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952B1 -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8952B1 KR101288952B1 KR1020130055103A KR20130055103A KR101288952B1 KR 101288952 B1 KR101288952 B1 KR 101288952B1 KR 1020130055103 A KR1020130055103 A KR 1020130055103A KR 20130055103 A KR20130055103 A KR 20130055103A KR 101288952 B1 KR101288952 B1 KR 1012889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sludge
- bath
- sewage
- microorganisms
- Prior art date
Links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9629 microbiological cultur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301 hydrolyzing Effects 0.000 abstract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41000276438 Gadus morhu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516 c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IJGRMHOSHXDMSA-UHFFFAOYSA-N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BDQKXXYIPTUBI-UHFFFAOYSA-N propi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03 redu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50 stock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40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33 Metaboliz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1710006852 bath-40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0 carbon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9 degra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6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864 oxidative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60 propio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384 small molecu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수처리설비로부터 1차슬러지와 2차슬러지가 공급되는 농축조와; BM-S-1, EM, YM, KS-50 중에서 선택된 미생물이 활성 배양되는 미생물 배양조와; 상기 농축조로부터 슬러지가 주입됨과 아울러 상기 미생물 배양조로부터 활성미생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복수개의 산기관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가수분해조와; 상기 가수분해조에서 활성미생물에 의하여 산화 분해된 슬러지가 공급되는 제1침전조와; 상기 제1침전조 내부에서 슬러지 상측에 부유된 상등수를 공급받음과 아울러 상기 미생물 배양조로부터 활성미생물을 공급받는 산화제거조와; 상기 산화제거조에 남아있는 슬러지와 상등수를 공급받아 일정시간 체류시켜, 내부 하단에 침전된 슬러지 상부에 부유되는 상등수를 상기 하수처리설비로 공급하는 제2침전조;로 구성되어, 미생물을 이용하여 기존 하수처리장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감량함과 아울러 고도처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일관 공정을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감량하고 고도처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일관 공정을 제시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수슬러지는 크게 하수처리설비의 1차침전조에서 침전되어 발생하는 1차슬러지(생슬러지)와 생물학적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생물의 세포합성물인 2차슬러지(잉여슬러지)로 구분된다. 이러한 슬러지는 대부분이 50~85%가량의 유기물(VS)을 함유하고 있어서 대부분이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물질이며, 적절한 중간처리인 감량화 공정(건조, 소화, 고화, 탄화, 부숙화, 퇴비화)을 거쳐 최종 처분된다.
일반적인 하수슬러지의 처리과정은 보통 하수슬러지를 농축시킨 후, 혐기성 소화소로 유입시킨다. 유입된 유기물들은 혐기성 소화조내의 가수분해 및 산생성 세균에 의해 단계적으로 저분자물질(아세테이트산, 프로피오닉산 등)로 분해되고, 최종적으로 메탄생성세균에 의해 저분자물질들은 바이오가스(CH4)로 전환된다. 반면 분해되지 않은 유기물들은 혐기성소화조 외부로 유출되고 탈수기를 통해 Cake로 배출되며, 탈수과정에서 발생되는 여액은 다시 하폐수 처리설비로 이송되어 하폐수 처리과정을 거쳐 방류기준 이하로 방류하게 된다.
이러한 하수슬러지는 2008년도 기준으로 년간 약 2,817,357톤가량 발생하고 있으며, 현재 하루에 약 1만톤의 탈수슬러지(cake)가 발생되고 있다. 하수슬러지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하여 종래에 많은 기술들이 제시되었으나 대부분의 기술들은 수분제거를 위한 건조기술과 혐기성 소화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전처리 방법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처리시설의 유지 및 운영에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이 매우 커서 국가 재정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효율이 매우 낮고, 에너지 소모량이 크기 때문에 국제 유가의 변동에 사업성이 좌우되는 위험성이 내재해 있다.
