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655B1 - Chair for bath room - Google Patents

Chair for bath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655B1
KR101245655B1 KR1020100092904A KR20100092904A KR101245655B1 KR 101245655 B1 KR101245655 B1 KR 101245655B1 KR 1020100092904 A KR1020100092904 A KR 1020100092904A KR 20100092904 A KR20100092904 A KR 20100092904A KR 101245655 B1 KR101245655 B1 KR 101245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eat
chair
release operation
operation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3806A (en
Inventor
시게노부 노나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에이지 프리 라이프 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JP-P-2009-221512 external-priority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에이지 프리 라이프 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에이지 프리 라이프 테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3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8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6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2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수그리거나 할 필요없이 편한 자세로 해제 조작구를 조작할 수 있어, 록 장치에 의한 시트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욕실용 의자를 제공한다. 다리부(1)와, 시트부(2)와, 등받이부(3)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시트부(2)가, 수평 상태와 위쪽으로 회동(回動)하여 접히는 상태와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다리부(1)에 장착된 욕실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수평으로 회동한 시트부(2)를 다리부(1)에 걸어맞추어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록 장치(4)를 구비한다. 또한, 록 장치(4)에 의한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조작을 행하는 해제 조작구(5)를 등받이부(3)에 설치한다. 의자의 높은 위치에 있는 등받이부(3)에 설치한 해제 조작구(5)는, 수그릴 필요없이, 편하게 선 자세인 채로 조작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ir for a bathroom in which a release operation tool can be operated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needing to be drawn, and 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seat portion by the lock device can be easily performed. It is provided with the leg part 1, the seat part 2, and the backrest part 3, The seat part 2 rotates between the horizontal state and the state which rotates upward and is folded. It is related with the chair for the bathroom which was attached to the leg part 1 possibly. The locking device 4 which supports the sheet | seat 2 rotated horizontally in the horizontal state by engaging with the leg part 1 is provided. In addition, a release operation tool 5 that performs an operation of releasing engagement by the lock device 4 is provided in the backrest portion 3.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provided in the backrest part 3 in a high position of a chair can operate with a standing posture, without having to carry out.

Description

욕실용 의자{CHAIR FOR BATH ROOM}Bathroom Chair {CHAIR FOR BATH ROOM}

본 발명은, 욕실에서 사용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used in the bathroom.

환자, 노인, 신체 장애자 등은, 입욕(入浴) 시에 있어서,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앉아 몸을 씻거나 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의자는, 사람이 앉는 시트부와, 사람이 기대는 등받이부와, 이들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다리부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의자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좁은 욕실에서 사용할 때는, 미사용시에 접어서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convenient for a patient, an elderly person,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etc. to wash a body by sitting in a chair with a back at the time of bathing. And such a chair is provided with the seat part which a person sits, the back part which a person leans over, and the leg part which supports these seat parts and a back part, but since it is large in volume, when using it in a narrow bathroom,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fold and store compactly when not in use.

그러므로, 다리부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 외에, 시트부를 위쪽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하고, 다리부를 접을 때 시트부를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의자를 보다 컴팩트화 가능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등 참조).Therefore, in addition to allowing the leg to be folded, it is disclosed that the seat can be rotated upwards, and when the leg is folded, the seat can be rotated to fold, thereby making the chair more compact (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이와 같이 시트부를 접어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욕실용 의자에 있어서, 시트부를 수평으로 넘어뜨려 등을 기댈 수 있도록 한 상태로 유지하고, 안정적으로 시트부의 위에 앉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시트부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는 록 장치를 구비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In the bathroom chair in which the seat portion can be folded and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seat portion is placed in a horizontal state in order to be able to sit on the seat portion stably while holding the seat portion horizontally so as to be able to lean on the back. It is disclosed that the locking device is held (see Patent Document 2).

하기 특허 문헌 2에 관한 의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1)를 앞다리(8)와 뒷다리(9)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형성하는 동시에, 앞다리(8)를 연장하여 형성한 등받이 지주(支柱)(11)에 등받이부(3)를 설치하고, 시트부(2)를 다리부(1)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부(2)의 후단 가장자리에 오목한 곳(20)을 형성하고, 이 오목한 곳(20) 내에 록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록 장치(21)는, 축(22)에 의해 축지지된 핸들(23)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핸들(23)의 하부에 걸어맞춤 클릭(24)을 설치하는 동시에 핸들(23) 후단부에 해제 조작구(操作具)(25)를 설치하고, 스프링(26)에 의해 핸들(23)을 아래쪽으로 회동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chair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so as to be rotatable and extending the front leg 8. The backrest part 3 is provided in the backrest support 11, and the seat part 2 is attached to the leg part 1 so that up-and-down rotation is possible. And as shown to Fig.13 (a), the recessed part 20 is formed in the rear edge of the sheet | seat part 2, and the lock apparatus 21 is provided in this recessed part 20. As shown in FIG. The lock device 21 is formed with the handle 23 supported by the shaft 22, and the rear end of the handle 23 is provided at the same time as the engaging click 24 is provided below the handle 23. A release operating tool 25 is provided at the side, and the handle 23 is rotated downward by the spring 26.

다리부(1)에는 록 바(27)가 설치되어 있고, 시트부(2)를 회동시켜 수평 상태로 했을 때, 도 13의 (a)와 같이 핸들(23)의 걸어맞춤 클릭(24)이 록 바(27)에 걸어맞추어져, 시트부(2)가 수평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부(2)의 전단부(前端部)에 걸터앉는 등 해도, 뜻하지 않게 시트부(2)가 위쪽으로 회동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시트부(2)에 앉을 수 있는 것이다.The lock part 27 is provided in the leg part 1, and when the seat part 2 is rotated and it is set to a horizontal state, the engaging click 24 of the handle 23 is made as shown in FIG. Engaged in the lock bar 27, the seat portion 2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Therefore, even if it sits o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sheet | seat part 2, the sheet | seat part 2 does not inadvertently rotate upwards, and can sit on the sheet | seat part 2 stably.

그리고, 의자를 접을 때는, 핸들(23) 후단부의 해제 조작구(25)를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것에 의해, 스프링(26)에 저항하여 핸들(23)을 위쪽으로 회동시켜, 록 바(27)에 대한 걸어맞춤 클릭(24)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록 장치(21)에 의한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시트부(2)를 위쪽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도 13의 (b)와 같이 의자를 접을 수 있는 것이다.Then, when folding the chair, the handle 23 is rotated upward against the spring 26 by pulling up the release operating tool 25 at the rear end of the handle 23 to the lock bar 27. The engagement click 24 may be disengaged. In this way, by releasing the engagement by the locking device 21, the seat portion 2 can be rotated upward, and the chair can be folded as shown in Fig. 13B.

