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086B1 -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9086B1 KR101239086B1 KR1020110038732A KR20110038732A KR101239086B1 KR 101239086 B1 KR101239086 B1 KR 101239086B1 KR 1020110038732 A KR1020110038732 A KR 1020110038732A KR 20110038732 A KR20110038732 A KR 20110038732A KR 101239086 B1 KR101239086 B1 KR 1012390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balt
- cobalt oxide
- secondary battery
- raw material
- lithium seconda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LBFUKZWYPLNNJC-UHFFFAOYSA-N Cobalt(II,III) oxide Chemical compound [Co]=O.O=[Co]O[Co]=O LBFUKZWYPLNNJC-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29910000428 cobalt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0406 cath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ASKVAEGIVYSGNY-UHFFFAOYSA-L Cobalt(II)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Co+2] ASKVAEGIVYSGNY-UHFFFAOYSA-L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29910021503 Cobalt(II)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10052803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0405 an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1 lithium cobalt Chemical compound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00625 lithium cobalt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975 co-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GZVUEUWXADBQD-UHFFFAOYSA-L lith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Li+].[Li+].[O-]C([O-])=O XGZVUEUWXADBQD-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808 lith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M hydroxyl anion Chemical compound [OH-] XLYOFNOQVPJJNP-UHFFFAOYSA-M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258 condu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21437 lithium-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OZAIFHULBGXAKX-UHFFFAOYSA-N precursor Substances N#CC(C)(C)N=NC(C)(C)C#N OZAIFHULBGXA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PQWUGTUPKOUTPL-UHFFFAOYSA-L C([O-])([O-])=O.[Co+2].[Li+] Chemical compound C([O-])([O-])=O.[Co+2].[Li+] PQWUGTUPKOUTPL-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WMFOQBRAJBCJND-UHFFFAOYSA-M lith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Li+].[OH-] WMFOQBRAJBCJN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SCWAEJMTAWNJL-UHFFFAOYSA-K Alumin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l](Cl)Cl VSCWAEJMTAWNJL-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JLDSOYXADOWAKB-UHFFFAOYSA-N Aluminium nitrate Chemical compound [Al+3].[O-][N+]([O-])=O.[O-][N+]([O-])=O.[O-][N+]([O-])=O JLDSOYXADOWAK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IXADJRWDQXREU-UHFFFAOYSA-M Lith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Li+].CC([O-])=O XIXADJRWDQXRE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40071257 Lithium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AMXOYNBUYSYVKV-UHFFFAOYSA-M Lithium bromide Chemical compound [Li+].[Br-] AMXOYNBUYSYVKV-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KWGKDLIKAYFUFQ-UHFFFAOYSA-M Lith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Li+].[Cl-] KWGKDLIKAYFUF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PQXKHYXIUOZZFA-UHFFFAOYSA-M Lithium fluoride Chemical compound [Li+].[F-] PQXKHYXIUOZZF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EFJDZJERJLOEW-UHFFFAOYSA-L S(=O)(=O)([O-])[O-].[Co+2].[Li+] Chemical compound S(=O)(=O)([O-])[O-].[Co+2].[Li+] IEFJDZJERJLOE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HUUQVKOLVNVRT-UHFFFAOYSA-N ammo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NH4+].[OH-] VHUUQVKOLVNV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14 ammon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480 inorganic sol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INHCSSUBVCNVSK-UHFFFAOYSA-L lith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Li+].[Li+].[O-]S([O-])(=O)=O INHCSSUBVCNVS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4 sol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24 substituent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IVMYJDGYRUAWML-UHFFFAOYSA-N Cobalt(II) oxide Chemical class [Co]=O IVMYJDGYRUAWM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TVIXTQDYHMGHF-UHFFFAOYSA-L Cobalt(II) sulfate Chemical compound [Co+2].