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108B1 - 이차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108B1
KR101287108B1 KR1020110085285A KR20110085285A KR101287108B1 KR 101287108 B1 KR101287108 B1 KR 101287108B1 KR 1020110085285 A KR1020110085285 A KR 1020110085285A KR 20110085285 A KR20110085285 A KR 20110085285A KR 101287108 B1 KR101287108 B1 KR 101287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output terminal
secondary battery
battery modu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2273A (ko
Inventor
박시동
김태용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11008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108B1/ko
Priority to US13/402,828 priority patent/US9093851B2/en
Publication of KR2013002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전지 모듈이 개시된다. 전지 모듈은, 복수개의 이차 전지를 적층 배열하여 이루어진 전지 집합체와, 전지 집합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와, 전지 집합체의 각 단위 전지를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와, 전지 집합체의 출력 라인 상에서 케이스에 설치되며 BMS의 신호에 따라 전지 집합체로 흐르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릴레이 본체와, 릴레이 본체와 이격된 위치에서 연결바로 연결되며 케이스에 고정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모듈{SECONDARY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릴레이에 연결된 출력 단자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 모듈은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지 모듈 특히, HEV용 이차 전지 모듈의 경우 수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의 이차 전지가 충전과 방전을 번갈아가면서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이차 전지의 충방전 등을 제어하여 전지 모듈이 적정한 동작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통상 전지 모듈은 이차 전지의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각각의 이차 전지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부(BMS; 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어부와 더불어 전지 모듈의 이상시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릴레이가 설치된다.
릴레이는 전지 모듈의 출력 라인에 연결되며, 최종 출력을 위한 양극 출력 단자 및 음극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양극 출력 단자 및 음극 출력 단자는 이차 전지를 내장하는 케이스에 설치된다.
그러나, 전지 모듈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릴레이에 연결되는 양극 출력 단자 및 음극 출력 단자의 자체 회전에 따라 설치 위치의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릴레이에 연결되는 출력 단자의 고정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를 적층 배열하여 이루어진 전지 집합체와, 전지 집합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와, 전지 집합체의 각 단위 전지를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와, 전지 집합체의 출력 라인 상에서 케이스에 설치되며 BMS의 신호에 따라 전지 집합체로 흐르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릴레이 본체와, 릴레이 본체와 이격된 위치에서 연결바로 연결되며 케이스에 고정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전지 집합체는 양극 출력 라인 및 음극 출력 라인을 포함하고, 릴레이는, 양극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제1 릴레이와, 음극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단자는 제1 출력 단자 및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릴레이는, 양극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양극 연결바와, 양극 연결바에 연결되어 케이스에 설치되며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릴레이 본체와, 제1 릴레이 본체와 제1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단자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릴레이는, 음극 출력라인에 연결되는 음극 연결바와, 음극 연결바에 연결되어 제1 릴레이 본체에 이격된 위치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릴레이 본체와, 제2 릴레이 본체와 제2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단자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에는 릴레이가 설치된 위치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출력 단자가 고정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에는 출력 단자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은 다각 형상일 수 있다.
출력 단자는 삽입홈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안착 플레이트가 돌출할 수 있다.
삽입홈은. 안착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제1 안착부의 상측으로 형성되며 연결바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착부의 저면에는 다각형의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출력 단자는 고정홈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 전지 모듈의 릴레이에 연결된 출력 단자를 고정한 상태에서 외부 충격 또는 회전력이 가해져도 고정된 위치의 변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차 전지 모듈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이차 전지를 내장한 케이스에 릴레이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단자 연결바와 제2 단자 연결바가 릴레이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삽입홈에 출력 단자가 삽입된 상태에서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제1 출력 단자 및 제2 출력 단자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삽입홈에 출력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0)은, 복수개의 이차 전지(11)를 적층 배열하여 이루어진 전지 집합체(10)와, 전지 집합체(10)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20)와, 전지 집합체(10)의 각 이차 전지(11)를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30)와, 전지 집합체(10)의 출력 라인 상에서 케이스(20)에 설치되는 릴레이(40)를 포함한다.
