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418B1 - Smart musical instrument care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musical instrument car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9418B1 KR101309418B1 KR1020120073593A KR20120073593A KR101309418B1 KR 101309418 B1 KR101309418 B1 KR 101309418B1 KR 1020120073593 A KR1020120073593 A KR 1020120073593A KR 20120073593 A KR20120073593 A KR 20120073593A KR 101309418 B1 KR101309418 B1 KR 1013094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instrument
- control device
- opening
- humidit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22—Material for manufactur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Treatment of the material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8—Material for manufacturing wind musical instruments; Treatment of the material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 H—ELECTRICITY
- H01—BASIC 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1L35/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 with or without other thermoelectric effects or thermomagnetic effects; 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5/3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악기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타나 바이올린 등의 현악기 이외에 금관악기나 목관악기를 보관할 수 있으며, 케이스 내부가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사용 후 악기를 보관할 때 악기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는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used to store musical instruments, and more particularly, can store brass or woodwind instruments in addition to strings such as guitars and violins, the case maintains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t relates to a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that prevents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instrument when storing the instrument after use.
일반적으로 악기 케이스는 악기를 사용 후 악기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악기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악기를 악기 케이스에 장시간 보관할 시 외부 온도 차이와 습도 등으로 인해 악기의 외관이 변형되거나 갈라져 악기의 소리에 변화가 발생한다. 특히 고가의 악기는 온도나 습도에 민감하여 연주자가 악기를 철저하게 관리하여야 하며, 여름의 장마철같이 습기가 많은 계절이나 겨울철에 실내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연주자가 별도의 보관 케이스를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In general, the instrument case is used to store the instrument in order to prevent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instrument after using the instrument. However, when the instrument is stored in the instrument case for a long time,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instrument may be deformed or cracked due to external temperature differences and humidity, resulting in a change in the sound of the instrument. In particular, expensive instruments are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humidity, so the performer must thoroughly manage the instrument, and the performer should always carry a separate storage case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during the wet season or during the winter season. There was an inconvenience.
상대적으로 습도에 취약한 악기를 위하여 악기 케이스 내부의 습기를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제거하는 습기제거제 등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습기 제거제나 약품을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악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 습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For instruments that are relatively vulnerable to humidity, dehumidifiers are used to remove moisture inside the instrument case through chemical reactions.However, this method requires periodic replacement of the dehumidifying agent or chemicals, as well as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instrument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check the statu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습도 조절 및 악기를 건조시킬 수 있는 선행기술인 한국실용신안공개 제1995-31987호(1995.12.14) "악기용 보관케이스"가 제작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케이스 몸체와 케이스 덮개로 구성되어 있는 악기, 특히 현악기 및 목관취주악기용 보관케이스로서, 케이스 몸체 또는 케이스 덮개 내에 선택에 따라 회로망이나 건전지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는 순환통풍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5-1987 (December 14, 1995) "Musical Instrument Storage Case", which is a prior art that can control humidity and dry instruments, has been manufactured. The prior art is a storage case for musical instruments, in particular string instruments and wooden wind musical instruments, which are composed of a case body and a case cover, in which the circulation ventilator, which can be operated by a network or a battery, is installed in the case body or the case cover. It is characterized by.
그러나 선행기술의 악기케이스는 악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장시간 악기를 보관할 시 현악기 등의 줄의 장력으로 인해 악기의 넥이 휘어지고, 악기의 울림통에 변형이 발생 되어 악기의 음색이 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strument case of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keep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instrument case constant. When storing the instrument for a long time, the neck of the instrument is bent due to the tension of strings, etc.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tone of the instrument is chang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악기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o that the deformation of the instrument does not occur, and provides a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having an antibacterial and steriliza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현악기를 장시간 보관할 때 줄의 장력으로 인해 현악기의 넥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악기의 음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울림통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that can transmit the vibration to the ring to prevent the neck of the string instrument bent due to the tension of the string when the string instrument is stored for a long time and to maintain a constant tone of the instrument.
