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012B1 - Dispoer with filter net - Google Patents

Dispoer with filter 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012B1
KR101312012B1 KR1020130001388A KR20130001388A KR101312012B1 KR 101312012 B1 KR101312012 B1 KR 101312012B1 KR 1020130001388 A KR1020130001388 A KR 1020130001388A KR 20130001388 A KR20130001388 A KR 20130001388A KR 101312012 B1 KR101312012 B1 KR 101312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ing
strainer
food waste
sin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3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열
홍덕남
장계진
Original Assignee
에스앤제이클린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제이클린텍(주) filed Critical 에스앤제이클린텍(주)
Priority to KR1020130001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0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Abstract

PURPOSE: A disposer having a strainer is provided to prevent objects in a sink or the hand of a user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same while minimizing the variations or additions of components for the same. CONSTITUTION: A disposer includes a pulverizing unit (14) and a strainer (12). The pulverizing unit has an inner space (21), a housing (20), and a fixing ring (40). Food waste is housed in the inner space. The strainer is inserted toward the inner space through the inlet of the pulverizing unit, and is hung on the hanging rim (46) of the fixing ring. The strainer firstly strains the food waste flowing in the pulverizing unit.

Description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DISPOER WITH FILTER NET}Disposer with strainer {DISPOER WITH FILTER NET}

본 발명은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싱크대내에 설치되고, 싱크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디스포저(disposer)의 기능을 개선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증가시키기 위한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er having a strainer, and more particularly, a strainer for improving convenience of a disposer installed in a sink and crushing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sink to increase convenience of use. It has a disposer having.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하게 분쇄시킨 다음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는 싱크대용 디스포저(disposer)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In general, in order to be able to finely crush the food waste generated at home or restaurants,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a variety of sink disposers are installed under the sink.

이와 같은 디스포저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38188호 "씽크대 부착과 탈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압착 분리 수거 장치 및 비료, 사료화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1180호 "음식물 찌꺼기 분쇄분리기",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32129호 "씽크대 오물 (음식물쓰레기) 자동처리기",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92430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192950호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1647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장치"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9423호 "음식물 처리장치" 등이 제안되어 있다.
Regarding such a disposer,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8-038188 "Food waste press-separation collection device and fertilizer, feeder device which can attach and detach a sink st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9-001180 " Food waste crushing separator ",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32129" Think waste (food waste) automatic processor ",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292430" Food waste disposal device for kitchen ",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Publication No. 20-0192950 "Food Residue Treatment Device for Sink",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1647 "Food Waste Crushing and Dewatering Device for Sink" and Publication No. 10-2005-0099423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like.

이와 같이 제안된 디스포저는 싱크대의 배수구상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날을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를 갖는다.
The proposed disposer is installed on the drain hole of the sink to accommodate the food waste through the drain, and after crushing the food waste using the grinding blade rotated by the motor, the sink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Have a food waste shredder.

이와 같은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처리하도록 하고 있지만, 디스포저의 작동시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싱크대에 놓이는 숟가락, 젓가락 등 디스포저의 입구로 음식물 쓰레기 외의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 디스포저의 파손이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Such a food waste shredder for the sink makes it easy to dispose of food waste, but when the disposer is operated, foreign matters other than the food waste flows into the entrance of the disposer such as a spoon and chopsticks placed on the sink due to a user's mistake. There is a problem that a hand may be broken or a safety accident may occur.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39021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통해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삽입되어 결합되는 마개의 외측 둘레로 자석을 설치하고, 이 마개가 결합되었을 때, 자석의 자기장이 작용되는 위치에 리드스위치를 설치하여 마개가 결합되었을 때 신호를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마개로 배수구를 닫았을 때 전기 모터가 구동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Applicant has installed a magnet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opper is inserted and coupled through the drain hole of the sink through Patent No. 10-0739021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sinks"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plug is coupled, the reed switch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is applied to generate a signal when the plug is coupled, so that the electric motor is driven when the drain is closed by the plug.

이와 같은 기술을 적용하는 디스포저는 사용자가 투입물을 확인하고, 디스포저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안전사고나 이물질의 투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isposer applying this technology has a merit that the user can check the input, and operate the disposer, effectively prevent the accident or the input of foreign matter.

