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583B1 - Rainwater storage block - Google Patents

Rainwater storage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583B1
KR101286583B1 KR1020110036698A KR20110036698A KR101286583B1 KR 101286583 B1 KR101286583 B1 KR 101286583B1 KR 1020110036698 A KR1020110036698 A KR 1020110036698A KR 20110036698 A KR20110036698 A KR 20110036698A KR 101286583 B1 KR101286583 B1 KR 101286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unit cells
unit
storage block
st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6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5946A (en
Inventor
황순호
Original Assignee
황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호 filed Critical 황순호
Publication of KR20110085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9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5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상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셀이 밀집 배열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의 내부공간에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위셀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유입구를 갖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 각각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셀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바디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가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 각각에 균일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을 연통시키는 연통부와, 상기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어 다른 바디와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 블록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each having an inner spac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re densely arranged, an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uch that the plurality of units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A top plate having an inle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ells, wherein the body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rainwater that flows into the unit cell; An excellent part hav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the plurality of unit cells so as to be uniformly accommod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and a fastening part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to connect and fix the other body Provide a storage block.

Description

우수저장 블록{RAINWATER STORAGE BLOCK}Storm storage block {RAINWATER STORAGE BLOCK}

본 발명은 우수저장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우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도 하부 또는 운동장 및 주차장 등과 관련된 지반시설에 배치되어 우수를 임시 저장하는 우수저장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storage block and a rainwater treatment system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nwater storage block for temporarily storing rainwater disposed in a ground facility associated with a lower sidewalk or a playground and a parking lot.

최근 들어, 급격한 도시화로 인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등이 지표면의 대부분을 뒤덮게 되었다.Recently, due to rapid urbanization, asphalt, concrete pavement, etc. have covered most of the surface.

예를 들어 사람들의 통행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도로변의 인도 측이나 넓은 광장, 공원 등지의 노면 상에는 동일형상을 이루는 다수개의 보도블록이 연속되게 설치되어 보행자들이 편안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눈이나 빗물 등으로 인해서 노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도로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For example, a number of sidewalk blocks of the same shape are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 on the side of a road where people pass frequently, on a large plaza, or on a park, so that pedestrians can pass comfortably. The road is prevented from being lost due to such conditions, providing a comfortable road environment.

이러한 보도블록은 대부분 일정한 두께와 크기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되어 평탄작업이 완료된 노면 상에 연속되는 형태로 조립되어 시공된다. 한편, 시공이 완료된 보도블록은 이들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는데, 우천시 이러한 틈새를 통하여 극히 적은 양의 빗물만이 하부의 지반 토양으로 침투되고, 대부분의 빗물은 침투되지 않은 채 보도블록의 표면을 따라서 흘러내려 하수관을 통해서 배수된다.Most of these sidewalk blocks are made of concrete structures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size, and are assembled and constructed in a continuous form on the road surface where the flat work is comple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sidewalk block is completed, there is a gap between them. In rainy weather, only a small amount of rainwater penetrates into the underlying soil, and most rainwater does not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sidewalk block. Thus it flows down and drains through the sewer.

더하여, 보도블록이 시공되는 평탄작업이 완료된 노면의 하부에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그 상부에 모래 등과 같은 투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재료로 평탄한 노면을 형성한다. 이후 보도블록이 평탄한 노면의 상부에 조립 시공된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road surface on which the sidewalk block is completed is generally laid with concrete, and a flat road surface is formed of a material made of a permeable material such as sand. The sidewalk block is then assembled on top of the flat road surface.

그런데, 상기와 같은 보도블록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하여 수분이 자연적으로 땅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급격한 지하수량 감소에 의해 지반이 침하되고, 수목의 발육이 둔화되며, 더하여 지중(즉, 토양)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게 되므로 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sidewalk block or cast concrete prevents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ground naturally. Accordingly, the ground subsides due to a rapid decrease in the amount of groundwater, the growth of trees is slowed, and the ground (that is, Soil) inhibits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habiting, which leads to imbalances in ecosystem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 목적은 우천시 우수(빗물)가 땅속(지중)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우수저장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nwater storage block for rainwater (rainwater) infiltrate into the ground (groun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각각 상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셀이 밀집 배열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의 내부공간에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위셀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유입구를 갖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 각각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셀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바디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가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 각각에 균일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을 연통시키는 연통부와, 상기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어 다른 바디와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 블록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each having an inner spac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re densely arranged, an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uch that the plurality of units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A top plate having an inle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ells, wherein the body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rainwater that flows into the unit cell; An excellent part hav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the plurality of unit cells so as to be uniformly accommod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and a fastening part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to connect and fix the other body Provide a storage bloc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우수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1에 도시된 우수처리 시스템에 채용된 우수저장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A-A'방향 절개)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1에 도시된 우수처리 시스템에 채용된 우수저장 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집수여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우수저장 블록(단위 블록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5에 도시된 우수저장 블록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우수저장 블록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우수저장 블록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m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A-A 'direction incision) showing a storm storage block employed in the storm water treatment system shown in FIG.
3A and 3B are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respectively, of a storm storage block employed in the storm treatment system shown in FIG.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water collecting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m storage block (unit block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storm storage block shown in FIG. 5.
7A and 7B are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of a storm storage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op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m storage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우수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m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우수처리 시스템(300)은, 우수저장 블록(100)을 구비하는 배수시스템(200)과, 상기 배수시스템(200)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우수저장 블록(100)에 우수를 공급하는 집수여과장치(250)를 포함한다.
The storm treatment system 300 shown in FIG. 1 includes a drain system 200 having a storm storage block 100 and a side of the drain system 200 to provide rainwater to the storm storage block 100. And a catchment filtration device 250 for supplying.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 시스템(200)은, 표면층(220)과 상기 표면층(220)의 하부에 위치한 우수투과층(240)과, 상기 우수투과층(240) 하부에 위치한 우수저장 블록(100)을 포함한다.
The drainage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ainwater permeable layer 240 positioned below the surface layer 220 and the surface layer 220, and a rainwater storage block 100 positioned below the rainwater permeable layer 240. It includes.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표면층(220)은 보도뿐만 아니라, 운동장 및 주차장과 같은 각종 지반시설의 표층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인 표면층(220)은 복수의 보도블록으로 구성된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강석의 보도블록 또는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의 단일체인 보도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운동장 및 주차장의 표면층일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rface layer 220 may be a surface layer of various ground facilities such as a playground and a parking lot as well as a sidewalk. As shown, the surface layer 220, which is a sidewalk, is illustrat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idewalk block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sidewalk block of granite or a sidewalk that is a single body of cement or concrete. It may be a surface layer of.

