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002B1 -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 - Google Patents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002B1
KR101379002B1 KR1020130040504A KR20130040504A KR101379002B1 KR 101379002 B1 KR101379002 B1 KR 101379002B1 KR 1020130040504 A KR1020130040504 A KR 1020130040504A KR 20130040504 A KR20130040504 A KR 20130040504A KR 101379002 B1 KR101379002 B1 KR 101379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ipe
propeller
main body
fluid
apparatu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흠
Original Assignee
엔와이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와이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와이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0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1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flow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F03B3/128Mounting, de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20Application within closed fluid conduits, e.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7Multiple rotors
    • F05B2240/372Multiple rotors coaxially arran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60Shafts
    • F05B2240/61Shafts hol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3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gears
    • F05B2260/5032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gears of the bevel or angled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유체관에 형성된 설치구멍을 통해 상기 유체관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치 본체,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며 유체관 내부에 위치되어 유체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유닛 및, 장치 본체가 유체관 내부로 삽입될 때 프로펠러유닛을 간섭하여 복수의 날개를 겹쳐진 상태에서 서로 교차하여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날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A PROPELLE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ITY USING WATER-PIPE}
본 발명은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 내부에 설치되어 발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청정에너지 발전기술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이 태양광 발전, 풍력발전, 조력발전, 수력발전 등이 있다. 이러한 발전기술은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 기술과는 달리 유해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이점과 더불어 화석연료와 같은 지하자원의 고갈에 대비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발전기술이다.
이 중에서 수력발전의 경우에는 현재는 대부분이 강이나 하천에 댐이나 보를 설치하여 낙차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기술이 대부분이며, 대형화 설비를 갖추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수력발전 분야의 경우,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과 같이 발전설비를 소형화하여 다양한 수요처 예를 들어, 공장 자체 내지 각 가정에서 자체 발전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를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한편, 현대 사회는 도시화되고 고도화되어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 공장 등에 상수도가 보급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체관을 통해 매일 수돗물이 소비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유체관을 통해 소비되는 물을 이용하여 발전을 할 경우에는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에 못지 않게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인 발전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상수도 관 내에 발전용 프로펠러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1) 내에 프로펠러(2)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프로펠러(2)의 크기만큼 유체관(1)의 일부를 절개하여 구멍(1a)을 형성한 뒤, 프로펠러(2)를 유체관(1) 내부에 설치해야 한다. 이 경우 유체관(1)에 구멍(1a)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프로펠러(2)를 유체관(1) 내부에 설치 후에는 구멍(1a)의 대부분을 다시 밀폐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존 유체관(1) 내에 프로펠러(2)를 설치하는데 따른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움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85695(자가발전 소변기 물내림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수도에 최소한의 변형을 통해서도 상수도 내부에 설치 가능한 발전용 프로펠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는, 유체관에 형성된 설치구멍을 통해 상기 유체관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관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유닛; 및 상기 장치 본체가 상기 유체관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프로펠러유닛을 간섭하여 상기 복수의 날개를 겹쳐진 상태에서 서로 교차하여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날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펠러유닛은, 동일 회전중심을 가지고 회전되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날개와; 상기 장치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날개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2날개에 연결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 사이에는 결합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날개가 포개진 상태에서 교차하는 상태로 펼쳐질 때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중에서 어느 하나는 중공형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나머지 하나는 내부에 동축적으로 삽입되는 봉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사이에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되는 나사선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날개 구동부는, 일부분이 상기 장치 본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랙기어부와; 상기 랙기어부에 기어 연결되도록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제2회전축에 설치되는 연결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본체를 상기 유체관 내부로 삽입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유체관 내부벽에 밀려서 상기 장치 본체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랙기어부와 상기 연결기어부가 연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 중 어느 하나만을 상대회전시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랙기어부는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장치 본체 내부로 최대한 밀려 들어온 상태에서 상기 연결기어부와 기어분리되도록 일정 거리만 형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에 따르면, 프로펠러유닛의 날개들을 포개진 상태로 유체관 내부로 삽입된 뒤, 유체관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여 펼쳐지도록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체관에 프로펠러 장치를 삽입하기 위한 설치구멍을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하면 되므로, 프로펠러 장치의 설치공정이 용이하고, 설치 후에도 설치구멍을 폐쇄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작용효율을 높이서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로펠러 장치를 유체관에 설치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발전용 프로펠러장치를 유체관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발전용 프로펠러장치를 유체관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 장치(100)는, 장치 본체(10)와, 장치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날개(21,22)를 가지는 프로펠러유닛(20)과, 상기 장치 본체(10)에 설치되어 이동시 상기 복수의 날개(21,22)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날개 구동부(30)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 본체(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파이프형상 또는 각진 막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장치 본체(10)는 유체관(1)에 형성된 설치구멍(1b)을 통해 유체관(1) 내부로 일부분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관(1)은 상수도관 등을 포함하여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모든 종류의 관에 해당 될 수 있다.
