 형성하는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50)의 부분이다.
그리고,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50, 550)를 상기 접합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 접합 공정에 있어서는,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50, 550)를, 도 4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한 표면 시트 연속체(520)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부(565)가 상기 표면 시트 연속체(520)의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하도록 또한 상기 점착제가 비피부접촉면측을 향하도록, 표면 시트 연속체(520)에 접합하여, 표면 시트 복합 연속체(520')를 제작한다. 상기 접합에 있어서의 장치로서는, 종래부터 흡수성 물품의 부재의 접합에 이용되고 있는 각종 장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또는 히트 시일 등의 용융 접착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서술하면,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50, 550) 각각에 있어서의 엠보싱부(56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즉, 옆샘방지부 형성부(554)를, 표면 시트 연속체(520)의 폭방향 안쪽측을 향해서 오목형상을 이루는 제1접합선(552)(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제1접합선(552)의 상기 표면 시트 연속체(520)의 길이방향 전후에 위치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도록 연장하는 제2접합선(553)(도시하지 않음)으로, 상기 표면 시트 연속체(520)와 접합한다.
제1접합선(552)은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부(565)와 인접하는 옆샘방지부 형성부(554)의 부분에 제작하고, 상기 제1접합선(552)과 그 전후에 위치하는 제2접합선(553)을 합한 길이는 냅킨 한개분의 길이가 되도록, 제2접합선(553) 각각을 형성한다. 제1접합선(552) 및 제2접합선(553) 각각은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냅킨(500)과 마찬가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표면 시트 복합 연속체(520')를, 도 4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해서 준비한, 흡수체(504)가 소정의 간격으로 놓여져 접합된 이면 시트 연속체(530) 상에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 연속체(501A)를 제작한다. 상기 접합에 있어서의 장치로서는, 종래부터 흡수성 물품의 부재의 접합에 이용되고 있는 각종 장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 또는 히트 시일 등의 용융 접착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 복합 연속체(520')는,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부(565)가 상기 이면 시트 연속체(530)의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하도록 또한 도포된 상기 점착제가 비피부접촉면측을 향하도록, 이면 시트 연속체(530)에 접합한다. 또, 흡수체(504)의 위에는 별도로 제작해서 준비한 폴리머 시트(541)를 놓아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서술하면, 표면 시트 복합 연속체(520')를, 옆샘방지부 형성부(554)와 날개형상 플랩부 형성부(565)의 경계를 따라서, 옆샘방지부 형성부(554)가 이면 시트 연속체(53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측부를 덮도록, 이면 시트 연속체(530)에 접합한다. 또, 냅킨(500)의 길이에 대응하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하면을 폭방향에 걸쳐 접합해서 시일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표면 시트 연속체(520), 이면 시트 연속체(530) 및 상기 양 연속체에 개재되어 또한 이간해서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504)를 포함하는 적층체 연속체는,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에 한 쌍의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50, 550)를 접합하는 것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를 구성하는 부재(표면 시트 연속체(520))에 미리 한 쌍의 상기 옆샘방지부 연속부재(550, 550)를 접합한 후, 상기 흡수성 본체 연속체를 형성하는 것도 포함된다.
그러한 후, 흡수성 물품 연속체(501A)를 상기 제2 절단 공정으로 보내고, 상기 제2 절단 공정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 연속체(501A)를, 도 4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된 피절단부로서의 상기 시일부에 있어서 폭방향에 걸쳐 절단하여, 본 발명의 개개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냅킨(500)을 얻는다. 상기 절단에 있어서의 장치로서는, 종래부터 흡수성 물품의 절단에 이용되고 있는 각종 장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로터리 커터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태양에 있어서, 표면 시트 연속체(520) 등을 포함해서 특별히 설명하고 있지 않는 부재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상술한 본 실시태양에 의하면, 1매의 장척형상의 부직포 연속체(560)로, 옆샘방지부(505) 및 날개형상 플랩부(506) 각각을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변동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제5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실시태양에 제한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제6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그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제1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600)이며, 도 48~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602), 이면 시트(603) 및 양 시트(602, 603)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된 흡수체(604)를 구비한 흡수성 본체(610)와, 흡수성 본체(610)의 양측부 각각에서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605, 605) 및 한 쌍의 후부 플랩(607, 607)과, 흡수성 본체(610)의 피부접촉면측의 양측부 각각을 피복하는 한 쌍의 옆샘방지부(606, 606)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접촉면측'이란, 흡수성 본체 등의 각 부재의 표리 양측(면) 중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는 측(면)이다. 또, '비피부접촉면측'이란,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측(면)이다. 특별히 명기가 없는 한 '길이방향'이란,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며, '폭방향'이란,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또, 흡수성 본체(610)에 있어서 배설부 대향부(600A)란,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배설부와 대향하는 영역이며, 본 발명과 같이 날개부(605)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양측부에 날개부(605)를 가지는 부분이다. 배설부 대향부(600A)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영역을 전방부(600B)라고 하고, 배설부 대향부(600A)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영역을 후방부(600C)라고 한다.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흡수성 본체(610)는, 도 48~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602), 액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이면 시트(603) 및 양 시트(602, 603)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된 액유지성의 흡수체(604)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604)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전후 가장자리부가 둥그스름한 대략 장방형상을 가지고 있다.
