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911B1 - The pillow to induce deep sleep having air cooling function - Google Patents

The pillow to induce deep sleep having air cool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911B1
KR101298911B1 KR1020130055664A KR20130055664A KR101298911B1 KR 101298911 B1 KR101298911 B1 KR 101298911B1 KR 1020130055664 A KR1020130055664 A KR 1020130055664A KR 20130055664 A KR20130055664 A KR 20130055664A KR 101298911 B1 KR101298911 B1 KR 10129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layer body
pillow
head
air flow
slee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진환
김다물
Original Assignee
안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환 filed Critical 안진환
Priority to KR102013005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9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91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침자의 머리를 지탱하여 취침과정에서의 편안함이나 안락함을 유도하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취침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재질의 다층몸체부(10)와;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공기유동부(20);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와 연통하는 머리안착부(30); 및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수납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머리안착부(20,30)를 경유하는 공기에 의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4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베개에 곡물류를 포함한 베개속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쿠션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베개의 제조 및 유지에 따른 하중이 절감됨은 물론 세균번식이 최소화되어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that supports the head of the sleeper to induce comfort or comfort in the bedtime process,
A multi-layer body part 10 of cushion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leeper; An air flow part 20 formed o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ead; A head seating portion 3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20; And a fragrance diverging part 4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nd emits fragrance to the surroundings by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art and the head seating parts 20 and 30,
By providing a cushioning force in the state that does not accommodate the pillow including grains in the pillow, the load is re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 and maintenance of the pillow as well as to minimize the growth of bacteria to help promote health.

Description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The pillow to induce deep sleep having air cooling function}The pillow to induce deep sleep having air cooling function

본 발명은 취침자의 머리를 지탱하여 취침과정에서의 숙면을 유도하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베개에 수납물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통기성을 향상하여 열분산기능을 부여함은 물론 향기를 발산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that supports the head of the sleeper to induce a good night's sleep in the sleep process, in particular, to improve the breathability in the state that does not accommodate the object in the pillow to give heat dissipation function as well as to scent fragr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for inducing sleep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to induce a good night's sleep.

일반적으로, 베개는 취침자의 머리를 일정높이로 지탱하여 수면과정에서의 편안함이나 안락함을 유도하는 침구류로서, 이 베개는 상기 취침자의 머리 주위에 공기가 통기하여 어느 정도 열분산을 유도하도록 메밀이나 쌀겨와 같은 빈공간을 갖는 곡물류를 수용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a pillow is a bedding that supports the head of the bed to a certain height to induce comfort or comfort in the sleep process, the pillow is a buckwheat or A method of accommodating grains having an empty space such as rice bran is used.

그러나, 상기 베개에 곡물류를 수용하는 방식은 상기 취침자의 머리에 짓눌러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압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특히 상기 곡물류에 땀이나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경우 냄새가 발생하거나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어 자주 건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 method of accommodating grains in the pillow has a problem of being crushed by the head of the sleeper and gradually compressed over time, and especially when foreign substances such as sweat or moisture penetrate the grains, odor or bacteria There is a fear of breeding,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must be frequently dried.

이에 의해, 상기 베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베개속에 다양한 형태의 수납물질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베개의 고유기능을 유지하면서도 기능성을 더욱 증대한 이른바 "기능성 베개"가 연구중에 있다.Accordingly, the so-called "functional pillow" is being studied to increase the functionality while maintaining the unique function of the pillow by applying various types of storage material in the pillow to solve the disadvantage of the pillow.

먼저, 상기 기능성 베개로서 상기 베개속에 파이프부재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부재에 향기발생수단을 충진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지만, 상기 베개의 대류현상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향기발생수단이 쉽게 부패하여 취침자의 건강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First, a method of filling the pipe member with fragrance generating means in a state in which the pipe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pillow as the functional pillow has been proposed, but if the convection phenomenon of the pillow is not made smoothly, the fragrance generating means is easy. There was a problem that deteriorates the health of the sleeping people.

또한, 상기 기능성 베개로서 상기 베개속에 자석이나 세라믹이나 숯과 같은 건강소재를 수용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지만, 상기 숯과 같은 건강소재가 머리와의 잦은 접촉으로 인해 파손될 우려가 있고 상기 건강소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이불을 포함한 주변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 method of accommodating a health material such as magnets, ceramics or charcoal in the pillow as the functional pillow has been proposed, but the health material such as the charcoal may be damaged due to frequent contact with the head, and the health material is external. When exposed to the problem of dirty surrounding the bedding.

