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775B1 -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columns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colum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4775B1 KR101254775B1 KR1020120003853A KR20120003853A KR101254775B1 KR 101254775 B1 KR101254775 B1 KR 101254775B1 KR 1020120003853 A KR1020120003853 A KR 1020120003853A KR 20120003853 A KR20120003853 A KR 20120003853A KR 101254775 B1 KR101254775 B1 KR 1012547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umn
- protruding
- unit
- support unit
- stee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272720 Medialuna californ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215—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omprising metallic plates or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 기둥 접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강형이 기둥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기둥철근들 중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는 보 기둥 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column joining structure, and in particular, a beam column joining structure in which a protruding steel projecting from an end of a beam can be inserted and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column reinforcing bars among a plurality of column reinforcing bars projecting from an upper end of the column. It is about.
콘크리트 구조물은, 그 타설시기에 따라 현장 타설 콘크리트(cast-in-place concrete)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로 분류되는데,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공사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완성하는 공법으로 시공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기둥, 보, 슬래브, 벽체와 같은 구조부재들을 기후나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천후 시설을 갖추고 있는 공장에서 엄격한 품질 관리 아래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 조립하여 건물을 완성하는 공법으로 시공된다.Concrete structures are classified into cast-in-place concrete and precast concrete (PC) according to the time of pouring. The cast-in-place concrete is formed by installing formwork and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at the construction site. It is constructed as a method of finishing the structure by pouring concrete in the back, and the precast concrete is subjected to strict quality control in a factory equipped with all-weather facilities that are not affected by climate or seasons such as columns, beams, slabs, and walls. After construction, it is constructed by the method of transporting and assembling the site to complete the building.
도 1에는 종래의 보 기둥 접합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수평한 PC 보( precast concrete beam)(B)를 수직한 RC 기둥(Reinforced Concrete column)(C) 사이에 올려서 접합하는 공법에 의해 시공된다. 1 shows a conventional beam column joining structure, which is constructed by a method of lifting a horizontal PC beam (B) between vertical RC columns (Reinforced Concrete column) C and joining them.
상기 종래의 공법은, 상단부에 복수 개의 기둥철근(2)이 돌출되도록 한 쌍의 상기 수직한 RC 기둥(C)을 시공한 후, 상기 한 쌍의 RC 기둥(C) 사이 거리보다 조금 더 길게 상기 PC 보(B)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PC 보(B)의 양 단면에는 돌출된 복수 개의 연결철근(3)이 삽입된다. 이렇게 제작된 PC 보(B)의 양단부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C 기둥(C)의 상단면에 올려서 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상기 PC 보(B)와 RC 기둥(C)이 접합되어 일체로 거동할 수 있는 구조물이 된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fter constructing a pair of vertical RC columns (C) such that a plurality of column reinforcing bars (2) protrude on the upper end, the length is slightly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RC columns (C) PC beam B is produce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protruding connecting
그러나, 종래의 공법은,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RC 기둥(C)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상기 기둥철근(2)은 상기 RC 기둥(C)의 단면 외곽부 둘레를 따라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PC 보(B)의 양단부를 올릴 수 있는 상기 RC 기둥(C) 단면의 공간(E1+E2)이 매우 협소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as can be seen in Figure 2,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RC column (C) in general, since the column reinforcement (2) is inser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C column (C)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E1 + E2)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C column (C) that can raise both ends of the PC beam (B) is very narrow.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C 보(B)의 길이가 설계보다 짧게 제조되는 경우에는, 상기 PC 보(B)와 RC 기둥(C) 사이에 틈(E3)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설계 오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이미 제조가 완료된 상기 PC 보(B)의 길이를 연장해서 다시 제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콘크리트 재료의 추가적인 투입이 필요하며, 공사 기간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length of the PC beam B is made shorter than the design, a gap E3 is generated between the PC beam B and the RC column C. In order to eliminate such a design err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ngth of the PC beam B, which has already been manufactured, needs to be extended and manufactured again. At this time, additional input of concrete material is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is also increased.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C 보(B)의 길이가 설계보다 길게 제조되는 경우에는, 상기 PC 보(B)와 상기 RC 기둥(C)의 기둥철근(2) 사이에 간섭(E4)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설계 오차로 인하여 이미 제조가 완료된 상기 PC 보(B)의 단부를 절단 가공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기 PC 보(B)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하여 국부적인 깨짐 또는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when the length of the PC beam B is manufactured longer than the design,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PC beam B and the
