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287B1 - 멀티 기능 무전기 - Google Patents

멀티 기능 무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287B1
KR101236287B1 KR1020110011830A KR20110011830A KR101236287B1 KR 101236287 B1 KR101236287 B1 KR 101236287B1 KR 1020110011830 A KR1020110011830 A KR 1020110011830A KR 20110011830 A KR20110011830 A KR 20110011830A KR 101236287 B1 KR101236287 B1 KR 101236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train
unit
fun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1815A (ko
Inventor
최윤환
박노주
정광교
양재길
김동원
오대원
Original Assignee
최윤환
박노주
오대원
양재길
김동원
정광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환, 박노주, 오대원, 양재길, 김동원, 정광교 filed Critical 최윤환
Priority to KR102011001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2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6Portable traffic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기능 무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열차의 차호선별 선택에 따라 열차가 정착역에 도착하면 이 도착을 승무원에게 알려주는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 운행시 플랫폼에 서있는 사람들에게 열차의 발차 또는 도착을 알려주기 위한 레이져빔 기능 및/또는 호루라기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 운행시 승무원이 현재 시간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계 기능을 구현한 멀티 기능 무전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기능 무전기{Multi-functional radio receiver}
본 발명은 멀티 기능 무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열차의 차호선별 선택에 따라 열차가 정착역에 도착하면 이 도착을 승무원에게 알려주는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 운행시 플랫폼에 서있는 사람들에게 열차의 발차 또는 도착을 알려주기 위한 레이저빔 기능 및/또는 호루라기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 운행시 승무원이 현재 시간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계 기능을 구현한 멀티 기능 무전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의 운행 중 승무원과 열차의 운전자는 무전기를 통하여 상호 교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무전기는 보통 짧은 거리에서 교신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무전기는 PTT(push-to-talk) 스위치를 이용하여 송신모드와 수신모드를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무전기를 이용하는 경우 기관사가 정착역을 정차하지 않고 지나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왜냐하면, 기관사가 착각을 일으켜 정착역을 무정차하게 되면, 승무원의 경우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무전기에 따르면, 승무원이 무전기, 호루라기 및 손전등 등을 모두 휴대하게 되므로 플랫폼에 대기하고 있는 열차 승객들을 안전선 뒤로 물러가게 통제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무전기에 따르면, 승무원이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현재의 열차 시간 운행을 확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예정된 정착역마다 도착하기전 소정시간(예를 들면 1분 전을 들 수 있음)에 열차의 정차를 알려주는 알람 기능을 구현한 멀티 기능 무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랫폼에 있는 열차 승객들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호루라기 및 레이저빔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무원이 현재의 열차 시간 운행을 확인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기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멀티 기능이 가능한 멀티 기능 무전기를 제공한다. 이 멀티 기능 무전기는,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저장하는 무전기 저장부; 상기 운행 정보와 동기화되어 시간 경과를 위한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무전기 시계부; 상기 시간 정보 및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열차가 해당 정착역 도달전 소정 시간내에 알람을 수행하기 위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알람부; 상기 알람 정보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음성 변환부; 및 상기 무전기 저장부, 무전 시계부, 알람부 및 음성 변환부를 제어하여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알람부가 알람 정보를 생성하게 하는 무전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멀티 기능 무전기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무전기 입력부; 및 상기 다수의 버튼 중 제 1 특정 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광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버튼 중 제 2 특정 버튼은 상기 음성 변환부를 통하여 호루라기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멀티 기능 무전기는, 상기 시간 정보 및 운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무전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멀티 기능 무전기는, 상기 운행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열차에 구비된 열차 제어기와 연결되는 무전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무전기 저장부는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 메모리 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멀티 기능 무전기는, 상기 열차의 운전사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 운행 프로그램을 등록하여 해당 차/호선별 선택을 함으로써 예정된 정착역마다 도착하기전 소정시간에 열차의 정차역을 알려주는 알람기능으로 인해 정착역을 지나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호루라기 및/또는 레이저 빔 기능으로 인해 승무원이 승객들을 안전하게 지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무전기에 시계 기능이 제공되므로 승무원이 현재의 열차 시간 운행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기능 무전기(110)가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받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기능 무전기(110)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차 제어기(101)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기능 무전기(110)의 알람 기능 과정을 구현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기능 무전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기능 무전기(110)가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받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기능 무전기(110)가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받는 시스템 구성도는 열차(100)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 이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무선망(120)을 통하여 열차(100)의 운행 정보를 전송받는 열차 제어기(101), 이 열차 제어기(101)와 연결되어 이 운행 정보를 전송받는 멀티 기능 무전기(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는 열차(100)의 운행 정보를 열차(10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에는 각 열차의 해당 차/호선별로 운행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다. 물론, 이는 실시간의 교통상황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 업데이트된 운행 정보도 열차(100)에 실시간 또는 출발전에 제공되므로 멀티 기능 무전기(110)에 업데이트된 운행 정보를 로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멀티 기능 무전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20)가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운행 정보에는 해당 열차(100)의 정착역 리스트와 해당 정착역 출발시간 및 도착 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는 무선망(120)을 통하여 열차(100)에 이 운행 정보를 전송한다.
