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679B1 -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 Google Patents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679B1
KR101248679B1 KR1020050117608A KR20050117608A KR101248679B1 KR 101248679 B1 KR101248679 B1 KR 101248679B1 KR 1020050117608 A KR1020050117608 A KR 1020050117608A KR 20050117608 A KR20050117608 A KR 20050117608A KR 101248679 B1 KR101248679 B1 KR 101248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mop
plate
nozzle
m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6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8837A (en
Inventor
황필재
박대환
양병선
김성근
서종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679B1/en
Publication of KR20070058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8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6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6Floor-scrubb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4Machines for treating carpets in position by liquid, foam, or vapour, e.g.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걸레가 부착되는 걸레판이 노즐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combined vacuum cleaner configured to selectively mount the mop plate to which the mop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nozzle.

본 발명에 의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는, 회전에 의해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와, 공기 중의 이물이 필터링되어 쌓이는 집진유니트(52)가 구비되는 본체(50)와; 공기와 이물이 상기 본체(50)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며,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20)가 구비되는 노즐(1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노즐(100)에는 상기 걸레(190)가 부착되는 걸레판(180)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걸레의 착탈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Steam combined vacuu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50 is provided with a motor assembly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by the rotation, and a dust collecting unit 52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Guides the air and foreign matter to be sucked into the main body (50),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nozzle (100) having a steam generator (120) for supplying water vapor by heating water; The mop plate 180 to which the mop 190 is attached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nozzle 100. According to this invention comprised in this way,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the removal operation of a mop becomes more convenient.

청소기, 스팀, 진공, 겸용, 걸레, 장착, 자석, 벨크로 Cleaner, Steam, Vacuum, Combined, Mop, Mounted, Magnet, Velcro

Description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스팀청소기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am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사시도.Figure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mbined stea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의 외관사시도.Figure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의 부분 절개사시도.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의 분해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의 측단면도.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nozz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의 정단면도.8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nozz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의 저면사시도.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의 저면에 장착되는 걸레판과 걸레의 조립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state of the mop plate and the mop mounted to the bottom of the nozz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본체 60. 연장관50. Body 60. Extension tube

70. 연결호스 80. 동작핸들70. Hose 80. Handle

100. 노즐 110. 베이스팬100.Nozzle 110.Base Pan

112. 흡입구 114. 이동바퀴112. Suction port 114. Moving wheel

116. 연결관 118. 완충부재116. Connectors 118. Shock Absorbers

120. 스팀발생장치 130. 스팀케이스120. Steam generator 130. Steam case

132. 스팀베이스 134. 스팀커버132. Steam base 134. Steam cover

136. 스팀발생부 138. 물저장부136. Steam generator 138. Water reservoir

140. 히터 142. 히터지지대140. Heater 142. Heater support

144. 스팀가이드 146. 흡수필터144. Steam Guide 146. Absorption Filter

150. 물투입구 152. 투입구밸브150. Water inlet 152. Inlet valve

160. 흡입유로관 170. 판수용부160. Suction channel 170. Plate receiving part

172. 스팀안내부재 174. 스팀분출공172. Steam guide member 174. Steam jet hole

180. 걸레판 182. 걸레부착부180. Mop plate 182. Mop attachment

184. 노출구 186. 탈거레버184. Exposed port 186. Extractor lever

190. 걸레 200. 외부케이스190. Mop 200. Outer case

210. 중앙커버 212. 디스플레이부210. Center cover 212. Display uni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걸레가 부착되는 걸레판이 노즐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bined-use vacuum cleaner configured to selectively mount the mop plate to which the mop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nozzle.

청소기는 기계의 힘으로 청소를 수행하여 인간의 노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로, 흡인력을 이용한 진공청소기와 물을 분사하여 물과 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물청소기는 물론 최근에는 스팀을 분사하여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스팀청소기 등 다양한 종류가 등장하고 있다.The vacuum cleaner is a device to reduce human labor by cleaning with the power of a machine. A vacuum cleaner using suction force and a water cleaner that injects water and air at the same time by spraying water, as well as foreign matters on the floor by spraying steam recently. Various types of steam cleaners for removing oil have emerged.

도 1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내장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바닥면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노즐(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vacuum cleaner. As shown,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1 having suction means for sucking air in the room, and a suction nozzle 2 into which air on the bottom surface is introduced by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main body 1. Has a configuration to include.

한편 상기 본체(1)는, 흡입수단이 수납되어 체결되는 하부본체(5)와, 상기 하부본체(5)에 내장된 부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미도시)가 내장되는 상부본체(6)로 구성되어 진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 the lower body (5) to which the suction means is received and fastened, and the parts embedded in the lower body 5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electric part for controlling the vacuum cleaner (not shown) It consists of an upper body (6) is built.

상기 상부본체(6)의 상면에는 이동핸들(6')이 더 구비된다. 상기 이동핸들(6')은 청소기의 이동시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본체(6)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된다.A moving handle 6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6. The movable handle 6 ′ is for facilitating the grip of the user when the cleaner moves,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6.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부본체(6)의 우측부에는 코드릴어셈블리가 더 구비된다. 상기 코드릴어셈블리는 아래에서 설명할 파워코드(9)를 감아서 보관하는 장치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cord reel assembly is further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body 6. The cord reel assembly is a device for winding and storing the power cord 9 to be described below.

또한 상기 본체(1)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본체의 양측면에 바퀴(8)가 체결되고, 상기 바퀴(8)에는 흡입노즐(2)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공기가 본체(1)에서 토출되는 토출부(8a)가 구성되어 진 다.In addition, wheels 8 ar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main body 1 can smoothly move the bottom surface, and the wheels 8 are separated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2. A discharge portion 8a through which air of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1 is constituted.

그리고 상기 본체(1)와 흡입노즐(2)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지는 흡입호스(3b)와, 상기 흡입호스(3b)의 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4)와, 상기 조작부(4)와 흡입노즐(2)을 연결하는 연장관(3a)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Between the main body 1 and the suction nozzle 2, a suction hose 3b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 operation unit 4 connected to an end of the suction hose 3b, and the operation unit 4 ) And an extension tube 3a for connecting the suction nozzle 2 are sequentially installed, so that 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main body 1 can be transmitted to the suction nozzle 2.

