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022B1 - 식품용기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식품용기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022B1
KR101276022B1 KR20130042401A KR20130042401A KR101276022B1 KR 101276022 B1 KR101276022 B1 KR 101276022B1 KR 20130042401 A KR20130042401 A KR 20130042401A KR 20130042401 A KR20130042401 A KR 20130042401A KR 101276022 B1 KR101276022 B1 KR 101276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film
tray
upper roller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태욱
Original Assignee
나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태욱 filed Critical 나태욱
Priority to KR2013004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022B1/ko
Priority to PCT/KR2014/003245 priority patent/WO20141717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06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by punch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용기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식품용기에 밀봉될 필름이 권취되는 필름 롤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 상기 식품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식품용기가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와, 상기 필름이 상기 식품용기에 밀봉되는 필름 밀봉작업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상기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에서 상기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트레이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상부 롤러; 상기 상부 롤러의 회전 시 상기 상부 롤러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필름을 이송시키는 하부 롤러; 및 상기 필름을 상기 식품용기의 상부에 열융착시켜 밀봉시키는 열융착판과, 상기 열융착판과 연결되고 상기 필름을 상기 식품용기의 상부 모양으로 절단하는 절단날을 구비하며, 상기 필름 밀봉작업 위치에서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품용기 포장장치{Device for wrapping foodstuffs}
본 발명은, 식품용기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처럼 필름이 말려 올라감으로 인해 불량 작동되는 문제점을 비롯하여 식품용기 상부에 남아있는 자투리 제거 작업의 불편함과, 리프트 타입의 식품용기 승하강 구조로 인한 작동 불량 등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식품용기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2-0068342호 등에 보면 식품용기의 상면을 필름으로 밀봉하는 장치로서, 식품용기 포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작동 방식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스위치를 눌러 트레이가 인출되면 식품용기를 삽입하고 다시 스위치를 누른다. 그러면 트레이가 삽입됨과 동시에 필름이 상부에 덮여지면서 압착되어 밀봉된다.
이러한 구조와 동작을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의 경우, 필름은 상부에서 하부로 늘어져 있도록 초기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필름이 말려 올라감으로 인해 불량 작동되는 경우가 잦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트레이가 인입되면서 필름을 물고 들어가 식품용기 상부에 필름을 안착시켜 열가압되도록 해야 하는데, 밀봉에 사용되는 필름은 얇고 또한 열기에 의하여 단부가 빈번히 말아 올라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종래기술처럼 필름이 상부에서 하부로 늘어져 초기 배치되는 경우, 필름이 말려 올라감으로 인해 불량 작동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 절단날이 식품용기 상부의 사각 형태를 그대로 잘라내는 것이 아니라 일부 자투리가 절단이 안 된 채 인출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밀봉된 식품용기 상부에 남아있는 자투리를 포장 작업자가 일일이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는 종래기술이 그 일측에서 절단된 채로 필름이 늘어져 배치되어야 하고 자투리는 배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트레이에 식품용기가 안착되는 경우 식품용기가 놓일 수 있도록 용기 받침판이 형성되고 그 후방에는 용기 받침판이 승하강될 때 이를 안내하는 리프트가 배치되고, 리프트의 상단에는 용기 받침판에 식품용기가 놓여진 것을 감지하는 물품감지센서가 배치되는데, 와이어 타입의 리프트는 사용 중 절단이나 부식으로 인하여 물품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빈번히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필름 사용 구조나 리프트 사용으로 인한 오작동 문제를 해소하면서, 필름 자투리도 발생하지 않는 개선된 형태의 식품용기 포장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2-006834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처럼 필름이 말려 올라감으로 인해 불량 작동되는 문제점을 비롯하여 식품용기 상부에 남아있는 자투리 제거 작업의 불편함과, 리프트 타입의 식품용기 승하강 구조로 인한 작동 불량 등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식품용기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식품용기에 밀봉될 필름이 권취되는 필름 롤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 상기 식품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식품용기가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와, 상기 필름이 상기 식품용기에 밀봉되는 필름 밀봉작업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상기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에서 상기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트레이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상부 