그리고, 종래의 공법은, 상기 PC 보(B)의 단부가 상기 RC 기둥(C)의 상면에 올려지는 방식이므로, 상기 PC 보(B)의 단부에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PC 보(B)의 양단부 모서리가 전단력에 의하여 쉽게 파괴되는 문제점도 있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end of the PC beam B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C column C, a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occurs at the end of the PC beam B, whereby the PC beam (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edges of both ends of B) are easily broken by the shear force.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강형이 기둥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기둥철근들 중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보 기둥 접합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that the projecting steel projecting from the end of the beam can be inserted between the two adjacent column reinforcement of the plurality of column reinforcing bar project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column To provide an improved beam column joint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 기둥 접합 구조는, 서로 교차하는 보와 기둥의 단부를 접합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마련된 기둥철근이 관통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보의 단부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보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돌출강형을 포함하는 돌출유닛;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돌출유닛을 받쳐서 지지하는 받침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강형의 폭은,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복수 개 마련된 기둥철근들 중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eam pillar jo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joining ends of beams and pillars that cross each other,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olumn reinforcemen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illar can pass therethrough. A protruding unit having a pair of protrusions protruded from one end of the beam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beam; A support uni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illar to support and support the protruding unit, wherein the width of the protruding steel is inserted between two adjacent column reinforcing bars among the plurality of pillar reinforcing bar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illar. To be able to,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wo adjacent column reinforcing bars.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이,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복수 개 마련된 기둥철근들 중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에 한꺼번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protruding steels can be inserted at a time between two adjacent column reinforcing bars among a plurality of column reinforcing bar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lumn.
여기서, 상기 돌출유닛은,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 각각에 결합되어 있는 비틀림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otrud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protruding steel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air of protruding steel, it is preferable to have a torsion preventing member having both ends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protruding steel. Do.
여기서, 상기 돌출유닛은 상기 받침유닛에 의하여 단순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otruding unit is preferably simply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여기서, 상기 돌출유닛은, 일단부는 상기 돌출강형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유닛의 상단부에는 평판 부재인 상판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부의 타단부가 상기 받침유닛의 상판에 일점접촉함으로써, 상기 돌출유닛이 상기 받침유닛에 의하여 단순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otruding unit, one e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steel, the other end has a contact portion is formed rounde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which is a flat member,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By one point of contact with the top plate of the support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ng unit is simply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여기서, 상기 받침유닛의 하단부는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유닛의 상단부에는 평판 부재인 상판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에는 상기 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유닛은, 상기 결합공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unit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olum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which is a flat member, the upper plate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of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is , The protruding unit is preferab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in a state that is screwed to the coupling hole.
여기서, 상기 받침유닛의 상단부는 상기 돌출유닛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유닛의 하단부는,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Her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uni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unit,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olumn, may be capable of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여기서, 상기 받침유닛의 하단부는, 상기 보의 하면과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일 수도 있다.Her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unit may be on the same plan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beam.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보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돌출강형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강형의 폭이 기둥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기둥철근들 중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출강형이 상기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protruding steels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beam, the width of the protruding steels adjacent two of the plurality of column bars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column By forming a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wo pillars, the protruding steel has an effect that can be inserted and disposed between the two adjacent pillars.
도 1은 종래의 보 기둥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보 기둥 접합 구조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보 기둥 접합 구조에서 PC 보가 설계보다 짧게 제조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보 기둥 접합 구조에서 PC 보가 설계보다 길게 제조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보 기둥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XI-XI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XI-XI선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PC 보가 설계보다 짧게 제조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PC 보가 설계보다 길게 제조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기둥철근이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5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받침유닛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받침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5 및 도 16에 도시된 받침유닛을 사용하여 PC 보와 RC 기둥이 접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5에 도시된 받침유닛의 또 다른 실시례를 사용하여 PC 보와 RC 기둥이 접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보 기둥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는 도 5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돌출강형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b는 도 5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돌출강형의 다른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c는 도 5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돌출강형의 또 다른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eam column joining struct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the conventional beam column joined structure shown in FIG.