따라서 상기 본체(1)에 내장되어 있는 전장부(미도시)와 연결된 파워코드(9)를 통하여 전기를 인가하면,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4)의 버튼을 이용하여 흡입단계를 조정하면, 각 단계에 적당한 흡입력이 본체(1)에 내장되어 있는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된다.  Therefore,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hrough the power cord 9 connected to the electric part (not shown) built in the main body 1, the vacuum cleaner is in a standby state. At this time, if the user adjusts the suction step by using the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4, the suction force suitable for each step is generated by the suction means built in the main body (1).

상기 흡입수단을 통하여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연결부(3c)에 체결되어 있는 흡입호스(3b) 및 연장관(3a)을 거쳐 흡입노즐(2)로 전달된다.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중의 이물은 집진유니트(10)에 의하여 분리되며, 이물이 필터링된 공기는 토출부(8a)를 통하여 본체(1)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에 의해 청소가 수행된다.The suction force generated through the suction means is transmitted to the suction nozzle 2 via the suction hose 3b and the extension pipe 3a which are fastened to the suction connector 3c.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lint i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suction nozzle 2, the foreign matter in the sucked air is separat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10, and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Cleaning is performed by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 through the portion (8a).

그리고, 도 2에는 일반적인 스팀청소기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스팀청소기는 몸통부재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가열하여 뜨거운 스팀을 발생시킨 후 저면에 부착된 헝겊부재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운행할 수 있는 손잡이로 구성되어지는 바, 상기 본체부와 손잡이는 연결구 또는 지지구에 의해 연결되어 손잡이의 운행각도에 따라 본체부를 여러 방향으로 움직여 청소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2 shows an example of a general steam cleaner. The steam cleaner is composed of a main body for cleaning by using a cloth member attached to the bottom after heat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body member to generate hot steam and the handle that can move the main body, the main body And the handle is connected by a connector or a support is configured to move the main body in several directions according to the operating angle of the handle can be cleaned.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스팀청소기(20)는 스팀발생기능이 부가된 본체부(30)와,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부(30)를 수동으로 움직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틱부(40)로 구성된다.As shown, the steam cleaner 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30 with the steam generating func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 so that the main body 30 can be manually moved to operate. It consists of a stick portion 40.

상기 본체부(30)는 크게 상부케이스(30')와 스팀패드(3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케이스(30')는 상기 본체부(3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며, 이러한 상부케이스(30')의 상면 후단 중앙부에 상기 스틱부(40)의 하단이 결합된다.The main body 30 is formed by combining an upper case 30 'and a steam pad 30 ". The upper case 30' forms an upper appearance of the main body 30, and the upper case A lower end of the stick part 40 is coupled to a central rear end of an upper surface of 30 ′.

한편, 상기 본체부(30)와 스틱부(40) 사이에는 연결구(32)가 일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스틱부(40)를 본체부(30)에 거치한 후 상기 연결구(32)의 움직임에 따라 스팀청소기(20)의 본체부(30)를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32 is integrally provided between the body portion 30 and the stick portion 40. Therefore, after mounting the stick portion 40 to the body portion 30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body portion 30 of the steam cleaner 2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onnector (32).

상기 본체부(30)의 상부케이스(30') 내부에는 일정량의 세척수를 수장하는 물통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되고, 상기 상부케이스(30')의 하부에는 상기 물통부재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함께 형성된 스팀분사 공급로인 스팀발생구(도시되지 않음)로 스팀을 분사시키는 스팀패드(30")가 구비된다.Inside the upper case 30 'of the main body 30, a bucket member (not shown)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hing water is built-in,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ase 30' receives washing water from the bucket member. A steam pad 30 " is provided to inject steam to a steam generation port (not shown) which is a steam injection supply path formed together.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30')의 상면에는 상기 물통부재에 물을 투입하는 물주입구(34)가 형성되고, 상기 물주입구(34)의 상면에는 캡부재(34')가 설치되어 물주입구(34)를 차폐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30 'is formed with a water inlet 34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bucket member, the cap member 34'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inlet 34 is a water inlet ( 34) Shield.

상기 스팀패드(30")는 상기 본체부(30)의 저면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상기 스팀패드(30") 하면에는 헝겊부재(36)가 씌워진다. 따라서, 내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팀과 상기 헝겊부재(36)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바닥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The steam pad 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30, and a cloth member 36 is cover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am pad 30".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floor by using the steam and the cloth member 36 supplied from the inside.

상기 연결구(32)의 상측으로는 스틱부(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틱부(40)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42)가 형성되고, 이러한 손잡이(42)의 선단부에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하거나 강도를 조절하는 작동버턴(44)이 구비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or 32 is provided with a stick portion 40, the upper end of the stick portion 40 is formed with a handle 42 for convenient use of the user, the tip of the handle 42 It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44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r adjusting the intensity.

상기 본체부(3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팀발생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스팀이 본체부(30)의 하부로 분사되고, 이러한 스팀은 상기 헝겊부재(36)에 골고루 분사됨과 동시에 항상 고온의 스팀으로 유지되므로 청소를 깨끗하게 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side the main body 30, a steam generator is built in. Therefore,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steam generator is inj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0, the steam is evenly sprayed on the cloth member 36 and at the same time always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steam can be cleaned clean .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에서 예시한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와 같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본체(1) 내부에 장착된 모터의 구동을 통한 공기압력의 차이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카펫이나 가구 또는 바닥에 뭍은 각종 먼지와 오물을 단시간 내에 흡입하여 이를 소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General vacuum cleaners such as the canister vacuum cleaners exemplified above can remove various dusts and dirts on carpets, furniture or floors by suction power generated by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through the driving of the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 It is designed to inhale and inhale it within a short time.

하지만,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카펫이나 가구를 사용하는 서양의 주거 문화에 적합하도록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용도로만 고안되어 사용하는 것이어서, 가구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에 직접 신체를 접촉시켜 생활하는 우리 나라의 온돌 좌식 주거문화에는 적합하지 않아 이중으로 청소를 시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우리의 전통양식에서는 통상적으로 가구나 카펫을 깔지 않고 장판 또는 온돌을 깔게 되므로, 바닥을 청소할 때 먼지를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바닥면을 물 청소하여 최종적으로 청소를 마무리하여야 하는 것이다.However, these vacuum cleaners are designed and used only to inhale dust from the floor to fit the Western residential culture using carpets or furniture, so our country lives directly on the floor without using furniture. It is not suitable for the ondol sedentary living culture, and there is a problem of double cleaning. In other words, in our traditional style, floor coverings or ondol are usually laid without furniture or carpeting. Therefore, when cleaning the floor, the floor must be cleaned by water and finally the cleaning is completed.

