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060B1 -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 및 그 해물 칼국수 - Google Patents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 및 그 해물 칼국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060B1
KR101370060B1 KR1020120113836A KR20120113836A KR101370060B1 KR 101370060 B1 KR101370060 B1 KR 101370060B1 KR 1020120113836 A KR1020120113836 A KR 1020120113836A KR 20120113836 A KR20120113836 A KR 20120113836A KR 101370060 B1 KR101370060 B1 KR 10137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eafood
broth
noo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숙
Original Assignee
최원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숙 filed Critical 최원숙
Priority to KR102012011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10리터 육수 용기에 다시마 30 내지 55 중량부, 대파 50 내지 80 중량부, 양파 200 내지 550 중량부 및 간마늘 20 내지 30 중량부를 넣고 3 내지 5시간 정도 중불에서 가열하여 육수를 만드는 단계와; 고급 중력 밀가루 100 중량부, 전분가루 20 내지 35 중량부, 식용유 0.5 중량부, 소금 5 내지 9 중량부 및 소다 0.3 내지 1 중량부에 물 20 내지 35 중량부를 넣고 반죽한 후 비닐 봉투에 반죽물을 넣고 밀봉한 후, 영하 4도 이하에서 3 내지 5 시간 저온 숙성하되, 상기 숙성된 반죽을 제면기에 13 내지 20회 압축하여 제면하는 단계와; 싱싱한 산낙지 및 산전복을 깨끗이 씻어 준비하고, 키조개, 가리비, 바지락, 참조개, 동죽, 홍합 등의 패류는 적어도 2회 이상 해감하며, 용기에 만들어진 상기 육수, 야채 및 양념을 넣고 상기 해감된 키조개, 가리비, 바지락, 참조개, 동죽, 홍합을 배치하고, 상기 산낙지와 상기 산전복을 상기 패류 위에 배치하여 뚜껑을 덮고 조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면된 칼국수를 상기 용기에 넣고 5 내지 10분간 가열하는 단계로 구성됨으로써, 다시마, 대파, 양파, 간마늘이 조화를 이루어 해물 조개맛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탁월한 식감의 칼국수 면발을 구현함은 물론, 육수가 담겨진 용기에 생물인 산낙지, 산전복, 키조개, 가리비, 바지락, 참조개, 동죽, 홍합 등을 깨끗하게 해감하여 고명과 같이 가지런히 배치하여 즉석에서 조리한 후 식용토록 한 다음 칼국수를 넣어 식용토록 함으로써, 신선하고 영양이 높은 건강 보양 칼국수를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 및 그 해물 칼국수 {Method of manufacturing handmade chopped noodles with seafood and them thereof}
본 발명은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 및 그 칼국수에 관한 것이다.
칼국수는 밀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하여 얇게 밀어 만든 국수를 삶아 육수에 말거나 또는 육수에 넣고 끓인 후 그 위에 고명을 얹어 밥을 대용하는 음식으로 소화가 용이하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즐기는 우리 나라 고유의 음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칼국수는 예부터 지금까지 면이나 국물에 있어 별다른 변화가 있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00938호(등록일자: 2009.5.28., 발명의 명칭: 콩칼국수 제조방법 및 그 칼국수)는 콩분말 100중량부에 밀가루 50∼100중량부, 감자가루 30∼60중량부, 메밀가루 15∼30중량부, 옥수수가루 7∼15중량부를 포함하여서 되는 원재료에 물을 가하여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된 반죽물을 이용하여 칼국수의 면을 제조하는 단계와, 새송이버섯, 표고버섯, 양송이버섯, 당근, 부추, 호박, 양파, 생강, 마늘 및 청양고추를 포함하여서 되는 야채 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전복, 낙지, 굴, 새우, 홍합, 백합조개 및 키조개를 포함하여서 되는 해물 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물에 열을 가하여 끓인 후, 상기 끓는 물에 상기 준비된 해물 육수재료 및 야채 육수재료를 차례로 투입하고 열을 가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육수에 상기 제조된 칼국수의 면을 투입하고 열을 가하여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야채 육수재료는 새송이버섯 100중량부, 표고버섯 50∼70중량부, 양송이버섯 50∼70중량부, 당근 15∼30중량부, 부추 20∼40중량부, 호박 90∼110중량부, 양파 50∼70중량부, 생강 1∼3중량부, 마늘 15∼30중량부 및 청양고추 7∼13중량부를 포함하여 되고, 상기 해물 육수재료는 전복 100중량부, 낙지 30∼50중량부, 굴 120∼150중량부, 새우 30∼50중량부, 홍합 800∼1200중량부, 백합조개 80∼150중량부 및 키조개 100∼14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칼국수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콩국물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칼국수의 면을 콩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다양한 야채와 해물을 이용하여 육수를 제조함으로써, 전통식품인 콩의 영양성분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콩 특유의 고소하고 단백한 맛을 칼국수 면에서 느낄 수 있어 남녀노소 다양한 계층이 즐길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재료를 육수에 활용하여 칼국수의 섭취만으로 5군의 영양분을 