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421B1 -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의 시트형 쓰레기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의 시트형 쓰레기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421B1
KR101313421B1 KR1020110131063A KR20110131063A KR101313421B1 KR 101313421 B1 KR101313421 B1 KR 101313421B1 KR 1020110131063 A KR1020110131063 A KR 1020110131063A KR 20110131063 A KR20110131063 A KR 20110131063A KR 101313421 B1 KR101313421 B1 KR 101313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using
tubular body
cam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981A (ko
Inventor
김현배
김연실
Original Assignee
김연실
김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실, 김현배 filed Critical 김연실
Priority to KR102011013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42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명칭]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의 시트형 쓰레기 선별장치
[구성] 산업폐기물을 실어 골재와 금속, 비철금속, 기타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로 이동시키는 제 1 컨베어벨트(1) 상에 설치되는 하우징(2)과;
안쪽으로 캠 홈(5)이 형성되고 중앙에 구멍(4)이 형성된 채 상기 하우징(2)의 양측 면에 고정되는 2개 1조의 캠 판(3)과;
상기 캠 판(3)들의 구멍(4)을 관통한 채 상기 하우징(2)에 고정되는 베어링(9)(10)에 의해 지지되는 축(7)(8) 및 상기 축(7)(8)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축(7)(8)과 일체로 연결되는 회전대(6)와;
상기 하우징(2)의 일측 면에 고정된 지지대(2-1)에 고정되며 커플링(12-1)을 통해 상기 축(8)과 연결되어 회전대(6)를 회전시키는 모타(11)와;
상기 캠 판(3)의 캠 홈(5) 안으로 삽입되는 캠 로울러(15)를 조립하기 위한 지지 축(14)이 양측에 대칭으로 고정되고 상면으로는 구멍(13)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버팀대(12)와;
상기 버팀대(12)의 구멍(13)들을 관통하여 상단은 상기 회전대(6)에 고정되며 상기 버팀대(12)의 상면을 기준하여 상부로 키이 홀(17)이 형성된 관체(16)들과;
상기 관체(16)들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며 키이 구멍(19)에 삽입되는 키이(20)에 의해 고정되고 하방은 관체(16)로부터 노출되는 봉체(18)들과;
상기 관체(16)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봉체(18)를 항상 하방으로 눌러주는 코일스프링(21)들과;
상기 하우징(2)의 안쪽 상면에 고정되는 브라키트(22-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관체(16)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쇠(22)들로 구성되며,
제 1 컨베어벨트(1) 위에 얹혀서 이동하는 산업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시트 형태의 쓰레기를 봉체(16)들이 걷어 올려서 제 2 컨베어벨트(23) 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110131063
산업폐기물 재활용 설비

Description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의 시트형 쓰레기 선별장치{Sheet type refused waste separate device for Refused waste recycle plant}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제 1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제 2 사시도.
도 3은 도 1을 기준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을 기준한 좌측면도.
도 5는 도 1을 기준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중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 도 9,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봉체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12는 도 8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3은 도 12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봉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캠 판에서 캠 로울러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본 발명은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의 시트형 쓰레기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에서는 적용되지 않고 있는 신규한 장치에 해당한다.
