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736B1 - An articulated phase preservation aparatus - Google Patents
An articulated phase preservation a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8736B1 KR101378736B1 KR1020130108123A KR20130108123A KR101378736B1 KR 101378736 B1 KR101378736 B1 KR 101378736B1 KR 1020130108123 A KR1020130108123 A KR 1020130108123A KR 20130108123 A KR20130108123 A KR 20130108123A KR 101378736 B1 KR101378736 B1 KR 1013787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ase
- force transmission
- shaft
- support
- phase ho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65 ro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Construction
- F03D3/067—Construction the wind engaging parts having a cyclic movement relative to the rotor during its rotation
- F03D3/068—Construction the wind engaging parts having a cyclic movement relative to the rotor during its rotation the cyclic relative movement being coupled to the movement of rotation; Controlling same, e.g. according to wind direction or fo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수의 링크와 축이 구비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링크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더라도 말단에 위치한 위상유지부는 일정한 위상을 유지하도록 한 위상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축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위상유지부의 위상은 유지한 채로 링크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위상유지수단과 각도조절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위상유지부의 위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nks and shaft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hase holding part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phase holding means and the angle adjusting means by further providing an angle adjust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link while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one axis while maintaining the phase of the phase holding part. It relates to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다수 링크를 펼치거나 겹치게 함으로써 링크의 회전범위 내의 다양한 위치에 이재 대상물의 이재가 가능하도록 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that enables the transfer of a transfer object at various positions within the rotation range of the link by spreading or overlapping a plurality of links.
본 발명은 위상유지를 위한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고 기구적인 결합에 의하 위상 유지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구동부 개수 감소로 인한 동력 및 제조 원가의 절감이 가능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power and manufacturing costs due to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driving parts by having a phase holding function by mechanical coupling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driving part for phase holding.
본 발명은 구동부의 위치를 하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모멘트 최소화에 의한 동력 절감이 가능하고 경량화 및 이물발생 최소화가 가능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power by minimizing moments by placing the position of a driving unit at a lower portion, and reducing weight and minimizing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은 위상을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changing the phase.
일반적으로 높이 차이가 있는 서로 다른 위치의 장소에 이송대상물을 이송하거나 적재하기 위해서는 회전속도와 회전각도 조절이 가능한 다수 서보모터를 내장한 로봇을 이용하거나, 리프터, 이재기(transfer)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in order to transfer or load the objects to different locations with different heights, use a robot with a built-in servo motor that can adjust the rotation speed and rotation angle, or use equipment such as a lifter or a transfer machine. Done.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44132호에는 한팔 또는 양팔 구축이 용이한 듀얼용 산업형 로봇이 게재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44132 discloses a dual-use industrial robot that is easy to build with one arm or both arms.
그러나, 로봇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이 많고 이를 운영하기 위한 숙련자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robo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itial investment costs are high and a skilled person is required to operate the robot.
또한, 리프터의 경우 다수의 부품과 작동부가 필요하고, 제작 및 조립 기간이 길며, 이물 발생 소지가 높을 뿐 아니라, 중량물을 적재하는 경우 일측 지지로 인해 처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ifter, a large number of parts and operation parts are required, manufacturing and assembly periods are long, foreign matters are likely to be generated, and when a heavy object is loaded, sagging problems occur due to one side support.
또한, 고장 발생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maintenance and repair is not easy when a failure occurs.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이송대상물의 크기나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적재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loading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working environment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by the user.
즉,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5312호에 개시된 화물 분류 적재용 화물 적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통로에 배치된 이송레일(1)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수평이송부(2)와, 수평이송부(2)의 내측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수직이송부(3)와, 상기 수직이송부(2)의 내측에서 통로의 좌/우측으로 이송대상물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직선 왕복운동하는 한 쌍의 위상유지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Figure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rgo loading device for loading cargo classification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095312, a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적재장치는 이송대상물의 적재를 위해 수평이송부(2), 수직이송부(3) 및 위상유지부(4)를 독립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동력발생부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조시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tack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o be provided with a power generating unit for independently transporting the
또한, 위상유지부에 안착 가능한 이송대상물의 크기에 제한이 있으므로 적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size of the transfer object that can be seated on the phase holding unit causes a problem that the loading efficiency is lowered.
뿐만 아니라, 이송되어야 할 이송대상물은 이송레일(1)을 기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는 위상유지부(4)가 직선 왕복하는 거리에 대응하므로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의 범위가 제한적인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object to be transported has a problem that the range of the space that can be loaded is limited since the phase holding unit 4 linearly reciprocates in a left /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한편,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프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적재공간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카(5)와, 상기 카와 와이어로프에 의해 연결되어 정역회전함으로써 승강구동하는 권상기(6)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측에 중량체로 된 웨이트(7)와, 상기 카(5)의 승/하강 방향을 안내하는 레일(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f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loading space is formed, the
그러나, 이러한 리프터는 이송대상물의 상/하 방향 이송만 가능하며, 중량물의 이송대상물을 적재하는 경우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such a lifter is only capable of conveying the up / down direction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and sag may occur when the object to be conveyed is loaded.
