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732B1 - 전기밥솥용 찜통 - Google Patents
전기밥솥용 찜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5732B1 KR101315732B1 KR1020110047214A KR20110047214A KR101315732B1 KR 101315732 B1 KR101315732 B1 KR 101315732B1 KR 1020110047214 A KR1020110047214 A KR 1020110047214A KR 20110047214 A KR20110047214 A KR 20110047214A KR 101315732 B1 KR101315732 B1 KR 1013157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cooker
- countertop
- steamer
- drip tray
- ste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찜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기밥솥의 밥솥 내에 설치되어 밥과 동시에 찜요리를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전기밥솥용 찜통, 더욱 상세하게는 밥솥 내에서 밥과 찜요리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전기밥솥용 찜통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기밥솥의 밥솥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밥솥용 찜통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는 상기 밥솥으로부터 유입되는 증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밥솥과 연통하여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복수 개의 거치돌기가 다단으로 설치된 중심관체를 구비한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밥솥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물받이부를 이격시켜 상기 물받이부를 상기 밥솥에 안착되는 제1 요리재료와 분리시키는 다리와, 복수 개의 증기 유입공 및 물 배출공이 마련된 판 구조로 이루어져 제2 요리재료가 상부에 안착되고, 중심부에는 삽입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중심관체에 하방으로 삽입되어 후면이 상기 거치돌기에 거치되는 조리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대는 상기 거치돌기가 각각 관통하도록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삽입홈을 구비하여 상기 조리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 해당 거치돌기에 걸리지 않도록 제공하고, 해당 거치돌기가 관통된 후 상기 조리대를 회전시켜 거치하고자 하는 거치돌기에 후면이 거치되도록하여 상기 제2 요리재료의 크기 및 양에 따라 거치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전기밥솥용 찜통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밥솥의 밥솥 내에 설치되어 밥을 짓는 동안 발생되는 증기(수증기)의 원활한 이동을 제공함으로써 요리재료에 증기를 골고루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조리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찜통을 제공함으로써 조리대에 안착되는 요리재료의 크기(부피)와 양과 무관하게 밥과 찜요리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기밥솥의 밥솥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밥솥용 찜통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는 상기 밥솥으로부터 유입되는 증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밥솥과 연통하여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복수 개의 거치돌기가 다단으로 설치된 중심관체를 구비한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밥솥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물받이부를 이격시켜 상기 물받이부를 상기 밥솥에 안착되는 제1 요리재료와 분리시키는 다리와, 복수 개의 증기 유입공 및 물 배출공이 마련된 판 구조로 이루어져 제2 요리재료가 상부에 안착되고, 중심부에는 삽입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중심관체에 하방으로 삽입되어 후면이 상기 거치돌기에 거치되는 조리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대는 상기 거치돌기가 각각 관통하도록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삽입홈을 구비하여 상기 조리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 해당 거치돌기에 걸리지 않도록 제공하고, 해당 거치돌기가 관통된 후 상기 조리대를 회전시켜 거치하고자 하는 거치돌기에 후면이 거치되도록하여 상기 제2 요리재료의 크기 및 양에 따라 거치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전기밥솥용 찜통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밥솥의 밥솥 내에 설치되어 밥을 짓는 동안 발생되는 증기(수증기)의 원활한 이동을 제공함으로써 요리재료에 증기를 골고루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조리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찜통을 제공함으로써 조리대에 안착되는 요리재료의 크기(부피)와 양과 무관하게 밥과 찜요리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찜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기밥솥의 밥솥 내에 설치되어 밥과 동시에 찜요리를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전기밥솥용 찜통, 더욱 상세하게는 밥솥 내에서 밥과 찜요리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전기밥솥용 찜통에 관한 것이다.
