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350B1 - 개방 다공성 전기 전도성 나노복합체 물질 - Google Patents

개방 다공성 전기 전도성 나노복합체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350B1
KR101313350B1 KR1020100022533A KR20100022533A KR101313350B1 KR 101313350 B1 KR101313350 B1 KR 101313350B1 KR 1020100022533 A KR1020100022533 A KR 1020100022533A KR 20100022533 A KR20100022533 A KR 20100022533A KR 101313350 B1 KR101313350 B1 KR 101313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composite
electrode material
lifepo
eam
nano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429A (ko
Inventor
레인하르트 네스퍼
라훌 포트다르
요안 메탄
Original Assignee
벨레노스 클린 파워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레노스 클린 파워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벨레노스 클린 파워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10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전도성 나노입자성 중합체(conductive nanoparticulate polymer)와 전자적 활물질(electronically active material), 특히 PEDOT와 LiFePO4의 나노복합체(nanocomposite)는 카본 블랙(carbon black)과 흑연(graphite) 충전된 비-전도성 결합제(non conducting binder) 내에서 피복되지 않은, 그리고 탄소 피복된 LiFePO4와 비교하여 훨씬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전도성 중합체 포함 복합체는 다른 2가지 샘플을 능가하였다. PEDOT 복합체의 성능은 200회 사이클 이후에 82%의 용량 보존력(capacity retention)으로, 높은 전류 양식(current regime)에서 특히 우수하였다. 따라서 전도성, 나노입자성 중합체와 전자적 활물질, 특히 LiFePO4와 PEDOT 나노스터브(nanostub)로 만들어진 복합체에 기초하고, 더욱 높은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와 거친 충전 양식(charging regime)에 증가된 저항(resistance)을 갖는 전극(electrode)은 LiFePO4와 같은 물질의 높은 출력 적용성(power applicability)을 극적으로 확대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Description

개방 다공성 전기 전도성 나노복합체 물질{open porous electrically conductive nano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은 나노복합체(nanocomposite) 내로 통합된 나노입자성 리튬 화합물(nanoparticulate lithium compound)에 기초된 재충전가능 리튬 배터리(rechargeable lithium battery)의 전극(electrode)을 위한 전극 물질(electrode material)에 관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런 전극 물질의 제조 방법에 관계한다.
재충전가능 리튬 배터리는 특히, 휴대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예를 들면, 전화, 컴퓨터와 비디오 장치에 이용되고, 최근에 전기자전거와 차와 같은 수송 수단(vehicle)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적용으로 인하여, 이들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높다. 특히, 이들은 정해진 체적 또는 중량에서 최대량의 에너지를 저장해야 한다. 이들은 또한, 신뢰할 수 있고 환경 친화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런 배터리의 전극 물질에서 특히 요구되는 2가지 기본 요구사항은 높은 에너지 밀도와 높은 비에너지(specific energy)이다
이런 전극 물질에서 다른 중요한 요구사항은 사이클링(cycling)에 대한 저항이다. 본 발명에서 각 사이클은 1회 충전(charging)과 방전(discharge) 과정을 포함한다. 사이클링에 대한 저항은 실질적으로, 여러 사이클 이후에 가용한 비전하량(specific charge)을 결정한다. 모든 사이클에서 99%의 사이클링에 대한 추정된 저항에서도, 100회 사이클 이후에 가용한 비전하량은 최초 수치의 37%에 불과할 것이다. 따라서 99%의 이런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 조차도 상당히 불충분하다. 이런 이유로, 앞서 기술된 유형의 적절한 재충전가능 고성능 배터리는 가능한 최저 중량과 체적에서 비량(specific amount)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에너지를 수백번 방전하고 재충전하는 능력을 갖는다. 여기서 중요한 인자는 상당 부분, 전극 물질이다.
이런 배터리의 경제적 중요성으로 인하여, 상기한 요구사항을 최대한으로 충족하는 전극 물질을 찾는데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현재까지, 재충전가능 리튬 배터리의 양성 전극(positive electrode)에 이용되고 있는 물질은 특히, 전이-금속 산화물(transition-metal oxide) 또는 전이-금속 황화물(transition metal sulphide), 유기 분자와 중합체이다. 특히, 전이-금속 산화물과 황화물은 성공적으로 실용되고 있다. 이런 물질은 삽입 전극 물질(insertion electrode material)로서 기술되고, 실온에서 재충전가능한 많은 배터리에서 발견된다. 이런 물질의 폭넓은 유통의 이유는 이들 전기화학적 삽입 반응(insertion reaction)이 위상화학(topochemical)이고, 따라서 부분적으로 구조 보존성이라는 사실에 있다.
리튬 삽입 반응에 기초된 재충전가능 배터리의 개념은 1970년대에 개발되었다. 그 사이에, 이러한 원리에 기초된 다수의 전극이 제안되고 실용되었다. 리튬 셀(lithium cell)의 재충전성(rechargeability)은 주로, Li+의 삽입과 제거 동안 게스트 물질(guest material)의 치수 안정성(dimensional stability)에 기초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여러 전이 금속 산화물, 황화물, 인산염과 할로겐화물(halogenide)은 양성 전극에 대한 용이하게 가역되는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이들에는 특히 리튬 코발트 산화물, 리튬 니켈 산화물, 리튬 망간 산화물, 그리고 리튬 바나듐 산화물, 구리 옥시인산염(copper oxyphosphate), 구리 황화물, 납 황화물과 구리 황화물, 철 황화물, 구리 염화물 등이 포함된다. 이들 물질은 하지만, 상당히 부적합하다. 따라서 예로써, 리튬 코발트 산화물은 상대적으로 고가이고 특히, 환경 친화적이지 않다. 환경 친화성의 관점에서, 리튬 망간 산화물이 특히 적합할 것이다. 하지만, 이들 산화물은 일반적으로, 그들 내에서 리튬 교체와 관련하여 더욱 낮은 비전하량, 또는 사이클링 하에서 더욱 낮은 안정성을 유발하는 첨정석 구조(spinel structure)를 갖는다. 또한, 여러 검사에서 리튬의 제거로, 사방정계(orthorhombic) 리튬 망간 산화물이 첨정석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선행 기술과 관련하여, 간행물 "Insertion Electrode Materials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Martin Winter, Jurgen O. Besenhard, Michael E. Sparh and Petr Novak in ADVANCED MATERIALS 1998, 10 Nov. no. 10, pages 725 to 763, 그리고 학위 논문 ETH no. 12281, M. E. Spahr, "Synthese und Charakterisierung neuartiger Oxide, Kohlenstoffverbindungen, Silicide sowie nanostrukturierter Materialien und deren elektro- und magnetochemische Untersuchung"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ew types of oxides, carbon compounds, silicides and nano-structured materials and their electro- and magneto-chemical analysis.")를 참조한다.
따라서 특히, 높은 비에너지와 대형 출력 밀도(power density)의 관점에서 향상된 배터리가 여전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개시
이런 이유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사이클링 동안 양극화(polarization)를 거의 또는 전혀 나타내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전기화학적 반응/높은 방전 능력(discharge capacity)을 보유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환경 친화적인,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 둘 모두, 바람직하게는 캐소드에 대한 전극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나노복합체인 전극 물질에 의해 해결되는데, 상기 나노복합체는
- 개방 다공성 물질이고
- 전자 전도성이다.
한 구체예에서 재충전가능 리튬 배터리의 양성 또는 음성 전극에 대한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상기 전극 물질은 나노복합체이고, 상기 나노복합체는 균일하게 분포된 나노입자성 전자적 활물질과 나노입자성 전기 전도성 결합제 물질을 포함하는 개방 다공성 물질이고, 상기 전자적 활물질의 나노입자의 평균 입도(average particle size)와 상기 나노입자성 전기 전도성 결합제 물질의 평균 입도 둘 모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최대 2배 만큼 더 크거나 및/또는 5 내지 500 nm의 범위에 존재한다.