최근 들어 보다 친환경적인 처리 방법의 일환으로 등록번호 : 10-1207373(발명의 명칭 : 혼합 미생물을 포함한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 또는 오폐수로부터 수집된 유기성 농축 슬러지의 생물학적 액화 처리 방법)과 같은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미생물을 이용한 슬러지 처리방법들은 기존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대상으로 현장에 적용할 경우, 설계상의 유입부하 이상의 부하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적용하여 활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실제로 위에서 언급한 등록번호 10-1207373의 기술을 기존 하수처리설비에 적용한 결과 방류수질이 BOD 48%, SS 120%, COD 55%, TN 34%, TP 63% 가량이 증가되어, 하수처리장의 부하를 증가시켜 안정적인 처리수질을 유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슬러지의 감량효과 또한 크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기존 하수처리장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감량함과 아울러 고도처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일관 공정을 제시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은 하수처리설비로부터 1차슬러지와 2차슬러지가 공급되는 농축조와; BM-S-1, EM, YM, KS-50 중에서 선택된 미생물이 활성 배양되는 미생물 배양조와; 상기 농축조로부터 슬러지가 주입됨과 아울러 상기 미생물 배양조로부터 활성미생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복수개의 산기관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가수분해조와; 상기 가수분해조에서 활성미생물에 의하여 산화 분해된 슬러지가 공급되는 제1침전조와; 상기 제1침전조 내부에서 슬러지 상측에 부유된 상등수를 공급받음과 아울러 상기 미생물 배양조로부터 활성미생물을 공급받는 산화제거조와; 상기 산화제거조에 남아있는 슬러지와 상등수를 공급받아 일정시간 체류시켜, 내부 하단에 침전된 슬러지 상부에 부유되는 상등수를 상기 하수처리설비로 공급하는 제2침전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수처리설비에서 공급되는 1차슬러지는 스크린에 의하여 필터링된 후 상기 농축조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미생물 배양조에서 상기 가수분해조와 상기 산화제거조로 제공되는 활성미생물의 양은 그 비율이 70~80:20~30 이다.
또한, 상기 제1침전조 내부 하단에 침전된 슬러지는 상기 가수분해조로 반송되고, 상기 제2침전조 내부 하단에 침전된 슬러지는 상기 가수분해조로 반송된다.
또한, 상기 가수분해조 내부에서 슬러지와 활성미생물이 체류되는 시간은 24~72시간이고, 상기 제1침전조 내부에서 슬러지가 체류되는 시간은 6~18시간이며, 상기 산화제거조에서 상등수와 활성미생물이 체류되는 시간은 12~36시간이고, 상기 제2침전조에서 슬러지가 체류되는 시간은 6~18시간이다.
또한, 상기 하수처리설비는 상기 제2침전조로부터 공급된 상등수가 필터링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상등수를 공급받고, 내부 하단에 침전된 1차슬러지를 상기 농축조에 제공하는 1차침전조와; 상기 1차침전조 내부에서 슬러지 상측에 부유된 상등수를 제공받아 생물학적 처리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생물반응조와;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생물학적 처리과정을 거친 상등수를 제공받음과 아울러 내부하단에 침전된 2차슬러지를 상기 농축조에 제공하는 2차침전조와; 상기 2차침전조 내부에서 슬러지 상측에 부유된 상등수를 제공받아 필터링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에서 필터링된 상등수를 소독하는 소독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하수처리장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감량함과 아울러 고도처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일관 공정을 제시하여, 처리과정에서의 악취 발생을 감소시키고 이산화탄소 발생이 다른 처리방법에 비해 작아 탄소배출권 제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의 공정을 보인 도.
도 2a는 하수처리장에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했을 때의 COD 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2b는 하수처리장에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했을 때의 SS 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2c는 하수처리장에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했을 때의 총질소 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2d는 하수처리장에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했을 때의 총인 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2a는 하수처리장에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했을 때의 COD 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2b는 하수처리장에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했을 때의 SS 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2c는 하수처리장에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했을 때의 총질소 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2d는 하수처리장에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했을 때의 총인 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의 공정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은 하수처리설비(10)와, 상기 하수처리설비(10)로부터 1차슬러지와 2차슬러지를 공급받는 농축조(20)와, 미생물이 활성 배양되는 미생물 배양조(30)와, 상기 농축조(20)로부터 슬러지가 주입되고 상기 미생물 배양조(30)로부터 활성미생물을 공급받는 가수분해조(40)와, 상기 가수분해조(40)에서 활성미생물에 의하여 산화 분해된 슬러지가 공급되는 제1침전조(50)와, 상기 제1침전조(50)로부터 상등수를 공급받고 상기 미생물 배양조(30)로부터 활성미생물을 공급받는 산화제거조(60)와, 상기 산화제거조(60)에 남아있는 슬러지와 상등수를 공급받는 제2침전조(70)로 구성된다.
