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255B1 -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255B1
KR101304255B1 KR1020120059134A KR20120059134A KR101304255B1 KR 101304255 B1 KR101304255 B1 KR 101304255B1 KR 1020120059134 A KR1020120059134 A KR 1020120059134A KR 20120059134 A KR20120059134 A KR 20120059134A KR 101304255 B1 KR101304255 B1 KR 10130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indow
washing wate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희
Original Assignee
김양희
심규승
이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희, 심규승, 이재홍 filed Critical 김양희
Priority to KR1020120059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0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means of an impeller in the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47L15/4242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by using ultraviolet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0Ultraviolet 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세척 장치는, 세척수로 수저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부와, 오염물을 포함하는 세척수를 정수하는 정수부와, 정수된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하고, 세척부는 세척수는 투과시키지만 오염물은 투과시키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제1 반투막 창과, 제1 반투막 창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유로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입구 창과, 세척수가 정수부로 유출되는 출구 창과, 수저류에 의해 회전되어 와류를 생성하는 프로펠러 부재를 포함하고, 정수부는 출구 창으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정수하는 멤브레인 부재와, 멤브레인 부재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세척수는 투과시키지만 오염물은 투과시키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제2 반투막 창과, 멤브레인 부재의 교체와 세척수의 배출이 가능한 배출구와, 멤브레인 부재를 탈착할 수 있고 배출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킹 부재를 포함하고, 유로는 제2 반투막 창을 투과한 세척수를 입구 창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세척 장치{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티스푼 등과 같은 수저류를 세척할 때에 세척수를 정수(淨水)하면서 세척할 수 있는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매장에서 다과나 음식을 제공할 때에 사용하는 수저류, 특히,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저을 때 사용하는 티스푼 등은, 음식물에 의한 오염이나 고착의 정도가 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후 물에 담구어 두는 정도로 간단히 세척하여 다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반복하여 사용하다 보면 위생상 좋지 않고, 물도 자주 갈아 주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면이 있다. 또한, 세척 후에 잘 건조시켜 두지 않으면 세균이 번식하기 쉽다.
또한,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지만, 수자원의 낭비가 크고, 세척할 때마다 급수 밸브를 열었다 닫았다 하는 작업도 번거롭다. 또한, 일일이 세제와 세척 도구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것은 상당한 수고가 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동 회전을 이용해 세척수를 순환 정수하면서 수저류를 세척함으로써, 수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간편한 방식으로 위생성 좋게 수저류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척 장치는, 세척수로 수저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부와, 오염물을 포함하는 세척수를 정수하는 정수부와, 정수된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하고, 세척부는 세척수는 투과시키지만 오염물은 투과시키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제1 반투막 창과, 제1 반투막 창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유로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입구 창과, 세척수가 정수부로 유출되는 출구 창과, 수저류에 의해 회전되어 와류를 생성하는 프로펠러 부재를 포함하고, 정수부는 출구 창으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정수하는 멤브레인 부재와, 멤브레인 부재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세척수는 투과시키지만 오염물은 투과시키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제2 반투막 창과, 멤브레인 부재의 교체와 세척수의 배출이 가능한 배출구와, 멤브레인 부재를 탈착할 수 있고 배출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킹 부재를 포함하고, 유로는 제2 반투막 창을 투과한 세척수를 입구 창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출구 창에는 역류 방지용 캡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수부는 세척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유로는 세척부와 정수부의 외측을 따라 연장되며,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모세관 작용을 갖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정수부는 자외선 살균부를 구비하여도 좋고, 자외선 살균부는 프로펠러 부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자외선을 발생시켜도 좋다. 세척부, 정수부 및 유로는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하우징에는 지지 부재가 더 구비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 회전을 이용해 세척수를 순환 정수하면서 수저류를 세척함으로써, 수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간편한 방식으로 위생성 좋게 수저류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 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외관과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 내에서의 세척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외관과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100)는 세척수로 수저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부(1), 오염물을 포함하는 세척수를 정수하는 정수부(2) 및 정수된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로(3)를 갖는 하우징(H)을 구비한다.