전기밥솥은 조작이 간편하여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으며, 그 기능에 있어서도 취사만 할 수 있는 밥솥에서부터 취사시 뜸 기능뿐만 아니라 예약, 소량, 급속, 메뉴 선택기능이 추가된 다기능 밥솥이 개발되었다. 최근에는 편리하고 안전한 전기밥솥과 밥맛을 개선한 압력밥솥의 장점을 결합시킨 전기 압력밥솥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밥솥이라 함은 일반적인 전기밥솥과 전기 압력밥솥을 포함한다.
현대인들의 생활습관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동성과 신속성, 편의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양보다 질을 선호하여 고품질의 식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방 가전이 고급화되어 가면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밥솥들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진밥, 찰밥, 죽 등을 선택적으로 지어주는가 하면 각종 찜요리 등을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갖추어 단지 밥만 하는 밥솥이 아니라 다기능 만능 조리 기구, 가족의 건강을 관리해 주는 웰빙 가전으로 거듭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밥솥들은 한정된 공간 내에서 요리를 해야하기 때문에 요리재료와 조리법이 다른 요리를 동시에 실시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전기밥솥에는 구조적인 특성상 통상 1개의 밥솥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이 따르며, 이로 인해 2가지 요리를 동시에 실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밥과 찜요리를 동시에 하는 경우 찜요리에 사용되는 재료로부터 발생되는 국물들이 밥으로 유입되어 맛을 변형시키기 때문에 동일 공간 내에서 밥을 지으면서 찜요리를 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전기밥솥을 사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요리시간 및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동시에 2가지 요리를 원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밥솥들은 다양한 기능들이 개발되어 활용되고는 있지만, 한번에 한가지 요리만을 실시하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오랜 시간 동안 여러 종류의 요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찜요리에 있어서도 동시에 수행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따르는 등 여러 제반조건들의 부재로 인해 이러한 실시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임시방편으로 내측 바닥면에 열에 강하고 유해성이 없는 사기그릇을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일반적으로 찜요리를 위해 제작된 찜용기를 설치하여 밥과 찜요리를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사기그릇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방법은 전기밥솥 내의 증기가 고르게 가해지지 않아 부분적으로 음식이 덜 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찜용기를 이용하여 요리하는 방법은 사기그릇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방법에 비해 음식을 골고루 익힐 수는 있으나, 여전히 요리재료에 증기가 고르게 가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의 찜용기들은 요리재료가 올려지는 조리대가 특정 부위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재료의 부피 및 양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찜용기를 밥솥 내에 설치하는 경우 밥을 지을 수 있는 쌀의 양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전기밥솥의 밥솥 내에 설치되어 밥을 짓는 동안 발생되는 증기(수증기)를 이용하여 찜요리가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전기밥솥용 찜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요리재료에 증기를 골고루 제공하는 전기밥솥용 찜통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찜요리에 사용되는 요리재료의 크기(부피) 및 양과 무관하게 밥과 찜요리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전기밥솥용 찜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밥을 짓기 위해 밥솥 내의 바닥면에 안착된 쌀의 양과 무관하게 밥과 찜요리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전기밥솥용 찜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전기밥솥의 밥솥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밥솥용 찜통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는 상기 밥솥으로부터 유입되는 증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밥솥과 연통하여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복수 개의 거치돌기가 다단으로 설치된 중심관체를 구비한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밥솥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물받이부를 이격시켜 상기 물받이부를 상기 밥솥에 안착되는 제1 요리재료와 분리시키는 다리와, 복수 개의 증기 유입공 및 물 배출공이 마련된 판 구조로 이루어져 제2 요리재료가 상부에 안착되고, 중심부에는 삽입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중심관체에 하방으로 삽입되어 후면이 상기 거치돌기에 거치되는 조리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대는 상기 거치돌기가 각각 관통하도록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삽입홈을 구비하여 상기 조리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 해당 거치돌기에 걸리지 않도록 제공하고, 해당 거치돌기가 관통된 후 상기 조리대를 회전시켜 거치하고자 하는 거치돌기에 후면이 거치되도록하여 상기 제2 요리재료의 크기 및 양에 따라 거치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전기밥솥용 찜통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돌기는 상기 중심관체와 연통하여 상기 중심관체를 통해 유입되는 증기를 상기 물받이부로 배출하는 증기 배출공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리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요리재료의 양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리대는 상기 조리대를 상기 물받이부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 제2 요리재료 또는 상기 제2 요리재료부터 발생된 부산물들이 상기 밥솥 또는 상기 물받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곽둘레와 내곽둘레에 각각 상방으로 꺾인 격벽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리대 및 상기 물받이부는 표면에 나노 실버가 코팅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전기밥솥의 밥솥 내에 설치되어 밥을 짓는 동안 발생되는 증기(수증기)의 원활한 이동을 제공함으로써 요리재료에 증기를 