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832B1 - 전력측정용 멀티탭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측정용 멀티탭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832B1
KR101336832B1 KR1020120088870A KR20120088870A KR101336832B1 KR 101336832 B1 KR101336832 B1 KR 101336832B1 KR 1020120088870 A KR1020120088870 A KR 1020120088870A KR 20120088870 A KR20120088870 A KR 20120088870A KR 101336832 B1 KR101336832 B1 KR 101336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verage
transmission period
change rate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옥
Original Assignee
이봉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옥 filed Critical 이봉옥
Priority to KR102012008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8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콘센트의 평균전력값을 소정의 전송주기로 서버에 전송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에 있어서, 다수의 콘센트에 각각 연결된 신호측정부와, 상기 신호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로부터 상기 콘센트 각각의 순간전력치를 산출하는 전력 측정부와, 상기 다수의 콘센트와 전력 측정부 간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신호를 상기 전력 측정부에 전송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순간전력치로부터 평균전력값과 평균 변화율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변화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전송주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 및 그 구동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전력측정용 멀티탭 및 그 구동방법{MultiTab Using a Measurement of Electric Power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탭의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다양한 전기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흔히 멀티탭을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멀티탭은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구(콘센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전원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어 멀티탭에 인가되는 전기를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스위치는 각각의 플러그 삽입구마다 배치되어 개별적으로 전기를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구조도 사용된다.
최근에는 한국공개특허 2011-0057727호와 같이 원격의 제어명령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거나 전원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센서 네트워크형 멀티탭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형 멀티탭은 각 콘센트에 사용되는 소비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전력측정칩이 구비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으며, 측정된 콘센트의 소비전력을 항상 서버로 송신하기 때문에 송신 전력 소비가 큰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멀티탭 내 탑재된 전력 측정부와 멀티플렉서를 활용해 다수의 콘센트에서 소비되는 각각의 순간전력치를 측정함으로써, 추가적인 전력측정칩의 구성없이 하나의 전력 측정부만으로도 각 콘센트의 정확한 순간전력치를 획득할 수 있는 멀티탭을 제공한다.
또한, 다수의 순간전력치로부터 산출된 평균 변화율과 기준치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평균전력값 전송주기를 조절함으로써, 평균전력값의 오차를 줄이고 무선 전송시에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멀티탭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은, 복수 개의 콘센트의 평균전력값을 소정의 전송주기로 서버에 전송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에 있어서, 다수의 콘센트에 각각 연결된 신호측정부; 상기 신호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로부터 상기 콘센트 각각의 순간전력치를 산출하는 전력 측정부; 상기 다수의 콘센트와 전력 측정부 간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신호를 상기 전력 측정부에 전송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순간전력치로부터 평균전력값과 평균 변화율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변화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전송주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에서, 제어부는 다수의 순간전력치를 합산하여 평균전력값을 도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전력값을 직전 회차에 계산한 평균전력값과 가감시켜 백분율로 환산하여 상기 평균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에서, 제어부는 상기 평균변화율이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전송주기를 감소시켜 전송빈도를 높이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에서, 제어부는 상기 평균변화율이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전송주기를 증가시켜 전송빈도를 낮추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에서, 제어부는 상기 평균변화율이 전송중단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서버에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에서, 상기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는 평균변화율 10%이고, 상기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는 평균변화율 5%이고, 상기 전송중단 기준치는 평균 변화율 