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829B1 - Container exchanging device and container exchanging method - Google Patents

Container exchanging device and container exchang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829B1
KR101377829B1 KR1020107009599A KR20107009599A KR101377829B1 KR 101377829 B1 KR101377829 B1 KR 101377829B1 KR 1020107009599 A KR1020107009599 A KR 1020107009599A KR 20107009599 A KR20107009599 A KR 20107009599A KR 101377829 B1 KR101377829 B1 KR 101377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ravel
cart
glass plate
loa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74241A (en
Inventor
가즈야 와따나베
마사또 스기따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4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2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82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7Sheet handling, means, e.g. manipulators, devices for turning or tilting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 B65G49/069Means for avoiding damage to stacked plate glass, e.g. by interposing paper or powder spacers in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용기 교환 장치(90)에 있어서는, 승강 기구(115)가 승강 기구(115)를 구비한 제2 주행 대차(102)의 용기(94)가 적재된 용기 지지부(122)의 하면 위치를 제1 주행 대차(100)의 용기 지지부(106)에 적재된 용기(92)의 상면 위치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이동 기구가 제1 및 제2 주행 대차(100, 102)를 역방향으로, 또한 용기(92, 94)를 용기 교환 장치(90)에 공급 또는 반출하는 제1 위치와, 제1 또는 제2 주행 대차(100, 102)와의 사이에서 용기의 전달을 행하는 전달 기구(56)가 배치된 제2 위치의 사이를 평면에서 볼 때 동일 경로로, 각각의 용기(92, 94)가 다른 높이에서 교차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제1 위치에 있는 용기와 제2 위치에 있는 용기를 바꾸어 넣는다.In the container exchange | replacement apparatus 90, the lifting mechanism 115 runs a 1st surface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122 in which the container 94 of the 2nd traveling truck 102 provided with the lifting mechanism 115 was mounted. The lift mechanism is rais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position of the container 92 loaded on the container support 106 of the cart 100, and the moving mechanism reverses the first and second travel carts 100 and 102 and the container 92. 2nd in which the delivery mechanism 56 which delivers a container between the 1st position which supplies or removes 94 to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90, and the 1st or 2nd traveling truck 100, 102 is arrange | positioned By moving the respective containers 92 and 94 so that they cross at different heights in the same path in plan view between the positions, the container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container in the second position are exchanged.

Description

용기 교환 장치 및 용기 교환 방법 {CONTAINER EXCHANGING DEVICE AND CONTAINER EXCHANGING METHOD}Tare change device and tare change method {CONTAINER EXCHANGING DEVICE AND CONTAINER EXCHANGING METHOD}

본 발명은, 판상체,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에서 사용되는 대형 유리판을 수납하는 용기(팰릿)를 교환하는 용기 교환 장치 및 용기 교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and a container exchange method for exchanging a container (pallet) for storing a large glass plate used in a flat plate, particularly a flat panel display (FPD)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 plasma display.

유리판의 제조 공정에서는, 유리판 제조 가마에 의해 제조된 띠 형상 판의 유리를 소정 크기의 유리판으로 절단하고, 이 절단한 직사각 형상의 유리판을 컨베이어로 순차 반송한다. 이를 1매씩 로봇이나 전용기로 흡착 보유 지지하여 용기에 1매씩 수납한다. 용기에 소정 매수의 유리판을 수납하면, 용기를 교환하여 수납을 반복한다. 또한, 용기에 수납된 유리판을 유리판 가공 공정에 투입할 때, 로봇이나 전용기로 1매씩 유리판을 흡착 보유 지지하여 유리판 가공 공정에 공급을 행한다. 용기로부터 수납된 유리판의 가공 공정에의 투입이 끝나면, 용기를 교환하여 투입을 반복한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glass plate, the glass of the strip | belt-shaped board manufactured by the glass plate manufacturing kiln is cut | disconnected by the glass plate of a predetermined | prescribed size, and this cut rectangular glass plate is conveyed by a conveyor sequentially. Each of them is adsorbed and held by a robot or a dedicated device and stored one by one in a container. Whe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glass plates are accommodated in a container, the container is replaced and storage is repeated. In addition, when putting the glass plat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into a glass plate processing process, a glass plate is adsorbed-held one by one by a robot or an exclusive machine, and it supplies to a glass plate processing process. When the injection into the processing step of the glass plate stored from the container is finished, the container is replaced and the feeding is repeated.

용기의 유형으로서는, 소정 매수의 유리판을 세워서 배열한 상태로 수납하는 종형 용기와, 소정 매수의 유리판을 수평 배치로 하여 적층 수납하는 평형 용기가 알려져 있다. 평형 용기는 적층 가능하므로, 적층하는 것이 곤란한 종형 용기와 비교하여, 용기를 점유하는, 바닥 면적에 대한 수납 매수의 비율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사정에서, 현재에는 평형 용기가 주목받고 있다.As a type of container, the vertical container which accommodates a predetermined number of glass plates in the state arranged upright, and the flat container which laminated | stacks a predetermined number of glass plates in a horizontal arrangement are known. Since the flat container can be stack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atio of the number of sheets to the floor area occupying the container is high as compared with the vertical container which is difficult to stack.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equilibrium container is attracting attention now.

그런데, 종래의 용기 교환 장치에서는, 교환하고자 하는 2개의 용기를 원형 테이블(턴테이블) 상의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원형 테이블을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용기의 교환을 실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원형 테이블의 회전 반경분의 공간이 필요해지므로, 용기가 대형화되면 될수록, 용기를 교환하기 위해 필요한 교환 공간(용기 교환 장치의 점유 면적)이 크도록 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대형 유리판용의 종래의 용기 교환 장치는 점유 면적을 크게 취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replacing apparatus, two containers to be replaced were disposed at opposite positions on the round table (turn table), and the container was replaced by rotating the round table 180 degrees. Therefore, since the space for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circular table is required, the larger the container becomes, the larger the exchange space (the occupied area of the container exchange device) required for replacing the container. For this reason, the conventional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for large sized glass plates had a problem, such as taking large occupied area.

평형 용기에 유리판을 수납 및 취출할 때, 수납 취출 장치의 동작 범위를 작게 하기 위해 평형 용기를 경사시키는 경우가 있다. 평형 용기를 경사시켜 평형 용기에 유리판을 수납 및 취출하는 경우, 회전 테이블 방식으로는, 유리판을 수납 또는 취출하기 위해 용기를 기도(起倒)시키는 기구가, 교환하는 2개의 용기에 대응하여 2개 필요하여 장치가 복잡해지고, 비용도 증대한다. 또한, 용기의 대형화에 의해, 원형 테이블의 회전 동작 시간이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설비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노는 시간이 증가한다.When storing and taking out a glass plate in a balance container, the balance container may be inclined in order to reduce the operation range of a storage take-out apparatus. In the case of storing and taking out the glass plate in the balance container by inclining the balance container, in the rotary table method, two mechanisms corresponding to the two containers to be replaced by a mechanism for retracting the container in order to store or take out the glass plate. As a result, the apparatus becomes complicated and the cost increases. In addition, with the enlargement of the container, the rotation operation time of the circular table is extended, and the play time which does not use a facility substantially increases.

여기서,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선행 기술 문헌은 존재하지 않지만, 본 발명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3 등이 있다.Here, although there is no prior art document which directly relates to this invention, as a prior art document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is inventio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1-3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특허문헌 1은 팰릿의 교체 및 수납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자동 팰릿 교체 수납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문헌에는, 지지 프레임을 수납 스테이션과 부품 출입 스테이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고, 지지 프레임의 지지 기둥을 따라 승강체를 승강시키고, 승강체에 지지되고, 팰릿을 그 양측으로부터 클램프하고, 동기시켜 클램프 방향 또는 언클램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PTL 1 relates to an automatic pallet replacement storage take-out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performs pallet replacement and storage. Said document discloses that the support frame is reciprocated between the storage station and the component entry and exit station, the elevating body is lifted along the supporting column of the supporting frame, supported by the elevating body, the pallet is clamped from both sides thereof, and synchronized to clamp direction. Or moving in an unclamped direction.

특허문헌 2는, 부품 공급부에 의해 부품을 탑재한 팰릿을 작업부에 공급하고, 작업부에서 구멍이 생긴 팰릿을 부품 공급부에 복귀시켜 배출하는 팰릿의 공급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문헌에는, 부품 공급부와 작업부 사이에 설치된, 팰릿을 부품 공급부로부터 작업부로 이송하고, 작업부로부터 부품 공급부로 이송하는 상하 2단 배치의 받침대를 각각 부품 공급부, 작업부에 면하는 위치로 되도록 상하 구동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relates to the supply / discharge apparatus of the pallet which supplies the pallet which mounted a component by a component supply part to a work part, and returns the pallet with a hole in the work part to discharge | emitted. In the above document, the pallet provided between the parts supply part and the work part is conveyed from the parts supply part to the work part, and the pedestals of the upper and lower two-stage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pallets from the work part to the parts supply part are located so as to face the parts supply part and the work part, respectively. Driving up and down is disclosed.

특허문헌 3은, 액정 유리 등의 판 형상 부재의 수납 순서를 바꾸어 넣는 교체 장치를 구비한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문헌에는, 적층된 수납 용기로부터 원하는 수납 용기를 분리하고, 원하는 수납 용기를 대피 장소로 일시 대피시켜, 원하는 수납 용기가 다른 적층순으로 되도록 원하는 수납 용기를 반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대피 장소로부터 반입함으로써, 적층된 수납 용기의 적층순을 바꾸어 넣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3 is related with the conveying system provided with the replacement apparatus which changes the storing order of plate-shaped members, such as liquid crystal glass. In this document, a desired storag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stacked storage containers, the desired storage container is temporarily evacuated to an evacuation site, and a space for carrying in the desired storage containers is formed so that the desired storage containers are in different stacking order, and the evacuation site It is disclosed to change the stacking order of the stacked storage containers by carrying in from.