또한, 상기 기능성 베개로서 상기 베개속에 원적외선물질이나 바이오물질과 같은 방사소재를 수용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지만, 상기 방사물질은 대부분 쉽게 고형화될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방사소재의 분리 및 교체에 따른 불편함은 물론 유지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s a functional pillow, a method of receiving a radiation material such as a far infrared ray material or a biomaterial is proposed in the pillow, but most of the radiation material may be easily solidified, and as a result, separation and replacement of the radiation material may occur. Of cour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osts are increased.

따라서, 상기 기능성 베개에 수용되는 수납물질을 배제한 상태에서 상기 취침자의 안락함이나 편안함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취침자의 숙면을 유도하여 건강을 증진하는 베개의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study of a pillow that provides comfort or comfort to the sleeper while excluding the storage material contained in the functional pillow, and induces a good night's sleep for the sleep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베개에 수납물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통기성을 향상하여 열분산기능을 부여함은 물론 향기를 발산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improve the breathability in the state that does not accommodate the object in the pillow to impart heat dissipation function as well as to emit a scent to induce a good night's sleep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llow for inducing sleep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발명은; 취침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재질의 다층몸체부와; 상기 다층몸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공기유동부; 상기 다층몸체부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연통하는 머리안착부; 및 상기 다층몸체부에 수납되어 상기 제1,2통기공을 경유하는 공기에 의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층몸체부가 폴리우레탄(메모리폼)을 사이에 두고 그 상면과 그 하면에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라텍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된다.The firs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ulti-layer body part of cushion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leeper; An air flow unit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ultilayer body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ead; A head seat portion penetr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And a fragrance diverging part stored in the multilayer body part to emit fragrance to the surroundings by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nt holes, wherein the multilayer body part has a polyurethane (memory foam)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t least one of polycarbonate and latex is laminated on the bottom surfa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발명은; 취침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재질의 다층몸체부와; 상기 다층몸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공기유동부; 상기 다층몸체부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연통하는 머리안착부; 상기 다층몸체부에 수납되어 상기 제1,2통기공을 경유하는 공기에 의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 및 상기 다층몸체부의 외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머리를 지압하는 지압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층몸체부가 폴리우레탄(메모리폼)을 사이에 두고 그 상면과 그 하면에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라텍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된다.A second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ulti-layer body part of cushion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leeper; An air flow unit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ultilayer body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ead; A head seat portion penetr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A fragrance diverging unit which is stored in the multilayer body and emits fragrance to the surroundings by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nt holes; And acupressure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press the head, where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is formed of polycarbonate or latex on its upper surface and its lower surface with a polyurethane (memory foam) interposed therebetween. At least one is stack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발명은; 취침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재질의 다층몸체부와; 상기 다층몸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공기유동부; 상기 다층몸체부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연통하는 머리안착부; 상기 다층몸체부에 수납되어 상기 제1,2통기공을 경유하는 공기에 의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 및 상기 다층몸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제1,2통기공을 경유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열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층몸체부가 폴리우레탄(메모리폼)을 사이에 두고 그 상면과 그 하면에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라텍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된다.The third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ulti-layer body part of cushion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leeper; An air flow unit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ultilayer body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ead; A head seat portion penetr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A fragrance diverging unit which is stored in the multilayer body and emits fragrance to the surroundings by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nt holes; And a heat dissipation part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multilayer body part and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holes passes. At least one of polycarbonate or latex is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multilayer body part with a polyurethane (memory foam)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4발명은; 취침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재질의 다층몸체부와; 상기 다층몸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공기유동부; 상기 다층몸체부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연통하는 머리안착부; 상기 다층몸체부에 수납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머리안착부를 경유하는 공기에 의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 상기 다층몸체부의 외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머리를 지압하는 지압돌기부; 및 상기 다층몸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을 경유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열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층몸체부가 폴리우레탄(메모리폼)을 사이에 두고 그 상면과 그 하면에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라텍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된다.
Four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ulti-layer body part of cushion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leeper; An air flow unit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ultilayer body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ead; A head seat portion penetr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A fragrance diverging unit which is stored in the multilayer body and emits fragrance to the surroundings by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unit and the head seating unit; Acupressure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essure the head; And a heat dissipation part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multilayer body part and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art passes, wherein the multilayer body part has a polyurethane (memory foam)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Or at least one of the latexes is lamina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베개에 곡물류를 포함한 베개속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쿠션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베개의 제조 및 유지보수에 따른 하중이 절감되고 세균번식이 최소화되어 건강증진에 도움을 준다.First, by providing a cushioning force in the state that does not accommodate the pillow including grains in the pillow, the load is re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 and maintenance of the pillow, minimizing the growth of bacteria helps to promote health.

둘째, 상기 베개에 포함된 상기 향기발산부가 상기 취침자의 누름압력에 맞추어 상기 제1,2통기공을 경유하여 주변으로 발산함으로써, 상기 취침자가 수면중이더라도 안락함과 편안함을 항상 느낄 수 있다.Second,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included in the pillow emanates to the surroundings via the first and second vent hol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sleeper, so that even when the sleeper is sleeping, comfort and comfort can always be felt.