2%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 구동방법은, 멀티플렉서가 신호측정부에서 측정된 각 콘센트의 측정신호를 전력측정부에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전력 측정부가 상기 측정신호로부터 각 콘센트의 순간전력치를 산출하고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순간전력치로부터 각 콘센트의 평균전력값을 산출하고, 직전 회차의 평균값과 가감시켜 백분율로 환산하여 각 콘센트에서 소비된 전력의 평균 변화율을 산출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평균변화율과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평균변화율이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전송주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평균변화율이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전송주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평균변화율이 상기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보다 작고 상기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보다는 큰 경우에는 상기 전송주기를 그대로 유지하며, 상기 평균변화율이 전송중단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서버에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여 전송주기를 조절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 구동방법에서, 상기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는 평균변화율 10%이고, 상기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는 평균변화율 5%이고, 상기 전송중단 기준치는 평균 변화율이 2%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전력 측정부만으로도 다수의 전력 측정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각 콘센트의 순간전력치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IC를 추가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순간전력치로부터 산출된 평균 변화율과 기설정된 기준치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서버 전송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평균전력값을 전송할 수 있고, 불필요한 무선 전송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을 도시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을 도시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측정용 멀티탭(1000)은 하나의 전력 측정부(200)와 멀티플렉서(300), 제어부(400)를 구비하여, 다수의 콘센트마다 평균전력값을 산출하고 이를 근거리 통신(ZigBee, Bluetooth, UWB, RF 등)을 통해 서버(도시되지 않음)에 전송한다. 서버에 전송된 평균전력값은 사용자의 단말 등에 전송되어 사용자가 각 콘센트의 전력 소비량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각각의 콘센트 ON/OFF를 제어하거나 또는 한번에 모든 콘센트의 ON/OFF를 제어하며, 소비전력의 평균변화율에 따라 서버에 평균전력값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어한다.
전력측정용 멀티탭(1000)은 전력 측정부(200)와 멀티플렉서(300)에 의해 다수의 콘센트에 각각 공급되는 순간전력치를 산출함으로써, 하나의 전력 측정부(200)로 각 콘센트에 공급된 순간전력치를 정확히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1000)은 다수의 콘센트(100)에 각각 연결된 신호측정부(600)와, 상기 신호측정부(600)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로부터 상기 콘센트 각각의 순간전력치를 산출하는 전력 측정부(200)와, 상기 다수의 콘센트(100)와 전력 측정부(200) 간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신호를 상기 전력 측정부(200)에 전송하는 멀티플렉서(300), 및 상기 순간전력치로부터 평균전력값과 평균 변화율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변화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전송주기를 조절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신호측정부(600)는 다수의 콘센트(100)와 각각 연결되어 각 콘센트(100)에 공급되는 순간전류 및/또는 순간전압을 측정한다. 이때, 신호측정부(600)는 전압계, 전류계, 또는 전압전류계일 수 있으며, 측정된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구성(레퍼런스 신호 발생 회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Multiplexer, 300)는 다수의 콘센트(100)와 전력 측정부(200) 사이에 형성되며, 신호측정부(600)에 의해 다수의 콘센트(100)마다 측정된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 측정부(200)에 전송한다. 이때, 멀티플렉서(300)는 제어부(400)로부터 수신된 셀렉트 신호에 따라 각 신호측정부(600)의 측정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으며, 정해진 순서에 따라 신호측정부의 측정신호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이후, 멀티플렉서(300)는 수신된 측정신호를 우선순위에 따라 또는 순차적으로 전력 측정부(200)에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전력 측정부(200)는 멀티플렉서(300)로부터 전달된 측정신호로부터 순간전력치를 산출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수의 순간전력치를 합산한 합산 전력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전력 측정부(200)는 전류력계형 전력 IC(Intergrated Circuit) 또는 전력량계 IC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열전형 전력계 IC, 홀효과 전력계 IC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력 측정부(200)로부터 현재 전송주기동안 전송된 순간전력치를 다수개 합산하여 평균전력값을 산출한다. 이때 순간전력치를 합산하는 총 개수는 현재 전송주기동안의 순간전력치들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산출된 평균전력값을 직전 회차에 계산한 평균전력값과 가감시켜 백분율로 환산한 평균변화율을 하기 관계식 1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관계식 1]
Figure 112012065082615-pat00001
여기서 PN은 N번째 전송하기 위해 산출된 평균전력값이고, PN -1은 N-1번째 기전송된 평균전력값이다.