개방 다공성 물질은 전해질과 Li+-확산이 용이하게 가능할 만큼 구멍이 크고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놀랍게도, 개방 다공성 물질은 전자적 활물질(EAM), 예를 들면, 전자와 Li+-방출 물질 또는 전자와 Li+-수용 물질이 대략 동일한 입자 크기의 전기 전도성 결합제(CB)의 나노입자에 의해 서로 연결된 나노입자의 형태로 존재하면 용이하게 획득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큰 조각의 형태로 존재할 때 전도성이 불량한 물질 또는 심지어, 절연체(insulator)도 이들이 나노입자(이후, 나노입자성로 지칭됨)의 형태로 이용된다면, 본 발명의 캐소드에 대한 EAM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유일한 필수 요구사항은 상기 물질이 전자와 Li+-이온을 방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적절한 EAM는 첫 번째 부하 사이클(loading cycle) 동안 Li+-이온을 이미 포함하거나, 또는 Li 포함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모든 화합물이다. 부하 동안 Li 포함 화합물의 산출은 충분하게 안정하지 않은 또는 심지어, 불안정한 Li 포함 화합물의 경우에 선호된다.
EAM의 실례에는 전이 금속과 주족 금속의 산화물, 질화물, 탄화물, 붕산염, 인산염, 황화물, 할로겐화물 등,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뿐만 아니라, 선행 기술, 예를 들면, WO 01/41238에서 언급된 모든 EAM 역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나노입자는 일반적으로, 5 내지 500 n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nm 범위의 평균 일차 입자 크기(average primary particle size)를 갖는다.
바람직한 EAM은 LixV3O8, LixHnV3O8인데, 현재 LiFePO4가 특히 바람직하다.
애노드 물질에 적합한 EAM은 실리콘; LixAlSin, LixSiSnn과 같은 합금; 그리고 LixVN과 같은 질화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나노입자성 형태에서 이들 EAM은 나노입자성 형태이고 유사한 평균 입도를 갖는 전기 전도성 결합제(electronically conductive binder, CB)와 선택적으로, 유사한 입자 크기를 갖는 전도성 충전제(conducting filler)와 혼합된다. 섬유(fiber), 나노튜브(nanotube) 등의 형태로 CB를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긴 하지만, 비용 문제로 나노스터브 또는 대략 구형 나노입자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는 서로 친밀하게 혼합되고 바람직하게는, 가열(heating)과 함께 또는 가열 없이 압력 처리(pressure treatment)에 의해, 또는 용매 증발(solvent evaporation)에 의해, 혼합, 저장과 이용 온도에서 결합제의 충분한 점착성(stickiness)으로 인하여 안정화된 EAM와 CB 나노입자와 선택적으로, 전도성 충전제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결합제의 낮은 유리 전이점(glass transition point)을 갖는 열가소성 물질은 이들 입자를 결합시키는데 뿐만 아니라 나노복합체를 전도체(conductor),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전극(aluminium electrode)/기판(substrate)에 결합시키는 데에도 적합하다.
전기 전도성 중합체에는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과 폴리티오펜(polythiophen)이 포함된다. 이들 중합체는 원하는 특징에 따라,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한 결합제는 하기에 PEDOT로 지칭되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이다. 상기 중합체는 전도성이고, 적절한 점착성을 갖고, 나노입자성 형태로 용이하게 생산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이들 CB 나노입자는 나노복합체의 중량에 기초하여 4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이들 나노입자에 전도도(conductivity)를 부여하거나, 또는 이들 나노입자의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들은 유리하게는, 전도성 층, 특히 탄소/흑연/그라펜(graphene) 층으로 피복될 수 있다.
나노입자성 EAM을 생산하는 방법, 나노입자성 EAM을 피복하는 방법, 나노입자성 CB를 생산하는 방법, 그리고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를 생산하는 방법은 하기에 기술된다.
EAM은 산화물, 질화물 등의 경우에 열분해(pyrolysis)를 통하여, 또는 특히 LiFePO4의 경우에 용매열 합성(solvothermal synthesis)을 통하여 제조된다. 용매열 과정은 합성된 입자의 형태와 크기 분포 변화의 통제와 같은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물질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불활성 가스(inert gas)는 용매열 합성에 불필요하거나 미미하고, 이러한 과정은 통상적인 흔들고 굽기(shake and bake) 합성보다 나노입자 형성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훨씬 신속하고 에너지 효율적이고 성공적이다. LiFePO4 샘플은 바람직하게는, Nuspl et al.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아래의 반응을 이용한 최적화된 용매열 합성으로 제조된다:
삭제
FeSO4 + H3PO4 + 3LiOH.H2O → LiFePO4 + Li2SO4 + 6H2O
나노입자성 EAM의 탄소 피복은 다양한 유기 전구물질(precursor), 예를 들면, 당(sugar) 또는 케톤(ketone)의 열분해를 통한 탄소 증착(carbon deposition)에 의해 수행된다.
나노입자성 전기 전도성 중합체, 예를 들면, PEDOT는 Sun et al. [2]에 기술된 바와 같은 가역성 마이크로에멀젼(reverse microemulsion)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PEDOT 합성의 경우에, 중합체화 보조제(polymerization aid)로서 FeCl3/비스(2-에틸헥실) 설포숙시네이트 입자와 같은 유화된 산화제 포함 입자/액적(droplet)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에멀젼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나노입자성 전자 전도성 충전제, 예를 들면, 카본 블랙과 함께 나노입자성 CB는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용매,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에 현탁되고, 이후 나노입자성 EAM이 첨가되고, 혼합물은 균질화되고, 건조되고, 선택적으로 가열과 함께 또는 가열 없이 가압된다(선택적으로, EAM 나노입자는 이전 단계 동안 탄소 피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방식
본 발명은 시스템 LiFePO4와 PEDOT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LiFePO4는 매우 유망한 EAM인데, 그 이유는 LiFePO4가 저렴한 전구물질로부터 생산될 수 있고, 비독성이고, 환경 친화적이고, 현저한 화학적, 열적 안정성을 갖기 때문이다. 상기 물질은 극히 신속한 리튬 이온 이동성(mobility)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높은 출력 적용에 적합하다[3]. 하지만, 상기 물질의 낮은 본질적인 전자 전도도는 이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심하게 제한한다[3]. 이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입자 크기 감소[4-6], 초박막 탄소로 피복[7], 초원자가 이온(supervalent ion)으로 도핑(doping)[8], 전극 복합체에 금속 입자 추가[9]는 우수한 결과는 말할 것도 없이 기준에 맞는 결과로도 이어지지 못한 방법 중의 일부이다.
LiFePO4의 성능에서 가장 중요한 개선은 다양한 유기 전구물질, 예를 들면, 당 등의 열분해를 통하여 증착된 탄소로 이를 표면 피복함으로써 획득되었다. 또한, 배터리의 전송 용량(rate capacity)은 입자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고, 이는 전극 물질 내에서 리튬의 고형 상태 확산(solid state diffusion)을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하지만, 나노구조 EAM의 이용은 작은 입자 크기에 기인한 증가된 표면이 전극 복합체 내에서 훨씬 많은 양의 탄소/흑연과 결합제를 요구하고, 이는 배터리의 탭 밀도(tap density)에서 현저한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고민거리를 유발한다[10-12]. 따라서 최적 전극 조성물을 설계하기 위하여 추가된 전도성 첨가제와 다른 첨가제의 입자 크기와 양을 조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중합성 결합제,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이소부텐(polyisobutene) 등이 전류 집전자(current collector)와 함께, 흑연, 카본 블랙과 활물질(가령, LiFePO4)을 서로 결합시키는데 이용된다. 나노구형 입자(nanospherical particle)에 대한 결합제와 다른 전도성 첨가제의 알짜량(net amount)은 전형적으로, 전극 내에서 20 % 이상까지 질량을 추가한다. 게다가, 현재 이용되는 이들 결합제는 전기화학적으로, 그리고 전자적으로 불활성이고, 따라서 각각, 부가적인 중량을 추가하고 캐소드 복합체의 전도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캐소드의 비에너지와 동역학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대체로, 이는 높은 출력 적용을 위한 물질의 유인력(attractiveness)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전극 복합체 내에서 효과적인 전도성 첨가제와 결합제로서 이중으로 이용될 수 있는 나노구조 중합성 결합제가 이러한 문제점을 잠재적으로 회피하고 배터리의 고속 성능을 부가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런 나노구조 중합성 결합제는 여러 이점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적절한 나노입자 크기와 형상이 이용되면, 상기 결합제는 나노입자성 EAM과 균질하게 서로 혼합된다. 이러한 미립자 구조로 인하여, Li+ 확산을 촉진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들 나노입자 또는 구멍의 존재는 각각, 강화된 전기화학적 특성, 다시 말하면, 출력 밀도와 비에너지뿐만 아니라 결합제의 필요량 감소와 이에 따른, 중량 감소로 이어진다.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는 전도성 중합성 결합제로서 매력적인 후보이다. 높은 화학적, 환경적 안정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입자 크기와 형태에서 PEDOT의 합성은 이미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12-16]. 단량체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은 관 구조의 형성에 대조적으로 나노스터브 또는 나노입자로서 PEDOT의 상대적으로 간단한 합성을 결과하는 피롤(pyrrole)보다 높은 소수성(hydrophobicity)과 낮은 동역학(kinetic)을 보인다. 이러한 형태는 동일한 크기와 조직으로 합성되고, 따라서 균일한 복합체 내에서 서로 혼합될 수 있는 나노입자, 예를 들면, LiFePO4 입자에 유익한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의 이점은 각각, 실온에서 0.5 내지 2 bar, 즉 5x104 내지 2x105 Pa의 압력으로 가압 시에 우수한 미립자간 접착(interparticular adhesion)과 충분한 기판 접착으로 이어지는 이의 점착성이다.