또한, 큰 설치 공간에도 불구하고 이재 범위가 협소한 단점도 있다. In addition, despite the large installation spa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range of displacem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링크와 축이 구비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링크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더라도 말단에 위치한 위상유지부는 일정한 위상을 유지하도록 한 위상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축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위상유지부의 위상은 유지한 채로 링크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위상유지수단과 각도조절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위상유지부의 위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relates to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nks and shafts, so that even if the rotational force is provid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inks to maintain a constant phase A phase holding means is provided, and the phase holding means and the angle adjusting means are selectively operated by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one of the axes and further comprising angle adjust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link while maintaining the phase of the phase holding part. It is to provide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to enable the position control of the phase hold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상유지부의 3차원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되, 위상(각도)는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반경 내의 다양한 위치에 이재(移載)대상물의 이재가 가능하도록 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phase holding portion, but by maintaining the phase (angle), the articulated phase holding device which enables the transfer of transfer objects at various positions within the working radius. It is to offer.
본 발명 또 다른 목적은, 다수 링크를 펼치거나 겹칠 수 있으므로 작업 반경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구성하여 협소한 장소에서의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or operated in a narrow place by configuring the work radius to be significantly reduced because it can spread or overlap multiple links.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는, 프레임 일측에 고정되는 기준축과, 상기 기준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공전하는 공전체와, 상기 공전체와 기준축에 결합하여 공전체의 자전을 규제하는 제1힘전달부와, 상기 기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에 공전체가 위상을 유지한 상태로 공전하도록 하는 제1지지부로 이루어진 위상유지수단과; 상기 기준축과 동심원 상에 위치하고,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한 각도조절축과, 상기 각도조절축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회전 가능한 제1종동축과, 상기 각도조절축과 제1종동축이 연동하도록 결합된 제2힘전달부와, 상기 각도조절축과 제1종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이격하는 제2지지부로 이루어진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제1종동축 또는 제2지지부 회전시에 위상을 유지하는 위상유지부와; 상기 위상유지부와 공전체 사이에 위치하여 공전체를 기준으로 위상유지부의 공전을 안내하는 동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articulated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axis fixed to one side of a frame, a revolving current collecto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reference axis, and a rotation of the revolving current collector combined with the revolving reference plane and the reference axis. A phase holding means comprising a first force transmitting portion for regulating and a first supporting portion for revolving with respect to a state in which a whole is kept in phase when rotating about the reference axis; Located on the concentric circle with the reference axis, the angle adjusting shaft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the first driven shaft rotatable in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angle adjusting axis and rotatable coupled to the angle adjusting shaft and the first driven shaft interlocked An angle adjusting means comprising a second force transmission part and a second support part rotatably spaced apart from the angle adjusting shaft and the first driven shaft; A phase holding part for holding a phase when the first driven shaft or the second supporting part is rotated; Located between the phase holding unit and the current collector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rating means for guiding the revolving of the phase holding unit on the basis of the current collector.
상기 제1종동축과 공전체는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driven shaft and the current collector are characterized by having the same center of rotation.
상기 공전체는 제1종동축에 대하여 동심원 상에서 자유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rrent coll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freely rotatable on a concentric circle with respect to the first driven shaft.
상기 동작수단은, 상기 공전체와 평행하게 이격된 위상유지축과, 상기 위상유지축과 공전체에 결합하여 위상유지축의 자전을 규제하는 제3힘전달부와, 상기 위상유지축을 공전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이격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means includes: a phase holding axis spaced in parallel with the current collector, a third force transmission unit coupled to the phase holding axis and the current collector to regulate the rotation of the phase holding axis, and the phase holding axis with respect to the current collect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support that is rotatably spaced.
상기 제3지지부 일측에는, 상기 제1종동축과 제3지지부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riven shaft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in conjunction.
상기 제1힘전달부, 제2힘전달부 및 제3힘전달부는, 상기 기준축과 공전체 사이, 각도조절축과 제1종동축 사이, 공전체와 위상유지축 사이의 미끄럼을 제한하여 공전만 가능하게 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force transmission unit, the second force transmission unit, and the third force transmission unit, by limiting the slip between the reference axis and the current collector, the angle adjusting axis and the first driven shaft, and the revolution and phase maintenance axis, It is characterized by a configuration that makes it possible only.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와 제3지지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일측에는, 이송대상물의 중량을 상쇄하여 힘발생부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웨이트 밸런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balance for reducing the load of the force generating portion by offsetting the weight of the transfer object.
상기 제1종동축은 공전체 내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driven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penetrating the interior of the whole.