따라서, 1차적으로 캐니스터형과 같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눈에 보이는 쓰레기나 각종 오물을 제거하고, 2차적으로 수분이 함유된 걸레나 상기에서 예시한 스팀청소기로 바닥면을 닦아내어 청소를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청소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청소기를 종류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firstly, a general vacuum cleaner such as a canister type removes visible garbage and various dirts, and secondly, a mop containing moisture or a floor cleaner is cleaned by wiping the bottom surface with the above-described steam clea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ing operation is quite troublesome because there is no situ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provided by the type of cleaner.

결국, 두 대의 청소기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비용 및 노동이 많이 소요되며, 청소기를 저장하기 위한 충분한 저장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As a result, since two cleaners must be provided, a lot of cost and labor are required, and a sufficient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cleaners is requir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청소 및 스팀청소를 동시에 수행 가능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combined vacuum cleaner capable of performing a vacuum and steam cleaning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걸레가 부착되는 걸레판이 노즐 저면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am combined vacuum cleaner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nozzle bottom surface of the mop plate to which the mop is attach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는, 회전에 의해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와, 공기 중의 이물이 필터링되어 쌓이는 집진유니트(52)가 구비되는 본체(50)와; 공기와 이물이 상기 본체(50)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며,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20)가 구비되는 노즐(1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노즐(100)에는 걸레(190)가 부착되는 걸레판(180)이 수용되는 판 수용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걸레판은 상기 판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걸레판에는 상기 판 수용부에 장착된 걸레판을 용이하게 탈거하도록 하기 위한 탈거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team combine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50 is provided with a motor assembly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by the rotation, and a dust collecting unit 52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Guides the air and foreign matter to be sucked into the main body (50),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nozzle (100) having a steam generator (120) for supplying water vapor by heating water; The nozzle 100 is recessed to form a plate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mop plate 180 to which the mop 190 is attached, and the mop plate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and the mop plate has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l lever is provided to easily remove the mop plate mounted 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걸레의 착탈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comprised in this way,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the removal operation of a mop becomes more conveni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stea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50)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장관(60)과, 상기 연장관(60)과 연결되어 공기와 이물을 안내하는 신축성 재질의 연결호스(70)와,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노즐(100) 등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50 in which a plurality of parts are built, an extension pipe 60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an extension pipe 60 connected to air and foreign matter. The connecting hose 70 of the elastic material for guiding, and the nozzle 100 for guiding the suction of air and foreign matter while moving in a state close to the bottom surfac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노즐(100)과 본체(50)는 이격되어 있으며, 이러한 노즐(100)과 본체(50) 사이에는 상기 연장관(60)과 연결호스(70) 등이 구비되어 공기와 이물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연장관(60)의 일단(선단)은 상기 노즐(100)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50)의 선단부에는 상기 연결호스(70)의 일단(후단)이 결합된다.In more detail, the nozzle 100 and the main body 50 are spaced apart, and the extension pipe 60 and the connection hose 70 are provided between the nozzle 100 and the main body 50 to provide air and foreign matter. Will guide the flow. That is, one end (front end) of the extension pipe 60 is connected to the nozzle 100, and one end (back end) of the connection hose 70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50.

상기 연장관(60)의 다른 일단(후단)에는 동작핸들(80)이 구비된다. 상기 동작핸들(80)은 사용자가 청소작업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동작핸들(8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82)가 형성된다.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extension pipe 6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handle (80). The operation handle 80 is a part for the user to easily grip the cleaning operation, the front of the operation handle 80 is formed with an operation unit 82 to enable the user to operate the vacuum cleaner.

따라서 사용자는 한손으로 상기 동작핸들(8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82)를 조작하여 청소기의 동작 여부와 청소기의 강약 또는 아래에서 설명할 스 팀발생장치(120)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manipulates the operation unit 82 while holding the operation handle 80 with one hand to determine whether the cleaner is operated and the strength or weakness of the cleaner or the steam generator 120 to be described below. Off can be controlled.

상기 본체(5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공기 중의 이물이 필터링되어 쌓이는 집진유니트(52) 등의 다수 부품이 설치된다. The main body 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ts such as a motor assembly (not shown) that rotates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nd a dust collecting unit 52 in which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re filtered and stacked.

따라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흡인력이 발생하면, 상기 노즐(100)을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어 상기 연장관(60) 및 연결호스(70) 등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50)로 유입되며, 상기 본체(50)로 유입된 이물은 상기 집진유니트(52) 내부에 구비된 필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걸러져 집진유니트(52) 내부에 쌓이게 된다.Therefore,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external air and foreign matter are sucked through the nozzle 100 and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50 via the extension pipe 60 and the connection hose 70. The foreign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50 is filtered by a filter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52 and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52.

도 4 내지 도 10에는 상기 노즐(10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와 도 5에는 상기 노즐(100)의 외관사시도 및 부분 절개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노즐(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과 도 8에는 노즐(100)의 측단면 및 정단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와 도 10에는 노즐(100)의 저면사시도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4 to 10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nozzle 100 in detail. That is, FIGS. 4 and 5 show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nozzle 100, respectively, and FIG. 6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zzle 100. 7 and 8 illustrate side and front cross-sections of the nozzle 100, respectively, and FIGS. 9 and 10 show bottom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nozzle 100, respectively.

상기 노즐(100)은 바닥면의 이물이 공기와 함께 상기 본체(50)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팬(110)과,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외부케이스(20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The nozzle 100 guides the foreign material of the bottom surface to be sucked into the main body 50 together with the air, and the base fan 110 forming the bottom surface as shown, and the base fan 110 of the base fan 110. The overall appearance is formed by the outer case 200 coupled to the upper side.

상기 베이스팬(110)은 사각형상을 가지며, 선단 중앙부에는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유입되는 흡입구(11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구(112)를 통 해 상기 베이스팬(110) 하측의 공기와 이물이 베이스팬(11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base fan 110 has a quadrangular shape, and a suction port 112 through which external air and foreign matter flows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distal end up and down. That is, the air and the foreign matter under the base fan 110 are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fan 110 through the suction port 112.

