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128B1 -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3128B1 KR101263128B1 KR1020110086170A KR20110086170A KR101263128B1 KR 101263128 B1 KR101263128 B1 KR 101263128B1 KR 1020110086170 A KR1020110086170 A KR 1020110086170A KR 20110086170 A KR20110086170 A KR 20110086170A KR 101263128 B1 KR101263128 B1 KR 1012631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truction waste
- conveyor
- crusher
- separating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4—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more than one separa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가연물(목재, 종이, 섬유재, 플라스틱, 비닐, 합성수지재 등) 및 철재류를 선별하여 분리하고 가연물이 분리된 건설폐기물을 분쇄하여 골재 크기별로 분리함으로써, 매립지에 매립될 건설폐기물의 양을 줄이고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다시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는, 제1 분쇄기(110), 제1 컨베이어(120), 이물질 분리기(130), 금속 선별기(250), 제2 분쇄기(140), 제2 컨베이어(150), 물 분사기(160), 가열기(170), 제3 분쇄기(180), 제1 스크린(190), 제2 스크린(200)을 포함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by selectively separating flammable materials (wood, paper, fiber material, plastic, vinyl, synthetic resin, By separating the construction waste by the size of the aggrega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to be buried in the landfill and to recover the recyclable resources again.
The apparatus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rusher 110, a first conveyor 120, a foreign matter separator 130, a metal separator 250, a second crusher 140, a second conveyor 150, A water sprayer 160, a heater 170, a third crusher 180, a first screen 190, and a second screen 200.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폐기물(또는, 건축폐기물)의 파쇄 및 분류작업으로 철재, 토사, 석분, 골재를 분류 선별하여 재활용함으로써, 매립지에 매립될 건설폐기물의 양을 줄이고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다시 회수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by disposing and sorting iron, earth, stone and aggregate by crushing and sorting construction waste (or building waste)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that can reduce th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to be landfilled and recycle recyclable resources.
오늘날, 도시의 재개발과 더불어 건물의 노후 및 기능 저하에 의한 건물의 해체와 도로의 보수가 증가함에 따라 폐 콘크리트나 폐 시멘트, 혹은 건설 쓰레기와 같은 건설폐기물들이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이 같은 건설폐기물들은 적절한 처리시스템을 통해 처리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불법 매립 및 불법투기 등과 같이 부적절하게 처리됨으로써 환경오염 문제 및 다양한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 중에서 불필요한 쓰레기는 분리하여 폐기하고 나머지 자원을 재활용하는 것은 자원 및 에너지 절약 측면뿐만 아니라 환경보호 측면에서도 그 중요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Today, along with redevelopment of the city, construction waste such as waste concrete, waste cement, or construction waste is being discharged in large quantities as the disintegration of buildings and the repair of roads due to the deterioration and degradation of the buildings increase. Although such construction wastes must be disposed of through appropriate treatment systems, they are inappropriately disposed of, such as illegal landfill and illegal dumping, resulting i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various social problem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parate and dispose of unnecessary garbage from the larg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s and to recycle the remaining resources in terms of resource and energy saving as well as environmental protection.
그러나 현재까지도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대안이나 구조적인 시스템이 잘 갖추어지지 않고 있기에 건설폐기물들이 도로의 기층, 보조기층재, 콘크리트용 골재 및 우수한 도시 기반 형성재로 재활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However, even now, there is no alternative or structural system for disposing of construction waste, so construction waste can not be recycled even though it can be recycled as road base, auxiliary layering, concrete aggregate and excellent urban base forming material. It is in a state of failure.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및 처리시스템은 건설폐기물을 파쇄하고 토분, 금속류, 부유물질 등 기타 쓰레기를 제거한 다음, 유용한 재생골재만을 소요입경별로 분리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은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방법 및 장치, 재생골재를 소요 입경별로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쓰레기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들이 핵심기술이라 하겠다.Generally, the recycling and treatment system for construction waste is composed of a system for crushing construction waste, removing other waste such as soil, metals, suspended matter, and then separating only useful recycled aggregate by required particle size. Such a system is a core technology, including a method and apparatus for crushing construction wast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recycled aggregate by particle size,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removing waste.
