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691B1 - Toy for football - Google Patents
Toy for footb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2691B1 KR101332691B1 KR1020110145597A KR20110145597A KR101332691B1 KR 101332691 B1 KR101332691 B1 KR 101332691B1 KR 1020110145597 A KR1020110145597 A KR 1020110145597A KR 20110145597 A KR20110145597 A KR 20110145597A KR 101332691 B1 KR101332691 B1 KR 1013326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frame
- fixed
- battery
- to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5—Other wheeled vehicles with moving figur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made of parts to be assemble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축구용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축구용 완구는 높이를 낮추어 주행안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높이 조절을 통해 주행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cer toy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the soccer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adjust the driving stability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ttery as well as improving the driving stability by lowering the height.
Description
본 발명은 축구용 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cer toy.
종래 무선조종이 가능한 완구는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였다.In the prior art, a radio-controlled toy was generally provided with a battery inside.
완구의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는 경우 완구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완구의 높이가 높아질 수 밖에 없고, 완구의 높이가 높아지면 완구의 무게중심이 높아지게 되므로 완구가 전후좌우로 이동할 때 뒤집히거나 한쪽으로 쓰러지는 문제(주행안정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었다.When the battery is provided inside the toy, the inside of the toy must hav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so the height of the toy is high, and the height of the toy increas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oy, so that the toy moves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The problem of flipping or falling to one side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driving stability) occurred.
한편 종래 무선조종이 가능한 완구들은 상술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완구의 주행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도 갖추지 못한 형태였다.On the other hand, the toys that can be wirelessly controlled in the past, despit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user did not have a means for adjusting the running stability of the toy.
본 발명은 높이를 낮추어 주행안정성이 향상된 축구용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soccer toy for improving the running stability by lowering the height.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의 높이 조절을 통해 주행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축구용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toy for football that can adjust the driving stability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ttery.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를 이어주는 후면바디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드리블하는 볼지지부;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제1휠 및 제2휠이 구비된 구동부; 상기 제1휠과 상기 제2휠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휠과 상기 제2휠은 상기 메인바디가 상기 볼지지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후면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후면바디에 고정되는 축구용 완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ain body, a pair of side bodies respectively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main body, the rear body is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pair of side body is provided with frame; A ball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frame and dribbling; A driving part provided on each of the pair of side bodies and provided with a first wheel and a second wheel for moving the frame; And a battery providing power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first wheel and the second wheel, wherein the first wheel and the second wheel are provided at positions such that the main body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all support. , The battery provides a soccer toy that is fixed to the rear body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ar body.
이 경우 본 발명 축구용 완구는 상기 프레임과 분리되어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통신하여 상기 조작부에서 제공된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신호수신부를 지지하는 수신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수신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occer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rame and the control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A signal receiv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operation unit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provided from the operation unit to the driving unit; The receiving unit frame is fixed to the frame to support the signal receiving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ignal receiving unit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the receiving frame to be adjustable in height.
또한 상기 수신부 프레임은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되는 바디고정축, 상기 바디고정축이 절곡되어 구비되는 수신부 고정축, 상기 수신부 고정축에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er frame may include a body fixing shaft fixed to the main body, a receiver fixing shaft provided with the body fixing shaft bent, and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provided on the receiver fixing shaft, 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may include the fixing groove.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rotrusion inserted into.
또한, 상기 후면바디의 표면에는 다수의 수용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를 상기 후면바디에 고정시키는 배터리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are further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rear body, and the battery further includes a battery fixing par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to fix the battery to the rear body so that the height of the battery can be adjusted. It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 축구용 완구는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보조휠과 제2보조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보조휠과 상기 제2보조휠은 지면에 닿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ccer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auxiliary wheel and a second auxiliary wheel rotatably fixed to the pair of side body, the first auxiliary wheel and the second auxiliary wheel is to be provided so as not to touch the ground. Can be.