그러나, 이와 같은 디스포저는 사용시(설거지시) 음식물 쓰레기가 싱크대에 그대로 있는 남아 있는 상태가 되어 사용의 불편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마개를 사용하지 않아 종래기술과 동일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However, such a disposer has the same problems as the prior art because the user does not use a stopper due to the inconvenience of use because the food waste remains in the sink while being used (when washing dishes).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일반적인 디스포저의 구성의 변경 또는 추가적인 구성을 최소화시키면 설거지시 싱크대에 수용되는 숟가락, 젓가락 등의 물건 또는 사용자의 손이 디스포저로 삽입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when the change or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disposer is minimized, an object such as a spoon or chopsticks accommodated in the sink when washing dishes or a user's hand 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oser having a new type of strainer that can minimize the insertion.

또한, 본 발명은 싱크대에서 설거지시 별도로 분리하여 수거해야 하는 계란 껍질, 동물 뼈 등을 설거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면서도 디스포저의 작동전에 쉽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oser having a new type of strainer to facilitate the washing of the egg shell, animal bones, etc., which must be separated and collected separately when washing dishes in the sink, and to be easily collected before operation of the disposer. It aims to do i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싱크대(1)의 하측에서 배수구(2)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관(3)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디스포저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1)의 하측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2)와 연통되는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21)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간(21)에 위치되어 전기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날(26)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관(3)으로 흐르도록 하는 배출구(28)가 형성되는 분쇄 유니트(14) 및 타공이 형성되어 상기 분쇄 유니트(14)에 결합되되, 상기 분쇄 유니트(14)의 유입구(22)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21)의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21)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걸러지도록 하는 거름망(12)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거름망(12)이 상기 분쇄 유니트(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싱크대(1)에서 설거지할 때 상기 분쇄 유니트(14)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1차적으로 상기 거름망(12)에 걸러지도록 하고, 상기 분쇄 유니트(14)는 상기 내부 공간(2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 공간(21)과 격리되는 하측 서비스 공간에 상기 모터(24)가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분쇄날(26)의 하측에 상기 배출구(28)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21)의 상측에 암나사(30)가 형성되며, 상단 외측 둘레에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1 지지 플랜지(39)가 형성되는 하우징(20) 및 상단 둘레로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2 지지 플랜지(42)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 플랜지(4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외측에 상기 하우징(20)의 암나사(30)에 결합되는 수나사(48)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거름망(12)이 지지되는 걸림테(46)가 상기 내부 공간(21)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는 고정링(40)를 구비하고, 상기 거름망(12)은 측면 및 바닥면에 타공(5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4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어 바닥면이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에 걸리는 몸체(50) 및 상기 몸체(50)의 상단 외측 둘레로 상기 고정링(4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 플랜지(54)를 구비하여, 상기 거름망(12)은 상기 분쇄 유니트(14)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몸체(50)가 상기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고, 상기 걸림 플랜지(54)가 상기 고정링(40)의 제 2 지지 플랜지(42)상에 놓이도록 하고, 상기 거름망(12)은 측면 및 바닥면에 타공(5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를 지나는 삽입 위치를 갖는 몸체(50) 및 상기 몸체(50)의 상단 외측 둘레로 상기 고정링(40)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 플랜지(54)를 구비하여, 상기 거름망(12)은 상기 분쇄 유니트(14)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몸체(50)가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를 지나 상기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고, 상기 걸림 플랜지(54)가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에 걸리어 놓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걸림 플랜지(54)가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에 걸리어 놓임으로써, 상기 거름망(12)이 수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거름망(12) 및 상기 내부 공간(21)에서 상기 거름망(12) 상부에 해당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게 하고,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거름망(12) 및 상기 내부 공간(21)에서 상기 거름망(12) 상부에 해당하는 공간에 수용될 때, 상기 거름망(12)의 걸림플랜지(54)에 형성되어 상기 거름망(12)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58)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t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 port 2 from the lower side of the sink 1 to crush the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port 2 to discharge to the discharge pipe (3) In the disposer to be connected, it is installe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nk (1), and forms an internal space (21) for receiving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22 communicated with the drain port (2) The outlet 28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21 so that the food waste introduced by the grinding blade 26 rotated by the electric motor 24 is pulverized and flows to the discharge pipe 3. A grinding unit 14 and a perforation are formed and coupled to the grinding unit 14, and are positioned to be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21 through the inlet 22 of the grinding unit 14, so that the sink 1 Drains (2) Including a sieve 12 to filter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21 through the user to wash dishes in the sink 1 in the state that the sieve 12 is coupled to the grinding unit 14 When the food waste flowing into the grinding unit 14 is first filtered by the strainer 12, the grinding unit 14 to the inner space 21 is formed, the inner space 21 The motor 24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service space, which is isolated from the lower side, and the discharge port 28 is formed below the grinding blade 26, and the female screw 30 is formed above the inner space 21. And a housing 20 having a first support flange 39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drain opening 2 of the sink 1, and a drain opening 2 of the sink 1 around the upper end. Second support flange having an outer diameter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A 42 is formed, and the male screw 48 is formed to exten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flange 42 and to be coupled to the female screw 30 of the housing 20 on the outside thereof. The supporting frame 46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21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21 of the housing 20 through the drain hole 2 of the sink 1 to the housing. The fixing ring 40 is coupled to the 20, and the sieve 12 is formed in the perforations 52 on the side and bottom surface, the inner diameter of th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ring 40 is the inside The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ring 40 is inserted into the space 2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50 caught by the catch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a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50. With a catching flange 54 formed to have a, the sieve 12 is the body when coupled to the grinding unit 14 A sieve 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1, the locking flange 54 is placed on the second support flange 42 of the retaining ring 40, and the sieve 12 has a side and A perforation 5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is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engag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thereby locking the fixing ring 40 when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1. The body 50 having an insertion position passing through the frame 46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5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ring 40 and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atch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With the engaging flange 54 formed to have a large outer diameter, the sieve 12 is coupled to the crushing unit 14, the body 50 when the body 5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1, the locking flange 54 is characterized in that to be caught in the lock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However, since the catching flange 54 is caught by the catch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the amount of food waste is larger than the food waste that the strainer 12 can accommodate. 12) and the inner space 21 to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sieve 12,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is the sieve 12 and the sieve 12 in the inner space 21 When accommodated in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a handle 58 may be formed on the engaging flange 54 of the sieve 12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of the sieve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한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에 따르면, 거름망(12)을 분쇄 유니트(14)의 하우징(2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고정링(40)과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일반적인 디스포저의 구성의 변경 또는 추가적인 구성을 최소화시키면 설거지시 싱크대에 수용되는 숟가락, 젓가락 등의 물건 또는 사용자의 손이 디스포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 달리 거름망(12)에 음식물 쓰레기가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되므로 싱크대에서 설거지시 별도로 분리하여 수거해야 하는 계란 껍질, 동물 뼈 등을 설거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면서도 디스포저의 작동 전에 쉽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거름망(12)의 결합위치를 조정하여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을 증대시킨다.
