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588B1 -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588B1
KR101260588B1 KR1020110021006A KR20110021006A KR101260588B1 KR 101260588 B1 KR101260588 B1 KR 101260588B1 KR 1020110021006 A KR1020110021006 A KR 1020110021006A KR 20110021006 A KR20110021006 A KR 20110021006A KR 101260588 B1 KR101260588 B1 KR 101260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swing arm
rear wheel
width dir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709A (ko
Inventor
아키라 나가쿠보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5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3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for cycles without a pedal crank, e.g.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05Brakes; Arrangements there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brake elements, e.g. fastening of brake blocks in thei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62J45/412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5/00Brakes, or actuating mechanisms therefor, controlled by back-pedalling
    • B62L5/003Brakes, or actuating mechanisms therefor, controlled by back-pedalling the brakes being arranged apart from the rear wheel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개수를 절감하면서 스윙 아암에 설치되는 배관을 보호할 수 있게 한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를 제공한다.
후륜(26)의 전방 및 상측의 일부를 덮는 전방 리어 펜더(151)가, 스윙 아암(35)에 마련되고, 스윙 아암(35) 상면에 배치된 브레이크 배관(103)을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우측 커버부(154)를 갖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BRAKE DEVICE OF SADDLE TYPE VEHICLE}
본 발명은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이륜차의 후륜용 제동 장치에는, 브레이크 캘리퍼와 마스터 실린더를 접속하는 브레이크 배관을 스윙 아암의 상면에 배치하고, 이 상면에 배치된 브레이크 배관을 덮어 가동 범위를 규제하는 호스 가이드를 마련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등록 실용 신안 제2519822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구조는 호스 가이드를 별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증가하여 버린다. 이 부품 개수의 증대를 회피하기 위해 호스 가이드를 막았다고 하면, 브레이크 배관이 외관에 노출되어, 브레이크 배관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해 배관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생겨, 중량이 증가하여 버린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품 개수를 삭감하면서 스윙 아암에 설치되는 배관을 보호할 수 있게 한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2)과, 차체 프레임(2)에 요동 가능하게 현가되는 스윙 아암(35)과, 스윙 아암(35)의 자유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26)과, 스윙 아암(35)의 자유단측에 배치되는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와, 스윙 아암(35)의 축 지지부 근방에서 차체 프레임(2)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조작자(81)와, 스윙 아암(35) 상면에 배치되며, 브레이크 조작자(81)의 브레이크 조작을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에 전달하는 브레이크 배관(103)을 구비하는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로서, 상기 후륜(26)의 전방 및 상측의 일부를 덮는 커버(151)를 구비하고, 이 커버(151)는, 상기 스윙 아암(35)에 마련되며,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을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배관 커버부(154)를 갖는 커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후륜의 전방 및 상측의 일부를 덮는 커버는, 스윙 아암의 상면의 브레이크 배관을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배관 커버부를 갖는 커버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윙 아암의 상면의 브레이크 배관을, 부품 개수를 삭감하면서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커버(151)는, 후륜(26)의 접지면에 대향하는 후륜 커버부(152)와 상기 배관 커버부(154)를 구비하고, 상기 배관 커버부(154)의 차폭 방향 외측면은, 상기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면과 차폭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에서, 후륜(26)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의 전방까지,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의 차폭 방향 외측을 덮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배관 커버부의 차폭 방향 외측면은, 스윙 아암의 차폭 방향 외측면과 차폭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에서, 후륜의 전방으로부터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의 전방까지 브레이크 배관의 차폭 방향 외측을 덮기 때문에, 브레이크 배관의 보호를, 브레이크 배관이 노출하는 영역에서 행할 수 있으며, 배관 커버부와 스윙 아암의 일체감을 창출하여,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에, 상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 스테이(165)를 마련하며, 상기 지지 스테이(165) 내측의 상기 스윙 아암(35) 상면에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을 배치하고,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의 차폭 방향 내측의 스윙 아암(35) 상면에, 차폭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을 로킹하는 로킹부(164)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브레이크 배관은, 차폭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는 로킹부에서 로킹되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으로 브레이크 배관을 로킹할 수 있다. 또한, 로킹부로부터 브레이크 배관이 이탈하는 측에, 지지 스테이가 위치하기 때문에, 지지 스테이를, 브레이크 배관의 이탈 방지부로서 겸용시킬 수 있어, 부품 개수를 보다 삭감하여,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후륜 커버부(152)의 외측 가장자리(152R)와 상기 배관 커버부(154)의 외측 가장자리(154R)에는, 상면에서 보아 전방으로 볼록한 절결부(155)가 형성되고, 상기 스윙 아암(35) 상면의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은, 상기 절결부(155)를 통과하여 상기 스윙 아암(35)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브레이크 배관은, 후륜 커버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배관 커버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형성되며 상면에서 보아 전방으로 볼록한 절결부를 통과하여, 스윙 아암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절결부에 브레이크 배관과 커버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브레이크 배관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는, 상기 스윙 아암(35)의 상측이면서 후륜 축(26A)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관 커버부(154)가, 상기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와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의 조인트부(125A)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배관 커버부는. 