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413B1 -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 - Google Patents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413B1
KR101230413B1 KR1020110105875A KR20110105875A KR101230413B1 KR 101230413 B1 KR101230413 B1 KR 101230413B1 KR 1020110105875 A KR1020110105875 A KR 1020110105875A KR 20110105875 A KR20110105875 A KR 20110105875A KR 101230413 B1 KR101230413 B1 KR 10123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chute
rotated
upper swivel
t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래
Original Assignee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고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41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2Chutes pivo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30Unloading land vehicles using transportable tipp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에 관한 것으로, 타워의 둘레에 설치되고 회전되도록 설치되어서 타워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상부회전대; 상부회전대와 붐 사이에 설치되어서 붐의 자유단이 상하로 회동되도록 하는 붐상하회동부;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하역물이 투하되며 투하된 하역물을 붐으로 안내하는 고정슈트; 일단이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고정슈트에 연결되어 있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된 하역물이 고정슈트로 공급되도록 하며 상부회전대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역물의 투하 위치를 조절하는 회전슈트; 상부회전대의 상단부와 고정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서 상부회전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고 회전슈트가 상부회전대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슈트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붐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므로 붐의 회동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붐의 상하 회동 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카운터발란스를 위해 별도의 주탑 등의 구조물이 필요 없으므로 전체 구조가 단순해지며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크게 절감된다. 그리고, 카운터발란스가 상부회전대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Ship unloading slewing tower}
본 발명은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붐의 상하 회동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붐의 상하 회동 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전체 구조가 간단해지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에 관한 것이다.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는 항구에 정박한 화물선에서 하역물을 하역하기 위한 설비이다.
이러한 쉽 언로딩 슬루인 타워는, 주탑과, 주탑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일단이 화물선에 연결되고 타단이 프레임에 연결되어서 화물선에서 하역된 물품을 프레임 측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일단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 측으로 이송된 하역물이 투입되며 투입된 하역물을 해당 위치로 이송시키는 붐과, 주탑 내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카운터발란스와, 일단이 카운터발란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붐에 연결되어서 카운터발란스의 하강시 붐의 자유단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카운터발란스의 상승시 붐의 자유단이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는 붐의 상하 회전각도가 비교적 작아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카운터발란스의 승강거리는 주탑의 높이에 비례하는데, 제작비나 타워의 안정을 고려한다면 주탑의 높이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카운터발란스의 상하 회동거리와 비례하는 붐의 상하 회전각도는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하역물의 이동범위가 그만큼 감소된다.
한편, 태풍시 타워의 전복을 방지시키려면 붐대의 자유단을 지면에 내려 놓은 상태에서 고정시켜야 하는데, 종래의 타워는 카운터발란스의 승강거리 및 붐의 상하 회전각도가 비교적 작으므로 붐의 자유단이 지면에 접촉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붐의 자유단이 허공에 뜬 상태에서 태풍을 맞이하므로 붐이 심하게 흔들리면서 종종 타워의 전복, 붐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타워는 카운터발란스가 주탑 내에 설치되므로 와이어가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시 작업자가 주탑 내부로 들어가서 수리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잡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붐의 상하 회동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붐의 상하 회동 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쉽 언로딩 슬우잉 타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 구조가 간단해지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붐의 수평 회전각도만큼 회전슈트 및 보조회전슈트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는, 하부고정대; 하단이 하부고정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타워; 타워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일단이 고정프레임에 위치되어서 배에서 하역한 물품을 고정프레임 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타워의 둘레에 설치되고 하단부 및 상단부가 하부고정대의 상단부 및 고정프레임의 하단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서 타워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상부회전대; 일단이 상부회전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부회전대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하역물이 공급되어 이송되는 붐; 상부회전대와 붐 사이에 설치되어서 붐의 자유단이 상하로 회동되도록 하는 붐상하회동부;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하역물이 투하되며 투하된 하역물을 붐으로 안내하는 고정슈트; 일단이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고정슈트에 연결되어 있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된 하역물이 고정슈트로 공급되도록 하며 상부회전대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역물의 투하 위치를 조절하는 회전슈트; 상부회전대의 상단부와 고정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서 상부회전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고 회전슈트가 상부회전대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슈트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의 다른 특징은, 붐상하회동부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바디 일단이 상부회전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실린더로드의 단부가 붐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서 유압실린더의 작동시 붐의 자유단이 상하로 회동되도록 된다.
