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237B1 - Tube type led lamp with expandable connecting - Google Patents
Tube type led lamp with expandable connect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9237B1 KR101309237B1 KR1020130022429A KR20130022429A KR101309237B1 KR 101309237 B1 KR101309237 B1 KR 101309237B1 KR 1020130022429 A KR1020130022429 A KR 1020130022429A KR 20130022429 A KR20130022429 A KR 20130022429A KR 101309237 B1 KR101309237 B1 KR 1013092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terminal
- led lamp
- tube
- connection
- base c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83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 간에 서로 맞대어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의 마주하는 접속단자끼리 서로 탄성 가압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다수의 튜브형 LED 램프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에서도 교체가 요구되는 해당 튜브형 LED 램프만을 개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확장연결을 위한 튜브형 LED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확장연결을 위한 튜브형 LED 램프는, 전기적 접속단자가 양측 단면에 각각 구비되어 복수의 램프를 길이방향으로 확장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튜브형 LED 램프로서, 제1 단면에 구비된 제1 접속단자; 및 상기 제1 단면의 반대측인 제2 단면에 구비되며 이웃하는 다른 튜브형 LED 램프의 상기 제1 접속단자와 가압 접촉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되,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 간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착탈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 단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결합용 삽입홈이 구비되고, 반대측 단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결합용 돌출부가 각각 구비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nable sliding coupl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gainst each other between the adjacent tube-shaped LED lamps, the plurality of tubular LEDs as the connection terminals facing each other of the adjacent tube-shaped LED lamps are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contac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e-type LED lamp for expansion connection that can be replaced by replacing only the tube-shaped LED lamp that needs to be replaced even in a state where the lamp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ube-shaped LED lamp for expansion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the tubular LED lamp is configured to enable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ross-section and extend the plurality of lamp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provided on the first cross-section Connection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a second e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end surface and provided to allow pressur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f another neighboring tubular LED lamp. In order to enable the sliding detachable coupling in the direction, the first or second end surface is provided with a sliding coupling insertion groov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posite side end is provided with a sliding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확장연결을 위한 튜브형 LED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 간에 서로 맞대어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의 마주하는 접속단자끼리 서로 탄성 가압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다수의 튜브형 LED 램프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에서도 교체가 요구되는 해당 튜브형 LED 램프만을 개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확장연결을 위한 튜브형 LED 램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ular LED lamp for expansion connection, and more particularly, it is configured to enable sliding coupl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between the neighboring tube-shaped LED lamps, facing the connecting terminals of the neighboring tube-shaped LED lamps Extended connection is configured to separate and replace only the tube-shaped LED lamps that need to be replaced individually even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ube-shaped LED lamps are installed connect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elastic pressure contact is electrically connected It relates to a tube-shaped LED lamp for.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인 LED(Light Emitting Diode)는 기존의 형광등, 백열등과 같은 조명원에 비하여 소형이고, 수명이 길뿐만 아니라 전력소모가 적어 에너지 효율이 높고, 높은 광휘도를 가지며, 빠른 응답특성이 있어서, 이러한 LED를 조명원으로 하는 조명기기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In general, LEDs (Light Emitting Diodes), which are light emitting diodes, are smaller than conventional lighting sources such as fluorescent and incandescent lamps, have a long lifespan and low power consumption, and thus have high energy efficiency, high brightness, and fast response characteristics. Therefore, lighting apparatuses using such LEDs as light source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한편, 상술한 LED를 조명원으로 하는 조명기기는, 각종 환경규제 및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하는 미래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백열등, 형광등과는 달리 필라멘트, 수은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안전하고, 유해물질 사용제한이 없으며, 이산화탄소 배출제한이 없어 친환경 미래산업으로 조명산업에서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luminaires using the above-described LED as a lighting source are safe from the use of filaments and mercury, unlike incandescent and fluorescent lamps in the future in term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accordance with various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climate change conventions, and they limit the use of hazardous substances. As there is no carbon dioxide emission restriction, the importance in the lighting industry is increasing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uture industry.