스윙 아암의 상측이면서 후륜 축의 전방에 배치되는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배관의 조인트부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기 때문에,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배관을 덮는 배관 커버부의 영역을 가급적 적게 할 수 있으며, 배관 커버부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후륜(26)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차륜 속도 센서(116)를 구비하고, 이 차륜 속도 센서(116)로부터 연장되는 배선(132)을 상기 배관 커버부(154)로 덮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배관 커버부를, 차륜 속도 센서의 배선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로 겸용할 수 있으며, 부품 개수를 늘리는 일 없이 배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는, 유압 제동 장치이며, 상기 브레이크 조작자에 연결되는 마스터 실린더(84)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84)에 접속되는 예비 탱크(171)를 가지고, 상기 예비 탱크(171)는, 높이 방향의 길이를 최대로 하고, 차폭 방향의 길이를 최소로 하며, 상기 커버(151)의 차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스윙 아암(35)이 상측으로 요동하였을 때에 상기 커버(151)와 측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비 탱크는, 높이 방향의 길이를 최대로 하고, 차폭 방향의 길이를 최소로 하며, 커버의 차폭 방향 외측에서, 스윙 아암이 상측으로 요동하였을 때에 커버와 측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커버가 브레이크 배관의 차폭 방향 외측을 덮는 형상이어도, 예비 탱크를 차폭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오게 하지 않고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륜의 전방 및 상측의 일부를 덮는 커버가, 스윙 아암의 상면의 브레이크 배관을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배관 커버부를 갖는 커버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윙 아암의 상면의 브레이크 배관을, 부품 개수를 삭감하면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배관 커버부의 차폭 방향 외측면이, 스윙 아암의 차폭 방향 외측면과 차폭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에서, 후륜의 전방으로부터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의 전방까지 브레이크 배관의 차폭 방향 외측을 덮도록 하면, 브레이크 배관의 보호를, 브레이크 배관이 노출되는 영역에서 행할 수 있어, 배관 커버부와 스윙 아암의 일체감을 창출하여,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윙 아암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에, 상측으로 연장하여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 스테이를 마련하며, 이 지지 스테이 내측의 스윙 아암의 상면에 브레이크 배관을 배치하고, 이 브레이크 배관의 차폭 방향 내측의 스윙 아암의 상면에, 차폭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어, 브레이크 배관을 로킹하는 로킹부를 마련하도록 하면, 간이한 구성으로 브레이크 배관을 로킹할 수 있고, 지지 스테이를, 브레이크 배관의 이탈 방지로서 겸용시킬 수 있어, 부품 개수를 보다 삭감하며,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륜 커버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배관 커버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상면에서 보아 전방으로 볼록한 절결부를 형성하고, 스윙 아암의 상면의 브레이크 배관이, 절결부를 통과하여 스윙 아암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면, 절결부에 의해 브레이크 배관과 커버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브레이크 배관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가 스윙 아암의 상측이면서 후륜 축의 전방에 배치되고, 배관 커버부가,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배관의 조인트부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하면,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배관을 덮는 배관 커버부의 영역을 가급적 적게 할 수 있어, 배관 커버부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륜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차륜 속도 센서로부터 연장되는 배선을 배관 커버부로 덮도록 하면, 배관 커버부를, 차륜 속도 센서의 배선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로 겸용할 수 있어, 부품 개수를 늘리는 일 없이 배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가 갖는 예비 탱크가, 높이 방향의 길이를 최대로 하고, 차폭 방향의 길이를 최소로 하며, 커버의 차폭 방향 외측에서, 스윙 아암이 상측으로 요동하였을 때에 커버와 측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면, 커버가 브레이크 배관의 차폭 방향 외측을 덮는 형상이어도, 예비 탱크를 차폭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오게 하지 않고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자동 이륜차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차체 프레임을 제동 구조와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동 장치를 주변 구성과 함께 차체 상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제동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차체 후방부를 우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차체 후방부를 상측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 중, 전후 좌우 및 상하라고 하는 방향의 기재는, 특별히 기재가 없으면 차체에 대한 방향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이륜차(1)의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자동 이륜차(1)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차체 프레임(2)을 제동 구조와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자동 이륜차(1)의 차체 프레임(2)은, 그 전단부에 배치된 헤드 파이프(11)와, 헤드 파이프(11)의 상부 좌우로부터 후방 하측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2)과, 헤드 파이프(11)의 하부 좌우로부터 메인 프레임(12)의 하측에서 후방 하측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다운 프레임(13)(도 3 참조)과, 메인 프레임(12)의 후방부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시트 레일이라고도 말함)(14)(도 3 참조)과, 메인 프레임(12)의 후방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피봇 플레이트(15)를 구비하고 있다.
차체 프레임(2)은, 또한, 피봇 플레이트(15)의 상부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리어 프레임(14)에 각각 접속되는 좌우 한 쌍의 보강용 리어 프레임(17)(도 3 참조)과, 메인 프레임(12)과 다운 프레임(13) 사이를 가교하는 복수개의 보강 프레임(18)(도 3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헤드 파이프(11)는, 전륜(19)을 조타하는 조타 장치(20)를 지지하고 있다. 조타 장치(2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파이프(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티어링 스템(21)과, 스티어링 스템(21)의 하부에 고정된 하측 브릿지 부재(보텀 브릿지라고도 말함)(22) 및 상부에 고정된 상측 브릿지 부재(탑 브릿지라고도 말함)(23)와, 상하의 브릿지 부재(22, 23)에 지지된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포크(24)와, 상측 브릿지 부재(23)에 부착된 핸들(25)을 구비하고,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의해 프론트 포크(24)의 하단부에 지지된 전륜(19)을 좌우로 조향시킨다.
메인 프레임(12)은, 내연 기관인 엔진(31), 연료 탱크(32) 및 이들 주요 부품의 주변 부품을 지지하는 프레임이며, 엔진(31)은, 메인 프레임(12)의 하측, 다운 프레임(13)의 후방이면서 피봇 플레이트(15)의 전방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엔진(31)은, 차체 프레임(2)의 전후 중앙 하부에 현가된다.
이 엔진(31)의 크랭크 케이스(31A)의 좌측 후방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출력축(31B)이 마련된다. 이 엔진 출력축(31B)과 후륜(26)은, 드라이브 체인(이하, 체인이라고 함)(34)을 통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체인(34)을 통해 엔진(31)의 동력이 후륜(26)에 전달된다.
피봇 플레이트(15)에 있어서의 상하 중간부에는, 좌우 한 쌍의 스윙 아암(35)의 전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피봇 축(36)이 관통되어 지지된다. 이 피봇 축(36)은, 차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스윙 아암(35)을 피봇 축(36)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스윙 아암(35)과 차체 프레임(2)의 사이에는 단일의 리어 쿠션(37)(도 1 참조)이 삽입 개재된다.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14)은, 운전자가 착석하는 탑승자용 시트(41)와, 동승자가 착석하는 탑승자용 시트(42)를 전후로 간격을 두고 지지하며, 탑승자용 시트(42)의 후방에 후방 리어 펜더(43)나 후방 등화류(44) 등을 지지한다.
운전자용의 탑승자용 시트(41)의 전방에는, 연료 탱크(32)가 배치되고, 이 연료 탱크(32)의 하측에 엔진(31)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2)의 피봇 플레이트(15) 이외의 주요 프레임[헤드 파이프(11), 메인 프레임(12), 다운 프레임(13), 리어 프레임(14), 보강용 리어 프레임(17)]은, 구리재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금속 파이프로 형성되고, 피봇 플레이트(15)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자동 이륜차(1)는, 차체를 덮는 차체 카울(차체 커버라고도 말함)(60)을 구비하고 있다.
차체 카울(60)은, 차체의 대략 전체를 덮는 풀 카울링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고, 차체 전방부를 덮는 프론트 카울(61)과, 이 프론트 카울(61)에 연속하여 설치되며 차체 좌우를 덮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카울(62)과, 차체 하측을 덮는 하부 카울(63)과, 차체 후방부를 덮는 좌우 한 쌍의 리어 카울(64)을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카울(61)은, 헤드 파이프(11) 및 메인 프레임(12)의 전방에 마련되고, 헤드 라이트(66), 윈도우 스크린(67) 및 좌우 한 쌍의 백 미러(68) 등이 부착된다.