According to the disposer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general disposer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trainer 12 is coupled to the fixing ring 4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20 of the grinding unit 14. Minimizing changes or additional configurations can prevent the user's hand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disposer, such as spoons, chopsticks, or the like, which are accommodated in the sink when washing dishes. In addition, unlike the prior art, since the food waste is primarily filtered in the sieve 12, it is easily collected before operation of the disposer, while facilitating the washing of egg shells, animal bones, etc., which must be separated and collected separately when washing dishes in the sink. Do 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amount of food waste accommodated by adjusting the engaging position of the sieve 12,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에 적용되는 거름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에 거름망이 결합되는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에 거름망이 결합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oser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for explaining a disposer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ain screen applied to the disposer having a strain n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ieve is coupled to the disposer having a siev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trainer is coupled to the disposer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oser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10)는 싱크대(1)의 하측에서 배수구(2)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관(3)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disposer 10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 2 in the lower side of the sink (1) to crush the food waste flowing through the drain (2) discharge pipe Discharge to (3).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10)는 거름망(12)을 분쇄 유니트(14)의 하우징(2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고정링(40)과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일반적인 디스포저의 구성의 변경 또는 추가적인 구성을 최소화시키면 설거지시 싱크대에 수용되는 숟가락, 젓가락 등의 물건 또는 사용자의 손이 디스포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 달리 거름망(12)에 음식물 쓰레기가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되므로 싱크대에서 설거지시 별도로 분리하여 수거해야 하는 계란 껍질, 동물 뼈 등을 설거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면서도 디스포저의 작동 전에 쉽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Such a disposer 10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general disposer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trainer 12 is coupled to the fixing ring 4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20 of the grinding unit 14. By minimizing the configuration change or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spoon or chopsticks accommodated in the sink when washing dishes or the user's h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disposer. In addition, unlike the prior art, since the food waste is primarily filtered in the sieve 12, it is easily collected before operation of the disposer, while facilitating the washing of egg shells, animal bones, etc., which must be separated and collected separately when washing dishes in the sink. Do it.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10)는 분쇄 유니트(14)와 거름망(1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분쇄 유니트(14)는 싱크대(1)의 하측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배수구(2)와 연통되는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21)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21)에 위치되어 전기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날(26)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여 배출관(3)으로 흐르도록 하는 배출구(28)가 형성된다. 그리고, 거름망(12)은 타공이 형성되어 분쇄 유니트(14)에 결합되되, 분쇄 유니트(14)의 유입구(22)를 통해 내부 공간(21)의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위치되어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내부 공간(21)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걸러지도록 한다.
The disposer 10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grinding unit 14 and a strainer 12. At this time, the grinding unit 14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nk 1 is installed, and forms an internal space 21 for receiving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2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port 2, the inside A discharge port 28 is formed in the space 21 so that the food waste introduced by the grinding blade 26 rotated by the electric motor 24 is pulverized and flows to the discharge pipe 3. In addition, the sieve 12 is perforated is formed is coupled to the grinding unit 14, it is positioned to be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21 through the inlet 22 of the grinding unit 14, the drain hole of the sink 1 Through (2) to filter the food waste flowing into the interior space (21).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10)는 사용자가 거름망(12)이 분쇄 유니트(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싱크대(1)에서 설거지할 때 분쇄 유니트(14)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1차적으로 거름망(12)에 걸러지도록 한다. 따라서, 싱크대(1)에서 설거지할 때 디스포저(10) 유입구(22)로 숟가락, 젓가락 등이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거름망(12)에 의해 걸러지고, 설거지가 완료된 후, 거름망(12)에서 분리수거하기 위한 이물을 제거한 후, 거름망(12)을 집어내어 분쇄 유니트(14)로 거름망(12)에 채워졌던 음식물 쓰레기를 엎어 넣음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안전한 분쇄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거름망(12)이 디스포저(10) 유입구(22)의 커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예방과 음식물 쓰레기의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Such a disposer 10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washes dishes in the sink 1 in a state in which the strainer 12 is coupled to the grinding unit 14,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grinding unit 14. Is primarily filtered through the strainer (12). Therefore, while washing dishes in the sink 1, food waste is filtered out by the strainer 12 while effectively preventing the spoon, chopsticks, etc. from entering the disposer 10 inlet 22, and after washing is completed, the strainer 12 After removing the foreign material for separate collection, the sieve (12) is picked up and spilled the food waste that was filled in the sieve (12) with the grinding unit 14 to preven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to proceed with a safe grinding process To help. In addition, the sieve 12 performs the cover function of the inlet 22 of the disposer 10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and to effectively treat food was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종래기술 및 본 출원인이 선출원을 통해 개시한 디스포저(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를 통상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Meanwhile, in each of the drawings, a disposer (food waste shredding device) disclosed by the prior art and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generally used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parts which are commonly known through those in the related field. The illustra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llustrated and described based on the par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에 적용되는 거름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에 거름망이 결합되는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에 거름망이 결합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for explaining a disposer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ainer applied to the disposer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ieve is coupled to a disposer having a sie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eve coupled to a disposer having a sie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 section showing another exampl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10)는 기본적으로 디스포저(10)는 분쇄 유니트(14)와 거름망(1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분쇄 유니트(14)는 싱크대(1)의 하측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배수구(2)와 연통되는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21)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21)에 위치되어 전기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날(26)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여 배출관(3)으로 흐르도록 하는 배출구(28)가 형성된다. 그리고, 거름망(12)은 타공이 형성되어 분쇄 유니트(14)에 결합되되, 분쇄 유니트(14)의 유입구(22)를 통해 내부 공간(21)의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위치되어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내부 공간(21)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걸러지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disposer 10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the disposer 10 having a grinding unit 14 and a strainer 12. At this time, the grinding unit 14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nk 1 is installed, and forms an internal space 21 for receiving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2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port 2, the inside A discharge port 28 is formed in the space 21 so that the food waste introduced by the grinding blade 26 rotated by the electric motor 24 is pulverized and flows to the discharge pipe 3. In addition, the sieve 12 is perforated is formed is coupled to the grinding unit 14, it is positioned to be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21 through the inlet 22 of the grinding unit 14, the drain hole of the sink 1 Through (2) to filter the food waste flowing into the interior space (21).

