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370B1 - Worktable carriage for tunnel - Google Patents

Worktable carriage for tu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370B1
KR101288370B1 KR1020130007828A KR20130007828A KR101288370B1 KR 101288370 B1 KR101288370 B1 KR 101288370B1 KR 1020130007828 A KR1020130007828 A KR 1020130007828A KR 20130007828 A KR20130007828 A KR 20130007828A KR 101288370 B1 KR101288370 B1 KR 101288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s
frame
die
str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8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평원
이경석
Original Assignee
(주)대한하이텍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하이텍건설 filed Critical (주)대한하이텍건설
Priority to KR1020130007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3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37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04Staff transport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06Equipment transport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터널용 작업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터널용 작업대차는,
최하부에 배치되며 바퀴가 결합되는 한 쌍의 I형강; 상기 I형강 상에 조립되며 터널용 작업대차의 골격을 이루는 골격프레임; 상기 골격프레임의 최상측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상부다이; 상기 골격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단형의 측면다이; 상기 상부다이 및 측면다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안전난간; 상기 골격프레임의 수직하중에 대응하는 수직보강파이프, 상기 각 발판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 보강파이프로 이루어진 보강프레임; 및 상기 상부다이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다이를 포함하는 것이다.
A work cart for a tunnel is disclosed.
The tunnel work cart disclosed,
A pair of I-shaped steels arranged at the bottom and to which wheels are coupled; A skeleton frame assembled on the I-beam and forming a skeleton of a tunnel work trolley; An upper die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frame; Multi-stage side die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Safety railings respectively installed in front and rear of the upper die and the side die; A reinforcing frame made of a vertical reinforcing pipe corresponding to a vertical load of the frame frame and a sag reinforcing reinforcing pipe for preventing sagging of each scaffold; And installed on the upper die to be movable, it is possible to include a height adjusting di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orker to adjust the height.

Description

터널용 작업대차{worktable carriage for tunnel}Worktable carriage for tunnel}

본 발명은 터널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cart for a tunnel.

특히, 보강 파이프의 구성을 개선하여 수직하중에 대한 대응강도를 높일 수 있고, 상부다이 상에 높이조절다이를 부설하여 터널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보수작업이 가능하며, 상부다이 및 측면다이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터널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by improv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ing pip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rresponding strength against the vertical load, and by installing the height adjusting die on the upper die, repair work is possible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height of the tunnel, and the safety on the upper die and the side die It relates to a workbench for a tunnel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installing a railing.

일반적으로 터널용 작업대차는 터널 내부의 이상 유무를 점검 및 보수작업 시, 필요한 자재류를 적재하거나 작업자를 탑승시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the work cart for tunnel is used for the purpose of moving along the rails by loading necessary materials or carrying a worker when checking and repairing any abnormalities inside the tunnel.

일예로 국내특허출원 제10-2008-0043706호에 의해 개시된 터널용 대차는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최상측에 설치되어 터널의 천정부위를 작업하기 위한 상부다이와, 상기 프레임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터널의 측면부위를 작업하기 위한 다단형의 측면다이로 구성된다.For example, the tunnel bogie disclosed by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43706 includes a frame forming a skeleton, an upper di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frame, and an upper die for working on the ceiling of the tunnel, and install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It consists of a multi-stage side die for working the side parts of the tunnel.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터널용 작업대차는 수직하중에 대하여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상부다이에 중량물을 얹었을 때 붕괴의 위험성을 안고 있으며, 각 다이에 안전난간이 설치되지 않아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안고 있고, 또한 터널의 높이가 높을 경우 이에 대처하여 작업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므로 터널높이에 맞게 작업대차를 재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unnel work trolley has a structure that is vulnerable to vertical loads, and thus bears the risk of collapse when a heavy object is placed on the upper die. There is a risk, and there is no means to work to cope with the high height of the tunnel, there was a need to reassemble the work car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unnel.

아울러, 종래의 작업대차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므로 터널의 바닥 양쪽에 레일을 반드시 설치해야 하고, 또 설치된 레일 상에 작업대차를 안착시켜야 하므로 설치상의 복잡함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ork cart is moved along the rail, so the rails must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tunnel, and the work cart must be seated on the installed rail, which leads to the complexity and inconvenience of install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보강 파이프의 구성을 개선하여 수직하중에 대한 대응강도를 높일 수 있는 터널용 작업대차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ement pipe to provide a work cart for a tunnel that can increase the corresponding strength to the vertical load.

또한, 본 발명은 상부다이 상에 높이조절다이를 부설함에 따라 작업대차의 높이를 높이지 않고도 터널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보수작업이 가능한 터널용 작업대차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nnel work cart that can be repaired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height of the tunnel without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work cart by placing the height adjustment die on the upper die.