[O-]S([O-])(=O)=O KTVIXTQDYHMGH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EJIGPNLZYLLBP-UHFFFAOYSA-N Di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 IEJIGPNLZYLL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015 LiAs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063 LiBF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8015 Lithium Carb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FUJCRWPEOMXPAD-UHFFFAOYSA-N Lithium oxide Chemical compound [Li+].[Li+].[O-2] FUJCRWPEOMXP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UPUVLWGKPVHBQ-UHFFFAOYSA-M Lithium sulfite Chemical compound [Li+].OS([O-])=O SUPUVLWGKPVHB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RUOJZAUFBMNUDX-UHFFFAOYSA-N Prop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1COC(=O)O1 RUOJZAUFBMNU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90 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8 ammon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3 an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9 cobalt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4175 cobalt sulf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61 cobalt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9 degra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THFKEDIFFGKHM-UHFFFAOYSA-N dimethoxyethane Chemical compound COCCOC XTHFKEDIFFGK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CGLNKUTAGEVQW-UHFFFAOYSA-N dim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OC LCGLNKUTAGEV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70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JBTWLSYIZRCDFO-UHFFFAOYSA-N 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 JBTWLSYIZRCD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PRLSGONYQIRFK-UHFFFAOYSA-N hydron Chemical compound [H+] GPRLSGONYQIR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73 ketje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96 lac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41 lithium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6116 lithium hydrox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50 lithium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47 lith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7748 lithium sulf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1125 manganese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596 manganese sulf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2 manganese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079 manganese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OGMEBQRZBEZQT-UHFFFAOYSA-L manganese(2+);diacetate Chemical compound [Mn+2].CC([O-])=O.CC([O-])=O UOGMEBQRZBEZQT-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MIVBAHRSNUNMPP-UHFFFAOYSA-N manganese(2+);dinitrate Chemical compound [Mn+2].[O-][N+]([O-])=O.[O-][N+]([O-])=O MIVBAHRSNUNMP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GVLTEMOWXGQOS-UHFFFAOYSA-L manganese(2+);oxalate Chemical compound [Mn+2].[O-]C(=O)C([O-])=O RGVLTEMOWXGQOS-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ISPYRSDWRDQNSW-UHFFFAOYSA-L manganese(II) sulfate monohydrate Chemical compound O.[Mn+2].[O-]S([O-])(=O)=O ISPYRSDWRDQNS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87 meta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58 ternary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hydride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04—Oxides; Hydroxi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상에서의 침전반응을 이용하여 이종금속이 균일하게 치환되어 있는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제조함으로써 최종 양극재료의 고전압에서의 구조 붕괴를 억제하여 수명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발트원료, 수산화기원료, 치환용 이종금속원료 및 암모니아원료를 화학식, Co1-xMx(OH)2(0.00≤x≤0.10, M=Al, Mg, Ti, etc)의 조성비를 갖도록 침전시켜서 5~25㎛의 입자크기를 갖는 구형의 수산화코발트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수산화코발트를 500~800℃의 온도범위에서 5~20시간 유지시켜 5~25㎛의 입자크기를 갖는 구형의 산화코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산화코발트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양극재료는 4.5V 고전압 충방전 조건에서도 뛰어난 수명특성을 발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금속이 균일하게 치환되어 고전압에서 사용하더라도 구조적인 열화가 일어나지 않는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의 소형 전기 전자기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니켈수소전지나 리튬이차전지와 같은 신형의 이차전지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리튬이차전지는 흑연 등의 카본을 음극활물질로 사용하고, 리튬이 포함되어 있는 산화물을 양극활물질로 사용하며, 비수용매를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전지이다. 