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381B1 - Complex friction damper - Google Patents

Complex friction dam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381B1
KR101337381B1 KR1020120015243A KR20120015243A KR101337381B1 KR 101337381 B1 KR101337381 B1 KR 101337381B1 KR 1020120015243 A KR1020120015243 A KR 1020120015243A KR 20120015243 A KR20120015243 A KR 20120015243A KR 101337381 B1 KR101337381 B1 KR 101337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terlocking
plates
building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2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93964A (en
Inventor
이영제
서문병
황성호
김대영
김도현
김지영
김주연
박재근
김선웅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12001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381B1/en
Publication of KR2013009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9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3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15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involving active or passive dynamic mass damp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장착 대상물에 각기 연결되는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의 중앙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와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링크; 상기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3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하중 및 지진 하중에 의한 건물의 변형 발생시 서로 다른 마찰력을 갖는 플레이트가 상호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횡방향 및 종방향의 변형 하중을 흡수 및 감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composite friction damper for damping load fluctuations of a building in stages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object of the building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inserted into a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First and second link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ixed plates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It comprises a third link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formation of the building due to the wind load and the earthquake load, the plates having different frictional forces interlock with each other to rotate and absorb and attenuate the strain loads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Description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COMPLEX FRICTION DAMPER}Compound friction damper that attenuates load fluctuations in buildings step by step {COMPLEX FRICTION DAMPER}

본 발명은 건물의 하중 변동을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 대상물에 설치되어 풍하중 및 지진 하중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마찰력을 갖는 플레이트가 상호 연동되어 플레이트의 간격에 의해 스토퍼로 작용함으로써 풍하중 및 지진 하중을 단계별로 흡수 및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한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friction damper for damping load fluctuation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a plate having a frictional forc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wind load and seismic load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object and stopper due to the gap of the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friction damper that attenuates load fluctuations of a building step by step so that wind loads and seismic loads can be absorbed and damped step by step.

일반적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하중 변화는 풍하중과 지진 하중을 거론할 수 있다.In general, changes in loads on buildings can be considered wind and seismic loads.

풍하중은 구조물 주위에 바람이 불 때에 받는 힘이며, 설계용 풍하중은 기준 풍속에 의한 바람이 속도압과 수압면의 풍력 계수를 기본으로 하여 각종 계수를 곱해서 산출된다.The wind load is the force applied when the wind blows around the structure, and the design wind load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coefficients based on the wind speed at the standard wind speed and the wind coefficient at the hydraulic pressure surface.

지지하중은 지진에 의해 구조물에 미치는 하중으로써, 지진의 가속도에 비례한 정적 작용력이라고 생각하여 활하중이 무재하인 상태 즉, 사하중만의 상태에서 고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The support load is the load applied to the structure by the earthquake, and it is considered as a static action force proportional to the acceleration of the earthquake.

지진 하중은 구조물의 자체 무게에 진도(震度)를 곱해 계산한다. 수평 진도는 0.2, 연직 진도는 0.1을 표준으로 하고, 가교 지점의 지진의 자료나 지반의 상태에 따라 적당한 진도를 설정 한다Seismic load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structure's own weight by magnitude. The horizontal magnitude is 0.2 and the vertical magnitude is 0.1, and the appropriate magnitude is set according to the earthquake data at the bridge point and the ground condition.

지진파는 P파와 S파가 있고, P파는 종파로서 지진파의 진행 방향과 그 파동을 전달하는 매질의 진동 방향이 나란한 특성이 있다.The seismic wave has a P wave and an S wave, and the P wave is a longitudinal wave, which has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eismic wave and the direction of vibration of the medium transmitting the wave are parallel.

S파는 진동방향과 지진파의 진행 방향이 서로 수직을 이루면서 전달되는 횡파이며 구조물에 큰 피해를 입히는 특성이 있다.S wave is a transverse wave transmitted while the vibration direction and the seismic wave propagation direction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have a characteristic of causing great damage to the structure.