상기 베이스팬(110)의 후단에는 이동바퀴(114)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퀴(114)는 상기 노즐(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로 한 쌍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10)의 선단 좌우에는 한 쌍의 보조바퀴(114')가 설치되어 노즐(100)의 이동을 돕는다.A rear wheel 114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base fan 110. The moving wheel 114 i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nozzle 100, a pair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A pair of auxiliary wheels 114 ′ are install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base pan 110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nozzle 100.

상기 베이스팬(110)의 중앙부 후단에는 연결관(116)이 후방으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116)은 상기 연장관(60)과 상기 노즐(100)이 결합되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16)의 선단은 상기 노즐(100)의 후단과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연장관(60)의 선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116)은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노즐(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이물을 상기 연장관(60)으로 안내한다. The rear end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fan 1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116 is installed. The connecting pipe 116 guides the extension pipe 60 and the nozzle 100 to be coupled. Therefore,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pipe 116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nozzle 100, the rear end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pipe (60). In addition, the connecting pipe 116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guides the ai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nozzle 100 to the extension pipe (60).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10) 테두리에는 완충부재(118)가 부착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팬(110)의 전면과 좌우 측면에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부재(118)가 부착 설치된다. 이러한 완충부재(118)는 상기 노즐(100)이 벽면 등과 같은 외부 물체와 충돌할 경우에 노즐(100)의 파손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The buffer member 118 is attached to the edge of the base pan 110. More specifically, the buffer member 118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is attached to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an 110. The buffer member 118 serves to prevent damage to the nozzle 100 and to mitigate an impact when the nozzle 100 collides with an external object such as a wall surface.

상기 노즐(100)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20)가 구비된다.Inside the nozzle 100, a steam generator 120 is provided to heat water to supply water vapor.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케이스(130)에 의해 대략적 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스팀케이스(130)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스팀베이스(132)와, 상기 스팀베이스(132)의 상측에 결합되는 스팀커버(13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베이스(132)와 스팀커버(134)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The steam generator 120 has a rough appearance is formed by the steam case 130 as shown. The steam case 130 includes a steam base 132 formed of a flat plate and a steam cover 134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steam base 132. Therefor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team base 132 and the steam cover 134.

상기 스팀베이스(132)와 스팀커버(134) 사이의 공간에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형성하는 스팀발생부(136)와, 상기 스팀발생부(136)로 물을 공급하는 물저장부(138)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팀베이스(132)와 스팀커버(134) 사이의 공간은 좌우로 구획되어 상대적으로 좌측에는 스팀발생부(136)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물저장부(138)가 형성된다. In the space between the steam base 132 and the steam cover 134, a steam generator 136 for heating water to form water vapor, and water storag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136 A portion 138 is formed. That is, the space between the steam base 132 and the steam cover 134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nd the steam generator 136 is formed on the left side and the water storage unit 138 is formed on the right side.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스팀발생부(136)는 상기 노즐(100)의 좌측단 부근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물저장부(138)는 상기 노즐(1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스팀발생부(136)와 물저장부(138)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Looking in more detail, the steam generator 136 is formed long before and after the left end of the nozzle 100, the water storage unit 138 is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nozzle 100 The steam generator 136 and the water storage unit 138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부(136)는 전후 길이가 상기 물저장부(138)의 길이보다 크며, 좌우 길이는 상기 물저장부(138)의 길이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높이는 상기 물저장부(138)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스팀발생부(136)에는 수증기(水蒸氣)가 형성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140)도 수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Accordingly, the steam generator 136 has a front and rear length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water storage unit 138, and the left and right lengths ar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water storage unit 138.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team generating unit 136 is formed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storage unit 138. This is because the steam generating unit 136 should be provided with a sufficient space for the formation of water vapor (水蒸氣), and also to accommodate the heater 14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스팀발생부(136)에는 히터(140)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14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물을 증기로 변환시킨다. 상기 히터(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 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team generator 136 is provided with a heater 140. The heater 140 generates heat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hereby converting the water of the steam generator 136 into steam. The heater 140 is preferably formed in a 'U' shape (viewed from above) as shown.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후단부에는 히터지지대(142)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지지대(142)는 상기 스팀베이스(13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히터(140)의 양단을 고정 지지한다.A heater support 142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team generator 136. The heater support 142 protrudes upward from the steam base 132 to fix and support both ends of the heater 140.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중앙 부근에는 스팀가이드(144)가 형성된다. 상기 스팀가이드(144)는 상기 스팀베이스(132)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중공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수증기(水蒸氣)가 이동된다. 즉, 상기 스팀발생부(136)에서 형성된 수증기(水蒸氣)가 상기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상기 스팀베이스(132)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팀가이드(144) 상의 수증기가 상기 베이스팬(110)을 통과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팬(110)에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스팀 배출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 가이드(144) 및 상기 스팀 배출공은 상기 수증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팀 유로를 형성한다.
A steam guide 144 is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steam generator 136. The steam guide 144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steam base 132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comprises a hollow shaft having a flow path therein. Therefore, steam is moved through the steam guide 144. That is, water vapor formed in the steam generator 136 is moved below the steam base 132 through the steam guide 144. In this case, a steam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steam is discharged is formed in the base fan 110 so that the steam on the steam guide 144 may pass through the base fan 110.
Therefore, the steam guide 144 and the steam discharge hole forms a steam flow path for allowing the steam to move.

한편,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바닥에는 흡수필터(146)가 구비된다. 상기 흡수필터(146)는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바닥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히터(140)의 하측에 위치된다.Meanwhile, an absorption filter 146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team generator 136. The absorption filter 146 is preferably formed in a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ize of the steam generating unit 136, it is located below the heater 14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흡수필터(146)의 하면은 상기 스팀베이스(132)에 접하고, 상면은 상기 히터(140)에 접한다. 그리고 이러한 흡수필터(146)는 물을 용이하게 흡수하고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수필터(146)는 마치 스펀지(sponge)와 같이 물기를 머금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히터(140)와 접한 상태에서도 연소되지 않는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석면(石綿)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More specifically, the lower surface of the absorption filter 146 is in contact with the steam base 132, and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heater 140. In addition, the absorption filter 146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easily absorbs water and has high heat resistance. That is, the absorption filter 146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holding water, such as a sponge,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heat resistance that does not burn even in contact with the heater 140. For example, it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sbestos.

