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253B1 - Double clutch actuator - Google Patents
Double clutch actu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4253B1 KR101284253B1 KR1020120123014A KR20120123014A KR101284253B1 KR 101284253 B1 KR101284253 B1 KR 101284253B1 KR 1020120123014 A KR1020120123014 A KR 1020120123014A KR 20120123014 A KR20120123014 A KR 20120123014A KR 101284253 B1 KR101284253 B1 KR 1012842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b
- driving cam
- circumferential surface
- motor shaft
- c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385—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double clutches, i.e. comprising two friction disc mounted on one driven shaf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 F16H63/304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comprisin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023/123—Clutch actuation by cams, ramps or ball-screw mechanism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두 개의 클러치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clutch actu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clutch actuator for independently operating two clutches by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two motors.
차량에 있어서의 친환경 기술은 미래 자동차 산업의 생존이 달린 핵심 기술로서, 자동차 메이커들은 환경 및 연비 규제를 달성하기 위한 친환경 자동차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상기 친환경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는 변속기로서 더블 클러치 변속기(Double Clutch Transmission 혹은 Dual Clutch Transmission; DCT)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DCT는 수동 변속기 구조에 2개의 클러치를 적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Green technology in vehicles is a key technology for the future of the automotive industry, and automakers are focusing on developing green vehicles to achieve environmental and fuel efficiency regulations. In addition, research on a double clutch transmission (Double Clutch Transmission or Dual Clutch Transmission; DCT) as a transmiss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eco-friendly vehicl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DCT applies two clutches to the manual transmission structure to increase efficiency and improve convenience.
즉, 상기 DCT는 2개의 클러치를 사용하여 홀수단 및 짝수단을 번갈아 작동시키면서 변속이 이루어지는 변속기로서, 홀수단 및 짝수단을 번갈아 작동시키는 매커니즘은 기존 MT(수동변속기)가 갖고 있는 변속시 토크 단절감을 개선할 수 있고, 변속 조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That is, the DCT is a transmission in which a shift is performed while alternately operating the hole means and the pair means by using two clutches, and the mechanism for alternately operating the hole means and the pair means reduces torque disconnection at the shift of the existing MT (manual transmission). It can be improved, and the shift operation is easy.
이러한 DCT에는 2개의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가 구비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각각의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두 개의 모터와, 상기 모터들의 회전운동을 축방향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운동 변환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그러나, DCT에서 각각의 모터를 위한 운동 변환 메커니즘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아야 하므로 액츄에이터의 전장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This DCT is equipped with an actuator for operating the two clutches. The actuator includes two motors for operating each clutch and a motion conversion mechanism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s into axial linear motion. However, since the motion conversion mechanisms for each motor in the DCT should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length of the actuator is lo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모터들의 회전 운동을 축방향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운동 변환 메커니즘을 최적으로 배치하여 전장을 줄일 수 있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timally arrange a motion conversion mechanism for converting rotational motion of motors into axial linear motion,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length. To provide a double clutch actuat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크 증배 작용을 통하여 확실한 작동력을 클러치들에 제공할 수 있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 clutch actuator capable of providing a certain actuation force to the clutches through a torque multiplication action.
더 나아가, 기존에 독립적으로 사용하던 2개의 액츄에이터를 하나의 모듈로 합침으로써 공간을 절약하고, 원가를 절감하며,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 clutch actuator that can save space, reduce cost, and simplify the structure by combining two actuators that have been independently used in one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2장착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여 장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돌출된 커버 허브가 중앙부에 형성된 커버; 상기 제1장착홀에 삽입되며 끝단부에 제1모터축 기어가 형성된 제1모터축을 구비하며 전기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모터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1모터축 기어에 치합되는 제1허브 기어가 형성된 제1허브 연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모터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허브; 상기 제1허브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허브와 함께 회전하며, 일면에 제1구동캠 면이 형성된 제1구동캠; 상기 제1구동캠 면에 대응하는 제1피동캠 면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구동캠 면과 상기 제1피동캠 면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 운동을 축방향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타면에 제1릴리스 베어링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어 제1릴리스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밀도록 되어 있는 제1피동캠; 상기 제2장착홀에 삽입되며 끝단부에 제2모터축 기어가 형성된 제2모터축을 구비하며 전기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모터축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2모터축 기어에 치합되는 제2허브 기어가 형성된 제2허브 연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모터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1허브의 외주면 상에 장착되는 제2허브; 상기 제2허브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허브와 함께 회전하며, 일면에 제2구동캠 면이 형성된 제2구동캠; 그리고 상기 제2구동캠 면에 대응하는 제2피동캠 면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구동캠 면과 상기 제2피동캠 면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 운동을 축방향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타면에 제2릴리스 베어링이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제2릴리스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밀도록 되어 있는 제2피동캠;을 포함할 수 있다. Double clutch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shape, the housing having first and second mounti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to form a mounting space and having a cover hub protruding axially toward the housing; A first motor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ing hole and having a first motor shaft formed at a distal end thereof and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to rotate the first motor shaft; A first hub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first hub extension formed with a first hub gear engaged with the first motor shaft gear, the first hub rotating by rotation of the first motor shaft; A first driving cam moun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hub and having a first driving cam surfac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first driven ca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cam surface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rotational motion is converted into an axial linear motion by the action of the first driving cam surface and the first driven cam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A first driven cam at which the first release bearing is moun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push the first release bearing in an axial direction; A second motor inserted into the second mounting hole, the second motor shaft having a second motor shaft gear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configured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to rotate the second motor shaft; A second hub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second hub extension formed with a second hub gear engaged with the second motor shaft gear, rotating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motor shaft, and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 A second driving cam moun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ub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hub and having a second driving cam surfac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driven ca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cam surface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into an axial linear motion by the action of the second driving cam surface and the second driven cam surface, And a second driven cam mounted to the other surface to selectively push the second release bearing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제1,2허브 연장부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hub extensions may have a fan shape.
