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164B1 - Assistant apparatus for correction of posture - Google Patents
Assistant apparatus for correction of pos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9164B1 KR101369164B1 KR1020120028066A KR20120028066A KR101369164B1 KR 101369164 B1 KR101369164 B1 KR 101369164B1 KR 1020120028066 A KR1020120028066 A KR 1020120028066A KR 20120028066 A KR20120028066 A KR 20120028066A KR 101369164 B1 KR101369164 B1 KR 1013691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user
- posture
- hip
- spine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9232 chiropractic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11882 arthroplast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407 pai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722 scoli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96 neu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4 post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060 spine abnormal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71 viscer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Restraining shi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착용되어 척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 상기 척추교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어 요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요추교정부; 및 상기 척추교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되어 고관절의 자세를 교정하는 고관절교정부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worn on the shoulder and back of the user spinal correction to correct the posture of the spine; A lumbar vertebrae government for correcting the posture of the lumbar vertebrae worn on the waist and belly of the user while bein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pinal column; And a hip arthroplasty body worn on the thigh and knee of the user while bein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pinal column, correcting the posture of the hip joi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세교정용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앉은 자세에서 척추와 요추 및 고관절의 자세 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척추교정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가 상호간 분리 또는 결착되도록 하여 보관의 용이함과 함께 선택적으로 해당 부위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할 수 있는 자세교정용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ure correction brac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brace used in the posture correction of the spine and lumbar spine and hip joint in a sitting pos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siz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the spine. The orthodontic brace, the lumbar vertebral government and the hip joint government are related to a posture corrective brace tha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bound to facilitate the storage and optionally correct the posture of the site.
일반적으로 척추와 요추는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고 각종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추기관으로서, 몸의 기둥역할을 하며 몸무게를 지탱해준다. 뿐만 아니라, 뇌에서 우리 몸의 각 부위로 연결되는 신경이 집중되는 중추신경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척추와 요추가 바르지 못한 자세 등으로 인하여 전후 또는 좌우로 휠 경우, 신체 균형을 바로 잡을 수 없으며, 중추신경에 압박이 가해져 각종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In general, the spine and lumbar spine is the central organ that balances the body and enables various activities. It acts as a pillar of the body and supports the weight. In addition,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tecting the central nerve where the nerves from the brain to each part of our body are concentrated. Therefore, if the spine and lumbar spine due to the wrong posture, such as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the body balance can not be corrected,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central nerve causes various pains.
한편, 고관절은 다리와 골반을 연결시키는 부분으로서, 걷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관절이다. 그리고 정상적인 보행을 위해서는 고관절의 위치 및 각도가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고관절을 지지하는 인대 및 근육의 진강이 풀어져 고관절이 쉽게 외전되고, 이러한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고관절에 무리가 가중되어 골반이 벌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골격이 이상 변형 성장하거나 측만증, 디스크 및 신경통 등 치명적인 통증을 유발하는 질병에 이르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ip joint is a part that connects the leg and the pelvis, which is a very important joint that enables walking. And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hip joint should be properly maintained for normal walking. By the way, when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the ligaments and muscles that support the hip are released without knowing themselves, the hip joint is abducted easily, and if this condition persists for a long time, the hip joint is added to the hip joint and the pelvis is opened. Skeletons can grow abnormally deformed and lead to diseases causing fatal pain such as scoliosis, discs and neuralgia.
이에, 상기와 같은 척추와 요추 및 고관절의 이상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 20-0353892호와 20-0415053호 등과 같은, 자세교정용 보조기들이 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각각의 크기, 즉, 사용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착용 범위가 가변되지 않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자신의 체형에 맞지 않는 보조기를 착용하게 되는 경우 오히려 자세교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abnormalities of the spine, lumbar spine, and hip joints, postural orthodontic braces such as registration rooms 20-0353892 and 20-0415053 have been disclosed, but mos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By having a configuration that does not vary in size, that is, the wearing range does not vary, regardless of the user's body shape, there is a problem that adversely affect posture correction when wearing the braces that do not fit their body shape.