본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10)에서 분쇄 유니트(14)는 하우징(20)과 고정링(40)을 구비한다. 여기서, 하우징(20)은 내부 공간(21)이 형성되도록 하고, 내부 공간(21)과 격리되는 하측 서비스 공간에 모터(24)가 수용되도록 하며, 분쇄날(26)의 하측에 배출구(28)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21)의 상측에 암나사(30)가 형성되며, 상단 외측 둘레에 싱크대(1)의 배수구(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1 지지 플랜지(39)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링(40)은 상단 둘레로 싱크대(2)의 배수구(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2 지지 플랜지(42)가 형성되고, 제 2 지지 플랜지(4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외측에 하우징(20)의 암나사(30)에 결합되는 수나사(48)가 형성되며, 내측에 거름망(12)이 지지되는 걸림테(46)가 내부 공간(21)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어 하우징(20)에 결합된다.
In the disposer 10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grinding unit 14 includes a housing 20 and a fixing ring 40. Here, the housing 20 is such that the inner space 21 is formed, the motor 24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service space isolating the inner space 21, the discharge port 28 in the lower side of the grinding blade 26 Is formed, the female screw 3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21, and the first support flange 39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hole 2 of the sink 1 is formed around the upper outer side. . In addition, the fixing ring 40 has a second support flange 42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hole 2 of the sink 2 around the upper end, and extends below the second support flange 42. A male screw 48 coupled to the female screw 30 of the housing 20 is formed at an outer side thereof, and a hook 46 having a sieve 12 supported therein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21 to the inside of the sink. It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21 of the housing 20 through the drain port 2 of (1) and coupled to the housing 20.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1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싱크대(1)에 고정설치되게 된다. 즉, 고정링(40)과 하우징(20)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하우징(20)은 싱크대(1)의 하부 공간내에서 싱크대(1)의 하측에 배치시키고, 고정링(40)은 싱크대(1)의 상측에서 배수구(2)를 통해 싱크대(1)의 하측 공간으로 몸체(44)가 삽입되는 상태에서 제 2 지지 플랜지(42)가 싱크대(1)의 바닥 상면에 놓이는 상태가 된다. 이때, 하우징(20)을 싱크대(1)의 하측에서 들어올려 고정링(40)과 결합시키고, 제 1 지지 플랜지(39)가 싱크대(1) 바닥 하면에 밀착될 때까지 고정링(40)의 수나사(48)가 하우징(20)의 암나사(30)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하여 하우징(20)과 고정링(40)을 고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거름망(12)을 고정링(40)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구(22)를 통해 삽입시켜 분쇄 유니트(14)에 결합시키고, 설거지를 진행한 후, 거름망(12)에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를 엎어서 분쇄 유니트(14)의 내부 공간(21)으로 넣어 분쇄 유니트(14)를 작동시키게 된다.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disposer 10 having the str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to the sink 1 as shown in FIGS. 4 and 5. That is, while the fixing ring 40 and the housing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housing 20 is disposed below the sink 1 in the lower space of the sink 1, and the fixing ring 40 is disposed at the sink ( In the state where the body 44 is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ink 1 through the drain hole 2 from the upper side of 1), the second support flange 42 is placed on the bottom upper surface of the sink 1. At this time, the housing 20 is lif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ink 1 to be coupled with the fixing ring 40, and the fixing ring 40 of the fixing ring 4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1. The male screw 48 is fixed to the female screw 30 of the housing 20 so as to fix the housing 20 and the fixing ring 40. In this state, the user inserts the sieve 12 through the inlet 22 formed by the fixing ring 40 to couple it to the grinding unit 14, and proceeds with washing, and then, the food waste filtered by the sieve 12 To turn over into the inner space 21 of the grinding unit 14 to operate the grinding unit 14.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20)는 분쇄날(26)이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분쇄 디스크(26a, 26b)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20)은 거름망(12)이 삽입된 위치보다 하측의 내면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테(32)와 하우징(20)의 내측벽면으로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보조 분쇄날(34)이 형성되도록 하여 분쇄날(26)의 회전시 하우징(20)의 내면으로 이동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쇄하도록 한다. 그리고, 내부 공간(21)과 모터(24)가 설치되는 서비스 공간을 격리시키는 바닥면(29)은 배출구(28) 방향으로 기울어져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구(28)로 효과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poser 20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grinding disks (26a, 26b) in which the grinding blade 26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equentially to finely crush the food waste Do it. And, the housing 20 is an auxiliary grinding blade for pulverizing the food waste mov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rojection frame 32 and the housing 20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ide than the position where the sieve 12 is inserted ( 34 is formed to effectively crush the food waste mov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when the grinding blade 26 is rotated.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29 separating the internal space 21 and the service space in which the motor 24 is installed is inclined toward the outlet 28 so that the crushed food waste is effectively moved to the outlet 28.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10)에서 거름망(12)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공(52)이 형성되는 몸체(50)와 몸체(50)의 상단 둘레로 형성되는 걸림 플랜지(54)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전술한 분쇄 유니트(14)의 고정링(40)과 구성적으로 차이를 두는 형태로 하여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형태를 달리하게 됨으로써,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isposer 10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trainer 12 is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body 50 and the body 50 in which the perforations 52 are formed, as shown in FIG. 3. It is made of a locking flange 54, which is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the fixing ring 40 of the above-mentioned grinding unit 14 in the form of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s 4 and 5, by varying the coupling form , Characterized in that to adjust the amount of food waste accommodated.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10)에서 거름망(12)의 몸체(50)는 측면 및 바닥면에 타공(52)이 형성되고, 고정링(4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어 바닥면이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에 걸린다. 그리고, 걸림 플랜지(54)는 몸체(50)의 상단 외측 둘레로 고정링(4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2 and 4, the body 50 of the sieve 12 in the disposer 10 having a siev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ations 52 are formed on the side and bottom surface, and fixed It is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40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1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caught by the catch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Then, the engaging flange 54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ring 40 around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body 50.