일본 특허 공개 평6-255792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6-25579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85185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185185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47753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34775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용기를 교환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용기 교환 장치 및 용기 교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exchange device and a container exchange method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reduce the space required for container replace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각 판상체가 수납되는 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이동하여 바꾸어 넣는 용기 교환 장치이며,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exchange device for moving and replacing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respectively, the plate-shaped body is accommodated,

상기 제1 및 제2 용기가 각각 적재되는 제1 및 제2 주행 대차와, 상기 제1 또는 제2 주행 대차에서 상기 용기의 전달을 행하는 전달 기구와,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교환 장치에 공급 또는 상기 용기 교환 장치로부터 반출되는 위치와, 상기 전달 기구가 배치된 위치 사이를 평면에서 볼 때 동일 경로로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are loaded, a delivery mechanism for delivering the container in the first or second travel truck, and the container is supplied to the container exchange device, or And a movement mechanism for reciprocating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in the same path in a plan view between the position taken out from the container exchange device and the position where the delivery mechanism is arranged,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 중 적어도 한쪽의 주행 대차가 상기 용기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is provided with a lift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ontainer,

상기 승강 기구가, 상기 승강 기구를 구비한 주행 대차의 용기가 적재된 용기 지지부의 하면 위치를 다른 쪽 주행 대차의 용기 지지부에 적재된 용기의 상면 위치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키고,The elevating mechanism raises the lower surface position of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container of the traveling cart provided with the elevating mechanism is load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position of the container loaded on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of the other traveling cart,

상기 이동 기구가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를 역방향으로, 또한 각각의 용기 위치가 다른 높이에서 교차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를 바꾸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Wherein the moving mechanism moves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respective container positions intersect at different heights, thereby replacing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To provide.

여기서, 상기 전달 기구에는 상기 용기를 상기 판상체의 수납 각도 혹은 취출 각도로 경사시키는 기도기(起倒機)가 설치되어 있고,Here, the said delivery mechanism is provided with the airway machine which inclines the said container by the storage angle or extraction angle of the said plate-shaped object,

상기 기도기는,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배면 지지 부재 및 경사시 용기 지지 부재와, 상기 배면 지지 부재 및 경사시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의 이동 방향과 대략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의 용기 지지부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way machine is formed such that the rear support member and the vessel support member at the inclination for supporting the vessel, the rear support member and the vessel support member at the inclination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mechanism which rotates about the axis extend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of a 1st and 2nd running truck.

또한, 상기 기도기가 상기 배면 지지 부재 및 상기 경사시 용기 지지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용기를 상기 제1 주행 대차 또는 상기 제2 주행 대차와 상기 전달 기구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way machine transmits the container to the first travel bogie or the second travel bogie and the delivery mechanism by rotating the rear support member and the container support member at the inclination.

혹은,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의 양쪽이 상기 용기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Or both of the said 1st and 2nd running trucks are provided with the lifting mechanism which raises and lowers the said container,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의 승강 기구가 상기 용기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용기를 상기 제1 주행 대차 또는 상기 제2 주행 대차와 상기 전달 기구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transfer the container to the first travel cart or the second travel cart and the delivery mechanism by the elevating mechanisms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 carts lifting the container.

또한, 본 발명은, 판상체가 수납되는 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이동하여 바꾸어 넣는 용기 교환 방법이며,Moreover, this invention is the container exchange method which moves and replaces the 1st container and 2nd container which a plate-shaped object is accommodated,

상기 제1 및 제2 용기가 각각 적재되는 제1 및 제2 주행 대차와, 상기 제1 또는 제2 주행 대차에서 상기 용기의 전달을 행하는 전달 기구와, 상기 용기가 상기 제1 또는 제2 주행 대차에 공급 또는 상기 제1 또는 제2 주행 대차로부터 반출되는 위치와, 상기 전달 기구가 배치된 위치 사이를 평면에서 볼 때 동일 경로로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A first and a second travel truck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are loaded, a delivery mechanism for delivering the container from the first or second travel truck, and the container is the first or second travel truck. And a moving mechanism for reciprocating the first and second traveling carts in the same path in a plan view between the position supplied to or taken out of the first or second traveling cart and the position where the transmission mechanism is arranged. ,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 중 적어도 한쪽의 주행 대차가 상기 용기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는 용기 교환 장치에 있어서,In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provided with the lifting mechanism which raises and lowers the said container, the at least one travel truck of the said 1st and 2nd running trucks,

상기 승강 기구가 상기 승강 기구를 구비한 주행 대차의 용기가 적재된 용기 지지부의 하면 위치를 다른 쪽 주행 대차의 용기 지지부에 적재된 용기의 상면 위치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키고,The elevating mechanism raises the lower surface position of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container of the traveling cart provided with the elevating mechanism is load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position of the container loaded on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of the other traveling cart,

상기 이동 기구가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를 역방향으로, 또한 각각의 용기 위치가 다른 높이에서 교차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를 바꾸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환 방법을 제공한다.And the moving mechanism moves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respective container positions intersect at different heights so as to replace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주행 대차 중 한쪽의 용기 지지부를 상승시키고, 각각의 주행 대차가, 역방향으로 용기를 용기 교환 장치에 공급 또는 반출하는 위치와 전달 기구가 배치된 위치 사이를 평면에서 볼 때 동일 경로로, 또한 다른 높이로 교차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용기를 바꾸어 넣는다. 그로 인해, 2개의 용기분의 길이와 개략 1개분의 용기의 횡폭이 있으면, 2개의 용기를 바꾸어 넣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원형 테이블 방식과 비교하여, 용기를 교환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대폭으로 작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is lifted, and each travel truck is planar between the position at which the container is supplied or taken out to the container changer in a reverse direction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delivery mechanism is arranged. The container is repositioned by moving it to cross the same path and at different heights. Therefore, if there are two container lengths and approximately one container width, two containers can be replaced, so that the space required for changing container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ound table method. Can be.

예를 들어, 제8 세대 크기의 유리판으로 비교하면, 종래의 원형 테이블 방식에서는 필요한 공간은 약 36㎡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관한 용기 교환 방식의 경우에는 약 21㎡이며, 양자의 차이, 본 발명의 용기 교환 방식의 우위성은 명확하다. 본 발명의 용기 교환 방식의 우위성은 용기의 치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더욱 명확해진다.For example, compared with the glass plate of the 8th generation size, the space required in the conventional round table system is about 36 m <2>.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tainer exchange system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bout 21 m <2>, and the difference of both and the superiority of the container exchange system of this invention are clear. The superiority of the container chan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clearer as the size of the container increa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를 경사시키는 기구를 유리판 수납 또는 취출 위치에 1개 설치하면 되므로, 용기를 기도하는 기구를 줄여 설비를 간소화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one mechanism for tilting the container may be provided at the glass plate storage or take-out position, the mechanism for praying the container can be reduced, thereby simplifying the equipment and realizing cost redu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쪽 용기에 판상체가 수납, 또는 용기로부터 판상체가 취출되어 있는 동안에, 용기 교환 장치로부터 다른 쪽 용기를 포크리프트에 의해 반출하고, 다음에 판상체가 수납 또는 취출되는 용기를 포크리프트에 의해 용기 교환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즉, 2개의 작업을 동시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plate-shaped body is stored in one container or the plate-shaped body is taken out from the container, the other container is taken out by the forklift from the container exchange device, and the plate-shaped body is stored or taken out next. The container can be supplied to the container changer by a forklift. That is, since two jobs can be advanced simultaneously,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래, 용기가 더욱 대형화된 경우라도, 대형화된 용기의 길이 및 폭분의 공간이 증가할 뿐이며, 또한 교환 시간도 그의 길이분의 이동 거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연장될 뿐이므로, 종래의 회전 테이블 방식과 비교하여 점유 면적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용기 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future, even when the container is further enlarged, the space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enlarged container is only increased, and the exchange time also only extends the time required for the moving distance of the length. Therefore, the increase in the occupied area can be suppress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otary table system, and the container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은 평형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평형 용기의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유리판용 수납 취출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각각 기도기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용기 교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 실시 형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용기 교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에 이어지는 용기 교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 이어지는 용기 교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에 이어지는 용기 교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이어지는 용기 교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이어지는 용기 교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이어지는 용기 교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quilibrium vessel.
FIG. 2 is a plan view of the pedestal of the balance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orage takeout apparatus for a glass plate.
4 (a) and 4 (b) are front and side views of the airway, respectively.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of this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changer.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changer following FIG. 6. FIG.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changer following FIG. 7. FIG.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changing apparatus following FIG. 8. FIG.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changer following FIG. 9. FIG.
FIG.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changing apparatus following FIG. 10. FIG.
FIG.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changing apparatus following FIG. 11. FIG.

이하에,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용기 교환 장치 및 용기 교환 방법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tainer replacing apparatus and container replacing method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attached drawing.

본 발명의 용기 교환 장치는 소정 매수의 판상체를 수납하는 용기를 바꾸어 넣는 것, 예를 들어 소정 매수의 유리판이 적층되어 수납된 평형(수평 배치)의 용기(이하, 채워진 용기라 함)와, 유리판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빈 용기(이하, 빈 용기라 함)를 바꾸어 넣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용기 교환 장치의 설명을 행하기 전에, 용기와, 이 용기에 유리판을 수납하거나, 혹은 용기로부터 유리판을 취출하는 수납 취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of this invention replaces the container which accommodates a predetermined number of plate-shaped objects, for example, the container of the equilibrium (horizontal arrangement) in which the predetermined number of glass plates were laminated | stacked and accommodated (henceforth a filled container), It replaces the empty container (henceforth empty container) in which the glass plate is not stored. Hereinafter, before explaining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of this invention, a container and the storage taking-out apparatus which accommodates a glass plate in this container or take out a glass plate from a container are demonstrated.