상기 공전체의 양단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제3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oth ends of the current collector are located inside the first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상기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제1지지부를 회전하기 위한 제1힘발생부와, 상기 각도조절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힘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힘발생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ce generating portion comprising a first force genera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force genera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angle adjustment shaft.
상기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위상유지부의 3차원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운동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unit for enabling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phase maintenance unit is provided.
상기 위상유지부의 일측에는, 이송대상물에 대하여 흡착, 파지, 이송, 회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위한 부가장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phase hol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device for any one or more of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gripping, conveying,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object is further provided.
상기 기준축 일측에는, 상기 기준축의 회전을 강제하여 위상유지부의 위상을 전환하기 위한 위상전환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reference axi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hase switching means for forcing the rotation of the reference axis to switch the phase of the phase holding uni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서는, 다수의 링크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더라도 말단에 위치한 위상유지부는 일정한 위상을 유지하도록 한 위상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축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위상유지부의 위상은 유지한 채로 링크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하였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articulated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rotational force is provid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inks, the phase holding part positioned at the end is provided with phase holding means for maintaining a constant phase, and any one axis It was further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link while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maintain the phase of the phase holding portion.
따라서, 위상유지수단과 각도조절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위상유지부의 위상(각도)은 유지하되, 2차원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작업 반경 내의 다양한 위치에 이재(移載)대상물의 이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refore,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phase holding means and the angle adjusting means to maintain the phase (angle) of the phase holding portion, since two-dimensional movement is possible, the transfer of the displaced object at various positions within the working radius is advantageous. have.
또한, 다수 링크를 펼치거나 겹칠 수 있으므로 작업 반경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구성하여 협소한 장소에서의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links can be expanded or overlapped, the work radius is configured to be significantly reduced, so that installation and operation in a narrow place can be performed.
또한, 이물 발생이 최소화되는 구조이므로 클린룸 설비에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clean room equipment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foreign matter is minimized.
뿐만 아니라, 위상유지부 또는 프레임에 직선 또는 회전운동하는 운동부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높이와 다른 위치의 적재 장소에 3차원적으로 적재 및 이송이 가능하므로 적용범위가 확대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hase holding unit or the movement unit to the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in the frame is possible to load and transport in three dimensions at different heights and locations of different positio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pplication range is expanded.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적재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프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내부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의 작동예를 보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 3의 "A"부 부분 확대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서 일 구성인 제2힘전달부재와 위상유지축의 위상이 유지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서 일 구성인 각도조절수단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서 일 구성인 각도조절수단의 응용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서 일 구성인 각도조절수단의 다른 응용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내부 구성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f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rticulated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articulated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the phase of the second forc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phase holding axis as one configuration in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of one configuration in the articulated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use state showing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of one configuration in the articulated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use state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of one configuration in the articulated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이하 '위상유지장치'라 칭함)의 외관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내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의 작동예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rticulated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articulated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첨부된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위상유지장치는 다수의 링크(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제1지지부(140), 제2지지부(240) 및 제3지지부(3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수 링크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측에 위치한 위상유지부(110)의 위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hase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a plurality of links (