원하는 안정성에 따라서, 가열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이들 작은 입자가 강화된 표면 반응성(surface reactivity)과 판 데르 발스 힘(Van-der-Waals force)으로 인하여 점착성이기 때문이다.
나노복합체, 예를 들면, PEDOT와 LiFePO4의 나노복합체는 가역성 마이크로에멀젼의 기술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가역성 마이크로에멀젼 지향되고 합성된 나노구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의 분명한 긍정적인 효과와 이런 복합체의 구조적 특성은 연구되었고 이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피복되지 않은 LiFePO4와 탄소 피복된 LiFePO4로 비교되었다.
여기서, 나노입자성 형태에서 전도성 중합성 결합제와 함께, 나노입자성 형태에서 전도성 피복된 EAM, 다시 말하면 LiFePO4의 복합체는 훨씬 향상된 특징을 결과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특징의 추가적인 개선을 위하여, 나노입자성 결합제는 예로써, 전체 전극 물질의 중량으로 2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대략 5 중량%의 양으로 전자 전도성 나노입자성 충전제, 예를 들면, 카본 블랙과 혼합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고, 앞서 열거된 것들 이외의 목적이 명백할 것이다. 이런 설명은 아래의 첨부된 도면을 인용한다:
도 1에서는 탄소 피복이 있는 LiFePO4와 탄소 피복이 없는 LiFePO4의 XRD 패턴을 도시한다.
도 2에서는 탄소 피복된 LiFePO4와 원래 LiFePO4의 입자 크기 분포의 비교를 도시한다.
도 3에서는 탄소 피복된 LiFePO4, 흑연과 표준 접착제로 구성되는 배터리 복합체의 SEM 그림을 도시한다.
도 4에서는 개별 PEDOT 나노스터브의 응집으로부터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나노크기 그물망(mesh)의 형성을 결과하는 PEDOT의 가역성 마이크로에멀젼 지향된 합성의 산물을 도시한다.
도 5에서는 20 mA(~0.1C)의 비전류에서 사이클링된 3가지 샘플, 다시 말하면, 전통적인 결합제와 충전제와 함께 LiFePO4, 전통적인 결합제와 충전제와 함께 탄소 피복된 LiFePO4,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최초 방전 용량(initial discharge capacity)을 도시한다:
도 6a와 도 6b에서는 135 mAh g-1(~0.8C)의 비전류에서 전통적인 결합제(LC)와 발명(LP) 결합제와 함께, 탄소 피복된 LiFePO4의 성능을 비교한다.
도 6a에서는 LC에서 10th, 50th과 100th 사이클에 대한 차후 방전 곡선을 도시한다.
도 6b에서는 LP에서 10th, 50th와 100th 사이클에 대한 차후 방전 곡선(discharge curve)을 도시한다.
도 7에서는 LC에서 56 mAh g-1과 비교하여 차기 100회 사이클에 대한 양쪽, LC와 LP 샘플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8에서는 다양한 전류에서 사이클 횟수의 함수로서 방전 전위(discharge potential)를 도시한다.
실험
I. 물질 제조
I. 1. 리튬 철 인산염
리튬 철 인산염 샘플은 최적화된 용매열 합성으로 제조하였다. 출발 물질은 화학량론 비율(stoichiometric ratio) 1:1:3으로 FeSO4ㆍH2O(Aldrich, 순도 99 %), H3PO4(Aldrich, 순도 >85 %), LiOH(Aldrich, 순도 >98 %)이었다. 초기에, FeSO4와 H3PO4 수용액을 제조하고 서로 혼합하였다. 혼합물은 Parr 오토클레이브로 이전하고, 이는 질소로 여러 차례 정화한다. 오토클레이브를 밀봉하기에 앞서, 반응 혼합물 내로 LiOH 용액을 천천히 펌핑(pumping)한다. 반응 혼합물은 탈응집시키고 160℃에서 하룻밤동안 가열한다. 획득된 침전물은 여과하고 물로 완전히 세척하여 모든 과량의 염 등을 제거한다. 이후, 축축한 침전물은 진공에서 하룻밤동안 건조시켜 LiFePO4의 건성 올리브 녹색 고형 분말을 형성한다.
1.2. 탄소 피복된 샘플
LiFePO4는 여러 탄소 포함 유기 전구물질을 이용하여 탄소로 피복하였다. 각각,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피로멜리트산, pyromellitic acid)과 락토오스(lactose)를 이용하여 탄소 피복된 LiFePO4의 독립된 배치(batch)를 합성하였다. 전형적인 실험에서, 특정된 양의 전구물질(표 1)은 액상 매체 내에서 100 mg의 LiFePO4와 혼합하여 충분히 분산된 현탁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현탁액은 건조시키고, 이후 이를 2.5℃ min-1의 속도에서 650℃로 가열하고 이를 상기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유지시킴으로써 불에 건조시켰다. 이러한 가열 처리는 Fe+2의 Fe+3으로의 산화를 피하기 위하여 불활성 질소 환경 또는 진공에서 수행되었다.
표 1에서는 LiFePO4의 중량과 관련하여, 첨가된 유기 전구물질의 최초량과 피복된 샘플의 최종 탄소 함량을 제시한다. 탄소의 양은 열중량 분석에 의해 측정되었다.
삭제
유기 전구물질 이용 상세와 최종 탄소 함량
유기 전구물질 용매 첨가된 양(wt.%) 탄소 함량
(wt.%)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AN) n-부탄올 10 2.14
피로멜리트산 1.05 0.85
락토오스 15 2.1
부가적으로, 유동 오븐(flow oven) 내에서 LiFePO4에 탄소를 증착하기 위하여 프로필렌 가스가 열 크래킹(thermal cracking)되었다. 오븐의 온도는 700℃로 설정되었다. 가스의 유속은 20 ml min-1이고, 이러한 처리는 4시간 동안 수행되었다. 증착된 탄소의 양은 ~0.1 wt. %이었다. 모든 탄소 피복된 샘플의 XRD 패턴은 원래 LiFePO4와 완벽하게 일치하고, 탄소의 존재는 결정도(crystallinity)를 결코 방해하지 않는다. 도 1에서는 원래 LiFePO4와 비교하여 락토오스를 통한 탄소 피복된 LiFePO4의 RD 패턴을 도시한다. 어닐링(annealing) 이후에 획득된 탄소 피복된 샘플의 입자 크기 분포는 합성된 원래 LiFePO4의 것보다 넓다. 이는 아마도, 높은 온도에서 최초 입자의 Oswald 라이프닝(ripening)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입자 크기 분포는 리튬 이온이 LiFePO4/FePO4 용적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확산할 수 있고, 높은 교환율(high exchange rate)에서도 방전 용량(discharge capacity)이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여전히 좁다.
피복되지 않은 원래 LiFePO4에 락토오스의 혼성에 의해 제조된 탄소 피복된 샘플의 입자 크기 분포의 비교는 도 2에 도시된다. 이러한 탄소 피복된 샘플의 D80 수치는 30 μm 이하인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최초 샘플에 비하여 거의 3의 인자로 증가된 것이다.