또한, 본 발명은 상부다이 및 측면다이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터널용 작업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nnel work cart that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in advance by installing a safety rail on the upper die and the side di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터널용 작업대차로서,As a workbench for a tunnel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최하부에 배치되며 바퀴가 결합되는 한 쌍의 I형강; 상기 I형강 상에 조립되며 터널용 작업대차의 골격을 이루는 골격프레임; 상기 골격프레임의 최상측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상부다이; 상기 골격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단형의 측면다이; 상기 상부다이 및 측면다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안전난간; 상기 골격프레임의 수직하중에 대응하는 수직보강파이프, 상기 각 발판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 보강파이프로 이루어진 보강프레임; 및 상기 상부다이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다이를 포함하는 터널용 작업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A pair of I-shaped steels arranged at the bottom and to which wheels are coupled; A skeleton frame assembled on the I-beam and forming a skeleton of a tunnel work trolley; An upper die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frame; Multi-stage side die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Safety railings respectively installed in front and rear of the upper die and the side die; A reinforcing frame made of a vertical reinforcing pipe corresponding to a vertical load of the frame frame and a sag reinforcing reinforcing pipe for preventing sagging of each scaffold; And it is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upper die, the height can be adjusted to provide a work cart for the tunnel comprising a height adjusting die for adjusting the working height of the worke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골격프레임은,In addition, the skeleton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각 I형강의 전방측 단부상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한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 상기 각 전방 지주파이프의 상부 외향측에 수평상으로 결속되어, 상기 측면다이 중 최상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최상층 측면다이 지지파이프;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의 중부를 상호 연결하되, 양 단부가 각 전방 지주파이프를 지나 외향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측면다이 중 중간층의 측면다이가 지지되는 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 중, 일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측 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1 내측 연장부와, 상기 제1 내측 연장부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연장부로 이루어진 전방측 제1 하부 파이프;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 중, 타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측 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2 내측 연장부와, 상기 제2 내측 연장부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연장부로 이루어진 전방측 제2 하부 파이프로 이루어진 전방프레임; 상기 각 I형강의 후방측 단부상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 A pair of front strut pipes standing up on the front end of each I-beam; A horizontal front side upper connecting pipe interconne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front strut pipes; An uppermost side die support pipe which is horizontally bound to an upper outward side of each of the front prop pipes and supports the side die of the uppermost layer of the side dies;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pair of front strut pip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oth ends hav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through each front strut pipe,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front side middle portion on which side dies of an intermediate layer of the side dies are supported. pipe; Among the pair of front strut pipes, a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one front strut pipe and partial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ne front strut pipe, and longer than the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A front first lower pipe consisting of a first outer extension extending outward in length; A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front shore pipe, partial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ther front shore pipe, and longer than the second inner extension pipe; A front frame composed of a front second lower pipe composed of a second outer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in length; A pair of rear support pipes standing up on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I-beams;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와 함께 상부다이를 지지하는 수평한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 상기 각 후방 지주파이프의 상부 외향측에 수평상으로 결속되어, 상기 측면다이 중 최상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최상층 측면다이 지지파이프;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의 중부를 상호 연결하되, 양 단부가 각 후방 지주파이프를 지나 외향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측면다이 중 중간층의 측면다이가 지지되는 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 중, 일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측 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3 내측 연장부와, 상기 제3 내측 연장부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 외측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외주 연장부와 함께 최하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후방측 제1 하부 파이프;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 중, 타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측 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4 내측 연장부와, 상기 제4 내측 연장부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4 외측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외측 연장부와 함께 또 다른 최하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후방측 제2 하부 파이프로 이루어진 후방프레임; 및A horizontal rear upper connecting pipe interconne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rear strut pipes and supporting an upper die together with the front upper connecting pipe; A top layer side die support pipe which is horizontally bound to an upper outward side of each of the rear support pipes and supports the side die of the top layer of the side dies; The middle portions of the pair of rear strut pipes are interconnected, and both ends hav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through each rear strut pipe,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a rear side portion on which side dies of an intermediate layer of the side dies are supported. pipe; Among the pair of rear strut pipes, a third inner extension portion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one rear strut pipe and partial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ne rear strut pipe, and longer than the third inner extension portion. A rear first lower pipe formed of a third outer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in length and supporting the side die of the lowermost layer together with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extension; A fourth inner extension part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rear support pipe, partial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ther rear support pipe, and longer than the fourth inner extension part of the pair of rear support pipes; A rear frame comprising a rear second lower pipe which is formed of a fourth outer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in length and supporting side dies of another lowermost layer together with the second outer extension; And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A connection frame interconnecting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강프레임은,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방 지주파이프 중, 일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단과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 일측 1/3지점을 연결하는 제1 전방측 수직보강파이프; 상기 전방 지주파이프 중, 타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단과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 타측 1/3지점을 연결하는 제2 전방측 수직보강파이프; 상기 후방 지주파이프 중, 일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단과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 일측 1/3지점을 연결하는 제1 후방측 수직보강파이프; 상기 후방 지주파이프 중, 타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단과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 타측 1/3지점을 연결하는 제2 후방측 수직보강파이프; 상기 전,후방 지주파이프 및 연결프레임에 지지된 채 상기 중간층 측면다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중측 하부 지지파이프; 상기 전,후방 지주파이프 및 I형강에 지지된 채 상기 최하층 측면다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측 하부 지지파이프; 상기 각 전방 지주파이프에 지지된 채 상기 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의 연장부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전방측 중부 처짐방지파이프; 상기 각 전방 지주파이프에 지지된 채 상기 전방측 제1 하부 파이프의 제1 외측 연장부 및 상기 전방측 제2 하부 파이프의 제2 외측 연장부를 각각 상부에서 지지하는 전방측 하부 처짐방지파이프; 상기 각 후방 지주파이프에 지지된 채 상기 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의 연장부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후방측 중부 처짐방지파이프; 및 상기 각 후방 지주파이프에 지지된 채 상기 후방측 제1 하부 파이프의 제3 외측 연장부 및 상기 후방측 제2 하부 파이프의 제4 외측 연장부를 각각 지지하는 후방측 하부 처짐방지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irst front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 which connects one-third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upper connection pipe and the lower side of the one side front support pipe; A second front vertical reinforcement pipe connecting the lower third of the front support pipe and the other one-third longitudinal length of the front connection pipe; A first rear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 which connects one-third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side upper connection pipe and the lower side of the one side rear support pipe; A second rear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 connecting the lower third of the rear rear support pipe and the other one-third longitudinal length of the rear upper connection pipe; A middle lower support pipe supporting the intermediate layer side die from the bottom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support pipes and the connection frame; A lower lower support pipe supporting the lowermost layer side die from the lower sid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support pipes and the I-shaped steel; A front side central deflection prevention pipe supporting an extension of the front side central connection pipe from above while being supported by each front support pipe; A front side lower deflection prevention pipe supporting the first outer extension of the front first lower pipe and the second outer extension of the front second lower pipe, respectively,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ront shore pipes; A rear middle sag prevention pipe supporting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rear middle connection pipe from abov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respective rear support pipes; And a rear lower deflection prevention pipe supporting the third outer extension of the rear first lower pipe and the fourth outer extension of the rear second lower pip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respective rear support pipes.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높이조절다이는,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die of the present invention,

저면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가장자리에는 이동을 제한하는 접철식 스토퍼가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상측을 향해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다단 실린더; 및 상기 다단 실린더의 로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다단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base plate having a caster installed at a bottom thereof, the base plate having a folding stopper configured to restrict movement at an edge thereof; A plurality of multistage cylinders installed to be operated upward on the base plate; And it is coupled to the rod top of the multi-stage cylin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plate which is elev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multi-stage cylinder.

