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604B1 - Removing apparatus of cigarette smoke, bad smell and dust - Google Patents
Removing apparatus of cigarette smoke, bad smell and du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6604B1 KR101366604B1 KR1020120024980A KR20120024980A KR101366604B1 KR 101366604 B1 KR101366604 B1 KR 101366604B1 KR 1020120024980 A KR1020120024980 A KR 1020120024980A KR 20120024980 A KR20120024980 A KR 20120024980A KR 101366604 B1 KR101366604 B1 KR 1013666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body
- filter
- blower
- ultraviolet lamp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41000208125 Nicotian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2717 electrostatic precipit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4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SNICXCGAKADSCV-JTQLQIEISA-N (-)-Nicotine Chemical compound CN1CCC[C@H]1C1=CC=CN=C1 SNICXCGAKADSCV-JTQLQIEISA-N 0.000 description 4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60002715 nicotine Drugs 0.000 description 4
- SNICXCGAKADSCV-UHFFFAOYSA-N nicotine Natural products CN1CCCC1C1=CC=CN=C1 SNICXCGAKADSC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864 oxidative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IKHGUXGNUITLKF-UHFFFAOY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CC=O IKHGUXGNUITL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315 carcinogenic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WSFSSNUMVMOOMR-NJFSPNSNSA-N methanone Chemical compound O=[14CH2] WSFSSNUMVMOOMR-NJFSPNSNSA-N 0.000 description 2
- -1 naphthalimide amin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KRHYYFGTRYWZRS-UHFFFAOYSA-M Flu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577 Silicon-germaniu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IKHGUXGNUITLKF-XPULMUKR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14CH]([14CH3])=O IKHGUXGNUITLKF-XPULMUKR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NPVGFCGXDBREM-UHFFFAOYSA-N germanium atom Chemical group [Ge] GNPVGFCGXDB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8—Honeycomb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 연기 및 냄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 바닥이나 책상, 탁자의 상판에 수직상으로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가 구비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부 일측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장착되는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브로워와;
상기 브로워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자외선램프와;
상기 브로워와 자외선램프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브로워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자외선램프가 장착된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풍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외선램프에서 발광하는 자외선이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측으로 확산되도록 반사하는 반사갓과;
상기 반사갓과 자외선램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브로워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담배재와 같은 이물질을 집진함과 동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전기집진기와;
상기 자외선램프의 하측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상,하 2단으로 내설되는 제1 및 제2 필터와;
상기 받침대와 제2 필터 사이의 케이스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브로워에 의해 흡입되어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측 및 제1, 제2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에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와 제2 필터 사이의 케이스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배기구;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garette smoke and odor removing device,
A case body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state where a pedestal for vertically standing on an indoor floor or a desk or a top plate of a table is provided;
An inlet formed in an open state to suck outside air through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body;
A blower rotatably installed by a power of a motor mounted inside the suction port to suck external air;
An ultraviolet lamp fixed to the lower inner upper side of the case body to be positioned below the brower;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case body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blower and the ultraviolet lamp so that air sucked by the blower flows into the lower inner part of the case body in which the ultraviolet lamp is mounted. A reflection shade reflecting the emitted ultraviolet rays so as to diffuse inside the case body;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mounted between the reflection shade and the ultraviolet lamp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tobacco material contained in the air sucked by the blower and to generate simultaneous anions;
First and second filters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two stages detachably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case body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ultraviolet lamp;
I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body between the pedestal and the second filter is sucked by the blower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inner and the first, second filter of the case bod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body An exhaust port formed at one lower side of the case body between the pedestal and the second filter;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흡연실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건물 등의 실내에서 흡연자가 담배를 흡연하고자 할 때 주위 사람들에게 담배 연기 및 냄새의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담배를 피울 수 있게 하는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garette smoke odor decomposition and dust remov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smoker wants to smoke in a room, such as a building that is not equipped with a smoking room, does not cause damage to cigarette smoke and odors to those around th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garette smoke odor decomposition and dust removal device that enables to smoke.