롤러; 상기 상부 롤러의 회전 시 상기 상부 롤러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필름을 이송시키는 하부 롤러; 및 상기 필름을 상기 식품용기의 상부에 열융착시켜 밀봉시키는 열융착판과, 상기 열융착판과 연결되고 상기 필름을 상기 식품용기의 상부 모양으로 절단하는 절단날을 구비하며, 상기 필름 밀봉작업 위치에서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포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트레이의 후면 상부 측에는 랙 기어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롤러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 롤러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되 상기 랙 기어와 연결되는 상부 롤러축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롤러축과 상기 상부 롤러 사이에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인입될 때만 상기 상부 롤러축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롤러로 전달하는 원 웨이 클러치(one way clutch)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식품용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다수의 스프링 플런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은 상기 열융착판과 연결되어 상기 열융착판을 승하강 구동시키는 승하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승하강 모듈은, 모터;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캠; 및 상부는 상기 캠과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열융착판과 연결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와 상기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에는 상기 식품용기에 대한 밀봉작업 시 상기 필름을 잡아주는 마찰 톱니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식품용기에 대한 밀봉작업 시 상기 절단날이 통과되는 절단날 통과용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처럼 필름이 말려 올라감으로 인해 불량 작동되는 문제점을 비롯하여 식품용기 상부에 남아있는 자투리 제거 작업의 불편함과, 리프트 타입의 식품용기 승하강 구조로 인한 작동 불량 등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이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각각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트레이 부분의 평면도, 도 3의 (a) 및 (b)는 각각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의 확대도,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식품용기 포장장치는 식품용기(115)의 상면을 필름으로 밀봉하되 종래처럼 필름이 말려 올라감으로 인해 불량 작동되는 문제점을 비롯하여 식품용기(115) 상부에 남아있는 자투리 제거 작업의 불편한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장치본체(110), 트레이(120), 상부 롤러(130), 하부 롤러(140), 그리고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160)을 포함한다.
장치본체(110)는 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트레이(120), 상부 롤러(130), 하부 롤러(140), 그리고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160) 등을 위치별로 지지한다.
장치본체(110)의 일측에는 식품용기(115)에 밀봉될 필름이 권취되는 필름 롤(15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필름 롤(150)에서 풀리는 필름은 다수의 필름 가이드 롤러(151,152)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하부 롤러(140)를 통해 자동으로 배출된다.
이때, 도 1에 확대된 그림처럼 배출되는 배출 필름은 후술할 절단날(162)에 의해 절단되어 식품용기(115)의 상부를 덮어 밀봉할 부분만큼의 면적이 관통공(H)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는다.
트레이(120)는 식품용기(115)를 지지한다. 이러한 트레이(120)는 식품용기(115)가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와, 필름이 식품용기(115)에 밀봉되는 필름 밀봉작업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도록 장치본체(110)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 1을 참조할 때, 장치본체(110)의 내부, 즉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160)의 하부 영역이 필름 밀봉작업 위치이고 외측이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이다.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에서 밀봉 대상의 식품용기(115)가 트레이(120)로 로딩되거나 밀봉이 완료된 식품용기(115)가 트레이(120)로부터 언로딩된다.
트레이(120)에는 식품용기(11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스프링 플런저(170)가 마련된다. 스프링(171)을 구비하는 다수의 스프링 플런저(170)는 도 2처럼 식품용기(115)의 둘레 4군데에서 식품용기(115)의 상단 플랜지(115a)를 하부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참고로, 식품용기(115)를 트레이(120)에서 용이하게 꺼내기 위해, 즉 언로딩시키기 위해 용기받침판이나 별도의 승하강 모터를 적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도 있지만 이럴 경우, 불량이 잦은 센서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처럼 트레이(120) 영역에 기계식 구조의 스프링 플런저(170)들을 배치할 경우,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160)에 의한 밀봉작업 시에는 스프링(171)이 압착되는 만큼 하강되다가 작업이 완료되면 스프링(171)이 팽창되면서 식품용기(115)를 꺼내기 쉬운 위치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장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같이 용기받침판이나, 리프트, 물품감지센서나 승하강 모터가 전혀 요구되지 않으면서, 고장률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트레이(120)와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160)에는 식품용기(115)에 대한 밀봉작업 시 필름을 잡아주는 마찰 톱니부(128,168)가 마련된다.