이상의 본 발명은, 보강 파이프의 구성을 개선하여 수직하중에 대한 대응강도를 높임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제품의 신뢰도 또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mprov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ement pipe to increase the corresponding strength to the vertical load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and further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은, 상부다이 상에 높이조절다이를 부설함에 따라 작업대차의 높이를 높이지 않고도 터널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보수작업이 가능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height adjustment die on the upper die, it is possible to repair work in response to the height change of the tunnel without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work cart,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speed of the work.

또한, 본 발명은 상부다이 및 측면다이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installing safety rails on the upper die and the side die, thereby increasing safe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작업대차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작업대차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상부다이 및 측면다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작업대차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작업대차의 일 구성인 높이조절다이의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ork cart for a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cart for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die and side die removed i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work cart for the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die,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work cart for the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And the like.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작업대차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작업대차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상부다이 및 측면다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작업대차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tunnel work troll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tunnel work troll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a work cart for a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널용 작업대차(이하 대차)는, I형강(100), 골격프레임(200), 상부다이(300), 측면다이(400), 안전난간(500), 보강프레임(600) 및 높이조절다이(700)를 포함한다.
1 to 4, the tunnel work trolley (hereinafter, the tro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I-shaped steel 100, skeleton frame 200, upper die 300, side die 400, safety railing ( 500), the reinforcement frame 600 and the height adjustment die 700.

작업대차의 일 구성인 I형강(100)은, 대차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한 쌍을 11자로 나란하게 배치한다. 여기서, I형강(100)은 일예로 들었을 뿐 다른 형태의 형강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I형강(100)은 대차의 전체 중량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만큼 그에 상응하는 강도를 갖춰야 하므로 형강을 적용하였다.The I-shaped steel 100,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work cart,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cart, and the pair is arranged side by side with 11 characters. Here, the I-shaped steel 100 is taken as an example, but can be applied to other forms of steel. The I-shaped steel 100 was applied to the steel because it should have a corresponding strength as it serves to support the total weight of the bogie.

그리고, 상기 각 I형강(100)의 전방 및 후방에는 바퀴(110)가 설치되어 I형강(100)의 이동이 가능토록 하였고, 또한, 상기 I형강의 이동시 적정 위치에서 스톱시키기 위하여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wheels 110 are installed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each of the I-beams 100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I-beams 100, and also act as a brake to stop at the proper posi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I-beams. Stoppers may be installed.

작업대차의 일 구성인 골격프레임(200)은, 상기 I형강(100) 상에 조립되어 대차의 골격을 이루게 된다. Skeleton frame 20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work cart, is assembled on the I-shaped steel 100 to form a skeleton of the bogie.

이러한 골격프레임(200)은, 전방프레임(210), 후방프레임(220) 및 연결프레임(230)으로 크게 구성된다.The skeleton frame 200 is largely composed of a front frame 210, a rear frame 220 and a connection frame 230.

상기 전방프레임(210)은 상기 I형강(100)의 전방측 단부상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211)를 포함한다.The front frame 210 includes a pair of front support pipes 211 that are standing up on the front end of the I-shaped steel (100).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210)은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의(211)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한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21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ront frame 210 includes a horizontal front side upper connection pipe 212 inter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front holding pipe (211).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210)은 상기 각 전방 지주파이프(211)의 상부 외향측에 수평상으로 결속되어, 상기 측면다이 중 최상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전방측 최상층 측면다이 지지파이프(21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ront frame 210 is horizontally bound to the upper outward side of each of the front support pipe 211, the front side top layer side die support pipe 213 for supporting the side die of the top layer of the side die. Include.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210)은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211)의 중부를 상호 연결하되, 양 단부가 각 전방 지주파이프(211)를 지나 외향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14a)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214a)에는 상기 측면다이(400) 중 중간층의 측면다이가 지지되는 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21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ront frame 210 interconnects the middle portions of the pair of front strut pipes 211, and both ends have extension portions 214a extending outwardly through each front strut pipe 211, and The extension part 214a includes a front side connection pipe 214 on which side dies of an intermediate layer of the side dies 400 are supported.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210)은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211) 중, 일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측 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1 내측 연장부(215a)와, 상기 제1 내측 연장부(215a)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연장부(215b)로 이루어진 전방측 제1 하부 파이프(21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ront frame 210 is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one of the front shore pipes of the pair of front shore pipes 211, and extends inwardly from the one front shore pipe to the first inside. And a front side first lower pipe 215 consisting of a portion 215a and a first outer extension 215b extending outwardly longer than the first inner extension 215a.

또한, 상기 전방 프레임(210)은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211) 중, 타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측 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2 내측 연장부(216a)와, 상기 제2 내측 연장부(216a)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연장부(216b)로 이루어진 전방측 제2 하부 파이프(216)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ront frame 210 is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front shore pipe of the pair of front shore pipes 211, and a second inner extension part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ther front shore pipe. 216a and a front second lower pipe 216 consisting of a second outer extension 216b extending outwardly longer than the second inner extension 216a.

상기 골격프레임(200)의 일 구성인 후방프레임(220)은 상기 각 I형강(100)의 후방측 단부상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221)를 포함한다.The rear frame 22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skeletal frame 200, includes a pair of rear support pipes 221 standing on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I-shaped steels 100.

또한, 상기 후방프레임(220)은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221)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한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2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222)는 상기한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212)와 함께 상기 상부다이(300)를 지지한다.In addition, the rear frame 220 includes a horizontal rear side upper connection pipe 222 inter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rear strut pipes 221. Here, the rear upper connection pipe 222 supports the upper die 300 together with the front upper connection pipe 212.

또한, 상기 후방프레임(220)은 상기 각 후방 지주파이프(221)의 상부 외향측에 수평상으로 결속되어, 상기 측면다이(400) 중 최상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후방측 최상층 측면다이 지지파이프(22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ar frame 220 is horizontally bound to the upper outward side of each of the rear support pipe 221, the rear top layer side die support pipe for supporting the side die of the top layer of the side die 400 ( 223).

또한, 상기 후방프레임(220)은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221)의 중부를 상호 연결하되, 양 단부가 각 후방 지주파이프(221)를 지나 외향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4a)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224a)에는 상기 측면다이(400) 중 중간층의 측면다이가 지지되는 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22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ar frame 220 has an extension portion 224a which interconnects the middle portions of the pair of rear strut pipes 221, both ends of which extend outwardly through each rear strut pipe 221. The extension part 224a includes a rear side connection pipe 224 on which side dies of an intermediate layer of the side dies 400 are supported.