또한 본 발명 축구용 완구는 제1간격유지바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 중 어느 하나의 측면바디와 나란하도록 고정되는 제1휠지지바디; 제2간격유지바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 중 다른 하나의 측면바디와 나란하도록 고정되는 제2휠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휠은 일단은 상기 측면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휠지지바디에 고정되는 제1축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제2휠은 일단은 상기 측면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휠지지바디에 고정되는 제2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soccer toys is a first wheel support body which is fixed to be parallel to any one of the side body of the pair of side body through the first spacing bar; A second wheel support body is fixed to be parallel to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the side body of the body through the second spacing bar; The first wheel is fixed to the side body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 second wheel may be fixed through a first shaft fixed to the first wheel support body, and the second wheel may be fixed to the side body at one end thereof and the second shaft may be fixed to the second wheel support body.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휠에 구비되는 제1종동기어, 상기 제1종동기어에 치합하는 제1주동기어,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주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가 구비된 제1구동부; 상기 제2휠에 구비되는 제2종동기어, 상기 제2종동기어에 치합하는 제2주동기어,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2주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가 구비된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driven gear provided on the first wheel, a first main gear meshed with the first driven gear, and a first motor provided on the frame to rotate the first main gear. A drive unit; And a second driving gear provided in the second wheel, a second driving gear meshed with the second driven gear, and a second driving part provided in the frame to rotate the second driving gear. can do.
또한 본 발명 축구용 완구는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홈,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가 수용되는 측면바디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프레임 커버; 상기 휠지지바디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디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soccer toys includes a frame cover which is detachable to the frame having a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a side body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air of side bodies; It may further include a body cover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the wheel support body.
본 발명은 높이를 낮추어 주행안정성이 향상된 축구용 완구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providing a soccer toy for improving the running stability by lowering the height.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의 높이 조절을 통해 주행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축구용 완구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providing a toy for football that can adjust the driving stability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ttery.
도 1은 본 발명 축구용 완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축구용 완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프레임커버가 제거된 축구용 완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축구용 완구의 저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프레임커버가 제거된 축구용 완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프레임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바디커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cer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ccer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cer toy with the frame cover removed.
4 is a bottom view of a soccer toy.
5 to 7 is a side view of the soccer toy with the frame cover removed.
8 is a bottom view of the frame cover.
9 shows a body cov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s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f the terms used herein conflict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re as defined herein.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components Indicates.
본 발명 축구용 완구(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 형상을 구현하는 프레임(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볼을 모는(볼을 드리블하는) 볼지지부(2), 상기 프레임(1)을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는 구동부(3),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 상기 프레임(1)과 분리되어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미도시),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와 통신하는 통신부(8, 도 7 참고)를 포함한다.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은 바닥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메인바디(11), 상기 메인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측면바디(13), 상기 메인바디(11)의 후방에 고정되되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를 연결시키는 후면바디(1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frame 1 includes a
이 경우 상기 볼지지부(2)는 일단은 상기 메인바디(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절곡되어 바닥면에 접촉하는 제1바(21), 상기 제1바(21)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절곡되어 상기 바닥면에 접촉하는 제2바(23)를 포함한다.In this case, one end of the
상기 제1바(21)와 제2바(23)는 본 발명 축구용 완구(100)가 드리블하게 될 볼(ball, 미도시)의 지름보다 작은 길이 만큼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나아가 볼의 드리블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바(21)에는 제1바에 착탈 가능한 제1연장판(2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바(23)에는 제2바에 착탈 가능한 제2연장판(24)이 더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이 경우 상기 제1바(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기(2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장판(22)에는 상기 돌기(211)가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홀(221)이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제2바(23)도 제1바(21)와 마찬가지로 제2바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기(23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장판(24)은 상기 돌기(231)가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홀(241)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Like the
이는 상기 연장판(22, 2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late (22, 24).