상기 제1,2허브 연장부는 축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hub extens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2구동캠, 제2피동캠의 내주면과 상기 제1허브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인너 허브;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2구동캠, 제2피동캠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아우터 허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ouble clutch actuator may include an inner hub dis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cam and the second driven cam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And an outer hub dispos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cam and the second driven cam.
상기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피동캠에 결합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제1릴리스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밀도록 되어 있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ouble clutch actuator may further comprise a holder coupled to the first driven cam and selectively adapted to axially push the first release bearing.
상기 홀더는 내주면에서 커버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1핑거; 그리고 외주면에서 상기 제1핑거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2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fingers protruding in an axial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ward the cover; And a plurality of second fingers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finger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커버 허브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핑거가 안착되는 복수개의 커버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ver slots on which the first finger is seated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hub.
상기 제2릴리스 베어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핑거가 안착되는 복수개의 핑거홈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nger grooves on which the second finger is seated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lease bearing.
상기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상기 커버 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제1구동캠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된 제1부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ouble clutch actuato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ushing disposed betwee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hub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cam.
상기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제2허브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된 제2부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ouble clutch actu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ushing disposed betwee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ub.
상기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1구동캠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된 제1베어링 및 제1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ouble clutch actuato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earing and a first was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hub and the first driving cam and the cover.
상기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2허브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된 제2베어링 및 제2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ouble clutch actu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earing and a second wash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hub and the cover.
상기 제2와셔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asher may protrude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housing and be coupled to the housing.
상기 제2허브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2허브 연장부가 결합되는 제2허브 몸체; 상기 제2허브 몸체에서 반경 내측으로 절곡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반경 내측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허브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hub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second hub body to which the second hub extension is coupled; A connecting portion bent radially inward from the second hub body; And a second hub protrusio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radially inn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제1,2모터축 기어는 스퍼 기어이며, 상기 제1,2허브 기어는 페이셜 기어(facial gear)일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motor shaft gears may be spur gears, and the first and second hub gears may be facial gears.
상기 제1,2구동캠 면 및 상기 제1,2피동캠 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am surfaces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surfaces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제2구동캠 및 제2피동캠은 상기 제1허브의 외주면 상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cam and the second driven cam may be mounted directly or indirect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구동캠 면과 상기 제1피동캠 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이 개재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ball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driving cam surface and the first driven cam surface.
또한, 제2구동캠 면과 제2피동캠 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이 개재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ball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driving cam surface and the second driven cam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최적으로 배치하여 전장이 줄어들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ouble clutch actuator are optimally dispos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length.
또한, 제1,2모터의 회전운동을 제1,2릴리스 베어링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토크를 증가시켜 작은 용량의 제1,2모터를 사용하더라도 제1,2릴리스 베어링에 충분한 작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tors into the linear mo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bearings, the torque is increased to provide sufficient operating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bearings even when the first and second motors of small capacity are used. Can provide.