이와 같은 거름망(12)은 분쇄 유니트(14)에 결합되었을 때 몸체(50)가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고, 걸림 플랜지(54)가 고정링(40)의 제 2 지지 플랜지(42)상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줄이는 반면 분쇄 유니트(14)내의 내부 공간(21)의 수용 공간을 확대시킴으로써,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서 분쇄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를 고려하여 거름망(12)의 상부를 닫는 커버를 별도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sieve 12 is coupled to the grinding unit 14, the body 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1, and the engaging flange 54 is on the second support flange 42 of the fixing ring 40. In order to reduce the space in which the food waste is accommodated, while expanding the receiving space of the internal space 21 in the grinding unit 14, it can be useful when collecting a certain amount of food waste to proceed the grinding process . Of course, in consideration of the odor of food waste may be provided separately to cover the top of the sieve 12.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10)에서 거름망(12)의 몸체(50)는 측면 및 바닥면에 타공(52)이 형성되고, 고정링(40)의 걸림테(4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됨으로써,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었을 때 고정링(40)의 걸림테(46)를 지나는 삽입 위치를 갖는다. 그리고, 걸림 플랜지(54)는 몸체(50)의 상단 외측 둘레로 고정링(40)의 내경보다 작고 고정링(40)의 걸림테(46)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body 50 of the sieve 12 in the disposer 10 having the sie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erforation 52 formed on the side and bottom thereof, and the locking ring 40 is caught. By form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im 46, it has an insertion position passing through the lock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when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1). In addition, the locking flange 54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ring 40 an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cking ring 46 of the fixing ring 40 around the upper outer side of the body 50.