또한, 상기 후방프레임(220)은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221) 중, 일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측 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3 내측 연장부(225a)와, 상기 제3 내측 연장부(225a)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 외측 연장부(225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외측 연장부(215b)와 함께 최하층의 또 다른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후방측 제1 하부 파이프(22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ar frame 220 is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one of the rear support pipes of the pair of rear support pipes 221, and extends inwardly partial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ne rear support pipe. A portion 225a and a third outer extension 225b extending outwardly longer than the third inner extension 225a and having a lowermost layer together with the first outer extension 215b. And a rear first lower pipe 225 supporting the other side die.

또한, 후방프레임(220)은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221) 중, 타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측 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4 내측 연장부(226a)와, 상기 제4 내측 연장부(226a)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4 외측 연장부(226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외측 연장부(216b)와 함께 최하층의 또 다른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후방측 제2 하부파이프(226)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ar frame 220 is orthogonal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rear strut pipe of the pair of rear strut pipes 221, and a fourth inner extension part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ther rear strut pipe. 226a and a fourth outer extension 226b that extends outwardly longer than the fourth inner extension 226a, and together with the second outer extension 216b, another lowermost layer. And a rear second lower pipe 226 supporting the side die.

상기 골격프레임(200)의 일 구성인 연결프레임(23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211)와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221)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212) 및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222)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제1 연결파이프(231)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connection frame 23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skeletal frame 200, is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front support pipes 211 and the pair of rear support pipes 221, but the front And a first connection pipe 231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ide upper connection pipe 212 and the rear upper connection pipe 222.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230)은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211)와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221)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전방프레임(210) 및 후방프레임(220)의 전방 및 후방 최상측 측면다이 지지파이프(213,223)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제2 연결파이프(23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frame 230 is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front support pipe 211 and the pair of rear support pipe 221,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front frame 210 and the rear frame 220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232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most side die support pipes 213 and 223.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230)은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211)와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221)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전방프레임(210)의 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214) 및 후방프레임(220)의 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224)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제3 연결파이프(23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frame 230 is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front support pipe 211 and the pair of rear support pipe 221, but the front side of the front connection pipe 210, the middle connection pipe 214 and And a third connection pipe 233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ear side connection pipe 224 of the rear frame 220.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230)은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211)와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221)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전방프레임(210)의 전방측 제1, 2 하부파이프(215,216) 및 상기 후방프레임(220)의 후방측 제1, 2 하부파이프(225,226)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제4 연결파이프(234)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frame 230 is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front support pipe 211 and the pair of rear support pipe 221, the front side of the front frame 210, the first lower pipe (2) 215 and 216 and a fourth connection pipe 234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ear and first and second lower pipes 225 and 226 of the rear frame 220.

작업대차의 일 구성인 상부다이(300)는 터널의 천장부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올라서는 최상층 다이로서, 상기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212),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222) 및 제1 연결파이프(231)에 의해 하부가 지지된다. The upper die 30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work cart, is a top-side die on which a worker climbs up to work on the ceiling of the tunnel, and the front upper connection pipe 212, the rear upper connection pipe 222,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 The lower part is supported by 231.

여기서, 상기 상부다이(300)는 대차의 최상층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물건을 올리고 내리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1 및 2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다이(300) 상에 기중장치(8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중장치(800)는 상부다이(3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로프보빈(810)과, 상기 로프보빈(810)에 권회되어 로프보빈의 회전방향에 따라 권회되거나 풀리고, 말단에는 상부다이(300)로 공급될 물건 또는 상부다이(300)로부터 지상으로 내려올 물건을 담기위한 운반대(821)가 설치되는 로프(820)와, 상기 로프보빈(810)을 정방향 또는 역항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주는 보빈모터(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 since the upper die 300 is located on the top floor of the truck, the worker may have difficulty raising and lowering the article. In order to improve this, a lifting device 8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die 30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ifting device 800 is a rope bobbin 810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die 300, the rope bobbin 810 is wound around the rope bobbin or woun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pe bobbin, the end of the upper die Rope 820 is installed with a carrier (821) for holding the object to be supplied to the object or to be supplied to the ground from the upper die 300 and the rope bobbin 810 to rotat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main includes a bobbin motor 830.

작업대차의 일 구성인 측면다이(400)는 상기 상부다이(300)의 양쪽에 각각 3단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최상층 측면다이(410)는 전방프레임(210) 및 후방프레임(220)의 전방 및 후방측 최상층 측면다이 지지파이프(213,223)와, 제2 연결파이프(232)에 의해 지지된다. 최상층 측면다이(410)는 터널의 측면부 상측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올라서는 다이이다.The side die 40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work cart, is installed in three stages on both sides of the upper die 300, and the uppermost side die 410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ront frame 210 and the rear frame 220. It is supported by the rear uppermost side die support pipes 213 and 223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232. The uppermost side die 410 is a die which the worker lifts for the upper side work of the tunnel.

또한, 중간층 측면다이(420)는 전방프레임(210)의 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214), 후방프레임(220)의 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224) 및 제3 연결파이프(233)에 의해 지지된다. 중간층 측면다이(420)는 터널의 측면 중간측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올라서는 다이이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layer side die 420 is supported by the front side middle connection pipe 214 of the front frame 210, the rear side middle connection pipe 224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233 of the rear frame 220. . The intermediate layer side die 420 is a die on which a worker climbs for working on the side of the tunnel.

또한, 최하층 측면다이(430)는 전방측의 제1, 2 외측 연장부(215b,216b), 후방측의 제3, 4 외측 연장부(225b,226b) 및 제4 연결파이프(234)에 의해 지지된다. 최하층의 측면다이는 터널의 측면부 하부측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올라서는 다이이다. In addition, the lowermost side die 430 is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outer extensions 215b and 216b at the front side, and the third and fourth outer extensions 225b and 226b at the rear side and the fourth connection pipe 234. Supported. The lowermost side die is a die which the worker raises for the lower side work of the tunnel.

여기서, 상기 각 측면다이는 터널의 곡률에 따라, 최상층의 측면다이가 가장 짧고, 중간층 측면다이는 최상층의 측면다이에 비해 길고, 최하층의 측면다이는 가장 길게 형성된다.
Here, each side die has the shortest side die of the uppermost layer, the side die of the middle layer is longer than the side die of the uppermost layer, and the side die of the lowermost layer is formed the longest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tunnel.