또한, 상기 자세교정용 보조기들의 경우, 척추, 요추 및 고관절을 교정하기 위한 해당 구성부들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가짐으로써,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해당 부위 즉, 요추 부위만을 교정하고자 하는 경우 척추교정부와 고관절교정부의 분리가 불가능하여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osture orthodontic braces, because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for correcting the spine, lumbar spine and hip joints are integrally connected, it is not easy to store and optionally only to correct the corresponding area, that is, lumbar region spin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separated between the correction department and the hip joint government cause inconvenien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와 요추 및 고관절의 자세 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자세교정용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ture corrector which can be easily adjusted in siz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in the brace used to correct the posture of the spine, lumbar spine and hip.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척추교정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가 상호간 분리 또는 결착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해당 부위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할 수 있는 자세교정용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ture correction aid that can be selectively corrected the posture of the site by allowing the chiropractic, lumbar vertebral and hip joints to separate or bind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착용되어 척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 상기 척추교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어 요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요추교정부; 및 상기 척추교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되어 고관절의 자세를 교정하는 고관절교정부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worn on the shoulder and back of the user spinal correction to correct the posture of the spine; A lumbar vertebrae government for correcting the posture of the lumbar vertebrae worn on the waist and belly of the user while bein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pinal column; And a hip arthroplasty body worn on the thigh and knee of the user while bein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pinal column, correcting the posture of the hip joint.
여기서, 상기 자세교정용 보조기는, 상기 척추교정부에 선택적으로 결착되어 요추에 온열 또는 냉열을 제공하거나 쿠션을 제공하는 보조기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osture correcto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function to selectively bind to the spinal column to provide a heat or cold heat to the lumbar spine or to provide a cushion.
한편, 상기 척추교정부는, 사용자의 등 부위에 밀착되는 척추지지대; 상기 척추지지대의 하측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척추지지대의 상측에 타단이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끈; 및 상기 척추지지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어깨끈의 타단이 연결되되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hiropractic, the back suppo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A shoulder strap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pinal support in a state where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pinal support and is worn on a user's shoulder; And a length adjusting part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spinal support to allow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strap to be connected and to control the length thereof.
또한, 상기 요추교정부는, 상기 척추지지대의 등받이베이스) 내측면에 형성되는 탈착밴드에 중앙부위가 위치되도록 관통 삽입되는 요대벨트; 상기 요대벨트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요대벨트가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도록 요대벨트의 양측단부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제1접합부; 상기 탈착밴드에 위치되는 요대벨트의 중앙부위로부터 요대벨트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척추지지대의 탈착밴드에 요대벨트의 관통 삽입시 동시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접합부에 의해 요대벨트의 결착시 요대벨트의 외부에서 한번 더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를 조여주도록 하는 조임벨트; 및 상기 조임벨트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조임벨트의 결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2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umbar vertebrae, the back belt is inserted through the center portion to be positioned in the removable ban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support base of the spine support; A first joint part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belt belt to have a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belt belt so that the belt belt is worn on the waist and belly of the user; It extends along the belt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lt to be positioned in the removable band is inserted through the simultaneous insertion of the belt to the removable band of the spinal support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insertion of the belt by the first joint to the outside of the belt Tightening belt to tighten the user's waist and belly once more;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joint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 ends of the tightening belt to enable the fastening of the tightening belt.
또한, 상기 고관절교정부는, 상기 척추지지대의 등받이베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벨트연결고리에 일단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면서 무릎에 걸림 지지되는 한 쌍의 고관절벨트; 상기 고관절벨트의 일단에 구비되어 벨트연결고리에 고관절벨트의 일단 관통시 일단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접합부; 및 상기 고관절벨트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관절벨트가 상호간 결착되도록 하는 결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ip arthroplasty, a pair of hip joint belt is supported on the knee whi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elt connecting ring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rest base of the spinal support to wrap the thigh of the user; A joint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hip belt so as to have a contact state of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when one end of the hip belt passes through a belt connection ring;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ind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ip belt so that the pair of hip belts are mutually fixed.
또한, 상기 보조기능부는, 상기 척추교정부에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는 기능백과; 상기 기능백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온열 또는 냉열 또는 쿠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function, the encyclopedia attached to the spinal column by a Velcro tape; The interior of the functional bag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unctional pack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the function of the heat or cold or cushion to the waist of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척추와 요추 및 고관절의 자세 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기에 있어서 척추교정부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가 각각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그 착용 범위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thodontic device used to correct the posture of the spine, lumbar spine, and hip joint, the wear range of the spinal bridge, lumbar bridge, and hip joint is varied by Velcro tap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The adjustment of the size can be made simple.