상기 표면층(220)은 우수가 통과되도록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으나, 보다 효과적인 집수 및 여과처리를 위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우수저장 블록(100)으로 향하는 주된 우수유입경로를 별도의 집수여과장치(250)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The surface layer 220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o pass the rainwater, but for a more effective water collection and filtration treatmen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rainwater inflow path to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the separate water collecting filtration device Can be implemented through (250).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천시 우수(빗물)가 상기 보도블록인 표면층(220)에 적하되면, 일부 우수가 우수투과층(240)으로 직접 유입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우수는 미리 매설된 집수여과장치(250)를 유입된다. 이러한 유입은 지면 경사도나 별도의 유로를 형성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rainy season rainwater (rainwater) is dropped on the surface layer 220 which is the sidewalk block, some rainwater may b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rainwater permeable layer 240, but most rainwater is a pre-embedded water collecting filter 250 is introduced. This inflow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forming a ground slope or a separate flow path.

도1에 도시된 집수여과장치(250)는 적어도 우수투과층(240)에 접하는 측면에 배출영역(O)이 형성된 저장조(251)와, 상기 저장조(251) 상부에 장착되어 투수영역에 형성된 개구(I)를 갖는 상부 캡(252)을 포함하다. 상기 집수여과장치(250)는 여과부(도4의 F1,F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저장조(251) 내부에 이물을 걸러지도록 우수를 정제시킬 수 있다. The catchment filtration device 250 shown in FIG. 1 includes a reservoir 251 having a discharge area O formed at least in contact with the rain permeable layer 240, and an opening formed in the permeable area mounted on the reservoir 251. Top cap 252 with (I). The catchment filtration device 250 may be provided with a filtration unit (F1, F2 of Figure 4) to purify the rainwater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in the reservoir 251.

이와 관련된 집수 및 여과처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llection and filtration treatmen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형태에 채용된 우수 투과층(240)은 상기 표면층(220)과 상기 우수저장 블록(1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적층되며, 상기 집수여과장치(250)에서 여과된 우수를 상기 우수저장 블록(10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The rainwater permeable layer 240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stack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surface layer 220 and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and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water collecting filter 250 is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block ( 100) to guide.

이러한 우수 투과 작용을 위해서, 상기 우수 투과층(240)은 충진시 공극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우수 투과층(240)의 예로 모래 또는 자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상기 표면층(220)이 적층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good permeation action, the good permeable layer 24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voids during filling. For example, the rain permeable layer 240 may include sand or gravel, and may be formed to be flat so that the surface layer 220 may be stacked.

상기 집수여과장치(250)에서 여과된 우수(빗물)가 상기 우수 투과층(240)을 통과되도록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여과장치(250)의 배출영역(O)은 적어도 우수 투과층(240)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rainwater (rainwater) filtered by the water collecting device 250 passes through the rainwater permeable layer 240, and the discharge area O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250 is at least water permeable. It is formed in contact with layer 240.

상기 우수저장 블록(100)은 상기 우수 투과층(240)의 하부에 배치되며, 유입되는 우수의 양보다 토출되는 우수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집수여과장치(250)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is disposed below the rainwater permeable layer 240 and may temporarily store rainwater flowing from the catchment filtration device 250 to reduce the amount of rainwater discharged rather than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 have.

필요에 따라, 상기 우수 투과층(240)에는 상기 표면층(220)과 이웃하여 배치되는 영역, 예를 들어, 차도(20)와 연통되는 유로부(242)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차도(20)에 내린 우수(빗물)가 상기 우수 투과층(24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우수(빗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rain permeable layer 240 may be connected to an area disposed adjacent to the surface layer 220, for example, a flow path part 242 communicating with the driveway 20. That is, a flow path part 242 may be formed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rainwater (rainwater) so that rainwater (rainwater) falling on the roadway 20 may flow into the rainwater permeable layer 240.

이를 위해, 유로부(242)는 일예로서, 표면층(220)을 형성하는 보도와 차도(20)를 경계짓는 경계석(30)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홀 또는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low path part 242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hole or a pipe provided to penetrate the sidewalk forming the surface layer 220 and the boundary stone 30 that defines the driveway 20.