우선,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container is demonstrated.

도 1은 평형 용기(1)의 측단면도이다. 용기(1)에는, 소정 치수, 예를 들어 소위 제8 세대 크기(약 2,000㎜×약 2,300㎜ 이상)라 칭해지는 유리판(4)이 수납된다. 이 용기(1)는 받침대(3)와, 받침대(3) 상에 설치되는 상부 덧댐 부재(5)로 구성되고, 수십 내지 수백매의 유리판(4)이 수평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수납된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lance vessel 1. In the container 1, the glass plate 4 called a predetermined dimension, for example, what is called an 8th generation size (about 2,000 mm x about 2,300 mm or more) is accommodated. The container 1 is composed of a pedestal 3 and an upper padding member 5 provided on the pedestal 3 and is housed in a state where tens to hundreds of glass plates 4 are horizontally stacked.

도 2는 받침대(3)의 평면도이다. 이 받침대(3)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하 바와 같이, 형강을 종횡으로 복수개 격자 형상으로 조립하여 프레임체(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체(30)의 상면에 유리판(4)이 적층되는 상부 덧댐 부재(유리판이 적층되는 저판)(5)가 고정되고, 상부 덧댐 부재(5)의 상면에 유리판(4)의 보호재(6)(도 1 참조)가 고정되어 있다. 이 상부 덧댐 부재(5)는 받침대(3) 상에 유리판(4)을 안정되게 적재하기 위해, 및 유리판(4)을 수납하는 용기 내부 공간 내로의 진애 침입 방지를 위해 배치되어 있다.2 is a plan view of the pedestal 3. In this pedestal 3, as shown in Fig. 2, the frame 30 is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steel beams in the shape of a lattic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upper cover member (lower plate on which the glass plate is stacked) 5 on which the glass plate 4 is laminated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0, and the protective material of the glass plate 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member 5 ( 6) (see FIG. 1) is fixed. The upper attachment member 5 is arranged for stably loading the glass plate 4 on the pedestal 3 and for preventing dust intrusion into the container interior space accommodating the glass plate 4.

또한, 용기(1)는 수납되는 유리판(4)의 형상에 맞추어, 그의 평면에서 볼 때, 유리판의 치수보다 다소 큰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1)는 소정 매수의 유리판(4)을 적재한 경우에, 그 중량을 견딜 수 있는 구조 및 강성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e container 1 is comprised by the shape of the glass plate 4 accommodated, Comprising: It is comprised by the rectangle somewhat larger than the dimension of a glass plate in plan view. Moreover, when the container 1 is loaded with the predetermined number of glass plates 4, the structure and rigidity which can bear the weight are needed.

또한, 유리판(4)을 수납 또는 취출할 때,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1)를 경사시키므로, 용기(1)를 경사시켰을 때, 유리판(4)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인 측판(15)이 상부 덧댐 부재(5)의 한 변의 중앙부에 그의 변에 평행하게 배치,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storing or taking out the glass plate 4, since the container 1 is inclined in embodiment mentioned later, when the container 1 is inclined, the side plate 15 which is a memb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glass plate 4 is carried out. ) Is arranged and fixed in parallel to its side at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upper attachment member 5.

측판(15)의 내측에는 유리판(4)의 보호재(17)가 고정되어 있다. 보호재(17)의 표면에는, 유리판의 미끄러짐성을 높이기 위해 마찰 저항이 작은 유리 단부면 미끄럼 이동용 부재(20)가 부착되어 있다. 유리판(4)은 측판(15)에 고정된 상기 보호재(17)에 부착된 유리 단부면 미끄럼 이동용 부재(20)에 접촉되고, 이 상태에서 적재된다.The protection material 17 of the glass plate 4 is being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plate 15. The glass end surface sliding member 20 with small frictional resistanc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material 17 in order to improve the slipperiness | lubricacy of a glass plate. The glass plate 4 contacts the glass end surface sliding member 20 attached to the said protective material 17 fixed to the side plate 15, and is loaded in this state.

또한, 측판(15)은, 도시예와 같이, 상부 덧댐 부재(5)의 한 변의 중앙부의 1군데에 설치해도 되고, 예를 들어 2분할 등, 소정수로 분할하여 소정 간격씩 이격하여 배치해도 된다. 즉, 측판(15)은 용기(1)를 경사시켰을 때에, 유리판(4)이 낙하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된다.In addition, the side plate 15 may be provided in one place of the center part of one side of the upper mounting member 5 like an example of illustration, and may be divided into predetermined numbers, such as two division | segmentation, and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example. do. That is, as long as the side plate 15 is the structure which the glass plate 4 does not fall when the container 1 is inclined, what kind of structure may be sufficient.

받침대(3)에는 포크리프트(도시하지 않음)의 포크를 받아들이기 위한 포크리프트용 구멍(11)(도 1 참조)이 받침대(3)의 각 측면마다 예를 들어 2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용기(1)는 받침대(3)의 종횡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용기(1)는 재질, 치수, 및 구조 등도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즉, 용기(1)는 용기(1)에 수납되는 판상체에 따라서 그 특성을 결정하면 된다.The forklift hole 11 (refer FIG. 1) for receiving the fork of the forklift (not shown) is formed in the pedestal 3, for example, on each side of the pedestal 3, for example. As a result, the container 1 can receive the fork of the forklift from any length and width direction of the pedestal 3. In addition, the container 1 is not limited at all in material, dimensions, structure, and the like. That is,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late-shaped object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

용기(1)에 유리판(4)을 수납할 때는, 유리판(4)끼리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유리판(4, 4) 사이에 얇은 종이인 합지(18)(도 3 참조)를 끼운 상태에서 유리판(4)이 적층된다. 또한, 합지 대신에 수지 등의 시트를 사용해도 된다.When storing the glass plate 4 in the container 1, in order to avoid the glass plate 4 contacting each other directly, the paper paper 18 (refer FIG. 3) which is a thin paper was sandwiched between the glass plates 4 and 4. In the glass plate 4 is laminated. In addition, you may use sheets, such as resin, instead of paper.

다음에, 유리판용 수납 취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torage take-out apparatus for glass plates is demonstrated.

도 3은 본 예의 유리판용 수납 취출 장치(50)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수납 취출 장치(50)는 유리판 제조 라인(도시하지 않음)의 하류측에 설치된 컨베이어(52)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반송 장치(반송 수단)(54) 및 후술하는 용기 교환 장치(90)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납 취출 장치(50)는, 유리판(4)을 재가공하는 가공 공정에 투입시에는, 용기(1)에 수납된 유리판(4)의 취출 장치로서 기능하고, 유리판 제조 공정으로부터의 판 채취시에는, 용기(1)에 유리판(4)을 1매씩 수납하는 수납 장치로서 기능한다.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orage take-out apparatus 50 for a glass plate of the present example. The storage take-out apparatus 50 shown in FIG. 3 is provided adjacent to the conveyor 52 provided downstream of a glass plate manufacturing line (not shown), and is a conveying apparatus (conveying means) 54 and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mentioned later. It consists of 90 main parts. The storage take-out apparatus 50 functions as a take-out apparatus of the glass plate 4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 at the time of putting into the processing process which reprocesses the glass plate 4, and at the time of plate collection from a glass plate manufacturing process, It functions as a storage apparatus which accommodates the glass plate 4 in the container 1 one by one.

반송 장치(54)는, 예를 들어 범용의 로봇이며, 그의 아암(58)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흡착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동일 높이의 면으로 배열된 흡착 핸드(60)가 연결되어 있다. 유리판(4)을 채취할 때, 반송 장치(54)는 합지(18)가 적재된 유리판(4)이 컨베이어(52)의 하류측 판 채취 위치에 반송되어 오면, 흡착 핸드(60)를 그 판 채취 위치까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흡착 핸드(60)에 의해 유리판(4)을 합지(18)를 개재시켜 흡착하고, 이 후, 용기 교환 장치(90)(도 4, 도 5 참조)에 의해 미리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는 용기(1)에 유리판(4)을 합지(18)와 함께 수납한다.The conveying apparatus 54 is a general-purpose robot, for example, and the suction hand 60 in which several suction pads (not shown) are arrange | positioned by the surface of the same height is connected to the front-end | tip of the arm 58. . When taking out the glass plate 4, the conveying apparatus 54 carries out the adsorption hand 60 when the glass plate 4 in which the paper 18 was loaded is conveyed to the downstream plate collection position of the conveyor 52. It moves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to a collection position, and the glass plate 4 is adsorb | sucked through the paper 18 by the suction hand 60, and thereafter, by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90 (refer FIG. 4, FIG. 5). The glass plate 4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paper 18 in the container 1 which is previously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이 동작을 반송 장치(54)가 반복함으로써, 유리판(4)이 1매씩 용기(1)에 수납되어 간다.By the conveying apparatus 54 repeating this operation | movement, the glass plate 4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 one by one.

또한, 유리판(4)을 투입할 때, 반송 장치(54)는 용기(1)에 적재된 유리판(4)의 위치까지 흡착 핸드(60)를 이동시켜, 미리 합지 제거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합지(18)를 제거한 유리판(4)을 흡착 핸드(60)에 의해 흡착하고, 이 후, 유리판 가공 공정의 전달부에 투입한다. 이 동작을 반송 장치(54)가 반복함으로써, 유리판(4)이 1매씩 유리판 가공 공정에 투입되어 간다.In addition, when putting the glass plate 4, the conveying apparatus 54 moves the suction hand 60 to the position of the glass plate 4 mounted in the container 1, and advances to a paper removal mechanism (not shown) previously. As a result, the glass plate 4 from which the paper 18 is removed is adsorbed by the suction hand 60, and then put into the delivery unit of the glass plate processing step. When the conveying apparatus 54 repeats this operation | movement, the glass plate 4 is thrown into the glass plate processing process one by one.

