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395B1 - A compenstation struture for high 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recast columns - Google Patents
A compenstation struture for high 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recast colum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2395B1 KR101292395B1 KR1020110095594A KR20110095594A KR101292395B1 KR 101292395 B1 KR101292395 B1 KR 101292395B1 KR 1020110095594 A KR1020110095594 A KR 1020110095594A KR 20110095594 A KR20110095594 A KR 20110095594A KR 101292395 B1 KR101292395 B1 KR 1012923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bracket
- strength
- polygonal centrifugal
- strength polygo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centrifugal or rotational cas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평오차 및 수직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일반적인 원형 PHC 기둥을 둘레면이 복수개의 평면을 가지는 다각형 형태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으로 대체한 후, 스플라이스 접합부(splice point)를 단순접합하여 갤버보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시공오차를 더욱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적인 형태의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는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둘레부에 철골보(2)와 대응되는 형태의 브라켓(20)이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20)의 선단부에 철골보(2)의 양단을 이음위치(splice point)에서 갤버보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시공시 발생되는 수평오차를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보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정봉 정착용 상하부 보조브라켓의 관통공과 고정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수직오차를 간단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capable of correcting horizontal and vertical errors occurring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nd more specifically, a polygon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planes around a conventional circular PHC column. After replacing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column with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plice point is simply joined and converted to Galvesbo, which is structurally safe and more economically corrected.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a high 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column.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bracket 20 of the form corresponding to the cheolgolbo (2) at the periphery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10), Both ends of the cheolgolbo (2) at the distal end of the bracket 20 to be converted into a galvo at the splice point (splice point) by the horizontal error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10 in a simple and easy manner In addition, the vertical error can be easily corrected by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through-holes and the fixing pins of the fixing rod fixing upper and lower auxiliary brackets.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둥의 수평오차 및 수직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일반적인 원형 PHC 기둥을 둘레면이 복수개의 평면을 가지는 다각형 형태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으로 대체한 후, 스플라이스 접합부(splice point)를 단순접합하여 갤버보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시공오차를 더욱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적인 형태의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that can correc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rrors of the column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of a conventional circular PHC column having a plurality of planes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fter replacing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column, the new splicing splice point is transformed to Galvesbo, which is structurally safe and makes it easier to correct construction errors.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a column.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기초방향으로 구조물을 시공하는 탑다운 공법에서는 주로 철골기둥에 철골보가 접합되어진다. 이때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구조적인 성능 및 건축설계적인 사항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기둥의 중앙부에 정확하게 철골보가 접합되어져야만 한다. 그러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시공오차(construction error)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기둥(1)이 회전되어 철골기둥 둘레면이 철골보(2)의 연장방향과 경사지게 접합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In general, in the top-down method of constructing the structure from the ground to the foundation direction, cheolgolbo is mainly bonded to the steel column. At this time, in order to properly reflect the structural performance and architectural design generally required, as shown in Figure 1a, the cheolgolbo should be bonded exactly to the center of the steel column. However, a construction error occurs due to various factors, and as a result, when the
이러한 경우에는 철골기둥(1)에 철골보(2)를 용접한 후 둘레부를 콘크리트(3)로 감싸도록 타설하여 보강해야만 하기 때문에, 결국 시공비용의 증가와 공사기간이 지연이라는 부수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this case, after the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골기둥 이외에 원형의 PHC 기둥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PHC 기둥의 제작시, 철골보의 접합위치에 강재밴드를 미리 매입하여 제작하고 상기 강재밴드에 철골보를 용접하여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PHC 기둥의 시공시에 정확한 접합위치의 파악이 힘들기 때문에 웨브 접합 철판을 현장 용접함으로써 위치를 보정하는 추가적이고 번거로운 작업공정이 필요하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ircular PHC column may be used in addition to a steel column. In this case, a steel band may be pre-buried at the joining position of the steel beam and manufactured by welding the steel band to the steel band. do. 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fatal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joint posi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PHC column requires an additional and cumbersome work process for correcting the position by welding the web bonded steel sheet on-site.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원형 PHC 기둥의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평오차 및 수직오차 보정구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보다 시공이 더욱 간편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형태의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Therefore, while solving the problems of the horizontal error and vertical error correction structure that occur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conventional circular PHC column, it is structurally safe and simpler to construct, as well as economical form of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There is still a need for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chem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다운 공법에서 사용되는 PHC 기둥을 둘레면이 복수개의 평면을 가지는 다각형 형태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으로 대체하고, 스플라이스 접합부(splice point)를 단순접합하여 갤버보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간단하고 용이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전하며 경제적인 방식으로 시공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more specifically, the high-strength polygon centrifugal molding consisting of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planes around the PHC column