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651B1 - Processing equipment of ingot block with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ingot block - Google Patents
Processing equipment of ingot block with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ingot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3651B1 KR101293651B1 KR1020110125001A KR20110125001A KR101293651B1 KR 101293651 B1 KR101293651 B1 KR 101293651B1 KR 1020110125001 A KR1020110125001 A KR 1020110125001A KR 20110125001 A KR20110125001 A KR 20110125001A KR 101293651 B1 KR101293651 B1 KR 1012936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got block
- ingot
- moving
- unit
- rac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5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58—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 B28D5/0064—Devices for the automatic drive or the program control of the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58—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 B28D5/008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for supporting, holding, feeding,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로써, 반도체용 소재 또는 기계가공용 소재로 사용되는 잉곳 블록을 자동으로 이송하여 가공할 수 있는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는, 잉곳 블록이 배치되어 고정되는 가공클램프가 장착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클램프에 고정된 잉곳 블록을 가공하는 가공부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잉곳 블록을 상기 작업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공급부와; 상기 작업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에서 가공된 잉곳 블록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을 상기 작업대로 이동시키며, 상기 작업대에서 가공된 잉곳 블록을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automatic feeder, and to an ingot block processing machine equipped with an automatic feeder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processing an ingot block used as a semiconductor material or a machining material.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automatic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table is equipped with a processing clamp is fixed to the ingot block is disposed; Processing par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ork table to process ingot blocks fixed to the processing clamps; A supply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work table to transfer an ingot block in the work table direction; A discharge part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work table and transferring the ingot block processed at the work table to the outside; A moving part disposed above the work table and moving the ingot block disposed on the supply part to the work table and moving the ingot block processed at the work table to the discharge part;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로써, 반도체용 소재 또는 기계가공용 소재로 사용되는 잉곳 블록을 자동으로 이송하여 가공할 수 있는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의 가공장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having an automatic fee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got block processing machine equipped with an automatic feeder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processing an ingot block used as a semiconductor material or a machining material. .
잉곳 블록은 녹인 금속을 금형이나 사형에 주입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 주물 덩어리로 주로 반도체소자가 되는 웨이퍼를 잘라내기 위한 것이다.The ingot block is a casting mass formed by injecting molten metal into a mold or a sand mold to form a predetermined shape, and is mainly used to cut a wafer that becomes a semiconductor device.
이러한 잉곳 블록은 보통 원형기둥 또는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Such ingot blocks are usually formed in a circular column or square column shape.
그리고 잉곳 블록은 표면을 연삭하여 표면 굴곡을 없애고 품질을 향상시킨다.Ingot blocks are then ground to remove surface curvature and improve quality.
이와 같이 잉곳 블록을 가공하는 장비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3344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equipment for processing ingot blocks in this way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33344.
도 1은 종래의 잉곳 블록 가공장비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잉곳 블록 가공장비는 베이스(10), 베드(20), 표면 연마부(30) 및 면취 연마부(4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includes a
상기 베이스(10)는 두 개의 레일(11)이 평행하게 형성된 테이블 형태로 형성된다.The
상기 베드(20)는 상기 레일(11) 상에 설치되도록 안착발(21)이 형성된 대차형태로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베드(20)는 스크루(22)와 정역모터(23)에 의해 전·후진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표면 연마부(3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황삭 및 정사용 연마기(31a,31b,32a,32b)가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33a,33b,34a,34b)와 각각 벨트(35a,35b,36a,36b)로 연결되어 상기 베드(20) 상에 장착된 잉곳 블록(1)의 양측면을 황삭 및 정삭한다.The
상기 면취 연마부(40)는 상기 베이스(10)의 끝단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구동모터(41,42)와 벨트(41a,42a)로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면취용 연마기(34,44)가 상기 베드(20) 상에 장착된 잉곳 블록(1)의 모서리를 면취한다.The chamfering
그러나 전술한 잉곳 블록 가공장비에는 잉곳 블록을 공급하는 별도의 공급장치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베드(20)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잉곳 블록을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속도 및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since there is no separat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the ingot block,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operator manually mounts the ingot block on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잉곳 블록 가공장비에 잉곳 블록을 자동으로 이송하여 공급하고 가공된 잉곳 블록을 자동으로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속도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automatically feed the ingot block to the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and to automatically transport the processed ingot block to discharge to the outside to facilitate the operation and improve the work speed and efficienc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automatic feed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는, 잉곳 블록이 배치되어 고정되는 가공클램프가 장착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클램프에 고정된 잉곳 블록을 가공하는 가공부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잉곳 블록을 상기 작업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공급부와; 상기 작업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에서 가공된 잉곳 블록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을 상기 작업대로 이동시키며, 상기 작업대에서 가공된 잉곳 블록을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orktable is equipped with a processing clamp is fixed to the ingot block is disposed; Processing par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ork table to process ingot blocks fixed to the processing clamps; A supply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work table to transfer an ingot block in the work table direction; A discharge part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work table and transferring the ingot block processed at the work table to the outside; A moving part disposed above the work table and moving the ingot block disposed on the supply part to the work table and moving the ingot block processed at the work table to the discharge part; It is made, including.