또한, 상기와 같이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각 구성부들의 착용 범위가 가변됨으로써,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by varying the wearing range of each component by the Velcro tap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imply adjust the siz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even when sitting on the chair.
또한, 요추 교정을 위한 구성부인 요추교정부에 선택적으로 부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자세교정 이외의 부가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lectively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s to the lumbar vertebra, which is a component for lumbar correction, additional effects other than posture correction may be provided.
또한, 척추교정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가 상호간 분리 또는 결착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해당 부위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iropractic, lumbar vertebral and hip joints may be separated or bound to each other to selectively correct the posture of the site.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가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의 구성부들 상호간의 분리 및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에 결착되는 보조기능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ture corr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respectively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corrector of FIG. 1 is unfolded;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corrector of FIG. 1 is wor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eparation and coupling state between components of the posture corrector of FIG. 1;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function member that is fastened to the posture corrector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가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의 구성부들 상호간의 분리 및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에 결착되는 보조기능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ture corr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corrector of Figure 1 is unfolded, Figure 4 is Figure 1 The posture corrector of the drawing showing the state of wearing. In addi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separation and coupling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posture corrector of Figure 1,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auxiliary function member is fastened to the posture corrector of Figure 1;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보조기는,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착용되어 척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110),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어 요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요추교정부(120),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되어 고관절의 자세를 교정하는 고관절교정부(130) 및 상기 요추교정부(120)에 선택적으로 결착되어 요추에 온열 또는 냉열을 제공하거나 쿠션을 제공하는 보조기능부(140) 등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posture corr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ropractic 110 to correct the posture of the spine is worn on the shoulder and back of the user, the spinal bridge The
즉, 본 발명의 자세교정용 보조기는, 요추교정부(120)만이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거나, 또는 요추교정부(120)가 척추교정부(110)에 결착되어 사용자의 허리와 배 및 등 부위에 착용되거나, 또는 고관절교정부(130)가 척추교정부(110)에 결착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 및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되거나, 또는 척추교정부(110)에 요추교정부(120) 및 고관절교정부(130)가 동시에 결착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 허리와 배 부위 및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됨으로써, 선택적인 자세의 교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at is, the posture corr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척추교정부(110)는, 상기 요추교정부(120)가 결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착용되어 척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등 부위에 밀착되는 척추지지대(111),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하측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척추지지대(111)의 상측에 타단이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끈(113) 및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어깨끈(113)의 타단이 연결되되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114)를 포함한다. The spinal
여기서, 상기 척추지지대(111)는, 사용자의 등 부위에 밀착되어 척추를 서포트하는 것으로, 'Y'자 형상을 가지고 합성수지재 또는 가죽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을 가지며 사용자의 척추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베이스(111a), 상기 등받이베이스(111a)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어깨끈(113)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연결부위(111b) 및 상기 등받이베이스(111a)의 상측부에 한 쌍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어깨끈(113)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114)가 구성되는 제2연결부위(111c)를 포함한다.Here, the