본 발명의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은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악기를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케이스 도어(120)를 포함하는 케이스(100); 상기 수용공간(S)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온도조절장치(300); 상기 수용공간(S)의 내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습도조절장치(400); 상기 온도조절장치(300) 및 상기습도조절장치(40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온도조절장치(300) 및 상기습도조절장치(400)에 연결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mart instrument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front and the case body 110 is formed so that the storage space (S) to be stored therein, and coupled to the case body 110 rotatably coupled to the opening Case 100 including a case door 1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300 installed in the case 100 t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Humidity control device 400 is installed in the case 100 so that the internal humidity of the receiving space (S) can be kept constant; And a controller 600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and the humidity control device 400 so as to control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and the humidity control device 400, respectively. d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악기인 현악기의 전면에 형성된 현의 장력에 의해 상기 현악기의 넥(neck)의 휘어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넥(neck)의 하부의 뒷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100) 벽면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중앙 지지대(210); 상기 넥(neck)의 상부 앞면을 후면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스(100) 벽면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상부 지지대(220); 상기 현악기의 울림통의 하부 앞면을 후면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스(100) 벽면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하부 지지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100 wall surface to support the back of the lower portion of the neck (neck) so that the bending of the neck of the string instrument is prevented by the tension of the str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tring instrument which is the musical instrument A central support 210 protruding from the inside; An upper support portion 220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00 so as to press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neck in a rearward direction; And a lower support 230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00 so as to press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rim of the string instrument in the rear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대(23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현악기의 울림통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상기 울림통의 하부 앞면에 접촉되는 진동발생장치(5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pport 2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0 in contact with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ring to transmit the vibration to the ring of the string instrum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0.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대(21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현악기의 울림통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상기 현악기의 넥의 하부 뒷면에 접촉되는 진동발생장치(5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support 210 is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back of the neck of the stringed instrument to transmit the vibration to the ring of the stringed instrum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0. It is don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대(210)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벽면 중 상기 케이스 도어(120)와 마주보는 벽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대(220) 및 상기 하부 지지대(230)는 각각 상기 케이스 도어(12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support 210 is protruded on the wall facing the case door 120 of the wall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the upper support 220 and the lower support 230 is Each of the case door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ack.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300)는, 일측면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면이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벽면에 설치되는 펠티어(Peltier)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Peltier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case 100 so that one side is located inside the case 100 and the other side is located outside the case 100. It is a (Peltier) elemen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상측벽 내면에 장착되는 제1 자석(111); 상기 개구부의 개방시 상기 제1 자석(111)에 접촉되어 상기 케이스 도어(120)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도어(120)의 후면에 돌출된 제2 자석 장착대(122)에 장착되는 제2 자석(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gnet 111 is moun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wall of the case body 110; Mounting a second magnet protruding on the rear of the case door 120 so that the case door 120 is fixed while keeping the open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magnet 111 when opening the opening And a second magnet 121 mounted to the base 122.
본 발명에 있어서, 끼움홈(113)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상측벽 내면에 장착되는 고정부(112); 상기 개구부의 개방시 상기 끼움홈(113)에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 도어(120)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도어(120)의 후면에 돌출된 끼움돌기(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tting groove 113 is formed and the fixing portion 112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wall of the case body 110; When the opening of the opening is fastened to the fitting groove 113 so that the case door 120 can be fixed while maintaining the opening state, the fitting protrusion 123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case door 120 It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은 악기를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케이스의 내부에 온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케이스 내부가 일정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ase that can be stored inside the instrument and by installing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a humidity control device inside the case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case.
또한 본 발명은 악기가 습기에 노출되었거나 직사광선이나 높은 온도에 노출되었을 경우 급속으로 온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현악기를 장시간 보관할 시 넥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울림통에 진동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악기의 음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instrument to operat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the humidity control device rapidly when the instrument is exposed to moisture or direct sunlight or high temperature, to prevent bending of the neck when storing the string instrument for a long time and directly to the vibration box There is an advantage to maintain the tone of the instrument by installing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at can be transmitted to.
도 1 은 본 발명의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개폐 방법을 나타낸 저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개폐 방법 중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 내부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bottom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botto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inside the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개폐 방법을 나타낸 저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개폐 방법 중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 내부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bottom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botto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inside the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케이스(100)를 갖는다.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와 케이스 도어(120)로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110)의 전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110)의 내부에는 악기를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수용공간(S)에는 기타, 바이올린, 첼로 등과 같은 현악기와 플룻, 클라리넷 등과 같은 금관악기, 오보에와 같은 목관악기를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스(100)에 보관할 수 있는 악기는 크기만 맞다면 이외에도 다른 종류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e 100. The case 100 is formed of a case body 110 and a case door 120.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An interior of the cas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S) for storing the instrument. The accommodation space (S) can hold strings such as guitar, violin, cello, and brass instruments such as flute, clarinet, and woodwind instruments such as oboe. Musical instruments that can be stored in the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other types if only the size.