상기 공급부는, 상부에 잉곳 블록이 배치되는 제1랙과; 상기 제1랙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랙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을 상기 이동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셔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셔틀은, 상하 이동하여 상기 제1랙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를 상기 이동부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제1이송부; 로 이루어진다.The supply unit includes a first rack having an ingot block disposed thereon; A first shuttl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ack to transfer an ingot block disposed above the first rack in a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Wherein, the first shuttle, and the first lifting unit for moving up and down to lift the ingot block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ack; A first conveying unit which moves the first lifting unit back and forth i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unit; .
상기 제1랙의 상부에는 잉곳 블록이 삽입 배치되는 다수의 제1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셔틀의 상부에는 상기 제1랙홈에 각각 연통되게 대응되어 상기 제1랙홈에 삽입 배치된 잉곳 블록이 삽입 배치되는 다수의 제1셔틀홈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first rack grooves ar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ack is inserted into the ingot block, the ingot block is inserted into the first rack groove in correspondence to each of the first rack groov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huttle A plurality of first shuttle grooves to be inserted are formed.
상기 공급부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의 길이방향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잉곳 블록의 길이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부가 잉곳 블록의 중심부를 파지하여 이동시킨다.A sensor unit for measuring a longitudinal position of an ingot block disposed above the supply unit;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moving unit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ingot block measured by the sensor unit; It further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moving unit to move by moving the gripping portion of the ingot block.
상기 작업대가 장착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프레임;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 장착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하는 제1캐리어와; 상기 제1캐리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캐리어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2캐리어와; 잉곳 블록을 파지하고, 상기 제2캐리어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이동클램프; 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클램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공급부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의 중심부를 파지하여 상기 가공클램프 사이에 배치시킨다.A lower frame on which the worktable is mounted; An upper frame formed on the lower frame; It further comprises, the moving unit, and the guide frame fixedly mounted to the upper frame; A first carrier coupled to the guide frame and horizontally moving; A second carrier coupled to the first carrier and horizontally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A clamp for holding an ingot block and coupled to the second carrier to move up and down; The moving clamp is disposed between the processing clamp by hol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got block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ly by the control unit.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급부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의 양단방향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센서부는 잉곳 블록 방향으로 돌출되어 잉곳 블록의 일단에 접촉 후 후퇴하여 잉곳 블록의 위치를 감지한다.The sensor unit is disposed in both ends of the ingot block disposed above the supply unit, and the sensor unit protrudes in the ingot block direction to contact one end of the ingot block and retreat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ingot block.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기 작업대에서 가공된 잉곳 블록이 배치되는 제2랙과; 상기 제2랙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랙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을 상기 이동부의 반대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셔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셔틀은, 상하 이동하여 상기 제2랙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부와; 상기 제2승강부를 상기 이동부의 반대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제2이송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랙의 상부에는 잉곳 블록이 삽입 배치되는 다수의 제2랙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셔틀의 상부에는 상기 제2랙홈에 각각 연통되게 대응되어 상기 제2랙홈에 삽입 배치된 잉곳 블록이 삽입 배치되는 다수의 제2셔틀홈이 형성된다.The discharge unit includes a second rack in which the ingot block processed by the moving unit is disposed by the moving unit; A second shuttl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rack to transfer an ingot block disposed above the second rack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part; Wherein, the second shuttle, and the second lifting unit for moving up and down to lift the ingot block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ack; A second conveying unit which moves the second lifting unit back and forth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ing unit; The second rack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rack is inserted into the ingot block is forme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huttl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rack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ack groove A plurality of second shuttle grooves are formed in which the ingot blocks are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공급부에 의해 작업대 방향으로 이송된 잉곳 블록이 이동부에 의해 작업대에 배치되고, 작업대에서 가공부에 의해 가공된 잉곳 블록이 이동부에 의해 배출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이송됨으로써, 잉곳 블록의 가공작업이 편리하고 작업속도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ingot block transferred to the workbench direction by the supply part is placed on the workbench by the moving part, and the ingot block processed by the machining part on the workbench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part by the moving part and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ereby processing the ingot block. This is convenient and can improve work speed and efficiency.
또한, 제1셔틀이 승강 및 전후 이동하여 제1랙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을 이동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수의 잉곳 블록을 순차적으로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by moving the first shuttle up and down and moving back and forth, the ingot block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ack i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portion, a plurality of ingot blocks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sequentially.