더 나아가, 기존에 독립적으로 사용하던 2개의 액츄에이터를 하나의 모듈로 합침으로써 공간을 절약하고, 원가를 절감하며,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다. Furthermore, combining two previously used actuators into one module can save space, reduce costs, and simplify th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토크 증배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clutch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double clutch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torque multiplication oper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uble clutch actu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어 더블 클러치 변속기(Double Clutch Transmission; DCT)에 사용될 수 있다. 더블 클러치 변속기는 두 개의 입력축에 복수개의 입력 기어들이 분산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입력 기어들과 각각 기어 결합하는 복수개의 출력 기어들이 두 개의 출력축에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더블 클러치 변속기는 복수개의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싱크로나이저 기구는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복수개의 출력 기어들 중 하나와 두 개의 출력축 중 하나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더블 클러치 변속기는 두 개의 클러치를 포함한다. 상기 각 클러치는 동력원(예를 들어, 엔진 또는 모터)의 동력을 두 개의 입력축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로 건식 또는 습식 클러치가 사용될 수 있다. The double clutch actu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example, in a double clutch transmission (DCT). In the double clutch transmission, a plurality of input gears are distributed on two input shafts, and a plurality of output gears that are gear-coupled with the plurality of input gears are distributed on two output shafts. The double clutch transmission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synchronizer mechanisms, wherein the plurality of synchronizer mechanisms are selectively operated to connect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gears to one of the two output shafts. The double clutch transmission also includes two clutches. Each said clutch is adapted to transmit the power of a power source (eg engine or motor) to either of the two input shafts. As the clutch, a dry or wet clutch can be us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러치액츄에이터(10)는 두 개의 클러치 중 하나(이하, '제1클러치'라고 한다)를 작동시키도록 된 제1릴리스 베어링(140)과 두 개의 클러치 중 다른 하나(이하, '제2클러치'라고 한다)를 작동시키도록 된 제2릴리스 베어링(150)을 포함한다. 상기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10)가 제1릴리스 베어링(140)을 축방향으로 밀면, 상기 제1릴리스 베어링(140)은 제1클러치의 작동 플레이트와 마찰 디스크를 접촉시켜 동력원의 동력을 하나의 입력축(이하, '제1입력축'이라 한다)에 전달한다. 상기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10)가 제2릴리스 베어링(150)을 축방향으로 밀면, 상기 제2릴리스 베어링(150)은 제2클러치의 작동 플레이트와 마찰 디스크를 접촉시켜 동력원의 동력을 다른 하나의 입력축(이하, '제2입력축'이라 한다)에 전달한다. 상기 제1릴리스 베어링(140)과 상기 제2릴리스 베어링(150)은 교대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릴리스 베어링(140)은 홀수단에서 작동하고 상기 제2릴리스 베어링(150)은 짝수단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10)는 하우징(12), 커버(20), 제1모터(30), 제1허브(40), 제1구동캠(50), 제1피동캠(60), 홀더(160), 제2모터(90), 제2허브(100), 제2구동캠(110) 및 제2피동캠(130)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상기 하우징(12)은 원통 형상이며, 양면이 개구되어 있다. 하우징(12)의 일면 개구부에는 제1,2릴리스 베어링(140, 150)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하우징(12)의 타면 개구부에는 커버(20)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과 커버(20)는 예를 들어 볼트(23)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2)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 및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2장착홀(14, 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예를 들어 볼트(18)를 통하여 더블 클러치 변속기에 고정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2릴리스 베어링(140, 150)은 서로의 움직임이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릴리스 베어링(140)의 직경이 제2릴리스 베어링(15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릴리스 베어링(150)이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핑거홈(152)이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and
더 나아가, 상기 제1,2릴리스 베어링(140, 150)은 일반적인 베어링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릴리스 베어링(140)은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한 제1,2륜(142, 144)과, 상기 제1,2륜(142, 144)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을 포함하며, 제2릴리스 베어링(150)은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한 제1,2륜(152, 154)과, 상기 제1,2륜(152, 154)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rst and
또한, 상기 제1,2릴리스 베어링(140, 150)은 각각 리턴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항시 도면에서 우측으로 밀리도록 되어 있다. Further, the first and
상기 커버(20)는 중앙부에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기 홀의 주위에는 상기 하우징(12)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돌출된 커버 허브(22)가 형성되어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는 상기 하우징(12)과 결합함으로써 내부에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10)의 구성 부품들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커버(20)의 도면에서의 아랫부분(21)은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20)의 도면에서의 윗부분은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아니하다. 커버(20)의 도면에서의 윗부분은 제1,2모터(30, 90)가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커버(20)와 제1,2모터(30, 9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아니하고, 커버(20)의 도면에서의 아랫부분(21)은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허브(100)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 허브(22)의 내주면(24)의 일단부에는 복수개의 커버 슬롯(26)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The