그리고 트레이(120)에는 식품용기(115)에 대한 밀봉작업 시 절단날(162)이 통과되는 절단날 통과용 슬릿(122)이 형성된다. 절단날 통과용 슬릿(122)은 홈의 형태로 절단날(162)의 위치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부 롤러(130)는 트레이(120)가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에서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이동될 때 트레이(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상부 롤러(130)와 트레이(120)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트레이(120)의 후면 상부 측에는 랙 기어(125)가 결합되고 상부 롤러(130)의 내부에는 상부 롤러(130)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되 랙 기어(125)와 연결되는 상부 롤러축(131)이 마련된다.
이때, 상부 롤러축(131)과 상부 롤러(130) 사이에는 트레이(120)가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인입될 때만 상부 롤러축(131)의 회전력을 상부 롤러(130)로 전달하는 원 웨이 클러치(one way clutch, 132)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 원 웨이 클러치(132)로 인해 상부 롤러축(131)의 회전력은 트레이(120)가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에서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인입될 때만 상부 롤러(130)로 전달되어 상부 롤러(130) 및 하부 롤러(140)의 마찰력에 의해 필름이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이송되도록 한다.
하지만, 트레이(120)가 필름 밀봉작업 위치에서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로 인출될 때는 원 웨이 클러치(132)의 작용으로 인해 상부 롤러축(131)의 회전력이 상부 롤러(130)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필름은 이송되지 않는다. 이때는 필름과 상부 롤러(130) 간의 슬립 현상이 일어난다.
하부 롤러(140)는 상부 롤러(130)의 회전 시 상부 롤러(130)와 함께 회전되면서 필름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120)가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에서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인입될 때만 상부 롤러(130)와 마찰되면서 필름의 이송에 관여한다.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160)은 필름 밀봉작업 위치에서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필름을 식품용기(115)의 상부에 열융착시키면서 필요 없는 부분을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160)은 필름을 식품용기(115)의 상부에 열융착시켜 밀봉시키는 열융착판(161)과, 열융착판(161)과 연결되고 필름을 식품용기(115)의 상부 모양으로 절단하는 절단날(162)과, 열융착판(161)과 연결되어 열융착판(161)을 승하강 구동시키는 승하강 모듈(163)을 포함한다.
열융착판(161)은 히터의 열에 의해 필름을 녹이면서 식품용기(115)의 상부에 열융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열융착판(161)은 식품용기(115)의 상부 면적과 유사하면서도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절단날(162)은 필름을 식품용기(115)의 상부 모양으로 절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식품용기(115)의 상부 모양이 직사각형 모양이기 때문에 절단날(162)은 직사각형 모양으로서 필름을 식품용기(115)의 상부 모양으로 절단한다.
승하강 모듈(163)은 모터(163a)와, 모터(163a)의 모터축(163b)에 연결되는 캠(163c)과, 상부는 캠(163c)과 연결되고 하부는 열융착판(161)과 연결되는 승하강부재(163d)를 포함한다.
이에, 모터(163a)가 동작되어 모터축(163b)이 회전되면 캠(163c)이 모터축(163b)의 축심에서 편심되면서 동작됨에 따라 승하강부재(163d)가 승하강 운동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식품용기 포장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작동 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트레이(120)가 장치본체(110)의 내부에서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로 인출된다.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로 인출된 트레이(120) 상에 식품용기를 안착시켜 로딩시키고 다시 작동 스위치를 누르면 식품용기와 함께 트레이(120)가 장치본체(110) 내의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인입된다.
이때, 앞서 기술한 것처럼 트레이(120)의 후면 상부 측에 랙 기어(125)가 결합되어 있고, 랙 기어(125)는 상부 롤러(130)의 상부 롤러축(13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트레이(120)가 필름 밀봉작업 위치 또는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로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랙 기어(125) 역시 함께 인입 또는 인출되며, 이와 동시에 상부 롤러(130)의 상부 롤러축(131) 역시 연동되어 회전된다.
상부 롤러축(131)과 상부 롤러(130) 사이에는 원 웨이 클러치(13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롤러축(131)의 회전력은 트레이(120)가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인입될 때만 상부 롤러(130)로 전달되어 상부 롤러(130) 및 하부 롤러(140)의 마찰력에 의해 필름이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이송되도록 한다.