도1에 도시된 우수저장 블록(10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우수저장 블록은 작은 개별단위로 제조되어 체결부를 통해 복수개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5 내지 도8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is integrally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ainwater storage block may be manufactured as a small individual unit, and a plurality of rainwater storage blocks 1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portion. .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추가적으로, 상기 배수 시스템(2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층(260) 및 이물차단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age system 200 may include a base layer 260 and a foreign material blocking member 270, as shown in FIG. 1.

상기 베이스층(260)은 우수저장 블록(100)의 하부에 적층되어 우수저장 블록(100)으로부터 토출되는 우수를 지층(10)으로 투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베이스층(260)도 우수가 투수될 수 있도록 충진시 공극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se layer 260 may be stacked under the storm storage block 100 to permeate the rain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m storage block 100 to the ground layer 10. To this end, the base layer 260 may also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voids during filling so that rainwater may be permeable.

즉, 우천시 우수(빗물)은 집수여과장치(250)를 거쳐 우수 투과층(240)으로 유입되고, 이후 우수저장 블록(100)과 베이스층(260)을 통과하여 지층(10)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되는 우수(빗물)가 지층(1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베이스층(260)은 자갈 또는 모래와 같이 충진시 공극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rainy weather rainwater (rainwater) is introduced into the rainwater permeable layer 240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filtration device 250, and then flows through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and the base layer 260 to the ground layer (10). The base layer 26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pores during filling such as gravel or sand so that rainwater (rainwater) flowing into the ground layer 10 may be supplied to the ground layer 10.

상기 이물차단부재(270)는 우수저장 블록(100)에 유출입되는 우수의 유동경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토록 우수저장 블록(100)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층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물차단부재(270)는 이물은 차단하고 우수만이 통과될 수 있도록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member 270 is stack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to prevent the rain flow path flowing into and out of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is blocked. For example,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member 270 may be made of a nonwoven fabric to block foreign materials and allow only rainwater to pass.

본 실시형태에 채용된 우수저장 블록(100)의 복수개의 단위셀(C) 각각에는 유입구(130)와 유출구(140)를 구비하는데, 우수저장 블록(1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우수투과층(240)과 베이스층(260)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우수투과층(240)과 베이스층(260)은, 모래와 같이 충진시 공극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이물차단부재(27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우수저장 블록(100)의 유입구(130)와 유출구(140)는 예를 들어, 모래, 먼저 등에 의해 막힐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C of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let port 130 and an outlet port 140, respectively. 240 and the base layer 260 are disposed. Here, the rain permeable layer 240 and the base layer 26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voids during filling, such as sand, so that when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member 270 is not provided inlet ( 130 and outlet 140 may be blocked, for example, by sand, first, or the like.

따라서, 우수저장 블록(100)에 구비되는 유입구(130)와 유출구(140)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물차단부재(270)가 우수저장 블록(100)의 상면 또는 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층될 수 있다.Therefore, the foreign matter blocking member 270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to prevent the inlet 130 and the outlet 140 provided in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Can be.

이에 따라, 우수저장 블록(100)은 우수(빗물)만을 유입하여 일시 저장한 후에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지층(10)으로 공급되는 우수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may discharge only after rainwater (rainwater) is introduced and temporarily stored,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rainwater supplied to the ground layer 10.

즉, 상기 우수저장 블록(100)의 유입구(130)가 토출구(140)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폭우시에도 우수가 땅속으로 침투되는 유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우수가 땅속으로 침투되는 우수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the inlet 130 of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is formed in a larger number than the discharge port 140, the rainwater can be controlled inflow rate into the ground even during heavy rains, so the rainwater penetrates into the ground. The supply can be increased.

상기 우수저장 블록(100)의 연통부(150)를 통해 복수개의 단위셀 각각에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다르더라도 우수저장 블록(100)의 바디(110) 내부에 균일하게 우수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어 땅속으로 침투되는 우수의 공급량을 보다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채용된 연통부(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으로부터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Even though the amount of rainwater introduc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through the communicating unit 150 of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is different, the rainwater may be uniformly stored in the body 110 of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This can further increase the supply of rainwater that penetrates into the ground. The communicating portion 150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ade of a groove formed from the top as shown.

본 실시형태에 채용된 우수저장 블록(100)은 복수개의 육각기둥 형상인 단위셀(C)이 허니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표면층(220)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수저장 블록(100)의 바디(110)가 부식이 방지되어 우수저장 블록(100)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폴리머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P+GF 와 같은 공지된 폴리머 재질을 사용하여 경제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우수저장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o that the unit cells C having a plurality of hexagonal pillars form a honeycomb structure, thereby ensuring structural stability due to the load applied from the top of the surface layer 220. . In addition, since the body 110 of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is prevented from corrosion, a polymer material may be used to semipermanently use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For example, known polymer materials such as PP + GF can be used to provide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storm storage blocks.