도 4는 유리판용 수납 취출 장치(50)에 있어서, 유리판을 수납 또는 취출할 때의 용기(1)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용기 교환 장치(90)의 배면판(110)(배면 지지 부재) 및 저면판(112)(경사시 용기 지지 부재)은 L형으로 설치되고, 이들 판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용기 적재부)에 용기(1)가 적재된다. 본 예의 유리판용 수납 취출 장치(50)에서는, 유리판(4)을 수납 또는 취출할 때,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부재(15)(도 2도 참조)를 용기(1)의 하방에 위치시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덧댐 부재(5)와 수평면(H)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 각도로 되도록 용기(1)를, 축(62)[도 5의 축(116)]을 중심으로 경사시킨다.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tate of the container 1 at the time of accommodating or taking out a glass plate in the storage take-out apparatus 50 for glass plates. The back plate 110 (back support member) and the bottom plate 112 (container support member at the time of inclination) of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90 are installed in L shape, and are divided into the space (container loading part) partitioned by these plates. The container 1 is loaded. In the storage take-out apparatus 50 for glass plates of this example, when storing or taking out the glass plate 4, as shown to FIG. 4 (a), the positioning member 15 (refer FIG. 2) is made into a container ( 4B, the container 1 is positioned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padding member 5 and the horizontal surface H becomes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4B. The axis 116 of FIG. 5.

또한, 용기(1)를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시키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또한, 수납 취출 장치(50)는 재질, 치수, 및 구조 등도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즉, 수납 취출 장치(50)는 사용하는 용기(1)에 따라서 그의 특성을 결정하면 된다.In addition, it is not essential to incline the container 1 as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he storage taking-out apparatus 50 is not limited at all by material, a dimension, a structure, etc., either. That is, the storage take-out apparatus 50 may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container 1 to be used.

다음에, 본 발명의 용기 교환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도 5는 본 발명의 용기 교환 장치(90)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 실시 형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12는 도 5에 도시하는 장치(90)의 동작을 알기 쉽게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을 행한다.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changer 90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90 shown in FIG. 5.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도 5에 도시하는 용기 교환 장치(90)는 소정 매수의 유리판을 수납한 채워진 용기(92)(도 6 참조)와, 유리판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빈 용기(94)(도 6 참조)를 교환하는 것이다. 용기 교환 장치(90)는, 기본적으로 제1 및 제2 가대(96, 97)와, 전달 기구(56)[기도기(98)]와, 제1 및 제2 주행 대차(100, 102)와, 제1 및 제2 이동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90 shown in FIG. 5 replaces the filled container 92 (refer FIG. 6) which accommodate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glass plates, and the empty container 94 (refer FIG. 6) in which the glass plate is not accommodated. will be. The container exchange device 90 basically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mounts 96 and 97, the delivery mechanism 56 (airway machine 98),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100 and 102, and And first and second movement control units (not shown).

제1 가대(96)는 기도기(98), 후술하는 제2 주행 대차(100)가 따라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레일)(104)가 배치됨과 함께, 제2 이동 제어부 등이 설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체이다. 제1 가대(96)의 길이 방향의 한쪽측(도 6 중, 좌우 방향의 좌측)은 제1 및 제2 주행 대차(100, 102)에 용기를 공급, 반출하는 위치(이하, 용기 공급 반출 위치라고도 함)이다.The first mount 96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a guide (rail) 104 which linearly moves along an airway machine 98 and a second traveling truck 10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and a second movement control unit or the like is installed. It is a frame. One side of the first mount 9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FIG. 6) is a position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containers to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100 and 1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ainer supply and unloading position). Also called).

제2 가대(97)는, 후술하는 제1 주행 대차(100)가 따라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레일)(105)가 배치됨과 함께, 제1 이동 제어부 등이 설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체이다. 제2 가대(9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대(96)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의 길이 방향(도 6 중, 좌우 방향)의 양측이 제1 가대(96)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2 가대(97)의 하면은, 후술하는 제2 주행 대차(102)용 가이드(104) 및 제2 주행 대차의 미끄럼 이동 기구(129)보다 높게 되어 있다.The 2nd mount 97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rame body in which the guide (rail) 105 which linearly moves along the 1st traveling cart 100 mentioned later is arrange | positioned, and a 1st movement control part etc.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mount 97 is provided in substantially parallel with the first mount 96, and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 9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IG. 6,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mount 97 are positioned.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es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2nd stand 97 becomes higher than the guide 104 for the 2nd traveling cart 102 mentioned later, and the sliding mechanism 129 of the 2nd running truck.

기도기(98)는 전달 기구(56)(도 3 참조)와 용기 경사 기구(도 4 참조)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이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대(96)의 길이 방향의 용기를 공급, 반출하는 위치와 반대측(도 6 중, 좌우 방향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기도기(98)의 배면판(110)(배면 지지 부재) 및 저면판(112)(경사시 용기 지지 부재)(도 6 참조)은 L형으로 설치되고, 이들 판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용기 적재부)에 용기가 적재된다. 기도기(98)는 제1 및 제2 주행 대차(100, 102)에 의해 용기가 기도기(98)의 상방의 소정 위치로 반송될 때, 배면판(110)의 상면의 제1 및 제2 주행 대차(100, 102)의 용기 지지부(106, 122)의 상면에 대한 각도[이하, 배면판(110)의 각도라고도 함]가 0 내지 -10도로 되는 위치에 정지하여 대기한다. 또한, 기도기(98)는 승강 기구(114)에 의해 제1 가대(96)의 폭 방향[즉, 제1 및 제2 주행 대차(100, 102)의 이동 방향과 대략 직교하고, 또한 제1 및 제2 주행 대차(100, 102)의 용기 지지부(106, 122)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116)을 중심으로 하여, 배면판(110)의 경사 각도를 -10 내지 85도의 범위에서 배면판(110)을 회전시킴으로써, 용기를 경사시켜(도 4 참조), 제1 주행 대차(100) 또는 제2 주행 대차(102)와의 사이에서 용기의 전달을 행함과 함께, 용기를 유리판의 수납 위치 혹은 취출 위치에 설치한다.The airway machine 98 combines the functions of the delivery mechanism 56 (see FIG. 3) and the container inclination mechanism (see FIG. 4), and as shown in FIG. 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ount 96. It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right side of a left-right direction in FIG. 6) to the position which supplies and carries out a container. The back plate 110 (back support member) and the bottom plate 112 (container support member at the time of inclination) (refer to FIG. 6) of the airway machine 98 are installed in L shape, and the space partitioned by these plates (container) The container is loaded in the stacking section). The airway machine 98 is the first and seco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10 when the container is convey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the airway machine 98 by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100 and 102.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106 and 122 of the traveling trolley | bogie 100 and 102 (henceforth an angle of the back plate 110) stops and waits in the position which becomes 0 to -10 degree | times. In addition, the airway device 98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mount 96 (ie,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100 and 102) by the elevating mechanism 114, and the first direction. And an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 plate 110 around the axis 116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container supports 106 and 122 of the second travel trucks 100 and 102. By rotating the back plate 110 in the range shown in FIG. 4, the container is inclined (see FIG. 4), the container is transferred between the first travel truck 100 or the second travel truck 102, and the container is opened. It is installed in the storage position or extraction position of a glass plate.

또한, 전달 기구(56)의 일례로서 기도기(98)를 예시하였지만, 전달 기구(56)는 용기 경사 기구의 기능을 구비하는 기도기(98)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용기를 경사시킬 필요가 없으면 기도기(98)(용기 경사 기구)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전달 기구(56)로서 받침대를 설치하고, 이 받침대 상에 용기를 평행 배치한 상태에서 유리판(4)의 수납 및 취출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전달 기구(56)는 제1 또는 제2 주행 대차(100, 102)와의 사이에서 용기의 전달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 그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although the airway machine 98 wa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the delivery mechanism 56, the delivery mechanism 56 is not limited to the airway machine 98 which functions as a container inclination mechanism. That is, if there is no need to incline the container, there is no need to install the airway device 98 (container inclination mechanism), and a pedestal is provided as the delivery mechanism 56, and the glass plate 4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arranged in parallel on the pedestal.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performs storage and take-out of this. That is, the specific mechanism is not limited at all as long as the transmission mechanism 56 can transfer a container between the 1st or 2nd traveling carts 100 and 102. FIG.

또한, 경사시 용기 지지 부재는 상기의 저면판(112)과 같이 판 형상 부재여도 되지만, 용기를 경사시켰을 때에, 용기가 낙하되지 않거나, 혹은 어긋나지 않도록 용기와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는 기구의 것이라면, 그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tainer support member at the time of inclination may be a plate-like member like the said bottom plate 112, if it is a thing of the mechanism which can be supported by combining with a container so that a container may not fall or shift when the container is inclined, Its specific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at all.