제어부는 각 시점에 산출된 평균전력값을 메모리부(5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순간전력치는 각 콘센트별로 산출되므로 평균전력값과 평균변화율 역시 각 콘센트 별로 산출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력의 평균변화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서버에 평균전력값을 전송하는 주기를 조절한다. 여기서 전송주기는 서버에 송신하는 측정값의 개수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에 송신하는 평균전력값을 16개의 순간전력치를 합산하여 산출하다가 이후 14개의 순간전력치를 기준으로 산출하면 전송주기는 짧아지게 되고, 20개의 순간전력치를 합산하여 평균전력값을 산출하면 전송주기는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어부(400)는 평균변화율이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는 전송주기를 감소시켜 전송빈도를 높이고, 평균 변화율이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송 주기를 늘려 전송빈도를 낮추고,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보다 작고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는 전송 주기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는 평균 변화율이 10%인 경우로 설정할 수 있고,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는 평균 변화율 5%인 경우로 설정할 수 있으나,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와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평균 변화율이 10% 이상인 경우에는 변화율의 폭이 커서 서버에 전송되는 평균전력값에 오차가 크기 때문에 전송주기를 짧게 함으로써 전력 사용량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평균 변화율이 2% 내지 5%인 경우에는 평균 변화율이 작아 상대적으로 평균전력값 오차가 적으므로 전송주기를 늘림으로써 데이터 전송에 소비되는RF 송신 전력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평균 변화율이 5% 내지 10% 미만인 경우에는 전송주기를 그대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평균 변화율이 10%이상인 경우에는 전송주기를 반(1/2)으로 줄이고, 2% 내지 5%인 경우에는 전송주기를 두 배(2T) 늘리도록 제어될 수 있으나, 전송주기의 조절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평균 변화율이 전송중단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계산된 평균전력값을 전송하지 않고 같은 전송주기동안 다시 전력을 측정하여 다시 한번 평균변화율을 계산한다.
다시 계산된 평균변화율이 전송중단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강제전송주기 전까지는 서버에 평균변화율을 전송하지 않는다. 여기서 강제전송주기란 연속해서 M회간 전송중단 기준치를 넘지 않을 경우 차회에 계산하는 평균전력값을 무조건 전송하는 주기를 말하며, 이는 서버와 멀티탭 간의 통신 상태 유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강제된다.
예를 들면, 강제전송주기가 10인 경우 연속해서 10회간 전송중단 기준치를 넘지 않으면 차회에 계산하는 평균전력값은 무조건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전송중단 기준치는 평균변화율이 2%인 경우로 예시하고 강제전송주기는 10회로 예시하였으나, 전송중단 기준치와 강제전송주기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전송주기 제어는 각 콘센트의 전력 평균변화율에 따라 각각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콘센트의 평균변화율이 10%이상인 경우 제1콘센트의 평균전력값은 전송주기를 짧게 하여 자주 송신하고, 제2콘센트의 평균변화율이 4%인 경우에는 전송주기를 두배 길게 하여 평균전력값을 빈도를 낮추어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콘센트의 평균전력값은 오차를 줄여 전송할 수 있고 제2콘센트의 전송주기는 늘려 전송에 필요한 송신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래칭 릴레이(700, 스위칭 회로)는 다수의 콘센트(100)와 동일한 수대로 마련되며, 제어부(400)로부터 전달된 온 제어신호 또는 오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다수의 콘센트(100)를 각각 온 또는 오프시킨다.
래칭 릴레이(700)는 각종 트랜지스터(BJT, MOSFET, JFET, CMOS 등) 또는 스위칭 다이오드(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고호율 다이오드, 패스트 리커버리 다이오드 등)의 다양한 회로 조합으로 설계되며, 그 주기능은 온 제어신호 또는 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다수의 콘센트(100)를 온 또는 오프로 스위칭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용 송수신기(800)는 산출된 평균전력값을 서버로 전송하거나, 서버를 통해 전송된 온 제어신호 또는 오프 제어신호를 제어부(400)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의 구동방법은, 멀티플렉서가 신호측정부에서 측정된 각 콘센트의 측정신호를 전력측정부에 전송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전력 측정부가 상기 측정신호로부터 각 콘센트의 순간전력치를 산출하고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순간전력치로부터 각 콘센트의 평균전력값과 평균 변화율을 산출하는 제3단계(S30),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평균변화율과 기준치를 비교하여 전송주기를 조절하는 제4단계(S40)를 포함한다.