따라서 지진 발생에 의한 건물 붕괴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건물이나 교량 등의 구조물에 대한 내진설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ollapse and deformation of buildings due to earthquakes, seismic design of buildings and bridges is required.

내진 설계는 통상 면진 및 제진 설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조물 자체의 내력을 통해 지진하중을 극복하기 위해 각종 부재의 강도와 인성을 증대시켜 구조물 자체의 견고성을 높이고 지진하중으로부터 구조물의 안정성 및 사용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Seismic design usually includes seismic isolation and vibration damping design, which increases the strength and toughness of various members to overcome the earthquake load through the internal strength of the structure itself,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structure itself and maintaining the stability and usability of the structure from earthquake loads. To make it possible.

최근의 내진 설계 장치 중 하나로서 구조물에 가해지는 지진하중을 소멸 및 감쇠시키기 위해 창문이나 문의 상부에 설치되는 인방보에 댐퍼를 장착하는 방법이 있다.As one of the recent seismic design devices, there is a method of mounting a damper on a pulverized beam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 window or a door in order to dissipate and damp the seismic load applied to the structure.

이에 관한 선행기술로서는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9-0019917호, 일본공개특허 2006-077877호, 한국공개특허 2011-0028476호, 한국공개특허 2008-0111425호가 개시된 바 있다.Prior arts related to this have been disclosed i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19917, Japanese Laid-Open Patent 2006-077877, Korean Laid-Open Patent 2011-0028476, and Korean Laid-Open Patent 2008-0111425.

이중에서 가장 최근에 특허 등록된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11-0028476호는 건물 내의 비틀림 같은 구조물 내의 실질적인 수평 이동 또는 비틀림을 감쇠시키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Among them, the most recently patented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28476 relates to a damper that damps substantial horizontal movement or torsion in a structure such as torsion in a building.

도 1을 참조하여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11-0028476호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일측에는 중공(11)을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에 원호 형상으로 절개된 다수 개의 원호절개부(2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직선 형태로 절개된 다수 개의 직선절개부(33)가 구비된 중앙하중 전달판(310)이 있으며 다수 개의 볼트구멍(44)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하중전달판(310)의 일측 전후면에 일정한 각도로 벌어진 상태로 밀착되는 한 쌍의 회전용 하중전달 외부강판(320)이 있다. 상기 중앙하중전달판(310)의 타측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왕복용 하중전달 외부강판을 포함하여 (330)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용 하중전달 외부강판(320) 및 상기 한 쌍의 왕복용 하중전달 외부강판(330)에 형성된 볼트구멍(44)을 통과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면 상기 한 쌍의 회전용 하중전달 외부강판(320) 및 상기 한 쌍의 왕복용 하중전달 외부강 판(330)이 각각 상기 중앙하중전달판(310)의 일측과 타측을 전후면에서 압착하는 회전 및 직선왕복 마찰댐퍼, 그리고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Looking at the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28476 with reference to Figure 1, one si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rc cut portion 22 is cut in an arc shap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hollow 11, the other On the side there is a central load transfer plate 3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raight cuts 33 cut in a straight shape and a plurality of bolt holes 44 are formed and fixed on one sid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enter load transfer plate 310. There is a pair of load-bearing external steel plate 320 for rotation in close contact at an angle. 3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reciprocating load transfer outer steel plates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entral load transfer plate 310, the pair of rotational load transfer outer steel plate 320 and the one When the nut is fastened to the bolt passing through the bolt hole 44 formed in the pair of reciprocating load transfer outer steel plates 330, the pair of rotational load transfer outer steel plates 320 and the pair of reciprocating load transfer outer parts Steel plate 330 is a rotational and linear reciprocating friction damper for press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load transfer plate 310 in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nd a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using the same.