셋째, 상기 베개에 상기 취침자의 머리형태와 대응하는 오목구조를 갖는 머리안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머리안착부에 의해 상기 취침자의 머리가 항상 통풍가능하게 세팅되어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Third, by forming a head restraint having a concav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ead of the sleeper on the pillow, the head of the sleeper is always set to be ventilated by the head restraint to induce a good night's sleep.

넷째, 상기 베개에 일정간격을 두고 지압돌기부 또는 열분산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취침자의 머리부분을 지압할 수 있어 건강증진 및 사용만족도가 극대화됨은 물론 상기 열분산에 따른 효율이 증대된다.Fourth, by forming acupressure protrusions or heat dissipating part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pillow can be acupressure the head of the sleeper to maximize health satisfaction and use satisfaction as well as the efficiency of heat dissipation is increased.

다섯째, 상기 베개의 몸체를 다층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쿠션감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취침자의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베개의 대중화가 가능해진다.
Fifth, by configuring the body of the pillow in a multi-layer to provide a feeling of cushion of various form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d specifications of the sleeper, thereby enabling the popularization of the pil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숙면유도용 베개의 일 실시예로서, 도 1a는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이고, 도 1c는 도 1a의 B-B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숙면유도용 베개의 이 실시예로서, 도 2a는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이고, 도 2c는 도 2a의 B-B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숙면유도용 베개의 삼 실시예로서, 도 3a는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이고, 도 3c는 도 3a의 B-B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숙면유도용 베개의 사 실시예로서, 도 4a는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A선이고, 도 4c는 도 4a의 B-B이다.
Figure 1 is an embodiment of a pillow for inducing sle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llow, Figure 1b is a line AA of Figure 1a, Figure 1c is a BB of Figure 1a.
Figure 2 is this embodiment of a good night sleep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llow, Figure 2b is a line AA of Figure 2a, Figure 2c is a BB of Figure 2a.
Figure 3 is a three embodiments of the pillow for induction sle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llow, Figure 3b is a line AA of Figure 3a, Figure 3c is a BB of Figure 3a.
Figure 4 is a four embodiments of the pillow for induction sle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llow, Figure 4b is a line AA of Figure 4a, Figure 4c is a BB of Figure 4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실시예 1]Example 1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취침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재질의 다층몸체부(10)와;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공기유동부(20);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와 연통하는 머리안착부(30); 및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수납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머리안착부(20,30)를 경유하는 공기에 의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다층몸체부(10)가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을 사이에 두고 그 상면과 그 하면에 폴리카보네이트(14) 또는 라텍스(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layer body portion 10 of the cushion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leeper; An air flow portion 20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ead; A head seating portion 30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20; And a fragrance diverging part 4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nd emits fragrance to the surroundings by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art and the head seating parts 20 and 30. At least one of the polycarbonate 14 or the latex 16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with the polyurethane 10 (memory foam) 12 interposed therebetween.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개(1)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상기 공기유동부(20)와 머리안착부(30)와 향기발산부(40)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베개(1)에 커버를 씌워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First, the pillow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the air flow portion 20, the head seating portion 30 and the fragrance diverging portion 40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n particular the pillow ( Naturally, it can be used by covering it with 1).

여기서, 상기 다층몸체부(10)는 상기 베개의 외관을 이룸은 물론 상기 취침자에게 다양한 쿠션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과, 상기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의 외주면에 부착된 폴리카보네이트(14) 및, 상기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의 내주면에 부착된 라텍스(16)가 적층되어 구성된다.Here,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as well as providing a variety of cushioning power to the sleeper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the pillow, polyurethane (memory foam, 12) of the polyurethane (memory foam, 12) The polycarbonate 14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atex 16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yurethane (memory foam) 12 are laminated.

이때, 상기 다층몸체부(10)로서 상기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4)와 상기 라텍스(16)가 적층된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상기 취침자의 머리 하중을 원활히 지탱하고 성형성이 우수한 천연소재 및 화학제품이라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In this case, although the polyurethane (memory foam) 12, the polycarbonate 14, and the latex 16 are laminated as the multilayer body part 10, the head load of the sleeper is smoothly supported and moldability is maintained. Naturally, these excellent natural materials and chemical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category of the present application.

물론, 본원에서는 상기 다층몸체부(10)가 3층이 적층된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2층 또는 4층 이상으로 구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Of cour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is limited to three laminated layers, bu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category of the present application even if composed of two or more than four layers.