3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PC beam is made shorter than the design in the conventional beam column joining structure shown in FIG.
4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PC beam is made longer than the design in the conventional beam column joining structure shown in FIG.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m column joining structur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eam pillar joining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the beam pillar joining structure shown in FIG. 6.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of the beam pillar joining structure shown in FIG. 7.
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eam column joined structure shown i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the beam pillar joining structure shown in FIG. 9.
FIG. 11 is a XI-XI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m pillar junction structure shown in FIG. 9. FIG.
12 is another example of the XI-XI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m pillar joining structure shown in FIG. 9.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PC beam shown in FIG. 9 is manufactured to be shorter than the design.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PC beam shown in FIG. 9 is manufactured to be longer than the design.
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 bent state of the column reinforcement illustrated in FIG. 14.
1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unit of the beam column joined structure shown in FIG.
17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unit shown in FIG.
FIG. 1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C beam and an RC column are joined by using the support units illustrated in FIGS. 5 and 16.
FIG. 1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C beam and an RC column are bonded by us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unit shown in FIG. 5.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m pillar joining structur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plan view of the beam pillar bonding structure shown in FIG. 20. FIG.
22 is a front view of the beam pillar joining structure shown in FIG. 20.
FIG. 2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beam pillar joining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20.
24A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jecting steel of the beam column joined structure shown in FIG.
24B is a view showing anothe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jecting steel of the beam column joined structure shown in FIG.
24C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jecting steel of the beam column joined structure shown in FIG. 5.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보 기둥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VII-VII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 기둥 접합 구조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eam pillar bon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eam pillar bonding structure shown in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the beam pillar bonding structure shown in FIG. 6,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of the beam pillar bonding structure shown in FIG. 7.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 기둥 접합 구조(100)는, 서로 교차하는 PC 보( precast concrete beam)(B)와 RC 기둥(Reinforced Concrete column)(C)의 단부를 접합하기 위한 구조로서, 돌출유닛(10)과 받침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수평하게 배치된 상기 PC 보(B)를 수직하게 세워진 상기 RC 기둥(C)에 올려서 접합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5 to 8, the beam
상기 돌출유닛(10)은, 상기 PC 보(B)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구조물로서, 돌출강형(11)과, 수평부(15)와, 접촉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돌출강형(11)은, 상기 PC 보(B)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길게 연장된 I형 강형으로서, 일단부는 상기 PC 보(B)의 단부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PC 보(B)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The protruding
상기 돌출강형(11)은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RC 기둥(C)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된 기둥철근(2)이 관통할 수 있도록, 각각의 돌출강형(11)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세로로 배치되어 있다. The protruding
