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234B1 - 포대 - Google Patents
포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1234B1 KR101371234B1 KR1020120158705A KR20120158705A KR101371234B1 KR 101371234 B1 KR101371234 B1 KR 101371234B1 KR 1020120158705 A KR1020120158705 A KR 1020120158705A KR 20120158705 A KR20120158705 A KR 20120158705A KR 101371234 B1 KR101371234 B1 KR 1013712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inlet
- fitting
- medicine
- pac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14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85 electric 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7 radioactive fall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27—Tear-lines for separating a package into individual packa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4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increments of material, in webs, e.g. folded or tubular webs, or by subdividing tubes filled with liquid, semi-liquid, or plastic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봉투, 봉지 등 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물을 투입한 후 간단, 신속하게 투입구를 밀봉할 수 있는 포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류 등 보관물을 저장하는 포대에 관한 것이다.
약품의 경우 이를 포장하는 약포지의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조제된 약을 개별 포장하여 환자에게 제공한다.
보관물을 포장, 밀봉할 때 사용하는 포대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포대의 투입구는 접착제, 전기융착기, 기타 고정구에 의한다.
약포지의 경우를 예를 들면, 투명의 습자지 형태의 습윤지로 폭이 작은 전면지와 폭이 큰 배면지로 이루어져 약을 투입 가능하게 일정한 간격을 따라 접착하여 사용되고 있다.
통상 접착을 위해서는 상기 습윤지에 습기나 온도에 대한 보관성을 높이도록 얇은 비닐 코팅 막을 형성하거나 투명 비닐을 사용하여 약을 투입하는 입구 부분을 포함하여 전기 가열을 이용한 융착기에 의해 가열 접착하며, 상기 약포지에 코팅된 비닐코팅이 열에 의해 서로 융착하여 밀봉되도록 되어 있었다.
약포지 밀봉에 사용되는 상기 융착기는 전기 가열에 의한 방식, 초음파에 의한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융착기는 융착기 제조 단가도 비싸고, 융착기 자체의 부피도 크기 때문에 소형 약국에서는 비용, 공간의 부담이 작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약포지는 전체를 비닐코팅 하고 약 투입부분과 절취 부분을 포함하는 접합부를 전기 융착기로 가열하여 압착하므로 일반 종이로는 약포지로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비닐을 코팅해야만 열에 의해 가열되어 서로 달라붙으므로 비닐 코팅으로 인한 약포지 단가 비용 부담을 줄이는데도 한계가 있다.
이러한 비닐 코팅의 특성 때문에 약포지를 밀봉하기 위해서는 전기 가열 융착기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비닐 코팅된 약포지는 일반 종이로 된 약포지에 비해서 제조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닐코팅이 되지 않은 일반 종이를 사용해서 원재료비를 절감하고, 고가의 초음파 또는 전기가열 융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의사의 처방에 따라 조제된 약을 단위별로 개별 포장하여 환자에게 공급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약포지 외에 서류를 동봉하는 봉투와 같은 포대에 있어서도 서류 투입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대, 약포지는,
배면지;
상기 배면지의 앞에 중첩되어 저장공간을 만들도록 배치되는 전면지;
서류, 약 등 보관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제외한 주변을 밀봉하는 테두리;
상기 테두리 중앙에 한 포씩 절취 되도록 절개되는 절취선;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구는,
상기 투입구 측의 배면지로부터 위로 돌출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상단으로부터 옆으로 평행하게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투입구 측의 전면지 및 배면지에 동시에 홈을 내어 형성되는 2개 이상 복수의 끼움받이홈;를 포함하여서,
상기 투입구에 개별 투입 양의 약을 투입시킨 후, 상기 끼움부가 상기 끼움받이홈에 위치하도록 맞추어 상기 절곡부를 접고, 상기 끼움부를 상기 끼움받이홈의 앞뒤로 번갈아 끼워서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닐코팅이 되지 않은 일반 종이를 사용해서 원재료비를 절감하고, 고가의 초음파 또는 전기가열 융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의사의 처방에 따라 조제된 약을 단위별로 개별 포장하여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병원, 약국의 수익성에 도움을 주고 결국 환자의 약 비용을 경감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 서류를 봉투 등 포대에 저장한 후에 접착제나 다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포대 재료 그 자체로만 투입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기존의 약포지를 예시하여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포대, 약포지
