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762B1 - 차량 엔진의 동흡진기형 공명기 - Google Patents

차량 엔진의 동흡진기형 공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762B1
KR101382762B1 KR1020080031642A KR20080031642A KR101382762B1 KR 101382762 B1 KR101382762 B1 KR 101382762B1 KR 1020080031642 A KR1020080031642 A KR 1020080031642A KR 20080031642 A KR20080031642 A KR 20080031642A KR 101382762 B1 KR101382762 B1 KR 101382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engine
caulking
noise
rub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6124A (ko
Inventor
장경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76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6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7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02B77/13Acoustic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엔진의 동흡진기형 공명기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헤드커버(1a)에 코킹볼트(2)가 고정되고, 공명기(3)에 코킹러버(4)가 구비되어, 상기 코킹러버(4)에 코킹볼트(2)가 끼워져 엔진(1) 상부에 공명기(3)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공명기(3)에 의해 공기기인소음이 감소되고, 상기 공명기(3)와 코킹러버(4)가 동흡진기로 작용하여 구조기인소음이 감소됨으로써 엔진(1)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소음 공명기, 동흡진기

Description

차량 엔진의 동흡진기형 공명기{Dynamic damper type resonator of engine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주행시 엔진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동흡진기형 공명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 주행시 엔진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구조기인소음(structure borne noise)과 공기기인소음(air borne noise)으로 구분된다.
구조기인소음은 엔진의 진동이 마운팅브라켓, 서브프레임, 드라이브샤프트 등을 통해서 차체로 직접 전달되어 차체 패널을 가진함으로써 발생하는 소음이고, 공기기인소음은 엔진에서 방사되어 대시패널, 윈드쉴드글래스 등을 투과하여 실내로 전달되는 소음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구조기인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동흡진기(Dynamic damper or Dynamic absorber)를 루프레일, 트렁크, 서브프레임 등에 장착하여 진동을 흡수하고, 공기기인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공명기(Resonator)를 에어클리너 덕트 등에 연결하여 엔진의 흡기소음을 흡수함으로써 엔진 작동으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고 있다.
그런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구조기인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동흡진기와 공기기인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명기를 각각 설계, 제작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하고 있으므로 설계, 제작 및 조립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증가되고, 또한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만 하는 레이아웃 상의 간섭 문제도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엔진 상부에 장착됨으로써 엔진 소음의 구조기인소음과 공기기인소음을 모두 감소시킬 수 있고, 설계와 제작 및 조립에 비용과 시간이 적게 소모되며, 또한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차량 엔진의 동흡진기형 공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에 고정된 코킹볼트,
일측에 공명통이 형성된 하부바디와, 그 하부바디의 상부를 덮어주는 상부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명통에 원통형상의 네크가 설치된 공명기,
상기 공명기의 하부바디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 고정된 코킹러버를 포함하여,
상기 코킹러버에 상기 코킹볼트가 삽입되는 상태로 엔진에 공명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로서 엔진의 구조기인소음과 공기기인소음을 모두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흡진기와 공명기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므로 설계와 제작 및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장치를 장착할 공간을 확보하기가 용이해지므로 레이아웃 설정시 타 부품과의 간섭 문제가 해소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흡진기형 공명기는 실린더헤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엔진커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엔진커버를 장착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흡진기형 공명기의 장착 전 상태도이고, 도 2는 동흡진기형 공명기의 장착상태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의 실린더헤드커버(1a) 상부에 코킹볼트(2)를 매개로 공명기(3)가 장착된다.
상기 공명기(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공명통(3aa)이 박스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하부바디(3a)와, 그 하부바디(3a)의 상부를 덮어주는 상부바디(3b)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바디(3b)의 상기 공명통(3aa) 상부 부분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명통(3aa)과 더불어 공명 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바디(3a)의 공명통(3aa) 저면에는 엔진으로부터 방사되는 소음파와 그에 대해 반대 위상을 가지는 공명기(3) 내부의 반사파가 출입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네크(3c)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명통(3aa) 부분은 엔진의 측면에 위치되고, 공명통(3aa)이외의 부분은 엔진의 상부 즉, 실린더헤드커버(1a)의 상부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부바디(3b)의 상면은 엔진룸의 외관을 향상시키도록 엔진커버와 같은 모양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미설명부호 5는 엔진룸을 덮는 후드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실린더헤드커버(1a)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볼트공에 코킹볼트(2)가 체결된다.