일본공개특허 제2007-037608호 공보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7-037608 일본공개특허 제2008-259807호 공보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8-259807

상기한 바와 같이, 특허 문헌 2의 의자에 있어서, 록 장치(21)에 의한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위해 핸들(23)을 회동시키는 조작은, 핸들(23)의 해제 조작구(25)를 끌어올리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이 해제 조작구(25)의 조작은, 등받이부(3)의 아래쪽에 있어서, 시트부(2)의 후단부에까지 손을 넣어 행할 필요가 있었다(도 13의 (a)의 화살표 참조).As described above, in the chair of Patent Document 2,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handle 23 to release the engagement by the locking device 21 raises the release operating tool 25 of the handle 23. Is done by.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operating tool 25 had to be carried out by the hand to the rear end of the seat 2 under the back portion 3 (see the arrow in FIG. 13A).

그러나, 시트부(2)는 의자의 낮은 위치에 있고, 또한 시트부(2)의 후단부에까지 손을 넣기 위해서는, 수그린 자세로 동작을 행할 필요가 있어, 해제 조작구(25)를 조작하여 록 장치(21)에 의한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eat 2 is located at a low position of the chair, and in order to reach the rear end of the seat 2, it is necessary to operate in a prone position, and operate the release operation tool 25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engagement by the lock device 21 cannot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수그릴 필요없이 편한 자세로 해제 조작구를 조작할 수 있어, 록 장치에 의한 시트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욕실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 chair for a bathroom that can operate a release operation tool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needing to be prone to perform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seat portion by the locking device. It is intended to provide.

본 발명에 관한 욕실용 의자는, 다리부(1)와, 시트부(2)와, 등받이부(3)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시트부(2)가, 수평 상태와 위쪽으로 회동하여 접히는 상태와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다리부(1)에 장착된 욕실용 의자로서, 수평으로 회동한 시트부(2)를 다리부(1)에 걸어맞추어 수평 상태로 유지하는 록 장치(4)를 구비하고, 록 장치(4)에 의한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조작을 행하는 해제 조작구(5)를 등받이부(3)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bathroom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eg portion 1, a seat portion 2, and a backrest portion 3, and the seat portion 2 is pivoted in a horizontal state and upward. A bathroom chair mounted on the leg part 1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the body and the chair, and having a locking device 4 for engaging the horizontally rotated seat part 2 with the leg part 1 and keeping it in a horizontal state. And a release operating mechanism 5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engagement by the locking device 4 is provided on the backrest portion 3.

본 발명에 의하면, 록 장치(4)에 의한 시트부(2)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조작은, 등받이부(3)에 설치한 해제 조작구(5)에 의해 행할 수 있는 것이며, 의자의 높은 위치에 있는 등받이부(3)에 설치한 해제 조작구(5)는, 수그릴 필요없이, 편하게 선 자세인 채로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seat portion 2 by the lock device 4 can be performed by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provided in the backrest portion 3, and the high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provided in the backrest part 3 in a position can operate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needing to be prone, and the operation of releasing engagement becomes easy.

또한, 본 발명은, 시트부(2)에 설치한 록 장치(4)와 등받이부(3)에 설치한 해제 조작구(5) 사이에, 해제 조작구(5)의 조작을 록 장치(4)에 원격으로 전달하는 릴리스 와이어(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Moreover, this invention locks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between the lock apparatus 4 provided in the sheet | seat part 2, and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provided in the backrest part 3.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release wire (6) for remote transmission to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부(2)의 록 장치(4)에 대하여 등받이부(3)의 해제 조작구(5)가 이격된 위치에 있어도, 릴리스 와이어(6)를 통하여, 해제 조작구(5)와 록 장치(4)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release operating tool 5 of the backrest part 3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device 4 of the seat part 2, the release operating tool 5 is released through the release wire 6. And the lock device 4 can be operated remotely.

또한, 본 발명은, 시트부(2)를 위쪽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회동 가압하는 스프링(7)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Moreover, this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pring 7 which rotates and presses in the direction which rotates the sheet | seat part 2 upward.

본 발명에 의하면, 록 장치(4)에 의한 시트부(2)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스프링(7)에 의해 자동적으로 시트부(2)는 위쪽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한 손의 조작만으로 시트부(2)를 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t portion 2 is released by the locking device 4, the seat portion 2 is automatically rotated upward by the spring 7, so that the seat is operated only by one hand operation. Part (2) is to be able to fold.

또한, 본 발명은, 다리부(1)를, 앞다리(8)와 뒷다리(9)를 회동 연결하여 자유롭게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형성하고, 앞다리(8)와 뒷다리(9)가 접히는 방향에 대한 회동과, 시트부(2)의 위쪽으로의 회동을 연동시키고, 또한 앞다리(8)와 뒷다리(9)가 펴지는 방향에 대한 회동과, 시트부(2)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을 연동시키는 연결구(10)를, 다리부(1)와 시트부(2)와의 사이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is formed to be able to freely fold or unfold by pivoting, and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rotated about the direction of folding And a linkage for interlocking the rotation of the seat portion 2 upward, interlocking the rota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extend, and the rotation of the seat portion 2 downward. 10) is provided between the leg part 1 and the seat part 2,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부(2)를 위쪽으로 회동시켜 접을 때, 이와 연동하여 다리부(1)도 접을 수 있는 동시에, 시트부(2)를 아래쪽으로 회동시켜 앉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때, 이와 연동하여 다리부(1)도 펼 수가 있는 것이며, 시트부(2)와 다리부(1)의 개폐를 한번의 동작으로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링(7)과 시트부(2)를 위쪽으로 회동 가압하고 있을 때는, 록 장치(4)에 의한 시트부(2)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스프링(7)에 의해 자동적으로 시트부(2)를 위쪽으로 회동시킬 때 동시에 다리부(1)도 접히는 것이며, 한 손의 조작만으로 의자를 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t portion 2 is pivoted upward, the leg portion 1 can also be folded in conjunction with the seat portion 2, and the seat portion 2 can be pivoted downward to allow the seat portion 2 to sit down. The leg part 1 can also be unfolded by interlocking, and the seat part 2 and the leg part 1 can be opened and closed simultaneously by one operation | movement. In particular, when the spring 7 and the seat 2 are rotated upward as described above, the seat 7 is released by the locking device 4 and the spring 7 automatically engages the spring 7. At the same time, when the seat portion 2 is rotated upward, the leg portion 1 is also folded, and the chair can be folded by only one hand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앞다리(8)와 뒷다리(9)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축지지부(12)보다 상부를 뒤쪽 또한 위쪽으로 연장시켜 등받이 지주(11)로서 형성하는 동시에 등받이 지주(11)에 등받이부(3)를 설치하고, 등받이부(3)의 상단에 배면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upper portion to the rear and upward from the axial support portion 12 in which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form the back support 11, and at the same time the back support 11 The backrest part 3 is provided, and the extension part 13 extended to the back sid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part 3,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부(1)를 접은 상태로부터 펴는데 있어서, 앞다리(8)를 바닥으로부터 올리는 동시에 뒷다리(9)를 바닥에 접지시킨 상태에서, 등받이부(3) 상단의 연장부(13)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면, 등받이 지주(11)가 축지지부(12)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앞다리(8)가 위쪽으로 회동하므로, 앞다리(8)를 뒷다리(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펼 수가 있어, 한 손으로 연장부(13)를 가압하는 조작만으로, 다리부(1)를 용이하게 펼 수가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다리부(1)의 펴고접음과 시트부(2)의 회동을 연동시키도록 하고 있을 때는, 한 손으로 연장부(13)를 가압하여 다리부(1)를 펼 때, 동시에 시트부(2)를 수평 상태로 회동시킬 수 있어, 시트부(2)에 앉도록 의자를 펴는 조작을, 한 손의 조작만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extending the leg portion 1 from the folded state, the extension portion 13 at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portion 3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leg 8 is raised from the bottom and the rear leg 9 is grounded to the floor. When the back pressure is pressed downward, the back support 11 pivots downward with the shaft support 12 as a point, and the front leg 8 pivots upward. It can rotate by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and can only unfold the leg part 1 only by the operation which presses the extension part 13 with one hand.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lding and folding of the leg portion 1 and the rotation of the seat portion 2 are interlocked, the extension portion 13 is pushed with one hand to extend the leg portion 1, At the same time, the seat 2 can be rotated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operation of unfolding the chair so as to sit on the seat 2 can be performed by only one hand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제 조작구(5)를, 위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13)와 해제 조작구(5)를 한 손으로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있어서, 해제 조작구(5)를 등받이부(3)의 배면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Moreover, this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said release operation tool 5 may release | engage by rotating upward, and in the position which can hold the said extension part 13 and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simultaneously with one hand. In this case,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is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part 3.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부(3) 상단의 연장부(13)와 해제 조작구(5)를 한 손으로 잡는 것에 의해, 해제 조작구(5)를 끌여올려 회동시켜, 록 장치(4)에 의한 시트부(2)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이며, 한 손으로 등받이부(3)의 상단부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이 한 손으로 걸어맞춤 해제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olding the extension portion 13 and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at the upper end of the back portion 3 with one hand,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is pulled up and rotated to the lock device 4.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seat part 2 by this, and to support the upper end part of the backrest part 3 with one hand, and to operate the disengagement with this one hand simultaneously.