또한, 제1랙의 상부에 제1랙홈이 형성되고, 제1셔틀의 상부에 제1랙홈에 각각 연통되게 대응되어 제1랙홈에 삽입 배치된 잉곳 블록이 삽입 배치되는 제1셔틀홈이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잉곳 블록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ack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ack, the first shuttl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huttle to correspond to the first rack groove, respectively, the ingot block inserted into the first rack groove is disposed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ingot blocks can be maintained at regular intervals and can be transported stably.
또한, 잉곳 블록의 길이방향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센서부가 측정한 잉곳 블록의 길이방향 위치에 따라 이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이동부가 잉곳 블록의 중심부를 파지하여 잉곳 블록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가공클램프 사이에 배치하기 용이하다.In addition, by including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ingot block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mov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ingot block measured by the sensor, the moving part holding the center of the ingot block to stabilize the ingot block It is easy to move and it is easy to arrange between the processing clamps.
또한, 제1캐리어가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하고, 제2캐리어가 제1캐리어에 결합되어 제1캐리어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며, 이동클램프가 제2캐리어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함으로써, 이동클램프를 작업대의 상부 공간상의 어느 위치로도 이동시키기 용이하다.In addition, the first carrier is coupled to the guide frame to move horizontally, the second carrier is coupled to the first carrier to move horizont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he moving clamp is coupled to the second carrier to move up and down This makes it easy to move the movable clamp to any position on the upper space of the work table.
또한, 센서부는 잉곳 블록 방향으로 돌출되어 잉곳 블록의 일단에 접촉 후 후퇴하여 잉곳 블록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길이 및 배치 위치가 상이한 잉곳 블록의 중심부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ingot block, touches one end of the ingot block, retreats, and detects the position of the ingot block, thereby quickly and accurately measuring the centers of the ingot blocks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arrangement positions.
도 1은 종래의 잉곳 블록 가공장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간략히 표현하여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 및 가공부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automatic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working table and 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간략히 표현하여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 및 가공부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ving unit according to an example, and FIG. 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briefly representing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work table and 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 가공부(200), 공급부(300), 배출부(400), 이동부(500), 센서부(600) 및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o 7, the
상기 작업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01)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01)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102)이 형성된다.The work table 100 is mounted to the
그리고 상기 작업대(100)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에 잉곳 블록(1)이 배치되어 고정되는 가공클램프(110)가 장착된다.And the work table 100 is formed long in the x-axis direction, the
상기 가공클램프(110)는 x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고, 잉곳 블록(1)의 양단을 가압하여 고정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클램프(110)는 상기 작업대(100)에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잉곳 블록(1)의 양단을 가압하여 고정하거나, 상기 가공클램프(110)에 의해 고정된 잉곳 블록(1)을 상기 가공클램프(110)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잉곳 블록(1)의 양단을 가압하는 상기 가공클램프(110) 중 어느 하나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잉곳 블록(1)을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이와 같이 가공클램프(11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작업대(100)에 배치된 잉곳 블록(1)이 모터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잉곳 블록(1)의 회전각도에 따라 여러면을 가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또한, 상기 잉곳 블록(1)을 고정하고 있는 가공클램프(110)는 상기 작업대(100)의 상부에서 x축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여 잉곳 블록(1)의 전체 외측면을 가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술한 바와 같은 가공클램프(110)의 작동구조는 종래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이러한 상기 가공클램프(110)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게 할 수도 있고, 각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버튼을 별도로 장착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The
상기 가공부(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클램프(110)에 고정된 잉곳 블록(1)을 가공한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부(200)는 상기 하부프레임(101)에 장착되고, 가공날(210)과 상기 가공날(210)을 회전시키는 가공모터(220)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상기 가공날(210)은 잉곳 블록(1)의 작업형태에 따라 잉곳 블록(1)을 절삭할 수 있는 절삭날을 장착할 수도 있고, 잉곳 블록(1)의 표면을 연마할 수 있는 연마날을 장착할 수도 있다.The