used in the top-down method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tion with a new structure that replaces columns and simple splice points to convert to Galvesbo, making it easier to correct construction errors in a simpler, easier, structurally safe and cost-effective wa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a colum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둘레면에 철골보를 접합할 때 발생되는 시공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은 둘레면이 복수개의 평면을 가지는 다각형 형태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일측면에는 브라켓이 접합되어지는데, 상기 브라켓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웨브와 상기 웨브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용접결합된 상, 하부 플랜지(22,23)로 구성되며 기단부가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둘레면에 고정되고 선단부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웨브에의 선단부에는 복수개의 볼트구멍(21a)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일측단부에 접합된 브라켓들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철골보가 접합되어지며, 상기 철골보는 웨브 양단에 복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볼트와 접합철물을 이용하여 이음위치(splice point)에서 상기 브라켓의 선단부에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the structure for correcting the construction error generated when joining the cheolgolbo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gh-strength polygon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strength polygon The centrifugal pillar has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planes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bracket is joined to one sid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wherein the bracket has a web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It consists of upper an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의 기단부에는 고정핀이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 하부 플랜지에는 상, 하부 보조브라켓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기둥의 둘레부에는 상기 고정핀이 결합되는 결합공과, 상기 상, 하부 보조브라켓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공의 상, 하부에 위치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 하부 보조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pin extends forward at the proximal end of the bracket, and upper and lower auxiliary brackets ar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bracket, respectively, and the fixing pin is provided at a circumference of the column. A coupling hole to be coupled and a through hole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upling ho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auxiliary brackets, respectively, and further include a fixing ro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auxiliary brackets through the through hole.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의 웨브 양측에는 측면 보조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측면 보조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고정핀이 나사결합되는 커플러가 매입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봉은 일단부에 헤드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너트가 결합되는 볼트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와 너트가 상기 상, 하부 보조브라켓의 외측면에 걸리도록 상기 기둥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상, 하부 보조브라켓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고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auxiliary bracke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eb of the bracket, and the fixing pin is composed of a bolt passing through the side auxiliary bracket, and the fixing pin is screwed to the coupling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er is embedded and fixed, the fixing rod is composed of a bolt shaft formed with a head at one end and a nut coupled to the other end, so that the head and the nut is caugh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auxiliary bracke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pillar, and through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upper, lower auxiliary bracket fixedly coupl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 기둥에 형성된 보조브라켓의 관통공 및 고정핀의 위치와 타측 기둥에 형성된 보조브라켓의 관통공 및 고정핀의 위치가 서로 형성하는 높이 차이를 두 기둥이 형성하는 수직 시공오차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pillars have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and the fixing pin of the auxiliary bracket formed on one side of the pillar and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and the fixing pin of the auxiliary bracke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ustment so as to be equal to the vertical construction err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관통공에는 내부에 길이방향의 통공이 형성된 관체로 구성된 쉬스가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을 관통하도록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봉은 포스트텐션(post tension)이 도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ath formed of a tubular body having a through-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so as to penetrate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post tension is introduced.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한편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Meanwhile,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에 따르면,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둘레부에 철골보(2)와 대응되는 형태의 브라켓(20)이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20)의 선단부에 철골보(2)의 양단을 스플라이스 조인트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시공시 발생되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도 1은 종래의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의 철골기둥과 브라켓 및 접합철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 시공시 발생하는 수평오차를 보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모습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시 발생하는 수직오차를 보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모습
도 10은 종래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수평오차를 보정하는 구조에 의한 모멘트의 분포를 비교한 도표1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coupling method of a conventional column and cheolgolbo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a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eel pillars and brackets and joints of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7 is a plan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8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correcting the horizontal error generated when constructing a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correcting the vertical error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of a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hart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the moment by the structure for correcting the horizontal err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8은 시공시 발생하는 기둥의 수평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도 9는 두 기둥간의 수직오차를 보정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2 to 7 show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a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 structure for correcting the horizontal error of the column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9 illustrates a structure for correcting a vertical error between two pillars.