한편 종래 기술은 수평하중에 의한 중간 변형에 작동되도록 한 것으로, 수평 및 수직의 복합 하중에 대한 대응은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is to operate in the middle deformation due to the horizontal load, there was a problem in the response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site load is inadequate.

또한 종래 기술은 풍하중용 댐퍼와 지진하중용 댐퍼를 조합한 복합댐퍼가 주로 사용되고 있어 이중의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제조공수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 composite damper combining a wind load damper and a seismic load damper is mainly used, and thus a manufacturing complexity is increased because a double complex structure is us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착대상물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플레이트끼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풍하중 및 지진 하중에 의한 건물의 변형 발생시 서로 다른 마찰력을 갖는 플레이트가 상호 연동되어 횡방향 및 종방향의 변형 하중을 흡수 및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한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late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object and a plurality of plates are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plates having different frictional forces when the deformation of the building caused by wind loads and earthquake loads interlock with each o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und friction damper that attenuates load fluctuations of a building step by step so that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eformation loads can be absorbed and damp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창문이나 문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분할 형성된 인방보와 같은 장착 대상물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분할 형성된 인방보에 각기 연결되는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의 중앙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와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링크; 상기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3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하중 변동을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window or door of the building,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target, such as a split formed at intervals,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divided formed pulley, respectively. ;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inserted into a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First and second link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ixed plates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It can be achieved by a composite friction damper for damping the load fluctuation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link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와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된 틈에 삽입되는 탄성재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aterial inserted into the gap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ed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각기 제1 및 제2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and second slop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respectively, and third and fourth slop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slopes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An additional feature is formed.

상기 제1경사부는 정면에서 보았을때,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의 제1-1경사면과 하부의 제1-2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경사부는 정면에서 보았을때,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의 제2-1경사면과 하부의 제2-2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inclined portion is formed in a "<" shape and consists of an upper 1-1 slope and a lower 1-2 slope, and the second slope is viewed from the front, ">"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hil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upper 2-1 inclined surface and the lower 2-2 inclined surface.

상기 제3경사부는 정면에서 보았을때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의 제3-1경사면과 하부의 제3-2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경사부는 정면에서 보았을때,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의 제4-1경사면과 하부의 제4-2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inclined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of "<"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is composed of an upper 3-1 inclined surface and a lower 3-2 inclined surface, an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ourth inclined portion is formed of "<". It is formed in the for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upper 4-1 slope and the lower 4-2 slope.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와 제1연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금속편체이며,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와 제1연동플레이트의 상,하부에 배치되고, 양측에 볼트로 결합되어 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link is a metal piece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and is coupled to both sides by bolts to tighten the bolt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iction force can be adjusted by.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와 제2연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금속편체이며,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와 제2연동플레이트의 상,하부에 배치되고, 양측에 볼트로 결합되어 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link is a metal piece connecting the second fixed plate and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fixed plate and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and is coupled to both sides by bolts to tighten the bol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iction force can be adjusted by.

상기 제3링크는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금속편체이며, 양측에 각기 볼트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hird link is a metal piece connecting the first and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s are coupled to both sides so as to be rotatable.

본 발명에 따르면 풍하중 및 지진 하중에 의한 건물의 변형 발생시 서로 다른 마찰력을 갖는 플레이트가 상호 연동되어 횡방향 및 종방향의 변형 하중을 흡수 및 감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eformation of a building occurs due to wind loads and earthquake loads, plates having different frictional forces interlock with each other to absorb and attenuate deformation loads in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하중 변동을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하중 변동을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하중 변동을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의 작동 예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friction damper for damping the load fluctuation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3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composite friction damper for damping the load fluctuation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4a to 4d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mposite friction damper to dampen the load fluctuation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하중 변동을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하중 변동을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하중 변동을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의 작동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site friction damper for damping the load fluctuation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composite friction damper for damping the load fluctuation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4d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mposite friction damper for damping the load fluctuation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하중 변동을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A)는, 장착 대상물에 각기 연결되는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12);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12)의 중앙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21,22);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12)와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21,22)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링크(31,32);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21,22)를 연결하는 제3링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to 4D, the composite friction damper (A) for damping the load fluctuation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1, 12)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ounting object;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21 and 22 inserted into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plates 11 and 12; First and second links 31 and 32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ixed plates 11 and 12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21 and 22; It comprises a third link 33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21, 22).