그리고, 상기 공기유동부(2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과정에서 압축되거나 리턴하는 것으로서, 상기 취침자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한 개 형성할 수도 있고 다수개 형성할 수도 있다.The air flow portion 20 penetrates through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mpresses or returns in the pressing process of the head, and absorbs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sleeping head.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one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 plurality thereof may be formed.

이때, 상기 공기유동부(20)는 상기 다층몸체부(10)를 판형상으로 성형한 상태에서 일정크기로 말아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다층몸체부(10)의 폴리카보네이트(14)를 요?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air flow portion 20 is preferably formed by rolling a predetermined size in a state in which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but requires the polycarbonate 14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t can also be formed in a shape.

그리고, 상기 머리안착부(3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와 연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유동부(20)를 경유하는 공기를 상하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취침자의 머리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d seating portion 30 penetrates vertically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20, and vertically moves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ortion 20.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ncave to perform a function of guiding in the direction, an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sleeper.

그리고,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취침자에거 유용한 향기를 발산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삽입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다층몸체부(10)에 벨크로테이프를 구성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ragrance dissipation unit 40 is to emit a useful fragrance to the sleeper, to form a receiving groove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and can be installed by inserting,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Forming the engaging projection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ference fit type, it may be configured by attaching the Velcro tape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물론, 상기 향기발산부(40)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경우 지퍼나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밀폐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when the fragrance diverging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is preferably sealed using a zipper or Velcro tape.

이때,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아로마나 국화나 허브와 같이 신체에 이로운 것으로 알려진 식물성소재를 수용하는 용기를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means a container for containing a vegetable material known to be beneficial to the body, such as aroma, chrysanthemum or herbs.

[실시예 2][Example 2]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취침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재질의 다층몸체부(10)와;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공기유동부(20);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와 연통하는 머리안착부(30);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수납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머리안착부(20,30)를 경유하는 공기에 의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40); 및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외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머리를 지압하는 지압돌기부(50)를 포함하며, 상기 다층몸체부(10)가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을 사이에 두고 그 상면과 그 하면에 폴리카보네이트(14) 또는 라텍스(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 2,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layer body portion 10 of the cushion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leeper; An air flow portion 20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ead; A head seating portion 30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20; A fragrance diverging unit 4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nd emits fragrance to the surroundings by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unit and the head seating units 20 and 30; And acupressure protrusions 5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ess the head, where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s formed between the polyurethane (memory foam) 12. At least one of the polycarbonate 14 or the latex 16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개(1)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상기 공기유동부(20)와 머리안착부(30)와 향기발산부(40)와 지압돌기부(50)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베개(1)에 커버를 씌워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First, the pillow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the air flow portion 20, the head seating portion 30, the fragrance diverging portion 40 and the acupressure protrusions 50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cover can be used to cover the pillow (1).

여기서, 상기 다층몸체부(10)는 상기 베개의 외관을 이룸은 물론 상기 취침자에게 다양한 쿠션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과, 상기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의 외주면에 부착된 폴리카보네이트(14) 및, 상기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의 내주면에 부착된 라텍스(16)가 적층되어 구성된다.Here,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as well as providing a variety of cushioning power to the sleeper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the pillow, polyurethane (memory foam, 12) of the polyurethane (memory foam, 12) The polycarbonate 14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atex 16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yurethane (memory foam) 12 are laminated.

이때, 상기 다층몸체부(10)로서 상기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4)와 상기 라텍스(16)가 적층된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상기 취침자의 머리 하중을 원활히 지탱하고 성형성이 우수한 천연소재 및 화학제품이라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In this case, although the polyurethane (memory foam) 12, the polycarbonate 14, and the latex 16 are laminated as the multilayer body part 10, the head load of the sleeper is smoothly supported and moldability is maintained. Naturally, these excellent natural materials and chemical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category of the present application.

물론, 본원에서는 상기 다층몸체부(10)가 3층이 적층된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2층 또는 4층 이상으로 구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Of cour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is limited to three laminated layers, bu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category of the present application even if composed of two or more than four layers.

그리고, 상기 공기유동부(2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과정에서 압축되거나 리턴하는 것으로서, 상기 취침자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한 개 형성할 수도 있고 다수개 형성할 수도 있다.The air flow portion 20 penetrates through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mpresses or returns in the pressing process of the head, and absorbs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sleeping head.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one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 plurality thereof may be formed.

이때, 상기 공기유동부(20)는 상기 다층몸체부(10)를 판형상으로 성형한 상태에서 일정크기로 말아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다층몸체부(10)의 폴리카보네이트(14)를 요?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air flow portion 20 is preferably formed by rolling a predetermined size in a state in which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but requires the polycarbonate 14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t can also be formed in a shape.