따라서 스팀발생부(136)는 물론 상기 물저장부(138)의 물이 상기 흡수필터 (146) 내부로 흡수된다. 즉, 상기 물저장부(138)의 물도 상기 스팀발생부(136)로 이동하여 흡수필터(146)에 스며든다. 그리고, 이러한 흡수필터(146)에 흡수된 수분은 상기 히터(140)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함으로써 수증기(水蒸氣)로 변환된다.Therefore,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unit 138 as well as the steam generator 136 is absorbed into the absorption filter 146. That is,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unit 138 also moves to the steam generator 136 to seep into the absorption filter 146. The moisture absorbed by the absorption filter 146 is converted into water vapor by heating and evaporating by the heater 140.

상기 스팀커버(134)는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커버(134)는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상측을 덮는 스팀부커버(134')와, 상기 물저장부(138)의 상측을 덮는 저장부커버(134")로 나누어지는데, 좌측의 상기 스팀부커버(134')와 우측의 저장부커버(134")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스팀부커버(134')의 높이가 저장부커버(134")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크다.The steam cover 134 is formed stepped. That is, as shown, the steam cover 134 includes a steam cover 134 ′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steam generator 136 and a storage cover 134 ″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water storage 138. The steam cover 134 ′ on the left side and the storage cover 134 ″ on the right side are formed stepwise so that the height of the steam cover 134 ′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torage cover 134 ″. As big as

상기 스팀커버(134)에는 물투입구(15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팀커버(134)의 우측단에는 상하로 관통된 물투입구(15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물투입구(150)는 상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물투입구(150)의 내측에는 나사면이 형성된다.The water inlet 150 is formed in the steam cover 134. That is, the water inlet 150 penetrates up and down is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steam cover 134. The water inlet 150 protrudes a predetermined portion upward. And a screw surface is formed inside the water inlet 150.

그리고 상기 물투입구(150)는 투입구밸브(15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나사면이 형성된 원형의 투입구밸브(152)가 상기 물투입구(150)에 나사결합되면, 상기 물투입구(150)가 차폐된다.The water inlet 15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inlet valve 152. That is, as shown, when the inlet valve 152 of the circular threaded surface formed on the bottom screwed to the water inlet 150, the water inlet 150 is shielded.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의 물저장부(138) 상측에는 흡입유로관(16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스팀커버(134)의 저장부커버(134") 상측에는 흡입유로관(16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흡입유로관(16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을 상기 노즐(100)의 후방으로 안내한다.The suction flow passage 160 is installed above the water storage unit 138 of the steam generator 120. That is, the suction flow channel 160 is installed above the storage cover 134 ″ of the steam cover 134. The suction flow channel 160 is configured to move air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to the rear of the nozzle 100. To guide.

상기 흡입유로관(160)은 상기 노즐(100)의 중앙부를 전후로 가로질러 설치되 며, 선단은 상기 흡입구(112)와 결합된다. 즉, 상기 흡입유로관(160)의 선단은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흡입구(112)의 상단과 결합된다.The suction channel 160 is installed across the center portion of the nozzle 100 back and forth, the front end is coupled to the suction port 112.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suction flow pipe 160 is vertically bent downward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ort 112.

상기 베이스팬(110)의 하부에는 사각형상의 판수용부(170)가 상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판수용부(170)에는 아래에서 설명한 걸레판(180)이 수용되는 부분이며, 이러한 판수용부(170)는 아래에서 설명할 걸레판(180)이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an 110 is formed such that the rectangular plate receiving portion 170 is recessed upward.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is a part in which the mop plate 180 described below is accommodated, and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mop plate 180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attached by magnetic force. This is preferred.

물론, 상기 판수용부(170) 전체가 금속재질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일부만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판수용부(170)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지 않고 판수용부(170) 상측에 별도의 금속재질이 내장되거나 판수용부(170) 저면에 별도의 금속재질이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the plate receiving portion 170 does not need to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s a whole, and only a part of the plate receiving part 17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In addition,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may not be made of a metal material, but a separate metal material may be built i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or a separate metal material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

상기 판수용부(170)의 중앙부에는 스팀안내부재(172)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상기 베이스팬(110)의 하측으로 이동한 수증기(水蒸氣)가 좌우로 분산되어 퍼지도록 안내한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receiving portion 170, the steam guide member 172 is formed long left and right. A flow path is formed inside the steam guide member 172 to guide the water vapor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fan 110 through the steam guide 144 to be distributed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하면에는 다수의 스팀분출공(17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에 의해 안내되는 수증기(水蒸氣)가 상기 스팀분출공(174)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eam guide member 172, a plurality of steam jet holes 174 are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Therefore, water vapor guided by the steam guide member 172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steam jet hole 174.

상기 판수용부(170)에는 사각평판 형상의 걸레판(180)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걸레판(180)은 걸레(19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판으로, 저면에는 걸레(190)를 부착하기 위한 걸레부착부(182)가 형성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상기 걸레판(180) 저면의 전반부와 후반부에는 좌우로 길게 걸레부착부(182)가 각각 구비된다. The plate-receiving portion 170 is selectively mounted with a square plate mop plate 180. The mop plate 180 is a plate to which the mop 190 is detachably attached, and a mop attaching part 182 for attaching the mop 190 is formed at a bottom thereof. That is, as shown in Figure 9, the front and rear half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op plate 180 is provided with a mop attachment portion 182 long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상기 걸레부착부(182)는 일명 벨크로(velcro) 또는 '찍찍이'라고도 불리는 매직 테이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레부착부(182)와 대응되는 벨크로(velcro)가 상면에 형성된 걸레(190)가 상기 걸레판(18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선택적으로 부착된다.The mop attaching portion 182 is preferably made of Velcro, or magic tape, also referred to as 'sticky'. 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a mop 190 having a velcro corresponding to the mop attaching part 182 is selective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op plate 180.