상기 이물차단부재(270)를 통해 우수저장 블록(100)에 구비되는 유입구(130)와 토출구(140)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우수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수저장 블록(100)이 주로 모래와 같은 부재로 구성되는 우수투과층(240) 및 베이스층(260) 사이에 적층되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을 수 있어 건설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친환경적이다고 할 수 있다.
Through the foreign matter blocking member 270, the inlet 130 and the discharge port 140 provided in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blocked by the foreign matter, thereby increasing the supply amount of rainwater. In addition, since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is laminated between the rainwater permeable layer 240 and the base layer 260 mainly composed of a member such as sand, it may not cast concrete, so that construction waste does not occur, thus pouring concrete. Compared to the case, 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배수시스템(200)의 우수저장블록(100)에 공급하는 우수를 집수여과장치(250)를 통해서 실행되는 점에 있다. 별도로 매설된 집수여과장치(250)를 이용함으로써 투수기능을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보도 또는 지반시설에서도 우수저장블록(100)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기 우수시에 자연발생적인 여과기능을 채용하여 우수를 원활한 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ainwater supplied to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of the drainage system 200 is carried out through the catchment filtration device 250. By using the separately-collected water collecting device 250,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can be effectively used even in the sidewalk or ground facilities where the water permeation function is not sufficiently secured. Purification can be achieved smoothly.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채용되는 집수여과장치(250)의 구조와 작동원리를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4a는 초기 우수과정에서 여과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4b는 우수량 증가시에 집배수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water collecting filter 250, which is preferably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Figure 4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ltration process in the initial storm process, Figure 4b is a view showing the drainage process when the rainfall amount increases.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집수여과장치(250)는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시스템(200)의 측부에 접하도록 매설되며 적어도 상기 표면층(240)을 통해서 여과된 우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The catchment filtration device 250 shown in FIGS. 4A and 4B is embedded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drainage system 200, as shown in FIG. 1, to provide rainwater filtered through at least the surface layer 240. Device.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집수여과장치(250)는 적어도 우수투과층(240)에 접하는 측면에 배출영역(O)이 형성된 저장조(251)와, 상기 저장조(251) 상부에 장착되어 투수영역에 형성된 개구(I)를 갖는 상부 캡(252)과, 상기 저장조(251) 내부에 설치된 여과부(F1,F2)를 포함한다. 4A and 4B, the catchment filtration device 250 illustrated in FIG. 4A has a reservoir 251 having a discharge area O formed on at least a side of the rainwater permeable layer 240, and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251. And an upper cap 252 having an opening I formed therein, and filtration units F1 and F2 provided inside the reservoir 251.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캡(252)은 상기 저장조(251) 상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상부 캡(252)에서, 상기 배출영역(O)이 형성된 측면과 인접한 영역이 비투수영역으로 제공되며, 다른 영역에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투수영역으로 제공된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upper cap 252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251. In the upper cap 252, an area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n which the discharge area O is formed is provided as a non-permeable area, and another area is provided as a water permeable area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상기 저장조(251) 내부에는 제1 가로막(251a)이 설치되어 상기 투수영역 아래에는 제1 공간(250a)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로막(251a)은 적어도 배출영역의 위치보다 큰 제1 높이를 가지므로, 1차/2차 여과된 우수가 상기 제1 공간(250a)으로 역유입되지 않고, 배출영역(O)을 통해서 상기 배수시스템(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A first diaphragm 251a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servoir 251 to define a first space 250a under the water permeable region. Since the first diaphragm 251a has a first height that is at least greater than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area, the first / second filtered rainwater does not flow back into the first space 250a, and the discharge area O is closed.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system 200 through.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조(251) 내부에는 제2 가로막(251b)이 설치되어 상기 비투수영역의 아래의 공간을 제2 및 제3 공간(250b,250c)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로막(251b)은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가져 배출영역으로 1차/2차 여과된 우수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a second diaphragm 251b is installed inside the reservoir 251 to divide the space below the non-permeable region into second and third spaces 250b and 250c. have. The second diaphragm 251b may have a second height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to ensure that the first and second filtered rainwater proceed smoothly to the discharge area.

도4a를 참조하여, 상기 저장조(251) 내의 공간 분할을 기반하여 구성된 여과부(F1,F2)를 통해서 우수초기에 실행되는 여과작용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ure 4a,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filtration action performed in the early rain through the filtration unit (F1, F2) configured on the basis of the spatial division in the reservoir 251.

상기 제1 가로막(251a)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제1 공간(250a)에서 상기 제2 공간(250b)으로 우수가 투과되도록 투수구(M)가 형성된다. 이러한 투수구(M)는 메쉬형태로 채용될 수 있다. A pitcher M is formed in a lower region of the first diaphragm 251a to transmit rainwater from the first space 250a to the second space 250b. Such a pitcher (M) may be employed in the form of a mesh.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여과부는 제1 여과부(F1) 및 제2 여과부(F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여과부(F1)는 상기 제1 공간(250a)에 적재된 1차 여과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여과부(F2)는 상기 제2 공간(250b)에 적재되며 상기 1차 여과부재의 공극보다 작은 평균크기를 갖는 공극을 갖는 2차 여과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ltration par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contains the 1st filtration part F1 and the 2nd filtration part F2. The first filtration unit F1 is formed of a primary filtration member loaded in the first space 250a, and the second filtration unit F2 is loaded in the second space 250b and the primary filtration. It may be made of a secondary filtration member having pores having an average size smaller than the pores of the member.