그리고, 상기 머리안착부(3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와 연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유동부(20)를 경유하는 공기를 상하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취침자의 머리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d seating portion 30 penetrates vertically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20, and vertically moves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ortion 20.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ncave to perform a function of guiding in the direction, an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sleeper.

그리고,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취침자에거 유용한 향기를 발산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삽입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다층몸체부(10)에 벨크로테이프를 구성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ragrance dissipation unit 40 is to emit a useful fragrance to the sleeper, to form a receiving groove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and can be installed by inserting,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Forming the engaging projection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ference fit type, it may be configured by attaching the Velcro tape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물론, 상기 향기발산부(40)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경우 지퍼나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밀폐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when the fragrance diverging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is preferably sealed using a zipper or Velcro tape.

이때,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아로마나 국화나 허브와 같이 신체에 이로운 것으로 알려진 식물성소재를 수용한 용기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means a container containing a vegetable material known to be beneficial to the body, such as aroma, chrysanthemum or herbs.

그리고, 상기 지압돌기부(5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외표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텍스(16)의 외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취침자의 머리를 지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4)의 성형과정에서 동시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cupressure protrusion 50 is protru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latex 16, and performs a function to press the head of the sleeper. In addition, the polycarbonate 14 is preferably formed at the same time during the molding process.

[실시예 3][Example 3]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취침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재질의 다층몸체부(10)와;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공기유동부(20);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와 연통하는 머리안착부(30);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수납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머리안착부(20,30)를 경유하는 공기에 의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40); 및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되어 제1,2통기공(20)을 경유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열분산부(60)를 포함하며, 상기 다층몸체부(10)가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을 사이에 두고 그 상면과 그 하면에 폴리카보네이트(14) 또는 라텍스(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 3,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layer body portion 10 of the cushion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leeper; An air flow portion 20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ead; A head seating portion 30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20; A fragrance diverging unit 4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nd emits fragrance to the surroundings by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unit and the head seating units 20 and 30; And a heat dissipation part 60 formed i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nd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nt holes 20 passes, wherei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is made of polyurethane (memory foam, At least one of the polycarbonate 14 or the latex 16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with 12) therebetween.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개(1)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상기 공기유동부(20)와 머리안착부(30)와 향기발산부(40)와 열분산부(60)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베개(1)에 커버를 씌워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First, the pillow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the air flow portion 20, the head seating portion 30, the fragrance diverging portion 40 and the heat dissipation portion 60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cover can be used to cover the pillow (1).

여기서, 상기 다층몸체부(10)는 상기 베개의 외관을 이룸은 물론 상기 취침자에게 다양한 쿠션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과, 상기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의 외주면에 부착된 폴리카보네이트(14) 및, 상기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의 내주면에 부착된 라텍스(16)가 적층되어 구성된다.Here,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as well as providing a variety of cushioning power to the sleeper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the pillow, polyurethane (memory foam, 12) of the polyurethane (memory foam, 12) The polycarbonate 14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atex 16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yurethane (memory foam) 12 are laminated.

이때, 상기 다층몸체부(10)로서 상기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4)와 상기 라텍스(16)가 적층된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상기 취침자의 머리 하중을 원활히 지탱하고 성형성이 우수한 천연소재 및 화학제품이라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In this case, although the polyurethane (memory foam) 12, the polycarbonate 14, and the latex 16 are laminated as the multilayer body part 10, the head load of the sleeper is smoothly supported and moldability is maintained. Naturally, these excellent natural materials and chemical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category of the present application.

물론, 본원에서는 상기 다층몸체부(10)가 3층이 적층된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2층 또는 4층 이상으로 구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Of cour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is limited to three laminated layers, bu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category of the present application even if composed of two or more than four layers.

그리고, 상기 공기유동부(2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과정에서 압축되거나 리턴하는 것으로서, 상기 취침자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한 개 형성할 수도 있고 다수개 형성할 수도 있다.The air flow portion 20 penetrates through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mpresses or returns in the pressing process of the head, and absorbs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sleeping head.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one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 plurality thereof may be formed.

이때, 상기 공기유동부(20)는 상기 다층몸체부(10)를 판형상으로 성형한 상태에서 일정크기로 말아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다층몸체부(10)의 폴리카보네이트(14)를 요?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air flow portion 20 is preferably formed by rolling a predetermined size in a state in which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but requires the polycarbonate 14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t can also be formed in a shape.

그리고, 상기 머리안착부(3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와 연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유동부(20)를 경유하는 공기를 상하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취침자의 머리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d seating portion 30 penetrates vertically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20, and vertically moves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ortion 20.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ncave to perform a function of guiding in the direction, an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sleeper.