또한, 본 발명은, 해제 조작구(5)에 상하로 개구되는 손가락을 삽입하는 관통공(14)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14 for inserting the finger opening up and down in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is 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관통공(14)에 삽입하는 손가락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손바닥의 크기와 관계없이, 연장부(13)와 해제 조작구(5)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가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length of a finger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4, the extension portion 13 and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can be easily grasped with one han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palm.

본 발명에 의하면, 록 장치(4)에 의한 시트부(2)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조작은, 등받이부(3)에 설치한 해제 조작구(5)에 의해 행할 수 있는 것이며, 의자의 높은 위치에 있는 등받이부(3)에 설치한 해제 조작구(5)는, 수그릴 필요없이, 편하게 선 자세인 채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며,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seat portion 2 by the lock device 4 can be performed by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provided in the backrest portion 3, and the high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provided in the backrest part 3 in a position can operate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needing to be prone, and the operation of releasing engagement becomes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의 (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도 3의 (a)의 B-B선 단면도, (b)는 도 4의 (a)의 하부의 확대도, (c)는 도 4의 (a)의 하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시트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시트부의 저면도, (b)는 시트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등받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등받이부의 배면도, (b)는 등받이부의 평면도, (c)는 등받이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시트부의 단면도, (b)는 등받이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접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 내지 (c)는 록 장치의 록 부재의 걸어맞춤·해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욕실용 의자를 펴는 조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 (b)는 각각의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B, showing an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front view and (b) is a rear view.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ure 3 (a), (b)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part of Figure 4 (a), (c) is Figure 4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part of (a).
5 show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eet portion.
6 show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bottom view of the sheet portion and (b) is a side view of the sheet portion.
Figure 7 show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Figure 8 show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rear view of the backrest portion, (b) is a plan view of the backrest portion, (c) is a side view of the backrest portion.
9 show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at portion and (b) is a sectional view of the backrest portion.
10 show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ront view of the folded state.
Fig. 11 shows an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to (c)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engaging and releasing the locking member of the locking device.
1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extending the bathroom chair.
13 shows a conventional example, wherein (a) and (b) are side views,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욕실용 의자의 다리부(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의 한쌍의 앞다리(8)와 뒤쪽의 한쌍의 뒷다리(9)로 구성되는 것이며, 이들 앞다리(8)나 뒷다리(9)는 각각 중공(中空)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앞다리(8)는 그 상부가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30)로 되어 있고, 수평부(30)의 후단부로부터 보다 위쪽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등받이 지주(11)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앞다리(8)의 각 등받이 지주(11)의 상단끼리는 등받이 장착부(31)와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한쌍의 앞다리(8)는 1개의 파이프를 절곡 가공 형성하여 일체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쌍의 각 뒷다리(9)의 상부는 전방을 향해 연장된 수평부(32)로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eg part 1 of a bathroom chair consists of a pair of front leg 8 of a front side, and a pair of rear leg 9 of a back, and these front leg 8 and back leg 9 are shown. Are each formed of a hollow pipe. The foreleg 8 has a horizontal portion 30 whose upper portion extends horizontally toward the rear, and is integrally extended upward from the rear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30 to extend the backrest support 11. The upper ends of the respective backrest supports 11 of the pair of forelimbs 8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ackrest attaching part 31. Therefore, the pair of front legs 8 can be manufactured integrally by bending and forming one pipe.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each pair of rear legs 9 is formed as the horizontal part 32 extended toward the front.

상기한 각 앞다리(8)의 수평부(30)에는 전방 힌지(33)가 장착되어 있고, 각 뒷다리(9)의 수평부(32)에는 후방 힌지(34)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앞다리(8)의 각 전방 힌지(33)의 아래쪽에 각 뒷다리(9)의 후방 힌지(34)를 배치하고, 전방 힌지(33)와 후방 힌지(34)를 축핀으로 이루어지는 축지지부(12)에 의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축 장착함으로써, 앞다리(8)와 뒷다리(9)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다리부(1)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앞다리(8)와 뒷다리(9)는 「ハ」(U 또는 V)자형으로 펴는 상태와, 앞다리(8)와 뒷다리(9)의 하단부끼리가 근접하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자유롭게 접거나 펴는 것이 가능하게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The front hinge 33 is attached to the horizontal portion 30 of each forelimb 8 described above, and the rear hinge 34 is attached to the horizontal portion 32 of each rear leg 9. And the rear hinge 34 of each rear leg 9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each front hinge 33 of the front leg 8, The axial support part 12 which consists of the front hinge 33 and the rear hinge 34 by the axial pin By mounting the shaft so that it can be rotated up and down by using a), it is possible to form the leg part 1 which connected the front leg 8 and the back leg 9 so that rotation was possible. The front leg 8 and the back leg 9 are folded or unfolded freely between a state where the lower leg of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are close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in a "H" (U or V) shape. It is possible to rotate.