상기 하수처리설비(10)는 스크린(11)과, 1차침전조(12)와, 생물반응조(13)와, 2차침전조(14)와, 여과조(15)와, 소독조(16)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11)은 이물질 제거를 위해 필터링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침전조(70)로부터 공급된 상등수가 상기 제1차침전조(12) 내부로 유입되기 전에 필터링을 한다.
상기 1차침전조(12)는 상기 스크린(11)을 통과함으로써 필터링된 상등수를 공급받는다. 이 상등수를 1차침전조(12) 내부에 일정시간동안 체류시키면 내부 하단에 1차슬러지가 침전되는데, 이 침전된 1차슬러지를 상기 농축조(20)에 공급한다.
상기 생물반응조(13)는 생물학적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1차침전조(12) 내부의 1차슬러지 상측에 부유된 상등수를 제공받아서 생물학적 처리를 한다.
상기 2차침전조(14)는 상기 생물반응조(13)에서 생물학적 처리과정을 거친 상등수를 제공받는 것으로서, 생물반응조(13)에서 제공받은 상등수를 2차침전조(14) 내부에 일정시간동안 체류시키면 내부 하단에 2차슬러지가 침전되는데, 이 침전된 2차슬러지를 상기 농축조(20)에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 2차침전조(14)에 침전된 슬러지는 다시 상기 생물반응조(13)로 반송하여 다시 생물학적 처리과정을 거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여과조(15)는 상기 2차침전조(14) 내부에서 2차슬러지 상측에 부유된 상등수를 제공받아 필터링한다. 즉, 상기 농축조(20)에 제공된 2차슬러지를 제외한 나머지를 공급받아서 필터링한다.
상기 소독조(16)는 상기 여과조(15)에서 필터링된 상등수를 소독하는 최종처리과정을 하는 것으로서, 소독된 상등수는 외부로 방류된다.
상기 농축조(20)는 상기 하수처리설비(10)의 제1침전조(50)와 제2침전조(70)로부터 각각 1차슬러지와 2차슬러지를 제공받아 고형물(Total Solids)의 함량을 높인다. 이렇게 1차슬러지('생슬러지'라고 칭하기도 함)와 2차슬러지('잉여슬러지'라 칭하기도 함)가 농축조(20)에 공급될 때 1차슬러지에는 다량의 협잡물이 함유될 수 있으므로 2mm 이하의 간격을 갖는 스크린(S)으로 필터링을 한 후에 상기 농축조(20)로 공급한다. 협잡물은 상기 가수분해조(40)에서 미생물의 분해효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스크린(S)을 통하여 사전에 제거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농축조(20)에 저장된 슬러지는 외부로 인출하여 탈수를 한 후 케이크(Cake) 형태로 배출할 수도 있다.
상기 미생물 배양조(30)는 일정기간동안 미생물을 배양하여 활성화시키는 것으로서, 이 미생물 배양조(30)에서 활성화되는 미생물은 BM-S-1, EM, YM, KS-5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선택된 미생물 원액을 미생물 배양조(30)에 주입하고 18~25℃의 범위에서 약 3~7일동안 활성화시킨다. 활성화 방법은 미생물의 종류와 슬러지의 생분해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원액과 희석수의 비율은 30배를 표준으로 한다. 그리고, 활성화 기간동안 미생물 배양조(30) 내부에는 교반기(미도시)와 산소공급시설(미도시)이 설치되어 있어서 활성화를 촉진시킨다. 산소공급시설에 의한 산소공급은 3일 배양일 경우에는 6시간 간격으로 1시간씩 하루에 총 4시간 수행하고, 7일 배양일 경우에는 12시간 간격으로 1시간씩 하루에 총 2시간 수행한다. 이때 활성화된 미생물의 개체 밀도는 108~109/1ml 이상이며, 유입고형물의 VS(유기물)를 기준으로 약 2~8%의 활성액을 투입하는데, 상기 가수분해조(40)에는 60~80%에 해당되는 양을 투입한다.