그리고,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취침자에거 유용한 향기를 발산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삽입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다층몸체부(10)에 벨크로테이프를 구성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ragrance dissipation unit 40 is to emit a useful fragrance to the sleeper, to form a receiving groove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and can be installed by inserting,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Forming the engaging projection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ference fit type, it may be configured by attaching the Velcro tape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물론, 상기 향기발산부(40)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경우 지퍼나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밀폐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when the fragrance diverging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is preferably sealed using a zipper or Velcro tape.

이때,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아로마나 국화나 허브와 같이 신체에 이로운 것으로 알려진 식물성소재를 수용한 용기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means a container containing a vegetable material known to be beneficial to the body, such as aroma, chrysanthemum or herbs.

그리고, 상기 열분산부(6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일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취침자의 머리부분으로 공기를 제공하여 열분산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공기유동부와 머리안착부(20,30)를 경유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The heat dissipation part 60 is formed through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equentially penetrates. The heat dissipation part 60 serves to induce heat dissipation by providing air to the head of the sleeper,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ortion and the head seating portion (20, 30).

[실시예 4]Example 4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취침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재질의 다층몸체부(10)와;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공기유동부(20);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와 연통하는 머리안착부(30);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수납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머리안착부(20,30)를 경유하는 공기에 의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40);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외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머리를 지압하는 지압돌기부(50); 및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을 경유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열분산부(60)를 포함하며, 상기 다층몸체부(10)가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을 사이에 두고 그 상면과 그 하면에 폴리카보네이트(14) 또는 라텍스(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 4,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layer body portion 10 of the cushion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leeper; An air flow portion 20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ead; A head seating portion 30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20; A fragrance diverging unit 4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nd emits fragrance to the surroundings by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unit and the head seating units 20 and 30; Acupressure protrusions 5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essure the head; And a heat dissipation part 60 formed i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art 20 passes, wherei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is made of polyurethane (memory foam, 12). At least one of the polycarbonate 14 or the latex 16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with the gap therebetween.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개(1)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상기 공기유동부(20)와 머리안착부(30)와 향기발산부(40)와 지압돌기부(50)와 열분산부(60)로 구성도며, 특히 상기 베개(1)에 커버를 씌워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First, the pillow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air flow portion 20, the head seating portion 30, the fragrance diverging portion 40, the acupressure protrusions 50 and the heat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idge 60, in particular it can be used to cover the pillow (1).

여기서, 상기 다층몸체부(10)는 상기 베개의 외관을 이룸은 물론 상기 취침자에게 다양한 쿠션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과, 상기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의 외주면에 부착된 폴리카보네이트(14) 및, 상기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의 내주면에 부착된 라텍스(16)가 적층된다.Here,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as well as providing a variety of cushioning power to the sleeper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the pillow, polyurethane (memory foam, 12) of the polyurethane (memory foam, 12) The polycarbonate 14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atex 16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yurethane (memory foam) 12 are laminated.

이때, 상기 다층몸체부(10)로서 상기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4)와 상기 라텍스(16)가 적층된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상기 취침자의 머리 하중을 원활히 지탱하고 성형성이 우수한 천연소재 및 화학제품이라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In this case, although the polyurethane (memory foam) 12, the polycarbonate 14, and the latex 16 are laminated as the multilayer body part 10, the head load of the sleeper is smoothly supported and moldability is maintained. Naturally, these excellent natural materials and chemical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category of the present application.

물론, 본원에서는 상기 다층몸체부(10)가 3층이 적층된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2층 또는 4층 이상으로 구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Of cour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is limited to three laminated layers, bu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category of the present application even if composed of two or more than four layers.

그리고, 상기 공기유동부(2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과정에서 압축되거나 리턴하는 것으로서, 상기 취침자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한 개 형성할 수도 있고 다수개 형성할 수도 있다.The air flow portion 20 penetrates through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mpresses or returns in the pressing process of the head, and absorbs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sleeping head.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one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 plurality thereof may be formed.

이때, 상기 공기유동부(20)는 상기 다층몸체부(10)를 판형상으로 성형한 상태에서 일정크기로 말아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다층몸체부(10)의 폴리카보네이트(14)를 요?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air flow portion 20 is preferably formed by rolling a predetermined size in a state in which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but requires the polycarbonate 14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t can also be formed in a shape.

그리고, 상기 머리안착부(3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와 연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유동부(20)를 경유하는 공기를 상하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취침자의 머리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d seating portion 30 penetrates vertically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20, and vertically moves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ortion 20.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ncave to perform a function of guiding in the direction, an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sleeper.

그리고,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취침자에거 유용한 향기를 발산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삽입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다층몸체부(10)에 벨크로테이프를 구성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ragrance dissipation unit 40 is to emit a useful fragrance to the sleeper, to form a receiving groove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and can be installed by inserting,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Forming the engaging projection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ference fit type, it may be configured by attaching the Velcro tape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물론, 상기 향기발산부(40)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경우 지퍼나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밀폐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when the fragrance diverging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is preferably sealed using a zipper or Velcro tape.