무선망(120)은 Wibro(Wireless Broadband)망, WiFI(Wireless Fidelity)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또는 근거리망인 Zigbee, RF(Radio Frequency), 블루투쓰(bluetooth) 등일 수 있다.
멀티 기능 무전기(110)는 무선망(120)을 통하여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열차(100)에 전송된 운행 정보를 로딩하여 알람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열차(100)의 앞단인 운전석(미도시)에는 열차 제어기(101)가 구비되며, 이 열차 제어기(101)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 3에 도시된다. 물론, 열차 제어기(101)에는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는 기능도 구성되나, 본 발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열차 제어기(101)는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운행 정보를 전송받는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위에서는 멀티 기능 무전기(110)가 운행 정보를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전송받아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멀티 기능 무전기(110)의 제조시 미리 전체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저장하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운행 정보 프로그램을 미리 메모리 등에 저장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기능 무전기(110)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 기능 무전기(110)는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저장하는 무전기 저장부(240); 상기 운행 정보와 동기화되어 시간 경과를 위한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무전기 시계부(230); 상기 시간 정보 및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열차가 해당 정착역 도달전 소정 시간내에 알람을 수행하기 위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알람부(260); 상기 알람 정보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음성 변환부(250); 및 상기 무전기 저장부(240), 시계부(230), 알람부(260) 및 음성 변환부(250)를 제어하여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알람부가 알람 정보를 생성하게 하는 무전기 제어부(200) 등을 포함한다.
무전기 제어부(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며, 무전기(110)를 제어하고, 무전기(110)의 주요 구성부분을 제어한다.
무전기 입력부(210)는 정보 입력 또는 선택으로 사용되어지는 디지트버튼(0 - 9)과, 특수키버튼(*, # ....), 한글 자모 또는 알파벳이 새겨진 문자키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버튼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무전기 입력부(210)는 키패드, 터치패널, 음성 입력 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들 버튼 중에는 특수 기능만을 수행하기 위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출력을 위한 제 1 특정 버튼, 호루라기 기능을 위한 제 2 특정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호루라기 기능은 물리적으로 무전기(110)의 외측 일단에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무전기 연결부(220)는 열차(도 1의 100)에 구비된 열차 제어기(도 1의 101)와 연결되는 수단으로서, 보통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케이블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RS232 등과 같은 포트와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무전기 시계부(230)는 클럭 생성 수단으로서 무전기(110)의 구성요소인 알람부(260), 무전기 제어부(200)에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전기 저장부(240)는 무전기 제어부(200)가 동작하기 위한 데이터,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무전기 저장부(24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RAM(Static RAM), FRAM (Ferro-electric RAM), PRAM (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 무전기 저장부(240)에는 운행 정보에 따라 알람부(260)가 해당역 도달전 소정시간내에 알람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이 무전기 저장부(240)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USB, SD 메모리 등의 확장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확장 메모리는 착탈이 가능하고 휴대할 수 있으므로, 갱신된 운행 정보를 컴퓨터(미도시) 등에서 다운로드 받아 무전기(110)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변환부(250)는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252)를 통하여 입력받아 디지털로 변환한 후 스피커(251)를 통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음성 변환부(250)는 알람부(260)에서 생성한 알람 정보에 따라 알람 소리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러한 출력의 경우에는 디지털 정보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알람부(260)는 무전기 시계부(230)에 생성한 시간 정보 및/또는 무전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운행 정보에 따라 열차(도 1의 100)가 해당 정착역 도달전 소정 시간내에 알람을 수행하기 위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이해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물론, 이를 위해 무전기(110)에는 제조시에 미리 운행 정보가 무전기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열차(도 1의 100)에 설치된 열차 제어기(도 1의 101)와 연결하여 로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무전기 저장부(240)에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 메모리 카드(미도시)를 연결하여 로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전기 입력부(210)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해당 열차의 운행 정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경부선 505호 열차의 운행 정보가 "101"이라고 하면 이를 선택한 다음 21일자 운행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물론, 해당하는 날짜의 운행 정보(예를 들면, 2010.09.21일자 경부선 505호 열차의 운행 정보)를 열차 출발전에 열차 제어기(도 1의 101) 또는 휴대용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여 다운로드받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출력부(270)는 야간에 플랫폼에 대기중인 승객들이 안전선쪽으로 물러나 있도록 알려주기 위해 레이저빔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무전기(110)의 상단측에 광출력을 위한 광출력부(270)가 구성되어 레이저빔을 출력하게 되므로, 승무원이 무전기(110)를 흔들어서 플랫폼에 대기중인 승객들이 알아볼 수 있게 한다.