도 1a는 종래의 튜브형 LED 램프의 확장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튜브형 LED 램프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호 직렬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nded connection state of a conventional tubular LED lamp, the tubular LED lamp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 일측 튜브형 LED 램프(1A)의 양측단과 타측 튜브형 LED 램프(1B)의 양측단에는 한 쌍의 전극홀(T)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 튜브형 LED 램프(1A)와 타측 튜브형 LED 램프(1B)의 마주하는 면에는 연결 터미널(2)이 개재된다. Specifically, a pair of electrode holes T are formed at both ends of one tube
상기 연결 터미널(2)의 일측면에는 상기 일측 튜브형 LED 램프(1A)의 전극홀(T)에 삽입되는 전극핀(2a)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터미널(2)의 타측면에는 상기 타측 튜브형 LED 램프(1B)의 전극홀(T)에 삽입되는 전극핀(2b)이 구비되며, 일측 전극핀(2a)은 타측 전극핀(2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One side of the
따라서, 상기 전극핀(2a)이 상기 일측 튜브형 LED 램프(1A)의 전극홀(T)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극핀(2b)이 상기 타측 튜브형 LED 램프(1B)의 전극홀(T)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양측의 튜브형 LED 램프(1A, 1B)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렬형태로 확장 구성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튜브형 LED 램프의 확장 구조는, 양측의 튜브형 LED 램프(1A, 1B)의 길이방향으로 연결 터미널(2)의 전극핀(2a, 2b)이 연장형성되고, 각 전극핀(2a, 2b)이 양측의 튜브형 LED 램프(1A, 1B)에 확장 연결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수의 튜브형 LED 램프가 서로 확장 연결된 상태에서 중간의 어느 하나의 튜브형 LED 램프만을 분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extension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tubular LED lamp as described above, the
즉, 도 1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튜브형 LED 램프(1A, 1B, 1C)가 서로 직렬로 확장 연결된 경우에, 중앙에 위치한 튜브형 LED 램프(1B)가 고장으로 인하여 교체가 요구될 시, 상기 다수의 튜브형 LED 램프(1A, 1B, 1C)를 모두 브라켓(도 1의 'B')에서 빼내어 분리한 상태에서, 양측의 튜브형 LED 램프(1A, 1C)를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분리한 후 새로운 튜브형 LED 램프를 재결합한 후 다시 브라켓(B)에 끼워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1B, when a plurality of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 간에 서로 맞대어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의 마주하는 접속단자끼리 서로 탄성 가압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다수의 튜브형 LED 램프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에서도 교체가 요구되는 해당 튜브형 LED 램프만을 개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확장연결을 위한 튜브형 LED 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enable the sliding coupl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between the neighboring tube-shaped LED lamps, the contact terminals facing each other of the adjacent tube-shaped LED lamps elastically contact each other And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tube type for expansion connection configured to replace only the tube type LED lamp that needs to be replaced individu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even though a plurality of tube type LED lamps are installed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 In providing an LED lamp.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확장연결을 위한 튜브형 LED 램프는, 전기적 접속단자가 양측 단면에 각각 구비되어 복수의 램프를 길이방향으로 확장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튜브형 LED 램프로서, 제1 단면에 구비된 제1 접속단자; 및 상기 제1 단면의 반대측인 제2 단면에 구비되며 이웃하는 다른 튜브형 LED 램프의 상기 제1 접속단자와 가압 접촉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되,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 간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착탈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 단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결합용 삽입홈이 구비되고, 반대측 단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결합용 돌출부가 각각 구비된다. Tube-shaped LED lamp for expansion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tubular LED lamp is configured to enable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ross-sectional expansion of the plurality of lamp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cross section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the;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a second e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end surface and provided to allow pressur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f another neighboring tubular LED lamp. In order to enable the sliding detachable coupling in the direction, the first or second end surface is provided with a sliding coupling insertion groov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posite side end is provided with a sliding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접속단자는 평면형 접속단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는 돌출형 접속단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속단자는 상기 제1 접속단자와 탄성 가압 접촉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is formed of a planar connecting terminal,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s formed of a protruding connecting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s configured to enable elastic pressur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Can be.