사이드 카울(62)은, 프론트 카울(61)에 연결되고, 차체 프레임(2)의 전방부 좌우나 엔진(31)의 전방부[실린더부(31C)]의 좌우를 덮는다. 하부 카울(63)은, 사이드 카울(62)의 하부에 연결되고, 엔진(31)의 크랭크 케이스(31A)의 하측을 덮는다.
이 엔진(31)의 실린더부(31C) 후방에는, 엔진 흡기계가 배치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2)의 후방 하측이면서 후륜(26)의 측방(우측)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플러(69)가 배치되고, 이 머플러(69)의 전단과 엔진(31)의 실린더부(31C)의 사이에 배기관(70)이 접속되며, 이 배기관(70)과 머플러(69)에 의해 엔진 배기계가 구성된다.
또한, 도면 중, 부호 71은 운전자가 발을 두는 좌우 한 쌍의 메인 스텝이며, 부호 72는 전륜(19)의 상측을 덮는 프론트 펜더이다.
이 자동 이륜차(1)는, 유압식의 제동 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제동 장치(80)를 주변 구성과 함께 차체 상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5는 제동 장치(80)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동 장치(80)는, 핸들(25)에 부착된 브레이크 조작자로서의 브레이크 레버(81)와, 이 브레이크 레버(81)의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액압(유압)을 발생시키는 레버측 마스터 실린더(82)와, 메인 스텝(71) 근방에 부착된 브레이크 조작자로서의 브레이크 페달(83)과, 이 브레이크 페달(83)의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액압(유압)을 발생시키는 페달측 마스터 실린더(84)와, 페달측 마스터 실린더(84)에 각각 입력용 브레이크 배관인 배관(86, 87)으로 접속된 ABS 모듈레이터(88)와, 이 ABS 모듈레이터(88)에 전륜 출력용 브레이크 배관인 배관(91, 92, 107, 109)으로 접속된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프론트 브레이크 장치)(101)와, ABS 모듈레이터(88)에 후륜 출력용 브레이크 배관으로서의 배관(103∼105)으로 접속된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리어 브레이크 장치)(10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동 장치(80)는,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에 접속되는 배관(103)의 도중에 마련되는 프레셔 컨트롤 밸브(이하, PCV라고 함)(106)와,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101) 및 ABS 모듈레이터(88)의 각각을 접속하는 출력용 브레이크 배관으로서의 배관(107)의 도중에 마련되는 딜레이 밸브(DV)(108)와, 전륜(19)의 회전 속도(차륜 속도)를 검출하는 전륜 차륜 속도 센서(113)와, 후륜(26)의 회전 속도(차륜 속도)를 검출하는 후륜 차륜 속도 센서(116)와, 이들 차륜 속도 센서(113, 11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ABS 모듈레이터(88)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18)를 구비하고 있다.
ABS 모듈레이터(88)는, 제어 장치(118)의 제어하에서,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101) 및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의 브레이크 액압을 제어함으로써 각 브레이크 장치(101, 102)의 제동력을 제어하고, 전륜(19) 및 후륜(26)이 로킹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동력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이 ABS 모듈레이터(88)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을 가지고, 지지 스테이(88A)를 통하여 차체 프레임(2)에 부착되며, 후륜(26)의 전방 상부를 덮는 전방 리어 펜더(151)의 전방이면서, 리어 쿠션(37)의 후방에 있어서, 탑승자용 시트(41) 하측이면서, 스윙 아암(35)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 ABS 모듈레이터(88)는, 전동 모터, 이 전동 모터로 구동되는 펌프, 이 펌프에 접속되는 복수의 브레이크액 통로, 이들 브레이크액 통로의 도중에 마련된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구비하기 때문에, 비교적 중량을 갖는 중량 부품이다. 이 중량 부품을 상기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자동 이륜차(1)의 전단이나 후단에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자동 이륜차(1)의 매스의 집중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101)는, 유압 제동 장치를 구성하는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19)의 측방(우측 측방)에 부착되어 전륜(19)과 일체로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121)와, 이 브레이크 디스크(121)를 사이에 끼워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캘리퍼(122)를 구비한다. 이 자동 이륜차(1)는, 전륜(19)의 편측(우측)에만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를 구비한 싱글 디스크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캘리퍼(122) 내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디스크(121)에 브레이크 패드를 압박하는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실린더(122a, 122b)가 형성되고, 각 실린더(122a, 122b)에는, 배관(92, 109)이 접속된다.
여기서,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101)에 접속되는 배관(92, 109)은, 전륜(19)의 조향을 따를 수 있도록, 고무 호스 등의 가요성을 갖는 브레이크 호스가 이용된다. 이들 브레이크 호스의 배관(92, 109)은 차체 프레임(2)측에 마련된 전방 브레이크 출력측 조인트부(200)를 통하여 차체 프레임(2)측에 배치된 금속 파이프인 배관(91, 107)에 접속된다.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는, 유압 제동 장치를 구성하는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이며, 후륜(26)의 측방(우측 측방)에 부착되어 후륜(26)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124)와, 이 브레이크 디스크(124)를 사이에 끼워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캘리퍼(125)를 구비하며, 브레이크 캘리퍼(125) 내에는, 브레이크 디스크(124)에 브레이크 패드를 압박하는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단일의 실린더(125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의 실린더(125a)에 접속되는 배관(103)으로는, 후륜의 상하 이동을 따를 수 있도록, 고무 호스 등의 가요성을 갖는 브레이크 호스가 이용된다.
PCV(106)는,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에 접속되는 배관(103)의 브레이크 액압을 제어하는 연동 브레이크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이 PCV(106)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83)이 조작된 경우에,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의 제동력을 조정하며,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의 작동에 연동시켜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101)를 작동시키고, 전후륜 연동 브레이크를 실행시킨다.
딜레이 밸브(108)는,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101)의 작동 타이밍을 조정하는 전륜용 브레이크 컨트롤 장치로서 기능하고, 이 전륜용 브레이크 컨트롤 장치에 의해, 전후륜 연동 브레이크를 행하는 경우에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101)측에의 브레이크 액압의 공급을,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측보다도 늦어지게 한다.