무전기 표시부(28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전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메뉴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화면, 결과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이 무전기 표시부(280)는 무전기 시계부(230)의 시간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290)는 열차(도 1의 100)에 구비된 열차 제어기(도 1의 101)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를 위해 열차 제어기(101)에도 통신 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열차 제어기(101)의 회로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3에 도시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차 제어기(101)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열차 제어기(101)는 열차 제어기(101)에 구성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열차 제어기 제어부(300); 이 열차 제어부(300)를 설정 또는 제어하기 위한 열차 제어기 입력부(310); 무전기(도 1의 110)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열차 제어기 연결부(320); 열차 제어기(101)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열차 제어기 저장부(330); 외부에 있는 운행 정보 제공 서버(도 1의 130)로부터 열차(도 1의 100)의 운행 정보를 전송받아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운행 정보 생성부(340); 열차(도 1의 100)의 운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열차 제어기 표시부(350); 및 운행 정보 제공 서버(도 1의 130) 또는 무전기(도 1의 110)와 통신하기 위한 열차 제어기 통신부(360)를 포함한다.
열차 제어기 제어부(3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며, 열차(도 1의 100)를 제어하고, 열차(100)의 주요 구성부분을 제어한다.
열차 제어기 입력부(310)는 정보 입력 또는 선택으로 사용되어지는 디지트버튼(0 - 9)과, 특수키버튼(*, # ....), 한글 자모 또는 알파벳이 새겨진 문자키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버튼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열차 제어기 입력부(310)는 키패드, 터치패널, 음성 입력 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열차 제어기 연결부(320)는 무전기(도 1의 110)와 연결되는 수단으로서, 보통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케이블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RS232 등과 같은 포트, 케이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열차 제어기 저장부(330)는 열차 제어기 제어부(300)가 동작하기 위한 데이터,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33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RAM(Static RAM), FRAM (Ferro-electric RAM), PRAM (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 저장부(330)에는 운행 정보를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한다.
운행 정보 생성부(340)는 열차(도 1의 100)가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전송받은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열차 제어기 표시부(350)는 CRT(Cathod Ray Tube),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차 제어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메뉴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화면, 결과화면을 표시한다.
열차 제어기 통신부(360)는 무전기(도 1의 11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를 위해 무전기(도 2의 110)에도 통신 수단(도 2의 290이 구비된다. 따라서, 열차 제어기(101)를 조정하는 운전자와 무전기(도 1의 110)를 소지하는 승무원간에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람 기능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이해하기 쉽게 도시한 흐름도가 도 4에 도시된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기(110)의 알람 기능 과정을 구현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무전기(110)에는 열차(도 1의 100)에 해당하는 열차 운행 정보 프로그램이 등록되어 있게 된다(단계 S400).
물론 이러한 열차 운행 정보 프로그램은 제조시 무전기(110)에 저장될 수도 있고, 휴대용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여 무전기(110)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열차(도 1의 100)와 연결하여 열차(100)에 저장된 운행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승무원은 무전기(110)에서 열차(100)에 해당하는 차/호선별로 선택한다(단계 S410). 이 경우, 특정 번호를 입력하여 선택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리스트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에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정 번호의 경우에는 가령 "101"을 무전기 입력부(도 2의 210)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이 된다.
해당 차/호선별 선택이 이루어지면, 무전기(도 2의 110)의 알람부(도 2의 260)는 열차의 출발과 동시에 경과 시간을 체크한다(단계 S420). 부연하면, 무전기 시계부(도 2의 230)로부터 전송된 시간 정보와 운행 정보를 동기화하고, 현재 시각을 경과 시간과 비교하게 된다.
경과 시간을 체크한 결과, 알람부(도 2의 260)는 경과 시간이 예정된 정착역 도착시간전 소정 시간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430).
판단결과, 소정 시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 기능을 실행한다(S440). 즉, 무전기(도 1의 110)를 사용하는 승무원이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 소리 및/또는 알람 표시 등이 무전기 표시부(도 2의 280) 및/또는 음성 변환부(도 2의 250)를 통해 출력된다.
알람 기능 실행 후, 무전기 제어부(도 2의 200)의 현재의 정착역이 마지막 정착역인지를 확인하게 된다(단계 S450). 부연하면, 무전기 제어부(200)는 운행 정보에 있는 예정된 마지막 정착역과 현재의 정착역을 비교하여 현재의 정착역이 마지막 정착역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확인 결과, 현재의 정착역이 마지막 정착역이면, 알람 기능은 더 이상 기능하지 않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승무원이 인지할 수 있도록 무전기 표시부(도 2의 280)에 현재의 정착역이 마지막이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확인 결과, 현재의 정착역이 마지막 정착역이 아니면, 단계 S420 내지 단계 S450이 다시 실행된다.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시한 것으로,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가령, 단계 450의 마지막 정착역 도착 판단 단계를 단계 S430의 정착역 도착 판단 단계 이전에 놓는 것도 가능하다.