작업대차의 일 구성인 안전난간(500)은 상기 상부다이(300) 및 각 측면다이(400)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더불어서 상기 각 측면다이(400) 외측단에도 안전난간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측면다이(400)의 외측단에 전부에 안전난간을 설치할 경우,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를 마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afety railing 50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work cart,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die 300 and each side die 400, respectively, to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safety railings are also installed at the outer ends of the side dies 400. Here, in the case where the safety railings are provided at all of the outer ends of the side dies 400, it is more preferable to provide entrances and exits for the workers.

작업대차의 일 구성인 보강프레임(600)은 도 3에서와 같이, 제1 전방측 수직보강파이프(610), 제2 전방측 수직보강파이프(610-1), 제1 후방측 수직보강파이프(620), 제2 후방측 수직보강파이프(620-1), 중측 하부 지지파이프(630), 하측 하부 지지파이프(640), 전방측 중부 처짐방지파이프(650), 전방측 하부 처짐방지파이프(660), 후방측 중부 처짐방지파이프(670) 및 후방측 하부 처짐파이프(6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reinforcement frame 60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work cart, includes a first front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 610, a second front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 610-1, and a first rear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 ( 620, the second rear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 620-1, the lower middle support pipe 630, the lower lower support pipe 640, the front middle sag prevention pipe 650, and the front lower sag prevention pipe 660. ), The rear side sag prevention pipe 670 and the rear side sag pipe 680.

상기 보강프레임(600)의 일 구성인 상기 제1 전방측 수직보강파이프(610)는 상기 전방 지주파이프(211) 중, 일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단과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212)의 길이방향 일측 1/3지점을 연결하는 파이프이고, 상기 제2 전방측 수직보강파이프(610-1)는 상기 전방 지주파이프 중, 타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단과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 타측 1/3지점을 연결하는 파이프로서, 대차에 작용되는 수직하중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 2 전방측 수직보강파이프(610,610-1)와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212)와의 사이각은 50 ~ 80°사이가 되도록 함에 따라 기존 대비 수직하중에 대한 대응강도를 높였다.The first front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 61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reinforcement frame 600, is one side of the front shore pipe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one front shore pipe and the front side upper connection pipe 212. The second front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 610-1 is a pipe connecting one third point, and the other one third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other front support pipe and the front upper connection pipe of the front support pipe. As a pipe connecting the, it supports the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bogie. At this tim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ont vertical reinforcing pipes 610 and 610-1 and the front upper connecting pipe 212 is 50 to 80 °, thereby increasing the corresponding strength against the vertical load.

아울러, 상기 제1, 2 전방측 수직보강파이프(610,610-1)는 전방측 중부연결파이프(214) 및 전방측 제1, 2 하부파이프(215,216)와 결속됨에 따라 직립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ront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s 610 and 610-1 may increase the upright strength as they are engaged with the front side middle connection pipe 214 and the front side first and second lower pipes 215 and 216.

상기 보강프레임(600)의 일 구성인 상기 제1 후방측 수직보강파이프(620)는 상기 후방 지주파이프(221) 중, 일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단과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222)의 길이방향 일측 1/3지점을 연결하는 파이프이고, 상기 제2 후방측 수직보강파이프(620-1)는 상기 후방 지주파이프 중, 타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단과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 타측 1/3지점을 연결하는 파이프로서, 대차에 작용되는 수직하중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 2 후방측 수직보강파이프(620,620-1)와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222)와의 사이각은 50 ~ 80°사이가 되도록 함에 따라 기존 대비 수직하중에 대한 대응강도를 높였다.The first rear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 62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reinforcement frame 600, is one side of the rear support pipe 2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one rear support pipe and the rear connection pipe 222. The second rear vertical reinforcement pipe 620-1 is a pipe connecting one third point, and the other one third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other rear support pipe and the rear upper connection pipe among the rear support pipes. As a pipe connecting the, it supports the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bogie. At this tim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ar vertical reinforcing pipes 620 and 620-1 and the rear upper connecting pipe 222 is between 50 and 80 °, thereby increasing the corresponding strength against the vertical load.

아울러, 상기 제1, 2 후방측 수직보강파이프(620,620-1)는 후방측 중부연결파이프(224) 및 후방측 제1, 2 하부파이프(225,226)와 결속됨에 따라 직립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ear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s 620 and 620-1 may increase the upright strength as they are engaged with the rear side connection pipe 224 and the rear side first and second lower pipes 225 and 226.

상기 보강프레임(600)의 일 구성인 중측 하부 지지파이프(630)는 상기 전,후방 지주파이프(211,221) 및 연결프레임(230)의 제3 연결파이프(233)에 지지된 채 상기 중간층 측면다이(410)를 하부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중간층 측면다이(410)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The middle lower support pipe 63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reinforcement frame 600, is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support pipes 211 and 221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233 of the connection frame 230. As it serves to support the 410 at the bottom, to prevent sagging of the intermediate layer side die 410.

상기 보강프레임(600)의 일 구성인 하측 하부 지지파이프(640)는 상기 전,후방 지주파이프(211,221) 및 I형강(100)에 지지된 채 상기 최하층 측면다이(430)를 하부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최하층 측면다이(430)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The lower lower support pipe 64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reinforcement frame 600, supports the lower side side die 430 from the lower sid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support pipes 211 and 221 and the I-shaped steel 100. By doing so, sagging of the lowermost side die 430 is prevented.

상기 보강프레임(600)의 일 구성인 전방측 중부 처짐방지파이프(650)는 상기 각 전방 지주파이프(211)에 지지된 채 상기 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214)의 연장부(214a)를 상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중간층 측면다이(420)의 전방측 처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front side central deflection prevention pipe 65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reinforcement frame 600, is supported by each front support pipe 211 and extends the extension 214a of the front side central connection pipe 214 from above. The support serves to compensate for the front side deflect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side die 420.

상기 보강프레임(600)의 일 구성인 전방측 하부 처짐방지파이프(660)는 상기 각 전방 지주파이프(211)에 지지된 채 상기 전방측 제1 하부 파이프(215)의 제1 외측 연장부(215b) 및 상기 전방측 제2 하부 파이프(216)의 제2 외측 연장부(216b)를 각각 상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최하층 측면다이(430)의 전방측 처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front lower deflection prevention pipe 66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reinforcement frame 600, is supported by each of the front shore pipes 211, and the first outer extension part 215b of the front first lower pipe 215. ) And the second outer extension part 216b of the front second lower pipe 216 from the upper side to compensate for the front side deflection of the lowermost side die 430.