표면 시트(602)는 도 48 도 50 및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604)의 상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표면 시트(602)의 전후 가장자리부는 둥그스름하며, 흡수체(604)의 전후 가장자리부 각각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표면 시트(602)의 양측가장자리부는 도 48 및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르는 직선 형상이며, 흡수체(604)의 양측가장자리부 각각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약간 연장되어 있지만, 이면 시트(603)로부터는 이간되어 있다.
이면 시트(603)는 도 49~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604)의 하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이면 시트(603)의 전후 가장자리부는 둥그스름하며, 흡수체(604)의 전후 가장자리부 각각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면 시트(603)의 양측가장자리부는 흡수체(604)의 양측가장자리부 각각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9~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610)의 비피부접촉면측에는, 상세하게는 이면 시트(603)의 비피부접촉면측에는, 흡수성 본체(610)와 팬티 가랑이부의 상면(내면)을 고정하기 위한 부착제(611)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제(611)는 점착제 등으로 형성된다(후술하는 부착제(655, 675)도 같음).
표면 시트(602), 이면 시트(603) 및 흡수체(604)로서는,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 재료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시트(602)로서는 액투과성을 가지는 부직포나 개공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603)로서는 액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604)로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펄프 섬유나 단섬유 또는 장섬유의 웹 등의 섬유집합체를 주체로 하는 흡수성 코어를 피복 시트로 피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면 시트(603)는 흡수성 본체(610)의 답답함(stuffiness)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투습성(통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성의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에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의 필러를 첨가한 것을, T 다이나 서큘러 다이로부터 용융 압출해서 필름을 형성하고, 뒤이어, 상기 필름을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해서 얻어지는 수지 시트, 스펀 본드 부직포(S)와 멜트 블로운 부직포(M)가 복합화된 복합 부직포(예를 들면 SM, SMS, SMMS 등), 에어 스루 부직포나 상기 SMS 등의 복합 부직포와 상기 수지 시트와의 복합 시트를 들 수 있다.
이면 시트(603)로서 상기 수지 시트를 사용하면 이면 시트(603)의 비피부접촉면측에 형성된 부착제(611)의 고정성이 좋은 점에서 바람직하고, 또, 상기 복합 부직포를 사용하면 투습성 및 유연성이 좋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흡수체(604)는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흡수체(641) 및 하부흡수체(642)로 이루어는 2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부흡수체(641)는 평면에서 봤을 때 하부흡수체(642)보다도 길이 및 폭이 짧게 되어 있고, 후술하는 중앙 제1시일선(612)보다도 작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흡수체(642)에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또, 상부흡수체(641)는 하부흡수체(642)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중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나아가서는, 흡수성 본체(61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중앙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흡수체(641)는 흡수성 본체(610)에 있어서의 소위 중고 영역을 형성한다.
표면 시트(602)에는 도 48, 도 50 및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602)와 하부흡수체(642)가 일체적으로 압밀화되어서 형성된 중앙 제1시일선(612) 및 중앙 제2시일선(613)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제1시일선(612)은 평면에서 봤을 때 상부흡수체(641)를 포위하도록, 표면 시트(602)의 상면에 있어서의 옆샘방지부(606)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후 한 쌍의 중앙 제2시일선(613, 613)은 대략 반원호형상이며, 중앙 제1시일선(612)의 전부 및 후부보다도 각각 전방측 및 후방측에 중앙 제1시일선(612)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 제1시일선(612) 및 중앙 제2시일선(613)은 표면 시트(602)와 하부흡수체(642)를 접합하고 있지만, 표면 시트(602)와 상부흡수체(641)는 접합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부흡수체(641)는 표면 시트(602)와 하부흡수체(642)로 이루어지는 폐쇄 공간에 봉입되어 있다.
날개부(605)는 도 48 및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설부 대향부(600A)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610)의 양측부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날개 상층(651) 및 날개 하층(652)으로 이루어진다. 날개부(605)는 팬티 등의 속옷의 가랑이부의 하면(외면)측으로 꺾여 접혀 사용되는 것이다.
날개부(605)는 그 기단부인 날개 기단부(653)가 날개 상층(651)과 날개 하층(652)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날개 기단부(653) 이외의 부분인 날개 선단부(654)가 날개 상층(651)만으로 이루어진다. 날개부(605)는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아랫바닥(윗바닥보다도 긴 변)이 흡수성 본체(610)의 측부측에 위치하는 대략 사다리꼴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49 및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605)의 비피부접촉면측에는, 상세하게는 날개 상층(651)에는 부착제(655)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제(655)에 의해, 사용시에, 팬티 가랑이부의 하면(외면)측으로 꺾여 접힌 날개부(605)를 가랑이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날개 기단부(653)는 그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가 2~3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3~15m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단, 날개 기단부(653)는 부착제(655)보다도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안쪽에 위치시킨다.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을 따른 날개 기단부(653)의 길이가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하지 않을 때는, 가장 긴 길이를 날개 기단부(653)의 길이로 한다.
후부 플랩(607)은 도 48 및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부(600C)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610)의 양측부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플랩 상층(671) 및 플랩 하층(672)으로 이루어진다. 후부 플랩(607)은 흡수성 본체(610)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접히는 일 없이 팬티 등의 속옷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단, 후부 플랩(607)은 개별 포장 형태 등에 있어서 콤팩트하게 하기 위해서 흡수성 본체(610)의 피부접촉면측 또는 비피부접촉면측으로 접어도 된다.