본 발명의 장착 대상물의 일 실시예는 주로 건물의 창문이나 문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분할 형성된 인방보(101,102)를 의미한다.
One embodiment of the mounting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ow or door of the building, and means the guard beam (101, 102)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12)는 분할된 좌,우측의 인방보(101,102)에 장착되는 것으로,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좌,우측의 인방보(101,102)에 앙카볼트에 의해 연결되도록 다수의 통공(80)이 형성된 브라켓(8)이 형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1 and 12 are mounted on divided left and right pulleys 101 and 102, and ar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pulleys 101 and 102, respectively. The bracket 8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80 to be connected by the anchor bolt.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의 인방보(101,102)에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12)의 브라켓(8)이 매립되어 설치된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 the brackets 8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1 and 12 are embedded in the left and right pulleys 101 and 102.

또한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12)의 일측 단부에는 각기 제1 및 제2경사부(51,52)가 형성되되, 제1 및 제2경사부(51,52)는 상호 대칭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51 and 52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1 and 12,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51 and 52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It is made of a shape.

즉 제1경사부(51)는 정면에서 보았을때,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의 제1-1경사면(511)과 하부의 제1-2경사면(512)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inclined portion 51 is formed in a “<” shape and includes an upper first-first inclined surface 511 and a lower first-second inclined surface 512.

또 제2경사부(52)는 제1경사부(51)와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배치되며, 정면에서 보았을때,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의 제2-1경사면(521)과 하부의 제2-2경사면(522)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second inclined portion 52 is symmetrically dispos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51, and when viewed from the front, is formed in the shape of ""&quot; It consists of a 2-2 inclined surface 522.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21,22)는 제1 및 제2연결부재(31,32)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21,22)는 각각의 일측에 제1 및 제2경사부(51,52)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경사부(53,54)가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21 and 22 are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1 and 32,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21 and 22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side thereof. Third and fourth inclined portions 53 and 54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51 and 52 are formed.

제1연동플레이트(21)에 형성된 제3경사부(53)는 정면에서 보았을때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의 제3-1경사면(531)과 하부의 제3-2경사면(532)으로 이루어진다. The third inclined portion 53 formed on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21 is formed in a “<”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o that the upper 3-1 slope 531 and the lower 3-2 slope 532 are formed. Is done.

또 제2연동플레이트(22)에 형성된 제4경사부(54)는 정면에서 보았을때,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의 제4-1경사면(541)과 하부의 제4-2경사면(542)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fourth inclined portion 54 formed in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22 is formed in a ""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o that the upper 4-1 inclined surface 541 and the lower 4-2 inclined surface ( 542).

따라서 제1고정플레이트(11)의 제1-1경사면(511)은 제1연동플레이트(21)의 제3-1경사면(531)에 대응되고, 제1고정플레이트(11)의 제1-2경사면(512)은 제3-2경사면(532)과 대응된다.Accordingly, the first-first inclined surface 511 of the first fixing plate 11 corresponds to the third-first inclined surface 531 of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21 and the first-second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fixed plate 11. The inclined surface 512 corresponds to the third-second inclined surface 532.

또한 제2고정플레이트(12)의 제2-1경사면(521)은 제2연동플레이트(22)의 제4-1경사면(541)에 대응되고, 제2고정플레이트(12)의 제2-2경사면(522)은 제2연동플레이트(22)의 제4-2경사면(542)에 대응된다.In addition, the second inclined plane 521 of the second fixed plate 12 corresponds to the fourth inclined plane 541 of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22 and the second inclined plane of the second fixed plate 12. The inclined surface 522 corresponds to the second to second inclined surfaces 542 of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22.