전지 집합체(10)는 대용량의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이차 전지(11)가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이차 전지(11)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서 각형인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리튬 폴리머 전지 또는 원통형 전지 등 다양한 형태의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이차 전지(11)는 전극 어셈블리(미도시)가 내장되는 하우징(11a)과, 하우징(11a)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11)를 포함한다. 또한, 이차 전지(11)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어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배기부재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자(11)는 전극 어셈블리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단자(11b)와 전극 어셈블리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단자(11c)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이차 전지(11)는 기설정된 양의 전력을 충전 또는 방전 시키는 동상적인 구조의 이차 전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각형(prismatic) 타입으로 형성되며,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차 전지(11)의 상부에는 전극 어셈블리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단자(11b)와 전극 어셈블리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단자(11c)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이차 전지(11)는 적층 배열되는 바, 이차 전지(11)의 넓은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나란하게 측방향(도 1의 x축 방향)으로 적층 배열된다.
이차 전지(11)들은 버스 바(bus-bar)(14)에 의하여 직렬로 연결되는데,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11)의 양극 단자(11b)와 음극 단자(11c)가 엇갈리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일측 이차 전지(11)의 양극 단자(11b)와 이에 이웃하는 이차 전지(11)의 음극 단자(11c)에 버스 바(14)가 설치된다.
버스 바(14)에는 단자를 끼움 결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홀이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14)는 단자(11)에 끼움 설치된 후, 너트(16)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지 집합체(10)는 각 이차 전지(11)들 사이 및 최외측의 이차 전지(11)에 전지 격벽(18)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전지 격벽(18)은 각 이차 전지(11)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온도 제어용 공기를 유통시키고, 각 이차 전지(11)의 측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30)는 이차 전지 모듈(100) 내의 각 이차 전지의 온도, 전류, 전압값을 검출하고 이를 관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BMS(30)의 내부에는 컷오프 전압과 회복 전압의 기준 범위에 대한 프로텍션 알고리즘이 내장되어 각 이차 전지(11)의 전압값에 따라 릴레이(40)를 제어 작동할 수 있다.
도 2는 이차 전지를 내장한 케이스에 릴레이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40)는 전지 집합체(10)의 출력 라인(12) 상에 설치되어 BMS(30)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작동됨으로써, 이차 전지 모듈(100)로 흐르는 전류를 연결 또는 차단한다.
릴레이(40)는, 케이스(20)의 측면에 설치되어 BMS(30)의 신호에 따라 전지 집합체(10)로 흐르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릴레이 본체(413, 433)와, 릴레이 본체(413, 433)와 이격된 위치에서 케이스(20)에 설치되는 출력 단자(417, 43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릴레이(40)는 전지 집합체(10)의 출력 라인에 두 개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릴레이(4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양극 출력 라인(12a)에 연결되는 제1 릴레이(410)와, 음극 출력 라인(12b)에 연결되는 제2 릴레이(430)를 포함한다.
제1 릴레이(410)는 양극 출력 라인(12a)에 연결되는 양극 연결바(411)와, 양극 연결바(411)에 연결되어 케이스(20)에 설치되며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릴레이 본체(413)와, 제1 릴레이 본체(413)와 제1 출력 단자(417)와 연결되는 제1 단자 연결바(415)를 포함한다.
양극 연결바(411)는, 전지 집합체(10)의 양극 출력 라인(12a)과 제1 릴레이 본체(413)를 연결한다. 양극 연결바(411)는 양극 출력 라인(12a)과 연결 가능하도록 도전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양극 연결바(411)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양극 출력 라인(12a)과 제1 릴레이 본체(413) 간을 연결하는 나사 결합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릴레이 본체(413)의 측면에는 나사홀이 형성된 돌출 결합부(413a)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릴레이 본체(413)는 케이스(20)에 돌출 결합부(413a)에 의해 나사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릴레이 본체(413)의 상측에는 제1 단자 연결바(415)가 결합된다.