골고루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조리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찜통을 제공함으로써 조리대에 안착되는 요리재료의 크기(부피) 및 양과 무관하게 밥과 찜요리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물받이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찜통을 제공함으로써 밥을 짓기 위해 밥솥 내에 안착된 쌀의 양과 무관하게 밥과 찜요리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조리대 및 물받이부의 표면에 나노 실버가 코팅된 찜통을 제공함으로써 나노 실버의 항균효과 및 살균효과를 통해 유해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용 찜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밥솥용 찜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밥솥용 찜통을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조리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밥솥용 찜통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기밥솥용 찜통의 절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밥솥용 찜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밥솥용 찜통을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조리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밥솥용 찜통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기밥솥용 찜통의 절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용 찜통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밥솥용 찜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용 찜통(100)은 전기밥솥(10)의 내부에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밥솥(20)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전기밥솥(10)은 공지된 모든 전기밥솥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 구조 및 기능 또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찜통(100)은 밥을 짓기 위해 밥솥(20)에 담겨진 물이 증발하면서 발생되는 증기(수증기)를 가능한 손실없이 찜요리에 전달해야 하며, 이를 위해, 밥솥(20) 내에서 증기의 이동로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공지된 기존의 찜통들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밥솥(20)의 저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상부까지 전달하는 것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찜통(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솥(20)으로부터 유입되는 증기를 상방(上方)으로 안내하도록 밥솥(20)과 연통하여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된 중심관체(111)를 구비한 물받이부(110)를 포함한다.
물받이부(110)는 통 구조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밥솥(20)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밥솥(2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물받이부(110)는 원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밥솥(20)이 다각통, 예를 들면 사각통으로 이루어진 경우 물받이부(110)는 사각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받이부(110)의 구조는 하나의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받이부(110)는 밥솥(20)의 내부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밥솥(2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물받이부(110)가 밥솥(20) 내부에 설치될 때, 물받이부(110)의 외주연과 밥솥(20)의 내주연(22) 간의 이격거리는 클수록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밥솥(20)의 저부, 즉 물받이부(110)의 하부로부터 올라오는 증기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마련해주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증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는 물받이부(110)의 중심부에 구비된 중심관체(111)가 전부이다. 이 때문에 증기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통로는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중심관체(111)에 근접하게 배치된 요리재료에만 증기가 전달되어 음식재료가 전체가 아닌 국부적으로 익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물받이부(110)의 지름을 작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물받이부(110)의 지름을 너무 작게 가져가는 경우 요리를 할 수 있는 양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증기의 원활한 이동을 고려하여 물받이부(110)의 지름은 밥솥(20)의 지름의 80~95% 범위 내에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관체(111)는 물받이부(110)와 동일하게 원통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 구조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물받이부(110)와 다른 형상, 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중심관체(111)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거치돌기(112)가 형성된다. 거치돌기(112)는 복수 개가 한 단을 구성하고, 각 단이 서로 이격되어 다단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도면상에는 각 단에 4개의 거치돌기가 형성되고, 총 3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단의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2의 도면을 기준으로 최하단에 형성된 복수 개의 거치돌기(112)와 물받이부(110)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는 찜요리에 사용되는 제2 요리재료로부터 조리시 발생되는 부산물, 예를 들면, 물(국물)이 채워졌을 때 그 물이 거치돌기의 증기 배출공(112a)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최하단의 거치돌기(112)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물받이부(110)의 저부에 채워지는 물 부산물이 거치돌기(112)의 증기 배출공(112a)을 통해 유입되어 중심관체(111)를 통해 밥솥(20)으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밥과 같은 음식을 요리하기 위해 밥솥(20)의 저부에 안착된 제1 요리재료(예를 들면, 쌀)에 국물 등이 유입되어 맛을 변형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물받이부(110)의 바닥면으로부터 2~10cm, 바람직하게는 2~5cm 정도의 높이로 거치돌기를 형성한다. 즉, 최하단에 형성된 거치돌기는 물받이부(110)의 바닥면으로부터 2~5cm 높이에 형성된다.