바람직하게, 상기 튜브형 LED 램프의 양단에는 마감을 위한 베이스 캡이 각각 구비되되, 양단의 베이스 캡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 캡 단면에는 상기 제1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의 베이스 캡의 단면에는 상기 제2 접속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both ends of the tubular LED lamp is provided with a base cap for finishing, respectively, the base cap cross section of any one of the base cap of the both ends is provided with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the other end of the base cap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접속단자가 구비된 베이스 캡의 단면에는 상기 제2 접속단자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단자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 캡의 내측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일단부에서 연장된 상기 제2 접속단자의 중앙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 캡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형성되며, 상기 중앙부에서 연장된 상기 제2 접속단자의 타단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 캡의 내측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 through hole for protr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in a cross section of the base cap provid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nd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base cap. And a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extending from the one end portion is bent to protrude out of the base cap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nother end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extending from the center portion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It may be bent into the base cap through the hole.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캡은, 복수의 튜브형 LED 램프가 길이방향으로 확장 연결된 상태에서, 튜브형 LED 램프의 외부로 발산되는 빛의 색상 및 밝기가 확장 연결된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발산되도록 하는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Preferably, the base cap is made of a material such that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tubular LED lamps ar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lor and brightness of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tubular LED lamps are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extended connection. Can b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 간에 서로 맞대어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의 마주하는 접속단자끼리 서로 탄성 가압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다수의 튜브형 LED 램프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에서도 교체가 요구되는 해당 튜브형 LED 램프만을 개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sliding coupl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between adjacent tube-shaped LED lamps, so that the connecting terminals facing each other of the adjacent tube-shaped LED lamps are elastically contac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even when a plurality of tubular LED lamps are installed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only the corresponding tubular LED lamps, which are required to be replaced, can be separated and replaced individu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의 마주하는 접속단자가 서로 탄성 가압 접촉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양 접속단자의 전기적인 접촉이 원할하게 이뤄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al contact of both connection terminals can be made smoothly as the opposit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adjacent tube-shaped LED lamp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pressure-contacted with each other.
또한, 별도의 연결 터미널이 없이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djacent tube-shaped LED lamp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 separate connection terminal.
또한, 확산 커버와 동일 내지 유사한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베이스 캡이 구성됨에 따라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의 연결 부분에서도 LED 칩의 광이 발산되므로, 이웃하여 연결된 튜브형 LED 램프가 하나의 램프로 구성된 것과 같은 통일감을 느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ase cap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the same or similar transmittance as that of the diffusion cover, the light of the LED chip is also emitte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neighboring tube-shaped LED lamp, so that the adjacent tube-shaped LED lamp is composed of one lamp. It has the advantage of feeling unity.
도 1a는 종래의 튜브형 LED 램프의 확장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튜브형 LED 램프의 확장연결 상태와 분리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LED 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LED 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LED 램프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LED 램프가 서로 직렬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LED 램프가 서로 직렬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LED 램프가 서로 직렬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LED 램프가 서로 직렬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LED 램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간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nded connection state of a conventional tubular LED lamp.