상기 돌출강형(1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사각형 단면의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돌출강형의 폭(L1)은 상기 플랜지(12)의 폭(L1)과 동일하며,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C 기둥(C)의 상단부에 복수 개 마련된 기둥철근(2)들 중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2) 사이의 이격 거리(L3)보다 작거나 같다. The width L1 of the protruding steel is the same as the width L1 of the
이때 적어도 하나의 기둥철근(2)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11)과 상기 PC 보(B)의 단부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을 상하로 관통하게 된다.In this case, at least one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11)이 둘 다 한꺼번에 상기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11)이 서로 이격된 거리(L2)가 상기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2) 사이의 이격 거리(L3)보다 작거나 같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 the pair of protruding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11) 사이에는 사각 평판 형상의 비틀림방지부재(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비틀림방지부재(13)는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1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11) 각각의 타단부 말단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Between the pair of protruding
상기 비틀림방지부재(13)의 중앙부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각부보강철근(6) 등이 관통할 수 있는 철근관통구(14)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center portion of the
상기 돌출강형(11)의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2)의 하면에는 사각 평판 형상의 수평부(15)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15)는 상기 돌출강형(11)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수평부(15)의 상면에는, 일단부는 상기 돌출강형(11)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평부(15)의 상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돌출강형(11)과 상기 수평부(15)의 결합을 보강해주는 평판 형상의 보강부(16)가 용접되어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수평부(15)의 하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꺼운 평판 형상의 접촉부(17)의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접촉부(17)의 일단부는 상기 수평부(15)의 하면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부(17)의 타단부는 반달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수평부(15)의 코너부에는, 결합나사(19)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18)이 4개 형성되어 있다.Four through
상기 받침유닛(20)은, 상기 돌출유닛(10)을 받쳐서 지지하는 강형으로서, 하단부가 상기 RC 기둥(C)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받침유닛(20)은 받침본체(21)와, 상판(22)과, 하판(24)을 포함한다.The
상기 받침본체(21)는, 상기 RC 기둥(C)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길게 연장된 I형 강형이다.The
상기 상판(22)은, 상기 받침본체(21)의 상단부에 용접으로 결합된 사각 평판 부재이다.The
상기 상판(22)에는, 상기 PC 보(B)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결합공(23) 한 쌍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상기 하판(24)은, 상기 받침본체(21)의 하단부에 용접으로 결합된 사각 평판 부재로서, 상기 RC 기둥(C)의 상단면에 배치된다.The
상기 하판(24)의 코너부에는, 앵커볼트(26)가 관통할 수 있는 앵커구멍(25)이 4개 형성되어 있다.Four anchor holes 25 through which the
상기 받침유닛(20)의 하단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26)가 상기 앵커구멍(25)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RC 기둥(C)의 상단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RC 기둥(C)의 상단부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 6,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상기 돌출유닛(10)과 받침유닛(20)을 결합시키기 위한 상기 결합나사(19)는 2개가 사용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23)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유닛(20)의 상판(22)에 나사 결합된다. Two coupling screws 19 for coupling the protruding
상기 결합나사(19)가 상기 받침유닛(20)의 상판(22)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17)의 하면은 상기 받침유닛(20) 상판(22)의 상면에 일점접촉(one point contact)하며, 결국 상기 접촉부(17)에 의하여 상기 돌출유닛(10)이 상기 받침유닛(20)에 의하여 단순지지(simply supported)된다.When the
상기 결합나사(19)는 상기 4개의 결합공(23) 중에 좌우에 각각 위치한 2개의 결합공(23)에만 느슨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접촉부(17)의 하면이 상기 받침유닛(20) 상판(22)의 상면에 일점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유닛(10)이 상기 받침유닛(20)에 대하여 상기 PC 보(B)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Since 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보 기둥 접합 구조(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method of using the beam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C 기둥(C)의 상단면에 상기 받침유닛(20)을 배치한 후, 상기 앵커볼트(26)를 이용하여 상기 받침유닛(20)의 하판(24)을 상기 RC 기둥(C)의 상단면에 고정한다.First, as shown in Figure 9, after placing the
이어서, 상기 돌출유닛(10)이 장착된 PC 보(B)의 일단부를 상기 RC 기둥(C)의 상단면의 위쪽으로부터 아래로 서서히 이동시킴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기둥철근(2)이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11)과 상기 PC 보(B)의 단부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관통하도록 하거나,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11)이 둘 다 한꺼번에 상기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2)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Subsequently, one end of the PC beam B on which the protruding