상기 가수분해조(40)는 상기 농축조(20)에서 농축된 슬러지를 제공받고, 동시에 상기 미생물 배양조(30)로부터 활성화된 미생물을 공급받는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농축조(20)의 하단부에서 이송펌프에 의하여 가수분해조(40)로 농축된 슬러지가 공급되고, 이 슬러지에 활성미생물이 투입되어 슬러지의 산화분해 작용이 일어난다. 슬러지는 미생물의 대사작용에 의해 저분자물질로 분해되는데, 이때 미생물이 분해된 저분자 물질을 기질로 이용하여 대사하게 되고, 저분자 물질이 부족할 경우 다시 분자량이 많은 기질을 저분자 물질로 분해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슬러지는 점차적으로 분해되어 감량하게 된다.
상기 가수분해조(40)는 활성미생물에 의하여 슬러지가 저분자 물질로 전환되는데 필요한 반응시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상기 산화제거조(60)보다 긴 체류시간을 필요로 한다. 가수분해조(40) 내부에서 슬러지와 활성미생물의 체류시간은 24~72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48시간 이상이다.
또한, 상기 가수분해조(40)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공기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필요한 공기량은 DO(용존산소량) 4mg/L 이상 유지가 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4~6mg/L가 적당하다. 가수분해조(40) 내부는 각 위치별로 교반정도에 따라 DO 농도가 조금씩 다른 값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균일한 혼합을 위해서 복수개의 산기관(미도시)을 가수분해조(40)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산기관은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1m2당 1개씩 설치하는 것을 표준으로 하고, 효과를 보다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토네이도 형태의 산기관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볼 형태의 산기관이나 다른 형태의 산기관을 설치할 경우에는 토네이도 형태의 산기관에 비하여 1.2배 정도 설치한다.
상기 제1침전조(50)는 상기 가수분해조(40)에서 산화 분해된 슬러지를 공급받아서 일정시간동안 체류시킴으로써 내부 하단에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그 위쪽으로 상등수가 부유되도록 한다. 제1침전조(50) 내부에서 슬러지가 체류되는 시간은 6~18시간동안이며, 이 시간동안 제1침전조(50) 내부에서 체류됨으로써 내부 하단에 침전된 슬러지는 상기 가수분해조(40)로 반송된다. 가수분해조(40)로 반송된 슬러지는 다시 활성미생물에 의하여 저분자물질로 분해되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겪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침전조(50)에서 상기 가수분해조(40)로 반송되는 반송관로상에는 1mm의 간격을 갖는 스크린(S)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제1침전조(50) 내부에서 슬러지가 분해될 때 각종 음이온과 양이온이 용출되는데, 이 음이온과 양이온이 서로 결합하여 화학물의 결정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화학물 결정체를 필터링한 후에 상기 가수분해조(40)로 반송하기 위하여 스크린(S)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산화제거조(60)는 상기 제1침전조(50) 내부 상측, 즉 제1침전조(50)의 내부에 침전되어 있던 슬러지의 상측에 부유되어 있는 상등수를 공급받고, 상기 미생물 배양조(30)로부터 활성미생물을 공급받는다. 산화제거조(60)로 유입된 상등수는 제1침전조(50)에서의 슬러지보다 활성미생물에 의하여 빠른 속도로 분해되기 때문에 산화제거조(60)에서 상등수와 활성미생물이 체류되는 시간은 상기 제1침전조(50)의 체류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12~36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산화제거조(60) 내부의 DO 농도는 0.5~4mg/L의 범위가 적당하며 평균적으로는 DO 범위가 2~4mg/L 일 때 효율이 높다.