먼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구조를 설명한 후, 수평오차와 수직오차를 보정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은, 탑다운 공법에서 사용되는 PHC 기둥을 종래의 일반적인 원형 형상의 PHC 기둥에서 둘레면이 복수개의 평면을 갖는 다각형 형태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구조의 기둥을 말하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이라 한다.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철근(12)이 매입되어지며, 둘레면이 8개의 평면을 갖는 8각형 형태의 단면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First,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n a structure for correcting horizontal and vertical errors will be described.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C column used in a top-down method, and a pillar of a new structure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having a plurality of planes i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HC column having a conventional general circular shape.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it is referred to as a high 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The high-strength polygonal
상기 철골보(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브라켓(20)이 설치된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사이에 설치되어지는 구성요소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웨브(2a)와 상기 웨브(2a)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용접결합된 상, 하부 플랜지(2b,2c)로 구성되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I자 형태 또는 90°회전된 H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As shown in Figure 4, the
한편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둘레면에는 브라켓(20)이 구비되어져서, 철골보(2)의 양단을 상기 브라켓(20)의 선단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Meanwhi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이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은 상기 철골보(2)의 형상과 동일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웨브(21)와 상기 웨브(21)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용접결합된 상, 하부 플랜지(22,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웨브(21)의 선단부에는 복수개의 볼트구멍(21a)이 형성되며, 기단부가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둘레면의 일측에 고정되어진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4, the
즉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0)의 웨브(21)의 단부에는 고정핀(24)이 전방으로 연장되고, 브라켓(20)의 상, 하측 플랜지(22,23)에는 상, 하부 보조브라켓(25,26)이 각각 구비되어지며,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둘레부에는 상기 고정핀(24)이 결합되는 결합공(13)과, 상기 상, 하부 보조브라켓(25,26)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공(13)의 상, 하부에 위치되는 관통공(14)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14)에는 양단이 상기 상, 하부브라켓(20)에 고정되는 고정봉(30)이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20)이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둘레면의 일측에 고정설치 되어지도록 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5 to 7, the
한편 상기 고정핀(24)은 헤드(24a)와 나사축(24b)을 갖는 볼트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20)의 웨브(21)의 양측면에 구비된 한쌍의 측면 보조브라켓(27)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13)에 고정결합 되어진다. 상기 측면 보조브라켓(27)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웨브(21)의 단부 양측면에 용접결합되는 것인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웨브의 단부 일측면에만 용접결합되어질 수도 있다.
Meanwhile,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 하부 보조브라켓(25,26)은 강도가 높은 금속으로 구성되며 상, 하부 플랜지(22,23)의 상하면에 용접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봉(30)이 관통하는 관통공(25a,26a)이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공(25a, 26a)은 고정봉(30)이 관통될 수 있는 직경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관통공(25a, 26a)은 시공시 발생하는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수직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긴 슬롯(slot)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수평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긴 슬롯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나아가 현장에 설치된 이후에 고정봉이 관통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upper and lower
이때 철골보 단부로부터 이격시킨 위치에서 강봉에 차후 포스트텐션을 도입할 경우 내력감소 또는 처짐제어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보조브라켓(26)은 상기 브라켓(20)의 기단부에 근접되고, 상기 상부 보조브라켓(25)은 상기 하부 보조브라켓(26)에 비해 브라켓(20)의 선단부에 근접되도록 이격배치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역시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위치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당업자의 선택으로 상부 보조브라켓(25)이 철골보(2)의 단부에 근접되거나 하부 보조브라켓(26)이 철골보(2)의 단부에서 중앙부 쪽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post-tension is subsequently introduced to the steel ba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cheolgolbo, the lower