상기 걸레판(180)은 상기 노즐(100)의 저면에 자력(磁力)에 의해 부착 고정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레판(180)의 내부에는 좌우로 길게 영구자석이 설치된다. 이러한 영구자석은 상기 걸레판(180)이 상기 판수용부(170)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판수용부(170)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걸레판(180)에는 영구자석이 내장되므로, 상기 걸레판(180)을 상기 판수용부(170) 근처로 가져가면 상기 걸레판(180)이 자력(磁力)에 의해 저절로 상기 판수용부(170)에 부착되는 것이다.The mop plate 180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nozzle 100 by magnetic force.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the permanent magnet is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interior of the mop plate 180. This permanent magnet is for the mop plate 180 to be easily attached to the plate receiving portion 170. That is,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since the permanent magnet is built in the mop plate 180, the mop plate 180 is brought to the vicinity of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180 is spontaneously attached to the plate receiving portion 170 by magnetic force.

상기 걸레판(180)의 중앙부에는 노출구(184)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걸레판(180)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좌우길이와 대응되는 크기의 노출구(184)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노출구(184)를 통해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저면이 상기 걸레판(180) 하부로 노출된다.In the center portion of the mop plate 180, the exposure port 184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That is, the exposed portion 184 of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length of the steam guide member 172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p plate 180 long to the left and right. Therefore,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am guide member 172 is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p plate 180 through the exposure opening 184.

상기 걸레판(180)의 후단에는 탈거레버(186)가 후방으로 일정 크기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탈거레버(186)는 상기 걸레판(180)이 상기 노즐(100)의 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걸레판(180)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 직 벤딩(bending)된 다음, 다시 후방으로 수직 벤딩(bending)되어 전체적으로 '「'자 형상(우측방에서 볼 때)으로 성형된다. At the rear end of the mop plate 180, a detachment lever 186 is formed to protrude to a rearward size. The stripping lever 186 allows the mop plate 180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100, and is vertically bent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mop plate 180, and then back again. Vertical bending (bending) to form an overall '' 'shape (as seen from the right side).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상기 노즐(100)의 전후는 물론 좌우와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110)과 결합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우측단 부근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가 안착되는 밸브안착부(202)가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밸브안착부(202)의 중앙부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의 하단부가 관통하는 밸브관통공(20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The outer case 200 is coupled to the base fan 110 to form the front and rear,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and the top appearance of the nozzle 100. Near the right end of the outer case 200, the valve seat 202 on which the inlet valve 152 is seated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In addition, a valve through hole 204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inlet valve 152 penetrate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valve seat 202.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중앙부에는 전후로 가로질러 중앙커버(21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중앙커버(210)에는 디스플레이부(212)가 더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2)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전원의 공급 여부와 물부족(물 보충) 여부를 표시한다.A central cover 210 is furthe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case 200 to cross the front and rear sides.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12 is further formed on the central cover 210. The display unit 212 serves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e of the steam generator 120 to the outside, and mainly displays whether power is supplied and whether water is insufficient (water replenishment).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작용을 살펴본다.Below look at the action of the combined steam cleane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사용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를 회전시켜 상기 물투입구(150)를 개방시킨 다음, 상기 물투입구(150)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물저장부(138)에 적당량의 물이 수용되면, 다시 상기 투입구밸브(152)를 이용하여 상기 물투입구(150)를 차폐한다.First, the user opens the water inlet 150 by rotating the inlet valve 152, and then supplies wat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inlet 150. And when 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8, the water inlet 150 is shielded again by using the inlet valve 152.

다음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시키면, 이러한 전원은 상기 본체(50) 및 상기 노즐(100)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5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Next,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outside, such 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50 and the nozzle 100. Therefore, a motor assembly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50 rotates to generate a suction force.

이렇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00)의 흡입구(112)를 통 해 외부의 이물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상기 흡입유로관(160)을 통과하여 상기 연장관(60) 및 연결호스(70)를 거쳐 상기 본체(5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5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은 상기 집진유니트(52) 내부에 구비된 필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걸러져 집진되고, 이물이 필터링된 공기는 모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7, foreign matter is sucked with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112 of the nozzle 100 and passes through the suction flow channel 160 to connect with the extension pipe 60. It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50 via a hose 70.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50 is collected by the filter assembly (not shown)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52, the foreign matter filtered air is the motor assembly (not shown) It is discharged to outside.

한편,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스팀발생장치(120)가 작동한다. 즉 외부의 전원이 상기 히터(140)로 공급되어 히터(140)가 가열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물투입구(150)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물저장부(138)에 물이 공급된 상태이며, 상기 흡수필터(146)에는 이러한 물이 충분히 흡수되어 있는 상태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eam generator 120 is operated by a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hat is, external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140 to heat the heater 140. Of course, at this tim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unit 138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inlet 150, and the water absorbing filter 146 is sufficiently absorbed.

따라서 상기 히터(140)가 가열되면, 이러한 히터(140)와 접하고 있는 상기 흡수필터(146)에 흡수되어 있는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水蒸氣)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히터(140)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되는 물은 상기 스팀케이스(130) 내부에 저장된 전체의 물이 아니라, 상기 흡수필터(146)에 흡수된 상기 히터(140)의 주변에 있는 물이 된다. Therefore, when the heater 140 is heated, the water absorbed by the absorption filter 146 in contact with the heater 140 is heated to form water vapor. In this case, the water heated by the heater 140 is not water in the whole stored in the steam case 130, but water around the heater 140 absorbed by the absorption filter 146.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히터(140)의 저면은 상기 흡수필터(146)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히터(140)가 가열되면 상기 히터(140) 주변에 위치한 물, 즉 상기 흡수필터(146)에 함유된 물이 우선적으로 가열되어 수증기(水蒸氣)로 전환된다. 따라서, 빠른 시간(실험에 의하면, 약 10~20초 이내)내에 물이 증발되어 스팀화된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bottom of the heater 1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bsorption filter 146, when the heater 140 is heated, water located around the heater 140, that is, the absorption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lter 146 is preferentially heated and converted to water vapor. Therefore, water evaporates and vaporizes within a short time (by experiment, within about 10 to 20 seconds).

상기 히터(140)에 의해 생성된 수증기(水蒸氣)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팀안내부재(17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스팀안내부재(172)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팀안내부재(172) 내부의 수증기(水蒸氣)는 좌우로 분산되어 상기 다수의 스팀분출공(174)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다.Water vapor generated by the heater 140 moves downward through the steam guide 144 and flows into the steam guide member 172 as shown in FIG. 8. At this time, since the steam guide member 172 is form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the water vapor in the steam guide member 172 is distributed to the left and right and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plurality of steam jet holes 174. .