리튬이 매우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이기 때문에, 고전압 발현이 가능하여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전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사용되는 양극활물질로는 리튬을 함유하고 있는 리튬전이금속산화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코발트계, 니켈계 및 코발트, 니켈, 망간이 공존하는 삼성분계 등의 층상계 리튬전이금속산화물이 90% 이상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양극활물질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층상계 리튬전이금속산화물은 비이상상태(과충전 및 고온상태)에서 구조 붕괴로 인해 격자에 있는 산소가 탈리하여 반응에 참여함으로써 전지의 발화와 같은 이상거동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층상계 리튬금속산화물이 갖는 단점으로 이를 극복하고 보다 많은 용량을 사용하기 위해 전이금속 자리에 이종의 원소를 치환하여 구조적인 안정화를 얻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종의 원소가 치환되어 있는 층상계 리튬전이금속산화물은 구조적인 안정화를 위해 이종의 원소가 함유되어 있는 원료를 원료단계에서 혼합하여 열처리함으로써 제조하며, 이렇게 제조된 양극재료는 고출력 및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리튬이차전지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체상을 단순혼합하여 제조된 상기의 양극재료는 이종의 원소가 불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어 치환의 효과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이종의 원소를 치환하여야 하며, 이러한 경우에도 고전압에서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4.5V의 고전압에서도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여 수명특성이 향상되는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화코발트 제조공정 상에서 이종금속을 액상단계에서 첨가함으로써 산화코발트에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향후 리튬의 확산이 용이하도록 다공성을 갖는 구형의 산화코발트를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발트원료, 수산화기원료, 치환용 이종금속원료 및 암모니아원료가 혼합된 수용액을 공침시켜 이종금속이 치환된 구형의 수산화코발트를 제조하는 수산화코발트 제조 단계, 및 상기 수산화코발트를 열처리하여 이종금속이 치환된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제조하는 산화코발트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코발트 제조 단계에서 상기 수산화코발트는, Co1-xMx(OH)2(0.00<x≤0.10, M=Al, Mg 또는 Ti)의 조성비를 갖고, 평균입도가 5~25㎛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코발트 제조 단계에서, 코발트원료, 수산화기원료, 치환용 이종금속원료 및 암모니아원료의 농도는 각각 0.5~2M이며, 코발트원료, 수산화기원료, 치환용 이종금속원료 및 암모니아원료를 1 : 1.8~2.5 : 0.1 이하 : 0.5~1.5의 비율로 공침하되, 혼합된 수용액의 pH를 10~12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화코발트 제조 단계에서 상기 산화코발트는, Co3-yMyO4(0.00<y≤0.30, M=Al, Mg 또는 Ti)의 조성비를 갖고, 평균입도가 5~25㎛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화코발트 제조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산화코발트에 탄산리튬을 혼합한 후 열처리하여 코발트산리튬을 제조하는 코발트산리튬 제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화코발트 제조 단계에서의 열처리는 500~800℃에서 수행하고, 상기 코발트산리튬 제조 단계에서의 열처리는 900~11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산리튬 제조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코발트산리튬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한, Co3-yMyO4(0.00<y≤0.30, M=Al, Mg 또는 Ti)의 조성비를 갖고, 구형의 다공성이며, 평균입도가 5~25㎛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침공정을 통하여 이종금속이 균일하게 치환된 구형의 다공성 코발트수산화물 및 이의 열처리를 통한 산화코발트를 제조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코발트산리튬은 이종의 원소가 균일하게 치환되어 있는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여, 이렇게 제조된 양극재료는 상온에서 4.5V의 충전종지전압 조건에서도 50회 충방전 이후에도 초기용량의 70% 이상의 용량 발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극재료는 이종의 원소가 입자 내부에 까지 균일하게 치환되어 있기 때문에 고전압에서의 구조 붕괴로 인한 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수명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조 방법 중 실시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인 구형 산화코발트의 내부형상 이미지이다.
도 3은 실시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인 산화코발트의 위치에 따른 알루미늄 함량을 분석한 이미지이다.
도 4는 실시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산화코발트 및 코발트산리튬 양극재료의 입자 형상 이미지이다.
도 5는 실시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재료의 상온에서의 충방전 수명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재료의 상온에서의 충방전 수명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1 및 비교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재료의 상온에서의 충방전 수명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조 방법 중 실시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인 구형 산화코발트의 내부형상 이미지이다.
도 3은 실시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인 산화코발트의 위치에 따른 알루미늄 함량을 분석한 이미지이다.
도 4는 실시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산화코발트 및 코발트산리튬 양극재료의 입자 형상 이미지이다.