도 2 측면, 상측면, 평면에서 보인 전체도
도 3 A 약포지 하나를 떼어낸 예시도; B 접어진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4 A 끼움의 상태를 보인 상태도; B 뒤에서 끼움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5 다른 실시를 보인 A 실시도; B 접어진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6 다른 실시의 끼움을 보인 상태도; B 뒤에서 끼움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7 A 끼움부에 대한 다른 실시를 보인 실시도; B 끼움받이홈에 대한 다른 실시를 보인 실시도; C 끼움부의 말단부에 대한 다른 실시를 보인 실시도
이하, 본 발명의 포대, 약포지
도 2 측면, 상측면, 평면에서 보인 전체도
도 3 A 약포지 하나를 떼어낸 예시도; B 접어진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4 A 끼움의 상태를 보인 상태도; B 뒤에서 끼움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5 다른 실시를 보인 A 실시도; B 접어진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6 다른 실시의 끼움을 보인 상태도; B 뒤에서 끼움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7 A 끼움부에 대한 다른 실시를 보인 실시도; B 끼움받이홈에 대한 다른 실시를 보인 실시도; C 끼움부의 말단부에 대한 다른 실시를 보인 실시도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먼저, 도 1의 도시를 참조하여 기존의 약포지를 살펴보면,
비닐 코팅되어 반투명하게 일정하고 적당한 폭을 가지는 배면지(10)와, '제일약국' 등이 인쇄되어 상기 적당한 폭을 가지고 비닐코팅 되어 배면지(10)보다 더욱 작은 폭으로 상기 배면지(10)와 서로 중첩되는 전면지(11)와, 상기 중첩되어 비닐 코팅된 전면지(11)와 배면지(10) 사이의 공간에 1회 투약의 약을 넣기 위한 약투입부(12)와, 상기 공간을 1 포씩 구별하기 위해 상기 전면지와 배면지를 접합하는 접합부(13)와, 상기 접합부(13) 중심에 절취 가능하도록 절취눈금을 이룬 절취부(14)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약포지의 접합부(13)를 융착기에 의해 가열하면 약포지에 도포 된 비닐 코팅이 녹아 전면지와 배면지의 가열한 부분만 접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발명의 포대 및 약포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 A의 도시에서,
배면지(200);
상기 배면지(200)의 앞에 중첩되어 저장공간을 만들도록 배치되는 전면지(100);
서류, 약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400);
상기 투입구(400)를 제외한 주변을 밀봉하는 테두리(300);
상기 테두리 중앙에 한 포씩 절취 되도록 절개되는 절취선(500);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구(400)는,
상기 투입구(400) 측의 배면지(200)로부터 위로 수직으로 돌출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곡부(411);
상기 절곡부(411)의 상단으로부터 옆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끼움부(410);
상기 투입구(400) 측의 전면지(100) 및 배면지(200)에 동시에 홈을 내어 형성되는 끼움받이홈(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끼움부(410)는 상기 투입구(400)와 평행하게 옆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절곡부(411)를 따라 아래로 접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하지만, 상기 끼움부(410)는 도 7 A의 실시와 같이 상기 투입구(400)와 평행하지 않게 기울임을 주어서 연장될 수 있다.이 경우 상기 끼움부(410)의 말단부(412)가 상기 배면지(200) 혹은 전면지(100)와 밀착되어서 상기 말단부(412)가 너덜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접힌 후에 상기 끼움부가 상기 끼움받이홈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절곡부(411)를 접는 요령은 경사지게 접어주어서 접은 후에 상기 끼움부가 평행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상기 끼움받이홈(420)은 상기 끼움부(410)보다 살짝 상하 폭을 크게 형성하고 상기 전면부 및 배면부의 같은 자리를 관통하여 앞뒤로 뚫린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7 C의 실시처럼 상기 말단부(412)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a)를 두어서 상기 끼움받이홈(420)의 상단(b1) 및 하단(b2)에 걸리도록 하여서 끼움 후에 빠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빠짐방지와 관련하여 다른 실시를 생각해 볼 수 있는 바, 도 7 B의 예시처럼 상기 끼움받이홈(420)의 위치를 번갈아서 각각 위,아래로 이동하면 상하로 파인 홈이 갭(b)이 생기고 상기 갭으로 인하여 상기 끼움부(410)가 한 번은 끼움받이홈(420)의 상단에 걸리고 다른 한번은 하단에 걸려서 마찰력이 증가하여 빠지지 않게 잡아둘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도 2의 예시처럼 투입구(400)에 개별 투입 양의 약(15) 또는 서류, 기타 보관할 물건을 투입시킨 후, 도 3 B와 같이 상기 끼움부(410)가 상기 끼움받이홈(420)에 위치하도록 맞추어 상기 절곡부(411)를 접고, 도 4처럼 상기 끼움부(410)를 상기 끼움받이홈(420)의 앞뒤로 끼워나간다. 이렇게 하면 별도의 융착기나 접착풀의 도움없이 상기 투입구(400)를 폐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는, 절곡부(411)를 투입구(400)의 좌우 폭 가운데에 형성하고 양 옆으로 끼움부(410)를 연장 형성하는 예시이다. 이에따라 끼움받이홈(420)의 위치도 투입구(40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도 6 B와 같이 넓은 면적(s)의 절곡부(411)에 의하여 투입구(400)가 확실하게 밀봉되는 장점이 있다.