일반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데에는 공기청정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ir cleaners are used to purify indoor air.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필터와 살균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등을 여과하고 공기를 살균 정화하여 실내에 공급하므로써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Conventional air cleaners have built-in filters and sterilizers to inhale indoor air to filter dust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air, sterilize and purify the air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상기한 공기청정기는 실내의 바닥에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공기를 하부에서 흡입하여 상부를 통해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실내에 공기의 대류작용이 일어나도록 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정화시키는데에는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 실내에서의 흡연시 발생하는 담배 연기 및 냄새를 정화 내지 제거하기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The air purifier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floor of the room to suck the air from the lower part and discharge it through the upper part. While there is an excellent advantage in comfort purifying,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is not efficient to purify or remove the tobacco smoke and odor generated when smoking indoors.
담배는 흡연자의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비흡연자에게도 건강을 해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igarettes are known to harm not only the health of smokers, but also the health of non-smokers.
그래서 공항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는 흡연자들을 위해 독립된 흡연실을 마련하고 있으며, 요즈음에 와서는 공공기관의 건물이나 여러 회사가 입주하고 있는 건물 등에서는 건물 내에서의 흡연금지를 강제하고 있는 추세지만, 흡연자들의 흡연행위를 근절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public places such as airports, independent smoking rooms are provided for smokers. In recent years, the ban on smoking is being enforced in buildings of public institutions or buildings where companies are located. Smoking is not eradicated.
그 일례로, 회사의 거래선에서 사업상의 이유로 방문한 방문자가 회의실에서 상담 도중에 담배를 피우고자 할 때 회사에서는 방문자에게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회의실 내에서 담배를 피우도록 배려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로 인해 회의실에 있는 비흡연자들이 담배 연기 및 냄새로부터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는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에서 흡연자가 담배를 피우게 될 때에는 담배를 피우지 못하는 어린아이들의 입과 코의 호흡기를 통해 담배 연기 및 냄새가 신체로 흡수되는 등 상당한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visitor who visits a company's business for business reasons wants to smoke during a meeting in a meeting room, the company often considers smoking in the meeting room to reduce the inconvenience for the visitor. Smokers who suffer from cigarette smoke and odors have a problem, or when a smoker smokes in a home with young children, smoke and smell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s of the mouth and nose of children who do not smoke. The problem is that a great deal of damage occurs, such as being absorbed into the body.
담배 연기 및 냄새에는 발암성 물질인 나프탈아민, 벤젠, 폼아데히이드, 톨루엔, 황화수소, 니코틴, 비닐크롤라이드, 암모니아 등이 들어있으며, 또한 담배가 탈 때 발생되는 담배재 분진이 실내의 공기 중에 비산하게 되는데, 이러한 물질들은 인체에 대단히 해로운 물질이기 때문에 사람의 입이나 코의 호흡기를 통해 흡입될 경우에는 건강을 해치게 되기 때문에 비흡연자를 담배 연기 및 냄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독립된 흡연실을 마련하여 흡연자들이 자유롭게 담배를 피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지만, 일부의 건물에는 흡연자를 위하여 흡연실을 마련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어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종래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9321호로 소개된 담배 연기 흡입제거기가 있으나, 이는 흡입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필터의 기능만으로 공기와 함께 흡입된 담배 연기만 제거할 수 있을 뿐 담배 냄새 등은 제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와 같이 실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내에서 발생하게 되는 담배 연기 및 냄새 등을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분해 및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Tobacco smoke and odors include carcinogenic substances naphthalamine, benzene, formaldehyde, toluene, hydrogen sulfide, nicotine, vinyl chloride, ammonia, and the like. Because these substances are very harmful to the human body, if they are inhaled through the mouth or nose of the respiratory tract, they harm the health, so a separate smoking room is provided to protect the non-smoker from cigarette smoke and odors. Therefore, there is a proposal to allow smokers to smoke freely, b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providing a smoking room for smokers in some buildings, which are not implemented, and as a prior art. There is a cigarette smoke evacuator introduced as 0089321, which is a Only can be removed only