예를 들어, 상기 제1 여과부재는 비교적 충진밀도가 낮아 큰 공극을 갖는 자갈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여과부재는 비교적 충진밀도가 높아 작은 공극을 갖는 가는 자갈 또는 모래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filtration member may be gravel having a relatively large filling density and large pores, and the second filtration member may be fine gravel or sand having a relatively large filling density and small pores.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상부캡에서 유입되는 우수의 여과 및 배출과정은 도4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진행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In this structure, the filtration and discharge process of rainwater flowing from the upper cap can be described as proceeding along the arrow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여과부(F1)는 상기 상판의 개구(I)로부터 유입된 우수로부터 이물이 제거한다. 이러한 1차 여과과정에서, 우수는 상기 투수영역으로부터 하향으로 진행되어, 제1 가로막(251a)의 투수구(M)를 통해서 제2 여과부(F2)로 배출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filtration unit F1 removes foreign matters from rainwater introduced from the opening I of the upper plate. In this primary filtration process, the rainwater may be discharged downward from the water permeable region and discharged to the second filtration unit F2 through the water hole M of the first diaphragm 251a.

상기 제2 여과부(F2)에서는, 상기 투수구(M)로부터 유입된 1차 여과된 우수는 상향으로 진행되면서 여과될 수 있다. 이렇게 2차 여과된 우수는 상기 제2 가로막(251b)을 넘어 상기 제3 공간(250c)으로 유도되고, 상기 저장조(251)의 측면에 마련된 배출영역(O)을 통해 상기 배수 시스템의 우수투과층(도1의 240)으로 배출될 수 있다. In the second filtration unit (F2), the primary filtered rainwater introduced from the pitcher (M) may be filtered while going upward. The secondary filtered rainwater is led to the third space 250c beyond the second diaphragm 251b, and the rainwater permeable layer of the drainage system through the discharge area O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tank 251. (240 in FIG. 1).

이와 같이, 우수초기과정에서는 제1 및 제2 여과부(F1,F2)를 통해서 집수된 우수를 정화시킬 수 있다. 초기 우수의 경우에는 보도 상에 이물들과 함께 집수되므로, 이러한 우수가 바로 배수 시스템에 제공될 경우에 막힘 현상이 발생되어 경우에 따라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될 수 없다. 하지만, 본 집수여과장치를 통해서 초기 우수과정에서 유입되는 이물을 여과장치를 통해서 도4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으므로, 원활한 우수저장 및 배수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rainwater initial process, the rainwater coll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units F1 and F2 may be purified. Initial rainwater is collected with debris on the sidewalk, so when this rainwater is provided directly to the drainage system, a blockage occurs and in some cases the system cannot operate properly. However, since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 the initial rainwater process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filtration device can be effectively filtered through the filtration device as described in FIG. 4A, smooth rainwater storage and drainage can be expected.

한편, 초기 우수과정 후에는 우수량이 증가할 것이다. 이와 같이, 초기 우수과정을 지나서 우수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제1 및 제2 여과부(F1,F2)로 진행하지 않고, 도4b에 도시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로막(251a)을 넘어서 바로 배수시스템으로 진행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initial storm process, the stormwater amount will increase. As such, when the amount of rainfall increases after the initial storm process,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units F1 and F2 do not proceed, and as shown by the arrow shown in FIG. 4B, the first barrier 251a is exceeded. We will proceed directly to the drainage system.

도4b에 도시되어 설명된 과정은 이물들이 함께 모아지는 초기 우수의 집수과정과 달리, 대부분의 이물들은 제거된 상태이므로, 여과 과정을 걸치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다. 특히, 상기 제1 가로막(251a)의 상단공간은 여과과정 없이 진행되는 유로를 제공하므로, 증가된 우수량이 여과과정에 의한 지연 없이 신속하게 배수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proces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Figure 4b is unlike the initial rainwater collection process where the foreign materials are collected together, most of the foreign material is removed, so it will not have to go through the filtration process. In particular, since the upper space of the first diaphragm 251a provides a flow path that proceeds without the filtration process, an increased amount of rainwater can be quickly provided to the drainage system without delay by the filtration process.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부 캡(252)은 상기 저장조(251)와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한 여과과정에서 축적되는 이물은 수시로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의 제거를 위해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여과부재를 수용하면서 제1 및 제2 공간(250a,250b)에 장착할 수 있는 여과통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여과통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여과부재를 세척/교환함으로써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upper cap 25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reservoir 251,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filtration process can be removed at any time. Although not shown, the filter can be mounted in the first and second spaces 250a and 250b while accommodating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members. Therefore, the foreign matter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washing / exchanging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members using such a filter barrel.

이와 같이, 상기 집수여과장치(250)는 우수를 집수하여 배수시스템의 우수 투과층(240)을 통해서 우수저장 블록에 제공하는 기능과 함께, 상기 저장조(251) 내부에서 이물을 걸러 우수를 정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s such, the catchment filtering device 250 collects rainwater and provides the rainwater storage block through the rainwater permeable layer 240 of the drainage system, and filters the rainwater from the inside of the reservoir 251 to purify the rainwater. Function can be performed.

본 실시형태에 채용된 우수저장 블록(100)은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단위셀(C)로 구성되는 바디(110)와 그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110)을 포함한다.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110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cells C and an upper plate 110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s shown in FIGS. 2A and 2B. do.

상기 바디(110)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강도가 큰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110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a high strength to prevent breakage by a load applied from an upper portion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C)은 각각 육각기둥형상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밀집 배열되어 허니컴 구조(벌집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C)이 허니컴 구조를 형성하므로 바디(110)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C may have a hexagonal pillar shape and may be densely arranged as a whole to form a honeycomb structure (honeycomb structure). As such, since the plurality of unit cells C form a honeycomb structure, breakage of the body 110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may be reduced.