이때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12)와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21,22)의 사이에는 미세한 틈(T)이 형성된다. 미세한 틈(T)은 사용하중에 따라 설계 조절되며 미세틈 간격에 의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스토퍼역할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a fine gap 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1 and 12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21 and 22. The fine gap T is design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working load and serves as a stopper to move to the next step by the minute gap.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틈(T)에 탄성재(도시되지 않았음.)가 삽입된다. 따라서 탄성재에 의해 각 플레이트끼리의 충돌시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And preferably an elastic material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gap (T). Therefore, the impact can be alleviated at the time of collision between each plate by the elastic material, wear can be prevented.

제1링크(31)는 제1고정플레이트(11)와 제1연동플레이트(21)를 연결하는 금속편체이며,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11)와 제1연동플레이트(21)의 상,하부의 전,후면에 한쌍으로 배치되고, 양측에 볼트(V) 및 너트가 결합되어 제1고정플레이트(11)와 제1연동플레이트(21)를 연결하면서 각자 회전가능하도록 한다.The first link 31 is a metal piece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late 11 and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21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fixing plate 11 and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21. It is arranged in pairs on the front and rear, the bolt (V) and the nut is coupled to both sides so as to be rotatable while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late 11 and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21).

상기 볼트(V)에는 제1링크(31)와 제1고정플레이트(11) 및 제1연동플레이트(21)와 마찰 접촉되도록 마찰판(S)이 결합된다.
A friction plate S is coupled to the bolt V in friction contact with the first link 31, the first fixing plate 11, and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21.

제2링크(32)는 제2고정플레이트(12)와 제2연동플레이트(22)를 연결하는 금속편체이며,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12)와 제2연동플레이트(22)의 상,하부의 전,후면에 한쌍으로 배치되고, 양측에 볼트(V) 및 너트가 결합되어 제2고정플레이트(12)와 제2연동플레이트(22)를 연결하면서 각자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The second link 32 is a metal piece connecting the second fixed plate 12 and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22,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fixed plate 12 and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22. It is arranged in pairs on the front and rear, and the bolt (V) and the nut is coupled to both sides so as to be rotatable while connecting the second fixing plate 12 and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22).

상기 제2링크(32)에 결합된 볼트(V)에는 제2고정플레이트(12) 및 제2연동플레이트(22)와 마찰 접촉되도록 마찰판(S)이 결합된다.
The friction plate S is coupled to the bolt V coupled to the second link 32 so as to be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second fixing plate 12 and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22.

제3링크(33)는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21,22)를 연결하도록 전,후면에 한쌍으로 배치되는 금속편체이며, 양측에 각기 볼트(V) 및 너트가 결합되어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21,22)가 각기 회전가능하도록 한다.The third link 33 is a metal piece arranged in pair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21 and 22, and bolts and nuts are coupled to both sides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The interlocking plates 21 and 22 are rotatable respectively.

상기 제3링크(33)에 결합된 볼트(V)에는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21,22)와 마찰 접촉되도록 마찰판(S)이 결합된다.
The friction plate S is coupled to the bolt V coupled to the third link 33 so as to be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21 and 22.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31~33)에 결합된 볼트(V)의 조임력에 의해 마찰판(S)에 의해 원하는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sired friction force by the friction plate (S) by the tightening force of the bolts (V) coupled to the first to third links (31 to 33).