탄소 피복된 LiFePO4 입자 주변에 탄소의 극히 얇은 무정형 층은 고분해능 TEM에 의해 묘사될 수 있다(제시되지 않음). 이러한 층의 평균 두께는 대략 2 nm인 것으로 밝혀졌다. 활물질 내외로 리튬 이온의 용이한 확산을 촉진해야 하는 상기 층은 고도로 다공성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수한 TEM 영상에서, 감람석(olivine) LiFePO4의 [301] 격리 위치(separation place) 사이의 거리가 관찰가능한데 이것은 약 3 Å이다.
바람직한 절차에서, 탄소 피복된 샘플은 불활성 환경에서 락토오스(중량으로 15 %)의 존재에서 가열 처리로 만들어졌다. 건조후, 분말은 650℃에서 불에 건조시키고(이들 분말을 2.5℃ min-1의 속도에서 상기 온도로 가열하고 총 6시간 동안 상기 온도에 유지함으로써), 그 이후에 제분(milling) 또는 탈응집 과정을 수행하였다. 열중량 분석에서, 탄소의 양은 중량으로 3 % 이하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I.3. 가역성 에멀전 지향된 합성을 통한 PEDOT 나노스터브의 제조
Sun et al. [2]의 계열에서 가역성 마이크로에멀젼 기술이 PEDOT 나노입자의 합성에 이용되었다. 초기에, 8.5 g(19.12 mmol)의 나트륨 비스(2-에틸헥실) 설포숙시네이트(AOT)를 초음파 중탕(ultrasonic bath)에서 100 % 파워(410 W)에서 70 ml의 n-헥산에 용해시켰다. 이후, 1 ml 증류된 물에 녹인 1.6 g(10.00 mmol) 무수성 FeCl3의 혼합물을 Pasteur-피펫으로 방울방울 첨가하였다. 모든 산화제가 첨가되면, 생성 용액은 초음파 중탕으로부터 끄집어내고 유백색-황색 침전물이 나타날 때까지 손으로 부드럽게 흔들었다. 이후, 0.38 ml의 에틸렌디옥시티오펜(EDOT)을 한 번에 상기 에멀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이후, rotavap 내에서 1시간 동안 10℃에 유지시켰다. 중합체화는 상기 수조의 온도가 대략 20℃에 도달했을 때 시작되었다. 이후, 상기 수조의 온도를 3시간 동안 30℃에 유지시켰다. 이때, 반응 혼합물은 녹색으로 변하고, 그 다음 검은색으로 변하였다. 산물은 이후, 흡입 여과(suction filtration)하고 에탄올과 아세톤으로 세척하였다. 하룻밤동안 100℃에서 건조시켜 PEDOT의 푸른색/검은색 나노분말을 산출하였다.
II. 화학적, 전기화학적, 그리고 구조적 특성화
철의 강한 형광으로 인하여, λCuKα1 = 1.54056 Å 방사선(40 mA, 40 kV)과 게르마늄 단색기(germanium monochromator)와 함께, Bragg-Bentano geometry가 구비된 X-ray 분말 회절기(powder diffractometer) Bruker AXS mod. D8Advance가 이용되었다. 샘플은 회전 플랫 플레이트 홀더(rotating flat plate holder)에 올려놓았다. 석영(quarz) 샘플이 외부 표준(external standard)으로서 이용되었다.
1 kV에서 작동된 Zeiss Gemini 1530을 이용하여 주사 전자 현미경(SEM) 분석을 수행하였다. 투과 전자 현미경(TEM)의 측정을 위하여, 상기 물질은 구리 그리드(grid)에 지지된 구멍이 있는 탄소 호일(foil)에 증착시켰다. TEM 조사는 C30ST 현미경(Philips; LaB6 캐소드, 300 kV에서 작동, 포인트 분석 ~ 2 Å)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전도도는 4 포인트 전도도 검사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III. 전기화학적 측정
분석된 3가지 샘플의 조성물은 표 2에 요약되는데, 여기서 L1은 피복되지 않은 원래 LiFePO4로 획득된 참고 물질을 지칭하고, LC는 탄소 피복된 LiFePO4를 포함하는 참고 물질을 지칭하고, LP는 탄소 피복된 LiFePO4와 PEDOT 나노입자의 본 발명 혼합물의 물질을 지칭한다.
전기화학적 측정을 위하여, L1과 LC의 전극은 카본 블랙, 흑연과 폴리이소부텐(polyisobutene) 기초된 중합성 결합제와 이들을 혼합함으로써 만들었다. 이들 성분은 아래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활물질: Ensaco 250(TIMCAL): 흑연 SFG6(TIMCAL): 오파놀(Oppanol)(BASF) = 75: 18: 6: 2. 활물질과 첨가제는 혼합하고, 가시적인 기계적 균질화가 달성될 때까지(35 min) 막자사발에서 손으로 그레인(grain)으로 만들었다. 상기 막자사발은 90℃로 데우고, n-헥산에서 0.2 %의 오파놀 용액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은 n-헥산의 완전한 증발때까지 혼합하였다. 이후, 15 내지 30 mg의 샘플을 공모양(13 mm 직경)으로 핸드 프레싱(hand pressing)하고, 제조된 캐소드는 건조시켰다.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혼합물 LP에서는 5 % 탄소만 이용되고 흑연은 이용되지 않는다.
샘플 LiFePO4 결합제 카본 블랙과 흑연 충전제
L1 피복되지 않음(75 %) 폴리이소부텐
기초된 결합제 (2 %)
24 %
LC C-피복됨(75 %) 폴리이소부텐
기초된 결합제 (2 %)
24 %
LP C-피복됨(85 %) PEDOT (10 %) 5 %
LP 샘플의 제조를 위하여, PEDOT 나노입자는 아세토니트릴 용액에 분산시키고, 이후 원래 LiFePO4와 중량으로 10 % 혼합시켰다.
이들 셀은 리튬 금속 호일을 카운터 전극(counter electrode)으로 이용하여 아르곤 충전된 글로브 상자에서 조합하였다. 이용된 전해질은 MERCK Selectipur, LP30인데, 이는 에틸렌 탄산염과 디메틸 탄산염 1:1 (w/w)의 혼합물에서 LiPF6의 1 M 용액으로 구성된다.
모든 전기화학적 측정은 Astrol Electronic AG, Switzerland에 의해 공급된 컴퓨터-제어된 충전기 시스템(computer-controlled charger system)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들 셀은 복합체 내에서 활물질(LiFePO4)의 중량에 기초된 비전류에서 1.5-4.0 V vs Li/Li+의 범위에서 정전류하게 사이클링하였다.
결과와 고찰
I. 구조와 형태의 영향
도 1에서는 L1의 XRD 패턴을 도시하는데, 이는 공간군(space group) Pnma를 갖는 사방정계(orthorhombic) 결정 구조에 일치한다. 이들 패턴은 LiFePO4의 이론적 패턴에 완벽하게 일치하고 불순물이 검출되지 않는다. 탄소 피복된 샘플 LC의 XRD 패턴은 피복되지 않은 샘플 L1과 완벽하게 일치하고, 탄소의 존재는 결정도를 결코 방해하지 않는다. 최초 입자 크기는 Scherrer 공식, d = 0.9 λ/β cos θ을 이용하여 계산되는데, 여기서 β는 XRD 라인의 반극대(half maximum)에서 너비이고 λ는 파장(wave length)(angstrom)이다. XRD(020) 라인으로부터 유추된 너비를 이용하여 추정된 단일 결정 크기는 31.6 nm이다. LC1의 SEM 영상(제시되지 않음)은 이들 그레인이 200 nm의 평균 입도를 갖는 분명한 타원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LC의 형태는 L1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LC의 고분해능 TEM 영상(제시되지 않음)은 LiFePO4 입자 주변에 탄소의 극히 얇은 무정형 층을 묘사한다. 상기 층의 평균 두께는 대략 2 nm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활물질 내부에 리튬 이온의 용이한 확산을 촉진해야 하는 상기 층은 고도로 다공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면간 거리(interplanar distance)는 ~3 Å인 것으로 판독되었는데, 이는 상기 감락석의 [301] 평면 분리(plane separation)에 매우 유사하다. 탄소 피복된 샘플은 원래 LiFePO4(10-9 S/cm)보다 여러 단계 높은 등급인 10-4 S/cm 범위의 전도도를 갖는다. LC, 흑연과 표준 결합제로 구성되는 배터리 복합체의 SEM 사진(도시되지 않음, 또는 도 3)은 절연 LiFePO4 입자 사이에 전도성 인터커넥트(interconnect)로서 이상적으로 기능해야 하는 마이크로크기 흑연이 나노크기 활물질에 비하여 완전하게 범위를 이탈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매트릭스 내에서 분리된 섬으로서 존재하고, 전극 복합체의 중량에 대한 상당한 기여에도 불구하고 전자 거름 네트워크(electyron percolation network)에 거의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LP에서 성공적으로 해결되었다. PEDOT의 가역성 마이크로에멀젼 지향된 합성은 나노크기 그물망의 형성으로 이어진다(도시되지 않음, 또는 도 4). 이러한 다공성 구조는 개별 PEDOT 나노스터브의 응집으로부터 형성된다. PEDOT 입자의 전도성 다공성 나노메시(nanomesh)는 LiFePO4 입자를 완전하게 둘러싸고, 따라서 전체 복합체가 훨씬 강한 전도성을 나타내도록 한다. PEDOT 입자는 또한, 전극 집전자(current collector)와 함께 전극 성분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제로서 기능한다. 이는 별개의 결합제의 이용을 불필요하게 만들고, 따라서 전극의 벌크(bulk)로부터 불활성 중량을 경감시킨다.