상기한 바와 같이, 바디(110)가 내부공간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셀(C)로 구성되므로, 우수(빗물)가 바디(110)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30)는 각 단위셀영역에서 상판(120)에 3개씩 구비되고, 토출구는 각각 1개씩 구비되는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ody 1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cells (C) having an internal space, rain (rain water) may be stored inside the body (110). As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three inlets 130 ar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120 in each unit cell region, and one outlet is provided.

이와 같이, 우수저장 블록(100)은 유입구(130)보다 작은 개수로 형성되어 바디(110)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의 양보다 작은 양의 우수를 토출하는 토출구(140)를 가짐으로써 각 단위셀(C)의 내부에 우수(빗물)가 일시 저장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orm storage block 100 is formed in a smaller number than the inlet opening 130 and has a discharge port 140 for discharging the amount of rain that is less than the amount of rain that flows into the body 110, each unit cell ( Rainwater may be temporarily stored inside C).

본 실시형태와 달리, 이러한 작용을 위해서 상기 토출구(140)의 단면적이 유입구(13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우수(빗물)가 단위셀(C)의 내부에 일시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Unlike this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ort 140 is forme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130 for this action, rain (rain water)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unit cell (C).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수저장 블록(100)의 바디(110)는 복수개의 단위셀(C) 각각에 균일하게 수용되도록 복수개의 단위셀(C)을 연통시키는 연통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단위셀(C)의 측벽에 연통부(15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집수여과장치(250)가 상기 배수시스템(200)의 일측면을 통해서 우수를 유입시키더라도 전체 단위셀(C)에 균일하게 우수를 공급할 수 있다.
The body 110 of the rainwater storage bl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50 for communicating the plurality of unit cells C to be uniformly accommod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C. hav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ommunication part 150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unit cell C, even i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250 introduces rainwater through one side of the drainage system 200, the entire unit cell C ) Rainwater can be supplied uniformly.

상술된 우수저장 블록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5 내지 도8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장블록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The rain storage block described above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5 to 8 show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torm water storag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우수저장 블록(단위 블록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5에 도시된 우수저장 블록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m storage block (unit block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ottom view of the storm storage block shown in FIG.

본 실시형태에 채용된 우수저장 블록(300)은 단위 블록체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단위블록체인 우수저장 블록은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연결되어 원하는 면적의 우수저장 블록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storm storage block 300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nderstood as a unit block. That is, the rainwater storage block of the unit block chain may be installed as a rainwater storage block having a desired area by being connected in plural as shown in FIG. 7A.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수저장 블록(300)은 복수개의 육각기둥 형상인 단위셀이 허니컴 구조를 이루어진 바디(310)와, 상기 바디(310)의 상면에 장착된 상판(32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5, the rainwater storage block 300 includes a body 310 in which a plurality of hexagonal unit cells have a honeycomb structure, and an upper plate 320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310. Include.

상기 상판(320)은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 각각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30)를 갖는다. 상기 바디(320)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 각각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셀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를 토출하는 토출구(340)를 갖는다(도6의 저면도 참조).The upper plate 320 has an inlet 330 formed in the body so that the upper plate 320 is positioned above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The body 320 has a discharge port 340 formed in the bottom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to discharge rainwater flowing into the unit cell (see the bottom view of FIG. 6).

우수저장블록은 이용한 우수의 일시 저장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토출구(340)는 상기 유입구(3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 또는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320)는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가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 각각에 균일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을 연통시키는 연통부(350)를 갖는다. The rainwater storage block may have a relatively small number or a smaller area than the inlet 330 to ensure temporary storage of the rainwater used. The body 320 has a communication unit 350 for communicating the plurality of unit cells so that rainwater flowing into the body is uniformly receiv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바디(310)와 상기 상판(320)을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310)의 일부 단위셀에는 고정홈(360)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320)에서 상기 고정홈(360)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370)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형태와 달리, 상기 상판(320)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310)에 고정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공지된 결착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ixing groove 360 is formed in some unit cells of the body 310 so that the body 310 and the top plate 320 can be fixed to each other. A fixture 37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360. Of cours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fix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upper plate 320, a fixing tool may be formed in the body 310, and other known binding means may be used.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수저장 블록(300)에서, 상기 바디(310)의 측면에 다른 바디와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체결부(370a,370b,380a,380b)를 구비한다. In the rain storage block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of the body 31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370a, 370b, 380a, 380b that can be fixed by connecting to the other body.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310)의 허니컴 구조는 5×6의 육각기둥 단위셀의 배열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바디(310)의 측면은 각 단위셀의 육각기둥형상에 따라 얻어진 형상을 가지며, 그 측면의 형상은 서로 마주하는 변이 깍지낀 형태로 밀착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honeycomb structure of the body 310 is illustrated by an arrangement of 5 × 6 hexagonal unit cells. The side of the body 310 has a shape obtained according to the hexagonal column shape of each unit cell, the shape of the side may be tightly coupled in the shape of the sides facing each other.