도 4 를 참조하면 케이스 본체(110)의 벽면에는 수용공간(S)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i)가 형성된다. 단열재(i)는 수용공간(S)을 감싸도록 케이스 본체(110)의 개구부를 제외한 모든 벽면에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a heat insulating material i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to insulate the accommodation space S. Referring to FIG. Insulation material (i) is formed on all wall surfaces except for the opening of the case body 110 to surround the receiving space (S).
도 1 을 참조하면 케이스 본체(110)에는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케이스 도어(120)가 형성되며, 케이스 도어(120)는 개구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10)에 고가의 악기를 보관할 시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 도어(120)에는 잠금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ase body 110 is formed with a case door 120 that can open and close the opening, the case door 120 may be hinged to be rotatable on one side of the opening. In order to prevent the risk of loss when storing expensive musical instruments in the case body 110, a lock device may be formed in the case door 120.
케이스 도어(120)에는 수용공간(S)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이 구비된다. 투명창은 유리나 플라스틱 기타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case door 120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for viewing the accommodation space (S). The transparent window may be made of glass, plastic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
도 2 의 (a)를 참조하여 케이스 도어(120)의 개폐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 본체(110)의 상측벽 내면에는 제1 자석(111)이 장착된다. 제1 자석(111)은 케이스 본체(110)의 상측벽 내면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도어(120)의 후면에는 제2 자석 장착대(122)가 돌출 형성된다. 제2 자석 장착대(122)의 일측은 케이스 도어(120)에 부착되며, 타측에는 제2 자석(121)이 장착된다.Referring to (a) of FIG. 2, the opening / closing method of the case door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irst magnet 111 is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wall of the case body 110. The first magnet 111 may be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upper side wall of the case body 110. In addition, a second magnet mount 122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door 120. One side of the second magnet mount 122 is attached to the case door 120, and the second magnet 121 is mounted to the other side.
도 2 의 (b)를 참조하면 케이스 도어(120)를 회전시켜 케이스 본체(110)의 개구부를 개방할 때 케이스 도어(120)에 형성된 제2 자석 장착대(122) 및 제2 자석(121)은 케이스 도어(120)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때 제2 자석(121)은 제1 자석(111)에 접촉된다. 제1 자석(111)에 접촉된 제2 자석(121)은 양 자석의 자력에 의해 고정되고, 케이스 도어(12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케이스 도어(12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악기가 출입할 때 케이스 도어(120)에 악기가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B, when the case door 120 is rotated to open the opening of the case body 110, the second magnet mount 122 and the second magnet 121 formed in the case door 120 may be use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case door 120. In this case, the second magnet 12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magnet 111. The second magnet 121 in contact with the first magnet 111 may be fixed by the magnetic force of both magnets, and the case door 120 may remain open. When the case door 120 maintains an open state, when the instrument enters and exits the case body 110, the instrument door 120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case door 120.
도 3 의 (a)를 참조하여 케이스 도어(120)의 개폐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케이스 본체(110)의 상측벽 내변에는 고정부(112)가 장착된다. 고정부(112)는 일정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112)의 내측 둘레면에는 끼움홈(113)이 형성된다. 끼움홈(113)은 고정부(112)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도어(120)의 후면에는 끼움돌기(123)가 돌출 형성된다. 끼움돌기(123)는 고정부(112)의 끼움홈(113)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Referr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case door 120 with reference to Figure 3 (a), the fixing portion 112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wall of the case body (110). The fixing portion 112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The fitting groove 113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2. The fitting groove 113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2 and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the fitting protrusion 12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of the case door 120. The fitting protrusion 123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fitting groove 113 of the fixing part 112.
도 3 의 (b)를 참조하면 케이스 도어(120)를 개방하게 되면 끼움돌기(123)가 고정부(112)의 끼움홈(113)에 끼워진다. 즉, 끼움돌기(123)는 케이스 도어(120)가 회전하여 케이스 본체(110)의 개구부를 개방하면 케이스 도어(120)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때 케이스 도어(12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123)는 고정부(112)의 끼움홈(113)에 끼워져 케이스 도어(120)를 고정한다. Referring to FIG. 3B, when the case door 120 is opened, the fitting protrusion 123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3 of the fixing part 112. That is, the fitting protrusion 123 rotates integrally with the case door 120 when the case door 120 rotates to open the opening of the case body 110. In this case, the fitting protrusion 123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3 of the fixing part 112 to fix the case door 120 to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case door 120.