상기 프로펠러유닛(20)은 제1날개(21)와 제2날개(22), 제1날개(21)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23)과, 제2날개(22)에 연결되는 제2회전축(24)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회전축(23,24)은 서로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이를 위해 제1회전축(23)은 중공형의 파이프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중공형의 제1회전축(23) 내부에 제2회전축(24)이 끼워져 설치된다. 제1 및 제2날개(21,22)는 유체관(1)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기 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오버랩되어 겹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날개(21,22)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장치 본체(10)와도 겹쳐진 상태가 되면, 유체관(1)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시 설치구멍(1b)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설치구멍(1a)을 넓게 형성시킬 필요가 없이 최소한의 크기로 설치구멍(1b)을 형성하여도 프로펠러 장치(100)를 유체관(1) 내부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체관(1) 내부로 프로펠러 장치(10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날개(21,22)가 서로 교차하도록 펼쳐지게 됨으로써 유체관(1)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제1 및 제2날개(21,22)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날개(21,22)가 도 4와 같이 서로 교차하도록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회전축(23)과 제2회전축(24)은 소정의 결합부(25)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5)는 제1회전축(23)과 제2회전축(24)의 서로 접하는 내주 및 외주 각각에 형성되는 나사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는 결합부(25)가 느슨하게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고, 프로펠러 장치(100)가 유체관(1)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날개 구동부(30)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되면서 결합부(25)의 결합상태가 견고한 조임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날개(21) 및 제2날개(22)가 서로 교차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회전축(23)(24)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관(1)을 흐르는 유체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회전축(23)(24)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전축(24)에는 제1 및 제2날개(21,22)의 회전에 따른 동력을 외부로 발전부(미도시)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40)가 연결된다. 상기 동력전달부(40)는 다양한 예가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회전축(24)에 연결되는 제1베벨기어(41)와, 제1베벨기어(41)에 기어 연결되는 제2베벨기어(42) 및 제2베벨기어(42)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축(43)을 구비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40)는 프로펠러유닛(20)의 회전력을 유체관(1) 외부에 설치될 수 있는 발전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베벨기어(41)는 제1회전축(23)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제1 및 제2회전축(23,24)에 함께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날개 구동부(30)는 장치 본체(10)에 설치되어 장치 본체(10)를 유체관(1) 내부로 삽입시, 상기 프로펠러유닛(20)의 제1 및 제2날개(21,22)가 펼쳐지도록 한다. 이러한 날개 구동부(30)는 장치 본체(10) 내외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31)와, 가동부재(31)에 설치되는 랙기어부(32) 및 랙기어부(32)에 기어 연결되도록 프로펠러유닛(20)에 설치되는 연결기어부(33)를 구비한다.
가동부재(31)는 일부분이 장치 본체(10)의 일단에 형성된 통과공(11)을 통해서 장치 본체(10)의 일단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장치 본체(10)를 도 2 및 도 3과 같이 유체관(1) 내부로 삽입시, 가동부재(31)의 끝단이 유체관(1) 내부벽에 접촉되어 장치 본체(10)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가동부재(31)가 장치 본체(10) 내부로 밀려 들어가면서, 가동부재(31)에 형성된 랙기어부(32)가 연결기어부(33)를 연동시킨다. 이때 가동부재(31)에는 스토퍼(31a)가 설치되어 장치 본체(10) 내부로의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상기 랙기어부(32)는 가동부재(31)에 설치되되, 장치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소정 거리만 설치된다. 랙기어부(32)에 기어연결되는 연결기어부(33)는 제1회전축(23)의 외주에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기어부(33)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날개(21,22)가 펼쳐지기 전의 상태에서는 랙기어부(32)와 기어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장치 본체(10)가 유체관(1) 내부로 진입시에 가동부재(31)가 장치 본체(10)로 밀려 들어가게 되며, 랙기어부(32)와 연결기어부(33)의 기어 연동 동작에 의해 제1회전축(23)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즉, 랙기어부(32)의 작동거리에 대응되게 연결기어부(33)가 종속되어 동작되어 제1회전축(23)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즉,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 및 제2날개(21,22)가 펼쳐진 상태가 될 때까지 제1회전축(23)이 회전될 수 있을 만큼 랙기어부(32)와 연결기어부(33)의 기어 연동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1랙기어부(32)가 형성된다. 즉,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 및 제2날개(21,22)가 유체관(1) 내부로 완전히 진입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1회전축(23)이 대략 90도 각도 정도 회전되어 제1 및 제2날개(21,22)들 간의 자세가 더 이상 변경되지 않도록 제1랙기어부(32)와 연결기어부(33)가 기어분리된다. 이를 위해 랙기어부(32)는 도 4 및 도 5의 상태에서는 연결기어부(33)와 분리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만 형성되며, 그 설치길이는 유체관(1)의 직경, 장치 본체(10)의 사이즈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설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날개 구동부(30)에 의해 제1회전축(23)이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서 제1회전축(23)과 제2회전축(24)의 결합부(25)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제1 및 제2날개(21,22)가 펼쳐진 상태로 함께 일체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100)에 따르면, 유체관(1) 내부로 삽입한 후, 유체관(1) 내부에서 프로펠러유닛(20)의 날개들(21,22)을 펼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유체관 프로펠러장치를 유체관(1)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설치구멍(1b)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설치구멍(1b)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설치 후에도 설치구멍(1b)을 다시 차단하는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부재(31)의 외측단부에는 소정의 거칠기를 갖는 마찰부를 형성함으로써, 유체관(1) 내부의 벽에 접촉시 접촉마찰력에 의해서 유체의 이송시 저항에 의해 장치 본체(10)가 비틀리거나 자세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유체관 10..장치 본체