도 5는 실시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재료의 상온에서의 충방전 수명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재료의 상온에서의 충방전 수명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1 및 비교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재료의 상온에서의 충방전 수명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은 수산화코발트 제조 단계(S10) 및 산화코발트 제조 단계(S20)를 포함하며, 코발트산리튬 제조 단계(S30) 및 분쇄 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산화코발트 제조 단계(S10)에서 코발트원료, 수산화기원료, 치환용 이종금속원료 및 암모니아원료가 혼합된 수용액을 공침시켜 이종금속이 치환된 구형의 수산화코발트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산화코발트 제조 단계(S20)에서 수산화코발트를 열처리하여 이종금속이 치환된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제조한다. 이어서 코발트산리튬 제조 단계(S30)에서 산화코발트에 탄산리튬을 혼합한 후 열처리하여 코발트산리튬을 제조한다. 마지막으로 분쇄 단계(S40)에서 양극재료인 코발트산리튬을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산화코발트 제조 단계(S10)에서 코발트원료, 수산화기원료, 치환용 이종금속원료 및 암모니아원료를 pH를 제어하면서 공침반응기에 지속적으로 투입하여 화학식1에 따른 이종금속이 균일하게 치환된 구형의 다공성 수산화코발트를 제조한다. 즉 상기의 원료들의 농도는 각각 0.5~2.0M의 범위 내에서 코발트원료 : 치환용 이종금속원료 : 수산화기원료 : 암모니아원료 = 1 : 0.00~0.10 : 1.8~2.5 : 0.5~1.5의 비율이 되도록 제어하며 50~100시간동안 반응을 진행시켜 수산화코발트를 제조한다. 상기의 비율에서 벗어나면 pH가 10~12 사이를 벗어나게 되어 코발트와 이종금속 간의 균일한 침전이 일어나지 않고 독립적인 침전이 되기 때문에, 균일하게 치환된 수산화물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반응시간이 50시간 미만이 되면 입자 형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5㎛ 이하의 입자가 생성되며, 입자의 구형화도 매우 낮게 된다.
이때 수산화코발트 제조 단계(S10)에서 화학식1의 조성비를 갖도록 침전시켜서 5~25㎛의 입자크기를 갖는 구형의 수산화코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리튬원료는 탄산리튬, 수산화리튬, 초산리튬, 황산리튬, 아황산리튬, 초산리튬, 불화리튬, 염화리튬, 브롬화리튬, 옥화리튬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발트원료는 코발트금속, 옥살산망간, 아세트산망간, 질산염망간, 황산염망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종금속원료의 이종금속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티타늄(Ti)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이종금속으로 알루미늄이 사용되는 경우, 이종금속원료는 질산염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암모니아원료는 수산화암모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산화코발트 제조 단계(S20)에서 구형의 이종금속이 치환된 수산화물 전구체인 이종금속이 균일하게 치환된 수산화코발트를 열처리하여 화학식2에 따른 양극재료용 산화코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열처리는 500~800℃로 공기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최종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제조한다. 이때 500℃ 이하에서 열처리를 수행할 경우, 구형의 전구체에 대한 충분한 열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수소이온이 100% 제거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800℃ 이상에서 열처리를 수행할 경우, 구형의 전구체에 필요 이상의 반응이 일어나 구형이 깨지고, 다공성이 없어진다. 다공성이 없어지면 향후 리튬원료와의 반응속도가 낮아지게 되어 효과적으로 코발트산리튬을 제조할 수 없게 된다.
산화코발트 제조 단계(S20)에서 제조된 산화코발트는 화학식2의 조성비를 갖고, 평균입도가 5~25㎛인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이다. 화학식2에 따른 산화코발트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양극재료용 전구체이다.
그리고 코발트산리튬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된 산화코발트를 리튬원료와 반응시켜 이종금속이 치환된 코발트산리튬인 양극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제조된 산화코발트에 리튬원료를 혼합한 후 열처리를 통해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코발트산리튬 양극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열처리는 900~1100℃로 공기분위기에서 열처리를 하여 최종 코발트산리튬을 제조한다. 이때 900℃ 이하에서 열처리를 수행할 경우, 충분한 열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가용용량이 120mAhg-1 이하로 낮아진다. 반면에 1100℃ 이상에서 열처리를 수행할 경우, 필요 이상의 반응이 일어나 25㎛ 이상의 거대 입자가 생성되어 출력특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코발트산리튬 제조 단계(S30) 이후에 양극극판을 제조하기 위해서, 열처리된 양극재료를 분쇄하여 분말화 할 수 있다. 이때 분쇄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시한다. 분쇄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발, 볼 밀, 진동 밀, 위성 볼 밀, 튜브 밀, 라드 밀, 제트 밀, 해머 밀 등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분급을 통해 원하는 입도분포를 얻는다. 본 발명의 양극재료의 분말의 평균 입도는 5~25㎛의 범위 이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극재료를 적용한 리튬이차전지는 양극재료 이외의 점에서는 기존의 리튬이차전지 제조방식과 차이가 없다. 양극 극판의 제작 및 리튬이차전지의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극극판의 제작은 본 발명의 양극재료의 분말에, 필요에 따라서, 도전제, 결착제, 필러, 분산제, 이온 도전제, 압력 증강제 등과 통상 이용되고 있는 l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 성분을 첨가해, 적당한 용매(유기용매)에 의해 slurry 내지 paste화한다. 이렇게 얻은 slurry 또는 paste를 전극 지지 기판에 닥터 플레이드법등을 이용해 도포해, 건조해, 압연 롤 등으로 프레스한 것을 양극 극판으로서 사용한다.