복수 개의 거치돌기(1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증기 배출공(112a)이 마련되어 있다. 증기 배출공(112a)은 중심관체(111)와 연통되어 중심관체(111)로부터 유입되는 증기를 물받이부(110) 내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증기 배출공(112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관체(111)와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상면 또는 하면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요리재료의 부산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면보다는 하면에 형성된다.
거치돌기(112)의 상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대(130)가 안착되어 거치되도록 평탄면을 가지며, 그 크기(길이와 폭)는 조리대(130)를 거치할 수 있는 크기면 족하다. 또한, 조리대(130)가 중심관체(111) 내에 삽입된 후 삽입홈(132)을 관통하여 상방과 하방(下方)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찜통(100)을 설명하기 위해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물받이부(11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다리(120)가 설치된다. 다리(120)는 밥솥(20)의 바닥면(21)으로부터 물받이부(110)를 일정 거리로 이격시켜 물받이부(110)를 밥솥(20)에 안착되는 제1 요리재료와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다리(120)는 물받이부(110)와 사출성형공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리(120)는 일단이 아닌 전개를 통해 연장이 가능한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제1 요리재료의 양에 구애받지 않고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다리가 일단으로 형성되어 고정된 경우에 있어서, 다리가 짧은 경우 밥솥(20)에 안착되는 제1 요리재료의 양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고, 다리가 긴 경우에는 조리대(1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 요리재료의 양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어 일정한 크기로 고정된 밥솥(20)의 공간 활용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다리(120)는 공지된 다양한 제작방법을 적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DMB 수신용 안테나의 다단 구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전개를 통해 길이 연장이 가능한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으나, 유해성분이 발생되지 않는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증기 유입공 및 물 배출공(133)이 마련된 판 구조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는 제2 요리재료가 안착된다. 중심부에는 삽입공(131)이 마련되어 있으며, 삽입공(131)을 통해 중심관체(111)에 하방으로 삽입되어 후면이 거치돌기에 거치되게 된다. 증기 유입공 및 물 배출공(133)은 도 2에는 원형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또는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여 캐릭터 문양, 기하학적 문양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조리대(130)는 거치돌기(112)가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공(131)의 내측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삽입홈(132)을 구비한다. 이러한 삽입홈(132)은 조리대(13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 해당 거치돌기에 걸리지 않도록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해당 거치돌기가 관통된 후 조리대(130)를 회전시켜 거치하고자 하는 거치돌기에 후면이 거치되도록 하여 제2 요리재료의 크기 및 양에 따라 거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조리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에 따른 조리대(230)는 도 3에 도시된 조리대(130)와 유사한 구조로서, 삽입공(231), 삽입홈(232), 증기 유입공 및 물 배출공(233)을 구비한다. 다만, 조리대를 물받이부(110)로부터 분리시킬 때, 제2 요리재료 또는 제2 요리재료로부터 발생된 부산물들이 밥솥(20) 또는 물받이부(110)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곽둘레와 내곽둘레에 각각 상방으로 꺾인 격벽(234, 235)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결부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용 찜통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밥솥용 찜통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1에 도시된 전기밥솥용 찜통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용 찜통(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받이부(110), 다리(120) 및 조리대(130)를 구비한다. 먼저, 밥솥(20)의 바닥에 밥을 짓기 위해 제1 요리재료(30), 즉 쌀을 안착시킨 후 적당 양의 물(40)을 채운다. 그런 다음, 찜요리에 사용될 제2 요리재료(60)를 결정한다.