한편, 가수분해조(40)와 산화제거조(60)는 상기 미생물 배양조(30)로부터 활성미생물을 공급받는데, 이때 미생물 배양조(30)에서 인출되는 활성미생물의 양이 100이라 할 때 가수분해조(40)로 제공되는 활성미생물은 60~80이고, 산화제거조(60)로 제공되는 활성미생물의 양은 20~40이다. 왜냐하면 가수분해조(40)는 산화제거조(60)보다 상대적으로 고분자물질의 슬러지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침전조(70)는 상기 산화제거조(60)에 남아있는 슬러지와 상등수를 공급받아 일정시간 체류시켜, 내부 하단에 침전된 슬러지 상부에 부유되는 상등수를 상기 하수처리설비(10)로 공급한다. 즉, 산화제거조(60)의 상부에서 펌핑하여 미처리된 슬러지를 포함한 상등수 전체를 제2침전조(70)에 공급한 후 6~18시간동안 체류시켜 내부 하단에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그 위로 상등수가 부유하게 한다. 이렇게 제2침전조(70) 내부에 침전된 슬러지는 상기 가수분해조(40)로 반송된다.
하기의 [표]는 하수처리설비에 본 발명을 적용하기 전(2012년 6월까지)과 적용한 이후(2012년 7월부터)의 슬러지 발생량을 조사한 표이다. 이러한 시험을 통하여 본 발명을 하수처리설비에 적용할 경우 슬러지 발생량이 88.2% 감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비고 |
1월 | 822.80 | 1238.45 | 620.91 | |
2월 | 973.07 | 1293.95 | 1189.15 | |
3월 | 1043.88 | 986.07 | 1318.56 | |
4월 | 1325.75 | 884.46 | 615.11 | |
5월 | 1218.79 | 774.72 | ||
6월 | 1168.88 | 720.76 | ||
7월 | 1339.7 | - | ||
8월 | 1587.71 | - | ||
9월 | 1224.33 | 152.0 | ||
10월 | 1143.23 | - | ||
11월 | 1347.43 | 28.81 | ||
12월 | 1260.99 | 750.35 | ||
계 | 14,456.56 | 6,829.57 | 88.2 % |
한편, 도 2a는 하수처리장에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했을 때의 COD 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 2b는 하수처리장에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했을 때의 SS 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2c는 하수처리장에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했을 때의 총질소 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며, 도 2d는 하수처리장에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했을 때의 총인 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통하여 본 발명을 하수처리장에 적용할 경우 슬러지 분해로 인한 분해 부산물이 하수처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오히려 COD 부분에서는 수질 개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10: 하수처리설비 11: 스크린
12: 1차침전조 13: 생물반응조
14: 2차침전조 15: 여과조
16: 소독조 20: 농축조
30: 미생물 배양조 40: 가수분해조
50: 제1침전조 60: 산화제거조
70: 제2침전조 S: 스크린
12: 1차침전조 13: 생물반응조
14: 2차침전조 15: 여과조
16: 소독조 20: 농축조
30: 미생물 배양조 40: 가수분해조
50: 제1침전조 60: 산화제거조
70: 제2침전조 S: 스크린
Claims (9)
- 하수처리설비(10)로부터 1차슬러지와 2차슬러지가 공급되는 농축조(20)와;
미생물이 활성 배양되는 미생물 배양조(30)와;
상기 농축조(20)로부터 슬러지가 주입됨과 아울러 상기 미생물 배양조(30)로부터 활성미생물을 공급받는 가수분해조(40)와;
상기 가수분해조(40)에서 활성미생물에 의하여 산화 분해된 슬러지가 공급되는 제1침전조(50)와;
상기 제1침전조(50) 내부에서 슬러지 상측에 부유된 상등수를 공급받음과 아울러 상기 미생물 배양조(30)로부터 활성미생물을 공급받는 산화제거조(60)와;
상기 산화제거조(60)에 남아있는 슬러지와 상등수를 공급받아 일정시간 체류시켜, 내부 하단에 침전된 슬러지 상부에 부유되는 상등수를 상기 하수처리설비(10)로 공급하는 제2침전조(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수처리설비(10)에서 공급되는 1차슬러지는 스크린(S)에 의하여 필터링된 후 상기 농축조(2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배양조(30)에서 상기 가수분해조(40)와 상기 산화제거조(60)로 제공되는 활성미생물의 양은 그 비율이 60~80:20~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침전조(50) 내부 하단에 침전된 슬러지는 상기 가수분해조(40)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침전조(70) 내부 하단에 침전된 