한편, 상기 돌출유닛(10)이 장착된 PC 보(B)를 계속 하강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유닛(10)의 접촉부(17)가 상기 받침유닛(20)의 상판(22)에 일점접촉하게 되고, 상기 접촉부(17)에 의하여 상기 돌출유닛(10)이 상기 받침유닛(20)에 의하여 단순지지(simply supported)된다.Meanwhile, when the PC beam B on which the protruding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결합나사(19)를 2개의 결합공(23)에 느슨하게 결합시키면, 상기 접촉부(17)의 하면이 상기 받침유닛(20) 상판(22)의 상면에 일점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유닛(10)이 상기 받침유닛(20)에 대하여 상기 PC 보(B)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로 상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9, when the two
여기서, 상기 PC 보(B)가 설계보다 짧게 제조된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C 보(B)의 단부로부터 멀리 위치한 결합공(23)에 결합나사(19)를 삽입하게 되며, 허용될 수 있는 설계 오차(E3)는 상기 상판(22)의 길이 및 결합공(23)의 길이 등에 의해 결정된다.Here, when the PC beam B is made shorter than the design, as shown in FIG. 13, the
한편, 상기 PC 보(B)가 설계보다 길게 제조된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C 보(B)의 단부로부터 가깝게 위치한 결합공(23)에 결합나사(19)를 삽입하게 되며, 허용될 수 있는 설계 오차(E4)는 상기 상판(22)의 길이 및 결합공(23)의 길이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철근(2)을 휘어지도록 가공하는 작업이 필요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C beam B is manufactured longer than the design, as shown in Figure 14, to insert the
이렇게 상기 돌출유닛(10)과 받침유닛(20)의 결합된 후, 추가적인 배근 작업과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게 되면, 상기 PC 보(B)와 RC 기둥(C)의 접합 시공이 완료된다.When the
상술한 구성의 보 기둥 접합 구조(100)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PC 보(B)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돌출강형(11)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강형(11)의 플랜지(12)의 폭(L1)이 RC 기둥(C)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기둥철근(2)들 중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2) 사이의 이격 거리(L3)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출강형(11)이 상기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2)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 13에서와 같이 PC 보(B)가 설계보다 짧게 제조되는 경우나 도 14에서와 같이 PC 보(B)가 설계보다 길게 제조되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강형(11)이 상기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2) 사이에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PC 보(B)의 돌출유닛(10)과 상기 RC 기둥(C)의 기둥철근(2) 사이에 간섭(E4)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beam
그리고, 상기 보 기둥 접합 구조(100)는,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11)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C 기둥(C)의 상단부에 복수 개 마련된 기둥철근(2)들 중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2) 사이에 한꺼번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도 13에서와 같이 PC 보(B)가 설계보다 짧게 제조되는 경우나 도 14에서와 같이 PC 보(B)가 설계보다 길게 제조되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강형(11)이 상기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2) 사이에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PC 보(B)의 돌출유닛(10)과 상기 RC 기둥(C)의 기둥철근(2) 사이에 간섭(E4)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eam
또한, 상기 보 기둥 접합 구조(100)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PC 보(B)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돌출강형(11)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돌출강형(11)을 구비한 경우에 비하여 휨 모멘트나 전단력에 대한 강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eam
그리고, 상기 보 기둥 접합 구조(100)는, 상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강형(1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11)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11) 각각에 결합되어 있는 비틀림방지부재(1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플랜지(12)의 폭(L1)이 작아지더라도 상기 돌출유닛(10)의 비틀림 강성 하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beam
아울러, 상기 보 기둥 접합 구조(100)는, 하단면이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17)가 상기 받침유닛(20)의 상판(22)에 일점접촉함으로써 상기 돌출유닛(10)이 상기 받침유닛(20)에 의하여 단순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출유닛(10)과 받침유닛(20)사이의 미끄럼 운동이 용이하고, 상기 돌출유닛(10)과 받침유닛(20)의 결합부에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eam
또한, 상기 보 기둥 접합 구조(100)는, 상기 상판(22)에 상기 PC 보(B)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결합공(2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유닛(10)이 상기 결합공(23)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PC 보(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도 13에서와 같이 PC 보(B)가 설계보다 짧게 제조되는 경우나 도 14에서와 같이 PC 보(B)가 설계보다 길게 제조되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강형(11)을 상기 받침유닛(20)에 결합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eam column joined