이와 같은 거름망(12)은 분쇄 유니트(14)에 결합되었을 때 몸체(50)가 고정링(40)의 걸림테(46)를 지나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고, 걸림 플랜지(54)가 고정링(40)의 걸림테(46)에 걸리어 놓이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늘리는 반면 분쇄 유니트(14)내의 내부 공간(21)의 수용 공간을 축소시킴으로써, 전술한 실시예보다 한번에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거름망(12)에 모아 분쇄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sieve 12 is coupled to the grinding unit 14, the body 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1 through the hook 46 of the fixing ring 40, the locking flange 54 is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catching frame 46 of the ring 40, the space in which food waste is accommodated is increased, while the space in the inner space 21 in the grinding unit 14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space contained in the crushing unit 14 at one time.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in the sieve 12 to be useful when the grinding process is in progress.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름망(12)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58)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58)는 거름망(12)의 취출을 편리하게 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strainer 12 may include a handle 58 formed to protrude upward. Such a handle 58 facilitates the extraction of the sieve 12.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10)는 거름망(12)을 분쇄 유니트(14)의 하우징(2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고정링(40)과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일반적인 디스포저의 구성의 변경 또는 추가적인 구성을 최소화시키면 설거지시 싱크대에 수용되는 숟가락, 젓가락 등의 물건 또는 사용자의 손이 디스포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 달리 거름망(12)에 음식물 쓰레기가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되므로 싱크대에서 설거지시 별도로 분리하여 수거해야 하는 계란 껍질, 동물 뼈 등을 설거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면서도 디스포저의 작동 전에 쉽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거름망(12)의 결합위치를 조정하여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을 증대시킨다.
Such a disposer 10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a general disassembly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trainer 12 is coupled to the fixing ring 4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20 of the grinding unit 14. By minimizing the change or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pos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hand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disposer or an object such as a spoon or chopsticks accommodated in the sink when washing dishes. In addition, unlike the prior art, since the food waste is primarily filtered in the sieve 12, it is easily collected before operation of the disposer, while facilitating the washing of egg shells, animal bones, etc., which must be separated and collected separately when washing dishes in the sink. Do 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amount of food waste accommodated by adjusting the engaging position of the sieve 12,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oser having a str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change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1 : 싱크대 2 : (싱크대) 배수구
3 : 배출관 10 :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
12 : 거름망 14 : 분쇄 유니트
20 : 하우징 21 : 내부 공간
22 : 유입구 24 : 전기 모터
26 : 분쇄날 28 : 배출구
30 : 암나사 39 : 제 1 지지 플랜지
40 : 고정링 42 : 제 2 지지 플랜지
46 : 걸림테 48 : 수나사
50 : (거름망) 몸체 52 : 타공
54 : 걸림 플랜지
1: sink 2: sink (sink) drain
3: discharge pipe 10: disposer with filter
12: strainer 14: grinding unit
20: housing 21: internal space
22: inlet 24: electric motor
26: grinding blade 28: outlet
30: female thread 39: first support flange
40: retaining ring 42: second support flange
46: hanger frame 48: male thread
50: (sieve) body 52: perforation
54: locking flange