후부 플랩(607)은 그 기단부인 플랩 기단부(673)가 플랩 상층(671)과 플랩 하층(672)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플랩 기단부(673) 이외의 부분인 플랩 선단부(674)가 플랩 상층(671)만으로 이루어진다. 후부 플랩(607)은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폭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49 및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부 플랩(607)의 비피부접촉면측에는, 상세하게는 플랩 상층(671)에는 부착제(675)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제(675)에 의해, 사용시에 후부 플랩(607)을 팬티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랩 기단부(673)는 그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가 2~3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3~15m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단, 플랩 기단부(673)는 부착제(675)보다도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안쪽에 위치시킨다.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을 따르는 플랩 기단부(673)의 길이가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하지 않을 때는, 가장 긴 길이를 플랩 기단부(673)의 길이로 한다.
옆샘방지부(606)는 도 48, 도 50 및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610)의 피부접촉면측의 양측부 각각을 피복하는 구성 부위로, 흡수성 본체(610)의 피부접촉면측에 있어서의 양측부 각각에 흡수성 본체(6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그 대략 전 길이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606)는 발수성의 사이드 시트(661)로 이루어진다. 사이드 시트(661)는 폭방향으로 둘로 접혀져, 옆샘방지부(606)의 내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접힘부를 형성하고, 2층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옆샘방지부(606)의 평면에서 봤을 때 면적의 80% 이상이 2층 영역으로 되어 있다. 옆샘방지부(606)의 내측가장자리부는 흡수성 본체(6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장착시에 옆샘방지부(606)에 있어서의 내측가장자리부측이 흡수성 본체(610)의 폭방향 안쪽측으로 포켓으로서 개구되기 쉽다.
발수성의 사이드 시트(661)로서는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발수성의 각종 재료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투습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661)는 액불투과성이어도 된다. 사이트 시트(66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스펀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S)와 멜트 블로운 부직포(M)가 복합화된 시트(예를 들면 SM, SMS, SMMS 등), 히트 롤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등의 발수성(소수성) 부직포를 들 수 있다. SM, SMS, SMMS 등의 복합화된 시트를 사용하면, 상기 시트의 표면의 평활성에 의한 매끄러운 감촉 및 상기 시트의 물성(강도 등)이 양호하기 때문에, 날개부(605)에 있어서의 내인렬성이나 부착제(655)의 전착성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에어 스루법에 의해 만들어진 부직포를 사용하면, 저평량으로도 두께가 얻어지기 쉬워, 감촉(쿠션감)이나 촉감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661)로서는, 대략 원형, 타원형, 모서리가 둥그스름한 직사각형 등의 모서리가 없는 엠보싱 오목부를, 부직포에 산발적으로 다수 형성한 엠보싱 시트가 바람직하다. 엠보싱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저감할 수 있고, 또, 모서리가 없는 엠보싱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주로 섬유 파괴에 의한) 부직포의 보풀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촉감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사이드 시트(661)는 흡수성 본체(610)의 양측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날개 상층(651) 및 플랩 상층(671)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이면 시트(603)는 흡수성 본체(610)의 양측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날개 하층(652) 및 플랩 하층(672)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날개부(605)와 후부 플랩(607)은, 그 형성되어 있는 위치(배설부 대향부(600A)/후방부(600C)), 그 사용 방법(접어 사용/접지 않고 사용) 등이 다르지만, 기본적인 구성(특히 두께방향의 구성) 자체는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 또는 후술하는 날개부(605)에 관한 설명은 후부 플랩(607)에도 적당히 적용된다.
옆샘방지부(606)는 도 48 및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600B)에 있어서, 그 전단부측 및 외측가장자리부측이 전방부 시일선(684)에 의해 흡수성 본체(610)의 표면 시트(602) 또는 이면 시트(603)에 접합되어 있다. 전방부 시일선(684)은 예를 들면,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고주파 시일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각 시일선(681, 682 및 683)도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또, 옆샘방지부(606)는 도 48~도 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설부 대향부(600A)에 있어서, 그 외측가장자리부측이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에 의해 흡수성 본체(610)의 이면 시트(603)에 접합되어 있다.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은 날개부(605)의 한쪽의 날갯죽지에서 다른쪽의 날갯죽지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걸쳐, 폭방향 안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해서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605)의 날갯죽지는 흡수성 본체(610)와 날개부(605)의 경계선(상세한 것은 후술)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위치한다.
또, 옆샘방지부(606)는 도 48 및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부(600C)에 있어서 그 외측가장자리부측 및 후단부측이 후방부 시일선(683)에 의해 흡수성 본체(610)의 이면 시트(603) 또는 표면 시트(602)에 접합되어 있다. 후방부 시일선(683)은 후방부(600C)에 위치하는 옆샘방지부(606)에 있어서의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에 길이방향으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602)는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옆샘방지부(606)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는, 옆샘방지부(606)에 형성된 각 시일선(684, 681 및 683)에 의해 옆샘방지부(606)를 통해서 흡수성 본체(610)의 이면 시트(603)에 접합되어 있다. 또, 표면 시트(602)는 평면에서 봤을 때 옆샘방지부(606)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도, 전방부 시일선(684) 및 후방부 시일선(683)에 의해 흡수성 본체(610)의 이면 시트(603)에 접합되어 있다. 전방부 시일선(684)은 흡수성 본체(610)의 전방부(600B)의 좌측가장자리부로부터 전단가장자리부를 경유해서 우측가장자리부에 걸쳐, 대략 반원호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방부 시일선(683)은 흡수성 본체(610)의 후방부(600C)의 후단가장자리부에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날개부(605)에 있어서는, 도 48~도 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 상층(651)과 날개 하층(652)은 날개 기단부 시일선(682)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날개 기단부 시일선(682)은 날개 기단부(653)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에만 길이방향으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후부 플랩(607)에 있어서는, 플랩 상층(671)과 플랩 하층(672)은 옆샘방지부(606)에 있어서의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후방부 시일선(683)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후방부 시일선(683)은 플랩 기단부(673)의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에 길이방향으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날개부(605)의 접힘선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날개부(605)를 흡수성 본체(610)의 이면 시트(603)측으로 꺾어 접었을 때에 형성되는 접힘선(도 53 참조)이 흡수성 본체(610)와 날개부(605)의 경계선이 된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체(604)의 폭방향 바깥쪽에, 폭방향 안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접기 유도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날개부(605)를 흡수성 본체(610)의 이면 시트(603)측으로 꺾어 접었을 때에, 상기 접힘선이 상기 접기 유도선을 따라서 만곡해서 형성된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기 유도선은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이며, 따라서, 접힘선도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이다.