따라서, 상기 위상유지장치는 위상유지부(110)에 이송대상물(K)을 안착하여 이송 가능하며, 직선운동부(192)와 회전운동부(194)를 포함하는 운동부(190)를 구비함으로써 작동 반경은 최소화하되 3차원 공간내에 적재 적소에 이송대상물의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the phase holding device is capable of seating and transporting the transfer object K on the
예컨대 도 4와 같이 제1지지부(140), 제2지지부(240) 및 제3지지부(340)를 회전시켜 위상유지부(110)의 높이를 가변하더라도 위상유지부(110)는 위상(각도)를 유지함으로써 이송대상물의 안정한 지지 및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For example, even if the height of the
상기 위상유지장치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위상유지장치는, 위상유지부(110)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한 위상유지수단(100)과, 상기 제1지지부(140), 제2지지부(240) 및 제3지지부(34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200)과, 위상유지수단(100) 또는 각도조절수단(200)의 동작과 연동하여 위상유지부(110)의 위상이 유지되도록 하거나 회전하는 동작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hase hold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The phase holding device includes a phase holding means 100 for holding a phase of the
상기 위상유지수단(100)은 제1힘발생부(182)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제1지지부(140)를 회전시키고, 이때 상기 위상유지부(110)의 위상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hase holding means 100 rotates the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수단(200)은 제2힘발생부(184)로부터 제공된 힘으로 제3지지부(34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In addition, the angle adjusting means 200 is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그리고, 상기 동작수단(300)은 위상유지수단(100)과 연동하여 위상유지부(110)가 위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ans 300 is configured to allow the
먼저, 상기 위상유지수단(100)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위상유지수단(100)은 다수 부품을 지지하는 프레임(101) 일측에 고정되는 기준축(120)과, 상기 기준축(120)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공전하는 공전체(130)와, 상기 공전체(130)와 기준축(120)에 결합하여 공전체(130)의 자전을 규제하는 제1힘전달부(150)와, 제1힘발생부(182)에서 제공된 회전력으로 회전하고 기준축(120)을 기준으로 공전체(130)의 공전을 안내하며 공전체(130)의 위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지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referring to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hase holding means 100, the phase holding means 100 is a
상기 프레임(101)은 위상유지장치의 하부 외형을 이루며 다수 부품을 지지하는 것으로, 프레임(101)의 하측에는 직선운동부(192)와 회전운동부(194)가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프레임(101)의 좌측부에는 기준축(120)이 가로 방향으로 삽입 배치된다. 상기 기준축(120)은 프레임(101)에 삽입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것으로, 상기 프레임(101)의 일측에는 고정핀(102)이 구비되어 상기 기준축(12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The
상기 기준축(120)의 좌측부는 제1지지부(140)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1지지부(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The left side portion of the
상기 제1지지부(140)는 내부가 비어 일정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에는 상기 기준축(120)과 제1힘전달부(150) 및 축안내부재(123)가 내장된다.The
상기 축안내부재(123)는 제1지지부(140)가 기준축(12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및 안내하는 구성으로 베어링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140)는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되어 다수 부품의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힘발생부(182)의 우측에는 플랜지(122)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122)는 제1힘발생부(182)와 축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우측면은 상기 제1지지부(140)와 결합되어 제1힘발생부(182)의 힘이 제1지지부(14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The
따라서, 상기 플랜지(122)의 좌측 단부는 좌측 프레임(101) 내부에 삽입된 후 제1힘발생부(182)와 축결합된 상태이며,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이 채택된 제1회전안내부재(124)가 내장된다.Accordingly, the left end of the
상기 기준축(120)의 좌측 단부는 플랜지(122)로부터 이격되어 제1지지부(14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1지지부(140) 내부에는 제1힘전달부(150)가 구비된다. The left end of the
상기 공전체(130)는 제1지지부(140) 회전시에 기준축(120)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공전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공전체(130)의 작용에 의해 위상유지부(110)의 위상이 유지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각도조절수단(200)의 일 구성인 제1종동축(210)이 삽입되어 서로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이다.The
즉, 상기 공전체(13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형상(도 5 참조)을 가지며, 내부에는 제1종동축(210)이 삽입되어 있고, 외측에는 제2회전안내부재(126)이 구비되며, 상기 제1종동축(210)과 공전체(130) 사이에는 제3회전안내부재(128)가 삽입되어 있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제1종동축(210)의 외면에는 제4회전안내부재(212)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fourth
따라서, 상기 공전체(130)는 제1종동축(210)과 별개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종동축(210)은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240)에 대하여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상기 공전체(130)가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 제1힘전달부(150)를 구비함으로써 제1지지부(14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공전체(130)의 위상은 유지될 수 있다.By providing the first