II. 전기화학적 결과
모든 샘플의 이러한 전기화학적 특성은 체계적으로 조사되었다. 도 5에서는 20 mA(~0.1C)의 비전류에서 사이클링된 3가지 모든 샘플의 최초 방전 용량을 도시한다. 모든 샘플은 예외적인 플랫 전압 고원기(flat voltage plateau)를 갖는다. 이러한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에서, 탄소 피복된 샘플(LC)과 중합체 복합체 샘플(LP)은 대략 166 mAh g-1의 용량을 갖는데, 이는 LiFePO4에 대한 170 mAH g-1의 이론적 용량에 거의 근접한다. 피복되지 않은 샘플(L1)은 110 mAh g-1의 출발 용량(start capacity)을 갖는데, 이는 다른 2개의 샘플보다 훨씬 낮다. 3가지 모든 샘플에서, 이러한 전류에서 방전 용량은 매우 많은 횟수의 사이클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성능에서 이러한 차이는 명백하게, 전극의 성능에 대한 전도도의 영향을 보여준다.
피복된 물질과 피복되지 않은 활물질의 성능 사이에 명백하고 현저한 차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서는 더욱 높은 전류에서 LC와 LP의 검사만을 수행한다. 도 6a와 도 6b에서는 135 mAh g-1(~0.8C)의 비전류에서 LC와 LP의 성능을 비교한다. LP의 최초 방전 용량은 158.5 mAh g-1이다. 도 6a에서는 10th, 50th과 100th 사이클에서 차후 방전 곡선을 도시한다. 이들 사이클에서 용량은 각각, 158 mAh g-1, 159 mAh g-1과 141 mAh g-1이다. 이는 사이클당 대략 0.17 mAh g-1의 하락을 표시하고, 최초방전 용량의 90 %가 100회 사이클 이후에 유지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대조적으로, 샘플 LC는 145 mAh g-1의 최초방전 용량을 갖고, 그 이후에 10th, 50th과 100th 사이클에서 각각, 128 mAh g-1, 112 mAh g-1과 97 mAh g-1이 뒤를 따른다. 이는 사이클당 대략 0.33 mAh g-1 의 하락을 표시하고, 최초 용량의 67 %만 100회 사이클 이후에 유지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LP의 경우에, 출발 용량과 용량 보존력 둘 모두 LC보다 훨씬 우수하다. 양쪽 샘플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기 100회 사이클 동안 동일한 비율로 거의 선형 감소를 보인다. 2100회 사이클 이후에 LP의 최종 방전 용량은 LC에서 56 mAh g-1과 비교하여 130 mAh g-1이다.
도 6a의 삽입물(inset)은 상응하는 10th, 50th과 100th 방전 사이클에서 이들 양쪽 샘플에 대한 차별적 비용량 플롯(differential specific capacity plot, DSCP)을 보여준다. 이들 차별적 비용량 플롯의 피크는 활물질로부터 리튬 삽입(intercalation)/탈리(deintercalation)의 애노드와 캐소드 고원기에 대응한다. 애노드와 캐소드 피크 둘 모두 대략 3.4 V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LiFePO4에서 리튬 추출(extraction)/삽입(insertionion) 전위이다. 이들 두 플롯 사이에 주요한 차이점은 애노드와 캐소드 피크 사이에 양극화 갭(polarization gap)과 이들 피크의 강도이다. LP의 경우에, 분리는 대략 0.1 V인 반면, LC에서는 0.6 V이다. 이러한 분리는 LC 내에서 더욱 높은 전극 저항을 일차적으로 암시하는, 전극 믹스(mix) 내에서 과전위(overpotential)을 양을 지시한다. 중합체 복합체 LP의 피크 강도는 LC보다 훨씬 높은데, 이는 후자에서보다 우수한 Li 삽입 동역학을 지시한다.
LP에 대한 더욱 심각한 조건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샘플을 전류 밀도 범위에서 조사하였다. 도 8에서는 다양한 전류에서 사이클 횟수의 함수로서 방전 전위를 묘사한다. C/5에서 이들 샘플은 170 mAh g-1의 거의 이론적 용량을 보인다. 이러한 수치는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지만, 10C에 해당하는 높은 전류에서도 대략 130 mAh g-1의 상대적으로 안정된 방전 용량이 관찰된다. 전류가 최초 수치로 하락한 이후에, 최초 용량의 대부분이 유지된다.
PEDOT와 LiFePO4의 복합체의 성능은 피복되지 않은 LiFePO4와 탄소 피복된 LiFePO4에 비하여 훨씬 우수하였다. 전도성 중합체 포함 복합체는 다른 2가지 샘플을 능가하면서도 전극의 중량과 관련하여 총 첨가제 함량의 50 %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가 도시되고 기술되긴 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국한되지 않고, 아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참고문헌
[1]Nuspl, G. Wimmer, L. and Eisgruber, WO 2005/051840 A1 (2005)
[2] Yong-Jun Li, Wei-Jun Huang and Shi-Gang Sun, Angewandte Chemie, 118, 2599 (2006)
[3]Padhi, A.K., Nanjundaswamy, K.S. and Goodenough, J.B., J. Electrochem. Soc., 144, 1188 (1997)
[4]S. Franger, F. Le Cras, C. Bourbon and H. Rouault, Electrochem. Solid-State Lett., 5, A231 (2002)
[5]S. Yang, P.Y. Zavalij and M.S. Whittingham, Electrochem. Commun., 3, 505 (2001)
[6]S. Franger, F. Le Cras, C. Bourbon and H. Rouault, J. Power Sources, 119, 252 (2003)
[7]Chung, S.-Y., Bloking, J.T. and Chiang, Y.-M., Nature Mater., 1, 123 (2002)
[8]S.Y. Chung and Y.-M. Chiang, Electrochem. Sold-State Lett., 6, A278 (2003)
[9]F. Croce, A.D. Epifanio, J. Hassoun, A. Deptula, J. Olczac and B. Scrosati, Electrochem. Solid-State Lett., 5, A47 (2002)
[10]A. Yamada, S.C. Chung and K. Hinokuma, J. Electrochem. Soc., 148, A224 (2001)
[11]Zhaouhui Chen and J.R. Dahn, J. Electrochem. Soc., 149, A1184 (2002)
[12]Prosini P.P., Zane, D. and Pasquali, M., Eletrochim. Acta, 46, 3517 (2001).