승강 기구(114)의 구체적 수단은 승강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면 전혀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파워 실린더, 유압 실린더, 에어 실린더, 스크류 잭 등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이하 마찬가지이다.The specific means of the lifting mechanism 114 are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realize the lifting function. Examples thereof include a power cylinder, a hydraulic cylinder, an air cylinder, a screw jack, and the like.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제1 주행 대차(100)는 그의 본체(126)의 하부에 미끄럼 이동 기구(127)가 설치되어 있고, 제2 가대(97)의 프레임체 상에 그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가이드(105)를 따라, 제1 이동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2 가대(97)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미끄럼 이동 기구(127)는 예를 들어 LM 가이드, 리니어 가이드 또는 차륜을 예시할 수 있고, 다른 미끄럼 이동 기구를 조합해도 된다. 제1 주행 대차(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도기(98)의 배면판(11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ㄷ자형으로 형성된 용기 지지부(106)를 갖는다. 용기 지지부(106)의 상면에, 채워진 용기(92) 또는 빈 용기(94)가 적재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행 대차(100)는 용기 전달시 및 용기 반송시에 발생하기 쉬운 기도기(98)의 배면판(110)의 상면과 용기의 저면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 지지부(106)의 제2 가대(97)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승강 기구를 설치하고, 이 승강 기구에 의해 용기 지지부(106)를 승강시켜 용기(94)를 용기 지지부에 적재해도 된다. 또한, 승강 기구는 본체(126)의 중앙부에 설치하고, 양단부에 직선 이동 기구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마찰 방지 대책으로서는, 기도기에 승강 기구를 설치해도 된다.In the first traveling cart 100, a sliding mechanism 127 is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126, and the guide 105 formed on the frame of the second mount 97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provided. Therefore, it linearly move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2nd mount stand 97 under control of a 1st movement control part. The sliding mechanism 127 can illustrate an LM guide, a linear guide, or a wheel, for example, and may combine other sliding mechanisms. As shown in FIG. 5, the first travel truck 100 includes a container support 106 formed in a U shape to surround the back plate 110 of the airway machine 98.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06, a filled container 92 or an empty container 94 is load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raveling cart 100 is a container support part 106 in order to prevent fric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10 of the airway machine 98 a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which are likely to occur during container delivery and container delivery. Lifting mechanisms may be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mount frame 97 of), and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106 may be raised and lowered by this lifting mechanism to load the container 94 into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In addition, the elevat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main body 126 and may be provided with a linear moving mechanism at both ends. As an anti-friction countermeasure, an elevat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in the airway.

또한, 제1 주행 대차(100)의 용기 지지부(106)의 형상은 ㄷ자형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를 지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지만, ㄷ자형으로 함으로써 용기 저면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ㄷ자형으로 함으로써, 양측의 용기 지지부를 연결할 수 있고, 제1 이동 제어부에 의해 양측의 용기 지지부를 동기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106 of the 1st traveling cart 100 is not limited to a C shape, What kind of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support a container, but by making a C shape, the contact area with the bottom of a container can be enlarged.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Moreover, by making a U shape, both container support parts can be connect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move the container support parts of both sides by the 1st movement control part in synchronization.

제1 이동 제어부는 제1 주행 대차(10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제1 이동 제어부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1 가대(96)에 설치된 제1 서보 모터와, 제1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제1 서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 타이밍 벨트를 갖는다. 또한, 제1 주행 대차(100)는 제1 타이밍 벨트에 연결되어 있다.The first movement control unit moves the first travel cart 100. Although not shown, the 1st movement control part is a 1st servo motor provided in the 1st mount 96, the 1st control part which controls a 1st servo motor, and the 1st servo motor is driven, for example. Has a timing belt. In addition, the first travel truck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timing belt.

제1 이동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1 서보 모터는 정역회전을 행하여 제1 타이밍 벨트가 도 6 중 좌우로 구동되고, 제1 주행 대차(100)는 제1 타이밍 벨트의 이동에 따라서 도 6 중 좌우로 이동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movement control unit, the first servo motor performs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so that the first timing belt is driven left and right in FIG. 6, and the first travel truck 100 is in FIG. 6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timing belt. Move left and right.

제2 주행 대차(102)는 제1 주행 대차(100)와 마찬가지로, 그의 본체(128)의 하부에 미끄럼 이동 기구(129)(도 5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제1 가대(96)의 길이 방향으로, 또한 제1 주행 대차(100)용 가이드(105)의 외측에 가이드(105)와 대략 평행하게 각각 형성된 가이드(104)를 따라 제2 이동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1 가대(96)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주행 대차(100)용 가이드(105)와, 제2 주행 대차(102)용 가이드(104)는 대략 동일한 길이이다. 제2 주행 대차(10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주행 대차(100)의 용기 지지부(106)의 폭 방향보다 외측으로 각각 직사각 형상의 용기 지지부(122)를 갖는다. 용기 지지부(122)의 상면에 채워진 용기(92) 또는 빈 용기(94)가 적재된다. 용기 지지부(12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제1 가대(96)의 폭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용기의 폭보다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용기 지지부(122)는 그의 본체(128)끼리가 제2 가대(97) 아래에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이동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양측 용기 지지부(122)를 동기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용기 지지부(122)의, 제1 가대(96)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 승강 제어부(승강 기구)(115)에 의해 동기하여 승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승강 기구는 본체(128)의 중앙부에 설치하고, 양단부에 직선 이동 기구를 설치해도 된다.Similar to the first travel trolley 100, the second travel trolley 102 is provided with a sliding mechanism 129 (see FIG. 5)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28, and has a length of the first mount 96. Direction of the first mount 96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moving control unit along the guide 104 formed in the direction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guide 105 on the outside of the guide 105 for the first travel truck 100, respectivel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uide 105 for the first travel truck 100 and the guide 104 for the second travel truck 102 have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travel cart 102 has a container support part 122 having a rectangular shape, respectively, outward from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106 of the first travel cart 100. The filled container 92 or the empty container 94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22. As shown in FIG. 5, the container support part 122 is extended by the predetermined length rath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a container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1st mount 96, respectively. Moreover, since the main body 128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122 is connected under the 2nd mount 97, it can move both container support parts 122 in synchronization by control of a 2nd movement control part. Moreover, it is possible to raise and lower synchronously by the elevation control part (lift mechanism) 115 provided in the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1st mount 96 of each container support part 12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elevat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main body 128, and the linear movement mechanism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여기서, 양측 용기 지지부(122)의 형상 및 치수 등은 용기를 지지할 수 있으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Here, the shape and the dimension of the both side container support part 122 are not limited at all as long as it can support a container.

제2 이동 제어부는 제2 주행 대차(102)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제2 이동 제어부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1 가대(96)에 설치된 제2 서보 모터와, 제2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와, 제2 서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2 타이밍 벨트를 갖는다. 또한, 제2 주행 대차(102)는 제2 타이밍 벨트에 연결되어 있다.The second movement control unit moves the second travel truck 102.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movement control unit includes a second servo motor provided on the first mount 96,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servo motor, and a second timing belt driven by the second servo motor. Have In addition, the second travel truck 102 is connected to the second timing belt.

제2 이동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2 서보 모터는 정역회전을 행하여, 제2 타이밍 벨트가 동일 도면 중 좌우로 구동되고, 제2 주행 대차(102)는 제2 타이밍 벨트의 이동에 따라서 도 6 중 좌우로 이동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movement control unit, the second servo motor performs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so that the second timing belt is driven left and right in the same drawing, and the second travel truck 102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timing belt. Move left and righ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용기를 교환할 때, 제1 및 제2 이동 제어부는 제1 및 제2 서보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제1 서보 모터가 정회전시에는 제2 서보 모터는 역회전이며, 예를 들어 제1 주행 대차(100)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제2 주행 대차(102)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와 같이, 양자는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장치를 간소화 및 콤팩트하게 하기 위해, 제1 주행 대차와 제2 주행 대차가 동기하여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container is replaced,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control units rotate the first and second servo motors in the reverse direction. That is, when the first servo motor is rotated forward, the second servo motor is reverse rotated. For example, the first travel cart 100 is from right to left, and the second travel cart 102 is from left to right. Both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everse is also true. In order to simplify and compact the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ravel bogie and the second travel bogie move synchronously.

제1 및 제2 이동 제어부는 본 발명의 이동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며, 제1 주행 대차(100)와 제2 주행 대차(102)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그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The 1st and 2nd movement control part comprises the movement mechanism of this invention, and if the 1st traveling cart 100 and the 2nd traveling cart 102 can be moved to the reverse direction, the specific structure is not limited at all.

다음에,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채워진 용기(92)의 반출시를 예로 들어, 용기 교환 장치(90)의 동작과 함께 본 발명의 용기 교환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12에서는, 장치(90)의 동작을 알기 쉽게 설명하는 목적에서, 장치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유리판(4)을 수납하는 경우와 취출하는 경우는, 공급 또는 반출하는 용기가 채워진 용기인지 빈 용기인지의 차이는 있지만 동작은 마찬가지이므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빈 팰릿을 용기 교환 장치(90)에 공급하고, 유리판이 적재된 채워진 용기(92)를 용기 교환 장치(90)로부터 반출할 때, 즉, 유리판을 채취하여 용기에 수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6-12, the container exchange method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operation | movement of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90 as an example when taking out the filled container 9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FIG. 6-12, the apparatus structure is abbreviate | omitted and shown for the purpose of demonstrating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apparatus 90 clearly. In addition, when storing and taking out the glass plate 4,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whether the container to be supplied or taken out is a filled container or an empty container, but since the operation is the same, in this embodiment, the empty pallet is replaced with a container replacement device ( The case where it supplies to the container 90 and carries out the filled container 92 with which the glass plate was loaded from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90, ie, takes out a glass plate and stores it in a container, is demonstrated.

(스텝 1)(Step 1)

이하의 설명에서는, 초기 상태로서, 기도기(98)의 용기 적재부에 이미 용기(92)가 적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도기(98)는 승강 제어부(114)에 의해 그의 축(116)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배면판(110)의 각도가 0 내지 85도인 범위에서 로봇 핸드가 닿는 거리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의 각도(이하, 본 실시예의 경사 각도라 함)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ntainer 92 is already loaded in the container loading portion of the airway machine 98 as an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6, the airway machine 98 is rotated clockwise in the figure by the lifting control unit 114 around its axis 116 and is pushed upwards. The angl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is embodiment) determined by the distance the robot hand touches in the range of 0 to 85 degrees.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유리판(4)을 빈 용기(94)에 수납할 때에는, 전술한 유리판용 수납 취출 장치(50)에 의해, 유리판(4)이 기도기(98) 상에 적재된 용기(94) 내에 1매씩 수납된다. 또한, 유리판(4)을 채워진 용기(92)로부터 공급할 때에는, 수납 취출 장치(50)에 의해 용기(92) 내에 수납된 유리판(4)이 1매씩 취출된다.When storing the glass plate 4 in the empty container 94 like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in which the glass plate 4 was mounted on the airway machine 98 by the above-mentioned storage take-out apparatus 50 for glass plates ( 94 sheets are stored one by one. In addition, when supplying the glass plate 4 from the filled container 92, the glass plate 4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92 is taken out one by one by the storage taking-out apparatus 50. As shown in FIG.