도 1 을 참조하면 케이스(100)에는 케이스(100) 내부 온도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온도조절장치(300)가 설치된다. 온도조절장치(300)는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가 약 18 ~ 25℃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온도조절장치(300)는 케이스(100)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케이스(100) 외부의 온도와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의 차가 5 ~ 10℃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300)는 케이스(100)의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거나, 케이스(10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ase 100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to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ase 100 at a constant temperatur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se 100 in a state of about 18 ~ 25 ℃. 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measures the temperature outside the case 100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utside the case 100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se 100 can be maintained at 5 to 10 ° C. That is,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uses a method such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ase 100 is constant, o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se 100 is constant.
악기는 특성상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거나, 외부와 일정한 온도 차이가 나도록 해주면 악기의 음색과 음량 등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Since the instrument is sensitive to temperature due to its characteristics,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side the case 100 or allowing a constant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may maintain a constant tone and volume of the instrument.
본 발명에서 설명한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 범위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악기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한 온도를 지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range inside the case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one example, and the user may designate and control an appropriat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musical instrument.
도 4 를 참조하면 온도조절장치(300)는 펠티어(Peltier)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온도조절장치(300)는 케이스 본체(110)의 내측 벽면에 설치된다. 온도조절장치(300)의 일측면은 케이스(100)의 수용공간(S)과 접촉하며, 타측면은 케이스(100)의 외측에 위치한다. 펠티어 소자는 전류가 흘러서 일측이 냉각되면 타측에서 발열되고, 전류의 방향이 반대가 되어 일측이 발열되면 타측은 냉각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110)의 내측 벽면에 설치된 펠티어 소자가 발열하면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110)의 내측 벽면에 설치된 펠티어 소자가 냉각되면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may be formed of a Peltier devic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One 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is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case 100, the other side is located outside the case 100. The Peltier element has a characteristic that when one side is cooled due to the flow of current, the other side generates heat, and the other side is cooled when one side generates heat due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urrent. Therefore, when the Peltier element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e body 110 generates he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se 100 may increase, and when the Peltier element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e body 110 co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se 100. Will be lowered.
펠티어 소자는 작은 공간의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데에는 편리하지만, 악기가 커지거나 많은 수의 악기를 보관하기 위해서 대용량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경우에는 효율이 떨어진다. 이런 경우에는 통상적인 압축냉각방식의 온도조절장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Peltier device is convenien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small space of air, but is inefficient when the instrument is large or a large storage space is formed to store a large number of instruments. In this case, a conventional compression cooling thermostat may be used.
도 4 를 참조하면 냉각된 펠티어 소자에는 케이스(100) 내부와의 온도차이로 인해 결로현상이 발생한다. 결로현상으로 발생된 응축수는 온도조절장치(300)의 하단에 형성된 물받이통에 모아져 외부로 배출된다. Referring to FIG. 4, condensation occurs in the cooled Peltier device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inside of the case 100.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condensation phenomenon is collected in the drip tra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4 를 참조하면 악기는 일반적으로 목재로 형성되어 습도에 상당히 민감하므로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습도조절장치(400)가 설치된다. 습도조절장치(400)는 케이스 본체(110)의 내측벽에 설치된다. 습도조절장치(400)를 통하여 케이스(100) 내부의 수용공간(S)의 습도가 43%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습도조절장치(400)는 상기 물받이통에 모아진 응축수에 바람을 일으킬 수 있도록 송풍팬(410)이 형성된다. 케이스(100) 내부의 습도가 적정습도 이하로 떨어졌을 때 송풍팬(410)이 작동한다. 작동된 송풍팬(410)은 상기 물받이통에 모아진 응축수에 바람을 불어넣어 케이스(100) 내부에 습도가 43%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instrument is generally made of wood, so that the instrument is fairly sensitive to humidity. The humidity controller 40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Humidity control device 400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e body (110). Through the humidity control device 400 to maintain the humidity of the receiving space (S) inside the case 100 at 43%. Humidity control device 400 is a blowing fan 410 is formed so as to cause the wind in the condensate collected in the drip tray. When the humidity inside the case 100 drops below an appropriate humidity, the blowing fan 410 operates. The blower fan 410 is operated to blow the condensate collected in the drip tray to maintain 43% humidity inside the case 100.