Claims (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싱크대(1)의 하측에서 배수구(2)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관(3)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디스포저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1)의 하측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2)와 연통되는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21)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간(21)에 위치되어 전기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날(26)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관(3)으로 흐르도록 하는 배출구(28)가 형성되는 분쇄 유니트(14) 및;
타공이 형성되어 상기 분쇄 유니트(14)에 결합되되, 상기 분쇄 유니트(14)의 유입구(22)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21)의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21)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걸러지도록 하는 거름망(12)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거름망(12)이 상기 분쇄 유니트(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싱크대(1)에서 설거지할 때 상기 분쇄 유니트(14)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1차적으로 상기 거름망(12)에 걸러지도록 하고,
상기 분쇄 유니트(14)는 상기 내부 공간(2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 공간(21)과 격리되는 하측 서비스 공간에 상기 모터(24)가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분쇄날(26)의 하측에 상기 배출구(28)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21)의 상측에 암나사(30)가 형성되며, 상단 외측 둘레에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1 지지 플랜지(39)가 형성되는 하우징(20) 및,
상단 둘레로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2 지지 플랜지(42)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 플랜지(4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외측에 상기 하우징(20)의 암나사(30)에 결합되는 수나사(48)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거름망(12)이 지지되는 걸림테(46)가 상기 내부 공간(21)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는 고정링(40)를 구비하고,
상기 거름망(12)은 측면 및 바닥면에 타공(5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4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어 바닥면이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에 걸리는 몸체(50) 및,
상기 몸체(50)의 상단 외측 둘레로 상기 고정링(4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 플랜지(54)를 구비하여,
상기 거름망(12)은 상기 분쇄 유니트(14)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몸체(50)가 상기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고, 상기 걸림 플랜지(54)가 상기 고정링(40)의 제 2 지지 플랜지(42)상에 놓이도록 하고,
상기 거름망(12)은 측면 및 바닥면에 타공(5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를 지나는 삽입 위치를 갖는 몸체(50) 및,
상기 몸체(50)의 상단 외측 둘레로 상기 고정링(40)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 플랜지(54)를 구비하여,
상기 거름망(12)은 상기 분쇄 유니트(14)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몸체(50)가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를 지나 상기 내부 공간(21)으로 삽입되고, 상기 걸림 플랜지(54)가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에 걸리어 놓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걸림 플랜지(54)가 상기 고정링(40)의 걸림테(46)에 걸리어 놓임으로써, 상기 거름망(12)이 수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거름망(12) 및 상기 내부 공간(21)에서 상기 거름망(12) 상부에 해당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게 하고,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거름망(12) 및 상기 내부 공간(21)에서 상기 거름망(12) 상부에 해당하는 공간에 수용될 때, 상기 거름망(12)의 걸림플랜지(54)에 형성되어 상기 거름망(12)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5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을 갖는 디스포저.
In the disposer is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 (2) in the lower side of the sink (1) to crush the food waste flowing through the drain (2)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3),
It is installe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nk (1), and forms an internal space (21) for receiving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22 communicated with the drain (2), in the internal space (21) A pulverizing unit 14 having a discharge opening 28 which is positioned and flows into the discharge pipe 3 so that the food waste introduced by the grinding blade 26 rotated by the electric motor 24 is pulverized;
A perforation is formed and coupled to the grinding unit 14, and is positioned to be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21 through the inlet 22 of the grinding unit 14, the drain hole 2 of the sink 1 Including a strainer (12) to filter the food waste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21) through;
When a user washes dishes in the sink 1 in a state in which the strainer 12 is coupled to the crushing unit 14,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crushing unit 14 is first filtered by the strainer 12. To lose,
The grinding unit 14 allows the inner space 21 to be formed, and allows the motor 24 to be accommodated in a lower service space that is isolated from the inner space 21, and below the grinding blade 26. The outlet 28 is formed, the female screw 3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21, the first support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opening 2 of the sink 1 around the top outer A housing 20 in which the flange 39 is formed,
A second support flange 42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hole 2 of the sink 1 is formed around the upper end, and extends downwardly of the second support flange 42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0. A male screw 48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female screw 30 of), and a hook frame 46 to which the strainer 12 is supported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21 to the sink 1. It has a fixing ring 4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1 of the housing 20 through the drain hole (2) of the coupling to the housing 20,
The sieve 12 has a perforation 52 is formed on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the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ring 4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1 is the bottom surface is the fixing ring 40 Body 50 caught by the hook frame 46 of, and,
It is provided with a locking flange 54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ring 40 around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body 50,
When the sieve 12 is coupled to the grinding unit 14, the body 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1, the locking flange 54 is the second support flange of the fixing ring 40 Over 42,
The filter net 12 is formed by the perforation 52 on the side and bottom surface, the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engag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when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1 Body 50 having an insertion position passing through the engag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It has a locking flange 54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ring 40 an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ck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around the upper end of the body 50,
When the sieve 12 is coupled to the grinding unit 14, the body 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1 through the engag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the locking flange ( 54 is characterized in that to be caught on the engag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As the catching flange 54 is caught by the catching frame 46 of the fixing ring 40, a larger amount of food waste than the food waste that the straining net 12 can accommodate is the straining net 12 and In the internal space 21 to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sieve 12,
When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is accommodated in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strainer 12 in the strainer 12 and the inner space 21, it is formed in the engaging flange 54 of the strainer 12 and the strainer Disposer having a str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58) is formed to facilitate taking out of (12).
KR1020130001388A 2013-01-07 2013-01-07 Dispoer with filter net KR101312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388A KR101312012B1 (en) 2013-01-07 2013-01-07 Dispoer with filter 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388A KR101312012B1 (en) 2013-01-07 2013-01-07 Dispoer with filter n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012B1 true KR101312012B1 (en) 2013-10-14