상기 보강프레임(600)의 일 구성인 후방측 중부 처짐방지파이프(670)는 상기 각 후방 지주파이프(221)에 지지된 채 상기 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224)의 연장부(224a)를 상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중간층 측면다이(420)의 후방측 처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rear side central deflection prevention pipe 67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reinforcement frame 600, is supported by the respective rear support pipes 221 and extends the extension part 224a of the rear side central connection pipe 224 from above. The support serves to compensate for the rear side deflect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side die 420.

상기 보강프레임(600)의 일 구성인 후방측 하부 처짐방지파이프(680)는 상기 각 후방 지주파이프(221)에 지지된 채 상기 후방측 제1 하부 파이프(225)의 제3 외측 연장부(225b) 및 상기 후방측 제2 하부 파이프(226)의 제4 외측 연장부(226b)를 각각 지지함으로써 최하층 측면다이(430)의 후방측 처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rear side lower deflection prevention pipe 68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reinforcement frame 600, is supported by each of the rear support pipes 221 and the third outer extension 225b of the rear side first lower pipe 225. ) And the fourth outer extension part 226b of the rear second lower pipe 226, respectively, to compensate for the rear side deflection of the lowermost side die 430.

작업대차의 일 구성인 높이조절다이(700)는 상기 상부다이(30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저면에 캐스터(711)가 설치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가장자리에는 이동을 제한하는 접철식 스토퍼(712)가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7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0) 상에 상측을 향해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다단 실린더(720)와; 상기 다단 실린더(720)의 로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다단 실린더(720)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 플레이트(730)로 구성된다.The height adjustment die 70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work cart,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upper die 300, and serve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orker by adjusting the height, and caster 711 on the bottom thereof. Is installed and movable, the base plate 710 is equipped with a folding stopper 712 to limit the movement; A plurality of multi-stage cylinders 720 installed on the base plate 710 to be operated upward; Coupled to the rod top of the multi-stage cylinder (720), it is composed of a lifting plate 730 that is elev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multi-stage cylinder (720).

이러한 구성에 따라, 높이조절다이(700)를 상부다이(300)의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킨 뒤, 스토퍼(712)를 아래로 작동시켜서 높이조절다이(700)를 고정시키고, 다단 실린더(720)를 작동시켜서 승강 플레이트(730)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한 뒤 터널(T) 천장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이로써 터널(T)의 천장 위치가 높아서 작업이 어려운 경우 높이조절다이(700)를 이용하여 상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자의 위치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터널 천장작업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fter moving the height adjusting die 700 to the required position of the upper die 300, the stopper 712 is operated to fix the height adjusting die 700, the multi-stage cylinder 720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levating plate 730 by operating the tunnel (T) ceiling work is performed. Thus, if the ceiling position of the tunnel (T) is high, it is difficult to work, so the height of the operator can be rais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operator using the height adjusting die 700, so that the ceiling ceiling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여기서, 상기 다단 실린더(720)는 유선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지만, 작업자가 승강 플레이트(730) 상에서 리모컨 등에 의해 무선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Here, the multi-stage cylinder 720 may be operated in a wired manner, but the operator may be able to operate wirelessly by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on the elevating plate 730.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히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particular,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is is also true.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I형강 200 : 골격프레임
300 : 상부다이 400 : 측면다이
500 : 안전난간 600 : 보강프레임
700 : 높이조절다이 800 : 기중장치
100: I-shaped steel 200: skeleton frame
300: upper die 400: side die
500: safety rail 600: reinforcement frame
700: height adjusting die 800: lifter