날로 증가추세에 있는 산업폐기물은 국토를 황폐화 시키는 주범 중에 하나인데, 너무 다양한 쓰레기가 혼합되어 있어서 계획 없이 방치할 수도 없고 소각하기도 경제적인 문제로 인하여 거의 불가능하며 매립 역시 한계가 있어 근래로부터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범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위와 같은 산업폐기물은 수 십 공정을 거쳐서 골재와 금속, 비철금속, 목재, 플라스틱류, 시트 형태의 쓰레기(비닐, 카페트, 장판지 등 등)로 선별이 되고 이들은 각기 재활용되고 있는데, 산업폐기물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선별할 때 특히 시트 형태의 쓰레기는 기타 쓰레기(폐기물)와 뒤엉겨서 잘 선별이 되지 못하며, 시트 형태의 쓰레기에 뒤엉긴 기타 쓰레기(폐기물)는 시트 형태의 쓰레기(폐기물)에 의해 잘 선별이 되지 못하여 선별공정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비합리적이고 비경제적인 폐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선별효율을 저조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가동되고 있는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는 기술 개발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시트 형태의 쓰레기(폐기물)을 별도로 선별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위와 같이 비합리적이고 비경제적인 장치 가동을 어쩔 수 없이 해 오고 있는 실정이며, 수작업을 통해 시트 형태의 쓰레기(폐기물)를 비능률적으로 선별하고 있으나 선별 작업이 어렵고 작업능률이 너무 저조하여 수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의 시트형 쓰레기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산업폐기물을 실어 골재와 금속, 비철금속, 기타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로 이동시키는 제 1 컨베어벨트(1) 상에 설치되는 하우징(2)과;
안쪽으로 캠 홈(5)이 형성되고 중앙에 구멍(4)이 형성된 채 상기 하우징(2)의 양측 면에 고정되는 2개 1조의 캠 판(3)과;
상기 캠 판(3)들의 구멍(4)을 관통한 채 상기 하우징(2)에 고정되는 베어링(9)(10)에 의해 지지되는 축(7)(8) 및 상기 축(7)(8)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축(7)(8)과 일체로 연결되는 회전대(6)와;
상기 하우징(2)의 일측 면에 고정된 지지대(2-1)에 고정되며 커플링(12-1)을 통해 상기 축(8)과 연결되어 회전대(6)를 회전시키는 모타(11)와;
상기 캠 판(3)의 캠 홈(5) 안으로 삽입되는 캠 로울러(15)를 조립하기 위한 지지 축(14)이 양측에 대칭으로 고정되고 상면으로는 관체(16)가 관통하는 구멍(13)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버팀대(12)와;
상기 버팀대(12)의 구멍(13)들을 관통한 채 상단은 상기 회전대(6)에 고정되며, 봉체(18)에 꽂히는 키이(20)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일자형의 키이 홀(17)이 형성된 관체(16)들과;
상기 관체(16)들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며 관체(16)의 키이 홀(17)을 통해 키이 구멍(19)에 삽입되는 키이(20)에 의해 관체(16)에 걸려 고정되고 하단부는 관체(16)로부터 노출되는 봉체(18)들과;
관체(16) 안으로 삽입된 봉체(18)가 관체(16)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관체(16)의 키이 홀(17)로부터 노출된 양쪽 끝 부분이 버팀대(12)의 상면에 접촉되는 키이(20)와;
상기 관체(16)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봉체(18)를 항상 하방으로 눌러주는 코일스프링(21)들과;
상기 하우징(2)의 안쪽 상면에 고정되는 브라키트(22-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관체(16)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쇠(22)들로 구성되며,
제 1 컨베어벨트(1) 위에 얹혀서 이동하는 산업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시트 형태의 쓰레기를 봉체(16)들이 걷어 올려서 제 2 컨베어벨트(23) 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근거로 설명하는 바, 상기의 구성에서 각 구성품은 용접고정 또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고 이는 공지의 수준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하며, 모타(11)에 전기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및 콘트롤 박스 등도 당연히 있어야 하는 공지의 수단에 지나지 않는 것이므로 도면에 표시하지 않음과 아울러 역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타(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속도 가변형 모타를 사용하는 것이 당연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면과 같이 모타(11)와 축(8)을 커플링(12-1)을 통해 직결시키지 않고 벨트 또는 체인 등을 이용하여 모타(11)의 동력을 축(8)에 전달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한 이치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피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산업폐기물을 이동시키는 제 1 컨베어벨트(1) 상에 장치되며, 제 1 컨베어벨트(1) 위에 얹혀서 이동하는 골재와 금속류, 비철금속류, 플라스틱류, 목재류 및 시트 형태의 쓰레기 중에서 가장 선별하기 어려운 시트 형태의 쓰레기를 자동으로 선별하여 제 2 컨베어벨트(23) 위로 이동을 시킬 수 있는 것인데, 모타(11)의 동력은 회전대(6)를 도 5를 기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대(6)가 회전을 시작하게 되면 회전대(6)와 고정되어 있는 관체(16)들도 같이 회전을 하게 되고, 관체(16)가 관통하고 있는 버팀대(12)도 같이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데, 상기 버팀대(12)의 양측 면에 조립된 캠 로울러(15)는 캠 판(3)의 캠 홈(5) 안에 삽입되어 있어서 결국 버팀대(12)는 도 15에 표현된 캠 판(3)의 캠 홈(5)의 궤적을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도 15 및 도 8, 도 9를 기준하여 이를 상세히 살피면, 위와 같이 캠 로울러(15)는 캠 홈(5)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며, 캠 판(3)의 중심(C)을 기준하여 캠 홈(5)의 하단지점(P2)부터 상단지점(P) 까지는 캠 홈(5)의 반지름이 동일하기 때문에 관체(16)로부터 봉체(18)는 최대한 빠져나온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제 1 컨베어벨트(1) 상에 얹혀서 이동하는 쓰레기 중에서 시트 형태의 쓰레기를 마치 포크로 들어 올리듯이 들어 올려서 하우징(2)의 