Figure 1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tended connection state and a disconnected state of a conventional tubular LED lamp.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ube-shaped LED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2;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ubular LED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ubular LED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tubular LED lamps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tubular LED lamp i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bular LED lamps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bular LED lamps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ube-shaped LED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LED 램프는, 전기적 접속단자가 양측 단면에 각각 구비되어 복수의 램프를 길이방향으로 확장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튜브형 LED 램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기판(10), 히트 싱크(20), 확산 커버(30), 베이스 캡(42, 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ube-shaped LED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ular LED lamp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n both sides of the cross-section to extend the plurality of lamp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5, PCB The
상기 PCB 기판(10)은, 일측면에 복수의 LED 칩(L)이 실장된 기판으로서, 튜브형 LED 램프(100)의 양측 단면에 각각 구비된 접속단자(T1, T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The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T1)가 케이블(51)을 통해 안정기(50)에 연결되고, 상기 접속단자(T2)가 케이블(53)을 통해 안정기(50)에 연결되며, 상기 안정기(50)에 연결된 케이블(55)을 통해 상기 PCB 기판(10)의 LED 칩(L)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connection terminal T1 is connected to the
상기 케이블(51, 53, 55)의 배치는 도 11 이외의 도면에서 별도 도시는 생략하였다. The arrangement of the
상기 PCB 기판(10)은 상기 히트 싱크(20)의 상면에 탑재되며, 상기 히트 싱크(20)의 상면에는 상기 PCB 기판(10)의 탑재를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탑재홈이 형성된다. The
상기 히트 싱크(20)는, 튜브형 LED 램프(100)의 모체로서 LED 칩(L)에서 발생하는 열을 분산하여 방열하는 역할을 하며,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이 열전달과 방열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다. The
한편, 상기 히트 싱크(20)에는 안정기(도 6의 '50')가 내장될 수 있다. Meanwhile, a ballast ('50' of FIG. 6) may be built in the
상기 확산 커버(30)는, 상기 히트 싱크(20)의 상면에 탑재된 PCB 기판(10)의 LED 칩(L)을 커버하도록 상기 히트 싱크(20)에 조립되며, 상기 LED 칩(L)에서 발산되는 색상 및 밝기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확산하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베이스 캡(42, 44)은, 튜브형 LED 램프(100)의 양단부를 마감하는 구성요소이며, 복수의 튜브형 LED 램프가 길이방향으로 확장 연결된 상태에서, 튜브형 LED 램프의 외부로 발산되는 빛의 색상 및 밝기가 확장 연결된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발산되도록 하는 재질(예, PC-Polycarbonate)로 이뤄진다. The base caps 42 and 44 are components for closing both ends of the
여기서,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발산되도록 하는 재질이란,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캡(42, 44)이 확산 커버(30)와 동일 재질 특성(투과율 및 색상)을 갖는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Here, it is understood that the material that is to b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length, for example, the base caps 42 and 44 have the same material properties (transmittance and color) as the
예를 들어, 상기 확산 커버(30)는 상기 LED 칩(L)에서 발산되는 색상 및 밝기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확산시키기 위하여 대략 백색의 반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캡(42, 44)도 상기 LED 칩(L)에서 발산되는 색상 및 밝기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상기 확산 커버(30)와 동일 내지 유사한 투과율 및 색상을 갖는 대략 백색의 반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튜브형 LED 램프(100)의 제1 단면에는 제1 접속단자인 평면형 접속단자(T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단면의 반대측인 제2 단면에는 제2 접속단자인 돌출형 접속단자(T2)가 구비된다. The first end surface of the
예를 들어, 상기 평면형 접속단자(T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형 LED 램프(100)의 제1 단면을 구성하는 일측 베이스 캡(42)의 외측면에 평평한 형태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평면형 접속단자(T1)는 양전극부와 음전극부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planar connection terminal T1 may be exposed to a flat shape on an outer surface of one
한편, 상기 돌출형 접속단자(T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형 LED 램프(100)의 제2 단면을 구성하는 타측 베이스 캡(44)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형 접속단자(T2)도 양전극부와 음전극부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connection terminal (T2), as shown in Figure 4,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상기 타측 베이스 캡(44)의 단면에는 상기 돌출형 접속단자(T2)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기 위한 관통홀(h1)이 형성된다. A through hole h1 for protr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connection terminal T2 is formed in a cross section of the