본 발명의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의 또 다른 특징은, 붐의 반대측 상부회전대에는 카운터발란스가 설치되되, 이 카운터발란스는 그 일측이 상부회전대에 고정되어 있어서 붐의 상하 회동시 승강되지 않으며, 상부회전대의 회전시 이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의 또 다른 특징은, 슈트회전부는, 상부회전대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어서 상부회전대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폴들과,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부가 회전폴들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외주면 둘레에 외측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의 채널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링과, 고정프레임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있고 외주면이 가이드링의 채널홈에 안착되며 회전폴들의 회전시 가이드링의 회전을 안내하는 롤러들과, 상단이 회전슈트에 고정되고 하단이 가이드링에 연결되어서 가이드링의 회전동력을 회전슈트에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의 또 다른 특징은, 동력전달부는, 가이드링의 내주면을 따라 링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링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체인과,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구동체인에 치합되어 있으며 구동체인의 회전시 이에 의해 자전되는 구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과 동축상에 결합되어서 구동스프로킷의 회전시 이와 함께 자전되는 제1전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 및 회전슈트에 연결되어서 구동스프로킷의 회전동력을 회전슈트에 전달하는 제2전동스프로킷과, 제1전동스프로킷 및 제2전동스프로킷에 연결되어서 제1전동스프로킷의 회전동력을 제2전동스프로킷에 전달하는 전동체인과, 하단에 제2전동스프로킷이 결합되어 있고 상단에 회전슈트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2전동스프로킷의 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슈트를 회전시키는 슈트회전축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상부회전대와 붐 사이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어서 붐의 자유단을 상하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붐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므로 붐의 회동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붐의 상하 회동 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카운터발란스는 상부회전대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상부회전대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발란스를 위해 별도의 주탑 등의 구조물이 필요 없으므로 전체 구조가 단순해지며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크게 절감된다. 또한 카운터발란스가 상부회전대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한 부가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붐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시 회전폴들 및 가이드링이 연동되고 이에 띠라 동력전달부가 구동되면서 동력전달부의 슈트회전축에 연결된 회전슈트가 회전된다. 따라서, 붐의 수평 회전각도만큼 회전슈트가 수평으로 회전되므로 컨베이어를 통해 회전슈트로 투입된 하역물이 붐의 일단에 정확하게 공급된다.
도 1은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 정면도
도 3은 동력전달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확대 정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며, 도 3은 동력전달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는, 하부고정대(1)가 구비되고, 하부고정대(1)의 상부에 타워(2)가 설치되어 있다.
타워(2)의 상단에는 고정프레임(3)이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프레임(3)에는 컨베이어(4)의 일단이 위치되어 있으며, 이 컨베이어(4)는 배에서 하역한 물품을 고정프레임(3) 측으로 이동시킨다.
타워(2)의 둘레에는 상부회전대(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회전대(5)는, 하단이 하부고정대(1)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회전대(5)의 하부와 하부고정대(1)의 상부에는 슬루잉베어링(6)이 설치되어서 상부회전대(5)가 타워(2)를 중심으로 수평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부회전대(5)에는 붐(7)이 설치되어 있다. 붐(7)은 그 일단이 상부회전대(5)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부회전대(5)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컨베이어(4)를 따라 이송된 하역물이 공급된다. 붐(7)에는 이송컨베이어(8)가 설치되어 있으며 붐(7)의 일단에 공급된 하역물을 붐(7)의 자유단 측으로 이송시킨다.
붐상하회동부(10)는, 상부회전대(5)와 붐(7) 사이에 설치되어서 붐(7)의 자유단이 상하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붐상하회동부(10)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바디(11) 일단이 상부회전대(5)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실린더로드(12)의 단부가 붐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서 유압실린더의 작동시 붐(7)의 자유단이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고정프레임(3)에는 고정슈트(shute)(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슈트(13)는, 컨베이어(4)를 따라 이송된 하역물이 투하되며 투하된 하역물을 붐(7)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고정슈트(13)의 상단부에는 회전슈트(14)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슈트(14)는 그 일단이 컨베이어(4)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고정슈트(13)에 연결되어 있으며, 컨베이어(4)를 따라 이동된 하역물이 고정슈트(13)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 회전슈트(14)는 상부회전대(5)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역물의 투하 위치를 조절한다.
고정슈트(13)의 입구는 평면에서 볼때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회전슈트(14)의 하단부는 고정슈트(13)의 입구에 진입되어 있으므로 회전슈트(14)의 하단부가 어느 방향에 위치되든지 회전슈트(14)의 상부로 투입된 하역물은 고정슈트(13)로 공급된다.