슬러지는 상기 가수분해조(40)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조(40) 내부에서 슬러지와 활성미생물이 체류되는 시간은 24~72시간이고, 상기 제1침전조(50) 내부에서 슬러지가 체류되는 시간은 6~18시간이며, 상기 산화제거조(60)에서 상등수와 활성미생물이 체류되는 시간은 12~36시간이고, 상기 제2침전조(70)에서 슬러지가 체류되는 시간은 9~18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배양조(30)에서 활성화되는 미생물은 BM-S-1, EM, YM, KS-5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조(40) 내부에는 복수개의 산기관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수처리설비(10)는 상기 제2침전조(70)로부터 공급된 상등수가 필터링되는 스크린(11)과;
상기 스크린(11)을 통과한 상등수를 공급받고, 내부 하단에 침전된 1차슬러지를 상기 농축조(20)에 제공하는 1차침전조(12)와;
상기 1차침전조(12) 내부에서 슬러지 상측에 부유된 상등수를 제공받아 생물학적 처리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생물반응조(13)와;
상기 생물반응조(13)에서 생물학적 처리과정을 거친 상등수를 제공받음과 아울러 내부하단에 침전된 2차슬러지를 상기 농축조(20)에 제공하는 2차침전조(14)와;
상기 2차침전조(14) 내부에서 슬러지 상측에 부유된 상등수를 제공받아 필터링하는 여과조(15)와;
상기 여과조(15)에서 필터링된 상등수를 소독하는 소독조(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5103A KR101288952B1 (ko) | 2013-05-15 | 2013-05-15 |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5103A KR101288952B1 (ko) | 2013-05-15 | 2013-05-15 |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8952B1 true KR101288952B1 (ko) | 2013-07-25 |
Family
ID=4899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5103A KR101288952B1 (ko) | 2013-05-15 | 2013-05-15 |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895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41082A (zh) * | 2014-09-30 | 2015-02-11 | 北京久顺科技有限公司 | 一种污泥氧化处理工艺及装置 |
KR101594822B1 (ko) | 2015-11-03 | 2016-02-17 | 박서현 | 생물활성탄을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용 슬러지의 처리장치와 그 방법 |
KR101594824B1 (ko) | 2015-11-03 | 2016-02-17 | 박서현 | 생물활성탄을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용 퇴적 슬러지의 정화장치 |
KR101813136B1 (ko) * | 2017-06-22 | 2018-01-31 | (주)바요 | Ces 바이오 시스템을 적용한 슬러지 분해 반응기 |
KR102107627B1 (ko) * | 2018-11-30 | 2020-05-28 | 주식회사 포스코 | 코크스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 처리 설비, 이를 이용한 폐수 처리 방법, 및 코크스 제조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4524A (ko) * | 2003-09-03 | 2005-03-10 | 강경범 | 오ㆍ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및 오ㆍ폐수 고도처리 방법 |
KR20060056447A (ko) * | 2004-11-19 | 2006-05-24 | (주) 테크윈 | 변성전분 폐수처리 방법 |
KR20110006757A (ko) * | 2009-07-15 | 2011-01-21 | 삼득산업(주) | 자원화설비장과 하수처리장이 연계된 음폐수처리시스템 |
KR20120136701A (ko) * | 2011-06-09 | 2012-12-20 | 주식회사 부강테크 |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
-
2013
- 2013-05-15 KR KR1020130055103A patent/KR1012889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4524A (ko) * | 2003-09-03 | 2005-03-10 | 강경범 | 오ㆍ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및 오ㆍ폐수 고도처리 방법 |
KR20060056447A (ko) * | 2004-11-19 | 2006-05-24 | (주) 테크윈 | 변성전분 폐수처리 방법 |
KR20110006757A (ko) * | 2009-07-15 | 2011-01-21 | 삼득산업(주) | 자원화설비장과 하수처리장이 연계된 음폐수처리시스템 |