그리고, 상기 보 기둥 접합 구조(100)는, 상기 RC 기둥(C)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돌출유닛(10)을 받쳐서 지지하는 받침유닛(2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받침유닛(20)을 상하로 충분히 길게 제조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철근(2)과 기둥연장철근(5)을 서로 겹쳐서 연결하는 겹이음(4) 시공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eam
한편, 도 16에는 다른 실시례인 받침유닛(120)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받침유닛(120)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받침유닛(20)의 그것과 대부분 일치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받침유닛(20)과의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FIG. 16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상기 받침유닛(120)의 상판(122)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본체(21)로부터 좌우로 돌출된 상태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122)에는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23a)을 중심으로 돌출된 양단부에 또 다른 결합공(2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7, the
상기 받침본체(21)와 상기 상판(122)의 결합을 보강해주는 평판 형상의 보강부(27)가 용접되어 있다. Reinforcing
따라서, 상기 받침유닛(20)과 받침유닛(120)을 이용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PC 보(B)가 접합되는 벽체 형상의 RC 기둥(C)에는 상기 받침유닛(20)을 사용하고, 두 개의 PC 보(B)가 접합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RC 기둥(C)에는 상기 받침유닛(120)을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when using the
한편, 도 19에는 다른 실시례인 받침유닛(220)을 사용하여 PC 보(B)와 RC 기둥(C)이 접합되어 있는 보 기둥 접합 구조(2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받침유닛(220)은 상술한 상기 받침유닛(2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Meanwhile, FIG. 19 illustrates a beam
상기 받침유닛(220)을 사용하게 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이음(4)을 이용한 시공은 공간 확보의 어려움으로 힘들어지며, 용접 또는 커플러와 같은 기계적이음(7)이 사용될 수 있다.When using the
상기 보 기둥 접합 구조(200)는, 비교적 낮은 높이를 가지는 받침유닛(22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받침유닛(20)에 비하여 제조 단가가 감소하며,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한 보 기둥 접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beam
한편, 도 2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보 기둥 접합 구조(3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 기둥 접합 구조(300)는 상술한 보 기둥 접합 구조(100)와 구성 및 작용이 대부분 일치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보 기둥 접합 구조(100)와의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보 기둥 접합 구조(300)는, 돌출유닛(310)과 받침유닛(320)을 구비한다.Meanwhile, FIG. 20 illustrates a beam
상기 돌출유닛(310)은, 하단부에 마련된 상기 플랜지(12)의 말단부를 서로 이어주며, 상기 비틀림방지부재(13)의 하면에 결합된 연결판(315)를 구비하고 있다.The protruding
상기 받침유닛(320)은, 상단부가 상기 돌출유닛(310)의 하단부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받침본체(321)와, 하판(324)과, 보강부(327)를 포함하고 있다.The
상기 받침본체(321)는, 수직하게 배치된 평판 부재로서, 상기 돌출강형(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단부는 상기 플랜지(12) 및 연결판(315)의 하면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The
상기 하판(324)은, 수평하게 배치된 평판 부재로서, 상면이 상기 받침본체(321)의 하단부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판(324)의 하면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C 보(B)의 하면과 동일 평면상에 있다.The
상기 하판(324)은, 상기 RC 기둥(C)의 상단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PC 보(B)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좌우 위치 이동 가능하다.The
상기 보강부(327)는, 수직하게 배치된 평판 부재로서 복수 개 마련되며, 일단부는 상기 받침본체(321)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판(324)의 상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받침본체(321)와 상기 하판(324)의 결합을 보강해준다.The
상술한 보 기둥 접합 구조(300)를 사용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 보(B)가 설계보다 짧게 제조되는 경우나 설계보다 길게 제조되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강형(11)이 상기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2) 사이에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PC 보(B)의 돌출유닛(10)과 상기 RC 기둥(C)의 기둥철근(2) 사이에 간섭(E4)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도 23에 도시된 설계 오차(E3, E4)는 상기 돌출강형(11)의 길이와 상기 하판(324)의 형상 및 기둥철근(2)의 위치 등에 의해 결정된다.When the beam
상기 보 기둥 접합 구조(300)는, 상기 받침유닛(320)의 상단부가 상기 돌출유닛(3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유닛(320)은 하단부가 상기 RC 기둥(C)의 상단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PC 보(B)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 위치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보 기둥 접합 구조(100)와는 달리, 상기 받침유닛(320)을 RC 기둥(C)의 상단부에 고정시키는 시공을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The beam