by the function of the filter unit mounted on only the intake air with the smell of tobacco smoke, etc. is a situation that could not be remove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inhaling and removing tobacco smoke and odor generated in the room, such as an air purifier, which is movable in the roo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반 가정집, 회사의 사무실이나 회의실 등에서 흡연자가 담배를 피우게 되더라도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 연기 및 담배가 탈 때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흡입하여 자외선램프로 살균하고 광촉매 필터 및 셀라이트 필터로 여과 정화시켜서 실내 분위기를 담배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제거된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even if a smoker smokes in a general home, a company office or a conference room, the smoker emits cigarette smoke and the smoke and odor generated when the cigarette is burned by ultraviolet ray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bacco smoke odor decomposition and dust removal device which can be sterilized by a lamp and filtered and filtered with a photocatalyst filter and a celite filter to keep the indoor atmosphere in a pleasant state in which smoke and odor generated by tobacco are removed. It 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pursuing the above object,
실내 바닥이나 책상, 탁자의 상판에 수직상으로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가 구비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본체와;A case body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state where a pedestal for vertically standing on an indoor floor or a desk or a top plate of a table is provided;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부 일측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와;An inlet formed in an open state to suck outside air through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body;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장착되는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브로워와;A blower rotatably installed by a power of a motor mounted inside the suction port to suck external air;
상기 브로워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자외선램프와;An ultraviolet lamp fixed to the lower inner upper side of the case body to be positioned below the brower;
상기 브로워와 자외선램프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브로워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자외선램프가 장착된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풍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외선램프에서 발광하는 자외선이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측으로 확산되도록 반사하는 반사갓과;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case body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blower and the ultraviolet lamp so that air sucked by the blower flows into the lower inner part of the case body in which the ultraviolet lamp is mounted. A reflection shade reflecting the emitted ultraviolet rays so as to diffuse inside the case body;
상기 반사갓과 자외선램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브로워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담배재와 같은 이물질을 집진함과 동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전기집진기와;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mounted between the reflection shade and the ultraviolet lamp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tobacco material contained in the air sucked by the blower and to generate simultaneous anions;
상기 자외선램프의 하측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상,하 2단으로 내설되는 제1 및 제2 필터와;First and second filters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two stages detachably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case body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ultraviolet lamp;
상기 받침대와 제2 필터 사이의 케이스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브로워에 의해 흡입되어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측 및 제1, 제2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에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와 제2 필터 사이의 케이스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배기구;I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body between the pedestal and the second filter is sucked by the blower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inner and the first, second filter of the case bod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body An exhaust port formed at one lower side of the case body between the pedestal and the second filter;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또한, 상기 제1 필터는 하니콤구조의 광촉매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filter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hotocatalyst filter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또한, 상기 제2 필터는 펠릿상으로 형성된 셀라이트(celit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celite (celite) formed in a pellet form.