여기서, 각 앞다리(8)나 각 뒷다리(9)의 하부 외주에는, 파이프형의 전방 신축(伸縮) 다리부(41)나, 후방 신축 다리부(42)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앞다리(8)나 뒷다리(9)의 길이 조정(높이 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전방 신축 다리부(41)나 후방 신축 다리부(42)에는 상하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위치 결정공(43)이 천설(穿設)되어 있고, 또한 앞다리(8)나 뒷다리(9)에는 스프링(46)으로 가압되는 위치결정핀(44)이 설치되어 있고, 위치결정핀(44)을 임의의 위치 결정공(43)과 끼워맞춤으로써, 전방 신축 다리부(41)나 후방 신축 다리부(42)를 임의의 길이로 신축시킨 상태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전방 신축 다리부(41)나 후방 신축 다리부(42)의 하단에는 욕실 바닥을 손상시키거나 미끄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리 고무(45)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앞다리(8)와 뒷다리(9)를 회전가능 장착하는 상기한 축지지부(12)는, 앞다리(8)와 뒷다리(9) 하단의 다리 고무(45)를 연결하는 선을 저변(底邊)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정점(頂点)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Here, on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each forelimb 8 and each hind leg 9, a pipe-type front and rear leg 41 and a rear elastic leg 42 are slidably mounted up and down, The length adjustment (height adjustment) of the front leg 8 and the back leg 9 can be performed. That is,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43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leg portions 41 and the rear elastic leg portion 42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and also in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A positioning pin 44 pressurized by a spring 46 is provided, and the front and rear leg portions 41 and the rear elastic leg portions are fitted by fitting the positioning pins 44 with arbitrary positioning holes 43. The 42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to an arbitrary length (see Fig. 10). Further, leg rubbers 45 are attached to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leg portions 41 and the rear elastic leg portion 42 to prevent damaging or slipping the bathroom floor. In addition, the shaft support 12 for rotatably mounting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has a base that connects the line connecting the front leg 8 and the leg rubber 45 at the bottom of the rear leg 9. It is set to be located at the vertex of an isosceles triangle,

또한, 한쌍의 앞다리(8)의 상단부 사이에는 걸어맞춤 로드(37)가 장착되어 있고, 이 한쌍의 앞다리(8)의 수평부(30) 사이에는 축지지 로드(39)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뒷다리(9)의 상단부 사이에는 연결 로드(38)가 장착되어 있고, 각 뒷다리(9)를 연결 로드(38)를 통하여 일체로 하고 있다. 이들 걸어맞춤 로드(37), 연결 로드(38), 축지지 로드(39)는 다리부(1)를 보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an engaging rod 37 is mount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forelimbs 8, and an axial support rod 39 is attached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s 30 of the pair of forelimbs 8. Moreover, the connecting rod 38 is attach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rear legs 9, and each rear leg 9 is integrated through the connecting rod 38. As shown in FIG. These engagement rod 37, the connection rod 38, and the axial support rod 39 have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leg 1.

시트부(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질 합성 수지제의 시트 본체(47)의 상면에 연질(軟質) 발포 수지제의 시트 쿠션(48)을 장착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시트 본체(47) 하면의 뒤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축지지 통부(49)가 돌출되어 있다. 이 축지지 통부(49)에 좌우로 관통시켜 형성한 구멍(49a)에, 상기한 축지지 로드(39)를 삽통(揷通)시키는 것에 의해, 다리부(1)에 시트부(2)가 장착되어 있다. 시트부(2)는 이 축지지 로드(39)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되는 것이며, 시트부(2)의 하면에 폭방향에 걸쳐 형성한 철조부(凸條部)(40)가 걸어맞춤 로드(37) 상에 탑재되는 수평 위치와, 시트부(2)의 전단부가 위쪽을 향해 상승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2)의 후단부 양측에는 축핀(50)에 의해 연결구(10)의 일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회전가능 장착되어 있고, 이 한쌍의 각 연결구(10)의 타단부는 상기한 연결 로드(38)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부(2)의 후단부는 다리부(1)의 뒷다리(9)와 연결구(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seat part 2 is formed by attaching the seat cushion 48 made of a flexible foamed resi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main body 47 made of hard synthetic resin, and the seat body 47 At the position biased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surface, the shaft supporting cylinder portion 49 protrudes. The sheet portion 2 is formed in the leg portion 1 by inserting the shaft supporting rod 39 into the hole 49a formed by penetrating the shaft supporting cylinder portion 49 from side to side. It is installed. The seat portion 2 is rotated up and down with the pivot support rod 39 as the pivot center, and the steel parts 40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2 hang. It rotates between the horizontal position mounted on the dowel rod 37, and the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of the sheet | seat part 2 raises upwards. In addition, one end of the connector 10 is rotatably mounted i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seat 2 by the shaft pin 5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connector 10 is The connecting rod 38 is rotatably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way, the rear end of the seat 2 is connected by the rear leg 9 of the leg 1 and the connector 10.

등받이부(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질 합성 수지제의 등받이 본체(52)의 앞면 측에 연질 발포 수지제의 등받이 쿠션(53)을 장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리부(1) 상부의 등받이 지주(11)의 등받이 장착부(31)의 앞면 측에 등받이부(3)를 배치하고, 등받이 본체(52)에 장착구(54)를 비스 고정하여, 등받이 본체(52)와 장착구(54) 사이에 등받이 장착부(31)를 협착(挾着)함으로써, 등받이 지주(11)의 상단부에 등받이부(3)를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84는, 의자를 옮길 때 손을 넣는 것이 가능하도록 등받이부(3)에 형성한 파지공(把持孔)이다.As shown in FIG. 2, the backrest part 3 is formed by attaching the backrest cushion 53 made of flexible foamed resin to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backrest main body 52 made of hard synthetic resin. And the backrest part 3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backrest mounting part 31 of the backrest support 11 of the leg part 1 upper part, the mounting hole 54 is fixed to the backrest body 52, and the backrest is fixed. The backrest part 3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support 11 by narrowing the backrest attachment part 31 between the main body 52 and the mounting opening 54. 84 is a gripping hole formed in the backrest part 3 so that a hand can be put in when moving a chai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시트부(2)의 하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장치(4)가 장착되어 있다. 록 장치(4)는 도 2 및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부재(57)와, 록 부재(57)를 덮는 케이싱(58)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록 부재(57)는 앞부분의 상단 양측에 축지지 축(59)을, 뒷부분의 하단에 와이어 연결부(60)를, 축지지 축(59)에 의해 와이어 연결부(60)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하면에 걸어맞춤용 오목부(61)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도 9의 (a)와 같이 축지지 축(59)을 시트부(2)의 하면으로 돌출한 축지지 받이부(62)의 축공(축공)(軸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케이싱(58)은 상면과 앞면이 개구되는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58)의 앞면 개구로부터 록 부재(57)의 걸어맞춤용 오목부(61)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록 부재(57)를 아래쪽으로부터 덮어 시트부(2)의 하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록 부재(57)의 상면에 스프링(63)이 장착되어 있고, 록 부재(57)를 아래쪽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스프링(63)으로 가압하고 있고, 록 부재(57)의 하면이 케이싱(58)의 상면과 맞닿음으로써, 록 부재(57)는 이보다 아래쪽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locking device 4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2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2 and 9 (a), the lock device 4 is provided with a lock member 57 and a casing 58 covering the lock member 57. The lock member 57 has a shaft support shaft 59 at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ront portion, a wire connection portion 60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portion, and a lower surface at a position between the wire connection portions 60 by the shaft support shaft 59. It is formed by forming the engaging recess 61, and the shaft hole (axial hole) of the shaft support receiving portion 62 protruding the shaft support shaft 59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2 as shown in Fig. 9 (a). By rotatably mounting in (), it is attached so that rotation to the up-down direction is possible. The casing 58 is formed in a box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and a front surface are opened, and the locking member 57 is exposed in a state where the engaging recess 61 of the lock member 57 is exposed from the front opening of the casing 58. ) Is covered with bolts from the lower side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2. The spring 63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 member 57, pressurized by the spring 63 in the direction to rotate the lock member 57 downwar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 member 57 is casing 58. By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 member 57, the lock member 57 does not rotate downwar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등받이부(3)의 배면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조작구(5)가 장착되어 있다. 해제 조작구(5)는 도 2 및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공(64)을 형성한 축지지부(65)에 러버편(66)을 연장하는 동시에 러버편(66)의 베이스부에 스토퍼편(67)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러버편(66)에는 상하로 개구되는 관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해제 조작구(5)는, 상기한 장착구(54)에 장착한 핀(68)을 축공(64)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장착구(54)를 통하여 등받이부(3)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해제 조작구(5)는, 스토퍼편(67)이 장착구(54)의 외면에 맞닿는 도 2의 상태와, 러버편(66)이 경사 위쪽으로 끌어 올려지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backrest part 3. As shown in Figs. 2 and 9 (b),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extends the rubber piece 66 to the shaft support portion 65 in which the shaft hole 64 is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base of the rubber piece 66. The stopper piece 67 protrudes downward in the part, and the through piece 14 which opens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rubber piece 66. As shown in FIG. This release operation tool 5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backrest part 3 via the mounting hole 54 by inserting the pin 68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54 into the shaft hole 64. Will be.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can be rotated up and down between the state of FIG. 2 in which the stopper piece 67 abut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54, and the state in which the rubber piece 66 is pulled upward in the inclined direction. It is supposed to be done.