[13]G. Heywang and F. Jonas, Adv. Mater., 4, 116 (1992)
[14]L.B. Groenendaal, F. Jonas, D. Freitag, H. Pielartzik and J.R. Reynolds, Adv. Mater. Weinheim, Ger., 12, 481 (2000)
[15]H. Yamato, M. Ohwa and W. Wernet, J. Electroanal. Chem., 379, 136 (1995)
[16]I. Winter, C. Reese, J. Hormes, G. Heywang and F. Jonas, Chem. Phys., 194, 207 (1995)

Claims (16)

  1. 재충전가능 리튬 배터리(lithium battery)의 양성(positive) 또는 음성(negative) 전극에 대한 전극 물질에 있어서, 상기 전극 물질은 나노복합체이고, 상기 나노복합체는 균일하게 분포된 나노입자성 전자적 활물질(EAM)과 나노입자성 전기 전도성 결합제 물질(CB)을 포함하는 개방 다공성 물질이고, 여기서 CB의 나노입자는 나노스터브(nanostubs) 형태 또는 구형이며, 상기 EAM의 나노입자(nanoparticle)의 평균 입도와 상기 나노입자성 CB의 평균 입도에 대하여
    두 가지 평균 입도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최대 2배 만큼 더 크거나 또는
    둘 모두 5 내지 500 nm의 범위이며, 여기서
    EAM의 나노입자는 전도성 층으로 피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층은 탄소 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CB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및 폴리티오펜으로부터 선택되는 고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CB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전극은 양성 전극이며, 상기 EAM은 전이금속 및 주족 금속의 산화물, 질화물, 탄화물, 붕산염, 인산염, 황화물, 할로겐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EAM은 LiFeP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전극은 음성 전극이고, 애노드 EAM은 실리콘, LixAlSin, LixSiSnn, 및 LixVN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EAM 나노입자의 평균 입도 및 상기 CB 나노입자의 평균 입도는 둘 모두 5 내지 400 nm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EAM 나노입자의 평균 입도 및 상기 CB 나노입자의 평균 입도는 둘 모두 20 내지 300 nm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CB는 나노복합체의 중량에 기초하여 4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나노입자성 전기 전도성 충전제 물질로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의 양은 2 내지 10 중량%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의 양은 5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 물질.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00022533A 2009-03-12 2010-03-12 개방 다공성 전기 전도성 나노복합체 물질 KR101313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72209P 2009-03-12 2009-03-12
US61/159,722 2009-03-12
EP09157137.2 2009-04-01
EP09157137.2A EP2228855B1 (en) 2009-03-12 2009-04-01 Open porous electrically conductive nanocomposite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429A KR20100103429A (ko) 2010-09-27
KR101313350B1 true KR101313350B1 (ko) 2013-10-01

Family

ID=408433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533A KR101313350B1 (ko) 2009-03-12 2010-03-12 개방 다공성 전기 전도성 나노복합체 물질
KR1020100022532A KR20100103428A (ko) 2009-03-12 2010-03-12 질소화물과 탄화물 애노드 물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532A KR20100103428A (ko) 2009-03-12 2010-03-12 질소화물과 탄화물 애노드 물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426061B2 (ko)
EP (2) EP2228854B1 (ko)
JP (2) JP2010232174A (ko)
KR (2) KR101313350B1 (ko)
CN (2) CN102064313B (ko)
AU (2) AU2010200960A1 (ko)
IL (2) IL204435A0 (ko)
TW (2) TW2011065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37346B1 (en) * 2009-04-01 2017-08-09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Electrically conductive nano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sacrificial nanoparticles and open porous nanocomposites produced thereof
EP2228854B1 (en) * 2009-03-12 2014-03-05 Belenos Clean Power Holding AG Nitride and carbide anode materials
EP2287946A1 (en) * 2009-07-22 2011-02-23 Belenos Clean Power Holding AG New electrode materials, in particular for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ies
US9318741B2 (en) * 2010-04-28 2016-04-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f power storage device, power storage device,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wer storage device
WO2011141486A1 (de) * 2010-05-14 2011-11-17 Basf Se Verahren zur einkapselung von metallen und metalloxiden mit graphen und die verwendung dieser materialien
DE112011102750T5 (de) 2010-08-19 2013-07-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ktrisches Gerät
US8753772B2 (en) * 2010-10-07 2014-06-17 Battelle Memorial Institute Graphene-sulfur nanocomposites for rechargeable lithium-sulfur battery electrodes
CN103140967B (zh) 2010-10-08 2016-08-31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储能装置用正极活性材料的制造方法及储能装置
EP2445049B1 (en) 2010-10-22 2018-06-20 Belenos Clean Power Holding AG Electrode (anode and cathode) performance enhancement by composite formation with graphene oxide
KR101173868B1 (ko) * 2010-12-03 2012-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2074692B (zh) * 2010-12-31 2013-10-30 深圳大学 一种类石墨烯掺杂锂离子电池正极材料的制备方法
US8945498B2 (en) 2011-03-18 2015-02-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containing composite oxide
KR102250080B1 (ko) * 2011-03-25 2021-05-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리튬 이온 2차 전지
CN102168191B (zh) * 2011-04-12 2012-07-04 郑建伟 一种防止合金烧制后粘连和氧化的钒氮合金制备方法
CN103582968B (zh) 2011-06-03 2016-05-11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电极的制造方法
US11296322B2 (en) 2011-06-03 2022-04-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ingle-layer and multilayer graphen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bject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542539B (zh) 2011-06-03 2016-07-2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單層和多層石墨烯,彼之製法,含彼之物件,以及含彼之電器裝置
US9218916B2 (en) 2011-06-24 2015-12-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Graphene, power storage device, and electric device
JP5867801B2 (ja) * 2011-07-13 2016-02-24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高窒素含有遷移金属窒化物の製造方法及び高窒素含有遷移金属窒化物
JP6025284B2 (ja) 2011-08-19 2016-11-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蓄電装置用の電極及び蓄電装置
WO2013027561A1 (en) * 2011-08-19 2013-02-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graphene-coated object, negative electrode of secondary battery including graphene-coated object,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KR101972795B1 (ko) 2011-08-29 2019-08-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리튬 이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작 방법
KR20130024769A (ko) 2011-08-30 2013-03-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축전 장치
JP6000017B2 (ja) 2011-08-31 2016-09-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蓄電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US9249524B2 (en) 2011-08-31 2016-02-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oxi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wer storage device
JP6029898B2 (ja) 2011-09-09 2016-11-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の作製方法
US9401247B2 (en) 2011-09-21 2016-07-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egative electrode for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KR102304204B1 (ko) 2011-09-30 2021-09-1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양극, 리튬 이차 전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이동체, 시스템, 및 전기 기기
KR101308145B1 (ko) 2011-09-30 2013-09-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고안정성 고용량 고속방전 가능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리튬이차전지
CN103035922B (zh) 2011-10-07 2019-02-19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蓄电装置
US9487880B2 (en) 2011-11-25 2016-11-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lexibl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6016597B2 (ja) 2011-12-16 2016-10-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
JP6009343B2 (ja) 2011-12-26 2016-10-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二次電池用正極の作製方法
JP6216965B2 (ja) * 2012-01-31 2017-10-25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電極材料と電極板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並びに電極材料の製造方法、電極板の製造方法
EP2629353A1 (en) 2012-02-17 2013-08-21 Belenos Clean Power Holding AG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having a blended cathode active material
US9680272B2 (en) 2012-02-17 2017-06-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forming negative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DE102012101457A1 (de) * 2012-02-23 2013-08-29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Elektrodenmaterial für Lithium-basierte elektrochemische Energiespeicher
WO2013128936A1 (ja) * 2012-02-28 2013-09-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活物質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719859B2 (ja) 2012-02-29 2015-05-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蓄電装置
JP6077347B2 (ja) 2012-04-10 2017-02-0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非水系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
CN103427125B (zh) * 2012-05-15 2016-04-13 清华大学 硫基聚合物锂离子电池的循环方法
