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805B1 -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 Google Patents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805B1
KR101348805B1 KR1020130136768A KR20130136768A KR101348805B1 KR 101348805 B1 KR101348805 B1 KR 101348805B1 KR 1020130136768 A KR1020130136768 A KR 1020130136768A KR 20130136768 A KR20130136768 A KR 20130136768A KR 101348805 B1 KR101348805 B1 KR 101348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groove
matching
engag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김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KR102013013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8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설치 및 수리보수작업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환경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의 외측레일과 내측레일 사이로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중앙부를 향하도록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형합가이더부와, 상기 외측레일과 내측레일 사이 바닥면에 밀착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위치를 안내하는 체결안내홈이 형성된 안착가이더부를 포함하는 금속재질의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결합부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외면에 형합 고정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양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형합홈부와, 상기 형합홈부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레일과 내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창문프레임의 상호 대향되는 외면 사이로 구비되는 연장돌기부와, 상기 연장돌기부의 양측면부에 구비되는 모헤어부재와, 상기 모헤어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창문프레임 외측에 밀착되도록 연장되는 보강차단부재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방풍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prefabricated windshield structure of window system}
본 발명은 창호용 방풍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및 수리보수작업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는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창이란 기존의 창문프레임을 실외측과 실내측의 이중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창틀프레임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근래에는 단열효과 때문에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 등 거의 모든 주택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이중창은 한 쌍, 또는 두 쌍의 창문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쪽의 창문프레임을 밀어서 열게 되면 한 쌍이 겹쳐지는 창을 일컫는다.
도 1a는 일반적인 이중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이중창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채광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창문프레임(5,6)과, 상기 창문프레임(5,6)이 중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창틀프레임(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창문프레임(5,6)은 통상적으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창틀프레임(1)의 외측레일(2) 및 내측레일(3)에 각각 위치하여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겹쳐지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이중창은 일반적인 단일창보다는 방열, 방음, 단열 등의 효과가 있지만, 상기 창틀프레임(1)과 한 쌍의 상기 창문프레임(5,6) 사이의 소정의 폭으로 간격이 발생되어 외부의 차가운 공기, 소음 또는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 등이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의 온기 또는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실내의 냉난방을 위해 과도한 에너지를 소모하여 경제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쾌적한 환경이 유지되지 못하여 주거환경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이에 도 1b에서와 같이, 외풍 및 소음을 차단하고 실내의 냉난방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창틀프레임(1)과 한 쌍의 상기 창문프레임(5,6)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폭 사이에 설치되는 방풍부재(100)가 일부 출시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방풍부재(100)는 상기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의 바닥면(4)에 안착되어 상기 한 쌍의 창틀프레임(5,6) 사이를 통하여 유출입되는 공기, 소리, 먼지 등을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방풍부재(100)는 상기 창틀프레임(1)의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의 바닥면(4)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한 쌍의 창문프레임(5,6) 사이에 개재되는 연장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장지지부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한 쌍의 창문프레임(5,6)의 상호 대응되는 면에 접하는 모헤어 등의 외풍차단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중창에 상기 방풍부재(100)가 구비됨으로써 외풍 및 소음을 일부 차단하고 냉난방된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주거환경이 일정부분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방풍부재(100)는 상기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의 바닥면(4)에 단지 안착되거나 혹은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도록 체결피스로 체결하거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직접고정하게 되는데, 전자의 경우 단지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의 사이 바닥면(4)에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안착되므로 상기 창틀프레임(1)의 측면부과 상단부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자와 같이 스크류나사 등의 체결피스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창틀프레임(1)에 