20..프로펠러유닛 30..날개 구동부
100..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

Claims (6)

  1. 유체관에 형성된 설치구멍을 통해 상기 유체관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관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유닛; 및
    상기 장치 본체가 상기 유체관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프로펠러유닛을 간섭하여 상기 복수의 날개를 겹쳐진 상태에서 서로 교차하여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날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유닛은,
    동일 회전중심을 가지고 회전되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날개와;
    상기 장치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날개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2날개에 연결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 사이에는 결합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날개가 포개진 상태에서 교차하는 상태로 펼쳐질 때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중에서 어느 하나는 중공형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나머지 하나는 내부에 동축적으로 삽입되는 봉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사이에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되는 나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 장치.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구동부는,
    일부분이 상기 장치 본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랙기어부와;
    상기 랙기어부에 기어 연결되도록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제2회전축에 설치되는 연결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본체를 상기 유체관 내부로 삽입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유체관 내부벽에 밀려서 상기 장치 본체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랙기어부와 상기 연결기어부가 연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 중 어느 하나만을 상대회전시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부는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장치 본체 내부로 최대한 밀려 들어온 상태에서 상기 연결기어부와 기어분리되도록 일정 거리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 장치.
KR1020130040504A 2013-04-12 2013-04-12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 KR101379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504A KR101379002B1 (ko) 2013-04-12 2013-04-12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504A KR101379002B1 (ko) 2013-04-12 2013-04-12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002B1 true KR101379002B1 (ko) 2014-04-04

Family

ID=5065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504A KR101379002B1 (ko) 2013-04-12 2013-04-12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0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695A (ko) * 2010-01-21 2011-07-27 한국과학기술원 자가발전 소변기 물내림 장치
KR101126624B1 (ko) * 2011-11-11 2012-03-26 김형은 유체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695A (ko) * 2010-01-21 2011-07-27 한국과학기술원 자가발전 소변기 물내림 장치
KR101126624B1 (ko) * 2011-11-11 2012-03-26 김형은 유체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4096B2 (en) Drive system for use with flowing fluids having gears to support counter-rotative turbines
US8742608B2 (en) Drive system for use with flowing fluids
US7652388B2 (en) Wave-flow power installation
US8686585B2 (en) Kinetic energy generation device
US10711759B2 (en) Submersible electrical wicket gates operator
KR101379002B1 (ko)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
KR101089335B1 (ko) 해류 발전 장치
KR101772017B1 (ko) 무축 배관형 발전기
KR101348356B1 (ko) 유체관 발전용 프로펠러장치
KR101649872B1 (ko) 관로 유동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모듈
KR101425547B1 (ko) 조력 및 풍력 병합 발전장치
KR101092123B1 (ko) 상하수도관의 수압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KR101819620B1 (ko) 유체 발전기
JP2010226803A (ja) 水力発電装置
KR102065550B1 (ko) 조력 또는 파력 발전을 위한 회전 장치, 이를 이용한 발전기 및 발전 기능을 가진 콘크리트 블록
KR101588399B1 (ko) 소수력 발전장치용 수차
JP6028244B2 (ja) 水車装置、および水力発電装置
KR101653373B1 (ko) 저수심 수력발전용 듀얼터빈 조립체
US9057354B1 (en) Hydro energy-offset turbine insert generator
KR101075538B1 (ko) 파력발전시스템
KR20110063994A (ko)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조류력 발전장치
KR102280999B1 (ko) 관내 유동발전을 이용한 계측기 구동시스템
KR20010000676A (ko) 수도관 발전장치
KR102145589B1 (ko) 배관용 발전장치
CN108128363A (zh) 一种用于高架管道维修维护的攀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