한편, 본 발명(제6발명)에 있어서, 날개부(605)를 흡수성 본체(610)의 이면 시트(603)측으로 꺾어 접었을 때에 접힘선이 명확히 형성되지 않을 때는, 날개부(605)의 양 날갯죽지를 잇는 직선이 흡수성 본체(610)와 날개부(605)의 경계선이 된다.
흡수성 본체(610)와 후부 플랩(607)의 경계선은, 흡수성 본체(610)와 날개부(605)의 경계선의 가장 후방부(600C) 쪽의 위치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서 흡수성 본체(610)의 후단부를 향해서 연장하는 직선이다.
한 쌍의 옆샘방지부(606) 각각에는,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옆샘방지부 제1시일선(663) 및 옆샘방지부 제2시일선(664)으로 이루어지는 옆샘방지부 시일선(662)이 형성되어 있다. 옆샘방지부 제1시일선(663)은 배설부 대향부(600A)에 형성되어 있으며, 폭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옆샘방지부 제1시일선(663)의 길이는 흡수성 본체(610)의 길이방향을 따른 날개 기단부(653)의 길이와 대략 같다. 옆샘방지부 제2시일선(664)은 전방부(600B) 및 후방부(600C) 각각에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옆샘방지부 제1시일선(663)은 접기 유도선인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의 폭방향 안쪽측에 근접하여, 옆샘방지부(606)를 표면 시트(602)에 접합하고 있다.
옆샘방지부 제1시일선(663) 및 옆샘방지부 제2시일선(664)은 옆샘방지부 제2시일선(664), 옆샘방지부 제1시일선(663) 및 옆샘방지부 제2시일선(664)의 순으로, 전방부(600B)로부터 배설부 대향부(600A)를 경유해서 후방부(600C)에 걸쳐 연속되어 있다. 옆샘방지부 시일선(662)에 의해 옆샘방지부(606)는 흡수성 본체(610)의 표면 시트(602)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옆샘방지부 시일선(662)은 옆샘방지부(606)를 표면 시트(602)와 함께 흡수체(604)에 고정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또, 표면 시트(602)를 개재시키지 않고, 옆샘방지부(606)를 흡수체(604)에 직접 고정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옆샘방지부(606)의 내측가장자리부와 옆샘방지부 시일선(662)의 사이의 영역은 표면 시트(602)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표면 시트(602)와의 사이에서 포켓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포켓은 착용시에 개구되며, 그 개구된 포켓에 폭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 체액을 포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샘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시각적으로도, 폭방향의 샘방지성이 높은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에게 안심감을 주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옆샘방지부 시일선(662)은 상기 포켓에 포착된 체액이 스무스하게 흡수체(604)에 흡수되어 샘방지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점에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평면에서 봤을 때에 흡수체(604)와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켓에 포착된 체액은 상기 포켓의 앞쪽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흡수체(604)에 흡수되거나, 또는 상기 포켓의 안쪽에 도달한 후, 흡수체(604)측으로 되돌아와서 흡수된다.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의 각 구성 부재는 상술한 각 시일선(681~684 및 662) 이외에도,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각종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더 접합되어 있다. 접착제는 주로 상기 각 시일선(681~684 및 662)에 의한 접합을 보강하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접착제는, 예를 들면, 날개 상층(651)과 날개 하층(652)의 사이, 플랩 상층(671)과 플랩 하층(672)의 사이, 흡수체(604)와 이면 시트(603)의 사이, 옆샘방지부(606)와 표면 시트(602)의 사이에 형성된다. 접착제는, 연속적으로(면 형상으로) 도공되어 있어도 되지만(소위 베타 칠), 도공된 영역의 통기성을 고려하면, 간헐적으로 도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헐적인 도공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스파이럴 형상,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 Ω 형상, 도트 형상을 들 수 있다.