전륜 차륜 속도 센서(113)는, 전륜(19)의 측방(우측)에 부착된 펄서 링(114)(도 2 참조)을 이용하여 전륜 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이 전륜 차륜 속도 센서(113)로부터 연장되는 배선(131)은, 제어 장치(118) 및 ABS 모듈레이터(88)에 접속되고, 이 센서(113)의 출력 신호가 제어 장치(118) 및 ABS 모듈레이터(88)에 출력된다.
후륜 차륜 속도 센서(116)는, 후륜(26)의 측방(우측)에 부착된 펄서 링(117)(도 2 참조)을 이용하여 후륜 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이 후륜 차륜 속도 센서(116)로부터 연장되는 배선(132)은, 제어 장치(118)에 접속되고, 이 센서(116)의 출력 신호가 제어 장치(118)에 출력된다.
제어 장치(118)는, 전륜 차륜 속도 센서(113)와 후륜 차륜 속도 센서(11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전륜 속도와 후륜 속도를 취득하고, 전륜 속도와 후륜 속도의 차에 기초하여 전후륜이 슬립하지 않도록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101) 및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를 제어한다.
즉, 이 자동 이륜차(1)의 제동 장치(80)에서는, 브레이크 페달(83)이 조작된 경우, 페달측 마스터 실린더(84)가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고, 이 브레이크 액압이 배관(87)을 경유하여 ABS 모듈레이터(88)에 공급된다.
이 경우, ABS 모듈레이터(88)는, ABS 모듈레이터(88)로부터의 브레이크 액압을, 배관(103)에 공급함으로써,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를 작동시키며, ABS 모듈레이터(88)로부터의 브레이크 액압을, 유연성 브레이크 호스인 배관(107)에 공급함으로써, 딜레이 밸브(108)를 통하여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101)의 실린더(122b)에 브레이크 액압을 공급하고,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101)를 작동시킨다.
즉,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101)와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전후 연동 브레이크가 실행된다.
이 브레이크 시에는, 제어 장치(118)는, 전륜 속도와 후륜 속도를 감시하고, 전륜(19) 및 후륜(26)이 로킹되지 않도록 ABS 모듈레이터(88)로부터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한다.
한편, 브레이크 레버(81)가 조작된 경우에는, 레버측 마스터 실린더(82)가 브레이크 레버(81)의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고, 이 브레이크 액압이 배관(86)을 경유하여 ABS 모듈레이터(88)에 공급된다.
이 경우, ABS 모듈레이터(88)는, ABS 모듈레이터(88)로부터의 브레이크 액압을 금속 파이프인 배관(91)에 공급함으로써, 브레이크 액압을, 유연성 브레이크 호스인 배관(92)을 통하여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101)의 실린더(122a)에 공급하여, 전륜용 브레이크 장치(101)를 작동시킨다.
이 브레이크 레버(81)의 조작 시에 전후 연동 브레이크를 행하는 경우에는, ABS 모듈레이터(88)는, ABS 모듈레이터(88)로 조정된 브레이크 액압을 배관(103)에 공급하여,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를 작동시킨다.
이 브레이크 시에도, 제어 장치(118)는, 전륜 속도와 후륜 속도를 감시하고, 전륜(19) 및 후륜(26)이 로킹되지 않도록 ABS 모듈레이터(88)로부터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한다.
도 6은 차체 후방부를 우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7은 상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에 접속되는 가요성 고무 호스로 이루어지는 배관(103)은, 좌우 한 쌍의 스윙 아암(35) 중,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가 설치되는 측(우측)의 스윙 아암(35)의 상면(35T)에 배치된다.
이 배관(103)이 접속되는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의 브레이크 캘리퍼(125)는, 우측의 스윙 아암(35)의 상측이면서 후륜 축(26A)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배관(103)이 접속되는 조인트부(125A)는, 브레이크 캘리퍼(125)로부터 전방 상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배치가 된다.
이 배관(130)의 일단(후단)(35R)은, 조인트부(125A)에 대하여, 배관 연결 부재(126)에 의해 연결되고, 이 조인트부(125A)로부터 전방 하향으로 경사져 가동 배관부로서 기능하는 전방 하향 배관부(103A)를 형성하도록 스윙 아암의 상면(35T)을 향하여 연장된 후, 스윙 아암의 상면(35T)의 전후 중간 위치에 마련된 클램프 부재(161)와, 스윙 아암의 상면(35T)의 전방에 마련된 로킹부(164)에 의해, 스윙 아암(35)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배관부(103B)를 형성하도록 스윙 아암의 상면(35T)에 지지된다.
여기서. 배관(103)의 일단(35R)은, 배관 연결 부재(125B)의 축선(LF)(도 6 참조)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일단(35R)측의 전방 하향 배관부(103A)가, 배관(103) 자체의 유연성으로 가동 가능한 가동 배관부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캘리퍼(125)는, 편측 압박식으로 브레이크 작동 등에 의해 조인트부(125A)가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나, 체인 조정[스윙 아암(35)에 대한 후륜 축(26A)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였기 때문에, 조인트부(125A)가 상대 이동한 경우에, 배관(103)의 일단(35R)측의 방향을 따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배관(103)의 일단(35R)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자유롭게 회동하였다고 하면, 배관(103)의 전방 하향 배관부(103A)가, 차폭 방향 외측으로 크게 튀어나와 버릴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구성에서는, 브레이크 캘리퍼(125)측에, 배관(103)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회동 한계를 규정하는 회전 방지 부재(125C)(도 6 참조)를 마련하고, 이 회전 방지 부재(125C)에 의해, 배관(103)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위치까지는 회전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161)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스윙 아암의 상면(35T)에 고정되는 통형상의 배관 유지 부품이며, 본 구성에서는, 배관(103)에 씌워진 배관 보호 부품인 나일론 프로텍터(163)를 유지한다.
이 나일론 프로텍터(163)는, 나일론제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구부러지지 않는 강체의 통부품이며,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배관(103)의 전방 하향 배관부(103A)는 덮지 않으며, 배관(103)의 직선 배관부(103B)만을 덮는다. 즉, 배관(103)은, 나일론 프로텍터(163)에 의해 직선형으로 유지된다.
이 나일론 프로텍터(163)는, 전후 방향에서,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의 전방으로부터 후륜(26)의 전방까지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면에서 보아, 후륜(26)의 휠 림(26R) 근방으로부터 후륜(26)의 접지면(트레드면이라고도 말함)(26S) 전방까지 연장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나일론 프로텍터(163)가 후륜(26)의 휠 림(26R) 근방으로부터 접지면(26S) 전방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면, 후륜(26)측으로부터의 비산물(물이나 진흙 등)이 배관(103)에 부착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로킹부(164)는, 용접 등에 의해 스윙 아암의 상면(35T)의 기단측(축 지지측)에 고정되고, 배관(103) 및 배관(103)을 덮는 나일론 프로텍터(163)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로킹 부품이다.