건설폐기물 중 쓰레기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로는, 재생골재와 쓰레기의 무게차에 따라 물의 부력을 이용하는 것과 풍력을 이용하는 것이 있었다. 물의 부력을 이용하는 장치는 물 세척을 함으로써 재생골재가 깨끗해지고 먼지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폐수처리가 어렵고 기계에 물이 묻을 경우 파손될 위험이 있는 등 관리가 어렵고 겨울에 기계가 얼어 작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from construction waste, there was a method of using buoyancy of water and wind power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weight of recycled aggregate and trash. The water buoyancy device has the advantage that the recycled aggregate is cleaned and dust is not generated by washing the water, but it is difficult to treat wastewater, and there is a danger of being damaged when water is added to the machine. There was a problem.
이에 반해 풍력을 이용하는 장치는 폐수처리의 부담이 없는 장점이 있으나, 비산먼지가 발생하여 비산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살수시설이 별도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 apparatus using wind power has an advantage that it does not have a burden of wastewater treatmen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scattering dust is generated and a spraying facility for removing scattering dust is separately required.
비산먼지를 발생하지 않게 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재생골재로부터 쓰레기를 분리하는 장치로서 폐 골재를 재생하기 위한 분리장치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04210호에 공개되어 있다.A separation device for regenerating waste aggregate as a device for separating waste from recycled aggregate that can prevent or suppress scattering dust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Registration No. 20-0204210.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폐 골재를 재생하기 위한 분리장치는 분쇄기(10)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분쇄골재를 만든 후 이를 컨베이어(12)와 같은 이송수단으로 진동 평활장치(14)에 공급하여 분쇄골재를 고르게 펼친다.Referring to FIG. 1, a separating device for regenerating a waste aggregat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uses a
그런 다음, 자유 낙하시켜 저장조 컨베이어(16)를 통해 골재 저장조(18)에 저장되도록 하며, 진동 평활장치(14)의 하측에서 송풍기(20)가 일정한 속도의 공기를 분사하여 분쇄골재보다 가벼운 종이류가 분리되도록 하고 진동 평활장치(14)의 끝단에 근접되게 설치된 분리드럼(22)에 의하여 나무 조각 등이 분리되어 이물질 저장조(24)에 저장되도록 하였다.Then, the free fall is made to be stored in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폐 골재를 재생하기 위한 분리장치의 경우, 분쇄기(10)를 사용하여 건설폐기물을 분쇄한 다음, 후공정의 장치들을 통해서 쓰레기와 재생골재를 분리하고 있으나, 건설폐기물의 입자크기에 무관하게 파쇄하여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파쇄에 따른 전력의 소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데에 그 실효성이 떨어진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eparation apparatus for regenerating the conventional waste aggregate, the construction waste is crushed using the
한편, 호퍼에서 제공된 건설폐기물을 곧바로 파쇄하지 않고 후공정에서 파쇄하는 방법 역시 공지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럴 경우에도 건설폐기물을 그 입자별로 분류하지 않고 공정을 순환시키기 때문에 쓰레기가 처리되고 남은 재생골재를 입자별로 구별하여 재생하기에 다소 무리가 따른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is also known that the construction waste provided in the hopper is not crushed immediately but crushed in a post-process, even in such a case, since the process is circulated without classifying the construction waste by the particle, It is somewhat difficult to distinguish and reproduce by particle.
또한, 종래의 건설폐기물 재활용 설비의 처리공정은 호퍼에 건설폐기물을 투입할 시 발생하는 분진과 토분을 제거 및 분리하지 못하고, 이물질의 제거가 불가능하며, 수개의 파쇄장치의 설치로 인한 시설비의 상승과 분진발생에 대한 처리공정이 부족하여 인근지역의 민원을 발생시키며, 필요 이상의 장치의 투입과 합리적이지 못한 처리공정으로 인해 전력소모량과 설치면적이 과대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rocess of the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facility can not remove and separate the dust and soil generated when the construction waste is put into the hopper, it is impossible to remove the foreign material, and the rise of the facility co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installation area are excessively large due to input of unnecessary devices and unreasonable processing steps.