먼저, 제1단계(S10)는, 멀티플렉서가 다수의 콘센트에 연결된 신호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 측정부에 전송한다. 이때, 멀티플렉서는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측정신호를 전력 측정부에 전송할 수도 있고, 수신된 측정신호를 순차적으로 전력 측정부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2단계(S20)는, 전력 측정부가 수신된 측정신호로부터 순간전력치를 산출하여 제어부에 전송한다. 이때 전력 측정부는 다수의 순간전력치를 합산한 합산 전력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제3단계(S30)는, 제어부가 다수의 순간전력치를 누적시켜 평균전력값을 산출하고, 직전 회차의 평균값과 가감시켜 백분율로 환산하여 각 콘센트에서 소비된 전력의 평균 변화율을 산출한다.
제4단계(S40)는 제어부가 평균 변화율과 기준치를 비교하여 전송 주기를 조절하는 단계로서, 먼저 제어부는 평균 변화율이 2% 미만인지 판단하여 2%미만인 경우에는 서버에 평균전력값 전송을 중단한다(S41). 이때, 제어부는 평균 변화율이 전송중단 기준치 미만인 경우 계산된 평균전력값을 전송하지 않고 같은 전송주기 동안 다시 전력을 측정하여 다시 한번 평균변화율을 계산할 수도 있다. 만약 연속해서 전송중단 기준치를 넘지 않으면 강제전송주기 이후 차회에 계산하는 평균전력값을 전송한다.
평균 변화율이 2%이상인 경우에는 다시 평균 변화율이 5% 미만인지를 판단(S42)하여, 평균 변화율이 5%미만인 경우에는 전송주기를 2배로 증가시켜 평균전력값의 전송빈도를 낮춘다.
또한, 평균 변화율이 5% 이상인 경우에는 다시 평균 변화율이 10% 미만인지를 판단(S43)하여, 10%이상인 경우에는 전송주기를 1/2로 감소시켜 평균전력값의 전송빈도를 높이고, 평균변화율이 5% 이상 10%미만인 경우에는 전송주기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설명은 평균 변화율이 2% 미만인지를 먼저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평균 변화율의 판단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력측정부와 제어부를 독립된 구성요소로 설명하였으나, 이를 하나의 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1000 : 전력측정용 멀티탭 100 : 콘센트
200 : 전력 측정부 300 : 멀티플렉서
400 : 제어부 500 : 메모리부
600 : 전류계 700 : 래칭 릴레이
800 : 근거리 통신용 송수신기 900 : 가전기기

Claims (12)

  1. 복수 개의 콘센트의 평균전력값을 소정의 전송주기로 서버에 전송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에 있어서,
    다수의 콘센트에 각각 연결된 신호측정부;
    상기 신호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로부터 상기 콘센트 각각의 순간전력치를 산출하는 전력 측정부;
    상기 다수의 콘센트와 전력 측정부 간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신호를 상기 전력 측정부에 전송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순간전력치로부터 평균전력값과 평균 변화율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변화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전송주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순간전력치를 합산하여 평균전력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전력값을 직전 회차에 계산한 평균전력값과 가감시켜 백분율로 환산하여 상기 평균 변화율을 산출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변화율이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전송주기를 감소시켜 전송빈도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변화율이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전송주기를 증가시켜 전송빈도를 낮추도록 제어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변화율이 전송중단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서버에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고, 강제전송주기 이후에 측정된 평균전력값을 전송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변화율이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보다 작고,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전송주기를 유지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온 제어신호 또는 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콘센트를 각각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다수의 래칭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전력값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온 제어신호 또는 오프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근거리 통신용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
  10. 제1항에 따른 전력측정용 멀티탭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플렉서가 신호측정부에서 측정된 각 콘센트의 측정신호를 전력측정부에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전력 측정부가 상기 측정신호로부터 각 콘센트의 순간전력치를 산출하고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순간전력치로부터 각 콘센트의 평균전력값을 산출하고, 직전 회차의 평균값과 가감시켜 백분율로 환산하여 각 콘센트에서 소비된 전력의 평균 변화율을 산출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평균변화율과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평균변화율이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전송주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평균변화율이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전송주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평균변화율이 상기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보다 작고 상기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전송주기를 그대로 유지하며, 상기 평균변화율이 전송중단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서버에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여 전송주기를 조절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의 구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전송을 중단하는 경우, 강제전송주기 이후 측정된 평균전력값을 전송하는 전력측정용 멀티탭의 구동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주기 감소 기준치는 평균변화율 10%이고, 상기 전송주기 증가 기준치는 평균변화율 2% 내지 5%이고, 상기 전송중단 기준치는 평균 변화율 2%인 전력측정용 멀티탭의 구동방법.