100: 열차 101: 열차 제어기
110: 멀티 기능 무전기 120: 무선망
130: 운행 정보 제공 서버 200: 무전기 제어부
210: 무전기 입력부 220: 무전기 연결부
230: 무전기 시계부 240: 무전기 저장부
250: 음성 변환부 251: 스피커
252: 마이크 260: 알람부
270: 광출력부 280: 무전기 표시부
290: 무전기 통신부
300: 열차 제어기 제어부 310: 열차 제어기 입력부
320: 열차 제어기 연결부 330: 열차 제어기 저장부
340: 운행 정보 생성부 350: 열차 제어기 표시부
360: 열차 제어기 통신부

Claims (7)

  1.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저장하는 무전기 저장부;
    상기 운행 정보와 동기화되어 시간 경과를 위한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무전기 시계부;
    상기 시간 정보 및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열차가 해당 정착역 도달전 소정 시간내에 알람을 수행하기 위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알람부;
    상기 알람 정보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음성 변환부;
    상기 무전기 저장부, 무전기 시계부, 알람부 및 음성 변환부를 제어하여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알람부가 알람 정보를 생성하게 하는 제어부;
    상기 운행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열차에 구비된 열차 제어기와 연결되는 무전기 연결부; 및
    상기 열차의 운전사와 통신하기 위한 무전기 통신부를 포함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무전기 입력부; 및
    상기 다수의 버튼 중 제 1 특정 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광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를 더 포함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버튼 중 제 2 특정 버튼은 상기 음성 변환부를 통하여 호루라기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멀티 기능 무전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 및 운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무전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기 저장부는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 메모리 카드를 더 포함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
  7. 삭제
KR1020110011830A 2011-02-10 2011-02-10 멀티 기능 무전기 KR101236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30A KR101236287B1 (ko) 2011-02-10 2011-02-10 멀티 기능 무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30A KR101236287B1 (ko) 2011-02-10 2011-02-10 멀티 기능 무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815A KR20120091815A (ko) 2012-08-20
KR101236287B1 true KR101236287B1 (ko) 2013-02-22

Family

ID=4688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830A KR101236287B1 (ko) 2011-02-10 2011-02-10 멀티 기능 무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761B1 (ko) * 2014-06-27 2015-07-09 넷코덱(주) 통합 열차 무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461A (ko) * 2003-02-12 2004-06-25 정홍준 지시기능을 갖는 무전기
KR100893111B1 (ko) 2008-09-09 2009-04-16 문재선 승객이 안내되기를 희망하는 대중교통수단의 정차역을 사전에 안내하는 장치
KR20090084246A (ko) * 2008-01-31 2009-08-05 김용호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하철 이동 경로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461A (ko) * 2003-02-12 2004-06-25 정홍준 지시기능을 갖는 무전기
KR20090084246A (ko) * 2008-01-31 2009-08-05 김용호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하철 이동 경로 표시방법
KR100893111B1 (ko) 2008-09-09 2009-04-16 문재선 승객이 안내되기를 희망하는 대중교통수단의 정차역을 사전에 안내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815A (ko) 201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7104A1 (en) Mobi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therefor
KR1012804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 동기화 방법
JP5733843B2 (ja) エレベータ制御信号の入出力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9344860B2 (en) Mobile device control with external device
RU2519420C1 (ru) Многорежимная система связи
US20100180229A1 (en) Method for menu performance using shortcut key in po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236287B1 (ko) 멀티 기능 무전기
KR101427717B1 (ko) 스마트 통신기기와 통신 가능한 화면표시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969321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wireless device checking method
JP6399757B2 (ja) 目的地に係る運行情報を提供可能な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運行情報通知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CN113112116A (zh) 订单分配方法、装置及服务器
JP2008096289A (ja) 多言語対応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349261B1 (ko) 스마트키 경고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방법
CN101112050B (zh) 改进的移动通信终端和方法
US20140242973A1 (en) Control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573809B2 (ja) 制御装置
US9685073B2 (en) Systems and methods that enable selecting a range for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key fob and a vehicle
KR101478470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시간정보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US2015009405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2011176923A (ja) 車載装置
JP6433298B2 (ja) 通信装置
KR101044069B1 (ko) 택시 차량에 구비되는 호출 단말 장치 및 다수의 택시 호출 정보 제공이 가능한 관제 서버
JP5665659B2 (ja) 通信端末装置
KR102429492B1 (ko) 차량용 휴대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368095Y1 (ko) 지하철 역명 수신 기능이 포함된 휴대용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