직접고정하는 경우는 추후 상기 방풍부재(100)를 교체할 경우 직접 체결된 다수개의 나사를 해체해야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방풍부재(100) 자체에 다수개의 나사체결공이 형성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착제로 부착하는 경우에는 주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창틀프레임(1)과 상기 접착제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상기 창틀프레임(1) 및 상기 방풍부재(100)의 외면에 얼룩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방풍부재(100)를 수리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분리시 상기 접착제를 용해하는 특수약품을 처리해야하거나 칼과 같은 도구로 긁어내야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방풍부재(100)와 창틀프레임(1)의 외면이 심각하게 훼손될 뿐만 아니라 훼손부위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6966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의 외측레일과 내측레일 사이로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중앙부를 향하도록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형합가이더부와, 상기 외측레일과 내측레일 사이 바닥면에 밀착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위치를 안내하는 체결안내홈이 형성된 안착가이더부를 포함하는 금속재질의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결합부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외면에 형합 고정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양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형합홈부와, 상기 형합홈부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레일과 내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창문프레임의 상호 대향되는 외면 사이로 구비되는 연장돌기부와, 상기 연장돌기부의 양측면부에 구비되는 모헤어부재와, 상기 모헤어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창문프레임 외측에 밀착되도록 연장되는 보강차단부재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방풍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형합홈부의 단부 내측면과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후크 돌기가 형성되고 대향되는 타면에는 상기 후크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형합홈부의 내면과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외면은 상호 형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형합가이더부는 절곡된 양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형합홈부의 최하단 내측 단부 사이의 간격은 절곡된 양단부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형합홈부가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라운드지게 절곡된 단부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형합홈부의 최하단 내측 단부는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라운드지게 절곡되는 시작지점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강차단부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모헤어부재는 상기 연장돌기부의 양측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모헤어결합홈에 슬라이딩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프레임결합부와 그의 상측으로부터 가압되어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방풍프레임부에는 각각 형합가이더부와 형합홈부가 구비되되,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외면과 상기 형합홈부의 내면이 형합되도록 끼움 결합 되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철거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형합홈부와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상호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후크 돌기와 상기 후크홈이 각각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후크 돌기와 상기 후크홈에 의해 끼움 고정되는 단면적이 증가되므로 상기 형합홈부와 상기 형합가이더부 사이의 고정력이 향상되어 상기 창틀프레임의 상측으로도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창틀프레임에 상기 프레임결합부를 스크류피스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하고 그 상단부에 상기 방풍프레임부를 끼움 고정시 상기 형합홈부의 최하단 내측 단부 사이의 간격이 절곡된 양단부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고정력이 개선되면서도,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라운드지게 절곡된 양단부 외면을 따라 상기 형합홈부의 최하단 내측 단부가 슬라이딩되어 고정되므로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가압 체결되어 설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보강차단부재와 모헤어부재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상기 한 쌍의 창문프레임의 대향면에 접하므로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방풍프레임부가 상기 프레임결합부를 감싸듯이 끼움 고정되므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빗물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부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이중창과 종래의 방풍부재가 이중창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가 이중창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4c는 도 3의 "A"부분의 일실시예 및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또는 일반주택과 같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이중창은 도 1a에서와 같이, 장방형의 프레임형태로 구비되는 창틀프레임(1)과, 상기 창틀 프레임(1)의 내측으로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중첩되는 창문프레임(5,6)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창틀프레임(1)의 내측에는 상기 창문프레임(5,6)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외측레일(2) 및 내측레일(3)이 형성되고, 상기 창문프레임(5,6)의 하단부에는 상기 창문프레임(5,6)이 상기 외측레일(2) 및 내측레일(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바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중첩되는 한 쌍의 창문프레임(5,6)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외부의 바람, 소음,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에 상기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가 