상기 돌출형 접속단자(T2)의 일단부(a)는 상기 타측 베이스 캡(44)의 내측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One end a of the protruding connection terminal T2 is fixed to an inner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또한, 상기 일단부(a)에서 연장된 상기 돌출형 접속단자(T2)의 중앙부(b)는 상기 관통홀(h1)을 통해 상기 타측 베이스 캡(44)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형성된다. 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b) of the protruding connection terminal (T2) extending from the one end (a) is bent to protrude out of the
또한, 상기 중앙부(b)에서 연장된 상기 돌출형 접속단자(T2)의 타단부(c)는 상기 관통홀(h1)을 통해 상기 타측 베이스 캡(44)의 내측으로 절곡형성된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c of the protruding connection terminal T2 extending from the center portion b is bent into the other
한편,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100) 간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착탈 결합이 가능하도록, 일측 베이스 캡(42)의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결합용 삽입홈(42a)이 형성되고, 타측 베이스 캡(44)의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결합용 돌출부(44a)가 각각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able the sliding detachable coupling of the neighboring tube-shaped
상기 슬라이딩 결합용 삽입홈(42a)과 상기 슬라이딩 결합용 돌출부(44a)는 상호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결합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The sliding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딩 결합용 삽입홈(42a)의 단면이 대략 ''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용 돌출부(44a)의 단면이 대략 ''의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슬라이딩 결합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cross section of the sliding
한편, 상기 슬라이딩 결합용 삽입홈(42a)과 상기 슬라이딩 결합용 돌출부(44a)의 형성위치는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orming position of the sliding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튜브형 LED 램프(10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튜브형 LED 램프(100A, 100B)가 길이방향으로 확장 연결될 수 있다. In the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튜브형 LED 램프(100A)의 베이스 캡(42)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용 삽입홈(42a)과, 상기 일측 튜브형 LED 램프(100A)와 이웃하는 타측 튜브형 LED 램프(100B)의 베이스 캡(44)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용 돌출부(44a)가 서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확장 연결이 가능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복수의 튜브형 LED 램프(100A, 100B)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결합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sliding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확장 연결된 복수의 튜브형 LED 램프(100A, 100B)는, 천장에 고정설치된 브라켓(미도시) 상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한편, 도 9와 같이 복수의 튜브형 LED 램프(100A, 100B)가 상호 연결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튜브형 LED 램프(100A)의 베이스 캡(42)에 구비된 평면형 접속단자(T1)와 상기 타측 튜브형 LED 램프(100B)의 베이스 캡(44)에 구비된 돌출형 접속단자(T2)가 서로 탄성 가압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Meanwhile, when the plurality of
즉, 슬라이딩 결합용 삽입홈(42a)과 슬라이딩 결합용 돌출부(44a)가 서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일측 튜브형 LED 램프(100A)의 베이스 캡(42)의 외측면에 맞닿은 상기 돌출형 접속단자(T2)의 중앙부(b)가 탄성변형되어 타측 튜브형 LED 램프(100B)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슬라이딩 결합용 삽입홈(42a)과 상기 슬라이딩 결합용 돌출부(44a)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평면형 접속단자(T1)에 상기 돌출형 접속단자(T2)가 가압되어 접촉됨에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in the process of the sliding
한편, 도 10과 같이 복수의 튜브형 LED 램프(100A, 100B)가 상호 연결된 경우에는, 일측 튜브형 LED 램프(100A)가 브라켓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타측 튜브형 LED 램프(100B)를 슬라이딩 결합 방향으로 분리하거나, 타측 튜브형 LED 램프(100B)가 브라켓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일측 튜브형 LED 램프(100A)를 슬라이딩 결합 방향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tubular LED lamps (100A, 10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ure 10, in the state in which one tube-shaped LED lamp (100A) is fixed to the bracket or the other tube-shaped LED lamp (100B) in the sliding coupling direction or In the state where the other tube
즉, 다수의 튜브형 LED 램프(10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어 브라켓에 설치된 상태에서, 다수의 튜브형 LED 램프를 브라켓에서 모두 빼내지 않고도 교체가 요구되는 해당 튜브형 LED 램프(100)만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obv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to cover many such variations.