Claims (4)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터널용 작업대차로서,
최하부에 배치되며 바퀴가 결합되는 한 쌍의 I형강;
상기 I형강 상에 조립되며 터널용 작업대차의 골격을 이루는 골격 프레임;
상기 골격프레임의 최상측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상부다이;
상기 골격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단형의 측면다이;
상기 상부다이 및 측면다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안전난간;
상기 골격프레임의 수직하중에 대응하는 수직보강파이프, 각 발판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 보강파이프로 이루어진 보강프레임; 및
상기 상부다이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다이;
를 포함하며,
상기 골격 프레임은 상기 각 I형강의 전방측 단부상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와,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한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 상기 각 전방 지주파이프의 상부 외향측에 수평상으로 결속되어, 상기 측면다이 중 최상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전방측 최상층 측면다이 지지파이프;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의 중부를 상호 연결하되, 양 단부가 각 전방 지주파이프를 지나 외향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측면다이 중 중간층의 측면다이가 지지되는 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 중, 일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측 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1 내측 연장부와, 상기 제1 내측 연장부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연장부로 이루어진 전방측 제1 하부 파이프;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 중, 타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측 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2 내측 연장부와, 상기 제2 내측 연장부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연장부로 이루어진 전방측 제2 하부 파이프로 이루어진 전방프레임과, 상기 각 I형강의 후방측 단부상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와 함께 상부다이를 지지하는 수평한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 상기 각 후방 지주파이프의 상부 외향측에 수평상으로 결속되어, 상기 측면다이 중 최상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후방측 최상층 측면다이 지지파이프;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의 중부를 상호 연결하되, 양 단부가 각 후방 지주파이프를 지나 외향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측면다이 중 중간층의 측면다이가 지지되는 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 중, 일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측 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3 내측 연장부와, 상기 제3 내측 연장부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 외측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외주 연장부와 함께 최하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후방측 제1 하부 파이프와,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 중, 타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측 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4 내측 연장부와, 상기 제4 내측 연장부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4 외측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외측 연장부와 함께 또 다른 최하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후방측 제2 하부 파이프로 이루어진 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각 I형강의 전방측 단부상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한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 상기 각 전방 지주파이프의 상부 외향측에 수평상으로 결속되어, 상기 측면다이 중 최상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전방측 최상층 측면다이 지지파이프;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의 중부를 상호 연결하되, 양 단부가 각 전방 지주파이프를 지나 외향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측면다이 중 중간층의 측면다이가 지지되는 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 중, 일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측 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1 내측 연장부와, 상기 제1 내측 연장부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연장부로 이루어진 전방측 제1 하부 파이프;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파이프 중, 타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측 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2 내측 연장부와, 상기 제2 내측 연장부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연장부로 이루어진 전방측 제2 하부 파이프로 이루어진 전방프레임;
상기 각 I형강의 후방측 단부상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와 함께 상부다이를 지지하는 수평한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 상기 각 후방 지주파이프의 상부 외향측에 수평상으로 결속되어, 상기 측면다이 중 최상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후방측 최상층 측면다이 지지파이프;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의 중부를 상호 연결하되, 양 단부가 각 후방 지주파이프를 지나 외향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측면다이 중 중간층의 측면다이가 지지되는 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 중, 일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측 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3 내측 연장부와, 상기 제3 내측 연장부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 외측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외주 연장부와 함께 최하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후방측 제1 하부 파이프; 상기 한 쌍의 후방 지주파이프 중, 타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측 후방 지주파이프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4 내측 연장부와, 상기 제4 내측 연장부에 비해 긴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4 외측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외측 연장부와 함께 또 다른 최하층의 측면다이를 지지하는 후방측 제2 하부 파이프로 이루어진 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작업대차.
As a workbench for a tunnel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A pair of I-shaped steels arranged at the bottom and to which wheels are coupled;
A skeleton frame assembled on the I-beam and forming a skeleton of a tunnel work trolley;
An upper die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frame;
Multi-stage side die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Safety railings respectively installed in front and rear of the upper die and the side die;
A reinforcing frame made of a vertical reinforcing pipe corresponding to a vertical load of the frame frame and a deflection reinforcing pipe for preventing sagging of each scaffold; And
A height adjusting die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upper die and whose height can be adjusted to adjust a working height of an operator;
Including;
The skeletal frame includes a pair of front strut pipes standing up on the front ends of the respective I-beams, and a horizontal front side upper connecting pipe interconne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front strut pipes; A front side uppermost side die support pipe which is horizontally bound to an upper outward side of each of the front prop pipes and supports the side die of the uppermost layer of the side dies;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pair of front strut pip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oth ends hav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through each front strut pipe,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front side middle portion on which side dies of an intermediate layer of the side dies are supported. pipe; Among the pair of front strut pipes, a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one front strut pipe and partial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ne front strut pipe, and longer than the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A front first lower pipe consisting of a first outer extension extending outward in length; A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front shore pipe, partial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ther front shore pipe, and longer than the second inner extension pipe; A front frame composed of a front second lower pipe composed of a second outer extension extending outward in length, and a pair of rear prop pipes standing up on rear ends of the respective I-beams; A horizontal rear upper connecting pipe interconne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rear strut pipes and supporting an upper die together with the front upper connecting pipe; A rear side uppermost side die support pipe which is horizontally bound to an upper outward side of each of the rear prop pipes and supports the side die of the uppermost layer of the side dies; The middle portions of the pair of rear strut pipes are interconnected, and both ends hav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through each rear strut pipe,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a rear side portion on which side dies of an intermediate layer of the side dies are supported. pipe; Among the pair of rear strut pipes, a third inner extension portion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one rear strut pipe and partial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ne rear strut pipe, and longer than the third inner extension portion. A rear first lower pipe supporting a side die of a lowermost layer together with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extension, and a pair of rear abutment pipes; A fourth inner extension part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art and partial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ther rear support pipe, and a fourth outer extension part extending outwardly longer than the fourth inner extension part; A rear frame composed of a rear second lower pipe supporting a side die of another lower layer with a second outer extension, and the front frame; Including the connection frame to interconnect the chamber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front strut pipes standing up on the front end of each I-beam; A horizontal front side upper connecting pipe interconne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front strut pipes; A front side uppermost side die support pipe which is horizontally bound to an upper outward side of each of the front prop pipes and supports the side die of the uppermost layer of the side dies;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pair of front strut pip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oth ends hav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through each front strut pipe,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front side middle portion on which side dies of an intermediate layer of the side dies are supported. pipe; Among the pair of front strut pipes, a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one front strut pipe and partial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ne front strut pipe, and longer than the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A front first lower pipe consisting of a first outer extension extending outward in length; A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front shore pipe, partial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ther front shore pipe, and longer than the second inner extension pipe; A front frame composed of a front second lower pipe composed of a second outer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in length;
A pair of rear support pipes standing up on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I-beams; A horizontal rear upper connecting pipe interconne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rear strut pipes and supporting an upper die together with the front upper connecting pipe; A rear side uppermost side die support pipe which is horizontally bound to an upper outward side of each of the rear prop pipes and supports the side die of the uppermost layer of the side dies; The middle portions of the pair of rear strut pipes are interconnected, and both ends hav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through each rear strut pipe,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a rear side portion on which side dies of an intermediate layer of the side dies are supported. pipe; Among the pair of rear strut pipes, a third inner extension portion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one rear strut pipe and partial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ne rear strut pipe, and longer than the third inner extension portion. A rear first lower pipe formed of a third outer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in length and supporting the side die of the lowermost layer together with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extension; A fourth inner extension part orthogon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rear support pipe, partial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ther rear support pipe, and longer than the fourth inner extension part of the pair of rear support pipes; A rear frame made of a fourth outer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in length and having a rear second lower pipe supporting the side die of another lower layer together with the second outer extension,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Tunnel work c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frame interconnecting in the dir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전방 지주파이프 중, 일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단과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 일측 1/3지점을 연결하는 제1 전방측 수직보강파이프;
상기 전방 지주파이프 중, 타측 전방 지주파이프의 하단과 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 타측 1/3지점을 연결하는 제2 전방측 수직보강파이프;
상기 후방 지주파이프 중, 일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단과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 일측 1/3지점을 연결하는 제1 후방측 수직보강파이프;
상기 후방 지주파이프 중, 타측 후방 지주파이프의 하단과 후방측 상부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 타측 1/3지점을 연결하는 제2 후방측 수직보강파이프;
상기 전,후방 지주파이프 및 연결프레임에 지지된 채 상기 중간층 측면다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중측 하부 지지파이프;
상기 전,후방 지주파이프 및 I형강에 지지된 채 상기 최하층 측면다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측 하부 지지파이프;
상기 각 전방 지주파이프에 지지된 채 상기 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의 연장부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전방측 중부 처짐방지파이프;
상기 각 전방 지주파이프에 지지된 채 상기 전방측 제1 하부 파이프의 제1 외측 연장부 및 상기 전방측 제2 하부 파이프의 제2 외측 연장부를 각각 상부에서 지지하는 전방측 하부 처짐방지파이프;
상기 각 후방 지주파이프에 지지된 채 상기 후방측 중부 연결파이프의 연장부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후방측 중부 처짐방지파이프; 및
상기 각 후방 지주파이프에 지지된 채 상기 후방측 제1 하부 파이프의 제3 외측 연장부 및 상기 후방측 제2 하부 파이프의 제4 외측 연장부를 각각 지지하는 후방측 하부 처짐방지파이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작업대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ement frame,
A first front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 which connects one-third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upper connection pipe and the lower side of the one side front support pipe;
A second front vertical reinforcement pipe connecting the lower third of the front support pipe and the other one-third longitudinal length of the front connection pipe;
A first rear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 which connects one-third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side upper connection pipe and the lower side of the one side rear support pipe;
A second rear side vertical reinforcement pipe connecting the lower third of the rear rear support pipe and the other one-third longitudinal length of the rear upper connection pipe;
A middle lower support pipe supporting the intermediate layer side die from the bottom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support pipes and the connection frame;
A lower lower support pipe supporting the lowermost layer side die from the lower sid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support pipes and the I-shaped steel;
A front side central deflection prevention pipe supporting an extension of the front side central connection pipe from above while being supported by each front support pipe;
A front side lower deflection prevention pipe supporting the first outer extension of the front first lower pipe and the second outer extension of the front second lower pipe, respectively,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ront shore pipes;
A rear middle sag prevention pipe supporting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rear middle connection pipe from abov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respective rear support pipes; And
A rear lower deflection prevention pipe supporting the third outer extension of the rear first lower pipe and the fourth outer extension of the rear second lower pip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respective rear support pipes;
Tunnel work car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다이는,
저면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가장자리에는 이동을 제한하는 접철식 스토퍼가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상측을 향해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다단 실린더; 및
상기 다단 실린더의 로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다단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작업대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die,
A base plate having a caster installed at a bottom thereof, the base plate having a folding stopper configured to restrict movement at an edge thereof;
A plurality of multistage cylinders installed to be operated upward on the base plate; And
An elevating plat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rod of the multistage cylinder, and elevat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ultistage cylinder;
Tunnel work cart comprising a.
KR1020130007828A 2013-01-24 2013-01-24 Worktable carriage for tunnel Active KR101288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828A KR101288370B1 (en) 2013-01-24 2013-01-24 Worktable carriage for tu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828A KR101288370B1 (en) 2013-01-24 2013-01-24 Worktable carriage for tun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370B1 true KR101288370B1 (en) 2013-07-22

