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608B1 -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608B1
KR101283608B1 KR1020110087099A KR20110087099A KR101283608B1 KR 101283608 B1 KR101283608 B1 KR 101283608B1 KR 1020110087099 A KR1020110087099 A KR 1020110087099A KR 20110087099 A KR20110087099 A KR 20110087099A KR 101283608 B1 KR101283608 B1 KR 10128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line
frame
rod
trolley
vehicl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969A (ko
Inventor
유병권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7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60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6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송라인의 바닥면 아래에 상판으로 덮여진 도크에 매입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상판 및 대차에 형성된 홈을 관통하여 차체를 안착시키는 복수의 지지구와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주를 구비하는 승강부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길이 신축하는 로드를 구비하는 실린더부와, 상기 지주 및 로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부에 의해 접고 펼쳐지며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링크 및 상기 지주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반송라인에서 차체를 내려 대차에 싣거나 각 조립공정에서 조립이 끝난 차체를 대차에서 들어 반송라인으로 다시 이송시킬 수 있고, 대차를 작업자의 능률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높이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고, 종래처럼 대차가 높을 경우 발생했던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예방되며, 또 대차록킹부가 반송라인에서 차체를 내려 대차에 실을 때, 대차를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함으로써, 차체의 적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출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car body lifting device of return line}
본 발명은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송라인에 들려 이송된 차체를 대차에 내려놓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등을 생산하는 제조공장에는 차체를 반송하는 반송라인을 설치되고, 반송라인에 들려 이송된 차체는 각 조립공정으로 이동하기 위해 대차에 실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차의 높이를 반송라인의 높이에 맞추어 결정하였기 때문에, 대차의 높이가 상당하여 작업자가 대차에 적재된 차체에 부품을 조립하는 것이 난해하였다.
그러므로 이를 모색하기 위해 각 조립공정에는 별도의 작업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는 도리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반복해서 오르고 내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가 필요 없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대차의 높이를 낮추고, 대차의 높이를 낮춘 만큼 차체를 반송라인에서 내려 대차에 실리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송라인에 들려 이송된 차체를 대차에 내려놓기 위한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로서, 반송라인의 바닥면 아래에 상판으로 덮여진 도크에 매입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상판 및 대차에 형성된 홈을 각각 관통하여 차체를 안착시키는 복수의 지지구와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주를 구비하는 승강부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길이 신축하는 로드를 구비하는 실린더부와, 상기 지주 및 로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부에 의해 접고 펼쳐지며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링크와, 상기 지주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지주가 각각 관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주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판에는 상부에 설치되어 대차를 고정하기 위한 대차록킹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차록킹부는 상기 상판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지며 대차의 하부에 끼워지는 걸쇠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길이 신축으로 상기 이동대를 이동시키고 상기 걸쇠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송라인에서 차체를 내려 대차에 싣거나 각 조립공정에서 조립이 끝난 차체를 대차에서 들어 반송라인으로 다시 이송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대차를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조립작업의 능률이 향상되고, 종래처럼 대차가 높을 경우 발생했던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또, 대차록킹부가 반송라인에서 차체를 내려 대차에 실을 때, 대차를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함으로써, 차체의 적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3은 발명에 따른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록킹부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조립라인(10)의 바닥면(20) 아래에 상판(30)으로 덮여진 도크(21)에 매입되도록 프레임(1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는 상부에 상기 상판(30) 및 대차(40)에 형성된 홈(31, 41)을 각각 관통하여 차체를(50) 안착시키는 복수의 지지구(210)와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주(220)를 구비하는 승강부(2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는 각각 서로 대칭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에서 길이 신축하는 로드(320)를 구비하는 실린더부(3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주(220) 및 로드(320) 사이에는 상기 실린더부(300)에 의해 접고 펼쳐지며 상기 승강부(200)를 승강시키는 연결부(40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320)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링크(410)와, 상기 지주(220)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320)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링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는 상기 지주(220)가 각각 관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주(22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11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30)의 상부에는 대차(40)를 고정하기 위한 대차록킹부(500)가 설치된다.
상기 대차록킹부(500)는 상기 상판(30)에 고정되는 본체(510)와, 상기 본체(51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동대(520)와, 상기 이동대(5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지며 대차(40)의 하부에 걸리는 걸쇠(530)와, 상기 본체(5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길이신축으로 상기 이동대(520)를 이동시키고 상기 걸쇠(530)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5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추에이터(540)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송라인(10)에 들려 이송된 차체(50)를 대차(40)에 내려놓을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된 실린더부(300)의 몸체(310)에서 로드(320)가 길이 신장하게 된다.
그리고 로드(320)의 길이 신장에 의해 지주(220) 및 로드(320) 사이에 연결된 연결부(400)는 제1 링크(410)와 제2 링크(420)에 의해 펼쳐지면서 승강부(20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프레임(100)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부(110)는 상부로 이동하는 지주(220)를 이탈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승강부(200)의 상승에 의해 복수의 지지구(210)도 상승하게 되고, 복수의 지지구(210)는 각각 상판(30)과 대차(40)에 형성된 홈(31, 41)을 관통하여 차체(50)의 하부에 안착하게 된다.
따라서 차체(50)의 하부에 복수의 지지구(210)가 안착하게 되면, 반송라인(10)에서 차체(50)는 분리되어 복수의 지지구(210)는 차체(50)를 받들어 지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구(210)가 자체(50)를 받들어 지지하게 되면, 실린더부(300)의 몸체(310)에서 로드(320)는 다시 길이가 수축하게 되고, 로드(320)의 수축에 의해 연결구(400)의 제1, 2 링크(410, 420)는 접어지게 된다.
그리고 연결구(400)의 접힘에 의해 연결구(400)와 지주(220)를 통해 연결된 승강부(200)는 하강하게 되고, 승강부(20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구(210)도 차체(50)를 받들면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지지구(210)가 대차(40)의 홈(41)에서 탈거되면, 차체(50)는 대차(40)의 상부에 적재되고, 이후 복수의 지지구(210) 단부가 상판(30)의 홈(31, 41)에서 각각 탈거되면, 차체(50)를 적재한 대차(40)는 각 조립공정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각 조립공정에서 조립이 끝난 차체(50)를 대차(40)에서 들어 반송라인(10)으로 다시 이송할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작동을 반대로 실시하면 된다.
한편,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30)에 위치한 대차(50)를 대차록킹부(500)로 고정할 경우, 먼저 액추에이터(540)를 작동시켜 액추에이터(540)의 길이를 수축하면, 액추에이터(540)의 길이 수축으로 본체(510)의 상부에 이동대(520)는 슬라이딩하면서 액추에이터(540) 쪽으로 당겨져 이동하게 되고, 이때 걸쇠(530)도 회전하면서 세워져 대차(40)의 하부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대차(40)는 대차록킹부(500)에 의해 고정되어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대차(40)를 고정한 대차록킹부(500)를 해제할 경우, 액추에이터(540)를 작동시켜 액추에이터(540)의 길이를 신장시키면, 액추에이터(540)의 길이 신장으로 본체(510)의 상부에 이동대(520)는 슬라이딩하면서 액추에이터(540)의 반대쪽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고, 걸쇠(530)도 회전하면서 눕혀져 대차(40)의 하부에 이격된다. 그러므로 대차(40)는 이동할 수 있게 된다.
10: 조립라인 20: 바닥면
21: 도크 30: 상판
31: 홈 40: 대차
41: 홈 50: 차체
100: 프레임 110: 가이드부
200: 승강부 210: 지지구
220: 지주 300: 실린더부
310: 몸체 320: 로드
400: 연결부 410: 제1 링크
420: 제2 링크 500: 대차록킹부
510: 본체 520: 이동대
530: 걸쇠 540: 액추에이터