후술하겠지만 구동부(3)에 구비된 제1휠(313)과 제2휠(333)에 의해 상기 프레임(1)은 볼지지부(2)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rame 1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따라서 본 발명 축구용 완구(100)는 각 바(21, 23)에 결합하는 상기 제1연장판(22)과 제2연장판(24)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프레임(1)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는 축구용 완구(100)의 이동 시 프레임(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Therefore, the
상기 구동부(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바디(13)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구동부(31)와 한 쌍의 측면바디(13)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구동부(3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상기 제1구동부(31)는 측면바디(13)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모터(311), 상기 측면바디(13)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모터(311)에 의해 회전하는 제1휠(313)을 포함한다.The first driving
상기 제1휠(313)은 제1모터(311)의 회전축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휠(313)은 기어를 통해 제1모터(311)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즉 상기 제1모터(311)는 회전축에는 구비되는 제1주동기어(31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휠(313)은 제1축(3131)을 통해 상기 측면바디(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되 제1주동기어(3111)에 치합하는 제1종동기어(31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제1휠(313)이 제1모터(311)와 기어를 통해 연결되도록 한 것은 상기 제1휠(313)이 상기 프레임(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상기 제1휠(313)이 프레임(1)의 후방에 위치되면 프레임(1)이 볼지지부(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되는데 프레임(1)이 볼지지부(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면 프레임(1)이 구동부(3)에 의해 이동하더라도 축구용 완구(100) 전체의 무게중심이 낮아져 프레임(1)이 빠르게 이동하는 중에도 안정적으로 볼을 드리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상기 제2구동부(33)도 상술한 제1구동부(31)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driving unit 33 is also preferably provided to includ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즉 상기 제2구동부(33)도 제2모터(331)와 제2휠(333)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2모터(331)는 그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주동기어(33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휠(333)은 제2휠(333)을 측면바디(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2축(3331)과 상기 제2주동기어(3311)에 치합되는 제2종동기어(3333)를 포함한다.That is, the second driving unit 33 also includes a
한편 상기 프레임(1)에는 상기 제1휠(313)과 제2휠(333)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휠지지바디 및 간격유지바(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frame 1 may further include a wheel support body and a
상기 휠지지바디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휠(313)을 지지하는 제1휠지지바디(171), 상기 제2휠(333)을 지지하기 위한 제2휠지지바디(173)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wheel support body includes a first
이 경우 제1축(3131)은 일단은 상기 측면바디(13, 제1측면바디 1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휠지지바디(171)에 고정되고, 상기 제2축(3331)은 일단은 상기 측면바디(13, 제2측면바디 13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휠지지바디(173)에 고정된다.In this case, one end of the
한편 상기 간격유지바(19)는 상기 휠지지바디(171, 173)와 측면바디(13) 사이에 위치하여 휠지지바디(171, 173)가 측면바디(13)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나아가 상기 구동부(3)는 상기 제1측면바디(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되 상기 제1휠(313)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보조휠(35), 상기 제2측면바디(133)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되 상기 제2휠(333)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보조휠(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driving
다만 상기 제1보조휠(35)과 제2보조휠(37)은 지면에 닿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first
본 발명 축구용 완구(100)는 제1휠(313), 제2휠(333) 및 볼지지부(2)에 의해 지면에 접촉한다.The
따라서 두 개의 휠(313, 333)이 모두 회전하면 프레임(1)은 전진 또는 후진을 하게 되고, 두 개의 휠 중 어느 하나만 회전하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프레임(1)이 회전하게 된다.Therefore, when both
이러한 상황에서 제1보조휠(35)과 제2보조휠(37)이 지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면 프레임(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때 보조휠과 지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프레임(1)의 방향전환이 느려질 수 있다.In this situation, when the first
즉 본 발명 축구용 완구(100)가 제1보조휠(35)과 제2보조휠(37)을 구비시키되 각 보조휠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구비시킨 것은 심미감은 살리되 프레임(1)이 신속하게 방향전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present