상기 제1힘전달부(150)는 제1힘전달부재(152)와, 제2힘전달부재(154) 및 제3힘전달부재(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즉, 상기 제1힘전달부(150)는 기준축(120)과 축결합된 제1힘전달부재(152)와, 상기 공전체(130)와 축결합된 제2힘전달부재(154)와, 상기 제1힘전달부재(152)와 제2힘전달부재(154)에 미끄럼이 제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140) 회전시에 공전체(130)의 자전을 규제하는 제3힘전달부재(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first
상기 제1힘전달부재(152)는 기준축(120)에 축결합되어 프레임(101)에 대하여 회전하지않도록 고정되며, 제2힘전달부재(154)는 공전체(130)에 축결합되어 공전체(130)와 연동한다.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1힘전달부재(152)와 제2힘전달부재(154)는 제1지지부(140)에 의해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the first
상기 제3힘전달부재(156)는 제1힘발생부(182)의 동작에 의해 제1지지부(140)가 회전할 때 제2회힘전달부재(154)가 자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함으로써 위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third
즉, 상기 제3힘전달부재(156)는 내면에 형성된 요철이 제1힘전달부재(152) 및 제2힘전달부재(154)의 외면에 형성된 요철과 치합되어 미끄러지지 않고 접촉한 상태가 바람직하며 제1지지부(140)가 회전하지 않을 때에는 제3힘전달부재(156)에 의해 제1힘전달부재(152)가 제2힘전달부재(154)를 자전하지 않도록 지탱하게 된다.That is, the third
따라서, 상기 제1힘전달부재(152)와 제2힘전달부재(154)는 동일한 외경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1힘전달부재(152)와 제2힘전달부재(154)에 형성된 요철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Accordingly, 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3힘전달부재(156)에 형성된 요철 역시 상기 제1힘전달부재(152)와 제2힘전달부재(154)의 요철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unevenness formed in the third
이하 상기 각도조절수단(200)의 세부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각도조절수단(200)은 위상유지장치의 우측 하부에 위치한 것으로, 프레임(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준축(120)과 동심원상에 이격 배치된 각도조절축(220)과, 상기 기준축(120)과 각도조절축(220)이 이루는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제1종동축(210)과, 상기 제1종동축(210)과 각도조절축(220) 사이를 연결하여 각도조절축(220)과 제1종동축(210)이 서로 자유 회전 못하도록 구속함으로써 연동하도록 하는 제2힘전달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ngle adjusting means 200 is located on the lower right of the phase maintenance device, rotatably coupled to the
상기 각도조절축(220)은 제2힘발생부(184)와 결합하여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며, 프레임(101) 내부에는 각도조절축(2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제5회전안내부재(2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부(240) 내부에는 제6회전안내부재(224)가 구비되어 제2지지부(240)와 각도조절축(220) 사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The
상기 각도조절축(220)에는 제2힘전달부(250)의 일 구성인 제4힘전달부재(252)가 구비된다. 상기 제4힘전달부재(252)는 각도조절축(220)과 일체화되도록 결합하여 연동하는 구성이다.The
상기 제1종동축(210)의 외면 우측에는 제5힘전달부재(254)가 구비된다. 상기 제5힘전달부재(254)는 제4힘전달부재(252)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종동축(210)과 연동하도록 축결합된다.The fifth
그리고, 상기 제4힘전달부재(252)와 제5힘전달부재(254)는 제6힘전달부재(256)와 치합되어 서로 자유회전이 불가능하게 유지된다.In addition, the fourth
따라서, 상기 제2힘발생부(184)가 회전력을 발생하게 되면, 각도조절축(220)과 제4힘전달부재(252)는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제4힘전달부재(252)의 회전력은 제6힘전달부재(256)를 통해 제5힘전달부재(254)로 전달됨으로써 제1종동축(21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econd
상기 제2지지부(240)는 제1지지부(140)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축(220)의 관통이 가능하며, 제4힘전달부재(252)와 제5힘전달부재(254) 및 제6힘전달부재(256)의 내장이 가능하게 된다.The
상기 각도조절수단(200)과 위상유지수단(100)의 사이에는 제1종동축(210)이 구비되며, 상기 제1종동축(210)에 의해 제3지지부(3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 first driven
상기 제3지지부(340)는 동작수단(300)의 일 구성으로서, 상측에는 위상유지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제1힘발생부(182) 동작시에는 제1지지부(140)와 동시에 회전하면서 위상유지부(110)의 위상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3지지부(340)는 각도조절수단(200)의 동작시에 제1종동축(210)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위상유지부(110)는 항상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하 상기 동작수단(300)의 구성을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means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 3의 "A"부 부분 확대도이다.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과 같이 상기 동작수단(300)은 제1종동축(210)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된 위상유지축(310)과, 상기 공전체(130)로부터 위상유지축(310)의 자전을 방지하고 공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3힘전달부(320)와, 제3지지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operation means 300 prevents the rotation of the
상기 위상유지축(310)은 위상유지부(110)와 일체로 결합되고 제3힘전달부(320)의 동작에 의해 위상이 유지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종동축(210)에 대하여 공전하도록 구성된다.The
이를 위해 상기 위상유지축(310) 외면에는 제7회전안내부재(312)가 구비되며, 중앙에는 제8힘전달부재(324)가 축결합된다.To this end, a seventh
상기 제8힘전달부재(324)는 제3힘전달부(320)의 일 구성으로서, 상기 공전체(130)의 외면 우측에 축결합된 제7힘전달부재(322)와, 제7힘전달부재(322)와 제8힘전달부재(324)를 치합상태로 이어주는 제9힘전달부재(3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3힘전달부의 요부 구성이다.The eighth
상기 제7힘전달부재(322)는 제2힘전달부재(154)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공전체(130)의 외면에 일체로 결합된다.The seventh
그리고, 상기 제8힘전달부재(324) 역시 제7힘전달부재(322)와 동일한 크기 및 요철 개수를 갖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eighth
따라서, 상기 공전체(13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라면 상기 위상유지축(310)은 제7힘전달부재(322)와 제8힘전달부재(324) 및 제9힘전달부재(326)의 구속력에 의해 회전하지 않게 되며, 상기 공전체(130)가 회전시에만 위상유지축(31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if the
따라서, 상기 위상유지축(310)이 제3지지부(340) 내부에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더라도, 상기 제3힘전달부(320)의 작용에 의해 자유회전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도 5의 도면부호 327은 공전체(130)와 제3지지부(340) 사이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제8회전안내부재이고, 도면부호 328은 제1종동축(210)에 대한 제3지지부(340)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제9회전안내부재(326)이며, 상기 제3지지부(340)와 제1종동축(210)은 연결부(370)에 의해 결합된 구조이다.