날개부(605)에 있어서는, 날개 기단부(653)는 날개 선단부(654)보다도 신장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 기단부(653)와 날개 선단부(654)의 신장성의 차는, 예를 들면 날개 기단부(653)에 있어서, 날개 상층(651)과 날개 하층(652)을 접착제, 히트 시일 등으로 접합함으로써 실현된다. 날개 기단부(653)의 신장성이란, 그 전체로, 즉 날개 상층(651)과 날개 하층(652)의 적층체로 평가한 신장성이다. 날개 기단부(653) 및 날개 선단부(654)의 신장성의 고저는 신장률의 대소에 의해 평가된다. 날개 기단부(653) 및 날개 선단부(654)의 신장률은 이하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신장률 측정방법]
날개 기단부(653) 및 날개 선단부(654)를 길이 30mm 이상, 폭 10mm로 잘라내어 샘플로 한다. 텐실론 인장 시험기(A&D CO. LTD.제, RTC-1210A)로 척간 20mm로 샘플을 잡고, 샘플을 그 길이방향으로 100cN의 하중/10mm 폭으로 잡아 당겨, 신장후의 샘플 길이를 A로 하면, 그 때의 신장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20)×100
즉, 신장률(%)은 (신장후의 샘플 길이)/(신장전의 샘플 길이)×100이다. 예를 들면, 신장후의 샘플 길이가 30mm이면, 신장률은 150%이며, 신장후의 샘플 길이가 40mm이면, 신장률은 200%이다.
흡수성 본체(610)의 두께는 배설부 대향부(600A)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5mm 이하이다. 또, 흡수성 본체(610)의 두께는 전방부(600B) 및 후방부(600C)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mm 이하이다. 흡수성 본체(610)의 두께가 이러한 범위에 설정되어 있으면, 장착시에 위화감이 생기기 어렵고, 신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더 피트되고, 장착시에 상기 포켓이 개구되기 쉬워, 옆샘방지성이 한층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흡수성 본체(610)의 두께는 이하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두께 측정방법]
제품(흡수성 물품 전체)을 평평한 장소에 주름이나 절곡이 없도록 가만히 두고, 흡수성 본체의 배설부 대향부 또는 전방부 혹은 후방부에 있어서의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상면에 5cN/㎠의 하중을 가해, 그 상태하에서의 두께를 측정한다. 제품장착시의 장착압력은 신체 부위, 개인차, 상태(앉아 있음/움직이고 있음) 등에 따라 다르지만, 배설부 대향부의 중앙영역(배설 포인트 부근)에서는, 팬티 등의 의류를 착용하는 이외에 외압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무하중~5cN/㎠의 하중이 되므로, 이 하중(5cN/㎠)에서의 측정을 행하였다. 두께 측정에는 두께계 PEACOCK DIAL UPRIGHT GAUGES R5-C(OZAKI MFG. CO. LTD.제)를 사용하였다. 이 때, 두께계의 선단부와 제품 사이의 측정 부분에 플레이트(두께 5mm 정도의 아크릴판)를 배치하고, 하중이 5cN/㎠가 되도록 플레이트의 크기를 조정한다. 플레이트의 형상은 원형 또는 정방형으로 한다.
또, 날개부(605)의 날갯죽지에 있어서의 인렬 강도는 500~1000cN인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후에 날개부(605)의 부착제(655)를 팬티 가랑이부에서 떼어내도, 보다 확실하게, 날개부(605)의 날갯죽지를 기점으로 하는 인렬이 생기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650cN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날개부(605)의 인렬 강도는 이하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인렬 강도 측정방법]
JIS K7128(플라스틱-필름 및 시트의 인렬 강도 시험 방법)에 규정된 A법(트라우저 인렬법)을 참고로, 텐실론 인장 시험기(A&D CO. LTD.제, RTC-1210A)를 사용하여, 상하 척간의 거리를 5mm(시험편을 삽입가능한 정도의 간격)로 조정한 척의 상측에 제품의 흡수성 본체, 하측에 날개부를 끼우고, 상측의 척에 끼운 제품의 흡 수성 본체를 일정 속도 200mm/min으로 상승시키고, 시험편을 제품 길이방향을 따라서 인렬했을 때의 최고값(cN)을 읽어낸다. 측정은 5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여 인렬 강도로 하였다.
또한, 시험편은, 제품형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날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75mm(계 150mm: 날개부의 날갯죽지부분이 확실하게 남는 길이)가 되도록 제품형태의 흡수성 물품을 폭방향으로 재단해서 샘플로 이루고, 또한, 날개부의 날갯죽지부분에서 길이방향으로 15mm의 길이로 길이방향으로 절입을 넣고, 이것을 시험편으로 하였다.
텐실론 인장 시험기의 상측의 척에 얻어진 시험편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 부분을 끼우고(날개부는 끼우지 않는다), 하측의 척에, 절입을 넣어서 아래쪽으로 꺾어 접은 날개부의 접힘부를 끼우고, 측정을 행하였다.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은, 흡수성 본체(610)를 팬티 가랑이부(도시하지 않음)의 상면(내면)에 배치하고, 부착제(611)에 의해 가랑이부에 고정한다. 또, 후부 플랩(607)을 팬티의 상면(내면)에 배치하고, 부착제(675)에 의해 팬티에 고정한다. 그리고, 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605)를 가랑이부의 하면(외면)측으로 꺾어 접어, 부착제(655)에 의해 날개부(605)를 가랑이부의 외면에 고정함으로써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면서 장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에 있어서는, 날개 기단부(653)가 날개 상층(651)과 날개 하층(652)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날개 선단부(654)가 날개 상층(651)만으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날개부(605)의 신체에 대한 피트성 및 촉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날개부(605)가 늘어나기 어려워, 개별 포장 상태의 생리용 냅킨(600)을 포장재에서 꺼낼 때에, 날개부(605)에 형성된 부착제(655)를 피복하는 피복 시트(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날개부(605)를 떼어내기 쉽다.