이에 대해 도 4와 같이, 상기 공명기(3)의 하부바디(3a) 저면에는 상기 코킹볼트(2)와 대응되는 위치에 코킹러버(4)가 설치된다.
도 5와 같이, 상기 공명기(3)의 하부바디(3a)에는 원통형의 장착홈(3ab)이 형성되고, 그 장착홈(3ab)에 상기 코킹러버(4)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코킹러버(4)에는 대략 구형의 안착홈(4a)과, 그 안착홈(4a) 하단의 돌출턱(4b)과, 그 돌출턱(4b) 하단의 원추형 확장공(4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코킹볼트(2)는 상기 안착홈(4a)과 같은 형상의 헤드(2a)와, 헤드(2a) 하단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바디(2b)와, 바디(2b) 하단의 지름이 축소 형성된 볼트부(2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코킹볼트(2)는 상기 실린더헤드커버(1a)에 형성된 보스의 볼트공에 상기 볼트부(2c)가 나사체결됨으로써 실린더헤드커버(1a)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코킹볼트(2)의 상부에 코킹러버(4)를 위치시키고 공명기(3)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코킹러버(4)의 내부로 코킹볼트(2)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공명기(3)를 실린더헤드커버(1a)의 상부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킹볼트(2)의 헤드(2a)는 입구가 넓은 확장공(4c)의 형상에 의해 안착홈(4a) 쪽으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진입되며, 돌출턱(4b)을 확장시키면서 상기 안착홈(4a)내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후에는 상기 돌출턱(4b)이 다시 돌출되어 헤드(2a)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공명기(3)의 장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공명기(3)는 이른바 헬름홀츠 공명기로서 엔진(1)에서 방사되는 소음과 위상이 180° 다른 소음을 상기 네크(3c)를 통해 방출함으로써 엔진(1)에서 방사되는 소음파형을 상쇄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한 공명기(3)의 설계시 필요한 각 부의 치수는 헬름홀츠 공명기 주파수 계산식━ f = C*SQRT(S/(V*L)/(2*PI) ━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C:음속, S:입구면적, V:공명기체적, L:입구등가길이이다.
한편, 동흡진기는 원 구조물(동흡진기가 장착되는 구조물)의 가진주파수와 일치하도록 고유진동수가 설정된 것으로 원 구조물이 가진주파수로 진동할 때 동흡진기가 공진하여 원 구조물의 주파수 성분을 흡수함으로써 원 구조물의 진동을 억제하도록 된 것이다. 동흡진기의 주요치수는 튜닝주파수가 f = SQRT(K/M)/(2*PI)가 되도록 설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 등가강성, M:등가질량)
본 발명에서 동흡진기의 기능은 상기 코킹러버(4)와 공명기(3)에 의해 수행된다. 즉, 스프링(코일스프링, 러버스프링)과 그에 연결된 매스(중량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동흡진기와 대비해 볼 때, 상기 코킹러버(4)가 스프링에 해당되고 공명기(3)가 매스에 해당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동흡진기의 주파수 계산식을 이용하여, 공명기(3)와 코킹러 버(4) 조합체의 고유진동수가 엔진의 문제주파수(소음을 많이 일으키는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공명기(3)의 중량과 코킹러버(4)의 물성치(스프링 상수)를 설계한다.
상기와 같이 엔진(1)에서 방사되는 소음파를 상쇄시키는 파동을 재방출하는 공명기(3)가 엔진(1) 상부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공명기(3)가 스프링으로 작용하는 코킹러버(4)와 더불어 동흡진기의 구성을 이룸으로써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공기기인소음과 구조기인소음을 모두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동흡진기형 공명기 부착 전(A)과, 공명기가 부착되되 동흡진 기능만 구현된 경우(B ; 네크(3c)를 막아 소음 공명기로서 작용하지 못하게 한 경우)와, 동흡진 기능 및 소음 공명기 기능이 모두 구현된 경우(C ; 본 발명에 따른 동흡진기형 공명기가 장착된 경우에 해당)의 소음 발생량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는 바, 공명기 부착 전(A) 보다 동흡진 기능만 구현된 경우(B)에 소음량이 다소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소음 성분 중 구조기인소음이 감소된 것에 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흡진기형 공명기를 부착한 경우(C)에는 상기 (B)의 경우보다 소음량이 더욱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구조기인소음과 더불어 공기기인소음까지 모두 감소된 결과이다. (모든 엔진 작동 영역에서 그러한 것은 아니나 소음 발생이 심한 4000~5000rpm 영역에서는 확실히 개선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명기(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의 상부 즉, 실린더헤드커버(1a)의 상부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별도의 엔진커버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공명기(3) 상부바디(3b)의 외관을 엔진커버와 같은 형태로 미감을 고려하여 디자인함으로써 엔진룸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흡진기형 공명기의 장착 전 상태도,
도 2는 동흡진기형 공명기의 장착상태 개략 단면도,
도 3은 실린더헤드커버의 코킹볼트 장착 상태도,
도 4는 공명기 하부바디의 코킹러버 장착 상태도,
도 5는 코킹볼트와 코킹러버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동흡진기형 공명기 부착 전(A)과, 공명기가 부착되되 동흡진 기능만 구현된 경우(B)와, 동흡진 기능 및 소음 공명기 기능이 모두 구현된 경우(C)의 소음 발생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1a : 실린더헤드커버
2 : 코킹볼트 2a : 헤드
2b : 바디 2c : 볼트부
3 : 공명기 3a : 하부바디
3aa : 공명통 3ab : 장착홈
3b : 상부바디 4 : 코킹러버
4a : 안착홈 4b : 돌출턱
4c : 확장공 5 : 후드