한편 상기 결합공(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양면 즉, 서로 반대되는 쪽 면에 상기 고정핀(24)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13)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핀(24)이 나사결합되는 커플러(16)가 매입고정된다. 상기 커플러(16)는 내주면에 나사산(16a)이 형성된 원형 캡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제작시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둘레면에 매입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철골보(2)의 단부를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에 밀착시킨 후, 상기 고정핀(24)을 커플러(16)에 나사결합하여, 철골보(2)를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둘레면에 일차로 고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통공(14)은 상기 상, 하부 보조브라켓(25,26)에 형성된 관통공(25d,26d)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공(13)의 상하측에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양측면을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14)에는 내부에 길이방향의 통공이 형성된 관체로 구성된 쉬스(17,sheath)가 기둥(10)을 관통하도록 삽입설치된다. 상기 쉬스(17)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구성된 것으로,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을 관통하도록 관통공(14)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봉(30)을 관통공(14)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기둥(10)의 중앙부에는 공간부(11)가 형성되므로, 상기 관통공(14)은 상기 공간부(11)에 의해 2개로 나뉘어져 각각 기둥(10)의 반대쪽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공(14)에 고정봉(30)을 끼울 때 고정봉(30)이 정확한 방향으로 삽입되지 않으면, 일측의 관통공(14)으로 끼워진 고정봉(30)의 선단부가 기둥(10)의 내측면에 걸려 반대쪽 관통공(14)에 손쉽게 끼워지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관통공(14)에는 쉬스(17)가 결합되어 양측의 관통공(14)이 상호 연결되므로, 고정봉(30)을 상기 관통공(14)에 손쉽게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ough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4방향에서 브라켓이 접합되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관통공(14)들이 서로 다른 높이에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지고,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접합되는 상하부 보조브라켓(25,26)의 관통공(25d,26d)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고정봉(30)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면서도 브라켓은 동일한 높이로 접합되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may be joined in four directions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in which case the through
상기 고정봉(30)은 일단부에 헤드(3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너트(32)가 결합되는 볼트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31)와 너트(32)가 상기 상, 하부 보조브라켓(25,26)의 외측면에 걸리도록, 상기 기둥(10)에 형성된 관통공(14)과, 상기 상, 하부 보조브라켓(25,26)에 형성된 관통공(25a,26a)을 관통하여 고정결합된다. 이때, 당업자의 선택으로 상기 고정봉(30)은 포스트텐션(post tension)이 선택적으로 도입되어질 수도 있다.
The fixing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일측 단부에 접합된 브라켓(20)들 사이의 공간에는 철골보(2) 부재가 설치되어지는데, 상기 철골보(2)의 웨브(2a)에는 복수개의 볼트구멍(2d)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20)과 철골보(2)의 볼트구멍(2d,21a)을 관통하는 볼트(42)와 접합철물(40)을 이용하여 상기 철골보(2)와 브라켓(20)을 접합하는데, 이때 상기 브라켓과 철골보가 형성하는 소정의 이음위치(splice point)에서 갤버보로 변환되도록 철골보와 브라켓의 웨브부분만 단순접합 하도록 한다.
Next, the cheolgolbo (2) member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상기 접합철물(40)은 상기 소정의 이음위치(splice point)에서 단순접합에 사용되는 사각형의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는데, 양측에는 상기 철골보(2)와 브라켓(20)에 형성된 볼트구멍(2d,21a)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복수개의 볼트구멍(41)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구멍(41)을 상기 철골보(2)와 브라켓(20)에 형성된 볼트구멍(2d,21a)에 일치시킨 후, 볼트(42)를 상기 볼트구멍(2d,21a,41)에 끼워 고정하여, 브라켓(20)과 철골보(2)의 단부를 상호 연결고정할 수 있다.
The joining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를 이용하여 수평오차 및 수직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correcting horizontal and vertical errors using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가. 시공시 발생하는 기둥의 수평오차 보정방법end. Horizontal Error Correction Method of Columns During Construction
도 8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시 발생하는 수평오차를 보정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이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설계와는 달리 일직선상에 시공되지 못하여 수평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20)과 철골보(2)도 일직선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서로 각을 이루면서 접합되어진다.
8 illustrates a structure for correcting a horizontal error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of a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high-strength polygonal
따라서 먼저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둘레면에 상기 브라켓(20)을 설치한 후, 상기 철골보(2)의 양단을 상기 브라켓(20)의 선단부와 결합함으로써 기둥(10)과 철골보(2)를 접합하는데 상기 브라켓(20)과 철골보(2)는 시공시 발생한 수평오차로 인하여 서로 각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접합철물(40)은 브라켓(20)과 철골보(2)가 이루는 각도에 대응되도록 중간부가 벤딩시키는 것이 선호된다. 이때, 상기 볼트구멍(2d,21a,41)의 유격에 의해 상기 접합철물(40)과 브라켓(20) 및 철골보(2)의 연결부위가 유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기둥(10)의 수평방향 오차뿐만 아니라 높이방향 시공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접합철물(40)을 이용하여 브라켓(20)과 철골보(2)의 양단을 상호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과 철골보가 접합되는 소정의 이음위치(splice point)에서 갤버보로 변환되도록 일측의 이음위치는 철골보와 브라켓의 웨브부분만 단순접합하고 타측의 이음위치는 플랜지 부분까지 강접합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방식의 사용, 즉 양쪽 이음위치 모두 단순접합하거나 또는 모두 강접합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Therefore, first, the
나. 두 I. two
기둥간의Columnar
수직오차 보정방법 Vertical Error Correc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시 발생하는 수직오차를 보정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치된 양쪽 기둥들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지면 기둥에 미리 형성된 결합공(13)과 관통공(14)이 서로 다른 단차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양쪽 기둥에 접합되는 철골보는 아랫방향 또는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지는 수직오차를 가지게 된다.