제2 요리재료(60)가 결정되면, 제2 요리재료(60)의 크기와 양에 따라 조리대(130)가 거치될 거치돌기를 선택한다. 도 6에서는 일례로 중간단(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단)의 거치돌기를 선택하였다. 도 5에서 상부 도면과 같이 조리대(130)의 삽입홈(132)을 최상단의 거치돌기(112)에 정렬시킨 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도 5에서 하부 도면과 같이 조리대(130)가 최상단의 거치돌기를 지난 후 조리대(130)를 화살표 방향(또는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삽입홈(132)이 중간단의 거치돌기와 어긋나도록 배치하여 중간단의 거치돌기에 거치되도록 한다.
조리대(130)의 거치가 완료되면, 조리대(130)의 상면에 제2 요리재료(60)를 안착시킨 후 전기밥솥의 뚜껑을 닫아 밥솥(20) 내부를 밀폐시킨다. 그런 다음, 전기밥솥을 조작하여 밥을 짓는다. 이때,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을 짓는 과정에서 물(40)이 열에 기화되어 증기가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증기는 중심관체(111)를 통해 상방으로 안내되어 조리대(130)에 안착된 제2 요리재료(60)로 전달된다.
증기는 중심관체(111) 뿐만 아니라 중심관체(111)와 연통된 거치돌기(112)의 증기 배출공(112a)을 통해서도 제공되어 조리대(130)의 상부와 하부에서 골고루 공급되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증기는 밥솥(20)의 내측면(22)과 물받이부(1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조리대(130)의 외곽부에 안착된 제2 요리재료(60)로 공급된다. 이로써 제2 요리재료(60)에는 좌우상하에서 골고루 증기가 공급된다.
찜요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제2 요리재료(60)로부터 발생된 부산물(50), 예를 들면 국물들은 조리대(130)의 물 배출공(133)을 통해 하방으로 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부산물(50)은 물받이부(110)에 의해 차단되어 제1 요리재료(30)로 유입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찜통은 금속(또는 합금) 재질, 알루미늄 재질,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 또는 열에 강하고 식품 용기로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찜통, 특히 조리대와 물받이부의 표면에는 항균작용과 살균작용이 있는 나노 실버(nano silver)가 코팅처리될 수도 있다.