그리고, 상기한 록 장치(4)의 록 부재(57)와, 해제 조작구(5)와의 사이에는, 릴리스 와이어(6)가 장착되어 있다. 릴리스 와이어(6)는 가요성(可撓性)의 튜브(70) 내에 와이어(71)가 삽통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이 릴리스 와이어(6)의 일단에 있어서, 튜브(70)로부터 돌출하는 와이어(71)가 도 9의 (a)와 같이 록 부재(57)의 와이어 연결부(60)와 연결 고정되어 있다. 릴리스 와이어(6)는 케이싱(58)의 후단부의 릴리스 도출(導出) 개구(72)를 통해 케이싱(58)으로부터 도출되어 있고, 도 5, 도 6과 같이 릴리스 와이어(6)의 중도부가 시트부(2)의 하면에 고정되고, 또한 한쪽의 앞다리(8)의 파이프 내에 릴리스 와이어(6)가 수납되어 있다. 이 릴리스 와이어(6)를 등받이 지주(11)의 파이프 내를 통하게 하고, 릴리스 와이어(6)의 타단을 도출하여, 도 9의 (b)와 같이 튜브(70)로부터 돌출하는 와이어(71)를 해제 조작구(5)와 연결하여 고정시키고 있다.The release wire 6 is attached between the lock member 57 of the lock device 4 and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The release wire 6 is formed by inserting the wire 71 into the flexible tube 70. That is, at one end of the release wire 6, the wire 71 protruding from the tube 70 is fixed to the wire connecting portion 60 of the lock member 57 as shown in FIG. 9A. The release wire 6 is led out of the casing 58 through the release lead opening 72 of the rear end of the casing 58,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release wire 6 is the seat portion as shown in Figs. It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2), and the release wire 6 is accommodated in the pipe of one foreleg 8. This release wire 6 is made to pass through the pipe of the backrest support 11, the other end of the release wire 6 is drawn out, and the wire 71 which protrudes from the tube 70 as shown in FIG. It is connected to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and fixed.

또한, 다리부(1)의 앞다리(8)와 뒷다리(9)와의 사이에는 스프링(7)이 도 4와 같이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7)은, 양단의 걸림용 선(線) 부재(7a, 7b)와 그 사이의 코일부(7c)로 이루어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이며, 코일부(7c)를 앞다리(8)와 뒷다리(9)를 축지지 연결하는 축핀으로 이루어지는 축지지부(12)의 외주에 권취하는 동시에, 한쪽의 걸림용 선 부재(7a)를 뒷다리(9)의 후방 힌지(34)에 의해 돌출시킨 후 스프링 받이부(73)에 권취하여 걸고, 다른 쪽의 걸림용 선 부재(7b)를 앞다리의 전방 힌지(33)로 돌출하도록 뻗어 설치한 전방 스프링 받이부(74)에 당겨 걸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7)의 탄성력은, 전후의 힌지(33, 34)를 통하여 앞다리(8)와 뒷다리(9)에, 축지지부(12)를 중심으로 하여 앞다리(8)와 뒷다리(9)를 접도록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pring 7 is mounted between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of the leg 1 as shown in FIG. The spring 7 is formed as a torsion coil spring which consists of the engaging line members 7a and 7b of both ends, and the coil part 7c therebetween, and the coil part 7c and the foreleg 8 Winding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support portion 12 made of the shaft pin for connecting the rear leg 9 to the shaft support, and protruding one locking wire member 7a by the rear hinge 34 of the rear leg 9, and then spring It winds up and hangs on the receiving part 73, and the other latching line member 7b is pulled to the front spring receiving part 74 which extended and installed so that it might protrude to the front hinge 33 of the front leg. Therefor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 is connected to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through the front and rear hinges 33 and 34, and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around the axial support 12. It acts as a force to rotate in the direction to be close to be folded.