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62692호(등록일자: 2004.2.14., 발명의 명칭: 밀가루 반죽 제품의 제조방법)는 밀가루 200중량부, 식미감증가제 15중량부, 면발증가제 2.4중량부, 식용유 0.675중량부, 소금 0.5 내지 1중량부, 소주 1.8 내지 3.6중량부 및 물 13 내지 15중량부를 첨가 혼합반죽하여 반죽덩어리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어진 밀가루 혼합반죽 덩어리를 28℃ 내지 32℃의 온도에서 2시간30분 내지 3시간 30분 동안 숙성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얻어진 숙성된 반죽덩어리를 밀가루반죽 플레이트 성형기에 의해 두께(3mm ~ 5mm) x 폭(25cm) x 길이(25cm)의 크기로 판성형한 후 개별포장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가루 반죽 제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장기간 변색 억제가 가능한 밀가루 반죽 제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1주일이상 밀가루반죽 제품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장기간(1주일 정도) 유통이 가능한 밀가루 반죽 제품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74121호(등록일자: 2010.7.29., 발명의 명칭: 칼국수 및 수제비 반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는 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수수가루 70 내지 100 중량부; 및 찰수수 육수 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진 칼국수 및 수제비 반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메수수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생 콩가루 0.1 내지 0.2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콩식용유, 포도씨유 및 해바라기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되, 그 함량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 1㎏당 1개의 달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국수 및 수제비 반죽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수수를 다량 함유하는 칼국수 및 수제비 반죽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쫄깃한 질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침 해소 및 개선, 해독, 위장보호 및 소화촉진 효과가 있는 칼국수 및 수제비를 제조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칼국수의 제면시 다양한 곡물이나 성분을 첨가하여 특수한 제면을 만들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칼국수를 제공하고자 하고 있으나 현재, 과거에 비하여 수없이 다양한 먹거리가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에서 다른 먹거리들과 특별한 차별성이 없는 전술된 발명들은 사장되거나 실질적으로 적극 사용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온 숙성을 통한 탁월한 칼국수 면발의 식감과 신선한 해산물을 즉석에서 요리하여 식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 및 그 칼국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10리터 육수 용기에 다시마 30 내지 55 중량부, 대파 50 내지 80 중량부, 양파 200 내지 550 중량부 및 간마늘 20 내지 30 중량부를 넣고 3 내지 5시간 정도 중불에서 가열하여 육수를 만드는 단계와; 고급 중력 밀가루 100 중량부, 전분가루 20 내지 35 중량부, 식용유 0.5 중량부, 소금 5 내지 9 중량부 및 소다 0.3 내지 1 중량부에 물 20 내지 35 중량부를 넣고 반죽한 후 비닐 봉투에 반죽물을 넣고 밀봉한 후, 영하 4도 이하에서 3 내지 5 시간 저온 숙성하되, 상기 숙성된 반죽을 제면기에 13 내지 20회 압축하여 제면하는 단계와; 싱싱한 산낙지 및 산전복을 깨끗이 씻어 준비하고, 키조개, 가리비, 바지락, 참조개, 동죽, 홍합 등의 패류는 적어도 2회 이상 해감하며, 용기에 만들어진 상기 육수, 야채 및 양념을 넣고 상기 해감된 키조개, 가리비, 바지락, 참조개, 동죽, 홍합을 배치하고, 상기 산낙지와 상기 산전복을 상기 패류 위에 배치하여 뚜껑을 덮고 조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면된 칼국수를 상기 용기에 넣고 5 내지 10분간 가열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제면 단계에서 상기 숙성된 반죽은 상기 제면기에서 15회 압축 제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육수 만드는 단계는 개운하고 진한 맛을 제공하기 위하여 잘 건조된 황태 머리 2kg를 더 포함하여 육수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된 위의 방법들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어느 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시마, 대파, 양파, 간마늘이 조화를 이루어 해물 조개맛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밀가루 반죽후 약 3시간 숙성 및 15회 압축 제면을 통해 탁월한 식감을 구현함은 물론, 육수가 담겨진 용기에 생물인 산낙지, 산전복, 키조개, 가리비, 바지락, 참조개, 동죽, 홍합 등을 깨끗하게 해감하여 고명과 같이 가지런히 배치하여 즉석에서 조리한 후 식용토록 한 다음 칼국수를 넣어 식용토록 함으로써, 탁월한 시각적 효과를 통한 신선하고 영양이 높은 건강 보양 칼국수를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1. 육수 만드기
10리터 육수 용기에 다시마 30 내지 55 중량부, 대파 50 내지 80 중량부, 양파 200 내지 550 중량부 및 간마늘 20 내지 30 중량부를 넣고 3 내지 5시간 정도 중불에서 가열한다.