하우징(H)은, 예컨대, 상하로 긴 대략 원통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세척부(1), 정수부(2) 및 유로(3)가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이 없다. 또한, 하우징(H)은,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에 필요한 강성과 방수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이 없다. 세척부(1)와 정수부(2)는 하우징(H)과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고, 세척부(1)와 정수부(2)를 각각 또는 일체로 하우징(H)에 조립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조립식으로 제조할 경우, 각 부품의 교환 및 세척에 유리하다.
또한, 세척 장치(100)는 하우징(H)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 부재(S)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부재(S)는, 예컨대, 하우징(H)을 끼운 상태로 테이블 등에 세우거나 흡착 또는 접착시키는 형태의 부재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세척 장치(100)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조나 형상, 재질에 특별히 제한이 없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 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하우징(H)의 내측 상부에는 세척부(1)가 형성된다.
세척부(1)는, 예컨대, 상측이 개방된 대략 U자 단면을 갖는 원통 형상의 세척통(11)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세척통(11)은 그 개방단이 하우징(H)의 상단에 연결되어 하우징(H)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세척통(11)은,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에 필요한 강성과 방수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이 없다.
세척통(11)에는 원주 방향으로 따라 하나 이상의 제1 반투막 창(12)이 형성된다. 제1 반투막 창(12)은 세척수는 투과시키지만 오염물은 투과시키지 않는 반투막 성질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셀룰로오스는 보통 1300~1800 dalton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유기 분자는 통과할 수 없으므로, 셀룰로오스로 제1 반투막 창(12)을 제조하면, 물만 투과시키고 설탕과 같은 다당류 등은 걸러낼 수 있다. 제1 반투막 창(12)은, 예컨대, 원형으로 대략 4~8개 정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세척통(11)의 일측에는, 유로(3)로부터 정수된 세척수가 유입되는 입구 창(1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 창(13)은, 예컨대, 세척통(11)의 측벽 일부를 절취한 사각 창 형태의 개구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입구 창(13)은 세척통(11)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반투막 창(1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입구 창(13)의 하단이 제1 반투막 창(12)의 하단보다는 높게 위치하는 것이 좋다. 즉, 세척수가 제1 반투막 창(12)의 하단을 조금 넘어서 채워져 있는 경우에도 입구 창(13)으로는 세척수가 유입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통(11)의 타측에는, 수저류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을 포함하는 세척수가 정수부(2)로 유출되는 출구 창(14)이 형성된다. 출구 창(14)은, 예컨대, 입구 창(13)에 대향되는 세척통(11)의 측벽 하단을 절취한 사각 창 형태의 개구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출구 창(14)에는 (도시하지 않은) 역류 방지용 캡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류 방지용 캡은, 예컨대, 출구 창(14)의 외측에 부착되는 판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역류 방지용 캡은 후술하는 프로펠러 부재(15)를 회전시켰을 때 세척수의 유출 압력에 의해 개방되고, 프로펠러 부재(15)가 멈추면 세척수의 유출 압력이 약해짐에 따라 출구 창(14)을 다시 폐쇄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척부(1)는, 세척통(11)의 바닥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프로펠러 부재(15)를 구비한다. 프로펠러 부재(15)는, 수저류로 수동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시켰을 때, 세척수를 출구 창(14) 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이 없다. 예컨대, 회전축 주위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프로펠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보다 유연한 고무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도 된다. 수저류로 프로펠러 부재(15)를 회전시키면, 세척통(11) 내의 세척수가 급속 와류를 형성하면서 수저류의 표면을 세척하고, 부착된 프로펠러의 송류 현상으로 유입류와 유출류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흐름에 의해 세척수가 정수부(2)로 유출하는 동시에, 정수된 세척수가 유로(3)를 따라 상승하여 입구 창(13)을 넘어 대량으로 세척부(1) 내로 다시 유입됨으로써 순환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프로펠러 부재(15)와 함께 또는 이를 대신하여, 세척통(11) 내에 회전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부는, 예컨대, 2개의 환형 링 사이를 복수의 블레이드로 연결하고, 2개의 환형 링을 세척통(11)의 내측벽에 형성된 환형 홈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한 형태의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2를 참조하면, 하우징(H)의 내측 하부에는 정수부(2)가 형성된다.