하지만, 트레이(120)가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로 인출될 때는 원 웨이 클러치(132)의 작용으로 인해 상부 롤러축(131)의 회전력이 상부 롤러(130)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필름은 이송되지 않는다. 이때는 필름과 상부 롤러(130) 간의 슬립 현상이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트레이(120)가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로 인출되면 필름은 이송되지 않고 슬립되며, 트레이(120)가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인입될 때만 상부 롤러(130) 및 하부 롤러(140)의 마찰력에 의해 필름이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이송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종전처럼 필름이 늘어져 있지 않은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필름이 말려 올라감으로 인해 불량 작동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용에 의해 필름이 식품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면, 캠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열융착판(161)과 그에 붙어 있는 절단날(162)이 식품용기의 상부에 배치된 필름으로 하강되면서 필름을 식품용기 측으로 가압한 후에 다시 원위치로 상승 복귀된다.
열융착판(161)과 그에 붙어 있는 절단날(162)이 필름을 식품용기 측으로 가압할 때는 스프링 플런저(170)의 스프링(171)이 압축됨에 따라 식품용기가 스프링(171)의 압축위치만큼 하강되며, 이때, 열융착판(161)은 필름과 식품용기를 열융착시켜 밀봉시키게 되고, 절단날(162)은 필름을 식품용기의 상부 모양으로 절단한다.
이처럼 필름은 절단날(162)에 의해 식품용기의 상부 모양, 즉 사각형 형태만이 필름에서 타공되어 식품용기의 상면에 열융착되고, 나머지 필름들은 연속해서 배출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식품용기(115) 상부에 필름 자투리가 남지 않으며, 따라서 종전처럼 식품용기(115) 상부에 남아있는 자투리 제거 작업의 불편한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열융착이 완료되면 열융착판(161)과 그에 붙어 있는 절단날(162)이 다시 원위치로 상승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171)이 원상태로 팽창됨으로써 스프링 플런저(170) 역시 원위치에 놓이게 되며, 식품용기(115)는 트레이(120) 상에서 꺼내기 쉬운 위치로 상승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처럼 필름이 말려 올라감으로 인해 불량 작동되는 문제점을 비롯하여 식품용기 상부에 남아있는 자투리 제거 작업의 불편함과, 리프트 타입의 식품용기 승하강 구조로 인한 작동 불량 등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장치본체 115 : 식품용기
120 : 트레이 122 : 절단날 통과용 슬릿
125 : 랙 기어 128 : 마찰 톱니부
130 : 상부 롤러 131 : 상부 롤러축
132 : 원 웨이 클러치 140 : 하부 롤러
150 : 필름 롤 151,152 : 필름 가이드 롤러
160 :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 161 : 열융착판
162 : 절단날 163 : 승하강 모듈
163a : 모터 163b : 모터축
163c : 캠 164d : 승하강부재
168 : 마찰 톱니부 170 : 스프링 플런저
171 : 스프링

Claims (6)

  1. 식품용기에 밀봉될 필름이 권취되는 필름 롤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
    상기 식품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식품용기가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와, 상기 필름이 상기 식품용기에 밀봉되는 필름 밀봉작업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상기 식품용기 로딩/언로딩 위치에서 상기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트레이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상부 롤러;
    상기 상부 롤러의 회전 시 상기 상부 롤러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필름을 이송시키는 하부 롤러; 및
    상기 필름을 상기 식품용기의 상부에 열융착시켜 밀봉시키는 열융착판과, 상기 열융착판과 연결되고 상기 필름을 상기 식품용기의 상부 모양으로 절단하는 절단날을 구비하며, 상기 필름 밀봉작업 위치에서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의 후면 상부 측에는 랙 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 롤러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 롤러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되 상기 랙 기어와 연결되는 상부 롤러축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축과 상기 상부 롤러 사이에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필름 밀봉작업 위치로 인입될 때만 상기 상부 롤러축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롤러로 전달하는 원 웨이 클러치(one way clutch)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식품용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다수의 스프링 플런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은 상기 열융착판과 연결되어 상기 열융착판을 승하강 구동시키는 승하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모듈은,
    모터;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캠; 및