이중창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a 및 4c는 도 3의 "A"부분의 일실시예 및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200)는 프레임결합부(10)와 방풍프레임부(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200)는 상기 프레임결합부(10)가 상기 창틀프레임(1)의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 바닥면(4)에 직접 체결되고, 상기 프레임결합부(10)의 상단부에 상기 방풍프레임부(20)가 가압됨에 따라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결합부(10)는 형합가이더부(11)와 안착가이더부(1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결합부(10)는 상기 창틀프레임(1)의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로 구비되되 체결부재(14)에 의해 상기 레일(2,3) 사이 바닥면(4)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결합부(10)는 금속재질의 바(bar)형태로 구비되며 경량성, 내식성, 내염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일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결합부(10)의 양단부에는 상기 방풍프레임부(20)가 끼움 결합되도록 절곡 형성된 상기 형합가이더부(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형합가이더부(11)는 상기 외측레일(2) 및 내측레일(3)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프레임결합부(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중앙부를 향하도록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합가이더부(1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좁아질 수 있도록 절곡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후술되는 상기 방풍프레임부(20)의 형합홈부(21)와 보다 견고하게 형합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결합부(10)의 중앙부에는 상기 안착가이더부(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가이더부(12)는 상기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의 바닥면(4)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평판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가이더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안내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안내홈(13)은 상기 창틀프레임(1)에 상기 프레임결합부(10)를 고정시 상기 체결부재(14)의 체결위치를 안내하는 마커(marker)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체결부재(14)가 체결되는 간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안내홈(13)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간격표시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창틀프레임(1)의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의 바닥면(4)에 상기 프레임결합부(10)를 고정시 자와 같은 별도의 측정부재로 측정하지 않아도 원하는 위치에 신속하게 상기 체결부재(14)를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결합부(10)는 도 4a와 같이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단부가 상기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 바닥면(4)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안착가이더부(12)가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형합가이더부(111)의 단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안착가이더부(112)의 전면이 상기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의 바닥면(4)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외측레일(2) 및 내측레일(3) 사이에 구비된 상기 프레임결합부(10)의 상측으로 상기 방풍프레임부(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풍프레임부(2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되 형합홈부(21), 연장돌기부(22), 모헤어부재(25) 및 보강차단부재(2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방풍프레임부(20)의 하측 양단부에는 상기 프레임결합부(1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외면을 감싸듯이 형합되도록 상기 형합홈부(2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형합홈부(21)의 내면 프로파일은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외면과 형합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상으로 절곡된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양단부와 대응되어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형합홈부의 내면과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외면은 상호 형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형합홈부(21)의 최하단 내측 단부(21b) 사이의 간격은 절곡된 양단부(21c)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형합홈부(21)의 내면과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외면은 상호 형합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형합가이더부(11) 역시 상기 형합홈부(21)의 최하단 내측 단부(21b)가 대응되는 위치가 상기 절곡된 양단부(21c)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형합홈부(21)와 상기 형합가이더부(11) 사이의 고정력이 향상되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합홈부(21)의 단부 내측면과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후크 돌기(21a)가 형성되고 대향되는 타면에는 상기 후크 돌기(21a)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홈(1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결합부(10)는 상기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의 바닥면(4)에 상기 체결부재(14)에 의해 체결되고, 그의 상측으로 상기 방풍프레임부(20)가 끼움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방풍프레임부(20)의 하측 양단부에 상기 형합홈부(21)가 구비되되, 상기 형합홈부(21)의 내면 프로파일은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외면과 형합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형합가이더부(11)와 상기 형합홈부(21)가 상호 형합되도록 끼움 고정됨으로써 상기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200)를 상기 창틀프레임(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합가이더부(11)와 상기 형합홈부(21)가 형합되어 끼움 고정시 고정력이 보강되도록 상기 후크 돌기(21a)와 상기 후크홈(11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크 