도 3은 제1 단자 연결바와 제2 단자 연결바가 릴레이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 연결바(415)는 제1 릴레이 본체(413)와 제1 출력 단자(417) 간을 연결한다. 이를 위해 제1 단자 연결바(415)의 일측에는 나사 결합홀(415a)이 형성되고 다른측에는 끼움 홀(415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단자 연결바(415)의 일측은 제1 릴레이 본체(413)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고, 제1 단자 연결바(415)의 다른측은 제1 출력 단자(417)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1 출력 단자(417)는 제1 릴레이 본체(413)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케이스(20)에 고정된다. 제1 출력 단자(417)의 하부에는 안착 플레이트(418)가 돌출된다.
안착 플레이트(418)는 다각형의 형상이며 케이스(20)에 삽입 고정되는 부분이다. 안착 플레이트(418)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제1 출력 단자(417)를 케이스(20)에 고정시 회전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안착 플레이트(418)의 다각형 형상의 모서리 부분이 케이스(20)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 플레이트(418)는 다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라운드 형상의 가장 자리의 일부분에 돌출된 부분(미도시)이 형성되어 케이스(20)에 걸림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20)에는 안착 플레이트(418)의 고정을 위하여 삽입홈(23)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삽입홈에 출력 단자가 삽입된 상태에서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23)은 케이스(20)의 돌출부(21)에 형성된다. 삽입홈(23)은 제1 출력 단자(417)를 삽입하는 제1 삽입홈(231)과 제2 출력 단자(437)를 삽입하는 제2 삽입홈(233)을 포함한다.
돌출부(21)는 제1 출력 단자(417)와 후술하는 제2 출력 단자(437)의 사이 부분을 연결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즉, 돌출부(21)의 양측에는 각각 삽입홈(231, 233)이 형성되어 제1 출력 단자(417)의 안착 플레이트(418) 및 제2 출력 단자(437)의 안착 플레이트(438)가 고정된다.
제1 삽입홈(231)은 안착 플레이트(418)의 다각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홈 형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삽입홈(231)은 제1 출력 단자(417)와 제1 단자 연결바(415)가 함께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출력 단자(417) 및 제1 단자 연결바(415)가 제1 삽입홈(231)에 함께 삽입되는 경우, 제1 삽입홈(231)에는 안착 플레이트(418)가 삽입 고정되는 제1 안착부(231a)와, 제1 단자 연결바(415)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231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부(231a)는 삽입홈(23)의 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안착부(231b)는 제1 안착부(231a)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안착부(231a)의 상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홈(23)에 의해 제1 출력 단자(417)의 안착 플레이트(418)는 제1 안착부(231a)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제1 단자 연결바(415)는 제1 출력 단자(417)에 끼워진 상태에서 안착 플레이트(418)의 표면에 접한 상태에서 제1 삽입홈(231)에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제1 출력 단자(417)는 외부충격 발생시에도 제1 출력 단자(417)의 다각형의 안착 플레이트(418)가 제1 삽입홈(231)의 다각 형상 부분에 걸림 작용됨으로써,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2 릴레이(4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릴레이(430)는 제1 릴레이(4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서, 이하에서 제1 릴레이(410)의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거나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2 릴레이(430)는, 음극 출력 라인(12b)에 연결되는 음극 연결바(431)와, 음극 연결바(431)에 연결되어 케이스(20)에 설치되며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릴레이 본체(433)와, 제2 릴레이 본체(433)와 제2 출력 단자(437)와 연결되는 제2 단자 연결바(435)를 포함한다.
음극 연결바(431)는 전지 집합체(10)의 음극 출력 라인(12b)과 제2 릴레이 본체(433)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음극 출력 라인(12b)과 제2 릴레이 본체(433) 간을 연결하는 나사 결합홀이 각각 형성된다. 음극 연결바(431)는 케이스(20)와 원활한 연결을 위해 다단으로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음극 연결바(431)와 음극 출력 라인(12b)은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도전성의 연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릴레이 본체(433)는 제1 릴레이 본체(413)가 설치된 위치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케이스(20)에 장착된다. 제2 릴레이 본체(433)는 케이스(20)에 형성된 돌출 결합부(433a)에 나사결합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단자 연결바(435)는 제2 릴레이 본체(433)와 제2 출력 단자(437) 간을 연결한다. 이러한 제2 단자 연결바(435)의 일측은 제2 릴레이 본체(433)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고, 제2 단자 연결바(435)의 다른측은 제2 출력 단자(437)에 끼움 결합된다.