제1 주행 대차(100)는 용기 지지부(106)가, 기도기(98)의 배면판(110)이 하방으로 인하되어, 그의 배면판(110)의 각도가 약 0도로 되었을 때에, 제1 주행 대차(100)의 용기 지지부(106) 상면의 높이가 배면판(110)의 상면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하여, 도 6 중 우측의 기도기(98)와 용기를 전달하는 위치(이하, 용기 전달 위치라고도 함)에 대기하고 있다.When the container support part 106 lowers the back plate 110 of the airway machine 98, and the angle of the back plate 110 becomes about 0 degree | times, the 1st running cart 100 is a 1st ru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106 of the trolley 100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10, and the position to deliver the container to the right airway 98 and the container in FIG. 6 (hereinafter, (Also called a container delivery location).

한편, 제2 주행 대차(102)는 용기 지지부(122)의 상면에 빈 용기(94)가 적재되어, 용기 공급 반출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travel truck 102, an empty container 94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122, and is waiting in the container supply carrying-out posi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용기 교환 장치(90)에 공급되는 용기, 혹은 용기 교환 장치(90)로부터 반출되는 용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에 의해 반송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용기의 공급시에는 빈 용기(94)가 제2 주행 대차(102)의 용기 지지부(122)의 소정 위치에 적재된다. 한편, 용기의 반출시에는 제1 주행 대차(100) 상에 적재되어 용기 공급 반출 위치까지 이동된 채워진 용기(92)가 운반된다.As shown in FIG. 5, the container supplied to this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90, or the container carried out from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90 is conveyed by the forklift as mentioned abov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empty container 94 is mount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122 of the 2nd running cart 102 at the time of supply of a contain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iner is taken out, the filled container 92 which is loaded on the first travel truck 100 and moved to the container supply take-out position is transported.

(스텝 2)(Step 2)

도 7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주행 대차(102)의 양측의 용기 지지부(122)가 승강 제어부(115)에 의해 소정 높이 상승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주행 대차(102)의 양측의 용기 지지부(122)는 그의 하면 위치가, 후술하는, 제1 주행 대차(100) 상에 적재된 채워진 용기(92)의 상면 위치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된다.As shown by the arrow in FIG. 7, the container support part 122 of the both sides of the 2nd running cart 102 is raised by the elevation control part 115 by predetermined height. Specifically, the container support part 122 of the both sides of the 2nd traveling cart 102 is a position whose lower surface position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position of the filled container 92 mounted on the 1st traveling cart 100 mentioned later. Is raised.

(스텝 3)(Step 3)

도 8 우측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채워진 용기(92)가 적재된 기도기(98)가 그의 축(116)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하방으로 인하되어, 배면판(110)의 각도가 약 0도인 위치(수평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에 의해, 채워진 용기(92)는 기도기(98)의 배면판(110) 및 제1 주행 대차(10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기도기(98)가 배면판(110)의 각도가 마이너스로 되도록 회전하면, 제1 주행 대차(100)의 용기 지지부(106)의 상면 위치보다 배면판(110) 상면이 내려가고, 채워진 용기(92)는 제1 주행 대차(100)에 의해 지지되어 채워진 용기(92)가 전달된다.As indicated by the arrow on the right side of FIG. 8, the airway machine 98 in which the filled container 92 is loaded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figure and lowered downward, with the back plate ( It moves to the position (horizontal position) which the angle of 110 is about 0 degree. As a result, the filled container 92 is supported by the back plate 110 of the airway machine 98 and the first travel truck 100. In addition, when the airway machine 98 rotates such that the angle of the rear plate 110 becomes negative,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late 110 is lowered from the upper surface position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106 of the first travel truck 100, and the filled portion is filled. The container 92 is delivered by the container 92 supported and filled by the first travel truck 100.

또한, 제1 주행 대차(100)에 승강 기구를 설치한 경우에는, 제1 주행 대차(100)는 용기 전달 위치에서 기도기(98)의 배면판(110)이 하방으로 인하되어, 그 배면판(110)의 각도가 약 0도로 되었을 때에, 제1 주행 대차(100)의 용기 지지부(106) 상면의 높이가 배면판(110)의 상면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하방의 높이로 되도록 하여 대기한다. 계속해서, 기도기(98)가 하강 이동하여 배면판(110)의 각도가 약 0도로 되는 위치에서 정지한 후, 제1 주행 대차(100)의 용기 지지부(106)의 상면이 기도기(98)의 배면판(110)의 상면보다 높아지도록 용기 지지부(106)를 상승시켜, 용기를 전달해도 된다. 이에 의해, 용기 전달시 및 제1 주행 대차(100)의 이동시에, 채워진 용기(92)의 하면과 기도기(98)의 배면판(110)의 상면이 마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도기(98)와 제1 주행 대차(100)의 승강 기구를 조합하여 용기의 전달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when the elevating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first travel truck 100, the first travel truck 100 has the rear plate 110 of the airway machine 98 lowered at the container delivery position, and the rear plate. When the angle of the 110 is about 0 degrees,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106 of the first travel truck 100 is approximately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late 110. Wait. Subsequently, after the airway machine 98 moves downward and stops at a position where the angle of the rear plate 110 is about 0 degrees, the upper surface of the vessel support part 106 of the first travel truck 100 is the airway machine 98. The container support part 106 may be raised so that it may become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10 of (), and you may deliver a container. Thereby, the fri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lled container 9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10 of the airway machine 98 can be prevented reliably at the time of container delivery and the movement of the 1st traveling cart 100. In addition, the container may be delivered by combining the airway device 98 and the lifting mechanism of the first travel truck 100.

(스텝 4)(Step 4)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서보 모터가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서, 제1 및 제2 서보 모터에 대응하는 각각의 타이밍 벨트가 각각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그 결과, 도 9에 좌우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주행 대차(100)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의 제2 주행 대차(102)가 대기하고 있던 위치(용기 공급 반출 위치)까지 이동하고, 제2 주행 대차(102)는 제1 주행 대차(100)의 역방향으로,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제1 주행 대차(100)가 대기하고 있던 위치(용기 전달 위치)까지 이동한다.As shown in Fig. 9, the first and second servo motors are respectively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accordingly, respective timing bel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servo motors are respectively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s a result, as shown by the left and right arrows in FIG. 9, the first travel truck 100 moves from the right side to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travel truck 102 on the left is waiting (container supply carrying out position), and the second The traveling truck 102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first traveling truck 100 to a position (vessel delivery position) where the first traveling truck 100 on the right side has been waiting.

(스텝 5)(Step 5)

도 10의 우측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주행 대차(102)의 양측 용기 지지부(110)가 승강 제어부(115)에 의해 제2 주행 대차(102)의 용기 지지부(110)의 상면이 기도기(98)의 배면판(110)의 상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나, 또는 하방의 위치까지 하강된다. 대략 동일한 높이로 하강되면, 빈 용기(94)는 기도기(98)의 배면판(110) 및 제2 주행 대차(100)에 의해 지지된다.As indicated by the arrow on the right side of FIG. 10,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110 of the second travel cart 102 is moved by the elevating control unit 115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110 of the second travel cart 102. It is lowered to the height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10 of the base 98, or a downward position. When lowered to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the empty container 94 is supported by the back plate 110 and the second travel bogie 100 of the airway machine 98.

또한, 동시에, 제1 주행 대차(100)가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용기의 전달시에 상승 동작한 경우에는, 용기 지지부(106)는 승강 기구에 의해 상승분이 하강된다(도시하지 않음).At the same time, when the first travel cart 100 is provided with a lifting mechanism, and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the time of delivery of the container, the lifting portion 106 is lowered by the lifting mechanism (not shown).

이 시점에서, 제1 주행 대차(100)의 위치와 제2 주행 대차(102)의 위치가 바뀌어 넣어진다. 즉, 제1 및 제2 주행 대차에 적재된 용기(92, 94)의 위치가 바뀌어 넣어진다.At this point in time, the position of the first travel trolley 100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travel trolley 102 are switched. That is, the positions of the containers 92 and 94 stacked on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are switched.

(스텝 6)(Step 6)

도 11의 우측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도기(98)가 승강 제어부(114)에 의해 그의 축(116)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되어, 본 실시예의 경사 각도로 경사진다. 기도기(98)의 배면판(110)이 상승되어 제2 주행 대차(102)의 용기 지지부(122)의 상면보다 높아지면, 빈 용기(94)는 기도기(98)의 배면판(110)에 의해 지지되고, 빈 용기(94)가 주행 대차(102)로부터 기도기(98)의 L형의 용기 보유 지지부에 적재된다. 이 상태에서, 채취된 유리판(4)이 빈 용기(94) 내에 1매씩 순차 적층되어, 소정 매수의 유리판(4)이 수납된다. 또한, 상기의 기도기(98)의 동작 전에, 제2 주행 대차(102)의 용기 지지부(122)의 상면을 기도기(98)의 배면판(110)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되도록 이동한 경우에는, 제2 주행 대차(102)의 용기 지지부(110)의 상면이 기도기(98)의 배면판(110)의 상면보다 낮아진 시점에서, 빈 용기(94)는 기도기(98)의 배면판(110)에 의해 지지되고, L형의 용기 보유 지지부에 적재된다.As indicated by the arrow on the right side of FIG. 11, the airway machine 98 is rotated clockwise in the figure and pushed upwards by the elevating control unit 114 about its axis 116. Inclined at an inclined angle. When the back plate 110 of the airway machine 98 is raised to be high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vessel support part 122 of the second travel truck 102, the empty container 94 is the back plate 110 of the airway machine 98. The empty container 94 is mounted on the L-shaped container holding part of the airway machine 98 from the traveling truck 102. In this state, the collected glass plate 4 is sequentially laminated one by one in the empty container 94,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glass plate 4 is accommodated. In addition,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122 of the 2nd traveling cart 102 is moved below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10 of the airway machine 98 before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airway machine 98 mentioned above,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vessel support part 110 of the second travel truck 102 is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10 of the airway machine 98, the empty container 94 is the back plate of the airway machine 98 ( It is supported by 110 and mounted on the L-shaped container holding part.