Claims (3)

  1. 엔진(1)에 고정된 코킹볼트(2),
    일측에 공명통(3aa)이 형성된 하부바디(3a)와, 그 하부바디(3a)의 상부를 덮어주는 상부바디(3b)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명통(3aa)에 원통형상의 네크(3c)가 설치된 공명기(3),
    상기 공명기(3)의 하부바디(3a)에 형성된 장착홈(3ab)에 삽입 고정된 코킹러버(4)를 포함하여,
    상기 코킹러버(4)에 상기 코킹볼트(2)가 삽입되는 상태로 엔진(1)에 공명기(3)가 장착되고,
    상기 공명기(3)의 중량과 코킹러버(4)의 스프링 상수는 공명기(3)와 코킹러버(4) 조합체의 고유진동수가 엔진의 문제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동흡진기형 공명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킹러버(4)에 구형의 안착홈(4a)과, 그 안착홈(4a) 하단의 돌출턱(4b)과, 그 돌출턱(4b) 하단의 원추형 확장공(4c)이 형성되고, 상기 코킹볼트(2)는 상기 안착홈(4a)에 삽입 안착되는 동일 형상의 헤드(2a)와, 그 헤드(2a) 하단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바디(2b)와, 그 바디(2b) 하단의 지름이 축소 형성된 볼트부(2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동흡진기 형 공명기.
KR1020080031642A 2008-04-04 2008-04-04 차량 엔진의 동흡진기형 공명기 Active KR101382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642A KR101382762B1 (ko) 2008-04-04 2008-04-04 차량 엔진의 동흡진기형 공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642A KR101382762B1 (ko) 2008-04-04 2008-04-04 차량 엔진의 동흡진기형 공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124A KR20090106124A (ko) 2009-10-08
KR101382762B1 true KR101382762B1 (ko) 2014-04-08

Family

ID=4153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642A Active KR101382762B1 (ko) 2008-04-04 2008-04-04 차량 엔진의 동흡진기형 공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7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21A (ja) * 1996-07-04 1998-01-20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用防音カバー
JP2002221108A (ja) * 2001-01-29 2002-08-09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吸気系構造
KR20050075109A (ko) * 2004-01-15 2005-07-20 (주)대한솔루션 차량용 엔진커버 어셈블리
KR20060072297A (ko) * 2004-12-23 2006-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커버 일체형 엔진룸 레조네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21A (ja) * 1996-07-04 1998-01-20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用防音カバー
JP2002221108A (ja) * 2001-01-29 2002-08-09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吸気系構造
KR20050075109A (ko) * 2004-01-15 2005-07-20 (주)대한솔루션 차량용 엔진커버 어셈블리
KR20060072297A (ko) * 2004-12-23 2006-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커버 일체형 엔진룸 레조네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124A (ko)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69563A1 (en) Silencer with a plurality of resonance chambers
CN201751626U (zh) 用于消声器系统的无阻尼动力吸振器
KR101406463B1 (ko) 전기자동차 차음구조
KR101382762B1 (ko) 차량 엔진의 동흡진기형 공명기
KR20080025250A (ko) 자동차 배기계의 전방 마운트 구조
US20050072626A1 (en) Noise control type intake hose
CN209616826U (zh) 一种用于汽车的导向臂与减振器的复合结构
US6775384B2 (en) Environmentally robust noise attenuation system
JP2007290432A (ja) ステアリング用防音装置
CN222141404U (zh) 一种进气结构、动力系统及汽车
JP2010076636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RU2282544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0887849B1 (ko) 차량용 도어의 스피커 어셈블리
KR101119700B1 (ko) 자동차의 흡기 소음 저감 장치
JPH041330Y2 (ko)
JPH0893583A (ja) エンジンの吸気構造
JP2015107667A (ja) 車両用フードレゾネータ装置
KR101230905B1 (ko) 차량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
KR100334136B1 (ko) 자동차의소음진동차폐수단형성방법
JPH0681739A (ja) 車輌用エンジンのレゾネータ装置
JP2015000690A (ja) 自動車のウィンドウガラスの防振構造
JPS59100018A (ja) 車両振動軽減装置
JP2004132203A (ja) エンジンルームの防音構造
JPH0325010Y2 (ko)
KR100448056B1 (ko)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4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