여기서, 육수 만들기에 있어서 보다 개운하고 진한 맛을 제공하기 위하여 잘 건조된 황태 머리 2kg을 더 하여 육수를 만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2. 제면
고급 중력 밀가루 100 중량부, 전분가루 20 내지 35 중량부, 식용유 0.5 중량부, 소금 5 내지 9 중량부 및 소다 0.3 내지 1 중량부에 물 20 내지 35 중량부를 넣고 반죽한 후 비닐 봉투에 반죽물을 넣고 밀봉한 후, 영하 4도 이하에서 3 내지 5 시간 저온 숙성한다.
그런 다음, 숙성된 반죽을 제면기에 13 내지 20회 압축하여 제면한다.
여기서, 가장 바람직하는 압축횟수는 15이며, 횟수가 많아지면 제면 시간이 길어서 수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며 10회 이하인 경우에는 칼국수 면발의 끈기가 좋지 않아 식감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3. 조개류 및 산낙지, 산전복 조리
① 먼저, 싱싱한 산낙지 및 산전복을 준비한 후, 깨끗이 씻어 준비한다.
② 키조개, 가리비, 바지락, 참조개, 동죽, 홍합 등의 패류는 적어도 2회 이상 해감한다.
③ 해물 칼국수 용기에 만들어진 육수, 야채 및 양념을 넣고 해감된 키조개, 가리비, 바지락, 참조개, 동죽, 홍합을 올린다.
그런 다음, 깨끗하게 손질된 산낙지와 산전복을 조개류의 위에 보기좋게 배치한 후 뚜껑을 덮어 가열한다.
이와 같이 조개류 및 산낙지, 산전복이 완숙되면 식용하고 패각은 쓰레기통에 투기한다.
4. 칼국수 조리
제면된 칼국수를 해물 칼국수 용기에 넣고 5 내지 10분간 가열한 후, 익은 칼국수를 식용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해물 칼국수의 관능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여기서, 실험 대상자는 10대에서 70대까지 남녀 구분없이 100명을 선정하여 시각, 후각 및 미각에 따른 테스트를 10점 만점 기준으로 진행한 것이다.
Figure 112012083227627-pat00001
위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분가루 20 내지 35 중량부, 숙성 온도 영하 4도 이하 및 반죽 압축횟수가 13 내지 20인 실시예 7, 10 및 13일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Claims (4)

10리터 육수 용기에 다시마 30 내지 55 중량부, 대파 50 내지 80 중량부, 양파 200 내지 550 중량부 및 간마늘 20 내지 30 중량부를 넣고 3 내지 5시간 정도 중불에서 가열하여 육수를 만드는 단계와;
고급 중력 밀가루 100 중량부, 전분가루 20 내지 35 중량부, 식용유 0.5 중량부, 소금 5 내지 9 중량부 및 소다 0.3 내지 1 중량부에 물 20 내지 35 중량부를 넣고 반죽한 후 비닐 봉투에 반죽물을 넣고 밀봉한 후, 영하 4도 이하에서 3 내지 5 시간 저온 숙성하되, 상기 숙성된 반죽을 제면기에 13 내지 20회 압축하여 제면하는 단계와;
싱싱한 산낙지 및 산전복을 깨끗이 씻어 준비하고, 키조개, 가리비, 바지락, 참조개, 동죽, 홍합 등의 패류는 적어도 2회 이상 해감하며, 용기에 만들어진 상기 육수, 야채 및 양념을 넣고 상기 해감된 키조개, 가리비, 바지락, 참조개, 동죽, 홍합을 배치하고, 상기 산낙지와 상기 산전복을 상기 패류 위에 배치하여 뚜껑을 덮고 조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면된 칼국수를 상기 용기에 넣고 5 내지 10분간 가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면 단계에서 상기 숙성된 반죽은 상기 제면기에서 15회 압축 제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육수 만드는 단계는 개운하고 진한 맛을 제공하기 위하여 잘 건조된 황태 머리 2kg를 더 포함하여 육수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물 칼국수.