전면지(100); 배면지(200); 투입구(400); 절곡부(411);
Claims (1)
- 배면지;
상기 배면지의 앞에 배치되는 전면지;
보관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제외한 주변을 밀봉하는 테두리;
상기 테두리 중앙에 형성되는 절취선;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구는,
상기 투입구 측의 배면지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로부터 옆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투입구 측의 전면지 및 배면지에 동시에 홈을 내어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받이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8705A KR101371234B1 (ko) | 2012-12-31 | 2012-12-31 | 포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8705A KR101371234B1 (ko) | 2012-12-31 | 2012-12-31 | 포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1234B1 true KR101371234B1 (ko) | 2014-03-13 |
Family
ID=5064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8705A KR101371234B1 (ko) | 2012-12-31 | 2012-12-31 | 포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123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0203B1 (ko) * | 2019-07-02 | 2020-08-31 | 안정관 | 클리어 파일 속지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6853Y1 (ko) | 2000-07-12 | 2000-12-15 | 한계주 | 일회용 약봉지 |
KR200367132Y1 (ko) | 2004-08-03 | 2004-11-10 | 임태권 | 내습성과 투시성을 갖는 약포지 |
-
2012
- 2012-12-31 KR KR1020120158705A patent/KR1013712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6853Y1 (ko) | 2000-07-12 | 2000-12-15 | 한계주 | 일회용 약봉지 |
KR200367132Y1 (ko) | 2004-08-03 | 2004-11-10 | 임태권 | 내습성과 투시성을 갖는 약포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0203B1 (ko) * | 2019-07-02 | 2020-08-31 | 안정관 | 클리어 파일 속지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RPI0519727B1 (pt) | Sheet container | |
JP2013502349A5 (ko) | ||
TW201247490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packing bag and packing bag | |
KR100747063B1 (ko) | 포장체 | |
KR102103915B1 (ko) |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구조 | |
JP6108517B2 (ja) | 包装袋 | |
JP6108686B2 (ja) | 薬剤分包装置 | |
CN104936869B (zh) | 烟品的包装及相关的包装方法 | |
JP2001505168A (ja) | 不定体積の物品の集合体を包装するためのパック、方法及び装置 | |
KR101371234B1 (ko) | 포대 | |
KR200367132Y1 (ko) | 내습성과 투시성을 갖는 약포지 | |
KR20190134642A (ko) | 흡연 물품을 위한 용기 | |
KR101371233B1 (ko) | 투입구의 개폐가 용이한 봉투 | |
KR101345990B1 (ko) | 의약품 약포지 | |
KR101345991B1 (ko) | 약포지 | |
KR101364776B1 (ko) | 끼움부를 갖는 약포지 | |
KR101364775B1 (ko) | 의약품포장지 | |
JP4724458B2 (ja) | 包装体、薬剤包装体、ヒートシール装置、および薬剤分包装置 | |
US8256958B2 (en) | Tamper evident pharmaceutical pouch | |
US20150101283A1 (en) | Device for producing a packaging for tablets | |
CN108137187B (zh) | 包含插入件的可重复密封的容器和其制造方法 | |
JP7003038B2 (ja) |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 |
JP6807344B2 (ja) | 喫煙品用パック | |
KR100702624B1 (ko) | 지대용지 및 지대 | |
BR112016024100B1 (pt) | Embalagem de envoltório do fluxo relacrável para lenços umedecido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