이 로킹부(164)는, 금속제의 철사 부재를 구부려 형성되고, 스윙 아암(35)에 고정되는 기단측을 기준으로,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로킹부(164)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가 배관(103)의 직경보다 작은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스윙 아암의 상면(35T)과 이격되어 개방되는 개방부(164B)(도 7 참조)를 갖고 있다.
또한, 개방부(164B)보다 차폭 방향 내측에는,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형으로 만곡하는 걸림부(164A)를 갖고 있고, 이 걸림부(164A)에 배관(103) 및 나일론 프로텍터(163)를 통과시킴으로써, 로킹하고 있다.
걸림부(164A)와 배관(103)의 접촉면은, 나일론 프로텍터(163)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이 배관(103)은, 나일론 프로텍터(163)보다도 전방에서는, 상측 방향으로 만곡되는 만곡 배관부(103C)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만곡 배관부(103C)를 통하여, 스윙 아암(35) 상측에 배치된 PCV(106)에 접속된다.
스윙 아암(35)의 요동에 따라, 만곡 배관부(103C)가 휨으로써, 배관(103)이 스윙 아암(35)을 따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윙 아암의 상면(35T)에 배치되는 배관(103)에 대해서, 항상 스윙 아암의 상면(35T)에 대하여 일정한 한 곳에 배치되게 하여,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체인(34)의 신장 조정 등과 같이 후륜 축(26A)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클램프 부재(161) 및 로킹부(164)는, 배관(103)의 길이 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배관(103)은, 스윙 아암(35)의 자유단측(후단측)에서 브레이크 캘리퍼(125)로부터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전방 하향 배관부(103A)와, 스윙 아암의 상면(35T)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배관부(103B)와, 스윙 아암(35)의 축 지지단측(전단측)에서 상측으로 만곡되는 만곡 배관부(103C)를 갖도록 배치되며, 직선 배관부(103B)가 나일론 프로텍터(163)로 보호된다.
이 구성에서는, 전방 하향 배관부(103A)를 자유롭게 가동할 수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캘리퍼(125)가 편측 압박식으로 브레이크 작동 시에 조인트부(125A)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이동한 경우나, 체인 조정한 경우에, 배관(103)을 가동시켜 추종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윙 아암(35)의 축 지지단측(전단측)에 만곡 배관부(103C)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스윙 아암(35)의 상하의 요동에 맞추어 배관(103)을 따르게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구성의 자동 이륜차(1)에서는, 상기 배관(103)의 외관 노출을 회피하기 위해 후륜(26)의 전방 상부를 덮는 전방 리어 펜더(151)를, 배관(103)을 덮는 커버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전방 리어 펜더(151)는, 합성 수지제의 커버 부품이며,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륜(26)의 접지면(26S)에 대향하여 후륜(26)으로부터의 물이나 진흙이 차체측에 부착하는 것을 차단하는 후륜 커버부(152)와, 이 후륜 커버부(152)로부터 차폭 방향 우측으로 팽출하여 우측의 스윙 아암(35) 상측의 배관(103)을 덮는 배관 커버부로서 기능하는 우측 커버부(154)와, 이 후륜 커버부(152)로부터 차폭 방향 좌측으로 팽출하는 좌측 커버부(156)를 일체로 갖고 있다.
이 전방 리어 펜더(151)는, 우측 커버부(154)를 우측의 스윙 아암(35)에 부착하고, 좌측 리어 펜더(156)를 좌측의 스윙 아암(35)에 부착함으로써, 좌우의 스윙 아암(35)에 부착되고, 스윙 아암(35)과 일체적으로 상하로 요동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륜 커버부(152)는, 스윙 아암(35)의 상측에서, 후륜(26)의 접지면(26S)과 보강용 리어 프레임(17)의 사이에서 후륜(26)의 접지면(26S)을 따라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며 측면에서 보아 삼각 형상을 가지고, 스윙 아암(35)의 상측에 위치하는 후륜(26)의 접지면(26S)을 상측으로부터 좌우에 걸쳐 덮는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후륜 커버부(152)는, 측면에서 보아, 피봇 플레이트(15)의 후방으로부터 후륜(26)의 전방 상부에 걸쳐 연장되기 때문에, 후륜(26)측으로부터의 비산물(물이나 진흙 등)이 스윙 아암(35) 상측에 노출되는 차량 부품[ABS 모듈레이터(88), 리어 쿠션(37)]에 부착되기 어렵게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커버부(154)는, 후륜 커버부(152)의 우측면(152A)으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인 우측으로 팽출하고,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면(35A)과 차폭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스윙 아암(35)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하는 측벽(154A)과, 이 측벽(154A)의 상측 가장자리와 후륜 커버부(152)의 우측면(152A)의 사이에 걸쳐 연장되는 상판(154B)을 갖는 단면(L)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측벽(154A)은, 측면에서 보아(도 6 참조), 스윙 아암의 상면(35T)에 배치되는 나일론 프로텍터(163)의 측방으로부터, 브레이크 캘리퍼(125)의 조인트부(125A)까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조인트부(125A)와 나일론 프로텍터(163)의 사이에서 배관(103)의 차폭 방향 외측을 덮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측벽(154A)의 하측 가장자리(154A1)는, 스윙 아암의 상면(35T)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이 형상으로 인해 스윙 아암(35)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스윙 아암의 상면(35T)의 배관(103)을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확실하게 덮을 수 있다.
또한, 측벽(154A)의 상측 가장자리(154A2)는, 우측 커버부(154)와 후륜 커버부(152)의 후방 가장자리(152B)가 측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위치(PA)(도 6 참조)까지는 후방 상측으로 연장하여 상하 폭을 서서히 크게 하고, 후방 가장자리(152B)와 중첩되는 위치(PA)로부터 후방에서는 후방 하측으로 연장하여 상하 폭을 서서히 좁게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103)을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으면서, 후방만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커버부(154)의 상판(154B)은, 측벽(154A)의 상측 가장자리(154A2)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PA)보다 전방에서는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위치(PA)보다 후방에서는 후방 하측으로 연장되고, 이에 따라, 배관(103)의 상측을 덮는다.
이 상판(154B)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위치(PA)보다 전방에서는, 후륜 커버부(152)의 우측면(152A)과 우측 커버부(154)의 측벽(154A)의 사이의 간극을 매립하도록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관(103)의 상측을 확실하게 덮는다.