또한, 상기 전기집진기는 반사갓에 근접하는 위치에서부터 미디엄필터, 이오나이저, 복수의 집진판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may be configured in the order of a medium filter, an ionizer, and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from a position close to the reflection shade.
또한, 상기 제1 필터와 제2 필터 사이에는 제2 필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셀라이트를 재생시키기 위한 복수의 LED UV 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ED UV lamps for regenerating the celite so that the second filter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실내의 바닥이나 책상, 탁자 등에 이동설치가 가능하므로 흡연자는 담배를 피우고자 할 때에는 자신의 가까운 위치에 담배 연기 및 냄새 제거장치를 갖다 놓고 브로워를 작동시킨 후 담배를 피우게 되면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연기 및 담배가 탈 때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는 브로워의 흡입력에 의해 케이스본체 내부로 흡입되며, 흡입된 담배연기와 냄새 및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및 담배재 등은 전기집진기의 어오나이저에서 발생되는 음이온과 자외선램프에서 발광하는 자외선 및 광촉매필터인 제1 필터에 의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살균되며, 담배연기와 냄새에 포함되어 있는 아세트알데히드(CH3CHO), 폼아데히이드(HCHO), 톨루엔(C6H3CH3),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나프탈아민, 벤젠, 비닐크롤라이드, 니코틴 등의 유해물질을 산화분해시켜서 무해한 물(H2O)과 탄산가스(CO2)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제2 필터인 셀라이트는 담배냄새를 탈취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서는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만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실내를 보다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ve and install the floor, desk, table, etc. indoors in a normal home or office, so when a smoker wants to smoke, he puts a cigarette smoke and odor removing device in his closest place and operates a brower. When smoked, smoke and odor produced by smokers and smoked cigarettes are sucked into the case body by the suction power of the brower, and the inhaled cigarette smoke and odors and dust and tobacco materials contained in the air are Pollutants in the air are sterilized by the first filter, which is an anion generated from the anion of the dust collector and an ultraviolet light and a photocatalyst filter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lamp, and acetaldehyde (CH 3 CHO) and formaldehyde contained in cigarette smoke and odor. Hi Id (HCHO), toluene (C 6 H 3 CH 3) , hydrogen sulfide (H 2 S), ammonia (NH 3), naphthalimide amine, benzene, non- Crawl fluoride, by the oxidative decomposition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nicotine, and a harmless water effect of changing to (H 2 O) and carbon dioxide (CO 2), the Celite also the second filter because an effect of deodorizing the tobacco odor the Through the exhaust por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body is to provide an advantage to keep the room more comfortable by allowing only clean purified air to be discharged.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의 일부를 단면한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garette smoke odor decomposition and dust removal apparatu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garette smoke odor decomposition and dust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part of the cigarette smoke odor decomposition and dust remov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cigarette smoke odor decomposition and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부호 1은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제거장치(1)는 외형적으로 볼 때에는 원형으로 넓게 형성된 상부(21)와 상기 상부(21)의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수직상으로 형성된 하부(22)로 형성되는 케이스본체(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본체(2)의 하부(22)에는 실내 바닥이나 책상 및 탁자 등에 수직상으로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받침대(3)를 결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상기 제거장치(1)는 내면적으로 볼 때에는 상기 케이스본체(2)의 상부(21)에 형성된 흡입구(23)의 전면에는 안전망(24)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23)의 내측에는 모터(4)의 회전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브로워(5)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본체(2)의 하부(22) 내측에는 반사갓(6), 전기집진기(7). 자외선램프(8) 및 제1 필터(9a), 제2 필터(9b) 등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When the
상기 반사갓(6)은 브로워(5)의 하측에 위치하는 케이스본치(2)의 하부(22)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브로워(5)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유입되게 하는 통풍공(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갓(6)의 하측에는 전기집진기(7)가 장착되어 있다.The