이때,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아로마나 국화나 허브와 같이 신체에 이로운 것으로 알려진 식물성소재를 수용한 용기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means a container containing a vegetable material known to be beneficial to the body, such as aroma, chrysanthemum or herbs.

그리고, 상기 지압돌기부(5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외표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텍스(16)의 외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취침자의 머리를 지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4)의 성형과정에서 동시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cupressure protrusion 50 is protru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latex 16, and performs a function to press the head of the sleeper. In addition, the polycarbonate 14 is preferably formed at the same time during the molding process.

그리고, 상기 열분산부(6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일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취침자의 머리부분에 공기를 제공하여 열분산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공기유동부와 머리안착부(20,30)를 경유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heat dissipation part 60 is formed through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equentially penetrates. The heat dissipation part 60 functions to induce heat dissipation by providing air to the head of the sleeper,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ortion and the head seating portion (20, 3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특허청구범위가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해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claims should be interpre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particular,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claims. Naturall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in the art.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베개 10 : 다층몸체부
12 : 폴리우레탄(메모리폼) 14 : 폴리카보네이트
16 : 라텍스 20 : 공기유동부
30 : 머리안착부 40 : 향기발산부
50 : 지압돌기부 60 : 열분산부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Pillow 10: Multi-layered body
12 Polyurethane (memory foam) 14 Polycarbonate
16: latex 20: air flow
30: head seat 40: fragrance divergent
50: acupressure protrusions 60: heat dissipation

Claims (20)

취침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재질의 다층몸체부(10)와;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공기유동부(20);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공(20)와 연통하는 머리안착부(30); 및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수납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머리안착부(20,30)를 경유하는 공기에 의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40);
을 포함하며,
상기 다층몸체부(10)가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을 사이에 두고 그 상면과 그 하면에 폴리카보네이트(14) 또는 라텍스(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A multi-layer body part 10 of cushion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leeper;
An air flow portion 20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ead;
A head seating portion 30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hole 20; And
A fragrance diverging unit 4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nd emits fragrance to the surroundings by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unit and the head seating units 20 and 30;
/ RTI >
Heat dissip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s formed by stacking at least one of the polycarbonate 14 or the latex 16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with a polyurethane (memory foam, 12) in between. Pillow for sleep induction with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부(2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한 개 또는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ir flow portion 20,
Sleep pillow for inducing sleep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itudinal body one or a plurality in the multilayer body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1,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Sleep pillow for inducing sleep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억지끼움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1,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Pillow for sleep induction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1,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The pillow for sleep induction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Velcro tape formed o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취침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재질의 다층몸체부(10)와;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공기유동부(20);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와 연통하는 머리안착부(30);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수납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머리안착부(20,30)를 경유하는 공기에 의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40); 및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외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머리를 지압하는 지압돌기부(50);
를 포함하며,
상기 다층몸체부(10)가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을 사이에 두고 그 상면과 그 하면에 폴리카보네이트(14) 또는 라텍스(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A multi-layer body part 10 of cushion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leeper;
An air flow portion 20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ead;
A head seating portion 30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20;
A fragrance diverging unit 4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nd emits fragrance to the surroundings by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unit and the head seating units 20 and 30; And
Acupressure protrusions 5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essure the head;
Including;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s at least one of the polycarbonate 14 or latex 16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with a polyurethane (memory foam, 12) in between Sleeping pillow having a sleep.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부(2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한 개 또는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6, The air flow portion 20,
Sleep pillow for inducing sleep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itudinal body one or a plurality in the multilayer body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Sleep pillow for inducing sleep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억지끼움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Pillow for sleep induction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The pillow for sleep induction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Velcro tape formed o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취침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재질의 다층몸체부(10)와;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공기유동부(20);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와 연통하는 머리안착부(30);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수납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머리안착부(20,30)를 경유하는 공기에 의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40); 및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을 경유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열분산부(60);
을 포함하며;
상기 다층몸체부(10)가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을 사이에 두고 그 상면과 그 하면에 폴리카보네이트(14) 또는 라텍스(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A multi-layer body part 10 of cushion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leeper;
An air flow portion 20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ead;
A head seating portion 30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20;
A fragrance diverging unit 4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nd emits fragrance to the surroundings by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unit and the head seating units 20 and 30; And
A heat dissipation part 60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nd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art 20 passes;
;
Heat dissip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s formed by stacking at least one of the polycarbonate 14 or the latex 16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with a polyurethane (memory foam, 12) in between. Pillow for sleep induction with func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부(2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한 개 또는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ir flow portion 20,
Sleep pillow for inducing sleep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itudinal body one or a plurality in the multilayer body (1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Sleep pillow for inducing sleep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억지끼움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Pillow for sleep induction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The pillow for sleep induction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Velcro tape formed o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취침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재질의 다층몸체부(10)와;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의 누름압력을 흡수하는 공기유동부(20);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와 연통하는 머리안착부(30);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수납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와 머리안착부(20,30)를 경유하는 공기에 의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40);
상기 다층몸체부(10)의 외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머리를 지압하는 지압돌기부(50); 및
상기 다층몸체부(10)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을 경유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열분산부(60);
를 포함하며,
상기 다층몸체부(10)가 폴리우레탄(메모리폼,12)을 사이에 두고 그 상면과 그 하면에 폴리카보네이트(14) 또는 라텍스(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A multi-layer body part 10 of cushion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leeper;
An air flow portion 20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ead;
A head seating portion 30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ortion 20;
A fragrance diverging unit 4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nd emits fragrance to the surroundings by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unit and the head seating units 20 and 30;
Acupressure protrusions 5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essure the head; And
A heat dissipation part 60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multilayer body part 10 and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art 20 passes;
Including;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is at least one of the polycarbonate 14 or latex 16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with a polyurethane (memory foam, 12) in between Sleeping pillow having a sleep.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부(2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길이방향으로 한 개 또는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air flow portion 20,
Sleep pillow for inducing sleep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itudinal body one or a plurality in the multilayer body (1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Sleep pillow for inducing sleep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억지끼움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Pillow for sleep induction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the multilayer body portion 1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부(40)는,
상기 다층몸체부(10)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ragrance diverging unit 40,
Sleep pillows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Velcro tape formed on the multilayer body (10).
KR1020130055664A 2013-05-16 2013-05-16 The pillow to induce deep sleep having air cooling function Expired - Fee Related KR1012989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664A KR101298911B1 (en) 2013-05-16 2013-05-16 The pillow to induce deep sleep having air cool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664A KR101298911B1 (en) 2013-05-16 2013-05-16 The pillow to induce deep sleep having air cool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911B1 true KR101298911B1 (en) 2013-08-26