또한 상기 커버(20)에는 위치 결정을 위한 다울핀(25)이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제1모터(30)는 제1모터축(34)을 포함하며, 전기 동력 및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모터축(34)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모터(30)로 사용될 수 있는 모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제1모터(30)에는 제1커넥터(32)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모터축(34)의 끝단부에는 제1모터축 기어(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모터축(34)은 상기 제1장착홀(14)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제1모터축(34)이 장착된 제1장착홀(14)은 제1캡(33)에 의하여 막히게 되며, 제1캡(33)과 제1모터축(34) 사이에는 씰링부재(35)가 개재되어 내부의 그리스 등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캡(33)은 볼트(B)에 의하여 하우징(1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모터축(34)과 제1장착홀(14) 사이에는 베어링(37)이 개재되어 상기 제1모터축(3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제1모터축 기어(36)는 스퍼기어일 수 있다. The
제1허브(40)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커버 허브(22)의 반경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허브(40)의 외주면에는 제1허브 연장부(44)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허브 연장부(44)의 외주부에는 상기 제1모터축 기어(36)와 치합하는 제1허브 기어(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허브 연장부(44)는 상기 제1허브(40)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허브(100), 제2구동캠(110) 및 제2피동캠(13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허브 연장부(44)는 설정된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허브 기어(46)는 페이셜 기어(facial gear)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모터축(34)이 회전하면 상기 제1허브(40)는 축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제1모터축 기어(36)의 기어치 개수와 제1허브 기어(46)의 기어치 개수의 비만큼 토크 증배가 이루어진다. The
한편, 상기 제1허브 연장부(44)는 상기 제1허브(40)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제1허브 연장부(44)는 상기 제1허브(40)에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제1구동캠(50)은 상기 제1허브(40)의 내주면(42)에 장착되어 상기 제1허브(40)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구동캠(50)은 상기 제1허브(40)의 내주면(42)에 압입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캠(50)의 일면(도면에서 좌측)에는 제1구동캠 면(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구동캠 면(52)은 원주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달라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구동캠 면(52)은 원주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일정하게 증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구동캠 면(52)을 형성하는 돌출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한편, 상기 제1허브(40)와 제1구동캠(50)은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토크로 회전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으로부터 제1허브 기어(46)까지의 거리를 r1이라 하고 중심축으로부터 제1구동캠 면(52)까지의 거리를 r2라고 하면, F1*r1 = F2*r2의 관계가 성립된다. 여기서, F1은 제1허브 기어(46)에서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의미하고, F2는 제1구동캠 면(52)에서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1구동캠 면(52)에서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증배되게 된다. 즉, 제1모터축 기어(36)와 제1허브 기어(46)의 구조에 의하여 토크가 증배되고, 제1허브(40)와 제1구동캠(50)의 구조에 의하여 힘이 증배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제1피동캠(60)은 상기 제1허브(40)의 내주면(42)에 상대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피동캠(60)의 일면(상기 제1구동캠(50)을 마주보는 일면)에는 제1구동캠 면(52)에 대응하는 제1피동캠 면(6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구동캠(50)이 회전하는 경우 제1구동캠 면(52)과 제1피동캠 면(62)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1피동캠(60)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웨지 효과(wedge effect)에 의하여 힘이 증배되게 된다. The first driven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구동캠 면(52)과 제1피동캠 면(6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55)을 개재하여 베어링 작용을 하게 함으로써 캠 면(52, 62)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6,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aring action is provided between at least one
홀더(160)는 환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릴리스 베어링(140)을 축방향으로 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홀더(160)의 일면은 상기 제1피동캠(6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160)의 타면은 상기 제1릴리스 베어링(140)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피동캠(60)이 축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홀더(160)는 상기 제1피동캠(60)과 함께 축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제1릴리스 베어링(140)을 축방향으로 밀게 된다. The
상기 홀더(160)는 복수개의 제1핑거(162)와 복수개의 제2핑거(16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핑거(162)는 상기 홀더(160)의 내주면에서 축방향 일측으로(도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커버 슬롯(26)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제2핑거(164)는 상기 홀더(160)의 외주면에서 축방향 타측으로(도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핑거홈(152)에 안착된다. 상기 홀더(160)는 커버 슬롯(26)에 안착된 상기 제1핑거(162)에 의하여 상기 제1구동캠(50)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피동캠(60)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피동캠(60)은 직선 운동만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홀더(160)는 핑거홈(152)에 안착된 제2핑거(164)에 의하여 제2구동캠(110)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2피동캠(130)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에 의하여, 제2피동캠(130)은 직선 운동만 가능하다. The
상기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10)는 상기 제1구동캠(5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제1구동캠(50)의 내주면과 상기 커버 허브(22)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된 제1부싱(70)과, 제1허브(40)와 상기 제1구동캠(50)의 원활한 회전 및 축방향 지지를 위하여 상기 제1허브(40) 및 상기 제1구동캠(50)과 상기 커버(20) 사이에 개재된 제1와셔(72) 및 제1베어링(74)을 더 포함한다. The double
또한, 그리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피동캠(60)의 내주면과 상기 커버 허브(22)의 외주면 사이에는 씰링부재(66)가 장착되며, 상기 제1피동캠(60)의 외주면과 상기 제1허브(40)의 내주면(42) 사이에도 역시 씰링부재(64)가 장착된다. In addition, a sealing
제2모터(90)는 제2모터축(94)을 포함하며, 전기동력 및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모터축(94)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2모터(90)로 사용될 수 있는 모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제2모터(90)에는 제2커넥터(92)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모터축(94)의 끝단부에는 제2모터축 기어(9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모터축(94)은 상기 제2장착홀(16)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제2모터축(94)이 장착된 제2장착홀(16)은 제2캡(93)에 의하여 막히게 되며, 제2캡(93)과 제2모터축(94) 사이에는 씰링부재(95)가 개재되어 내부의 그리스 등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캡(93)은 볼트(B)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2)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모터축(94)과 제2장착홀(16) 사이에는 베어링(97)이 개재되어 상기 제2모터축(9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제2모터축 기어(96)는 스퍼기어일 수 있다. The