정수부(2)는 예컨대, 하측에 좁은 배출구(23)를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정화통(21)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정화통(21)은 배출구(23)의 하부 개방단이 하우징(H)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우징(H)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정화통(21)은,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에 필요한 강성과 방수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이 없다.
정화통(21)은, 예컨대, 상단이 세척통(11)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펠러 부재(13)는 정화통(21)의 상단 외측, 즉, 세척통(11)의 바닥측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정화통(21)의 상단은 세척통(11)의 출구 창(14)에 연결되어, 출구 창(14)으로부터 유출된 세척수가 정화통(21)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정화통(21) 내에는, 수저류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을 포함하는 세척수를 정화시키는 멤브레인 부재(M)가 탑재된다. 멤브레인 부재(M)는, 예컨대, 불순물을 걸러내거나 흡착하는 형태의 필터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오염된 세척수를 정수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이 없다. 멤브레인 부재(M)는 정화통(21)의 배출구(23)를 통해 교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통(21)에는, 원주 방향으로 따라 하나 이상의 제2 반투막 창(22)이 형성된다. 제2 반투막 창(22)은, 예컨대, 정화통(21)의 측벽 또는 하부벽에 형성될 수 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반투막 창(22)은 세척수의 흐름으로 보아 멤브레인 부재(M)의 하류측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예컨대, 세척통(11)의 출구 창(14)을 세척통(11)의 바닥 중앙측에 배열하여 멤브레인 부재(M)의 중앙측으로 세척수를 유입시킬 수 있고, 제2 반투막 창(22)은 정화통(21)의 하부 외주측에 배열하여 멤브레인 부재(M)의 중앙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유동하면서 정수되어 나오는 세척수가 제2 반투막 창(22)으로 유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반투막 창(22)은, 예컨대, 제1 반투막 창(12)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여도 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세척수는 투과시키고 오염물은 투과시키지 않는 반투막 성질을 갖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제2 반투막 창(22)은, 예컨대, 원형으로 대략 4~8개 정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정화통(21)은, 예컨대, 하부가 개방되고 정화통(21)의 몸체보다 반경이 좁은 배출구(23)를 구비한다. 이 배출구(23)를 통해 폐수를 배출함으로써 세척 장치(100)를 건조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23)는, 멤브레인 부재(M)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출구(23)에는, 예컨대, 나사 결합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킹 부재(24)가 마련될 수 있다. 패킹 부재(23)는 배출구(23)와 정합하여 세척수의 누출을 방지한다. 패킹 부재(23)는, 예컨대, 고무나 플라스틱, 금속 재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패킹 부재(23)는, 예컨대, 멤브레인 부재(M)와 일체로 교환 가능한 형태의 것일 수 있고, 멤브레인 부재(M)와 별도로 분리되거나, 멤브레인 부재(M)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패킹 부재(23)에는, 예컨대, 배출구(23)에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가 부착되거나, 손잡이 홈 등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정수부(2)의 적어도 일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자외선 살균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살균부는, 예컨대, 정화통(21)에 자외선 LED를 설치하여 마련할 수 있다. 이 자외선 LED는, 예컨대, 프로펠러 부재(15)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 받아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세척부(1)와 정수부(2)의 측방, 즉, 하우징(H)의 내주측에는, 하우징(H)의 중심축 방향(도2에서는 상하 방향)을 따라 대략 환형의 유로(3)가 마련된다. 