또, 후부 플랩(607)도 날개부(605)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 날개부(605)의 강성(힘)이 높으므로, 팬티에의 장착시에 있어서 날개부(605)의 접기 조작성이 높다. 또한, 날개부(605)의 접힘부 근방의 강도가 높으므로, 사용후, 생리용 냅킨(600)을 팬티에서 떼어내어 폐기할 때에, 날개부(605)가 날개 기단부(653) 근방에 있어서 파단되지 않아, 날개부(605)의 일부가 팬티에 부착된 상태가 되기 어렵다.
또, 날개 기단부(653)가 비쳐 보이기 어려우므로, 팬티에의 장착시에 날개부(605)의 접힘부 근방에 있어서 팬티가 비쳐 보이기 어려워, 날개부(605)의 시각적 샘방지 효과가 높다.
날개 기단부(653)가 날개 선단부(654)보다도 신장성이 낮으므로, 상술한 날개부(605)의 파단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있다.
또, 흡수체(604)의 폭방향 바깥쪽에, 폭방향 안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접기 유도선으로서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이 형성되어 있어, 날개부(605)를 흡수성 본체(610)의 이면 시트(603)측으로 꺾어 접었을 때에, 날개부(605)의 접힘선이 접기 유도선(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을 따라서 만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날개부(605)가, 팬티 가랑이부의 측가장자리부 형상(통상, 폭방향 안쪽을 향해서 오목해져 있다)을 따라서 접히게 되므로 팬티에의 생리용 냅킨(600)의 장착 안정성이 높다.
또한, 옆샘방지부(606)에는, 접기 유도선(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의 폭방향 안쪽측에 근접하여, 옆샘방지부(606)를 표면 시트(602)에 접합하는 옆샘방지부 시일선(662)(옆샘방지부 제1시일선(663))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기 유도선의 폭방향 내측 영역의 강성이 높아져, 접힘선이 명확히 형성되고, 그 결과 날개부(605)의 접힘 조작성이 향상한다.
생리용 냅킨(600)의 팬티에의 장착시에 있어서, 날개부(605)가 흡수성 본체(610)의 이면 시트(603)측으로 꺾어 접히는 데 반해, 후부 플랩(607)은 접히지 않으므로, 날개부(605)의 날갯죽지와 후부 플랩(607)의 날갯죽지의 사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양 날갯죽지는 거의 같은 위치에 존재한다)는, 생리용 냅킨(600)에 있어서 가장 비틀림이 발생하기 쉬운 개소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날개 기단부(653) 및 플랩 기단부(673)가 사이드 시트(661) 및 이면 시트(603)의 적층체로 이루어져 강성이 높기 때문에, 날개부(605)의 날갯죽지와 후부 플랩(607)의 날갯죽지의 사이의 비틀림이 생기기 어렵다.
날개 선단부(654) 및 플랩 선단부(674)는 상기 엠보싱 시트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시트(661)로 형성되어, 부직포의 섬유 집합 상태가 전체적으로 치밀하기 때문에, 날개 선단부(654)와 부착제(655)와의 접합성 및 플랩 선단부(674)와 부착제(675)와의 접합성이 우수하다. 또, 플랩 선단부(674)에 있어서는, 폭방향으로의 번짐이 엠보싱 오목부에 의해 생기기 어렵다.
다음으로 본 발명(제6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같은 점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도 54는 본 발명(제6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605)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600A)를 나타내고 있다.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은,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에 비해 접기 유도선인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의 형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만곡한 연속선 형상인 데 반해,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만곡한 파선 형상(점선 형상을 포함한다)이다.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은 거시적으로는 날개부(605)의 양 날갯죽지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만곡한 파선 형상의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접기 유도선)에 의하면,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만곡한 연속선 형상의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과 마찬가지로, 만곡한 접힘선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에 의해서도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또,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을 파선 형상으로 함으로써, 시일선(681)의 강성을 저감시켜, 사용감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5는 본 발명(제6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3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605)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600A)를 나타내고 있다. 제3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은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에 비해 접기 유도선인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의 형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은,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거시적으로 봐서 날개부(605)의 양 날갯죽지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데 반해,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날개부(605)의 양 날갯죽지 근방에만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날개부(605)의 양 날갯죽지 근방에 형성된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에 의해, 도 55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폭방향 안쪽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으로 접힘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도 접기 유도선이 된다.
날개부(605)의 양 날갯죽지 근방만 형성된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으로 이루어지는 접기 유도선에 의하면,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개부(605)의 양 날갯죽지에 걸쳐 연장되는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과 마찬가지로, 만곡한 접힘선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3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에 의해서도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또, 날개부(605)의 양 날갯죽지 근방에만 시일선(681)을 형성함으로써, 팬티에 감싸 넣은 경우에 있어서의 날개부(605)의 접힘 부분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주름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사용감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도 56은 본 발명(제6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4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날개부(605) 및 그 근방의 배설부 대향부(600A)를 나타내고 있다. 제4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은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에 비해 접기 유도선인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의 형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만곡한 연속선 형상의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양단부가 날개부(605)의 양 날갯죽지에 위치하고 있는 데 반해,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양단부가 날개부(605)의 양 날갯죽지에서 길이방향 안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을 따라서 접힘선의 일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날개부(605)의 날갯죽지와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의 단부를 잇는 선(도 56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을 따라서 접힘선의 나머지의 일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도 접기 유도선이 된다.