상기 스팀분출공(17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수증기(水蒸氣)는 상기 걸레(19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걸레(190)는 고온의 수증기(水蒸氣)를 함유하여 물걸레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면을 닦게 되면,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이 상기 걸레(190)에 의해 쉽게 분리되어 제거된다.Water vapor (水蒸氣)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jet hole 174 is introduced into the mop 190. Therefore, the mop 190 contains a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水蒸氣) to become a mop. When the bottom surface is cleaned in this stat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is easily separated and removed by the mop 190.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2)를 통해서는 수증기(水蒸氣)의 형성 여부가 표시된다. 즉, 상기 히터(140)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水蒸氣)가 형성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에 이러한 상태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에는 물부족 여부도 표시된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물저장부(138) 내부에 설치되는 수위센서의 측정에 의해 물부족이 감지되면, 이러한 상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12)를 통해 외부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에 표시된 각종 정보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The display unit 212 displays whether water vapor is formed. That is, when water is heated by the heater 140 to form water vapor, such a stat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2.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12 also displays whether water is insufficient. That is, although not shown, if the water shortage is detected by the measurement of the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8, this state is displ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unit 212. Therefore, the user can take appropriate measures according to variou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2.

한편, 사용자는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상기 걸레판(180)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selectively mount and use the mop plate 18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ottom surface to be cleaned.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파트 등과 같이 장판이 깔린 바닥면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걸레(190)를 벨크로(velcro)로 이루어진 상기 걸레부착부(182)를 이용하여 걸레판(180) 저면에 부착시킨 다음, 상기 걸레판 (180)을 상기 노즐(100) 저면에 형성된 판수용부(170)에 장착시킨다.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cleaning the floor surface covered with a floorboard such as an apartment, the mop plate (182) using the mop attachment part 182 made of velcro (mop 190) 180) After attaching to the bottom surface, the mop plate 180 is mounted to the plate receiving portion 17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100.

이때 상기 걸레판(180)에는 영구자석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판수용부(170)에는 금속재질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걸레판(180)을 상기 노즐(100)의 저면 근처로 가져가면, 상기 걸레판(180)이 자력(磁力)에 의해 상기 판수용부(170)에 끌려가 장착된다.At this time, since the permanent magnet is built in the mop plate 180 and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is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when the user takes the mop plate 180 near the bottom of the nozzle 100, The mop plate 180 is attracted and mounted to the plate receiving portion 170 by magnetic force.

다음으로 카펫 등이 깔리 바닥면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레판(180)을 탈거시킨 상태에서 청소작업을 한다. 즉, 이때에는 상기 걸레(190)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걸레(190)가 청소작업을 방해하기 때문이다.Next, when a carpet or the like is to be cleaned, the cleaning work is performed while the mop plate 180 is removed. That is, at this time,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mop 190, rather, because the mop 190 interferes with the cleaning operation.

따라서, 이때에는 사용자는 상기 걸레판(180)이 상기 노즐(100)의 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발가락이나 손 등을 이용하여 상기 걸레판(180)의 탈거레버(186)를 하측으로 민다. 이렇게 되면, 상기 걸레판(180)이 상기 판수용부(170)로부터 분리되어 탈거된다. 즉, 상기 걸레판(180)은 상기 노즐(100)의 저면에 자력(磁力)에 의해 장착된 상태이므로, 이러한 자력(磁力)보다 큰 힘을 가하면 상기 걸레판(180)이 저절로 상기 노즐(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Therefore, at this time, the user pushes the detachment lever 186 of the mop plate 180 downward by using a toe or hand while the mop plate 18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100. In this case, the mop plate 180 is separated from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and removed. That is, since the mop plate 18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100 by magnetic force, when the force greater than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the mop plate 180 may be spun by the nozzle 100. ).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즐(100)의 저면 즉, 상기 판수용부(170)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판수용부(170) 상측에 별도의 금속재질이 구비되고, 상기 걸레판(180)에는 영구자석이 내장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다른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걸레판(180)의 적어도 일부를 자석(磁石)에 잘 끌리는 금속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노즐(100)의 저면 또는 내부에 영구자석이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100,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plate receiving portion 17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eparate metal material is provided on the plate receiving portion 170. The mop plate 180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ermanent magnet is built, but other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mop plate 18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ttracted to a 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r inside of the nozzle 10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서는, 노즐을 통해 이물을 흡입하는 동시에 스팀을 분사하여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을 걸레로 닦아낸다. 따라서, 한 번의 동작에 의해 진공청소 및 물걸레 청소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장비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combine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reign material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by wiping the foreign material at the same time by injecting steam through the nozzle to wipe off with a rag. Therefore, since the vacuum cleaning and the mop cleaning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by on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as well as reduce the cost of the equipment.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걸레판이 자력(磁力)에 의해 노즐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착탈되고 걸레판에는 걸레가 벨크로(velcro)에 의해 부착되므로, 걸레를 노즐에 착탈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즉, 걸레의 착탈이 용이하므로, 청소할 대상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p plate is selectively detached to the bottom of the nozzle by magnetic force, and the mop plate is attached to the mop plate by velcro, so that the mop and the mop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more easily. That is, sinc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mop is eas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is easy even when the object to be cleaned is changed.