유로(3)는, 예컨대, 정화통(21)의 배출구(23) 외측에, 정화통(21)의 제2 반투막 창(22)을 통해 유출되는 세척수(정화수)를 수용하는 환형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환형 공간의 위쪽, 즉, 정화통(21)의 몸체 외측 공간에 좁은 모세관로(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모세관로(25)에 의해 정화통(21)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환형 공간에 수용된 세척수는 모세관로(25)를 따라 보다 용이하게 상승하여, 세척통(11)의 외측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세척통(11)의 외측 공간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다시 세척통(11)의 제1 반투막 창(12)이나 입구 창(13)을 통하여 세척통(11) 내부로 유입되어 순환 사이클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기능 내지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 내에서의 세척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먼저, 세척수는, 예컨대, 세척통(11)의 제1 반투막 창(12)의 하단 바로 아래 부분까지 채워지도록 주입된다. 그런 후, 수저류의 세척을 위해, 수저류를 세척통(11)에 넣고 프로펠러 부재(15)를,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수동 회전시키면, 프로펠러 부재(15)에 의해 세척수가 회전하면서 급속 와류를 형성하고, 이 와류에 의해 수저류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 내지 불순물이 수저류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수저류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을 포함하는 세척수는 프로펠러 부재(15)의 송류 압력에 의해 세척통(11) 하부의 출구 창(14)이 개방되면서 정화통(21) 내로 유입된다. 정화통(21) 내의 세척수는 완속류를 형성하면서 멤브레인 부재(M)에 의해 오염물이 흡착된다. 이렇게 정화된 세척수는 멤브레인 부재(M)로부터 유출되어 하류측의 제2 반투막 창(22)을 투과하여 유로(3)로 배출된다. 이 때, 오염물은 멤브레인 부재(M)에 의해서도 흡착되지만, 일부가 세척수 내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반투막 창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유로(3) 내로는 정화된 정화수만이 공급된다.
유로(3)로 배출된 정화수는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한 송류 압력과 정화통(21)의 몸체 외측에 형성된 모세관로(25)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로(3)를 따라 상승하여 세척통(11)의 외측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세척수가 계속해서 유입되면 최초 세척수의 수위보다 수위가 상승하여 세척통(11)에 형성된 제1 반투막(12)을 통해서는 물론, 그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입구 창(13)을 통해서도 대량의 세척수가 흘러 들어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에 의하면, 프로펠러를 수동 회전하는 것에 의해 수저류를 세척하고 난 후의 세척수가 정수부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이렇게 정화된 세척수가 유로를 통해 다시 세척부로 공급되는 순환 사이클을 형성하므로, 세척수를 갈아 주지 않더라도 프로펠러를 수동 회전하는 것에 의해 세척수를 계속 정화하면서 수저류를 세척하므로, 수자원을 낭비하지 않고도 간편하고 위생상 좋게 수저류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정화통(21) 내에는 흡착된 오염물이 남게 되어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정화통(21) 내에 자외선 살균부를 설치해 두고, 프로펠러 부재(15)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작동시키면, 별도의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도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어 양호한 위생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프로펠러 부재(15)의 회전이 정지되면, 세척수의 송출 압력이 약해지면서 역류 방지용 캡 등에 의해 출구 창(14)이 폐쇄되어 정화통(21) 내로는 더 이상 세척수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정화통(21) 내부는 오염물이 축적되어 유로(3) 측보다 농도가 높아지므로, 삼투압에 의해 유로(3) 측으로부터 세척수가 꺼꾸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정화통(21) 내부에는 세척수가 다량으로 존재하게 되지만, 전체 세척수의 수위는 최초보다 낮아져서 대략 프로펠러 부재(15)의 아래쪽까지 내려 오게 된다.