또한, 다수의 상기 가공모터(220)에 절삭날과 연마날을 각각 장착하여 잉곳 블록(1)을 절삭 및 연마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utting blades and polishing blades may be mounted on the plurality of
즉, 일 열에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가공모터(220)에 절삭날을 장착하고, 그 다음 열에 배치된 가공모터(220)에 연마날을 장착하여 잉곳 블록(1)을 복합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That is, the cutting edge may be mounted on the
상기 가공모터(220)는 상기 하부프레임(101)에 y축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공클램프(110)에 고정 장착된 잉곳 블록(1)과 상기 가공날(210)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모터(220)는 실린더에 의해 전후(y축 방향)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별도의 구동모터를 장착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공급부(300)는 상기 하부프레임(101)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대(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잉곳 블록(1)을 상기 작업대(100) 방향으로 이송시킨다.The
이러한 상기 공급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랙(310)과 제1셔틀(320)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제1랙(310)은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 배치된다.The
상기 제1랙(310)은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2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어 잉곳 블록(1)을 상부로 지지함으로써, 잉곳 블록(1)을 상기 제1랙(31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제1랙(310)의 상부에는 각각 다수의 제1랙홈(311)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잉곳 블록(1)이 삽입 배치된다.A plurality of
상기 제1셔틀(320)은 상기 제1랙(31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랙(310)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1)을 상기 이동부(500) 방향으로 이송시킨다.The
이러한 상기 제1셔틀(320)은 제1승강부(321)와 제1이송부(323)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제1승강부(321)는 상하 이동하여 상기 제1랙(310)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1)을 승강시킨다.The first elevating
구체적으로 상기 제1승강부(32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이송부(323)와 피스톤 구조로 결합되어 승강하게 된다.In detail, the first elevating
상기 제1승강부(321)는 종래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도록 다양한 구조로 상기 제1이송부(323)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first elevating
상기 제1승강부(321)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상기 제1랙(310)과 같이 두 개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 배치됨으로써, 잉곳 블록(1)을 상기 제1승강부(321)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The first elevating
그리고 상기 제1승강부(321)는 상기 제1랙(310)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에 다수의 제1셔틀홈(322)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상기 제1셔틀홈(322)은 상기 제1랙홈(311)에 각각 연통되게 대응되어 상기 제1랙홈(311)에 삽입 배치된 잉곳 블록(1)이 삽입 배치된다.The
이에 따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랙홈(311)에 삽입된 잉곳 블록(1)이 상기 제1셔틀홈(322)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승강부(321)가 상승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곳 블록(1)이 상기 제1랙홈(311)을 이탈하여 상기 제1승강부(321)와 함께 상승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3A, the
그리고 상기 제1승강부(321)가 상승한 상태에서 하강하면 상기 제1승강부(321)에 의해 상승된 잉곳 블록(1)이 하강하여 상기 제1랙홈(311)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1승강부(321)가 더 하강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곳 블록(1)은 제1셔틀홈(322)을 이탈하여 상기 제1랙홈(311)에만 삽입 배치되게 된다.When the first elevating
상기 제1이송부(323)는 상기 하부프레임(1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 등의 구동력으로 상기 제1승강부(321)를 상기 이동부(500)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킨다.The
즉, 상기 제1이송부(323)는 상기 하부프레임(1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부(321)가 상승한 상태에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부(321)를 상기 이동부(500)가 배치된 방향인 전방(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잉곳 블록(1)을 상기 이동부(500) 방향으로 이송시킨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제1이송부(323)는 상기 제1승강부(321)가 하강하여 상기 제1셔틀홈(322)에서 잉곳 블록(1)이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승강부(321)를 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승강부(321)는 상기 제1이송부(323)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승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이 상기 제1랙(310)의 상부에 상기 제1랙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셔틀(320)의 상부에 상기 제1랙홈(311)에 각각 연통되게 대응되어 상기 제1랙홈(311)에 삽입 배치된 잉곳 블록(1)이 삽입 배치되는 상기 제1셔틀홈(322)이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잉곳 블록(1)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상기 제1셔틀(32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 및 전후 이동하여 상기 제1랙(310)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1)을 상기 이동부(500)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수의 잉곳 블록(1)을 순차적으로 계속에서 공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공급부(300)는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져 잉곳 블록(1)을 상기 이동부(500)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도 있다.The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하부프레임(101)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대(100)의 타측에 배치되어 잉곳 블록(1)을 상기 작업대(100) 방향으로 이송시킨다.The