안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캠 로울러(15)는 하향경사 직선부에 진입하면서 버팀대(12)를 회전대(6) 쪽으로 상승시키게 되고, 이때 버팀대(12)는 키이(20)를 밀면서 상승하기 때문에 결국 키이(20)와 한 몸을 이루고 있는 봉체(16)는 코일스프링(21)을 밀면서 관체(16) 안으로 들어가기 시작하고 도 11과 같이 버팀대(12)가 캠 홈(5)의 좌측 수평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 캠 판(3)의 중심(C)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가 되어 결국 봉체(18)는 관체(16)의 안으로 최대한 들어가게 되므로 봉체(16)에 걸려 있던 시트 형태의 쓰레기는 제 2 컨베어벨트(23) 상으로 추락하게 되고 가이드 쇠(22)로 인하여 시트 형태의 쓰레기는 봉체(16)와 함께 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어서 캠 로울러(15)가 도 11의 상태에서 캠 홈(5)의 하단지점(P2)을 향하여 이동하기 시작하면 캠 홈(5)의 궤적에 따라 버팀대(12)는 캠 판(3)의 중심(C)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므로 캠 로울러(15)가 캠 홈(5)의 하단지점(P2)에 이르게 되면 도 8과 같이 봉체(18)는 코일스프링(21)의 탄발력에 도움을 받아 관체(16)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오게 됨과 동시에 다시 도 10과 같이 상승하면서 시트 형태의 쓰레기를 걷어 올리게 되고 이러한 작업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관체(16) 안에 조립되어 있는 코일스프링(21)은 봉체(18)가 관체(16)로부터 신속하고 탄력적으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도움작용을 하게 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타(11)는 속도 가변형 모타를 채택하여 제 1 컨베어벨트(1)의 이동속도에 맞추어 회전대(6)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다시 살피면, 상술한 바와 같이 봉체(16)가 1회 시트 형태의 쓰레기를 걷어 내고 다시 2회의 작업에 돌입하기 위하여 도 8과 같이 하단지점(P2)에서 상승을 하기 시작할 때 2회로 걷어 올려져야 할 시트 형태의 쓰레기가 하단지점(P2)를 통과하기 전에 봉체(16)가 하단지점(P2)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파이로트장치로 제작하여 실험을 한 결과 봉체(16)들은 포크와 같이 균등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제 1 컨베어벨트(1)를 타고 이동하는 산업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시트 형태의 쓰레기를 지속적으로 걷어 올려서 제 2 컨베어벨트(23)로 추락시킬 수 있는데, 제 1 컨베어벨트(1)에 실려서 이동하는 산업폐기물은 관성력을 가지게 되므로 위와 같이 봉체(16)가 산업폐기물의 이동방향의 반대쪽에서 시트 형태의 쓰레기를 걷어 올리더라도 봉체(16)로부터 추락하지 않고 봉체(16)에 걸려서 상승하게 됨을 알 수 있었고, 봉체(16)의 표면에는 너얼링을 형성시키거나 작은 크기의 돌기 또는 돌기 환을 형성시켜서 사용하여도 무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산업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시트 형태의 쓰레기를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수작업을 통해 산업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시트 형태의 쓰레기를 선별함에 따라 비롯되었던 문제와 단점, 폐단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산업폐기물을 실어 골재와 금속, 비철금속, 기타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로 이동시키는 제 1 컨베어벨트(1) 상에 설치되는 하우징(2)과;
    안쪽으로 캠 홈(5)이 형성되고 중앙에 구멍(4)이 형성된 채 상기 하우징(2)의 양측 면에 고정되는 2개 1조의 캠 판(3)과;
    상기 캠 판(3)들의 구멍(4)을 관통한 채 상기 하우징(2)에 고정되는 베어링(9)(10)에 의해 지지되는 축(7)(8) 및 상기 축(7)(8)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축(7)(8)과 일체로 연결되는 회전대(6)와;
    상기 하우징(2)의 일측 면에 고정된 지지대(2-1)에 고정되며 커플링(12-1)을 통해 상기 축(8)과 연결되어 회전대(6)를 회전시키는 모타(11)와;
    상기 캠 판(3)의 캠 홈(5) 안으로 삽입되는 캠 로울러(15)를 조립하기 위한 지지 축(14)이 양측에 대칭으로 고정되고 상면으로는 관체(16)가 관통하는 구멍(13)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버팀대(12)와;
    상기 버팀대(12)의 구멍(13)들을 관통한 채 상단은 상기 회전대(6)에 고정되며, 봉체(18)에 꽂히는 키이(20)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일자형의 키이 홀(17)이 형성된 관체(16)들과;
    상기 관체(16)들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며 관체(16)의 키이 홀(17)을 통해 키이 구멍(19)에 삽입되는 키이(20)에 의해 관체(16)에 걸려 고정되고 하단부는 관체(16)로부터 노출되는 봉체(18)들과;
    관체(16) 안으로 삽입된 봉체(18)가 관체(16)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관체(16)의 키이 홀(17)로부터 노출된 양쪽 끝 부분이 버팀대(12)의 상면에 접촉되는 키이(20)와;
    상기 관체(16)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봉체(18)를 항상 하방으로 눌러주는 코일스프링(21)들과;
    상기 하우징(2)의 안쪽 상면에 고정되는 브라키트(22-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관체(16)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쇠(22)들로 구성되며,
    제 1 컨베어벨트(1) 위에 얹혀서 이동하는 산업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시트 형태의 쓰레기를 봉체(16)들이 걷어 올려서 제 2 컨베어벨트(23) 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의 시트형 쓰레기 선별장치.