Family

ID=4899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828A Active KR101288370B1 (en) 2013-01-24 2013-01-24 Worktable carriage for tun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370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3597A (en) * 2018-06-19 2018-09-28 宝鸡中车时代工程机械有限公司 Tunnel defect based on mixing electric transmission detects vehicle
CN112158227A (en) * 2020-09-10 2021-01-01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General false trolley
KR102288409B1 (en) * 2021-03-12 2021-08-10 주식회사 대승개발 A Carrier For Tunnel Working
KR102334166B1 (en) * 2021-05-25 2021-12-06 한일마이크로텍(주) Scaffold for turbine maintenance
KR102594109B1 (en) 2022-07-07 2023-10-25 주식회사 혁우이노베이션 A Tunnel work bogie with lifting lif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012A (en) * 1999-08-05 2001-02-20 Kumagai Gumi Co Ltd Mobile scaffolding equipment for inspection in tunnel construction
JP2002266596A (en) * 2001-03-08 2002-09-18 Kyoto Kozai:Kk Spreading method for waterproof sheet for tunnel, and apparatus for use therein
JP2010280496A (en) * 2009-06-08 2010-12-16 Chubu Engineering:Kk Railroad tunnel railroad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012A (en) * 1999-08-05 2001-02-20 Kumagai Gumi Co Ltd Mobile scaffolding equipment for inspection in tunnel construction
JP2002266596A (en) * 2001-03-08 2002-09-18 Kyoto Kozai:Kk Spreading method for waterproof sheet for tunnel, and apparatus for use therein
JP2010280496A (en) * 2009-06-08 2010-12-16 Chubu Engineering:Kk Railroad tunnel railroad vehic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3597A (en) * 2018-06-19 2018-09-28 宝鸡中车时代工程机械有限公司 Tunnel defect based on mixing electric transmission detects vehicle
CN112158227A (en) * 2020-09-10 2021-01-01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General false trolley
KR102288409B1 (en) * 2021-03-12 2021-08-10 주식회사 대승개발 A Carrier For Tunnel Working
KR102334166B1 (en) * 2021-05-25 2021-12-06 한일마이크로텍(주) Scaffold for turbine maintenance
KR102594109B1 (en) 2022-07-07 2023-10-25 주식회사 혁우이노베이션 A Tunnel work bogie with lifting lif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094B2 (en) Rail-guided climbing system
KR101288370B1 (en) Worktable carriage for tunnel
US20180119432A1 (en) Scaffold unit
KR20140003277U (en) A lift for a high place work
US20060219478A1 (en) Construction
JP6348888B2 (en) Stair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heavy objects
JP6270692B2 (en) Lifting device and lifting method
US10655335B2 (e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commercial roofing
KR20200030196A (en) Outside workbench for offshore structures
JP4668333B2 (en) Railroad tunnel railroad vehicle
JP6167025B2 (en) Stair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heavy objects
WO2024065963A1 (en) Intelligent construction integrated platform and use method
JP5769961B2 (en) Construction method and removal method of structure
CN206693595U (en) A kind of scaffold car for building
KR20190109873A (en) Up-down work table for elevating working place
JP6491582B2 (en) Mobile trolley
CN104989111A (en) Construction method for steel structure high-rise hoisting
JP5285125B2 (en) Lifting work scaffold
JP2010059614A (en) Scaffold for construction work
JPH08100517A (en) Elevating workbench
JP6783069B2 (en) How to install a suspension scaffolding device for bridges
JP3968362B2 (en) Tunnel repair work vehicle
JP2007117246A (en) Fall prevention tool and its use, and fall prevention fence and its use
JP5647772B2 (en) Lifting movable overhang scaffold
US7849637B2 (en) Fold-up scaffold for semi-trailer sh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