즉,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작업대(100)에서 상기 공급부(300)가 배치된 반대방향에 배치된다.That is, the
이러한 상기 배출부(400)는 제2랙(410)과 제2셔틀(420)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제2랙(410)은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 배치된다.The
상기 제2랙(410)의 상부에는 각각 다수의 제2랙홈(411)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잉곳 블록(1)이 삽입 배치된다.A plurality of
상기 제2셔틀(420)은 상기 제2랙(41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랙(410)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1)을 상기 이동부(500)의 반대방향으로 이송시킨다.The
이러한 상기 제2셔틀(420)은 제2승강부(421)와 제2이송부(423)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제2승강부(421)는 상하 이동하여 상기 제2랙(410)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1)을 승강시킨다.The second elevating
구체적으로 상기 제2승강부(42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이송부(423)와 피스톤 구조로 결합되어 승강하게 된다.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제2승강부(421)는 상기 제2랙(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에 다수의 제2셔틀홈(422)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상기 제2셔틀홈(422)은 상기 제2랙홈(411)에 각각 연통되게 대응되어 상기 제2랙홈(411)에 삽입 배치된 잉곳 블록(1)이 삽입 배치된다.The
상기 제2이송부(423)는 상기 제2승강부(421)와 피스톤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제2승강부(421)를 상기 이동부(500)의 반대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킨다.The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공급부(3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동일하게 작동하며, 상기 작업대(100)에서 상기 가공부(200)에 의해 가공된 잉곳 블록(1)을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상부프레임(102)에 장착되어 상기 작업대(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부(300)에 배치된 잉곳 블록(1)을 상기 작업대(100)로 이동시키며, 상기 작업대(100)에서 가공된 잉곳 블록(1)을 상기 배출부(400)로 이동시킨다.The moving
이러한 상기 이동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510), 제1캐리어(520), 제2캐리어(530) 및 이동클램프(540)로 이루어지며,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The moving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510)은 상기 상부프레임(102)에 고정 장착된다.In detail, the guide frame 510 is fixedly mounted to 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510)에는 x축 방향으로 긴 가이드레일(미도시)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uide frame 510 is formed with a long guide rail (not shown)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제1캐리어(5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510)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한다.The
즉, 상기 제1캐리어(5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5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제1캐리어(520)에는 y축 방향으로 긴 가이드레일(미도시)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guide rail (not shown) that is long in the y-axis direction is formed on the
상기 제2캐리어(530)는 상기 제1캐리어(520)에 결합되어 상기 제1캐리어(520)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The
즉, 상기 제2캐리어(530)는 상기 제1캐리어(5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제2캐리어(530)는 상기 제1캐리어(520)의 이동시 상기 제1캐리어(520)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상기 이동클램프(540)는 잉곳 블록(1)을 파지하고, 상기 제2캐리어(530)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한다.The moving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클램프(540)는 상기 제1캐리어(52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캐리어(520) 및 제2캐리어(530)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2캐리어(53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캐리어(530)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작업대(100), 공급부(300) 및 배출부(400)의 위치로 이동한다.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이동클램프(540)는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작업대(100)나 공급부(300)에 배치된 잉곳 블록(1)을 파지하거나, 상기 작업대(100)나 배출부(400)에 잉곳 블록(1)을 배치시킨다.The
이와 같이 상기 이동클램프(540)가 상기 제1캐리어(520) 또는 제2캐리어(530)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클램프(540)가 상기 작업대(100)의 상부 공간상의 어느 위치로도 이동하여 잉곳 블록(1)을 작업공정에 따라 이동시키기 용이하다.As the
상기 이동부(500)는 별도의 모터(미도시)를 장착하여 상기 제1캐리어(520), 제2캐리어(530) 및 이동클램프(540)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moving
또한, 상기 제1캐리어(520) 및 제2캐리어(530)는 볼스크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공급부(300)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1)의 길이방향 위치를 측정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6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01)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부(300)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1)의 양단방향을 향하도록 각각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상기 센서부(6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곳 블록(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잉곳 블록(1)의 일단에 접촉 후 후퇴하여 잉곳 블록(1)의 위치를 감지한다.The
즉,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이동부(500)에 가장 근접하게 형성된 상기 제1랙홈(311)에 삽입 배치된 잉곳 블록(1)의 양단과의 거리를 상기 센서부(600)의 돌출 길이로 측정하여 잉곳 블록(1)의 길이 및 위치를 측정한다.That is, the