상기 어깨끈(113)은,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하측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척추지지대(111)의 상측에 타단이 길이조절부(114)에 의해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어 척추지지대(111)에 사용자의 등 부위가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혼합사(나일론 또는 면 또는 고무 등이 혼합된 재질) 재질을 통해 소정의 탄력을 가지고, 일단이 척추지지대(111)의 제1연결부위(111b)에 박음질 등을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제2연결부위(111c)에 구성되는 길이조절부(114)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여기서, 어깨끈(113)은, 척추지지대(111)의 제1연결부위(111b)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부위에는 한 쌍의 어깨끈을 상호간 연결하는 후크 등과 같은 연결부재가 더 구성되어 어깨끈(113)이 보다 타이트하게 사용자의 등 부위에 밀착되도록 하여도 좋다. Here, the
상기 길이조절부(114)는,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제2연결부위(111c)에 구비되어 상기 어깨끈(113)의 타단이 연결되되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2연결부위(111c)에 구비되어 어깨끈(113)의 타단이 길이조절 가능하게 관통 연결되는 공지의 길이조절용 클립이거나, 또는 상기 어깨끈(113)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2연결부위(111c)에 구비된 어깨끈연결고리에 어깨끈(113)의 타단 관통시 타단과 당접되는 해당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벨크로테이프는, 상기 어깨끈(113)의 타단에 구비되어 어깨끈연결고리에 어깨끈(113)의 타단 관통시 타단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어깨끈연결고리를 관통하는 단부에는 일정한 면적 또는 길이의 수벨크로테이프가 위치되고 상기 수벨크로테이프의 일측으로부터는 수벨크로테이프로부터 2배 이상의 면적 또는 길이를 가지는 암벨크로테이프가 위치되어 상기 수벨크로테이프가 암벨크로테이프에 접합되는 위치에 따라 어깨끈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벨크로테이프와 암벨크로테이프의 위치는 상호간 대치될 수 있다. Here, the Velcro tap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따라서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의하면, 사용자의 등 부위가 척추지지대(111)와 어깨끈(1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서포트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등 부위에 착용되는 척추지지대(111)에 어깨 부위에 끼워지는 어깨끈(113)이 길이조절부(114)를 통해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pinal
상기 요추교정부(120)는,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탈부착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어 요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으로,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등받이베이스(111a) 내측면에 형성되는 탈착밴드(111d)에 중앙부위가 위치되도록 관통 삽입되어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밀착되는 요대벨트(121), 상기 요대벨트(121)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요대벨트(121)가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도록 요대벨트(121)의 양측단부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제1접합부(122), 상기 탈착밴드(111d)에 위치되는 요대벨트(121)의 중앙부위로부터 요대벨트(121)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탈착밴드(111d)에 요대벨트(121)의 관통 삽입시 동시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접합부(122)에 의해 요대벨트(121)의 결착시 요대벨트(121)의 외부에서 한번 더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를 조여주도록 하는 조임벨트(123) 및 상기 조임벨트(123)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조임벨트(123)의 결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2접합부(124)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요대벨트(121)는,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가 지지되도록 하는 서포터로,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고 혼합사(나일론 또는 면 또는 고무 등이 혼합된 재질) 재질을 통해 소정의 탄력을 가지며,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등받이베이스(111a)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탈착밴드(111d)에 중앙부위가 위치되도록 일단이 관통 삽입된다.Here, the
상기 제1접합부(122)는, 상기 요대벨트(121)가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시 그 양측단부가 상호간 결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실시예로 좌측단부(121a)의 외측면에 소정 길이와 면적의 암벨크로테이프(122a)가 위치되고 우측단부(121b)의 내측면에 소정 길이와 면적의 수벨크로테이프(122b)가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암벨크로테이프(122a)와 수벨크로테이프(122b)의 위치는 상호간 대치될 수 있다. The first
즉, 상기 제1접합부(122)에 의하면,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를 감싸면서 요대벨트(121)가 착용되는 경우 좌측단부(121a)의 외측에 위치된 암벨크로테이프(122a)에 우측단부(121b)의 내측에 위치된 수벨크로테이프(122b)가 접합되도록 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상기 조임벨트(123)는, 상기 탈착밴드(111d)에 위치되는 요대벨트(121)의 중앙부위로부터 요대벨트(121)를 따라 연장되어 제1접합부(122)에 의해 요대벨트(121)의 결착시 요대벨트(121)의 외부에서 한번 더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를 조여주도록 하는 것으로, 요대벨트(121) 보다 작은 폭과 길이를 가지고 혼합사(나일론 또는 면 또는 고무 등이 혼합된 재질) 재질을 통해 소정의 탄력을 가지며, 요대벨트(121)의 중앙부위에 일단부가 박음질 등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가진다.The
상기 제2접합부(124)는, 상기 조임벨트(123)가 요대벨트(121)의 외측에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를 한번 더 견고하게 결착 착용되는 경우 그 양측단부가 상호간 결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실시예로 조임벨트(123)의 좌측단부(123a)와 우측단부(123b) 외측면에 각각 그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와 면적을 가지면서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수벨크로테이프(124a)가 요대벨트(121)의 우측단부(121b)의 외측면에 소정 길이와 면적을 가지면서 위치되는 암벨크로테이프(124b)에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수벨크로테이프(124a)와 암벨크로테이프(124b)의 위치는 상호간 대치될 수 있다. The second