9 illustrates a structure for correcting a vertical error that occurs during construction of a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heights of both pre-installed pillars are arranged differently, the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는 고정봉(30)이 장착되어지는 상하부 보조브라켓(25,26)에 형성된 관통공(25a,26a)의 구멍위치를 조정하고 브라켓의 웨브에 형성된 고정핀(24)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즉 일측 기둥에 형성된 보조브라켓의 관통공(25a,26a) 및 고정핀(24)의 위치와 타측 기둥에 형성된 보조브라켓의 관통공(25a,26a) 및 고정핀(24)의 위치가 서로 형성하는 높이 차이가 두 기둥이 형성하는 수직 시공오차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양쪽 브라켓 사이에 접합되어지는 철골보가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지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hole positions of the through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는 기둥(10)의 둘레부에 철골보(2)와 대응되는 형태의 브라켓(20)이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20)의 선단부에 철골보(2)의 양단을 이음위치(splice point)에서 갤버보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기둥(10)의 시공시 발생되는 수평오차를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보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정봉 정착용 상하부 보조브라켓의 관통공과 고정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수직오차를 간단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나아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는 단부 모멘트와 중앙부 모멘트가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단부에서 고정봉(30)에 포스트텐션(post tension)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모멘트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ure 10,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end moment and the center moment balance each other. Furthermore, when post tension is applied to the fixed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양쪽 단부에서 철골보가 접합되는 경우 시공오차를 보정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지만,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서 철골보가 기둥의 네방향에서 접합되어지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다각형상이 아닌 일반형상의 기둥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s and effec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ile the above description has described a structure for correcting a construction error when the cheolgolbo is bonded at both ends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olgolbo is joined in four directions of the column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applied to the case of losing, and it can be applied to the column of general shape rather than polygonal shape.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modification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2 : 철골보 10 :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
20 : 브라켓 30 : 고정봉
40 : 접합철물2: cheolgolbo 10: high strength polygon centrifugal pillar
20: bracket 30: fixed rod
40: joining hardware
Claims (7)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은 둘레면이 복수개의 평면을 가지는 다각형 형태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일측면에는 브라켓(20)이 접합되어지는데, 상기 브라켓(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웨브(21)와 상기 웨브(21)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용접결합된 상, 하부 플랜지(22,23)로 구성되며 기단부가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둘레면에 고정되고 선단부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웨브(21)에의 선단부에는 복수개의 볼트구멍(21a)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일측단부에 접합된 브라켓(20)들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철골보(2)가 접합되어지며, 상기 철골보(2)는 웨브(2a) 양단에 복수개의 볼트구멍(2d)이 형성되어 볼트(42)와 접합철물(40)을 이용하여 이음위치(splice point)에서 상기 브라켓(2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브라켓(20)의 기단부에는 고정핀(24)이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브라켓(20)의 상, 하부 플랜지(22,23)에는 상, 하부 보조브라켓(25,26)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10)의 둘레부에는 상기 고정핀(24)이 결합되는 결합공(13)과, 상기 상, 하부 보조브라켓(25,26)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공(13)의 상, 하부에 위치되는 관통공(1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4)을 관통하여 상기 상, 하부 보조브라켓(25,26)에 고정되는 고정봉(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의 시공오차 보정구조In the structure for correcting the construction error generated when joining the cheolgolbo (2)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10),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10 is made of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planes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racket 20 is joined to one sid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10, and the bracket 20 is wel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web 2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eb 21. Composed of upper and lower flanges 22 and 23, the proximal end is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10, the proximal end extends laterally, and a plurality of bolt holes at the distal end of the web 21. 21a is formed to penetrate both sides,
The cheolgolbo (2) is bonded to the space formed by the brackets 20 joined to one side end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10), the cheolgolbo (2) is a plurality of bolt holes (both ends of the web (2a)) 2d)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racket 20 at the splice point using the bolt 42 and the joining hardware 40,