한편 상기 제1보조휠(35)은 제1측면바디(131)와 제1휠지지바디(171) 사이에 위치하는 제1보조축(35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제2보조휠(37)은 제2측면바디(133)와 제2휠지지바디(173) 사이에 위치하는 제2보조축(3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상기 배터리(4)는 구동부(3)에 구비된 각 모터(311, 33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 축구용 완구(100)에 구비되는 배터리(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바디(15)의 높이방향 외주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배터리(4)를 후면바디(15) 외주면에 구비시킨 이유는 축구용 완구(100)의 높이를 낮추기 위함으로 축구용 완구(100)의 높이는 축구용 완구(100)의 이동 시 안정성을 담보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The reason why the
즉, 상기 배터리(4)가 메인바디(11)의 상부나 하부에 구비되면 축구용 완구(100)의 높이가 증가하게 되고, 축구용 완구(100)의 높이가 높아지면 무게중심이 높아지기 때문에 축구용 완구(100)가 빠른 속도로 방향전환을 하거나 빠른 속도로 전후진 할 때 축구용 완구(10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없다(축구용 완구가 쓰러지거나 뒤집힐 수 있다).That is, when the
그러나 배터리(4)를 후면바디(15)에 고정시키면 축구용 완구(100)의 높이를 낯출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의 해결이 가능하다.However, when the
한편, 본 발명 축구용 완구(100)는 상기 배터리(4)를 후면바디(15)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되 배터리(4)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터리 고정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배터리 고정부(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스(91), 상기 배터리 케이스(91)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후면바디(15)에 구비된 수용홈(151)에 삽입되는 돌기(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상술한 배터리 고정부(9)를 통해 사용자는 축구용 완구(100)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 축구용 완구(100)는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배터리(4)의 높이를 조절하여 축구용 완구(100)의 주행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Since the user can adjus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상기 프레임(1)에는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축구용 완구(100)를 조종하기 위해 구비되는 조작부(미도시)와 무선통신하는 통신부(8)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frame 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상기 통신부(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미도시)와 무선통신하는 신호수신부(83), 상기 신호수신부(83)를 프레임(1)에 고정시키는 수신부 프레임(81)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이 경우 상기 수신부 프레임(81)은 프레임(1)에 고정되는 바디고정축(811), 상기 바디고정축(811)에 고정되되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수신부 고정축(813)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조작부(미도시)의 지시에 의해 구동부(3)가 제1휠(313)과 제2휠(333)을 갑자기 회전시키면 후면바디(15)에 배터리(4)가 고정되어 있어 축구용 완구(100)는 제1휠(313)과 제2휠(333)을 기준점으로 해서 뒤집힐 가능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ing
따라서 상기 바디고정축(811)은 제1휠(313)과 제2휠(333)이 갑자기 회전하여도 축구용 완구(100)가 관성에 의해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나아가 본 발명 축구용 완구(100)는 상기 신호수신부(83)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신부 고정축(813)에는 다수의 고정홈을 구비시키고, 상기 신호수신부(83)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구비시킬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도 8은 프레임(1)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커버(5)에 관한 것이고, 도 9는 상기 휠지지바디(171, 17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디커버(6)를 도시한 것이다.8 illustrates a
본 발명 축구용 완구(100)는 적어도 두 개가 하나의 세트를 형성하여 여러 명의 사용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장치이므로 사용자들을 구분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Since the
상기 프레임커버(5)는 심미감의 제공 및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 축구용 완구(100)에 구비되는 프레임커버(5)는 별도의 체결수단없이 프레임(1)에 착탈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The
즉 상기 프레임커버(5)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4)의 상부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홈(51)과 측면바디(13)가 수용되는 측면바디 수용부(53)가 구비되어 있어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프레임(1)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That is, the inside of the
상기 바디커버(6)는 휠지지바디(191, 19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축구용 완구(100)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바디커버(6) 역시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휠지지바디(191, 193)에 착탈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The
이를 위해 상기 바디커버(6)의 내측에는 각 휠지지바디(191, 193)의 상단이 수용되는 휠지지바디 수용홈(61)이 구비된다.To this end, the inner side of the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축구용 완구 1: 프레임
11: 메인바디 13: 측면바디
131: 제1측면바디 133: 제2측면바디
15: 후면바디 171: 제1휠지지바디
173: 제2휠지지바디 19: 간격유지바
2: 볼지지부 21: 제1바
22: 제1연장판 23: 제2바
24: 제2연장판 3: 구동부
31: 제1구동부 311: 제1모터
3111: 제1주동기어 313: 제1휠
3131: 제1축 3133: 제1종동기어
33: 제2구동부 331: 제2모터
333: 제2휠 35: 제1보조휠
351: 제1보조축 37: 제2보조휠
371: 제2보조축 4: 배터리
5: 프레임커버 51: 배터리 수용홈
53: 측면바디 수용부 6: 바디커버
61: 휠지지바디 수용홈 8: 통신부
81: 수신부프레임 811: 바디고정축
813: 수신부 고정축 83: 신호수신부100: soccer toys 1: frame