나노 실버는 일반적으로 은(銀) 입자가 1/10억 이하로 미세화된 것을 의미하며, 특히 연구보고에 따르면 나노 실버의 주 원료인 은(銀)은 650여 가지 이상의 박테리아, 곰팡이균, 샤스균, 0-157균, 수중미생물 먼지세균 등을 강력하게 항균 및 살균을 해주는 인체 무해성 항균제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나노 실버는 불쾌감을 주는 냄새입자들을 산화 및 분해력으로 높은 소취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나노 실버는 전술한 바와 같이 2~5mm의 초미립자로서 유해 미생물에 직접 작용하여 유해 미생물의 세포막을 직접 녹이고, 유해 미생물의 전자 전달계를 방해해서 제균(除菌)을 하므로 확실하고 탁월한 항균/제균력(≒99%) 기능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이러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중심관체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증기 배출공이 더 형성되어 유입되는 증기를 물받이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전기밥솥 20 : 밥솥
110 : 물받이부 120 : 다리
130 : 조리대 111 : 중심관체
112 : 거치돌기 131 : 삽입공
132 : 삽입홈 133 : 증기 유입공 및 물 배출공
112a : 증기 배출공 30 : 제1 요리재료
40 : 물 50 : 부산물(국물)
60 : 제2 요리재료
110 : 물받이부 120 : 다리
130 : 조리대 111 : 중심관체
112 : 거치돌기 131 : 삽입공
132 : 삽입홈 133 : 증기 유입공 및 물 배출공
112a : 증기 배출공 30 : 제1 요리재료
40 : 물 50 : 부산물(국물)
60 : 제2 요리재료
Claims (5)
- 전기밥솥의 밥솥(20)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밥솥용 찜통(100)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는 상기 밥솥(20)으로부터 유입되는 증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밥솥(20)과 연통하여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복수 개의 거치돌기(112)가 다단으로 설치된 중심관체(111)를 구비한 물받이부(110);
상기 물받이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밥솥(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물받이부(110)를 이격시켜 상기 물받이부(110)를 상기 밥솥(20)에 안착되는 제1 요리재료와 분리시키는 다리(120); 및
복수 개의 증기 유입공 및 물 배출공(133)이 마련된 판 구조로 이루어져 제2 요리재료가 상부에 안착되고, 중심부에는 삽입공(13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131)을 통해 상기 중심관체(111)에 하방으로 삽입되어 후면이 상기 거치돌기(112)에 거치되는 조리대(130)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대(130)는,
상기 거치돌기(112)가 각각 관통하도록 상기 삽입공(131)의 내측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삽입홈(132)을 구비하여 상기 조리대(13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 해당 거치돌기(112)에 걸리지 않도록 제공하고, 해당 거치돌기(112)가 관통된 후 상기 조리대(130)를 회전시켜 거치하고자 하는 거치돌기(112)에 후면이 거치되도록하여 상기 제2 요리재료의 크기 및 양에 따라 거치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전기밥솥용 찜통.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돌기(112)는,
상기 중심관체(111)와 연통하여 상기 중심관체(111)를 통해 유입되는 증기를 상기 물받이부(110)로 배출하는 증기 배출공(112a)을 구비하는,
전기밥솥용 찜통.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120)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요리재료의 양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기밥솥용 찜통.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대(130)는,
상기 조리대(130)를 상기 물받이부(110)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 제2 요리재료 또는 상기 제2 요리재료부터 발생된 부산물들이 상기 밥솥(20) 또는 상기 물받이부(110)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곽둘레와 내곽둘레에 각각 상방으로 꺾인 격벽(234, 235)이 마련된,
전기밭솥용 찜통.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대(130) 및 상기 물받이부(110)는 표면에 나노 실버가 코팅된 전기밥솥용 찜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7214A KR101315732B1 (ko) | 2011-05-19 | 2011-05-19 | 전기밥솥용 찜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7214A KR101315732B1 (ko) | 2011-05-19 | 2011-05-19 | 전기밥솥용 찜통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9138A KR20120129138A (ko) | 2012-11-28 |
KR101315732B1 true KR101315732B1 (ko) | 2013-10-08 |
Family