제2허브(100)는 상기 제1허브(40)의 반경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허브(100)의 외주면에는 제2허브 연장부(106)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허브 연장부(106)의 외주부에는 상기 제2모터축 기어(96)와 치합하는 제2허브 기어(10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허브 연장부(106)는 상기 제2허브(100)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설정된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제1허브 기어(108)는 페이셜 기어(facial gear)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모터축(94)이 회전하면 상기 제2허브(100)는 축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제2모터축 기어(96)의 기어치 개수와 제2허브 기어(108)의 기어치 개수의 비만큼 토크 증배가 이루어진다. The
한편, 상기 제2허브 연장부(106)는 상기 제1허브 연장부(44)와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제1모터(30) 또는 제2모터(90)의 작동에 의하여 제1허브(40) 또는 제2허브(10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허브 연장부(44)와 상기 제2허브 연장부(106)가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어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또한, 상기 제2허브(100)는 제2허브 몸체(102), 연결부(103) 그리고 제2허브 돌출부(104)를 포함한다. 상기 제2허브 몸체(102)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2허브 연장부(106)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허브 연장부(106)는 상기 제2허브 몸체(102)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제2허브 연장부(106)는 상기 제2허브 몸체(102)에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연결부(103)는 상기 제2허브 몸체(102)의 일단에서 반경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제2허브 돌출부(104)는 상기 연결부(103)의 반경 내측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허브 돌출부(104)는 상기 연결부(103)를 기준으로 축방향으로 일측(도면에서 오른쪽) 및 타측(도면에서 왼쪽)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일측으로 연장된 제2허브 돌출부(104)는 제2베어링(124) 및 제2와셔(126)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타측으로 연장된 제2허브 돌출부(104)는 제2구동캠(110)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제2허브(1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제1허브(40)의 외주면과 상기 제2허브 돌출부(104)의 내주면 사이에는 제2부싱(120)이 개재되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2허브 돌출부(104)와 이웃하여 인너 허브(80)가 상기 제1허브(40)의 외주면 상에 장착된다. 상기 인너 허브(80)는 상기 제2구동캠(110) 및 제2피동캠(130)을 그 외주면 상에 지지하여 상기 제1허브(40)의 회전 운동이 제2구동캠(110) 및 제2피동캠(130)의 움직임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인너 허브(80)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인너 허브 홈(8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너 허브 홈(81)에는 씰링부재(83)가 장착되어 그리스 등의 누출을 막는다. 또한, 상기 인너 허브(80)는 제2피동캠(130)에 압입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제2구동캠(110)은 상기 제2허브 몸체(102)의 내주면 및 상기 연결부(103)의 타면(42)에 장착되어 상기 제2허브(100)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2구동캠(110)은 상기 제2허브 몸체(102)의 내주면 및 상기 연결부(103)에 압입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캠(110)의 일면(도면에서 좌측)에는 제2구동캠 면(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구동캠 면(112)은 원주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달라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구동캠 면(112)은 원주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일정하게 증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구동캠 면(112)을 형성하는 돌출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한편, 상기 제2허브(100)와 제2구동캠(110)은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토크로 회전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으로부터 제2허브 기어(108)까지의 거리를 r3라 하고 중심축으로부터 제2구동캠 면(112)까지의 거리를 r4라고 하면, F3*r3 = F4*r4의 관계가 성립된다. 여기서, F3은 제2허브 기어(108)에서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의미하고, F4는 제2구동캠 면(112)에서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2구동캠 면(112)에서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증배되게 된다. 즉, 제2모터축 기어(96)와 제2허브 기어(108)의 구조에 의하여 토크가 증배되고, 제2허브(100)와 제2구동캠(110)의 구조에 의하여 힘이 증배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제2피동캠(130)은 상기 제2허브 몸체(102)의 내주면에 상대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피동캠(130)의 일면(상기 제2구동캠(110)을 마주보는 일면)에는 제2구동캠 면(112)에 대응하는 제2피동캠 면(1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구동캠(110)이 회전하는 경우 제2구동캠 면(112)과 제2피동캠 면(132)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2피동캠(130)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웨지 효과(wedge effect)에 의하여 힘이 증배되게 된다.The second driven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구동캠 면(112)과 제2피동캠 면(13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115)을 개재하여 베어링 작용을 하게 함으로써 캠 면(112, 132)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6,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ring acts through at least one
또한, 상기 제2피동캠(130)은 제2릴리스 베어링(150)의 제2륜(154)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2피동캠(13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릴리스 베어링(150)도 축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이 때, 제2릴리스 베어링(150)의 제1륜(152)은 제2클러치와 함께 회전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릴리스 베어링(150)의 제2륜(154)에 구비된 핑거홈(152)에 안착된 제2핑거(164)에 의하여 제2구동캠(110)의 회전에 따른 제2피동캠(130)의 회전 역시 방지된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driven
한편, 상기 제2피동캠(130)과 상기 제2릴리스 베어링(150)의 원활한 축방향 회전을 위하여 상기 제2피동캠(130) 및 상기 제2릴리스 베어링(150)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12)의 내주면 사이에는 아우터 허브(8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허브(82)의 외주면에는 아우터 허브 홈(84)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우터 허브 홈(84)에는 씰링부재(86)가 장착되어 그리스 등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아우터 허브(82)도 제2피동캠(130)에 압입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2피동캠(130)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즉, 제2피동캠(130), 인너 허브(80), 아우터 허브(82) 및 제2릴리스 베어링(150)의 제2륜(154)는 일체로 결합되어 제2피동캠(130)과 함께 직선 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Meanwhil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iven