상기 전기집진기(7)는 반사갓(6)에 인접하는 위치에서부터 미디엄필터(71), 이오나이저(ionizer : 72), 복수의 집진판(colletor : 7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오나이저(72) 및 복수의 집진판(73)은 도시하지 아니한 고압발생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코로나(corona) 방전을 일으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자외선램프(8)는 케이스본체(2)의 하부(22)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한 반사갓(6)의 통풍공(61)을 통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를 자외선에 노출시켜서 공기를 살균처리하는 것이다.The
상기 제1 필터(9a)는 자외선램프(8)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본체(2)의 하부(22)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필터(9a)는 자외선램프(6)에서 발광하는 자외선불빛을 받으면서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 담배연기 및 냄새, 아세트알데히드, 폼아데히이드, 톨루엔, 황화수소, 암모니아, 나프탈아민, 벤젠, 비닐크롤라이트, 니코틴 등 유해물질을 산화분해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는 하니콤구조의 광촉매필터로 구성되어 케이스본체(2)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있다.The
상기 제1 필터(9a)의 하측에는 제2 필터(9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필터(9b)는 담배연기 및 냄새 등을 여과, 정화, 흡착하는 기능을 가진 이산화규소 및 게르마늄 성분으로 구성된 분말을 펠릿(pellet)상으로 압축 성형된 셀라이트(celite)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필터(9b) 역시 케이스본체(2)의 하부(22)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A
상기 제1 필터(9a)와 제2 필터(9b) 사이에는 복수의 LED UV 램프(91)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복수의 LED UV 램프(91)에서 발광하는 불빛은 제2 필터(9b)인 셀라이트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한 셀라이트를 재생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A plurality of
상기 케이스본체(2)의 하부(22)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기구(25)는 상기 제2 필터(9b)의 하측에 형성되어 브로워(5)에 의해 케이스본체(2) 내부로 흡입되어 자외선램프(8)의 불빛을 받으면서 제1 및 제2 필터(9a)(9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각종 유해물질은 산화분해되고 또 각종 냄새는 여과, 정화, 흡착되어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상기 케이스본체(2)의 하부(22)의 하측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며, 상기 배기구(24)는 상부(21)에 형성된 흡입구(23)와는 대칭되는 반대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An
그리고 상기 케이스본체(2)의 하부(22) 일측에는 그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자외선램프(8)의 고장수리는 비롯하여 제1 및 제2 필터(9a)(9b)의 교체를 할 수 있도록 개폐판(26)을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2)의 상부(21)에 형성된 흡입구(23)의 반대측에는 모터(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27)이 접속되어 있는데, 상기한 전원공급선(27)은 흡연자가 담배연기 및 냄새 제거장치(1)를 이동설치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 것이 사용되며, 상기 전기집진기(7) 및 자외선램프(8)는 전원공급선(27)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tobacco smoke odor decomposition and
상기 제거장치(1)는 사무실이나 회의실 등에서 한 사람 또는 복수의 사람이 담배를 피우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흡연자는 상기 제거장치(1)의 케이스본체(2)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전원공급선(27)을 인출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에 연결시키고 모터(4)를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케이스본체(2)의 상부(21)에 형성된 흡입구(23)가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를 향하도록 바닥이나 책상 및 탁자 위에 수직상으로 세워놓은 상태에서 작동스위치를 온(on) 조작하여 브로워(5)를 작동시킴과 동시 전기집진기(7) 및 자외선램프(8)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브로워(5)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흡입구(23)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 흡연자는 흡입구(23)의 전방에서 담배를 피우고 있으므로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연기 및 담배가 탈 때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 및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와 담배재는 브로워(5)의 의해 흡입되는 공기와 케이스본체(2)의 상부(21) 내측으로 흡입된다.The
상기와 같이 케이스본체(2)의 상부(21)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브로워(5)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반사갓(6)의 통풍공(61)을 통해 상기 케이스본체(2)의 하부(22) 내측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브로워(5)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에는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내뿜는 담배연기와 함께 실내 공기에 산재되어 있는 먼지, 담배재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렇게 담배 연기와 함께 흡입되는 먼지, 담배재 등은 상기 반사갓(6)의 하측에 장착되어 있는 전기집진기(7)의 미디엄필터(71)에 여과됨과 동시 이오나이저(72)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에 노출되면서 고전압에 의해 방전되는 복수의 집진판(73)에 집진되는 것이다.The air sucked into the
또한 상기 전기집진기(7)의 이오나이저(72)에 노출되면서 통과하는 공기는 자외선램프(8)에서 발광하는 자외선불빛에 노출되면서 제1 및 제2 필터(9a)(9b)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스본쳬(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이오나이저(72)에서 발생되는 음이온 및 자외선램프(8)에 발광하는 자외선불빛에 의해 일차적으로 살균 처리되며, 이어서 제1 필터(9a)인 하니컴구조의 광촉매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살균처리된 공기에 포함된 담배연기 및 냄새에 들어있는 발암성물질이 나프탈아민, 벤젠, 비닐크롤라이드, 니코틴 등이 산화 분해되는 인체에 무해한 물(H2O)과 탄산가스(CO2)로 변화되며, 또한 제2 필터(9b)인 셀라이트(celite)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담배 냄새 등이 탈취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따라서 상기 담배연기 및 냄새 제거장치(1)의 작동시 브로워(5)의 흡입작용에 의해 공기와 함께 케이스본체(2)의 내부로 흡입되는 담배연기 및 냄새 등에 들어있는 각종 유해물질은 산화분해, 여과, 정제, 흡착되어 깨끗하게 정화되어 배기구(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Accordingly, various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cigarette smoke and odors sucked into the