또한 요구 댐퍼 용량에 따라 고정플레이트, 연동플레이트 및 연결 링크의 개수를 늘려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fixed plates, interlocking plates and connecting link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quired damper capacit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12)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배치하고, 그 사이에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21,22)를 배치한 후 제1 내지 제3링크(31~33)를 배치한 다음 볼트(V) 및 너트와 마찰판(S)를 체결하여 힌지 결합시켜 상호 회전가능하게 조립이 완료된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1 and 12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21 and 22 are disposed therebetween, and then the first to third links 31 to 33 are disposed. ) And then the bolt (V) and the nut and the friction plate (S) by fastening the hinge is combined to complete the assembly rotatably.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하중 변동을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A)를 장착될 위치인 분할 형성된 인방보(101,102)에 각 브라켓(8)을 앙카볼트로 연결하거나 또는 매립시켜 견고하게 장착시킨다.
Then, as shown in FIG. 3, each bracket 8 is anchored or embedded in the split-shaped pulverized beams 101 and 102, which are positions to be mounted with the composite friction damper A, which attenuates the load fluctuation of the building, and is firmly embedded. To be installed.

한편 풍하중이나 지진하중이 발생되면 건물의 하중 변동을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A)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동하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wind load or the earthquake load is generated, the composite friction damper A, which attenuates the load variation of the building, is behaving as shown in FIGS. 4A to 4C.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이 미미한 풍하중의 경우는,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21,22)가 좌측으로 이동된 정도이고,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인방보(102)가 하부 및 측방으로 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의해 우측의 제2고정플레이트(12)가 하방 및 측방으로 미세하게 이동됨에 따라 이에 종동되어 제1링크(31)가 미세하게 회전되며, 제1연동플레이트(21)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4A, in the case of a wind load with a small load,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21 and 22 are moved to the left side, and as shown in FIG. 4B, the right side is pulled out. The beam 102 is deformed downwardly and laterally, whereby the second fixing plate 12 on the right is finely moved downwardly and laterally, so that the first link 31 is finely rotated,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21 is moved downward.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풍에 의한 하중이 발생된 경우, 일측의 인방보(102)가 하부 및 측방으로 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제2고정플레이트(12)가 하방 및 측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에 종동되어 제2연동플레이트(22)도 하방으로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c, when the load caused by the typhoon, the side beam 102 is deformed to the lower side and the side, so that the second fixing plate 12 is moved downward and side As a result,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22 is also moved downward.

따라서 제2연동플레이트(22)에 연결된 제3링크(33)의 시계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제1연동플레이트(21)가 하방 및 측방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2경사면(512)과 제3-2경사면(532)이 접촉되면서 멈추는 상태가 된다.Accordingly,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21 is rotated downwardly and laterally in association with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third link 33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22, thereby allowing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512 and the third-2 to rotate. The inclined surface 532 is in a state of stopping while contacting.

이에 틈(T)에 설치된 탄성재는 압축된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The elastic material installed in the gap (T) is in a compressed state, which can be alleviated by the impact.

한편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과 같이 비교적 큰 하중 변형량이 가해질 경우에는 제2고정플레이트(12)가 더욱 많이 이동되고, 이에 종동되어 제1 및 제2링크(31,32), 제3링크(33)가 회전되고, 아울러 제2연동플레이트(22)가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d, when a relatively large load deformation is applied, such as earthquake, the second fixing plate 12 is moved more, and driven by the first and second links 31, 32, third The link 33 is rotated and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22 is moved.

이 경우 제1-2경사면(512)과 제3-2경사면(532)이 접촉되고, 제2-1경사면(521)에 제4-1경사면(541)이 접촉되면서 멈추는 상태가 된다.In this case, the first-second inclined surface 512 and the third-second inclined surface 53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first inclined surface 521 is in contact with the fourth-first inclined surface 541 to stop.