도전제의 예는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Ketjen Black, 탄소섬유, 금속가루 등이다. 결착제로서는 PVdF,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극 지지 기판(집전체라고도 말하는)은, 동, 니켈, 스텐레스강철, 알루미늄 등의 박, 시트 혹은 탄소섬유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양극을 이용하여 리튬이차전지를 제작한다. 리튬이차전지의 형태는 코인, 버튼, 시트, 원통형, 각형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재료, 전해액, 분리막 등은 기존 리튬이차전지에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음극재료로는 흑연 등의 카본물질 또는 전이금속의 복합 산화물 등의 l종 혹은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 실리콘, 주석 등도 음극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전해액으로는 유기용매에 리튬염을 용해시킨 비수계 전해액, 무기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의 복합재 등의 어느 쪽도 사용할 수 있다.
비수계 전해액의 용매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메틸 에틸 카보네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부틸 락톤 등의 락톤류, 1,2-디메톡시 에탄, 에톡시 메톡시 에탄 등의 에테르류와 아세트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등의 l종 혹은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비수계 전해액의 리튬염의 예로서는 LiAsF6, LiBF4, LiPF6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막으로는 PP 및/또는 PE 등의 Polyolefin으로부터 제조되는 다공성 필름이나, 부직포 등의 다공성재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1에 따른 산화코발트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황산코발트 1.5M 용액, 수산화나트튬 1.5M 용액, 질산염알루미늄 1.5M 용액, 암모니아수 1.5M 용액을 0.95 : 2.05 : 0.05 : 0.60이 되도록 시간당 20cc의 속도로 공침반응기에 투입하여 80시간 이상 반응시켜 이종금속이 치환된 구형의 다공성 수산화코발트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수산화코발트를 공기중에서 750℃에서 10시간 유지시켜 최종 실시예1에 따른 양극재료용 산화코발트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산화코발트에 탄산리튬을 코발트이온에 대한 리튬이온의 비가 1.05가 되도록 건식 혼합하여 공기중에서 950℃에서 15시간 유지시켜 최종 실시예1에 따른 양극재료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실시예1에 따른 양극재료의 분말을 평균 입경이 20㎛가 되도록 분급하였다. 양극재료 80 wt%, 도전제로 아세틸렌 블랙 10 wt%, 결착제의 PVdF 10 wt%로 하여, NMP를 용매로 하여 slurry를 제조하였다. 이 slurry를 두께 20㎛의 Al foil에 도포하여 건조 후 프레스로 압밀화시켜, 진공상에서 120℃로 16시간 건조해 직경 16mm의 원판으로 전극을 제조하였다.