또한 상기 담배연기 및 냄새 제거장치(1)의 흡입구(23)는 흡연자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연자가 담배를 피울 때 내뿜게 되는 담배연기 및 냄새를 전량 케이스본체(2) 내부로 흡입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배기구(25)는 흡입구(23)의 반대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게 되므로, 흡연자들은 흡입구(23)측에 위치하는 반면, 비흡연자들은 배기구(25)측에 위치하는 회의 등을 진행하게 될 경우에는 흡연자들에게는 담배를 피울 수 있고 비흡연자들에게는 담배연기 및 냄새로 인한 피해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 제2 필터(9b)의 셀라이트는 LED UV 램프(91)에서 발광하는 불빛에 의해 담배 냄새를 탈취하는 기능이 재생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elite of the
한편, 상기 케이스본체(2)의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23) 전면에는 안전망(24)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담배연기 및 냄새 제거장치(1)를 사용하는 도중에 어린아이들이 브로워(5)에 다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1 : 제거장치 2 : 케이스본체
21 : 상부 22 : 하부
23 : 흡입구 24 : 안전망
25 : 배기구 26 : 개폐판
27 : 전원공급선 3 : 받침대
4 : 모터 5 : 브로워
6 : 반사갓 61 : 통풍공
7 : 전기집진기 71 : 미디엄필터
72 : 이오나이저 73 : 집진판
8 : 자외선램프 9a : 제1 필터
9b : 제2 필터 91 : LED UV 램프1: Removal device 2: Case body
21: upper part 22: lower part
23: inlet port 24: safety net
25
27: power supply line 3: stand
4: motor 5: blower
6: reflection shade 61: ventilation hole
7: electrostatic precipitator 71: medium filter
72: ionizer 73: dust collector
8:
9b: second filter 91: LED UV lamp
Claims (5)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부 일측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23)와;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장착되는 모터(4)의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브로워(5)와;
상기 브로워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자외선램프(8)와;
상기 자외선램프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브로워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담배재와 같은 이물질을 집진함과 동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전기집진기(7)와;
상기 자외선램프의 하측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상,하 2단으로 내설되는 제1 및 제2 필터(9a)(9b)와;
상기 받침대와 제2 필터(9b) 사이의 케이스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브로워에 의해 흡입되어 케이스본체의 하부 내측 및 제1, 제2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에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3)와 제2 필터(9b) 사이의 케이스본체(2)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배기구(25)를 구성하고 있는 담배 연기 및 냄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기(7)는 케이스본체(2)에 장착되어 있는 반사갓(6)에 근접하는 위치에서부터 미디엄필터(71), 이오나이저(72), 복수의 집진관(73)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연기 및 냄새 제거장치.
A case body (2) movably installed in a state where a pedestal (3) is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stand vertically on an indoor floor or a desk or a top plate of a table;
An inlet 23 formed in an open state so as to suck outside air through one upper portion of the case body;
A blower (5) rotatably installed by the power of the motor (4) mounted inside the suction port to suck external air;
An ultraviolet lamp 8 fixedly installed at the lower inner upper side of the case body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brower;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7)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ultraviolet lamp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tobacco material contained in the air sucked by the blower and simultaneously generate negative ions;
First and second filters (9a) and (9b) which are installed in two upper and lower stages in a detachable manner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case body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ultraviolet lamp;
I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body between the pedestal and the second filter (9b) and is sucked by the blower to discharge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inner side of the case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body. In the cigarette smoke and odor removing device constituting the exhaust port 25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body 2 between the pedestal 3 and the second filter 9b,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7 is configured in the order of the medium filter 71, the ionizer 72, and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tubes 73 from a position close to the reflection shade 6 mounted on the case body 2. Tobacco smoke and odor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2 필터(9b)는 펠릿상으로 형성된 셀라이트(celit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연기 및 냄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filter (9b) is a cigarette smoke and odor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celite (celite) formed in a pellet form.