ID=4751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7214A KR101315732B1 (ko) | 2011-05-19 | 2011-05-19 | 전기밥솥용 찜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573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2148B1 (ko) | 2014-10-28 | 2015-08-05 | 주식회사 로이첸 | 요구르트 제조장치 |
CN105433760A (zh) * | 2016-01-01 | 2016-03-30 | 王德普 | 凸起升降电饭煲 |
CN105455619A (zh) * | 2016-01-18 | 2016-04-06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电饭甑 |
KR20180060663A (ko) | 2016-11-29 | 2018-06-07 |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 전기 밥솥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65713B (zh) * | 2014-06-12 | 2021-10-22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电饭煲的蒸笼、电饭煲及其控制方法 |
CN109008593B (zh) * | 2018-10-18 | 2024-07-05 | 孙智敏 | 梯田汽锅盘 |
US11612270B2 (en) * | 2019-03-19 | 2023-03-28 | Juan B. Farias | Cooking utensil fill and drain tube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
KR102549955B1 (ko) * | 2023-02-06 | 2023-06-30 | 주식회사 동진셰프 | 높이조절이 용이한 찜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02061A (ja) | 2000-07-26 | 2002-04-09 | Shiyouko Ishihara | 蒸し器付き炊飯器及び補助蒸し器 |
KR200297361Y1 (ko) | 2002-09-06 | 2002-12-11 | (주) 매직컴 | 전기보온밥솥의 보조용기 구조 |
KR200388261Y1 (ko) | 2005-04-04 | 2005-06-29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전기 밥솥의 찜 요리를 위한 이중 조리용기 |
KR100764816B1 (ko) | 2006-05-03 | 2007-10-11 | 김이슬 | 전기밥솥의 다용도 밥통 |
-
2011
- 2011-05-19 KR KR1020110047214A patent/KR1013157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02061A (ja) | 2000-07-26 | 2002-04-09 | Shiyouko Ishihara | 蒸し器付き炊飯器及び補助蒸し器 |
KR200297361Y1 (ko) | 2002-09-06 | 2002-12-11 | (주) 매직컴 | 전기보온밥솥의 보조용기 구조 |
KR200388261Y1 (ko) | 2005-04-04 | 2005-06-29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전기 밥솥의 찜 요리를 위한 이중 조리용기 |
KR100764816B1 (ko) | 2006-05-03 | 2007-10-11 | 김이슬 | 전기밥솥의 다용도 밥통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2148B1 (ko) | 2014-10-28 | 2015-08-05 | 주식회사 로이첸 | 요구르트 제조장치 |
CN105433760A (zh) * | 2016-01-01 | 2016-03-30 | 王德普 | 凸起升降电饭煲 |
CN105455619A (zh) * | 2016-01-18 | 2016-04-06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电饭甑 |
KR20180060663A (ko) | 2016-11-29 | 2018-06-07 |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 전기 밥솥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9138A (ko) | 2012-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5732B1 (ko) | 전기밥솥용 찜통 | |
AU2015100774A4 (en) | Multifunctional Cookware | |
US20110000380A1 (en) | Food steamer | |
KR101311121B1 (ko) | 멀티 쿠커 | |
CN105962765A (zh) | 自带螺旋牙片的旋转式升降火锅 | |
KR101404928B1 (ko) | 다용도 냄비 | |
CN109106204B (zh) | 防止滴水多层蒸锅 | |
CN208658755U (zh) | 一种多功能蒸具及蒸锅系统 | |
CN208784358U (zh) | 芯旋式升降火锅 | |
CN205359203U (zh) | 一种漏勺高度可调的麻辣烫台 | |
CN215874260U (zh) | 蒸锅 | |
CN211324516U (zh) | 电煎锅 | |
KR200318988Y1 (ko) | 찜기 겸용 주전자 | |
CN213909837U (zh) | 蒸笼及具有其的烹饪器具 | |
CN218044744U (zh) | 一种多功能料理机蒸锅组 | |
CN209915693U (zh) | 多层蒸锅 | |
CN2527195Y (zh) | 多功能电锅 | |
CN212465747U (zh) | 滤糖蒸笼和烹饪器具 | |
CN211722759U (zh) | 烹饪器具 | |
CN219613595U (zh) | 一种电蒸锅 | |
CN103405152A (zh) | 煮蛋器 | |
CN213248520U (zh) | 蒸笼及具有其的烹饪器具 | |
CN212815915U (zh) | 多功能蒸笼和烹饪器具 | |
CN209733581U (zh) | 电饭煲不锈钢蒸碗内置使用的扇形碗与扇形蒸架及其组合 | |
CN210144486U (zh) | 一种蒸蛋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