제2 출력 단자(437)는 제2 릴레이 본체(433)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케이스(20)에 고정된다. 제2 출력 단자(437)는 케이스(20)에 형성된 돌출부(21)에 삽입 고정된다.
제2 출력 단자(437)의 하단에는 안착 플레이트(438, 도 3 도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 플레이트(438)는 돌출부(21)에 형성된 제2 삽입홈(233, 도 4 도시)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2 출력 단자(437)의 안착 플레이트(438)와 제2 삽입홈(233)과의 결합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제1 출력 단자(417)의 안착 플레이트(418)와 제1 삽입홈(231)의 결합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함으로써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단자 연결바(435)는 제2 릴레이 본체(433)와 제2 출력 단자(437) 간을 연결한다. 이를 위해 제2 단자 연결바(435)의 일측에는 나사 결합홀(435a)이 형성되고 다른측에는 끼움 홀(435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단자 연결바(435)와 제1 단자 연결바(415)는 인접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형상에 있어 일부 차이점은 있지만, 구성 및 결합 작용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2 단자 연결바(435)의 구성 및 결합 작용은 전술한 제1 단자 연결바(415)의 구성 및 결합 작용을 참조하고 이하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제1 출력 단자 및 제2 출력 단자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삽입홈에 출력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출력 단자(417) 및 제2 출력 단자(437)의 각각에는 돌기부(450)가 형성된다.
돌기부(450)는 삽입홈(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삽입홈(123)에 형성된 고정홈(235)에 삽입된다. 돌기부(450)는 걸림 고정 작용을 위해 다각 형의 기둥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홈(235)은 삽입홈(123)의 제2 안착부(231b, 233b)의 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출력 단자(417) 및 제2 출력 단자 (437)의 각각이 삽입홈(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고정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전지 집합체 11...이차 전지
11a..하우징 11b..양극 단자
11c..음극 단자 14...버스 바
20...케이스 30...BMS
40...릴레이 410..제1 릴레이
411.양극 연결바 413..제1 릴레이 본체
415..제1 단자 연결바 417..제1 출력 단자
418, 438..안착 플레이트 430..제2 릴레이
431..음극 연결바 433..제2 릴레이 본체
435..제2 단자 연결바 437..제2 출력 단자
450...돌기부

Claims (11)

  1. 복수개의 이차 전지를 적층 배열하여 이루어지며 양극 출력 라인 및 음극 출력 라인을 포함하는 전지 집합체;
    상기 전지 집합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전지 집합체의 각 단위 전지를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상기 전지 집합체의 출력 라인 상에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BMS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지 집합체로 흐르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릴레이 본체와, 상기 릴레이 본체와 이격된 위치에서 연결바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제1 릴레이와 상기 음극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하는 릴레이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제1 출력 단자 및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릴레이는,
    상기 양극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양극 연결바;
    상기 양극 연결바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릴레이 본체; 및
    상기 제1 릴레이 본체와 제1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단자 연결바;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는,
    상기 음극 출력라인에 연결되는 음극 연결바;
    상기 음극 연결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릴레이 본체에 이격된 위치의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릴레이 본체; 및
    상기 제2 릴레이 본체와 제2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단자 연결바;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릴레이가 설치된 위치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출력 단자가 고정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이차 전지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출력 단자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이차 전지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다각 형상인 이차 전지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안착 플레이트가 돌출하는 이차 전지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1 안착부의 상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의 저면에는 다각형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이차 전지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돌출되는 이차 전지 모듈.