아울러 틈(T)에 설치된 탄성재가 압축되어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astic material installed in the gap (T) is compressed, the impact can be alleviat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하중 변동을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A)는 상하방향의 하중 변화량은 물론 좌우 방향의 하중 변화량도 흡수 및 감쇠시킬 수 있어 복합적인 하중 변화에 능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Therefore, the composite friction damper (A) damping the load variation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bsorb and attenuate not only the load change amount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the load change amou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us can be actively operated in the complex load chang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4 : 제3링크 11 : 제1고정플레이트
12 : 제2고정플레이트 21 : 제1연동플레이트
22 : 제2연동플레이트 31 : 제1링크
32 : 제2링크 51 : 제1경사부
52 : 제2경사부 53 : 제3경사부
54: 제4경사부 511 : 제1-1경사면
512 : 제1-2경사면 521 : 제2-1경사면
522 : 제2-2경사면 531 : 제3-1경사면
532 : 제3-2경사면 541 : 제4-1경사면
542 : 제4-2경사면
4: 3rd link 11: 1st fixing plate
12: second fixing plate 21: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22: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31: the first link
32: second link 51: first slope
52: second slope portion 53: third slope portion
54: fourth inclined part 511: first inclined plane
512: second inclined plane 521: second inclined plane
522: 2-2 inclined plane 531: 3-1 inclined plane
532: 3-2 inclined plane 541: 4-1 inclined plane
542: 4-2 slope

Claims (12)

건물의 하중 변동을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에 있어서,
장착 대상물에 각기 연결되는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의 중앙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와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링크;
상기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3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와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된 틈에 삽입되는 탄성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각기 형성된 제1 및 제2경사부;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의 일측에 각기 형성된 제3 및 제4경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
In a composite friction damper that attenuates load variation of a building,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ounting object;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inserted into a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First and second link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ixed plates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A third link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An elastic material inserted into a gap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respectively;
Third and fourth inclined portions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Compound friction damper for damping the load fluctuations of the building step by step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는 정면에서 보았을때,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의 제1-1경사면과 하부의 제1-2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경사부는 정면에서 보았을때,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의 제2-1경사면과 하부의 제2-2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
The method of claim 1,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inclined portion,
It is formed in the form of "<" and consists of the 1-1 slop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1-2 slope of the lower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econd inclined portion,
Compound friction damper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 and attenuates the load fluctuation of the building step by step consisting of the upper 2-1 slope and the lower 2-2 slo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경사부는 정면에서 보았을때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의 제3-1경사면과 하부의 제3-2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경사부는 정면에서 보았을때,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의 제4-1경사면과 하부의 제4-2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
The method of claim 1,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third inclined portion
It is formed in a "<" shape and consists of the upper 3-1 slope and the lower 3-2 slo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ourth inclined portion,
Compound friction damper formed in the shape of ">" and attenuates the load fluctuation of the building step by step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4-1 slope and the lower 4-2 slo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와 제1연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금속편체이며,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와 제1연동플레이트의 상,하부의 전,후면에 한쌍으로 배치되고, 양측에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조임에 의해 마찰력이 조절되며,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와 제1연동플레이트가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link
It is a metal piece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disposed in a pair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coupled to both sides by bolts and nuts The friction force is adjusted by the tightening of the bolt, the first friction plate and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friction damper step by step attenuating load fluctuations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에는 제1링크와 제1고정플레이트 및 제1연동플레이트와 마찰 접촉되도록 마찰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olt has a friction plate coupled to the first link,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first interlocking plate to frictionally damp the load variation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step by step a complex friction damp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와 제2연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금속편체이며,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와 제2연동플레이트의 상,하부의 전,후면에 한쌍으로 배치되고, 양측에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조임에 의해 마찰력이 조절되며,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와 제2연동플레이트가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link
It is a metal piece connecting the second fixed plate and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disposed in a pair on the front, rear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fixed plate and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coupled to both sides by a bolt and nut The friction force is adjusted by the tightening of the bolt, the second friction plate and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of the friction friction damper step by step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에는 제2링크와 제2고정플레이트 및 제2연동플레이트와 마찰 접촉되도록 마찰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
The method of claim 8,
The bolt has a friction plate coupled to the second link, the second fixing plate and the second interlocking plate to frictionally damp the load variation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step by step a complex friction damp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링크는
상기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전,후면에 한쌍으로 배치되며, 양측에 각기 볼트로 결합되고, 상기 볼트의 조임에 의해 마찰력이 조절되며, 상기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가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link
It is arranged in pairs on the front and rear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 are coupled to the bolts on both sides, the friction force is adjusted by tightening the bol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 is rotated Compound friction damper for damping the load fluctuations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step by step.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에는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와 마찰 접촉되도록 마찰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
The method of claim 10,
The bolt has a friction plate coupled to the friction plate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attenuating load fluctuations of the building step by ste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틈의 간격은 요구 조건에 따라 설계 변경가능하며 틈 간격에 의해 마찰댐퍼의 작동 거리가 설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와 제1 및 제2연동플레이트 접촉에 의해 다음 단계로 작동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하중 변동을 단계별로 감쇠시키는 복합마찰댐퍼.