상대극으로는 직경 16mm로 punching을 한 리튬금속박을, 분리막으로는 PP 필름을 사용하였다. 전해액으로는 1M의 LiPF6의 EC/DME 1:1 v/v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해액을 분리막에 함침시킨 후, 이 분리막을 작용극과 상대극 사이에 끼운 후 SUS 제품의 케이스를 전극 평가용 시험 셀로 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및 비교예2에 따른 양극재료는 표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sample ID |
투입 원료 (1.5M) | 내부 치환균일도 [%] |
입자형상 | 4.5V 상온수명 특성 (50회 충방전) [%] |
비고 | |||
Co원료 | 치환체 | NaOH | NH4OH | |||||
1 | 0.98 | 0.02 | 2.05 | 0.60 | 2.0± 1.0 | 구형, 다공성 |
70 | 실시예 3 |
2 | 1.00 | 0.00 | 2.05 | 0.60 | - | 구형, 다공성 |
55 | 비교예 2 |
3 | 0.95 | 0.05 | 1.95 | 1.00 | 5.5± 1.5 | 구형, 다공성 |
75 | 실시예 2 |
4 | 0.95 | 0.05 | 건식치환 |
2.0± 2.0 | 비구형 | 67 | 비교예 1 | |
5 | 0.95 | 0.05 | 2.05 | 0.60 | 6.0± 1.5 | 구형, 다공성 |
76 | 실시예 1 |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양극재료의 내부형상 이미지 및 치환체의 내부 균일치환 정도를 살펴보면, 도 2 및 도 3과 같다. 도 2는 도 1의 제조 방법 중 실시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인 산화코발트의 내부형상 이미지이다. 구형의 다공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향후 최종 양극재료 제조를 위해 탄산리튬과의 열처리를 통한 반응을 진행할 때 리튬종의 산화코발트 내부로의 확산이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실시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인 산화코발트의 내부에서의 이종금속(알루미늄)의 위치에 따른 치환정도를 분석한 이미지이다. 산화코발트 내부에 까지 알루미늄이온이 균일하게 치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균일치환은 4.5V의 고전압 충방전 조건에서도 구조적인 안정성을 양극소재에 부여할 수 있어 뛰어난 수명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실시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산화코발트 및 코발트산리튬 양극재료의 입자 형상 이미지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1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산화코발트는 이종금속이 균일하게 치환되어 있고, 리튬확산이 용이하도록 다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로부터 제조된 양극재료는 상온에서 4.5V의 충전종지전압 조건에서 50회 충방전 이후에도 초기용량의 75% 이상의 용량 발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러한 양극재료의 성능 향상은 액상에서의 공침반응기를 이용하여, 공정조건을 최적으로 제어하고 이종금속을 액상단계부터 첨가함으로써 균일하게 치환된 구형의 다공성 코발트수산화물 및 코발트산화물을 제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시예1 및 비교예1에 따른 산화코발트로부터 제조된 양극재료로 전극 평가용 시험 셀의 상온에서의 충방전 출력특성을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여기서 도 5는 실시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재료의 상온에서의 충방전 수명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재료의 상온에서의 충방전 수명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상온 수명특성은 50회 충방전 이후의 초기용량 대비 용량을 %로 산출하였다. 도 7은 실시예1 및 비교예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재료의 상온에서의 충방전 수명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비교예1이 실시예1에 비해서 초기용량은 상대적으로 크지만, 40회 이후에서는 실시예1이 비교예1에 비해서 용량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예1에 따른 양극재료가 비교예1에 따른 양극재료에 비해서 4.5V 고전압 충방전 조건에서도 뛰어난 충방전 특성을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1에 따른 양극재료가 비교예1에 따른 양극재료에 비해서 상온에서의 수명특성 유지가 50회 충방전 이후에 초기용량 대비 76%인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2의 경우 50회 충방전 이후에 초기용량 대비 75%인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3의 경우 50회 충방전 이후에 초기용량 대비 70%인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예1 내지 3에 따른 양극재료는 이종금속이 균일하게 치환되어 있는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로부터 제조되었기 때문에 상온에서 50회 충방전 이후에도 초기용량의 70% 이상의 용량 발현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8)
- 코발트원료, 수산화기원료, 치환용 이종금속원료 및 암모니아원료가 혼합된 수용액을 공침시켜 이종금속이 치환된 구형의 수산화코발트를 제조하는 수산화코발트 제조 단계;
상기 수산화코발트를 열처리하여 이종금속이 치환된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제조하는 산화코발트 제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코발트 제조 단계에서,
상기 수산화코발트는,
Co1-xMx(OH)2(0.00<x≤0.10, M=Al, Mg 또는 Ti)의 조성비를 갖고, 평균입도가 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코발트 제조 단계에서,
코발트원료, 수산화기원료, 치환용 이종금속원료 및 암모니아원료의 농도는 각각 0.5~2M이며, 코발트원료, 수산화기원료, 치환용 이종금속원료 및 암모니아원료를 1 : 1.8~2.5 : 0.1 이하 : 0.5~1.5의 비율로 공침하되, 혼합된 수용액의 pH를 10~12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코발트 제조 단계에서,
상기 산화코발트는,
Co3-yMyO4(0.00<y≤0.30, M=Al, Mg 또는 Ti)의 조성비를 갖고, 평균입도가 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코발트 제조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산화코발트에 탄산리튬을 혼합한 후 열처리하여 코발트산리튬을 제조하는 코발트산리튬 제조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코발트 제조 단계에서의 열처리는 500~800℃에서 수행하고,
상기 코발트산리튬 제조 단계에서의 열처리는 900~110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산리튬 제조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코발트산리튬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 - Co3-yMyO4(0.00<y≤0.30, M=Al, Mg 또는 Ti)의 조성비를 갖고, 구형의 다공성이며, 평균입도가 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8732A KR101239086B1 (ko) | 2011-04-26 | 2011-04-26 |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8732A KR101239086B1 (ko) | 2011-04-26 | 2011-04-26 |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1020A KR20120121020A (ko) | 2012-11-05 |