한편, 상기 위치(PA)보다 후방에서는, 상판(154B)의 차폭 방향 내측의 외측 가장자리(154R)가, 후방으로 감에 따라 차폭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후방으로 감에 따라 측벽(154A)과의 사이의 폭이 서서히 좁아지고, 후방에서 스윙 아암의 상면(35T)을 상측에 노출시킨다.
즉, 후륜 커버부(152)의 외측 가장자리(152R)와 우측 커버부(154)의 외측 가장자리(154R)에 의해, 스윙 아암의 상면(35T)을 노출시키며 전방으로 볼록한 절결부(155)가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절결부(155)는, 배관(103)의 전방 하향 배관부(103A)가 통과하는 개구 통로로서 기능하고 있고, 전방 하향 배관부(103A)는, 스윙 아암의 상면(35T)으로부터 이 절결부(155)를 통과하여, 스윙 아암의 상면(35T)으로부터 이격되고,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에 접속된다. 이 경우, 배관(103)을 좌우로 크게 우회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배관(103)과 우측 커버부(154)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배관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우측 커버부(154)는, 우측의 스윙 아암(35)에 마련된 지지 스테이(165)에 체결 부재(예컨대, 체결 나사)(166)로 체결되고, 이에 따라, 우측의 스윙 아암(35)에 고정된다.
이 지지 스테이(165)는,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후 한 쌍의 지지 스테이(165A, 165B)를 가지고, 전방의 지지 스테이(165A)는, 측면에서 보아, 나일론 프로텍터(163) 전단 근방에서 상측으로 연장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에서 보아서는,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면(35A)과 차폭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후방의 지지 스테이(165B)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브레이크 캘리퍼(125)의 전단 근방에서 상측으로 연장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에서 보아서는,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면(35A)과 차폭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위치에 마련된다.
그리고, 이들 전후 한 쌍의 지지 스테이(165A, 165B)의 외측(우측)에, 우측 커버부(154)의 측벽(154A)을 배치하고, 차폭 방향 외측(우측)으로부터 전후 한 쌍의 체결 부재(166)를 관통시켜 지지 스테이(165A, 165B)에 각각 체결함으로써, 우측 커버부(154)가 스윙 아암(35)에 고정된다.
이 경우, 전후 한 쌍의 지지 스테이(165A, 165B)의 위치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커버부(154)의 전단과 후단의 위치에 상당하고 있기 때문에, 전후로 긴 우측 커버부(154)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전후 한 쌍의 지지 스테이(165A, 165B)를,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면(35A)과 차폭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위치에 마련하였기 때문에, 이 지지 스테이(165A, 165B)에 부착된 우측 커버부(154)의 측벽(154A)에 대해서도,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면(35A)과 차폭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우측 커버부(154)의 차폭 방향 외측면과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면(35A)을 대략 동일 평면으로 정렬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우측 커버부(154)의 측벽(154A)과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면(35A)이 연속하기 때문에, 우측 커버부(154)에 의해 스윙 아암의 상면(35T)의 배치 부품[배관(103)]의 차폭 방향 외측을 확실하게 덮을 수 있으며, 상하로 굵은 스윙 아암을 모방한 외관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좌측 커버부(156)에 대해서 설명한다.
좌측 커버부(15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륜 커버부(152)의 좌측면(152C)으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인 좌측으로 팽출하고, 좌측의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면(35A)과 차폭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스윙 아암(35)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하는 측벽(156A)과, 이 측벽(156A)의 상측 가장자리와 후륜 커버부(152)의 좌측면(152C) 사이를 덮으며, 스윙 아암의 상면(35T)을 덮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판(156B)을 갖는 단면(L)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156A)은, 상측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전방 하부(156AF)가,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면(35A)과 중첩되고, 체결 부재(예컨대, 체결 나사)(167)에 의해 스윙 아암(35)에 고정된다. 또한, 측벽(156A)의 후방 하부(156AR)는, 스윙 아암(35)의 후단부 근방까지 연장되고, 스윙 아암(35)의 후단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스테이(165C)에 체결 부재(168)에 의해 고정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좌측 커버부(156)는, 전방 하부(156AF)와 후방 하부(156AR) 사이의 부분이, 스윙 아암의 상면(35T)보다도 상측 위치에서 후륜(26) 좌측에 배치되는 체인(34)의 차폭 방향 외측을 덮도록 연장되어, 체인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아울러, 이 좌측 커버부(156)는, 상측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가져 후방으로 감에 따라 서서히 상하 폭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좌측 커버부(156)를, 스윙 아암(35)을 보강하는 보강 프레임을 모방한 외관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7 중, 부호 181은 차량이 구비하는 전기계 부품의 배선(전선)을 정리한 메인 하네스이다. 이 메인 하네스(181)는, 차체 프레임(2)의 좌측[좌측의 메인 프레임(12), 좌측의 리어 프레임(14) 또는 보강용 리어 프레임(17)]을 따라 차량 좌측에 설치된다. 본 구성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배관류[배관(86, 87, 91, 103, 107) 등]가, 차량 우측의 메인 프레임(12)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전기계의 메인 하네스(181)와, 브레이크계의 배관류는 좌우로 분류하여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륜(26)의 전방 및 상측의 일부를 덮는 전방 리어 펜더(151)를 구비하고, 이 전방 리어 펜더(151)는, 스윙 아암(35)에 마련되며, 스윙 아암의 상면(35T)에 배치되는 배관(103)을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배관 커버 일부로서 기능하는 우측 커버부(154)를 갖는 커버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윙 아암의 상면(35T)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배관인 배관(103)을, 부품 개수를 삭감하면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륜 차륜 속도 센서(116)로부터 연장되는 배선(132)에 대해서도, 우측의 스윙 아암의 상면(35T)에 배치되어 있고, 이 배선(132)에 대해서도, 전방 리어 펜더(151)의 우측 커버부(154)에 의해 차폭 방향 외측이 덮여진다. 배관(103)을 스윙 아암(35)에 유지하는 클램프 부재(161)는, 상기 배선(132)을 스윙 아암의 상면(35T)에 유지하는 유지 부재로서 겸용되어,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우측 커버부(154)를, 후륜 차륜 속도 센서(116)의 배선(132)을 보호하는 보호 부품으로 겸용할 수 있어, 부품 개수를 늘리는 일 없이 배선(132)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전방 리어 펜더(151)가, 후륜(26)의 접지면(26S)에 대향하는 후륜 커버부(152)와 우측 커버부(154)를 구비하고, 우측 커버부(154)의 차폭 방향 외측면이,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면(35A)과 차폭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에서, 후륜(26)의 전방으로부터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의 전방까지 배관(103)의 차폭 방향 외측을 덮기 때문에, 배관(103)의 보호를 배관(103)이 노출되는 영역에서 행할 수 있으며, 우측 커버부(154)와 스윙 아암(35)의 일체감을 창출하여, 스윙 아암을 굵게 한 복잡한 형상으로 보일 수 있고, 외관성이 향상한다.