10:PCB 기판 12:접착테이프
20:히트 싱크 30:확산 커버
42, 44:베이스 캡 42a:슬라이딩 결합용 삽입홈
44a:슬라이딩 결합용 돌출부 T1:평면형 접속단자
T2:돌출형 접속단자 h1:관통홀
100:튜브형 LED 램프10: PCB substrate 12: Adhesive tape
20: heat sink 30: diffusion cover
42, 44:
44a: Sliding fitting protrusion T1: Planar connection terminal
T2: Projection connection terminal h1: Through hole
100: tube type LED lamp
Claims (5)
제1 단면에 구비된 제1 접속단자; 및
상기 제1 단면의 반대측인 제2 단면에 구비되며 이웃하는 다른 튜브형 LED 램프의 상기 제1 접속단자와 가압 접촉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되,
이웃하는 튜브형 LED 램프 간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착탈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 단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결합용 삽입홈이 구비되고, 반대측 단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결합용 돌출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속단자는 평면형 접속단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는 돌출형 접속단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속단자는 상기 제1 접속단자와 탄성 가압 접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연결을 위한 튜브형 LED 램프.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in each of the cross-section on both sides of the tube-type LED lamp for expansion connection configured to extend the plurality of lamp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a first end surface; And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a second e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end surface and provided to allow pressur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f another neighboring tubular LED lamp.
Sliding engagement insertion groove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in the first or second end face, and sliding protrusion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in the opposite end surface so as to enable sliding detachable coupling between neighboring tube-shaped LED lamps. Are each provide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of a planar connection terminal,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of a protruding connection terminal,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enable elastic pressur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Tubular LED lamp for extended connection.
상기 튜브형 LED 램프의 양단에는 마감을 위한 베이스 캡이 각각 구비되되, 양단의 베이스 캡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 캡 단면에는 상기 제1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의 베이스 캡의 단면에는 상기 제2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연결을 위한 튜브형 LED 램프.
The method of claim 1,
Base caps for finishing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ube-shaped LED lamps,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cap of one of the base caps at both ends, and the second 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se cap. Tube type LED lamp for extended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is provided.
상기 제2 접속단자가 구비된 베이스 캡의 단면에는 상기 제2 접속단자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단자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 캡의 내측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일단부에서 연장된 상기 제2 접속단자의 중앙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 캡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형성되며, 상기 중앙부에서 연장된 상기 제2 접속단자의 타단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 캡의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연결을 위한 튜브형 LED 램프.
The method of claim 3,
A through hole for protr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ase cap provid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base cap,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extending from the one end is bent to protrude out of the base cap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extending from the center portion is a tubular LED lamp for expansion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to the inside of the base cap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베이스 캡은, 복수의 튜브형 LED 램프가 길이방향으로 확장 연결된 상태에서, 튜브형 LED 램프의 외부로 발산되는 빛의 색상 및 밝기가 확장 연결된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발산되도록 하는 재질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연결을 위한 튜브형 LED 램프. The method of claim 3,
The base cap is made of a material such that the color and brightness of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tube-shaped LED lamp is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extended conn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tubular LED lamps ar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ube type LED lamp for extended conn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2429A KR101309237B1 (en) | 2013-02-28 | 2013-02-28 | Tube type led lamp with expandable connect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2429A KR101309237B1 (en) | 2013-02-28 | 2013-02-28 | Tube type led lamp with expandable connect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9237B1 true KR101309237B1 (en) | 2013-09-16 |