11: main body 13: side body
131: first side body 133: second side body
15: rear body 171: first wheel support body
173: second wheel support body 19: spacing bar
2: ball support 21: first bar
22: first extended edition 23: second bar
24: second extension plate 3: the drive unit
31: first driving unit 311: first motor
3111: first main gear 313: first wheel
3131: 1st axis 3133: 1st driven gear
33: second drive unit 331: second motor
333: second wheel 35: first auxiliary wheel
351: first auxiliary shaft 37: second auxiliary wheel
371: secondary auxiliary shaft 4: the battery
5: frame cover 51: battery receiving groove
53: side body accommodating part 6: body cover
61: wheel support body receiving groove 8: communication unit
81: receiver frame 811: body fixing shaft
813: receiver fixed axis 83: signal receiver
Claims (8)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드리블하는(공을 모는) 볼지지부;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제1휠 및 제2휠이 구비된 구동부;
상기 제1휠과 상기 제2휠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휠과 상기 제2휠은 상기 메인바디가 상기 볼지지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후면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후면바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보조휠과 제2보조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휠과 상기 제2보조휠은 지면에 닿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간격유지바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 중 어느 하나의 측면바디와 나란하도록 고정되는 제1휠지지바디;
제2간격유지바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 중 다른 하나의 측면바디와 나란하도록 고정되는 제2휠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휠은 일단은 상기 측면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휠지지바디에 고정되는 제1축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제2휠은 일단은 상기 측면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휠지지바디에 고정되는 제2축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용 완구.A main body, a pair of side bodies respectively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main body, a frame having a rear body fixed to the main body and connecting the pair of side bodies;
A ball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frame to dribble (drive a ball);
A driving part provided on each of the pair of side bodies and provided with a first wheel and a second wheel for moving the frame;
And a battery providing power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first wheel and the second wheel.
The first wheel and the second wheel is provided at a position such that the main body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all support portion,
The battery is fixed to the rear body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ar body,
Further comprising a first auxiliary wheel and a second auxiliary wheel rotatably fixed to the pair of side bodies,
The first auxiliary wheel and the second auxiliary whee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as not to touch the ground,
A first wheel support body fixed to be parallel to any one side body of the pair of side bodies through a first spacing holding bar;
A second wheel support body fixed to be parallel to the other side body of the pair of side bodies through a second spacing bar;
One end of the first wheel is fixed to the side body and the other end is fixed through a first shaft fixed to the first wheel support body,
The second wheel is a soccer toy,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fixed to the side body and the other end is fixed through a second shaft is fixed to the second wheel support body.
상기 프레임과 분리되어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통신하여 상기 조작부에서 제공된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신호수신부를 지지하는 수신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수신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용 완구.The method of claim 1,
An operation unit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rame and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 signal receiv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operation unit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provided from the operation unit to the driving unit;
And a receiver frame fixed to the frame to support the signal receiver.
The signal receiving unit is a soccer toy,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djustable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the receiving unit frame.