또한,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에, 상측으로 연장하여 전방 리어 펜더(151)를 지지하는 지지 스테이(165)를 마련하고, 지지 스테이(165) 내측의 스윙 아암의 상면(35T)에 배관(103)을 배치하여, 이 배관(103)의 차폭 방향 내측의 스윙 아암의 상면(35T)에, 차폭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어 배관(103)을 로킹하는 로킹부(164)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으로 배관(103)을 로킹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및 비용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로킹부(164)로부터 배관(103)이 이탈하는 측에, 지지 스테이(165)가 위치하기 때문에, 지지 스테이(165)를, 로킹부(164)로부터의 배관(103)의 이탈 방지부로서 겸용시킬 수 있어, 부품 개수를 보다 삭감하여,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륜 커버부(152)의 외측 가장자리(152R)와 우측 커버부(154)의 외측 가장자리(154R)가, 상면에서 보아 전방으로 볼록한 절결부(155)를 형성하고, 스윙 아암의 상면(35T)의 배관(103)이, 절결부(155)를 통과하여 스윙 아암의 상면(35T)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와 스윙 아암(35)이 상대적으로 변위하여도, 절결부(155)에 의해 배관(103)과 전방 리어 펜더(151)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배관(103)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가, 스윙 아암(35)의 상측이면서 후륜 축(26A)의 전방에 배치되고, 우측 커버부(154)가,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와 배관(103)의 조인트부(125A)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기 때문에,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에 연결되는 배관(103)을 덮는 우측 커버부(154)의 영역을 가급적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우측 커버부(154)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페달측 마스터 실린더(84)의 예비 탱크(171)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구성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달측 마스터 실린더(84)가, 브레이크 페달(83) 근방,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의 메인 스텝(71)의 근방 후방이면서, 우측의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페달측 마스터 실린더(84)에는, 우측의 스윙 아암의 상면(35T)의 상측에서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조인트부(84A)가 마련되고, 이 조인트부(84A)에 배관(172)을 통해 예비 탱크(171)가 접속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비 탱크(171)를, 우측의 스윙 아암(35)과 보강용 리어 프레임(17)의 사이에 배치하고자 한 경우, 본 구성의 전방 리어 펜더(151)는, 배관(103)의 차폭 방향 외측을 덮는 폭이 넓은 형상을 갖기 때문에, 예비 탱크(171)가 차폭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오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구성의 예비 탱크(171)는, 브레이크 오일을 적정량 저류할 수 있는 용적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높이 방향의 길이인 상하 길이(α)를, 차량 전후 방향의 길이인 전후 길이(β)보다 길게 하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길이(β)보다도 차폭 방향의 길이인 폭 길이(γ)를 짧게 함으로써, 상하 길이(α)>전후 길이(β)>폭 길이(γ)로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예비 탱크(171)의 폭 길이(γ)를 최소로 하였기 때문에, 예비 탱크(171)를 차폭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비 탱크(171)의 상하 길이(α)를 최대로 하였기 때문에, 전후 치수가 비교적 좁은 스페이스에 예비 탱크(171)를 배치하기 쉬워진다.
본 구성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스윙 아암(35)과 보강용 리어 프레임(17)의 사이의 상하 치수가 비교적 긴 스페이스(SP)에, 예비 탱크(171)를 배치하기 때문에, 예비 탱크(171)의 상하 길이(α)를 최대로 하여도 상기 스페이스(SP)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구나, 이 예비 탱크(171)는, 보강용 리어 프레임(17)에 마련된 지지 스테이(175)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스페이스(SP) 내에서, 보강용 리어 프레임(17)에 근접하는 상방측이면서 전방측으로서, 전방 리어 펜더(151)의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 배치에 의해, 도 6에서는, 예비 탱크(171)가, 전방 리어 펜더(151)의 측면에서 보아 상측에 위치하지만, 후륜(26)에 하중이 작용하여 스윙 아암(35)이 상측으로 요동하였을 때에 우측 커버부(154)와 측면에서 보아 중첩된다.
즉, 본 구성에서는, 예비 탱크(171)를, 전방 리어 펜더(151)의 차폭 방향 외측에서, 스윙 아암(35)이 상측으로 요동하였을 때에 전방 리어 펜더(151)와 측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방 리어 펜더(151)가 배관(103)의 차폭 방향 외측을 덮는 형상이어도, 예비 탱크(171)를 차폭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오게 하지 않고 배치할 수 있으며, 예비 탱크(171)를, 스윙 아암(35)의 전방 상측에 설치되는 후륜용 브레이크 관련 장치[ABS 모듈레이터(88) 등]에 집약시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의 시스템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후륜(26)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는, 예비 탱크(171)와, 우측 커버부(154)를 포함한 전방 리어 펜더(151) 사이의 간극이 넓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예비 탱크(171)의 착탈 작업 등의 각종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자동 이륜차(1)의 제동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에 본 발명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안장형 차량이란, 차체에 걸쳐 승차하는 차량 전반을 포함하고, 자동 이륜차(원동기 부착 자전거도 포함함)뿐만 아니라, ATV[부정지(不整地) 주행 차량]로 분류되는 삼륜 차량이나 사륜 차량을 포함하는 차량이다.