따라서 상기 요추교정부(120)에 의하면, 요대벨트(121)와 조임벨트(123)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가 안정적으로 서포트 될 수 있고, 상기 요대벨트(121)와 조임벨트(123)가 각각 제1접합부(122)와 제2접합부(124)를 통해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또한, 척추교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요추 및 척추의 자세 교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being detachably attached to the spinal
상기 고관절교정부(130)는,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되어 고관절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으로,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등받이베이스(111a)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벨트연결고리(111e)에 일단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면서 무릎에 걸림 지지되는 한 쌍의 고관절벨트(132), 상기 고관절벨트(132)의 일단에 구비되어 벨트연결고리(111e)에 고관절벨트(132)의 일단 관통시 일단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접합부(133) 및 상기 고관절벨트(132)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관절벨트(132)가 상호간 결착되도록 하는 결착부(134)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고관절벨트(132)는,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면서 무릎에 걸림 지지되어 고관절을 서포트 하는 것으로, 일정한 길이와 폐루프 형상을 가지고 혼합사(나일론 또는 면 또는 고무 등이 혼합된 재질) 재질을 통해 소정의 탄력을 가진다.Here, the pair of
상기 접합부(133)는, 상기 고관절벨트(132)의 일단 즉, 폐루프 형상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위(132a)에 구비되어 벨트연결고리(111e)에 고관절벨트(132)의 연결부위(132a) 관통시 연결부위(132a)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벨트연결고리(111e)를 관통하는 연결부위(132a)의 단부에는 일정한 면적 또는 길이의 수벨크로테이프(133a)가 위치되고 수벨크로테이프(133a)의 일측으로부터는 수벨크로테이프(133a)로부터 2배 이상의 면적 또는 길이를 가지는 암벨크로테이프(133b)가 위치되어 상기 수벨크로테이프(133a)가 암벨크로테이프(133b)에 접합되는 위치에 따라 고관절벨트(132)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벨크로테이프(133a)와 암벨크로테이프(133b)의 위치는 상호간 대치될 수 있다. The
상기 결착부(134)는, 상기 고관절벨트(132)의 타단 즉, 폐루프 형상의 타단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관절벨트(132)가 상호간 결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의 고관절벨트(132)의 폐루프 형상의 외주연에 박음질 등을 통해 고정되어 상호간 탈착되는 암/수버클(134a,134b)을 포함한다.The
따라서 상기 고관절교정부(130)에 의하면, 고관절벨트(132)가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를 감싸면서 착용되는 경우 상기 요추교정부(120)와 척추교정부(110)의 결착시 각각에 견인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등 부위가 척추교정부(110)에 밀착됨과 동시에 허리 부위에 압박이 가해짐으로써, 결국 사용자의 척추와 요추가 바른 자세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또한, 상기 고관절벨트(132)가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를 감싸면서 골반이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골격이 이상변형 성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만증, 디스크 등과 같은 통증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고관절벨트(132)가 접합부(133)를 통해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척추교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고관절의 자세 교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being detachably attached to the spinal
상기 보조기능부(140)는, 상기 요추교정부(120)에 선택적으로 결착되어 요추에 온열 또는 냉열을 제공하거나 쿠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등받이베이스(111a)의 내측면에 형성된 탈착밴드(111d)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탈부착되는 기능백(141)과 상기 기능백(141)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 즉, 요추에 온열 또는 냉열 또는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팩(142)을 포함한다.The
따라서 상기 보조기능부(140)에 의하면, 상기 요추교정부(120)의 착용시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온열 또는 냉열 또는 쿠션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혈액순환촉진, 내장기능강화 등과 같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보조기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ostur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척추교정부(110)의 척추지지대(111)에 요추교정부(120)와 고관절교정부(1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척추교정부(110)의 척추지지대(111)와 어깨끈(113)이 착용된다. First, in the state in which the lumbar
여기서, 상기 어깨끈(113)은, 일단이 척추지지대(111)의 제1연결부위(111b)에 박음질 등을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제2연결부위(111c)에 구성되는 길이조절부(114)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Here, the
이후,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요추교정부(120)의 요대벨트(121)와 조임벨트(123)가 순차적으로 착용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와 요추가 각각 척추지지대(111)와 요대벨트(121)에 안정적으로 서포트되어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여기서, 상기 요대벨트(121)와 조임벨트(123)는 각각 벨크로테이프들의 상호간 접합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Here, the length of the
이후,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을 감싸면서 고관절교정부(130)의 고관절벨트(132)가 착용된다. Then, the
여기서, 상기 고관절벨트(132)는, 상기 척추지지대(111) 또는 요대벨트(121)에 구비된 벨트연결고리(111e)에 일단이 관통된 상태에서 그 일단에 구성되는 벨크로테이프들의 상호간 접합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Here, the