상기 수신부 프레임은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되는 바디고정축, 상기 바디고정축이 절곡되어 구비되는 수신부 고정축, 상기 수신부 고정축에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용 완구.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eiver frame includes a body fixing shaft fixed to the main body, a receiver fixing shaft provided with the body fixing shaft is bent,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provided in the receiver fixing shaft,
The signal receiver further comprises a fix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상기 후면바디의 표면에는 다수의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를 상기 후면바디에 고정시키는 배터리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용 완구.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ar bod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The battery is a football toy,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battery further comprises a battery fix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to fix the battery to the rear body.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휠에 구비되는 제1종동기어, 상기 제1종동기어에 치합하는 제1주동기어,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주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가 구비된 제1구동부;
상기 제2휠에 구비되는 제2종동기어, 상기 제2종동기어에 치합하는 제2주동기어,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2주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가 구비된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용 완구.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A first driving gear provided in the first wheel, a first driving gear meshed with the first driven gear, and a first motor provided in the frame to rotate the first driving gear;
And a second driving gear provided in the second wheel, a second driving gear meshed with the second driven gear, and a second driving part provided in the frame to rotate the second driving gear. Football toy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홈,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가 수용되는 측면바디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프레임 커버;
상기 휠지지바디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디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용 완구.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frame cover detachable to the frame by having a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accommodating the battery and a side body accommodating groove accommodating the pair of side bodies;
A football toy further comprising; a body cover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wheel support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5597A KR101332691B1 (en) | 2011-12-29 | 2011-12-29 | Toy for footb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5597A KR101332691B1 (en) | 2011-12-29 | 2011-12-29 | Toy for footba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7080A KR20130077080A (en) | 2013-07-09 |
KR101332691B1 true KR101332691B1 (en) | 2013-11-25 |
Family
ID=4899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5597A KR101332691B1 (en) | 2011-12-29 | 2011-12-29 | Toy for footb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269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61598A (en) * | 2014-12-17 | 2016-07-13 | 临沂添翼科技模型有限公司 | Football car capable of playing football through remote contro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7886Y1 (en) | 2002-03-29 | 2003-03-19 | 배건웅 | Two Legs Soccer Robot Using Rotational Stick |
KR20030070632A (en) * | 2002-02-26 | 2003-09-02 | 임노헌 | Soccer robot |
JP2004181208A (en) | 2003-06-10 | 2004-07-02 | Fumiaki Tsurukawa | Soccer robot and kick-out device thereof |
-
2011
- 2011-12-29 KR KR1020110145597A patent/KR10133269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0632A (en) * | 2002-02-26 | 2003-09-02 | 임노헌 | Soccer robot |
KR200307886Y1 (en) | 2002-03-29 | 2003-03-19 | 배건웅 | Two Legs Soccer Robot Using Rotational Stick |
JP2004181208A (en) | 2003-06-10 | 2004-07-02 | Fumiaki Tsurukawa | Soccer robot and kick-out device thereof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61598A (en) * | 2014-12-17 | 2016-07-13 | 临沂添翼科技模型有限公司 | Football car capable of playing football through remote control |
CN105761598B (en) * | 2014-12-17 | 2019-02-12 | 临沂添翼科技模型有限公司 | A kind of remote-controlled football trolley played footbal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7080A (en) | 2013-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26768B2 (en) | Play equipment | |
US8858294B2 (en) | Autonomous bobble head toy | |
KR101611193B1 (en) | Toy Top Using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 |
KR101179804B1 (en) | Automated hand cart | |
KR101990821B1 (en) | Smart top for remotely adjustable direction | |
KR101332691B1 (en) | Toy for football | |
KR101716773B1 (en) | Treadmill without power supply | |
JP2013517832A (en) | Mobile basketball stand for competition | |
JP2016106718A (en) | Connected running toy | |
KR20130027181A (en) | Flooring removing apparatus | |
US20120325193A1 (en) | Ball throwing machine | |
CN110681140B (en) | Basketball dribbling passing auxiliary trainer and training method thereof | |
CN202860064U (en) | Serve device of table tennis balls | |
KR101822403B1 (en) | Pitching machine | |
JP5610580B2 (en) | Swing drive mechanism | |
KR101675861B1 (en) | Electronic hula-hoop for generating a centrifugal force by the electromagnet | |
KR200494001Y1 (en) | Toy functioning as pet plaything | |
JP3164962U (en) | Traveling toy set | |
KR101102163B1 (en) | Putting Exerciser for Golf | |
JP4484154B2 (en) | Dredger | |
CN104864241A (en) | Swinging moving displayer platform | |
KR101130348B1 (en) | Pitching machines | |
CN104832762B (en) | Wave the swinging method of mobile display platform | |
KR102622794B1 (en) | driving sphere | |
KR102438698B1 (en) | ellipsoidal rolling move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