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330B1 -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 - Google Patents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330B1
KR101344330B1 KR1020110063372A KR20110063372A KR101344330B1 KR 101344330 B1 KR101344330 B1 KR 101344330B1 KR 1020110063372 A KR1020110063372 A KR 1020110063372A KR 20110063372 A KR20110063372 A KR 20110063372A KR 101344330 B1 KR101344330 B1 KR 10134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
hole
hopper
bolt membe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418A (ko
Inventor
이정주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3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8Supports or mountings
    • B65G11/186Supports or mounting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 B65G21/0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constructed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송작업 중에 발생되는 이송기의 파손을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 대상물의 파손부위에 안착되는 마감부; 마감부에 대향되도록 작업 대상물의 반대 측에 안착되는 지지패널; 및 마감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마감부와 지지패널을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 {REPAIRING APPARATUS FOR FUEL AND RAW MATERIAL TRANSFE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송작업 중에 발생되는 이송기의 파손을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 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제선공정은 고로에서 이루어지는데, 고로에 장입되는 연료 및 원료는 차량 또는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다.
벨트컨베이어 사이에는 호퍼가 설치되어 연원료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거나 벨트컨베이어 사이에서 연원료를 전달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송작업 중에 발생되는 이송기의 파손을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 대상물의 파손부위에 안착되는 마감부; 상기 마감부에 대향되도록 작업 대상물의 반대 측에 안착되는 지지패널; 및 상기 마감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마감부와 상기 지지패널을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마감부가 연결되고 작업 대상물의 파손부위에 삽입되는 볼트부재;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마감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볼트부재에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볼트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홀부; 상기 연결홀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마감부에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연결홀부와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 일측면에는 상기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의 타측면에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부는 상기 곡면부 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는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파손된 부위를 용이하게 마감할 수 있으므로 이송기의 파손에 의해 이송작업이 중단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는 파손된 부위를 마감할 때에 작업자가 연원료 이송기 외부에서 파손 부위를 수리할 수 있으므로 연원료 이송기의 수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의 마감부 삽입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의 마감부 안착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의 마감부 삽입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의 마감부 안착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는, 작업 대상물의 파손부위에 안착되는 마감부(30)와, 마감부(30)에 대향되도록 작업 대상물의 반대 측에 안착되는 지지패널(70)과, 마감부(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마감부(30)와 지지패널(70)을 결합하는 체결부(52, 54)를 포함한다.
연원료는 벨트컨베이어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송되는데, 연원료의 이송방향이 전환되는 부위에는 제1벨트컨베이어(12)와 제2벨트컨베이어(14)가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제1벨트컨베이어(12)와 제2벨트컨베이어(14) 사이의 교차부위에 호퍼(16)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벨트컨베이어(12)에 의해 이송되는 연원료는 호퍼(16)를 따라 하강하여 제2벨트컨베이어(14)의 상면에 안착된다.
호퍼(16)는 상단부의 단면적이 하단부의 단면적과 비교하여 넓게 형성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벨트컨베이어(12)로부터 떨어지는 연원료가 경사면에 충돌된 후에 제2벨트컨베이어(14)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지면서 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 대상물이 호퍼(16)의 경사면에 해당되며, 연원료가 충돌되는 호퍼(16) 내벽에는 다수 개의 라이너(18)가 연속되게 설치된다.
설정 기간 동안 이송기가 구동되면 연원료가 충돌되는 라이너(18)가 마모되므로 라이너(18)를 교체하는 정기적인 수리작업이 진행된다.
정기적인 수리작업이 진행되기 전에 라이너(18)가 파손되고 추가로 호퍼(16)가 파손되면 제1벨트컨베이어(12)에서 떨어지는 연원료가 파손부위를 통해 유실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호퍼(16)의 외측으로부터 호퍼(16)의 파손부위를 통해 마감부(30)를 삽입하여 파손부위에 마감부(30)를 안착시키고, 마감부(30)에 대향되는 호퍼(16) 외벽에 지지패널(70)을 안착시킨 후에 체결부(52, 54)를 설치하여 마감부(30)와 지지패널(70)을 결합한다.
마감부(30), 지지패널(70) 및 체결부(50)에 의해 호퍼(16)의 파손부위가 마감되면 제1벨트컨베이어(12)로부터 떨어지는 연원료가 마감부(30)에 충돌된 후에 제2벨트컨베이어(14)의 상면에 안착되어 연원료의 이송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체결부(52, 54)는, 마감부(30)가 연결되고 작업 대상물의 파손부위에 삽입되는 볼트부재(52)와, 볼트부재(52)에 결합되는 너트부재(54)를 포함한다.