본 발명에서 습도를 43%로 유지한다는 것은 목재로 된 악기의 보관에 있어서 최적의 상태이기 때문이며, 다양한 악기의 종류에 따라 습도의 범위는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다.Maintaining the humidity at 43%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it is an optimal state in the storage of wooden instruments, the range of humidity according to the type of various instruments can be directly controlled by the user.
도 1 을 참조하면 케이스 본체(110)에는 제어부(600)가 설치된다. 제어부(600)는 케이스 본체(110)의 외측 상단에 위치하여 온도조절장치(300) 및 상기습도조절장치(400)와 연결된다. 온도조절장치(300) 및 상기습도조절장치(400)와 연결된 제어부(600)는 온도조절장치(300) 및 상기습도조절장치(40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 unit 600 is installed in the case body 110. The control unit 600 is located at the outer upper end of the case body 110 i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and the humidity control device 400. The controller 600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and the humidity control device 400 may control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and the humidity control device 400, respectively.
도 1 을 참조하면 제어부(600)에는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설정된 수치 이하로 내려갈 때 온도조절장치(300) 및 습도조절장치(400)를 빠르게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버튼(610)이 형성된다. 작동버튼(610)을 작동시키면 온도조절장치(300) 및 습도조절장치(400)가 빠르게 작동하여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 unit 600 has an operation button 610 that can quickly operat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and the humidity control device 400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case 100 fall below a set value. Is form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610,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and the humidity control device 400 is quickly operated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case 100 can be kept constant.
도 1 을 참조하면 케이스 본체(110)의 측벽에는 자외선 항균장치(150)가 설치된다. 자외선 항균장치(150)는 수용공간(S)에 자외선을 비추어 수용공간(S)에 존재하는 유해 세균을 박멸시킨다. 또한 자외선 항균장치(150)에는 탈취효과가 발생하도록 제작할 수 있어 악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ultraviolet antibacterial device 150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case body 110. Ultraviolet antibacterial device 150 eradicates harmful bacteria present in the receiving space (S) by shining the ultraviolet light in the receiving space (S). In addition, the ultraviolet antibacterial device 150 can be produced so that the deodorizing effect can be stored in the instrument always in a comfortable state.
도 4 를 참조하면 케이스(100)의 내측 벽면에는 중앙 지지대(210)가 돌출 형성된다. 중앙 지지대(210)는 케이스(100)의 내측 벽면중 케이스 도어(120)와 마주보는 벽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중앙 지지대(210)는 보관될 악기 중에서 현악기의 넥의(neck)의 하부 뒷면에 접촉되어 악기의 넥을 지지한다.Referring to FIG. 4, a central support 210 protrudes from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00. The central support 210 may protrude from a wall surfac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00 facing the case door 120. The center support 21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back of the neck of the string of the musical instrument to be stored to support the neck of the instrument.
도 4 를 참조하면 넥(neck)이 있는 악기는 현의 장력으로 인해 넥이 휘거나 갈라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한다. 이때 현을 풀어주면 현의 장력이 감소하기는 하나, 악기를 사용할 때 다시 현을 조절하여 음을 조율해야한다. 이처럼 현악기의 전면에 형성된 현의 장력에 의해 상기 현악기의 넥(neck)의 휘어짐이 방지되도록 케이스(100)의 내측 벽면에는 상부 지지대(220)가 돌출 형성된다. 상부 지지대(220)는 넥(neck)의 상부 앞면에 접촉되어 넥(neck)을 후면방향으로 가압한다. Referring to FIG. 4, a musical instrument having a neck may be deformed or bent due to the tension of the string. Unwinding the strings reduces the tension of the strings, but you will need to tune the strings again when using the instrument.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upport 220 is protruded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00 to prevent bending of the neck of the string instrument by the tension of the str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tring instrument. The upper support 2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front of the neck (neck) to press the neck (neck) in the rear direction.