그리고, 도 3의 미설명부호 W는 이송대상물의 중량을 상쇄하여 힘발생부(180)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줄이기 위한 웨이트 밸런스이다. 상기 웨이트 밸런스(W)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240)의 단부에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힘발생부(18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범위 내라면 제3지지부(340)의 단부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W of FIG. 3 is a weight balance for reducing the moment acting on the
이하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위상유지수단(100) 동작시에 위상유지축(310)의 위상이 유지되는 원리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the phase of the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서 일 구성인 제2힘전달부재(154)와 위상유지축(310)의 위상이 유지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the phase of the second
도 6에 표시된 P1, P2, S1, S2를 참조하면, 제1힘발생부(182)의 동작에 의해 제1지지부(140)가 기준축(12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α°회전하게 되면, 제3힘전달부재(156)의 특정점인 S1은 제3힘전달부재(15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S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Referring to P1, P2, S1, and S2 shown in FIG. 6, the
반면, 상기 제2힘전달부재(154)의 특정점인 P1은 S1이 S2로 이동함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α°만큼 회전하게 되어 P2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결국, 상기 P1과 P2는 자전하지 않은 상태로 위치만 옮겨간 상태이며 위상은 동일한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P1, which is a specific point of the second
이것은 상기 제2힘전달부재(154)가 제3힘전달부재(156)와 접촉하되, 제2힘전달부재(154)가 제1힘전달부재(152)를 기준으로 공전함에 따라 제2힘전달부재(154)가 제3힘전달부재(156)와 치합되어 제3힘전달부재(156) 내부에서 일정 각도만큼 자전한 작용에 의한 결과이다.This is because the second
따라서, 상기 제1힘전달부(150)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2힘전달부재(154) 및 공전체(130)는 지지부가 어떠한 각도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by the action of the first
상기 제1힘전달부(150)는 스프라켓이나 풀리와 조합된 체인, 타이밍밸트 등 미끄러짐이 방지되고 구름운동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힘전달부재(152)와 제2힘전달부재(154)는 타이밍풀리가 적용되고 제3힘전달부재(156)는 타이밍밸트가 적용되었다. Of course, the first
따라서, 상기 제1힘전달부(150)에는 제3힘전달부재(156)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유지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Therefore, it is apparent that the first
한편, 상기 제1지지부(14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S1과 P1이 위상을 유지한 상태로 S2와 P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위상유지축(310)의 특정점인 Q1과 제8힘전달부재(324)의 특정점인 T1은 Q2 및 T2로 이동하여 위상이 유지된다.Meanwhile, Q1 and an eighth force, which are specific points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8힘전달부재(324)는 제9힘전달부재(326)에 의해 제7힘전달부재(322)로부터 자전이 제한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S1과 P1이 S2 및 P2로 이동함에 따라 위상유지부(110)는 자전하지 않고 위치만 변경한 상태가 되어 위상(각도)이 유지된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eighth
상기 제1지지부(140)의 회전시에도 상기 위상유지부(110)는 상기한 작용에 의해 위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위상유지축(310)은 2차원 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Even when the
그리고, 상기 제2힘발생부(184)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1지지부(140)가 회전하면, 제1종동축(210)의 위상이 유지된 상태로 공전하므로 제3지지부(340)도 위상이 유지된 상태로 기준축(120)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상기와 같이 제1종동축(210)도 선택적으로 위상유지 기능을 가지며, 이를 위해 상기 제2힘발생부(184)는 브레이크가 부착된 모터나 서보모터 등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riven
이하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각도조절수단(200)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위상유지장치에서 일 구성인 각도조절수단(20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7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200 which is one configuration in the articulated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과 같이 상기 제2힘발생부(184)가 회전력을 발생하여 각도조절축(2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지지부(240)는 제1지지부(140)가 동작하지 않음에 따라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4힘전달부재(252)는 제6힘전달부재(256)와 연동하여 제5힘전달부재(254)를 회전시키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second
상기 제5힘전달부재(25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종동축(21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종동축(210)의 회전력은 연결부(370)를 통해 제3지지부(340)를 회전시키게 된다.The first driven
이때 상기 위상유지축(310)의 특정점 Q1과 제9힘전달부재(326)의 특정점 T1은 전술한 제1힘전달부(150)의 작용과 동일한 작용에 의해 T1 및 Q2의 위치로 이동하여 위상이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specific point Q1 of the
상기 각도조절수단(200)의 작동 원리에 따라 제3지지부(340)는 도 8과 같이 제1종동축(21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위상유지축(310)은 위상을 유지하게 되어 위상유지부(110)는 상방향을 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200, the