라이너(18) 및 호퍼(16)가 파손되어 호퍼(16)에 홀부가 형성되면 마감부(30) 및 볼트부재(52)의 일측 단부를 호퍼(16)에 형성된 홀부를 통해 호퍼(16) 내부로 삽입한다.
볼트부재(52)와 마감부(30) 사이에는 볼트부재(52)와 마감부(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80)가 설치된다.
따라서 마감부(30) 및 볼트부재(52)의 단부가 호퍼(16) 내부에 삽입되면 힌진부(80)의 작용에 의해 마감부(30)가 회전되고, 마감부(30)가 회전된 후에 볼트부재(52)를 호퍼(16) 외측으로 당기면 마감부(30)가 호퍼(16)의 내벽에 밀착되어 파손부위를 덮게 된다.
이후에, 볼트부재(52)에 지지패널(70)을 삽입하여 마감부(30)에 대향되는 호퍼(16)의 외벽에 지지패널(70)을 밀착시킨 후에 볼트부재(52)와 너트부재(54)를 결합하면 호퍼(16)의 내벽에 마감부(30)가 밀착되고 호퍼(16)의 외벽에 지지패널(70)이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힌지부(80)는, 볼트부재(52)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홀부(82)와, 연결홀부(82)에 결합되도록 마감부(30)에 형성되는 관통홀부(84)와, 연결홀부(82)와 관통홀부(84)에 삽입되는 연결핀(86)을 포함한다.
볼트부재(52)의 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홀부(82)가 형성되므로 연결홀부(82) 사이의 간격에 관통홀부(84)를 삽입한 후에 연결핀(86)을 연결홀부(82)와 관통홀부(84)에 삽입하면 마감부(30)가 볼트부재(5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핀(86)의 양측 단부에는 장착홀부(86a)가 형성되므로 연결핀(86)이 연결홀부(82)와 관통홀부(84)에 삽입된 후에 연결핀(86)의 양측 단부에 와셔(88)를 삽입하고 장착홀부(86a)에 클립(89)을 삽입하면 연결핀(86)이 연결홀부(82) 및 관통홀부(8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감부(30) 일측면에는 관통홀부(84)가 형성되는 공간부(32)가 형성되고, 마감부(30)의 타측면에는 곡면부(34)가 형성된다.
제1벨트컨베이어(12)로부터 연원료가 호퍼(16) 내벽으로 떨어질 때에 마감부(30)에 의해 연원료가 파손부위를 따라 호퍼(16)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원료가 마감부(30)의 곡면부에 충돌되므로 마감부(3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통홀부(84)는 공간부(32) 내부에 배치되므로 관통홀부(84)에 연결되는 연결홀부(82) 및 연결핀(86)이 공간부(32) 내측에 배치되어 마감부(30)와 호퍼(16)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연결홀부(82) 및 연결핀(86)이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마감부(30) 측으로 떨어지는 연원료에 의해 연결홀부(82), 관통홀부(84) 및 연결핀(86)이 파손되어 마감부(30)가 호퍼(1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관통홀부(84)는 곡면부(34) 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되므로 볼트부재(5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마감부(30)를 호퍼 내부로 삽입하여 마감부(30)가 자유단 상태가 되면 연결핀(86)을 중심으로 마감부(30)가 회전되면서 곡면부(34)가 상측에 배치된다.
볼트부재(52) 및 마감부(30)를 호퍼(16)의 파손부위를 통해 호퍼(16) 내부로 삽입한 후에 볼트부재(52)를 호퍼(16) 외측으로 당기면 곡면부(34)가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마감부(30)가 회전된 후에 호퍼(16)의 내벽에 밀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호퍼(16)의 파손부위를 마감하는 작업을 행하기 위하여 호퍼(16) 내부에 들어가지 않고 호퍼(16) 외부에서 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지지패널(70)의 중앙부에는 볼트부재(52)가 관통되는 통과홀부(72)가 형성되고, 통과홀부(72)의 주변에는 오목하게 곡면을 이루는 완충부(74)가 형성된다.
따라서 너트부재(54)에 의해 지지패널(70)이 호퍼(16)의 외벽에 밀착되면 완충부(74)가 변형되면서 호퍼(16) 외벽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원료의 이송작업이 개시되면 제1벨트컨베이어(12)를 따라 이송되는 연원료가 호퍼(16) 내부로 떨어지고, 호퍼(16)의 경사면에 충돌된 연원료는 제2벨트컨베이어(14)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지면서 떨어지게 된다.