한편, 빈 용기(94)에 1매씩 유리판을 수납하고 있는 동안에, 제1 주행 대차(100)의 용기 지지부(106) 상에 적재된 채워진 용기(9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에 의해 반출된다.On the other hand, while storing the glass plates one by one in the empty container 94, the filled container 92 loaded on the container support part 106 of the first travel truck 100 is carried out by forklift as described above. do.

제1 주행 대차(100)에 승강 기능을 마련한 경우, 제1 가대(96)의 용기 공급 반출 위치에 있어서, 예를 들어 그 위에 적재되는 용기의 저면 내의 네 코너에 대응하는 위치에 1개씩, 합계 4개의 용기(1)를 임시 배치하는 받침대를 설치하여, 제1 주행 대차(100)로부터 받침대에 채워진 용기(92)를 임시 배치(전달)하고, 계속해서 받침대 상으로부터 포크리프트에 의해 채워진 용기(92)를 반출하고, 또한 받침대 상에 포크리프트에 의해 빈 용기(94)를 임시 배치하고, 계속해서 제2 주행 대차(102)가 주행 대차(102)의 용기 지지부(122)를 상승시켜 빈 용기(94)를 용기 지지부(122)에 적재시켜도 된다.When the lifting func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travel truck 100, the container supply and unloading positions of the first mount 96 are, for example, on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four corners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loaded thereon. A pedestal for temporarily placing the four vessels 1 is provided, and the vessel 92 filled in the pedestal from the first travel cart 100 is temporarily placed (transmitted), and then the vessel filled by the forklift from the pedestal ( 92 is carried out, and the empty container 94 is temporarily arrange | positioned by a forklift on a pedestal, and the 2nd traveling truck 102 raises the container support part 122 of the traveling truck 102, and then empty container. You may mount 94 on the container support part 122. FIG.

(스텝 7)(Step 7)

도 12에 좌우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서보 모터가 각각 역방향으로, 스텝 4일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마찬가지로 각각의 타이밍 벨트가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그 결과, 제1 주행 대차(100)는 도 12에 좌우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제2 주행 대차(102)가 대기하고 있던 위치(용기 전달 위치)까지 이동하고, 제2 주행 대차(102)는 그의 역방향으로 우측으로부터 좌측의 제1 주행 대차(100)가 대기하고 있던 위치(용기 공급 반출 위치)까지 이동한다(복귀된다). 즉, 제1 및 제2 주행 대차(100, 102)는 용기 공급 반출 위치와 용기 전달 위치를 평면에서 볼 때 동일 경로로 왕복한다.As indicated by the left and right arrows in Fig. 12, the first and second servo motors ar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respectively,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in step 4, and similarly each timing belt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s a result, as shown by the left and right arrows in FIG. 12, the first travel truck 100 moves from the left side to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travel truck 102 on the right side (the container delivery position) is waiting for the second travel. The trolley | bogie 102 moves (returns) to the position (vessel supply carrying-out position) where the 1st traveling trolley | bogie 100 of the left side wai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100 and 102 reciprocate in the same path in the plan view of the container supply take-out position and the container delivery position.

이에 의해, 스텝 1의 상태로 되어, 이 이후, 상기 스텝 1 내지 스텝 7까지의 동작이 반복된다.Thereby, it will be in the state of step 1, and the operation from said step 1 to step 7 is repeated after that.

본 발명의 용기 교환 장치(90)에서는, 제2 주행 대차(102)의 양측의 용기 지지부(122)를 상승하고, 제1 및 제2 주행 대차(100, 102)를, 역방향으로 용기(1)를 용기 공급 반출 위치와 용기 전달 위치 사이를 평면에서 볼 때 동일 경로로, 또한 다른 높이에서 교차하도록 이동함으로써, 용기를 바꾸어 넣는다. 이 교환 방식이면, 2개의 용기분의 길이와 개략 1개분의 용기의 횡폭이 있으면, 2개의 용기를 바꾸어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원형 테이블 방식과 비교하여, 용기를 교환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대폭으로 작게 할 수 있다.In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90 of this invention, the container support part 122 of both sides of the 2nd travel truck 102 is raised, and the 1st and 2nd travel trucks 100 and 102 are reversed, and the container 1 is reversed. The container is switched by moving it in the same path and at different heights in plan view between the container feed take-out position and the container delivery position. According to this exchange system, if there are lengths of two containers and width of one container, two containers can be replaced.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ound table system, the space required for replacing a contain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용기 교환 장치(90)의 교환 방식에서는, 종래의 회전 테이블 방식과 같이, 회전 테이블 상의 용기 각각에 기도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유리판을 채취 또는 취출하는 위치의 1군데에 1개로 충분하므로, 기도기를 줄여 설비를 간소화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xchange method of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90 of this invention, like the conventional rotary table system, it does not need an airway machine in each container on a rotary table, but only one place in the position which collects or takes out a glass plate It is sufficient, so that the airway can be reduced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and cost reduction can be realized.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승강 기구에 의해 용기의 하방측으로부터 승강시키는 경우, 제1 및 제2 주행 대차(100, 102)의 위치를 바꾸어 넣을 때에, 승강 기구와 제2 주행 대차(102)에 적재된 용기가 충돌하지 않기 위해서는, 외측에 용기 지지부(122)가 있는 제2 주행 대차(102)에 승강 기구를 설치하여, 용기 지지부(122)를 제1 주행 대차(110)의 용기 지지부(106)에 적재된 용기(1)보다 높은 위치로 할 필요가 있다.As in the case of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elevating mechanism is lif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the elevating mechanism and the second traveling cart 102 are changed when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ing carts 100 and 102 are changed. In order not to collide with the container loaded on the container, a lifting mechanism is provided on the second travel truck 102 having the container support part 122 on the outside thereof, and the container support part 122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support part of the first travel truck 110. It is necessary to make it into the position higher than the container 1 loaded in 106.

이에 대해, 예를 들어 제1 주행 대차(100)를 용기의 상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경우, 제1 주행 대차(100)를 승강시켜도 된다.In contrast, for example, when the first travel truck 100 is suppor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the first travel truck 100 may be lifted.

따라서, 제1 및 제2 주행 대차(100, 102)의 어느 한쪽이라도, 한쪽의 주행 대차의 용기 지지부의 저면을 다른 쪽 주행 대차에 적재된 용기의 상면보다 상승시킬 수 있다. 즉, 한쪽의 주행 대차의 용기 지지부의 저면을 다른 쪽 주행 대차에 적재된 용기의 상면보다 상승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는 제1 및 제2 주행 대차(100, 102)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승강 기구는 설치의 관점에서는 하방측으로부터 승강하는 구성으로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Therefore, either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100 and 102 can rais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of one travel truck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mounted on the other travel truck. That is, the elevating mechanism for raising the bottom 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of one traveling cart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1st and 2nd traveling carts 100 and 102 for raising the lower surfac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loaded in the other traveling cart.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lifting mechanism as a structure for lifting up and down from the lower side.

또한, 본 발명은, 채워진 용기와 빈 용기를 교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채워진 용기와 채워진 용기, 혹은 빈 용기와 빈 용기를 교환하는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와 같이, 채워진 용기와 빈 용기를 교환하는 경우, 가벼운 빈 용기 쪽을 상승시키는 쪽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승강 기구의 파워나 각 부재의 강성의 문제이므로, 그들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무거운 채워진 용기 쪽을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유리판을 용기로부터 취출하기 위해 용기를 교환할 때, 채워진 용기를 빈 용기의 상방에서 교차시켜 이동시켜도 된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replacing a filled container and an empty container, It can be used also for the purpose of replacing a filled container and a filled container, or an empty container and an empty container. As in the embodiment, when replacing the filled container and the empty container, it is preferable to raise the light empty container side, but this is a problem of the power of the lifting mechanism and the rigidity of each member, and if th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heavy filled It is also possible to set it as the structure which raises a container side. That is, when replacing a container in order to take out a glass plate from a container, you may move the filled container by crossing over the empty container.

또한, 용기가 직사각 형상인 경우, 용기의 적재 방향은 그의 긴 변이 용기 지지부의 폭 방향을 향해도 되고, 짧은 변이 용기 지지부의 폭 방향을 향해도 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 주행 대차의 이동 거리의 관점에서, 용기의 긴 변을 용기 지지부의 폭 방향을 향해 용기를 주행 대차에 적재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주행 대차의 이동 거리가 짧아져, 용기 교환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ntainer is rectangular shape, the loading direction of a container may be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ng side container support part, and the short side may be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a container support part.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the moving d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it is preferable to load the container on the travel trucks with the long side of the container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Thereby, the movement distance of a 1st and 2nd running cart becomes short, and the working efficiency of container replacement can be improved.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판상체로서 유리판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판상체의 재질, 치수 및 중량 등은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지판, 금속판 등의 각종 판상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본 발명은,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대형 FPD에서 사용되는 대형 유리판을 운반하는 용기의 교환에 적합하다.In addition, in embodiment, although the glass plate was illustrated as a plate-shaped object, the material, dimension, weight, etc. of the plate-shaped object which this invention makes object are not limited at all, It is applicable also to various plate-shaped bodies, such as a resin plate and a metal plate. have. For example, this invention is suitable for the exchange of the container which conveys the large glass plate used especially for large FPD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plasma display.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이상과 같은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s described above.