도 4 를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220)로부터 하방향으로 이격되는 하부 지지대(230)가 형성된다. 하부 지지대(230)는 케이스(100) 벽면 내측에 돌출 형성된다. 하부 지지대(230)는 현악기의 울림통의 하부 앞면에 접촉되어 상부 지지대(220)와 동일한 후면방향으로 울림통을 가압한다. 이때 중앙 지지대(210)가 현악기의 넥 하부 뒷면을 지지하고 상부 지지대(220) 및 하부 지지대(230)가 중앙 지지대(21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현악기의 상측과 하측을 가압한다. 따라서 현악기의 넥의 상부가 상부 지지대(220)에 지지되고, 현악기의 울림통의 하부가 하부 지지대(230)에 지지되어 넥의 휘어짐을 방지한다.Referring to FIG. 4, a lower support 230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pport 220 is formed. The lower support 230 protrudes inside the wall of the case 100. The lower support 23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ring of the stringed instrument to press the ring in the same rear direction as the upper support 220. At this time, the central support 210 supports the lower back of the neck of the stringed instrument and the upper support 220 and the lower support 230 presses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tring instrument in the position facing the central support 210. Therefore, the upper portion of the neck of the stringed instrument is supported by the upper support 220, the lower portion of the ring of the stringed instrument is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230 to prevent bending of the neck.
도 4 를 참조하면 하부 지지대(230)에는 진동발생장치(500)가 설치된다. 진동발생장치(500)는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한다. 진동발생장치(500)는 현악기의 울림통과 접촉되며 울림통에 진동을 전달한다. 진동발생장치(500)는 골전도 스피커 등인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로 제작될 수 있다. 진동발생장치(500)는 고주파 및 저주파의 진동을 발생시키며, 약 20㎐ ~20000㎐에 해당하는 진동영역을 갖는다. 진동발생장치(500)는 울림통에 진동을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혹은 설정된 시간 및 일정한 간격으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발생장치(500)를 통하여 목재로 된 현악기의 울림통에 진동을 전달하면 악기가 항상 일정한 음색과 음량이 유지되는 장점이 발생한다. Referring to FIG. 4,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0 is installed at the lower support 230.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0 to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0.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0 is in contact with the ring of the stringed instrument and transmits the vibration to the ring.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0 may be manufactured as a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such as a bone conduction speaker.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0 generates vibrations of high frequency and low frequency, and has a vibration region corresponding to about 20 Hz to 20000 Hz.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0 may continuously transmit the vibration to the ring, or may transmit the vibr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a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such, when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rim of the wooden stringed instrument through the vibration generator 500, the instrument always maintains a constant tone and volume.
본 발명에서는 진동발생장치(500)가 하부 지지대(2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중앙 지지대(21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넥의 하부 뒷면에 진동을 전달하게 되고, 이 진동이 울림통에 전달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0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 the lower support 230, it may be installed in the central support (210). In this case,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lower back of the neck, so that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ring.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지지대(220) 및 상기 하부 지지대(230)는 각각 상기 케이스 도어(12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중앙 지지대(210)는 케이스(100)의 내측 벽면중 케이스 도어(120)와 마주보는 벽면에 돌출 형성된다. 중앙 지지대(210)에는 현악기의 넥의 하부 뒷면이 접촉된다. 케이스 도어(120)가 회전함에 따라 상부 지지대(220)는 넥의 상부 앞면에 접촉되고, 하부 지지대(230)는 현악기의 울림통의 하부 앞면에 접촉된다. 케이스 도어(120)가 개구부를 폐쇄하면 상부 지지대(220) 및 하부 지지대(230)가 각각 넥의 상부 앞면과 울림통의 하부 앞면을 지속적으로 가압한다. 이때 현악기의 넥의 뒷면이 중앙지지대(21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현악기의 넥은 상부 지지대(220), 하부지지대(230)에 의해 지지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upper supporter 220 and the lower supporter 230 may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door 120, respectively. The central support 210 protrudes from a wall surfac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00 facing the case door 120. The central support 21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back of the neck of the stringed instrument. As the case door 120 rotates, the upper support 2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neck, and the lower support 23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ring of the stringed instrument. When the case door 120 closes the opening, the upper support 220 and the lower support 230 continuously press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neck and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ring tub,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back of the neck of the stringed instrument is supported by the central support 210, the neck of the stringed instrument is supported by the upper support 220, the lower support 23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가의 악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100)를 구비하고 케이스(100)의 내부에 온도조절장치(300) 및 습도조절장치(400)를 설치하여 케이스(100) 내부가 일정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0 that can safely store expensive instruments,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and a humidity control device 400 are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so that the inside of the case 100 is constant. The advantages of maintaining temperature and humidity arise.