따라서 상기 고관절벨트(132)가 사용자의 무릎에 착용됨에 따라 고관절벨트(132)의 일단이 연결된 척추지지대(111)와 요대벨트(121)의 연결부위에 견인력이 전달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압박이 가해지면서 등 부위가 당겨지게 되어 결국 사용자의 척추와 요추가 바른 자세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이후, 상기 고관절벨트(132)의 일단에 구비된 버클들의 상호 결착에 고관절벨트(132)들이 고정됨으로써, 사용자의 골반이 벌어지지 않게 되어 골격이 이상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또한, 상기 요추교정부(120)의 요대벨트(121)의 내측면에 온열 또는 냉열 또는 쿠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팩(142)이 기능백(141)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기능백(141)이 척추지지대(111)의 벨크로테이프와의 접합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됨으로써, 혈액순환촉진, 내장기능강화 등과 같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척추와 요추 및 고관절의 자세 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기에 있어서 척추교정부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가 각각 그 착용 범위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orthodontic device used for the posture correction of the spine, lumbar spine and hip joint, the wearing range of the vertebral pontoon, lumbar vertebral fold, and hip joint vertebrae respectively vary,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The adjustment of the size can be made simple.
또한, 상기와 같이 벨크로테이프 또는 길이조절용 클립에 의해 각 구성부들의 착용 범위가 가변됨으로써,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by varying the wearing range of each component by the Velcro tape or the length adjustment clip as described above, the siz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can be easily made even in a seated state.
또한, 요추 교정을 위한 구성부인 요추교정부에 선택적으로 부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자세교정 이외의 부가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lectively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s to the lumbar vertebra, which is a component for lumbar correction, additional effects other than posture correction may be provided.
또한, 척추교정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가 상호간 분리 또는 결착되도록 하여 척추교정부와 요추교정부의 상호간 결합을 통한 척추와 요추의 교정, 척추교정부와 고관절교정부의 상호간 결합을 통한 척추와 고관절의 교정, 척추교정부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의 상호간 결합을 통한 척추와 요추 및 고관절의 교정 및 요추교정부만을 통한 요추의 교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해당 구성부들의 보관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pinal and lumbar vertebrae and hip joints are separated or bound to each other so that the spine and lumbar correction through mutual coupling of the vertebral and lumbar vertebrae, and spine through reciprocal coupling between the vertebral and hip joints. And correction of the lumbar spine, lumbar and hip joints through the interlocking of the vertebral and hip joints, the lumbar and lumbar vertebral governments, and the lumbar vertebrae only by the lumbar vertebrae It can also be stored easily.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그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8)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어 요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요추교정부(120); 및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되어 고관절의 자세를 교정하는 고관절교정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Chiropractic 110 to be worn on the shoulder and back of the user t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spine;
A lumbar vertebrae unit 120 that is worn on a waist and belly of a user in a detachable state connected to the vertebral column unit 110 to correct a posture of the lumbar spine; And
Posture correction ai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ip orthodontic 130, which is worn on the thigh and knee of the user in a stat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pinal column correction 110 to correct the posture of the hip joint.
사용자의 등 부위에 밀착되는 척추지지대(111);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하측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척추지지대(111)의 상측에 타단이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끈(113); 및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어깨끈(113)의 타단이 연결되되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inal column correction unit 110,
Spinal support 111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pinal support 111 in a state where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pinal support 111, the shoulder strap 113 worn on the user's shoulder;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ine support 111 is posture assistive brac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ngth adjusting portion 114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strap 113,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is possible.