상기 제1랙홈(311)에 삽입 배치된 잉곳 블록(1)은 각각 그 길이가 상이할 수 있으며, 모두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을 경우 잉곳 블록(1)에 따라 그 중심부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The ingot blocks 1 inserted into the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이동클램프(540)가 잉곳 블록(1)의 중심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잉곳 블록(1)의 중심부의 위치를 측정한다.Accordingly, the
이와 같이 상기 센서부(600)는 잉곳 블록(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잉곳 블록(1)의 일단에 접촉 후 후퇴하여 잉곳 블록(1)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길이 및 배치 위치가 상이한 잉곳 블록(1)의 중심부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센서부(600)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센서부(600)가 측정한 잉곳 블록(1)의 길이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500)를 구동시킨다.The controller (not shown) drives the moving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500)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클램프(540)가 잉곳 블록(1)의 중심부를 파지하도록 이동시킨다.That is, the controller drives the moving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잉곳 블록(1)을 파지한 이동클램프(540)를 상기 작업대(100)의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클램프 사이에 잉곳 블록(1)을 배치하여 고정시킨다.The control unit moves the moving
이와 같이 상기 센서부(600)로 상기 공급부(300)에 배치된 잉곳 블록(1)의 중심부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이동클램프(540)가 잉곳 블록(1)의 중심을 파지하게 함으로써, 잉곳 블록(1)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고, 잉곳 블록(1)을 상기 고정클램프 사이에 배치하기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600)가 측정한 잉곳 블록(1)의 길이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50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부(500)가 잉곳 블록(1)의 중심부를 파지하여 잉곳 블록(1)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s such, the control unit drives the moving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300)에 의해 상기 작업대(100) 방향으로 이송된 잉곳 블록(1)이 상기 이동부(500)에 의해 상기 작업대(100)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대(100)에서 상기 가공부(200)에 의해 가공된 잉곳 블록(1)이 상기 이동부(500)에 의해 상기 배출부(400)에 배치되어 외부로 이송됨으로써, 잉곳 블록(1)의 가공작업이 편리하고 작업속도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하,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feed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먼저 작업자가 각각의 상기 제1랙홈(311) 및 제1셔틀홈(322)에 잉곳 블록(1)을 배치한 후 상기 공급부(300)를 작동시킨다.First, the operator places the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랙홈(311) 및 제1셔틀홈(322)에 삽입 배치된 잉곳 블록(1)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부(321)에 의해 상승하며 상기 제1랙홈(311)을 이탈하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부(323)에 의해 전방(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3 (a), the
그리고 상기 제1승강부(321)가 하강하면서 잉곳 블록(1)은 상기 제1랙홈(311)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1승강부(321)가 더 하강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랙홈(311)에 삽입 배치된 잉곳 블록(1)이 상기 제1셔틀홈(322)을 이탈하게 된다.Ingot blocks 1 are inserted into the
상기와 같이 하강한 상기 제1승강부(321)는 상기 제1이송부(323)에 의해 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 후 다시 상승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The
잉곳 블록(1)이 상기 이동부(500)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랙홈(311)에 배치될 때까지 작업자는 잉곳 블록(1)을 상기 공급부(300)의 상부에 배치하여 전방으로 이송한다.The operator places the
상기 공급부(300)의 길이가 길고 상기 제1랙홈(311) 및 제1셔틀홈(322)의 개수가 많을수록 한 번에 많은 수의 잉곳 블록(1)을 자동으로 이송하여 가공할 수 있다.As the length of the
잉곳 블록(1)이 상기 이동부(500)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랙홈(311)에 배치되면 상기 센서부(600)가 잉곳 블록(1)을 감지하고 상기 잉곳 블록(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잉곳 블록(1)의 길이 및 배치 위치를 측정한다.When th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600)가 감지하여 측정한 잉곳 블록(1)의 길이 및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500)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클램프(540)가 잉곳 블록(1)의 중심부를 파지하도록 이동시킨다.The control unit drives the moving
상기 이동클램프(540)는 승강하여 잉곳 블록(1)을 파지한 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작업대(100) 상부로 이동하여 잉곳 블록(1)을 상기 가공클램프(110) 사이에 배치시킨다.The
상기 가공클램프(110)가 잉곳 블록(1)의 양단을 가압하여 고정하면 상기 이동클램프(540)는 잉곳 블록(1)을 놓고 상승한다.When the
상기 가공클램프(110)에 고정된 잉곳 블록(1)은 상기 가공부(200)에 의해 절삭 또는 연마되고, 잉곳 블록(1)의 가공작업이 끝나면 상기 이동클램프(540)가 상기 잉곳 블록(1)을 파지한 후 이동하여 상기 제2랙홈(411) 및 제2셔틀홈(422)에 삽입 배치시킨다.The
상기 제2랙홈(411) 및 제2셔틀홈(422)에 삽입 배치된 잉곳 블록(1)은 상기 배출부(400)가 상기 공급부(300)와 같이 작동하여 전방(y축 방향)으로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된다.The
한편, 상기 이동부(500)가 상기 공급부(300)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1)을 상기 작업대(100)의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공급부(300)가 작동하여 나머지 잉곳 블록(1)을 전방으로 이송시킨다.Meanwhile, when the moving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500)가 상기 작업대(100)에서 가공된 잉곳 블록(1)을 상기 배출부(400)의 상부에 배치시킨 후에 다시 상기 공급부(300)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1)을 상기 작업대(100)로 이동시킨다.Accordingly, after the moving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의 잉곳 블록(1)을 순차적으로 계속해서 공급함으로써, 잉곳 블록(1)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and continuously supplying a plurality of