또한, 등받이부(3)의 양측에 있어서, 각 등받이 지주(11)에 팔걸이(76)가 장착되어 있다. 팔걸이(76)는 베이스부를 축핀(7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수평 상태와, 위쪽으로 튀어오른 상태와의 사이에서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팔걸이(76)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Moreover, the armrest 76 is attached to each backrest support 11 in the both sides of the backrest part 3, respectively. The armrest 76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shaft pin 77 so that the base part can be rotated, and can rotate up and down between a horizontal state and the state which protruded upwards. This armrest 76 is not necessary.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관한 욕실용 의자에 있어, 다리(1)를 펴는 동시에 시트부(2)를 수평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시트부(2) 상에 앉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트부(2)를 수평 상태로 하면, 시트부(2)의 하면에 형성된 철조부(40)가 앞다리(8) 사이에 가설(架設)한 걸어맞춤 로드(37) 상에 탑재되지만, 철조부(40)의 하면에는 시트부(2)의 폭 방향으로 요조(凹條)(79)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요조(79)에 걸어맞춤 로드(37)가 끼워져, 다리부(1)에 대하여 시트부(2)가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부(2)를 이와 같이 수평 상태로 아래쪽으로 회동시키면, 먼저 도 11의 (a)과 같이 록 장치(4)의 록 부재(57)가 걸어맞춤 로드(37) 위에 올라탄다. 록 부재(57)의 하면에는 가이드 경사면(80)이 형성되어 있고, 시트부(2)가 보다 아래쪽으로 회동되어 걸어맞춤 로드(37)에 대하여 이 가이드 경사면(80)이 가압되면, 록 부재(57)는 스프링(63)에 저항하여 축지지 축(59)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화살표 a와 같이 회동하고, 이어서, 스프링(63)의 탄발력에 의해 록 부재(57)는 반대로 아래쪽으로 화살표 b와 같이 회동하여,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 로드(37)에 록 부재(57)의 걸어맞춤용 오목부(61)가 걸어맞추어진다.In the bath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eat 1 is used while sitting on the seat portion 2 while the leg 1 is stretched and the seat portion 2 is rotated horizontally. When the sheet portion 2 is placed in the horizontal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barbed portion 4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portion 2 is mounted on the engaging rod 37 that is hypothesized between the front legs 8.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rbed portion 40, a recess 79 is formed conca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eet portion 2, and the engaging rod 37 is fitted into the recess 79 so that the leg portion ( The seat 2 is positioned relative to 1). When the seat portion 2 is rotated downward in the horizontal state in this manner, first, the lock member 57 of the locking device 4 is lifted on the engagement rod 37 as shown in Fig. 11A. A guide inclined surface 8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 member 57. When the seat portion 2 is rotated further downward and the guide inclined surface 80 is pressed against the engagement rod 37, the lock member ( The 57 is rota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shaft support shaft 59 as the arrow a, against the spring 63, and then the locking member 57 is revers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3. As shown in FIG. 11B, the engaging recess 61 of the lock member 57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rod 37.

이와 같이, 록 장치(4)에 설치한 록 부재(57)의 걸어맞춤용 오목부(61)가 다리부(1)에 설치한 걸어맞춤 로드(37)에 걸어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다리부(1)에 대하여 시트부(2)가 걸어맞추어지는 것이며, 시트부(2)를 수평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시트부(2)가 뜻하지 않게 위쪽으로 회동하여 전도(轉倒)하는 등의 사고를 미리 막을 수가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engaging recess 61 of the locking member 57 provided in the locking device 4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rod 37 provided in the leg 1 so that the leg portion ( The sheet portion 2 is engaged with respect to 1), and the sheet portion 2 can be fixed in a horizontal st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such as the seat 2 unintentionally pivoting upward and falling.

다음에, 욕실용 의자를 접을 때에는, 먼저, 걸어맞춤 로드(37)에 대한 록 장치(4)의 록 부재(57)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걸어맞춤 해제는 등받이부(3)에 설치한 해제 조작구(5)를 조작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즉, 도 9의 (b)의 화살표 α와 같이 해제 조작구(5)의 러버편(66)을 핀(68)을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회동시키면, 해제 조작구(5)와 접속된 릴리스 와이어(6)의 와이어(71)의 일단이 당겨진다. 이와 같이 릴리스 와이어(6)의 와이어(71)가 당겨지면, 와이어(71)의 타단에서 록 부재(57)가 도 11의 (c)의 화살표 e와 같이 당겨져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부재(57)는 화살표 c와 같이 스프링(63)에 저항하여 위쪽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걸어맞춤 로드(37)에 대한 걸어맞춤 오목부(61)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Next, when folding the bathroom chair, first, the engagement of the lock member 57 of the lock device 4 with respect to the engagement rod 37 is released. The engagement release can be performed by operating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provided in the backrest part 3. That is, when the rubber piece 66 of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is rotated upwards centering on the pin 68, as shown by the arrow (alpha) of FIG. 9 (b), the release wire connected with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One end of the wire 71 of 6 is pulled. When the wire 71 of the release wire 6 is pulled in this way, the lock member 57 is pulled as shown by the arrow e in Fig. 11C at the other end of the wire 71, as shown in Fig. 11C. Likewise, the locking member 57 is rotated upward in response to the spring 63 as shown by the arrow c, whereby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recess 61 with respect to the engagement rod 37 is released.

이와 같이, 걸어맞춤 로드(37)에 대한 록 장치(4)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다리부(1)에 대한 시트부(2)의 걸어맞춤 고정을 해제하는 데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3)에 설치한 해제 조작구(5)를 조작함으로써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해제 조작구(5)는 이와 같이 등받이부(3)라는 의자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수그리거나 할 필요없이, 편하게 선 자세인 채 해제 조작구(5)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며, 록 장치(4)의 걸어맞춤 해제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해제 조작구(5)의 러버편(66)을 끌어올려 위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선 자세인 채 팔을 내려 손가락에 러버편(66)을 거는 것에 의해, 해제 조작구(5)를 회동시키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locking device 4 with respect to the engagement rod 37 and releasing the engagement fixation of the seat portion 2 with respect to the leg portion 1, the backrest is as described above. This can be done by operating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provided in the part 3. And since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is located in the highest position of the chair called the backrest part 3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having to draw it, Operation of disengagement of the locking device 4 can be performed easily. Moreover, since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pulling up the rubber piece 66 of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and rotating it upwards, by lowering an arm and hanging the rubber piece 66 to a finger in a standing posture, the release operation tool ( The operation to rotate 5) can be easily performed.

여기서, 해제 조작구(5)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해제 조작구(5)를 등받이부(3)에 설치하였으므로, 시트부(2) 하면의 록 장치(4)와 해제 조작구(5)와의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지만, 릴리스 와이어(6)가 록 장치(4)와 해제 조작구(5)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릴리스 와이어(6)라는 간편한 기구로, 록 장치(4)를 해제 조작구(5)에 의해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Here, since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is provided in the backrest part 3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can be performed easily, the locking device 4 and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art 2 are provided. ), The release wire 6 is provided between the lock device 4 and the release control mechanism 5, so that the lock device 4 is removed by a simple mechanism called the release wire 6. It can be operated remotely by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또한, 등받이부(3) 상단의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길게 돌출된 상면이 평탄한 연장부(13)가 설치되어 있고,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조작구(5)는 이 연장부(13)의 바로 아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13)와 해제 조작구(5)를 한 손으로 동시에 잡을 수 있도록, 연장부(13)와 가까운 위치에 해제 조작구(5)가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연장부(13)의 상면과 해제 조작구(5)의 러버편(66)의 하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6 ~ 9cm 정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한 손의 엄지를 연장부(13) 상에 댄 상태에서, 같은 한 손의 검지나 중지 등을 해제 조작구(5)의 러버편(66)의 아래쪽에 걸고, 한 손을 잡도록 함으로써, 해제 조작구(5)를 끌어올리는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며, 강한 힘으로, 또한 한 손의 조작만으로, 록 장치(4)의 걸어맞춤 해제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n extension portion 13 having a flat upper surface protruding rearward is provid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ack portion 3, and as shown in Fig. 9B,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is provided with this extension portion ( It is located in the position just below 13). Moreover,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near the extension part 13 so that the extension part 13 and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may be hold | maintained simultaneously with one han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se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ubber piece 66 of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may be about 6-9 cm. Thus, for example, the thumb of one hand is placed on the extension 13. In the state, the same index finger, middle finger, etc. of the same hand can be hooked on the lower side of the rubber piece 66 of the release operating tool 5, and one hand can be held to lift the release operating tool 5. The locking device 4 can be disengaged with a strong force and only by one hand operation.