고정슈트(13)와 붐(7)의 단부 사이에는 보조회전슈트(15)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회전슈트(15)는 지지대(16)에 의해 상부회전대(5)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회전대(5)의 수평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보조회전슈트(15)는 붐(7)과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슈트(14)를 통해 고정슈트(13)로 공급된 하역물이 붐(7)의 일단 측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상부회전대(5)의 상단부와 고정프레임(3)의 하단부에는 슈트회전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슈트회전부(17)는, 상부회전대(5)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고 회전슈트(14)가 상부회전대(5)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 슈트회전부(17)는, 상부회전대(5)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어서 상부회전대(5)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폴(18)들과,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부가 회전폴(18)들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외주면 둘레에 외측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의 채널홈(20)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링(19)과, 고정프레임(3)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있고 외주면이 가이드링(19)의 채널홈(20)에 안착되며 회전폴(18)들의 회전시 가이드링(19)의 회전을 안내하는 롤러(21)들과, 상단이 회전슈트(14)에 고정되고 하단이 가이드링(19)에 연결되어서 가이드링(19)의 회전동력을 회전슈트(1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2)로 이루어진다.
동력전달부는, 가이드링(19)의 내주면을 따라 링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링(19)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체인(23)과, 고정프레임(3)의 하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구동체인(23)에 치합되어 있으며 구동체인(23)의 회전시 이에 의해 자전되는 구동스프로킷(24)과, 구동스프로킷(24)과 동축상에 결합되어서 구동스프로킷(24)의 회전시 이와 함께 자전되는 제1전동스프로킷(25)과, 구동스프로킷(24) 및 회전슈트(14)에 연결되어서 구동스프로킷(24)의 회전동력을 회전슈트(14)에 전달하는 제2전동스프로킷(26)과, 제1전동스프로킷(25) 및 제2전동스프로킷(26)에 연결되어서 제1전동스프로킷(25)의 회전동력을 제2전동스프로킷(26)에 전달하는 전동체인(27)과, 하단에 제2전동스프로킷(26)이 결합되어 있고 상단에 회전슈트(14)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2전동스프로킷(26)의 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슈트(14)를 회전시키는 슈트회전축(28)으로 이루어진다.
붐(7)의 반대측 상부회전대(5)에는 카운터발란스(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운터발란스(29)는 그 일측이 상부회전대(5)에 고정되어 있어서 붐(7)의 상하 회동시 승강되지 않으며, 상부회전대(5)의 회전시 이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는 다음과 같이 구둥된다.
유압모터(미도시)가 회전되면 슬루잉베어링(6) 상에 설치된 상부회전대(5)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유압모터의 구동시 상부회전대(5)가 회전되도록 이들 사이에는 기어들이나 체인 등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유압모터에 의해 상부회전대(5)가 회전되면 상부회전대(5)에 설치된 붐(7), 카운터발란스(29)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상부회전대(5)가 회전되면 슈트회전부(17)가 연동되면서 회전슈트(14)를 회전시킨다. 즉, 상부회전대(5)의 회전시 회전폴(18)들이 이와 함께 회전되고 회전폴(18)의 상단에 고정된 가이드링(19)이 회전된다. 가이드링(19)이 회전되면 가이드링(19)의 내주면에 고정된 구동체인(23)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구동체인(23)에 치합된 구동스프로킷(24)이 회전된다.
구동스프로킷(24)이 회전되면 이와 동축으로 설치된 제1전동스프로킷(25)이 회전되고 제1전동스프로킷(25)에 연결된 전동체인(27)이 연동되며 전동체인(27)이 연동되면 이에 연결된 제2전동스프로킷(26)이 회전된다. 제2전동스프로킷(26)이 회전되면 슈트회전축(28)이 회전되며 이에 따라 회전슈트(14)가 회전된다.
보조회전슈트(15)는 지지대(16)에 의해 상부회전대(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부회전대(5), 회전슈트(14)의 회전시 보조회전슈트(15)도 함께 회전된다.
한편, 붐상하회전부(10)인 유압실린더가 작동되면 붐(7)의 자유단이 상하로 회동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상부회전대(5)와 붐(7) 사이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어서 붐(7)의 자유단을 상하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붐(7)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므로 붐(7)의 회동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붐(7)의 상하 회동 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카운터발란스(29)는 상부회전대(5)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상부회전대(5)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발란스(29)를 위해 별도의 주탑 등의 구조물이 필요 없으므로 전체 구조가 단순해지며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크게 절감된다.