Family

ID=4963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388A KR101312012B1 (en) 2013-01-07 2013-01-07 Dispoer with filter 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01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510U (en) 2015-10-21 2017-05-02 나승엽 A sink net for a kitchen drainage useful washing
KR200486157Y1 (en) * 2016-10-14 2018-04-09 주식회사 경은 Device for separating food waste in a spoon and chopstick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272B1 (en) * 2012-02-02 2012-11-16 김석복 Food treatment apparatus using bio pe ba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272B1 (en) * 2012-02-02 2012-11-16 김석복 Food treatment apparatus using bio pe ba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510U (en) 2015-10-21 2017-05-02 나승엽 A sink net for a kitchen drainage useful washing
KR200486157Y1 (en) * 2016-10-14 2018-04-09 주식회사 경은 Device for separating food waste in a spoon and chopsti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88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KR101940903B1 (en) foodwaste shredder for sink
WO2018147577A1 (en) Food waste reducing device with dehydrator for sink
KR20110034232A (en) Refuse structure food sweeping for a sink
KR101312012B1 (en) Dispoer with filter net
KR20170045818A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1792113B1 (en) Food waste reduction device in sink with dehydration function
KR200440415Y1 (en) An apparatus for grinding garbage of sink
KR101388996B1 (en) food waste treatment device
TW201821171A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KR102079541B1 (en) food waste reduction apparatus
CN210253521U (en) Kitchen garbage disposal equipment
KR100292430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kitchen garbage
KR10184709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KR102042827B1 (en) Apparatus for jointing outlet of sink
KR200356431Y1 (en) Garbage disposer of sink
KR20140004299U (en) Food waste pulverizing and reducing apparatus
KR20100122569A (en) Kitchen drain-outlet for food waste
KR20140004572U (en) Apparatus for reducing fixing with food waste disposer
AU2017101808A4 (en) Recycling System
KR200250147Y1 (en) Food Waste Compression Dewatering System of Countertop
KR20160046270A (en) food waste grinding spin-dry machine
CN216149202U (en) Kitchen garbage disposer capable of separating oil from water
CN204147963U (en) A kind of food refuse disposer
JP2011041885A (en) S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