또한, 스크린 망을 통하여 소정의 골재를 분리하는 장치에서는 설비장치가 복잡하고 분리수거를 위한 작업공정이 불편하며 고가의 설비비용으로 경제적인 부담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an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etermined aggregates through a screen n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quipment is complicated, the work proces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is inconvenient, and the cost is expensive due to high equipment cost.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가연물(목재, 종이, 섬유재, 플라스틱, 비닐, 합성수지재 등) 및 철재류를 선별하여 분리하고 가연물이 분리된 건설폐기물을 분쇄하여 골재 크기별로 분리함으로써, 매립지에 매립될 건설폐기물의 양을 줄이고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다시 회수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separating combustible materials (wood, paper, fiber material, plastic, vinyl, synthetic resin, etc.) and iron material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that can reduce th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to be landfilled in a landfill and recover recyclable resources by separating construction waste by aggregate siz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분쇄하는 제1 분쇄기(110); 상기 제1 분쇄기에서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120); 상기 제1 컨베이어 중간에 설치되며, 상기 건설폐기물을 담수 또는 송풍으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기(130); 상기 이물질 분리기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물질 분리기에서 배출된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철재류를 센서로 탐지하여 분리하는 금속 선별기(250); 상기 금속 선별기에서 배출된 건설폐기물을 분쇄하는 제2 분쇄기(140); 상기 제2 분쇄기에서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150); 상기 제2 컨베이어 상에서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세척하는 동시에 건설폐기물의 몰탈 부분에 수분을 공급하는 물 분사기(160); 상기 제2 컨베이어 중간에 설치되며, 수분이 흡수된 몰탈 부분을 가열하여 수분의 열팽창에 의해 몰탈 부분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가열기(170); 상기 가열기에서 배출된 건설폐기물을 분쇄하는 제3 분쇄기(180); 상기 제3 분쇄기에서 배출된 건설폐기물을 선별 분리하는 제1 스크린(190); 및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한 건설폐기물을 선별 분리하는 제2 스크린(200);을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분리기(130)는 내부에 소정 높이의 물이 채워지고 하부에 폭기조가 설치된 수조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조 내부의 물속을 통과하도록 상기 제1 컨베이어가 역 사다리꼴 또는 오목 형상으로 구성된 제1 구성과, 상기 제1 컨베이어 상부에 설치된 송풍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제2 구성과, 상기 제1 컨베이어가 높이가 다른 2개의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컨베이어 사이에 낙하하는 건설폐기물에 송풍기의 바람으로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제3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가열기(170)는 전열선(코일)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는 전열 가열기와,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설폐기물에 흡수된 수분을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조사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is characterized in that: " a first crusher (110) for crushing construction waste; A first conveyor (120) for conveying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in the first crusher;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기는: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171)과, 상기 마그네트론(171)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도파관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건설폐기물에 분사시키는 분사부(173) 및, 상기 마그네트론(171)의 전류 량을 제어하여 마이크로파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microwave irradi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wave irradiator comprises: a magnetron (171) for generating a microwave; a microwave generating unit for receiving the microwave generated from the magnetron (171) An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a) 건설폐기물을 제1 분쇄기로 분쇄한 후 제1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제1 컨베이어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면서 이물질 분리기를 통해 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제1 컨베이어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면서 금속 선별기를 통해 철재류를 센서로 탐지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제2 분쇄기로 분쇄한 후 제2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단계; (e) 상기 제2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건설폐기물에 분사기로 물을 분사하여 몰탈 부분에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f) 상기 제2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건설폐기물의 몰탈 부분을 가열기로 가열하여 수분의 열팽창에 의해 몰탈 부분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g) 상기 제2 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제3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h) 상기 제3 분쇄기에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제1 스크린을 통해 선별 분리하여 제1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 (i)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한 건설폐기물을 제2 스크린을 통해 선별 분리하여 제2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 및 (j) 상기 제1 및 제2 스크린을 모두 통과한 건설폐기물을 제3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이물질 분리기는 상기 제1 컨베이어가 수조의 물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f)단계에서 상기 가열기는 전열선(코일)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설폐기물에 흡수된 수분을 가열하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struction waste, comprising the steps of: (a) crushing a construction waste with a first crusher, (b)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separator while transferring the construction waste to the first conveyor; (c) detecting and separating the iron material from the iron material through the metal separator while transferring the construction waste to the first conveyor; (d) transporting the construction waste discharged from the first conveyor to the second conveyor after crushing the construction waste with the second crusher; (e) spraying water onto the construction waste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to supply water to the mortar portion; (f) heating the morta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waste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with a heater to generate cracks in the mortar portion by thermal expansion of water; (g) crushing the construction waste discharged from the second conveyor with a third crusher; (h) selectively separating the construction waste discharged from the third crusher through a first screen and loading the separated construction waste into a first loading box; (i) selectively separating the construction waste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screen through a second screen, and loading the separated construction waste into a second loading box; And (j) loading the construction waste that has passed both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onto a third loading stage, wherein the foreign material separator moves the first conveyor The heating unit removes foreign matter or removes foreign matter by using a blower. In the step (f), the heater generates heat using a heating coil or a microwave to heat the moisture absorbed in the construction waste. A method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가연물(목재, 종이, 섬유재, 플라스틱, 비닐, 합성수지재 등)과 철재류를 선별하여 분리함으로써, 매립지에 매립될 건설폐기물의 양을 줄이고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다시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건설폐기물의 증가에 따른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and separating combustible materials (wood, paper, fiber material, plastic, vinyl, synthetic resin, etc.)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and steel product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to be landfilled, It can be recovered and recycled again, thereby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an increase in construction waste.