1 자동 이륜차(안장형 차량)
2 차체 프레임
26 후륜
26A 후륜 축
35 스윙 아암
81 브레이크 레버(브레이크 조작자)
84 페달측 마스터 실린더
102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리어 브레이크 장치)
103 배관(브레이크 배관)
116 후륜 차륜 속도 센서
125A 조인트부
132 배선
151 전방 리어 펜더(커버)
152 후륜 커버부
154 우측 커버부(배관 커버부)
155 절결부
171 예비 탱크

Claims (7)

  1. 차체 프레임(2)과, 차체 프레임(2)에 요동 가능하게 현가되는 스윙 아암(35)과, 스윙 아암(35)의 자유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26)과, 스윙 아암(35)의 자유단측에 배치되는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와, 스윙 아암(35)의 축 지지부 근방에서 차체 프레임(2)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조작자(81)와, 스윙 아암(35)의 상면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조작자(81)의 브레이크 조작을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에 전달하는 브레이크 배관(103)을 구비하는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로서,
    상기 후륜(26)의 전방 및 상측의 일부를 덮는 커버(151)를 구비하고, 이 커버(151)는, 상기 스윙 아암(35)에 마련되며,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을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배관 커버부(154)를 갖는 커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151)는, 후륜(26)의 접지면에 대향하는 후륜 커버부(152)와 상기 배관 커버부(154)를 구비하고,
    상기 배관 커버부(154)의 차폭 방향 외측면은, 상기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면과 차폭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에서, 후륜(26)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의 전방까지,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의 차폭 방향 외측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35)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에, 상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 스테이(165)를 마련하며,
    상기 지지 스테이(165) 내측의 상기 스윙 아암(35) 상면에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을 배치하고,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의 차폭 방향 내측의 스윙 아암(35) 상면에, 차폭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을 로킹하는 로킹부(164)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커버부(152)의 외측 가장자리(152R)와 상기 배관 커버부(154)의 외측 가장자리(154R)에는, 상면에서 보아 전방으로 볼록한 절결부(155)가 형성되고, 상기 스윙 아암(35)의 상면의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은, 상기 절결부(155)를 통과하여 상기 스윙 아암(35)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는, 상기 스윙 아암(35)의 상측 또한 후륜 축(26A)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관 커버부(154)가, 상기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와 상기 브레이크 배관(103)의 조인트부(125A)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26)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차륜 속도 센서(116)를 구비하고,
    이 차륜 속도 센서(116)로부터 연장되는 배선(132)을 상기 배관 커버부(154)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용 브레이크 장치(102)는, 유압 제동 장치이며, 상기 브레이크 조작자에 연결되는 마스터 실린더(84)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84)에 접속되는 예비 탱크(171; reserve tank)를 가지고, 상기 예비 탱크(171)는, 높이 방향의 길이를 최대로 하고, 차폭 방향의 길이를 최소로 하며, 상기 커버(151)의 차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스윙 아암(35)이 상측으로 요동하였을 때에 상기 커버(151)와 측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
KR1020110021006A 2010-03-19 2011-03-09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 KR101260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64199 2010-03-19
JP2010064199A JP5507300B2 (ja) 2010-03-19 2010-03-19 鞍乗り型車両の制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709A KR20110105709A (ko) 2011-09-27
KR101260588B1 true KR101260588B1 (ko) 2013-05-06

Family

ID=4487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006A KR101260588B1 (ko) 2010-03-19 2011-03-09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07300B2 (ko)
KR (1) KR101260588B1 (ko)
BR (1) BRPI1101058B8 (ko)
ZA (1) ZA2011020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1813B2 (ja) * 2012-09-28 2016-06-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電動車両
JP6215540B2 (ja) * 2013-02-25 2017-10-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アクセサリーソケット配置構造
KR101779278B1 (ko) * 2013-03-28 2017-09-18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JP6165012B2 (ja) * 2013-09-30 2017-07-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連動ブレーキ部品配置構造
JP6368231B2 (ja) * 2014-12-10 2018-08-0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6220366B2 (ja) * 2015-07-29 2017-10-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6268134B2 (ja) * 2015-09-08 2018-0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フェンダー構造
EP3409571B1 (en) * 2016-01-28 2020-01-2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addled vehicle equipped with combined brake system
CA2961468A1 (en) 2016-03-28 2017-09-28 Honda Motor Co., Ltd. Saddle-riding-type vehicle cable support structure
WO2017169161A1 (ja) * 2016-03-29 2017-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6200991B1 (ja) * 2016-03-31 2017-09-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駆動装置
ES2679645B2 (es) * 2017-02-23 2019-01-30 Univ Cadiz Dispositivo protector del sensor del sistema antibloqueo de freno trasero de motocicleta
DE112018005483B4 (de) * 2017-09-28 2023-11-30 Honda Motor Co., Ltd. Bremsleitungsstruktur für Sattelfahrzeuge
JP6531995B2 (ja) * 2017-10-31 2019-06-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WO2019224959A1 (ja) * 2018-05-23 2019-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CN112543732B (zh) * 2018-08-09 2022-04-0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鞍乘型车辆
JP6976913B2 (ja) * 2018-08-21 2021-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7148487B2 (ja) * 2019-12-23 2022-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EP4180309A1 (en) * 2021-11-12 2023-05-17 TVS Motor Company Limited A saddle type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0879A (ja) * 2001-12-04 2003-06-17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リアインナーフェンダの取付構造および自動二輪車用リアインナーフェンダ
JP2009101924A (ja) * 2007-10-24 2009-05-14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493U (ko) * 1987-07-07 1989-01-18
JP2519822Y2 (ja) * 1990-03-26 1996-12-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用リヤブレーキ装置
JP4727358B2 (ja) * 2005-09-15 2011-07-2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配管構造
JP2009179260A (ja) * 2008-01-31 2009-08-13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連動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0879A (ja) * 2001-12-04 2003-06-17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リアインナーフェンダの取付構造および自動二輪車用リアインナーフェンダ
JP2009101924A (ja) * 2007-10-24 2009-05-14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709A (ko) 2011-09-27
JP2011195024A (ja) 2011-10-06
ZA201102007B (en) 2015-05-27
BRPI1101058A2 (pt) 2012-08-21
BRPI1101058B1 (pt) 2020-09-15
BRPI1101058B8 (pt) 2022-07-19
JP5507300B2 (ja)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588B1 (ko) 안장형 차량의 제동 장치
JP5478307B2 (ja) 鞍乗り型車両の制動装置
KR101098596B1 (ko) 자동이륜차
US8186470B2 (en) Motorcycle
JP6404308B2 (ja) 鞍乗型車両
JP4354784B2 (ja) 自動二輪車の制動力調整装置
JP5871382B2 (ja) 鞍乗型車両のハーネス配策構造
EP3539854B1 (en) Rear brake hose layout structure for saddle riding vehicle
EP3715234B1 (en) Saddle-type vehicle
JP2014080057A (ja) 自動二輪車のリヤブレーキ装置
EP3480094B1 (en) Saddle-riding type vehicle
US10780936B2 (en) Straddle-type vehicle
JP2022017016A (ja) 鞍乗り型車両
CN110573417B (zh) 跨骑型车辆的前后连动制动装置
EP4079587B1 (en) Straddled vehicle
JP7343638B1 (ja) 鞍乗型車両
JP7113797B2 (ja) 鞍乗り型車両
JP6951477B2 (ja) 鞍乗型車両
WO2020031455A1 (ja) 鞍乗型車両
WO2019142211A1 (en) Speed deceleration system
US20200255083A1 (en) Brake piping structure for saddled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