사용자의 척추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베이스(111a);
상기 등받이베이스(111a)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어깨끈(113)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연결부위(111b); 및
상기 등받이베이스(111a)의 상측부에 한 쌍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어깨끈(113)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114)가 구성되는 제2연결부위(11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According to claim 3, The spinal support 111,
A backrest base 111a supporting the spinal column of the user;
A first connection portion 111b positioned at a lower side of the backrest base 111a to which one end of the shoulder strap 113 is fixed; And
It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portion (111c) that is formed in eac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support base (111a) extending in pairs so that the shoulder strap 113 is connected length adjustable 114 is configured Posture assistive brace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2연결부위(111c)에 구비되어 어깨끈(113)의 타단이 길이조절 가능하게 관통 연결되는 길이조절용 클립; 또는,
상기 어깨끈(113)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2연결부위(111c)에 구비된 어깨끈연결고리에 어깨끈(113)의 타단 관통시 타단과 당접되는 해당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벨크로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ength adjusting unit 114,
A length adjusting clip provided a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1c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strap 113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or,
Velcro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strap 113 to have the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other end when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strap 113 in the shoulder strap connection ring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1c) Posture corr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ape.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등받이베이스(111a) 내측면에 형성되는 탈착밴드(111d)에 중앙부위가 위치되도록 관통 삽입되는 요대벨트(121);
상기 요대벨트(121)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요대벨트(121)가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도록 요대벨트(121)의 양측단부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제1접합부(122);
상기 탈착밴드(111d)에 위치되는 요대벨트(121)의 중앙부위로부터 요대벨트(121)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탈착밴드(111d)에 요대벨트(121)의 관통 삽입시 동시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접합부(122)에 의해 요대벨트(121)의 결착시 요대벨트(121)의 외부에서 한번 더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를 조여주도록 하는 조임벨트(123); 및
상기 조임벨트(123)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조임벨트(123)의 결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2접합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According to claim 4, The lumbar vertebrae unit 120,
A yoke belt 121 penetrated and inserted into a detachable band 111d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ack support base 111a of the spine support 111;
The first joint part 122 is provided on both side ends of the belt belt 121 so that the contact surfaces of the both ends of the belt belt 121 are bon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belt belt 121 is worn on the waist and belly of the user. );
It extends along the belt belt 121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lt belt 121 positioned in the removable band 111d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belt belt 121 penetrates into the removable band 111d of the spinal support 111. A fastening belt 123 inserted through and tightening the waist and belly of the user once more from the outside of the belt belt 121 when the belt belt 121 is attached by the first joint part 122; And
Posture assisting orthos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bonding portion 124 which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ightening belt 123 to enable the fastening of the tightening belt (123).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등받이베이스(111a)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벨트연결고리(111e)에 일단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면서 무릎에 걸림 지지되는 한 쌍의 고관절벨트(132);
상기 고관절벨트(132)의 일단에 구비되어 벨트연결고리(111e)에 고관절벨트(132)의 일단 관통시 일단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접합부(133); 및
상기 고관절벨트(132)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관절벨트(132)가 상호간 결착되도록 하는 결착부(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ip joint 130,
A pair of hip belts 132,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belt connecting ring 111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ck support base 111a of the spine support 111, to be supported by a knee while being wrapped around the user's thigh;
A joint part 133 provided at one end of the hip belt 132 to have a contact state between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when one end of the hip belt 132 passes through the belt connection ring 111e; And