또한 카운터발란스(29)가 상부회전대(5)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한 부가적인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붐(7)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시 회전폴(18)들 및 가이드링(19)이 연동되고 이에 띠라 동력전달부(22)가 구동되면서 동력전달부(22)의 슈트회전축(28)에 연결된 회전슈트(14)가 회전된다.
따라서, 붐(7)의 수평 회전각도만큼 회전슈트(14)가 수평으로 회전되므로 컨베이어(4)를 통해 회전슈트(14)로 투입된 하역물이 붐(7)의 일단에 정확하게 공급된다.
1 : 하부고정대 2 : 타워
3 : 고정프레임 4 : 컨베이어
5 : 상부회전대 6 : 슬루잉베어링
7 : 붐 8 : 이송컨베이어
10 : 붐상하회동부 11 : 실린더바디
12 : 실린더로드 13 : 고정슈트
14 : 회전슈트 15 : 보조회전슈트
16 : 지지대 17 : 슈트회전부
18 : 회전폴 19 : 가이드링
20 : 채널홈 21 : 롤러
22 : 동력전달부 23 : 구동체인
24 : 구동스프로킷 25 : 제1전동스프로킷
26 : 제2전동스프로킷 27 : 전동체인
28 : 슈트회전축 29 : 카운터발란스

Claims (5)

  1. 하부고정대(1);
    하단이 하부고정대(1)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타워(2);
    타워(2)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
    일단이 고정프레임(3)에 위치되어서 배에서 하역한 물품을 고정프레임(3) 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4);
    타워(2)의 둘레에 설치되고 하단부 및 상단부가 하부고정대(1)의 상단부 및 고정프레임(3)의 하단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서 타워(2)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상부회전대(5);
    일단이 상부회전대(5)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부회전대(5)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컨베이어(4)를 따라 이송된 하역물이 공급되어 이송되는 붐(7);
    상부회전대(5)와 붐(7) 사이에 설치되어서 붐(7)의 자유단이 상하로 회동되도록 하는 붐상하회동부(10);
    고정프레임(3)에 설치되어 있고 컨베이어(4)를 따라 이송된 하역물이 투하되며 투하된 하역물을 붐(7)으로 안내하는 고정슈트(13);
    일단이 컨베이어(4)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고정슈트(13)에 연결되어 있어 컨베이어(4)를 따라 이동된 하역물이 고정슈트(13)로 공급되도록 하며 상부회전대(5)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역물의 투하 위치를 조절하는 회전슈트(14);
    상부회전대(5)의 상단부와 고정프레임(3)의 하단부에 설치되어서 상부회전대(5)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고 회전슈트(14)가 상부회전대(5)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슈트회전부(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붐상하회동부(10)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바디(11) 일단이 상부회전대(5)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실린더로드(12)의 단부가 붐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서 유압실린더의 작동시 붐(7)의 자유단이 상하로 회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
  3. 청구항 1에 있어서,
    붐(7)의 반대측 상부회전대(5)에는 카운터발란스(29)가 설치되되, 이 카운터발란스(29)는 그 일측이 상부회전대(5)에 고정되어 있어서 붐(7)의 상하 회동시 승강되지 않으며, 상부회전대(5)의 회전시 이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슈트회전부(17)는,
    상부회전대(5)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어서 상부회전대(5)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폴(18)들과,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부가 회전폴(18)들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외주면 둘레에 외측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의 채널홈(20)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링(19)과,
    고정프레임(3)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있고 외주면이 가이드링(19)의 채널홈(20)에 안착되며 회전폴(18)들의 회전시 가이드링(19)의 회전을 안내하는 롤러(21)들과,
    상단이 회전슈트(14)에 고정되고 하단이 가이드링(19)에 연결되어서 가이드링(19)의 회전동력을 회전슈트(1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
  5. 청구항 4에 있어서, 동력전달부(22)는,
    가이드링(19)의 내주면을 따라 링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링(19)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체인(23)과,
    고정프레임(3)의 하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구동체인(23)에 치합되어 있으며 구동체인(23)의 회전시 이에 의해 자전되는 구동스프로킷(24)과,
    구동스프로킷(24)과 동축상에 결합되어서 구동스프로킷(24)의 회전시 이와 함께 자전되는 제1전동스프로킷(25)과,
    구동스프로킷(24) 및 회전슈트(14)에 연결되어서 구동스프로킷(24)의 회전동력을 회전슈트(14)에 전달하는 제2전동스프로킷(26)과,
    제1전동스프로킷(25) 및 제2전동스프로킷(26)에 연결되어서 제1전동스프로킷(25)의 회전동력을 제2전동스프로킷(26)에 전달하는 전동체인(27)과,