또한,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골재를 제작하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를 컴팩트하게 제작함과 아울러 각종 쓰레기의 배출 및 수집 등이 용이하게 하고, 이물질이 거의 포함되지 않는 우수한 골재를 채취 및 생산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ompact recycle process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to produce aggregate by crushing construction wast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and collection of various kinds of waste, and to collect and produce excellent aggregate containing almost no foreign matter .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폐 골재를 재생하기 위한 분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물질 분리기(130)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물질 분리기(130)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물질 분리기(13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가열기(170)의 예로서, 마이크로파 조사기를 나타낸 구성도FIG. 1 is a view showing a constitution of a separating device for regenerating a conventional waste aggregate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icrowave irradiator as an example of th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의 실시 예Examples of recycling treatment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쇄기(110), 제1 컨베이어(120), 이물질 분리기(130), 제2 분쇄기(140), 제2 컨베이어(150), 물 분사기(160), 가열기(170), 제3 분쇄기(180), 제1 스크린(190), 제2 스크린(200), 제3 컨베이어(210), 제1 적재함(220), 제2 적재함(230), 제3 적재함(240)을 포함하고 있다.2, the apparatus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includes a
상기 제1 분쇄기(110)는 건설폐기물의 폐콘크리트 덩어리를 후공정으로 운반 및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1차 파쇄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1 분쇄기(110)에서 1차로 분쇄된 건설폐기물은 상기 제1 컨베이어(120)를 통해 상기 제2 분쇄기(140) 쪽으로 이송된다.The
상기 이물질 분리기(130)는 상기 제1 컨베이어(120) 중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120)를 통해 이송되는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스티로폼, 비닐, 종이, 목재를 포함한 가연물(또는, 이물질)을 분리한다.The
상기 이물질 분리기(130)는 후술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건설폐기물이 물속을 통과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물 위로 떠오르면서 분리되는 수조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이물질 분리기(130)는 후술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건설폐기물에 송풍기(133) 바람을 불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거나(도 5) 높이가 다른 2개의 컨베이어 사이에 낙하하는 건설폐기물에 송풍기(133) 바람을 불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 6).As shown in FIG. 4, the
상기 제2 분쇄기(140)는 상기 이물질 분리기(130)를 통해 이물질(또는, 가연물)이 분리된 건설폐기물을 상기 제1 컨베이어(120)를 통해 공급받아 2차로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분쇄기에서 2차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상기 제2 컨베이어(150)를 통해 이송된다.The
상기 물 분사기(160)는 상기 제2 컨베이어(150)를 통해 이송되는 건설폐기물의 몰탈 부분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 분사기(160)는 건설폐기물의 몰탈 부분이 물에 충분히 젖도록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물 분사기(160)는 상기 제2 분쇄기(140)로부터 2차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공급받아 수분을 분사시킴으로써, 2차 파쇄된 폐콘크리트의 외부에 묻은 흙, 먼지 등의 이물질을 세척하는 동시에 몰탈 부분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폐콘크리트의 몰탈 부분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은 다음 공정의 가열기(170)에서 수분을 가열하여 상기 몰탈 부분의 균열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The
상기 가열기(170)는 상기 물 분사기(160)에 의해 수분이 흡수된 건설폐기물의 몰탈 부분을 가열시켜 수분의 열팽창에 의해 몰탈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도록 한다.The
여기서, 상기 가열기(170)는 전열선(코일)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는 전열 가열기와,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설폐기물의 몰탈 부분에 흡수된 수분을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조사기(도 6 참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기 제3 분쇄기(180)는 상기 가열기(170)를 통과한 건설폐기물을 3차로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제1 스크린(190)은 상기 제3 분쇄기(180)의 하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3 분쇄기(180)에서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선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제2 스크린(200)은 제1 스크린(190)의 하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스크린(190)을 통과한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선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제1 적재함(220)은 상기 제1 스크린(190)을 통과하지 못한 건설폐기물을 적재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제2 적재함(230)은 상기 제1 스크린(190)을 통과하고 상기 제2 스크린(200)을 통과하지 못한 건설폐기물을 적재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제3 적재함(240)은 상기 제1 및 제2 스크린(190,200)을 모두 통과한 건설폐기물을 적재하는 기능을 한다. The
여기서, 상기 제1 스크린(190)과 제1 적재함(220) 사이에 제3 컨베이어(210)를 설치하여, 상기 제1 스크린(190)을 통과하지 못한 건설폐기물을 상기 제1 적재함(220)으로 이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3 컨베이어(210)는 없어도 무방하다.