본 발명인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feed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잉곳 블록
100 : 작업대, 101 : 하부프레임, 102 : 상부프레임, 110 : 가공클램프,
200 : 가공부, 210 : 가공날, 220 : 가공모터,
300 : 공급부, 310 : 제1랙, 311 : 제1랙홈, 320 : 제1셔틀, 321 : 제1승강부, 322 : 제1셔틀홈, 323 : 제1이송부,
400 : 배출부, 410 : 제2랙, 411 : 제2랙홈, 420 : 제2셔틀, 421 : 제2승강부, 422 : 제2셔틀홈, 423 : 제2이송부,
500 : 이동부, 510 : 가이드프레임, 520 : 제1캐리어, 530 : 제2캐리어, 540 : 이동클램프,
600 : 센서부,1: Ingot Block
100: workbench, 101: lower frame, 102: upper frame, 110: machining clamp,
200: machining part, 210: machining blade, 220: machining motor,
300: supply part, 310: first rack, 311: first rack groove, 320: first shuttle, 321: first lifting part, 322: first shuttle groove, 323: first conveying part,
400: discharge part, 410: second rack, 411: second rack groove, 420: second shuttle, 421: second lifting part, 422: second shuttle groove, 423: second conveying part,
500: moving part, 510: guide frame, 520: first carrier, 530: second carrier, 540: moving clamp,
600: sensor unit,
Claims (7)
잉곳 블록이 배치되어 고정되는 가공클램프가 장착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클램프에 고정된 잉곳 블록을 가공하는 가공부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잉곳 블록을 상기 작업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공급부와;
상기 작업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에서 가공된 잉곳 블록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을 상기 작업대로 이동시키며, 상기 작업대에서 가공된 잉곳 블록을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공급부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의 길이방향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잉곳 블록의 길이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부가 잉곳 블록의 중심부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In the equipment for processing ingot block used as a material for semiconductor or machining,
A work bench equipped with a processing clamp to which the ingot block is disposed and fixed;
Processing par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ork table to process ingot blocks fixed to the processing clamps;
A supply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work table to transfer an ingot block in the work table direction;
A discharge part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work table and transferring the ingot block processed at the work table to the outside;
A moving part disposed above the work table, moving the ingot block disposed on the supply part to the work table, and moving the ingot block processed at the work table to the discharge part;
A sensor unit for measuring a longitudinal position of an ingot block disposed above the supply unit;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moving unit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ingot block measured by the sensor unit; , ≪ / RTI >
The control unit is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automatic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he moving part by holding the center of the ingot block by driving the moving unit.
상기 공급부는,
상부에 잉곳 블록이 배치되는 제1랙과;
상기 제1랙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랙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을 상기 이동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셔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셔틀은,
상하 이동하여 상기 제1랙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를 상기 이동부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제1이송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ly unit includes:
A first rack having an ingot block disposed thereon;
A first shuttl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ack to transfer an ingot block disposed above the first rack in a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Lt; / RTI >
The first shuttle,
A first elevating unit configured to elevate the ingot block disposed above the first rack by moving up and down;
A first conveying unit which moves the first lifting unit back and forth i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unit;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automatic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제1랙의 상부에는 잉곳 블록이 삽입 배치되는 다수의 제1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셔틀의 상부에는 상기 제1랙홈에 각각 연통되게 대응되어 상기 제1랙홈에 삽입 배치된 잉곳 블록이 삽입 배치되는 다수의 제1셔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plurality of first rack groove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ack is inserted into the ingot block,
An ingot equipped with an automatic feeder,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shuttle groove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huttle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first rack grooves so that the ingot blocks inserted into the first rack grooves are inserted. Block processing equipment.