Family
ID=4945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2429A Active KR101309237B1 (en) | 2013-02-28 | 2013-02-28 | Tube type led lamp with expandable connect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9237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4560U (en) * | 2014-06-13 | 2015-12-23 | 주식회사 링크맨 | Light unit |
AT515246A3 (en) * | 2013-12-20 | 2017-10-15 | H4X Eu | Profile lighting system and assembly method for it |
EP3387321A1 (en) * | 2015-12-09 | 2018-10-17 | IBV Holding GmbH | Lighting device for a modular lighting system, modular lighting system, and connection piece |
KR20200088049A (en) * | 2019-01-14 | 2020-07-22 | (주)가올 | A Lighting Apparatus |
KR102221686B1 (en) * | 2020-08-20 | 2021-03-03 | 주식회사 비엘케이 | Connection type LED light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94828A1 (en) | 2006-10-24 | 2008-04-24 | Shu-Fa Shao | Light-emitting diode lamp bank |
KR20100094906A (en) * | 2009-02-19 | 2010-08-27 | 심현섭 |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expansion connecting for length direction |
KR20110117305A (en) * | 2010-04-21 | 2011-10-27 | 주식회사 더제스트 | Supporting device for fluorescent type LED lighting |
KR20120040635A (en) * | 2010-10-19 | 2012-04-27 | 주식회사 필룩스 | Lighting apparatus |
-
2013
- 2013-02-28 KR KR1020130022429A patent/KR10130923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94828A1 (en) | 2006-10-24 | 2008-04-24 | Shu-Fa Shao | Light-emitting diode lamp bank |
KR20100094906A (en) * | 2009-02-19 | 2010-08-27 | 심현섭 |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expansion connecting for length direction |
KR20110117305A (en) * | 2010-04-21 | 2011-10-27 | 주식회사 더제스트 | Supporting device for fluorescent type LED lighting |
KR20120040635A (en) * | 2010-10-19 | 2012-04-27 | 주식회사 필룩스 | Lighting apparatus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515246A3 (en) * | 2013-12-20 | 2017-10-15 | H4X Eu | Profile lighting system and assembly method for it |
AT515246B1 (en) * | 2013-12-20 | 2018-12-15 | H4X Eu | Profile lighting system and assembly method for it |
KR20150004560U (en) * | 2014-06-13 | 2015-12-23 | 주식회사 링크맨 | Light unit |
KR200479246Y1 (en) * | 2014-06-13 | 2016-01-06 | 주식회사 링크맨 | Light unit |
EP3387321A1 (en) * | 2015-12-09 | 2018-10-17 | IBV Holding GmbH | Lighting device for a modular lighting system, modular lighting system, and connection piece |
KR20200088049A (en) * | 2019-01-14 | 2020-07-22 | (주)가올 | A Lighting Apparatus |
KR102170349B1 (en) | 2019-01-14 | 2020-10-27 | (주)가올 | A Lighting Apparatus |
KR102221686B1 (en) * | 2020-08-20 | 2021-03-03 | 주식회사 비엘케이 | Connection type LED light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82322B2 (en) | Two part surface mount LED strip connector and LED assembly | |
JP3154671U (en) | LED lamp | |
CN100573939C (en) | The LED illuminating lamp of LED unit and use LED unit | |
US8541958B2 (en) | LED light with thermoelectric generator | |
JP3154200U (en) | LED lamp | |
US20130010459A1 (en) | Led tube lamp | |
US20120008314A1 (en) | Led light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ed light tube | |
KR101309237B1 (en) | Tube type led lamp with expandable connecting | |
JP3142652U (en) | Both-ends terminal structure of straight tube LED fluorescent lamp | |
CN203836632U (en) | Straight tube lamp and lighting device | |
JP2012204162A (en) |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fixture | |
JP3145181U (en) | Heat distribution type LED lamp tube | |
CN204437786U (en) | Lamp tube | |
JP2012199163A (en) |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fixture | |
KR101061218B1 (en) | Heat Sink for LED Lighting | |
CN201561301U (en) | light emitting device | |
TWM485363U (en) | Waterproof double-sided LED tube | |
CN204114638U (en) | Luminescence unit, Straight lamp and lighting device | |
CN203907512U (en) | Light source for lighting and lighting device | |
KR20100126064A (en) | LED ligh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101848488B1 (en) | FPL-type LED lamp | |
KR101309233B1 (en) | Tube type led lamp | |
TWI467113B (en) | Fluorescent tube | |
TWM457835U (en) | Lighting tube having two light-emitting surfaces | |
CN102102813A (en) | Straight pipe type light source with light emitting diod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3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