여기서, 러버편(66)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로 개구되는 관통공(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검지나 중지 등의 손가락끝을 이 관통공(14)에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해제 조작구(5)의 러버편(66)을 끌어올리는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관통공(14)에 삽입하는 손가락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손바닥의 크기와 관계없이, 연장부(13)와 해제 조작구(5)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가 있는 것이다.Since the rubber piece 66 is provided with the through hole 14 which opens up and down as mentioned above, the fingertips, such as an index finger and a middle finger, are inserted into this through hole 14 from below, and a release operation tool is provided. The operation of pulling up the rubber piece 66 of (5) becomes easier.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nger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4, the extension portion 13 and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can be easily grasped with one han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palm.

상기한 바와 같이, 해제 조작구(5)를 조작하여 록 장치(4)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다리부(1)에 대한 시트부(2)의 걸어맞춤 고정 상태를 해제하면, 앞다리(8)와 뒷다리(9)를 접는 방향으로 회동 가압하는 스프링(7)이 상기한 바와 같이 다리부(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프링(7)의 힘으로 앞다리(8)와 뒷다리(9)는 축지지부(12)를 중심으로 하여 접는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앞다리(8)와 뒷다리(9)가 접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즉 앞다리(8)에 대하여 뒷다리(9)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도 4의 (a)의 화살표 a), 뒷다리(9)와 연결구(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시트부(2)의 후단부가 아래쪽으로 당겨져 아래쪽으로 회동하고((도 4의 (a)의 화살표 b), 시트부(2)의 전단부가 상승하도록 위쪽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1)를 접을 수 있는 동시에 시트부(2)를 세워올려 접을 수 있어, 욕실용 의자를 접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is operated to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lock device 4 and the engagement of the seat portion 2 to the leg portion 1 is released, the front leg 8 Since the spring 7 for pivoting and pressing the back leg 9 in the folding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leg 1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are driven by the force of the spring 7. The branch 12 is automatically rotated in the folding direction. Then, when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rotate in the folding direction, that is, when the rear leg 9 is rotat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front leg 8 (arrow a in FIG. 4 (a)), The rear end of the seat 2, which is connected by the rear leg 9 and the connector 10, is pulled downward and pivoted down (arrow b in Fig. 4A), and the front end of the seat 2 By turning upward to rotate, as shown in FIG. 10, the leg part 1 can be folded and the seat part 2 can be raised and folded, and a chair for a bathroom can be folded.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록 장치(4)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해제 조작구(5)의 조작은 한 손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며, 그리고, 록 장치(4)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스프링(7)의 작용으로 다리부(1)를 접는 회동과 시트부(2)를 접는 회동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므로, 욕실용 의자를 접는 것을 한 손으로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Here,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operation tool 5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lock device 4 can be performed with one hand, and when the engagement of the lock device 4 is released, the spring 7 Since the rotation of folding the leg 1 and the folding of the seat 2 ar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action of), it is possible to perform folding of the bathroom chair with only one hand.

이와 같이 욕실용 의자를 접는데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앞다리(8)와 뒷다리(9)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 축지지부(12)가, 앞다리(8)와 뒷다리(9)의 하단을 저변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정점(頂点)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다리(8)와 뒷다리(9)를 접어서 좁힌 상태라도, 자립(自立)시킬 수 있는 것이며, 벽에 기대거나 걸게 하거나 할 필요없이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folding the bathroom chair, the shaft support 12 for rotatably mounting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the lower end of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is the bottom. Since it is set so that it may be located in the vertex of an isosceles triangle to be made, as shown in FIG. 10, even if the forelimb 8 and the hind leg 9 are folded and narrowed, it can be self-supporting and it is leaning against a wall. It can be stored without having to walk or hang.

다음에, 이와 같이 접은 욕실용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 펴는데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다리(9) 하단의 다리 고무(45)를 욕실의 바닥면(82)에 접지시킨 상태에서, 뒤쪽으로 약간 경사지게 앞다리(8)의 하단을 바닥면(82)으로부터 올리고, 이 상태에서, 등받이부(3) 상단의 연장부(13)를 아래쪽으로 가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즉, 연장부(13)의 상면을 화살표 a와 같이 아래쪽으로 가압하면 축지지부(12)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등받이 지주(11)가 아래쪽으로 회동되는 동시에, 화살표 b와 같이 앞다리(8)가 위쪽으로 회동하고, 앞다리(8)는 뒷다리(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다리부(1)가 펴진다. 그리고, 시트부(2)는 연결구(10)를 통하여 뒷다리(9)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이 앞다리(8)와 뒷다리(9)가 펴지도록 회동하면, 이와 연동하여 시트부(2)가 화살표 c 방향으로 수평으로 넘어지도록 회동하여, 다리부(1)와 시트부(2)가 펴져, 욕실용 의자를 사용 상태로 펼 수가 있는 것이다.Next, in unfolding to use the chair for the bathroom fold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12, in the state where the leg rubber 45 at the bottom of the rear leg 9 is grounded to the bottom surface 82 of the bathroom, In this state, the lower end of the foreleg 8 is slightly inclined from the bottom surface 82, and in this state, the extension 13 of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3 can be pressed downward. That is,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3 is pushed downward as shown by arrow a, the back support 11 is pivoted downward with the pivot support 12 as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front leg 8 is upward as shown by arrow b. The front leg 8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ar leg 9, and the leg 1 is extended. Since the seat 2 is connected to the rear leg 9 through the connector 10, when the front leg 8 and the rear leg 9 are rotated in this manner, the seat 2 is connected to the arrow 2 in this manner. It rotates so that it may fall horizontally in c direction, the leg part 1 and the seat part 2 spread, and a chair for a bathroom can be unfolded in a use state.

이 때, 등받이부(3)의 연장부(13)를 한 손으로 잡고, 도 12와 같이 뒷다리(9)의 하단을 바닥면(82)에 접지시키는 동시에 앞다리(8)의 하단을 바닥면(82)으로부터 올린 상태로 하고, 이대로 한 손으로 연장부(13)를 아래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욕실용 의자를 펼 수가 있는 것이며, 한 손만으로, 욕실용 의자를 펴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while holding the extension 13 of the backrest part 3 with one hand, as shown in FIG. 12, the lower end of the rear leg 9 is grounded to the bottom surface 82 and the lower end of the front leg 8 is bottomed ( 82), the bathroom chair can be unfolded as described above by pressing the extension part 13 downward with one hand as it is, and the operation of unfolding the bathroom chair can be easily performed with only one hand. It can be.