그리고, 상기 보 기둥 접합 구조(30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유닛(320)의 하단부가 상기 PC 보(B)의 하면과 동일 평면상에 있으므로, 상기 PC 보(B)의 일단부 하면이 상기 RC 기둥(C)의 상단면에 올려 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유닛(320)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상기 PC 보(B)의 일단부 하면에 의해서도 상기 PC 보(B)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어, 하중이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 of the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도 24a에 도시된 단면 형상을 가지는 돌출강형(11)이 사용되고 있으나,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2)가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강형(11) 또는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2)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강형(11)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lthough the protruding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equivalent structure modified or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pplied to the technical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ought.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보 기둥 접합 구조 10 : 돌출유닛
11 : 돌출강형 12 : 플랜지
13 : 비틀림방지부재 14 : 철근관통구
15 : 수평부 16 : 보강부
17 : 접촉부 18 : 관통공
19 : 결합나사 20 : 받침유닛
21 : 받침본체 22 : 상판
23 : 결합공 24 : 하판
25 : 앵커구멍 26 : 앵커볼트
27 : 보강부 B : PC 보
C : RC 기둥 S : 공간
2 : 기둥철근 3 : 연결철근
4 : 겹이음 5 : 기둥연장철근
6 : 우각부보강철근 7 : 기계적이음[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0: beam column connection structure 10: protrusion unit
11: protruding steel 12: flange
13: torsion preventing member 14: rebar through hole
15: horizontal portion 16: reinforcement portion
17
19: coupling screw 20: support unit
21: supporting body 22: top plate
23: combined hole 24: the bottom plate
25: anchor hole 26: anchor bolt
27: reinforcement part B: PC beam
C: RC Column S: Space
2: reinforcing bar 3: connecting bar
4: Lap joint 5: Column extension rebar
6: right angle reinforcement steel 7: mechanical joint
Claims (8)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마련된 기둥철근이 관통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보의 단부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보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돌출강형을 포함하는 돌출유닛;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돌출유닛을 받쳐서 지지하는 받침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강형의 폭은,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복수 개 마련된 기둥철근들 중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돌출유닛은, 일단부는 상기 돌출강형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유닛의 상단부에는 평판 부재인 상판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부의 타단부가 상기 받침유닛의 상판에 일점접촉함으로써, 상기 돌출유닛이 상기 받침유닛에 의하여 단순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기둥 접합 구조.As a structure for joining the ends of the beam and the column crossing each other,
The column reinforcing bar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are arranged side by si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beam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pair of protruding steel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beam Protruding unit;
It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pillar, and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projecting unit;
The width of the protruding steel is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column reinforcement, so that the width of the protruding steel can be inserted between two adjacent column reinforcing bar of the plurality of column reinforcement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The protruding unit, one e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steel, the other end has a contact portion is formed round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is provided a top plate that is a flat member,
And the protruding unit is simply supported by the supporting unit by one point of contact of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upper plate of the supporting unit.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이,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복수 개 마련된 기둥철근들 중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에 한꺼번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기둥 접합 구조.The method of claim 1,
And a pair of protruding steel beams can be inserted at a time between two adjacent column reinforcing bars among a plurality of column reinforcing bar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lumn.