KR101239086B1 true KR101239086B1 (ko) | 2013-03-06 |
Family
ID=4750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8732A KR101239086B1 (ko) | 2011-04-26 | 2011-04-26 |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908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57734A1 (ko) * | 2012-04-19 | 2013-10-24 | 전자부품연구원 | 구형의 수산화코발트를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
KR101596723B1 (ko) * | 2013-04-30 | 2016-02-23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
CN115571923A (zh) * | 2022-09-09 | 2023-01-06 | 巴斯夫杉杉电池材料有限公司 | 一种多孔掺铝氢氧化钴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92547A (ja) * | 1998-04-13 | 1999-10-26 | Ishihara Sangyo Kaisha Ltd | コバルト酸リチウ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てなるリチウム電池 |
KR100420605B1 (ko) * | 1995-05-26 | 2004-05-20 | 하.체. 스타르크 게엠베하 | 코발트금속응집체와이의제조방법및용도 |
-
2011
- 2011-04-26 KR KR1020110038732A patent/KR10123908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0605B1 (ko) * | 1995-05-26 | 2004-05-20 | 하.체. 스타르크 게엠베하 | 코발트금속응집체와이의제조방법및용도 |
JPH11292547A (ja) * | 1998-04-13 | 1999-10-26 | Ishihara Sangyo Kaisha Ltd | コバルト酸リチウ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てなるリチウム電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1020A (ko) | 2012-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31066B1 (en) | Nickel-based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sitive electrode including the nickel-based active material | |
KR101920485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전구체,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EP3550641A1 (en) | Nickel active material precurs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nickel active material precursor, nickel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oduced by method,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cathode containing nickel active material | |
KR20190065963A (ko) |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을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 |
US20180159117A1 (en) | Cathode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 |
KR101566155B1 (ko) | 나노크기의 이산화티탄으로 표면이 코팅된 구형의 전이금속복합탄산물을 이용한 고전압용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고용량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411226B1 (ko) |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리튬망간산화물 양극활물질 및 그것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
KR101590441B1 (ko) | 다기능 2종 물질이 표면처리된 구형의 니켈코발트망간수산화물을 이용한 고온특성 향상용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2199753B1 (ko) | 나노크기의 이산화티탄으로 표면이 코팅된 구형의 전이금속복합수산화물을 이용한 장수명 고강도용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고용량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
EP4092783A1 (en) |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ll-solid-state lithium ion battery, electrode, and all-solid-state lithium ion battery | |
KR20150073970A (ko) | Li-Ni 복합 산화물 입자 분말 및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 |
EP3550643A1 (en) | Nickel active material precurs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nickel active material precursor, nickel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oduced by method,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cathode containing nickel active material | |
KR20150104675A (ko) | 양극 활물질, 그를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449421B1 (ko) | 고체초강산으로 표면 처리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39086B1 (ko) |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538617B1 (ko) | 나노크기의 이산화티탄이 포함된 구형의 니켈코발트망간수산화물을 이용한 고강도용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360837B1 (ko) | 나노크기의 이산화티탄이 포함된 구형의 다공성 산화코발트를 이용한 고전압용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20180105762A (ko) | 나노크기의 이산화주석이 표면 코팅된 구형의 전이금속복합수산화물을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Ni-rcich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
US20160020456A1 (en) | Cathode material for non-aqueous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spherical cobalt hydroxide | |
KR101470986B1 (ko) | 나노크기의 이산화티탄이 포함된 구형의 전이금속복합탄산물을 이용한 고전압용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고용량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499428B1 (ko) | 구형의 수산화코발트를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 |
JP2018056021A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KR101741027B1 (ko) | 복합체 전구체,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체,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 전지 | |
KR101250496B1 (ko) |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335430B1 (ko) | 구형의 수산화코발트를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