상기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10)는 제2허브(100)의 원활한 회전 및 축방향 지지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103)의 일면에 장착된 제2와셔(126) 및 제2베어링(124)을 더 포함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와셔(126)와 제2베어링(124)의 도면에서 아랫부분은 축방향으로 돌출된 커버(20)의 돌출부(21)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 제2와셔(126)와 제2베어링(124)의 도면에서 윗부분은 커버(20)에 의하여 지지되지 못한다. 이에, 상기 제2와셔(126)의 외주면 일부에는 상기 하우징(12)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128)는 상기 하우징(12)에 볼트 등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제2허브(100)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The doub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10)의 작동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ouble
제1모터(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1모터축(34)이 회전하며 서로 기어 결합된 상기 제1모터축 기어(36)와 제1허브 기어(46)에 의하여 제1허브(40)가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허브(40)에 결합된 제1구동캠(50)이 회전하며 제1피동캠(60)을 축방향으로 밀게 되면, 제1피동캠(60)이 홀더(160)를 통하여 제1릴리스 베어링(140)을 축방향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제1릴리스 베어링(140)에 의하여 제1클러치가 작동하여 동력원의 동력이 제1입력축에 전달된다. 이 경우, 상기 홀더(160)의 제1핑거(162)가 커버 슬롯(26)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홀더(160) 및 제1피동캠(60)의 회전은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2허브(110)와 제1허브(40) 사이에는 제2부싱(120)이 개재되고 상기 제2구동캠(110) 및 제2피동캠(130)과 제1허브(40) 사이에는 인너 허브(80)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제1허브(40)의 회전은 제2허브(110) 및 제2구동캠(110), 제2피동캠(130)의 움직임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제2모터(9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2모터축(94)이 회전하며 서로 기어 결합된 상기 제2모터축 기어(96)와 제2허브 기어(108)에 의하여 제2허브(100)가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2허브(100)에 결합된 제2구동캠(110)이 회전하며 제2피동캠(130)을 축방향으로 밀게 되면, 제2피동캠(130)에 결합된 제2릴리스 베어링(150)도 축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제2릴리스 베어링(150)에 의하여 제2클러치가 작동하여 동력원의 동력이 제2입력축에 전달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홀더(160)의 제2핑거(164)가 핑거홈(152)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제1홀더(160) 및 제2피동캠(130)의 회전은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2릴리스 베어링(150)과 제2피동캠(130)과 하우징(12) 사이에는 아우터 허브(82)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제2릴리스 베어링(150)과 제2피동캠(130)의 움직임은 하우징(12)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한편, 제1,2모터(30, 90)에 인가되는 모터의 전원이 없어지면, 제1,2클러치에 구비된 리턴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제1,2릴리스 베어링(140, 150)은 각각 원래의 위치(도면에서 우측)로 복귀한다. 이에 의하여, 제1,2피동캠(60, 130)도 우측으로 밀리며 각각 제1,2구동캠(50, 110)을 회전시킨다. 이 때, 제1,2모터(30, 90)는 작동되지 않으므로(즉, 전기에 의하여 회전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제1,2구동캠(50, 110)은 큰 저항 없이 작동 전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제1,2클러치는 해제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motors applied to the first and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Claims (19)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여 장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돌출된 커버 허브가 중앙부에 형성된 커버;
상기 제1장착홀에 삽입되며 끝단부에 제1모터축 기어가 형성된 제1모터축을 구비하며 전기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모터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1모터축 기어에 치합되는 제1허브 기어가 형성된 제1허브 연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모터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허브;
상기 제1허브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허브와 함께 회전하며, 일면에 제1구동캠 면이 형성된 제1구동캠;
상기 제1구동캠 면에 대응하는 제1피동캠 면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구동캠 면과 상기 제1피동캠 면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 운동을 축방향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타면에 제1릴리스 베어링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어 제1릴리스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밀도록 되어 있는 제1피동캠;
상기 제2장착홀에 삽입되며 끝단부에 제2모터축 기어가 형성된 제2모터축을 구비하며 전기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모터축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2모터축 기어에 치합되는 제2허브 기어가 형성된 제2허브 연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모터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1허브의 외주면 상에 장착되는 제2허브;
상기 제2허브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허브와 함께 회전하며, 일면에 제2구동캠 면이 형성된 제2구동캠; 그리고
상기 제2구동캠 면에 대응하는 제2피동캠 면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구동캠 면과 상기 제2피동캠 면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 운동을 축방향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타면에 제2릴리스 베어링이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제2릴리스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밀도록 되어 있는 제2피동캠;
을 포함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A housing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mounti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to form a mounting space and having a cover hub protruding axially toward the housing;
A first motor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ing hole and having a first motor shaft formed at a distal end thereof and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to rotate the first motor shaft;
A first hub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first hub extension formed with a first hub gear engaged with the first motor shaft gear, the first hub rotating by rotation of the first motor shaft;