KR20130143151A (ko) * 2012-06-14 2013-12-31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9225003B2 (en) 2012-06-15 2015-12-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torage battery electrode, storage battery electrode, storage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JP6207923B2 (ja) 2012-08-27 2017-10-0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
JP6159228B2 (ja) 2012-11-07 2017-07-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非水系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
KR20140065644A (ko) * 2012-11-19 2014-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9673454B2 (en) 2013-02-18 2017-06-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odium-ion secondary battery
CA2905499C (en) 2013-03-15 2018-06-26 West Virginia University Research Corporation Process for pure carbon produc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US9490472B2 (en) 2013-03-28 2016-11-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torage battery
US20150044560A1 (en) 2013-08-09 2015-02-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de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TWI611032B (zh) * 2013-09-05 2018-01-11 攀時歐洲公司 導電靶材
WO2015080302A1 (ko) 2013-11-26 2015-06-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복합인산염계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1105B1 (ko) * 2014-01-23 2015-12-2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아닐린 나노페이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6745587B2 (ja) 2014-05-29 2020-08-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極の製造方法
DE102014214899A1 (de) * 2014-07-30 2016-02-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ompositelektrode für eine elektrochemische Zelle und elektrochemische Zelle
WO2016049109A2 (en) 2014-09-25 2016-03-31 Drexel University Physical forms of mxene materials exhibiting novel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BR112017008279A2 (pt) 2014-10-21 2018-06-19 West Virginia University Research Corporation métodos e aparelhos para a produção de carbono, eletrodos de carboneto e composições de carbono
CN104617256B (zh) * 2015-01-21 2017-07-28 上海轻丰新材料科技有限公司 纳米氧化锌‑石墨‑石墨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662560B (zh) 2015-04-20 2022-08-19 德雷塞尔大学 具有名义晶胞组成M’2M”nXn+1的二维有序双过渡金属碳化物
US10614965B2 (en) * 2015-11-13 2020-04-07 Clarkson University Activated carbons from dairy products
US11111586B2 (en) 2016-02-23 2021-09-07 South Dakota Board Of Regents Self-organized and electrically conducting PEDOT polymer matrix for applications in sensors and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AU2017252650A1 (en) 2016-04-20 2018-12-06 West Virginia University Research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electrodes for carbide-to-carbon conversion with nanostructured carbide chemical compounds
CN112911917A (zh) * 2016-04-22 2021-06-04 德雷塞尔大学 用于emi屏蔽的二维金属碳化物、氮化物和碳氮化物膜和复合物
US20180013151A1 (en) 2016-07-08 2018-01-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wer storage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N106571244A (zh) * 2016-11-02 2017-04-19 南京工业大学 二维过渡族金属碳(氮)化合物与二维过渡族金属硫化物纳米复合粉体及制备和应用
JP6667422B2 (ja) * 2016-11-22 2020-03-18 三菱マテリアル電子化成株式会社 黒色膜形成用混合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684385A (zh) * 2017-01-11 2017-05-17 安徽工业大学 一种Ni3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54280A (zh) * 2017-01-11 2017-05-10 安徽工业大学 一种w2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02033A (zh) * 2017-01-11 2017-04-26 安徽工业大学 一种Zr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532020A (zh) * 2017-01-11 2017-03-22 安徽工业大学 一种Mo2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54281A (zh) * 2017-01-11 2017-05-10 安徽工业大学 一种Ta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84356A (zh) * 2017-01-11 2017-05-17 安徽工业大学 一种v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784721A (zh) * 2017-01-11 2017-05-31 安徽工业大学 一种yc2 @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711422A (zh) * 2017-01-11 2017-05-24 安徽工业大学 一种Co3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068992A (zh) * 2017-01-11 2017-08-18 安徽工业大学 一种Ti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8160383A (ja) * 2017-03-23 2018-10-11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EP3661641A4 (en) 2017-08-01 2021-04-21 Drexel University MXEN SORPTION AGENT FOR THE REMOVAL OF SMALL MOLECULES FROM A DIALYSATE
CN107732170B (zh) * 2017-09-19 2019-10-29 浙江大学 一种高效锂金属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作为负极的应用
US11349117B2 (en) 2018-01-17 2022-05-31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agnetite (Fe3O4)—multiwalled carbon nanotube composite structures with performance as high rate electrode materials for Li-ion batteries
CN108284647B (zh) * 2018-01-24 2020-12-22 河南蓝翎环科防水材料有限公司 具有自愈性、自粘性的防水卷材及防水结构
CN112018381B (zh) 2019-05-28 2023-12-1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活性物质和氟离子电池
JP7147726B2 (ja) * 2019-05-28 2022-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活物質およびフッ化物イオン電池
CN110963505B (zh) * 2019-12-06 2023-04-28 深圳市中科墨磷科技有限公司 一种Li插层H型二维纳米片的制备方法及其在光电固氮中的应用
KR20210150217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2050101A1 (ja) * 2020-09-01 2022-03-10 株式会社Gsユアサ 正極活物質、正極、非水電解質蓄電素子、蓄電装置、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正極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質蓄電素子の製造方法
CN113135553B (zh) * 2021-04-22 2022-11-04 陕西科技大学 一种氮化钨包覆氮化钒粉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4168A1 (en) * 2001-03-20 2002-09-25 Francois Sugnaux Mesoporous network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cell
KR20040047780A (ko) * 2001-07-27 2004-06-05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베터리 구조, 자기 조직화 구조 및 관련 방법
US20070054187A1 (en) * 2003-11-14 2007-03-08 Süd-Chemie AG Lithium metal phosphate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as electrod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105A (en) * 1933-07-18 1935-07-02 Firm Bulova Watch Company Inc Self-winding wrist watch
US5437940A (en) * 1986-10-14 1995-08-0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High power energy compression device
DE3890245C2 (ko) 1987-04-15 1992-12-10 Ricoh Co., Ltd., Tokio/Tokyo, Jp
US4849309A (en) * 1988-08-01 1989-07-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Overcharge tolerant high-temperature cells and batteries
JPH0817094B2 (ja) 1989-11-24 1996-02-21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電極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
US5418090A (en) 1993-02-17 1995-05-23 Valence Technology, Inc. Electrodes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PH06290782A (ja) * 1993-03-30 1994-10-18 Sanyo Electric Co Ltd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
JP3423082B2 (ja) * 1994-08-31 2003-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EP0810681B1 (en) 1996-05-31 2002-03-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4172443B2 (ja) 1996-07-19 2008-10-29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材料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526707B2 (ja) 1996-11-27 2004-05-17 株式会社トクヤマ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4453111B2 (ja) 1997-10-27 2010-04-21 三菱化学株式会社 負極材料とその製造方法、負極活物質、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CA2308613A1 (en) * 1997-10-30 1999-05-14 T/J Technologies Inc. Transition metal-based ceramic material and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JP4078698B2 (ja) 1997-12-03 2008-04-23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用負極材料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
CN1262533A (zh) * 1999-01-28 2000-08-09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一种二次锂电池
JP4547748B2 (ja) 1999-10-29 2010-09-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JP2003514353A (ja) * 1999-11-08 2003-04-15 ネオフォト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特定サイズの粒子を含む電極
US6998069B1 (en) 1999-12-03 2006-02-14 Ferro Gmbh Electrode material for positive electrodes of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P4106644B2 (ja) 2000-04-04 2008-06-25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08647A (ja) * 2000-06-23 2002-01-11 Ryoji Mishima 非水電解質二次電池負極材
US7387851B2 (en) 2001-07-27 2008-06-17 A123 Systems, Inc. Self-organizing battery structure with electrode particles that exert a repelling force on the opposite electrode
EP1207572A1 (en) * 2000-11-15 2002-05-22 Dr. Sugnaux Consulting Mesoporous electrodes for electrochemical cells and their production method
CA2327370A1 (fr) 2000-12-05 2002-06-05 Hydro-Quebec Nouvelle methode de fabrication de li4ti5o12 pur a partir du compose ternaire tix-liy-carbone: effet du carbone sur la synthese et la conductivite de l'electrode
EP1244114A1 (de) * 2001-03-20 2002-09-25 ILFORD Imaging Switzerland GmbH Elektrisch aktive Filme