A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 예Another embodiment of a recycling treatment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쇄기(110), 제1 컨베이어(120), 이물질 분리기(130), 제2 분쇄기(140), 제2 컨베이어(150), 물 분사기(160), 가열기(170), 제3 분쇄기(180), 제1 스크린(190), 제2 스크린(200), 제3 컨베이어(210), 제1 적재함(220), 제2 적재함(230), 제3 적재함(24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물질 분리기(130)의 후단(또는, 선단)에 금속 선별기(250)가 설치되어 있다.3, the apparatus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includes a
상기 금속 선별기(250)는 상기 제1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철재류를 선별하는 장치로서, 상기 이물질 분리기(130)의 후단 또는 선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선별기(250)는 자석 또는 금속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철재류를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금속 선별기(250) 이외의 구성은 도 2와 동일하다.
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이물질 분리기(130)의 예Example of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물질 분리기(130)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목재와 같은 1종 가연물과 종이 등의 2종 가연물은 대부분 그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물에 넣었을 때 부유하는 특성이 있다. 반면에, 골재, 콘크리트 분쇄물, 금속류, 유리 등의 비가연물은 무거운 비중으로 인하여 물에서 가라앉게 된다. 이러한 특성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이물질 분리기(130)는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가 물속을 통과하도록 구성하여 건설폐기물 속에 포함된 가연물을 분리하도록 하였다.The first type 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wood and the second type 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paper have a characteristic that they float when put into water because they have a small specific gravity. On the other hand, unflammable materials such as aggregates, concrete crushed materials, metals, and glass are submerged in water due to their heavy specific gravity.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물질 분리기(130)는 물이 담겨있는 수조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120)가 수조의 물속을 통과하도록 역 사다리꼴 또는 오목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건설폐기물이 물속을 통과할 때 상기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목재, 종이, 섬유재, 플라스틱, 비닐, 합성수지재 등의 가연물이 물 위로 떠오르면서 분리된다. 4, the
상기 이물질 분리기(130)는 상기 제1 컨베이어(120)에 의해 건설폐기물이 물속을 통과할 때 상기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가연물이 물 위로 부유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복수 개의 폭기조(132)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폭기조(132)는 수조 내부에 채워져 있는 물의 수면 방향으로 기포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가연물의 부유효과를 더욱 상승시켜 가연물 수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The
이물질 분리기(130)의 다른 예Another example of the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물질 분리기(130)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상기 이물질 분리기(130)의 다른 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건설폐기물에 송풍기(133) 바람을 불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가연물을 분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기(133)는 복수 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컨베이어(120)의 상부 또는 측면 방향에 설치할 수 있다.
5, the
이물질 분리기(130)의 또 다른 예Another example of the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물질 분리기(13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상기 이물질 분리기(130)의 또 다른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다른 2개의 컨베이어(120) 사이에 낙하하는 건설폐기물에 송풍기(133) 바람을 불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가연물을 분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송풍기(133)는 복수 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의 상부 또는 측면 방향에 설치할 수 있다.