Claims (5)

  1. 반송라인에 들려 이송된 차체를 대차에 내려놓기 위한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로서,
    반송라인의 바닥면 아래에 상판으로 덮여진 도크에 매입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상판 및 대차에 형성된 홈을 각각 관통하여 차체를 안착시키는 복수의 지지구와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주를 구비하는 승강부;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길이 신축하는 로드를 구비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지주 및 로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부에 의해 접고 펼쳐지며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링크; 및
    상기 지주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링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지주가 각각 관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주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상부에 설치되어 대차를 고정하기 위한 대차록킹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대차록킹부는,
    상기 상판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동대;
    상기 이동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지며 대차의 하부에 걸리는 걸쇠;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길이 신축으로 상기 이동대를 이동시키고 상기 걸쇠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
KR1020110087099A 2011-08-30 2011-08-30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 Active KR101283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099A KR101283608B1 (ko) 2011-08-30 2011-08-30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099A KR101283608B1 (ko) 2011-08-30 2011-08-30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969A KR20130023969A (ko) 2013-03-08
KR101283608B1 true KR101283608B1 (ko) 2013-07-08

Family

ID=4817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099A Active KR101283608B1 (ko) 2011-08-30 2011-08-30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2695B (zh) * 2020-07-30 2024-11-22 河南中联交通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自动化切割和冲孔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7617U (ko) * 1986-03-10 1987-09-18
JPH08282836A (ja) * 1995-04-19 1996-10-29 Daifuku Co Ltd 被搬送物移載装置
KR20090011521U (ko) * 2008-05-08 2009-11-12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대차용 스토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7617U (ko) * 1986-03-10 1987-09-18
JPH08282836A (ja) * 1995-04-19 1996-10-29 Daifuku Co Ltd 被搬送物移載装置
KR20090011521U (ko) * 2008-05-08 2009-11-12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대차용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969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7462B (zh) 重物的台阶起重装置及台阶起重方法
KR101601933B1 (ko) 가구용 리프트
KR101951604B1 (ko) 고소 작업용 작업대
KR102324730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US2767812A (en) Extensible structure
KR102105675B1 (ko)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KR101283608B1 (ko) 반송라인의 차체 승강장치
KR101288370B1 (ko) 터널용 작업대차
KR100916934B1 (ko) 사다리차용 운반대 및 이를 이용한 사다리차
CN102295235A (zh) 运输平台车的起吊装置
CN214456514U (zh) 便携剪式举升机
JP2000289994A (ja) ジャッキ装置
JP4290277B2 (ja) 門型リフターの転倒防止装置
KR200266423Y1 (ko) 고소(高所) 작업대
CN203742467U (zh) 一种修井机工作台
KR101666419B1 (ko) 차량정비용 리프트
CN210822534U (zh) 一种剪刀叉式井架移运拖车
US200601825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moving load
CN213802740U (zh) 一种收放平稳的升降机
KR101341802B1 (ko) 이동 운반용 파렛트
KR101015941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정비용 리프트
KR100615920B1 (ko)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CN205601677U (zh) 一种用连杆收放的平板运输车折叠爬梯
KR20100006639A (ko) 짐 운반용 사다리차
CN113277441B (zh) 车载举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