상기 바디(310)의 측면 중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는 결합돌기(370a,380a)형태를 가지며, 그 일측 모서리에 대향하는 타측 측면에 형성된 체결부는 결합홈(370b,380b)형태를 갖는다. 일 바디의 결합돌기(370a,380a)는 인접한 다른 결합홈(370b,380b)과 체결되어 원하는 수의 단위 블록체를 원하는 면적을 갖도록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방식을 배수시스템에서 우수저장블록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body 310 has the shape of the engaging projection (370a, 380a),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edge has the form of the coupling groove (370b, 380b). The coupling protrusions 370a and 380a of one body may be coupled with other adjacent coupling grooves 370b and 380b to connect a desired number of unit block bodies to each other to have a desired area. This connection can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storm water storage blocks in the drainage system.

단위 블록체가 서로 체결되어 우수저장 블록 어셈블리를 형성한 형태는 도7a 및 도7b에 예시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우수저장 블록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The unit block bodies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n even storage block assembly is illustrated in FIGS. 7A and 7B. 7A and 7B are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of a storm storage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우수저장블록 어셈블리(300')는, 도5에 도시된 단위블록체인 우수저장 블록(300)이 3×3으로 체결된 형태이다. 이와 같이, 원하는 면적을 갖도록 필요한 수의 우수저장 블록을 체결시킬 수 있다. 7A and 7B, the storm storage block assembly 300 ′ illustrated in FIG. 5 is a unit block chain storm storm storage block 300 illustrated in FIG. 5. In this manner, the required number of rainwater storage blocks can be fastened to have a desired area.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단위 블록의 바디(310)에 그와 대응되는 상판(320)을 장착시킨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 즉, 각 단위 블록은 그 블록의 측면에 마련된 체결부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plate 320 corresponding thereto is mounted on the body 310 of each unit block. That is, each unit block is coupled to each other using the fastening part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이와 달리, 도8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상판을 바디에 대응되지 않도록 엇갈려 장착함으로써 상판을 이용하여 단위 블록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8, unit blocks may be more firmly coupled using the top plate by alternately mounting the top plate so as not to correspond to the body.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7b에 도시된 형태와 동일한 바디(310)의 배열에서, 상판을 2가지 종류의 제1 및 제2 상판(420a,420b)으로 마련하고, 각각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판이 2개 이상의 인접한 바디를 연결하여 결합되도록 장착함으로써 각 단위블록을 보다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arrangement of the same body 310 as the shape shown in Fig. 7b, the top plate is provided with two types of first and second top plates 420a and 420b,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8. Likewise, each unit block can be more firmly fastened by mounting one top plate to be connected by connecting two or more adjacent bodi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우수저장 블록 C : 단위셀
110: 상판 120 : 바디
130 : 유입구 140 : 토출구
150 : 연통부 200 : 배수시스템
220 : 표면층 240 : 우수투과층
250: 집수여과장치 260 : 베이스층
270 : 이물차단부재
100: excellent storage block C: unit cell
110: top 120: body
130: inlet 140: outlet
150: communication part 200: drainage system
220: surface layer 240: rain permeable layer
250: catchment filtration device 260: base layer
270: foreign matter blocking member

Claims (9)

각각 상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셀이 밀집 배열된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의 내부공간에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위셀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유입구를 갖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 각각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셀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바디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가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 각각에 균일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을 연통시키는 연통부와, 상기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어 다른 바디와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디의 일부 단위셀과 상기 상판의 대응영역 중 어느 일측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타측에는 상기 고정홈과 체결가능한 고정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 블록.
A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densely arranged, each having an inner spac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 top plat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having an inle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so that rainwater may flow into the inner spaces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The body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formed at a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to discharge rainwater flowing into the unit cell, and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body may be uniformly receiv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the two unit cells, and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has a fastening portion for connecting and fixing with the other body,
The stora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on any one side of the unit cell of the body and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upper plate, the other side is a fastener that can be fastened to the fix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단위셀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단위셀에 일시 저장된 후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보다 그 개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charge port is a rainwater storag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number and size of the discharge port is smaller than the inlet so that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unit cell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unit cell can be discharg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홈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is excellent storag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groove extending from the to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은 각각 육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서로 연결되어 허니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has a hexagonal pillar shape, 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honeycomb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neycomb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바디의 일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일 측면과 대향하는 다른 일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가능한 구조를 갖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unit is formed of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other excellent storag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groov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4개의 측면을 가지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바디의 2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2개의 측면과 각각 대향하는 다른 2개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가능한 구조를 갖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has four sides,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f two engaging projections respectively formed on two sides of the body, and two other sides formed respectively opposite to the two sides, the excellent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groov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block.
복수개의 우수저장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우수저장 블록은,
각각 상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셀이 밀집 배열된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의 내부공간에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위셀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유입구를 갖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 각각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셀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바디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가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 각각에 균일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단위셀을 연통시키는 연통부와, 상기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어 다른 바디와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바디의 일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일 측면과 대향하는 다른 일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가능한 구조를 갖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우수저장 블록은 인접한 다른 우수저장 블록과 연결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함홈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 블록 어셈블리.
It has a plurality of rainwater storage blocks,
The plurality of storm storage blocks,
A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densely arranged, each having an inner spac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 top plat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having an inle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so that rainwater may flow into the inner spaces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The body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formed at a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to discharge rainwater flowing into the unit cell, and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body may be uniformly receiv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the two unit cells, and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has a fastening portion for connecting and fixing with the other body,
The fastening part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and a coupling groov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fastening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The rainwater storage block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rainwater storage block is fastened by using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defect groove to be connected to another adjacent rainwater storage bloc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우수저장 블록에 관련된 상기 상판 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2개 이상의 우수저장 블록의 바디에 동시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 블록 어셈블리.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t least one of the top plates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storm storage blocks is configured to be simultaneously mounted to a body of two or more storm storage blocks adjacent thereto.
KR1020110036698A 2010-01-19 2011-04-20 Rainwater storage block KR10128658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4669 2010-01-19
KR1020100004669 2010-01-1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381A Division KR101051778B1 (en) 2010-01-19 2010-09-27 Rainwater storage block, water collecting and filtering apparatus and rainwater trea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946A KR20110085946A (en) 2011-07-27
KR101286583B1 true KR101286583B1 (en) 2013-07-22