이상, 본 발명의 용기 교환 장치 및 용기 교환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량이나 변경을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and the container exchange method of this invention were demonstrat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improvement and change may be carried out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ain point of this invention. Of course.

1: 용기
3: 받침대
4: 유리판
5: 상부 덧댐 부재
6: 보호재
11: 포크리프트용 구멍
15: 측판
17: 보호재
18: 합지
20: 유리 단부면 미끄럼 이동용 부재
30: 프레임체
50: 유리판용 수납 취출 장치
52: 컨베이어
54: 반송 장치
56: 전달 기구
58: 아암
60: 흡착 핸드
62, 116: 축
90: 용기 교환 장치
92, 94: 용기
96, 97: 가대
98: 기도기
100, 102: 주행 대차
104, 105: 가이드(레일)
106, 122: 용기 지지부
110: 배면판
112: 저면판
114, 115: 승강 제어부
126, 128: 본체
127, 129: 미끄럼 이동 기구
1: container
3: Pedestal
4: glass plate
5: upper padding member
6: protective material
11: hole for forklift
15: shroud
17: Protective material
18: Lamination
20: glass end face sliding member
30: frame
50: storage drawer for glass
52: conveyor
54: conveying device
56: delivery mechanism
58: arm
60: adsorption hand
62, 116: axis
90: container change device
92, 94: container
96, 97: trestle
98: prayer
100, 102: driving bogie
104, 105: guide (rail)
106, 122: vessel support
110: back plate
112: bottom plate
114, 115: elevating control unit
126, 128: main body
127, 129: sliding mechanism

Claims (5)

판상체가 수납되는 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이동하여 바꾸어 넣는 용기 교환 장치이며,
상기 제1 및 제2 용기가 각각 적재되는 제1 및 제2 주행 대차와,
상기 제1 또는 제2 주행 대차에서 상기 용기의 전달을 행하는 전달 기구와,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교환 장치에 공급 또는 상기 용기 교환 장치로부터 반출되는 위치와, 상기 전달 기구가 배치된 위치 사이를, 평면에서 볼 때 서로 동일한 경로로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 중 적어도 한쪽의 주행 대차가 상기 용기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기구가 상기 승강 기구를 구비한 주행 대차의 용기가 적재된 용기 지지부의 하면 위치를 다른 쪽 주행 대차의 용기 지지부에 적재된 용기의 상면 위치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이동 기구가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를 서로 역방향으로, 또한 각각의 용기 위치가 다른 높이에서 교차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를 바꾸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환 장치.
It is a container exchange apparatus which moves and replaces the 1st container and 2nd container which a plate-shaped object is accommodated in,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are loaded, respectively,
A delivery mechanism for delivering the container in the first or second travel cart;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in the same path in a plan view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container is supplied to or taken out of the container change device and the position where the delivery mechanism is disposed, in a plan view. With a moving mechanis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rucks is provided with a lift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ontainer,
The elevating mechanism raises the lower surface position of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container of the traveling cart provided with the elevating mechanism is load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position of the container loaded on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of the other traveling cart,
The moving mechanism moves the first and the second travel truck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each other and the respective container positions intersect at different heights so as to replace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용기를 상기 판상체의 수납 각도 혹은 취출 각도로 경사시키는 기도기(起倒機)를 구비하고, 상기 기도기는,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배면 지지 부재 및 경사시 용기 지지 부재와,
상기 배면 지지 부재 및 경사시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의 용기 지지부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환 장치.
The said delivery mechanism is equipped with the airway machine which inclines the said container by the storage angle or the extraction angle of the said plate-shaped object, The said airway machine,
A back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and a container support member when inclined;
The back support member and the container support member at the time of inclination are center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 carts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 carts. And a mechanism for rotating 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도기가 상기 배면 지지 부재 및 상기 경사시 용기 지지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용기를 상기 제1 주행 대차 또는 상기 제2 주행 대차와 상기 전달 기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환 장치.Th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irway machine delivers the container to the first travel cart or the second travel cart and the delivery mechanism by rotating the back support member and the container support member at the time of inclination. Exchang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의 양쪽이 상기 용기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의 승강 기구가 상기 용기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용기를 상기 제1 주행 대차 또는 상기 제2 주행 대차와 상기 전달 기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환 장치.
The said 1st and 2nd running bogie is provided with the elevating mechanism which raises and lowers the said container,
The elevating mechanism of the said 1st and 2nd traveling cart lifts the said container, and transfers the said container to the said 1st traveling cart or the 2nd traveling cart and the said transmission mechanism,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기재된 용기 교환 장치를 사용하는 용기 교환 방법이며,
상기 승강 기구가, 상기 승강 기구를 구비한 주행 대차의 용기가 적재된 용기 지지부의 하면 위치를 다른 쪽 주행 대차의 용기 지지부에 적재된 용기의 상면 위치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이동 기구가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대차를 서로 역방향으로, 또한 각각의 용기 위치가 다른 높이에서 교차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를 바꾸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환 방법.
It is a container exchange method using the container exchange device of Claim 1,
The elevating mechanism raises the lower surface position of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container of the traveling cart provided with the elevating mechanism is load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position of the container loaded on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of the other traveling cart,
Wherein the moving mechanism moves the first and second travel carts in a reverse direction to each other and the respective container positions intersect at different heights so as to replace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
KR1020107009599A 2007-10-31 2008-10-31 Container exchanging device and container exchanging method Active KR10137782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3294 2007-10-31
JP2007283294A JP4992668B2 (en) 2007-10-31 2007-10-31 Container exchange device and container exchange method
PCT/JP2008/069900 WO2009057758A1 (en) 2007-10-31 2008-10-31 Container exchanging device and container exchang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241A KR20100074241A (en) 2010-07-01
KR101377829B1 true KR101377829B1 (en) 2014-03-26

Family

ID=4059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599A Active KR101377829B1 (en) 2007-10-31 2008-10-31 Container exchanging device and container exchanging method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92668B2 (en)
KR (1) KR101377829B1 (en)
CN (1) CN101842303B (en)
TW (1) TW200930648A (en)
WO (1) WO2009057758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4325A (en) * 2019-06-28 2019-10-01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A kind of substrate shif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1055714A1 (en) * 2009-11-06 2013-03-28 旭硝子株式会社 Glass plate package adapter
EP3274277B1 (en) * 2015-03-27 2022-05-25 Etuan Mechatronic Pte Ltd Modular workstation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CN109607216A (en) * 2018-11-09 2019-04-12 歌尔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uxiliary loading and unloading bag apparatus and automatic material packet divide disk, closing quotation equipment
CN109454640A (en) * 2018-11-14 2019-03-12 惠科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shortening time length of exchange piece
KR102335144B1 (en) * 2020-05-08 2021-12-03 (주)가온누리시스템 Replacement system for large gas barr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970A (en) * 2001-10-22 2003-05-01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Transport facilit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0183A (en) * 1997-04-14 1999-11-09 Asys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intrabay buffer, delivery, and stocker system
AU2001284459A1 (en) * 2000-09-06 2002-03-22 Nikon Corporation Alig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vice
CN100497731C (en) * 2002-11-15 2009-06-10 株式会社荏原制作所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WO2004088741A1 (en) * 2003-03-28 2004-10-14 Hirata Corporation Wafer transportation system
ATE429031T1 (en) * 2003-08-07 2009-05-15 Nikon Corp EXPOSURE PROCED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970A (en) * 2001-10-22 2003-05-01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Transport faci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4325A (en) * 2019-06-28 2019-10-01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A kind of substrate shif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92668B2 (en) 2012-08-08
TW200930648A (en) 2009-07-16
CN101842303B (en) 2013-07-10
KR20100074241A (en) 2010-07-01
CN101842303A (en) 2010-09-22
WO2009057758A1 (en) 2009-05-07
TWI374847B (en) 2012-10-21
JP2009107797A (en) 200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4669B2 (en) Plate material conveying and storing system and plate material conveying and storing method
CN112236375B (en) Fast bin lift for automatic storage systems
KR101377829B1 (en) Container exchanging device and container exchanging method
CN111762492A (en) Stacker and three-dimensional warehouse system
CN112469646B (en) Unloading device and unloading station and method for unloading items from a storage container
US20240190657A1 (en) A storage container handl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CN110254859B (en) Boxing system
CN215205664U (en) Conveying device for vertically stacking boxes and boxing system
CN110254860B (en) Boxing method
JP7626832B2 (en) Unloading arrangement and station, and method for unloading items from a storage container - Patents.com
JPH07237710A (en) Transferring device for picking
JP2010241547A (en) Traveling vehicle system
CN219193341U (en) Frame storage line
JP5402156B2 (en) Traveling vehicle system
JP4380853B2 (en) Plate material loading / unloading device for thermal cutting machine
CN215945873U (en) Multi-layer tray converter
JP2011230859A (en) Plate-like object conveyance system
JP6564541B2 (en) Automatic warehouse system
CN115724109A (en) Box taking device, carrying robot, container carrying method and storage logistics system
JP4650680B2 (en) Transport equipment
CN220950032U (en)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processing equipment
CN219173280U (en) Handling device for stacker
JP5811838B2 (en) Goods storage equipment
JP2019210101A (en) Automatic warehouse system
JP2783920B2 (en) Sheet storage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