상기 돌출유닛은,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돌출강형 각각에 결합되어 있는 비틀림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기둥 접합 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ding unit,
And a torsion preven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protruding steel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air of protruding steels, the both ends of which are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protruding steels.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마련된 기둥철근이 관통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보의 단부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보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돌출강형을 포함하는 돌출유닛;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돌출유닛을 받쳐서 지지하는 받침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강형의 폭은,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복수 개 마련된 기둥철근들 중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받침유닛의 하단부는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유닛의 상단부에는 평판 부재인 상판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에는 상기 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유닛은, 상기 결합공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기둥 접합 구조.As a structure for joining the ends of the beam and the column crossing each other,
The column reinforcing bar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are arranged side by si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beam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pair of protruding steel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beam Protruding unit;
It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pillar, and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projecting unit;
The width of the protruding steel is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column reinforcement, so that the width of the protruding steel can be inserted between two adjacent column reinforcing bar of the plurality of column reinforcement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unit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olum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which is a flat member,
The upper plate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of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And the protruding unit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while being screwed to the coupling hole.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마련된 기둥철근이 관통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보의 단부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보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돌출강형을 포함하는 돌출유닛;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돌출유닛을 받쳐서 지지하는 받침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강형의 폭은,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복수 개 마련된 기둥철근들 중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접한 두 개의 기둥철근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받침유닛의 상단부는 상기 돌출유닛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유닛의 하단부는,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기둥 접합 구조.As a structure for joining the ends of the beam and the column crossing each other,
The column reinforcing bar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are arranged side by si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beam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pair of protruding steel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beam Protruding unit;
It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pillar, and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projecting unit;
The width of the protruding steel is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column reinforcement, so that the width of the protruding steel can be inserted between two adjacent column reinforcing bar of the plurality of column reinforcement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uni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unit, the beam pillar joi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olumn.
상기 받침유닛의 하단부는, 상기 보의 하면과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기둥 접합 구조.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unit is on the same plan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bea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853A KR101254775B1 (en) | 2012-01-12 | 2012-01-12 |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colum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853A KR101254775B1 (en) | 2012-01-12 | 2012-01-12 |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column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4775B1 true KR101254775B1 (en) | 2013-04-15 |
Family
ID=4844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3853A KR101254775B1 (en) | 2012-01-12 | 2012-01-12 |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colum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477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5522B1 (en) | 2013-04-08 | 2013-09-06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Bridge with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columns |
KR20160012670A (en) | 2014-07-25 | 2016-02-03 | (주)케이모듈 | Rebar connecting implement and concrete embede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3728A (en) * | 2008-10-21 | 2010-04-29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cast concrete column using steel material, precast concrete beam using steel material an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using the same |
-
2012
- 2012-01-12 KR KR1020120003853A patent/KR10125477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3728A (en) * | 2008-10-21 | 2010-04-29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cast concrete column using steel material, precast concrete beam using steel material an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using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5522B1 (en) | 2013-04-08 | 2013-09-06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Bridge with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columns |
KR20160012670A (en) | 2014-07-25 | 2016-02-03 | (주)케이모듈 | Rebar connecting implement and concrete embede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3670B1 (en) | Prefabricated beam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 |
KR101781603B1 (en) | Prefabricated beam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 |
JP6424075B2 (en) | REINFORCED CONCRETE COLUMN STEEL BEAM JOINTING MEMBER,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 |
KR101305522B1 (en) | Bridge with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columns | |
JP2016108911A (en) | Earthquake resistant wall structure | |
KR101011252B1 (en) |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 |
KR101254775B1 (en) |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columns | |
KR20190084712A (en) | Prefabricated column assembly with foundation reinforcement part | |
KR20160056082A (en) | Structure Having Hollowness Slav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5869717B1 (en) | Existing concrete structure reinforcement structure | |
TWM558267U (en) | Grid deck with shear-resisting plates | |
JP4966825B2 (en) |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columns | |
JP2021098939A (en) | Elevated rigid frame bridge and elevated rigid frame bridge construction method | |
JP6966208B2 (en) | Column-beam joint structure | |
KR101946500B1 (en) | Hinged connected CFT column | |
KR101149034B1 (en) | Prefab building connecting materials which improved bending stress of beam | |
CN103216032A (en) | Precast concrete channel plate | |
KR20190044763A (en) | Unidirectional structure of wide double composite girder in which steel members is placed in the lower section thereof | |
KR20090093540A (en) | Construction system using form-less method | |
CN109469239B (en) | Grid plate with shear-resistant plate | |
JP7137978B2 (en) | Plate-shaped member for pillar | |
JP2019011675A (en) | Composite structure | |
KR102296125B1 (en) | Joint structure of filled composite beam and reinforced concrete column using core diaphragm | |
KR102619660B1 (en) | Permanent Beam Form Using Multi-glued steel bar | |
CN104389374B (en) | Combination multi-ribbed pl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ssembled plate-colum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