날개부(605)의 양 날갯죽지로부터 이간된 배설부 대향부 시일선(681)으로 이루어지는 접기 유도선에 의하면, 대부분이 만곡한 접힘선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4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에 의해서도 제1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600)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또, 날개부(605)의 양 날갯죽지에서 이간한 시일선(681)을 형성함으로써, 팬티에 감싸 넣은 경우에 있어서의 날개부(605)의 접힘 부분에 있어서 가장 변형이 생기기 쉬운 날개부(605)의 양 날갯죽지 근방의 주름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팬티로의 피트성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제6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옆샘방지부(606)의 2층 영역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1매의 사이드 시트(661)를 폭방향으로 꺾어 접어 형성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2매의 시트를 적층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옆샘방지부(606)는 2층 영역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옆샘방지부(606)는 접혀 있지 않은 1매의 사이드 시트(661)로 형성할 수 있다.
접힘선 및 접기 유도선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폭방향 안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지만,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선 형상(연속선 형상 및 파선 형상의 양쪽을 포함한다)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은 다른 실시형태에 적당히 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제6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에 제한되지 않고, 팬티라이너(대하 시트), 실금 패드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장착되는 속옷은 팬티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제1발명)의 옆샘방지부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옆샘방지부는 유연성 및 신체 추종성이 우수하며, 장착감 및 샘방지성이 높다. 또, 본 발명(제1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포장 구조는 상술한 흡수성 물품의 포장에 적합하다.
본 발명(제2발명)의 옆샘방지부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신체 추종성 및 장착감이 우수하고, 샘방지성이 높다.
본 발명(제3발명)의 옆샘방지부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장착감 및 샘방지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제4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 날개부 및 옆샘방지부를 가지며, 날개부가 옆샘방지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시트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날개부가 파단되기 어렵고, 날개부를 팬티 가랑이부에 자유롭게 감싸 넣기 쉬워, 장착시에 흡수성 본체가 신체를 따르기 쉽다.
본 발명(제5발명)의 날개형상 플랩부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날개형상 플랩부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동시에 장착감 및 조작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제6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날개부의 신체에 대한 피트성 및 촉감이 우수함과 동시에, 부착제를 피복하는 피복 시트로부터 날개부를 떼어내기 쉽다. 또, 날개부의 접기 조작성이 높고, 날개부가 그 기단부 근방에 있어서 파단되기 어렵다.

Claims (50)

  1. 흡수층 및 샘방지층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며, 한 쌍의 옆샘방지부에 의해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 양측부가 덮혀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한 쌍의 상기 옆샘방지부 각각은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적어도 한쪽에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접힌 단부를 가지도록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가 상기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꺾여 접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폭방향의 바깥쪽부에는 다수의 상기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옆샘방지부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접힌 단부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끼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가지고 있으며, 한 쌍의 상기 날개부 각각과 본체 길이방향의 같은 측의 옆샘방지부는 1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샘방지층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을 가지는 이면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옆샘방지부는 흡수성 본체의 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시일부에 의해 이면 시트와 접합되어 있으며, 1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는 시일부를 경계로 하여 옆샘방지부와 날개부로 나뉘어져 있고,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는 부직포로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에는 엠보싱에 의한 다수의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에 있어서 오목부는 갈지자형상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개개의 상기 오목부는 각각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형상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는 부직포 섬유가 압밀화되어 있어서 밀도가 커져 있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힌 단부는,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배설부 대향영역의 양측에 있어서, 접은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가 꺾여 접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합 영역에 있어서, 꺾여 접혀 있는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상대향하는 내면측에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일부가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에는 엠보싱에 의한 다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는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주위에 이어져 형성된 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면부는, 꺾여 접혀 있는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상대향하는 내면측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닥면부 및 상기 벽부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에는 꺾여 접혀 있는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상대향하는 내면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다수의 리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지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옆샘방지부의 상기 바깥쪽부에 있어서,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끼리는 상기 엠보싱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과, 이것을 개별 포장하는 내면이 박리 처리된 포장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접촉면측에 본체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점착부가 상기 포장재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포장재에 박리 자유롭게 점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 구조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의 한쪽의 단가장자리측으로부터 피부접촉면측을 내측으로 해서 2회 이상 순차적으로 절곡되어 겹쳐져 있고, 상기 절곡에 의해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복수의 접힘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배설부 대향영역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2개의 상기 접힘선 간에 있어서의 상기 비접합 영역의 폭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후단부 각각과, 상기 전후단부 각각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기 접힘선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비접합 영역의 폭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 구조.
  8. 제1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과, 이것을 개별 포장하는 내면이 박리 처리된 포장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접촉면측에 본체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점착부가 상기 포장재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포장재에 박리 자유롭게 점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 구조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흡수층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배설부 대향영역의 전후단부 사이에 걸치는 중고부(中高部)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의 한쪽의 단가장자리측으로부터 피부접촉면측을 내측으로 해서 1회 또는 2회 이상 순차적으로 절곡되어 겹쳐져 있으며,
    상기 절곡에 의해 형성된 접힘선이 상기 중고부를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 구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재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배설부 대향영역에서 절곡되지 않도록 꺾여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 구조.