6, the
가열기(170)의 실시 예Embodiment of the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가열기(170)의 예로서, 마이크로파 조사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microwave irradiator as an example of the
상기 가열기(170)의 예로서 구성된 마이크로파 조사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171)과, 상기 마그네트론(171)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도파관(172)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건설폐기물에 분사시키는 분사부(173) 및, 상기 마그네트론(171)의 전류 량을 제어하여 마이크로파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7, the microwave irradiator configured as an example of the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기는 상기 물 분사기(160)에 의해 수분이 흡수된 폐콘크리트의 몰탈 부분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몰탈에 흡수된 수분을 가열시킴으로써, 흡수된 수분의 열팽창에 의해 폐콘크리트의 몰탈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microwave irradiator irradiates the microwave to the molten portion of the waste concrete in which water is absorbed by the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171)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마이크로파의 조사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171)은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된 전류를 기초로 마이크로파을 생성시키는 것으로서,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음극으로 방출되는 열전자가 전자계에 의해 마이크로파을 생성하고,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상기 도파관(172)을 통해 출력하여 상기 폐콘크리트의 몰탈 부분에 공급된 수분을 가열하는 열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분사부(173)는 상기 도파관(172)을 통해 전달된 마이크로파를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기 내부에 고르게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Her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mount of microwave irradiation by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한편, 상기 가열기(170)는 도 6에서 설명한 마이크로파 조사기 이외에 전열선(코일)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는 전열 가열기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가연물(목재, 종이, 섬유재, 플라스틱, 비닐, 합성수지재 등) 및 철재류를 선별하여 분리하고 가연물이 분리된 건설폐기물을 분쇄하여 골재 크기별로 분리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selectively remove combustible materials (wood, paper, fiber material, plastic, vinyl, synthetic resin, etc.) and iron material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The construction waste is crushed and separated by the aggregate size, so that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ol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건설폐기물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건축폐기물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ified by using construction waste,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to various types of construction waste.
110 : 제1 분쇄기 120 : 제1 컨베이어
130 : 이물질 분리기 131 : 물
132 : 폭기조 133 : 송풍기
140 : 제2 분쇄기 150 : 제2 컨베이어
160 : 물 분사기 170 : 가열기
171 : 마그네트론 172 : 도파관
173 : 분사부 180 : 제3 분쇄기
190 : 제1 스크린 200 : 제2 스크린
210 : 제3 컨베이어 220 : 제1 적재함
230 : 제2 적재함 240 : 제3 적재함
250 : 금속 선별기110: first crusher 120: first conveyor
130: Foreign matter separator 131: Water
132: Aeration tank 133: Blower
140: Second crusher 150: Second conveyor
160: water injector 170: heater
171: Magnetron 172: Waveguide
173: jetting part 180: third grinder
190: first screen 200: second screen
210: Third conveyor 220: First loading
230: Second loading box 240: Third loading box
250: Metal separator
Claims (6)
상기 제1 분쇄기에서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120);
상기 제1 컨베이어 중간에 설치되며, 상기 건설폐기물을 담수 또는 송풍으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기(130);
상기 이물질 분리기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물질 분리기에서 배출된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철재류를 센서로 탐지하여 분리하는 금속 선별기(250);
상기 금속 선별기에서 배출된 건설폐기물을 분쇄하는 제2 분쇄기(140);
상기 제2 분쇄기에서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150);
상기 제2 컨베이어 상에서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세척하는 동시에 건설폐기물의 몰탈 부분에 수분을 공급하는 물 분사기(160);
상기 제2 컨베이어 중간에 설치되며, 수분이 흡수된 몰탈 부분을 가열하여 수분의 열팽창에 의해 몰탈 부분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가열기(170);
상기 가열기에서 배출된 건설폐기물을 분쇄하는 제3 분쇄기(180);
상기 제3 분쇄기에서 배출된 건설폐기물을 선별 분리하는 제1 스크린(190); 및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한 건설폐기물을 선별 분리하는 제2 스크린(200);을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분리기(130)는 내부에 소정 높이의 물이 채워지고 하부에 폭기조가 설치된 수조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조 내부의 물속을 통과하도록 상기 제1 컨베이어가 역 사다리꼴 또는 오목 형상으로 구성된 제1 구성과, 상기 제1 컨베이어 상부에 설치된 송풍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제2 구성과, 상기 제1 컨베이어가 높이가 다른 2개의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컨베이어 사이에 낙하하는 건설폐기물에 송풍기의 바람으로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제3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가열기(170)는 전열선(코일)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는 전열 가열기와,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설폐기물에 흡수된 수분을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조사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
A first crusher (110) for crushing construction waste;
A first conveyor (120) for conveying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in the first crusher;
A foreign matter separator 130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conveyor for separating the construction waste into fresh water or blown air;
A metal separator (250)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or, for detecting and separating iron materials contained in the construction waste discharged from the foreign material separator;
A second crusher (140) for crushing the construction waste discharged from the metal separator;
A second conveyor (150) for conveying the pulverized construction waste in the second pulverizer;
A water injector (160) for wash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construction waste on the second conveyor and supplying water to the morta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waste;
A heater 170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econd conveyor and heating the molten portion absorbed moisture to generate cracks in the molten portion due to thermal expansion of moisture;
A third crusher 180 for crushing the construction waste discharged from the heater;
A first screen 190 for selectively separating the construction waste discharged from the third crusher; And
And a second screen (200) for screening and separating construction wast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screen,
The foreign material separator 130 has a water tank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 aeration tank, and the first conveyor is configured to have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or a concave shape so as to pass through water in the water tank. A second structure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by using a blower installed on the first conveyor, and a second structure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by using a blower installed on the first conveyor, and a second construction in which the first conveyor is composed of two conveyors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a third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nstruction waste by the wind of the blower in the waste,
The heater 170 may be any one of an electrothermal heater that generates heat using a heating coil and a microwave irradiator that heats the moisture absorbed in the construction waste by irradiating the microwave.