Family

ID=4922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664A Expired - Fee Related KR101298911B1 (en) 2013-05-16 2013-05-16 The pillow to induce deep sleep having air cool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91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937B1 (en) * 2013-10-11 2014-12-09 황두용 A Message Unit for Personal Head and Neck Using Magnetic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261Y1 (en) 2001-01-09 2001-12-28 김재철 Pillow for deep sleeping
KR200277142Y1 (en) 2002-03-06 2002-05-30 최정섭 Beddings with breathing holes
KR100584040B1 (en) 2004-03-19 2006-05-29 유석연 Healthy pillow
KR200440193Y1 (en) 2007-03-02 2008-05-29 이일수 Cushion with ventilation ho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261Y1 (en) 2001-01-09 2001-12-28 김재철 Pillow for deep sleeping
KR200277142Y1 (en) 2002-03-06 2002-05-30 최정섭 Beddings with breathing holes
KR100584040B1 (en) 2004-03-19 2006-05-29 유석연 Healthy pillow
KR200440193Y1 (en) 2007-03-02 2008-05-29 이일수 Cushion with ventilation ho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937B1 (en) * 2013-10-11 2014-12-09 황두용 A Message Unit for Personal Head and Neck Using Magneti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0583B2 (en) Component with multiple layers
KR200488729Y1 (en) Memory foam pillow of high elastic structure
US20120102654A1 (en) Pillow
EP3285618A1 (en) Support cushions and methods for active ventilation of same
US20200237106A1 (en) Bedding system
US20060048304A1 (en) Knock down foam bed
US20190059620A1 (en) Dual-sided adjustably inflatable pillow and method
KR101298911B1 (en) The pillow to induce deep sleep having air cooling function
CN204394013U (en) A kind of aroma health care pillow
KR200467431Y1 (en) Bamboo wife
CN205568445U (en) Functional type mattress
KR101631282B1 (en) Heating Mat manufacturing method and Heating Mat
JP3171680U (en) pillow
RU2264776C1 (en) Multilayer cushion for supporting of human body parts
KR102052267B1 (en) Mattress
KR101815953B1 (en) Bed
US20230172376A1 (en) Pillow with adjustable pocket for pouch insert promoting enhanced comfort
KR20060021010A (en) Breathable pillow
JP3189528U (en) Flexible breathable mounting device
KR200469042Y1 (en) pillow
CN218500354U (en) Sponge cushion for mattress
JP2004049832A (en) Good sleep pillow
CN217852241U (en) Novel composite structure's ventilative pillow
KR200275636Y1 (en) A mattress for health
KR101237557B1 (en) Sitting cushion using korean p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