  10. 흡수층 및 샘방지층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며, 한 쌍의 옆샘방지부에 의해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피부접촉면측의 길이방향 양측부가 덮혀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한 쌍의 상기 옆샘방지부 각각은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적어도 한쪽에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대향하는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안쪽에 단부를 가지도록 복수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가 중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에 있어서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 각각의 시트단부끼리가 적어도 비접합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옆샘방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폭방향의 바깥쪽부에는 다수의 상기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가지고 있으며, 한 쌍의 상기 날개부 각각과 본체 길이방향의 같은 측의 옆샘방지부는 1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샘방지층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을 가지는 이면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옆샘방지부는 흡수성 본체의 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시일부에 의해 이면 시트와 접합되어 있으며, 1매의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는 시일부를 경계로 하여 옆샘방지부와 날개부로 나뉘어져 있고,
    상기 엠보싱부는 섬유를 압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합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단부끼리는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폭방향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단부끼리는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단부끼리가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옆샘방지부의 상기 단부에는 파선 형상의 절개선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단부 각각은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의 두께방향으로 넓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4. 제10항에 있어서,
    피복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옆샘방지부의 상기 단부가 상기 피복 시트에 의해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5.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옆샘방지부 형성 시트가 상기 엠보싱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KR1020097002209A 2006-09-04 2007-07-24 흡수성 물품 KR101383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39026A JP5030510B2 (ja) 2006-09-04 2006-09-04 吸収性物品及びその包装構造
JPJP-P-2006-239026 2006-09-04
JPJP-P-2006-277209 2006-10-11
JP2006277210A JP5084220B2 (ja) 2006-10-11 2006-10-11 生理用ナプキン
JP2006277209A JP2008093127A (ja) 2006-10-11 2006-10-11 吸収性物品
JPJP-P-2006-277210 2006-10-11
JP2006304265A JP5036279B2 (ja) 2006-11-09 2006-11-09 生理用ナプキン
JPJP-P-2006-304265 2006-11-09
JPJP-P-2006-312935 2006-11-20
JP2006312935A JP5030548B2 (ja) 2006-11-20 2006-11-20 生理用ナプキ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6-316906 2006-11-24
JP2006316906A JP5030554B2 (ja) 2006-11-24 2006-11-24 吸収性物品
PCT/JP2007/064477 WO2008029558A1 (fr) 2006-09-04 2007-07-24 Article absorb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960A KR20090054960A (ko) 2009-06-01
KR101383696B1 true KR101383696B1 (ko) 2014-04-09

Family

ID=3915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209A KR101383696B1 (ko) 2006-09-04 2007-07-24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83696B1 (ko)
TW (1) TWI450708B (ko)
WO (1) WO2008029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4413B2 (en) * 2007-08-03 2014-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d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9173786B2 (en) 2013-05-20 2015-1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wings and protective strips
US9675498B2 (en) 2013-05-31 2017-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uniform dimensioned side barriers
USD772402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AU2015397132B2 (en) 2015-05-29 2020-07-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absorbent article with a lobed absorbent layer
USD772403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77910S1 (en) 2015-05-29 2017-01-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89523S1 (en) 2015-05-29 2017-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72401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0A (ja) * 1994-06-20 1996-01-09 Uni Charm Corp 個袋入り生理用ナプキン
JPH11500653A (ja) * 1995-12-04 1999-01-19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角度の付いたバンド構造の弾力性のあるフィルムの折り返しのついた吸収体
JPH11514551A (ja) * 1996-06-27 1999-12-14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曲げ抵抗性弾性化カフスを有する吸収体
KR20010051409A (ko) * 1999-11-03 2001-06-25 마티네즈 길러모 개선된 건조 필름 포토레지스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7128Y2 (ko) * 1976-03-15 1980-09-01
JP2576149Y2 (ja) * 1992-04-23 1998-07-09 株式会社資生堂 生理用ナプキン
JP3859420B2 (ja) * 2000-03-13 2006-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090454B2 (ja) * 2004-04-28 2008-05-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514593B2 (ja) * 2004-12-15 2010-07-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0A (ja) * 1994-06-20 1996-01-09 Uni Charm Corp 個袋入り生理用ナプキン
JPH11500653A (ja) * 1995-12-04 1999-01-19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角度の付いたバンド構造の弾力性のあるフィルムの折り返しのついた吸収体
JPH11514551A (ja) * 1996-06-27 1999-12-14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曲げ抵抗性弾性化カフスを有する吸収体
KR20010051409A (ko) * 1999-11-03 2001-06-25 마티네즈 길러모 개선된 건조 필름 포토레지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29558A1 (fr) 2008-03-13
KR20090054960A (ko) 2009-06-01
TWI450708B (zh) 2014-09-01
TW200824657A (en) 200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696B1 (ko) 흡수성 물품
TWI516252B (zh) Dispose of items with disposable dessert
JP5075615B2 (ja) 吸収性物品
JP5059587B2 (ja) 吸収性物品
KR20100022490A (ko) 시트형 부재의 적층체
KR20130137621A (ko)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CN102355878A (zh) 吸收性物品
JP2006346303A (ja) 吸収性物品
JP5565920B1 (ja) 男性用尿取りパッドの包装体
JP3987691B2 (ja) 吸収性物品
JP4482466B2 (ja) 陰唇間パッド
JP2008119124A (ja) 吸収性物品
JP4925812B2 (ja) 吸収性物品
JP2008136611A (ja) 吸収性物品
KR101166593B1 (ko) 음순간 패드
JP7441599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03062008A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25960A (ja) 吸収性物品
JP5913822B2 (ja) 男性用吸収性物品
JP5767808B2 (ja) パッドタイプ吸収性物品
JP2009136600A (ja) 吸収性物品
JP7448424B2 (ja) 後処理テープ
JP4024218B2 (ja) 吸収性物品
JP5411344B2 (ja) 吸収性物品
WO2021020452A1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