Equipment for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기는: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171);
상기 마그네트론(171)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도파관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건설폐기물에 분사시키는 분사부(173); 및
상기 마그네트론(171)의 전류 량을 제어하여 마이크로파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wave irradiator comprises:
A magnetron 171 for generating microwaves;
A jetting part 173 for receiving microwaves generated in the magnetron 171 through a wave guide and injecting the microwaves into the construction was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microwav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magnetron 171;
And a recycle processing unit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b) 상기 제1 컨베이어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면서 이물질 분리기를 통해 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제1 컨베이어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면서 금속 선별기를 통해 철재류를 센서로 탐지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제2 분쇄기로 분쇄한 후 제2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단계;
(e) 상기 제2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건설폐기물에 분사기로 물을 분사하여 몰탈 부분에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f) 상기 제2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건설폐기물의 몰탈 부분을 가열기로 가열하여 수분의 열팽창에 의해 몰탈 부분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g) 상기 제2 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제3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h) 상기 제3 분쇄기에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제1 스크린을 통해 선별 분리하여 제1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
(i)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한 건설폐기물을 제2 스크린을 통해 선별 분리하여 제2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 및
(j) 상기 제1 및 제2 스크린을 모두 통과한 건설폐기물을 제3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이물질 분리기는 상기 제1 컨베이어가 수조의 물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f)단계에서 상기 가열기는 전열선(코일)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설폐기물에 흡수된 수분을 가열하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방법.
(a) crushing the construction waste with a first crusher and transferring the crusher to a first conveyor;
(b)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separator while transferring the construction waste to the first conveyor;
(c) detecting and separating the iron material from the iron material through the metal separator while transferring the construction waste to the first conveyor;
(d) transporting the construction waste discharged from the first conveyor to the second conveyor after crushing the construction waste with the second crusher;
(e) spraying water onto the construction waste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to supply water to the mortar portion;
(f) heating the morta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waste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with a heater to generate cracks in the mortar portion by thermal expansion of water;
(g) crushing the construction waste discharged from the second conveyor with a third crusher;
(h) selectively separating the construction waste discharged from the third crusher through a first screen and loading the separated construction waste into a first loading box;
(i) selectively separating the construction waste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screen through a second screen, and loading the separated construction waste into a second loading box; And
(j) loading the construction waste having passed both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onto a third load,
In the step (b), the first conveyor removes foreign substances while passing water through the water tank, or removes foreign matter using a blower,
In the step (f), the heater generates heat using a heating wire (coil) or heats the moisture absorbed in the construction waste by irradiating the microwave.