KR1020120088870A 2012-08-14 2012-08-14 전력측정용 멀티탭 및 그 구동방법 Active KR101336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870A KR101336832B1 (ko) 2012-08-14 2012-08-14 전력측정용 멀티탭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870A KR101336832B1 (ko) 2012-08-14 2012-08-14 전력측정용 멀티탭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832B1 true KR101336832B1 (ko) 2013-12-04

Family

ID=4998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870A Active KR101336832B1 (ko) 2012-08-14 2012-08-14 전력측정용 멀티탭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976A (ko) * 2016-10-13 2018-04-23 윤동구 멀티탭 시스템 및 이에 기반한 전자기기 제어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843B1 (ko) * 2006-10-27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고속공통제어채널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90093090A (ko) * 2008-02-28 2009-09-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위치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신호전송방법
KR20100051161A (ko) * 2008-11-07 2010-05-17 주식회사 글로비젠 절전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20077424A (ko) * 2010-12-30 2012-07-10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전력 모니터링 콘센트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843B1 (ko) * 2006-10-27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고속공통제어채널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90093090A (ko) * 2008-02-28 2009-09-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위치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신호전송방법
KR20100051161A (ko) * 2008-11-07 2010-05-17 주식회사 글로비젠 절전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20077424A (ko) * 2010-12-30 2012-07-10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전력 모니터링 콘센트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976A (ko) * 2016-10-13 2018-04-23 윤동구 멀티탭 시스템 및 이에 기반한 전자기기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507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CN109298306B (zh) 半导体故障预测
US8994438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switching a curr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semiconductor circuit breaker
US8680826B2 (en) Optimized conversion efficiency for regulator apparatus with plural parallel regulators
KR100985961B1 (ko) 온도 제어 모듈 및 방법
WO2012056741A1 (ja) センサ装置
US9484819B2 (en) Regulator device
CN108141135B (zh) 电压调节器电流负载感测
CN104810903B (zh) 电子设备的无线充电方法及相关装置
EP3046241A2 (en) Dual active bridge with coupled inductors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KR101336832B1 (ko) 전력측정용 멀티탭 및 그 구동방법
US9197130B2 (en) Regulator device having degradation detection
EP2821799B1 (en) Highly accurate current measurement
JP2023026602A (ja) 設定システム
JP6707182B2 (ja) 受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EP2902792A1 (en) Power measurement
EP3332222B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domestic electric network
US20210143675A1 (en)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US20110049987A1 (en) Power tap,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00341047A1 (en) Power module
US12015343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ulse pairing in a multi-output DC-DC converter
KR101367384B1 (ko) 무선 제어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JP2009281885A (ja) 電力測定システム
JP5832504B2 (ja) 伝送装置、及び、伝送方法
EP3332221B1 (en)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the electrical power consumed by a domestic electric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