돌기(21a)가 상기 형합홈부(21)의 단부 내측으로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는 상기 후크홈(11a)이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단부 외측에 형성되도록 도시되었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후크 돌기(21a)와 후크홈(11a)의 위치는 반대로 적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4c에서와 같이 일측에 상기 후크 돌기(211a)가 레칫기어 형태로 형성되고 그의 타측에 상기 후크홈(221a)이레칫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레칫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즉, 상기 후크 돌기(21a)와 상기 후크홈(11a)이 상호 후크 고정됨에 따라 상기 형합가이더부(11)와 상기 형합홈부(21)를 끼움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호 후크 고정된 상기 후크 돌기(21a)와 상기 후크홈(11a)에 의해 끼움 고정되는 단면적이 증가되므로 상기 형합홈부(21)와 상기 형합가이더부(11) 사이의 고정력이 향상되므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형합홈부(21)의 최하단 내측단부(21b)가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외면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형합가이더부(11)는 절곡된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방풍프레임부(20)와 상기 프레임결합부(10)가 끼움 고정되도록 상기 형합가이더부(11)와 상기 형합홈부(21)가 상호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방풍프레임부(20)를 상기 프레임결합부(10)측으로 가압하여 끼움 결합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결합부(10)측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형합홈부(21)의 최하단 내측 단부(21b)가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절곡된 외면에 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라운드지게 절곡됨으로써 상기 형합홈부(21)의 최하단 내측 단부(21b)가 접하는 동시에 라운드지게 절곡된 외면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프레임결합부(10)와 상기 방풍프레임부(20)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풍프레임부(20)가 상기 프레임결합부(10)와 부드럽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형합홈부(21)는 그의 최하단 내측 단부(21a)가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라운드지게 절곡되는 시작지점(11a)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방풍프레임부(20)를 상기 프레임결합부(10)에 끼움 고정시 상기 방풍프레임부(20)의 양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기 형합홈부(21)의 최하단 내측 단부(21a)가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절곡된 양단부의 일측에 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형합홈부(21)의 최하단 내측 단부(21a)가 접하는 부위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절곡된 부분이 라운드지는 시작지점(11b)과 실질적으로 일체를 이루며, 가압력에 의해 상기 라운드지는 시작지점(11b)으로부터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방풍프레임부(20)가 상기 프레임결합부(10)에 끼움 고정되도록 상측으로 인접해짐에 따라 상기 형합홈부(21)의 최하단 내측 단부가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라운드지게 절곡된 부분의 시작지점(11b)에 접하고, 하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형합홈부(21)의 최하단 내측 단부(21b)는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라운드지게 절곡된 프로파일을 따라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형합홈부(21)와 상기 형합가이더부(11)는 전술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각도로 내측으로 좁아지도록 절곡되므로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된 후 상기 각도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결합부(10)에 상기 방풍프레임부(20)가 끼움 결합시 상기 방풍프레임부(20)의 절곡된 양단부(21c)는 상기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의 대향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프레임결합부(10)에 상기 방풍프레임부(20)를 결합 또는 분리시 상기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의 대향면에 간섭이 최소화되고 분리시 이용되는 공구를 적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므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형합홈부(21)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연장돌기부(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돌기부(22)는 상기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창문프레임(5,6)의 상호 대향되는 외면 사이로 구비되도록 소정의 높이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연장돌기부(22)는 한 쌍의 상기 형합홈부(21)의 일측이 각각 연장되되 상측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돌기부(22)가 한 쌍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방풍프레임부(20)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합홈부(2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풍프레임부(20)를 가압하여 상기 프레임결합부(10)와 체결시 탄성력에 의해 부드럽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설치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장부는 경우에 따라 상호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창틀프레임(1)과 창문프레임(5,6) 사이의 간격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 소음, 먼지 등이 차단되도록 상기 연장돌기부(22)의 양측면에는 모헤어부재(25)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모헤어결합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헤어부재(25)는 한 쌍으로 적층된 상기 창문프레임(5,6)의 대향되는 양측 외면에 단부가 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외부의 바람, 소음, 먼지 등이 차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모헤어부재(25)가 결합되는 상기 모헤어결합부의 상측으로는 상기 보강차단부재(2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차단부재(24)는 바람직하게는 고무와 같은 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구비되되, 그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창문프레임(5,6) 외측에 밀착되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헤어부재(25)와 