    하단에 제2전동스프로킷(26)이 결합되어 있고 상단에 회전슈트(14)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2전동스프로킷(26)의 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슈트(14)를 회전시키는 슈트회전축(2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


KR1020110105875A 2011-10-17 2011-10-17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 Expired - Fee Related KR10123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875A KR101230413B1 (ko) 2011-10-17 2011-10-17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875A KR101230413B1 (ko) 2011-10-17 2011-10-17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413B1 true KR101230413B1 (ko) 2013-02-13

Family

ID=4789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87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0413B1 (ko) 2011-10-17 2011-10-17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4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695A (ko) * 2013-11-20 2015-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갠트리 크레인으로 조합되는 선회식 크레인
KR20150144868A (ko) * 2014-06-17 2015-12-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단열커버가 구비된 붐 컨베이어장치
KR101581574B1 (ko) * 2014-07-29 2015-12-30 현대제철 주식회사 적치기 장치
KR101670636B1 (ko) * 2016-05-27 2016-11-09 씨제이대한통운 (주) 우드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드칩 하역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1A (ja) * 1991-06-21 1993-01-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バケツトチエーン張力低減装置
KR100477430B1 (ko) 2001-12-31 2005-03-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로우 헤드 버켓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
JP2005320129A (ja) 2004-05-10 2005-11-17 Tatsumi Shokai Co Ltd 連続式シッピング・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
KR20090093580A (ko) * 2008-02-29 2009-09-02 (주)세아에스에이 하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1A (ja) * 1991-06-21 1993-01-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バケツトチエーン張力低減装置
KR100477430B1 (ko) 2001-12-31 2005-03-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로우 헤드 버켓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
JP2005320129A (ja) 2004-05-10 2005-11-17 Tatsumi Shokai Co Ltd 連続式シッピング・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
KR20090093580A (ko) * 2008-02-29 2009-09-02 (주)세아에스에이 하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695A (ko) * 2013-11-20 2015-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갠트리 크레인으로 조합되는 선회식 크레인
KR101581390B1 (ko) * 2013-11-20 2015-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갠트리 크레인으로 조합되는 선회식 크레인
KR20150144868A (ko) * 2014-06-17 2015-12-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단열커버가 구비된 붐 컨베이어장치
KR101581574B1 (ko) * 2014-07-29 2015-12-30 현대제철 주식회사 적치기 장치
KR101670636B1 (ko) * 2016-05-27 2016-11-09 씨제이대한통운 (주) 우드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드칩 하역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544895U (zh) 辊道输送线旋转升降一体化装置
KR101230413B1 (ko) 쉽 언로딩 슬루잉 타워
CN106429489A (zh) 一种锻件的自动输送上料装置
CN219097874U (zh) 一种水泵配件生产加工用传输装置
CN102710068A (zh) 电机装配流水线
CN107585499A (zh) 一种上下移载设备
CN202565116U (zh) 电机装配流水线
CN103771154A (zh) 一种回转螺旋卸料装置
KR20040022733A (ko) 회전기능이 구비된 중량물 운반장치
CN207404506U (zh) 一种拆垛设备
CN207312593U (zh) 导轨顶升电动转盘
CN219428928U (zh) 一种自动伸缩张紧的伸缩式皮带输送机
CN119160814A (zh) 一种棒磨机钢棒垂直提升机
CN109552809A (zh) 一种可实现料袋升降且无动力卸出的装置
CN114454599B (zh) 凹版印刷机新型版辊装卸小车
CN215756146U (zh) 一种物料运输装置
WO2023083012A1 (zh) 一种快速浇筑和吊装设备及其操作方法
CN114684531A (zh) 四向输送机
CN209939654U (zh) 具有回转功能的带式输送机俯仰调节装置
CN202729186U (zh) 伸缩皮带机
CN114590524A (zh) 全向砖块搬运机及其使用方法
CN210339270U (zh) 一种可变角度皮带传输机
CN202625323U (zh) 吊装式地垄称量装置
CN202625236U (zh) 带拉紧装置的带式输送机
CN206172572U (zh) 一种锻件的自动输送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11