Posture assisting orthos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inding portion (134) whic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ip belt (132) so that the pair of hip belt (132) is mutually fixed.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는 기능백(141)과;
상기 기능백(141)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온열 또는 냉열 또는 쿠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팩(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uxiliary function unit 140,
A functional bag 141 attached to the spinal column correction unit 110 by a Velcro tape;
Posture correction aid provided in the function bag (141) comprises a function pack (142)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the function of the heat or cold or cushion to the waist of the us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8066A KR101369164B1 (en) | 2012-03-20 | 2012-03-20 | Assistant apparatus for correction of pos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8066A KR101369164B1 (en) | 2012-03-20 | 2012-03-20 | Assistant apparatus for correction of pos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6494A KR20130106494A (en) | 2013-09-30 |
KR101369164B1 true KR101369164B1 (en) | 2014-03-25 |
Family
ID=4945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8066A KR101369164B1 (en) | 2012-03-20 | 2012-03-20 | Assistant apparatus for correction of pos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916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8842A (en) * | 2017-12-11 | 2019-06-19 | 이정화 | Posture correcting vest with a heat generation function |
KR20190116880A (en) | 2018-04-05 | 2019-10-15 | 송귀철 | Spinal Correcting Supporter for Posture correction |
KR102253097B1 (en) | 2020-12-02 | 2021-05-17 | 김승식 | Shoulder posture correction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63918B (en) * | 2016-06-15 | 2018-09-14 | 王元秀 | A kind of wearable artificial abdominal muscle |
KR102284823B1 (en) * | 2019-07-22 | 2021-08-02 | 주식회사 세노컴퍼니 | A Band Device for Correcting a Posture |
CN110538016A (en) * | 2019-08-30 | 2019-12-06 | 叶金鱼 | Lumbar vertebrae burden reduction sheath |
CN110786977A (en) * | 2019-12-02 | 2020-02-14 | 彭嘉欣 | Shoulder and back posture correction belt |
CN111150533A (en) * | 2020-01-13 | 2020-05-15 |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 Orthopedics fixing device |
CN112043478A (en) * | 2020-10-10 | 2020-12-08 | 上海健康医学院 | A multifunctional spine posture correction bel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5828Y1 (en) | 2005-06-10 | 2005-09-14 | 신상국 | Apparatus for correction of posture |
US7842000B2 (en) | 2005-05-10 | 2010-11-30 | Kangxu MAO | Posture vest |
-
2012
- 2012-03-20 KR KR1020120028066A patent/KR10136916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42000B2 (en) | 2005-05-10 | 2010-11-30 | Kangxu MAO | Posture vest |
KR200395828Y1 (en) | 2005-06-10 | 2005-09-14 | 신상국 | Apparatus for correction of postur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8842A (en) * | 2017-12-11 | 2019-06-19 | 이정화 | Posture correcting vest with a heat generation function |
KR102096693B1 (en) | 2017-12-11 | 2020-04-02 | 이정화 | Posture correcting vest with a heat generation function |
KR20190116880A (en) | 2018-04-05 | 2019-10-15 | 송귀철 | Spinal Correcting Supporter for Posture correction |
KR102253097B1 (en) | 2020-12-02 | 2021-05-17 | 김승식 | Shoulder posture correc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6494A (en) | 2013-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9164B1 (en) | Assistant apparatus for correction of posture | |
CN108601666B (en) | Reclining orthosis with tightening strap | |
US10406014B2 (en) | Low-profile, postural corrective garment for therapeutic relief of low back pain and mechanical lumbar disorders | |
AU2010200669B2 (en) | Spinal Orthosis | |
US606610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sacroiliac joint injuries | |
US5853378A (en) | Lumbo-Sacral orthosis | |
US8382692B1 (en) | Neck and spine support device for a neck in flexion | |
US7837639B2 (en) | Adjustable brace for correcting a forward lean | |
KR101584194B1 (en) | Spine protective and corrective equipment | |
US9839554B2 (en) |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 |
US10548758B2 (en) | Multifunctional hip brace | |
US9504596B1 (en) | Convertible orthotic brace | |
KR102017525B1 (en) | Lumbo-sacral orthosis | |
US5782781A (en) | All-in-one girdling belt for lumbar and coxa support | |
JP3189172B2 (en) | Pelvis supporter | |
WO2018011952A1 (en) | Upper body support apparatus and upper body support method | |
US11452632B2 (en) | Abdominal sacral waist support belt | |
US20240108531A1 (en) | Spinal Weighting Devices | |
US20190038450A1 (en) | Shoulder compression harness | |
KR200318281Y1 (en) | Belt for posture rectify | |
JP3156477U (en) | Hip and back fatigue relief device | |
US20120289874A1 (en) | Spinal Posture Brace | |
KR200305905Y1 (en) | Spine correcting belt used as stomach band | |
CN106488755A (en) | Dynamic Lumbar Repositioning System | |
JP6949308B2 (en) | Orthodontic tightening waist belt and its tighten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