KR1020120113836A 2012-10-12 2012-10-12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 및 그 해물 칼국수 KR10137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836A KR101370060B1 (ko) 2012-10-12 2012-10-12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 및 그 해물 칼국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836A KR101370060B1 (ko) 2012-10-12 2012-10-12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 및 그 해물 칼국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060B1 true KR101370060B1 (ko) 2014-03-06

Family

ID=5064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836A KR101370060B1 (ko) 2012-10-12 2012-10-12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 및 그 해물 칼국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0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666B1 (ko) 2015-05-26 2016-01-21 김호성 칼국수용 홍게 육수의 제조방법 및 그 칼국수용 홍게 육수
KR20210069390A (ko) * 2019-12-03 2021-06-11 계애경 포장 배달용 칼국수 제조 방법
KR102615465B1 (ko) * 2023-10-20 2023-12-21 주식회사 맛의향연 글루텐 프리 밀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938B1 (ko) 2009-02-11 2009-06-08 이부곤 콩칼국수 제조방법 및 콩칼국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938B1 (ko) 2009-02-11 2009-06-08 이부곤 콩칼국수 제조방법 및 콩칼국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666B1 (ko) 2015-05-26 2016-01-21 김호성 칼국수용 홍게 육수의 제조방법 및 그 칼국수용 홍게 육수
KR20210069390A (ko) * 2019-12-03 2021-06-11 계애경 포장 배달용 칼국수 제조 방법
KR102372075B1 (ko) 2019-12-03 2022-03-10 계애경 포장 배달용 칼국수 제조 방법
KR102615465B1 (ko) * 2023-10-20 2023-12-21 주식회사 맛의향연 글루텐 프리 밀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939B1 (ko) 콩단백을 주원료로 한 돈까스 타입의 두류 가공식품 제조방법
KR20190048295A (ko) 영양 만두의 제조방법
KR101141202B1 (ko) 혼합식재료 알갱이가 포함된 칼국수면 또는 수제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30101231A (ko) 만두 및 그 제조방법
CN1792223A (zh) 一种花色饼的制造方法
CN1554246A (zh) 金珠五彩饼的制作方法
KR101624470B1 (ko) 아귀포의 제조방법
KR101370060B1 (ko) 해물 칼국수 제조방법 및 그 해물 칼국수
RU257179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чипсов из хамсы
KR20180119807A (ko) 치즈김치삼겹살꼬치구이
KR100882404B1 (ko) 웰빙 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102353805B1 (ko) 전복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13486B1 (ko) 박대 어묵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박대 어묵
KR101582559B1 (ko) 배즙 숙성 훈제 오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026618A (zh) 以三穗鸭制作鸭辣椒的方法
CN102578473A (zh) 一种海鲜汤圆的制作方法
KR102308287B1 (ko) 혼합 성형육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4749A (ko) 칡과 해산물을 함유한 칼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0538261B1 (ko) 김 및 굴을 이용한 만두의 제조방법
KR101208096B1 (ko) 연육 및 축육을 포함하는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647588A (zh) 一种鸡蛋火腿合的制作方法
KR102617999B1 (ko) 헴 유사분자를 활용한 대체육류 만두
KR101409982B1 (ko) 꿩을 원료로 한 라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33920B1 (ko) 다시마에서 추출한 헴(Heme) 분자를 활용한 대체육류 만두소 제조방법
KR102530567B1 (ko) 웰빙 건강식 떡볶이용 떡 및 떡볶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