KR1020110085285A 2011-08-25 2011-08-25 이차 전지 모듈 KR101287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285A KR101287108B1 (ko) 2011-08-25 2011-08-25 이차 전지 모듈
US13/402,828 US9093851B2 (en) 2011-08-25 2012-02-22 Battery module including a relay installed to a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285A KR101287108B1 (ko) 2011-08-25 2011-08-25 이차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273A KR20130022273A (ko) 2013-03-06
KR101287108B1 true KR101287108B1 (ko) 2013-07-17

Family

ID=4774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285A KR101287108B1 (ko) 2011-08-25 2011-08-25 이차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93851B2 (ko)
KR (1) KR101287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5942B2 (en) 2013-06-05 2018-10-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ate-sensitive and self-releasing battery cells and battery-cell structures as structural and/or energy-absorbing vehicle components
WO2014197666A2 (en) * 2013-06-05 2014-12-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ate-sensitive and self-releasing battery cells and battery-cell structures as structural and/or energy-absorbing vehicle components
KR101698772B1 (ko) 2013-12-16 2017-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소자가 위치되는 엔드블록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KR101641264B1 (ko) * 2014-12-26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방전 제어 시스템, 이의 제어 방법 및 이를 포함한 청소기
KR102314047B1 (ko) * 2015-04-27 2021-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085344B1 (ko) * 2016-10-24 2020-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656482B1 (ko) * 2018-09-19 2024-04-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이 장착된 이동 수단
USD1020657S1 (en) * 2021-03-30 2024-04-02 Song Chuan Precision Co., Ltd. Rel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344A (ja) * 1998-03-13 1999-09-24 Yazaki Corp 電源遮断リレーの取付け構造
KR20060102667A (ko) * 2005-03-24 2006-09-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20080033871A (ko) * 2006-10-13 2008-04-17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 보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1903B2 (en) * 2001-04-06 2004-11-02 Evlonyx, Inc. Electrochemical cell recharging system
US6922332B2 (en) * 2002-04-10 2005-07-26 Furukawa Electric Co., Ltd. Electric connection box
US20050275372A1 (en) * 2004-06-14 2005-12-15 Crowell Jonathan C Power controller for managing arrays of smart battery packs
JP4687015B2 (ja) * 2004-06-23 2011-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
CN101140009B (zh) * 2006-09-08 2011-1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折叠式电子装置
KR100897091B1 (ko) 2007-05-21 2009-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방지 구조를 갖는 고전압 배터리용 배터리모듈 단자와버스바
KR101136806B1 (ko) 2007-06-28 2012-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JP2009087720A (ja) 2007-09-28 2009-04-23 Toshiba Corp 電池パック
US8505861B2 (en) * 2007-10-26 2013-08-13 Jeffrey D. Carnevali Suction cup mounting platform having flexible b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344A (ja) * 1998-03-13 1999-09-24 Yazaki Corp 電源遮断リレーの取付け構造
KR20060102667A (ko) * 2005-03-24 2006-09-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20080033871A (ko) * 2006-10-13 2008-04-17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 보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93851B2 (en) 2015-07-28
KR20130022273A (ko) 2013-03-06
US20130049649A1 (en)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108B1 (ko) 이차 전지 모듈
US10243193B2 (en) Battery pack
EP2482367B1 (en) Battery pack
US9077015B2 (en) Battery pack
EP2871695B1 (en) Battery pack
EP2590243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EP2381506B1 (en) Battery module
EP2624335B1 (en)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and pack including the same
EP2562842B1 (en) Battery module
KR10113005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US20150155533A1 (en) Battery Pack
JP2018006314A (ja) 電池サブモジュールキャリア、電池サブモジュール、電池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EP3424094B1 (en) Battery pack
US20150132630A1 (en) Battery Pack
EP3154108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EP2333872A1 (en) Large capacity battery pack
EP3367463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20120050688A (ko) 배터리 모듈
US20210135182A1 (en) Battery system
KR100904375B1 (ko) 퓨즈 장착 전지 카트리지와 그것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CN216850249U (zh) 电池及用电装置
CN109980143B (zh) 蓄电装置
KR20060102667A (ko) 이차 전지 모듈
EP2453503A1 (en) Battery system
US20220140407A1 (en) Modular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