1: 다리부
2: 시트부
3: 등받이부
4: 록 장치
5: 해제 조작구
6: 릴리스 와이어
7: 스프링
8: 앞다리
9: 뒷다리
10: 연결구
11: 등받이 지주
12: 축지지부
13: 연장부
14: 관통공
1: leg
2: seat
3: backrest
4: lock device
5: release operation tool
6: release wire
7: spring
8: forelimb
9: hind legs
10: end connection
11: backrest prop
12: shaft support
13: extension
14: through hole

Claims (8)

다리부와,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는, 수평 상태와 위쪽으로 회동(回動)하여 접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다리부에 장착된 욕실용 의자로서,
수평으로 회동된 상기 시트부를 상기 다리부에 걸어맞추어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록 장치에 의한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조작을 행하는 해제 조작구를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하며,
상기 시트부에 설치된 상기 록 장치와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된 상기 해제 조작구와의 사이에, 상기 해제 조작구의 조작을 상기 록 장치에 원격 전달하는 릴리스 와이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욕실용 의자.
It is formed with a leg part, a seat part, and a back part, The said seat part is a bathroom chair attached to the said leg part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between a horizontal state and the state which folds upwards, and is folded,
A lock device for engaging the horizontally rotated seat portion with the leg portion and supporting the seat portion in a horizontal state, and providing a release operation mechanism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engagement by the lock device,
The chair for a bathroom provided with the release wire which remotely transmits operation of the said release operation tool to the said lock apparatus between the said lock apparatus provided in the said seat part, and the said release operation tool provided in the said backres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를 위쪽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회동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욕실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Bathroom chair further comprises a spring for rotating and pressing in the direction to rotate the seat portion upwar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를, 앞다리와 뒷다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접거나 펴는 것이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앞다리와 상기 뒷다리가 접히는 방향에 대한 회동과, 상기 시트부의 위쪽으로의 회동을 연동시키고, 또한 상기 앞다리와 상기 뒷다리가 펴지는 방향에 대한 회동과, 상기 시트부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을 연동시키는 연결구를, 상기 다리부와 상기 시트부와의 사이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욕실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eg portion is formed to be able to fold or extend the foreleg and the hind limb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rotation about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elimb and the hind limb are folded, interlocking the rota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and also with the forelimb A bathroom chair comprising a connector for interlocking a rotation about a direction in which the hind legs are extended and a rotation downward of the seat portion, between the leg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앞다리와 상기 뒷다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축지지부보다 상부를 뒤쪽 또한 위쪽으로 연장시켜 등받이 지주(支柱)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등받이 지주에 등받이부를 설치하고,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에 배면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욕실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3,
An upper part of the back support is extended to the rear and the upper part of the back support from the axial support which pivotally connects the front and rear legs, and the backrest is installed on the back support, and is extended to the rear side at the upper end of the back support. Bathroom chair made by forming an extens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조작구를, 위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와 상기 해제 조작구를 한 손으로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해제 조작구를 등받이부의 배면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욕실용 의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lease operation tool is formed so as to release the engagement by rotating upward, and the release operation tool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backrest portion at a position where the extension part and the release operation tool can be simultaneously held by one hand. Chair for the bathroo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조작구에 상하로 개구되는,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욕실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5,
A bathroom chair compris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which is opened up and down in the release operation too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92904A 2009-09-25 2010-09-24 Chair for bath room KR1012456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21512 2009-09-25
JP2009221512A JP5607908B2 (en) 2009-09-25 2009-09-25 Bathroom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806A KR20110033806A (en) 2011-03-31
KR101245655B1 true KR101245655B1 (en) 2013-03-20

Family

ID=4393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904A KR101245655B1 (en) 2009-09-25 2010-09-24 Chair for bath roo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607908B2 (en)
KR (1) KR1012456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5557A1 (en) * 2012-03-30 2013-10-03 パナソニックエイジフリーライフテック株式会社 Seat
JP6220730B2 (en) * 2014-05-15 2017-10-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Folding chair for bathroom
CN105832221B (en) * 2016-02-02 2018-03-13 唐泽交通器材(泰州)有限公司 A kind of foldable bath seat
JP6694350B2 (en) * 2016-08-03 2020-05-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Bathroom chair
CN110664291B (en) * 2018-07-02 2022-06-24 安隆化成株式会社 Chair for bathroom
JP7049237B2 (en) * 2018-12-12 2022-04-06 アロン化成株式会社 Bathroom chair
JP7313819B2 (en) 2018-12-20 2023-07-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bathroom chair
JP2020103400A (en) * 2018-12-26 2020-07-0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Bathroom chair
JP7248434B2 (en) * 2019-01-10 2023-03-2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bathroom chair
JP7221793B2 (en) * 2019-05-27 2023-02-14 アロン化成株式会社 bathroom chair
CN111571229A (en) * 2020-05-27 2020-08-25 浙江博育教学设备有限公司 Method for processing table and chair leg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496Y1 (en) 2002-07-09 2002-10-25 김종성 Folding seat for spectators' stand
JP2008259807A (en) 2007-03-16 2008-10-30 Aron Kasei Co Ltd Folding chair
KR20080111947A (en) * 2007-06-20 2008-12-24 이종호 Chair with the function of algle adjustment for back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403A (en) * 2000-05-15 2001-11-20 Fujiwara:Kk Foldable wheelchair
JP2003093188A (en) * 2001-09-21 2003-04-02 Osaka Kanagu Kk Foldable stool
JP2005073991A (en) * 2003-09-01 2005-03-24 Aron Kasei Co Ltd Foldable chair for shower
JP4972464B2 (en) * 2007-05-31 2012-07-1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Folding cha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496Y1 (en) 2002-07-09 2002-10-25 김종성 Folding seat for spectators' stand
JP2008259807A (en) 2007-03-16 2008-10-30 Aron Kasei Co Ltd Folding chair
KR20080111947A (en) * 2007-06-20 2008-12-24 이종호 Chair with the function of algle adjustment for back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07908B2 (en) 2014-10-15
JP2011067448A (en) 2011-04-07
KR20110033806A (en)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655B1 (en) Chair for bath room
CN105361489B (en) Seat
JP4339829B2 (en) Folding chair for bathroom
JP5905928B2 (en) Bathroom chair
JP5064936B2 (en) Folding chair
EP1865143A2 (en) Folding tray for foldable step stool
JP6228251B2 (en) Bathroom chair
US2681099A (en) Adjustable lounge
KR100883770B1 (en) Folding-type chair for table
JP6694350B2 (en) Bathroom chair
JP5057772B2 (en) Chair
JP7049237B2 (en) Bathroom chair
JP7313819B2 (en) bathroom chair
JP2020103400A (en) Bathroom chair
US8584267B2 (en) Manual toilet seat lifter apparatus
JP6143334B2 (en) Bathroom chair
JP7248434B2 (en) bathroom chair
KR101133163B1 (en) A folding chair and a chair for shower
JP2006288496A (en) Wheel chair
AU2009100778A4 (en) Stroller that can be folded and expanded easily and quickly
JP3156595U (en) Structure of a foldable leisure chair
JP3059005U (en) Folding electric bed
JP6382402B1 (en) Folding chair type simple toilet
JPH1156954A (en) Caregiving bed concurrently usable as bathtub
KR200382336Y1 (en) A office chair with one touch expand leg-suppo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