A first driving cam moun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hub and having a first driving cam surfac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first driven ca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cam surface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rotational motion is converted into an axial linear motion by the action of the first driving cam surface and the first driven cam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A first driven cam at which the first release bearing is moun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push the first release bearing in an axial direction;
A second motor inserted into the second mounting hole, the second motor shaft having a second motor shaft gear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configured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to rotate the second motor shaft;
A second hub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second hub extension formed with a second hub gear engaged with the second motor shaft gear, rotating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motor shaft, and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
A second driving cam moun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ub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hub and having a second driving cam surfac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driven ca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cam surface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rotational motion is converted into an axial linear motion by the action of the second driving cam surface and the second driven cam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A second driven cam mounted to the second release bearing to selectively push the second release bearing in the axial direction;
Double clutch actuator comprising a.
상기 제1,2허브 연장부는 부채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hub extension portion is a double clutch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an shape.
상기 제1,2허브 연장부는 축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irst and second hub exten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제2구동캠, 제2피동캠의 내주면과 상기 제1허브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인너 허브;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2구동캠, 제2피동캠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아우터 허브;
를 더 포함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An inner hub dis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cam and the second driven cam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And
An outer hub dispos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cam and the second driven cam;
Double clutch actuator further comprising.
상기 제1피동캠에 결합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제1릴리스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밀도록 되어 있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And a holder coupled to the first driven cam and selectively adapted to axially push the first release bearing.
상기 홀더는
내주면에서 커버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1핑거; 그리고
외주면에서 상기 제1핑거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2핑거;
를 포함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5,
The holder
A plurality of first fingers protruding in an axial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ward the cover; And
A plurality of second fingers protruding in an opposite direction from the first finger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Double clutch actuator comprising a.
상기 커버 허브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핑거가 안착되는 복수개의 커버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double clutch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hub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ver slots on which the first finger is seated.
상기 제2릴리스 베어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핑거가 안착되는 복수개의 핑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double clutch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nger grooves on which the second finger is seate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lease bearing.
상기 커버 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제1구동캠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된 제1부싱을 더 포함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And a first bushing disposed betwee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hub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cam.
상기 제1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제2허브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된 제2부싱을 더 포함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second bushing disposed betwee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ub.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1구동캠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된 제1베어링 및 제1와셔를 더 포함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And a first bearing and a first was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hub and the first driving cam and the cover.
상기 제2허브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된 제2베어링 및 제2와셔를 더 포함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1,
The double clutch actuator further comprises a second bearing and a second wash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hub and the cover.
상기 제2와셔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2,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asher protrudes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housing and is coupled to the housing.