상기 보강차단부재(24)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창문프레임(5,6)의 대향되는 양측 외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바람, 소음, 먼지 등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차단력이 향상되어 주거환경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보강차단부재(24)와 모헤어부재(25)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상기 한 쌍의 창문프레임(5,6)의 대향면에 접하므로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방풍프레임부(20)가 상기 프레임결합부(10)를 감싸듯이 끼움 고정되므로 상기 체결부재(14)가 상기 빗물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부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세히, 종래의 방풍부재(도 1b의 100)는 상기 창틀프레임(1)에 체결부재에 의해 직접체결됨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창틀프레임(1)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 등에 노출되어 쉽게 부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부재(14)가 상기 방풍프레임부(20)의 내측으로 구비되므로 빗물 등과 직접적인 접촉이 최소화되므로 부식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체결부재(14)가 상기 방풍프레임부(2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상 깔끔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200)는 상기 프레임결합부(10)와 그의 상측으로부터 가압되어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방풍프레임부(20)에 각각 형합가이더부(11)와 형합홈부(21)가 구비되되,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외면과 상기 형합홈부(21)의 내면이 형합되도록 끼움 결합 되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철거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합홈부(21)와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상호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후크 돌기(21a)와 상기 후크홈(11a)이 각각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후크 돌기(21a)와 상기 후크홈(11a)에 의해 끼움 고정되는 단면적이 증가되므로 상기 형합홈부(21)와 상기 형합가이더부(11) 사이의 고정력이 향상되어 장방형의 상기 창틀프레임(1)의 상측 및 측면으로도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창틀프레임(1)에 상기 프레임결합부(10)를 스크류피스 등의 체결부재(14)로 고정하고 그 상단부에 상기 방풍프레임부(20)를 가압하여 끼움 고정시 상기 형합홈부(21)의 최하단 내측 단부(21a) 사이의 간격이 절곡된 양단부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고정력이 개선되면서도, 상기 형합가이더부(11)의 라운드지게 절곡된 양단부 외면을 따라 상기 형합홈부(21)의 최하단 내측 단부(21a)가 슬라이딩되어 고정되므로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가압 체결하여 설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이실시예 및 삼실시예에서는 상기 창문프레임(1)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310,41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500,600)는 다양한 형태로 상기 창틀프레임(1)에 결합될 수 있다.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결합부(310)가 상기 창틀프레임(1)의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에 체결부재(314)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프레임결합부(310)는 소정 길이로 절단된 복수개의 유닛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창틀프레임(1)의 내측 바닥면(4)에는 별도의 고정부재(7)에 의해 다양한 보조부재가 체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창틀프레임(1)을 이루는 프레임바의 연결부위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7) 및 연결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로 인해 상기 프레임결합부(310)를 연속적으로 체결하기 어려울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돌출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상기 프레임결합부(310)를 소정의 길이로 조각내어 적용함으로써 상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방풍프레임부(20)를 끼움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안착가이더부(312)에 형성된 체결안내부(313)를 활용하여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결합부(310)의 유닛을 연속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결합부(310)를 조각내어 짧은 유닛상태로 활용하면 소재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결합부(410)가 상기 창틀프레임(1)의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에 체결부재(414)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안착가이더부(4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슬롯홀(415)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홀(415)은 상기 체결안내홈(413)과 마찬가지로 상기 체결부재(414)의 체결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마커(marker)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상기 체결부재(414)를 체결하기 위한 드릴작업 없이도 상기 체결부재(414)를 적용할 수 있어 설치작업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슬롯홀(415)을 통하여 상기 창틀프레임(1)의 상측으로 돌출된 별도의 고정부재(7) 또는 연결부재를 회피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결합부(410)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안착가이더부(412)에는 상기 슬롯홀(415)과 상기 체결안내홈(413)이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슬롯홀(415)만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500,600)는 상기 창틀프레임(1)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길이 또는 상기 안착가이더부(312,412)에 형성되는 체결안내홈(413)의 형태를 변형하여 상기 프레임결합부(310,410)를 상기 외측레일(2)과 내측레일(3) 사이의 바닥면(4)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프레임결합부(310,410)만이 상기 창틀프레임(1)에 고정되므로 그의 상단에 가압 고정되는 상기 방풍프레임부(20)의 탈부착이 자유로므로 수리 및 재설치를 위한 작업시간 및 작업과정이 현저히 단축되므로 설치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창호프레임 2 : 외측레일
3 : 내측레일 4 : 레일 바닥면
5,6 : 창틀프레임 7 : 고정부재
10,110,210,310,410 : 프레임결합부 11,111,211,311,411 : 형합가이더부