KR1020110131063A 2011-12-07 2011-12-07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의 시트형 쓰레기 선별장치 KR101313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063A KR101313421B1 (ko) 2011-12-07 2011-12-07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의 시트형 쓰레기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063A KR101313421B1 (ko) 2011-12-07 2011-12-07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의 시트형 쓰레기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981A KR20130063981A (ko) 2013-06-17
KR101313421B1 true KR101313421B1 (ko) 2013-10-14

Family

ID=4886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063A KR101313421B1 (ko) 2011-12-07 2011-12-07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의 시트형 쓰레기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2719B (zh) * 2017-10-24 2019-11-29 上海理工大学 钥匙坯分拣排序系统
CN109174689B (zh) * 2018-09-07 2020-06-05 广东高捷航运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用自动分拣装置
CN112007853B (zh) * 2020-08-21 2021-11-05 江苏超聚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生产排料装置
CN115417123B (zh) * 2022-08-01 2024-04-02 广东中环智联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除长带状垃圾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378B1 (ko) 2001-04-28 2004-04-27 주식회사 포스벨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KR100801898B1 (ko) 2007-10-29 2008-02-12 주식회사 포스벨 매립 쓰레기 선별장치
KR100870621B1 (ko) 2007-06-22 2008-11-27 성안이엔티주식회사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20110016524A (ko) * 2009-08-12 2011-02-18 에코랜드 주식회사 갈퀴식 선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378B1 (ko) 2001-04-28 2004-04-27 주식회사 포스벨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KR100870621B1 (ko) 2007-06-22 2008-11-27 성안이엔티주식회사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100801898B1 (ko) 2007-10-29 2008-02-12 주식회사 포스벨 매립 쓰레기 선별장치
KR20110016524A (ko) * 2009-08-12 2011-02-18 에코랜드 주식회사 갈퀴식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981A (ko) 201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421B1 (ko) 산업폐기물 재활용설비의 시트형 쓰레기 선별장치
CN107378322A (zh) 电池端子焊接装置
KR101931687B1 (ko) 폐기물 선별기
CN103736579A (zh) 一种提升式送料装置
US11420213B2 (en) Machine for magnetic separation
KR101260026B1 (ko) 파분쇄 및 선별을 이용한 고철 폐기물 재생 장치
KR101165986B1 (ko) 폐비닐 절단장치
KR101433461B1 (ko)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원료로부터의 철편 추출장치
CN105538393B (zh) 具有回收废纸功能的切纸机
CN110961437A (zh) 一种数控加工中心冲压废料回收处理系统
CN203764539U (zh) 垃圾自动分离设备
CN107008663A (zh) 一种用于剔除生活垃圾中金属的分选机及金属剔除方法
CN206969677U (zh) 一种自动上下板机
CN205500033U (zh) 一种金属工件上料系统
KR101301587B1 (ko) 폐기물로부터 고철을 분리하는 시스템
CN104998830B (zh) 一种垃圾输送分拣装置
CN203804077U (zh) 全自动多工位管材立体冲压设备送料装置中的筛选机构
CN105588444B (zh) 熔炉自动加料机
CN211488124U (zh) 一种新型建筑垃圾分拣装置
CN219559936U (zh) 移动式建筑垃圾破碎筛分设备
CN208828524U (zh) 一种医用垃圾箱
KR101170952B1 (ko) 자성금속 선별기
CN110665638A (zh) 一种固体生活垃圾可变磁磁选装置
CN112573225B (zh) 一种用于回收物料的输送设备
KR20190130321A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