The method of claim 1,
The gap can be changed in design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and the working distance of the friction damper is set by the gap gap,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next step by contacting the first and second fixed plates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plates. Compound friction damper for attenuating the load fluctuations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rsion step.


KR1020120015243A 2012-02-15 2012-02-15 Complex friction damper KR1013373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243A KR101337381B1 (en) 2012-02-15 2012-02-15 Complex friction dam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243A KR101337381B1 (en) 2012-02-15 2012-02-15 Complex friction dam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964A KR20130093964A (en) 2013-08-23
KR101337381B1 true KR101337381B1 (en) 2013-12-06

Family

ID=4921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243A KR101337381B1 (en) 2012-02-15 2012-02-15 Complex friction dam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3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364B1 (en) * 2018-10-12 2020-11-30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Slot-type Corner Friction Damper
CN114086794B (en) * 2022-01-24 2022-03-25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Longitudinal seam caulking and monitoring reset device and longitudinal seam caulking reset method
CN114790848B (en) * 2022-04-21 2024-01-30 东南大学 Connecting rod mechanism type variable friction self-resetting damp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2943A (en) * 2010-02-04 2011-08-25 Koei Toshi Kaihatsu Kk Damping pa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2943A (en) * 2010-02-04 2011-08-25 Koei Toshi Kaihatsu Kk Damping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964A (en) 201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3788B2 (en) Displacement amplification type vibration control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02859097B (en) Vibration damping metal sheet and building construction
KR101321224B1 (en) Shear wall type vibration control apparatus
CN102287016B (en) Pendulum type friction wall
KR101297416B1 (en) Damp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at
KR101589735B1 (en) Seismic Load Damper with Displacement Amplification Lever
JP5872091B1 (en) Deformation limiting device for seismic isolation structures
KR101654338B1 (en) Column type vibration isolation apparatus
JP2012122228A (en) Vibration control device fitted with inertia mass damper
KR101337381B1 (en) Complex friction damper
KR20140069694A (en) Brace damping system having connection for preventing out plane buckling
KR101402479B1 (en) Aseismic Damper
KR20140034268A (en) Aseismic damper
KR101028239B1 (en) Hybrid vibr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viscoelasticity and hysteresis
JP3828695B2 (en) Seismic control wall of a three-story house
KR101051058B1 (en) Damping system for construction
KR102124584B1 (en) Vibration reducing device for structure
CN108978924B (en) Tension-compression loading type mild steel damper with replaceable function
JP6326259B2 (en) Damping structure of structure
KR101393694B1 (en) Friction damper
KR100822594B1 (en) Friction type retrofitting device for steel tower structures using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members added to a tower column
KR101666356B1 (en) Seismic Load Damper with Displacement Amplification Lever
JP4129488B2 (en) Vibration control device
KR101888879B1 (en) Steel Plate Damper with Improved seismic and vibration suppression performance
JP6526781B2 (en)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