연원료의 충돌이 반복되면 호퍼(16) 내벽에 설치되는 라이너(18)가 마모되며, 연원료의 충돌이 더 지속되면 호퍼(16)에 구멍이 생기는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호퍼(16)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호퍼(16)의 파손부위를 통해 마감부(30) 및 볼트부재(52)를 호퍼(16) 내부로 삽입한 후에 볼트부재(30)를 다시 호퍼(16) 외측 방향으로 당기는데, 이때, 마감부(30)는 연결핀(86)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호퍼(16)의 내벽에 밀착된다.
마감부(30)가 회전될 때에는 관통홀부(84)가 곡면부(34) 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되므로 곡면부(34)가 상측을 향하도록 마감부(30)가 회전되어 호퍼(16) 내벽에 밀착된다.
이후에, 볼트부재(52)에 지지패널(70)을 삽입하고, 볼트부재(52)에 너트부재(54)를 결합하면 호퍼(16)의 내벽에 마감부(30)가 밀착되고 호퍼(16)의 외벽에 지지패널(70)이 밀착되어 파손부위를 감싸게 된다.
이로써, 이송작업 중에 발생되는 이송기의 파손을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연원료 이송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수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 : 제1벨트컨베이어 14 : 제2벨트컨베이어
16 : 호퍼 18 : 라이너
30 : 마감부 32 : 공간부
34 : 곡면부 52 : 볼트부재
54 : 너트부재 70 : 지지패널
72 : 통과홀부 74 : 완충부
80 : 힌지부 82 : 연결홀부
84 : 관통홀부 86 : 연결핀
86a : 장착홀부 88 : 와셔
89 : 클립

Claims (5)

  1. 작업 대상물의 파손부위에 안착되는 마감부;
    상기 마감부에 대향되도록 작업 대상물의 반대 측에 안착되는 지지패널; 및
    상기 마감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마감부와 상기 지지패널을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마감부가 연결되고 상기 작업 대상물의 파손부위에 삽입되는 볼트부재;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마감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볼트부재에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볼트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는 상기 힌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패널의 상기 마감부 측 일면에는 곡면을 이루는 완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
  2. 삭제
  3. 제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볼트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홀부;
    상기 연결홀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마감부에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연결홀부와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의 타측면에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부는 상기 곡면부 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
KR1020110063372A 2011-06-29 2011-06-29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 KR101344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372A KR101344330B1 (ko) 2011-06-29 2011-06-29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372A KR101344330B1 (ko) 2011-06-29 2011-06-29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18A KR20130002418A (ko) 2013-01-08
KR101344330B1 true KR101344330B1 (ko) 2013-12-23

Family

ID=4783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372A KR101344330B1 (ko) 2011-06-29 2011-06-29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526A (ko) * 2020-01-28 2021-08-05 박기진 브라켓 고정용 일체형 앵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237A (ja) * 2000-10-30 2002-05-09 Suteekusu:Kk 壁用取付ボ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237A (ja) * 2000-10-30 2002-05-09 Suteekusu:Kk 壁用取付ボ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526A (ko) * 2020-01-28 2021-08-05 박기진 브라켓 고정용 일체형 앵커
KR102317472B1 (ko) * 2020-01-28 2021-10-26 박기진 브라켓 고정용 일체형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18A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330B1 (ko)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
KR101298762B1 (ko) 연원료 이송기용 수리장치
KR101184935B1 (ko) 링부재 세척장치
KR101159775B1 (ko) 압연롤러용 지그장치
AU2012389954B2 (en) Process and plant for producing components made of an aluminium alloy for vehicles and white goods, and components obtained thereby
KR101148942B1 (ko) 측면안내장치
KR20130002416A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320119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KR101330538B1 (ko)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 분리장치
KR101455104B1 (ko) 압연기용 스트리퍼장치
KR101148943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KR101377493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연원료 불출장치
KR101424428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017247B1 (ko) 압연장치용 가이드블록
KR101424449B1 (ko) 압연기용 냉각장치
KR101277541B1 (ko)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KR101193879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JP2004058129A (ja) 鋳片の表面疵防止方法およびその鋳片
KR101310830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KR20120001238A (ko) 제철소용 이송장치
KR101246230B1 (ko)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KR20150076983A (ko) 합금강 주편의 스카핑 방법
KR101298754B1 (ko) 압연기용 피드롤러 교체장치
KR101175796B1 (ko) 고로용 개공장치
KR101175784B1 (ko) 절단된 소재의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