11a,111a,211a : 후크홈 12,112,212,312,412 : 안착가이더부
13,113,213,313,413 : 체결안내홈 14,114,214,314,414 : 체결부재
20,220 : 방풍프레임 21,211 : 형합홈부
21a,212a : 후크돌기 22,222 : 연장돌기부
23,223 : 모헤어결합홈 24,224 : 보강차단부재
25,225 : 모헤어부재 415 : 슬롯홀
200,300,400,500,600 :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Claims (5)

  1. 창틀프레임의 외측레일과 내측레일 사이로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중앙부를 향하도록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형합가이더부와, 상기 외측레일과 내측레일 사이 바닥면에 밀착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위치를 안내하는 체결안내홈이 형성된 안착가이더부를 포함하는 금속재질의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결합부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외면에 형합 고정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양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형합홈부와, 상기 형합홈부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레일과 내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창문프레임의 상호 대향되는 외면 사이로 구비되는 연장돌기부와, 상기 연장돌기부의 양측면부에 구비되는 모헤어부재와, 상기 모헤어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창문프레임 외측에 밀착되도록 연장되는 보강차단부재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방풍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합홈부의 단부 내측면과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후크 돌기가 형성되고 대향되는 타면에는 상기 후크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합홈부의 내면과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외면은 상호 형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형합가이더부는 절곡된 양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형합홈부의 최하단 내측 단부 사이의 간격은 절곡된 양단부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형합홈부가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라운드지게 절곡된 단부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형합홈부의 최하단 내측 단부는 상기 형합가이더부의 라운드지게 절곡되는 시작지점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차단부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모헤어부재는 상기 연장돌기부의 양측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모헤어결합홈에 슬라이딩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KR1020130136768A 2013-11-12 2013-11-12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Active KR101348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768A KR101348805B1 (ko) 2013-11-12 2013-11-12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768A KR101348805B1 (ko) 2013-11-12 2013-11-12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805B1 true KR101348805B1 (ko) 2014-01-07

Family

ID=5014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768A Active KR101348805B1 (ko) 2013-11-12 2013-11-12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8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50Y1 (ko) 2013-10-15 2014-11-20 강민성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KR101472225B1 (ko) * 2013-12-31 2014-12-11 강정호 창호용 방풍부재, 이를 가지는 창호 프레임 및 방풍부재의 시공방법
KR200488285Y1 (ko) * 2017-09-12 2019-01-08 정영선 창호용 개량 방풍 방음체
KR102615677B1 (ko) 2022-11-15 2023-12-19 황혜숙 이중창호용 방풍부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668B1 (ko) 2011-02-25 2013-06-04 이근천 창틀 방풍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틀
KR200469183Y1 (ko) 2012-08-23 2013-09-26 강민성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668B1 (ko) 2011-02-25 2013-06-04 이근천 창틀 방풍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틀
KR200469183Y1 (ko) 2012-08-23 2013-09-26 강민성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50Y1 (ko) 2013-10-15 2014-11-20 강민성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KR101472225B1 (ko) * 2013-12-31 2014-12-11 강정호 창호용 방풍부재, 이를 가지는 창호 프레임 및 방풍부재의 시공방법
KR200488285Y1 (ko) * 2017-09-12 2019-01-08 정영선 창호용 개량 방풍 방음체
KR102615677B1 (ko) 2022-11-15 2023-12-19 황혜숙 이중창호용 방풍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805B1 (ko)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KR101281428B1 (ko) 시스템 창호
KR101219379B1 (ko)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427053B1 (ko) 창호용 방풍 방음체
KR101612679B1 (ko) 개량형 창호용 방풍구
KR100917865B1 (ko) 단열 외창
KR101558869B1 (ko) 창호용 방풍부재
CN204730423U (zh) 空调百叶窗
KR101248575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101872968B1 (ko) 창호 프레임 구조
KR101271205B1 (ko) 양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간판프레임 시스템
KR20100096460A (ko) 구조가 개선된 창호
JP6727171B2 (ja) 建物の天井構造
KR20130005039U (ko) 창틀용 차양
KR20150020656A (ko) 도어용 프레임 결합장치
JP4377389B2 (ja) 窓枠およびこれを備えた窓
JP4436524B2 (ja) 建築物等のパネル取付構造
CN204677059U (zh) 一种推拉门窗快装防风挡
KR102018425B1 (ko) 설치가 용이하고 위치 조절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입면 분할 바 세트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분할 창호
CN202170718U (zh) 断桥式铝合金门窗90°转角型材
CN219061385U (zh) 一种门窗玻璃安装结构及具有其的门窗
CN222745946U (zh) 一种高性能半隐框平开窗
JP6392571B2 (ja) 縦葺き外装構造
CN216477059U (zh) 一种室外无边框式通风百叶窗
KR101311727B1 (ko) 창호용 유리 마감테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