KR20120136701A (ko) * | 2011-06-09 | 2012-12-20 | 주식회사 부강테크 |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41082A (zh) * | 2014-09-30 | 2015-02-11 | 北京久顺科技有限公司 | 一种污泥氧化处理工艺及装置 |
KR101594822B1 (ko) | 2015-11-03 | 2016-02-17 | 박서현 | 생물활성탄을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용 슬러지의 처리장치와 그 방법 |
KR101594824B1 (ko) | 2015-11-03 | 2016-02-17 | 박서현 | 생물활성탄을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용 퇴적 슬러지의 정화장치 |
KR101813136B1 (ko) * | 2017-06-22 | 2018-01-31 | (주)바요 | Ces 바이오 시스템을 적용한 슬러지 분해 반응기 |
KR102107627B1 (ko) * | 2018-11-30 | 2020-05-28 | 주식회사 포스코 | 코크스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 처리 설비, 이를 이용한 폐수 처리 방법, 및 코크스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8952B1 (ko) |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시스템 | |
US2014014483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ultivating microalgae using effluent from sludge treatment | |
CN102190398B (zh) | 一种焦化废水处理方法 | |
KR100419259B1 (ko) | 슬러지 감량형 막분리 활성슬러지 공법을 이용한하수처리방법 | |
CA2785538C (en) | Improved digestion of biosolids in wastewater | |
Amini et al. |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by semi-continuous and membrane algal-bacterial photo-bioreactors | |
Luo et al. | The effect of using pig manure as an internal carbon source in a traditional piggery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biological denitrification | |
Fatone et al. | Biological short-cut nitrogen removal from anaerobic digestate in a demonstration sequencing batch reactor | |
US7833415B2 (en) | Method for treating raw sludge including a simultaneous or pulsed aerobic/anoxic digestion process | |
KR100304544B1 (ko) | 혐기발효조를이용한개량된하·폐수의영양소제거방법 | |
CN102557239A (zh) | 一种处理染料废水的方法 | |
KR101622936B1 (ko) | 오존산화반응이 적용된 미세조류 배양장치 및 방법 | |
KR20160099067A (ko) | 내부반송라인을 포함하는 생물전기화학 반응과 간헐폭기공법이 융합된 유기물 및 영양염류 처리 시스템 | |
KR20140026138A (ko) | 체여과-분리막생물반응조 및 고농축 슬러지 혐기성소화조를 생흡착 현상으로 조합한 집적형 통합 고도하수처리 시스템 | |
KR20140015102A (ko) |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제고를 위한 혐기발효 공정에서 전처리시 치환반응을 이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생산 방법 및 그로부터 생산된 바이오가스 | |
KR101861072B1 (ko) | 인 결정화 장치를 갖는 하·폐수처리시설 및 음식물쓰레기·축산분뇨처리시설 | |
CN109912126A (zh) | 一种农药废水处理工艺 | |
KR100361453B1 (ko) | 농축, 잉여 또는 탈수슬러지를 이용한 자연정화 폐수처리방법 | |
CN103848536A (zh) | 生活垃圾渗滤液处理方法 | |
CN213112936U (zh) | 一种有利于厌氧氨氧化菌培养的水处理装置 | |
KR102340961B1 (ko) | 분말 산화철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 |
CN101830605B (zh) | 生化制药废水处理工艺 | |
CN102503022B (zh) | 一种垃圾渗滤液合成处理的方法 | |
WO2007050699A2 (en) |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imultaneous, sequential or pulsed aerobic and/or anoxic digestion process | |
Dhiman et al. | Secondary Clarification of Wastewater Relying on Biological Treatment Processes: Advancements and Drawbac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