Recycling treatment of construction was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6170A KR101263128B1 (en) | 2011-08-29 | 2011-08-29 |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6170A KR101263128B1 (en) | 2011-08-29 | 2011-08-29 |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2280A KR20110102280A (en) | 2011-09-16 |
KR101263128B1 true KR101263128B1 (en) | 2013-05-15 |
Family
ID=4495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6170A KR101263128B1 (en) | 2011-08-29 | 2011-08-29 |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312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1401B1 (en) * | 2014-04-17 | 2014-11-14 | 주식회사 서원건설산업 | Apparatus for crushed auto supply of speed cone-crusher for the Production of cyclic Aggregate of waste concrete |
KR101732689B1 (en) * | 2015-09-18 | 2017-05-04 | (주)조양 | Recycling disposal system of disused car-leavings and recycling disposal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950079A (en) * | 2014-04-27 | 2014-07-30 | 苏州创维晟自动化科技有限公司 | Wood chip cru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
NO340645B1 (en) * | 2015-11-03 | 2017-05-22 | Vartdal Plastindustri As | Apparatus and process for recycling building materials |
CN107469994A (en) * | 2017-08-10 | 2017-12-15 | 广西奥淼环保科技有限公司仙桃分公司 | A kind of house refuse refining-sorting system |
CN107617481A (en) * | 2017-09-20 | 2018-01-23 | 董中浩 | A kind of multifunctional feed processing plant equipment with impurity removal function |
CN108246775A (en) * | 2018-02-08 | 2018-07-06 | 衢州学院 | A kind of garbage disposer |
KR101956741B1 (en) * | 2018-07-20 | 2019-03-11 | 박만석 | Method of Sand Manufacturing using Aggregate Crushing Materials |
CN111068839A (en) * | 2019-12-26 | 2020-04-28 | 湖州扬清环境科技有限公司 | Waste material reducing mechanism of building structures |
KR102292965B1 (en) * | 2020-11-20 | 2021-08-23 | 윤일중 | Toner Recovery Apparatus from Waste-Cartridge and Toner Recovery Method from Waste-Cartridge Using the Same |
KR102292963B1 (en) * | 2020-11-20 | 2021-08-23 | 윤일중 | Recovery and Treatment Apparatus of Toner from Waste-Cartridge and and Recovery and Treatment Method of Toner Using the Same |
KR102352367B1 (en) * | 2021-02-03 | 2022-01-17 | 윤일중 | Apparatus of Seperating Labels from Plastic Waste and Plastic Recovery Method from Plastic Waste Using the Same |
CN113441523B (en) * | 2021-06-30 | 2023-01-17 | 宁夏大诚至信新型建筑材料有限公司 | Construction waste recovery equip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0486B1 (en) * | 2004-05-07 | 2005-02-07 |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ggregate crushing construction waste |
KR100649953B1 (en) * | 2004-08-27 | 2006-11-27 | 유한회사 그린산업 | Aggregate and soil production equipment using construction waste |
-
2011
- 2011-08-29 KR KR1020110086170A patent/KR10126312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0486B1 (en) * | 2004-05-07 | 2005-02-07 |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ggregate crushing construction waste |
KR100649953B1 (en) * | 2004-08-27 | 2006-11-27 | 유한회사 그린산업 | Aggregate and soil production equipment using construction wast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1401B1 (en) * | 2014-04-17 | 2014-11-14 | 주식회사 서원건설산업 | Apparatus for crushed auto supply of speed cone-crusher for the Production of cyclic Aggregate of waste concrete |
KR101732689B1 (en) * | 2015-09-18 | 2017-05-04 | (주)조양 | Recycling disposal system of disused car-leavings and recycling disposal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2280A (en) | 2011-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3128B1 (en) |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 |
KR100235319B1 (en) | Recycling techniques of construction waste meterial | |
KR100850762B1 (en) | Dust seperating method and the apparatus using improved structure of motor-screen | |
KR100981949B1 (en) | Waste Earth Reclaimer | |
CN201150926Y (en) | Builders rubbish comprehensive processing and utilizing system | |
KR101479188B1 (en) | The foreign material sorting apparatus which i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 |
KR101825267B1 (en) | Massive fuelization sorting system for reclaimed combustible waste based on natural drying process | |
JP3052126U (en) |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equipment | |
KR100959838B1 (en) | Sorting system and method of recycle material from construction waste | |
CN204294609U (en) | A kind of fixed building rubbish process for producing line | |
KR100765852B1 (en) |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Equipment | |
KR102138869B1 (en) | System for assorting gravels and sand | |
KR100688123B1 (en) | Screening treatment method of construction waste and its device | |
CN201423382Y (en) | Mobile construction waste disposal device | |
KR200429372Y1 (en) |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system | |
KR10093147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separating flammables from construction waste by using water and pressurized air | |
KR102178019B1 (en) | Rotary sorting device that selects non-combustible materials and combustible materials | |
KR100595006B1 (en) |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System | |
KR100749830B1 (en) |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Equipment | |
KR100533737B1 (en) | Foreign material removal system for using cyclone from construction waste | |
KR2010012821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separating flammables from construction waste by using water and pressurized air | |
KR102051412B1 (en) | Apparatus for Recycling of Concrete Scrapped Material | |
KR100393650B1 (en) | Apparatus for separatar waste materials | |
KR100570319B1 (en) |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Equipment | |
KR20220045526A (en) | Apparatus for Recycling of Concrete Scrapped Material including Waste Wo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