A fixing pin 24 extends forward in the proximal end of the bracket 20, and upper and lower auxiliary brackets 25 and 26 ar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flanges 22 and 23 of the bracket 20, respectively.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igh-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illar 10 has a coupling hole 13 to which the fixing pin 24 is coupled, and the coupling hole 13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auxiliary brackets 25 and 26. The through holes 14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and further include a fixing rod 30 penetrating the through holes 14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auxiliary brackets 25 and 26.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structure of high 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colum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5594A KR101292395B1 (en) | 2011-09-22 | 2011-09-22 | A compenstation struture for high 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recast colum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5594A KR101292395B1 (en) | 2011-09-22 | 2011-09-22 | A compenstation struture for high 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recast column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1984A KR20130031984A (en) | 2013-04-01 |
KR101292395B1 true KR101292395B1 (en) | 2013-08-01 |
Family
ID=4843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5594A Active KR101292395B1 (en) | 2011-09-22 | 2011-09-22 | A compenstation struture for high 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recast colum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239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32952A (en) * | 2014-12-19 | 2015-04-22 | 东南大学 | Short angle iron connection type reinforced concrete assembling integrated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566932B1 (en) * | 2014-10-23 | 2015-11-06 | (주)한주에스티 | Composite Girder |
CN106499054A (en) * | 2016-11-30 | 2017-03-15 |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 Prefabricated assembled frame beam colum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7070B1 (en) * | 2014-04-23 | 2014-10-06 | 주식회사 젠트로 | Device for installing a training wall in a watertreatment plant |
KR102068640B1 (en) * | 2019-03-11 | 2020-01-21 | (주)해성기공 | Lts joint metho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46039A (en) * | 1992-06-15 | 1993-12-27 | Haseko Corp | Column-beam joint structure |
KR20010078528A (en) * | 2000-01-08 | 2001-08-21 | 이원호 | Steel joint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preflex beams |
-
2011
- 2011-09-22 KR KR1020110095594A patent/KR10129239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46039A (en) * | 1992-06-15 | 1993-12-27 | Haseko Corp | Column-beam joint structure |
KR20010078528A (en) * | 2000-01-08 | 2001-08-21 | 이원호 | Steel joint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preflex beam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6932B1 (en) * | 2014-10-23 | 2015-11-06 | (주)한주에스티 | Composite Girder |
CN104532952A (en) * | 2014-12-19 | 2015-04-22 | 东南大学 | Short angle iron connection type reinforced concrete assembling integrated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06499054A (en) * | 2016-11-30 | 2017-03-15 |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 Prefabricated assembled frame beam colum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1984A (en) | 2013-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916726B (en) | Assembled self-recovery circular concrete-filled steel tube combined node | |
KR101292395B1 (en) | A compenstation struture for high 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recast columns | |
US10161090B2 (en) | Method for launching/constructing bridge using assembly of precast bottom plate and concrete-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 |
KR101862278B1 (en) | Steel composite concrete member | |
JP5718861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pile-type pier | |
JP2009280971A (en) |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pole and precast concrete beam | |
JP6753029B2 (en) | Reinforcing bar for attaching vertical bars and how to attach reinforcing vertical bars using the reinforcing bar | |
JP2008111290A (en) |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 |
KR20160052944A (en) |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high strength polygonal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 and steel girder | |
JP6647558B2 (en) | Leg seismic retrofit structure consisting of cylindrical brace and tie rod brace of spherical tank | |
KR101673287B1 (en) | Methods of increasing the sectional resisting force for negative moment acting at the end part of beam in case of repair or remodeling | |
CN104060700A (en) | Assembled cast steel outer sleeve-T-shaped part beam and column connecting device | |
KR20160099150A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chorage device for tendon axis displacement control | |
KR101590065B1 (en) | Prefabricated composite truss gird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
JP2018154982A (en) | Column base construction method and existing column base reinforcement method | |
KR101805434B1 (en) | Sturcture of composite beam using wire tension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10281044A (en) | Mixed structural beam | |
KR101292369B1 (en) |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high strength polygonal centrifugal precast column and steel girder | |
JP2018076745A (en) | Precast member, precast member erection structure, precast member erectio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JP2016089549A (en) | Structure and method for joining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steel column or column comprising steel column | |
KR20160068107A (en) | Steel beam and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using the same th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 |
KR101797178B1 (en) | Reinforcement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 using multi purpose coupler for reinforced concrete member | |
KR101339509B1 (en) | Centrifugal precast concrete column with polygonal shape | |
JP2014173223A (en) | Reinforcement structure | |
KR102260476B1 (en) | Cft column reinforcemen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