이렇게 정화통(21) 쪽에 대량으로 남아 있는 세척수를 배출구(23)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세척 장치(100) 내부의 세척수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유로(3) 쪽에 남아 있는 세척수는 하우징(H) 쪽에 별도의 물뽑기 구멍을 형성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세척수를 제거한 후, 평상시에는 자연 건조 상태를 유지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기초하여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1: 세척부 2: 정수부
3: 유로 11: 세척통
12: 제1 반투막 창 13: 입구 창
14: 출구 창 15: 프로펠러 부재
21: 정화통 22: 제2 반투막 창
23: 배출구 24: 패킹 부재
25: 모세관로

Claims (1)

  1. 세척수로 수저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부와, 오염물을 포함하는 세척수를 정수하는 정수부와, 정수된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하고,
    세척부는 세척수는 투과시키지만 오염물은 투과시키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제1 반투막 창과, 제1 반투막 창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유로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입구 창과, 세척수가 정수부로 유출되는 출구 창과, 수저류에 의해 회전되어 와류를 생성하는 프로펠러 부재를 포함하고,
    정수부는 출구 창으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정수하는 멤브레인 부재와, 멤브레인 부재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세척수는 투과시키지만 오염물은 투과시키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제2 반투막 창과, 멤브레인 부재의 교체와 세척수의 배출이 가능한 배출구와, 멤브레인 부재를 탈착할 수 있고 배출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킹 부재를 포함하고,
    유로는 제2 반투막 창을 투과한 세척수를 입구 창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세척 장치.
KR1020120059134A 2012-06-01 2012-06-01 세척 장치 KR101304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134A KR101304255B1 (ko) 2012-06-01 2012-06-01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134A KR101304255B1 (ko) 2012-06-01 2012-06-01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255B1 true KR101304255B1 (ko) 2013-09-10

Family

ID=4945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134A KR101304255B1 (ko) 2012-06-01 2012-06-01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2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7256U (ko) * 1973-06-11 1975-02-24
KR950003186B1 (ko) * 1985-10-21 1995-04-04 오오오까 유끼오 초음파 식기류세정기
KR200402095Y1 (ko) 2005-09-12 2005-11-25 이창용 수저통과 이를 포함하는 수저 세정장치
KR20100111398A (ko) * 2009-04-07 2010-10-15 백용기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7256U (ko) * 1973-06-11 1975-02-24
KR950003186B1 (ko) * 1985-10-21 1995-04-04 오오오까 유끼오 초음파 식기류세정기
KR200402095Y1 (ko) 2005-09-12 2005-11-25 이창용 수저통과 이를 포함하는 수저 세정장치
KR20100111398A (ko) * 2009-04-07 2010-10-15 백용기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958B2 (en) System and containers for water filtration and item sanitization
CN201414772Y (zh) 一种与洗涤槽结合的全自动洗涤器具
CN105692788A (zh) 净水机
KR102639274B1 (ko) 자가 관리형 정수기
US20150246377A1 (en) Washing maching including integral filter module and aerator
JP2016073973A (ja) 逆浸透膜を初期化可能な逆浸透膜浄水装置
WO2004113232A2 (en) System and containers for water filtration and item sanitization
KR102010981B1 (ko) 수처리장치
JP2013081733A (ja) 洗浄機器用の濾過装置
KR101304255B1 (ko) 세척 장치
KR100928151B1 (ko) 여과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TW200808243A (en) Fruit-and-vegetable washing machine capable of recycling water for purifying water and saving water
KR20130007144U (ko) 발전 세척 장치
JP2011020068A (ja) 排水浄化装置
WO2015163429A1 (ja) 除濁膜モジュールの運転方法
CN104226118B (zh) 端盖包括一体阀的过滤器模块
KR20170088792A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JP2010247137A (ja) 浄水器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825089B1 (ko) 휴대용 정수기
US20160106296A1 (en) Filter module with end caps including integral valves
CN216303531U (zh) 一种具有净水功能的灭菌供水装置
CN107080997B (zh) 一种过滤器
CN203694924U (zh) 端盖包括一体阀的过滤器模块
CN219079185U (zh) 一种新型家用净水设备
CN208130606U (zh) 一种纺织面料生产用四方池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