또한 본 발명은 악기가 습기에 노출되었거나 직사광선이나 높은 온도에 노출되었을 경우 급속으로 온도조절장치(300) 및 습도조절장치(4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600)에 작동버튼(610)를 추가로 설치하였고, 현악기를 장시간 보관할 시 넥의 휘어짐을 방지함은 물론 울림통에 진동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500)를 추가로 설치하여 악기의 음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ds an operation button 610 to the control unit 600 to operat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and the humidity control device 400 when the instrument is exposed to moisture or exposed to direct sunlight or high temperature. When the string instrument is stored for a long time to prevent the bending of the neck as well as additionally installed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0 that can transmit the vibration directly to the ring to keep the sound of the instrument constant.
100 : 케이스 110 : 케이스 본체
111 : 제1 자석 112 : 고정부
113 : 끼움홈 120 : 케이스 도어
121 : 제2 자석 122 : 제2 자석 장착대
123 : 끼움돌기 210 : 중앙 지지대
220 : 상부 지지대 230 : 하부 지지대
300 : 온도조절장치 400 : 습도조절장치
500 : 진동발생장치 600 : 제어부100: case 110: case body
111: first magnet 112: fixed portion
113: fitting groove 120: case door
121: 2nd magnet 122: 2nd magnet mounting stand
123: fitting 210: center support
220: upper support 230: lower support
300: temperature controller 400: humidity controller
500: vibration generating device 600: control unit
Claims (8)
상기 악기인 현악기의 넥(neck)의 하부의 뒷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100) 벽면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중앙 지지대(210);
상기 넥(neck)의 상부 앞면을 후면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스(100) 벽면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상부 지지대(220);
상기 현악기의 울림통의 하부 앞면을 후면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스(100) 벽면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하부 지지대(230);
상기 수용공간(S)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온도조절장치(300);
상기 수용공간(S)의 내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습도조절장치(400);
상기 온도조절장치(300) 및 상기습도조절장치(40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온도조절장치(300) 및 상기습도조절장치(400)에 연결되는 제어부(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An opening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and a case body 110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S formed therein to store the instrument therein, and a case door 120 coupled to the case body 110 to be rotatabl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Case 100 comprising a;
A central support 210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00 so as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neck of the string instrument;
An upper support portion 220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00 so as to press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neck in a rearward direction;
A lower support 230 protruding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case 100 so as to press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resonating barrel of the string instrument in the rear direction;
A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300 installed in the case 100 t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Humidity control device 400 is installed in the case 100 so that the internal humidity of the receiving space (S) can be kept constant;
A control unit 600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and the humidity control device 400 to control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and the humidity control device 400, respectively;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comprising a.
상기 하부 지지대(23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현악기의 울림통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상기 울림통의 하부 앞면에 접촉되는 진동발생장치(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support 230 is a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0 in contact with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ring to transmit the vibration to the ring of the string instrum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0.
상기 중앙 지지대(21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현악기의 울림통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상기 현악기의 넥의 하부 뒷면에 접촉되는 진동발생장치(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support 210 is a smart instrument c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back of the neck of the string instrument to transmit the vibration to the ring of the string instrum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0 system.
상기 중앙 지지대(210)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벽면 중 상기 케이스 도어(120)와 마주보는 벽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대(220) 및 상기 하부 지지대(230)는 각각 상기 케이스 도어(12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support 210 is formed to protrude on a wall facing the case door 120 of the wall of the case body 110,
The upper support (220) and the lower support (230) is a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case door 120, respectively.
상기 온도조절장치(300)는, 일측면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면이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벽면에 설치되는 펠티어(Peltier)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4, and 5,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is a Peltier element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case 100 so that one side is located inside the case 100 and the other side is located outside the case 100.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상측벽 내면에 장착되는 제1 자석(111);
상기 개구부의 개방시 상기 제1 자석(111)에 접촉되어 상기 케이스 도어(120)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도어(120)의 후면에 돌출된 제2 자석 장착대(122)에 장착되는 제2 자석(1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4, and 5,
A first magnet 111 mounted on an inner wall of the upper side wall of the case body 110;
Mounting a second magnet protruding on the rear of the case door 120 so that the case door 120 is fixed while keeping the open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magnet 111 when opening the opening A second magnet 121 mounted to the base 122;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comprising a.