    상부는 상기 캠과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열융착판과 연결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와 상기 승하강 밀봉/절단 유닛에는 상기 식품용기에 대한 밀봉작업 시 상기 필름을 잡아주는 마찰 톱니부가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식품용기에 대한 밀봉작업 시 상기 절단날이 통과되는 절단날 통과용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KR20130042401A 2013-04-17 2013-04-17 식품용기 포장장치 KR101276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401A KR101276022B1 (ko) 2013-04-17 2013-04-17 식품용기 포장장치
PCT/KR2014/003245 WO2014171704A1 (ko) 2013-04-17 2014-04-15 식품용기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401A KR101276022B1 (ko) 2013-04-17 2013-04-17 식품용기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022B1 true KR101276022B1 (ko) 2013-06-19

Family

ID=4886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2401A KR101276022B1 (ko) 2013-04-17 2013-04-17 식품용기 포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6022B1 (ko)
WO (1) WO20141717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006B1 (ko) * 2016-05-18 2018-05-31 조수현 용기 자동배출 구조를 갖는 휴대용기 밀폐 포장장치
KR20200073489A (ko) * 2018-12-14 2020-06-24 조수현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000407A1 (de) * 2018-01-19 2019-07-25 MChef GmbH & Co.KG Geschirreinheit und Verfahren zum Versiegeln von teilzubereiteten Speisen
CN110481832A (zh) * 2019-08-14 2019-11-22 浙江桐君堂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中药饮片自动覆膜机
CN113232942B (zh) * 2021-01-29 2022-12-30 浙江大学山东工业技术研究院 一种熔喷无纺布的自动化包装设备
CN113459627B (zh) * 2021-07-15 2023-05-09 广东福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包装膜及其制备方法
CN114394274B (zh) * 2022-03-25 2022-06-10 河南科技学院 一种分割肉的可变构包装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302U (ja) * 1992-05-21 1994-07-05 株式会社トーヨー商事 包装装置
KR950001273B1 (ko) * 1991-11-12 1995-02-15 대우전자 주식회사 제품포장용 필름 자동송출장치
JPH07205911A (ja) * 1994-01-11 1995-08-0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ストレッチ包装装置
KR101140410B1 (ko) * 2009-05-11 2012-05-03 주식회사 명진산업 포장용기 밀봉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6956B2 (ja) * 1995-09-14 2006-05-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ィルム収納容器製造システム
JPH1199572A (ja) * 1997-09-30 1999-04-13 Tohcello Co Ltd 食品包装体の製造装置
JP2003261106A (ja) * 2002-03-04 2003-09-16 Ishida Co Ltd 包装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273B1 (ko) * 1991-11-12 1995-02-15 대우전자 주식회사 제품포장용 필름 자동송출장치
JPH0649302U (ja) * 1992-05-21 1994-07-05 株式会社トーヨー商事 包装装置
JPH07205911A (ja) * 1994-01-11 1995-08-0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ストレッチ包装装置
KR101140410B1 (ko) * 2009-05-11 2012-05-03 주식회사 명진산업 포장용기 밀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006B1 (ko) * 2016-05-18 2018-05-31 조수현 용기 자동배출 구조를 갖는 휴대용기 밀폐 포장장치
KR20200073489A (ko) * 2018-12-14 2020-06-24 조수현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
KR102128346B1 (ko) * 2018-12-14 2020-06-30 조수현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1704A1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022B1 (ko) 식품용기 포장장치
CN107735326B (zh) 药剂包装装置
KR200491764Y1 (ko) 일회용 포장용기 실링 장치
KR101140410B1 (ko) 포장용기 밀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08287B1 (ko) 열융착기
JP6571938B2 (ja) 包装装置
JP2006298390A (ja) 縦型充填包装機及び包装袋の製造方法
KR101599766B1 (ko) 알루미늄호일 절단기
KR100647549B1 (ko) 일회용 용기의 포장장치
JP7140823B2 (ja) ピンホール検査装置及びピンホールの有無が検査された包装袋の製造方法
CN214190427U (zh) 一种l型封切机
US20180312282A1 (en) Horizontal form-fill-seal packaging system
JP6778779B2 (ja) 薬剤包装装置
KR101285504B1 (ko) 포장용 필름의 컷팅길이 자동설정이 가능한 물티슈 포장시스템
KR101249427B1 (ko) 식품포장용 실링장치
JP5446463B2 (ja) 包装装置
JP5071066B2 (ja) 包装装置
KR101339298B1 (ko) 밴드 실링장치
JP5918632B2 (ja) 包装装置
KR101487478B1 (ko) 랩핑장치
KR20190097517A (ko) 면봉 이송 장치
JP7385261B2 (ja) 巻取りフィルム支持装置
KR101992010B1 (ko) 파우치팩 밀봉 장치
KR101442581B1 (ko) 포장지 열접착 자동 연결장치
KR100806147B1 (ko)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