상기 제1 필터(9a)와 제2 필터(9b) 사이에는 제2 필터(9b)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셀라이트를 재생시키기 위한 복수의 LED UV 램프(9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연기 및 냄새 제거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LED UV lamps 91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lter 9a and the second filter 9b for regenerating celite configured to use the second filter 9b semi-permanently. Cigarette smoke and odor remov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4980A KR101366604B1 (en) | 2012-03-12 | 2012-03-12 | Removing apparatus of cigarette smoke, bad smell and du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4980A KR101366604B1 (en) | 2012-03-12 | 2012-03-12 | Removing apparatus of cigarette smoke, bad smell and dus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3936A KR20130103936A (en) | 2013-09-25 |
KR101366604B1 true KR101366604B1 (en) | 2014-03-12 |
Family
ID=4945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49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6604B1 (en) | 2012-03-12 | 2012-03-12 | Removing apparatus of cigarette smoke, bad smell and dus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660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9891A (en) * | 2020-12-22 | 2022-06-29 | 재단법인 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 Air purifier with directivity-inhalation fun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6998B1 (en) * | 2014-11-14 | 2015-02-04 | 주식회사 크럭스에어 | Apparatus for purging cigarette smoke |
KR102659371B1 (en) * | 2018-11-30 | 2024-04-22 |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 Deodorizing unit and air purifier |
KR102251395B1 (en) * | 2020-01-21 | 2021-05-12 | 주식회사 그린온 |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and system for disinfecting boarding Bridge and method for disinfecting boarding Bridge and boarding Bridge |
CN111603596A (en) * | 2020-06-03 | 2020-09-01 | 昆山盛世伟图电子科技有限公司 | A portable desktop smoke purifier |
KR102579422B1 (en) * | 2020-09-09 | 2023-09-15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gas purification function and gas purification device |
CN113413700B (en) * | 2021-05-31 | 2022-10-21 | 山东英信计算机技术有限公司 | An online cleaning and dust collection fixture for server component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57621A (en) * | 1998-11-25 | 2000-06-13 | Kawasaki Setsubi Kogyo Kk | Air cleaner |
KR100585479B1 (en) * | 2005-07-01 | 2006-06-07 | 무경엔지니어링(주) | Air Sterilizer with Air Conditioner |
KR20070046281A (en) * | 2005-10-31 | 2007-05-03 | (주) 성림에스포 | Industrial Combined Air Purifier |
KR20080089321A (en) * | 2008-09-05 | 2008-10-06 | 양영근 | Cigarette Smoke Suction Eliminator |
-
2012
- 2012-03-12 KR KR1020120024980A patent/KR10136660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57621A (en) * | 1998-11-25 | 2000-06-13 | Kawasaki Setsubi Kogyo Kk | Air cleaner |
KR100585479B1 (en) * | 2005-07-01 | 2006-06-07 | 무경엔지니어링(주) | Air Sterilizer with Air Conditioner |
KR20070046281A (en) * | 2005-10-31 | 2007-05-03 | (주) 성림에스포 | Industrial Combined Air Purifier |
KR20080089321A (en) * | 2008-09-05 | 2008-10-06 | 양영근 | Cigarette Smoke Suction Eliminato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9891A (en) * | 2020-12-22 | 2022-06-29 | 재단법인 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 Air purifier with directivity-inhalation function |
KR102470099B1 (en) * | 2020-12-22 | 2022-11-22 | 재단법인 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 Air purifier with directivity-inhalation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3936A (en) | 2013-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6604B1 (en) | Removing apparatus of cigarette smoke, bad smell and dust | |
KR101326781B1 (en) | Self cleaning smoking booth | |
KR20090058815A (en) | Car Air Purifier | |
KR20180102530A (en) | The Portable Device for Person which can remove a harmful germ and the smoke, nicotine, tar etc. when people smoke cigarette using a demister filter | |
KR200471784Y1 (en) | A smoking booth | |
CN110786546A (en) | Integrated cigarette filter for lighting cigarette, cutting cigarette, extinguishing cigarette, collecting cigarette ash and filtering cigarette smoke | |
CN103861413A (en) | Efficient indoor cigarette side stream smoke collecting and filtering device | |
CN102423627B (en) |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air purification | |
CN108036426B (en) | Efficient and environment-friendly air purification device | |
KR200476055Y1 (en) | Smoke and odor filtration system | |
JPH1151430A (en) | Table type air purifier | |
KR101917621B1 (en) | Desktop smoking filter device | |
CN204637805U (en) | A kind of cleaning equipment with the garbage disposal of cigarette ash stub | |
KR20150128371A (en) | Movable smoking booth | |
KR101667253B1 (en) | A smoking booth with purification function of the smell of cigarette | |
CN203336730U (en) | Horizontal photocatalysis air purifier | |
CN201365577Y (en) | Smoke abatement helmet | |
KR20190143842A (en) | Movement evacuator | |
CN106343609A (en) | Ashtray capable of purifying air | |
KR200367508Y1 (en) | The filtering apparatus for smoke of meet roaster | |
CN212538185U (en) | A second-hand smoke purifier | |
CN204268596U (en) | Indoor air purifier | |
KR20150095492A (en) | Warning of the dangers of smoking for the smoking booth filter | |
CN221301527U (en) | Polluted air purifier | |
CN217817274U (en) | Indoor local air treatment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