끼움홈(113)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상측벽 내면에 장착되는 고정부(112);
상기 개구부의 개방시 상기 끼움홈(113)에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 도어(120)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도어(120)의 후면에 돌출된 끼움돌기(1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악기 케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4, and 5,
A fitting groove 113 is formed and the fixing portion 112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wall of the case body 110;
When the opening of the opening is fastened to the fitting groove 113 so that the case door 120 can be fixed while maintaining the opening state, the fitting protrusion 123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case door 120 ;
Smart instrument care system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3593A KR101309418B1 (en) | 2012-07-06 | 2012-07-06 | Smart musical instrument care system |
PCT/KR2013/005715 WO2014007488A1 (en) | 2012-07-06 | 2013-06-27 | Smart musical instrument car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3593A KR101309418B1 (en) | 2012-07-06 | 2012-07-06 | Smart musical instrument care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9418B1 true KR101309418B1 (en) | 2013-09-23 |
Family
ID=4945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3593A KR101309418B1 (en) | 2012-07-06 | 2012-07-06 | Smart musical instrument care system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9418B1 (en) |
WO (1) | WO2014007488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163228A (en) * | 2015-08-01 | 2015-12-16 | 泰兴琴艺乐器有限公司 | Plucked stringed instrument constant-temperature, frequency-modulated and speed-regulated aging table and aging method thereof |
JP6500264B1 (en) * | 2018-06-26 | 2019-04-17 | 株式会社シンカ・アウトフィットNq | Vibration application device |
EP3915103A1 (en) * | 2019-01-23 | 2021-12-01 | Univr Music SAS | Methods of cleaning musical wind instrument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7629A (en) * | 2003-07-24 | 2003-08-14 | 주식회사 랑인터내셔날 | Portable case for a musical instrument, enabling to keep musical notes inside |
US20100264048A1 (en) * | 2009-04-16 | 2010-10-21 | Gabriel Sharkey Gunsberg | Temperature-controlled musical instrument carrying cas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99194B2 (en) * | 2005-08-11 | 2012-08-15 | ライ,アガピタス・ビー | Apparatus and method for vibrating a stringed instrument |
JP2010097013A (en) * | 2008-10-17 | 2010-04-30 | Masakuni Iibuchi | Neck bend preventing case of stringed instrument |
-
2012
- 2012-07-06 KR KR1020120073593A patent/KR10130941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6-27 WO PCT/KR2013/005715 patent/WO201400748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7629A (en) * | 2003-07-24 | 2003-08-14 | 주식회사 랑인터내셔날 | Portable case for a musical instrument, enabling to keep musical notes inside |
US20100264048A1 (en) * | 2009-04-16 | 2010-10-21 | Gabriel Sharkey Gunsberg | Temperature-controlled musical instrument carrying ca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007488A1 (en) | 2014-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9418B1 (en) | Smart musical instrument care system | |
JP499919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vibrating a stringed instrument | |
JP2705849B2 (en) | Humidifier for wooden instruments | |
KR102188849B1 (en) | Systems for raising the instrument's pads | |
US20140123513A1 (en) | Musical instrument drying, ventilation and storage case with activated charcoal filter | |
US4674630A (en) | Reed case | |
US2953052A (en) | Electronic acoustical stringed instrument | |
KR20080004650U (en) | Musical instrument case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 |
KR20190133312A (en) | Musical instrument case | |
CN201804543U (en) | Humidity controller for musical instruments | |
US10762886B2 (en) | Vibration applying apparatus | |
KR101654168B1 (en) | Sound-proof device having a drying and sterilization function | |
KR20170127978A (en) | water purifier | |
GB2565208B (en) | Humidity controlled musical instrument reed cap | |
JP4487797B2 (en) | Arrangement structure of speaker device in bathroom | |
CN209433846U (en) | The acoustic flat of device is maintained with humidity | |
KR20220124466A (en) | Wooden musical instrument storage box | |
US20130112764A1 (en) | Portable Dehumidifier Device For Guitars | |
US7381875B2 (en) | Harmonica horn | |
TWM577935U (en) | Musical instrument case with humidity maintaining device | |
US2716917A (en) | Tone modifier for musical instruments | |
CA2053371C (en) | Miniaturized humidifier | |
US2581553A (en) | Tone improving means for accordions | |
KR101309116B1 (en) | Muting device for wind instrument | |
WO2014087806A1 (en) | Chromatic harmonica and heating device for chromatic harmonic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