Claims (7)

회전에 의해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와, 공기 중의 이물이 필터링되어 쌓이는 집진유니트(52)가 구비되는 본체(50)와;A main body 50 including a motor assembly generating suction force by rotation and a dust collecting unit 52 in which foreign matters in the air are filtered and stacked; 공기와 이물이 상기 본체(50)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며,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20)가 구비되는 노즐(100)을 포함하고, It includes a nozzle 100 for guiding the air and foreign matte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50, the steam generator 120 for supplying water vapor by heating the water, 상기 노즐(100)에는 걸레(190)가 부착되는 걸레판(180)이 수용되는 판 수용부가 함몰 형성되고, The nozzle 100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late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mop plate 180 to which the mop 190 is attached. 상기 걸레판은 상기 판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The mop plate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plate receiving portion, 상기 걸레판에는 상기 판 수용부에 장착된 걸레판을 용이하게 탈거하도록 하기 위한 탈거레버가 구비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The mop plate is a combined vacuum cleaner having a removal lever for easily removing the mop plate attached to the plate receiv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판(180)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p plate 180, 상기 노즐(100)의 저면에 자력(磁力)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Combined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100 by magnetic for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판(180)과 노즐(100)에는 영구자석과 금속재질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3. The combined vacuum cleaner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mop plate (180) and the nozzle (100) are provided with permanent magnets and metal materials, respectively.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판(180)에는 걸레(19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The steam cleaner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mop plate (18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p plate (18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190)는 벨크로(velcro)에 의해 상기 걸레판(180)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The combined vacuum cleaner of claim 4, wherein the mop (190) is attached to the mop plate (180) by a velcro.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와, 스팀이 유동되는 스팀 유로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100); A nozzle body 100 in which an air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 steam flow path through which steam flows are formed; 상기 노즐 본체(100)의 하측에 함몰 성형되는 판 수용부(170); A plate receiving portion 170 recessed and formed below the nozzle body 100; 상기 판 수용부(170)에 형성되어 상기 스팀 유로 상의 스팀이 배출되도록 하는 스팀 배출공;A steam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plate accommodation unit 170 to discharge steam on the steam flow path; 상기 판 수용부(17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 본체(100)에 고정되며, 걸레(190)가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한 걸레판(180); 및 A mop plate (180) fixed to the nozzle body (100)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and to which a mop (190) is selectively attached; And 상기 걸레판(180)에 형성되어, 적어도 상기 스팀이 토출되도록 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Is formed in the mop plate 180, and includes a through hole for discharging at least the steam, 상기 걸레판에는 상기 판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걸레판을 상기 판 수용부에서 용이하게 탈거되도록 하기 위한 탈거레버가 구비되는 스팀 겸용 진공 청소기.The mop plate is provided with a vacuum lever for removing the mop plate accommodated in the plate accommodating portion to easily remove from the plate accommodating portion.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 장치와,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이 저장되는 집진 장치가 구비되는 본체(50)와;A main body 50 including a suction force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toring foreign matter in the sucked air; 상기 본체(50)와 연통되어 공기와 이물이 상기 본체(50)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며, 스팀발생장치(120)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이동되는 스팀 유로가 구비되는 노즐(100); 및 A nozzle (100) communicating with the main body (50) to guide air and foreign matter to be sucked into the main body (50) and having a steam flow path through which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ing device (120) is moved; And 상기 노즐(100)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수용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며, 걸레(190)가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걸레판(180)이 포함되고, At least a part is accommodated in the nozzle 100, the position is fixed in the accommodated state, and includes a mop plate 180 to which the mop 190 is selectively attached, 상기 스팀 유로 상의 스팀은 상기 노즐(100)에서 배출된 후, 상기 걸레판(180)을 관통하여 상기 걸레(190)로 공급되고, After the steam on the steam flow path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100, it is supplied through the mop plate 180 to the mop 190, 상기 걸레판에는 상기 노즐에 수용된 상기 걸레판을 상기 노즐에서 용이하게 탈거되도록 하기 위한 탈거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 청소기. The mop plate is provided with a removal lever for removing the mop plate accommodated in the nozzle from the nozzle easi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am combined vacuum cleaner.
KR1020050117608A 2005-12-05 2005-12-05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KR1012486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608A KR101248679B1 (en) 2005-12-05 2005-12-05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608A KR101248679B1 (en) 2005-12-05 2005-12-05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837A KR20070058837A (en) 2007-06-11
KR101248679B1 true KR101248679B1 (en) 2013-04-02

Family

ID=3835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608A KR101248679B1 (en) 2005-12-05 2005-12-05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67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408B1 (en) * 2016-10-26 2017-02-27 주식회사 디앤티 Damp cloth cleaner comprising a carbon heating element
US20210251444A1 (en) * 2020-02-19 2021-08-19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damp clea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8161B2 (en) 2009-08-07 2013-09-10 Euro-Pro Operating Llc Cleaning appliance having multiple functions
US8627543B2 (en) 2010-03-12 2014-01-14 Euro-Pro Operating Llc Cleaning appliance having multiple functions
CN111728540B (en) * 2020-07-06 2021-08-17 广州晒帝智能科技有限公司 Steam floor-scrubb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2785A2 (en) * 1982-08-31 1984-03-14 Britax (Dynasafe) Limited Vehicle seat
KR19990034332A (en) * 1997-10-29 1999-05-15 구자홍 Removable mop suction inlet of vacuum cleaner
KR200336735Y1 (en) * 2003-10-02 2003-12-18 노승환 steam dustcloth combined use vacuum cleaner
KR200370525Y1 (en) 2004-09-14 2004-12-14 남도금형(주) velcrotape and nozzle unite for vacuum cleaner utiliz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2785A2 (en) * 1982-08-31 1984-03-14 Britax (Dynasafe) Limited Vehicle seat
KR19990034332A (en) * 1997-10-29 1999-05-15 구자홍 Removable mop suction inlet of vacuum cleaner
KR200336735Y1 (en) * 2003-10-02 2003-12-18 노승환 steam dustcloth combined use vacuum cleaner
KR200370525Y1 (en) 2004-09-14 2004-12-14 남도금형(주) velcrotape and nozzle unite for vacuum cleaner utiliz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408B1 (en) * 2016-10-26 2017-02-27 주식회사 디앤티 Damp cloth cleaner comprising a carbon heating element
US20210251444A1 (en) * 2020-02-19 2021-08-19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damp clea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837A (en) 200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2949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210228046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tray
KR101248679B1 (en)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KR20070077007A (en) Rag board for cleaner
KR101199659B1 (en) Nozzle for cleaner
KR20070058802A (en)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KR101218445B1 (en) Steam generator and Cleaner using the same
KR200410157Y1 (en) A suction unit of steam and Water suction cleanner
KR101253350B1 (en) A hea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with the apparatus
KR200331795Y1 (en) A steam cleaner
KR101250081B1 (en) A nozzle of vacuum cleaner
KR20070058801A (en)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KR100833359B1 (en)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KR101222723B1 (en) Nozzle for Cleaner
KR20070060674A (en) A hea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with the apparatus
KR101269274B1 (en) Nozzle for Cleaner
KR20070076727A (e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100821727B1 (en) Nozzle fo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