따라서, 상기 제1힘발생부(182)와 제2힘발생부(184)가 각각 또는 동시에 회전을 하여도 위상유지부(110)의 위상은 유지된다.Therefore, even if the first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1)이 지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으나, 도 9와 같이 상/하를 뒤집은 형태로 천장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힘발생부(180)는 위상유지수단(100)을 위한 제1힘발생부(182)와, 각도조절수단(200)을 위한 제2힘발생부(184)를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나, 도 10과 같이 단일의 힘발생부(180)에 기어박스를 구비하여 기준축(120)과 각도조절축(220)이 반대로 회전하게 하여, 제1지지부(140), 제2지지부(240), 제3지지부(340)가 동시에 같은 각도로 회전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상기 위상유지부(110)는 기준축(120)을 인위적으로 회전시키는 위상전환수단(196)을 구비하여 기준축(120)을 회전시킴으로써 도 9의 우측과 같이 위상유지부(110)의 위상을 변경시킬 수도 있으며, 별도 추가된 위상전환수단(186)은 브레이크부착형 모터 등이 채택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만일 상기 위상전환수단(186)이 브레이크 부착형 모터로 적용되는 경우 기준축(120)의 선택적 고정이 가능하므로 상기 고정핀(102)은 제거될 수 있다.If the phase shifting means 186 is applied as a brake-mounted motor, since the
한편, 상기 위상유지부(110)에는 이송대상물(K)의 흡착, 파지 이송, 회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위한 부가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100. 위상유지수단 101. 프레임
102. 고정핀 110. 위상유지부
120. 기준축 122. 플랜지
123. 축안내부재 124. 제1회전안내부재
126. 제2회전안내부재 128. 제3회전안내부재
130. 공전체 140. 제1지지부
150. 제1힘전달부 152. 제1힘전달부재
154. 제2힘전달부재 156. 제3힘전달부재
180. 힘발생부 182. 제1힘발생부
184. 제2힘발생부 186. 위상전환수단
190. 운동부 192. 직선운동부
194. 회전운동부 200. 각도조절수단
210. 제1종동축 212. 제4회전안내부재
220. 각도조절축 222. 제5회전안내부재
224. 제6회전안내부재 240. 제2지지부
250. 제2힘전달부 252. 제4힘전달부재
254. 제5힘전달부재 256. 제6힘전달부재
300. 동작수단 310. 위상유지축
312. 제7회전안내부재 322. 제7힘전달부재
324. 제8힘전달부재 326. 제9힘전달부재
327. 제8회전안내부재 328. 제9회전안내부재
340. 제3지지부 370. 연결부
K . 이송대상물 W . 웨이트 밸런스100. Phase maintenance means 101. Frame
102. Fixing
120.
123.
126. 2nd
130.
150. First
154. Second
180.
184.
190.
194. Rotating
210. First driven
220.
224. Sixth
250. Second
254. Fifth
300. Operation means 310. Phase maintenance axis
312. 7th
324. Eighth
327. 8th
340.
K. Object to be transported. Weight balance
Claims (13)
상기 기준축으로부터 이격되어 동심원 상에 위치하며,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한 각도조절축과, 상기 각도조절축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공전체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며, 공전체에 대하여 동심원 상에 자유 회전이 가능한 제1종동축과, 상기 각도조절축과 제1종동축이 연동하도록 결합된 제2힘전달부와, 상기 각도조절축과 제1종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이격하는 제2지지부로 이루어진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제1종동축 또는 제2지지부 회전시에 위상을 유지하는 위상유지부와;
상기 위상유지부와 공전체 사이에 위치하여 공전체를 기준으로 위상유지부의 공전을 안내하는 동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위상유지장치.
A reference axis fixed to one side of the frame, a revolving power sourc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reference axis, a first force transmission unit coupled to the revolving body and the reference axis to regulate the rotation of the revolving material, and the reference A phase holding means comprising a first support portion for revolving the current collector while maintaining a phase when rotating about an axis;
It is located on a concentric circle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axis, the angle adjustment ax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and rotatable in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angle adjustment axis and rotatable, and has the same center of rotation as the current collector, A first driven shaft capable of free rotation on a concentric circle, a second force transmission unit coupled to the angle adjusting shaft and the first driven shaft to interlock, and a second spaced rotatable space between the angle adjusting shaft and the first driven shaft. An angle adjusting means composed of two supports;
A phase holding part for holding a phase when the first driven shaft or the second supporting part is rotated;
And a means for locating between the phase holding part and the current collector to guide the revolving of the phase holding part with respect to the current collector.
상기 공전체와 평행하게 이격된 위상유지축과,
상기 위상유지축과 공전체에 결합하여 위상유지축의 자전을 규제하는 제3힘전달부와,
상기 위상유지축을 공전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이격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위상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peration means,
A phase holding axis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current collector;
A third force transmission part coupled to the phase holding axis and a whole to regulate the rotation of the phase holding axis;
And a third support portion rotatably spaced apart from the phase holding shaft.
상기 제1종동축과 제3지지부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위상유지장치.
According to claim 4,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Multi-joint phase mainten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first driven shaft and the third support in conjunction with.
상기 기준축과 공전체 사이, 각도조절축과 제1종동축 사이, 공전체와 위상유지축 사이의 미끄럼을 제한하여 공전만 가능하게 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위상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force transmission portion, the second force transmission portion and the third force transmission portion,
And a revolving joint between the reference axis and the collector, the angle adjusting shaft and the first driven shaft, and the sliding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hase maintaining shaft, thereby allowing only the revolution.