상기 제2허브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2허브 연장부가 결합되는 제2허브 몸체;
상기 제2허브 몸체에서 반경 내측으로 절곡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반경 내측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허브 돌출부;
를 포함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hub is
A second hub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the second hub extension coupled thereto;
A connecting portion bent radially inward from the second hub body; And
A second hub protrusion extending axially from a radially inn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Double clutch actuator comprising a.
상기 제1,2모터축 기어는 스퍼 기어이며, 상기 제1,2허브 기어는 페이셜 기어(facial ge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and second motor shaft gears are spur gears, and the first and second hub gears are facial gears.
상기 제1,2구동캠 면 및 상기 제1,2피동캠 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달라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am surfaces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surface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구동캠 면과 상기 제1피동캠 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ball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driving cam surface and the first driven cam surface.
제2구동캠 면과 상기 제2피동캠 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ball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driving cam surface and the second driven cam surface.
상기 제2구동캠 및 제2피동캠은 상기 제1허브의 외주면 상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econd driving cam and the second driven cam are mounted directly or indirectly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3014A KR101284253B1 (en) | 2012-11-01 | 2012-11-01 | Double clutch actu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3014A KR101284253B1 (en) | 2012-11-01 | 2012-11-01 | Double clutch actu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4253B1 true KR101284253B1 (en) | 2013-07-09 |
Family
ID=4899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3014A KR101284253B1 (en) | 2012-11-01 | 2012-11-01 | Double clutch actu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425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3927A (en) * | 2014-05-20 | 2015-12-01 | 씨스톤 테크놀로지스(주) | Compact double clutch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0015971A1 (en) | 1998-09-15 | 2000-03-23 | Daimlerchrysler Corporation | Dual clutch design for an electro-mechanical 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a dual input shaft |
KR20100126669A (en) * | 2008-03-06 | 2010-12-02 |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 Actuating arrangement for shift elements of a transmission |
JP4904370B2 (en) * | 2006-02-22 | 2012-03-28 |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Double clutch for double clutch transmission |
-
2012
- 2012-11-01 KR KR1020120123014A patent/KR10128425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0015971A1 (en) | 1998-09-15 | 2000-03-23 | Daimlerchrysler Corporation | Dual clutch design for an electro-mechanical 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a dual input shaft |
JP4904370B2 (en) * | 2006-02-22 | 2012-03-28 |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Double clutch for double clutch transmission |
KR20100126669A (en) * | 2008-03-06 | 2010-12-02 |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 Actuating arrangement for shift elements of a transmissi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3927A (en) * | 2014-05-20 | 2015-12-01 | 씨스톤 테크놀로지스(주) | Compact double clutch |
KR101588410B1 (en) | 2014-05-20 | 2016-01-26 | 씨스톤 테크놀로지스(주) | Compact double clutch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44499B2 (en) | Automatic clutch device | |
US9964160B2 (en) | Actuator mechanism for transfer case | |
WO2013176107A1 (en) | Vehicle motor drive apparatus | |
US10994609B2 (en) | Actuation system having face cam mechanism operated by a planetary gear set | |
CN109661526B (en) | Compact dual clutch mechanism and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such a dual clutch mechanism | |
KR102284192B1 (en) | Double clutch assembly for electric drive device for vehicles and electric drive device including same | |
JP5946285B2 (en) | Power transmission device | |
KR102297197B1 (en) | Double clutch assembly for electric drive device for vehicles and electric drive device including same | |
KR101284253B1 (en) | Double clutch actuator | |
EP2977633B1 (en) | Engagement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 |
US11130402B2 (en) | Drive gear including integrated target pattern | |
EP1350657B1 (en) | Power switching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two-wheel and four-wheel drive states | |
KR102284191B1 (en) | Mechanism for rotational speed reduction for electric drive device for vehicles and electric drive device including same | |
EP4253799A1 (en) | Electric driving device for vehicle | |
KR102284201B1 (en) | Double clutch assembly for electric drive device for vehicles and electric drive device including same | |
KR101909223B1 (en) | Actuator for dual clutch and dual clutch including the same | |
KR102284199B1 (en) | Double clutch assembly for electric drive device for vehicles and electric drive device including same | |
EP1350660B1 (en) | Power switching apparatus | |
KR102284200B1 (en) | Double clutch assembly for electric drive device for vehicles and electric drive device including same | |
US7032732B2 (en) | Two-way clutch | |
US20130092498A1 (en) | Electromagnetic clutch | |
JP2018021575A (en) | Electric parking brake device | |
CN112728074A (en) | Gear shift mechanism | |
JP5021521B2 (en) | Brake device and motor with reduction mechanism | |
KR102492287B1 (en) | Two way clu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