상기 작업대가 장착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프레임;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 장착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하는 제1캐리어와;
상기 제1캐리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캐리어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2캐리어와;
잉곳 블록을 파지하고, 상기 제2캐리어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이동클램프; 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클램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공급부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의 중심부를 파지하여 상기 가공클램프 사이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frame on which the worktable is mounted;
An upper frame formed on the lower frame; Further comprising:
The moving unit includes:
A guide frame fixedly mounted to the upper frame;
A first carrier coupled to the guide frame and horizontally moving;
A second carrier coupled to the first carrier and horizontally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A clamp for holding an ingot block and coupled to the second carrier to move up and down; Lt; / RTI >
The moving clamp is an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gripping the center of the ingot block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ly by the control unit disposed between the processing clamp.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급부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의 양단방향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센서부는 잉곳 블록 방향으로 돌출되어 잉곳 블록의 일단에 접촉 후 후퇴하여 잉곳 블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s disposed in each end direction of the ingot block disposed above the supply unit,
The sensor uni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ingot block ingot block process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automatic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ingot block by retreating after contacting one end of the ingot block.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기 작업대에서 가공된 잉곳 블록이 배치되는 제2랙과;
상기 제2랙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랙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을 상기 이동부의 반대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셔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셔틀은,
상하 이동하여 상기 제2랙의 상부에 배치된 잉곳 블록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부와;
상기 제2승강부를 상기 이동부의 반대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제2이송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랙의 상부에는 잉곳 블록이 삽입 배치되는 다수의 제2랙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셔틀의 상부에는 상기 제2랙홈에 각각 연통되게 대응되어 상기 제2랙홈에 삽입 배치된 잉곳 블록이 삽입 배치되는 다수의 제2셔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portion
A second rack on which the ingot block processed on the work table is arranged by the moving unit;
A second shuttl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rack to transfer an ingot block disposed above the second rack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part; Lt; / RTI >
The second shuttle,
A second elevating unit configured to elevate the ingot block disposed above the second rack by moving up and down;
A second conveying unit which moves the second lifting unit back and forth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ing unit; Lt; / RTI >
A plurality of second rack grooves are formed on the top of the second rack is inserted into the ingot block,
An ingot equipped with an automatic transfer device, wherein a plurality of second shuttle groove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huttle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second rack grooves so that the ingot blocks inserted into the second rack grooves are inserted. Block processing equip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5001A KR101293651B1 (en) | 2011-11-28 | 2011-11-28 | Processing equipment of ingot block with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ingot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5001A KR101293651B1 (en) | 2011-11-28 | 2011-11-28 | Processing equipment of ingot block with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ingot blo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8963A KR20130058963A (en) | 2013-06-05 |
KR101293651B1 true KR101293651B1 (en) | 2013-08-13 |
Family
ID=4885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5001A KR101293651B1 (en) | 2011-11-28 | 2011-11-28 | Processing equipment of ingot block with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ingot b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365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4142B1 (en) * | 2014-04-07 | 2014-08-04 | 주식회사 남녕테크 | polishing method of metal bar |
KR20210140995A (en) | 2020-05-14 | 2021-11-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agnetic cylinder apparat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1978Y1 (en) | 1997-06-28 | 1999-12-01 | 윤종용 | Device transfer apparatus |
KR20040037590A (en) * | 2002-10-29 | 2004-05-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automatic suppling device for fuel filler housing |
KR20050017667A (en) * | 2003-08-01 | 2005-02-23 | 주식회사 포스코 | An ingot supplying apparatus for strip plating |
JP3717374B2 (en) | 2000-07-05 | 2005-11-16 | 日本輸送機株式会社 | Elevating transfer device |
-
2011
- 2011-11-28 KR KR1020110125001A patent/KR10129365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1978Y1 (en) | 1997-06-28 | 1999-12-01 | 윤종용 | Device transfer apparatus |
JP3717374B2 (en) | 2000-07-05 | 2005-11-16 | 日本輸送機株式会社 | Elevating transfer device |
KR20040037590A (en) * | 2002-10-29 | 2004-05-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automatic suppling device for fuel filler housing |
KR20050017667A (en) * | 2003-08-01 | 2005-02-23 | 주식회사 포스코 | An ingot supplying apparatus for strip plat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8963A (en) | 2013-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48373B2 (en) | Combined apparatus for machining of articles, in particular in form of slabs | |
CN107637915B (en) | Automatic cutting and blanking machine for shoe fabric | |
CN106624084B (en) | Gantry type double-head CNC milling machine for wheel hub processing | |
JP6893653B2 (en) | Glass plate processing equipment | |
KR20150084357A (en) | Automatic two-sided material supply top grinder | |
CN113305708A (en) | Grinding machine | |
CN105216079A (en) | A kind of core board of floor grooving mechanism | |
CN105750658A (en) | Fully automatic numerical control chamfering machine | |
KR101082972B1 (en) | Processing apparatus for two heads milling | |
KR101293651B1 (en) | Processing equipment of ingot block with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ingot block | |
KR20080103359A (en) | Auto supplying device for grinding machine | |
CN214394871U (en) | Silicon rod cutting and grinding integrated machine | |
KR101444815B1 (en) | Apparatus for machining material automatically | |
KR100890644B1 (en) | A multipurpose carving machine with v-cutting | |
JP2013184805A (en) |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product, and skeleton carriage | |
CN206447217U (en) | Automatic distributing material mechanism | |
JP2019084646A (en) |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for plate-like work-piece | |
CN108890460B (en) | Double-side grinding processing equipment for crankshaft connecting rod | |
CN108746714B (en) | Automatic drilling device | |
CN205600061U (en) | Full -automatic numerical control beveler | |
KR101804975B1 (en) | Ball-stud inspection apparatus | |
CN113814478A (en) | Cutting equipment for metal casting machining | |
CN106475888A (en) | A kind of double-surface ceramics piece buffing machine | |
CN109848768B (en) | Automatic diamond bead sharpening machine | |
CN108000278A (en) | A kind of oil Pump rotor burr rem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