이송대상물의 중량을 상쇄하여 힘발생부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웨이트 밸런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위상유지장치.
According to claim 6, At least one side of any one of the first support, the second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And a weight balance for reducing the load of the force generating part by offsetting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8. The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driven shaft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whole body.
상기 제1지지부와 제3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위상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both ends of the current collector,
Multi-joint phase mainten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first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상기 제1지지부를 회전하기 위한 제1힘발생부와, 상기 각도조절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힘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힘발생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위상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ne side of the frame,
And a force generating portion including a first force genera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force genera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angle adjusting shaft.
회전운동과 직선운동 중 어느 하나 이상 가능하게 동작하여 상기 위상유지부의 3차원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운동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위상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one side of the frame,
Multi-joint phas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is provided to enable any one or more of the rotational movement and the linear movement to enable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phase holding portion.
이송대상물에 대하여 흡착, 파지, 이송, 회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위한 부가장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위상유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phase holding unit,
Multi-articular phase maintenance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dditional device for any one or more of the operation of suction, gripping, conveying, rotation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상기 기준축의 회전을 강제하여 위상유지부의 위상을 전환하기 위한 위상전환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위상유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reference axis,
And a phase shifting means for forcing the rotation of the reference axis to switch the phase of the phase retaine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8123A KR101378736B1 (en) | 2013-09-09 | 2013-09-09 | An articulated phase preservation aparatus |
PCT/KR2014/008434 WO2015034334A1 (en) | 2013-09-09 | 2014-09-05 | Multi-joint phase maintai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8123A KR101378736B1 (en) | 2013-09-09 | 2013-09-09 | An articulated phase preservation a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8736B1 true KR101378736B1 (en) | 2014-03-28 |
Family
ID=5064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8123A KR101378736B1 (en) | 2013-09-09 | 2013-09-09 | An articulated phase preservation aparatu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8736B1 (en) |
WO (1) | WO2015034334A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1708B1 (en) * | 2008-10-24 | 2009-02-06 | 공준식 | Manway cover lift |
KR100959752B1 (en) * | 2009-10-29 | 2010-05-25 | 정인생 | Method and apparatus for brick loading |
KR20120138051A (en) * | 2011-06-14 | 2012-12-24 | 박순필 | A phase preservation means and an apparatus hav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95280A (en) * | 1993-12-29 | 1995-08-01 | Bridgestone Corp | Master arm |
KR200331085Y1 (en) * | 2003-06-05 | 2003-10-23 | 문학용 | Arm type freight lift for truck |
-
2013
- 2013-09-09 KR KR1020130108123A patent/KR10137873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9-05 WO PCT/KR2014/008434 patent/WO201503433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1708B1 (en) * | 2008-10-24 | 2009-02-06 | 공준식 | Manway cover lift |
KR100959752B1 (en) * | 2009-10-29 | 2010-05-25 | 정인생 | Method and apparatus for brick loading |
KR20120138051A (en) * | 2011-06-14 | 2012-12-24 | 박순필 | A phase preservation means and an apparatus ha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034334A1 (en) | 2015-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82366B2 (en) | Goods transport equipment | |
CN110382382A (en) | Automatic unloading and loading robot system | |
TW201722811A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JP4970128B2 (en) | Industrial robot and collective processing device | |
JP4473075B2 (en) | Transport robot and its arm structure | |
JP4709988B2 (en) | Transfer device and conveyor device | |
JP6174261B2 (en) | Conveyor for work | |
JP2010269380A (en) | Robot and article carrying system | |
KR20150131739A (en) | Divertor for Transferring Conveyor | |
CN107107333B (en) | Device and method for being operated to the commodity such as such as packet bundle object, bulk cargo | |
KR101271458B1 (en) | A phase preservation means and An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108190077A (en) | The bend pipe anti-corrosion strip winding packet robot that branched point alternately supports | |
JP6199284B2 (en) | Robot driving method, robot, translational robot, robot system, and robot system driving method | |
JP6241400B2 (en) | Goods storage facility | |
JP6128085B2 (en) | Lifting device and auxiliary drive unit | |
KR20120088286A (en) | Substrate transport apparutus having respectively driven hand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JP5631372B2 (en) | Work transfer device | |
KR101378736B1 (en) | An articulated phase preservation aparatus | |
KR20150053529A (en) | Telescopic rotation boom | |
KR101338857B1 (en) | Substrate transport apparutus having four substrate support | |
JP2018052663A (en) | Carrier device | |
KR101448474B1 (en) | Transfer path switching apparatus | |
KR20160005647A (en) |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 |
JP2016055988A (en) | Transfer device | |
KR20120123839A (en) | Vertical driving apparatus of 2 step sli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