Family

ID=449226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381A KR101051778B1 (en) 2010-01-19 2010-09-27 Rainwater storage block, water collecting and filtering apparatus and rainwater treating system
KR1020110036699A KR20110085947A (en) 2010-01-19 2011-04-20 Water collecting and filtering apparatus for rainwater treating system
KR1020110036698A KR101286583B1 (en) 2010-01-19 2011-04-20 Rainwater storage block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381A KR101051778B1 (en) 2010-01-19 2010-09-27 Rainwater storage block, water collecting and filtering apparatus and rainwater treating system
KR1020110036699A KR20110085947A (en) 2010-01-19 2011-04-20 Water collecting and filtering apparatus for rainwater trea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05177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202A (en) * 2019-04-01 2020-10-12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Rugged construction of rainwater storage tan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70B1 (en) * 2013-01-31 2015-03-0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Infiltrating and Rooftop Rainwater Storage having effect of Urban Flood Damage Reduction
CN106638923B (en) * 2017-02-13 2022-07-19 宜昌星时达环保科技有限公司 Assembled rainwater collection module and installation method
KR101881491B1 (en) 2017-08-22 2018-07-24 문희수 Prefabricated water tank with solar powered automatic irrigation system
KR101932601B1 (en) * 2018-01-22 2018-12-27 지성산업개발(주) Eco-friendly Surface Water Reservoir Device for Improvement of Groundwater Storage Function AND Eco-friendly Road Structure With Drainage System Using The Reservoir Device
KR101867974B1 (en) * 2018-01-22 2018-07-19 지성산업개발(주) Eco-friendly Surface Water Reservoir Device for Improvement of Groundwater Storage Function AND Eco-friendly Road Structure With Drainage System Using The Reservoir Device
KR102154399B1 (en) * 2018-10-05 2020-09-10 주식회사 환경회복연구센터 Drainage system
KR101988245B1 (en) * 2018-11-26 2019-06-12 신도산업 주식회사 Rainwater penetration saving basket and install method of the same
KR200492913Y1 (en) 2018-12-14 2021-01-04 오세군 Collecting apparatus of rainwater
CN109969533A (en) * 2019-03-14 2019-07-05 龙南县致富塑料制品有限公司 A kind of no-welding eye-splice-type plastic containers connection sealing structure
KR102351558B1 (en) 2019-10-23 2022-01-18 안재용 High strength polished concrete block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60B1 (en) * 2006-09-15 2007-04-03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The water-storage tank worthy an undercurrent a block of loss in weigh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071Y1 (en) 2004-04-08 2004-07-22 주식회사 에코썸 Road drainage with first flush treatment ability
KR100663798B1 (en) 2005-09-01 2007-01-02 한승희 Manual jointed facilities keeping rainw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60B1 (en) * 2006-09-15 2007-04-03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The water-storage tank worthy an undercurrent a block of loss in weight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202A (en) * 2019-04-01 2020-10-12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Rugged construction of rainwater storage tank
KR102205346B1 (en) * 2019-04-01 2021-02-03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Rugged construction of rainwater storage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947A (en) 2011-07-27
KR20110085946A (en) 2011-07-27
KR101051778B1 (en) 201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583B1 (en) Rainwater storage block
KR102053044B1 (en) The Permeabl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method for stormwater runoff reduction
KR20190072096A (en) Porous water permeable sidewalk block
CN109208426B (en) Municipal road constru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1775839A (en) Rainwater penetrating-discharging integrated ecological system
JP2009235884A (en) Outflow restraining drain port for road
CN110453565A (en) A kind of roadway rainwater collection system in sponge city
KR20180071063A (en) Water catchment type water permeable block
KR101435373B1 (en) Permeatable rain storage block
KR101292813B1 (en) Rainwater management system and rainwater management method for sidewalk
KR101008421B1 (en)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an invisible distributing pipe and a drainage hole for cleaning
KR102089235B1 (en) Multifunctional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structure
KR100864236B1 (en) Interspace block of a water permeability
KR20090077320A (en) A rain water storing structure adapted to water permeability pavement material
KR101380776B1 (en) A Monolithic street tree box with side gutter
KR20120006715A (en) Easily draining gutter for clean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and method for recycling rainwater
CN210561536U (en) Anti-blocking water-permeable sidewalk
CN210065466U (en) Runoff pollution control ecological filter ditch
CN218756840U (en) Road drainage system
KR101928854B1 (en) Compact type street inlet having function of purifying non-point pollution
KR102576235B1 (en) Underground penetration type concret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of
KR102373102B1 (en) Hybrid rain water collection unit
WO2012032391A1 (en) A drainage system
CN212833105U (en) Rainwater purifies retrieval and utilization ecological green way structure
CN211368960U (en) Sponge city construction has rainwater well of supply groundwater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