CA2455819C (en) 2001-07-27 2013-07-2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attery structures, self-organizing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EP1484809A4 (en) * 2002-02-07 2008-08-13 Noboru Oyama REDOXACTIVE REVERSIBLE ELECTRODE AND NOVEL CELL THEREOF
JP2004022507A (ja) 2002-06-20 2004-01-22 Sony Corp 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JP3586270B2 (ja) 2002-08-15 2004-11-10 株式会社東芝 正極活物質及び非水電解質電池
US7531267B2 (en) 2003-06-02 2009-05-12 Kh Chemicals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carbon nanotube electrode comprising sulfur or metal nanoparticles as a binder
CA2432397A1 (fr) 2003-06-25 2004-12-25 Hydro-Quebec Procede de preparation d'electrode a partir d'un silicium poreux, electrode ainsi obtenue et systeme electrochimique contenant au moins une telle electrode
JP4522683B2 (ja) * 2003-10-09 2010-08-11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電極材料粉体の製造方法と電極材料粉体及び電極並びにリチウム電池
JP2005340165A (ja) * 2004-03-23 2005-12-08 Shirouma Science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材料
KR100537745B1 (ko) 2004-06-21 2005-12-19 한국전기연구원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US7927742B2 (en) 2004-10-29 2011-04-19 Medtronic, Inc. Negative-limited lithium-ion battery
DE102004053479A1 (de) * 2004-11-05 2006-05-11 Dilo Trading Ag Hochleistungsbatterien mit Titanaten als negativem und Eisenphosphat als positivem Elektrodenmateri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Hochleistungsbatterien
KR100661116B1 (ko) * 2004-11-22 2006-12-22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전극, 광전 변환 소자 및 색소 증감 태양 전지
US7615314B2 (en) 2004-12-10 2009-11-10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de structur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such electrode structure
WO2006080110A1 (ja) * 2005-01-26 2006-08-03 Shirouma Science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材料
FR2885734B1 (fr) 2005-05-13 2013-07-05 Accumulateurs Fixes Materiau nanocomposite pour anode d'accumulateur au lithium
EP1902087A1 (en) * 2005-07-01 2008-03-26 Cinvention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rous reticulated composite materials
US7968231B2 (en) 2005-12-23 2011-06-28 U Chicago Argonne, Llc Electrode materials and lithium battery systems
JP2007250993A (ja) * 2006-03-17 2007-09-27 Kaneka Corp 粉体の導電性高分子を電極に用いた電気化学素子
EP2360758B1 (en) * 2006-04-07 2014-02-2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Lithium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JP2008041465A (ja) * 2006-08-08 2008-02-21 Sony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そ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7722991B2 (en) * 2006-08-09 2010-05-25 Toyota Motor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y
US7940447B2 (en) * 2006-12-04 2011-05-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chromic device
JP5142515B2 (ja) 2006-12-19 2013-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0461507C (zh) * 2006-12-27 2009-02-11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纳米磷酸亚铁锂-碳复合正极材料的制备方法
CN101573812B (zh) * 2006-12-28 2012-08-08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正极材料、具备该正极材料的非水电解质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CN101606253A (zh) 2007-02-07 2009-12-16 威伦斯技术公司 用于二次电化学电池的基于氧氮化物的电极活性材料
US8039152B2 (en) * 2007-04-03 2011-10-1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in in an active support matrix
DE102007036653A1 (de) * 2007-07-25 2009-02-05 Varta Microbattery Gmbh Elektroden und Lithium-Ionen-Zellen mit neuartigem Elektrodenbinder
US8936874B2 (en) * 2008-06-04 2015-01-20 Nanotek Instruments, Inc. Conductive nanocomposite-based electrodes for lithium batteries
JP5541560B2 (ja) * 2008-10-03 2014-07-09 株式会社Gsユアサ 正極材料、正極材料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で製造された正極材料が備えられている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684462B2 (ja) 2008-12-22 2015-03-11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正極タブリード及び電池
US8241793B2 (en) 2009-01-02 2012-08-14 Nanotek Instruments, Inc. Secondary lithium ion battery containing a prelithiated anode
US9093693B2 (en) 2009-01-13 201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nano graphene reinforced composite particles for lithium battery electrodes
KR101316413B1 (ko) * 2009-03-12 2013-10-08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희생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나노복합체 물질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개방 다공성 나노복합체
EP2228854B1 (en) 2009-03-12 2014-03-05 Belenos Clean Power Holding AG Nitride and carbide anode materials
EP2237346B1 (en) 2009-04-01 2017-08-09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Electrically conductive nano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sacrificial nanoparticles and open porous nanocomposites produced thereof
US8624105B2 (en) 2009-05-01 2014-01-07 Synkera Technologies, Inc. Energy conversion device with support member having pore channe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4168A1 (en) * 2001-03-20 2002-09-25 Francois Sugnaux Mesoporous network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cell
KR20040047780A (ko) * 2001-07-27 2004-06-05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베터리 구조, 자기 조직화 구조 및 관련 방법
US20070054187A1 (en) * 2003-11-14 2007-03-08 Süd-Chemie AG Lithium metal phosphate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as electrod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33538A1 (en) 2010-09-16
EP2228855A1 (en) 2010-09-15
EP2228854A1 (en) 2010-09-15
AU2010200959A1 (en) 2010-09-30
KR20100103428A (ko) 2010-09-27
KR20100103429A (ko) 2010-09-27
JP5702073B2 (ja) 2015-04-15
TWI458169B (zh) 2014-10-21
EP2228855B1 (en) 2014-02-26
CN102064313B (zh) 2015-09-02
US8426061B2 (en) 2013-04-23
AU2010200960A1 (en) 2010-09-30
US20100233546A1 (en) 2010-09-16
US9761867B2 (en) 2017-09-12
IL204435A0 (en) 2010-12-30
CN102064313A (zh) 2011-05-18
JP2010232174A (ja) 2010-10-14
TW201037884A (en) 2010-10-16
JP2010219048A (ja) 2010-09-30
IL204466A0 (en) 2010-12-30
EP2228854B1 (en) 2014-03-05
CN101916859A (zh) 2010-12-15
TW201106522A (en)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350B1 (ko) 개방 다공성 전기 전도성 나노복합체 물질
KR101316413B1 (ko) 희생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나노복합체 물질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개방 다공성 나노복합체
TWI458165B (zh) 包含犠牲性奈米粒子及其所產生之開孔式奈米複合物之導電性奈米複合物材料
JP7118374B2 (ja) 複合負極活物質、それを含む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並びに該複合負極活物質の製造方法
Wang et al. LiMn1-xFexPO4 Nanorods Grown on Graphene Sheets for Ultra-High Rate Performance Lithium Ion Batteries
Toprakci et al. Fabrication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FePO4 powders for lithium-ion batteries
Rahman et al. A review on porous negative electrodes for high 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KR20210092764A (ko) 규소-탄소 복합 애노드 재료
US9515310B2 (en) V2O5 electrodes with high power and energy densities
Yin et al. Effects of binders on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SnS2 nanostructured anode of the lithium-ion batteries
Zou et al. Preparation of carbon-coated LiFe0. 2Mn0. 8PO4 cathode material and its application in a novel battery with Li4Ti5O12 anode
JP2022553798A (ja) 乱層炭素コーティングを含む熱不均化されたアノード活物質
Yang et al. Li3V2 (PO4) 3/C composite materials synthesized using the hydrothermal method with double-carbon sources
Ding et al. Synthesis of high rate performance LiFe1− xMnxPO4/C composites for lithium-ion batteries
Bao et al. Mono-dispersed LiFePO4@ C core-shell [001] nanorods for a high power Li-ion battery cathode
CN115152053A (zh) 用于电池的基于硅-纳米石墨气凝胶的负极
Yan et al. Enhanced kinetic behaviors of LiMn 0.5 Fe 0.5 PO 4/C cathode material by Fe substitution and carbon coating
Li et al. Plate-like LiFePO4/C composite with preferential (010) lattice plane synthesized by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assisted hydrothermal carbonization
Zhao et al. Environmentally benign and scalable synthesis of LiFePO4 nanoplates with high capacity and excellent rate cycling performance for lithium ion batteries
JP2020145108A (ja) 電極材料、該電極材料の製造方法、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Wang et al. Enhanc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3V2 (PO4) 3 structurally converted from LiVOPO4 by graphite nanofiber addition
Sofyan et al. Performance of Coconut Shell Activated Carbon in LiMn0. 7Fe0. 3PO4/CNT/C Composite for Lithium Ion Battery Cathode
Li et al. Facile Synthesis and Modification of KMn8O16 Nanorods for Lithium Ion Battery Applications
Murugan et al. Microwave-irradiated solvothermal synthesis of LiFePO4 nanorods and their nanocomposites for lithium ion batteries
Grag et al. Carbon-coated LiFePO4–carbon nanotube electrodes for high-rate Li-ion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